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1870B1 - 튜브 신속연결구 - Google Patents

튜브 신속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1870B1
KR100251870B1 KR1019950001349A KR19950001349A KR100251870B1 KR 100251870 B1 KR100251870 B1 KR 100251870B1 KR 1019950001349 A KR1019950001349 A KR 1019950001349A KR 19950001349 A KR19950001349 A KR 19950001349A KR 100251870 B1 KR100251870 B1 KR 1002518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tube
fastening
ring
pro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1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3222A (ko
Inventor
앙리 비라뗄
미쉘 앙드레
Original Assignee
니꼴 베르네드
에따블리스망 까이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꼴 베르네드, 에따블리스망 까이요 filed Critical 니꼴 베르네드
Publication of KR950033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32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1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18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16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 F16L23/18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the sealing means being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9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flexible hooks
    • F16L37/0985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flexible hooks the flexible hook extending radially inwardly from an outer part and engaging a bead, recess or the like on an inner pa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9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flexible hooks
    • F16L37/098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flexible hooks with a separate member for releasing the coup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85/00Pipe joints or couplings
    • Y10S285/921Snap-f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 Exchange Systems With Centralized Control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Pens And Brushes (AREA)
  • Joints With Sleeves (AREA)
  • Joints That Cut Off Fluids, And Hos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넥터(14)내에 결합될 수 있는 튜브(10)의 신속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상기 튜브(10)의 단부(10a)로 부터 일정거리 떨어진 위치에 고리상 돌기부(1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콘넥터는 자유상태와 비체결상태 사이에서 방사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한 체결수단을 가지는 체결구(22)로 구성된 파이프 신속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상기 연결구의 외주는 축방향 정지수단(19)에 의해 분리된 제1원주부재(18)와 제2원주부재(20)로 구성되고, 체결구(22)는 상기 축방향 정지수단에 접하게 되는 링(24)으로 구성되며,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링에 연결된 제1부재와 상기 제1부재의 전방돌출부에 의해 구성되는 제2부재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이상의 체결돌출편(26,27)을 가지며, 전방에서 부터 후방으로 전방만곡부(36a, 37a)와 횡방향슬롯부(36b, 37b)를 제공한다.
또한, 체결상태를 해제하기 위해 상기 체결돌출편을 분리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튜브 신속연결구
제1도는 본 발명의 연결구의 분리사시도.
제2도는 튜브를 제외한 상기 연결구의 길이방향 단면도로서, 체결수단이 자유 상태시를 도시한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와 유사한 단면도로서, 튜브가 상기 연결구에 연결된 상태에서 체결수단의 배열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제4도는 제2도 및 제3도와 유사한 단면도로서, 상기 체결수단들이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제5도는 제4도의 V-V선에서 절개한 단면도.
제6도는 제2도 내지 제4도와 유사한 단면도로서, 상기 연결구를 분리하기 위해 인장력이 가해졌을시 체결수단의 배열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제7도는 제2도 내지 제4도와 유사한 단면도로서, 상기 연결구가 비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제8도는 제1실시예에 따른 체결수단을 도시한 정면도.
제9도는 제8도의 평면도.
제10도는 제2실시예에 따라 체결수단이 제공된 체결상태의 연결구의 단면도.
제11도는 제10도에 유사한 단면도로서, 체결수단이 비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제12도는 제2실시예에 따른 체결수단을 도시한 정면도.
제13도는 제12도의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튜브 11 : 카뷰레타
12 : 고리상돌기부 14 : 콘넥터
15 : 돌기형성부 16 : 파이프
18 : 제1원주부재 19 : 축방향정지수단
20 : 제2원주부재 22, 72 : 체결구
24, 74 : 링 26,27,76,77 : 체결돌출편
30 : 슬리브 31 : 수용부
32 : 결합링 34 : 내측수용부
35 : O-링 36a,37a,86a,87a : 전방만곡부
36b,37b,86b,87b : 횡방향 슬롯부 36c,37c,86c,87c : 후방만곡부
39, 89 : 베어링 걸이부 40, 41, 90, 91 : 전방돌출부
42 : 전방걸림턱
본 발명은 콘넥터내에 결합될 수 있는 튜브의 신속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튜브의 단부로 부터 일정거리 떨어진 위치에는 고리상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콘넥터는 자유상태와 비체결상태 사이에서 방사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한 체결수단을 가지는 체결구로 구성된 튜브 신속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강체튜브를 축방향으로 연결구내에서 연결하고, 기름과 같은 유체를 공급하는 두개의 파이프를 누설이 생기지 않도록 완전하게 체결하기 위한 여러종류의 신속연결구는 이미 공지된 바 있는데, 1993년 5월 10일자로 프랑스에서 출원된 바 있는 프랑스 특허출원 제93-05558호에서는 단부로 부터 일정거리 떨어진 위치에 고리상 돌기부가 형성된 튜브를 연결하기 위해, 콘넥터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O-링을 수용하고 상기 튜브가 상기 콘넥터 내에 결합될시 상기 단부와 돌기부 사이에 위치한 상기 튜브에 대응되는 부위에 내측수용부를 제공하는 연결구에 대해 기재하고 있는데, 상기 콘넥터는 자유상태와 비체결상태의 사이에서 방사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체결수단을 가지는 체결구로 구성된다.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자유상태와 비체결상태 사이의 중간에 해당되는 위치에서 체결될 수 있는데, 이러한 위치에서는 상기 체결수단이 단부 반대편에서 튜브의 고리상 돌기부에 인접하게 된다.
이와같은 공지의 연결구는 기술적 측면에서 만족스럽기는 하나, 체결된 후 상기 콘넥터로 부터 튜브를 취출시키려면 튜브와 탄성체결 수단 사이에 특수공구를 사용하여 삽입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작업은 정밀을 요하는 것으로서 튜브와 연결구 주변 공간이 사용되기에 충분한 경우에만 성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와같은 폐단을 극복함에 의해 공지의 연결구를 개량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코자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연결구의 외주가 축방향 정지수단에 의해 상기 콘넥터의 입구쪽, 즉 전방(前方)에 대하여 제한을 받게되는 제1원주부재와, 상기 축방향 정지수단과 상기 콘넥터의 입구사이에서 돌출되어 있는 제2원주부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체결구는 축방향 정지수단에 인접설치되어지는 링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체결수단은 링으로 부터 전방으로 돌출되고 제1부재와 제2부재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이상의 체결돌출편을 가지는데, 상기 제1부재는 링과 연결되고 적어도 콘넥터의 제2부재의 길이와 동등한 길이를 가지게되며, 상기 제2부재는 상기 제1부재의 전방돌출부에 의해 구성되며 전방에서 부터 후방으로는 내측으로 기울어진 전방 만곡부와, 튜브 돌기부의 폭 이상의 크기를 가지며 상기 콘넥터 축까지의 거리가 상기 체결돌출편의 자유상태에서는 상기 고리상 돌기부의 외측반경 보다 작게되는 횡방향 슬롯부를 가진다.
콘넥터와 연결된 스페이서 수단은 상기 체결돌출편이 비체결상태가 되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어지는데, 이러한 비체결상태에서는 상기 슬롯으로 부터 콘넥터 축까지의 길이가 적어도 튜브의 고리상 돌기부의 반경과 일치하게 된다.
한편, 생산성과 경제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연결구에서는 부품수를 제한적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상기 체결구의 링은 콘넥터 외주의 제1원주부재상에 위치하며, 축방향 정지수단과 인접하게 된다.
또한, 상기 링은 다음 설명할 내용에서와 같이 고정적으로 설치되어지거나, 미끄러져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되어진다.
상기 튜브를 콘넥터내부에 결합하고자 할 경우에, 내측으로 경사진 체결돌출편의 전방만곡부가 튜브의 고리상 돌기부에 닿게되므로 상기 체결돌출편은 축방향으로 밀리게되는 힘을 받게되는데, 튜브가 콘넥터 내에서 충분히 결합되고 상기 슬롯이 고리상 돌기부의 축방향 위치에 있을시에는 체결돌출편은 탄성적으로 자유상태에 도달되어 슬롯내에 고리상 돌기부가 삽입된다.
이러한 탄성효과하에서 체결돌출편은, 상기 슬롯의 전방 모서리부가 고리상 돌기부에 닿아서 이에 걸려진 상태가 되므로, 튜브가 잡아당겨지더라도 콘넥터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게되는 것이다.
또한, 아래에서 설명될 내용과 같이, 콘텍터와 연결되는 스페이서 수단은 공구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쉽게 조작할 수 있다.
첨부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고리상 돌기부(12)가 단부(10a)로 부터 일정거리 떨어진 위치에 형성된, 카브레타(11)의 입구에 위치하게 되는 튜브(10)를 구비한 연결구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연결구는 상기 튜브(10)에 결합되는 콘넥터(14)로 이루어지며, 튜브(10) 반대편 단부(14a)쪽으로 상기 콘넥터는 외주가 기름파이프와 같은 가요성 파이프(16) 내부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눈금형상의 돌기형성부(15)를 제공한다.
여기서 "전방"은 제1도에서 화살표(F)로 표시된 방향으로, 튜브반대쪽 콘넥터의 단부로 부터 상기 콘넥터의 입구쪽 방향을 의미하며, "후방"은 "전방"과 반대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내측방향"은 튜브축 또는 콘넥터에 접근하는 방향이며, "외측방향"은 상기 튜브축등으로 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의미한다.
콘넥터의 외주는 돌출편에 구성되는 축방향 정지수단(19)에 의해 전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는 제1원주부재(18)와, 상기 축방향 정지수단과 콘넥터(14)의 입구(14b) 사이에서 돌출되어 있는 제2원주부재(20)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연결구는 콘넥터 외주의 제1부재(18)에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축방향 정지수단(19)에 인접 설치되는 링(24)을 가지는 체결구(22)로 이루어지며, 상기 체결구(22)는 두개의 탄성변형 가능한 체결돌출편(26,27)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연결구는 연결구(14)를 덮게되는 슬리브(30)와, 링(24)을 보호하고 두께를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링(24) 위에서 주름가공되는 결합링(32)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첨부된 모든 종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넥터(14)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O-링(35)을 수용하기 위한 내측수용부(34)가 형성되어 있는데, 예를들어 제4도에서 보면 상기 수용부는 튜브(10)가 콘넥터 내에 결합될때 상기 튜브의 단부(10a)와 고리상 돌기부(12) 사이의 위치에 대응되어지는 콘넥터의 내부에 제공된다.
또한, 상기 종단면도들에서, 튜브의 외주가 실제적으로 콘넥터의 내측직경과 일치하며, 상기 고리상 돌기부(12)는 축(A)에 수직하며, 연결구가 조립될때 튜브와 콘넥터에 공통되는 축(A)에 수직한 전면부(12a)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도면에서는 체결수단이 2개의 체결돌출편을 가지는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돌출편을 가질 수도 있다.
제2도 내지 제9도에서는 상기 체결수단의 제1실시예에 해당되는 연결구가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체결구는 두개의 체결돌출편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체결돌출편(26,27)은 링(24)으로 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제1부재(26a,27a)와 제2부재(26b,27b)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부재(26a,27a)는 링(24)과 연결되는데, 그 길이는 적어도 콘넥터(14)의 제2부재(20)의 길이와 동일하다.
상기 제2부재(26b,27b)는 제1부재(26a,27a)의 전방 돌출부에 의해 구성되며, 전방에서 부터 후방으로 내측으로 경사진 전방만곡부(36a,37a)와 횡방향 슬롯부(36b,37b)가 형성되어 있다.
자유상태의 체결돌출편(26,27)을 도시한 제2도에서는 상기 돌출편(27)의 슬롯(37b)으로 부터 콘넥터(14) 축(A)까지의 거리 또는 상기 돌출편(26)의 슬롯(36b)으로 부터 상기축(A) 까지의 거리가 제3도에 도시된 튜브(10)의 고리상 돌기부(12)의 외측반경(R) 보다 작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롯으로 부터 상기 콘넥터 축까지의 거리가 체결돌출편이 체결된 상태에서 고리상 돌기부의 반경보다 작게되며, 상기 콘넥터와 연결된 스페이서 수단은 상기 체결돌출편이 비체결상태로 복귀되도록 제공된다.
또한,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체결 상태에서는 슬롯(37b)으로 부터 콘넥터(14)의 축(A)까지의 거리(D')가 적어도 튜브(10)의 고리상 돌기부(12)의 반경과 일치하며, 슬롯(36b)으로 부터 상기축(A)까지의 거리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상기 스페이서 수단은 아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되는데,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롯(37b)의 전방 모서리부에는 후방으로 돌출된 베어링걸림부(39)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부"란 용어는 제12도에 도시된 볼록부(89)와 같이 중앙부에 위치하는 슬롯모서리부의 볼록한 부위를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한 베어링 걸림부가 존재하므로 슬롯(36b,37b)의 전방 모서리부와 튜브(10) 고리상 돌기부의 전면(12a) 사이에서 접선 방향의 접촉이 이루어진다.
상기 콘넥터가 회전하면서 튜브에 대해 후방으로 당겨지게 되면, 튜브의 고리상 돌기부의 전면에 대해 체결돌출편이 축방향으로 밀리던 힘이 작용되지 않게 된다.
또한, 연결구는 콘넥터(14)를 덮게 되고, 지지수단위에 신속히 설치되는 슬리브(30)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슬리브는 콘넥터 입구(14b)를 지나 전방 축방향으로 돌출되며, 직경이 적어도 고리상 돌기부(12)의 직경과 일치하고 상기 입구(14b)와 축이 동일한 입구(30a)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슬리브(30)는 보호덮개를 구성하며, 특히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체결 돌출편을 수용하고 보호하기 위한 수용부(31)를 적어도 하나이상 형성한다.
상기 체결돌기부가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유상태이든지 또는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체결상태이든지, 또는 제7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비체결 상태이든지 간에 상기 체결돌출편(26,27)은 슬리브(30)에 의해 보호된다.
따라서, 슬리브를 지나 돌출되는 체결수단을 구성하는 부재들은 아래에 설명될 것과 같은 안정장치들 이며, 정교한 조작에 의해 상기 체결돌출편을 분리하기 위한 수단이 사용되도록 하는 이동부재들이다.
도시된 여러 실시예에서 슬리브(30)는 콘넥터(14)에 대해 축방향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슬리브를 지지하기 위한 수단은 적어도 한개이상의 콘넥터 전방 돌출부로 이루어진다.
또한, 두개의 체결돌출편이 여기 존재하는 것과 같이, 제1도에서는 원주형 섹터(Cylindrical Sectors) 형상을 가진 두개의 전방 돌출부(40,41)가 상기 체결돌출편(26,27)의 제2부재(26b,27b)가 돌출된 부위사이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40,41)는 콘넥터(14)의 입구(14b)를 지나 전방 축방향으로 적어도 체결돌출편(26,27)의 제2부재(26b,27b)의 길이 이상의 크기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40,41)의 외측반경의 크기는 콘넥터 제2부재(20)의 반경 크기보다 크며, 슬리브(30)의 내주와 콘넥터 제2부재(20)의 외주 사이에서 돌출된 부위에서의 생성된 공간은 수용부(31)를 구성한다. 슬리브(30)의 전단부는 돌출부(40,41)의 전단과 후단에서 주름 가공된다.
또한,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돌출부(40,41)는 콘넥터 제2부재의 1/4 정도의 외주를 덮고 있으며, 서로 대향구조로 배열된다.
또한, 상기 외주의 절반 또는 그 이상을 덮는 한개의 전방 돌출부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한데, 그 경우 한개의 수용부만이 상기 체결돌출편(26,27)을 위해 구성된다.
또 다른 실시예(미도시됨)에 의하면, 전방돌출부(40,41)가 콘넥터 입구 이상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상기 슬리브는 체결구의 링(24) 상부에서 전단부는 접혀지고 후단부는 주름가공되어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제2도 내지 제9도에서의 슬리브와 체결구에 의해 구성되는 조립물은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체결구는 제1도 내지 제9도에서 도시된 내용과 동일하게 사용한다.
그러나, 상기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하면, 한개의 링(24)의 콘넥터(14) 제1부재(18) 상에서 미끄러져 움직이도록 장착된다.
또한, 전방 돌출물(40,41)이 콘넥터의 제2부재(20)를 따라 적어도 상기 제2부재의 축방향 길이이상으로 돌출되고, 상기 슬리브(30)의 후단은, 링(24)이 미끄러져 움직일 수 있도록 제작되었을시 체결돌출편이 통과하고 상기 콘넥터와 고정된 슬리브에 대해 상기 체결돌출편이 이동하기 위한 충분한 공간이 존재할 경우, 상기 돌출부(40,41)의 후단에 주름가공(30')된다.
따라서, 축방향 정지수단은 요구되는 바와 같이 돌출부(19) 또는 슬리브(30)의 후단(30a)에 의해 구성된다.
제3도는 튜브가 콘넥터 내에 결합될때 체결돌출편(26,27)의 위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전방만곡부(36a,37b)와 튜브의 고리상 돌기부(12), 즉 고리상 돌기부(12)의 후면부 사이에서 상기 체결돌출편이 분리되도록 움직이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제4도는 튜브의 고리상 돌기부(12)가 횡방향 슬롯(36b,37b)내에 수용되는, 체결돌출편(26,27)이 체결상태에 있는 것을 도시한 것으로, 링(24)이 콘넥터(14)와 슬리브에 대해 미끄러져 움직이도록 장착될때 슬리브(30)의 후단부와 링(24)의 전면 사이의 틈(j)이 존재하게 된다.
또한, 체결구가 체결위치에 있을때 연결구를 구성하는 여러부재의 상태는 제5도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틈(j)은 연결구를 통과하는 유체의 압력효과에 의해 또는 작업자가 튜브와 콘넥터를 분리하기 위해 콘넥터를 잡아당겨 조작함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리상 돌기부(12)의 전면과 함께 상기 슬롯(36b,37b), 즉 걸이부(39)의 전방 모서리부가 서로 닿아서 걸려진 상태가 되므로, 연결구는 일단 결합되어지면 그 결합상태로부터 쉽게 해제될 수 없는 것이다.
그러나, 제8도에서 명백히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돌출편의 전방걸이부(42)에 의해 구성되는 부가적인 안정장치가 제공될 수도 있는데, 소위 "걸림턱"은 체결돌출편 제2부재의 전단부 상에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틈(j)이 제거될시 상기 걸림턱(42)은 슬리브(30) 입구(30b)의 전단 모서리부에서 걸리게되므로, 체결돌출편이 일단 결합되어지면 그 결합상태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없는 것이다.
제2도 내지 제9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링(24)은 콘넥터(14)의 제1원주부재(18)상에서 미끄러져 움직이도록 장착되는데, 이 경우 스페이서 수단은 슬롯(36b,37b)으로 부터 외측으로 경사진 체결돌출편(26,27)의 후방만곡부(36c,37c)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각각의 후방 만곡부(36c,37c)는 체결돌출편(26,27) 제2부재위의 횡방향 슬롯(36b,37b)에 대해 전방만곡부(36a,37a)의 반대편상에 제공된다.
각 체결돌출편을 위해 후방만곡부(36c,37c)는 제1부재에 연결되며,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24)이 상기 링을 후방으로 안내하기 위한 콘넥터에 대해 상대 운동하게될 경우, 상기 후방만곡부(36c,37c)는 콘넥터(14) 입구(14b)의 외주면에 닿아 그 외경이 벌어지게되므로 이때 체결돌출편(26,27)은 체결 상태로부터 해제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체결상태로 부터의 해제가 이루어지는데, 상기 조작은 링이 후방으로 미끄러져 움직일 동안에 콘넥터를 전방으로 유지하게 함에 의해 이루어진다.
또한, 전방 걸림턱(42)이 제공되면 제6도에 도시된 상태에서, 상기 링의 후방으로의 이동이 억제되며, 상기 이동은 슬리브 및 링과 함께 콘넥터를 전방으로 밀어서 제4도의 상태로 복귀된 후에야 비로소 가능해진다.
제10도 내지 제13도는 상기 체결돌출편을 분리하기 위한 다른 수단을 가지는 연결구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튜브와 콘넥터와 같이 위에 설명한 내용과 동일한 구조의 부재들에 대해서는 제1도 내지 제9도에 도시된 번호와 동일한 번호를 사용하여 표시하였으나, 슬리브와 체결돌출편과 같이 다소 변형된 부재들에 대해서는 제1도 내지 제9도에 도시된 번호에 50만큼 부가된 번호를 사용하여 표시하였다.
또한, 체결구(72)는 링(74)과, 제1부재(76a,77a) 제2부재(76b,77b) 및 전방만곡부(86a,87a) 및 횡방향슬롯(86b,87b)으로 이루어진 두개의 체결돌출편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체결돌출편(77)은 상대적으로 단단한 조립물을 형성하는 제어돌출편(77c)에 의해, 링(74)를 지나 후방으로 돌출되며, 체결돌출편(76)도 제어돌출편(77c)과 비슷한 제어돌출편(76c)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자유상태 또는 제10도에 도시된 체결상태에서 제어돌출편(76c,77c)의 후단은 콘넥터(14) 제1부재(18)의 외주로 부터 떨어져 있으며, 상기 연결구의 체결상태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제어돌출편을 콘넥터(14) 제1부재(18)의 외주에 더 접근시키면 된다. 상기 체결조립물에 의해 구성되는 조립물의 상대적 강도가 부여됨에 따라, 상술한 접근이동은 체결돌출편이 링(74)의 위치에 위치하는 고정점에 대해 선회토록 하여, 상기 체결돌출편이 분리되도록 한다.
실제적으로 제10도와 제11도를 비교해 보면, 링(74)은 스프링 기능을 하며, 자유상태의 체결구(72)에서 콘넥터의 축방향으로 만곡되어 있고,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평면내에서 복원되어 연결구의 체결상태가 해제된다.
또한, "상대적으로 강도가 부여된"이란 표현은, 제어돌기부가 상기 외주쪽으로 복원될시에 링(74)의 연결포인트에서 접힘이 발생되지 않고 체결돌출편에 어떠한 움직임도 전달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반면에 제어돌출편과 링의 면사이의 각도는 불변하므로, 방사평면내에 링이 복원됨에 의해 상기 체결돌출편을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고정된 선회점은 제어돌출편과 링(74)의 접촉점 근처에 위치한다.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촉점은 링(74)의 내주의 위치와 동등하게 되며, 상기 체결돌출편은 상기 링의 외주부근에 연결된다.
또한, 링(74)의 축방향 정지수단은 상술한 바 있는 콘넥터(14) 외주의 돌출부(19)에 의해 구성될 수 있으며, 슬리브(80)의 후단부는 상기 돌출부(19)와 링(74)이 잘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위해 상기 링(74) 위에서 주름가공에 의해 결합되어진다.
체결돌출편과 일렬로 정렬된 제어돌출편에 의해 구성되는 각 조립물은 링(74)에 의해 고정상태가 유지되므로 상기 선회점이 고정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인 튜브신속 연결구에서는 체결돌출편(26,27,76,77)와 튜브(10)가, 상기 돌출편의 횡방향 슬롯부(36b,37b,86b,87b)와 상기 튜브의 고리상 돌기부(12)에서 용이하게 결합됨에 의해, 확고하게 체결됨으로서 튜브를 누설이 전혀 생기지 않도록 신속하게 확고하게 연결구내에 결합시킬 수 있을 뿐만아니라, 공구없이도 체결상태를 해체할 수 있는 분리수단이 제공되므로, 공구 사용하기 곤란한 협소한 공간에서도 용이하게 연결구를 튜브로 부터 분리할 수 있게 되는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9)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O-링(35)을 수용하고, 튜브(10)가 콘넥터내에 결합될시 튜브(10)의 단부(10a)와 고리상돌기부(12) 사이에 위치한 상기 튜브에 대응되는 부위에 제공되는 내측수용부(34)를 상기 콘넥터(14)가 제공하고, 상기 콘넥터는 자유상태와 비체결 상태 사이에서 방사방향으로 탄성변형되는 체결수단(26,27;76,77)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튜브의 단부(10a)로 부터 일정거리 떨어진 위치에는 고리상 돌기부(12)가 형성된, 상기 콘넥터(14)내에 결합 가능한 튜브(10)의 신속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콘넥터(14)의 외주는 축방향 정지수단(19,30a)에 의해 콘넥터 입구(14b)쪽, 즉 전방쪽에 대하여 제한을 받게되는 제1원주부재(18)와, 축방향 정지수단과 콘넥터(14) 입구사이에 돌출되어 있는 제2원주부재(20)를 제공하며, 상기 체결구(22;72)는 축방향 정지수단(19,30a)에 인접 설치되는 링(24;74)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링(24,74)으로 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링과 연결되고 콘넥터(14) 제2부재(20)의 길이와 적어도 일치하는 제1부재(26,27a;76a,77a)와 상기 제1부재의 전방돌출부로 이루어지는 제2부재(26b,27b;76b,77b)로 구성되며, 전방에서 부터 후방으로 내측으로 경사진 전방만곡부(36a,37a;86a,87a)와, 축방향길이가 적어도 튜브(10)의 고리상 돌기부(12)의 축방향 길이와 일치하고, 콘넥터(14) 축(A)까지의 길이(D)는 체결돌출편(26,27;76,77)이 자유상태일 경우 상기 고리상 돌기부(12)의 외측반경(R)보다 작게 되는 횡방향 슬롯(36b,37b;86b,87b)으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이상의 체결돌출편(26,27;76,77)으로 상기 체결수단이 이루어지며, 상기 콘넥터(14)에 연결된 스페이서 수단(36c,37c;76c,77c)은 상기 슬롯(36b,37b;86b,87b)으로 부터 콘넥터(14) 축(A)까지의 거리(D')가 적어도 튜브(10)의 고리상 돌기부(12)의 반경(R)과 일치하게 되는 비체결상태로 상기 체결돌출편(26,27;76,77)이 되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신속연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36b,37b;86b,87b)의 전단 모서리부에는 후방으로 돌출된 베어링걸이부(39;89)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신속연결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콘넥터(14)를 덮게되고, 지지수단(40,41;90,91) 상에 신속히 장착되며, 상기 콘넥터(14) 입구부(14b)를 지나 전방축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콘넥터(14) 입구부와 동일축을 가지는 입구부(30b)를 제공하여 체결돌출편(26,27;76,77)을 수용하기에 적합한 수용부(31;81)를 형성하는 슬리브(30;8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신속연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부(30;80)는 콘넥터(14)에 대해 축방향으로 고정되며, 상기 슬리브를 지지하는 수단은 상기 콘넥터 입구(14b)를 지나 전방축방향으로 적어도 체결돌출편의 제2부재(26b,27b;76b,77b)의 길이이상으로 돌출되고, 체결돌출편(26,27;76,77)의 수용부(31;81)를 한정하기 위해 콘넥터(14) 제2부재(20)의 외측방사 방향 길이보다 큰 외측방사방향 크기를 제공하는 적어도 한개이상의 콘넥터(14)의 전방돌출부(40,41;90,9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신속연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링(24)은 콘넥터(14)의 제1부재(18)상에서 미끄러져움직일 수 있도록 장착되며, 상기 슬리브의 후단부는 전방 돌출부(40,41)의 후단부상에서 주름 가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신속연결구.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체결돌출편(26,27) 제2부재(26b,27b)의 전단부는 슬리브(30)의 입구(30b) 모서리부와 결합되어지는 전방으로 돌출된 걸림턱(42)을, 상기 체결돌출편이 체결위치에서 유지되도록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신속연결구.
  7. 제1항, 제2항, 제4항 및 제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돌출편(26,27)의 제2부재(26b,27b)는 횡방향슬롯(36b,37b)을 중심으로하여 전방만곡부(36a,37a)의 반대편에 외측으로 경사진 형태의 후방만곡부(36c,37c)를 구비하고 있는데, 이 후방만곡부(36c,37c)는 제1부재(26a,27a)에 연결되어져 있으며 콘넥터 입구(14b)의 외주면에 닿아 상기 체결돌출편이 비체결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신속연결구.
  8. 제1항, 제2항, 제4항 및 제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돌출편(76,77)은 체결돌출편과 함께 상대적으로 단단한 조립물을 형성하는 제어돌출편(76c,77c)에 의해 상기 링(74)으로부터 돌출되어지며, 상기 제어돌출편(76c,77c)의 단부는 체결돌출편(76,77)이 자유상태에 있을 경우 콘넥터(14) 제1부재(18)의 외주면으로 부터 다소 이격된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신속연결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링의 축방향 정지수단은 콘넥터(14) 외주의 돌출부(19)에 의해 구성되며, 슬리브(80)의 후단부는 상기 돌출부와 링(74)이 잘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링(74)위에서 주름가공에 의해 결합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신속연결구.
KR1019950001349A 1994-01-26 1995-01-26 튜브 신속연결구 KR1002518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400829A FR2715454B1 (fr) 1994-01-26 1994-01-26 Connexion rapide.
FR9400829 1994-01-26
FR94-00829 1994-01-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3222A KR950033222A (ko) 1995-12-22
KR100251870B1 true KR100251870B1 (ko) 2000-04-15

Family

ID=9459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1349A KR100251870B1 (ko) 1994-01-26 1995-01-26 튜브 신속연결구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5496074A (ko)
EP (1) EP0665401B1 (ko)
JP (1) JP3517296B2 (ko)
KR (1) KR100251870B1 (ko)
CN (1) CN1045654C (ko)
AT (1) ATE151516T1 (ko)
BR (1) BR9500322A (ko)
CA (1) CA2140594C (ko)
DE (1) DE69500213T2 (ko)
DK (1) DK0665401T3 (ko)
ES (1) ES2102905T3 (ko)
FR (1) FR2715454B1 (ko)
GR (1) GR3023818T3 (ko)
PL (1) PL175593B1 (ko)
RU (1) RU2100684C1 (ko)
TW (1) TW26252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74505A (zh) * 2015-12-08 2018-08-31 韦特柯格雷斯堪的纳维亚有限公司 管状接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28531A (en) * 1995-04-26 1997-05-13 Bundy Corporation Quick connector with secondary latch
US5662359A (en) * 1995-08-28 1997-09-02 Form Rite Quick connect coupling with lock ring and indicator
JP2880453B2 (ja) * 1996-06-07 1999-04-12 三桜工業株式会社 配管用継手装置のリテーナ
FR2812371B1 (fr) * 2000-07-28 2003-06-27 Hutchinson Systeme de raccordement etanche entre un conduit et un embout tubulaire a bulbe
JP2005172131A (ja) * 2003-12-11 2005-06-30 Ootsuka:Kk 配管接続部構造
CN101238318B (zh) * 2005-07-03 2010-09-08 维迪有限公司 两个管之间具有单独设置夹具的联接
FR2903755B1 (fr) * 2006-07-17 2008-09-05 Legris Sa Raccord metallique a position de verrouillage.
DE102009033943A1 (de) * 2009-07-14 2011-01-20 Aft Inh. Dirk Kramer E.K. Steckkupplung
KR101028253B1 (ko) * 2009-09-29 2011-04-11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 유체통로용 퀵 커넥터
JP5786232B2 (ja) * 2011-04-13 2015-09-30 株式会社十川ゴム ホース継手
DE202011106817U1 (de) * 2011-10-18 2013-01-21 Neoperl Gmbh Lösbare Steckverbindung
EP2728236B1 (de) * 2012-11-05 2017-04-19 TI Automotive (Fuldabrück) GmbH Schnellkupplung
EP3399220B1 (de) * 2013-01-15 2019-05-15 TI Automotive (Fuldabrück) GmbH Schnellkupplung
US10240701B2 (en) * 2017-02-02 2019-03-26 Caterpillar Inc. Hose coupler for transferring fluids from a machine
EP3589877B1 (en) * 2017-03-01 2021-03-10 Husqvarna AB Quick connector
JP6908414B2 (ja) * 2017-04-07 2021-07-28 日東工器株式会社 管継手部材
US10857433B2 (en) 2018-01-31 2020-12-08 Breakthrough Golf Technology, Llc Golf shaft system and golf shaft
US10213666B1 (en) 2018-01-31 2019-02-26 Breakthrough Golf Technology Llc Golf shaft
CN108693311B (zh) * 2018-04-18 2023-05-26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gis组合电气设备sf6气体试验的棱形接头夹固装置
CA3118512C (en) 2018-11-23 2023-10-03 Oetiker Schweiz Ag Multi-part connector assembly
CN109373186B (zh) * 2018-12-12 2021-09-17 浙江英德赛半导体材料股份有限公司 高纯氨钢瓶中防护组件
USD928925S1 (en) * 2018-12-28 2021-08-24 Shi Ke Lei Quick hose connector assembly
CN111810744B (zh) * 2020-07-03 2022-05-10 瑞肯耐特流体控制系统(镇江)有限公司 快速连接器
FR3113936B1 (fr) * 2020-09-09 2022-08-19 A Raymond Et Cie Dispositif de raccordement entre un conduit et une embase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1751A (en) * 1891-10-20 Isaac st
US3711125A (en) * 1971-06-29 1973-01-16 Ford Motor Co Quick connect fitting for a hydraulic conduit
US5067754A (en) * 1980-10-29 1991-11-26 Propietary Technology, Inc. Swivelable quick connector assembly
US4778203A (en) * 1982-03-22 1988-10-18 Proprietary Technology, Inc. Swivelable quick connector for high temperature connection
ES8702623A1 (es) * 1985-04-24 1987-01-01 Schmelzer Corp Un conjunto de acoplamiento de conexion para conectar de manera liberable un par de conductos de fluido entre si.
DE3815172C1 (ko) * 1988-05-04 1990-03-22 Rasmussen Gmbh, 6457 Maintal, De
FR2637958B1 (fr) * 1988-10-14 1990-12-28 Anoflex Flexibles Raccord, notamment pour circuit hydraulique haute pression
WO1993020379A1 (en) * 1992-04-02 1993-10-14 Proprietary Technology, Inc. Quick connector with one-piece retainer
DE4020171C1 (ko) * 1990-06-25 1991-12-05 Flexa Gmbh & Co Kg
US5069424A (en) * 1990-10-17 1991-12-03 Itt Corporation Quick connector
FR2705133B1 (fr) * 1993-05-10 1995-08-04 Caillau Ets Connexion rapide.
US5380051A (en) * 1993-07-06 1995-01-10 Ford Motor Company Force assisted tube connecto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74505A (zh) * 2015-12-08 2018-08-31 韦特柯格雷斯堪的纳维亚有限公司 管状接头
US11255474B2 (en) 2015-12-08 2022-02-22 Vetco Gray Scandinavia As Tubular joi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140594C (en) 2005-04-12
EP0665401B1 (fr) 1997-04-09
BR9500322A (pt) 1995-10-17
US5496074A (en) 1996-03-05
GR3023818T3 (en) 1997-09-30
JP3517296B2 (ja) 2004-04-12
TW262525B (ko) 1995-11-11
CA2140594A1 (en) 1995-07-27
DE69500213T2 (de) 1997-08-14
KR950033222A (ko) 1995-12-22
ATE151516T1 (de) 1997-04-15
RU2100684C1 (ru) 1997-12-27
DK0665401T3 (da) 1997-10-20
FR2715454B1 (fr) 1996-04-12
PL306968A1 (en) 1995-08-07
CN1045654C (zh) 1999-10-13
CN1111737A (zh) 1995-11-15
ES2102905T3 (es) 1997-08-01
PL175593B1 (pl) 1999-01-29
DE69500213D1 (de) 1997-05-15
EP0665401A1 (fr) 1995-08-02
JPH07208672A (ja) 1995-08-11
FR2715454A1 (fr) 1995-07-28
RU95101025A (ru) 1996-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1870B1 (ko) 튜브 신속연결구
US4872710A (en) Releasable quick connect fitting
CA1324627C (en) Quick connector assembly
KR100314314B1 (ko) 2개의 유체 파이프라인을 연결하기 위한 플러그 접속식 커플링
US5683117A (en) Retainer clip for a connector
KR100769998B1 (ko) 플러그 유형의 커플링
KR101708495B1 (ko) 밀봉 조립체 리테이너를 가진 급속 커넥터
US9121439B2 (en) Multi-piece shifter cable system
JPH0642683A (ja) パイプにチューブを接続するためのプラグイン方式の継手
KR19990014685A (ko) 신속 연결 해제 커플링 및 그 조립 방법 및 장치
US4382619A (en) Hydraulic coupling device
JPH0774676B2 (ja) 継 手
US20090121478A1 (en) Male-Female member assembly
US6533330B1 (en) Connetion together of tubular members
JP3099117B2 (ja) 光ファイバ用コネクタ
KR100251267B1 (ko) 신속하게 작동되어지는 관 연결구
US6244632B1 (en) Connection arrangement
JP4213748B1 (ja) 末端部材同士のシール結合用装置
US5455995A (en) Tool for uncoupling quick connect tubular couplings
US6340180B1 (en) Releasable coupling assembly for securing a vehicle fuel line
JP4166225B2 (ja) パネル貫通の配管部材のホルダ
JPH0444156B2 (ko)
JP2006300127A (ja) 止め具
KR20170112081A (ko) 원터치식 배관 연결용 커플러
EP1859188A1 (en) A connector pa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2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