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9306B1 - 탁산 유도체의 메틸티오메틸 에테르 - Google Patents

탁산 유도체의 메틸티오메틸 에테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9306B1
KR100249306B1 KR1019940020177A KR19940020177A KR100249306B1 KR 100249306 B1 KR100249306 B1 KR 100249306B1 KR 1019940020177 A KR1019940020177 A KR 1019940020177A KR 19940020177 A KR19940020177 A KR 19940020177A KR 100249306 B1 KR100249306 B1 KR 1002493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mol
solution
ethyl acetate
added
paclitax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0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5834A (ko
Inventor
골릭 저지
에프. 캐도우 존
리 웬-센
케이. 페론 로버트
케이. 도타딜 존
비아스 돌라트레이
디. 위트만 마크
웡 헨리
제이. 라이트 존
에이. 카플란 머리
Original Assignee
스티븐 비. 데이비스
브리스톨-마이어스 스퀴브 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티븐 비. 데이비스, 브리스톨-마이어스 스퀴브 컴퍼니 filed Critical 스티븐 비. 데이비스
Publication of KR950005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58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93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93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5/00
    • C07D40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5/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7/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5/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0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our-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305/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our-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09/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9/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7/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4 or 14 of the Periodic System
    • C07F7/02Silicon compounds
    • C07F7/08Compounds having one or more C—Si linkages
    • C07F7/18Compounds having one or more C—Si linkages as well as one or more C—O—Si linkages
    • C07F7/1804Compounds having Si-O-C linkag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9/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5 or 15 of the Periodic System
    • C07F9/02Phosphorus compounds
    • C07F9/547Heterocyclic compounds, e.g. containing phosphorus as a ring hetero atom
    • C07F9/655Heterocyclic compounds, e.g. containing phosphorus as a ring hetero atom having oxygen atoms, with or without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F9/6551Heterocyclic compounds, e.g. containing phosphorus as a ring hetero atom having oxygen atoms, with or without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the oxygen atom being part of a four-membered ring
    • C07F9/65512Heterocyclic compounds, e.g. containing phosphorus as a ring hetero atom having oxygen atoms, with or without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the oxygen atom being part of a four-membered ring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carbocyclic ring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9/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5 or 15 of the Periodic System
    • C07F9/02Phosphorus compounds
    • C07F9/547Heterocyclic compounds, e.g. containing phosphorus as a ring hetero atom
    • C07F9/6558Heterocyclic compounds, e.g. containing phosphorus as a ring hetero atom containing at least two different or differently substituted hetero rings neither condensed among themselves nor condensed with a common carbocyclic ring or ring system
    • C07F9/65586Heterocyclic compounds, e.g. containing phosphorus as a ring hetero atom containing at least two different or differently substituted hetero rings neither condensed among themselves nor condensed with a common carbocyclic ring or ring system at least one of the hetero rings does not contain nitrogen as ring hetero ato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48Manufacture or treatment of parts, e.g. containers, prior to assembly of the devices, using processe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the subgroups H01L21/06 - H01L21/326
    • H01L21/4814Conductive parts
    • H01L21/4821Flat leads, e.g. lead frames with or without insulating supports
    • H01L21/4839Assembly of a flat lead with an insulating support, e.g. for TAB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50Improvement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bulk chemicals
    • Y02P20/55Design of synthesis routes, e.g. reducing the use of auxiliary or protecting grou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50Improvement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bulk chemicals
    • Y02P20/582Recycling of unreacted starting or intermediate materials

Abstract

본 발명은 항종양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신규의 탁산 유도체, 그의 약제 조성물, 및 항종양제로서 그들의 용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탁산 유도체의 메틸티오메틸 에테르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항종양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본 발명은 신규의 탁산 유도체, 그의 약제 조성물, 및 항종양제로서 그의 용도를 제공한다.
탁솔(TaxolR)(패클리탁셀, paclitaxel)은 태평양 주목나무, 탁수스브레비폴리아(Taxus brevifolia)의 껍질에서 추출된 천연 생성물이다. 그것은 생체내 동물 모델에서 우수한 항종양 활성을 가진 것으로 알려진 바 있고, 최근의 연구는 그의 유일한 작용 모드를 밝힌 바있으며, 이것은 투블린의 비정상적 종합체화 및 유사분열을 포함한다. 그것은 최근에 난소암의 치료에 승인된 바 있으며; 흉부, 결장, 및 폐암을 포함한 연구는 유망한 결과를 보여준 바 있다. 패클리탁셀에 대한 임상연구 결과는 Rowinsky와 Donehower, “The Clinical Pharmacology and Use of Antimicrotubule Agents in Cancer Chemotherapeutics” Pharmac. Ther., 52:35-84, 1991에서 제시하고 있다.
최근에, 탁소테레(TaxotereR)라 칭한 패클리탁셀의 반합성 동족체가 또한 동물 모델에서 양호한 항종양 활성을 가지고 있다고 발견된 바 있다. 탁소테레는 현재 유럽과 미국에서 임상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패클리탁셀과 탁소테레의 구조는 다음에 제시되며; 패클리탁셀 분자에 대한 종래 숫자계가 제공된다.
TaxolR: R = Ph; R′ = 수소
TaxotereR: R = t-부톡시; R′ = 수소
패클리탁셀의 한가지 단점은 매우 제한적인 수용성으로서 비수성 약제 부형제에 배합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사용된 담체는 그 자체가 인간에 바람직하지 못한 부작용을 가질 수 있는 크레모포르(Chemophor) EL이다. 따라서, 많은 연구팀이 다음의 문헌에 개시되어 있는 패클리탁셀의 수용성 유도체를 제조한 바 있다:
(a) Haugwitz et al, U.S. Patent No. 4,942,184;
(b) Kingston et al, U.S. Patent No. 5,059,699;
(c) Stella et al, U.S. Patent No. 4,960,790
(d) 1993. 9. 8자로 공고된 유럽특허출원 제0.558,959 Al;
(e) Vyas et al, Bioorganic & Medicinal Chemistry Letters, 1993, 3:1357-1360;
(f) Nicolaou et al, Nature, 1993, 364:464-466.
본 발명의 화합물은 탁산 유도체의 포스포노옥시메틸 에테르 및 약리적으로 허용되는 그의 염이다. 그 염의 수용성은 약제 배합물의 제조를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은 다음식(A)을 가진 탁산 유도체, 또는 약리적으로 허용되는 그의 염에 관한 것이다.
T-[OCH2(OCH2)mOP(O)(OH)2]n (A)
상기식에서 T는 C13 탄소원자에 치환된 3-아미노-2-히드록시프로판오일록시기를 함유한 탁산 성분이며; n은 1,2 또는 3이며; m은 O 또는 1-6을 포함한 정수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일예는 다음식(B)을 가진 탁산 유도체를 제공한다:
T′-[OCH2(OCH2)mSCH3]n (B)
상기식에서 T′은 비반응 히드록시기가 차단된 T이며, m과 n은 식(A)하에 정의된 것과 같다.
본 발명의 또다른 일예는 다음식(C)을 가진 중간체를 제공한다:
T′[OCH2(OCH2)mOP(O)(ORy)2]n (C)
상기식에서 T′, m 및 n은 식(A)하에 정의된 것과 같고, Ry는 포스포노 보호기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일예는 다음식(D)의 화합물, 또는 그의 C13금속 알콕시드를 제공한다:
13-OH-txn-[OCH2(OCH2)mSCH3]n (D)
상기식에서 m과 n은 상기에 정의된 것과 같고; txn은 탁산 성분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일예는 식(A)의 화합물의 항종양 유효량을 포유류 숙주에 투여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포유류 숙주에서 종양을 억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추가 일예는 식(B′)의 화합물의 항종양 유효량을 포유류 숙주에 투여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포유류 숙주에서 종양을 억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식에서 R1b′는 히드록시, -OC(O)Rx또는 -OC(O)ORx이며; R3b′은 수소, 히드록시, -OC(O)ORx, C1-6알킬록시 또는 -OC(O)Rx이며; R6b′또는R7b′중 한가지는 수소이고 나머지는 히드록시 또는 C1-6알칸오릴록시이거나; R6b′과 R7b′이 다같이 옥소기를 형성하며; R4및 R5가 각각 C1-6알킬, C2-6알켄일, C2-6알킨일, 또는 -Z-R6이고; Z가 직접 결합, C1-6알킬 또는 C2-6알켄일이며; R6가 아릴, 치환 아릴, C3-6시클로알킬 또는 헤테로아릴이며; p가 0 또는 1이고; Rx가 같거나 서로 다른 할로겐 원자 1-6개로 임의로 치환된, C1-6알킬, C3-6시클로알킬, C2-6알켄일 또는 히드록시이거나; 또는 Rx가 다음식의 라디칼이며;
여기서 D는 결합 또는 C1-6알킬이고; Ra, Rb및 Rc는 각각 수소, 아미노, C1-6알킬아미노, 디-C1-6알킬아미노, 할로겐, C1-6알킬, 또는 C1-6알콕시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다른 일예는 식(B′) 또는 (A)의 화합물의 항종양 유효량과 약리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로 이루어진 약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또는 본문에서 달리 특정되지 않는다면, 다음의 정의가 적용된다. “알킬”은 탄소원자 1-6개인 직쇄 또는 측쇄 포화 탄소사슬을 의미하고; 실예는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sec-부틸, 이소부틸, t-부틸, n-펜틸, sec-펜틸, 이소펜틸, 및 n-헥실을 포함한다. “알켄일”은 적어도 한 개의 탄소-탄소이중 결합을 가지고, 2-6개의 탄소원자를 가진, 직쇄 또는 측쇄 탄소사슬을 의미하며; 실예는 에텐일, 프로펜일, 이소프로펜일, 부텐일, 이소부텐일, 펜텐일, 및 헥센일을 포함한다. “알킨일”은 적어도 한 개의 탄소-탄소 삼중 결합을 가지며, 탄소원자 2-6개를 가진 직쇄 또는 측쇄 탄소사슬을 의미하며; 실예는 에틴일, 프로핀일, 부틴일, 및 헥신일을 포함한다.
“아릴”은 탄소원자 6-10개를 가진 방향족 탄화수소를 의미하며; 실예는 페닐 및 나프틸을 포함한다. “치환된 아릴”은 C1-6알칸오일록시, 히드록시, 할로겐, C1-6알킬, 트리플루오로메틸, C1-6알콕시, 아릴, C2-6알켄일, C1-6알칸오일, 니트로, 아미노, 및 아미도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한 개의 기로서 치환된 아릴을 의미한다. “할로겐”은 플루오린, 클로린, 브로민, 및 요딘을 의미한다.
“포스포노-”는 -P(O)(OH)2기를 의미하고 “포스포노옥시메톡시”또는 “포스포노옥시메틸 에테르”는 총칭적으로 -OCH2(OCH2)mOP(O)(OH)2기를 의미한다. “(메틸티오)티오카르보닐”은 -C(S)SCH3기를 의미한다. “메틸티오메틸”(또한 MTM으로 약칭됨)은 총칭적으로 -CH2SCH3기로 언급된다.
“탁산 성분”(또한 txn으로서 약칭됨)은 절대 형태로서 다음에 제시된 구조식에 의해 표시된 20개 탄소의 탁산 코어 프레임워크(core framework)를 함유한 성분을 정의한다.
상기에 제시된 숫자계는 종래의 탁산 명명법에서 사용된 것이며, 본 명세서에서 따르고 있다. 예를들어, 기호 C1은 “1”로서 표지된 탄소원자를 뜻하며; C5-C20 옥세탄은 산소원자와 함께 4,5 및 20으로서 표지된 탄소원자에 의해 형성된 옥세탄 고리를 뜻하고; C9 옥시는 “9”로서 표지된 탄소원자에 결합된 산소원자를 뜻하고, 산소원자는 옥소기, α- 또는 β-히드록시, 또는 α- 또는 β-아릴록시일수 있다.
“치환된 3-아미노-2-히드록프로판오일록시”는 다음식에 의해 표시된 잔기를 정의한다:
(X는 비수소기이고 X′는 수소 또는 비수소기이다). 이 잔기의 입체화학은 패클리탁셀 측쇄와 동일하다. 이 기는 때로 본 명세서에서 “C13 측쇄”로서 언급된다.
“탁산 유도체”(T로서 약칭됨)는 C13 측쇄를 함유한 탁산 성분을 가진 화합물을 뜻한다.
“헤테로아릴”은 산소, 황 및 질소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한 개 및 4개까지의 비탄소원자를 함유한 5- 또는 6-원 방향족 고리를 의미한다. 헤테로아릴의 실예는 티엔일, 푸릴, 피롤릴, 이미다졸릴, 피라졸릴, 티아졸릴, 이소티아졸릴, 옥사졸릴, 이소옥사졸릴, 트리아졸릴, 티아디아졸릴, 옥사디아졸릴, 테트라졸릴, 티아트리아졸릴, 옥사트리아졸릴, 피리딜, 피리미딜, 피라진일, 피리다진일, 트리아진일, 테트라진일, 및 유사한 고리를 포함한다.
“포스포노 보호기”는 포스포노 작용기를 차단하거나 보호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성분을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보호기는 분자의 나머지에 확인될 수 있는 정도로 영향이 없는 방법에 의해 제거될 수 있는 것들이다. 적합한 포스포노옥시 보호기는 본 기술의 숙련자에게 잘알려져 있으며 예를들어 벤질 및 알릴기를 포함한다.
“히드록시 보호기”는 메틸, t-부틸, 벤질, p-메톡시벤질, p-니트로벤질, 알릴, 트리틸, 메톡시메틸, 메톡시에톡시메틸, 에톡시에틸, 테트라히드로피란일, 테트라히드로티오피란일, 및 트리메틸실릴 에테르, 트리에틸실릴 에테르와 t-부틸디메틸실릴 에테르와 같은 트리알킬실릴 에테르와 같은 에테르: 벤조일, 아세틸, 페닐아세틸, 포르밀, 클로로아세틸, 디클로로아세틸, 트리클로로아세틸, 트리플루오로아세틸 등의 모노-, 디-, 및 트리할로아세틸과 같은 에스테르: 메틸, 에틸, 2,2,2-트리클로로에틸, 알릴, 벤질, 및 p-니트로페닐과 같은 카보네이트를 포함하나, 이들에 국한하지 않는다.
히드록시 및 포스포노 보호기의 추가 실예는 Greene과 Wuts, Protective Groups in Organic Synthesis, 2d Ed., 1991. John Wiley & Sons, 및 McOmie, Protective Groups in Organic Chemistry, 1975, Plenum Press와 같은 참고문헌에서 발견될 수 있다. 보호기의 도입과 제거방법이 또한 이러한 지침서에서 발견된다.
“약리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활성 화합물의 독성 또는 생물학적 활성에 양이온이 상당히 기여하지 않는 산성 포스포노기의 금속 또는 아민염을 의미한다. 적합한 금속 염은 리튬, 소디움, 포타슘, 칼슘, 바륨, 마그네슘, 아연 및 알루미늄 염을 포함한다. 소디움 및 포타슘염이 바람직한 금속염이다. 적합한 아민 염은 몇가지만 언급하면 예를들어, 암모니아, 트로메타민(TRIS), 트리에틸아민, 프로카인, 벤자틴, 디벤질아민, 클로로프로카인, 콜린,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에틸렌디아민, 글루카민, N-메틸글루카민, 리신, 아르기닌, 에탄올아민이다. 바람직한 아민 염은 리신, 아르기닌, 트리에탄올아민, 및 N-메틸글루카민 염이다. 더욱 바람직한 염은 N-메틸글루카민 또는 트리에탄올아민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OCH2(OCH2)mOP(O)(OH)2란 내용상 유리산이 의미된다고 특히 제시되지 않는 한, 유리산과 그의 약리적으로 허용되는 염 모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발명의 일예는 식(A)의 탁산 유도체, 또는 약리적으로 허용되는 그의 염을 제공한다:
T-[OCH2(OCH2)mOP(O)(OH)2]n (A)
상기식에서 T는 C13 탄소원자에 치환된 3-아미노-2-히드록시프로판오일록시기를 함유한 탁산 성분이며; n은 1, 2 또는 3이며; m은 0 또는 1-6을 포함한 정수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예는 식(A)의 탁산 유도체를 제조하는데 유용한 식(B)을 가진 탁산 유도체를 제공한다.
T′-[OCH2(OCH2)mSCH3]n (B)
일예에서 탁산 성분은 적어도 다음의 작용기를 함유한다: C1-히드록시, C2-벤조일록시, C4-아세틸록시, C5-C20 옥세탄, C9-옥시, 및 C11-C12 이중 결합:
바람직한 일예에서 탁산 성분은 다음식을 가진 잔기로 부터 유도된다:
상기식에서 R은 수소이고 R는 수소, 히드록시, -OC(O)Rx, 또는 -OC(O)ORx이며; R는 수소, 히드록시, -OC(O)Rx, -OC(O)ORx또는 C1-6알킬록시이며; R또는 R중 한가지는 수소이고 나머지는 히드록시 또는 -OC(O)Rx이거나; R와 R가 다같이 옥소기를 형성하며; Rx는 다음에 정의된 것과 같다.
또다른 일예에서, C13 측쇄는 다음식을 가진 잔기로부터 유도된다:
상기식에서 R는 수소 또는 -C(O)Rx, -C(O)ORx이고; R4와 R5는 각각 C1-6알킬, C2-6알켄일, C2-6알킨일, 또는 -Z-R6이고; Z는 직접 결합, C1-6알킬 또는 C2-6알켄일이며; R6는 아릴, 치환된 아릴, C3-6시클로알킬, 또는 헤테로아릴이며; Rx는 한가지 내지 6개의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할로겐 원자로서 임의로 치환된 C1-6알킬, C3-6시클로알킬, C2-6알켄일 또는 히드록시이거나; 또는 Rx가 다음식의 라디칼이며;
여기서 D는 결합 또는 C1-6알킬이며; Ra, Rb및 Rc는 각각 수소, 아미노, C1-6알킬아미노, 디-C1-6알킬아미노, 할로겐, C1-6알킬, 또는 C1-6알콕시이며; p는 0 또는 1이다.
바람직한 일예에서, R4는 C1-6알킬이고 p는 1이거나, R4는 -Z-R6이고 p가 0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R4(O)p가 t-부톡시, 페닐, 이소프로필록시, n-프로필록시, 또는 n-부톡시이다.
또다른 바람직한 일예에서 R5는 C2-6알켄일 또는 -Z-R6이고 Z와 R6는 이전에 정의된 것과 같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R5가 페닐, 2-푸릴, 2-티엔일, 이소부텐일, 2-프로펜일, 또는 C3-6시클로알킬이다.
또다른 일예에서, 식(A)의 화합물, 또는 약리적으로 허용되는 그의 염은 보다 구체적으로 식(I)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상기식에서, R1, R2, R3, R6또는 R7중 적어도 한가지가 -OCH2(OCH2)mOP(O)(OH)2라는 조건하에, R1은 히드록시, -OCH2(OCH2)mOP(O)(OH)2, -OC(O)Rx또는 -OC(O)ORx이고; R2은 수소이고, R2는 수소, 히드록시, -OCH2(OCH2)mOP(O)(OH)2, -OC(O)Rx또는 -OC(O)ORx이며: R3가 수소, 히드록시, C1-6알킬록시, -OC(O)Rx, -OCH2(OCH2)mOP(O)(OH)2또는 -OC(O)ORx이고; R6또는 R7중 한가지가 수소이고 나머지가 히드록시, C1-6알칸오일록시, 또는 -OCH2(OCH2)mOP(O)(OH)2이거나; R6와 R7이 다같이 옥소기를 형성하고; R4, R5, Rx, m 및 p는 이전에 정의된 것과 같다.
식(I)의 화합물에서, Rx이 실예는 메틸, 히드록시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클로로메틸, 2,2,2-트리클로로에틸, 시클로프로필, 시클로부틸,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에텐일, 2-프로펜일, 페닐, 벤질, 브로모페닐, 4-아미노페닐, 4-메틸아미노페닐, 4-메틸페닐, 4-메톡시페닐등을 포함한다. R4와 R5의 실예는 2-프로펜일, 이소부텐일, 3-푸란일(3-푸릴), 3-티엔일, 페닐, 나프틸, 4-히드록시페닐, 4-메톡시페닐, 4-플루오로페닐, 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t-부틸, 에텐일, 2-프로펜일, 2-프로핀일, 벤질, 펜에틸, 페닐에텐일, 3,4-디메톡시페닐, 2-푸란일(2-푸릴), 2-티엔일, 2-(2-푸란일)에텐일, 2-메틸프로필, 시클로프로필, 시클로부틸,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시클로헥실메틸, 시클로헥실에틸 등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일예에서, 본 발명은, R5가 C2-6알켄일 또는 -Z-R6이고 Z와 R6가 이전에 정의된 것과 같은 바람직한 군의 식(I)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R5가 페닐, 3-푸릴, 3-티엔일, 2-프로펜일, 이소부텐일, 2-푸릴, 2-티엔일, 또는 C3-6시클로알킬이다.
또다른 바람직한 일예에서 식(I)의 화합물의 R4가 p가 1인 경우에 C1-6알킬이며; 또는 p가 0인 경우에 R4는 -Z-R6이고 Z와 R6는 이전에 정의된 것과 같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R4(O)p-가 t-부톡시, 페닐, 이소프로필록시, n-프로필록시, n-부톡시이다.
또다른 바람직한 일예에서, 본 발명은 R1이 -OCH2(OCH2)mOP(O)-(OH)2인 식(I)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보다 바람직한 일예에서, R2는, 히드록식, -OCH2(OCH2)mOP(O)(OH)2, -OC(O)ORx또는 -OC(O)Rx이며, Rx는 바람직하게도 C1-6알킬이다. 보다 바람직한 또다른 일예에서, R3는 히드록시 또는 아세톡시이다.
또다른 바람직한 일예에서, 본 발명은 R2가 -OCH2(OCH2)mOP(O)-(OH)2이고; R1이 히드록시, -OC(O)Rx또는 -OC(O)ORx이며; R3가 수소, 히드록시, 아세톡시, -OCH2(OCH2)mOP(O)(OH)2또는 -OC(O)ORx이며; Rx가 이전에 정의된 것과 같은 식(I)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보다 바람직한 일예에서 R1은 히드록시 또는 -OC(O)ORx이고 Rx는 바람직하게도 C1-6알킬이며 R3는 히드록시 또는 아세톡시이다.
또다른 바람직한 일예에서, 본 발명은 R3가 -OCH2(OCH2)mOP(O)-(OH)2이고; R1이 히드록시 또는 -OC(O)ORx이고; R2′이 수소이며, R2가 수소, 히드록시또는 -OC(O)ORx이며; Rx가 이전에 정의된 것과 같은 식(I)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보다 바람직한 일예에서, R1은 히드록시 또는 -OC(O)ORx이고, Rx는 바람직하게도 C1-6알킬이다. 또다른 보다 바람직한 일예에서, R2는 히드록시이다.
또다른 바람직한 일예에서, 포스포노옥시메톡시기가 탁산 성분의 C7에 존재할 때 m은 0, 1 또는 2이다.
식(A)의 화합물에 대한 바람직한 약리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리튬, 소디움 및 포타슘 염을 비롯한 알칼리 금속염; 및 트리에틸아민, 트리에탄올아민, 에탄올아민, 아르기닌, 리신 및 N-메틸글루카민염을 비롯한 아민염이다. 보다 바람직한 염은 소디움, 트리에탄올아민, 및 N-메틸글루카민 염이다.
식(A)의 탁산 유도체의 가장 바람직한 일예는 다음 화합물을 포함한다: (1) 7-O-포스포노옥시메틸패클리탁셀, (2) 2′-O-(에틸록시카르보닐)-7-O-포스포노옥시메틸패클리탁셀; (3) 2′-O-포스포노옥시메틸패클리탁셀; (4) 2′,7-비스-O-(포스포노옥시메틸)패클리탁셀; (5) -7-O-포스포노옥시메틸패클리탁셀; (6) 3′-N-데벤조일-3′-데스페닐-3′-N-(t-부틸록시카르보닐)-3′-(2-티엔일)-2′-O-에틸록시카르보닐-7-O-포스포노옥시메틸패클리탁셀; (7) 10-데스아세틸-3′-N-데스벤조일-3′-N-(t-부틸록시카르보닐)-10-O-(포스포노옥시메틸)패클리탁셀; (8) 2′-O-포스포노옥시메톡시메틸패클리탁셀; (9) 2′-O-n-프로필카르보닐-7-O-포스포노옥시메틸패클리탁셀; (10) 2′-O-메틸카르보닐-7-O-포스포노옥시메틸패클리탁셀; (11) 2′-O-메톡시카르보닐-7-O-포스포노옥시메틸패클리탁셀; (12) 2′-O-포스포노옥시메톡시메틸-7-O-포스포노옥시메틸패클리탁셀 및 각각 그들의 약리적으로 허용되는 염, 특히 소디움, 포타슘, 아르기닌, 리신, N-메틸글루카민, 에탄올아민, 트리에틸아민 및 트리에탄올아민 염.
식(A)의 화합물은 T와 n이 이전에 정의된 것과 같은 탁산 유도체 출발 물질 T-[OH]n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T-[OH]n의 확인은 포스포노옥시메틸 에테르 연결기를 형성시키는 탁산 성분 또는 C13측쇄에 존재한 적어도 한가지의 반응성 히드록시기가 있는 한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반응성 히드록시기는 C13 프로판오일록시 백본(예를들어 패클리탁셀의 2′-히드록시기)에 또는 탁산 코어 프레임워크(예를들어 패클리탁셀의 7-히드록시기)에 직접 결합될 수 있거나; C13 측쇄위 치환체에, 또는 탁산 코어위 치환체에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반응식(I)에서 제시된 반응 시퀀스는 식(A)의 화합물을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반응식 I]
반응식(I)에서 T′은 비반응 히드록시기가 차단된 탁산 유도체이며; Ry는 포스포노 보호기이고; n과 m은 이전에 정의된 것과 같다. 따라서 한가지 또는 그 이상의 반응성 히드록시기를 가진 적절히 보호된 T′을 식(B)의 상응하는 메틸티오메틸 에테르로 전환한다. 실예로서 패클리탁셀을 사용할 때, T′은 패클리탁셀 자체(2′,7-비스메틸티오메틸화를 수행), 7-O-트리에틸실릴패클리탁셀, 7-O-벤질록시카르보닐패클리탁셀, 또는 2′-O-에톡시카르보닐패클리탁셀일 수 있다. m이 0인 식(B)의 화합물은 디메틸술폭시드/무수 초산으로서, 또는 디메틸술파이드와 유기 퍼옥사이드로서 T′-[OH]n을 처리함으로서 제조될 수 있다. 이들 반응은 다음 단락에서 보다 완전하게 논의된다.
한 개의 삽입 메틸렌옥시 유니트를 가진 MTM 에테르(즉 m=1인 식(B)의 화합물)는 여러 가지 가능한 루트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한가지 방법에서 m=0인 식(B)의 화합물을 N-요도숙신이미드(NIS)와 메틸티오메탄올과 반응시켜 한 개의 메틸렌옥시 유니트에 의해 사슬을 확장한다.
NIS의 존재하에 메틸티오메틸록시기와 알코올의 동일 반응이 Veeneman et al에 의해, Tetrahedron, 1991, v47, pp. 1547-1562에 보고 되었고, 그의 관련 부분은 본 발명에서 참고로 속한다. 은 트리플레이트가 촉매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메틸티오메탄올의 화합물과 그의 제조가 Syn. Comm., 1986, 16(13): 1607-1610에 기록되어 있다.
별도의 방법에서, 식(Aa)의 화합물을 n-부틸 리튬, 리튬 디이소프로필아미드 또는 리튬 헥사메틸디실라지드로서 처리함으로서 생성된 T-알콕시드(Ad)를 클로로메틸 메틸티오메틸 에테르와 반응시켜 m=1인 식(B)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화합물(Ae)은 메틸티오메톡시드(n-부틸 리튬, 리튬 디이소프로필아미드 또는 리튬 헥사메틸디실라지드와 같은 염기로서 처리함으로서 메틸티오메탄올로부터 얻어짐)를 클로로요도메탄과 반응시켜 제조된다. 화합물(Ae)은 또한 1,1′-디클로로디메틸에테르(ClCH2OCH2Cl)를 소디움 요다이드 이어서 소디움 티오메톡시드의 화학양론적 량 또는 그이하(예를들어 약 0.8 당량)로서 처리하여 제조될 수 있다. 1,1′-디클로로디메틸 에테르는 Ind. J. Chem., 1989, 28B, pp. 454∼456에 기록되어 있다.
또다른 방법에서, 식(Aa)의 화합물을 비스(MTM)에테르, CH3SCH2O-CH2SCH3, 및 NIS와 반응시켜 m=1인 식(B)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T′-[OH]n + n CH3SCH2OCH2SCH3→ T′-[OCH2OCH2SCH3]n
1,1′-디클로로디메틸 에테르를 소디움 요다이드 이어서 소디움 티오메톡시드로서 반응시켜 비스(MTM)에테를 제조한다.
메틸티오메탄올 및 NIS를 이용한 상기에 기재된 방법을 MTM기가 있는 시약에 적용시켜 한번에 한 개의 메틸렌옥시 유니트로 사슬을 확장시킬 수 있다. 예를들어, m=1인 식(B)의 화합물을 메틸티오메탄올과 NIS와 반응시켜 m=2인 식(B)의 화합물을 제공할 수있다. 본 방법을 반복하여 m이 3,4,5 또는 6인 식(B)의 화합물을 제공할 수 있다.
반응식(I)에 제시된 제이단계에서, 메틸티오메틸 에테르를 상응하는 보호된 포스포노옥시메틸 에테르로 전환한다. 이것은 MTM 에테르를 NIS와 보호된 포스페이트 HOP(O)(ORy)2로서 처리함으로서 성취된다. 제3단계에서, 포스포노 보호기와 히드록시 보호기를 제거하여 식(A)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예를들어, 적합한 포스포노 보호기는 촉매가수소분해에 의해 제거될 수 있는 벤질이며; 트리알킬실릴과 같은 히드록시 보호기는 플루오라이드 이온에 제거될 수 있고, 트리클로로에톡시카르보닐은 아연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보호기의 제거는 Green과 Wuts, Protective Gropus in Organic Synthesis, John Wiley & Sons, 1991; 및 McOmie, Protective in Organic Chemistry, Plenum Press, 1973과 같은 텍스트북에서 교시되어 있다. 양 단계는 본 명세서의 다음 단락에서 상세히 논의된다.
반응식(I)에서 제시된 반응 시퀀스의 변형은 반응식(II)으로 제공된다.
[반응식 II]
반응식(II)에서, 식(Aa)의 화합물을 식(Ca)의 화합물 및 NIS와 반응시켜 식(C)의 화합물을 제공하고, 그후 탈차단하여 식(A)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m이 0인 식(Ca)의 화합물은 처음에 메틸티오메탄올을 Na, Li 또는 K 헥사메틸디실라지드로서 처리하여 메틸티오메톡시드를 제공하고; 메톡시드를 그후 디벤질 클로로포스페이트와 같은 보호된 클로로포스페이트와 반응시켜 원하는 화합물을 제공함으로서 제조될 수있다. m이 1인 식(Ca)의 화합물은 CH3SCH2OCH2Cl을 이보호된 포스페이트 염, 예를들어 디벤질 포스페이트의 소디움, 포타슘, 테트라(n-부틸)암모늄 염으로 처리하거나; 처음에 CH3SCH2OCH2Cl을 포스페이트 염과 반응시키기전에 소디움 요다이드를 사용하여 상응하는 요도화합물로 전환시킴으로서 제조될 수 있다. 별도의 방법으로서, m이 1인 식(Ca)의 화합물은 ClCH2OCH2Cl을 소디움 요다이드 이어서 소디움 티오메톡시드로서 처리하여 CH3SCH2OCH2SCH3를 제공하고; 그후 이 화합물을 NIS와 디벤질 포스페이트와 같은 이보호된 포스페이트로서 처리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제공함으로서 제조될 수 있다. MTM기를 가진 이전에 언급된 시약은 그 시약을 메틸티오메탄올과 NIS와 반응시킴으로서 한번에 한 개의 메틸렌옥시 유니트로 확장될 수 있다.
식(A)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또다른 방법에서, T-알콕시드(Ad)를 반응식(III)에 제시된 바와같이 요도포스페이트와 반응시킨다.
[반응식 III]
반응식(III)에서, 요도포스페이트 화합물은 ClCH2(OCH2)mCl을 이보호된 포스페이트염과 반응시켜 ClCH2(OCH2)mOP(O)(ORy)2를 제공한다음 소디움 요다이드로서 처리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제공함으로서 얻어진다.
적어도 한가지의 포스포노옥시메톡시기가 탁산 성분에 연결되어 있는 식(A)의 화합물의 서브세트를 제조하는데 적합한 또다른 방법이 반응식(IV)에 제시된다.
[반응식 IV]
반응식(IV)에서, m과 n은 이전에 정의된 것과 같으며; X는 비수소기이고, P는 히드록시 보호기이고; txn은 탁산 성분이다. 식(D)의 화합물은 탁산 코어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된 13α-히드록시기 및 한가지 또는 그 이상의 메틸티오메틸 에테르를 가진 탁산이며; 또한 식(D)의 C13 금속 알콕시드가 포함된다. 식(D)의 화합물의 실예는 다음의 7-0-메틸티오메틸박카틴 III이다.
아제티디논과 탁산(D)의 커플링은 상기 인용문에서 반응식(VI)에 제시된 것과 동일하며; 따라서 식(Id)의 화합물의 제조에 대해 기재된 방법은 또한 식(D)의 화합물이 반응식(VI)에서 식(II)의 화합물 대신에 사용된다면, 식(Ba)의 화합물[즉 적어도 한가지의 MTM기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탁산 성분에 연결되어 있는 식(B)의 화합물]의 제조에 적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도 탁산(D)은 처음에 소디움, 포타슘 또는 리튬 알콕시드와 같은 C13 금속 알콕시드로 전환되며; 라튬 알콕시드가 바람직하다. 아제티디논은 C13 측쇄의 전구체로서 역할이 있다. 탁산과 커플링 반응후에, 히드록시 보호기 P가 제거되며, 필요하다면, 측쇄의 유리 히드록시기는 MTM 에테르로 전환되거나 본 발명에서 기재된 에스테르 또는 카보네이트로 유도될 수 있다.
아제티디논은 본기술에서 일반적으로 공지된 방법인 이후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식(D)의 화합물은 적절히 보호된 탁산을 사용하여 식(B)의 화합물의 제조를 위해 상기에 기재된 일반적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그러나, 보다 편리하게는 그들은 소디움 또는 테트라부틸암모늄 보로하이드라이드와 같은 보로하이드라이드를 사용하여 13-측쇄를 분해함으로서 식(Ba)의 화합물로부터 얻어질 수 있으며; 예를들어 패클리탁셀의 7-0-MTM을 테트라부틸암모늄 보로하이드라이드로서 처리하여 7-0-MTM 박카틴 III을 제공한다.
식(A)의 화합물의 제조를 위한 반응식(I)의 일반적 방법은 식(I′)의 화합물(즉 m이 0인 식(I)의 화합물)의 제조를 예시하는 반응식(V)에서 보다 상세하게 예시된다. 이 합성 시퀀스에서 사용된 방법은 일반적으로 식(I)에 의해 특히 포함되지 않는 다른 탁산 유도체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반응식(V)에서 방법은 본기술에서 숙련된 자에 의해 본 발명에서 포함된 기술에 따라 변형되어 m이 1, 2 또는 3인 식(A)의 탁산 유도체에 도달될 수 있다.
반응식(V)에서 그외에 명세서의 다른곳에서, “히드록시 보호기”란 적합한 카보네이트(예, Rx가 히드록시를 함유하지 않는 -OC(O)ORx를 포함할 수 있다고 이해될 것이며; 따라서 카보네이트가 히드록시 보호기로서 사용될 때, 이후 단계에서 제거되어 유리 히드록시기를 생성한다고 의도되며, 그렇지않다면, 카보네이트 성분은 최종 생성물의 일부로서 남게 된다.
[반응식 V]
반응식(V)에서, R1a, R2a또는 R3a, R6a또는 R7a중 적어도 한가지가 히드록시라는 조건하에, R1a는 히드록시, 보호 히드록시, -OC(O)Rx또는 -OC(O)ORx이고; R2′은 수소이고, R2a는 수소, 히드록시, 보호 히드록시, -OC(O)Rx또는 -OC(O)ORx이며; R3a는 수소, 히드록시, 보호 히드록시, C1-6알킬록시, -OC(O)Rx또는 -OC(O)ORx이며; R6a또는 R7a중 한가지가 수소이고 나머지가 히드록시, 보호히드록시 또는 C1-6알칸오일록시이거나; R6a및 R7a가 다같이 옥소기를 형성한다. R1b, R2b, R3b, R6b또는 R7b중 적어도 한가지가 -OCH2SCH3라는 조건하에, R1b는 히드록시, 보호 히드록시, -OCH2SCH3, -OC(O)Rx또는 -OC(O)ORx이고; R2′은 수소이고, R2b는 수소, 히드록시, 보호 히드록시, -OCH2SCH3, -OC(O)Rx또는 -OC(O)ORx이며; R3b는 수소, 히드록시, 보호 히드록시, C1-6알킬록시, -OC(O)Rx, -OCH2SCH3또는 -OC(O)ORx이며; R6b또는 R7b중 한가지는 수소이고 나머지는 히드록시, 보호 히드록시, C1-6알칸오일록시 또는 -OCH2SCH3이거나; R6b와 R7b가 다같이 옥소기를 형성한다. R1c, R2c, R3c, R6c또는 R7C중 적어도 한가지가 -OCH2OP(O)(ORy)2라는 조건하에, R1c는 히드록시, 보호 히드록시, -OCH2OP(O)(ORy)2, -OC(O)Rx또는 -OC(O)ORx이고; R2′는 수소이고, R2c는 수소, 히드록시, 보호 히드록시 -OCH2OP(O)(ORy)2, -OC(O)Rx또는 -OC(O)ORx이며; R3c가 수소, 히드록시, 보호 히드록시, C1-6알킬록시, -OC(O)Rx, -OCH2OP(O)(ORy)2또는 -OC(O)ORx이며, R6c또는 R7c중 한가지가 수소이고 나머지가 히드록시, 보호 히드록시, C1-6알칸오일록시 또는 -OCH2OP(O)(ORy)2이다. R1′, R2“, R3′, R6′또는 R7′중 적어도 한가지가 -OCH2OP(O)(OH)2라는 조건하에, R1′은 히드록시, -OCH2OP(O)(OH)2, -OC(O)Rx또는 -OC(O)ORx이고; R2′“는 수소이고, R2“는 수소, 히드록시, -OCH2OP(O)(OH)2, -OC(O)Rx또는 -OC(O)ORx이며; R3′은 수소, 히드록시, C1-6알킬록시, -OC(O)Rx, -OCH2OP(O)(OH)2또는 -OCH(O)ORx이며; R6′또는 R7′중 한가지가 수소이고 나머지가 히드록시, C1-6알칸오일록시 또는 -OCH2OP(O)(OH)2이다. R4, R5, Rx및 p는 이전에 정의된 것과 같고, Ry는 포스포노 보호기이다.
제1단계에서, 식(Ia)의 화합물의 유리 히드록시기는 상응하는 메틸티오메틸 에테르(-OCH2SCH3)기로 전환된다. 이러한 전환은 두가지 방법(1a-디메틸술파이드법, 1b-디메틸술폭시드법)중 어느 한가지에 의해 성취될 수 있다. 알코올을 메틸티오메틸 에테르로 전환하는 디메틸술파이드법은 Medina et al, Tet. Lett., 1988, pp. 3773-3776에 기록되어 있으며, 관련 부분은 참고로 속한다. 디메틸술폭시드법은 통상적으로 Pummerer 반응으로 잘알려진 반응이다.
히드록시기의 반응성이 식(Ia)의 탁산 유도체 출발물질의 위치에 따라 다르다고 주목된다. 일반적으로 2′-히드록시기가 차례로 10-히드록시기 보다 더 반응성이 있는 7-히드록시기 보다 아실화반응에서 보다 반응성이 크지만, 놀랍게도 디메틸술파이드법으로서, 7-히드록시가 2′-히드록시기 보다 메틸티오메틸 에테르로 쉽게 전환된다고 발견된 바 있다. C-1에서 삼차 히드록시기는 통상적으로 가장 반응성이 적다. 히드록시 반응성의 차이는 메틸티오메틸화의 부위와 정도를 조절함으로서 촉진될 수 있다.
따라서 R1a와 R2a가 둘 다 히드록시인 식(Ia)의 화합물로서, 우세한 메틸티오메틸화 생성물은 디메틸술파이드법으로서 상응하는 7-0-메틸티오메틸 에테르이다. R1b가 메틸티오메톡시인 식(Ib)의 화합물을 얻기 위하여, 존재한다면 7-히드록시를 메틸티오메틸 히드록시기로 전환함이 없이, 7-히드록시기는 트리에틸실릴 또는 벤질록시카보닐과 같은 종래의 히드록시 보호기로서 차단된다. 유사하게도, 존재한다면, 7- 및/또는 2′-히드록시기를 전환함이 없이, 후자의 기가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히드록시 보호기에 의해 차단될 때, 10-메틸티오메틸 에테르가 얻어질 수 있다. 디메틸술파이드법에서 7-히드록시가 바람직한 메틸티오메틸화 부위라 할지라도, 7-모노메틸티오메틸 에테르가 원하는 생성물이라면 2′-히드록시기를 보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구나, 반응 조건은 비스- 또는 트리스-메틸티오메틸 에테르 탁산 유도체의 형성에 유용하도록 조작될 수 있다. 예를들어, 패클리탁셀의 경우에, 반응 시간을 증가시키거나 과량의 메틸티오메틸화제를 사용하면 생성 혼합물에서 높은 비율의 2′,7-비스(메틸티오메틸)에테르 패클리탁셀을 얻을수 있다.
반응식(V)으로 돌아가서, 과정(1a)에서 식(Ia)의 화합물을 디메틸술파이드와 벤조일 퍼옥사이드와 같은 유기 옥사이드로 처리한다. 반응은 아세토니트릴, 메틸렌 클로라이드 등과 같은 불활성 유기 용매에서 생성물 형성을 촉진하는 온도에 수행되며; 전형적으로는 반응은 약 -40℃-약 상온의 온도에서 수행된다. 디메틸술파이드와 벤조일 퍼옥사이드가 탁산 유도체 출발물질(Ia)에 비해 과량으로 사용되며, 디메틸술파이드는 벤조일 퍼옥사이드에 비해 과량으로 사용된다.
사용된 출발물질의 상대량은 성취될 메틸티오메틸화의 정도에 따를 것이다. 따라서 탁산 유도체 출발물질(Ia)의 한 개 유리 히드록시기가 메틸티오메틸 에테르로 전환될 때, 디메틸술파이드와 벤조일 퍼옥시드가 탁산 유도체(Ia)에 비해 10배 과량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디메틸술파이드가 벤조일 퍼옥사이드에 비해 약 2-3배 과량으로 사용된다. 출발물질(Ia)이 2′- 및 7-히드록시기 모두를 가진 경우에, 얻어진 2′,7-비스(메틸티오메틸)에테르의 양은 디메틸술파이드와 벤조일 퍼옥사이드의 상대량과 함께 증가한다. 2′,7-비스(메틸티오메틸)에테르가 원하는 생성물일 때, 디메틸술파이드는 탁산 유도체 출발물질의 약 15-약 20배 과량으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벤조일 퍼옥사이드는 탁산 유도체 출발물질에 비해 약 5- 약10배 과량으로 사용된다.
다른 방도로서, 식(Ib)의 화합물은 식(Ia)의 화합물을 디메틸술폭시드와 무수 초산과 반응시킴으로서(방법 (1b)) 제조될 수 있다. 이 방법은 비-2′-히드록시기를 그의 메틸티오메틸 에테르로 유도화하는데 적합하다. 방법 (1b)에서, 식(Ia)의 화합물을 디메틸술폭시드에 용해시키고 무수 초산을 용액에 첨가한다. 반응은 통상적으로 상온에서, 18-24시간 동안 수행되어 모노메틸티오메틸 에테르를 생성한다.
반응 시퀀스중 제2단계에서, 메틸티오메틸 에테르를 상응하는 보호된 포스포노옥시메틸 에테르로 전환시킨다. 보호된 포스포노옥시메틸로 메틸티오메틸의 전환은 Veeneman et al, Tetrahedron, 1991, v47, pp. 1547-1562에 보고된 일반적인 방법에 의해 성취될 수 있으며, 관련부분은 참고로 속한다. 따라서, 적어도 한 개의 메틸티오메틸 에테르기를 가진 식(Ib)의 화합물은 N-요도숙신이미드와 디벤질 포스페이트와 같은 보호된 포스포린산으로 처리된다. 반응은 테트라히드로푸란과 같은 불활성 유기 용매 또는 1,2-디클로로에탄 또는 메틸렌 클로라이드와 같은 할로겐화 탄화수소에서 수행되며, 임의로 분자체와 같은 탈수제의 존재하에 수행된다. 은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네이트와 같은 촉매는 반응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첨가될 수 있다. 반응은 약 0℃- 약 상온의 온도에서, 바람직하게는 상온에서 수행된다. N-요도숙신이미드와 보호된 포스포린산은 메틸티오메틸에테르(Ib)와 대략 동일 몰당량으로 사용되나, 바람직하게는 약간 과량으로, 예를들어 식(Ib)의 화합물에 비해 약 1.3- 약 1.5당량으로 사용된다.
반응 시퀀스중 제3단계에서, 포스포노 보호기와 히드록시 보호기가 존재한다면, 제거된다. 탈차단은 산- 또는 염기-촉매화 가수분해, 가수소화분해, 환원, 등과 같은 본 기술에 잘알려진 종래의 방법에 의해 성취된다. 예를들어, 촉매 가수소화분해가 이용되어 벤질 포스포노 보호기 그외에 벤질록시카르보닐 히드록시 보호기를 제거할 수 있다. 탈보호 방법은 Greene과 Wutz, 또는 MoOmie, 상기 인용문과 같은 기준 텍스트에서 발견될 수 있다. 물론 식(Ia)의 화합물이 라디칼 Rx에서 히드록시기를 함유한다면, 히드록시기는 최종 단계에서 탈보호될 때까지 적합한 히드록시 보호기로서 보호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전에 제시된 바와 같이 반응식(V)에서 과정은 본 기술에 숙련된 자에 의해 본 발명에 포함된 교시에 따라 변형되어 m이 1,2 또는 3인 식(A)의 탁산 유도체로 도달될 수 있다. 예를들어, 반응식(Va 및 Vb)은 본 기술에 숙련된 자가 본 발명에서 포함된 교시를 변형하여 적어도 한가지 치환체가 -OCH2(OCH2)2OP(O)(OH)2인 식(A)의 화합물에 도달할 수 있다는 것을 구체적으로 예시하고 있다. 유사하게도 m이 3인 식(A)의 다른 화합물이 쉽게 얻어질 수 있다.
[반응식 Va]
[반응식 Vb]
식(I)의 화합물의 염기염은 식(I)의 화합물의 유리산을 금속 염기 또는 아민과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한 종래의 기술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적합한 금속 염기는 소디움, 포타슘, 리튬, 칼슘, 바륨, 마그네슘, 아연 및 알루미늄의 히드록시드, 카보네이트 및 바이카보네이트를 포함하며; 적합한 아민은 트리에틸아민, 암모니아, 리신, 아르기닌, N-메틸글루카민, 에탄올아민, 프로카인, 벤자틴, 디벤질아민, 트로메타아민(TRIS), 클로로프로카인, 콜린,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등을 포함한다. 염기염은 크로마토그래피 이어서 동결건조 또는 결정화에 의해 추가로 정제될 수 있다.
[탁산 유도체 출발물질]
상기에 기재된 방법은 식(A)의 화합물을 형성하는 식 T-[OH]n의 탁산 유도체에 적용될 수 있다. T-[OH]n의 많은 실예가 문헌에 보고된 바 있으며 그들중 몇가지가 다음에 제시된다. (a) 패클리탁셀; (b) 탁소테레R; (c) 10-데스아세틸패클리탁셀; (d) 다음식을 가진 PCT 출원 93/06079(1993. 4. 1자 공개)에 개시된 탁산 유도체; (e) 미국특허 제5,227,400호에 개시된 탁산 유도체 패클리탁셀, 탁소테레R의 3′-데스페닐-3′-(2-푸릴) 또는 3′-(2-티엔일) 유도체; (f) 1993. 3. 31자 공개된 EP 534,709에 개시된 탁산 유도체(측쇄 페닐기가 각각 나프틸, 스티릴 또는 치환 페닐로서 대체된 패클리탁셀 유도체)(참조 1992. 6. 11자 공개된 PCYT 92/09589); (g) 1993. 3. 31자 공개된 EP 534,707에 개시된 탁산 유도체(3′-N-벤조일기가 에톡시카르보닐 또는 메톡시카르보닐로서 대체된 패클리탁셀 유도체); (h) 1993. 4. 1자 공개된 PCT 출원 93/06093(패클리탁셀 및 탁소테레R의 10-데스아세톡시 유도체); (i) 1993. 1. 20자 공개된 EP 524,093(10-, 7-, 또는 7,10-비스-0-(N-치환 카바모일 탁산 유도체); (j) Klein, “Synthesis of 9-Dihydrotaxol: A New Bioactive Taxane,” Tetrahedron Letters, 1993, 34(13): 2047-2050에 기재된 패클리탁셀의 9-α히드록시 동족체; (k) the 205th ACS National Meeting in Colorado, 1993에 개시된, 14β-히드록시-10-데아세틸박카틴 III으로부터 제조된 패클리탁셀 및 탁소테레의 14-β-히드록시 동족체(Med. Chem. Division, Abstract No. 28); 및 (l) 다른 탁산, 이를테면 전적으로 본 발명에서 참고로 속한 1994. 1. 5자로 공개된 유럽특허출원 제577,082A1호에 개시된, C7-플루오로탁산 및 다양한 C10-치환 탁산:
상기식에서 R1은 -OR6, -SR7, 또는 -NR8R9이며; R2는 수소, 알킬, 알켄일, 알킨일,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이며; R3와 R4는 R3와 R4가 모두 아실이 아니라는 조건하에, 각각 수소, 알킬, 알켄일, 알킨일, 아릴, 헤테로아릴, 또는 아실이며; R5는 -COR10, -COOR10, -COSR10, -CONR8R10,-SO2R11, 또는 -POR12R13이며; R6는 수소, 알킬, 알켄일, 알킨일, 아릴, 헤테로아릴, 히드록시 보호기, 또는 탁산 유도체의 수용성을 증가시키는 작용기이며; R7은 알킬, 알켄일, 알킨일, 아릴, 헤테로아릴, 또는 술프히드릴 보호기이며; R8은 수소, 알킬, 알켄일, 알킨일, 아릴, 헤테로아릴이며; R9는 아미노 보호기이며; R10은 알킬, 알켄일, 알킨일,아릴, 헤테로아릴이며; R11은 알킬, 알켄일, 알킨일, 아릴, 헤테로아릴, -OR10, 또는 -NR8R14이며; R12와 R13은 각각 알킬, 알켄일, 알킨일, 아릴, 헤테로아릴, -OR10, 또는 -NR8R14이며; R14는 수소, 알킬, 알켄일, 알킨일, 아릴, 헤테로아릴이며; R15와 R16은 각각 수소, 히드록시, 저급 알칸오일록시, 알켄오일록시, 알킨오일록시, 아릴오일록시이거나 R15와 R16이 다같이 옥소를 형성하며; R17과 R18은 각각 수소, 히드록시, 저급 알칸오일록시, 알켄오일록시, 알킨오일록시, 아릴오일록시이거나 R17과 R18이 다같이 옥소를 형성하며; R19와 R20은 각각 수소 또는 히드록시 또는 저급 알칸오일록시, 알켄오일록시, 알킨오일록시, 아릴오일록시이며; R21과 R22는 각각 수소 또는 저급 알칸오일록시, 알켄오일록시, 알킨오일록시, 또는 아릴오일록시이거나 R21과 R22가 다같이 옥소를 형성하며; R24는 수소 또는 히드록시 또는 저급 알칸오일록시, 알켄오일록시, 알킨오일록시, 또는 아릴오일록시이거나; R23과 R24가 다같이 옥소 또는 메틸렌을 형성하고 또는 R23과 R24가 그들이 결합되어 있는 탄소원자와 다같이 옥시란 고리를 형성하고 또는 R23과 R22가 그들이 결합되어 있는 탄소원자와 다같이 옥세탄 고리를 형성하며; R25가 수소, 히드록시, 또는 저급 알칸오일록시, 알켄오일록시, 알킨오일록시, 또는 아릴오일록시이며; 또는 R26이 수소, 히드록시, 또는 저급 알칸오일록시, 알켄오일록시, 알킨오일록시, 또는 아릴오일록시이며; 또는 다같이 취한 R26과 R25가 옥소를 형성하며; R27이 수소, 히드록시 또는 저급 알콕시, 알칸오일록시, 알켄오일록시, 알킨오일록시, 또는 아릴오일록시이다.
탁산 유도체의 유리 히드록시기 또는 기들은 종래의 방법에 의해 상응하는 에스테르 또는 카보네이트로 전환될 수 있으며; 예를들어 식(Ia)의 화합물에서 R1a, R2a또는 R3a중 한가지가 -OC(O)Rx또는 -OC(O)ORx이며 Rx는 이전에 정의된 것과 같다. 따라서, 탁산 유도체 T-OH를 삼차 아민과 같은 염기의 존재하에 식 L-C(O)ORx(L은 이탈기임)의 화합물과 반응시켜 상응하는 카보네이트를 제공하며; 예를들어, 패클리탁셀은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의 존재하에 에틸 클로로포르메이트와 반응하여 2′-0-에틸록시카르보닐패클리탁셀을 제공한다. T-OH는 또한 카르복실산 RxCO2H 또는 그의 아실화 당량체(예를들어 무수물, 활성 에스테르 또는 아실 할라이드)와 반응하여 상응하는 에스테를 제공한다. 물론 L-C(O)ORx, 또는 RxCO2H 또는 그의 아실화 당량체에서 Rx가 히드록시기를 함유할 때, 그들은 바람직하게도 적합한 히드록시 보호기로서 보호된다.
추가로, 탁산 유도체 T-[OH]n은 C13-히드록시기를 가진 탁산 성분을 적절히 치환된 3-아미노-2-히드록시프로판산, 그의 아실화 당량체, 또는 그의 전구체로서 아실화함으로서 제조될 수 있다. 치환된 3-아미노-2-히드록시프로판산의 적합한 전구체는 예를들어 식(III)의 아제티디논이다. 이 아실화 반응은 예를들어 Denis et al, 미국특허 4,924,011 및 4,924,012에서 개시된 패클리탁셀 유도체를 제공하는 히드록시 보호 박카틴 III 또는 히드록시 보호 10-데아세틸박카틴 III 및 페닐이소세린 유도체의 커플링에서; 및 1990. 12. 5자로 공개된 EP 출원공고 400,971호(현재 미국특허 5,175,315) 및 미국특허 5,229,526에서 개시된 패클리탁셀 및 그의 유도체를 제공하는 보호 박카틴 III과 아제티디논의 커플링에서 예시된다.
EP 400,971에 기재된 방법(Holton법)은 N,N-디메틸아미노피리딘과 피리딘의 존재하에 25℃에서 12시간 동안 1-벤조일-3-(1-에톡시)에톡시-4-페닐-2-아제티디논을 7-0-트리에틸실릴박카틴 III과 반응시키는 것을 포함하며; 다양한 히드록시 보호기를 제거한 후 패클리탁셀을 얻는다. Holton법의 개선법이 Ojima et al에 의해 “New and Efficient Approaches to the Semisynthesis of Taxol and its C-13 Side Chain Analogs by Means of β-Lactam Synthon Method” Tetrahedron, 1992, 48(34): 6985-7012에 보고되어 있다. Ojima법은 처음에 소디움 하이드라이드와 함께 7-트리에틸실릴박카틴 III의 소디움 염을 생성시키는 것을 포함하며; 그후 이 염을 1-벤조일-3-(1-에톡시)에톡시-4-페닐-2-아제티디논과 반응시켜 히드록시 보호기의 제거후에 패클리탁셀을 제공한다. 미국특허 5,229,526에서 Holtn은 박카틴 III 또는 그의 유도체의 금속 알콕시드를 2-아제티디논과 커플링하여 C13 측쇄를 가진 탁산을 제공하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이 방법은 부분입체선택성이 크다고 일컬어지고 있으며; 따라서 측쇄 전구체 2-아제티디논의 라세미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최근에, Ojima et al은 “A Highly Efficient Route to Taxotere by the β-Lactam Synthon Method,” Tetrahedron Letters, 1993, 34(26): 4149-4152에서 탈보호후에 탁소테레R를 제공하는 키랄1-(t-부톡시카르보닐)-4-페닐-3-(보호 히드록시)-2-아제티디논과 7,10-비스-0-(트리클로로에톡시카르보닐)-10-데아세틸박카틴 III의 금속 알콕시드의 커플링을 보고하였다. 이들 두가지의 문헌중 관련 부분은 본 발명에서 참고로 속한다.
식(Ia)의 화합물의 제조로 일반화된 박카틴/아제티디논법이 반응식(VI)으로 예시된다. 다시, 식(Ia)내에 특히 포함되지 않는 다른 탁산 유도체가 또한 적합한 출발 물질을 사용하여 본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반응식 VI]
반응식(VI)에서, R2′는 수소이고, R2d는 수소, 보호 히드록시, -OC(O)Rx또는 -OC(O)ORx이고; R3d는 수소, -OC(O)Rx, C1-6알킬록시, 보호 히드록시 또는 -OC(O)ORx이며; R6d또는 R7d중 한가지는 수소이고 나머지는 히드록시, 보호 히드록시 또는 C1-6알칸오일록시이거나; R6d및 R7d가 다같이 옥소기를 형성하며; P는 히드록시 보호기이며; M은 수소 또는 리튬, 소디움 또는 포타슘과 같은 IA족금속이며; P, R4, R5및 Rx는 이전에 정의된 것과 같다. 반응은 M이 수소인 식(II)의 박카틴 III 유도체를 N,N-디메틸아미노피리딘과 같은 유기 염기의 존재하에 식(III)의 아제티디논과 반응시키는 EP 400,971에 개시된 방법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도 박카틴 III 유도체는 미국특허 5,229,526호와 Ojima 문헌, 상기 인용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처음에 전자를 IA족 금속의 히드리드, 알킬아미드, 및 비스(트리알킬실리)아미드와 같은 강염기로서 처리함으로서 13-알콕시드로 전환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3-알콕시드가 리튬 알콕시드이다. 리튬 염의 형성은 M이 수소인 식(II)의 화합물을 금속 강염기, 이를테면 리튬 디이소프로필아미드, C1-6알킬리튬, 리튬 비스(트리메틸실릴)아미드, 페닐리튬, 리튬 하이드라이드, 또는 유사한 염기와 반응시킴으로서 성취될 수 있다. 물론 식(II)의 화합물이 라디칼 Rx에서 히드록시기를 함유한다면, 히드록시기는 바람직하게도 적합한 히드록시 보호기로서 보호된다.
식(II)의 탁산과 식(III)의 아제티디논 사이의 커플링 반응은 약 0℃-약 78℃의 감소된 온도에서 테트라히드로푸란과 같은 불활성 유기 용매에서 수행된다. 식(III)의 아제티디논은 M이 IA족 금속인 식(II)의 탁산 금속 알콕시드와 커플링하는 라세미 혼합물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아제티디논 반응물은 바람직하게도 탁산 반응물에 대해 적어도 2당량으로 사용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3-약 6당량이다. 키랄 아제티디논이 또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탁산에 대한 아제티디논이 1당량이 충분하나, 바람직하게는 아제티디논이 약간 과량으로, 예를들어 1.5당량 이하로 사용된다.
히드록시 보호기는 동일할 수 있으며 또는 그들은 실제로 다른 것에 영향이 없이 한가지 또는 그 이상의 보호기를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방식으로 선택될 수 있으며; 예를들어, 식(Id)의 화합물에서, R2d및 PO는 둘 다 트리에틸실릴록시이고, R3d는 벤질록시카르보닐일수 있으며; 탄소위 팔라듐의 존재하에 촉매 가수소화분해는 트리에틸실릴기를 제거함이 없이 벤질록시카르보닐 보호기를 제거한다. 따라서, 식(Id)의 화합물의 히드록시 보호기는 선택적으로 제거되어 식(Ia)의 화합물을 제공할 수 있다.
식(II)의 화합물, 예를들어 박카틴 III, 10-데아세틸박카틴 III 및 그들의 히드록시 보호 유도체가 문헌에 알려져 있거나, 또는 종래의 방법, 예를들어 히드록시기를 카보네이트로 전환시킴으로서 공지 화합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식(II)의 추가 화합물은 출발물질의 제조란에서 다음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식(III)의 화합물은 EP 400,971 및 Ojima et al, Tetrahedron, 48: 6985-7012, 1992에 기재된 일반적인 방법에 따라 식(IIIa)의 화합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식(IIIa)의 화합물을 처음에 n-부틸리튬 또는 트리에틸아민과 같은 염기로 처리하고; 이어서 L이 이탈기인 식 R4(O)pCO-L의 화합물로서 처리하여 식(III)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식(IIIa)의 화합물은 EP 400,971에 기재된 일반적인 방법에 따라 중간체 화합물 3-아세톡시-4-치환-2-아제티디논(IIIb)을 통해 수행하거나; 또는 US5,229,526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중간체 화합물 3-트리에틸실릴록시-4-치환-2-아제티디논을 통해 수행함으로서 제조될 수 있다. 개선된 방법에서 화합물(IIIb)은 아세톡시아세틸 클로라이드를 비스-이민과 축합하고 이어서 가수소분해 또는 산분해하여 N-이민기를 제거함으로서 얻어질 수 있으며; 이 방법은 R5′가 임의로 치환된 아릴 또는 푸릴 또는 티엔일과 같은 헤테로아릴기인 다음의 반응식에서 제시된다. 이 방법은 본 발명에서 참고로 속한 1993. 12. 13자 출원된 계류중인 출원 U.S.S.N. 08/162,610에 개시되어 있다.
이들 시클로첨가 반응에서 얻어진 생성물(IIIb)은 통상적으로 두가지의 시스-아제티디논의 라세미 혼합물이다. 라세미 혼합물은 부분입체이성체로 전환, 키랄 흡착제로 충전된 컬럼에서 시차 흡착, 또는 효소적으로 이들과 같은 종래의 방법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예를들어, 식(IIIb)의 화합물의 라세미 혼합물을 에스테르의 가수분해를 촉매화하는 효소, 예를들어 에스테라제 또는 리파제와 접촉시켜 다른 것에 영향이 없이 에난시오머의 3-아실기를 선택적으로 분해할 수 있다(참조예 Brieva et al, J. Org. Chem., 1993, 58: 10681075; 또한 1993. 7. 14자 출원된 계류중인 출원 U.S.S.N 092,170, 1993. 7. 21자 공개된 유럽 특허출원 552041). 다른 방도로서, 라세미 혼합물을 처음에 염기-촉매 가수분해시켜 3-아실기를 제거하고 상응하는 3-히드록시 β-락탐의 라세미 혼합물을 생성시킬 수 있으며; 그후 3-히드록시 β-락탐의 라세미 혼합물을 히드록시기의 아실화를 촉매화할 수 있는 효소와 접촉시켜 다른 것에 영향이 없이 한가지 에난시오머의 히드록시기를 선택적으로 아실화한다. 또는 3-히드록시 β-락탐의 라세미 혼합물을 키랄 카르복실산과 아실화할 수 있으며 얻어진 부분입체이성체 혼합물을 본기술에서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여 분리할수 있으며, 키랄 보조제를 제거하여 원하는 에난시오머를 제공한다.
Ojima et al은 J. Org. Chem., 56: 1681-1683, 1991; Tet. Lett., 33: 5737-5740, 1992; 및 Tetrahedron, 48: 6985-7012, 1992에서 식(IIIa)의 여러 가지 키랄 아제티디논 및/또는 상응하는 N-(p-메톡시페닐) 동족체(congener)의 합성을 보고하였고; 여기서 P는 히드록시 보호기 트리이소프로필실릴이고; R5는 4-메톡시페닐, 3,4-디메톡시페닐, 페닐, 4-플루오로페닐, 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 2-푸릴, 2-페닐에텐일, 2-(2-푸릴)에텐일, 2-메틸프로필, 시클로헥실메틸, 이소프로필, 펜에틸, 2-시클로헥실에틸, 또는 n-프로필이다. 식(IIIa) 및/또는 (III)의 아제티디논을 제조하는 다른 문헌은 모두 1993. 3. 31자 공개된, 유럽특허 출원 0,534,709 Al, 0,534,708 Al, 및 0,534,707 Al; 1993 4. 1자 공개된 PCT 출원 WO 93/069079; Bioorganic and Medicinal Chemistry Letters, 3, No. 11, pp 2475-2478 (1993); 또한 Bioorganic and Medicinal Chemistry Letters, 3, No. 11, pp 2479-2482(1993); J. Org. Chem., 58, 99 1068-1075; Tetrahedron Letters, 31, No. 44, pp 6429-6432 (1990); Bioorganic and Medicinal Chemistry Letters, 3, No. 11, pp 2467-2470 (1993); 1993. 7.21자 공개된 유럽출원 552,041; 및 1993. 7. 14자 출원된 계류중인 미국출원 092,170에서 발견될 수 있다. 이전에 언급된 모든 문헌의 관련 부분은 본 발명에서 참고로 속한다. 식(III)의 정의내이나 이들 문헌에 특히 기재되지 않은 다른 아제티디논은 본기술에서 일반적으로 알려진 방법에 따라 본기술에 숙련된자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생물학적 평가]
본 발명의 식(B)의 화합물은 식(A)의 신규 항종양제에 대해 유용한 중간체이다. 이에 더하여, 식(B)의 범위내에서 몇가지 화합물, 즉 식(B′)의 화합물은 그들 자체가 항종양제라고 발견되었다. 다음의 생물학적 섹션 I은 식(A)의 화합물의 항종양 활성을 제시한다. 다른 한편, 다음의 생물학적 섹션 II는 식(B′)의 화합물의 항종양 활성을 제시한다.
[생물학적 섹션 I]
[시험관내 세포독성 데이터]
식(A)의 화합물은 사람의 결장암 세포 HCT-116 및 HCT-116/VM46에 대한 시험관내 세포독성 활성을 나타냈다. HCT-116/VM46 세포는 이전에 테니포시드 내성에 대해 선택된 바 있는 세포이며, 패클리탁셀에 대한 내성을 비롯하여, 다약물 내성 페노타이프를 발견한다. D.A.Scudiero, et al., “Evaluation of soluble tetrazolium/formazan assay for cell growth and drug sensitivity in culture using human and other tumor cell lines”, Cancer Res. 48: 4827-4833, 1988에서 보고된 XTT(2,3-비스(2-메톡시-4-니트로-5-솔프페닐)-5-[(페닐아미노)카로보닐]2H-테트라졸리움히드록시드) 시험에 의해 HCT-116 사람의 결장암 세포에서 세포독성을 시험하였다. 세포를 96 웰 마이크로타이터 플레이터에 4000 세포/웰로 플레이트화하고 24시간후에 약물을 첨가하고 순차 희석하였다. 세포를 37℃에서 72시간 동안 배양시키고 이때 테트라졸리움 염로, XTT를 첨가하였다. 셍존 세포에서 탈수소화제 효소는 XTT를 스펙트로포토미터로 정량화될 수 있는 450㎚에서 광을 흡수하는 형태로 환원시킨다. 흡광도가 클수록, 생존 세포의 수가 크다. 결과를 미처리 대조 세포에 50%로 세포 증식을 억제하는데 필요한 약물 농도(즉, 450㎚에서 흡광도)인, IC50으로 표시한다. 본 시험에서 평가된 화합물에 대한 IC50치를 표 I에 제시한다.
[표 I]
사람의 결장암 세포에 대한 시험관내 세포독성 데이타
1실시예 1과 4는 유리산으로서; 실시예3은 소디움염으로서,
화합물 7-0-메틸티오메틸패클리탁셀(실시예 1(a))을 또한 세포독성 시험에서 시험하였고 그것은 HCT-116에 대해 0.003μM 및 HCT-116/VM46에 대해 0.025μM의 IC50을 보여주었다.
[생체내 항종양 활성]
Balb/c x DBA2F1히브리드새앙쥐에 M109 폐암의 2%(w/v) 브레이 0.1㎖를 피하로(sc) 주입하였다(W. Rose “Evalutionof Madison 109 Lung Carcinoma as a Model for Screening Antitumor Drugs”, Cancer Treatment Reports, 65, No. 3-4 pp. 299-312 (198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시험 화합물과 참조 약물, 패클리탁셀을 새앙쥐군에 정맥내로 투여하였고; 각 군은 서로 다른 투여량 수준에서 화합물을 섭취하였고, 화합물당 세 개 또는 네 개의 다른 투여량 수준을 평가하였다. 새앙쥐의 사망 또는 종양 이식 약 75일후중 어느 것이든지 처음에 발생될 때까지 생존에 대해 새앙쥐를 매일 관찰하였다. 실험 마다 일군의 새앙쥐를 미처리하고 대조군으로서 하였다. 매주 1 또는 2회 종양을 측정하고 공개된 방법에 따라(ibid) 종양 중량을 평가하는데 크기(㎜)를 사용하였다.
화합물-처리(T) 새앙쥐의 중간생존시간을 평행 대조(C) 새앙쥐의 중간생존시간과 비교하였다. 새앙쥐의 각 화합물-처리 군에 대한 두값의 비율을 100으로 곱하고 표 II에서 대표적인 화합물에 대한 퍼센트(즉, % T/C)로서 표시하였다. 추가로, 종양을 1gm으로 성장시키는 처리군에 대한 중간시간과 대조군에 대한 중간시간의 차이를 T-C값(일)으로 표시하고, 표 II에 제시한다. T-C 값이 클수록, 일차 종양 성장의 지연이 크다. %T/C ≥ 125% 및/또는 T-C ≥ 4.0 일을 나타내는 화합물은 M109 SC 모델에서 활성이 있다고 생각된다.
[표 II]
a화합물을 종양 이식후 4, 5, 6, 7 및 8일에 1일 1회 i.v. 투여하였다.
b화합물을 종양 이식후 5, 6, 7, 8 및 9일에 1일 1회 i. v. 투여하였다.
c고투여량은 수명의 최대 증가를 성취하였고; 저투여량은 종양 성장의 최대 지연을 야기시키는데 관련되었다.
d소디움염.
실시예 3의 화합물(트리에탄올아민 염으로서)을 양성 대조군으로서 패클리탁셀에 대해 쥐 및 사람의 이종이식 종양 모델(M109, A2780/cDDP- 시스플라틴에 내성이 있는 사람의 난소암, 및 HCT-116 -사람의 결장암)에서 추가로 평가하였다. A2780/cDDP 모델은 Rose and Basler, In Vivo, 4: 391-396에 기재되어 있으며; HCT-116 모델은 Rose and Basler, In Vivo, 1989, 3: 249-254에 기재되어 있다. M109를 Balb/C 새앙쥐에서 2주마다 sc 계대하였고(passage) 항종양 평가를 위해 CDF1 새앙쥐로 sc 이식하였다. A2780/cDDP 와 HCT-116을 무흉선 새앙쥐에서 계대(매 2-3주) 및 치료 실험 모두를 위해 성장시켰다. 실시예 3의 화합물을 물에서 iv 투여하거나, 몇 방울의 Tween 80과 함께 물에서 경구 투여하였고, 반면에 패클리탁셀을 물 플러스 Tween 80에 분산시키거나, 크레모포르/에탄올(50%/50%)에 용해시키고 식염수로서 희석하였다. sc M109 종양 시험을 위한 처리 식이법은 종양 이식후 4일에 시작하여 연속 5일간 매일 한번이었다. 사람의 종양 이종이식 시험을 위해, 종양이 50-100㎎ 사이의 단계에 있을 때 시작하여 5회 투여동안 격일마다 매일 1회 화합물을 제공하였다.
M109 실험에서, iv 투여된 실시예 3의 화합물을 36㎎/㎏/inj.에서 최대 %T/C 155(T-C 19일)를 성취하였다(참조, 패클리탁셀 36 또는 18㎎/㎏/inj.에서 최대 %T/C 132(T-C 13일)). 동일한 실험에서, 경구 투여된 실시예 3의 화합물은 160㎎/㎏/adm.의 투여량에서 최대 %T/C 158(T-C 22.8일)을 성취하였고 반면에 물과 Tween 80에 분산된 패클리탁셀은 동일 투여량에서(가장 높게 시험됨)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또다른 M109 실험에서, iv 투여된 실시예 3의 화합물은 48㎎/㎏/inj.에서 최대 %T/C 170(T-C 17일)을 나타냈다(참조 패클리탁셀 48 또는 36㎎/㎏/inj.에서 최대 %T/C 167(T-C 14일)). 동일 실험에서, 경구 투여된 실시예 3의 화합물은 200㎎/㎏/adm.의 투여량에서 최대 %T/C 172(T-C 17일)을 나타냈고 반면에 크레모포르/에탄올/식염수에 용해된 패클리탁셀은 60㎎/㎏/inj.에서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본 실험에서, 크레모포르/에탄올/식염수에 용해된 패클리탁셀은 용해도와 특성 압박으로 인해 60㎎/㎏/inj. 이상으로 투여될 수 없었다.
A2780/cDDP 실험에서, iv 투여된 실시예 3의 화합물은 36㎎/㎏/inj.에서 최대 T-C치 29.8일을 나타냈다(참조 패클리탁셀 36㎎/㎏/inj.에서 최대 T-C 26.3일). 경구 투여된 실시예 3의 화합물은 160㎎/㎏/adm.의 투여량에서 최대 T-C 20일을 나타냈다. HCT-116실험에서, 패클리탁셀 24 또는 36㎎/㎏/inj.로서 iv 처리는 각각 처리 새앙쥐 7마리중 6마리의 치료 또는 8마리중 7마리의 치료를 나타냈고, 실시예 3의 경구 화합물의 160 또는 240㎎/㎏/adm.은 각각 처리 새앙쥐 8마리중 6 또는 7마리를 치료하였다. 치료는 종양 이식후 80일에 종양이 없음을 의미한다.
실시예 1의 화합물의 트리에탄올아민염이 또한 M109 및 HCT-116 모델에서 경구 활성을 가지고 있다고 발견되었다.
본 기술에서 특정 염 형태가 사용되는 것에 따라 항종양 활성에 몇가지, 통상적으로 약간의 변형이 존재할 것이라는 것이 잘 확인된다.
식(A)의 탁산 유도체의 포스포노옥시메틸 에테르의 약리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패클리탁셀에 비해 개선된 수용성을 나타냈고, 따라서 보다 편리한 약제 배합물을 허용하였다. 이론에 관계없이, 본 발명의 포스포노옥시메틸 에테르는 패클리탁셀 또는 그의 유도체의 전구 약물이며; 포스포노옥시메틸 성분은 생체내에서 포스파타제와 접촉시 분해되어 모체 화합물을 생성한다고 믿어진다.
[생물학적 센션 II]
[새앙쥐 M109 모델]
Balb/c x DBA/2 F1히브리드 새앙쥐를 William Rose, Evaluation of Madison 109 Lung Carcinoma as a Model for Screening Antitumor Drugs, Cancer Treatment Reports, 65, No. 3-4 (1981)에 기재된 바와 같이, M109 폐암의 2%(w/v) 브레이 0.5㎖로서 복강내 주입하였다.
새앙쥐를 종양 이식후 1, 5 및 9일 또는 이식후 5 및 8일에 여러 가지 투여량의 복강 주사액을 섭취시켜 연구중인 화합물로서 처리하였다. 종양 이식후 약 75-90일까지 생존에 대해 새앙쥐를 매일 확인하였다. 실험에 대해 일군의 새앙쥐는 미처리 상태로 유지하여 대조군으로서 사용하였다.
화합물-처리(T) 새앙쥐의 중간생존시간을 대조(C) 새앙쥐의 중간생존시간과 비교하였다. 각 화합물 처리군의 새앙쥐에 대한 두가지 값의 비율을 100으로 곱하고 표 III에서 식(B+)의 대표 화합물에 대해 퍼센트(즉, %T/C)로서 표시하였다.
[표 III]
상기에 제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식(A) 및 (B+)의 화합물은 효과적인 종양 억제제이며, 따라서 사람 및/또는 수의약에서 유용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다른 일예는 식(A) 또는 (B+)의 화합물의 항종양 유효량을 종양 함유 숙주에 투여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사람 및/또는 다른 포유류 종양을 억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식(A) 및(B+)의 화합물은 패클리탁셀과 유사한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암치료 기술에 숙련된 종양학자는 부적당한 실험없이 본 발명의 화합물을 투여하는 적합한 치료 프로토콜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에 대한 투여량, 투여 모드 및 스케쥴은 특히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된 특정 화합물에 따라 다를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적합한 투여 경로, 바람직하게는 비경구로 투여될 수 있으며; 투여량은 예를들어 체중의 약 1- 약 100㎎/㎏, 또는 약 20- 약 500㎎/㎡일 수있다. 식(A) 및 (B+)의 화합물은 또한 경구로 투여될 수 있으며; 경구 투여량은 체중의 약 5- 약 500㎎/㎏일 수 있다. 사용된 실제 투여량은 배합된 특정 조성물, 투여 경로, 및 처리된 종양의 특정 부위, 숙주 및 형태에 따라 다를 것이다. 환자의 연령, 체중, 성별, 식이법 및 신체 조건을 비롯하여 약물 작용을 변형시키는 많은 요인은 투여량을 측정하는데 고려될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한가지 또는 그 이상의 약리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희석제 또는 부형약과 조합하여 식(A) 또는 (B+)의 화합물의 항종양 유효량을 함유한 약제 조성물(배합물)을 제공한다. 패클리탁셀 또는 그의 유도체를 배합하는 실예는 예를들어 미국특허 제4,960,790호 및 제4,814,470호에서 발견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예는 본 발명의 화합물을 배합하는데 수행될 수 있다. 예를들어, 본 발명의 화합물은 정제, 환약, 분말 혼합물, 캡슐, 주사약, 액제, 좌제, 에멀젼, 분산액, 식품 프리믹스, 및 다른 적합한 형태로 배합될 수 있다. 그들은 또한 예를들어 동결건조되고, 필요하다면 다른 약리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와 결합한 무균 고체 조성물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고체 조성물은 무균수, 생리적 식염수, 또는 물과 유기 용매, 이를테면 프로필렌 글리콜, 에탄올, 등의 혼합물, 또는 비경구 투여에 즉시 사용되는 다른 무균 주사 매질로서 재구성될 수 있다.
약리적으로 허용되는 전형적인 담체는 예를들어 만니롤, 우레아, 덱스트란, 락토스, 감자 및 옥수수 전분,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식물성 오일, 폴리알킬렌 글리콜, 에틸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칼슘 카보네이트, 에틸 올리에이트,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벤질 벤조에이트, 소디움 카보네이트, 젤라틴 포타슘 카보네이트, 규산이다. 의약 제제는 또한 예를들어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트리에탄올아민 올리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 모노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트리팔미테이트, 디옥틸 소디움 술포숙시네이트, 등과 같이 유화제, 방부제, 습윤제, 등과 같은 비독성 보조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다음의 실험적 방법에서, 모든 온도는 특정되지 않을 때, 센티그레이트(C)로 이해된다. 핵자기공명(NMR) 스펙트럼 특성치는 참고 기준으로서 테트라메틸실란(TMS)에 대한 백만당 부(ppm)로 표시된 화학전이(δ)에 관한 것이다. 프로톤 NMR 스펙트럼 데이터에서 다양한 전이에 대해 보고된 상대 면적은 분자에서 특정 작용 형태의 수소원자수에 상응한다. 다중도에 대한 전이의 특성은 넓은 단일선(bs), 넓은 이중선(bd), 넓은 삼중선(bt), 넓은 사중선(bq), 단일선(s), 다중선(m), 이중선(d), 사중선(q), 삼중선(t), 이중선의 이중선(dd), 삼중선의 이중선(dt), 및 사중선의 이중선(dq)으로서 기록되어 있다. NMR 스펙트럼을 취하는데 이용된 용매는 아세톤-d6(중수소화 아세톤), DMSO-d6(과중수소디메틸술폭시드), D2O(중수소수), CDCl3(중수소클로로포름) 및 다른 종래의 중수소화 용매이다. 적외선(IR)스펙트럼은 작용기 동정치를 가진 흡광도 파수(㎝-1)만을 포함한다.
셀라이트는 규조토에 대한 Johns-Manville Products Corporation의 등록상표명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약호는 본 기술에서 널리 사용된 종래의 약호이다. 이들중 몇가지는 다음과 같다: MS(질량 스펙트로미터); HRMS(고분해 질량 스펙트로미터); Ac(아세틸); Ph(페닐); v/v(부피/부피); FAB(급속 원자 충격); NOBA(m-니트로벤질 알코올); min(분); h 또는 hr(s)(시간); NIS(N-요도숙신이미드); BOC(t-부톡시카르보닐); CBZ 또는 Cbz(벤질록시카르보닐); Bn(벤질); Bz(벤조일); TES(트리에틸실릴); DMSO(디메틸술폭시드); THF(테트라히드로푸란); HMDS(헥사메틸디실라잔).
[출발물질의 제조]
식(A)의 화합물의 제조에 유용한 몇가지 특정 출발물질의 제조를 예시하면 다음과 같다.
[제조예 1]
10-데스아세톡시페클리탁셀
(a) 2′,7-0-비스(2,2,2,-트리클로로에톡시카르보닐)-10-데아세틸 패클리탁셀
건조 디클로로메탄(3.5㎖)내 10-데아세틸 패클리탁셀(140㎎, 0.173m㏖)을 0℃에서 피리딘(0.028㎖, 0.346m㏖)과 트리클로로에틸 클로로포르메이티(0.0724㎖, 0.260m㏖ )로서 처리하였다. 이 온도에서 1h후에, 냉각조를 제거하고 혼합물을 상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용매를 증발시키고 잔사를 실리카 겔(헥산내 30-50% 에틸 아세테이트)에서 크로마토그래피하여 발포체로서 표제의 화합물(92.3㎎, 46%)을 얻었다. 추가로 용출하여 미반응 출발물질(35㎎, 25%) 및 16%의 수율로 2′-10-0-비스(2,2,2,-트리클로로에톡시카르보닐)-10-데아세틸패클리탁셀을 제공하였다.
(b) 2′,7-O-비스(2,2,2-트리클로로에톡시카르보닐)-10-데스아세톡시-11,12-디히드록패클리탁셀-10,12(18)-디엔
건조 디클로로메탄(2㎖)내 단계(a)에서 얻어진 생성물(92.3㎎, 0.079m㏖)을 상온에서 1,1,2-트리플루오로-2-클로로트리에틸아민(0.0384㎖, 0.238m㏖)로서 처리하였다. 용액을 밤새 교반하였다. 용매를 증발시키고 잔사를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내 25% 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여 백색 분말로서 표제의 화합물(42.8㎎, 47.3%)을 제공하였다.
(c) 10-데스아세톡시-11,12-디히드로패클리탁셀-10,12(18)-디엔
단계 (b)의 생성물(39㎎, 0.034m㏖)을 메탄올(0.5㎖)과 초산(0.5㎖)에 용해시키고, 산-세척 아연 분말(66.4㎎, 1.020m㏖)로서 처리하였다. 슬러리를 40℃에서 1h 동안 가열하고, 여과시킨다음 여과액을 증발시켰다. 60% 에틸 아세테이트/헥산으로서 잔사의 크로마토그래피는 발포체로서 표제의 화합물(22㎎, 81%)을 제공하였다.
(c) 10-데스아세톡시패클리탁셀
에틸 아세테이트(0.7㎖)내 단계(c)의 생성물(22㎎, 0.028m㏖)을 대기압에서 목탄위 팔라듐(10%, 14.7㎎, 0.014m㏖ Pd)의 존재하에 수소화하였다. 상온에서 5.5h후에 여과(에틸 아세테이트로서 린스함). 증발 및 크로마토그래피(헥산내 60% 에틸 아세테이트)는 백색 발포체로서 표제의 생성물(15.0㎎, 68%)을 제공하였다.
[제조예 2]
7-데옥시-7α-플루오로패클리탁셀
(a)2′-0-벤질록시카르보닐-7-데옥시-7α-플루오로패클리탁셀
디에틸아미노술프르 트리플루오라이드(DAST, 18.7μl, 0.141m㏖)를 건조 디클로로메탄(0.5㎖)에 용해시키고, 이 용액을 0℃에서 냉각하였다. 디클로로메탄(1㎖)내 2′-0-(벤질록시카르보닐)패클리탁셀(71㎎, 0.072m㏖) 용액을 첨가하고 얻어진 용액을 0℃에서 30분간 및 상온에서 4h 동안 유지하였다. 그후, 반응물을 냉각하기 위하여 반응 혼합물에 물(0.15㎖)을 첨가하고 얻어진 혼합물을 농축하여 잔사를 유리하였다.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에서 크로마토그래피하여(헥산내 40% 에틸 아세테이트로서 용출됨) 표제의 화합물과 2′-0-벤질록시카르보닐-8-데스메틸-7,8-시클로패클리탁셀의 1:1 혼합물 61㎎(Y: 85.7%)을 얻었다.
(b) 7-데옥시-7α-플루오로패클리탁셀
단계 (a)에서 얻어진 생성물 혼합물(89㎎)을 에틸 아세테이트(3㎖)에 용해시키고 혼합물을 목탄위 팔라듐(10% Pd, 29㎎, 0.027m㏖)의 존재하에 수소 1기압을 약간 상회하여 교반하였다. 12h 후에, 용매를 제거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헥산내 40% 에틸 아세테이트로서 용출됨)에 의해 정제하여 8-데스메틸-7,8-시클로프로패클리탁셀과 같이, 표제의 화합물 67.7㎎을 얻었다.
7-데옥시-7α-플루오로패클리탁셀과 8-데스메틸-7,8-시클로프로파패클리탁셀을 분리하는데 사용된 HPLC법은 다음과 같다:
장치
펌프: PE 시리즈 4
컬럼: Shandon Hypercarb(흑연화 탄소), 7μ, 100×4.6㎜, #59864750
(예비 크기의 컬럼에 대한 정보는 Keystone Scientific, Bellefonte,
PA로부터 얻을 수 있음)
인젝터: PE ISS-100
디텍터: HP-1040M
조건
이동상: 85:15 메틸렌 클로라이드: 헥산
메틸렌 클로라이드; 헥산: 이소프로필 알코올 80:19:1에서
분리되지 못함
유속: 2.5㎖/min
디텍터: 254㎚
희석제: 메틸렌 클로라이드에 용해된 샘플
[제조예 3]
7-데옥시-7α-플루오로박카틴 III
불활성 분위기하에 건조 플라스크에 2′-0-(벤질록시카르보닐)패클리탁셀(4g, 4m㏖)과 건조 톨루엔(80㎖)을 첨가하였다. 건조 테트라히드로푸란(16㎖)을 무색 용액이 얻어질 때까지 적가하면서 얻어진 슬러리를 상온에서 교반하였다. 상기 용액을 건조 얼음/아세톤조에서 -78℃로 냉각한 다음 디에틸아미노술푸르 트리플루오라이드(DAST, 1.2㎖, 2.5eq.)로서 처리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점차 상온으로 가열될 때 16h 동안 교반하였다. 얻어진 분산액을 여과하고 여과액(에틸 아세테이트(30㎖)로서 희석됨)을 소디움 바이카보네이트 포화 수용액이어서 염수로 세척하였다. 유기 유분을 건조시키고(MgSO4) 농축하여 백색 발포체로서 원생성물을 제공하였다. 원물질을 실리카 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CH2Cl2내 10% CH3CN으로 용출됨)에 의해 부분적으로 정제하여 2′-0-(벤질록시카르보닐)-7-데옥시-7α-플루오로패클리탁셀과 2′-0-(벤질록시카르보닐)-8-데스메틸-7,8-시클로프로파패클리탁셀의 혼합물(1H-NMR에 의해 82:18 혼합물) 1.45g을 얻었다.
상기 혼합물(1.45g)을 에틸 아세테이트(60㎖)에서 취하고 탄소위 팔라듐(300㎎)으로서 처리하였다. 수소 스퀘어 인치당 50 파운드(psi)하에 4h 동안 교반한후, 반응물을 배기시키고 실리카 겔의 쇼트플러그를 통해 여과한다음 농축하였다. 이것은 백색 발포체(1.24g, Y: 99%,1H-NMR에 의해 90:10 혼합물)로서 원하는 생성물 혼합물, 7-데옥시-7α-플루오로패클리탁셀과 8-데스메틸-7,8-시클로프로파패클리탁셀을 공급하였다. 이 혼합물을 건조 메틸렌 클로라이드(30㎖)에서 취하고 테트라부틸암모늄 보로하이드라이드(745㎎, 2.9m㏖, 2eq)로서 처리하고 6h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초산(1㎖)으로서 냉각하고, 추가의 메틸렌 클로라이드(30㎖)로서 희석한다음 소디움 바이카보네이트 포화 수용액으로 세척하였다. 유기 유분을 건조시키고(MgSO4) 농축하였다. 원생성물, 치환 탁산 코어 혼합물을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CH2Cl2내 10% CH3CN으로 용출됨)에 의해 부분 정제하여 백색 발포체로서 7-데옥시-7α-플루오로박카틴 III과 8-데스메틸-7,8-시클로프로파박카틴 III(510㎎, 60%)의 90:10 혼합물(1H-NMR에 의해 측정됨)을 제공하였다. 얻어진 발포체를 가열 이소프로판올로부터 결정화하여 7-데옥시-7α-플루오로박카틴 III을 제공하였다(작은 백색 침상체(Y: 410㎎); m.p. 234-236℃(분해)).
[제조예 4]
10-데스아세톡시-7-데옥시-7α-플루오로패클리탁셀
(a) 2′-0-벤질록시카르보닐-10-데스아세톡시패클리탁셀
디클로로메탄(1㎖)내 10-데스아세톡시패클리탁셀(27㎎, 0.034m㏖)을 벤질 클로로포르메이트(0.0146㎖, 0.102m㏖), 이어서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0.0177㎖, 0.102m㏖)으로서 처리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에서 45분간, 및 상온에서 12h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의 증발과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헥산내 40% 에틸 아세테이트로서 용출됨)는 발포체로서 표제의 화합물 25.5㎎(Y: 81%)을 제공하였다.
(b) 10-데스아세톡시-7-데옥시-7α-플루오로패클리탁셀
0℃에서 디클로로메탄(0.8㎖)내 단계(a)에서 얻어진 생성물(25.5㎎, 0.028m㏖)을 DAST(0.0071㎖, 0.055m㏖)로서 처리하였다. 0℃에서 45분후에, 반응을 상온에서 5h 동안 진행시켰다. 용매의 증발과 크로마토그래피는 원 발포체로서 2′-0-벤질록시카르보닐-7-데옥시-7α-플루오로패클리탁셀을 제공하였다. 이 화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1㎖)에 용해시키고 목탄위 팔라듐(10%, 8.9㎎)의 존재하에 수소 1기압을 약간 상회하여 상온에서 12h동안 교반하였다. 촉매를 여과에 의해 제거하고 생성물의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는 발포체로서 표제의 생성물 10㎎(Y: 두단계에 걸쳐 40%)을 얻었다.
[제조예 5]
10-데아세틸-7-데옥시-7α-플루오로패클리탁셀
디클로로메탄(2㎖)내 2′, 10-0-비스(2,2,2-트리클로로에톡시카르보닐)-10-데아세틸패클리탁셀(120㎎, 0.103m㏖)로서 처리하였다. 용액을 0℃에서 냉각하고 DAST(0.0266㎖, 0.207m㏖)로서 처리하였다. 용액을 0℃에서 30분간 및 상온에서 4h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물(0.05㎖)을 첨가함으로서 냉각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헥산내 30% 에틸 아세테이트로서 용출됨)에 의해 정제하여 발포체로서 2′,10-0-비스(2,2,2-트리클로로에톡시카르보닐)-7-데옥시-7α-플루오로패클리탁셀 81㎎(Y: 68%)을 얻었다. 이 화합물(63㎎, 0.054m㏖)을 메탄올(0.5㎖)과 초산(0.5㎖)에 용해시키고 아연 분말(104㎎, 1.62m㏖)로서 45℃에 90분간 처리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여과시키고 여과액을 농축하였다. 잔사의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60% 에틸 아세테이트내 40% 헥산으로 용출됨)는 백색 고체로서 표제의 화합물 38㎎(Y: 86%)을 얻었다.
[제조예 6]
7-데옥시박카틴 III
(a) 7-0-[(메틸티오)티오카르보닐]박카틴 III
박카틴 III(750㎎, 1.278m㏖)을 건조 테트라히드로푸란(20㎖)에 용해시키고 이미다졸(8.7㎎, 0.128m㏖)을 1 롯트로 첨가하였다. 소디움 하이드라이드(미네랄 오일내 50%, 77㎎, 1.597m㏖)를 상온에서 첨가하였다. 가스 용출을 중단하였을 때(10분), 카본 디술파이드(4.6㎖)를 즉시 첨가하였다. 상온에서 3h 후에, 황색 용액을 메틸 요다이드(0.238㎖, 3.835m㏖)로서 처리하고 밤새 교반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와 물로서 수행은 원 오일로서 표제의 화합물을 제공하였다.
별도 수행:
박카틴 III(394㎎, 0.672m㏖)를 테트라히드로푸란(5㎖)과 카본디술파이드(1㎖)에 용해시켰다. 이 용액에 소디움 하이드라이드(40.3㎎, 60%, 1.009m㏖)를 첨가하였다. 이미다졸의 촉매량은 또한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상온에서 1.5h 동안 교반하였고 메틸 요다이드(122.8μl, 2.016m㏖)를 첨가하였다. 40분후에, 용매를 진공 제거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에서 크로마토그래피하여(헥산내 20%-50%-60% 에틸 아세테이트로서 용출됨) 7-에피 박카틴(98.5㎎, 25%)과 다같이 표제의 생성물(260㎎, Y: 57.2%)을 얻었다.
(b) 7-0-[(매틸티오)티오카르보닐]-13-0-트리에틸실릴박카틴 III
원 오일로서 단계 (a)의 생성물을 건조 디메틸포름아미드(5㎖)에 용해시키고 이미다졸(870㎎, 12.78m㏖)과 트리에틸실릴 클로라이드(2.10㎖, 12.78m㏖)로서 상온에서 15h 동안 처리하였다. 물을 첨가하고 이어서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광범위하게 물로서 세척한다음, 건조시켰다. 실리카 겔 섬광 크로마토그래피(헥산내 20% 에틸 아세테이트로서 용출됨)는 유리질 고체로서 표제의 화합물(Y: 209㎎, 두단계에 걸쳐 수율 20%)을 제공하였다.
별도 수행:
단계 (a)의 생성물(193.4㎎, 0.286m㏖)을 건조 디메틸포름아미드(2.86㎖)에 용해시켰다. 이 용액에 이미다졸(77.9㎎, 1.14m㏖), 이어서 트리에틸실릴 클로라이드(192μl, 1.14m㏖)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상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12h 후에, 반응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150㎖)로서 희석하였다. 유기층을 물(3×10㎖) 및 염수(1×10㎖)로서 세척하고, 건조시킨 다음, 진공 농축하였다. 잔사를 실리카 겔에서 크로마토그래피하여(헥산내 20% 에틸 아세테이트로서 용출됨) 표제의 생성물(163㎎, Y: 72.0%)을 얻었다.
(c) 7-데옥시-13-0-트리에틸실릴박카틴 III
건조 벤젠(5㎖)내 단계 (b)의 생성물(182㎎, 0.230m㏖)을 트리부틸틴 하이드라이드(0.310㎖, 1.150m㏖)와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 10㎎)의 존재하에 80℃로 가열하였다. 3h 후에, 용액을 냉각시키고, 용매를 진공 증발시켰다. 잔사의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헥산내 20% 에틸 아세테이트로서 용출됨)는 오일로서 표제의 화합물을 제공하였다.
(d) 7-데옥시박카틴 III
단계 (c)의 생성물을 테트라히드로푸란(5㎖)에 용해시키고 상온에서 2h 동안 테트라부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테트라히드로푸란에서 1M, 0.50㎖, 0.50m㏖)로서 처리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로서 희석과 물 및 염수로서 세척, 이어서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1:1 에틸 아세테이트/헥산으로서 용출됨)는 백색 유리질 고체로서 표제의 화합물(63㎎, Y: 두단계에 걸쳐 58%)을 제공하였다.
[제조예 7]
10-데스아세톡시박카틴 III
(a) 10-데아세틸-10-0-(펜타플루오로페녹시)티오카르보닐-7-0-트리에틸실릴박카틴 III
7-0-트리에틸실릴-10-데아세틸박카틴 III(참조 Greene et al, J. Am. Chem. Soc., 110. p. 5917, 1988)(319㎎, 0.485m㏖)을 건조 테트라히드로푸란(5㎖)에 용해시키고, -40℃로 냉각하고, n-부틸리튬(헥산에서 1.58M, 0.384㎖, 0.606m㏖)으로서 처리하였다. 이 온도에서 40분후에, 펜타플루오로페닐 클로로티오노포르메이트(0.086㎖, 0.536m㏖)를 순수하게 시린지에 의해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0℃에서 90분간 교반하고, 포화 암모늄 클로라이드 용액으로 냉각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서 추출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 층을 건조시키고 농축하였다. 잔사를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헥산내 40% 에틸 아세테이트로서 용출됨)에 의해 정제하여 발포체로서 표제의 화합물(320㎎, Y: 74%)을 얻었다.
(b) 10-데스아세톡시-7-0-트리에틸실릴박카틴 III
단계 (a)의 생성물(119㎎, 0.135m㏖)을 건조 톨루엔(3㎖)에 용해시키고 AIBN(2㎎)으로서 처리하였다. 용액을 건조 질소로 탈기한다음, 트리부틸틴 하이드라이드(0.055㎖, 0.202m㏖)를 첨가하였다. 이어서, 용액을 90℃에서 1h 동안 가열하였다. 용매를 증발시키고 잔사의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헥산내 40% 에틸 아세테이트로서 용출됨)는 무색 발포체로서 표제의 화합물(87㎎, Y: 99%)을 제공하였다.
(c) 10-데스아세톡시박카틴 III
단계 (b)의 생성물(120㎎, 0.187m㏖)을 아세토니트릴(3.5㎖)에 용해시키고 용액을 -10℃로 냉각하였다. 진한 HCl(36%, 0.060㎖)을 첨가하고, 용액을 30분간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75㎖)로서 희석하고, 소디움 바이카보네이트 포화수용액과 염수로서 세척한다음, 건조시키고 농축하였다. 잔사를 섬광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헥산내 70% 에틸 아세테이트로서 용출됨)에 의해 정제하여 발포체로서 10-데아세틸록시박카틴 III(75㎎, Y: 76%)을 얻었다.
[제조예 8]
10-데스아세톡시-7-데옥시박카틴 III
(a) 7-0-[(메틸티오)티오카르보닐]-10-데스아세톡시박카틴 III
10-데스아세톡시박카틴 III(75㎎, 0.142m㏖)을 건조 테트라히드로푸란(2㎖)과 카본 디술파이드(0.5㎖)에 용해시켰다. 그후 소디움 하이드라이드(미네랄 오일에서 60%, 8.5㎎, 0.213m㏖)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상온에서 2h 동안 교반하였다. 요도메탄(0.026㎖, 0.426m㏖)을 첨가하고, 반응을 밤새 진행시켰다. 용매를 제거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헥산내 5-70% 에틸 아세테이트로서 용출됨)에 의해 정제하여 발포체로서 표제의 화합물(46.4㎎, Y: 53%)을 제공하였다.
(b) 10-데스아세톡시-7-데옥시-박카틴 III
단계 (a)의 생성물(36㎎, 0.058m㏖)을 아르곤 분위기하에 AIBN(2㎎)와 트리부틸틴 하이드라이드(0.079㎖, 0.290m㏖)의 존재하에 벤젠(1㎖)에서 3h 동안 환류하였다. 반응 혼합물의 농축과 잔사의 섬광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헥산내 40% 에틸 아세테이트로서 용출됨) 이어서 다른 성분으로부터 HPLC 분리(고압액체 크로마토그래피)는 발포체로서 표제의 화합물(16.8㎎, Y: 56%)을 얻었다.
별도 수행:
건조 톨루엔(10.5㎖)내 7-0-[(메틸티오)카르보노티오일]-13-0-트리에틸실릴박카틴 III(제조예 1, 단계 (b)의 생성물, 416.3㎎, 0.527m㏖)의 용액에 촉매량의 AIBN을 첨가하고, 얻어진 용액을 건조 N2로서 5분간 탈기하였다. 트리부틸틴 하이드라이드(708.7μl, 2.63m㏖)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100℃에서 2h 동안 가열하고, 그후 또다른 부분의 트리부틸틴 하이드라이드(425.3μl, 1.581m㏖)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00℃에서 5.5h 동안 가열하고, 상온으로 냉각시켰다.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헥산내 20% 에틸 아세테이트로서 용출됨)는 7-데옥시-10-데스아세톡시-13-0-(트리에틸실릴)박카틴 III(320㎎, Y: 97%)을 제공하였다.
상온에서 건조 테트라히드로푸란(2㎖)내 상기 단계의 생성물(160㎎, 0.255m㏖)의 용액에 테트라부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766μl, 1M, 0.766m㏖)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상온에서 1h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제거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에서 크로마토그래피하여(헥산내 50-70% 에틸 아세테이트로서 용출됨) 원하는 표제 생성물(115㎎, Y: 87.9%)을 얻었다.
[제조예 9]
(3R,4S)-1-t-부톡시카르보닐-4-페닐-3-트리에틸실릴록시-2-아제티디논
건조 테트라히드로푸란(25㎖)내 (3R,4S)-4-페닐-3-트리에틸실릴록시-2-아제티디논(2.200g, 7.92m㏖)의 교반 용액에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1.65㎖, 9.510m㏖, 1.2당량)을 아르곤 분위기하에 0℃에서 첨가하였다. 용액을 5분간 교반하고 이어서 디-t-부틸 디카보네이트(2.080g, 9.510m㏖)와 4-디메틸아미노피리딘(193.6㎎, 1.581m㏖, 0.20당량)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에서 60분간 교반하고, 에틸 아세테이트(25㎖)로서 희석하였다. 얻어진 용액을 염수, 10% NaHCO3, 10% HCl 용액으로 세척하고, 건조시킨다음(MgSO4), 농축하여 원 화합물(오일)을 제공하였다. 화합물을 추가로 실리카 겔 섬광 크로마토그래피(헥산내 15% 에틸 아세테이트로서 용출됨)에 의해 정제하여 백색 고체로서 표제의 화합물(2.4g, Y: 83%)을 얻었다.
[제조예 10]
(±)-시스-3-아세틸록시-4-페닐아제티딘-2-온
(a) 온도계, 자석 교반기 및 적가 깔때기를 구비한 1L, 3-목둥근 밑면 플라스크에 히드로벤즈아미드(30.00g, 100.5m㏖)와 에틸 아세테이트(150㎖)를 첨가하였다. 교반하면서 아르곤의 블랭킷하에, 반응 혼합물을 5℃로 냉각하고 트리에틸아민(16.8㎖, 121m㏖)을 첨가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300㎖)내 아세톡시아세틸 클로라이드(12.4㎖, 116m㏖) 용액을 90분에 걸쳐 적가하였다. 이 온도에서 16h 후에, 반응 혼합물을 20℃(1.5h)로 가열하고 분리 깔때기로 이동시켰다. 유기층을 NH4Cl(포화) 수용액(150㎖, 100㎖), NaHCO3(포화) 수용액(120㎖) 및 염수(120㎖)로서 연속적으로 세척하였다. 특성화의 목적으로, 이 단계에서 유기상을 MgSO4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한다음 용매를 진공 제거함으로서 표제 화합물을 분리할 수 있다. 이것은 적색 유리로서 정량적인 원생성물 수율로 (±)-시스-3-아세틸록시-1-[(페닐)(벤질리덴이미노)메틸]-4-페닐아제티딘-2-온을 제공하였다.
(b) 에틸 아세테이트(500㎖)내 파트(a)에서 얻어진 화합물의 용액을 아르곤의 기류하에 활상탄위 10% 팔라듐(6.00g)을 함유한 2.0L Parr 플라스크에 이동시켰다. 촉매를 셀라이트의 패드를 통한 여과에 의해 제거하였을 때 이 혼합물을 수소(4 atm)로서 20h 동안 처리하였다. 여과 케이크를 에틸 아세테이트(200㎖)에서 슬러리화하고, 교반한다음(10분) 여과하였다. 여과 케이크를 에틸 아세테이트(100㎖)로서 린스하고 여과액을 결합하였다. 유기층을 10% HCl(300㎖)로서 세척하였고 두 층 모두를 소결 글라스 깔때기를 통해 여과시켜 백색 침전체(디벤질아민·HCl)를 제거하고 에틸 아세테이트(100㎖)로서 린스하였다. 상을 분리하고 유기층을 또다른 부분의 10% HCl(200㎖)로서 세척하였다. 결합된 10% HCl 세척액을 에틸 아세테이트(200㎖)로서 재추출하고 결합된 유기층을 NaHCO3(포화) 수용액(300㎖) 및 염수(250㎖)로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MgSO4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한다음 최종 부피 75㎖로 진공 농축하였다. 이 혼합물을 4℃로 냉각하고 침전된 생성물을 여과에 의해 분리하였다. 여과 케이크를 헥산(200㎖)으로 세척하여 백색 침상체로서 표제의 화합물 16.12g(히드로벤즈아미드로부터 전체 수율 78.1%)을 제공하였다. mp= 150-151℃
[제조예 11]
(±)-시스-3-트리에틸실릴록시-4-(2-푸릴)-N-t-부톡시카르보닐아제티딘-2-온
(a) 히드로푸르아미드[즉 2-푸릴-CH-(N=CH-2-푸릴)2]가 히드로벤즈아미드대신에 사용되고 반응을 18.6m㏖(100m㏖에 대해) 스케일로 수행한 것을 제외하고 제조예 10. 파트( a)에서 기재된 방법에 따랐다. 따라서, 히드로푸르아미드(5.00g, 18.6m㏖), 트리에틸아민(3.11㎖, 22.3m㏖) 및 아세톡시아세틸 클로라이드(2.30㎖, 21.4m㏖)는 엷은 적색 시럽으로서 6.192g(Y: 90.4%)을 제공하였다.
(b) 생성물을 예비 TLC에 의해 분리하고 반응을 히드로푸르아미드의 최초량을 기초로 2.7m㏖ 스케일로 수행한 것을 제외하고 제조예 10, 파트 (b)에 기재된 방법에 따랐다. 따라서, 상기의 파트(a)에서 얻어진 원생성물을 에틸 아세테이트(50㎖)에 재용해시키고 활성탄위 10% 팔라듐(150㎎)에 첨가하였다. 예비 TLC(2㎜ 실리카 겔, 1:1 에틸 아세테이트/헥산으로 용출됨)에 의한 원고체의 정제는 황색 고체로서 (±)-시스-3-(아세틸록시)-4-(2-푸릴)아제티딘-2-온 386㎎(히드로푸르아미드로부터 보정된 전체 수율 65.8%)을 제공하였다. 이것을 에틸 아세테이트/헥산으로부터 재결정화하였다. mp=118-119℃
(c) 메탄올 60㎖내 상기의 파트 (b)에서 얻어진 화합물(3.78g, 19.4m㏖)을 90분간 K2CO3(20㎎, 0.14m㏖)와 함께 교반하고 용액을 Dewex 50W-X8로서 중화한 다음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농축하고 잔사를 무수 THF 80㎖에 용해시키고 0℃에서 30분간 이미다졸(1.44g, 21.2m㏖) 및 TESC1(3.4㎖, 20.2m㏖)과 함께 교반하였다. 용액을 에틸 아세테이트로서 희석하고 염수로서 세척하고, MgSO4에서 건조시킨다음 농축하였다. 잔사를 실리카 겔(3:1 헥산/에틸 아세테이트로서 용출됨)에서 크로마토그래피하여 무색 오일로서 (±)-시스-3-트리에틸실릴록시-4-(2-푸릴)-아제티딘-2-온 4.47g(Y: 86%)을 제공하였다.
(d) 디클로로메탄 30㎖내 파트(c)의 생성물(2.05g, 7.7m㏖)을 0℃에서 촉매량의 디메틸아미노피리딘(DMAP)외에 디이소프로필에틸 아민(1.5㎖, 8.6m㏖) 및 디-t-부틸 디카르보네이트(2.0g, 9.2m㏖)와 함께 교반하였다. 용액을 디클로로메탄으로 희석하고 염수로 세척하며, MgSO4에서 건조한다음 농축하였다. 잔사를 실리카 겔(8:1 헥산/에틸 아세테이트로서 용출됨)에서 크로마토그래피하여 왁스상 고체로서 표제의 화합물 2.0g(Y: 70%)을 제공하였다.
파트 (b)에서 얻어진 라세미 혼합물을 소이도모나스(Pseudomonas) sp.(Amano International Co.)로부터 PS-30과 같은 리파제를 사용한 효소 가수분해를 위한 서브스트레이트로서 사용하여 (3R, 4R)-3-히드록시-4-(2-푸릴)-아제티딘-2-온을 제공할 수 있다. 리파제 PD-30 및 다른 효소를 사용한 효소 분리 방법은 본 발명에서 전적으로 참고로 속한 1993. 7. 14자 출원된 계류중인 출원 U.S.S.N. 092,170호에 기재되어 있다.
(3R,4R)-3-히드록시-4-(2-푸릴)-아제티딘-2-온을 사용하여 (3R,4R)-N-(t-부톡시카르보닐)-3-트리에틸실릴록시-4-(2-푸릴)-아제티딘-2-온을 제공하는데 파트 (c) 및 (d)의 방법을 따랐다.
[제조예 12]
(±)-시스-3-트리에틸실릴록시-4-(2-티엔일)-N-t-부톡시카르보닐아제티딘-2-온
(a) 히드로티엔아미드[즉 2-티엔일-CH-(N=CH-2-티엔일)2]를 히드로벤즈아미드 대신에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제조예 10, 단계 (a)에 기재된 방법을 따랐다. 따라서, 히드로티엔아미드(30g, 94.7m㏖), 티에틸아민(15.84㎖, 114m㏖) 및 아세톡시아세틸 클로라이드(11.6㎖, 108m㏖)는 점성 오일로서 (±)-시스-3-아세틸록시-1-[(2-티엔일)(2-트리엔일메틸렌이미노)메틸]-4-(2-티엔일)아제티딘-2-온을제공하였다.
(b) 초산의 70% 수용액(빙초산 0.35㎖ 및 물 0.15㎖)을 디클로로메탄(2.93㎖)내 파트(a)에서 얻어진 생성물의 교반 용액(0.431g, 1.03m㏖)에 25℃에서 일부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환류하고 2.5h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디클로로메탄 50㎖로서 희석한다음 소디움 바이카보네이트 포화 수용액 75㎖ 이부분 및 그후 포화 염수 50㎖ 일부분으로 세척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갈색 오일로 진공 농축하고, 최소량의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킨다음, 4″×0.5″치수의 실리카 겔 컬럼에 넣었다. 헥산내 10 내지 60% EtOAc의 기울기를 사용한 용출은 극성이 적은 부산물 그후 백색 고체로서 (±)-시스-3-아세틸록시-4-(2-티엔일)아제티딘-2-온(0.154g, Y: 75%)을 제공하였다.
(c) 파트 (b)에서 얻어진 생성물의 용액(2.5g, 11.8m㏖)을 메탄올(10㎖)에 용해시키고 소디움 바이카보네이트 포화 수용액(10㎖)으로 처리하고 얻어진 슬러리를 상온에서 3h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에틸 아세테이트(20㎖)로서 희석하고 물(15㎖)로서 세척하였다. 수성 유분을 에틸 아세테이트로서 수회 백 추출하고 결합된 유기 유분을 건조시키고(MgSO4) 농축하여 황색 고체(Y: 1.7g)를 제공하였다. 원물질을 건조 테트라히드로푸란(20㎖)에 용해시키고 용액을 얼음/수조에서 5℃ 로 냉각하였다. 이미다졸(752㎎, 1.1eq)을 첨가하였다. 5분간 교반한후, 트리에틸클로실탄(1.85ml, 1.1dq)을 적가하였다. 얻어진 분산액을 그 온도에서 3h 동안 교반하였고; 그후 고체를 여과에 의해 제거하였다. 유기 유분을 물(2×20㎖)로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MgSO4) 농축하였다. 원생성물을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 아세테이트 7:3으로서 용출됨)에 의해 정제하여 무색 고체로서 (±)-시스-3-트리에틸실릴록시-4-(2-티엔일)-아제티딘-2-온(1.5g, Y: 45%)을 제공하였다. m.p. 70-71℃.
별도의 수행:
메탄올 40㎖내 파트 (b)에서 얻어진 생성물(2.0g, 9.37m㏖)을 30분간 K2CO3(60㎎, 0.43m㏖)와 함께 교반하고 용액을 Dowex 50W-X8로서 중화하고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농축하고 잔사를 무수 THF 50㎖에 용해시키고 0℃에서 이미다졸(0.85g, 11.3㏖) 및 TESC1(1.9㎖, 12.5m㏖)와 함께 30분간 교반하였다. 용액을 에틸 아세테이트로서 희석하고 염수로 세척하였고, MgSO4에서 건조시키고 농축하였다. 잔사를 실리카 겔에서 크로마토그래피하여(3:1 헥산/에틸 아세테이트로서 용출됨) 무색 오일로서 표제의 생성물 2.13g(Y: 86%)을 제공하였다.
(d) 파트 (c)에서 얻어진 생성물의 용액(425.7㎎, 1.48m㏖)을 디클로로메탄(10㎖)에 용해시키고 얼음/수조에서 5℃로 냉각하였다. 반응물을 촉매량의 DMAP 이어서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TESC1, 0.25㎖, 1.0eq) 그후 디-t-부틸 디카르보네이트(388.4㎎, 1.2eq)로서 처리하였다. 그 온도에서 2h 동안 교반한후 반응물을 소디움 바이카보네이트 포화 수용액(5㎖)으로서 냉각시키고 유기 유분을 물(5㎖)로서 세척한다음 건조시키고(MgSO4), 실리카 겔의 쇼트 플러그를 통과시키고 농축하여 무색 오일로서 원하는 생성물(525.3㎎, Y: 93%)을 제공하였다.
[제조예 13]
(3R,4R)-3-트리에틸실릴록시-4-(2-푸릴)-N-n-부틸록시카르보닐아제티딘-2-온
디클로로메탄 30㎖내 (3R,4R),-3-트리에틸실릴록시-4-(2-푸릴)아제티딘-2-온(0.58g, 2.17m㏖)을 촉매량의 DMAP에 더하여 디이소프로필에틸 아민(0.4㎖, 2.30m㏖) 및 부틸클로로포르메이트(0.3㎖, 2.36m㏖)와 함께 교반하였다. 용액을 1h 동안 교반한 다음 디클로로메탄으로 희석하고 염수로 세척하고, MgSO4에서 건조시킨다음 농축하였다. 잔사를 실리카 겔(3:1 헥산/에틸 아세테이트로서 용출됨)에서 크로마토그래피하여 생성물 523㎎(Y: 65%)을 제공하였다; IR(KBr) 1820, 1734, 1318, 1018, 734㎝-1;1H-NMR(CDCl3, 300 MHz) δ 7.38,(m, 1H), 6.35(m, 2H), 5.09(ABq, J=15.5, 5.6 Hz, 2H), 4.14(m, 2H), 1.56(m, 2H), 1.28(s, 2H), 0.87(t, J=8.7 Hz, 3H), 0.82(t, J=7.9, 9H), 0.50(m, 6H);13C-NMR(CDCl3, 75.5 Hz)δ165.4, 149.1, 147.6, 142.9, 110.5, 109.9, 77.7, 66.5, 55.9, 30.5, 18.8, 13.6, 6.3, 4.3; C18H29NO5Si에 대한 DCIMS M+H 계산치: 368, 실측치: 368.
[제조예 14]
(3R,4R)-4-트리에틸실릴록시-4-(2-푸릴)-N-이소프로필록시카르보닐아제티딘-2-온
디클로로메탄 25㎖내 (3R,4R)-3-트리에틸실릴록시-4-(2-푸릴)아제티딘-2-온(0.51g, 1.91m㏖)을 촉매량의 DMAP에 더하여 디이소프로필에틸 아민(0.78㎖, 4.4m㏖) 및 i-프로필크로로포르메이트(4.0 mL, 톨루엔내 1.0M, 4.0 mmol와 함께 교반하였다. 용액을 1h 동안 교반하고 디클로로메탄으로 희석한다음 염수로 세척하고, MgSO4에서 건조시킨다음 농축하였다. 잔사를 실리카 겔(5:1 헥산/에틸 아세테이트로서 용출됨)에서 크로마토그래피하여 표제의 생성물 649㎎(Y: 96%)을 제공하였다; IR(KBr) 1822, 1812, 1716, 1374, 1314, 1186, 1018, 1004, 746㎝-1;1H-NMR(CDCl3, 300 MHz) δ 7.39,(m, 1H), 6.35(m, 2H), 5.08(ABq, J=15.6, 5.6 Hz, 2H), 4.96(d, J=10.0 Hz, 1H), 1.25(d, J=6.3, Hz, 3H), 1.17(d, J=6.3 Hz, 3H), 0.83(t, J=7.8, 9H), 0.50(m, 6H);13C-NMR(CDCl3, 75.5 Hz)δ165.5, 148.6, 147.8, 142.9, 110.5, 105.9, 77.6, 71.1, 55.9, 21.7, 21.6, 6.3, 4.4; C17H28NO5Si에 대한 DCIMS M+H 계산치: 354, 실측치: 354.
[제조예 15]
(±)-시스-3-트리에틸실릴록시-4-이소부텐일-N-t-부톡시카르보닐아제티딘-2-온
(a) N-4-메톡시-N-(3-메틸-2-부텐일)벤젠아민
p-아니시딘(5.7g, 46.3m㏖) 용액을 디에틸에테르(100㎖)에 용해시키고 촉매량의 p-톨루엔술폰산(10㎎)으로 처리하였다. 여기에 3-메틸-2-부텐알(2.67㎖, 50.9m㏖)을 일부분 첨가하고 반응물을 상온에서 16h 동안 교반하였다. 그후 용매를 0.5torr에서 회전식 증발기로 증발시켜 갈색 오일로서 원하는 이민(8.7g, 100%)을 공급하였다;1H-NMR(300 MHz, CDCl3, ): δ 8.38(d, J=9.5 Hz), 7.11(dd, 2H, J=2.2, 6.7 Hz) 6.88(dd, 2H, J=2.2, 6.7 Hz), 6.22-6.18(m, 1H), 3.81(s, 3H), 2.01(s, 3H), 1.95(s, 3H).
(b)(±)-시스-N-(4-메톡시페닐)-3-아세틸록시-4-이소부텐일아제티딘-2-온
아세톡시아세틸 클로라이드(6.9g, 50.5m㏖)의 용액을 에틸 아세테이트(100㎖)에 용해시키고 불활성 분위기하에 -30℃로 냉각하였다. 이 용액에 트리에틸아민(7.0㎖, 50.5m㏖)을 5분간에 걸쳐 첨가하였다. 얻어진 백색 슬러리를 N-4-메톡시-N-(3-메틸-2-부텐일)벤젠아미드(8.7g, 40㎖)로 20분간에 걸쳐 적가 처리하였다. 얻어진 녹갈색 슬러리를 점차 상온으로 4h 동안 가열하였다. 슬러리를 그후 셀라이트 패드를 통해 여과시키고 여과액을 물 그후 염수로 세척하였다.
유기 유분을 건조시키고(MgSO4) 농축하여 갈색 오일을 제공하였다. 원생성물을 조심스럽게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 아세테이트 8:2로서 용출됨)에 의해 정제하여 오렌지색 오일을 공급하고 방치시 고체화하였다. 이것을 디클로로메탄/헥산으로부터 재결정하여 엷은 황색 고체로서 원하는 생성물(4.4g, 32%)을 공급하였다;1H-NMR(300 MHz, CDCl3) δ 7.32,(d, 2H, J=9.1 Hz), 6.86(d, 2H, J=9.1 Hz), 5.59(dd, 1H, J=3.0, 7.8 Hz) 5.41-5.10(m, 1H), 4.96(dd, 1H, J=4.8, 9.3 Hz), 3.77(s, 3H), 2.11(s, 3H), 1.81(s, 3H), 1.78(s, 3H).
(c) (±)-시스-3-아세틸록시-4-이소부텐일아제티딘-2-온
(±)-시스-N-(4-메톡시페닐)-3-아세틸록시-4-이소부텐일아제티딘-2-온(4.88g, 16.2m㏖)의 용액을 아세토니트릴(50㎖)에 용해시키고 얼음조에서 0-5℃로 냉각하였다. 여기에 세릭 암모늄 니트레이트(26.6g, 48.6m㏖, 50㎖)의 냉각 용액을 일부분 첨가하였다. 진한 적색 반응물을 10분간 교반하였고 이때 색상이 점차 오렌지색으로 밝게 변했다. 냉각 용액을 분리 깔때기로 이동시키고, 물로 희석한다음 에틸 아세테이트로서 추출하였다. 유기 유분을 몇 개 부분의 10% 소디움 술파이트 수용액, 이어서 포화 소디움 바이카보네이트 수용액으로서 세척하였다. 유기 유분을 건조시키고(MgSO4) 농축하여 다음 단계에 바로 사용되는 황색-오렌지 고체로서 원하는 생성물(2.71g, 91%)을 제공하였다;1H-NMR(300 MHz, CDCl3): δ 6.11,(bs, 1H), 5.73(dd, 1H, J=2.2, 4.7 Hz), 5.12-5.08(m, 1H), 4.63(dd, 1H, J=4.7, 9.1 Hz), 2.09(s, 3H), 1.75(s, 3H), 1.67(s, 3H).
(d) (±)-시스-3-트리에틸실릴록시-4-이소부텐일아제티딘-2-온
(±)-시스-3-아세틸록시-4-이소부텐일아제티딘-2-온(1.47g, 8.0m㏖)을 메탄올(15㎖)에 용해시키고 상온에서 3h 동안 K2CO3(110.5㎎, 0.8m㏖)로서 교반하였다. 용액을 그후 Dewex 50W-X8 수지로서 중화한다음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농축하고 원 고체를 THF(25㎖)에 용해시키고 얼음조에서 5℃로 냉각하였다. 이미다졸(544.0㎎, 8.0m㏖)을 첨가하였고 용해될 때, 트리에틸실릴 클로라이드(1.34㎖, 8.0m㏖)를 시린지에 의해 적가하였다. 얻어진 슬러리를 상온으로 가열하였고 밤새 교반하였다. 용액을 여과시키고 여과액을 물, 그후 염수로서 세척하였다. 유기 유분을 건조시키고(MgSO4) 농축하였다. 원 고체를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 아세테이트 3:1로서 용출됨)에 의해 정제하여 엷은 황색 고체로서 원하는 생성물(612㎎, 30%)을 공급하였다;1H-NMR(300 MHz, CDCl3) δ 5.87(bs, 1H), 5.31-5.26(m, 1H), 4.90(dd, 1H, J=2.2, 4.7 Hz), 4.42(dd, 1H, J=4.7, 9.3Hz), 1.74(s, 3H), 1.28(s, 3H), 0.98-0.91(m, 9H), 0.71-0.55(m, 6H).
(e) (±)-시스-3-트리에틸실릴록시-4-이소부텐일-N-t-부톡시카르보닐아제티딘-2-온
(±)-시스-3-트리에틸실릴록시-4-이소부텐일아제티딘-2-온(1.01g, 3.95m㏖)을 디클로로메탄(20㎖)에 용해시키고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0.68㎖, 3.95m㏖) 및 촉매량의 디메틸아미노피리딘으로 처리하였다. 이용액에 디-t-부틸 디카르보네이트(1.02g, 4.68m㏖)를 첨가하고 용액을 상온에서 24h 동안 교반하였다. 용액을 추가의 디클로메탄으로 희석하고 물 그후 염수로 세척하였다. 유기 유분을 건조시키고(MgSO4) 농축하였다. 잔사를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 아세테이트 8:2로서 용출됨)에 의해 정제하여 무색 오일로서 원하는 생성물(1.26g, 90%)을 제공하였다;1H-NMR(300 MHz, CDCl3) δ 5.24(d, 1H, J=9.6 Hz), 4.86(d, 1H, J=5.7 Hz), 4.72(dd, 1H, J=6.0, 9.9 Hz), 4.86(d, 1H, J=5.7 Hz), 4.72(dd, 1H, J=6.0, 9.9 Hz), 1.78(d, 3H, J=1.1 Hz), 1.75(d, 3H, J=1.1 Hz), 1.47(s, 9H), 0.96-0.91(m, 9H), 0.64-0.55(m, 6H)
제조예 9, 11(d), 12(d), 13, 14, 및 15(e)에서 상기에 기재된 방법은 본 발명의 화합물의 제조에 유용한 다른 N-치환 아제티디논의 제조에 채택될 수 있다.
이러한 아제티디논의 실예는 다음의 표에 제시되며; 다음의 P는 트리에틸 실릴, 트리이소프로필실릴 및 에톡시에틸과 같은 히드록시 보호기이다.
[제조예 16]
10-데옥시탁소테레
10-데스아세톡시-7-0-트리에틸실릴박카틴 III(100㎎, 0.156m㏖)을 아르곤하에 플라스크에 넣고 건조 테트라히드로푸란(1.5㎖)에 용해시켰다. -40℃로 냉각시, n-부틸리튬(헥산내 1.45M, 0.119㎖, 0.170m㏖) 이어서 테트라히드로푸란(0.5㎖)내 (3R, 4S)-1-t-부톡시카르보닐-4-페닐-3-트리에틸실릴록시-2-아제티디논(94.2㎎, 0.25m㏖)을 2분간에 걸쳐 적가하였다. 혼합물을 즉시 0℃로 가열하고 포화 암모늄 클로라이드(3㎖)로서 냉각하기 전에 45분간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에틸아세테이트로서 추출하고, 건조시킨다음, 농축하였다.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헥산내 30% 에틸 아세테이트로서 용출됨)는 발포체로서 10-데옥시-2′,7-비스-0-(트리에틸실릴)-탁소테레(125㎎, Y: 76%)를 얻었다. -5℃에서 이 화합물(100㎎, 0.098m㏖)을 즉시 아세토니트릴(2㎖)에 용해시키고 염산(0.037㎖, 36%, 12M)으로서 처리하였다. 혼합물을 -5℃에서 2h 동안 교반하고, 바이카보네이트 수용액으로 냉각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로서 추출한다음 건조시켰다. 용매의 증발 이어서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헥산내 75% 에틸 아세테이트로서 용출됨)는 발포체로서 표제의 화합물(80.5㎎, Y: 80%)을 제공하였다.
제조예 16에서 제공된 일반적인 방법은 적합한 박카틴 III 성분과 아제티디논 성분으로서 출발하여 식(Ia)의 다른 화합물의 제조에 채택될 수 있으며; 식(Ia)의 다른 화합물의 실예는 다음의 표에 제시된다. 다음의 화합물이 유리 히드록시기를 가진 것으로서 보여지더라도, 다양한 히드록시 보호기의 현명한 선택으로, 2′-, 7- 또는 10- 위치에서 보호기가 존재한 다른 보호기에 영향이 없이 선택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제조예 17]
비스(메틸티오메틸)에테르
CH3SCH2OCH2SCH3
소디움 요다이드(8.23g, 55.23m㏖)를 0℃에서 아세톤(100㎖)내 1,1′-디클로로디메틸 에테르(3.0g, 26.3m㏖)의 용액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이 온도에서 20분간 교반하였다. 그후 소디움 티오메톡시드(1.84g, 5.23m㏖)를 네 부분으로 첨가하고 얻어진 용액을 추가로 1h 동안 교반하였다. 비균일 용액을 셀라이트의 패드를 통해 여과시키고 여과액을 진공 농축하였다. 잔류 오일을 에틸 아세테이트와 소디움 바이카보네이트 포화 수용액 사이에 분배하였다. 수성층을 제거하고 추가로 에틸 아세테이트로서 추출하였다. 결합 유기물을 소디움 바이카보네이트 포화수용액 및 5% 소디움 티오술페이트 수용액의 1:1 혼합물(v:v)로서 처리하였다. 유기물을 염수로서 세척하고 소디움 술페이트에서 건조시킨다음 진공 농축하였다. 잔류 오일을 섬광 크로마토그래피(30:1, 헥산: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여 황색 오일 1.9g을 제공하고 이어서 쿠겔로르(kugelrhor) 장치를 사용하여 증류하고(120-130℃, 20㎜Hg) 무색 오일로서 표제의 화합물 1.5g(45%)을 얻었다:
1H NMR(300 MHz, CDCl3) δ 4.73(4H, s), 2.15(6H, s).
[제조예 18]
디벤질 메틸티오메틸 포스페이트
CH3SCH2OP(O)(OBu)2
THF(100㎖)내 비스(메틸티오메틸)에테르(30㎎, 2.34m㏖) 및 분자체(300㎎)의 용액에 상온에서 디벤질 포스페이트(2.74g, 9.85m㏖)이어서 N-요도숙신이미드(608㎎, 2.71m㏖)를 첨가하였고 용액을 4h 동안 교반하였다. 그후 반응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서 희석하고 셀라이트 패드를 통해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소디움 바이카보네이트 포화수용액 및 5% 소디움 티오술페이트 수용액의 1:1(v:v) 용액으로 처리하였다. 무색 유기 추출물을 염수로서 세척하고, 소디움 술페이트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농축하여 표제의 화합물 600㎎(69%)을 제공하였다.
1H NMR(300 MHz, CDCl3) δ7.35(10H, s), 5.29(2H, d, J=12.2 Hz), 5.08(4H, dd, J=8.0, 1.0Hz), 4.68(2H, s), 2.10(3H, s).
[실시예]
다음 실시예는 본 발명의 대표적인 화합물의 합성을 예시하는 것으로 제공되며 어떠한 방식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본 기술에 숙련된 자는 부적합한 실험없이 이들 방법을 본 발명의 범위내에 속하나 구체적으로 개시되지 않은 화합물의 합성에 채택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 1]
7-0-포스포노옥시메틸패클리탁셀 및 그의 모노소디움 염
(a) 7-0-메틸티오메틸패클리탁셀의 제조
벤조일 퍼옥사이드(0.98g, 4m㏖)를 건조 아세토니트릴(10㎖)에서 0℃에 세게 교반된 패클리탁셀(0.85g, 1m㏖)과 디메틸 술파이드(0.72㎖, 8m㏖)의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0℃에서 2.5 시간 동안 계속 교반하였다. 반응의 진행을 톨루엔 : 아세톤(2:1, v/v) 용매계(Rf tax= 0.38, Rf prod= 0.64)에서 실리카 겔 TLC에 의해 검측하였고, 보다 높은 극성 생성물의 형성이 관찰될 때 반응물을 30℃에서 Rotavapor를 사용한 용매의 증발에 의해 냉각하였다. 반응 혼합물의 TLC 분석은 소량의 미반응 패클리탁셀과 2′,7-0-비스(메틸티오메틸)패클리탁셀의 존재를 나타냈다. 반응 혼합물로부터 표제의 화합물의 분리는 에틸 아세테이트 : 헥산(1:1 v/v) 용매계(Rf prod= 0.34)를 사용한 실리카 겔 60(40-63μM) EM Science(100㎖), 컬럼 직경: 2in.에서 섬광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성취하였다. 생성물(552㎎, 60% 수율)이 유분 12-18(각 유분 약 20㎖)에서 회수되었다.
MS(FAB/매트릭스 NOBA, NaI, KI): [M+H]+, m/z 936; [M+K]+, m/z 952
원소분석: C: 64.28(계산치 64.39), H: 5.85(계산치 6.07), N: 1.46(계산치 1.53)
UV(MeOH): λmax= 226㎚, E(1%/1㎝) = 150, A=0.2653
IR(KBr): 3432, 3066, 2940, 1726, 1668, 1602, 1582, 1514, 1484, 1452, 1372, 1242, 1178, 1142, 1108, 1068, 1026, 990, 916, 884, 852, 802, 774, 710, 608, 570, 538, 482 ㎝-1.
1H NMR(CDCl3)δ: 1.15(3H, s), 1.19(3H, s), 1.73(3H, s), 1.79(H, s), 1.90(3H, d), 2.09(3H, s), 2.16(3H, s), 2.29(2H, d), 2.35(3H, s), 2.77(H, m), 3.70(H, d), 3.83(H, d), 4.17(H, d), 4.26(H, m, H, d로서 오버랩), 4.63(2H, t), 4.77(H, dd), 4.91(H, d), 5.65(H, d), 5.77(H, dd), 6.16(H, dd), 6.48(H, s), 7.07(H, d), 7.29-7.50(10H, m), 7.57(H, m), 7.73(2H, d), 8.08(2H, d).
(b) 7-0-디벤질포스포노옥시메틸패클리탁셀의 제조
건조 테트라히드로푸란(4㎖)내 N-요도숙신이미드(45㎎, 0.02mM)와 디벤질 포스페이트(55㎎, 0.2mM) 용액을 건조 1,2-디클로로에탄(5㎖)내 7-0-메틸티오메틸패클리탁셀(119㎎, 0.13mM)과 분말 분자체 4Å(약 120㎎)의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상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의 진행을 톨루엔: 아세톤(2:1, v/v) 계(Rf prod= 0.48)에서 TLC에 의해 검측하였다. 셀라이트 545를 통한 여과에 의해 분자체를 제거하고 여과액을 메틸렌 클로라이드(100㎖)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소디움 티오술페이트(약 100㎖)와 0.5M 소디움 바이카보네이트(100㎖)의 1% 용액으로서 그리고 염수로서 세척하였다. 추출물을 Whatman Phase 세퍼레이터를 통해 여과시키고 용매를 증발시켰다. 메틸렌 클로라이드 : 에틸 아세테이트(2:1, v/v)내에서 실리카 겔 60 섬광 컬럼 정제는 7-0-디벤질포스포노옥시메틸패클리탁셀(41.5㎎)을 얻었다.
(c) 7-0-포스포노옥시메틸패클리탁셀과 그의 모노소디움 염의 제조
7-0-디벤질포스포노옥시메틸패클리탁셀(41.5㎎)을 에틸 아세테이트(5㎖)에 용해시키고 목탄위 10% 팔라듐(20㎎)을 첨가하였다. 상온에서 40 PSI(275㎪)에 1시간 동안 수소화반응을 수행하였다. 클로로포름:메탄올:물(120:45:8, v/v)에서 TLC에 의해 반응의 진행을 검측하였다. 예비 TLC(분석계에서 20×20×0.05㎝ 실리카 겔 플레이트)에 의한 정제는 7-0-포스포노옥시메틸패클리탁셀(26㎎, 수율 75%)을 제공하였다.
실리카 겔 정제중에 7-0-디벤질포스포노옥시메틸패클리탁셀의 분해가 관찰되기 때문에, 수소화반응 과정은 변형되었다. 따라서, 7-0-디벤질포스포노옥시메틸패클리탁셀의 원 추출물을 정제없이 수소화하였다. 7-0-디벤질포스포노옥시메틸패클리탁셀의 원 추출물의 수소화반응을 60 PSI(400㎪)에서 24시간 수행하였다.
7-0-포스포노옥시메틸패클리탁셀(70㎎)을 아세톤-물(1:1) 용액 5㎖에 용해시키고 물로서 50㎖로 희석하였다. 건조 소디움 바이카보네이트(18㎎, 1.2당량)를 첨가하였다. 아세톤을 상온에서 Ratavapor를 사용하여 증발시키고 잔류 수용액을 동결건조하였다. 원 7-0-포스포노옥시메틸패클리탁셀 모노소디움 염을 물:아세토니트릴(70:30, v/v) 계에서 C18 역상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용출물을 아세토니트릴: 0.05M 암모늄 아세테이트 완충액(45:55, v/v), pH = 7, Rt = 2.09분에서 분석 HPLC(15㎝, Jones C18 컬럼, 1㎖/min, 1=230/270㎚)에 의해 검측하였다. 원하는 생성물을 함유한 유분을 결합하고, 아세토니트릴을 증발시킨다음 잔류 수용액을 동결건조하여 7-0-포스포노옥시메틸패클리탁셀 모노소디움 염(112㎎)을 제공하였다.
MS(FAB): [M+H]+, m/z 986; [M+Na]+, m/z 1008
UV(MeOH): λmax= 230㎚, E(1%/1㎝) = 248
IR(KBr): 3430, 3066, 2948, 1724, 1652, 1602, 1580, 1518, 1486, 1452, 1372, 1316, 1246, 1178, 1154, 1108, 1070, 1000, 982, 946, 856, 802, 776, 710, 628, 538㎝-1.
1H NMR(아세톤-d6/D2O)δ: 8.05(2H, d), 7.92(2H, d), 7.65(1H, dd), 7.58-7.35(9H, m, 오버랩), 7.23(1H, dd), 6.38(1H, s), 6.08(1H, t), 5.65(1H, d), 5.60(1H, d), 5.10(1H, br, s), 4.99(1H, d), 4.97(1H, br, s), 4.80(1H, d), 4.28(1H, dd), 4.11(2H, s), 3.79(1H, d), 2.94(1H, m), 2.35(3H, s), 2.35-2.10(1H, m), 2.13(3H, s), 1.95(3H, s), 1.84(1H, m), 1.67(3H, s), 1.13(6H, s, 오버랩).
[실시예 2]
7-0-포스포노옥시메틸패클리탁셀의 제조에 대한 별도 방법.
(a) 2′-0-(벤질록시카르보닐)패클리탁셀의 제조
상온에서 무수 메틸렌 클로라이드(4㎖)내 패클리탁셀(150㎎, 0.176m㏖)과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93μl, 0.534m㏖, 3 eq.)의 교반 용액에 벤질 클로로포르메이트(75μl, 0.525m㏖, 3 eq.)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상온에서 3h 동안 교반하고, 2㎖로 농축한다음 용출제로서 에틸 아세테이트/헥산 1:1을 사용하여, 실리카 겔 컬럼에서 정제시켜 백색 분말로서 표제의 화합물(150㎎, Y: 86%)을 얻었다. MP 140-150℃(분해).
(b) 2′-0-(벤질록시카르보닐)-7-0-메틸티오메틸패클리탁셀의 제조
건조 아세토니트릴(80㎖)내 2′-0-(벤질록시카르보닐)패클리탁셀(4.935g; 5.0m㏖)의 냉각(건조 얼음 -CCl4; 조온도 -30℃) 용액에 연속하여 디메틸술파이드(3.6㎖; 40m㏖)와 벤조일 퍼옥사이드(4.9㎎, 20.247m㏖)를 첨가하였다. -30℃에서 10분후에, 냉각조를 제거하고 반응 혼합물을 상온에서 2시간 동안 세게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서 부피 200㎖로 희석하고 물과 염수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건조시키고(MgSO4), 용매를 증발시켜 잔사를 제공하고 진공하에 18h 동안 유지시켜 반응 부산물로서 존재한 디메틸술폭시드를 제거하였다. 용출제로서 처음에 에틸 아세테이트: 헥산(1:2)을 사용하여 실리카 겔 컬럼에서 정제하여 극성이 적은 불순물을 제거하고, 이어서 에틸 아세테이트: 헥산(1:1)에 의해 발포체로서 예상된 표제 화합물을 제공하였다. 이것을 건조 에테르로서 분쇄하고 여과시켜 보풀상의 고체로서 표제의 화합물(5.0g, 95%)을 제공하였다. MP 120-122 ℃.
MS(FAB): [MH]+, m/z 1048; [M+Na]+, m/z 1070; [M+K]+, m/z 108
IR(KBr): 3440, 3066, 1750, 1722, 1664, 1602, 1583, 1538㎝-1.
NMR(CDCl3) δ: 1.177(3H, s), 1.236(3H, s), 1.745(3H, s), 2.023(3H, s), 2.121(3H, s), 2.162(3H, s), 2.436(3H, s), 3.887(H, d), 4.134(H, d), 4.197(H, d), 4.295(H, m), 4.964(H, d), 5.161(2H, d), 5.450(H, d), 5.703(H, d), 5.981(1H, dd), 6.257(H, t), 6.541(H, s), 6.920(H, d, NH), 7.322-8.22(15H, m).
표제 화합물을 다음의 별도의 방법에 의해 제조하였다:
건조 디메틸술폭시드(10㎖)내 2′-0-(벤질록시카르보닐)패클리탁셀(2.0g; 2.0263m㏖) 용액에 무수 초산(10㎖)을 적가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상온에서 18h 동안 N2하에 교반하고, 에틸 아세테이트(100㎖)로서 희석하고, 조심스럽게 6% 소디움 바이카보네이트 용액(6×30㎖), 냉각수(6×30㎖) 및 염수로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건조시키고 (MgSO4), 용매를 증발시켜 잔사를 제공하였다. 이것을 실리카 겔 컬럼에 의해 정제하고 메틸렌 클로라이드, 메틸렌 클로라이드-5% 아세토니트릴, 및 메틸렌 클로라이드-10% 아세토니트릴로서 용출하여 예상된 표제의 화합물(1.86g, 87.7%)을 제공하였다. 이 화합물은 이전에 기재된 디메틸 술파이드/벤조일 퍼옥시드법에 의해 얻어진 것과 일치한다.
(c) 2′-0-(벤질록시카르보닐)-7-0-디벤질포스포노옥시메틸패클리탁셀의 제조
건조 1,2-디클로로에탄(120㎖)내 2′-0-(벤질록시카르보닐)-7-0-메틸티오메틸패클리탁셀(5.0g, 5.5396m㏖) 용액에 활성 분말 4Å분자체(5.0g)를 첨가하였다. 이 혼합물에 상온에서 건조 테트라히드로푸란(90㎖)내 N-요도숙신이미드(1.61g, 7.1632m㏖) 및 디벤질 포스페이트(1.97g, 7.1632m㏖)의 용액 혼합물을 적가하였다. 상온에서 30분간 세게 교반한후,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에서 여과시키고 여과액을 증발 건조시켜 적색 잔사를 제공하였다. 잔사를 에틸 아세테이트(100㎖)에서 취하고, 냉각 6% NaHSO3용액(2×50㎖), 냉각 6% NaHCO3용액(2×50㎖) 및 염수 (1×50㎖)로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건조시키고(MgSO4) 용매를 증발시켜 고체 물질을 제공하고 건조 에테르로서 분쇄하고 여과시켜 아이보리색 고체로서 표제 화합물(5.9g, 97%)을 제공하였다. MP 124-127℃.
MS(FAB): [M+H]+, m/z 1278; [M+Na]+, m/z 1301; [M+K]+, m/z 1316
IR(KBr): 3430, 3066, 3032, 1750, 1726, 1664, 1582, 1532㎝-1.
NMR(CDCl3)δ: 1.160(3H, s), 1.703(3H, s), 1.985(3H, s), 2.164(3H, s), 2.420(3H, s), 3.854(H, d), 4.151(H, d), 4.216(H, m), 4.298(H, d), 4.873(H, d), 5.043(6H, m), 5.140(2H, d), 5.417(H, d), 5.670(H, d), 5.971(H, dd), 6.241(H, t), 6.317(H, s), 6.912(H, d, NH), 7.280-8.115(25H, m).
(d) 7-0-포스포노옥시메틸패클리탁셀의 제조
에틸 아세테이트(120㎖)내 2′-0-(벤질록시카르보닐)-7-0-디벤질포스포노옥시메틸패클리탁셀(6.0g, 4.7095m㏖)의 용액에 10% Pd/C(6.0g)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60psi(400㎪)에서 24시간 동안 수소화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에서 여과시키고 용매를 증발시켜 원 잔사 4.07g을 제공하였다. 이것을 클로로포름: 10%, 20%, 및 40% 메탄올로서 연속 용출에 의해 쇼트 실리카 겔 컬럼에서 정제하여 백색 고체로서 표제의 화합물(3.2g, 71%)을 제공하였다. MP 155-158℃.
이 생성물은 진짜 샘플과 동일한 Rf(TLC)와 동일한 체류시간(HPLC)을 가지고 있다.
MS(FAB): [MH]+, m/z 964; [M+Na]+, m/z 986; [M+K]+, m/z 1002; [M+K++Na+-H]+, m/z 1024; [M+2K-H]+, m/z 1040
UV(MeOH): λmax= 230㎚, E(1%/1㎝) = 252.5
IR(KBr): 3432, 3066, 2992, 1722, 1648, 1602, 1580, 1522, 1488, 1452, 1372, 1316, 1246, 1178, 1154, 1110, 1070, 1000, 980, 946, 854, 802, 776, 710, 628, 538㎝-1.
1NMR(아세톤-d6/D2O), δ: 1.08(3H, s), 1.10(3H, s), 1.63(3H, s), 1.88(3H, s), 1.96(H, m), 2.13(3H, s), 2.32(3H, s), 2.89(H, m), 3.76(H, d), 4.19(H, m), 4.89(H, dd), 5.09(H, dd), 5.55-5.60(2H, 오버렙핑 d′s), 6.04(H, t), 6.32(H, s), 7.20(H, t), 7.34-7.67(10H, 오버렙핑 m′s), 7.87(2H, dd), 8.02(2H, dd).
[실시예 3]
2′-0-(에톡시카르보닐)-7-0-포스포노옥시메틸패클리탁셀
(a) 2′-0-(에톡시카르보닐)패클리탁셀의 제조
건조 메틸렌 클로라이드(51㎖)내 패클리탁셀(4.35g, 5.1m㏖) 용액에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2.67㎖, 15.3m㏖), 이어서 에틸 클로로포르메이트(1.46ml, 15.3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상온에서 추가로 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400㎖)로서 희석하고, 유기상을 NaHCO3의 포화 용액(2×30㎖)으로, 그리고 염수(30㎖)로서 세척하였다. 얻어진 유기상을 MgSO4에서 건조시켜 원 표제 화합물(93%)을 제공하고 추가의 정제없이 다음 단계에 사용하였다.
MS(FAB/NOBA, NaI, KI): [M+H]+, m/z 926; [M+Na]+, m/z 948; [M+K]+, m/z 964
HRMS(FAB/NOBA, CsI/Gly 외부 참조): [M+H]+, m/z 926.3588, 관측치, C50H56NO16, 계산치: 926.3599(편차 △= 1.2ppm)
1HMR(CDCl3): δ1.13(3H, s), 1.23(3H, s), 1.30(3H, t), 1.67(3H, s), 1.92(3H, s), 2.21(3H, s), 2.37(H, d), 2.45(3H, s), 2.54(H, m), 3.80(H, d), 4.15-4.32(4H, m′s 오버랩핑), 4.43(H, dd), 4.96(H, d), 5.42(H, d), 5.68(H, d), 5.98(H, dd), 6.28(2H, m′s, 오버랩핑), 7.00(H, d), 7.34-7.59(11H, m′s, 오버랩핑), 7.74(2H, d), 8.12(12H, d).
별도 수행 :
건조 디클로로메탄(63 ml)내 패클리탁셀(5.40 g, 6.324 mmol)을 0℃로 냉각하고 순수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3.30ml, 3당량)으로 처리한다음 순수 에틸클로로포르메이트(1.81 ml, 3 당량)를 5분에 걸쳐 적가하였다. 반응을 TLC(헥산내 50% 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검측하였다. 0℃에서 2 h 및 상온에서 16 h 후에, 반응이 완료되었고 황색-오렌지색 용액을 에틸 아세테이트(300 ml)로서 희석하고 포화 소디움바이카보네이트(3 × 75 ml) 및 염수(74 ml)로서 세척하였다. 건조(MgSO4)와 증발은 원 표제 화합물을 제공하였고, 침전에 의해 정제하고 : 디클로로메탄(약 100ml)을 첨가하고 이어서 안개점(cloud point)으로 냉각하고 헥산(약 60 ml)을 첨가하였다. 여러 시간 동안 얼음에서 냉각시킨후에, 고체를 여과에 의해 수집하였다. 수율 5.17g(88%).
별도 수행:
불꽃 건조된, 단일목 3 L 플라스크에서 패클리탁셀(99.0 g, 115.9mmol)을 아르곤 분위기하에 건조 메틸렌 클로라이드 1,350 ml에 용해 시켰다. 용액을 -10℃로 냉각하고,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52.4 g, 405.7 mmol)을 천천히 첨가하고(첨가시간 ~3분), 이어서 ClCO2Et(31.45 g, 289.8 mmol; 첨가시간 ~15분)를 첨가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4℃에서 밤새(16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이 TLC에 의해 완료되지 않았다고 판단되었다. 또다른 충전량의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2.62 g, 20.28 mmol)을 첨가하고, 이어서 ClCO2Et(2.20 g, 20.28 mmol)를 첨가하였고 -4℃에서 3 시간 동안 계속 교반하였다. TLC에 의해 출발 물질이 검측되지 않았다. 냉각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1.5 L)로서 희석하고 분리 깔때기에 이동시켰다. 그후 5% KHSO4(2x500 mL), 물(1x500 mL), 5% KHSO4(1x500 mL), 물(1x500 mL), 포화 NaHCO3(2x500 mL) 및 염수(2x500 mL)로서 세척하고, 건조한다음(MgSO4) 용매를 진공제거하여 원생성물 147 g을 제공하였다. 잔사를 가열 메틸렌 클로라이드(800 mL, 조온도 42 ℃)에 용해시키고 헥산을 교반하면서 적가하였고(530 mL), 반면에 온도는 유지시켰다. 결정화 혼합물을 상온에서 3 시간 동안 방치한다음 냉각실(0 ℃)에서 밤새 방치하였다. 무거운 백색 결정체를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헥산/CH2Cl21:1(v/v)(2x200 mL)로서 세척하였다. 감압 필터에서 1시간 건조시킨후 밤새 진공(~1.0 mmHg)에서 건조시켜 표제의 화합물 95.7 g(89% 수율)(HPLC에 의해 측정된 균일성 인덱스(homogeneity index) = 98.5%)을 제공하였다.
(b) 2′-0-(에톡시카르보닐)-7-0-메틸티오메틸패클리탁셀의 제조
건조 디메틸술폭시드(12.5 ml)내 2′-0-(에톡시카르보닐)패클리탁셀(4.38 g, 4.7 mmol) 용액에 무수 초산(12.5 m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상온에서 24 시간 동안 교반하고 에틸 아세테이트(500 ml)로서 희석하고, NaHCO3의 포화 용액(3 x 40 ml)과 물(2 x 40 ml)로서 세척하였다. 얻어진 유기층을 MgSO4에서 건조시키고, 용매를 진공에서 증발 건조시켰다. 잔사를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헥산내 40% 에틸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여 원하는 표제의 화합물(4.39 g, 94%)을 얻었다.
MS(FAB/NOBA, NaI, KI) : [M =H]+, m/z 986; [M = Na]+, m/z 1008; [M + K]+, m/z 1024
HRMS(FAB/NOBA, CsI/Gly 외부 참조) : [M =H]+, m/z 986.3646(계산치 : 986.3633, 편차 △=1.3 ppm)
1HNMR(CDCl3) δ:1.18(3H, s), 1.20(3H, s), 1.30(3H, s), 1.75(3H, s), 1.84(H, m), 2.09(3H, s), 2.11(3H, s), 2.16(3H, s), 2.24(H, d), 2.37(H, d), 2.45(3H, s), 2.80(H, m), 3.68(H, d), 4.08-4.33(5H, m, 오버랩핑), 4.65(2H, s), 4.96(H, d), 5.43(H, d), 5.69(H, d), 5.98(H, dd), 6.26(H, t), 6.55(H, s), 7.00(H, d), 7.32-7.61(11H, m, 오버랩핑), 7.73(2H, dd), 8.11(2H, dd).
별도 수행:
2′-O-(에톡시카르보닐)패클리탁셀(2.260 g, 2.4406 mmol)을 무수 디메틸술폭시드( 6 ml)에 용해 시키고 무수 초산( 6 ml)을 상온에서 1로트 첨가하였다. 반응을 HPLC(C18 분석 컬럼; 60% 아세토니트릴 - 40% 10 mM 암모늄 포스페이트 완충액, pH 6)에 의해 검측하였다. 30 h후에, 용액을 에틸 아세테이트(250 ml)로서 희석하고 바이카보네이트 포화수용액(3회) 그후 물과 염수로 세척하였다. 마그네슘 술페이트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한후, 원 생성물을 실리카에서 크로마토그래피하여(헥산내 40% 에틸 아세테이트) HPLC에 의해 90% 순수한 백색 발포체로서 표제의 화합물(2.030 g, 91%)을 얻었다. 일부를 제2 컬럼(디클로로메탄내 5% 아세토니트릴)에 의해 추가로 정제하여 HPLC에 의해 약 97% 순수한 물질을 제공하였다.
2′-0-(에톡시카르보닐)-7-0-메틸티오메틸패클리탁셀의 제조에 대한 별도의 방법.
2′-0-(에톡시카르보닐)패클리탁셀(4.170 g, 4.503 mmol)을 -40 ℃에서 무수 아세토니트릴(68 ml)에 용해시키고, 디메틸 술파이드(3.2 ml, 44.10 mmol) 이어서 벤조일 퍼옥시드(4.400 g, 18.24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얼음조에 넣고 0 ℃에서 교반하고, 반응 과정을 TLC(헥산내 40% 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검측하였다. 3 h후에, 출발물질이 관찰되지 않았고, 에틸 아세테이트(250 ml)와 소디움 바이카보네이트 포화수용액(100 ml)를 첨가함으로서 용액을 만들었다. 유기상을 추가로 바이카보네이트, 물, 및 염수로 세척하고, 마그네슘 술페이트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였다. 잔사를 실리카 겔 섬광 크로마토그래피(디클로로메탄 4% 아세토니트릴)에 의해 정제하여 백색 발포체로서 표제의 화합물(2.571 g, 수율 58%)을 얻었다. 이 샘플의 순도는 HPLC에 의해 >97%로서 판단되었다. NMR 스펙트럼은 상기에 보고된 것과 일치하였다.
2′-0-(에톡시카르보닐)-7-0-메틸티오메틸패클리탁셀을 제조하기 위한 별도 수행.
2′-0-(에톡시카르보닐)패클리탁셀(49.3 g, 53.2 mmol)을 불꽃 건조된 단일목 1L 플라스크에 넣고 상온에서 건조 아세토니트릴(500 ml)에 용해시켰다. 메틸 술파이드(39.1 ml, 0.532 mmol)를 시린지에 의해 급속히 첨가하였다. 교반된 반응 혼합물을 얼음/염조에서 -16 ℃로 냉각시키고 고체 벤조일 퍼옥시드(51.6 g, 0.213 mol)를 1 롯트로 혼합물에 첨가하였다(반응을 완료하는데 4 당량이 필요하다). 온도를 ~-10℃로 상승시키는 중에, 30분간 계속 교반하였다. 이 기간 동안 반응 매질은 비균일로 유지되었다(벤조일 퍼옥시드는 완전히 용해되지 않았다). 냉각조를 얼음/물로 바꾸고, 온도를 0 ℃로 상승시켰고 잔류 벤조일 퍼옥시드를 가열후 ~5분에 용해시켰다. 또다른 2.5 h 동안 0 ℃에서 교반한후 TLC에 의해 반응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하였다. 용액의 부피를 rotovap에서 용매를 제거함으로서 ~200 ml로 감소시켰고 그후 분리 깔때기로 이동시켜 헵탄(5x500 ml)으로 세척하였다. 아세트나트릴 층을 에틸 아세테이트(1.5L)로서 희석하고 포화 NaHCO3/5% K2CO3(v/v)의 3:1 혼합물(2x500 ml), 포화 NaHCO3(2x500 ml), 반포화 염수(1x500 ml)로서 세척하고, 건조시킨다음(MgSO4) 용매를 진공 제거하여 원생성물 67.0 g을 제공하였다. 그것을 아세톤(200 ml)에 용해시키고, 수조에서 40 ℃로 가열하였고 혼탁화가 관찰될 때까지(400 ml) 교반하면서 헥산을 적가하였다. 결정 혼합물을 상온에서 3 시간 동안 방치한후 냉각실(0 ℃)로 이동시키고 밤새(16 시간) 유지하였다. 두꺼운 케이크가 형성되었다. 고체를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헥산/아세톤 3:1(v/v)(2x500 ml)로서 세척하였다. 얻어진 백색 결정체를 감압 필터에서 1시간 그후 진공(~0.5 mmHg)에서 밤새 건조시켜 표제의 화합물 47.5 g(91% 수율)을 제공하였다(HPLC에 의해 측정된 균일성 인덱스=94.8%).
(c) 2′-0-(에톡시카르보닐)-7-0-디벤질포스포노옥시메틸패클리탁셀의 제조
테트라히드로푸란내 N-요도숙신이미드(1.953 g, 8.65 mmol)과 디벤질포스페이트(2.41 g, 8.65 mmol)의 용액을 상온에서 메틸렌 클로라이드(100 ml)내 2′-0-(에톡시카르보닐)-7-0-메틸티오메틸패클리탁셀(5.677 g, 5.76 mmol)과 4Å 분자체(5.7 g)의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상온에서 40분간 교반하였다. 이 기간후에 반응은 HPLC에 의해 완료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시키고 여과액을 진공 농축하여 갈색 잔사를 제공하고 에틸 아세테이트(800 ml)로서 희석하고, 유기상을 1% Na2So3(2 x 80 ml)로서 세척한다음, 5% 염수(2 x 50 ml)로서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진공 농축하고 건조시켰다. 얻어진 잔사의 크로마토그래피(헥산내 50-60% 에틸 아세테이트)는 원하는 표제 화합물(6.23 g, 89%)을 제공하였다.
MS(FAB/NOBA, NAI, KI) : [M +Na]+, m/z 1238; [M +K]+, m/z 1254
HRMS(FAB/NOBA, CsI/Gly 외부 참조) : [M +Na]+m/z 1216.4291(C65H71O20P 계산치: 1216.4307; 편차 △=1.3ppm)
1HNMR(CDCl3) δ:1.18(3H, s), 1.21(3H, s), 1.30(3H, t), 1.67(6H, s), 1.80(H, s), 1.93(3H, m), 1.99(3H, d), 2.18(3H, s), 2.23(H, m), 2.38(H, m), 2.45(3H, s), 2.80(H, m), 3.86(H, d), 4.14-4.32(5H, m′s 오버랩핑), 4.88(H, d), 5.00-5.07(4H, m′s. 오버렙핑), 5.42(H, d), 5.68(H, d), 5.96(H, dd), 6.26(H, t), 6.33(H, s), 6.95(H, d), 7.30-7.61(11H, m′s 오버랩핑), 7.75(2H, dd), 8.12(2H, dd).
별도 수행:
무수 테트라히드로푸란(8 ml)내 2′-0-(에톡시카르보닐)-7-0-메틸티오메틸패클리탁셀(350 mg, 0.355 mmol)의 용액에 테트라히드로푸란(5 ml)내 N-요도숙신이미드(120 mg, 0.532 mmol)와 디벤질 포스페이트(148 mg, 0.532 mmol)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반응을 HPLC(C18 컬럼; 70% 아세토니트릴, 30% 10 mM 암모늄 포스페이트, pH6)에 의해 검측하였다. 2h 후에, 출발물질이 5%이하로 관찰되었고, 반응을 수행하였다. 용액을 에틸 아세테이트(75 ml)로서 희석하고, 1% 소디움 바이술파이트 수용액(2x50 ml)과 염수(50 ml)로 세척하였다. 마그네슘 술페이트에서 신속한 건조 및 여과후에, 용매를 증발시켰다. 실리카 겔 섬광 크로마토그래피(45% 에틸 아세테이트/헥산)는 백색 발포체로서 표제의 화합물(281 mg, 65%)을 제공하였다. HPLC 분석은 약 95%의 순도를 나타냈다.
별도 수행:
분쇄된 4Å 분자체를 불꽃 건조된 단일목 1 L 플라스크에 넣고 진공 라인(~0.5 mmHg)에 연결하였다. 체를 손으로 흔들면서, 히트건으로 ~10분간 가열하였다. 진공하에 냉각한후 아르곤을 플라스크에 도입시키고 2′-0-(에톡시카르보닐)-7-0-메틸티오메틸패클리탁셀(37.5 g, 38.03 mmol), 이어서 디벤질 포스페이트(14.8 g, 53.24 mmol) 및 THF(400 ml)를 첨가하였다. 비균일 혼합물을 상온에서 자석 교반기로 15분간 세게 교반하였다. 별도의 불꽃 건조된 플라스크에서, N-요도숙신이미드(10.7g, 47.54 mmol)를 아르곤하에 THF(50 ml)에 용해시켰다(NIS 용액의 제조, 액체 이동중에 및 반응 과정중에, 관을 광차단을 위해 알루미늄 호일로 덮었다). 그후 시린지에 의해 반응 혼합물에 천천히(10분) 첨가하였다. NIS를 함유한 플라스크를 THF 5 ml로서 세척하고 반응 혼합물에 이동시켰고, 그후 상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 분석은 출발 물질의 부재를 보여주었다. 진한 적색 용액을 셀라이트의 패드를 통해 에틸 아세테이트(500 ml), 10% 소디움 티오술페이트 수용액(300 ml) 및 포화 소디움 바이카보네이트(200 ml)를 함유한 세게 교반된 이상 혼합물로 직접 여과시켰다. 수초가 지나서 적색이 사라지고 무색 용액을 제공하였다. 셀라이트R패드를 EtoAC(~100 ml)로서 세척하고 액체 층 두가지 모두를 분리 깔때기로 이동시켰다. 유기층을 EtoAc 1 L로서 희석하고, 층을 분리하고 유기층을 포화 NaHCO3및 5% K2CO3의 혼합물(3:1 v/v, 2x500 ml), 그후 포화 NaHCO3(2x500 ml), 반포화 염수(1x500 ml) 및 염수(1x500 ml)로서 세척하였다. 추출물을 무수 MgSO4로서 건조시키고 여과하였다. 상온에서 15분간 교반함으로서 중성 Norit(목탄) 5.0 g으로서 처리하였다. 셀라이트R패트를 통해 다시 여과시키고 용매를 감압하에 제거하여 원생성물 52 g을 제공하였다. 톨루엔/메틸렌 클로라이드(280 ml/25 ml)에 용해시키고 헥산을 적가하였다(20 ml). 상온에서 3 시간 동안 방치시킨후 결정 혼합물을 0 ℃에서 밤새 방치하였다. 엷은 황색 고체를 플라스크 벽에 형성시켰다. 모액을 경사분리한후, 잔사를 톨루엔(50 ml)으로서 분쇄하고, 여과시키고, 톨루엔으로서 세척한다음 감압 필터에서 30분간 건조시켰다. 그후 드리라이트(DrieriteR)가 있는 데시케이터로 이동시키고 추가로 4 시간 동안 진공(~0.5 mmHg) 건조시켜 표제의 화합물 24.4 g(수율 53%)을 제공하였다(HPLC에 의해 측정된 균일성 인덱스 = 95.9%). 모액을 증발 건조시키고, 톨루엔(100 ml)으로 분쇄하고, 여과시킨다음, 톨루엔으로 세척하고 감압 필터에서 30분간 건조시켰다.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이 데시케이터에서 건조시킨후 동일 생성물 12.5g을 제공하였다(HPLC에 의해 측정된 동일성 인덱스 = 97.1%).
(d) 2′-0-(에톡시카르보닐)-7-0-포스포노옥시메틸패클리탁셀과 그의 모노소디움, 모노포타슘, 트리에틸아민, 아르기닌, 리신, 에탄올아민, N-메틸글루카민, 및 트리에탄올아민 염의 제조
건조 에틸 아세테이트(40 ml)내 2′-0-(에톡시카르보닐)-7-0-디벤질포스포노옥시메틸패클리탁셀(1.23 g, 1.01 mmol)의 용액에 탄소위 10% Pd(428 mg, 10%, 0.404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4 시간 동안 연속하여 흔들면서 수소화반응시켰다(60 PSI=400 kPa). 고체를 셀라이트를 통해 걸러내고, 셀라이트를 여러 차례 에틸 아세테이트로서 린스하였다. 여과액을 농축하여 유리산 형태의 표제의 화합물을 제공하였다(1.01g, HPLC에 의해 판단된 80% 순도). 불순물을 다음 단계에서 예비 C-18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제거하였다.
MS(FAB/NOBA, NaI, KI) : [M +Na]+, m/z 1058; [M +K]+, m/z 1074; [M + 2Na - H]+, m/z 1080; [M + Na + K - H]+, m/z 1096; [M + 2K - H]+, m/z 1112
HR-MS(FAB/NOBA, CsI/Gly 외부 참조) : [M +Na]+m/z 1058.3163(C51H58NO20PNa 계산치: 1058.3188; 편차 △ = 2.3ppm)
1H NMR(아세톤-d6/D2O) δ:1.13(3H, s), 1.21(3H, s), 1.66(3H, s), 1.87(H, m), 1.93(3H, s), 2.14(3H, s), 2.18(H, m), 2.44(3H, s), 2.95(H, m), 3.81(H, d), 4.12(2H, s), 4.15-4.27(3H, m′s 오버랩핑), 4.92-4.99(2H, br.m′s 오버랩핑), 5.15(H, br.s), 5.48(H, d), 5.61(H, d), 5.84(H, dd), 6.07(H, t), 6.36(H, s), 7.25(H, t), 7.28-7.69(10H, m′s 오버랩핑), 7.89(2H, dd), 8.08(2H, dd), 8.86(H, d).
별도 수행:
에틸 아세테이트(20 ml)내 2′-0-(에톡시카르보닐)-7-0-(디벤질포스포노옥시메틸)패클리탁셀(490 mg, 0.402 mmol)을 목탄위 팔라듐(10% w/w, 150 mg)의 존재하에 Parr 세이커에서 60 psi(400 kPa)에 수소화하였다. TLC와 HPLC에 의해 검측하였다. 더 이상의 출발물질 또는 중간체(추측컨대 모노벤질 포스페이트)가 검측되지 않을 때(26 h), 분산액을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시키고 증발 건조시켰다. HPLC 분석은 순도 88-92%를 나타냈다.
별도 수행:
다음에 기재될 2′-0-(에톡시카르보닐)-7-0-포스포노옥시메틸패클리탁셀 트리에틸아민 염(5.4 g, 4.75 mmol)을 0 ℃에서 30분간 세게 교반하면서 EtOAc(100 ml) 및 5% NaHSO4(45 ml) 사이에 분배하였다. 수성층을 분리하고 EtOAc(20 ml)로서 추출하였다. 결합된 EtOAc 층을 반-염수(25 ml), 염수(25 ml x 2)로서 세척하고, NaSO4에서 건조시킨다음 여과시켜서 EtOAc(~150 ml)내 산(~4.75 mmol) 용액을 제공하였다. EtOAc 용액을 회전식 증발기에서 농축 건조시켜 유리산 형태로 수율 95%에서 표제의 화합물 3.75 g을 제공하였다. HPLC 분석을 96.1%의 균일성 인덱스를 나타냈다.
모노소디움 염을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2′-0-(에톡시카르보닐)-7-0-포스포노옥시메틸패클리탁셀(1.6 g, 1.55 mmol)의 샘플을 음파 파쇄에 의해 아세토니트릴(30 ml)에 용해시켰다.
이 용액을 물(30 ml)로서 희석하고 NaHCO3(2.11 ml, 2.32 mmol)의 1.1 M 용액을 첨가하고, 교대로 흔들고 음파 파쇄하여 용액을 얻었다(5-20분). 약간 우유색 용액을 C-18 컬럼에 넣고, 컬럼의 2부피의 물로서 세척한다음, 25% 아세토니트릴/물로서 모노소디움 염을 용출하였다. 적합한 유분을 모으고, 아세토니트릴을 증발시키고, 수성상을 동결건조하여 HPLC 순도 97%인, 표제의 화합물의 모노소디움 염(850 mg, 약 50%)을 얻었다.
MS(FAB/NOBA, NaI, KI) : [M + Na]+, m/z 1180
HR-MS(FAB/NOBA, CsI/Gly 외부 참조) : [M + Na]+, m/z 1080.2986(C51H57NO20PNa2계산치 : 1080.3007; 편차 D = 3.6 ppm)
성분분석 : C : 52.65(계산치 56.72), H : 5.06(계산치 5.23), N : 1.20(계산치 1.30), Na: 2.74(계산치 2.12)
IR(KBr) : 3430, 3066, 2988, 1746, 1722, 1660, 1602, 1582, 1526, 1488, 1452, 1374, 1246, 1178, 1150, 1108, 1070, 1052, 1026, 1002, 966, 912, 834, 792, 776, 710, 628, 538 ㎝-1.
1HNMR(DMSO-d6,D2O, 아세톤-d6) δ: 1.10(6H, s), 1.23(3H, t), 1.64(3H, s), 1.70(H, m), 1.90(3H, s), 1.99(H, m), 2.14(3H, s), 2.37(3H, s), 2.98(H, m), 3.74(H, d), 4.07(2H, s), 4.13-4.26(3H, m, 오버랩핑), 4.80(H, br.dd), 4.97(H, d), 5.09(H, br.t), 5.44(H, d), 5.55(H, d), 5.99(H, t), 6.34(H, s), 7.22(H, t), 7.43-7.69(10H, m, 오버랩핑), 7.92(2H, dd), 8.06(2H, dd).
소디움 염을 또한 다음과 같이 제조할 수 있다.
EtOAc(2 ml)내에서 원 2′-0-(에톡시카르보닐)-7-0-포스포노옥시메틸패클리탁셀(89%; 70 mg, 0.060 mmol)을 상온에서 교반하면서 소디움 에틸헥사노에이트(EtOAc에서 87.5 mM, 1.0 ml, 0.0875 mmol)의 용액으로 처리하였다. 상온에서 1 h 동안 교반한후, 헥산(1.2 ml)을 안개점으로 첨가하였다. -20 ℃에서 2 h 동안 저장한후, 미세한 비정질 분말을 미세한 여과지를 통해 여과시켜(약간의 곤란한 점으로서, 매우 느림) 소디움 염 45 mg(70%)을 얻었다. 이것은 HPLC에 이해 95.2% 순수하였고 소량의 에틸헥산을 함유하였다(NMR).
트리에탄올아민 염을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수소화로부터 원생성물(HPLC에 의해 89%), 2′-0-(에톡시카르보닐)-7-0-포스포노옥시메틸패클리탁셀(순도에 대한 보정후 0.69 g, 0.593 mmol)을 에틸 아세테이트(10 ml)에 용해시키고, 트리에탄올아민(EtOAc내 0.11 M, 5.1 ml 사용됨, 0.95 당량)의 용액을 적가하면서 천천히 교반하였다. 이 과정에서 얻어진 우유상 용액을 2 h 동안 0 ℃에서 침지한다음, 미세한 여과지에서 여과시키고, 냉각 EtOAc로서 린스하였다. 수율: 진공에서 밤새 건조시킨 비정질의, 미세한, 비정전성 분말 499 mg(80%). HPLC는 96.6%의 순도를 보여준다(C-18, 45% 5mM Q12+10 mM 암모늄 포스페이트 pH 6, 55% 아세토니트릴). NMR 스펙트럼(D2O/아세톤/DMSO)은 미량의 에틸 아세테이트를 보여주며 다른 명백한 불순물을 보여주지 않는다. 그것은 2-3 x 하이드레이트에 대해 분석된다.
또다른 실험에서 얻어진 우선성이 보다 적은 트리에탄올아민 염을 다음의 방법에 의해 추가로 정제하였다. 트리에탄올아민 염(약 2g)을 약 30% 아세토니트릴/물에 용해시켰다. 이 용액을 C18의 컬럼(Backerbond)을 통해 약간의 질소 압력에서 물내 20%-40% 아세토니트릴의 기울기로서 용출하였다. 원하는 트리에탄올아민 염을 함유한 유분을 수집하고; 아세토니트릴을 감압하에 회전식 증발에 의해 제거하였다. 수용액을 밤새 동결건조시켜 순도 97.5%인 트리에탄올아민 염 1.4g을 제공하였다.
트리에탄올아민 염을 또한 다음과 같이 제조할 수 있다:
2′-0-(에톡시카르보닐)-7-0-포스포노옥시메틸패클리탁셀 트리에틸아민염(3.0 g, 2.64 mmol)을 0 ℃에서 15분간 세게 교반하면서 EtOAc(60 ml) 및 5% NaHSO4(30 ml) 사이에 분배하였다. 수성층을 분리하고 EtOAc(10 ml)로서 추출하였다. 결합된 EtOAc 층을 염수(15 ml)로서 세척하고, Na2SO4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여 EtOAc(~70 ml)so 산(~2.64 mmol)의 용액을 제공하였다. 상온에서 이 EtOAc 용액에 5분간에 걸쳐 세게 교반하면서 N(CH2CH2OH)3(0.35 ml, 2.64 mmol)를 첨가하였다. 얻어진 분산액을 추가의 1 시간 동안 교반한다음 여과시키고, EtOAc(15 ml 2)로서 세척하고, 진공 건조시켜 수율 89%로 트리에탄올아민 염 2.8g을 제공하였다. HPLC 분석은 균일성 인덱스 98.7%를 나타냈다; mp.:>157℃ 분해.
C56H73N2O23P·2.0 H2O·0.3 EtOAc에 대한 성분 분석 계산치:
C, 55.60; H, 6.48; N, 2.27; KF(H2O), 2.92
실측치 : C, 55.94; H, 6.59; N, 2.43; KF(H2O), 3.50
트리에틸아민 염을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상온에서 EtOAc(350 ml)내 2′-0-(에톡시카르보닐)-7-0-디벤질포스포노옥시메틸패클리탁셀(10 g, 8.23 mmol) 용액에 탄소위 10% Pd(2 g, 20% 로드)를 첨가하였다. 공기를 배기한다음 아르곤으로 퍼지함으로서 얻어진 분산액을 탈기하였다. 이 방법을 추가로 2회 반복하였다. 아르곤을 동일한 탈기방법에 따라 수소로 대체하였다. 얻어진 분산액을 세게 교반하면서 상온에서 16 시간 동안 발룬 수소압(인치 스퀘어당 2-3 파운드)하에 교반하였다. 수소를 배기시키고 탈기방법에 따라 아르곤으로 3회 대체하였다. 얻어진 분산액을 셀라이트 패드를 통해 여과하였다. 이 균일 여과액에 세게 교반하면서 Et3N(8.23 mmol, 1.14 ml)을 천천히 첨가하였다. 얻어진 미세 백색 분산액을 추가 30분간 교반하였다. 유리 깔때기를 통해 여과시켰다. 필터 케이크를 16 시간 동안 진공(1 mmHg) 건조시켜 수율 88%로 표제의 트리에틸아민 염 8.22 g을 제공하였다. HPLC 분석은 97.4%의 균일성 인덱스를 나타냈다; mp.: > 178℃ 분해.
C57H73N2O20P·4.5 H2O에 대한 성분 분석 계산치:
C, 55.19; H, 6.79; N, 2.30; KF(H2O), 6.65.
실측치 : C, 56.33; H, 6.87; N, 2.32; KF(H2O), 7.96.
트리에틸아민 염을 제조하기 위한 별도 수행:
2′-0-(에톡시카르보닐)-7-0-디벤질포스포노옥시메틸패클리탁셀(5.67 g, 4.66 mmol)을 250 ml 플라스크에 첨가하고 에틸 아세테이트(150 ml)에 용해시켰다. 플라스크에 한 갈래는 하우스 진공(house vacuum)에 연결되고 한 갈래는 아르곤 라인에 연결되어 있는 세 갈래 밸브를 설치하였다. 밸브를 사용하여, 플라스크를 부분적으로 배기시킨다음 아르곤으로 퍼지하였다. 이 방법을 추가로 2회 반복하였다. 활성탄위팔라듐(10% Pd)(0.85 g)을 플라스크에 첨가하였다. 세 갈래 밸브에 결합된 아르곤 라인을 수소-충전 발룬으로 대체하였다. 밸브를 사용하여, 플라스크를 부분적으로 배기하고 수소로 퍼지하였다. 이 방법을 추가로 4회 반복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상온에서 밤새 수소발룬 분위기하에 교반하였다. 수소에 초기 노출후 17 시간에 TLC 분석은 출발 물질이 없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세 갈래 밸브에 결합된 수소 발룬을 아르곤 라인으로 대체하였다. 밸브를 사용하여, 플라스크를 부분적으로 배기시킨다음 아르곤으로 퍼지하였다. 이 방법을 추가로 2회 반복하였다. 플라스크의 내용물을 셀라이트 패드를 통해 진공-여과시켰다. 셀라이트를 에틸 아세테이트(2 x 10 ml)로서 린스하였다. 교반 여과액에 NEt3(0.650 ml, 4.66 mmol)를 첨가하였다. 얻어진 분산액을 상온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고, 부피를 로토바프에 의해 ~150 ml로 감소시켰다. 고체를 여과하고, 에틸 아세테이트(2 x 10 ml)로서 세척하고 진공하에 건조시켜 백색 분말로서 표제의 트리에틸아민 염 4.76 g(90% 수율)을 제공하였다(생성물의 균일성 인덱스는 HPLC 분석에 의해 96.6%로 측정되었다).
트리에틸아민 염을 제조하기 위한 별도 수행:
2′-0-(에톡시카르보닐)-7-0-디벤질포스포노옥시메틸패클리탁셀(5.17 g, 4.25 mmol)을 250 ml 플라스크에 첨가하고 에틸 아세테이트(150 ml)에 용해시켰다. 플라스크에 한 갈래는 하우스 진공에 연결되고 한 갈래는 아르곤 라인에 연결되어 있는 세 갈래 밸브를 설치하였다. 밸브를 사용하여, 플라스크를 부분적으로 배기시킨다음 아르곤으로 퍼지하였다. 이 방법을 추가로 2회 반복하였다. 활성탄위 팔라듐(10% Pd)(0.86 g)을 플라스크에 첨가하였다. 세 갈래 밸브에 결합된 아르곤 라인을 수소-충전 발룬으로 대체하였다. 밸브를 사용하여, 플라스크를 부분적으로 배기하고 수소로 퍼지하였다. 이 방법을 추가로 5회 반복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상온에서 밤새 수소 발룬 분위기하에 교반하였다. 수소에 초기 노출후 16 시간에 TLC 분석은 출발 물질이 없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세 갈래 밸브에 결합된 수소 발룬을 아르곤 라인으로 대체하였다. 밸브를 사용하여, 플라스크를 부분적으로 배기시킨다음 아르곤으로 퍼지하였다. 이 방법을 추가로 2회 반복하였다. 플라스크의 내용물을 셀라이트 패드를 통해 진공-여과시켰다. 셀라이트를 에틸 아세테이트(4 x 10 ml)로서 린스하였다. 교반 여과액에 NEt3(0.590 ml, 4.25 mmol)를 첨가하였다. 얻어진 분산액을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부피를 로토바프에 의해 ~140 ml로 감소시켰다. 고체를 여과하고, 에틸 아세테이트(10 ml)로서 세척하고 진공하에 건조시켜 백색 분말로서 표제의 트리에틸아민 염 4.46 g(92% 수율)을 제공하였다(생성물의 균일성 인덱스는 HPLC 분석에 의해 96.7%로 측정되었다).
리신 염을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2′-0-(에톡시카르보닐)-7-0-디벤질포스포노옥시메틸패클리탁셀(15.0 g, 12.34 mmol)을 0℃에서 EtOH(600 ml, 200 proof)내 탄소위 10% 팔라듐(20% 로드, 3 g)의 분산액에 부분 첨가하였다. 공기를 배기시키고 아르곤으로 퍼지함으로서 얻어진 분산액을 탈기하였다. 이 방법을 추가로 2회 반복하였다. 그후 아르곤을 수소로 대체하고 세게 교반하면서 동일한 탈기방법을 수행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0 ℃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냉각조를 제거하고 반응 용액을 상온에서 추가의 4-1/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수소를 배기시키고 아르곤으로 3회 퍼지함으로서 탈기하였다. 그것을 셀라이트 패드를 통해 아르곤하에 여과시켰다. 세게 교반하면서 5분간에 걸쳐 H2O:EtOH의 1:1 혼합물(200 proof)(20 ml)내 리신(1.63 g, 0.94 eq)이 용액을 얻어진 여과액에 천천히 첨가하였다. 얻어진 백색 분산액에 증류수(110 ml)를 첨가하고 30분간 교반하였다. 그것을 약 55 ℃로 가열하였다. 얻어진 균일 용액을 50 ℃에 맞춘 오일조에 유지시키고 상온으로 16시간 동안 4 ℃로 3시간 동안 천천히 냉각하였다. 그것을 여과시키고 16시간 동안 감압 건조시켜 HPLC에 의해 측정된 균일성 인덱스 99.0%인 리신 염 11.8g(~80% 수율)을 제공하였다; mp.:>170℃ 분해.
C57H72N3O22P·8.0 H2O에 대한 성분 분석 계산치:
C, 51.62; H, 6.69; N, 3.17; KF(H2O), 10.87.
실측치 : C, 51.76; H, 6.57; N, 3.48; KF(H2O), 11.42.
에탄올아민 염을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0 ℃에서 15분간 세게 교반하면서 2′-0-(에톡시카르보닐)-7-0-포스포노옥시메틸패클리탁셀 트리에틸아민 염(3.0 g, 2.64 mmol)을 EtOAc(60 ml) 및 5% NaHSO4(30 ml) 사이에 분배하였다. 수성층을 분리하고 EtOAc(15 ml)로서 추출하였다. 결합된 EtOAc 층을 염수(15 ml)로서 세척하고, Na2SO4에서 건조시킨다음 여과시켜 EtOAc(~70 ml)내 유리산(~2.64 mmol)의 용액을 제공하였다. 상온에서 이 EtOAc 용액에 세게 교반하면서 5분간에 걸쳐 EtOAc(5 ml)내 H2NCH2CH2OH(0.15 ml, 2.64 mmol)의 용액을 적가하였다. 얻어진 분산액을 추가의 1 시간 동안 교반하고 여과시키며, EtOAc(15 ml x 2)로서 세척하고 진공 건조시켜 89% 수율로 표제의 에탄올아민 염 2.6 g을 제공하였다. HPLC 분석은 97.8%의 균일성 인덱스를 보여주었다; mp.: >130℃ 분해.
C53H65N2O21P·2.5 H2O에 대한 성분 분석 계산치:
C, 55.73; H, 6.18; N, 2.45; KF(H2O), 3.94.
실측치 : C, 55.76; H, 6.39; N, 2.45; KF(H2O), 6.00.
아르기닌 염을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2′-0-(에톡시카르보닐)-7-0-디벤질포스포노옥시메틸패클리탁셀(30.0 g, 24.69 mmol)을 0 ℃에서 EtOH(900 ml, 200 proof)내 탄소위 10% 팔라듐(20% 로드, 6 g)의 분산액에 부분 첨가하였다. 공기를 배기시키고 아르곤으로 퍼지함으로서 얻어진 분산액을 탈기하였다. 이 방법을 추가로 2회 반복하였다. 그후 아르곤을 수소로 대체하고 세게 교반하면서 동일한 탈기방법을 수행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0 ℃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냉각조를 제거하고 반응 용액을 상온에서 추가의 2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상기 탈기방법에 따라 수소를 배기시키고 아르곤으로 3회 퍼지함으로서 탈기하였다. 그것을 셀라이트 패드를 통해 아르곤하에 여과시켰다. 여과액을 두 개의 동일 부분으로 분할하고 EtOH(190 ml, 200 proof)를 각 부분에 첨가하였다. 한 부분(~630 ml)에 세게 교반하면서 5분간에 걸쳐 H2O:EtOH의 2:1 혼합물(200 proof)(20 ml)내 아르기닌(2.0 g, 0.94 eq) 용액을 천천히 첨가하였다. 얻어진 백색 분산액에 증류수(100 ml)를 첨가하고 30 분간 교반한다음 약 60 ℃로 가열하였다. 그것을 가열 여과하고 여과액을 50 ℃에 맞춘 오일조에 유지시키고 상온으로 냉각시킨다음 상온에서 2시간 동안 및 4 ℃에서 2 시간 동안 유지하였다. 그것을 여과시키고 EtOH(100 ml)내 냉각 3% H2O로서 세척하고 16시간 동안 감압 건조시켜 균일성 인덱스 96.7%인 표제의 아르기닌 염 12.95g(~86% 수율)을 제공하였다.
이 물질(12.95 g)을 55 ℃에서 EtOH(~700 ml)내 15% H2O의 혼합물에 용해시켰다. 용액을 냉각시키고 30 ℃에서 3-1/2 시간, 상온에서 16 시간, 및 4 ℃에서 3 시간 동안 유지하였다. 얻어진 결정체를 여과시키고, EtOH(50 ml x 2)내 냉각 2% H2O로서 세척하고, 4 시간 동안 감압 건조시킨다음 진공(1 mmHg)에서 16 시간 동안 건조시켜 표제의 아르기닌 염 10.2g(~80% 수율)을 제공하였다(균일성 인덱스는 98.5%이었다) ; mp.:>176 ℃ 분해.
C57H72N5O22P·6.4 H2O에 대한 성분 분석 계산치:
C, 51.65; H, 6.45; N, 5.28; KF(H2O), 8.7.
실측치 : C, 51.86; H, 6.65; N, 5.53; KF(H2O), 8.72.
N-메틸글루카민 염을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2′-0-(에톡시카르보닐)-7-0-디벤질포스포노옥시메틸패클리탁셀(30.0 g, 24.69 mmol)을 0 ℃에서 EtOH(900 ml, 200 proof)내 탄소위 10% 팔라듐(20% 로드, 6 g)의 분산액에 부분 첨가하였다. 공기를 배기시키고 아르곤으로 퍼지함으로서 얻어진 분산액을 탈기하였다. 이 방법을 추가로 2회 반복하였다. 그후 아르곤을 수소로 대체하고 세게 교반하면서 상기의 탈기방법을 수행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0 ℃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냉각조를 제거하고 반응 용액을 상온에서 추가의 2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상기 탈기방법에 따라 수소를 배기시키고 아르곤으로 3회 퍼지함으로서 탈기하였다. 그것을 셀라이트 패드를 통해 아르곤하에 여과시켰다. 여과액을 두 개의 동일 부분으로 분할하고 EtOH(190 ml, 200 proof)를 각 부분에 첨가하였다. 한 부분(~630 ml)에 세게 교반하면서 5분간에 걸쳐 H2O:EtOH의 1:1 혼합물(200 proof)(20 ml)내 N-메틸글루카민(2.24g, 0.94 eq) 용액을 천천히 첨가하였다. 얻어진 백색 분산액에 증류수(100 ml)를 첨가하고 30분간 교반한다음 약 49 ℃로 가열하였다. 투명한 균일 용액을 50 ℃에 맞춘 오일조에 유지시키고 상온으로 냉각시킨다음 상온에서 2시간 동안 및 4 ℃에서 1-1/2시간 동안 유지하였다. 그것을 여과시키고 EtOH(100 ml)내 3% H2O로서 세척하고 16시간 동안 상온에서 감압 건조시켜 균일성 인덱스 96.4%인 표제의 N-메틸글루카민 염 9.65g(~64% 수율)을 제공하였다.
이 물질(9.65g)을 52 ℃에서 EtOH(~450 ml)내 15% H2O의 혼합물에 용해시켰다. 용액을 냉각시키고 28 ℃에서 3-1/2 시간, 상온에서 16 시간, 및 4 ℃에서 3 시간 동안 유지하였다. 얻어진 결정체를 여과시키고, EtOH(50 ml x 2)내 냉각 2% H2O로서 세척하고, 4 시간 동안 감압 건조시킨다음 진공(1 mmHg)에서 16 시간 동안 건조시켜 표제의 N-메틸글루카민 염 7.5g(~80% 수율)을 제공하였다(HPLC에 의해 측정된 균일성 인덱스는 98.6%이었다); mp.: >154 ℃ 분해.
C58H75N2O25P·5.0 H2O에 대한 성분 분석 계산치:
C, 52.72; H, 6.48; N, 2.12; KF(H2O), 6.82.
실측치 : C, 53.09; H, 6.50; N, 2.08; KF(H2O), 7.12.
[실시예 4]
2′-0-(포스포옥시메틸)패클리탁셀
(a) 2′-0-(메틸티오메틸)-7-0-(트리에틸실릴)패클리탁셀의 제조
건조 아세토니트릴(100 ml)내 7-0-(트리에틸실릴)패클리탁셀(2.46 g, 2.5439 mmol)의 냉각(0- -5 ℃) 용액에 디메틸술파이드(1.348 g, 1.59 ml, 21.6976 mmol) 이어서 벤조일 퍼옥시드(2.628 g, 10.8488 mmol)를 첨가하였다. 비균일 혼합물 0 ℃에서 1 h 동안 교반하고 5 ℃에서 18 h 동안 유지하였다. 황색 용액이 관찰되었다. 이것을 증발 건조 시키고 실리카 겔 컬럼(에틸 아세테이트; 헥산, 1:4; 1:3 및 1:2로서 용출됨)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의 화합물(1.0 g, 38%)을 제공하여다. 이것을 다음 단계에 그대로 사용하였다.
MS: [M+H]+, 1028; [M+Na]+, 1050[M+K]+, 1066
(b) 2′-0-(메틸티오메틸)패클리탁셀의 제조
건조 아세토니트릴(30 ml)내 단계 (a)의 생성물(1.0 g, 0.9737 mmol)의 냉각(-15℃) 용액에 0.5 N HCl(3 ml)을 적가하였다. 얻어진 용액을 -15 ℃에서 1 h 동안 및 5 ℃에서 18 h 동안 교반하였다. 이것을 에틸 아세테이트(20 ml)로서 희석하고 6% NaHCO3냉각 용액과 염수로 세척하였다. 건조시키고(MgSO4) 증발 건조시켰다. 실리카 겔 플레이트(메틸렌 클로라이드: 15% 아세토니트릴)에 의해 정제하여 순수한 표제의 화합물(280 mg, 31.4%)을 제공하였다.
IR(KBr) : 3446, 3064, 2940, 1726, 1666, 1582, 1516, 1486.
NMR(CDCl3) : δ1.118(s, 3H), 1.229(s, 3H), 1.662(s, 3H), 1.689(s, 3H), 1.871(s, 3H), 2.209(s, 3H), 2.450(s, 3H), 3.800(d, H),4.119(d, H), 4.305(d, H), 4.413(m, H), 4.563(d, H), 4.703(d, H), 4.940(d, H), 4.958(dd, H), 5.667(d, H), 5.822(dd, H), 6.263(m, 2H), 7.019(d, NH), 7.293-8.127(m, 15H).
MS: [M+H]+, 914; [M+Na]+, 936; [M+K]+, 952
HRMS: MH+, 914.3394(계산치 = 914.3422)
(c) 2′-0-(디벤질포스포노옥시메틸)패클리탁셀의 제조
건조 1,2-디클로로에탄(12 ml)내 단계 (b)의 생성물(0.89 g, 0.9748 mmol)의 교반 용액에 분말 4Å 분자체(1.0 g)를 첨가하고 이어서 건조 테트라히드로푸란( 8 ml)내 N-요도숙신이미드(0.33 g, 1.4622 mmol) 및 디벤질 포스페이트(0.41 g, 1.4622 mmol)의 용액 혼합물을 적가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상온에서 1 h 동안 교반하고, 셀라이트에서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증발 건조시키고 적색 잔사를 에틸 아세테이트(50 ml)에서 취한다음 냉각 6% NaHSO3, 냉각 6% NaHSO3및 염수로서 세척하였다. 건조시키고(MgSO4) 증발시켜 발포체를 제공하였다. 실리카겔 플레이트(메틸렌 클로라이드: 20% 아세토니트릴)에 의해 정제하여 순수한 생성물(0.77 g, 69%)을 제공하였다.
IR(KBr) : 3854, 3744, 3362, 3066, 1960, 1722, 1602, 1580.
NMR(CDCl3) : δ1.075(s, 3H), 1.167(s, 3H), 1.651(s, 3H), 1.799(s, 3H), 2.209(s, 3H), 2.296(s, 3H), 2.464(m, H), 3.686(d, H),4.121(d, H), 4.240(d, H), 4.293(m, H), 4.808-4.957(m, 6H), 5.006(m, H), 5.565-5.649(m, 2H), 6.034(t, H), 6.194(3, H), 7.100-8.132(m, 26H).
MS: [M+H]+, 1144; [M+Na]+, 1166; [M+K]+, 1182
(d) 2′-0-(포스포노옥시메틸)패클리탁셀의 제조
에틸 아세테이트(20 ml)내 단계 (c)의 생성물(0.9g, 0.7874 mmol)과 10% Pd/C(1.0 g)의 혼합물을 60 psi(400 kPa)에서 24 h 동안 수소화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에서 여과시키고 여과액을 증발 건조시켰다. 잔사를 실리카 겔 플레이트(메틸렌 클로라이드: 40% 메탄올)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의 생성물(0.254 g, 33.4%)을 제공하였다. MP 202-205 ℃(d).
IR(KBr) : 3438, 3066, 2942, 1722, 1652, 1602 Cm-1.
NMR(아세톤-d6/D2O) : δ1.081(s, 6H), 1.571(s, 3H), 1.847(s, 3H), 2.115(s, 3H), 2.357(s, 3H), 3.707(d, H), 4.08(m, 2H), 4.275(m, H), 4.941-5.085(m, 4H), 5.231(t, H), 5.430(d, H), 5.544(d, H), 5.970(t, H), 6.376(s, H), 6.961-8.017(m, 16H).
MS: [M+Na]+, 986; [M+K]+, 1002; [M+2Na-H]+, 1008; [M+Na+K-H]+, 1024; [M+2K-H]+, 1040
HRMS: MNa+, 986.2955(계산치 = 986.2976)
[실시예 5]
2′,7-0-비스(포스포노옥시메틸)패클리탁셀 소디움 염
(a) 2′,7-0-비스(메틸티오메틸)패클리탁셀의 제조
고체 벤조일 퍼옥시드(1.995 g, 8 mmol)를 0 ℃에서 아세토니트릴(20 ml)내 패클리탁셀(0.853 g, 1 mmol)과 디메틸 술파이드(1.465 g, 20 mmol)의 교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 ℃에서 3 시간 동안 세게 교반하였다. 그의 진행을 헥산: 에틸 아세테이트(1:1, v/v), Rfpaclitaxel+ 0.24, Rfproduct= 0.60에서 TLC에 의해 검측하였다. 출발물질이 사라졌을 때(약 3 시간후), 하우스 진공을 이용하여 반응물을 25 ℃에서 용매의 증발 건조에 의해 냉각하였다. 실리카 겔 컬럼(EM Science, 40-63μM), 건조 실리카 겔 100 ml, 컬럼크기: Φ=3/4 in., 용매계: 헥산: 에틸 아세테이트(3:2, v/v), 각 유분의 부피: 약 25 ml를 사용하여 건조 잔사를 분리하였다. 유분 15-19로부터 표제의 화합물(0.515g, 수율 53%)을 회수하였다.
(b) 2′,7-0-비스(디벤질포스포노옥시메틸)패클리탁셀의 제조
건조 테트라히드로푸란(8 ml)내 N-요도숙신이미드(135 mg, 0.5 mmol) 및 디벤질포스페이트(167 mg, 0.5 mmol)의 용액을 상온에서 메틸렌 클로라이드(12 ml)내 2′,7-0-비스(메틸티오메틸)패클리탁셀(198 mg, 0.2 mmol) 및 5Å 분자체(약 200 mg)의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5 시간 동안 교반하고, 분자체를 셀라이트에서 걸러내고, 메틸렌 클로라이드(10 ml)로서 세척하고 하우스 진공을 이용하여 상온에서 용매를 증발 건조시켰다. 잔사를 에틸 아세테이트(100 ml)에 용해 시키고 분리 깔때기에서 1% 소디움 티오술페이트(50 ml), 0.5M 소디움 바이카보네이트(50 ml), 및 2회의 물(2 x 50 ml)로서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마그네슘 술페이트에서 건조시키고, 증발 건조시킨다음 에틸아세테이트(1 ml)에 재용해시켰다. 생성물을 에틸 에테르: 헥산(1:1) 50 ml로서 침전시키고 동일한 용매계(2 x 50 ml)로서 2회 세척하였다. 원생성물(218 mg)을 수율 74%로 얻었다. 이 생성물의 정제는 실리카겔(Φ=3/4 in. x L = 1 in.)에서 그의 메틸렌 클로라이드 용액(3 ml)을 넣고 메틸렌 클로라이드: 에틸 아세테이트(3:1) 용매계 50 ml로서 생성물을 용출함으로서 수행되었다. 표제의 화합물(172.7 mg)을 수율 59.3%로 얻었다.
(c) 2′, 7-0-비스(포스포노옥시메틸)패클리탁셀 소디움 염의 제조
에틸 아세테이트(7 ml)에 2′, 7-0-비스(디벤질포스포노옥시메틸)패클리탁셀(112 mg, 0.078 mmol)의 샘플을 용해시키고 상온, 60 psi(400 kPa)에서 2 시간 동안 목탄위 10% 팔라듐(50 mg)에서 수소화하였다. 촉매를 셀라이트에서 여과에 의해 제거하였다. 셀라이트를 에틸 아세테이트(10 ml)로서 린스하였다. 여과액을 고체 소디움 바이카보네이트(20 mg, 3 당량)로 처리한다음 용매를 증발 건조시켰다. 건조 잔사를 물: 아세톤(4:1, v/v) 5 ml에 재용해시키고 물: 아세톤(4:a, v/v)에서 C-18 역상 컬럼 크로마토그래피(55-105μ C-18, Waters, 건조 C-18의 50 ml, Φ = 3/4 in.)에 의해 정제하였다. Q12 이온쌍 칵테일(Regis), Rt = 4.7 min.을 첨가하면서 아세토니트릴: 포스페이트 완충액 pH 6(50/50, v/v)내 분석 HPLC Johns C-18 컬럼(15 cm, 1 ml/min., λ= 230 nm)에서 용출을 검측하였다. 표제의 생성물을 함유한 유분을 모으고, 아세톤을 20 ℃에서 하우스 진공하에 증발시키고, 용액을 동결건조하였다. 표제의 생성물(44.2 mg)을 수율 58.8%로 얻었다.
[실시예 6]
7-0-메틸티오메틸박카틴 III(7-MTM 박카틴 III)
THF 100 ml와 메탄올 500 ml내 2′-0-에틸록시카르보닐-7-0-메틸티오메틸패클리탁셀(실시예 3(b)의 화합물, 27 g, 27.4 mmol)의 용액에 분쇄된 K2CO3(2.7 g. 19 mmol)를 새로 첨가하였다. 용액을 30분간 교반하고 IT-120(H+) 수지로서 중화하고, 여과시킨다음 농축하였다. 원여과액을 디클로로메탄 200 ml에 용해시키고 테트라부틸암모늄 보로히드리드(10 g)로서 2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액을 디클로로메탄으로 희석하고 물, 포화 바이카보네이트 및 염수로서 세척하였다. 유기유분을 MgSO4에서 건조시키고 농축하였다. 잔사를 실리카 겔(1:1 헥산/에틸 아세테이트)에서 크로마토그래피하여 융점 269 ℃인 표제의 화합물(53%) 9.4 g을 제공하였다.
[실시예 7]
3′-N-데벤조일-3′-데스페닐-3′-N-(t-부틸록시카르보닐)-3′-(2-푸릴)-2′-0-에틸록시카르보닐-7-0-포스포노옥시메틸패클리탁셀 트리에탄올아민 염
(a) 3′-N-데벤조일-3′-데스페닐-3′-N-(t-부틸록시카르보닐)-3′-(2-푸릴) -7-0-메틸티오메틸패클리탁셀의 제조
THF 15 ml내 HMDS(0.40 ml, 1.90 mmol)의 용액에 n-BuLi(0.75 ml, 헥산내 2.5 M, 1.88 mmol)의 용액을 첨가하였고 -55 ℃에서 5분간 교반하였다. 이 용액에 THF 10 ml내 7-MTM 박카틴 III(실시예 6의 화합물, 1.03 g, 1.59 mmol)을 첨가하고 (3R,4R)-1-(t-부틸록시카르보닐)-4-(2-푸릴)-3-(트리에틸시릴록시)-2-아제티디논(883 mg, 2.40 mmol)의 10 ml 용액이 첨가적에 10분간 교반하였다. 냉각조를 제거하고 0 ℃조로서 대체하고 반응 혼합물을 30분간 교반하였다. 용액을 에틸 아세테이트로서 희석하고 포화 NH4Cl 용액으로 세척하고, MgSO4에서 건조시킨다음 농축하였다. 잔사를 실리카 겔(2.5:1 헥산/에틸 아세테이트)에서 크로마토그래피하여 커플링 생성물 3′-N-데벤조일-3′-데스페닐-3′-N-(t-부틸록시카르보닐)-3′-(2-푸릴)-7-0-메틸티오메틸-2′-0-트리에틸실릴패클리탁셀 1.5 g(93%)을 제공하였다.
THF 7 ml내 상기에서 얻어진 2′-트리에틸실릴 에테르(330 mg, 0.32 mmol)의 용액에 테트라부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0.35 ml, THF내 1.0 M, 0.35mmol)를 첨가하고 10분간 교반하였다. 용액을 에틸 아세테이트로서 희석하고 염수로서 세척하고, MgSO4에서 건조시킨다음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2:1 헥산/에틸 아세테이트)에서 크로마토그래피하여 표제의 화합물 301 mg(95%)을 제공하였다.
(b) 3′-N-데벤조일-3′-데스페닐-3′-N-(t-부틸록시카르보닐)-3′-(2-푸릴)-2′-0-에틸록시카르보닐-7-0-메틸티오메틸패클리탁셀의 제조
디클로로메탄 50 ml내 단계 (a)의 생성물( 864 mg, 0.96 mmol) 용액에 0 ℃에서 디이소프로필에틸 아민(2.0 ml, 11.5 mmol)과 에틸 클로로포르메이트(0.50 ml, 5.25 mmol)를 첨가하고 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액을 디클로로메탄으로 희석하고 포화 바이카보네이트로서 세척하고 MgSO4에서 건조시킨다음 농축하였다. 잔사를 실리카 겔(1:1 헥산/에틸 아세테이트)에서 크로마토그래피하여 2′ 에틸 카보네이트 표제 화합물 884 mg(95)을 제공하였다.
(c) 3′-N-데벤조일-3′-데스페닐-3′-N-(t-부틸록시카르보닐)-3′-(2-푸릴)-2′-0-에틸록시카르보닐-7-0-디벤질포스포노옥시메틸패클리탁셀의 제조
무수 THF 10 ml내 단계 (b)의 생성물(230 mg, 0.236 mmol) 용액에 4Å 체 300 mg, 디벤질포스페이트(270 mg, 0.98 mmol) 및 재결정화 NIS(62 mg, 0.28 mmol)를 첨가하였다. 이 용액에 은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네이트(45 mg, 0.17 mmol)를 첨가하고 용액을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액을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로서 희석하고 10% NaS2O8, 포화 바이카보네이트, 및 염수로서 세척하고 MgSO4에서 건조시키고 농축하였다. 잔사를 실리카 겔(15% 아세토니트릴/클로로포름)에서 크로마토그래피하여 디벤질 포스페이트 표제 화합물 219 mg(77%)을 제공하였다.
(d) 3′-N-데벤조일-3′-데스페닐-3′-N-(t-부틸록시카르보닐)-3′-(2-푸릴)-2′-0-에틸록시카르보닐-7-0-포스포노옥시메틸패클리탁셀 트리에탄올아민 염의 제조
에틸 아세테이트 25 ml내 단계 (c)의 생성물(311 mg, 0.259 mmol) 용액에 탄소위 Pd(10%) 60 mg를 첨가하고 용액을 H2의 분위기하에 30분간 교반하였다. 촉매를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에 의해 제거하고 여과액을 진공 농축하였다. 잔사를 에틸 아세테이트 3 ml에 용해시키고 트리에탄올아민을 첨가하였다(2.3 ml, 에틸 아세테이트내 0.1 M, 0.23 mmol). 용액을 농축하고 잔사를 C18(40% 아세토니트릴/물)에서 크로마토그래피하고 동결건조시켜 포스페이트 트리에탄올아민 염 205 mg(67%)을 제공하였다.
[실시예 8]
3′-N-데벤조일-3′-데스페닐-3′-N-(t-부틸록시카르보닐)-3′-(2-티엔일)-2′-0-에틸록시카르보닐-7-0-포스포노옥시메틸패클리탁셀 트리에탄올아민염
(a) 3′-N-데벤조일-3′-데스페닐-3′-N-(t-부틸록시카르보닐)-3′-(2-티멘일)-7-0-메틸티오메틸패클리탁셀의 제조
THF 18 ml내 HMDS(0.5 ml, 2.4 mmol) 용액에 -55 ℃에서 n-BuLi(0.85 ml, 헥산내 2.5 M, 2.1 mmol)를 첨가하였다. 10분후에 THF 18 ml내 7-MTM 박카틴 III(1.15 g, 1.78 mmol)을 적가하고 냉각 상태에서 10분간 교반하였다. THF 18 ml내 (土)-시스-1-(t-부틸록시카르보닐)-4-(2-티엔일)-3-(트리에틸실릴록시)-2-아제티디논(2.80 g, 7.3 mmol)을 첨가하고 냉각조를 30분간에 걸쳐 천천히 0 ℃로 가열하였다. 용액을 에틸 아세테이트로서 희석하고 포화 NH4Cl 용액으로 세척하고 MgSO4에서 건조시킨다음 농축하였다. 잔사를 실리카 겔(5:1 헥산/에틸 아세테이트)에서 크로마토그래피하여 커플링 생성물 3′-N-데벤조일-3′-데스페닐-3′-N(t-부틸록시카르보닐)-3′-(2-티엔일)-7-0-메틸티오메틸-2′-0-트리에틸실릴패클리탁셀 1.44 g(78%)을 제공하는 회수된 락탐(3:1 헥산/에틸 아세테이트) 1.87 g을 제공하였다.
THF 14 ml내 상기에서 얻어진 2′-트리에틸실릴 에테르(1.41 g, 1.37 mmol) 용액에 테트라부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1.4 ml, THF내 1.0 M, 1.40 mmol)를 첨가하였다. 용액을 30분간 교반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서 희석하고 염수로서 세척하고, MgSO4에서 건조시킨다음 농축하였다. 잔사를 실리카 겔(1:1 헥산/에틸 아세테이트)에서 크로마토그래피하여 표제의 화합물 1.16 g(92%)을 제공하였다.
(b) 3′-N-데벤조일-3′-데스페닐-3′-N-(t-부틸록시카르보닐)-3′-(2-티엔일)-2′-0-에틸록시카르보닐-7-0-메틸티오메틸패클리탁셀의 제조
디클로로메탄 35 ml내 단계 (a)의 생성물(621 mg, 0.677 mmol) 용액에 0 ℃에서 디이소프로필에틸 아민(1.20 ml, 6.89 mmol)과 에틸 클로로포르메이트(0.35 ml, 3.7 mmol)를 첨가하고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냉각조를 제거하고 용액을 2 시간 동안 교반한다음 디클로로메탄으로 희석하고 포화 바이카보네이트로서 세척한다음 MgSO4에서 건조시키고 농축하였다. 잔사를 실리카 겔(1:1 헥산/에틸 아세테이트)에서 크로마토그래피하여 표제의 화합물 528 mg(79%)을 제공하였다.
(c) 3′-N-데벤조일-3′-데스페닐-3′-N-(t-부틸록시카르보닐)-3′-(2-티엔일)-2′-0-에틸록시카르보닐-7-0-디벤질포스포노옥시메틸패클리탁셀의 제조
무수 THF 15 ml내 단계 (b)의 생성물(516 mg, 0.522 mmol) 용액에 4Å 체 530 mg, 디벤질포스페이트(576 mg, 2.09 mmol) 및 재결정화 NIS(136 mg, 0.604 mmol)를 첨가하였다. 이 용액에 은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네이트( 50 mg, 0.194 mmol)를 첨가하고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액을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로서 희석하고 10% NaS2O8, 포화 바이카보네이트 및 염수로서 세척하고, MgSO4에서 건조시키고 농축하였다. 잔사를 실리카 겔(15% 아세토니트릴/클로로포름)에서 크로마토그래하여 표제의 화합물 535 mg(84%)을 제공하였다.
(d)3′-N-데벤조일-3′-데스페닐-3′-N-(t-부틸록시카르보닐)-3′-(2-티엔일)-2′-0-에틸록시카르보닐-7-0-포스포노옥시메틸패클리탁셀 트리에탄올아민 염의 제조
에틸 아세테이트 30 ml내 단계 (c)의 생성물(512 mg, 0.42 mmol) 용액에 탄소위 Pd(10%) 53 mg를 첨가하고 용액을 H2분위기하에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촉매를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에 의해 제거하고 여과액을 진공 농축하였다. 잔사를 에틸 아세테이트 2 ml에 용해시키고 트리에탄올아민을 첨가하였다(4.0 ml, 에틸 아세테이트내 0.1 M, 0.40 mmol). 용액을 농축시키고 잔사를 C18(40% 아세토니트릴/물)에서 크로마토그래피하고 동결건조하여 포스페이트 트리에탄올아민 염 280 mg(56%)을 제공하였다. HPLC 분석은 염의 순도가 96%임을 보여주었다.
[실시예 9]
10-데스아세틸-3′-N-데스벤조일-3′-N-(t-부틸록시카르보닐)-10-0-(포스포노옥시메틸)패클리탁셀
아르곤 분위기하에 7-0-트리에틸실릴-10-데스아세틸 박카틴 III(2.093 g, 3.177 mmol)을 함유한 건조 플라스크에 건조 THF(30 ml)를 첨가하고 -70℃로 냉각시켰다. 여기에 1.6 M n-부틸리듐(2.38 ml, 3.81 mmol)을 적가하였다. 15분간 교반한후, 벤질 클로로포르메이트(0.91 mL, 6.35 mmol)을 적가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3 h 동안 점차 상온으로 가열하면서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포화 NH4Cl 25 ml로서 냉각시키고, 염수로 세척한다음 MgSO4로서 건조시켰다. 섬광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 겔, 30-45% 에틸 아세테이트/헥산)는 백색 발포체로서 표제의 화합물 2.24 g(89%)를 제공하였다.
(b) 10-데스아세틸-10-0-벤질록시카르보닐-3′-N-데벤조일-3′-N-(t-부틸록시카르보닐)-2′,7-비스-0-트리에틸실릴패클리탁셀의 제조
단계 (a)의 생성물(3.50 g, 4.42 mmol)을 함유한 건조 플라스크에 소량의 톨루엔을 첨가하고 용액을 진공하에 농축하였다. 이 플라스크를 아르곤 분위기하에 넣고 건조 THF 100 ml를 첨가하였다. 플라스크를 -70 ℃로 냉각하고, 1.0 M 리튬 헥사메틸디실라지드(6.19 ml, 6.19 mmol)를 적가하였다. 20분간 교반한후, 건조 THF 10 ml내 (3R, 4S)-1-(t-부틸록시카르보닐)-4-페닐-3-트리에틸실릴록시-2-아제티디논 (2.58 g, 7.07 mmol) 용액을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3.5 h 동안 교반하고, 점차 상온으로 가열하였다. 그후 포화 NH4Cl 70 ml로서 냉각시키고, 염수로 세척한다음 MgSO4로서 건조시켰다. 섬광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 겔, 5-15% 에틸 아세테이트/헥산)는 백색 발포체로서 표제의 화합물 5.12g(99%)을 제공하였다.
(c) 10-데스아세틸-3′-N-데벤조일-3′-N-(t-부틸록시카르보닐)-7-0-트리에틸실릴패클리탁셀의 제조
단계 (b)의 생성물(5.12 g, 4.40 mmol)을 에틸 아세테이트 100 ml에 용해시키고, 파르병에 이동시키고 아르곤 불랭킷하에 넣었다. 여기에 탄소위 10% 팔라듐(2.4 g)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파르 수소화 장치(55 psi)에 8 h 동안 넣었다.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 플러그를 통해 여과시키고 농축하였다. 섬광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 겔, 15-20% 에틸 아세테이트/헥산)는 백색 발포체로서 표제의 화합물 3.24 g(79%)을 제공하였다. 단계 (b)의 생성물의 2′-트리에틸실릴기의 가수분해는 파르 장치에서 미량의 산성 잔기를 얻었다.
(d) 10-데스아세틸-2′-0-벤질록시카르보닐-3′-N-데벤조일-3′-N-(t-부틸록시카르보닐)-7-0-트리에틸실릴패클리탁셀의 제조
단계 (c)의 생성물(3.24 g, 3.51 mmol)을 함유한 플라스크에 건조 디클로로메탄 30 ml를 첨가하였다. 플라스크를 아르곤하에 넣고 0℃로 냉각하였다.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1.22 ml, 7.02 mmo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이어서 벤질 클로로포르메이트(1.00 ml, 7.02 mmol)를 적가하였다. 15분후에, 냉각조를 제거하고 반응물을 상온에서 7 h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포화 NH4Cl 30 ml로서 냉각시키고, 염수로 세척한다음 MgSO4로서 건조시켰다. 섬광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 겔, 7-20% 에틸 아세테이트/헥산)는 백색 고체로서 표제의 화합물 3.24 g(89%)을 제공하였다.
(e) 10-데스아세틸-2′-0-벤질록시카르보닐-3′-N-데벤조일-3′-N-(t-부틸록시카르보닐)-10-0-(디벤진포스포노옥시메틸)-7-0-트리에틸실릴패클리탁셀의 제조
단계 (d)의 생성물을 DMSO 13.5 ml(54%), 무수 초산 8.75 ml(35%) 및 빙초산 2.75 ml(11%)에 용해시키고 아르곤 분위기하에 넣었다. 반응 혼합물을 56 h 동안 교반하고, 그후 에틸 아세테이트로서 부피 60 ml로 희석하였다. pH 페이퍼에 의해 중성일 때까지 용액을 포화 NaHCO3로서 세척한다음 염수로 세척하였다. 유기 유분을 MgSO4로서 건조시키고 농축하였다. 15-20% EtOAc/헥산으로서 섬광 크로마토그래피는 NMR에 의해 물질의 70%로 계산되는 원하는 티오메틸 아세탈 생성물(즉, 10-데스아세틸-2′-0-벤질록시카르보닐-3′-N-데벤조일-3′-N-(t-부틸록시카르보닐)-10-0-(메틸티오메틸)-7-0-트리에틸실릴패클리탁셀)함께 원 백색 발포체 3.12 g을 제공하였다.
상기의 원혼합물(3.12 g)을 1,2-디클로로에탄(61 ml)에 용해시키고 아르곤 블랭킷하에 넣었다. 4Å 분말 분자체(3.12 g)를 첨가하고 얻어진 비균일 혼합물을 세게 교반하였다. 여기에 캐뉼라에 의해 건조 THF(46 ml)내 재결정화 N-요도숙신이미드(0.830 g, 3.69 mmol) 및 디벤질 포스페이트(1.027 g, 3.69 mmol) 용액을 첨가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5 h 동안 교반하고, 셀라이트 플러그를 통해 여과시킨다음 에틸 아세테이트로서 부피 250 ml로 희석하였다. 그것을 냉각 2% NaHSO3(2 x 125 ml), 냉각 6% NaHSO3(2 x 125 ml) 및 염수로서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MgSO4에서 건조시키고 농축하였다. 섬광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 겔, 25-35% 에틸 아세테이트/헥산)는 백색 고체로서 표제의 화합물 1.52 g(40%)을 제공하였다.
M.S. (FAB) m/z+ : 1345
(f) 10-데스아세틸-2′-0-벤질록시카르보닐-3′-N-데벤조일-3′-N-(t-부틸록시카르보닐)-10-0-(디벤질포스포노옥시메틸)패클리탁셀의 제조
아르곤하에, 건조 THF(2.5 ml)내 단계 (e)의 생성물(50.8 mg, 0.038 mmol) 용액을 -40℃로 냉각하였다. 이 용액에 THF(1.0 M)내 테트라부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0.057 ml, 0.057 mmol)를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점차 -20℃로 가열하면서 1.5 h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포화 NH4Cl 15ml로서 냉각하고 EtOAc 30 ml로서 희석하였다. 유기상을 NaHSO32 x 15 ml, 및 염수로서 세척하였다. 그것을 MgSO4로서 건조시키고 농축하였다. 예비층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 겔, 50% 에틸 아세테이트/헥산)는 백색 분말로서 표제의 화합물 36 mg(77%)을 제공하였다.
(g) 10-데스아세틸-3′-N-데스벤조일-3′-N-(t-부틸록시카르보닐)-10-0-(포스포노옥시메틸)패클리탁셀 트리에탄올아민 염의 제조
500 ml 파르병에 10-데스아세틸-2′-0-벤질록시카르보닐-3′-N-데벤조일-3′-N-(t-부틸록시카르보닐)-10-0-(디벤질포스포노옥시메틸)패클리탁셀(264.9 mg, 0.215 mmol)및 에틸 아세테이트(20 ml)를 채웠다. 플라스크를 아르곤으로 플러시(flush)하고 10% Pd/C(318 mg)를 첨가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수소 분위기 스퀘어 인치당 55 파운드(psi)인 파르 장치에 넣었다. 출발 물질이 확인되지 않을 때까지(12.5시간) 반응을 HPLC(70:30 CH3CN/Q8 완충액 pH 6.0, 1.00 ml/min., Zorbax C-18 컬럼, 25.0 cm, λ=230 nm)에 의해 검측하였다. 혼합물을 셀라이트 플러그를 통해 여과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와 소량의 디클로로메탄으로 세척하였다. 얻어진 여과액을 농축하고 잔사를 디클로로메탄(5 ml)에서 취하였다. 헥산의 첨가는 백색 침전체를 형성시켰고, 이중 유리산 140.3 mg(HPLC에 의한 순도 80%)을 백색 고체로서 분리하였다. 이 물질을 다음 단계로 바로 진행시켰다.
상기의 유리산(140 mg, 0.153 mmol)을 함유한 플라스크에 디클로로메탄(10 ml)을 첨가하였다. 얻어진 용액을 에틸 아세테이트(1.16 ml, 0.116 mmol)내 0.100 M 트리에탄올아민 용액으로 처리하여 용액을 혼탁하게 하였다. 헥산 약 2 m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20℃에서 밤새 방치하였다. 얻어진 침전체를 4.0-5.5μM 프릿 유리 깔때기로 여과시켰다. 고체를 제거하고 진공하에 4h 동안 넣어 회색 분말로서 표제의 트리에탄올아민 염 69.9 mg(42%)을 얻었고, 이것은 HPLC 분석(TR= 2.05 min, 70:30 CH3CN/Q8 완충액 pH 6.0, 1.00 ml/min., Zorbax C-18 25.0 cm, λ=230 nm)에 의해 95-96% 순수하다고 측정되었다.
[실시예 10]
2′-0-포스포노옥시메톡시메틸패클리탁셀
(a) 2′-0-(메틸티오메톡시메틸)-7-0-트리에틸실릴패클리탁셀의 제조
상온에서 THF(2.0 ml)내 7-0-트리에틸실릴패클리탁셀(70.0 mg, 72.2 mmol), 비스(메틸티오메틸)에테르(90 mg, 72.2 mmol), 분자체(70 mg), 및 N-요도숙신이미드(160 mg, 72.2 mmol) 용액에 은 트리플레이트(5.0 mg, 19.5 mmol)를 첨가하고 얻어진 용액을 2 h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서 희석하고 셀라이트 패드를 통해 여과시켰다. 여과액을 소디움 바이카보네이트 포화수용액, 이어서 소디움 바이카보네이트 포화수용액과 5% 소디움 티오술페이트 수용액의 1:1(v:v) 혼합물 및 끝으로 염수로서 세척하였다. 유기물을 소디움 술페이트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농축하였다. 잔류 오일을 섬광 크로마토그래피(3:1, 헥산: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여 백색 고체로서 표제의 화합물 22.0 mg(29%)을 제공하였다:
(b) 2′-0-(디벤질포스포노옥시메톡시메틸)-7-트리에틸실릴패클리탁셀의 제조
상온에서 THF(0.5㎖)내 단계 (a)에서 얻어진 생성물(15㎎, 0.0141m㏖) 및 분자체(15㎎)의 용액에 디벤조일 포스페이트(20.0㎎, 0.089m㏖) 이어서 N-요도숙신이미드(4.2㎎, 0.0187m㏖)를 첨가하고 용액을 1h 동안 교반하였다. 이때 반응 혼합물의 TLC 분석은 출발 물질만의 존재를 나타냈다. 은 트리플레이트(5.0㎎, 0.019m㏖)를 2h에 걸쳐 세부분으로 첨가하고 반응물을 추가의 1h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서 희석하고 얻어진 용액을 셀라이트 패드를 통해 여과시켰다. 여과액을 소디움 바이카보네이트 포화 수용액과 5% 소디움 티오술페이트 수용액의 1:1(v/v) 용액으로 처리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염수로 세척하고, 소디움 술페이트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농축하였다. 잔류 오일을 섬광 크로마토그래피(1:1, 헥산: 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의 화합물 5.0㎎(33%)을 제공하였다:
(c) 2′-0-포스포노옥시메톡시매틸패클리탁셀의 제조
단계 (b)의 생성물을 실시예 9(f)에 제시된 방법에 따라 테트라부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로서 처리하여 7-0-트리에틸실릴 보호기를 제거하였다. 이와같이 얻어진 화합물을 이전의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촉매 수소화반응시켜 표제의 화합물을 제공하였다.
[실시예 11]
2′-0-포스포노옥시메톡시메틸패클리탁셀(별도의 경로)
(a) 2′-0-트리에틸실릴패클릭탁셀의 제조
0℃에서 DMF(디메틸포름아미드) 150㎖내 패클리탁셀(20.0g, 0.0234㏖) 및 이미다졸(3.59g, 0.052㏖) 용액에 트리에틸실릴 클로라이드(6.0㎖, 0.053㏖)를 2.0㎖의 양으로 20분간에 걸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에서 1h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및 포화 암모늄 클로라이드 수용액으로 희석하였다. 유기층을 제거하고, 염수로 세척한 다음 소디움 술페이트에서 건조시킨 다음 진공 농축하여 황색 오일을 제공하였다. 섬광 크로마토그래피(헥산: 에틸 아세테이트 : 1:3 그후 1:1)에 의해 원생성물의 정제는 무색 백색 고체로서 원하는 표제의 화합물 21.07g(98% 수율)을 제공하였다.
(b) 2′-0-트리에틸실릴-7-0-벤질록시카르보닐패클리탁셀의 제조
부틸리튬(헥산내 1.6M , 12.9㎖, 8.06m㏖)을 10분에 걸쳐 -50℃로 냉각된 THF(250㎖)내 2′-0-트리에틸실릴패클리탁셀(22.3g, 24.1m㏖) 용액에 첨가하였다. 얻어진 용액을 20분간 교반하고 온도를 -50℃와 -35℃ 사이에 유지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50℃로 냉각하고 벤질 클로로포르메이트(5.08㎖, 29.8m㏖)을 5분에 걸쳐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40℃에서 30분간 유지시킨다음 약 30분간에 걸쳐 0℃로 평형화하였다.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와 암모늄 클로라이드 포화 수용액으로 희석하고 얻어진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소디움 술페이트에서 건조시킨다음 진공 농축하였다. 원 반응 혼합물의1H-NMR 분석은 원하는 2′-0-트리에틸실릴-7-0-벤질록시카르보닐패클리탁셀 그외에 2′-0-트리에틸실릴-7-에피히드록시패클리탁셀(각각, 3:1비)의 존재를 나타냈다. 이 생성물 혼합물을 추가의 정제없이 다음 단계에 사용하고 이어서 이성체를 분리하였다. 주요 생성물 2′-0-트리에틸실릴-7-0-벤질록시카르보닐패클리탁셀의 분석 샘플을 섬광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헤 정제하였다;
(c) 7-0-벤질록시카르보닐패클리탁셀
염산(6N, 1.0㎖, 6.0m㏖)을 0℃로 냉각된 아세토니트릴(250㎖)내 단계 (b)에서 생성물(24.0g, 22.6m㏖) 용액에 첨가하였다. 10분 후에 TLC분석(헥산: 에틸 아세테이트, 1:1)은 반응이 완료되었다는 것을 나타냈다. 반응 혼합물을 포화 소디움 바이카보네이트 수용액 이어서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고 유기층을 제거하고, 염수로 세척하고, 소디움 술페이트를 사용하여 건조시킨다음 진공 농축하였다. 잔류 오일을 섬광 크로마토그래피(헥산: 에틸 아세테이트, 1:3 그후 1:1)를 사용하여 정제시켜 표제의 화합물 11.4g(2단계에 걸쳐 48%) 및 7-에피히드록시패클리탁셀 4.8g(20%)을 제공하였다.
(d) 2′-0-(메틸티오메톡시메틸)-7-0-벤질록시카르보닐패클리탁셀의 제조
은 트리플레이트(300㎎, 1.17m㏖)를 상온에서 THF(110㎖)내 7-0-벤질록시카르보닐패클리탁셀(5.53g, 5.71m㏖), 1,1′-디티오메틸디메틸 에테르(7.8g, 57.1mmol), N-요도숙신이미드(6.35g, 28.3m㏖), 및 오븐 건조된, 분말 분자체(5.0g)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20분후 반응 혼합물의 TLC 분석(헥산: 에틸 아세테이트, 1:1)은 출발 물질의 약 40%를 보다 높은 러닝(running) 생성물로 전환시킴을 나타냈다. 은 트리플레이트(150㎎, 0.585m㏖)를 첨가하고 반응을 TLC에 의해 검측하여 30분후 반응이 약 65% 완료되었음을 나타냈다. 혼합물을 에틸아세테이트(100㎖)로서 희석하고, 셀라이트 패드를 사용하여 여과시킨 다음 여과액을 소디움 바이카보네이트 포화 수용액 200㎖와 5% 소디움 티오술페이트 수용액 50㎖를 함유한 분리 깔때기로 부었다. 유기층을 제거하고, 염수로서 세척하고, 소디움 술페이트에서 건조시킨다음 진공 농축하였다. 잔류 오일을 섬광 크로마토그래피(헥산: 에틸 아세테이트, 용출 기울기 4:1- 3:2)에 의해 정제하여 밝은 황색 고체로서 표제의 생성물 3.0g(수율 54%)을 제공하였다.
(e) 2′-0-(디벤질포스포노옥시메톡시메틸)-7-0-벤질록시카르보닐패클리탁셀의 제조
상온에서 THF(20㎖)내 2′-0-(메틸티오메톡시메틸)-7-0-벤질록시카르보닐패클리탁셀(1.06g, 1.07m㏖) 및 오븐 건조된, 분말 분자체(1.0g)의 용액에 디벤질 포스페이트(1.49g, 5.30m㏖) 이어서 바로 N-요도숙신이미드(2.65g, 1.18m㏖)를 첨가하였다. 2.5g 후에 반응 혼합물의 TLC 분석(헥산: 에틸 아세테이트 1:1)은 반응이 약 60% 완료되었다는 것을 나타냈다. 그후 N-요도숙신이미드(175㎎, 0.78m㏖)를 첨가하고 반응물을 추가로 30분간 교반하고, 그후 TLC 분석은 반응이 완료되었다는 것을 나타냈다. 반은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50㎖)로서 희석하고 셀라이트 패드를 사용하여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소디움 바이카보네이트 포화 수용액 100㎖ 및 소디움 티오술페이트의 5% 수용액 20㎖를 함유한 분리 깔때기로부었다. 유기층을 제거하고, 염수로 세척하고, 소디움 술페이트에서 건조시킨다음 진공 농축하였다. 잔류 오일을 섬광 크로마토그래피(헥산: 에틸 아세테이트, 용출 기울기, 3:1 -1:1)를 사용하여 정제하여 백색 고체로서 원하는 표제의 화합물 750㎎(수율 62%)을 제공하였다.
(f) 2′-0-포스포노옥시메톡시메틸패클리탁셀 트리에탄올아민 염의 제조
탄소위 팔라듐(10%)을 파르병에 저장된 에틸 아세테이트(40㎖)내 2′-0-(디벤질포스포노옥시메톡시메틸)-7-0-벤질록시카르보닐패클리탁셀(500㎎, 0.382m㏖)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용기를 파르 장치에 고정시키고 반응 혼합물을 50 spi에서 수소화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6.5h 동안 교반한다음, 소결 유리 깔때기를 사용하여 여과시켰다. 트리에틸올아민(에틸 아세테이트내 0.1N, 4.0㎖)을 이 여과액에 첨가하고 얻어진 용액을 진공 농축하였다. 원고체를 에틸 아세테이트 약 5.0㎖에 분산시키고 용매를 경사분리하였다. 이 과정을 3회 반복하고 얻어진 표제의 트리에탄올아민 염(300㎎)을 HPLC 분석에 의해 측정된, 순도 87%로서 얻었다. C18 크로마토그래피(물: 아세토니트릴, 3:1)에 의해 이 화합물의 추가 정제는 HPLC에 의해 95% 순도에서 원하는 표제의 화합물(120㎎, 34%)을 제공하였다.
[실시예 12]
3′-N-데벤조일-3′-N-(이소프로필록시카르보닐)-7-0-메틸티오메틸패클리탁셀
-60℃에서 THF 10㎖내 7-0-메틸티오메틸박카틴 III(408㎎, 0.630m㏖) 용액에 nBuLi(0.30㎖, 2.5M, 0.75m㏖)을 첨가하고 10분간 교반하였다. THF 6㎖내(3R,4S)-3-트리에틸실릴록시-4-페닐-N-이소프로필록시카르보닐아제티딘-2-온(320㎎, 0.88m㏖)을 적가한다음 0℃에서 30분간 반응시켰다. 용액을 포화 NH4Cl로서 냉각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서 추출하였고, Bu4NF(1.0㎖, 1.0M, 1.0m㏖)와 함께 교반한다음 염수로 세척하고, MgSO4에서 검조시키고 농축하였다. 잔사를 실리카겔(1.5:1 헥산/에틸 아세테이트)에서 크로마토그래피하여 생성물 545㎎을 제공하였고 아세톤/헥산에서 결정화하여 백색 고체로서 표제 생성물 476㎎을 제공하였다.(84%);
[실시예 13]
3′-N-데벤조일-3′-N-(n-부틸록시카르보닐)-7-0-메틸티오메틸패클리탁셀
-60℃에서 THF 10㎖내 7-0-메틸티오메틸박카틴 III(425㎎, 0.66m㏖)의 용액에 nBuLi(0.30㎖, 2.5M, 0.75m㏖)을 첨가하고 10분간 교반하였다. THF 6㎖내(3R,4S)-3-트리에틸실릴록시-4-페닐-N-9n-부틸록시카르보닐)아제티딘-2-온(350㎎, 0.93m㏖)을 적가하였고 0℃에서 30분간 반응시켰다. 용액을 포화 NH4Cl로서 냉각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서 추출하였고, Bu4NF(1.0㎖, 1.0M, 1.0m㏖)와 함께 교반한다음 염수로 세척하고, MgSO4에서 건조시키고 농축하였다. 잔사를 실리카겔(1.5:1 헥산/에틸 아세테이트)에서 크로마토그래피하여 표제의 생성물 581㎎을 제공하고 톨루엔/헥산에서 결정화하여 백색 고체 464㎎을 제공하였다.(77%);
[실시예 14]
3′-데벤조일-3′-N-(t-부톡시카르보닐)-7-0-메틸티오메틸패클리탁셀
(a) 3′-N-데벤조일-3′-N-(t-부톡시카르보닐)-2-0-트리에틸실릴-7-0-메틸티오메틸패클리탁셀의 제조
THF 8mL내 HMDS(0.275mL, 1.30m㏖)의 용액에 n-BuLi 용액(0.48mL, 헥산내 2.5M, 1.20m㏖)을 첨가하고 -55℃에서 5분간 교반하였다. 이 용액에 THF 8mL내 7-0-메틸티오메틸박카틴 III(639㎎, 0.99m㏖)을 첨가하고 (3R,4S)-3-트리에틸실릴록시-4-페닐-N-(t-부톡시카르보닐)아제티딘-2-온(575㎎, 1.52m㏖) 8㎖ 용액의 첨가전에 10분간 교반하였다. 냉각조를 제거하고 0℃조로 대체하고 반응물을 30분간 교반하였다. 용액을 에틸 아세테이트로서 희석하고 NH4Cl 포화 용액으로 세척하였고, MgSO4에서 건조시키고 농축하였다. 잔사를 실리카 겔(3:1 헥산:에틸 아세테이트)에서 크로마토그래피하여 표제의 생성물 1.0g(98%)을 제공하였다;
(b) 3′-N-데벤조일-3′-N-(t-부톡시카르보닐)-7-0-메틸티오메틸패클리탁셀의 제조
THF 6㎖내 3′-N-데벤조일-3′-N-(t-부톡시카르보닐)-2-0-트리에틸실릴-7-0-메틸티오메틸패클리탁셀(269㎎, 0.26m㏖) 용액에 테트라부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0.3mL, THF 내 1.0M, 0.3m㏖)를 첨가하고 10분간 교반하였다. 용액을 에틸 아세테이트로서 희석하고 염수로 세척하고, MgSO4에서 건조시킨다음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1:1 헥산/에틸 아세테이트)에서 크로마토그래피하여 표제의 생성물 240㎎(95%)을 제공하였다;
[실시예 15]
3′-N-데벤조일-3′-N-(t-부톡시카르보닐)-2′-0-에틸록시카르보닐-7-0-메틸티오메틸패클리탁셀
디클로로메탄 10mL내 3′-N-데벤조일-3′-N-(t-부톡시카르보닐)-7-0-메틸티오메틸패클리탁셀(428㎎, 0.47m㏖)의 용액에 디이소프로필에틸 아민(0.85㎖, 4.8m㏖) 및 DMAP(20㎎)를 첨가하였고 0℃로 냉각하였다. 그후 에틸 클로로포르메이트(0.25mL, 2.6m㏖)을 첨가하고 1hr 동안 교반하였다. 용액을 에틸 아세테이트로서 희석하고 바이카보네이트와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킨다음(MgSO4) 농축하였다. 이와 같이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 겔(1:1 헥산/에틸 아세테이트)에서 크로마토그래피하여 표제의 에틸 카보네이트 428㎎(92%)을 제공하였다;
[실시예 16]
3′-N-데벤조일-3′-N-(t-보톡시카르보닐)-7-0-메틸티오메틸-10-데아세틸-10-히드록시메틸카르보닐(패클리탁셀)
(a) 7-0-트리에틸실릴-10-데아세틸-10-벤질록시메틸카르보닐 박카틴 III의 제조
-60℃에서 THF 40㎖내 7-0-트리에틸실릴-10-데아세틸박카틴 III(3.85g, 5.85m㏖) 용액에 n-BuLi(2.6㎖, 헥산내 2.5M, 6.5m㏖)를 첨가하고 벤질록시아세틸 클로라이드(1.0㎖, 6.5m㏖)의 첨가전에 5분간 교반하였다. -60℃에서 30분간 교반한다음 상온으로 가열한후, 용액을 에틸 아세테이트로서 희석하고 바이카보네이트로서 세척하였다. 용액을 MgSO4에서 건조시키고 농축한다음 잔사를 실리카 겔(2:1 그후 1:1 헥산/에틸 아세테이트)에서 크로마토그래피하여 생성물 4.36g(92%)을 제공하였다;
(b) 3′-N-데벤조일-3′-N-(t-부톡시카르보닐)-10-데아세틸-10-벤질록시메틸카르보닐(패클리탁셀)
-60℃에서 THF 50mL내 7-0-트리에틸실릴-10-데아세틸-10-벤질록시메틸카르보닐 박카틴 III(1.21g, 1.66m㏖) 용액에 n-BuLi(0.7㎖, 헥산내 2.5M, 1.75m㏖)을 첨가하고 (3R, 4S)-3-트리에틸실릴록시-4-페닐-N-(t-부톡시카르보닐)아제티딘-2-온(1.2g, 3.2m㏖)의 첨가전에 5분간 교반하였다. -60℃에서 5분간 및 0℃에서 30분간 교반한후 용액을 에틸 아세테이트로서 희석하고 포화 NH4Cl로서 세척하였다. 용액을 MgSO4에서 건조시키고 농축한다음 잔사를 실리카 겔(3:1 그후 1:1 헥산/에틸 아세테이트)에서 크로마토그래피하여 생성물 980㎎(53%)을 제공하였다. 이 생성물을 아세토니트릴 6mL에 용해시키고 0℃로 냉각하고 6 N HCl 0.60mL와 함께 19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액을 에틸 아세테이트로서 희석하고 포화 바이카보네이트로서 세척하고, MgSO4에서 건조시키고 실리카 겔(1:1 헥산/에틸 아세테이트)에서 크로마토그래피하여 생성물 570㎎(35%)을 제공하였다;
(c) 3′-N-데벤조일-3′-N-(t-부톡시카르보닐)-2-0-벤질록시카르보닐-7-0-메틸티오메틸-10-데아세틸-10-벤질록시메틸카르보닐(패클리탁셀)의 제조
0℃에서 CH2Cl210㎖내 3′-N-데벤조일-3′-N-(t-부톡시카르보닐)10-데아세틸-10-벤질록시메틸카르보닐(패클리탁셀)(570㎎,0.59m㏖) 용액에 디이소프로필에틸 아민(0.15㎖, 0.86m㏖) 및 CbzCl(0.10㎖, 0.70m㏖)을 첨가하였다. 용액을 상온으로 천천히 가열하면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액을 바이카보네이트로 세척하고 MgSO4에서 건조시키고 농축하였다. 0℃에서 아세토니트릴 10㎖내 잔사를 75분에 걸쳐 상온으로 천천히 가열하면서 벤조일 퍼옥사이드(780㎎, 3.22m㏖) 및 디메틸술파이드(0.50㎖, 6.8m㏖)와 함께 교반하였다. 용액을 에틸 아세테이트로서 희석하고 포화 바이카보네이트로서 세척하고, MgSO4에서 건조시키고 실리카 겔(2:1 헥산/에틸 아세테이트)에서 크로마토그래피하여 표제 생성물 412㎎(65%)을 제공하였다;
(d) 3′-N-데벤조일-3′-N-(t-부톡시카르보닐)-7-0-메틸티오메틸-10-데아세틸-10-히드록시메틸카르보닐(패클리탁셀)의 제조
에탄올 30㎖내 3′-N-데벤조일-3′-N-(t-부톡시카르보닐)-2-0-벤질록시메틸카르보닐-7-0-메틸티오메틸-10-데아세틸-10-벤질록시카르보닐(패클리탁셀)(377㎎,0.35m㏖) 용액에 탄소위 팔라듐 촉매 총 450㎎을 첨가하고 수소 분위기하에 12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촉매를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에 의해 제거하고 용액을 농축하였다. 잔사를 실리카 겔(20% CH3CN/79% CH2Cl2/1% MeOH)에서 크로마토그래피하여 표제 생성물 190㎎(65%)을 제공하였다;
[실시예 17]
3′-N-데벤조일-3′-N-(t-부톡시카르보닐)-7-0-메틸티오메틸-3′-데스페닐-3′-이소부텐일패클리탁셀
-60℃에서 THF 30㎖내 7-0-메틸티오메틸박카틴 III(1.5g, 2.3m㏖) 용액에 n-BuLi(1.0㎖, 헥산내 2.5M, 2.5m㏖)를 첨가하고 10분간 교반하였다. 그후 THF 10㎖내 (±)-시스-3-트리에틸실릴록시-4-이소부텐일-N-t-부톡시카르보닐아제티딘-2-온(3.3g, 9.3m㏖) 용액을 적가하였다. 용액을 0℃에서 30분간 교반하고 포화 NH4Cl 용액으로 냉각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서 추출하였다. 용액을 MgSO4에서 건조시키고 농축한다음 잔사를 실리카 겔(3:1 헥산/에틸 아세테이트)에서 크로마토그래피하였다. 생성물을 THF 100㎖에 용해시키고 Bu4NF(2.3㎖, THF에서 1.0M, 2.3m㏖)와 함께 교반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서 희석한다음 염수로 세척하였다. 용액을 MgSO4에서 건조시키고 농축한다음 잔사를 실리카 겔(1.5:1 헥산/에틸 아세테이트)에서 크로마토그래피하여 표제 생성물 1.6g(78%)을 제공하였다;
[실시예 18]
7-0-메틸티오메틸-3′-데스페닐-3′-이소부텐일패클리탁셀
표제 화합물을 7-0-메틸티오메틸박카틴 III 및 (±)-시스-3-트리에틸실릴록시-4-이소부텐일-N-벤조일아제티딘-2-온으로부터 실시예 17과 같이 제조하였다.
[실시예 19]
3′-데스페닐-3′-(2-푸릴)-2′-0-에틸록시카르보닐-7-0-메틸티오메틸패클리탁셀.
표제의 화합물을 (3R,4S)-1-벤조일-4-(2-푸릴)-3-트리에틸실릴록시-2-아제티디논 및 7-0-메틸티오메틸박카틴 III으로부터 실시예7(a)와 7(b)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 20]
2′-0-n-프로필카르보닐-7-0-포스포노옥시메틸패클리탁셀.
(a) 2′-0-n-프로필카르보닐패클리탁셀의 제조.
0℃로 냉각된 디클로로메탄(175㎖)내 패클리탁셀(15.0g, 17.5m㏖) 및 디이소프로필에틸 아민(18.3㎖, 105m㏖)의 용액에 부티릴 클로라이드(5.49㎖, 52.4m㏖)를 2분에 걸쳐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상온으로 가열하고 16h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와 암모늄 클로라이드 포화 수용액 사이에 분배하였다. 유기상을 소디움 바이카보네이트 수용액 이어서 염수로 세척하고, 소디움 술페이트에서 건조시킨다음 진공 농축하였다. 섬광 크로마토그래피(헥산: 에틸 아세테이트로서 용출됨)를 이용하여 잔류 오일을 정제하여 백색 고체로서 표제의 에스테르(15.9g, 수율 98%)를 제공하였다;
(b) 2′-0-n-프로필카르보닐-7-0-메틸티오메틸패클리탁셀의 제조
-40℃로 냉각된 아세토니트릴(312㎖)내 2′-0-n-프로필카르보닐패클리탁셀(14.4g, 15.6m㏖) 및 디메틸 술파이드(9.23㎖, 124.8m㏖)의 용액에 벤조일 퍼옥사이드(15.1g, 62.3m㏖)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상온으로 1h에 걸쳐 가열하였다. 이 때에 TLC(헥산: 에틸 아세테이트, 1:1로 용출됨)는 반응이 완료하였음을 나타냈다. 반응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서 희석하였고 얻어진 유기 용액을 포화 소디움 바이카보네이트 용액 그후 염수로서 3회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소디움 술페이트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농축하였다. 잔류 오일을 섬광 크로마토그래피(헥산: 에틸 아세테이트로서 용출됨)에 의해 정제하여 백색 고체로서 표제의 화합물(14.4g, 93%)을 제공하였다;
(c) 2′-0-n-프로필카르보닐-7-0-(디벤질포스포노옥시메틸)패클리탁셀의 제조
상온에서 THF(200㎖)내 2′-0-n-프로필카르보닐-7-0-메틸티오메틸패클리탁셀(10.7g, 11.0m㏖), 디벤질포스페이트(15.3g, 55.0m㏖) 및 오븐 건조된 3 옹스트롬 체 5g의 용액에 일부분씩 N-요도숙신이미드(4.9g, 21.8m㏖)를 첨가하고 얻어진 혼합물을 1h 동안 교반하였다. 이때 TLC 분석(헥산: 에틸 아세테이트, 1:1 로서 용출됨)은 반응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냈다. 반응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서 최초 부피의 두배로 희석하고 셀라이트 베드를 통해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소디움 티오술페이트 1중량%를 함유한 포화 소디움 바이카보네이트 용액에 부었다. 유기층을 소디움 바이카보네이트 포화 수용액이어서 염수로 4회 세척하였다. 수성층을 에틸 아세테이트로서 백추출하고 결합된 유기물을 소디움 술페이트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농축하였다. 잔류 오일을 섬광 크로마토그래피(헥산: 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여 백색 고체로서 표제의 디벤질포스페이트(9.9g, 수율 76%)를 제공하였다;
(d) 2′-0-n-프로필카르보닐-7-0-포스포노옥시메틸패클리탁셀의 제조.
질소 퍼지된 파르 수소반응관에 탄소위 10% 팔라듐 2.5g을 첨가하고 이어서 순수한 에틸 아세테이트(150㎖) 및 에틴 아세테이트 (40㎖)내 2′-0-n-프로필카르보닐-7-0-(디벤질포스포노옥시메틸)패클리탁셀(4.9g, 4.14m㏖)을 첨가하였다. 반응관을 진공하에 위치시킨, 파르 수소반응기에 고정한다음, 50psi의 수소 분위기로 가압하였다. 비균일 혼합물을 5h 동안 교반하고 그후 TLC 분석(헥산: 에틸 아세테이트로서 용출됨)은 출발 물질의 소모를 나타냈다. 반응 혼합물을 진공하에 위치시킨다음 이어서 질소로 퍼지하였다. 그후 소결 유리 깔때기를 이용하여 혼합물을 여과시키고 여과액을 진공 농축하여1H-NMR 분석에 의해 순수한 표제 화합물(3.7g, 수율 91%)을 제공하였다.
(e) 2′-0-n-프로필카르보닐-7-0-포스포노옥시메틸패클리탁셀 트리에탄올아민 염의 제조.
디클로로메탄(50㎖)내 2′-0-n-프로필카르보닐-7-0-포스포노옥시메틸패클리탁셀(1.1g, 1.09m㏖) 용액에 에틸 아세테이트내 트리에탄올아민(1.09㎖, 1.09m㏖) 0.1M 용액을 첨가하고 얻어진 혼합물을 상온에서 5분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진공 농축하고 얻어진 백색 고체를 소량의 메틸렌 클로라이드-에틸 아세테이트 혼합물에 원 물질을 처음에 용해함으로서 정제하였다. 그후 헥산을 이 용액에 첨가하였고 원하는 아민 염을 백색 고체로서 침전시켰다. 혼합물을 경사분리하여 95%이상의 HPLC 관찰 순도를 가진 백색 고체로서 아민 염을 제공하였다;
[실시예 21]
2′-0-메틸카르보닐-7-0-포스포노옥시메틸패클리탁셀.
(a) 2′-0-아세틸패클리탁셀의 제조.
0℃로 냉각된 디클로로메탄(140㎖)내 패클리탁셀(8.0g, 9.37m㏖) 및 디이소프로필에틸 아민(4.89㎖, 28.1m㏖)의 용액에 2분간에 걸쳐 아세틸 클로라이드(1.0㎖, 14.1m㏖)를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상온으로 가열하고 10h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와 포화 암모늄 클로라이드 수용액 사이에 분배하였다. 유기상을 포화 소디움 바이카보네이트 용액 이어서 염수로 세척하고, 소디움 술페이트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농축하였다. 섬광 크로마토그래피(헥산: 에틸 아세테이트로서 용출됨)를 이용하여 잔류 오일을 정제하여 백색 고체로서 2′-0-아세틸패클리탁셀(7.7g, 92%)을 제공하였다;
(b) 2′-0-아세틸-7-0-메틸티오메틸패클리탁셀의 제조.
-40℃로 냉각된 아세토니트릴(200㎖)내 2′-0-아세틸패클리탁셀(7.7g, 8.60m㏖) 및 디메틸 술파이드(5.1㎖, 68.8m㏖)의 용액에 벤조일 퍼옥사이드(8.3g, 34.4m㏖)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1h 에 걸쳐 상온으로 가열하였다. 이때 TLC(헥산: 에틸 아세테이트, 1:1로서 용출됨)는 반응이 완료하였음을 나타냈다. 반응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고 얻어진 유기 용액을 포화 소디움 바이카보네이트 용액 그후 염수로서 3회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소디움 술페이트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농축하였다. 잔유 오일을 섬광 크로마토그래피(헥산: 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여 백색 고체로서 표제의 메틸티오메틸에테르(7.39g, 90%)를 제공하였다;
(c) 2′-0-아세틸-7-0-(디벤질포스포노옥시메틸)패클리탁셀의 제조
상온에서 THF(104㎖)내 2′-0-아세틸-7-0-메틸티오메틸패클리탁셀(5.0g, 5.23m㏖), 디벤질포스페이트(7.3g, 26.1m㏖) 및 오븐 건조된 3 옹스트롬 체 5g의 용액에 일부분씩 N-요도숙신이미드(1.75g, 7.85m㏖)를 첨가하였고 얻어진 혼합물을 1.5h 동안 교반하였다. 이때 TLC 분석(헥산: 에틸 아세테이트, 1:1로서 용출됨)은 반응이 완료하였음을 나타냈다. 반응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서 부피 2배로 희석하고 셀라이트 베드를 통해 여과시켰다. 여과액을 소디움 티오술페이트 1중량%를 함유한 포화 소디움 바이카보네이트 용액으로 부었다. 유기층을 포화 소디움 바이카보네이트 수용액 이어서 염수로서 4회 세척하였다. 수성층을 에틸 아세테이트로서 백 추출하고 결합된 유기물을 소디움 술페이트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농축하였다. 잔류 오일을 섬광 크로마토그래피(헥산: 에틸 아세테이트로서 용출됨)에 의해 정제하여 백색 고체로서 표제의 디벤질포스페이트(4.9g, 80%)를 제공하였다.
(d) 2′-0-아세틸-7-0-포스포노옥시메틸패클리탁셀의 제조
질소 퍼지된 파르 수소반응관에 탄소위 10% 팔라듐 700㎎ 이어서 순수한 에틸 아세테이트(130㎖) 및 에틸 아세테이트(40㎖)내 2′-0-아세틸-7-0-(디벤질포스포노옥시메틸)패클리탁셀(1.0g, 0.84m㏖)용액을 첨가하였다. 반응관을 진공하에 위치시킨, 파르 수소반응기에 고정한다음, 50psi의 수소 분위기로서 가압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6h 동안 교반하고 그후 TLC 분석(헥산:에틸 아세테이트로서 용출됨)은 출발 물질의 소모를 나타냈다. 반응 혼합물을 진공하에 위치시키고 이어서 질소로 퍼지하였다. 소결 유리 깔때기를 이용하여 비균일 용액을 여과시키고 여과액을 진공 농축하여 백색 고체(848㎎)를 제공하고1H-NMR 분석이 원하는 표제 화합물(50%) 및 2′-0-아세틸패클리탁셀의 혼합물임을 보여주었다.
(e) 2′-0-아세틸-7-0-포스포노옥시메틸패클리탁셀 트리에탄올아민 염의 제조.
디클로로메탄(15㎖)내 2′-0-아세틸-7-0-포스포노옥시메틸패클리탁셀 (424㎎, 0.42m㏖) 및 이전에 언급된 부산물 2′-0-아세틸패클리탁셀의 용액에 에틸 아세테이트내 트리에탄올아민(3.7㎖, 3.8m㏖)의 0.1M 용액을 첨가하고 얻어진 혼합물을 상온에서 10분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진공 농축하고 얻어진 백색 고체를 C18 크로마토그래피(물: 아세토니트릴 2:3:1)에 의해 정제하여 96% 이상의 HPLC 관찰순도를 가진 원하는 아민 염(310㎎, 72%)을 제공하였다;
[실시예 22]
2′-0-메톡시카르보닐-7-0-포스포노옥시메틸패클리탁셀.
(a) 2′-0-메톡시카르보닐패클리탁셀의 제조
0℃로 냉각된 디클로로메탄(96㎖)내 패클리탁셀(8.0g, 9.60m㏖)과 디이소프로필에틸 아민(5.0㎖, 28.8m㏖) 용액에 클로로메틸 카보네이트(1.11㎖, 14.4m㏖)를 2분에 걸쳐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상온으로 가열하고 20h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와 포화 암모늄 클로라이드 용액 사이에 분배하였다. 유기상을 포화 소디움 바이카보네이트 용액, 이어서 염수로 세척하고, 소디움 술페이트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농축하였다. 섬광 크로마토그래피(헥산: 에틸 아세테이트)를 이용하여 잔류 오일을 정제하여 백색 고체로서 표제의 화합물(7.8g, 91.3%)을 제공하였다;
(b) 2′-0-메톡시카르보닐-7-0-메틸티오패클리탁셀의 제조
-40℃로 냉각된 아세토니트릴(162㎖)내 2′-0-메톡시카르보닐패클리탁셀(7.4g, 8.10m㏖) 및 디메틸 술파이드(4.8㎖, 64.8m㏖)용액에 벤조일 퍼옥사이드(7.48g, 32.4m㏖)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상온으로 1h에 걸쳐 가열하였다. 이 때 TLC 분석(헥산:에틸 아세테이트로서 용출됨)은 반응이 완료하였음을 나타냈다. 반응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서 희석하고 얻어진 유기 용액을 포화 소디움 바이카보네이트 용액 그후 염수로서 3회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소디움 술페이트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농축하였다. 잔류 오일을 섬광 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 아세테이트로서 용출됨)에 의해 정제하여 백색 고체로서 표제의 화합물(7.4g, 95%)을 제공하였다;
(c) 2′-0-메톡시카르보닐-7-0-(디벤질포스포노옥시메틸)패클리탁셀의 제조
상온에서 THF(100㎖)내 2′-0-메톡시카르보닐패클리탁셀(5.04g, 5.18m㏖), 디벤질포스페이트(7.2g, 25.8m㏖) 및 오븐 건조된 3 옹스트롬 체 5g의 일부분씩 N-요도숙신이미드(1.74g, 7.77m㏖)를 첨가하였고 얻어진 혼합물을 1.5h 동안 교반하였다. 이때 TLC 분석(헥산: 에틸 아세테이트, 1:1로서 용출됨)은 반응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냈다. 반응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서 부피 2배로 희석하고 셀라이트 베드를 통해 여과시켰다. 소디움 티오술페이트 1중량%를 함유한 포화 소디움 바이카보네이트에 여과액을 부었다. 유기층을 포화 소디움 바이카보네이트 수용액 이어서 염수로서 4회 세척하였다. 수성층을 에틸 아세테이트로서 백 추출하였고 결합된 유기물을 소디움 술페이트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농축하였다. 잔류오일을 섬광 크로마토그래피(헥산: 에틸 아세테이트로서 용출됨)에 의해 정제하여 백색 고체로서 표제의 화합물(5.1g, 96%)을 제공하였다;
(d) 2′-0-메톡시카르보닐-7-0-포스포노옥시메틸패클리탁셀의 제조
질소 퍼지된 파르 수소반응관에 탄소위 10% 팔라듐 1.3g 이어서 순수한 에틸 아세테이트(140㎖) 및 에틸 아세테이트(40㎖)내 2′-0-메톡시카르보닐-7-0-(디벤질포스포노옥시메틸)패클리탁셀(3.4g, 3.32m㏖) 용액을 첨가하였다. 그후 반응관을 진공하에 위치시킨, 파르 수소반응기에 고정한다음, 50psi의 수소 분위기로서 가압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8.5h 동안 교반하고 이 때 TLC 분석(헥산: 에틸 아세테이트로서 용출됨)은 출발물질의 소모를 나타냈다. 반응 혼합물을 진공하에 위치시키고 이어서 질소로서 퍼지하였다. 소결 유리 깔때기를 이용하여 비균일 용액을 여과시키고 여과액을 진공 농축하여 백색 고체(2.9g)을 제공하였고 이것은1H-NMR 분석이 원하는 표제 생성물(67%)과 2′-0-메톡시카르보닐패클리탁셀(33%)의 혼합물임을 보여주었다.
(e) 2′-0-메톡시카르보닐-7-0-포스포노옥시메틸패클리탁셀 트리에탄올 아민 염의 제조.
디클로로메탄(11㎖)내 2′-0-메톡시카르보닐-7-0-포스포노옥시메틸패클리탁셀(1.91g, 1.87m㏖) 및 이전에 언급된 부산물 2′-0-메톡시카르보닐패클리탁셀의 용액에 에틸 아세테이트내 트리에탄올아민(18.9㎖, 1.89m㏖) 0.1M 용액을 첨가하고 얻어진 혼합물을 상온에서 5분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진공 농축하고 얻어진 백색 고체를 C18 크로마토그래피(물: 아세토니트릴 2.3:1로서 용출됨)에 의해 정제하여 후속 동결건조후에 97% 이상의 HPLC 관찰 순도를 가진 트리에탄올아민 염을 제공하였다;
[실시예 23]
2′-0-포스포노옥시메톡시메틸-7-0-포스포노옥시메틸패클리탁셀의 제조.
(a) 2′-0-메틸티오메톡시메틸패클리탁셀의 제조
파르병에 저장된 에틸 아세테이트 (100㎖) 및 에탄올(70㎖)내 2′-0-메틸티오메톡시메틸-7-0-벤질록시카르보닐패클리탁셀(1.2g, 1.11m㏖)용액에 탄소위 팔라듐(10%)(3g)을 첨가하였다. 용기를 파르장치에 부착하고 반응 혼합물을 50 psi에서 수소화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0.5h 동안 교반하고, 소결 유리 깔때기를 이용하여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진공 농축하고 잔류 오일을 섬광 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 아세테이트로서 용출됨)에 의해 정제하여 고체로서 원하는 화합물(0.98g, 93%)을 제공하였다
(b) 2′-0-메틸티오메톡시메틸-7-0-메틸티오메틸패클리탁셀의 제조
-40℃로 냉각된 아세토니트릴(20㎖)내 2′-0-메틸티오메톡시메틸패클리탁셀(0.98g, 1.03m㏖) 및 디메틸 술파이드(0.6㎖, 8.11m㏖)의 용액에 벤조일 퍼옥사이드(1.0g, 4.13m㏖)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30분에 걸쳐 상온으로 가열하였다. 이때 TLC 분석(헥산: 에틸 아세테이트, 1:1로서 용출됨)은 반응이 완료하였음을 나타냈다. 반응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서 희석하고 얻어진 유기 용액을 포화 소디움 바이카보네이트 용액 그후 염수로서 3회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소디움 술페이트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농축하였다. 잔류 오일을 섬광 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 아세테이트로서 용출됨)에 의해 정제하여 백색 고체로서 표제의 생성물(0.945g, 91%)을 제공하였다;
(c) 2′-0-디벤질포스포노옥시메톡시메틸-7-0-(디벤질포스포노옥시메틸)패클리탁셀의 제조
상온에서 THF(18㎖)내 2′-0-메틸티오메톡시메틸-7-0-메틸티오메틸패클리탁셀(0.92g, 0.916m㏖), 디벤질포스페이트(2.03g, 7.30m㏖) 및 오븐 건조된 3 옹스트롬 체 1g의 용액에 일부분씩 N-요도숙신이미드(0.615g, 2.74m㏖)를 첨가하였고 얻어진 혼합물을 30분간 교반하였다. 이때 TLC 분석(헥산:에틸 아세테이트, 1:2로서 용출됨)은 반응이 완료하였음을 나타냈다. 반응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서 부피 두배로 희석하고 셀라이트 베드를 통해 여과하였다. 소디움 티오술페이트 1중량%를 함유한 포화 소디움 바이카보네이트 용액에 여과액을 부었다. 유기층을 포화 소디움 바이카보네이트 수용액 이어서 염수로 4회 세척하였다. 수성층을 에틸 아세테이트로서 백 추출하고 결합된 유기물을 소디움 술페이트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농축하였다. 잔류 오일을 섬광 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 아세테이트로서 용출됨)에 의해 정제하여 백색 고체로서 표제의 생성물(0.768g, 58%)을 제공하였다;
(d) 2′-0-포스포노옥시메톡시메틸-7-0-포스포노옥시메틸패클리탁셀의 제조
질소 퍼지된 파르 수소반응관에 탄소위 10% 팔라듐 1.3g을 첨가하고 이어서 순수한 에틸 아세테이트(110㎖) 및 에틸 아세테이트(40㎖)내 2′-0-디벤질포스포노옥시메톡시메틸-7-0-(디벤질포스포노옥시메틸)패클리탁셀(0.721g, 0.498m㏖)의 용액를 첨가하였다. 반응관을 진공하에 위치시킨, 파르 수소반응기에 고정하고 50psi의 수소 분위기로서 가압하였다. 비균일 혼합물을 16h 동안 교반하고 그후 TLC 분석(헥산:에틸 아세테이트로서 용출됨)은 출발 물질의 소모를 나타냈다. 반응 혼합물을 진공하에 위치시키고 이어서 질소로 퍼지하였다. 소결 유리 깔때기를 이용하여 혼합물을 여과시키고 여과액을 진공 농축하여 표제 생성물(0.413g)을 제공하였고 HPLC 분석에 의해 순도 60%이었다.
(e) 2′-0-포스포노옥시메톡시메틸-7-0-포스포노옥시메틸패클리탁셀 비스-트리에탄올아민 염의 제조.
디클로로메탄(10㎖)내 2′-0-포스포노옥시메톡시메틸-7-0-포스포노옥시메틸패클리탁셀(413㎎)의 원용액에 에틸 아세테이트내 트리에탄올아민 (7.6㎖, 0.076m㏖)의 0.1M 용액을 첨가하였고 얻어진 혼합물을 상온에서 5분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진공 농축하고 얻어진 백색 고체를 C18 크로마토그래피(물: 아세토니트릴, 9:1 내지 5.6:1로서 용출됨)에 의해 정제하였다. HPLC에 의한 순도 96% 이상으로 원하는 염을 함유한 용출액의 유분을 결합하고 아세토니트릴을 회전식 증발에 의해 제거하였다. 얻어진 아민 염의 수용액을 동결건조하여 백색 고체로서 원하는 염(0.21g, 2단계에 걸쳐 30%)을 제공하였다.
[추가 실시예]
이전의 실시예와 상세한 설명에서 제공된 일반적인 방법이 식(A)의 범위내인 다음의 화합물의 제조에 수행된다.

Claims (23)

  1. 3′-N-데벤조일-3′-N-(이소프로필록시카르보닐)-7-0-메틸티오메틸패클리탁셀.
  2. 3′-N-데벤조일-3′-N-(n-부틸록시카르보닐)-7-0-메틸티오메틸패클리탁셀.
  3. 3′-N-데벤조일-3′-N-(t-부톡시카르보닐)-2-0-트리에틸실릴-7-0-메틸티오메틸패클리탁셀.
  4. 3′-N-데벤조일-3′-N-(t-부톡시카르보닐)-7-0-메틸티오메틸패클리탁셀.
  5. 3′-N-데벤조일-3′-N-(t-부톡시카르보닐)-7-0-메틸티오메틸-10-데아세틸-10-하이드록시메틸카르보닐(패클리탁셀).
  6. 3′-N-데벤조일-3′-N-(t-부톡시카르보닐)-7-0-메틸티오메틸-3′-데스페닐-3′-이소부텐일패클리탁셀.
  7. 3′-N-데벤조일-3′-N-(t-부톡시카르보닐)-2′-0-에틸록시카르보닐-7-0-메틸티오메킬패클리탁셀.
  8. 7-0-메틸티오메틸-3′-데스페닐-3′-이소부텐일패클리탁셀.
  9. 3′-데스페닐-3′-(2-푸릴)-2′-0-에틸록시카르보닐-7-0-메틸티오메틸패클리탁셀.
  10. 다음 식(B′)의 화합물의 항종양 유효량으로 이루어지는, 포유류숙주의 종양억제용 조성물:
    상기 식에서, 상기 식의 화합물이 3′-N-데벤조일-3′-데스페닐-3′-N-(t-부틸록시카르보닐)-3′-(2-푸릴)-7-0-메틸티오메틸패클리탁셀 또는 3′-N-데벤조일-3′-데스페닐-3′-N-(t-부틸록시카르보닐)-3′-(2-푸릴)-2′-0-에틸록시카르보닐-7-0-메틸티오메틸패클리탁셀일 수 없다는 조건하에, R1b은 히드록시, -OC(O)RX또는 -OC(O)ORX이며; R3b은 수소, 히드록시, -OC(O)ORX, C1-6알킬록시 또는 -OC(O)RX이며; R6b또는 R7b중 한가지가 수소이고 나머지가 히드록시 또는 C1-6알칸오일록시이며; 또는 R6b및 R7b이 다같이 옥소기를 형성하며; R4와 R5는 각각 C1-6알킬, C2-6알켄일, C2-6알킨일 또는 -Z-R6이며, Z는 직접 결합, C1-6알킬 또는 C2-6알켄일이며; R6는 아릴, 치환된 아릴, C3-6시클로알킬 또는 헤테로아릴이며; p는 0 또는 1이며; RX는 히드록시이다.
  11. 제10항에 있어서, 7-0-메틸티오메틸패클리탁셀에 대한 조성물.
  12. 제10항에 있어서, 2′-9-(벤질록시카르보닐)-7-0-메틸티오메틸패클리탁셀에 대한 조성물.
  13. 제10항에 있어서, 2′-0-(에톡시카르보닐)-7-0-메틸티오메틸패클리탁셀에 대한 조성물.
  14. 제10항에 있어서, 3′-N-데벤조일-3′-데스페닐-3′-N-(t-부틸록시카르보닐)-3′-(2-티엔일)-7-0-메틸티오메틸패클리탁셀에 대한 조성물.
  15. 제10항에 있어서, 3′-N-데벤조일-3′-데스페닐-3′-N-(t-부틸록시카르보닐)-3′-(2-티엔일)-2-0-(에틸록시카르보닐)-7-0-메틸티오메틸패클리탁셀에 대한 조성물.
  16. 제10항에 있어서, 3′-N-데벤조일-3′-N-(이소프로필록시카르보닐)-7-0-메틸티오메틸패클리탁셀에 대한 조성물.
  17. 제10항에 있어서, 3′-N-데벤조일-3′-N-(n-부틸록시카르보닐)-7-0-메틸티오메틸패클리탁셀에 대한 조성물.
  18. 제10항에 있어서, 3′-N-데벤조일-3′-N-(n-부톡시카르보닐)-7-0-메틸티오메틸패클리탁셀에 대한 조성물.
  19. 제10항에 있어서, 3′-N-데벤조일-3′-N-(t-부톡시카르보닐)-7-0-메틸티오메틸-10-데아세틸-10-히드록시메틸카르보닐(패클리탁셀)에 대한 조성물.
  20. 제10항에 있어서, 3′-N-데벤조일-3′-N-(t-부톡시카르보닐)-7-0-메틸티오메틸-3′-데스페닐-3′이소부텐일패클리탁셀에 대한 조성물.
  21. 제10항에 있어서, 3′-N-데벤조일-3′-N-(t-부톡시카르보닐)-2′-0-에틸록시카르보닐-7-0-메틸티오메틸패클리탁셀에 대한 조성물.
  22. 제10항에 있어서, 7-0-메틸티오메틸-3′-데스페닐-3′-이소부텐일패클리탁셀에 대한 조성물.
  23. 제10항에 있어서, 3′-데스페닐-3′-(2-푸릴)-2′-0-에틸록시카르보닐-7-0-메틸티오메틸패클리탁셀에 대한 조성물.
KR1019940020177A 1993-08-17 1994-08-16 탁산 유도체의 메틸티오메틸 에테르 KR1002493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801593A 1993-08-17 1993-08-17
US8/108.015 1993-08-17
US8/108,015 1993-08-17
US15484093A 1993-11-24 1993-11-24
US8/154,840 1993-11-24
US8/154.840 1993-11-24
US24511994A 1994-05-17 1994-05-17
US8/245,119 1994-05-17
US8/245.119 1994-05-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5834A KR950005834A (ko) 1995-03-20
KR100249306B1 true KR100249306B1 (ko) 2000-04-01

Family

ID=27380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0177A KR100249306B1 (ko) 1993-08-17 1994-08-16 탁산 유도체의 메틸티오메틸 에테르

Country Status (20)

Country Link
EP (1) EP0639577B1 (ko)
JP (1) JP3062986B2 (ko)
KR (1) KR100249306B1 (ko)
CN (2) CN1051315C (ko)
AT (1) ATE217629T1 (ko)
AU (2) AU694941B2 (ko)
CA (1) CA2129288C (ko)
CY (1) CY2295B1 (ko)
CZ (1) CZ194794A3 (ko)
DE (1) DE69430611T2 (ko)
DK (1) DK0639577T3 (ko)
ES (1) ES2176212T3 (ko)
FI (1) FI113271B (ko)
HU (1) HUT67742A (ko)
IL (2) IL110660A0 (ko)
NO (1) NO309093B1 (ko)
NZ (1) NZ264240A (ko)
PL (1) PL179636B1 (ko)
PT (1) PT639577E (ko)
RU (1) RU2128661C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15009B1 (en) 1991-09-27 2003-02-04 Neorx Corporation Therapeutic inhibitor of vascular smooth muscle cells
US5811447A (en) 1993-01-28 1998-09-22 Neorx Corporation Therapeutic inhibitor of vascular smooth muscle cells
FR2698871B1 (fr) 1992-12-09 1995-02-24 Rhone Poulenc Rorer Sa Nouveau taxoïdes, leur préparation et les compositions pharmaceutiques qui les contiennent.
CA2111527C (en) * 1992-12-24 2000-07-18 Jerzy Golik Phosphonooxymethyl ethers of taxane derivatives
US5981568A (en) 1993-01-28 1999-11-09 Neorx Corporation Therapeutic inhibitor of vascular smooth muscle cells
US6491938B2 (en) 1993-05-13 2002-12-10 Neorx Corporation Therapeutic inhibitor of vascular smooth muscle cells
US6232477B1 (en) 1996-03-25 2001-05-15 Aventis Pharma S.A. Methods of preparing new taxoid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US6040466A (en) * 1996-03-25 2000-03-21 Rhone Poulenc Rorer Sa Taxoids, their preparation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US6593482B2 (en) 1993-02-01 2003-07-15 Aventis Pharma S.A. Methods for preparing new taxoid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FR2732340B1 (fr) * 1995-03-27 1997-04-30 Rhone Poulenc Rorer Sa Nouveaux taxoides, leur preparation et les compositions pharmaceutiques qui les contiennent
US5677470A (en) * 1994-06-28 1997-10-14 Tanabe Seiyaku Co., Ltd. Baccatin derivatives and processes for preparing the same
US6458976B1 (en) 1994-10-28 2002-10-01 The Research Foundation Of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Taxoid anti-tumor agents,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treatment methods
AU4133096A (en) * 1994-10-28 1996-05-23 Research Foundation Of Th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The Taxoid derivatives, their preparation and their use as antitumor agents
US6500858B2 (en) 1994-10-28 2002-12-31 The Research Foundation Of Th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Taxoid anti-tumor agent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thereof
CA2162759A1 (en) * 1994-11-17 1996-05-18 Kenji Tsujihara Baccatin derivatives and processes for preparing the same
MA23823A1 (fr) * 1995-03-27 1996-10-01 Aventis Pharma Sa Nouveaux taxoides, leur preparation et les compositions qui les contiennent
US5847170A (en) * 1995-03-27 1998-12-08 Rhone-Poulenc Rorer, S.A. Taxoids, their preparation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US6372780B2 (en) 1995-03-27 2002-04-16 Aventis Pharma S.A. Methods of treating cell lines expressing multidrug resistance P-glycoprotein
TW354293B (en) * 1995-06-06 1999-03-11 Bristol Myers Squibb Co Prodrugs of paclitaxel derivatives
US6245805B1 (en) * 1995-10-26 2001-06-12 Baker Norton Pharmaceuticals, Inc. Method, compositions and kits for increasing the oral bioavailability of pharmaceutical agents
EP0822815A4 (en) * 1996-01-31 1998-04-01 Bristol Myers Squibb Co PROCESS FOR MAKING ORAL-LIKE TAXANES ACTIVE FROM THE PHARMACEUTICAL VIEW
ES2226120T3 (es) 1997-03-31 2005-03-16 Boston Scientific Limited Inhibidor terapeutico de celulas del musculo liso vascular.
US6156789A (en) * 1998-03-17 2000-12-05 Rhone-Poulenc Rorer S.A. Method for treating abnormal cell proliferation in the brain
US6204257B1 (en) * 1998-08-07 2001-03-20 Universtiy Of Kansas Water soluble prodrugs of hindered alcohols
EP1020188A1 (en) * 1999-01-13 2000-07-19 Aventis Pharma S.A. New use of taxoid derivatives
US6362172B2 (en) * 2000-01-20 2002-03-26 Bristol-Myers Squibb Company Water soluble prodrugs of azole compounds
US6780879B2 (en) 2000-02-02 2004-08-24 Fsu Research Foundation, Inc. C7 carbonate substituted taxanes
CN1186340C (zh) 2000-02-02 2005-01-26 佛罗里达州立大学研究基金有限公司 用作抗肿瘤剂的c10碳酸酯取代的紫杉烷
US6649632B2 (en) 2000-02-02 2003-11-18 Fsu Research Foundation, Inc. C10 ester substituted taxanes
DE60131537T2 (de) 2000-06-22 2008-10-23 Nitromed, Inc., Lexington Nitrosierte und nitrosylierte taxane, zubereitungen und methoden der verwendung
US6448401B1 (en) 2000-11-20 2002-09-10 Bristol-Myers Squibb Company Process for water soluble azole compounds
WO2003087078A1 (en) 2002-04-05 2003-10-23 Natural Pharmaceuticals, Inc. Selective acylation of secondary hydroxyl groups
US7390898B2 (en) * 2002-08-02 2008-06-24 Immunogen Inc. Cytotoxic agents containing novel potent taxanes and their therapeutic use
CN100522955C (zh) * 2002-08-02 2009-08-05 伊缪诺金公司 含有新型强效紫杉烷的细胞毒性剂及其治疗用途
US8703982B2 (en) 2003-03-17 2014-04-22 Phyton Holdings Llc Purification of taxanes
PE20050693A1 (es) 2004-02-13 2005-09-27 Univ Florida State Res Found Taxanos sustituidos con esteres de ciclopentilo en c10
CA2718567A1 (en) 2008-03-31 2009-12-03 Florida State University Research Foundation, Inc. C(10) ethyl ester and c(10) cyclopropyl ester substituted taxanes
EP2719708B1 (en) 2009-11-13 2017-10-25 Daiichi Sankyo Europe GmbH Material and methods for treating or preventing HER-3 associated diseases
AU2011286407A1 (en) 2010-08-06 2013-02-21 Amgen Use of HER3 binding agents in prostate treatment
CA2846572C (en) 2011-08-25 2019-12-31 Bonac Corporation Glycoside compounds, method for producing the compounds, and production of nucleic acids using said compounds
CN104650012A (zh) 2013-11-22 2015-05-27 天士力控股集团有限公司 一种紫杉烷类化合物
JP6481022B2 (ja) * 2015-04-02 2019-03-13 株式会社ボナック 配糖体化合物の製造方法
CN110862410A (zh) * 2018-08-27 2020-03-06 深圳福山生物科技有限公司 三氟甲基硒化合物及其用途
US11976034B2 (en) 2019-06-12 2024-05-07 Nouryon Chemicals International B.V.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diacyl peroxides
BR112021024870A2 (pt) * 2019-06-12 2022-01-18 Nouryon Chemicals Int Bv Método para isolar ácido carboxílico de uma corrente lateral aquosa de um processo de produção de peróxido orgânico
JP7336541B2 (ja) 2019-06-12 2023-08-31 ヌーリオン ケミカルズ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ベスローテン フェノーツハップ 過酸化ジアシルを生成するためのプロセス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78930B1 (fr) * 1991-07-10 1995-01-13 Rhone Poulenc Rorer Sa Procede de preparation de derives de la baccatine iii et de la desacetyl-10 baccatine iii.
FR2679230B1 (fr) * 1991-07-16 1993-11-19 Rhone Poulenc Rorer Sa Nouveaux derives d'analogues du taxol, leur preparation et les compositions qui les contiennent.
US5229526A (en) * 1991-09-23 1993-07-20 Florida State University Metal alkoxides
US5272171A (en) * 1992-02-13 1993-12-21 Bristol-Myers Squibb Company Phosphonooxy and carbonate derivatives of taxol
CA2111527C (en) * 1992-12-24 2000-07-18 Jerzy Golik Phosphonooxymethyl ethers of taxane derivativ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94029662A (ru) 1996-07-10
JPH07149779A (ja) 1995-06-13
FI943749A0 (fi) 1994-08-15
DE69430611T2 (de) 2002-12-19
CN1237580A (zh) 1999-12-08
AU706511B2 (en) 1999-06-17
CY2295B1 (en) 2003-07-04
EP0639577A1 (en) 1995-02-22
FI943749A (fi) 1995-02-18
PT639577E (pt) 2002-10-31
KR950005834A (ko) 1995-03-20
HU9402342D0 (en) 1994-10-28
RU2128661C1 (ru) 1999-04-10
CZ194794A3 (en) 1995-08-16
CA2129288C (en) 2000-05-16
PL304649A1 (en) 1995-02-20
DE69430611D1 (de) 2002-06-20
AU9135698A (en) 1999-01-14
NZ264240A (en) 1997-10-24
CN1051315C (zh) 2000-04-12
PL179636B1 (pl) 2000-10-31
AU694941B2 (en) 1998-08-06
NO943002D0 (no) 1994-08-15
NO309093B1 (no) 2000-12-11
FI113271B (fi) 2004-03-31
CN1100771C (zh) 2003-02-05
DK0639577T3 (da) 2002-08-19
ATE217629T1 (de) 2002-06-15
ES2176212T3 (es) 2002-12-01
CN1111637A (zh) 1995-11-15
HUT67742A (en) 1995-04-28
AU7026794A (en) 1995-03-02
EP0639577B1 (en) 2002-05-15
JP3062986B2 (ja) 2000-07-12
NO943002L (no) 1995-02-20
CA2129288A1 (en) 1995-02-18
IL128425A0 (en) 2000-01-31
IL110660A0 (en) 1994-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9306B1 (ko) 탁산 유도체의 메틸티오메틸 에테르
EP0604910B1 (en) Phosphonooxymethyl ethers of taxane derivatives
US6455575B2 (en) Phosphonooxymethyl ethers of taxane derivatives
RU2122545C1 (ru) 7-дезоксипроизводные таксола, производные баккатина, 10-пентафторфенилбаккатин, 7-[(метилтио)карбонотиоилокси]-13-триэтилсилилоксибаккатин,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US5294637A (en) Fluoro taxols
FI109795B (fi) Menetelmä terapeuttisesti käyttökelpoisten 6,7-modifioitujen paklitakseleiden valmistamiseksi
EP0694539B1 (en) 7-O-Ethers of taxane derivatives
FI110942B (fi) Menetelmä terapeuttisesti käyttökelpoisten fluoritaksolien valmistamiseksi
RU2136673C1 (ru) Фосфонооксиметиловые эфиры таксановых производных, промежуточные соединения, противоопухолевая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способ ингибирования роста опухоли у млекопитающих
KR100292331B1 (ko) 플루오로탁솔
RU2131874C1 (ru) Фторотаксолы, промежуточные соединения,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и способ лече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2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