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0375B1 - 공중합체 라텍스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공중합체 라텍스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0375B1
KR100250375B1 KR1019920020121A KR920020121A KR100250375B1 KR 100250375 B1 KR100250375 B1 KR 100250375B1 KR 1019920020121 A KR1019920020121 A KR 1019920020121A KR 920020121 A KR920020121 A KR 920020121A KR 100250375 B1 KR100250375 B1 KR 1002503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monomer
chain transfer
parts
transfer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0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8028A (ko
Inventor
시게오 스즈키
스스므 아베
후유오 마에다
도모타카 세오
Original Assignee
모리따 카쯔라
다케다 야쿠힌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04876292A external-priority patent/JP324297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4052855A external-priority patent/JPH05255415A/ja
Priority claimed from JP4052854A external-priority patent/JPH05255414A/ja
Priority claimed from JP05285392A external-priority patent/JP3238455B2/ja
Application filed by 모리따 카쯔라, 다케다 야쿠힌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모리따 카쯔라
Publication of KR930008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80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03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03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38Polymerisation using regulators, e.g. chain terminating agents, e.g. telomerisation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9/00Coated paper; Coating material
    • D21H19/36Coatings with pigments
    • D21H19/44Coatings with pigments characterised by the other ingredients, e.g. the binder or dispersing agent
    • D21H19/56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or oligomers thereof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21H19/58Polymers or oligomers of diolefins, aromatic vinyl monomers or unsaturated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36/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08F236/02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the radical having only two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08F236/04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the radical having only two carbon-to-carbon double bonds conjugated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9/00Coated paper; Coating material
    • D21H19/10Coatings without pigments
    • D21H19/14Coatings without pigments applied in a form other than the aqueous solution defined in group D21H19/12
    • D21H19/20Coatings without pigments applied in a form other than the aqueous solution defined in group D21H19/12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isation Methods In General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Pap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착강도, 내수성, 잉크수용도 및 시트광택을 비롯한, 물리적 특성이 양호하고 이들 특성이 서로 조화를 이루고 있는 코팅지를 제공할 수 있는 종이코팅 조성물 중에서 결합제로서 유용한 공중합체 라텍스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중합체 라텍스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특정의 연쇄이동제를 사용하여 유화 중합반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라텍스의 제조 방법 및 이들 연쇄이동제를 첨가하는 특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물성(접착 강도, 내수성, 잉크 수용성, 백지광택(白紙光澤) 등)이 잘 조화된 도공지(塗工紙:coated paper)를 제공할 수 있는 종이 코팅용 조성물 중의 바인더로서 유용하고, 나아가서는 카페트용 백킹제 또는 접착제로 사용할 수 있는 공중합체 라텍스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도공지에 대한 수요가 급속히 증가함에 따라 종이 코팅 시의 처리 속도가 증가하였으며, 인쇄물의 생산량 증가는 인쇄 속도의 고속화를 촉진하였다. 특히, 오프셋 인쇄에 있어서, 이러한 경향이 더욱 뚜렷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종이 코팅용 조성물의 한성분인 바인더로서 사용되는 공중합체 라텍스는 다음과 같은 특성들을 지녀야 한다.
첫째, 양호한 접착 강도를 제공해야 한다. 접착 강도가 낮으면, 인쇄단계 중 도공지 표면에 부과되는 기계적인 힘으로 인해 안료가 떨어져 나가고 코팅 층이 바탕 종이로부터 박리된다. 인쇄 속도가 빨라지고 중첩 인쇄 횟수가 많아질수록, 종이 표면의 파손은 더욱 심각해진다. 따라서, 안료 입자 상호간의 접착 성능 및 안료 코팅 층과 바탕 종이 간의 접착성을 탁월하게 하는 바인더가 요구된다.
둘째, 내수성이 우수해야 한다. 특히, “가습수(damping water)”를 사용하는 오프셋 인쇄 시의 도공지 표면은 습한 상태에서 인쇄하는 경우에 부과되는 기계적인 힘에 대한 내성, 다시 말하면 내수성을 지녀야 한다.
또한, 인쇄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종래 바인더에 비해 잉크 수용도가 훨씬 우수해야 한다.
또한, 도공지는 상기 특성들 뿐 아니라 백지 광택과 같은 광학적 특성도 지녀야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공지는 접착 강도, 내수성, 잉크 수용도 및 백지 광택과 같은 특성을 지녀야 하나, 종래의 도공지는 이들 특성들이 높은 수준으로 균형을 이루고 있지 않았다. 이는 접착 강도, 내수성, 잉크 수용도 및 백지 광택이 서로 상반된 관계에 있기 때문이다.
내수성은, 바인더로서 사용되는 중합체 라텍스의 겔 함량을 비교적 낮게 조절함으로써 개선시킬 수 있음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겔 함량을 감소시키면 접착 강도 및 잉크 수용도가 감소하게 되며, 겔 함량을 더욱 감소시키면 내수성도 감소하게 된다. 잉크 수용도 및 백지 광택은, 중합체 라텍스의 입자 크기를 증가시키거나 또는 유리 전이 온도를 상승시킴으로써 개선시킬 수 있음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방법에 따르면, 접착 강도와 내수성이 모두 감소하여 곤란한 문제가 야기된다.
본 발명자들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고려하여 강도 높은 연구를 거듭한 결과, 공역 디엔 단량체,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 및 에틸렌계 불포화 카르복실산 단량체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의 유화 중합반응에 있어서, 중합반응의 제1단계에서는 친수성 연쇄이동제를 사용하고 중합반응의 제2단계(및 후속 단계(들))에서는 소수성 연쇄이동제를 사용하는 경우, 접착 강도, 내수성, 잉크 수용도, 백지 광택 및 기타 특성들이 잘 조화된 도공지를 제공할 수 있는 종이 코팅용 조성물에 사용 가능한 공중합체 라텍스가 얻어진다는 것을 밝혀내었다. 이러한 사실들을 토대로 더욱 연구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공역 디엔 단량체(1), 하나 이상의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2) 및 하나 이상의 에틸렌계 불포화 카르복실산 단량체(3)을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을 유화 중합시킴으로써 공중합체 라텍스를 제조하는 하기 (a) 및 (b)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a) 상기 단량체 혼합물 중 일부를 친수성 연쇄이동제의 존재 하에 유화 중합시킴으로써 공중합체 라텍스를 생성시키는 단계, 및
(b) 상기 공중합체 라텍스와 소수성 연쇄이동제의 존재 하에 상기 단량체 혼합물의 나머지를 유화 중합시키는 단계.
본 발명의 수행에 사용되는 공역 디엔 단량체(1)은 라텍스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들로서, 예를 들면 1,3-부타디엔, 이소프렌 및 2-클로로-1,3-부타디엔을 들 수 있다. 이들 단량체(1)는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이들 중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 1,3-부타디엔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단량체(1)은 탄성과 막의 경도가 적절한 수준인 중합체 생성물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된다. 단량체(1)은 총 단량체 혼합물의 약 10 중량% 내지 약 80 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20 중량% 내지 약 60 중량5의 분량으로 사용된다. 그 사용량이 10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도공지의 접착 강도가 불충분할 수 있다. 역으로, 80 중량%를 이상으로 사용한 경우에는, 내수성 및 접착 강도가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행에 사용되는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2)로는, 특히 알케닐 방향족 화합물, 예를 들면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비닐톨루엔 및 p-메틸스티렌; 아크릴 또는 메타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화합물, 예를 들면 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부틸 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에틸렌계 불포화 카르복신산 아미드 화합물인 아크릴 아미드 또는 메타크릴아미드 화합물, 예를 들면 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아미드, N,N-디메틸아크릴아미드 및 N-메틸올아크릴아미드; 카르복실산 비닐 에스테르, 예를 들면 비닐 아세테이트; 시아노비닐 화합물, 예를 들면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및 α-클로로아크릴로니트릴; 에틸렌계 불포화 아민 화합물, 예를 들면 메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디부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아미드, 디메틸아미노프로필(메트)아크릴아미드, 2-비닐피리딘 및 4-비닐피리딘; 및 본 명세서에 후술되어 있는 단량체(3)을 제외한 기타의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를 들 수 있다. 그러한 단량체는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 알케닐 방향족 화합물(예, 스티렌), 알킬 에스테르 화합물(예,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시아노비닐 화합물(예, 아크릴로니트릴)이 특히 바람직하다.
단량체(2)의 사용량은 총 단량체 혼합물의 약 20 중량% 내지 약 90 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40중량% 내지 약 80중량%이다. 이 양이 지나치게 적으면, 도공지 제품의 내수성이 불량해질 수 있다. 역으로, 과량을 사용하면, 경화도가 너무 높아져 접착 강도가 감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행에 사용되는 에틸렌계 불포화 카르복실산 단량체(3)로는, 구체적으로 모노카르복실산, 예를 들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및 크로톤산; 디카르복실산, 예를 들면 말레산, 푸마르산 및 이타콘산 및 그 무수물; 및 반에스테르, 예를 들면 메틸 말레이트 및 메틸 이타코네이트를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단량체(3)의 사용량은 총 단량체 혼합물을 기준으로 약 0.2 중량% 내지 약 12 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0.5 중량% 내지 약 8 중량%이다. 이보다 작은 양을 사용하면, 종이 코팅용 조성물의 기계적 안정성 및 도공지의 접착 강도가 불충분할 수 있다. 과량으로 사용하면, 공중합체 라텍스 생성물의 점도가 지나치게 커져서 실제 사용에 적합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친수성 연쇄이동제, 특히 20℃ 물 중에서의 용해도가 0.006 몰/ℓ이상으로, 본 발명의 수행에 사용될 수 있는 친수성 연쇄이동제(이하에서는 “고용해성 연쇄이동제”로도 칭함)로는 이와 같은 용해도를 지닌 어떤 것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탄소 원자수가 4 미만인 알킬메르캅탄(예, 에틸메르캅탄 및 n-부틸메르캅탄); 메르캅토카르복실산(예, 2-메르캅토프로피온산, 3-메르캅토프로피온산 및 메르캅토아세트산) 또는 그것의 염(예, 암모늄 메르캅토아세테이트); 메르캅토디카르복실산(예, 메르캅토숙신산) 또는 그것의 염(예, 메르캅토디카르복실산 염); 히드록실 함유 메르캅탄(예, 2-메르캅토에탄올 및 3-메르캅토-1,2-프로판디올); 아미노 함유 메르캅탄(예, 2-메르캅토에틸아민); 카르복실 함유 모노설파이드(예, 티오디글리콜산 및 3,3′-티오디프로피온산) 또는 그것의 염; 히드록실 함유 모노설파이드(예, β-티오디글리콜); 아미노 함유 모노설파이드(예, 티오디에틸아민); 카르복실 함유 디설파이드(예, 디티오디글리콜산, 2,2′-디티오디프로피온산, 3,3′-디티오디프로피온산 및 4,4′-디티오디부티르산) 또는 그것의 염; 모노설파이드 및 디설파이드산 무수물(예, 티오디글리콜산 무수물); 카르복실 및 아미노 함유 모노설파이드 및 디설파이드(예, D-시스틴, L-시스틴 또는 DL-시스틴); 히드록실 함유 할로겐화 탄화수소(예, 클로로메탄올, 2-클로로메탄올, 1-클로로-2-프로판올, 2- 또는 3-클로로-n-프로판올, 2-, 3- 또는 4-클로로-n-부탄올 및클로로펜탄올); 카르복실 함유 할로겐화 탄화수소(예, 모노클로로아세트산, 디클로로아세트산, 트리클로로아세트산, 클로로디플루오로아세트산, 2-클로로프로피온산, 3-클로로프로피온산, 2-브로모프로피온산, 3-브로모프로피온산, 2-브로모펜탄산, 클로로숙신산, 클로로푸마르산, 클로로말레산 및 클로로말론산) 또는 그것의 염; 및 할로겐화 탄화수소산 무수물(예, 클로로말레산 무수물)이 있다.
본 발명의 수행에 사용할 수 있는 고용해성 연쇄이동제 중, 하나 이상의 카르복실기를 가진 것들을 중합반응 안정성이 양호하여 미소한 응고 물질을 거의 형성시키지 않기 때문에, 본 발명의 수행 시에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중합반응 단계(a) 및 모든 중합반응 단계들(b)에서는, 상기 고용해성 연쇄이동제를 총 단량체 혼합물 100 중량부당 약 0.005 중량부 내지 약 8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약 0.01 중량부 내지 약 5 중량부의 분량으로 사용한다. 0.005 중량부 미만의 분량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접착 강도가 저하될 수 있다. 이들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소수성 연쇄이동제, 구체적으로 20℃ 물 중에서의 용해도가 0.006 몰/ℓ미만인 것(이하에서는 “저용해성 연쇄이동제”로도 칭함)으로서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는 소수성 연쇄이동제로는 전술한 용해도를 가지면서 유화 중합반응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연쇄이동제 모두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탄소 원자수가 5 이상인 알킬메르캅탄, 예를 들면 헥실메르캅탄, 옥틸메르캅탄, n-도에실메르캅탄, t-도데실메르캅탄, n-헥사데실메르캅탄, t-헥사데실메르캅탄, n-테트라데실메르캅탄 및 t-테트라데실메르캅탄; 크산토겐 디설파이드(예, 디메틸크산토겐 디설파이드, 디에틸크산토겐 디설파이드 및 디이소프로필크산토겐 디설파이드); 티우람 디설파이드(예, 테트라메틸티우람 디설파이드, 테트라에틸티우람 디설파이드 및 테트라부틸티우람 디설파이드); 할로겐화 탄화수소(예, 사염화탄소, 사브롬화탄소 및 브롬화에틸렌), 2-에틸헥실 티오글리콜레이트, α-메틸스티렌 이량체, 테르피놀렌, α-테르피넨, γ-테르피넨, 디펜텐 등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기 일반식 (Ⅰ)의 카르복실산 메르캅토알킬 에스테르 또한 저용해성 연쇄이동제로서 사용된다 :
상기 식 중, R1은 1가의 탄화수소 잔기이고, R2는 2가의 탄화수소 잔기이다.
R1으로 표시된 1가의 탄화수소 잔기로는, 탄소 원자수가 1 내지 24,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2인 알킬기, 예를 들면 메틸, 에틸, 프로필, 부틸 및 옥틸; 탄소 원자수가 3 내지 12, 바람직하게는 4 내지 8인 시클로알킬기, 예를 들면 시클로부틸,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및 디메틸시클로헥실; 탄소 원자수가 2 내지 4,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 또는 12 내지 24인 알케닐기, 예를 들면 비닐, 알릴 및 2-부테닐; 탄소 원자수가 2 내지 8, 바람직하게는 2 내지 24인 알키닐기, 예를 들면 에티닐, 프로피닐 및 부티닐; 탄소 원자수가 6 내지 12, 바람직하게는 6 내지 10인 아릴기, 예를 들면 페닐, 톨릴 및 나프틸; 및 탄소 원수가 6 내지 12, 바람직하게는 7 내지 11인 아르알킬기, 예를 들면 벤질, 페닐에틸 및 나프틸메틸이 있다. R2로 표시된 2가의 탄화수소 잔기로는, 앞에서 R1으로 표시한 전술한 1가의 탄화수소 잔기에서 임의 선택된 수소 원자를 제거함으로써 유도될 수 있는 2가의 탄화수소 잔기를 들 수 있다. R1및 R2로 표시된 탄화수소 잔기는, 할로겐, 탄소 원자수 1 내지 8의 알콕시, 탄소 원자수 1 내지 8의 알킬 및 이와 유사한 소수성 치환체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체를 임의로 함유할 수 있다.
전술한 할로겐으로는 불소, 염소, 브롬 등이 있고, 전술한 알콕시로는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부톡시 등이 있으며, 전술한 알킬로는 메틸, 에틸, 프로필 등이 있다.
전술한 일반식 (Ⅰ)의 저용해성 연쇄이동제의 보편적인 예로는, 2-메르캅토에틸 프로피오네이트, 4-메르캅토부틸 프로피오네이트, 4-메르캅토펜틸 프로피오네이트, 5-메르캅토펜틸 프로피오네이트, 6-메르캅토헥실 프로피오네이트, 8-메르캅토옥틸 프로피오네이트, 2-메르캅토에틸 부타노에이트, 6-메르캅토헥실 부타노에이트, 8-메르캅토옥틸 부타노에이트, 메르캅토메틸 펜타노에이트, 2-메르캅토에틸 펜타노에이트, 5-메르캅토헥실 펜타노에이트, 6-메르캅토헥실 펜타노에이트, 2-메르캅토에틸 헥사노에이트, 3-메르캅토프로필 헥사노에이트, 7-메르캅토헵틸 헥사노에이트, 8-메르캅토옥틸 헥사노에이트, 12-메르캅토도데실 헥사노에이트, 2-메르캅토에틸 헵타노에이트, 4-메르캅토부틸 헵타노에이트, 5-메르캅토펜틸 헵타노에이트, 6-메르캅토헥실 헵타노에이트, 7-메르캅토헵틸 헵타노에이트, 10-메르캅토데실 헵타노에이트, 메르캅토메틸 옥타노에이트, 2-메르캅토에틸 옥타노에이트, 4-메르캅토부틸 옥타노에이트, 6-메르캅토헥실 옥타노에이트, 8-메르캅토옥틸 옥타노에이트, 10-메르캅토데실 옥타노에이트, 12-메르캅토도데실 옥타노에이트 및 16-메르캅토헥사데실 옥타노에이트를 들 수 있다.
또한, 저용해성 연쇄이동제로서 메르캅토카르복실산 알콕시알킬 에스테르, 더욱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하기 일반식 (Ⅱ)의 화합물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식 중, R3는 2가의 탄화수소 잔기이고, R4는 알킬이며, OR5는 알콕시이다.
R3로 표시된 2가의 탄화수소 잔기로는 상기 일반식(Ⅰ)에 대해 앞에서 기술한 2가의 탄화수소 잔기를 포함한다. R4로 표시된 알킬로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18,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2의 알킬기, 예를 들면 메틸, 에틸, 프로필, 부틸, 펜틸, 헥실 및 옥틸이 있다. OR5로 표시된 알콕시로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12,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의 알콕시기, 예를 들면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이소프로폭시, 부톡시, 펜틸옥시 및 헥실옥시가 있다.
R3로 표시된 2가의 탄화수소 잔기, R4로 표시된 알킬 및 OR5로 표시된 알콕시는 각각 할로겐, 탄소 원자수 1 내지 8의 알킬, 탄소 원자수 1 내지 8의 알콕시, 및 이와 유사한 소수성 치환체 중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치환체를 임의로 함유할 수 있다.
전술한 할로겐으로는 불소, 염소, 브롬 등이 있고, 전술한 알콕시로는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부톡시 등이 있으며, 전술한 알킬로는 메틸, 에틸, 프로필 등이 있다.
상기 일반식 (Ⅱ)의 연쇄이동제의 전형적인 예로는, 메르캅토아세트산 알콕시알킬 에스테르, 예를 들면 메톡시에틸 메르캅토아세테이트, 메톡시프로필 메르캅토아세테이트, 에톡시프로필 메르캅토아세테이트, 메톡시부틸 메르캅토아세테이트, 에톡시부틸 메르캅토아세테이트, 메톡시펜틸 메르캅토아세테이트, 에톡시펜틸 메르캅토아세테이트, 프로폭시펜틸 메르캅토아세테이트, 메톡시헥실 메르캅토아세테이트, 에톡시헥실 메르캅토아세테이트, 부톡시헥실 메르캅토아세테이트, 메톡시옥틸 메르캅토아세테이트 및 에톡시옥틸 메르캅토아세테이트; 메르캅토프로피온산 알콕시알킬 에스테르, 예를 들면 메톡시메틸 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메톡시에틸 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메톡시프로필 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메톡시부틸 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에톡시부틸 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메톡시펜틸 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에톡시펜틸 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메톡시헥실 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부톡시헥실 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메톡시옥틸 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에톡시옥틸 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및 헥실옥시옥틸 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메르캅토부탄산 알콕시알킬 에스테르, 예를 들면 메톡시메틸 메르캅토부타노에이트, 메톡시에틸 메르캅토부타노에이트, 에톡시프로필 메르캅토부타노에이트, 메톡시부틸 메르캅토부타노에이트, 에톡시부틸 메르캅토부타노에이트, 메톡시펜틸 메르캅토부타노에이트, 프로폭시헥실 메르캅토부타노에이트, 에톡시옥틸 메르캅토부타노에이트 및 메톡시데실 메르캅토부타노에이트; 메르캅토펜탄산 알콕시 알킬 에스테르, 예를 들면 메톡시에틸 메르캅토펜타노에이트, 에톡시부틸 메르캅토펜타노에이트, 에톡시헥실 메르캅토펜타노에이트, 프로폭시데실 메르캅토펜타노에이트 및 에톡시도데실 메르캅토펜타노에이트; 메르캅토헥산산 알콕시알킬 에스테르, 예를 들면 메톡시프로필 메르캅토헥사노에이트, 에톡시펜틸 메르캅토헥사노에이트 및 프로폭시헵틸 메르캅토헥사노에이트; 메르캅토헵탄산 알콕시알킬 에스테르, 예를 들면 메톡시부틸 메르캅토헵타노에이트, 에톡시헥실 메르캅토헵타노에이트 및 메톡시노닐 메르캅토헵타노에이트; 및 메르캅토옥탄산 알콕시알킬 에스테르, 예를 들면 에톡시에틸 메르캅토옥타노에이트, 메톡시프로필 메르캅토옥타노에이트, 메톡시부틸 메르캅토옥타노에이트, 에톡시헥실 메르캅토옥타노에이트 및 헥실옥시옥틸 메르캅토옥타노에이트를 들 수 있다.
추가로, 저용해성 연쇄이동제로서 디알케닐 (디)설파이드가 사용된다. 이같은 디알케닐 (디)설파이드는 호모 또는 헤테로 형태의 어떠한 (디)설파이드도 가능하나, 설파이드 또는 디설파이드의 양 결합손 각각이 그 위치에서 불포화 결합을 갖는 알케닐기에 결합되는 것을 전제로 한다. 보편적인 예로는, 디비닐 설파이드, 디비닐 디설파이드, 디알릴 설파이드, 디알릴 디설파이드, 디이소프로페닐 설파이드, 디이소프로페닐 디설파이드, 디부티닐 설파이드, 디부티닐 디설파이드, 알릴부티닐 설파이드 및 알릴부티닐 디설파이드가 있다. 상기 알케닐 부위는 소수성기로 치환될 수 있다. 소수성기의 예로는 할로겐 원자(예, 불소, 염소 및 브롬) 탄소 원자수 1 내지 8의 알콕시기(예, 메톡시, 에톡시 및 부톡시), 탄소 원자수 1 내지 8의 알킬기(예, 메틸, 에틸 및 프로필)가 있다. 이들을 단독으로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한다. 이들 중, 탄소 원자수 12 내지 16의 알킬메르캅탄, 예를 들면 n-도데실메르캅탄, t-도데실메르캅탄, n-테트라데실메르캅탄, t-테트라데실메르캅탄, n-헥사데실메르캅탄, t-헥사데실메르캅탄; 크산토겐 디설파이드, 예를 들면 디메틸크산토겐 디설파이드, 디에틸크산토겐 디설파이드; 티우람 디설파이드, 예를 들면 테트라메틸티우람 디설파이드, 테트라에틸티우람 디설파이드; 사염화탄소; 메르캅토카르복실산 알킬 에스테르, 예를 들면 2-에틸헥실 티오글리콜레이트; α-메틸스티렌 이량체; 테르피놀렌; 카르복실산 메르캅토알킬 에스테르, 예를 들면 2-메르캅토에틸 옥사노에이트, 2-메르캅토에틸 헥사노에이트; 메르캅토 카르복실산 알콕시 알킬 에스테르, 예를 들면 메톡시부틸 메르캅토아세테이트, 메톡시부틸 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디알케닐 (디)설파이드, 예를 들면 디알릴 (디)설파이드 등이 바람직하다.
모든 중합반응 단계 (a) 및 (b)에서, 저용해성 연쇄이동제는 총 연쇄이동제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99.5 중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약 98 중량% 미만의 분량으로 사용된다.
저용해성 연쇄이동제를 99.5 중량% 또는 그 이상의 분량으로 사용하면, 접착 강도, 내수성, 잉크 수용성, 백지 광택 및 기타 물리적 특성이 불량한 코팅지가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공중합체 라텍스는, 종래의 유화 중합방법, 즉 단량체 혼합물, 중합 개시제, 유화제 및 연쇄이동제(들)를 수성 매체(예, 물)에 첨가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화 중합법에 사용되는 중합 개시제로는 무기 과황산염, 예를 들면 과황산칼륨, 과황산나트륨 및 과황산암모늄; 유기 과산화물, 예를 들면 과산화수소 큐멘, 과산화벤조일 및 과산화이소프로필벤젠; 및 아조 개시제, 예를 들면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이 있으나, 이들에 국한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 과황산칼륨, 과황산나트륨 및 과황산암모늄과 같은 과황산염이 중합 반응이 안정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중합 개시제는 소위 산화 환원계 중합 개시제로서도 사용될 수 있는데, 아황산수소나트륨 또는 황산제일철과 같은 환원제가 함께 사용된다.
본 발명을 수행함에 있어서, 중합 개시제는 총 단량체 혼합물 100 중량부당 약 0.1 중량부 내지 약 5중량부의 분량으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약 0.2 중량부 내지 약 2 중량부의 분량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화 중합에 사용되는 유화제로는, 구체적으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예를 들면 나트륨 도데실벤젠설포네이트, 나트륨 라우릴 설페이트, 나트륨 도데실디페닐 에테르 디설포네이트, 나트륨 디알킬 설포숙시네이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예를 들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아릴 에테르; 및 양쪽성 계면활성제, 예를 들면 라우릴 베타인 염 및 스테아릴베타인 염과 같은 알킬베타인 염, 및 라우릴-β-알라닌염, 라우릴디(아미노에틸)글리신 염 및 옥틸디(아미노에틸)글리신 염과 같은 아미노산형 계면활성제가 있으나, 특정의 화학종으로 국한하지 않는다. 이들을 단독으로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유화제 중에서, 나트륨 도데실벤젠설포네이트, 나트륨 도데실디페닐 에테르 디설포네이 등이 특히 바람직하다.
유화제는 통상적으로 총 단량체 혼합물 100 중량부당 약 0.05 중량부 내지 약 2.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약 0.1 중량부 내지 약 1.5 중량부로 사용된다. 유화제를 2.5 중량부를 초과하는 분량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내수성이 불량한 도공지가 생성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종이 코팅용 조성물 중에 기포를 격렬하게 발생시킬 수 있다.
추가로, 필요에 따라 나트륨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테이트와 같은 킬레이트제, 나트륨 포름알데히드설폭실레이트와 같은 분산제 및 무기 염을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공중합체 라텍스를 제조하는 방법은, 단량체 혼합물을 2 이상의 단계를 통해 중합시키는 다단계식 중합 방법이다. 즉, (a) 먼저, 전술한 단량체 혼합물의 일부, 구체적으로 상기 단량체 혼합물의 0.5∼60 중량부를 고용해성 연쇄이동제, 구체적으로는 20℃ 물 중에서의 용해도가 0.006 몰/ℓ이상인 연쇄이동제의 존재 하에 유화 중합시킴으로써 공중합체 라텍스를 생성시키는 단계, 및 (b) 이어서, 상기 단량체 혼합물의 나머지를 상기 공중합체 라텍스 및 저용해성 연쇄이동제, 구체적으로 20℃ 물 중에서의 용해도가 0.006 몰/ℓ미만인 연쇄이동제의 존재 하에 유화 중합시키는 단계로 구성된다.
필요에 따라, 저용해성 연쇄이동제를 중합반응 단계(a)에 병용할 수 있으며, 고용해성 연쇄이동제를 중합 단계 (b)에 병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고용해성 연쇄이동제는 중합반응 단계(a)에 사용된 연쇄이동제 전체 중량의 약 20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25 중량% 이상이어야 하며, 저용해성 연쇄이동제는 중합반응 단계(b)에사용된 연쇄이동제 전체 중량의 약 40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50 중량% 이상이어야 한다.
각 단계에서, 단량체 혼합물과 연쇄이동제 혼합물은 회분식 첨가 방법으로 또는 연속식 첨가 방법으로 또는 두가지 방법을 조합하여 첨가할 수 있다. 연속식 첨가 방법으로 첨가하는 경우, 단량체 혼합물 및/또는 연쇄이동제 혼합물의 조성 및 함량은 전술한 각각의 범위 내에서 계속적으로 또는 간헐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공중합체 라텍스 제조에 있어서 전환율은 약 90 중량% 이상이 바람직하며, 약 95 중량%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앞에서 각각 기술한 카르복실산 메르캅토알킬 에스테르, 메르캅토카르복실산 알콕시알킬 에스테르 및 디알킬(디)설파이드와 같은 저용해성 연쇄이동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술한 다단계 중합 방법 대신 일단계 중합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들 연쇄이동제는 총 단량체 혼합물 100 중량부당 약 0.01∼1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약 0.1∼5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된다. 이 연쇄이동제를 0.1 중량부 미만의 양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접착 강도 및/또는 내수성이 불량해지며, 10 중량부를 초과하는 양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접착 강도가 저하될 수 있다. 이들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한다.
본 발명의 수행에 있어서, 상기 연쇄이동제는 필요에 따라 기타 공지된 임의의 연쇄이동제와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함께 사용 가능한 연쇄이동제는 유화 중합반응에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공지된 연쇄이동제를 들 수 있으며, 그 구체적인 예로는 메르캅탄, 예를 들면 옥틸메르캅탄, n-도데실메르캅탄, t-도데실메르캅탄, n-헥사데실메르캅탄, t-헥사데실메르캅탄, n-테트라데실메르캅탄 및 t-테트라데실메르캅탄; 크산토겐 디설파이드, 예를 들면 디메틸크산토겐 디설파이드, 디에틸크산토겐 디설파이드 및 디이소프로필크산토겐 디설파이드; 티우람 디설파이드, 예를 들면 테트라메틸티우람 디설파이드, 테트라에틸티우람 디설파이드 및 테트라부틸티우람 디설파이드; 할로겐화 탄화수소, 예를 들면, 사염화탄소, 사브롬화탄소 및 브롬화에틸렌; 메르캅토카르복실산 알킬에스테르, 예를 들면 에틸헥실 메르캅토아세테이트, 옥틸 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및 트리데실 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및 추가로 알릴 알코올, α-메틸스티렌 이량체, 테르피놀렌, α-테르피넨, γ-테르피넨, 디펜텐 및 아니솔이 있다. 이들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 메르캅탄, 크산토겐 디설파이드, 티우람 디설파이드, 사염화탄소, 메르캅토카르복실산 알킬에스테르, α-메틸스티렌 이량체, 테르피놀렌 등이 바람직하다.
이같은 공지된 연쇄이동제는 전체 연쇄이동제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95 중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약 90 중량% 미만의 분량으로 사용된다.
이들을 95 중량% 이상의 분량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접착 강도, 내수성, 잉크 수용성, 백지 광택 및 기타 물리적 특성이 불량한 도공지가 제조될 수 있다.
공중합체 라텍스는 전술한 방법과 유사한 유화 중합방법을 수행함으로써, 즉 단량체 혼합물, 중합 개시제, 유화제 및 연쇄이동제(들)를 수성 매체(예, 물)에 첨가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공중합체 라텍스는 종이 코팅용 조성물 내의 바인더로서, 그리고 카페트 백킹 조성물, 페인트 조성물, 산업용 및 가정용 접착제 조성물 등의 각종 접착제 성분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들은, 특히 종이 코팅용 조성물 내의 바인더로 사용되는 경우에 유리하다.
본 발명의 공중합체 라텍스를 사용하여 종이 코팅용 조성물을 제조할 경우에는 무기 안료, 예를 들면 카올린, 점토, 이산화티탄, 탄산칼슘, 수산화알루미늄 및 새틴 화이트; 천연 바인더, 예를 들면 카제인, 전분 및 단백질; 및/또는 합성 라텍스, 예를 들면 폴리비닐 알코올 및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에멀젼을 자체 공지된 방법에 따라 각각 적당량으로 첨가한다.
필요에 따라, 분산제, 소포제, 균염제, 방부제, 불용화제 및 이형제와 같은 공지된 성분을 부가로 첨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공중합체 라텍스를 함유한 종이 코팅용 조성물은 자체 공지된 방법, 예를 들면 에어 나이프 코팅기, 블레이드 코팅기, 롤 코팅기 또는 도포기를 사용하여 도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공중합체 라텍스는 접착 강도, 내수성, 잉크 수용성 및 백지 광택과 같은 물리적 특성이 탁월하고 이들이 잘 조화를 이루므로 도공지, 구체적으로 오프셋 회전 인쇄용 도공지를 제조하기 위한 종이 코팅용 조성물 내의 바인더로서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카페트 백킹제, 페인트, 산업용 및/또는 가정용 접착제 등과 같은 각종 용도에 접착제 성분으로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겠다. 실시예에서 “%”및 “부”는 모두 중량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실시예 1]
질소로 퍼즈시킨 5ℓ들이 오토클레이브에 1,3-부타디엔 5 중량부, 스티렌 6 중량부,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2 중량부, 푸마르산 2 중량부, 과황산칼륨 0.5 중량부, 물 100 중량부, 나트륨 알킬벤젠설포네이트 0.1 중량부 및 2-메르캅토프로피온산 0.05 중량부를 채운 후, 교반하면서 70℃에서 반응을 수행하였다. 2 시간 후, 나머지 단량체, 즉 1,3-부타디엔 30 중량부, 스티렌 45 중량부,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8 중량부, 아크릴산 1 중량부, 메타크릴산 1 중량부, 2-메르캅토프로피온산 0.2 중량부 및 t-도데실메르캅탄 0.2 중량부를 나트륨 알킬벤젠설포네이트 0.5 중량부와 함께 첨가하였다. 총 15 시간동안 반응시켰을 때, (단량체 100 중량부당) 97%가 전환하였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30℃로 냉각시킨 후, 수산화 나트륨을 사용하여 pH를 7.5 ±0.2로 조절하였다. 여기에 증기를 블로우잉하여 상기 혼합물로부터 미반응 단량체를 제거했다. 추가로, 이 라텍스를 50 중량%의 고체 함량으로 농축시켜, 소정의 라텍스를 얻었다.
이렇게 해서 얻은 라텍스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조성의 종이 코팅용 조성물을 제조했다.
Ultra White 90(엥겔하드사 제품, 1급 카올린) 70 중량부
Carbital 90(ECC 제품, 중질 탄산칼슘) 30 중량부
Aron T-40(동아 합성 화학 공업주식회사 제품,
나트륨 폴리아크릴레이트) 0.1 중량부
공중합체 라텍스 14 중량부
변성 전분 MS-4600(일본 식품 화공사 제품) 3 중량부
물 조성물의 총 고형분 함량을 60 중량%로 만드는 데 필요한 분량
이 종이 코팅용 조성물을, 도포량 15.0 ±0.5g/㎥으로 평량 64g/㎡의 상질지(上質紙)의 양면에 도포한 후 열풍 건조기(120℃)에서 30 초간 건조시켰다. 이렇게 하여 얻은 도공지를 23℃ 및 60% RH에서 24 시간동안 방치한 후, 100kg/cm의 선압, 롤 온도 70℃에서 수퍼캘린더링 처리를 2회 수행하였다. 얻어진 도공지에 대하여 몇가지 전형적인 물리적 특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9에 수록하였다.
[실시예 2 내지 21]
표 1 내지 3 및 표 5 내지 7에 각각 명시한 단량체 조성과 연쇄이동제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유화중합을 통해 라텍스를 제조하고 이 라텍스로 종이 코팅용 조성물을 제조한 후, 종이에 도포하여 도공지를 얻었다. 얻어진 도공지의 전형적인 물리적 특성들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9 내지 11에 수록하였다.
[비교예 1 내지 8]
표 4와 표 8에 각각 명시한 단량체 조성과 연쇄이동제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유화중합을 통해 라텍스를 제조하고 이 라텍스로부터 종이 코팅용 조성물을 제조한 후, 이를 종이에 도포함으로써 도공지를 얻었다. 얻어진 도공지의 전형적인 물리적 특성들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2에 수록하였다.
표 9 내지 12에 기재된 물리적 특성은 이하의 방법을 통해 측정 또는 평가한 것이다.
(1) 겔 함량
제조된 공중합체 라텍스를 유리 주형 내로 유입시킴으로써 두께가 0.3mm인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 필름을 2 내지 3㎟의 정사각형으로 절단한 후의 중량은 정확히 0.4g이었다. 측량한 시료를 톨루엔 100㎖중에 함침시킨 후 이를 모두 항온조(30℃)에서 6 시간동안 진탕시키고, 100 메쉬의 와이어 게이지를 통해 여과하였다. 이것으로 고형분 함량을 구하고, 이 졸 고형분 함량으로부터 겔 함량을 계산하였다.
(2) 접착 강도(드라이 픽(dry pick) 내성)
RI 시험기(명제작소 제품)를 사용하여 점착(tack) 번호 10의 검정색 잉크로 수회 반복 인쇄하였다. 인쇄면의 픽(pick)을 육안으로 판단하였다. 이는 5점 단위로 평가되는 것으로서 수치가 높을수록 접착 강도가 우수한 것이다.
(3) 내수성(웨트 픽(wet pick) 내성)
모르톤 롤을 사용하여 테스트 조각의 표면을 물로 적신 후, RI 시험기를 사용하여 곧바로 점착 번호 12의 붉은색 잉크로 인쇄하였다. 인쇄 면의 픽을 육안으로 판단하였다. 이는 5점 단위로 평가되는 것으로서 수치가 높을수록 내수성이 우수한 것이다.
(4) 잉크 수용성
점착가가 낮은 잉크를 사용함으로써 픽을 방지한 것을 제외하고는, 내수성 평가와 거의 동일한 절차를 따랐다. 잉크의 전이 상태를 육안으로 비교 판단하였다. 이는 5점 단위로 평가되는 것으로서 수치가 높을수록 잉크 수용성이 우수한 것이다.
(5) 백지 광택
도공지의 광택도는 무라카미 광택도 측정계를 사용하여 75°∼75°에서 측정하였다.
(6) 블리스터(blister) 저항성
웨브 오프셋 인쇄용 잉크로 양면을 빈틈 없이 인쇄하되, 블리스터가 발생할 때의 온도를 블리스터 시험기(구마가이 리키 제품)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발명의 공중합체 라텍스를 사용하여 제조한 도공지는 접착 강도, 내수성, 잉크 수용성 및 백지 광택 면에서 우수하며 균형있는 물리적 특성을 지니고, 도공지로서의 종합적인 물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 명백히 알 수 있다.
[표 1]
[표 2]
[표 3]
[표 4]
[표 5]
[표 6]
[표 7]
[표 8]
[표 9]
[표 10]
[표 11]
[표 12]
[실시예 22]
질소로 퍼즈시킨 5ℓ들이 오토클레이브에 1,3-부타디엔 5 중량부, 스티렌 6 중량부,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2 중량부, 푸마르산 2 중량부, 과황산칼륨 0.5 중량부, 물 100 중량부, 나트륨 알킬벤젠설포네이트 0.1 중량부 , β-티오디글리콜 0.05 중량부 및 t-도데실메르캅탄 0.1 중량부를 채운 후, 교반하면서 70℃에서 반응을 수행하였다. 2 시간 후, 나머지 단량체, 즉 1,3-부타디엔 30 중량부, 스티렌 45 중량부,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8 중량부, 아크릴산 1 중량부, 메타크릴산 1 중량부, β-티오디글리콜 0.2 중량부, 그리고 t-도데실메르캅탄 0.4 중량부를 나트륨 알킬벤젠설포네이트 0.5 중량부와 함께 첨가하였다. 총 15 시간동안 반응시켰을 때, (단량체 100 중량부당) 97%가 전환하였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30℃로 냉각시킨 후, 수산화 나트륨을 사용하여 pH를 7.5 ±0.2로 조절하였다. 여기에 증기를 블로우잉하여 상기 혼합물로부터 미반응 단량체를 제거했다. 추가로, 이 라텍스를 50 중량%의 고체 함량으로 농축시켜, 소정의 라텍스를 얻었다.
이렇게 해서 얻은 라텍스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조성의 종이 코팅용 조성물을 제조했다.
Ultra White 90(엥겔하드사 제품, 1급 카올린) 70 중량부
Carbital 90(ECC 제품, 중질 탄산칼슘) 30 중량부
Aron T-40(동아 합성 화학 공업주식회사 제품,
나트륨 폴리아크릴레이트) 0.1 중량부
공중합체 라텍스 14 중량부
변성 전분 MS-4600(일본 식품 화공사 제품) 3 중량부
물 조성물의 총 고형분 함량을 60 중량%로 만드는 데 필요한 분량
이 종이 코팅용 조성물을, 도포량 15.0 ±0.5g/㎥으로 평량 64g/㎡의 상질지(上質紙)의 양면에 도포한 후 열풍 건조기(120℃)에서 30 초간 건조시켰다. 이렇게 하여 얻은 도공지를 23℃ 및 60% RH에서 24 시간동안 방치한 후, 100kg/cm의 선압, 롤 온도 70℃에서 수퍼캘린더링 처리를 2회 수행하였다. 얻어진 도공지에 대하여 몇가지 전형적인 물리적 특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6에 수록하였다.
[실시예 23 내지 29]
표 13 내지 표 14에 각각 명시한 단량체 조성과 연쇄이동제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2와 동일한 방법으로 유화중합을 통해 라텍스를 제조하고 이 라텍스로 종이 코팅용 조성물을 제조한 후, 종이에 도포하여 도공지를 얻었다. 얻어진 도공지의 전형적인 물리적 특성들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6에 수록하였다.
[비교예 9 내지 13]
표 15에 각각 명시한 단량체 조성과 연쇄이동제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2와 동일한 방법으로 유화중합을 통해 라텍스를 제조하고 이 라텍스로부터 종이 코팅용 조성물을 제조한 후, 이를 종이에 도포함으로써 도공지를 얻었다. 얻어진 도공지의 전형적인 물리적 특성들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7에 수록하였다.
표 16 및 17에 기재된 물리적 특성은 전술한 방법으로 측정 또는 평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공중합체 라텍스를 사용하여 제조한 도공지는 접착 강도, 내수성, 잉크 수용성 및 백지 광택 면에서 우수하며 균형있는 물리적 특성을 지니고, 도공지로서의 종합적인 물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 명백히 알 수 있다.
[표 13]
[표 14]
[표 15]
[표 16]
[표 17]
[실시예 30]
질소로 퍼즈시킨 5ℓ들이 오토클레이브에 1,3-부타디엔 5 중량부, 스티렌 6 중량부,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2 중량부, 푸마르산 2 중량부, 과황산칼륨 0.5 중량부, 물 100 중량부, 나트륨 알킬벤젠설포네이트 0.1 중량부 , β-티오디글리콜 0.05 중량부 및 t-도데실메르캅탄 0.1 중량부를 채운 후, 교반하면서 70℃에서 반응을 수행하였다. 2 시간 후, 나머지 단량체, 즉 1,3-부타디엔 30 중량부, 스티렌 45 중량부,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8 중량부, 아크릴산 1 중량부, 메타크릴산 1 중량부, β-티오디글리콜 0.2 중량부, 그리고 t-도데실메르캅탄 0.4 중량부를 나트륨 알킬벤젠설포네이트 0.5 중량부와 함께 첨가하였다. 총 15 시간동안 반응시켰을 때, (단량체 100 중량부당) 97%가 전환하였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30℃로 냉각시킨 후, 수산화 나트륨을 사용하여 pH를 7.5 ±0.2로 조절하였다. 여기에 증기를 블로우잉하여 상기 혼합물로부터 미반응 단량체를 제거했다. 추가로, 이 라텍스를 50 중량%의 고체 함량으로 농축시켜, 소정의 라텍스를 얻었다.
이렇게 해서 얻은 라텍스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조성의 종이 코팅용 조성물을 제조했다:
Ultra White 90(엥겔하드사 제품, 1급 카올린) 70 중량부
Carbital 90(ECC 제품, 중질 탄산칼슘) 30 중량부
Aron T-40(동아 합성 화학 공업주식회사 제품,
나트륨 폴리아크릴레이트) 0.1 중량부
공중합체 라텍스 14 중량부
변성 전분 MS-4600(일본 식품 화공사 제품) 3 중량부
물 조성물의 총 고형분 함량을 60 중량%로 만드는 데 필요한 분량
이 종이 코팅용 조성물을, 도포량 15.0 ±0.5g/㎥으로 평량 64g/㎡의 상질지(上質紙)의 양면에 도포한 후 열풍 건조기(120℃)에서 30 초간 건조시켰다. 이렇게 하여 얻은 도공지를 23℃ 및 60% RH에서 24 시간동안 방치한 후, 100kg/cm의 선압, 롤 온도 70℃에서 수퍼캘린더링 처리를 2회 수행하였다. 얻어진 도공지에 대하여 몇가지 전형적인 물리적 특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0에 수록하였다.
[실시예 31 내지 44]
표 18 내지 표 19에 각각 명시한 단량체 조성과 연쇄이동제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0과 동일한 방법으로 유화중합을 통해 라텍스를 제조하고 이 라텍스로 종이 코팅용 조성물을 제조한 후, 종이에 도포하여 도공지를 얻었다. 얻어진 도공지의 전형적인 물리적 특성들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0 및 21에 수록하였다.
[비교예 14 내지 18]
표 19에 각각 명시한 단량체 조성과 연쇄이동제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0과 동일한 방법으로 유화중합을 통해 라텍스를 제조하고 이 라텍스로부터 종이 코팅용 조성물을 제조한 후, 이를 종이에 도포함으로써 도공지를 얻었다. 얻어진 도공지의 전형적인 물리적 특성들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1에 수록하였다.
표 20 및 21에 기재된 물리적 특성은 전술한 방법으로 측정 또는 평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공중합체 라텍스를 사용하여 제조한 도공지는 접착 강도, 내수성, 잉크 수용성 및 백지 광택 면에서 우수하며 균형있는 물리적 특성을 지니고, 도공지로서의 종합적인 물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 명백히 알 수 있다.
[표 18]
[표 19]
[표 20]
[표 21]
[실시예 45]
질소로 퍼즈시킨 5ℓ들이 오토클레이브에 1,3-부타디엔 5 중량부, 스티렌 6 중량부,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2 중량부, 푸마르산 2 중량부, 과황산칼륨 0.5 중량부, 물 100 중량부, 나트륨 알킬벤젠설포네이트 0.1 중량부 및 메톡시부틸메르캅토아세테이트 0.2 중량부를 채운 후, 교반하면서 70℃에서 반응을 수행하였다. 2 시간 후, 나머지 단량체, 즉 1,3-부타디엔 30 중량부, 스티렌 45 중량부,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8 중량부, 아크릴산 1 중량부, 메타크릴산 1 중량부 및 메톡시부틸 메르캅토아세테이트 0.5 중량부를 나트륨 알킬벤젠설포네이트 0.5 중량부와 함께 첨가하였다. 총 15 시간동안 반응시켰을 때, (단량체 100 중량부당) 97%가 전환하였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30℃로 냉각시킨 후, 수산화 나트륨을 사용하여 pH를 7.5 ±0.2로 조절하였다. 여기에 증기를 블로우잉하여 상기 혼합물로부터 미반응 단량체를 제거했다. 추가로, 이 라텍스를 50 중량%의 고체 함량으로 농축시켜, 소정의 라텍스를 얻었다.
이렇게 해서 얻은 라텍스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조성의 종이 코팅용 조성물을 제조했다.
Ultra White 90(엥겔하드사 제품, 1급 카올린) 70 중량부
Carbital 90(ECC 제품, 중질 탄산칼슘) 30 중량부
Aron T-40(동아 합성 화학 공업주식회사 제품,
나트륨 폴리아크릴레이트) 0.1 중량부
공중합체 라텍스 14 중량부
변성 전분 MS-4600(일본 식품 화공사 제품) 3 중량부
물 조성물의 총 고형분 함량을 60 중량%로 만드는 데 필요한 분량
이 종이 코팅용 조성물을, 도포량 15.0 ±0.5g/㎥으로 평량 64g/㎡의 상질지(上質紙)의 양면에 도포한 후 열풍 건조기(120℃)에서 30 초간 건조시켰다. 이렇게 하여 얻은 도공지를 23℃ 및 60% RH에서 24 시간동안 방치한 후, 100kg/cm의 선압, 롤 온도 70℃에서 수퍼캘린더링 처리를 2회 수행하였다. 얻어진 도공지에 대하여 몇가지 전형적인 물리적 특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4에 수록하였다.
[실시예 46 내지 59]
표 22 및 표 23에 각각 명시한 단량체 조성과 연쇄이동제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5와 동일한 방법으로 유화중합을 통해 라텍스를 제조하고 이 라텍스로 종이 코팅용 조성물을 제조한 후, 종이에 도포하여 도공지를 얻었다. 얻어진 도공지의 전형적인 물리적 특성들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4 및 25에 수록하였다.
[비교예 19 내지 23]
표 23에 각각 명시한 단량체 조성과 연쇄이동제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5와 동일한 방법으로 유화중합을 통해 라텍스를 제조하고 이 라텍스로부터 종이 코팅용 조성물을 제조한 후, 이를 종이에 도포함으로써 도공지를 얻었다. 얻어진 도공지의 전형적인 물리적 특성들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5에 수록하였다.
표 24 및 25에 기재된 물리적 특성은 전술한 방법으로 측정 또는 평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공중합체 라텍스를 사용하여 제조한 도공지는 접착 강도, 내수성, 잉크 수용성 및 백지 광택 면에서 우수하며 균형있는 물리적 특성을 지니고, 도공지로서의 종합적인 물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 명백히 알 수 있다.
[표 22]
[표 23]
[표 24]
[표 25]
[실시예 60]
질소로 퍼즈시킨 5ℓ들이 오토클레이브에 1,3-부타디엔 5 중량부, 스티렌 6 중량부,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2 중량부, 푸마르산 2 중량부, 과황산칼륨 0.5 중량부, 물 100 중량부, 나트륨 알킬벤젠설포네이트 0.1 중량부 디알릴설파이드 0.1 중량부 및 t-도데실메르캅탄 0.1 중량부를 채운 후, 교반하면서 70℃에서 반응을 수행하였다. 2 시간 후, 나머지 단량체, 즉 1,3-부타디엔 30 중량부, 스티렌 45 중량부,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8 중량부, 아크릴산 1 중량부, 메타크릴산 1 중량부 및 β-티오글리콜 0.2 중량부, 그리고 t-도데실메르캅탄 0.4 중량부를 나트륨 알킬벤젠설포네이트 0.5 중량부와 함께 첨가하였다. 총 15 시간동안 반응시켰을 때, (단량체 100 중량부당) 97%가 전환하였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30℃로 냉각시킨 후, 수산화 나트륨을 사용하여 pH를 7.5 ±0.2로 조절하였다. 여기에 증기를 블로우잉하여 상기 혼합물로부터 미반응 단량체를 제거했다. 추가로, 이 라텍스를 50 중량%의 고체 함량으로 농축시켜, 소정의 라텍스를 얻었다.
이렇게 해서 얻은 라텍스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조성의 종이 코팅용 조성물을 제조했다.
Ultra White 90(엥겔하드사 제품, 1급 카올린) 70 중량부
Carbital 90(ECC 제품, 중질 탄산칼슘) 30 중량부
Aron T-40(동아 합성 화학 공업주식회사 제품,
나트륨 폴리아크릴레이트) 0.1 중량부
공중합체 라텍스 14 중량부
변성 전분 MS-4600(일본 식품 화공사 제품) 3 중량부
물 조성물의 총 고형분 함량을 60 중량%로 만드는 데 필요한 분량
이 종이 코팅용 조성물을, 도포량 15.0 ±0.5g/㎥으로 평량 64g/㎡의 상질지(上質紙)의 양면에 도포한 후 열풍 건조기(120℃)에서 30 초간 건조시켰다. 이렇게 하여 얻은 도공지를 23℃ 및 60% RH에서 24 시간동안 방치한 후, 100kg/cm의 선압, 롤 온도 70℃에서 수퍼캘린더링 처리를 2회 수행하였다. 얻어진 도공지에 대하여 몇가지 전형적인 물리적 특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8에 수록하였다.
[실시예 61 내지 74]
표 26 및 표 27에 각각 명시한 단량체 조성과 연쇄이동제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60과 동일한 방법으로 유화중합을 통해 라텍스를 제조하고 이 라텍스로 종이 코팅용 조성물을 제조한 후, 종이에 도포하여 도공지를 얻었다. 얻어진 도공지의 전형적인 물리적 특성들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8 및 29에 수록하였다.
[비교예 24 내지 28]
표 27에 각각 명시한 단량체 조성과 연쇄이동제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60과 동일한 방법으로 유화중합을 통해 라텍스를 제조하고 이 라텍스로부터 종이 코팅용 조성물을 제조한 후, 이를 종이에 도포함으로써 도공지를 얻었다. 얻어진 도공지의 전형적인 물리적 특성들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9에 수록하였다.
표 28 및 29에 기재된 물리적 특성은 전술한 방법으로 측정 또는 평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공중합체 라텍스를 사용하여 제조한 도공지는 접착 강도, 내수성, 잉크 수용성 및 백지 광택 면에서 우수하며 균형있는 물리적 특성을 지니고, 도공지로서의 종합적인 물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 명백히 알 수 있다.
[표 26]
[표 27]
[표 28]
[표 29]

Claims (11)

  1. (a) 하나 이상의 공역 디엔 단량체(1), 하나 이상의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2) 및 하나 이상의 에틸렌계 불포화 카르복실산 단량체(3)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의 일부를 친수성 연쇄이동제의 존재 하에 유화 중합시킴으로써 공중합체 라텍스를 생성시키는 단계, 및 (b) 상기 공중합체 라텍스 및 소수성 연쇄이동제의 존재 하에 나머지 단량체 혼합물을 유화 중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단량체 혼합물을 유화 중합시키는 것이 특징인 공중합체 라텍스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a) 공역 디엔 단량체(1),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2) 및 에틸렌계 불포화 카르복실산 단량체(3)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 100 중량부 중 0.5 내지 60 중량부를 20℃ 물 중에서의 용해도가 0.006 몰/ℓ 이상인 친수성 연쇄이동제의 존재 하에 유화 중합시킴으로써 공중합체 라텍스를 생성시키는 단계, 및 (b) 20℃ 물 중에서의 용해도가 0.006 몰/ℓ 미만인 소수성 연쇄이동제 및 상기 공중합체 라텍스의 존재 하에 나머지 단량체 혼합물을 유화 중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하나 이상의 공역 디엔 단량체(1), 하나 이상의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2) 및 하나 이상의 에틸렌계 불포화 카르복실산 단량체(3)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을 유화 중합시키는 것이 특징인 공중합체 라텍스의 제조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연쇄이동제는 히드록실 함유 메르캅탄인 것이 특징인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연쇄이동제는 히드록실 함유 (디)설파이드인 것이 특징인 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연쇄이동제는 카르복실 함유 (디)설파이드인 것이 특징인 방법.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연쇄이동제는 알킬메르캅탄인 것이 특징인 방법.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연쇄이동제는 α-메틸스티렌 이량체인 것이 특징인 방법.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연쇄이동제는 하기 일반식 (Ⅰ)의 카르복실산 메르캅토알킬 에스테르인 것이 특징인 방법 :
    상기 식 중, R1은 1가의 탄화수소 잔기이고, R2는 2가의 탄화수소 잔기이다.
  9. 하나 이상의 공역 디엔 단량체(1), 하나 이상의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2) 및 하나 이상의 에틸렌계 불포화 카르복실산 단량체(3)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을, 연쇄이동제인 하기 일반식 (Ⅰ)의 카르복실산 메르캅토알킬 에스테르의 존재 하에 유화 중합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공중합체 라텍스의 제조 방법 :
    상기 식 중, R1은 1가의 탄화수소 잔기이고, R2는 2가의 탄화수소 잔기이다.
  10. (a) 공역 디엔 단량체(1),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2) 및 에틸렌계 불포화 카르복실산 단량체(3)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의 일부를 친수성 연쇄이동제의 존재 하에 유화 중합시킴으로써 공중합체 라텍스를 생성시키는 단계, 및 (b) 이후, 상기 공중합체 라텍스 및 소수성 연쇄이동제의 존재 하에 나머지 단량체 혼합물을 유화 중합시키는 단계를 통해 제조된 것이 특징인 공중합체 라텍스.
  11. 제10항에 의한 공중합체 라텍스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종이 코팅용 조성물.
KR1019920020121A 1991-10-31 1992-10-30 공중합체 라텍스의 제조 방법 KR1002503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8681991 1991-10-31
JP28681891 1991-10-31
JP91-286819 1991-10-31
JP91-286818 1991-10-31
JP04876292A JP3242972B2 (ja) 1991-10-31 1992-03-05 共重合体ラテックスの製造方法、共重合体ラテックスおよびそれを用いた紙塗工用組成物
JP92-048762 1992-03-05
JP92-052855 1992-03-11
JP92-052853 1992-03-11
JP4052855A JPH05255415A (ja) 1992-03-11 1992-03-11 共重合体ラテックスの製造方法、共重合体ラテックスおよびそれを用いた紙塗工用組成物
JP4052854A JPH05255414A (ja) 1992-03-11 1992-03-11 共重合体ラテックスの製造方法、共重合体ラテックスおよびそれを用いた紙塗工用組成物
JP92-052854 1992-03-11
JP05285392A JP3238455B2 (ja) 1992-03-11 1992-03-11 共重合体ラテックスの製造方法、共重合体ラテックスおよびそれを用いた紙塗工用組成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8028A KR930008028A (ko) 1993-05-20
KR100250375B1 true KR100250375B1 (ko) 2000-04-01

Family

ID=27550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0121A KR100250375B1 (ko) 1991-10-31 1992-10-30 공중합체 라텍스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354800A (ko)
KR (1) KR100250375B1 (ko)
CA (1) CA2081820A1 (ko)
DE (1) DE42363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44118A (en) * 1989-06-30 1995-08-22 Japan Synthetic Rubber Co., Ltd. Process for producing copolymer latex and paper coating composition, carpet backing composition or adhesive composition comprising said latex
DE4403480A1 (de) * 1994-02-04 1995-08-10 Basf Ag Bindemittelmischungen für Papierstreichmassen
US5700852A (en) * 1994-04-06 1997-12-23 Japan Synthetic Rubber Co., Ltd. Paper coating composition
US5800873A (en) * 1994-10-03 1998-09-01 Basf Lacke+Farben Ag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sealed packaging containers and the use of a sealing coating for coating plastics films
DE19502435A1 (de) * 1995-01-26 1996-08-01 Elotex Ag Chemische Zusammensetzung mit einem Gehalt an a) einem Copolymer auf Basis von Styrol und/oder Alkyl(meth)acrylat sowie mindestens eines weiteren Comonomers und b) an einem Schutzkolloid, deren wäßrige Polymerdispersio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DE19522400A1 (de) * 1995-06-21 1997-01-02 Basf Ag Verwendung von Papierstreichmassen mit hohem Butadiengehalt im Tiefdruck
US5783640A (en) * 1997-03-04 1998-07-21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Rubber compositions containing a disodium salt of 2, 2'-dithiosalicyclic acid
JP3246887B2 (ja) * 1997-09-05 2002-01-15 日本製紙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のためのキャストコート紙用基材、及びそれを用いたキャストコート紙
US6262207B1 (en) * 1998-12-18 2001-07-1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BN dispersants for hydrophobic particles in water-based systems
US6184287B1 (en) * 1999-01-26 2001-02-06 Omnova Solutions Inc. Polymeric latexes prepared in the presence of 2-acrylamido-2-methylpropanesulfonate
US20020072580A1 (en) * 2000-01-26 2002-06-13 Aert Huub Van Method of emulsion polymerization
US6852797B2 (en) 2000-04-26 2005-02-08 Basf Aktiengesellschaft Method for producing polybutadiene latex with an optimized thermal current profile
US6610769B1 (en) 2000-06-30 2003-08-26 Basf Corporation Carpet backing adhesive and its use in recycling carpet
TWI225492B (en) * 2000-09-25 2004-12-21 Ciba Sc Holding Ag Composition and process for enhancing controlled free radical polymerization
KR100409076B1 (ko) * 2000-12-20 2003-12-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종이 코팅용 라텍스의 제조방법
US20060009574A1 (en) * 2001-01-26 2006-01-12 Aert Huub V Method of emulsion polymerization
DE10126717A1 (de) 2001-05-31 2002-12-05 Basf Ag Pigmenthaltige, lösungsmittelfreie Zubereitung
KR100525501B1 (ko) * 2001-12-22 2005-11-02 주식회사 폴리테크 재생용지를 이용한 성형물의 제조방법
TW200609206A (en) * 2004-06-28 2006-03-16 Showa Denko Kk Agent for permanent hair processing
DE102005045445A1 (de) * 2005-09-22 2007-03-29 Basf Ag Blister-arme Papierstreichmassen
US20090203853A1 (en) * 2006-02-14 2009-08-13 Kaneka Corporation Vinyl polymer having a polar functional group,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EP2060590A4 (en) * 2006-08-18 2010-02-24 Kaneka Corp PROCESS FOR PRODUCING BRANCHED VINYL POLYMER WITH FUNCTIONAL GROUP
JP5122215B2 (ja) * 2006-08-31 2013-01-16 ローム アンド ハース カンパニー 調整された粘度を有する水性両親媒性コポリマーエマルジョン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080071056A1 (en) * 2006-09-14 2008-03-20 Borst Joseph P Method of forming a graft polyol and polyurethane article formed from the graft polyol
EP2085410A1 (en) * 2008-01-29 2009-08-05 Dow Global Technologies Inc. Polymer latex for paper coating
WO2010028363A1 (en) * 2008-09-08 2010-03-11 Omnova Solutions Inc. Latex compositions
WO2010094641A1 (de) 2009-02-19 2010-08-26 Basf Se Wässrige polymerdispersion aus vinylaromatischer verbindung, konjugiertem aliphatischen dien und ethylenisch ungesättigter säure
WO2012025545A1 (de) 2010-08-27 2012-03-01 Basf Se Wässrige polymerdispersion, erhältlich durch radikalisch initiierte emulsionspolymerisation in gegenwart einer molekulargewichtsreglerzusammensetzung
US20120052316A1 (en) * 2010-08-27 2012-03-01 Basf Se Aqueous polymer dispersion obtainable by free-radically initiated emulsion polymerization in the presence of a molecular weight regulator composition
JP5825819B2 (ja) * 2011-04-13 2015-12-02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ジエン系重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
BR112014005606A2 (pt) 2011-09-12 2017-04-04 Basf Se poliol de enxerto, método de formação de um poliol de enxerto, artigo de poliuretano, e, composição de pavimentação
FR3002230B1 (fr) * 2013-02-15 2016-02-05 Arkema France Utilisation de mercapto-esters methyliques en tant qu'agents de transfert de chaine
AU2016247041A1 (en) 2015-11-02 2017-05-18 Rohm And Haas Company Polyvinyl acetate latex
EP4085079A1 (en) * 2019-12-30 2022-11-09 Basf Se A styrene butadiene polymer latex and its application thereof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7203A (ja) * 1989-07-05 1991-02-18 Asahi Chem Ind Co Ltd 共重合体ラテックス、それを用いた塗工紙及びカーペット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34872A (en) * 1977-05-20 1979-01-16 The Dow Chemical Company Heterogeneous polymer particles comprising an interpolymer domain of a monovinylidene aromatic monomer, an open chain aliphatic conjugated diene and a monoethylenically unsaturated acid
DE3010429A1 (de) * 1980-03-19 1981-09-24 Bayer Ag, 5090 Leverkusen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synthesekautschuklatices, deren verwedung als haftklebstoffrohstoff bei der herstellung von haftklebemassen sowie haftklebemassen
JPS57153012A (en) * 1981-03-19 1982-09-21 Sumitomo Naugatuck Co Ltd Production of copolymer latex having excellent adhesiveness
JPS604501A (ja) * 1983-06-21 1985-01-11 Tokuyama Soda Co Ltd ポリマ−ラテツクスの製造方法
JP2765137B2 (ja) * 1988-12-15 1998-06-11 ジェイエスアール株式会社 紙塗被組成物用の共重合体ラテックスおよび紙塗被組成物
US4950711A (en) * 1989-01-10 1990-08-21 Reichhold Chemicals, Inc. Blister-resistant paper coating latex
JP2943206B2 (ja) * 1990-02-01 1999-08-30 ジェイエスアール株式会社 共重合体ラテックスの製造方法
JP2849452B2 (ja) * 1990-06-08 1999-01-20 旭化成工業株式会社 新規共重合体ラテックスの製造方法
JP3171397B2 (ja) * 1990-06-27 2001-05-28 旭化成工業株式会社 低粘度共重合体ラテックス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7203A (ja) * 1989-07-05 1991-02-18 Asahi Chem Ind Co Ltd 共重合体ラテックス、それを用いた塗工紙及びカーペ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354800A (en) 1994-10-11
DE4236316A1 (en) 1993-05-06
CA2081820A1 (en) 1993-05-01
KR930008028A (ko) 1993-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0375B1 (ko) 공중합체 라텍스의 제조 방법
US5194539A (en) Organosulfur chain transfer agents for emulsion copolymerization
JP5078327B2 (ja) 共重合体ラテックスの製造方法、及び塗料組成物
JPH05255415A (ja) 共重合体ラテックスの製造方法、共重合体ラテックスおよびそれを用いた紙塗工用組成物
JPH0776324B2 (ja) 塗被用組成物
US5274027A (en) Monovinylidene aromatic and conjugated diene copolymer coating compositions comprising sulfoalkyl monomeric emulsifier
EP0565891A1 (en) Copolymer latex, production and use thereof
JP3238455B2 (ja) 共重合体ラテックスの製造方法、共重合体ラテックスおよびそれを用いた紙塗工用組成物
JPH05163308A (ja) 共重合体ラテックスの製造方法
JPH0931111A (ja) 共重合体ラテックスの製造方法
JPH05320216A (ja) 共重合体ラテックスの製造方法、共重合体ラテックスおよびそれを用いた紙塗工用組成物
JPH06248031A (ja) 共重合体ラテックス
JP4667547B2 (ja) 紙塗被用共重合体ラテックス組成物
JPH06298815A (ja) 共重合体ラテックスの製造方法、共重合体ラテックス及びそれを用いた紙塗工用組成物
JP2002220405A (ja) 共重合体ラテックスおよび紙塗工用組成物
JP3242972B2 (ja) 共重合体ラテックスの製造方法、共重合体ラテックスおよびそれを用いた紙塗工用組成物
JPH09278945A (ja) 共重合体ラテックス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紙塗工用組成物
JP4578003B2 (ja) 共重合体ラテックス
JP2006225527A (ja) 共重合体ラテックスおよび紙塗工用組成物
JP3975098B2 (ja) 共重合体ラテックス、その製造方法および紙塗工用組成物
JPH08259611A (ja) 樹脂ラテックスの製造方法
JPH1017602A (ja) 共重合体ラテックスの製造方法および印刷用塗被紙
JP2011057854A (ja) 共重合体ラテックス、紙塗工用組成物及び塗工紙
JP3856588B2 (ja) 共重合体ラテックスおよびオフセット輪転印刷用紙用塗被組成物
JP3947408B2 (ja) 共重合体ラテック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