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1240B1 - 공기조화계의운전방법및공기조화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계의운전방법및공기조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1240B1
KR100251240B1 KR1019970057582A KR19970057582A KR100251240B1 KR 100251240 B1 KR100251240 B1 KR 100251240B1 KR 1019970057582 A KR1019970057582 A KR 1019970057582A KR 19970057582 A KR19970057582 A KR 19970057582A KR 100251240 B1 KR100251240 B1 KR 1002512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r
air
temperature
blower
throttle mechan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7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3402A (ko
Inventor
야스히로 아라이
데츠야 고이도
겐지 야마사키
아이 소라이
Original Assignee
니시무로 타이죠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시무로 타이죠,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니시무로 타이죠
Publication of KR199800334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34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1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12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8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 F24F11/83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by controlling the supply of heat-exchange fluids to heat-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at least partially below the floor; with air distribution below the flo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59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 F24F1/006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by the mounting or arrangement of the heat 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7Casings or covers with control knobs; Mounting controlling members or control units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Air-Conditioning Room Units, And Self-Contained Unit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하에 분출구가 있고 바닥면 근방에 배치되어 사용되는 실내기를 구비한 공기조화계의 운전방법 및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1흡입·2분출방식의 실내기의 특징을 손실하는 일 없이 이상적인 온도 환경 실현에 기여할 수 있는 공기조화계의 운전 방법 및 공기조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흡입구(4), 상측 분출구(6), 하측 분출구(11), 상측 열교환기(17), 상측 팬(15)과 하측 열교환기(18), 하측 팬(16)을 포함하고 바닥면 근방에 배치되어 사용되는 실내기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17)과 하측 열교환기(18)을 부조임기구(19)를 통해서 직렬로 접속하고 냉방운전시에는 상측 열교환기(17)에서 하측 열교환기(18)를 지나는 경로로 냉매를 흐르게 하고, 난방운전시에는 역의 경로로 냉매를 흐르게 하여, 적어도 냉방운전시 및 난방운전시에는 하측 분출구(11)에서 분출되는 공기의 온도보다 낮은 온도의 공기를 상측 분출구(6)에서 분출시키기 위한 부조임기구(19) 및 주조임기구(26)의 어느 한쪽을 제어하는 제어수단(32)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계의 운전방법 및 공기조화장치{AIRCONDITIONER OPERATING METHOD AND AIRCONDITIONER}
본 발명은 상하에 분출구를 갖고 바닥면 근방에 배치되어 사용되는 실내기를 구비한 공기조화계의 운전방법 및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가정용의 공기조화장치에서는 난방과 냉방을 겸용할 수 있는 열 펌프식의 것이 주류를 계속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그 실내기는 설치 공간의 문제로 천정에 가까운 벽에 설치되는 이른바 벽걸이 타입인 것이 많다. 이러한 타입의 실내기에는 전면부에 실내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가 있고 이 흡입구에서 흡입된 실내 공기를 열교환기에 접촉시킨 후에 하부에 형성된 분출구로 아래 전방을 향하여 비스듬히 분출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벽걸이 방식에서, 전면 흡입·비스듬히 아래쪽으로 분출하는 구성의 실내기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즉, 이러한 타입의 실내기에서는 냉방운전시에 있어서는 냉기가 아래쪽으로 내려오기 때문에 방 전체를 균일하게 냉각할 수 있고 쾌적감을 거의 충족할 수 있지만, 난방운전시에 있어서는 난기가 바닥면에 닿기 어렵기 때문에 발밑의 바닥면이 따뜻해지기 어렵고 난방시의 쾌적감이 부족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난방시의 쾌적감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실내기를 바닥면 또는 바닥면 근방에 설치하여 난기가 바닥면에 깔리는 방식도 고려되지만, 이러한 설치형태에서는 냉방운전시에 냉기가 바닥 근방에 집중되어 공급되기 때문에 방 전체를 균일한 온도로 냉방하기 어렵고 냉방시의 쾌적감이 부족할 뿐만 아니라, 효율의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그래서 최근에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전면에 설치된 흡입구를 통해서 흡입된 실내 공기의 일부를 상측 분출구에서 분출하는 상측 분출로와 상기 흡입구를 통해서 흡입된 실내 공기의 나머지를 하측 분출구에서 분출하는 하측 분출로를 갖고 바닥면 근방에 배치되어 사용되는 실내기를 구비하고 있는 공기조화장치가 출현하고 있다.
이 1흡입·2분출방식에서 바닥 근방에 배치되어 사용되는 실내기는 바닥방향 및 방의 높이방향 중간부를 향하여 기류를 분출할 수 있기 때문에 냉방시는 물론이고 난방시에 있어서도 방 전체의 온도를 거의 균일화시킬 수 있다.
그러나 쾌적성의 면에서 고찰하면, 방 전체의 온도를 거의 균일화하는 것이 반드시 쾌적감을 만족하는 것이라고는 한정할 수 없다. 즉, 방 내에서 생활하는 인간에게는 온도적으로 쾌적한 환경이라는 것은 각 부위가 받는 체감온도가 각 기관을 양호하게 움직이게 할 수 있는 온도 조건일 때이다. 1흡입·2분출방식에서 바닥 근방에 배치되어 사용되는 실내기를 구비한 종래의 공기조화장치는, 방 전체의 온도를 거의 균일화시키는 데에 힘을 기울이고 있어, 거주자가 진실로 원하는 쾌적감을 고려한다면 개선할 여지가 남겨져 있었다.
상기와 같이 1흡입·2분출방식에서 바닥 근방에 배치되어 사용되는 실내기를 구비한 종래의 공기조화장치는 거주자가 진실로 원하는 쾌적감을 고려한다면, 개선할 여지가 남겨져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방 안에서 생활하는 시람에게 이상적인 온도 환경을 만들어 내는 것이 가능한 공기조화계의 운전방법 및 공기조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관한 공기조화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동일 장치에 있어서 실내기의 설치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동일 장치의 냉동운전시에 있어서 몰리에르 차트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동일 장치의 냉동운전시에 있어서 실내기에서의 분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동일 장치의 난방운전시에 있어서 몰리에르 차트를 나타내는 도면,
도 6는 동일 장치의 냉동운전시에 있어서 실내기에서의 분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동일 장치의 난기 습기제거 운전시에 있어서 몰리에르 차트를 나타내는 도면, 및
도 8은 동일 장치의 난기 습기제거 운전시에 있어서 실내기에서의 분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실내기 4: 흡입구
6: 상측 분출구 7: 상측 분출로
11: 하측 분출구 14: 하측 분출로
15: 상측 팬 16: 하측 팬
17: 상측 열교환기 18: 하측 열교환기
19: 부스로틀기구 21: 방
22: 벽 23: 바닥면
26: 주스로틀기구 27: 실외 열교환기
28: 사방향밸브 29: 압축기
32: 제어장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청구항 1에 관한 운전방법에서는, 실내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와, 이 흡입구를 통해서 흡입된 실내 공기의 일부를 상측 분출구에서 분출하는 상측 분출로와, 이 상측 분출로 내에 배치된 상측 열교환기 및 상측 팬과 상기 흡입구를 통해서 흡입된 상기 실내 공기의 나머지를 하측 분출기에서 분출하는 하측 분출로와, 이 하측 분출로 내에 배치된 하측 열교환기 및 하측 팬을 포함하고, 바닥 근방에 배치되어 사용되는 실내기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공기조화계를 운전하는 데에, 적어도 냉방운전시 및 난방운전시에는 상기 하측 분출구에서 분출되는 공기의 온도보다 낮은 온도의 공기를 상기 상측 분출구에서 분출시키는 상하 온도차가 있는 운전을 실시하도록 하고 있다.
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청구항 2에 관한 공기조화장치에서는, 실내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와, 이 흡입구를 통해서 흡입된 실내 공기의 일부를 상측 분출구에서 분출하는 상측 분출로와, 이 상측 분출로내에 배치된 상측 열교환기 및 상측 팬과, 상기 흡입구를 통해서 흡입된 상기 실내 공기의 나머지를 하측 분출구에서 분출하는 하측 분출로와 이 하측 분출로 내에 배치된 하측 열교환기 및 하측 팬을 포함하고, 바닥면 근방에 배치되어 사용되는 실내기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측 열교환기와 상기 하측 열교환기를 부스로틀(throttle)기구를 통해 직렬로 접속시키는 직렬 회로와 주스로틀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직렬회로에서 적어도 냉방운전 및 난방운전의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는 냉동 사이클 요소군과, 냉방운전시에는 상기 상측 열교환기에서 상기 하측 열교환기를 지나는 경로로 냉매를 흐르게 하고, 난방운전시에는 상기 하측 열교환기에서 상기 상측 열교환기를 지나는 경로로 냉매를 흐르게 하는 냉매 흐름방향 전환수단과 적어도 냉방운전시 및 난방운전시에는 상기 하측 분출구에서 분출되는 공기의 온도보다 낮은 온도의 공기를 상기 상측 분출구에서 분출시키기 위해 상기 부스로틀기구 및 상기 주스로틀기구의 어느 한쪽을 제어하는 상하 온도차 형성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청구항 2에 관한 공기조화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하 온도차 형성수단은 냉방운전시에는 상기 상측 열교환기의 상류측 온도와 하류측 온도와의 차가 소정값이 되도록 상기 주스로틀기구의 스로틀 양을 조정하여 온도차를 형성하는 것이라도 좋다.
또, 상기 상하 온도차 형성수단은 난방운전시에는 상기 부스로틀기구의 스로틀 양을 조정하여 온도차를 형성하는 것이라도 좋다.
또한, 적어도 냉방운전시에 있어서 상기 하측 분출로에서 분출하는 공기흐름에 흔들림이 생기도록 상기 하측 팬의 회전수를 불규칙적으로 증감시키는 제어계를 또한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청구항 1에 관한 운전방법 및 청구항 2에 관한 장치에서는 적어도 냉방운전시 및 난방운전시에 하측 분출구에서 분출되는 공기의 온도보다 낮은 온도의 공기를 상측 분출구에서 분출시키는 상하 온도차가 있는 운전을 실시하고 있는 때문에 이른바 머리는 차고 발은 따뜻한 것을 실현하는 온도 환경을 만들어낼 수 있고 쾌적감의 향상에 한층 기여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관한 공기조화장치의 냉동 사이클을 포함하는 구성도가 나타나 있다.
이 도면에서 "1"은 실내기를 나타내고 있다. 이 실내기(1)는 단면형상이 예를 들면 받침대형상으로 지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형성된 광주리체(2)를 구비하고 있다.
광주리체(2)의 전면 벽에는 실내 공기를 도면 중 큰 화살표(3)로 나타낸 바와 같이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4)가 형성되어 있다. 흡입구(4)를 경계로 하여 상측에 위치하고 있는 전면 벽에는 흡입구(4)를 통해서 흡입된 실내 공기의 일부를 도면 중 큰화살표(5)로 나타낸 바와 같이 비스듬히 위쪽 전방을 향하여 분출되는 상측 분출구(6)가 형성되어 있다. 이 상측 분출구(6)은 팬 노우즈(fan nose)(7)와 배면 케이싱(8)으로 형성된 상측 분출로(9)를 통해서 흡입구(4)로 통하고 있다. 또, 흡입구(4)를 경계로 하여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는 전면 벽에는 흡입구(4)를 통해서 흡입된 실내 공기 가운데 나머지를 도면 중 큰 화살표(10)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비스듬히 아래쪽 전방을 향하여 분출하는 하측 분출구(11)가 형성되어 있다. 이 하측 분출구(11)는 팬 노우즈(12)와 배면 케이싱(13)으로 형성된 하측 분출구(14)를 통해서 흡입구(4)로 통하고 있다.
상기 분출로(9)안 및 하측 분출로(14)안에는 도면 중 큰 화살표(3)로 나타낸 방향의 흡입력 및 도면 중 큰 화살표(5,10)로 나타낸 방향의 분출력을 부여하기 위한 횡류식의 상측 팬(15)과 하측 팬(16)이 배치되어 있고, 이들 상측 팬(15) 및 하측 팬(16)과 흡입구(4)와의 사이에는 상측 열교환기(17)와 하측 열교환기(18)가 배치되어 있다. 상측 열교환기(17) 및 하측 열교환기(18)에는 핀부착 냉매관이 지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꾸불 꾸불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측 열교환기(17)를 구성하고 있는 냉매관의 아랫부분과 하측 열교환기(18)를 구성하고 있는 냉매관의 윗부분과의 사이에는 전동제어식 또는 전자제어식의 부스로틀기구(19)가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열교환기(17)와 하측 열교환기(18)는 부스로틀기구(19)를 통해서 직렬로 접속된 직렬회로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실내기(1)는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방(21)을 나누고 있는 벽(22)의 내면에 바닥면(23)과의 사이에 수십 ㎝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상측 열교환기(17)을 구성하고 있는 냉매관의 상단은 배관(25), 전동제어식 또는 전자제어식의 주스로틀기구(26), 실외 열교환기(27), 전동전환식의 사방향밸브(28)를 통해서 압축기(29)의 흡입구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압축기(29)의 토출구는 사방향밸브(28), 배관(30)을 통해서 하측 열교환기(18)를 구성하고 있는 냉매의 하단에 접속되어 있다. 즉, 이들은 부스로틀기구(19)를 통해서 직렬로 접속된 상측 열교환기(17)와 하측 열교환기(18)로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실외 열교환기(27)에는 팬(31)이 부설되어 있다.
상술한 압축기(29)의 운전정지 제어, 사방향밸브(28)의 전환제어, 상측 팬(15) 및 하측 팬(16)의 운전정지 제어, 부스로틀기구(19)의 스로틀 양 제어, 주스로틀기구(26)의 스로틀 양 제어, 팬(31)의 운전정지 제어는 제어장치(32)에서의 지령에 기초하여 실시된다.
즉, 제어장치(32)는 각부 요소에 배치된 온도 센서에 의해 검출된 실온(T0), 실내기(1)의 상측 열교환기(17)를 구성하고 있는 냉매관의 상단부 내 증발온도(T1), 같은 상측 열교환기(17)을 구성하고 있는 냉매관의 하단부 내 증발온도(T2), 실내기(1)의 하측 열교환기(18)을 구성하고 있는 냉매관의 중간부 내 증발온도(T3), 압축기(29)의 흡입 가스온도(T4), 압축기(29)의 토출 가스 온도(T5), 실외 열교환기(27)의 냉매관 내 온도(T6), 실외 온도(T7)를 도입하고, 외부에서 부여되는 냉방운전 지령(S1), 난방운전 지령(S2), 난기 습기제거 운전 지령(S3)에 따라서 상술한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고 각 요소를 후술하는 관계로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실내 온도(T0)의 제어는 압축기(29)의 온(ON), 오프(OFF) 제어 또는 압축기(29)의 회전수제어로 실시된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공기조화계, 결국 공기조화장치의 운전상태를 설명한다.
(냉방운전)
냉방운전 지령(S1)을 부여하면, 제어장치(32)는 사방향밸브(28)를 도시한 것과는 역의 접속형태, 즉 압축기(29)의 토출 가스가 사방향밸브(28)∼실외 열교환기(27)∼주스로틀기구(26)∼실내기(1)의 상측 열교환기(17)∼부스로틀기구(19)∼실내기(1)의 하측 열교환기(18)∼사방향밸브(28)∼압축기(29)의 흡입구의 경로로 흐르도록 전환한다.
다음에 부스로틀기구(19)를 모두 열어 제어하고 상측 팬(15), 하측 팬(16)을 소정 회전수에서 회전시키고 또한, 압축기(29)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팬(31)을 회전시킨다.
압축기(29)에서 토출된 고온, 고압의 냉매 가스는 사방향밸브(28)을 통과후, 실외 열교환기(27)에서 실외 공기와 열교환하고 응축되어, 그 후에 주스로틀기구(26)에서 스로틀되어 저압의 기체, 액체 2상 상태가 된다. 그 후, 실내기(1)의 상측 열교환기(17)에서 실내 공기와 열교환하여 증발하고 저온, 저압의 가스가 되어 하측 열교환기(18)을 통과 후, 압축기(29)에서 다시 압축되고 고온, 고압의 가스가 된다.
이 때, 제어장치(32)는 실내기(1)의 상측 열교환기(17)를 구성하고 있는 냉매관의 상단부 내의 증발 온도(T1)와 하단부 내의 증발 온도(T2)와의 차이가 소정치가 되도록 주스로틀기구(26)의 스로틀 양을 조절한다. 즉,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몰리에르 차트(molier chart)가 되도록 상측 열교환기(17)가 증발영역으로 하측 열교환기(18)가 과열영역이 되도록 주스로틀기구(26)의 스로틀 양을 조정한다.
이 운전형태의 경우, 상기 팬(15) 및 하측 팬(16)이 각각 운전 상태에 있기 때문에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측 분출구(6)에서는 증발온도에 따른 차가운 공기(A)가, 또 하측 분출구(11)에서는 실온에 가까운 온도의 공기(B)가 분출되게 된다. 그리고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제어장치(32)는 하측 분출로(11)에서 분출되는 공기흐름에 흔들림을 발생시키도록 하측 팬(16)의 회전수를 불규칙하게 증감시키는 제어를 실시한다.
이러한 냉방운전 형태라면 예를 들면, 흡입구(4)에서 흡입된 공기 온도가 27℃, 하측 분출구(11)에서 분출되는 공기 온도가 25℃, 상측 분출구(6)에서 분출되는 공기 온도가 15℃라고 하면, 거주자에 따라서 냉기는 위쪽 방향, 실내온도에 가까운 온풍은 아래 방향이기 때문에, 발밑이 지나치게 차가운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머리가 차고 발이 따뜻한 환경을 만들어 낼 수 있어 쾌적성을 한층 향상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불규칙한 흔들림에 따른 하측 분출구(11)에서의 분출 바람은 선풍기의 바람에 가깝기 때문에, 선풍기 병용 운전의 효과를 초래하고 일반적인 상측 분출방식의 실내기를 바닥면 근방에 배치한 것에 비해 냉방시의 설정 온도를 올리 수 있고, 거주 공간 평균 온도를 예를 들면 27℃에서 28℃로 변화할 수 있기 때문에 에너지 절약에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난방운전)
난방운전 지령(S2)을 부여하면, 제어장치(32)는 사방향밸브(28)를 도면에 나타나는 접속형태 즉, 압축기(29)의 토출 가스가 사방향밸브(28)∼실내기(1)의 하측 열교환기(18)∼부스로틀기구(19)∼실내기(1)의 상측 열교환기(17)∼주스로틀기구(26)∼실외 열교환기(27)∼사방향밸브(28)∼압축기(29)의 흡입구의 경로로 흐르도록 전환한다.
다음에 부스로틀기구(19) 및 주스로틀기구(26)를 소정의 스로틀 양으로 제어하고 상측 팬(15), 하측 팬(16)을 소정의 회전수로 회전시키고 또한, 압축기(29)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팬(31)을 회전시킨다.
압축기(29)에서 토출된 고온, 고압의 냉매 가스는 사방향밸브(28)를 통과 후, 하측 교환기(18)에서 실내 공기와 열교환하여 응축된 후, 부스로틀기구(19)에서 제어되고, 응축 온도가 낮아진 상태에서 또한 상측 열교환기(17)에서 실내 공기와 열교환한다. 이 냉매는 주스로틀기구(26)에서 스로틀되어 저압의 기체, 액체 2상 상태가 되어 그 후에, 실외 열교환기(27)에서 실외 공기와 열교환하여 증발되고 저온, 저압의 가스가 되어 압축기(29)에 흡입되고 다시 고온, 고압 가스가 된다.
이 때, 제어장치(32)는 실내기(1)의 상측 열교환기(17)를 구성하고 있는 냉매의 상단부 내의 증발 온도(T1)와 실내기(1)의 하측 열교환기(18)를 구성하고 있는 냉매관의 중간부 내의 증발온도(T3)와의 차이가 소정치가 되도록 부스로틀기구(19)의 스로틀 양을 조절한다. 즉,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은 몰리에르 차트가 되도록 2응축온도를 실현시키기 위해서 하측 열교환기(18)는 제 1 응축영역, 상측 열교환기(17)는 제 1 응축영역보다 저온의 제 2 응축영역이 되도록 부스로틀기구(19)의 제어조정이 실시된다.
이러한 난방운전 형태라면, 예를 들면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측 분출구(6)에서의 분출 온도를 30℃, 하측 분출구(11)에서의 분출 온도를 40℃로 설정하고 분출할 수 있기 때문에, 발밑이 따뜻하고 머리 부근이 차가운 이른바 두한족열(頭寒足熱) 환경을 실현할 수 있고, 난방시의 쾌적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위쪽의 차가운 난기는 아래쪽 난기를 누르는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난방의 설정온도를 내릴 수 있고, 거주 공간 평균 온도를 예를 들면 24℃에서 23℃로 변화할 수 있기 때문에 에너지 절약에 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난기 습기제거 운전)
난기 습기제거 운전 지령(S3)을 부여하면, 제어장치(32)는 사방향밸브(28)를 도면에 나타난 접속형태 즉, 압축기(29)의 토출 가스가 사방향밸브(28)∼실내기(1)의 하측 열교환기(18)∼부스로틀기구(19)∼실내기(1)의 상측 열교환기(17)∼주스로틀기구(26)∼실외 열교환기(27)∼사방향밸브(28)∼압축기(29)의 흡입구의 경로로 흐르도록 전환한다.
다음에 주스로틀기구(26)을 모두 열어 제어하고 상측 팬(15), 하측 팬(16)을 소정의 회전수에서 회전시키고 또한, 압축기(29)를 회전시킨다. 이 경우, 팬(31)은 회전시키지 않는다.
압축기(29)에서 토출된 고온, 고압의 냉매 가스는 사방향밸브(28)를 통과 후, 하측 교환기(18)에서 실내 공기와 열교환하여 응축된 후, 부스로틀기구(19)에서 스로틀되어 저압의 기체, 액체 2상 상태가 된다. 이 냉매는 상측 열교환기(17)에서 실내 공기와 열교환되어 증발하여 저온, 저압의 가스가 되고, 실외 열교환기(27)를 통과 후, 압축기(29)에서 다시 압축되어 고온, 고압의 가스가 된다.
이 때, 제어장치(32)는 실내기(1)의 상측 열교환기(17)을 구성하고 있는 냉매관의 상단부 내의 증발온도(T1)와 압축기(29)의 흡입 가스 온도(T4)와의 차가 소정치가 되도록 부스로틀기구(19)의 스로틀 양을 조정한다. 즉,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은 몰리에르 차트가 되도록 하측 열교환기(18)가 응축기, 상측 열교환기(17)가 증발기가 되도록 부스로틀기구(19)의 스로틀 양을 조정한다.
이 운전상태에서는 예를 들면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측 분출구(6)에서 냉기, 하측 분출구(11)에서 난기가 실내로 분출되게 되기 때문에, 발밑이 따뜻하고 머리 부근이 차가운 이른바, 두한족열 환경을 실현할 수 있고, 습기제거 운전시의 쾌적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난방 사이클에 의한 난기 습기제거 운전이기 때문에 밖 기온이 낮고 다습한 때에 습기를 제거하면서 방의 온도를 높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1흡입·2분출방식으로 바닥면 근방에 배치되어 사용되는 실내기를 구비한 공기조화계의 특징을 손실하는 일 없이 보다 쾌적한 실내 온도환경의 실현에 기여할 수 있다.

Claims (5)

  1. 실내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와, 이 흡입구를 통해서 흡입된 실내 공기의 일부를 상측 분출구에서 분출하는 상측 분출로와, 이 상측 분출로 내에 배치된 상측 열교환기 및 상측 팬과, 상기 흡입구를 통해서 흡입된 상기 실내 공기의 나머지를 하측 분출구에서 분출하는 하측 분출로와, 이 하측 분출로 내에 배치된 하측 열교환기 및 하측 팬을 포함하고, 바닥면 근방에 배치되어 사용되는 실내기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공기조화계를 운전하는 데에 있어서,
    상기 상측 열교환기와 상기 하측 열교환기를 부스로틀기구를 통해 직렬로 접속시키는 직렬회로,
    주스로틀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직렬회로에서 냉방운전 및 난방운전중 어느 하나의 사이클을 구성하는 냉동 사이클 요소군,
    냉방운전시에는 상기 상측 열교환기에서 상기 하측 열교환기를 지나는 경로로 냉매를 흐르게 하고, 난방운전시에는 상기 하측 열교환기에서 상기 상측 열교환기를 지나는 경로로 냉매를 흐르게 하는 냉매 흐름방향 전환수단, 및
    냉방운전시 및 난방운전시에는 상기 하측 분출구에서 분출되는 공기의 온도보다 낮은 온도의 공기를 상기 상측 분출구에서 분출시키기 위한 상기 주스로틀기구 및 부스로틀기구의 어느 한쪽을 제어하는 상하 온도차 형성수단을 구비하며,
    냉방운전시 및 난방운전시에는 상기 하측 분출구에서 분출되는 공기의 온도보다 낮은 온도의 공기를 상기 상측 분출구에서 분출시키는 상하 온도차가 있는 운전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계의 운전방법.
  2. 실내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와, 이 흡입구를 통해서 흡입된 실내 공기의 일부를 상측 분출구에서 분출하는 상측 분출로와, 이 상측 분출로 내에 위치된 상측 열교환기 및 상측 팬과, 상기 흡입구를 통해서 흡입된 상기 실내 공기의 나머지를 하측 분출구에서 분출하는 하측 분출로와, 이 하측 분출로 내에 배치된 하측 열교환기 및 하측 팬을 포함하고 바닥 근방에 배치되어 사용되는 실내기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측 열교환기와 상기 하측 열교환기를 부스로틀기구를 통해 직렬로 접속시키는 직렬회로,
    주스로틀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직렬회로에서 냉방운전 및 난방운전중 어느 하나의 사이클을 구성하는 냉동 사이클 요소군,
    냉방운전시에는 상기 상측 열교환기에서 상기 하측 열교환기를 지나는 경로로 냉매를 흐르게 하고, 난방운전시에는 상기 하측 열교환기에서 상기 상측 열교환기를 지나는 경로로 냉매를 흐르게 하는 냉매 흐름방향 전환수단, 및
    냉방운전시 및 난방운전시에는 상기 하측 분출구에서 분출되는 공기의 온도보다 낮은 온도의 공기를 상기 상측 분출구에서 분출시키기 위한 상기 주스로틀기구 및 부스로틀기구의 어느 한쪽을 제어하는 상하 온도차 형성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온도차 형성수단은 냉방운전시에는 상기 상측 열교환기의 상류측 온도와 하류측 온도와의 차이가 소정치가 되도록 상기 주스로틀기구의 스로틀 양을 조정하고 온도차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온도차 형성수단은 난방운전시에는 상기 부스로틀기구의 스로틀 양을 조정하여 온도차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냉방운전시에 있어서 상기 하측 분출로에서 분출하는 공기흐름에 흔들림이 생기도록 상기 하측 팬의 회전수를 불규칙적으로 증감시키는 제어계를 또한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KR1019970057582A 1996-10-30 1997-10-29 공기조화계의운전방법및공기조화장치 KR1002512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288329A JPH10132360A (ja) 1996-10-30 1996-10-30 空気調和系の運転方法および空気調和装置
JP8-288329 1996-10-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3402A KR19980033402A (ko) 1998-07-25
KR100251240B1 true KR100251240B1 (ko) 2000-05-01

Family

ID=17728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7582A KR100251240B1 (ko) 1996-10-30 1997-10-29 공기조화계의운전방법및공기조화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H10132360A (ko)
KR (1) KR100251240B1 (ko)
CN (1) CN1119586C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6028B1 (ko) * 2006-05-20 2008-04-2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KR20160121694A (ko) 2015-04-10 2016-10-20 (주) 인선 박스 봉합기용 와이어 풀림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박스 봉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61471B2 (ja) * 1999-02-17 2005-06-1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
KR100608262B1 (ko) 2004-10-07 2006-08-09 삼성전자주식회사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온도제어방법
KR20070060878A (ko) * 2005-12-09 2007-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070060877A (ko) * 2005-12-09 2007-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N102183074A (zh) * 2011-05-26 2011-09-14 天津工业大学 空调机自动运行控制装置
CN102393059A (zh) * 2011-11-01 2012-03-28 天津工业大学 温湿度自动调节控制装置
CN103486658B (zh) * 2012-06-12 2016-06-0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器室内机以及包括该空调器室内机的空调器
CN103486657A (zh) * 2012-06-12 2014-01-0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器室内机以及包括该空调器室内机的空调器
JP5720657B2 (ja) * 2012-11-02 2015-05-20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床置き型空調室内機
US10054128B2 (en) 2013-03-04 2018-08-21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Blower and air conditioner using same
JP6115373B2 (ja) * 2013-07-23 2017-04-19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装置
KR20160016436A (ko) * 2014-08-05 2016-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N108488919B (zh) * 2018-04-26 2020-12-22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及其控制方法、装置
CN109737501A (zh) * 2019-01-31 2019-05-10 东北大学 一种双内挂机空调系统
CN110017587B (zh) * 2019-04-17 2021-09-28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运行控制方法、装置、空调器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0017586B (zh) * 2019-04-17 2021-06-15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运行控制方法、装置、空调器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1023298A (zh) * 2019-12-27 2020-04-17 海信(山东)空调有限公司 空调器制冷防直吹的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空调器
JP6947262B1 (ja) * 2020-09-01 2021-10-13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6028B1 (ko) * 2006-05-20 2008-04-2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KR20160121694A (ko) 2015-04-10 2016-10-20 (주) 인선 박스 봉합기용 와이어 풀림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박스 봉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3402A (ko) 1998-07-25
CN1119586C (zh) 2003-08-27
JPH10132360A (ja) 1998-05-22
CN1181485A (zh) 1998-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1240B1 (ko) 공기조화계의운전방법및공기조화장치
KR100367747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유닛
JP4017483B2 (ja) 空気調和機
KR102184544B1 (ko) 제습기
JP2009085574A (ja) 空気調和機
CN106716024A (zh) 空调装置的室内机组
JPH0989297A (ja) 除湿機
CN207163199U (zh) 一种烘干除湿一体机
JPH0650595A (ja) 空気調和装置
JP4450120B2 (ja) 空気調和機
KR200197795Y1 (ko) 환기회수율 조절식 폐열회수겸용 냉난방 공기조화기
JP5228344B2 (ja) 換気空調装置
JPH0814389B2 (ja) 直膨型熱交換器を用いたクリーンルーム
JPH0868568A (ja) 空気調和機
JP2009097834A (ja) 空気調和機
JPH0719514A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KR101171308B1 (ko) 천정형 공기조화기
JP5803898B2 (ja) 空気調和機
CN105020813B (zh) 带恒温恒湿柜的空调机
JP2021181863A (ja) 空気調和装置
JP3525021B2 (ja) 空気調和装置
JP4130095B2 (ja) 空気調和装置及びその風速制御方法
JPH10103791A (ja) 冷凍サイクル装置および空気調和機
JPH0960949A (ja) 空気調和装置およびその起動方法
CN212869981U (zh) 空调器室内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1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