KR100252669B1 - 그립 및 마찰면 및 그 면구조 - Google Patents

그립 및 마찰면 및 그 면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2669B1
KR100252669B1 KR1019960703070A KR19960703070A KR100252669B1 KR 100252669 B1 KR100252669 B1 KR 100252669B1 KR 1019960703070 A KR1019960703070 A KR 1019960703070A KR 19960703070 A KR19960703070 A KR 19960703070A KR 100252669 B1 KR100252669 B1 KR 1002526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p
friction surface
irregularities
friction
append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3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706303A (ko
Inventor
엘. 밍지스 도날드
Original Assignee
엘. 밍지스 도날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 밍지스 도날드 filed Critical 엘. 밍지스 도날드
Publication of KR9607063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7063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26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26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22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 A43B13/223Profiled soles
    • A43B13/226Profiled soles the profile being made in the foot facing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22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5/00Non-skid devices or attach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355Continuous and nonuniform or irregular surface on layer or component [e.g., roofing,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355Continuous and nonuniform or irregular surface on layer or component [e.g., roofing, etc.]
    • Y10T428/24446Wrinkled, creased, crinkled or crep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479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variation in thickne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479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variation in thickness
    • Y10T428/2457Parallel ribs and/or groo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628Nonplanar uniform thickness material
    • Y10T428/24736Ornamental design or indicia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 Gloves (AREA)
  •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Abstract

개선된 마찰성능과 보다 자연적인 느낌을 주는, 신발류, 장갑류, 공구 및 기타 유사물품의 외부그립면상에 사용을 위한 그립 및 마찰패턴이 제공된다.
패턴은 그립면의 베이스(12)로 부터 돌출한 다수의 돌출부(18, 20, 22, 24, 26, 28, 30)의 트레드패턴을 갖으며, 상기 다수의 돌출부(18, 20, 22, 24, 26, 28, 30)는 사람의 발, 손 또는 동물의 발, 손의 구조적인 특징에 대응하는 형상, 윤곽 및 배열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그립 및 마찰면 및 그 면구조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신발류, 장갑류 및 공구, 특히 사람의 발 또는 사람의 손의 바닥의 형상 및 윤곽을 각각 갖는 개선된 패턴을 갖는 구두창 또는 장갑에 부착되는 그립 및 마찰(traction)면, 그리고 그립 및 마찰면 구조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종래 부착되어지는 장치, 특히 구두창, 장갑, 그리고 기계적인 그립장치의 마찰성능을 개선하기 위하여 형상 및 디자인을 다양화한 트레드(tread)패턴을 갖는,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하고 압축가능한 재료로 만들어진 마찰 또는 그립면을 제공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지금까지 구두창은 기하학적 형상의 다양한 구조를 포함하고 있다. 걷기 또는 뛰기의 활동중에, 다양한 곡선, 윤곽, 오목부를 갖는 사람의 맨발의 구조는 우수한 마찰 및 그립성능을 제공한다. 그러므로 사람의 발의 구조와 매우 유사한 외부면을 갖는 구두창의 필요성이 명백하게 존재한다. 그러한 구두창을 제공하는 지금까지의 시도는 부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출원인은 신발류의 구두창과 구두안창에 관한 다음의 특허들을 알고 있다.
그라스고어의 미국의장특허 247,832는 구두밑창을 위한 장식적인 발형상의 디자인을 알려준다.
존스의 미국의장특허 287,903는 동물의 발과 같이 생긴 구두창을 위한 장식적인 디장인을 알려 주고 있다.
혼의 미국의장특허 295,114는 구두창용 다른 장식적인 발형상의 디자인을 알리고 있다.
멘도카의 미국의장특허 309,670는 구두창을 위한 또 다른 장시적인 발형상의 디자인을 알리고 있다.
맥모로오의 미국특허 3,402,485는 구두창에 합체된, 시뮬레이션된 동물트랙을 나타내게 하는 신발류에 관한 것이다.
쉬몰의 미국특허 4,266,349는 발의 회전을 편리하게 하기 위해서 구두창의 볼(ball) 및 뒷꿈치영역에 일반적으로 원형패턴부재를 포함하는 연속 스포츠화 외창을 알리고 있다. 이들 패턴부재들은 사람의 발의 부분의 배열을 대략적으로 근거로 하고 있다.
간터의 미국특허 4,697,361는 구두착용자의 발에 의한 스트레스(stress)의 적용에 반응하여 신축하는 탄성적으로 압축가능한 재료로 제조된 신발류 베이스를 알리고 있다.
위에 리스트된 나머지 특허들은 유사한 구두창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며, 완전성을 위해서 포함된 것들이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그립 및 마찰면의 인간공학적인 디자인에서 궁극적인 것을 구체화하고 있다. 본 발명은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부착되는 물품, 즉 신발류, 장갑류, 기계적인 그립 또는 마찰장치의 그립 또는 마찰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장치는 구두창에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사람의 발의 자연적인 프린트(print)를 근거로 한 그립 및 마찰면 및 그 면구조이다.
사람의 발의 밑면은 평평한 면이 아니라, 다양한 크기, 형상 및 윤곽의 여러 구조적인 부분들의 결합으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은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하고 압축가능한 외창과 일체적인 부분으로 성형되며, 사람의 발의 구성요소 및 특징들을 합체하고 있다.
구두창은 구두창의 베이스로 부터 돌출하는 다수의 돌출부를 갖고 있어서, 그에 따라 인접한 돌출영역 및 오목영역을 형성하고 있다.
다섯개의 발가락에 대응하는 돌출부들, 그리고 발의 볼 및 뒷꿈치와 유사한 돌출부들은 사람의 발의 실질적인 구조에 비례해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높이가 각각 다른 돌출부가 형성된다.
이들 돌출부들은 발가락사이 및 발가락 뒷부분의 영역 그리고 다른 사람의 발의 오목한 영역에 대응하는 오목부를 형성한다. 이들 오목부들은 지면접촉돌출부로 하여금 착용자에 의해서 구두창에 가해지는 힘에 따라서 적절히 변형을 하도록 한다.
외창의 외부면은 더욱 마찰력을 개선하기 위해서 사람의 발의 피부패턴과 유사한 작은 요철부를 구성하고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은 장갑 또는 기계적 그립장치의 외부그립면에 대해서 사용되어 질수 있다. 장갑의 손바닥 및 손가락면은 사람의 손의 형상, 윤곽, 그리고 프린트특징을 일체화한, 얇고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재료로 덮어져 있다.
본 발명은 사람의 착용을 위한 구두창 및 장갑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그립 및 마찰이 요구되는 로봇트와 같이 이동성의 자동화 설비의 제조자 및 사용자에게도 적용되리라고 기대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은 그립 공구, 인공기관 또는 다른 유사한 장치와 같이 다수의 적용물품에 우수한 마찰 및 그립력을 제공하는 하는데에도 확장될수 있다.
[발명의 목적]
본 발명의 주목적은 형성 또는 부착된 물품, 즉 신발류, 장갑류, 그리고 기계적 그립(grip) 또는 마찰 디바이스(traction device)의 그립성능 또는 마찰성능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발의 형상 및 윤곽과 비슷한 신발류 물품의 창을 위한 그립 및 마찰면 및 그 면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우수한 마찰을 제공하는 트레드(tread)형상을 갖는 구두창을 위한 그립 및 마찰면 및 그 면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착용자에게 보다 편리하고 자연적인 느낌을 주는 구두창을 위한 그립 및 마찰면 및 그 면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람의 손 또는 동물의 발의 형상 및 배열과 유사한 장갑류 물품을 위한 외부면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우수한 그립성능과 착용자에게 보다 편리하고 자연적인 느낌을 제공하는 형상을 갖는 장갑을 위한 면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손, 발, 동물의 발, 또는 그와 유사한 어느 동물의 부속기관(器官)의 구조에 대응하는 그립 및 마찰면 및 그 면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개선된 마찰 및 그립성능을 위한 기계적 그립 디바이스상의 사용을 위한 사람의 손의 구조에 대응하는 그립 및 마찰면 및 그 면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전술한 목적 및 기타의 목적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을 참조하면 더욱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면에서,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구두의 창의 평면도이다.
제2도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표현하는 구두창을 갖는 제1도의 구두의 사시도이다.
제3도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표현하는 구두창을 갖는 제1도의 구두의 측면도이다.
제4도는 구두창의 표면조직을 나타내는 제3도의 구두창의 일부의 확대측면도이다.
제5도는 제1도의 선 A-A를 따라 절단한 구두창의 단면도이다.
제6도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표현하는 그립면 및 면구조를 갖는 장갑의 사시도다.
제7도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표현하는 다른 그립면 및 면구조를 갖는 장갑의 평면도이다.
제8도는 장갑의 면조직을 나타내는 장갑의 손가락부의 확대사시도이다.
제9도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표현하는 그립면 및 그 면구조를 갖는 사람손을 시뮬레이션하는 기계적 디바이스의 사시도이다.
제10도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표현하는 그립면 및 그 면구조를 갖는 다른 기계적 그립 디바이스의 사시도이다.
제11도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표현하는 그립면 및 면구조를 갖는 다른 기계적 그립 디바이스의 사시도이다.
제12도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표현하는 그립면 및 그 면구조를 갖는 다른 기계적 그립 디바이스의 사시도이다.
제13도는 면 조직을 나타내는 기계적 그립 디바이스의 일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바람직한 구체적 실시예의 상세한 개시]
제1도, 제2도 및 제3도는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물질로 구성된 구두창(10)을 도시하고 있다. 구두창(10)은 구두창의 발가락영역에 해당하는 앞부분(14)과 구두창의 뒷꿈치영역에 해당하는 뒷부분(16)을 갖는, 실질적으로 매끄럽고 평탄한 베이스면(12)을 갖는다.
베이스면(12)에서 돌출한 돌출부(18)(20)(22)(24)(26)(28)(30)은 형상, 윤곽, 및 높이를 변경함에 있어서 구두창과 일체로 성형된다.
제1도는 구두창(14)의 앞부분에서 사람의 발의 발가락의 밑면과 대응하는 크기, 형상 및 위치의 다섯개의 돌출부(18)(20)(22)(24)(26)을 도시하고 있다. 다른 큰 돌출부(28)(30)은 뒷꿈치영역에서 발의 볼(ball)까지 구두창의 실질적인 부분을 커버하고 있다.
이들 돌출부들은 제5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베이스면(12)으로 부터 돌출한 높이(24a)(28a)(30a)가 반드시 일정할 필요가 없다. 어떤 돌출부의 높이는 사람발의 3차원 구조에 있어서의 변화와 관계하여 변화한다. 돌출부높이의 변화는 또한 걷기 또는 운동 활동 동안에 구두창의 각 영역에 가해지는 각각의 힘의 크기에 근거를 둘수 있다. 예를 들면 뒷꿈치의 돌출부높이(28a)는 인스텝(instep)의 돌출부높이(34a)보다 크다.
발의 구조에 근거한 이와 같이 돌출부높이의 변화는 돌출이 거의 또는 전혀 일어나지 않는 어떤 영역, 즉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갭 및 오목부(32)(36)을 남긴다.
이들 오목부(32)(36)는 인스텝과, 발가락사이 및 발가락뒤의 영역과 같이, 사람이 서있을 때 지면에 직접 접촉하지 않는 사람의 발의 영역에 대응한다.
그러나 사람의 발의 이들 오목부들은 사람이 걸을 때 힘이 가해질 때 발가락들이 지면 또는 플로워면에 그립되도록 하고, 그로 인하여 우수한 마찰력을 발생하기 때문에 걷는 활동 또는 뛰는 활동에 매우 중요하다.
마찬가지로 발명된 구두창에서 오목부(32)(36)은 지면과 접촉하는 돌출부들을 구두의 착용자에 의하여 가해지는 힘 또는 스트레스에 의해서 적절히 변형하도록 한다. 이들 변형은 또한 구두착용자에게 충분한 마찰력(traction)과 보다 자연적인 느낌을 제공한다.
제4도는 돌출부(18)(38)의 외부면의 확대도를 나타낸다. 사람의 피부의 특징적인 프린트(print, 지문과 같이 피부에 나타난 주름살을 의미함)를 시뮬레이션한 다수의 작은 요철부(40)가 모든 돌출부들의 지면과 접촉하는 외부면상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요철부들은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구두창의 지면접촉면을 바닥에 보다 양호하게 그립하도록 하고, 그에 따라 우수한 마찰력을 발생시킨다.
본 발명을 실행하는 가장 바람직한 모드는 그립 및 마찰면이, 고무, PVC, 폴리우레탄, 또는 적절한 합성플라스틱 물질과 같은 체육화에 일반적인 탄성변형가능한 재료로 만들어지는 구두창과 일체로 되어 있을 경우에 이루어진다.
구두창은 베이스, 돌출부, 오목부, 요철부들을 포함하는 그립패턴의 모든 형상을 일체적으로 형성하도록 구두의 윗부분에 직접 케스트성형 또는 인젝션성형된다.
[다른 구체적 실시예]
본 발명은 사람에 의해서 착용되는 신발류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고 장갑, 공구 또는, 자동화 기계 또는 로봇트의 발부재 또는 팔부재와 같이 그립 및 마찰이 요구되는 어떠한 적용물품에도 적용될수 있다. 기계적인 일을 수행할수 있는 기술적으로 진보된 기계류의 개발이 계속적으로 확장된다. 개발된 그립 및 마찰 패턴은 우수한 그립능력 또는 마찰능력이 요구되는 장치 또는 기계의 요소에도 부착될수 있다.
제6도 내지 제11도는 로보트, 자동화 기계, 또는 그립공구의 기계적 손과 같이 장갑 또는 다른 그립장치들의 그립면상에 형성된 손 또는 손가락 형상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제12도 및 제13도는 기계적장치의 그립면에 적용된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장치는 그립면(76)에 직접 형성된 요철부(78)을 갖고 있으나 그립면에 돌출부는 갖고 있지 않다.
이들 요철부(78)는 사람피부의 특징적인 프린트와 유사한 윤곽으로 형성된다.
제6도는 베이스면(42)을 갖는 장갑(41)을 도시하고 있다. 사람손의 손바닥 및 손가락에 대응하는 다수의 돌출부가 베이스면(42)에 돌출되어 있다. 손바닥돌출부(44)는 사람손바닥에 대응하는 장갑의 면의 일부를 덮는다. 장갑의 네손가락부분에는 각각 하니의 너클과 두개의 죠인트에 의해서 형성된 사람의 손가락의 세개의 부분에 대응하는, 별도로 분리되어 있고 독특한 돌출부(46)(48)(50)가 구성되어 있다.
사람의 엄지손가락의 안쪽면의 형상과 배열이 유사한 돌출부(52)(54)는 장갑의 엄지부분의 베이스면(42)으로 부터 돌출되어 있다.
이들 돌출부들은 서로 분리되어 있고 별개로 되어 있기 때문에, 갭(47)(49)(51)(53)들이 돌출부사이의 장갑면의 부분에 생긴다. 이들 갭들은 잡혀지는 물체의 주위의 장갑의 적절한 밀착을 가능하게 하고 변형가능한 돌출부면의 적절한 변형을 가능하게 하고, 그에 따라서 우수한 마찰 및 그립 성능을 일으키게 한다.
선택적으로 장갑(41)의 베이스면(42)으로 부터 돌출된 돌출부들은 분리되고 별개로 될수도 있고, 제7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단일체로 될 수도 있다.
크고 단일의 돌출부(74)는 장갑(41)의 베이스면(42)으로 부터 돌출된다.
이 돌출부는 사람손의 형상과 윤곽에 대응한다. 돌출부(74)의 외부표면은 사람손의 특징적인 프린트를 시뮬레이션하는 방식으로 배열된 요철부(72)가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구두창(10)의 베이스면(12)에서 돌출된 돌출부들은 분리되고 별개로 될 수도 있고, 단일체로 될수도 있으며 사람의 발의 크기, 형상, 그리고 배치와 유사한 단일의 큰 돌출부로 이루어질수 있다.
제9도는 로봇트 또는 자동화 기계의 한 부품에 사용되는 기계적인 손을 도시하고 있다. 체육화의 창에 사용되는 것과 같은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하고 압축가능한 적절한 재료로 제조되고, 접착제에 의해서 기계적인 손에 부착된 돌출부(56)(58)(60)은 손의 면(55)에 돌출되어 있다. 이들 돌출부(56)(58)(60)들은 사람 손가락의 형상 및 배열에 대응한다. 마찬가지로 손바닥의 형상 및 크기에 대응하는 돌출부(66)는 기계적 손의 손바닥부분에 부착되고, 사람의 엄지손가락과 유사한 돌출부(62)(64)는 기계적 손에 부착되며 기계적 손의 면(55)으로 부터 돌출한다.
제11도는 공구의 그립면에 접착방식으로 부착된, 사람손가락의 형상과 유사한 돌출부(70)를 갖는 기계적 그립장치를 도시한다.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적절한 재료로 제조된 돌출부들은 그립면의 전체부분을 커버하지 않고 갭(71)을 남긴다. 이들 갭(71)들은 잡혀지는 물체주위에 그립기구의 적절한 밀착을 가능하게 한다.
제10도는 또 다른 기계적인 그립기구를 도시하고 있다. 이들 그립면들은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재료(68)로 커버되어서 필요한 그립 성능을 생성하고 있다.
제6도 내지 제11도는 모든 돌출부의 외부면상에 다수의 요철부(72)들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이들 요철부들은 힘이 그들 면에 가해질 때 탄성 돌출부 재료의 적절한 변형을 일으키게 하고, 그로 인하여 우수한 마찰 및 그립성능을 발생시킨다. 이들 요철부들은 사람피부의 소용돌이, 나선, 만곡선, 또는 다른 특징들과 유사한 패턴으로 형성, 배열된다.
모든 그립 및 마찰면상에 형성된 전술한 요철부(40)(72)들은 반드시 각 돌출부상에 일정하게 간격을 띄울 필요가 없고 또한 이들 요철부들은 그 넓이 또는 깊이에서 일정할 필요가 없다. 추가적으로 이들 요철부들은 단지 사람의 피부특징과 유사할 필요는 없으며 어떤 동물의 피부특징을 시뮬레이션하는 방식으로 배열할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돌출부들의 그립 및 마찰면상의 요철부를 동심원, 동심적인 타원, 나선모양 또는 다른 기하학적인 윤곽의 패턴으로 배열한 것을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은 발, 손, 손가락, 동물의 발, 동물의 발톱모양 또는 어떤 동물의 면을 잡는 부속기관의 구조와 대응하게 배열된 돌출부를 갖는 그립 및 마찰면을 제공할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형성하는 재료는 반드시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것을 요구하지 않는다. 그립 및 마찰 패턴은 이것이 부착되어지는 물품상에 사용에 적합한 물질로 제조될수 있는데, 예를 들면 구두창에 사용되는 패턴은 가죽으로 제조될수 있다.
[발명의 목적달성의 요약]
전술한 내용으로 부터, 이것이 형성 또는 부착되는 물품, 즉 신발류, 장갑류 그리고 기계적 그립 또는 마찰장치의 그립 또는 마찰성능을 향상시키는 면 또는 패턴을 본 발명자가 발명하였고, 그리고 이것은 착용자에게 보다 자연적이고 보다 편안한 느낌을 제공한다는 사실이 명백하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자는 우수한 그립성능 및 자연적인 느낌을 제공하는 구두, 장갑, 또는 기계적인 그립장치의 그립 또는 마찰부분을 위한 개선된 면을 발명하였다.
전술한 개시 및 상술한 구체적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형태 및 그 원리의 설명에 불과한 것이고,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추가가 장치에 이루어질수 있으며, 그러므로 이러한 변형 및 추가는 첨부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고 이해되어야 한다는 것은 명백하다 해야 할것이다.

Claims (22)

  1. 베이스면; 상기 베이스면상에 형성되어 있고, 베이스면으로 부터 돌출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돌출부을 갖는 그립 및 마찰 패턴; 사람 또는 동물의 부속기관의 일부분 또는 여러 부분의 일정하지 않은 구조적인 특징에 대응하는 크기, 윤곽, 배열로 형성되어 있는 상기 돌출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간공학적인 그립 및 마찰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속기관은 사람의 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 및 마찰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속기관은 사람의 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 및 마찰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속기관은 동물의 부속기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 및 마찰면.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속기관의 돌출부는 외부접촉면을 가지고, 상기 접촉면은 그 위에 형성된 다수의 요철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 및 마찰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부는 피부의 특징을 시뮬레이션하는 윤곽으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 및 마찰면.
  7. 제6항에 있어서, 시뮬레이션되는 상기 피부는 사람의 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 및 마찰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부들은 동심원, 동심적인 타원, 또는 나선형상의 윤곽으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 및 마찰면.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부속기관의 돌출부는 외부접촉면을 가지며, 상기 접촉면은 그 위에 형성된 다수의 요철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 및 마찰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부들은 피부의 특징을 시뮬레이션하는 윤곽으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 및 마찰면.
  11. 제10항에 있어서, 시뮬레이션되어지는 상기 피부는 사람의 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 및 마찰면.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부들은 동심원의 윤곽으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 및 마찰면.
  13.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부속기관의 돌출부는 외부접촉면을 가지며, 상기 접촉면은 그 위에 형성된 다수의 요철부들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 및 마찰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부들은 피부의 특징을 시뮬레이션하는 윤곽으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 및 마찰면.
  15. 제14항에 있어서, 시뮬레이션되는 상기 피부는 동물의 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 및 마찰면.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부들은 동심원들의 윤곽으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 및 마찰면.
  17. 베이스면을 갖는 물품의 인간공학적인 그립 또는 마찰면을 위한 면구조로서: 상기 베이스면으로 부터 돌출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돌출부을 가지며; 상기 돌출부는 사람 또는 동물의 부속기관의 일부분 또는 여러 부분의 구조적인 특징에 대응하는 크기 및 배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 및 마찰면을 위한 면구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부속기관은 사람의 발이고, 상기 돌출부는 그 위에 형성된 다수의 요철부들을 갖는 외부접촉면을 가지며, 상기요철부들은 사람피부의 프린트를 시뮬레이션하는 윤곽으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 및 마찰면을 위한 면구조.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부속기관은 사람의 손이고, 상기 돌출부들은 그 위에 형성된 다수의 요철부들을 갖는 외부접촉면을 가지며, 상기 요철부들은 사람의 피부의 프린트를 시뮬레이션하는 윤곽으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 및 마찰면을 위한 면구조.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부속기관은 동물의 부속기관이고, 상기 돌출부는 그 위에 형성된 다수의 요철부를 갖는 외부접촉면을 가지며, 상기 요철부들은 피부의 프린트를 시뮬레이션하는 윤곽으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 및 마찰면을 위한 면구조.
  21. 물품의 대응하는 그립 및 마찰면의 면 구조로서: 다수의 요철부들이 상기 대웅하는 그립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요철부가 사람의 피부의 특징을 시뮬레이션하는 윤곽으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의 대응하는 그립 및 마찰면의 면구조.
  22. 베이스면을 갖는 물품의 대응하는 그립 및 마찰면의 인간공학적인 면구조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돌출부가 상기 베이스면에 돌출되어 있고, 상기 돌출부가 외부접촉면을 가지며; 다수의 일정하지 않은 요철부가 상기 외부접촉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요철부는 사람의 피부의 특징을 시뮬레이션하는 윤곽으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면을 갖는 물품의 대응하는 그립 및 마찰면의 면구조.
KR1019960703070A 1993-12-13 1994-12-01 그립 및 마찰면 및 그 면구조 KR1002526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581293A 1993-12-13 1993-12-13
US08/165,812 1993-12-13
US8/165812 1993-12-13
PCT/US1994/013825 WO1995016371A1 (en) 1993-12-13 1994-12-01 Natural grip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706303A KR960706303A (ko) 1996-12-09
KR100252669B1 true KR100252669B1 (ko) 2000-06-01

Family

ID=22600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3070A KR100252669B1 (ko) 1993-12-13 1994-12-01 그립 및 마찰면 및 그 면구조

Country Status (21)

Country Link
US (1) US6544626B1 (ko)
EP (1) EP0734212B1 (ko)
JP (1) JPH09506532A (ko)
KR (1) KR100252669B1 (ko)
CN (1) CN1111367C (ko)
AP (1) AP676A (ko)
AT (1) ATE219897T1 (ko)
AU (1) AU699972B2 (ko)
BR (1) BR9408317A (ko)
CA (1) CA2178747C (ko)
CZ (1) CZ171296A3 (ko)
DE (1) DE69430922T2 (ko)
DK (1) DK0734212T3 (ko)
ES (1) ES2179865T3 (ko)
FI (1) FI108207B (ko)
NO (1) NO321770B1 (ko)
PL (1) PL176158B1 (ko)
PT (1) PT734212E (ko)
RU (1) RU2136198C1 (ko)
UA (1) UA41388C2 (ko)
WO (1) WO19950163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01604B1 (en) * 1995-09-05 2006-09-05 Minges Donald L Footwear sole having a natural grip
AU4938299A (en) * 1998-06-30 2000-01-17 Evgeniy Vladimirovich Grishin Inner sole for shoes and variants
IT248130Y1 (it) * 1999-11-09 2002-12-10 Benetton Spa Struttura di calzatura
DE10131355B4 (de) * 2001-06-25 2007-06-28 Maria Pauli Handschuh
US6800234B2 (en) 2001-11-09 2004-10-0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 for making a molded polymeric article
US7703179B2 (en) * 2001-11-09 2010-04-2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icroreplicated surface
US20050001816A1 (en) * 2003-03-24 2005-01-06 Thompson Trevor Clark Self-adhesive applique for a computer pointing device
CA2522827A1 (en) * 2003-04-22 2004-11-04 Konstantinos Hatzilias Footwear for gripping and kicking a ball
WO2005092135A1 (en) * 2004-03-26 2005-10-06 Michael John Andrew Pretsel An article of hygiene
USD664744S1 (en) 2009-08-10 2012-08-07 Vibram S.P.A. Shoe
US8844171B2 (en) * 2010-04-07 2014-09-30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a ball contacting surface
WO2011138639A1 (en) * 2010-05-04 2011-11-10 Vibram S.P.A. High foot mobility shoe
CN102429372B (zh) * 2011-12-15 2014-12-17 双驰实业股份有限公司 一种溯溪鞋
JP2013233626A (ja) * 2012-05-10 2013-11-21 Toyota Industries Corp 吸着装置
CN102948956B (zh) * 2012-12-05 2015-02-11 福建鸿星尔克体育用品有限公司 一种轻质耐磨鞋底及跑鞋
CN103734987A (zh) * 2014-01-17 2014-04-23 刘峰 活动趾仿生鞋及鞋垫
US9894958B2 (en) 2015-01-30 2018-02-20 Wolverine Outdoors, Inc. Flexible article of footwear and related method of manufacture
USD801651S1 (en) 2015-02-27 2017-11-07 Under Armour, Inc. Sole plate for an article of footwear
USD774739S1 (en) * 2015-03-12 2016-12-27 Island Wars, LLC Footwear sole
USD791092S1 (en) * 2015-03-30 2017-07-04 Perouse Medical Medical port
USD893111S1 (en) 2015-05-28 2020-08-11 Handson Equine, Llc Animal bathing and grooming glove
USD783249S1 (en) * 2016-01-21 2017-04-11 Nike, Inc. Shoe outsole
USD875363S1 (en) * 2017-11-21 2020-02-18 Altra Llc Shoe sole
USD889086S1 (en) * 2017-11-21 2020-07-07 Altra Llc Shoe sole
USD858906S1 (en) * 2018-03-12 2019-09-03 Jay Michaelson Animal bathing and grooming glove
US20200000174A1 (en) * 2018-07-02 2020-01-02 Donald PLANCE Footwear utilizing friction ridge patterns
USD883582S1 (en) * 2018-07-11 2020-05-05 Dang Bui Animal grooming glove
USD891007S1 (en) * 2018-07-11 2020-07-21 Shenzhen Yichuang E-Commerce Co., Ltd Dog paw pad
DE102019202515A1 (de) * 2019-02-25 2020-08-27 Kuka Deutschland Gmbh Verfahren zum automatischen Aufziehen eines Schuhschaftes auf einen Leisten
USD941566S1 (en) * 2020-03-04 2022-01-25 Richard C. Riley Shoe sole
USD964713S1 (en) * 2021-10-01 2022-09-27 Nike, Inc. Shoe
CN114831386B (zh) * 2022-04-28 2024-05-03 李宁(中国)体育用品有限公司 勺型支撑板及鞋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66349A (en) * 1977-11-29 1981-05-12 Uniroyal Gmbh Continuous sole for sports sho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02485A (en) 1966-05-13 1968-09-24 United Shoe Machinery Corp Animal track footwear soles
USD247832S (en) 1976-10-29 1978-05-09 Brown Group, Inc. Shoe bottom unit
US4494321A (en) 1982-11-15 1985-01-22 Kevin Lawlor Shock resistant shoe sole
USD287903S (en) 1985-01-25 1987-01-27 Jones Michael R Shoe sole
DE3527938A1 (de) 1985-08-03 1987-02-12 Paul Ganter Schuh- oder laufsohle
USD295114S (en) 1985-10-22 1988-04-12 Stanton Horne Shoe sole
USD309670S (en) 1986-07-31 1990-08-07 Candida Andrade Acessorios De Moda Ltda. Shoe sole
USD304390S (en) 1986-09-05 1989-11-07 Nippon Rubber Co., Ltd. Shoe sole
USD319338S (en) 1988-03-30 1991-08-27 Kabushiki Kaisha Asahi Corporation Shoe sole
USD337428S (en) 1992-09-18 1993-07-20 Nike, Inc. Shoe outsole
US5465507A (en) 1994-04-13 1995-11-14 Osage Footwear, Inc. Integral sole with footprint embossi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66349A (en) * 1977-11-29 1981-05-12 Uniroyal Gmbh Continuous sole for sports sho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K0734212T3 (da) 2002-07-22
NO321770B1 (no) 2006-07-03
NO962485D0 (no) 1996-06-12
AP9701012A0 (en) 1997-07-31
DE69430922D1 (de) 2002-08-08
UA41388C2 (uk) 2001-09-17
CN1111367C (zh) 2003-06-18
EP0734212A1 (en) 1996-10-02
PL176158B1 (pl) 1999-04-30
FI962428A (fi) 1996-07-31
ATE219897T1 (de) 2002-07-15
US6544626B1 (en) 2003-04-08
AP676A (en) 1998-09-25
EP0734212A4 (en) 1997-04-02
AU1397395A (en) 1995-07-03
FI962428A0 (fi) 1996-06-12
EP0734212B1 (en) 2002-07-03
ES2179865T3 (es) 2003-02-01
CN1142749A (zh) 1997-02-12
RU2136198C1 (ru) 1999-09-10
PT734212E (pt) 2002-11-29
KR960706303A (ko) 1996-12-09
CA2178747A1 (en) 1995-06-22
WO1995016371A1 (en) 1995-06-22
NO962485L (no) 1996-06-12
CZ171296A3 (en) 1996-10-16
AU699972B2 (en) 1998-12-17
DE69430922T2 (de) 2002-11-14
BR9408317A (pt) 1997-08-05
FI108207B (fi) 2001-12-14
JPH09506532A (ja) 1997-06-30
CA2178747C (en) 2004-03-02
PL314983A1 (en) 1996-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2669B1 (ko) 그립 및 마찰면 및 그 면구조
US7101604B1 (en) Footwear sole having a natural grip
US4393604A (en) Outsole for athletic shoe
US5855022A (en) Golf glove and method of making same
EP1806062A1 (en) Footwear of shoe structure
JP5859653B2 (ja) 履物シート及び履物
WO2009018520A1 (en) Shoes
CA3064810A1 (en) Material for enhancing the effects of exercise
WO2011148162A2 (en) Footwear, manufactur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WO2003063630A1 (en) Double/sided insole for footwear
EP3569086A1 (en) Physiological footwear with a dynamic configuration of microparticles used in the insole and an irregular arrangement used in the sole.
US20050193475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mask sock
JPH10127309A (ja) 着脱容易な履物
JPH0710779Y2 (ja) ゴルフ用手袋
JP3047991U (ja)
JPS6236403Y2 (ko)
JPH0121940Y2 (ko)
JPH09276308A (ja) 踏み込み時の爪先圧迫防止用具
JPH0411525Y2 (ko)
JPH11192104A (ja) 履 物
GB2609264A (en) Single shoe for right and left feet
JP3076148U (ja) 履き物
JP3007679U (ja) 履 物
JPH0513438U (ja) 足部マツサ−ジ器
JPH0725804U (ja) 履物の台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