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8758B1 - 독취장치의클리닝방법및클리닝장치 - Google Patents

독취장치의클리닝방법및클리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8758B1
KR100248758B1 KR1019970078236A KR19970078236A KR100248758B1 KR 100248758 B1 KR100248758 B1 KR 100248758B1 KR 1019970078236 A KR1019970078236 A KR 1019970078236A KR 19970078236 A KR19970078236 A KR 19970078236A KR 100248758 B1 KR100248758 B1 KR 1002487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ding
cleaning
reading apparatus
reading device
contamin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8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58149A (ko
Inventor
정종성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78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8758B1/ko
Publication of KR199900581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81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87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87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17Clean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67Handling of original or reproduction media, e.g. cutting, separating, stacking
    • H04N1/0057Conveying sheets before or after scanning
    • H04N1/00588Conveying sheets before or after scanning to the scanning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909Cleaning arrangements or preventing or counter-acting contamination from dust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독취장치를 분리하지 않고서도 오염 사실의 확인을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이를 클리닝할 수 있도록 하고, 전문적인 수리사가 아닌 일반 사용자도 충분히 오염된 독취 장치를 클리닝할 수 있도록 한 독취장치의 클리닝 방법 및 클리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클리닝 방법은 임의의 클리링 모드 수행 조건이면 독취장치가 소정의 기준 대상물을 독취하여 기준 대상물의 독취 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독취 장치의 오염 여부를 판단하는 오염판단 단계와; 상기 독취장치가 오염되었으면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독취장치를 클리닝 위치로 이동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상기 독취장치가 오염되었는 지를 인식하도록 경보를 발생하는 단계와; 상기 클리닝 위치로 이동된 독취장치는 저면에 구비된 반사경을 통해 오염부위를 확인하면서 클리닝을 수행하도록 상기 독취장치를 클리닝 위치에서 소정 시간 대기시키는 단계와; 상기 독취장치가 대기 상태에서 해제되었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독취장치가 해제되었으면, 독취모드로 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클리닝 장치는, 구동 수단의 동력을 전달받아 안내 레일을 따라 소정의 구간을 이동하여 베이스 프레임위에 위치한 원고를 독취하기 위한 독취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소정 위치에 상기 독취장치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 사이로 클리닝 부재를 유입하여 상기 독취장치를 클리닝할 수 있도록 공간을 마련하기 위해 소정 각도의 경사면을 형성하고, 상기 경사면에 반사경을 부착하여 외부에서 상기 독취장치의 하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독취 장치의 클리닝 방법 및 클리닝 장치
본 발명은 독취장치의 클리닝 방법 및 클리닝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독취장치를 분리하지 않고서도 오염 사실의 확인을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이를 클리닝할 수 있도록 한 독취장치의 클리닝 방법 및 클리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프린터와 스캐너 등과 같은 사무 자동화 기기가 폭넓게 사용되고 있고 각각의 사무 자동기기들은 각기 고유의 기능을 확장하기 위해 고성능으로 개발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더욱 고가의 제품이 생산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독자적으로 사용되던 프린터와 스캐너를 일체형으로 개발하여 사용자에게 경제적 부담을 덜어 주는 제품이 생산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잉크젯 프린터 헤드 모듈과 독취 모듈을 구비한 복합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전체적으로 보아 기록체인 원고(16)에 잉크를 분사하는 잉크젯 헤드 모듈(11)의 잉크젯 헤드부(12) 및 기록체를 독취하는 독취 모듈(13)과, 이 잉크젯 헤드 모둘(11)과 독취 모듈(13)을 셔틀 운동하도록 하는 가이드 레일(15) 및 잉크젯 헤드 모듈(11)과 독취 모듈(13)을 셔틀 운동시키기 위한 구동 모터(19)로 구성되어 있다.
미설명 부호 17은 구동 벨트이고, 18은 구동 모터(19)에 설치된 구동 풀리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구동 벨트를 회전시키기 위한 종동 풀리이다.
또한, 20은 베이스 프레임이고, 21은 베이스 프레임에 안착되어 있는 것으로, 독취 모듈(13)이 독취한 데이터를 보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일 먼저 독취를 행하는 기준 시트로서, 통상 백색의 기준 시트를 사용하도록 하는 바, 이는 흑색의 시트 또는 백색 및 흑색의 롤러 등의 사용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복합기의 인쇄 및 독취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이에 잉크를 분사하며 인쇄를 수행하는 잉크젯 프린터 헤드 모듈(11)과 원고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는 독취부 모듈(13)은 안내 샤프트(15)를 따라 구동 모터(19)의 회전 구동에 의해 구동 벨트(17)를 따라 좌우로 왕복 운동하며 인쇄 및 독취를 수행한다.
인쇄 동작은 잉크젯 프린터 헤드 모듈(11)과 독취부 모듈(13)이 좌우로 움직이는 동안 잉크젯 프린터 헤드 모듈(11)안의 잉크를 잉크젯 프린터 헤드부(12)를 통해 종이면(16)에 분사하며 수행한다.
또한, 독취 동작은 잉크젯 프린터 헤드 모듈(11)과 독취부 모듈(13)이 좌우로 움직일 때 원고를 독취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잉크젯 프린터 헤드 모듈과 독취 모듈을 구비한 복합기에 있어서, 잉크젯 프린터 헤드 모듈(11)과 독취 모듈(13)을 함께 구성하여 사용함으로 잉크젯 프린터 헤드부(12)를 통해 분사된 잉크가 종이면(16)에 옮겨지고 미쳐 마르지 않고 남은 잉크들이 부근의 인쇄물을 오염시킬 뿐만 아니라, 독취 모듈(13)의 독취부 글래스(14)를 오염시킨다. 이에 따라 독취부 모듈이 오염되어 정확한 독취를 수행하지 못하였다.
이에, 오염된 독취 모듈을 클리닝하기 위해서는 이 독취 모듈을 기기로부터 분리하지 않는 한 클리닝이 불가능하였다. 이는 일반 사용자에게 전혀 불가능한 일이었으며, 전문적인 수리사만이 독취 모듈을 기기로부터 분리하여 오염제거를 하는 실정이었다.
또한, 일반 사용자도 독취 모듈을 클리닝하기 위해 독취 모듈을 기기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하려고 노력하고 있으나, 이는 구조의 복잡화, 부품의 증가에 따른 조립 비용 및 부품 가격의 상승을 감수해야만 하기 때문에 실현이 되고 있지는 않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독취장치를 분리하지 않고서도 오염 사실의 확인을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이를 크링닝할 수 있도록 한 독취장치의 클리닝 방법 및 클리닝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잉크젯 프린터 헤드 모듈과 독취 모듈을 구비한 복합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독취장치의 클리닝 장치가 설치된 복합기의 내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독취장치의 클리닝 장치의 사용예를 설명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독취장치의 클리닝 방법을 설명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독취장치의 클리닝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3 : 독취 장치 15 : 안내 레일
20 : 베이스 프레임 30 : 경사면
31 : 반사경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독취장치의 클리닝 방법은, 임의의 클리링 모드 수행 조건이면 독취 장치가 소정의 기준 대상물을 독취하여 기준 대상물의 독취 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독취 장치의 오염 여부를 판단하는 오염판단 단계와; 상기 독취장치가 오염되었으면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독취장치를 클리닝 위치로 이동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상기 독취장치가 오염되었는 지를 인식하도록 경보를 발생하는 단계와; 상기 클리닝 위치로 이동된 독취장치는 저면에 구비된 반사경을 통해 오염부위를 확인하면서 클리닝을 수행하도록 상기 독취장치를 클리닝 위치에서 소정 시간 대기시키는 단계와; 상기 독취장치가 대기 상태에서 해제되었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독취장치가 해제되었으면, 독취모드로 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독취장치의 클리닝 장치는, 구동 수단의 동력을 전달받아 안내 레일을 따라 소정의 구간을 이동하여 베이스 프레임위에 위치한 원고를 독취하기 위한 독취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소정 위치에 상기 독취장치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 사이로 클리닝 부재를 유입하여 상기 독취장치를 클리닝할 수 있도록 공간을 마련하기 위해 소정 각도의 경사면을 형성하고, 상기 경사면에 반사경을 부착하여 외부에서 상기 독취장치의 하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독취장치의 클리닝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독취장치의 클리닝 장치가 설치된 복합기의 내부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독취장치의 클리닝 장치는, 구동 수단의 동력을 전달받아 안내 레일(15)을 따라 소정의 구간을 이동하여 베이스 프레임(20)위에 위치한 원고(미도시)를 독취하기 위한 독취장치(13)에 있어서, 베이스 프레임(20)의 소정 위치에 독취장치(13)와 베이스 프레임(20) 사이로 클리닝 부재(미도시)를 유입하여 독취장치(13)를 클리닝할 수 있도록 공간을 마련하기 위해 소정 각도의 경사면(30)을 형성하고, 경사면(30)에 반사경(31)을 부착하여 외부에서 독취장치(13)의 하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21은 백색의 기준 시트이고, 11은 잉크젯 프린터 헤드 모듈의 잉크젯 헤드부로서, 이에 대한 설명은 종래 기술에서 상세하게 설명되었는 바, 이에 대한 추가적인 언급은 하지 않기로 한다.
또한, 구동 수단은, 전체적으로 보아 기록체인 원고에 잉크를 분사하는 잉크젯 헤드 모듈(11)의 잉크젯 헤드부(12) 및 기록체를 독취하는 독취 모듈(13)을 안내 레일(15)을 따라 셔틀 운동시키는 구동 모터(미도시)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경사면(30)은, 독취장치(13)의 이송 범위중 좌측 또는 우측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끝단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데, 그 이유는 경사면을 전술한 위치에 형성하면, 구동 모터의 구동에 의해 독취 모듈(13)이 안내 레일의 좌우측 끝단에서 정지되기 자동적으로 정지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독취 모듈 또는 장치(13)가 정지되는 이유는 구동 모터에 과부하가 걸리면, 제어부에서는 이를 감지하여 구동 모터로의 동력 전달이 차단되기 때문인 바, 이는 공지된 기술이다.
여기서, 상기 경사면(30)은 전술한 바와 같이, 독취장치(13)의 이송 범위중 좌측 또는 우측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끝단에 반듯이 형성하지 않아도 되며, 안내 레일(15)의 중간 부분에도 설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클리닝 장치가 이용하여서 독취장치를 클리닝하는 방법을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독취장치의 클리닝 장치의 사용예를 설명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독취장치의 클리닝 방법을 설명한 흐름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독취장치의 클리닝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독취장치의 클리닝 방법은, 임의의 클리닝 모드 수행 조건중, 독취장치(13)가 기준 시트(21)를 독취할 주기가 경과되었는지를 판단하여(S1), 그 판단 결과, 독취 주기가 경과되었으면, 독취 장치(13)가 백색의 기준 시트(21)를 독취한다.(S2)
여기서, 전술한 임의의 클리닝 모드 수행 조건은, 사용자가 복합기를 사용하고자, 이 복합기의 메인 전원을 온시켰을 때, 적어도 1회에 한해서 독취 장치(13)의 오염정도를 판단하도록 할 수 있으며, 복합기에 별도로 클리닝 키를 마련하여 이 클리닝 키를 온시킨 경우에 독취 장치의 오염 정도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후, 스텝 S2에서 독취 장치(13)에 의해 백색의 기준 시트(21)가 독취되면, 독취 장치의 오염도를 판정하게 된다.(S3) 스텝 S3을 수행한 후, 백색의 기준 시트(21)를 독취하여 출력된 값이 기설정된 기준치와 비교하여(S4) 독취 장치(13)의 오염도가 기준치보다 같거나 큰지를 판단한다.(S5)
이후, 스텝(S5)에 판단된 결과, 오염도가 기준치보다 작으면, 스텝 S1로 복귀하고, 오염도가 기준치보다 같거나 크면, 구동 모터를 구동시켜 독취 장치(13)를 안내 레일(15)을 따라 클리닝 위치, 즉 반사경(31)의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와 동시에, 사용자가 독취장치(13)가 오염되었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도록 경보를 발생시킨다.(S6,S7)
이후, 반사경(31)의 위치로 이동되는 독취 장치(13)를 정지시킨다.(S8)
여기서, 경보에 대한 수단은 도면상에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공지된 기술이라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스텝 S9에서 독취 장치(13)가 정지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경사면(31)상에 설치된 반사경(31)을 통해 반사된 독취 장치(13)의 하부면에 대해 클리닝을 수행하는 데, 사용자는 면봉 또는 클리닝 페이퍼 등을 사용하여 독취 장치(13)를 구성하는 램프(13a)를 클리닝하게 된다.
여기서, 독취 장치(13)에 있어서, 클리닝되는 부분은 상기와 같이 램프(13a)만이 아니고, 독취 장치(13) 전체에 걸쳐 시행하게 된다.
여기서, 독취 장치(13)는 사용자에 의해 클리닝이 완료된 경우에는 도 4에서처럼, 임의의 키인 리셋키가 입력되었는 지를 판단한다.(S9) 또는 도 5에서처럼, 독취 장치(13)를 정지된 상태로 소정 시간 대기시켜(S17) 소정 시간 경과하였는 지를 판단한다.(S18)
여기서, 상기 스텝(S9)에서는 사용자가 리셋키를 조작하면, 구동 모터가 작동되어 독취 장치(13)를 초기 위치, 즉 베이스 프레임(20)에 놓여진 원고를 독취할 위치로 이동시켜(S10) 독취 모드를 수행하도록 한다.(S11)
한편, 도 5에 도시된 흐름도의 설명으로, 상기 스텝(S18)에서는 대기 시간을 카운팅하여, 이 카운팅된 시간이 기설정된 시간과 같거나 초과하는 경우인 것으로, 기설정된 시간이 초과되면, 정지 상태의 독취 장치(13)의 대기가 해제되어 S10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기설된 시간은 독취 장치(13)를 사용자가 클리닝하여 완료할 수 있는 시간을 의미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독취 장치의 클리닝 방법과 클리닝 장치에 따르면, 독취장치를 기기로부터 분리하지 않고서도 오염 사실을 확인하고, 독취 장치의 클리닝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독취 장치의 클리닝 장치에 따르면, 전문적인 수리사가 아닌 일반 사용자도 충분히 오염된 독취 장치를 클리닝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2)

  1. 임의의 클리링 모드 수행 조건이면 독취 장치가 소정의 기준 대상물을 독취하여 기준 대상물의 독취 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독취 장치의 오염 여부를 판단하는 오염판단 단계와;
    상기 독취장치가 오염되었으면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독취장치를 클리닝 위치로 이동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상기 독취장치가 오염되었는 지를 인식하도록 경보를 발생하는 단계와;
    상기 클리닝 위치로 이동된 독취장치는 저면에 구비된 반사경을 통해 오염부위를 확인하면서 클리닝을 수행하도록 상기 독취장치를 클리닝 위치에서 소정 시간 대기시키는 단계와;
    상기 독취장치가 대기 상태에서 해제되었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독취장치가 해제되었으면, 독취모드로 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취장치의 클리닝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임의의 클리링 모드 수행 조건은 사용자가 전원을 온시킨 경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취장치의 클리닝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임의의 클리닝 모드 수행 조건은 독취 장치가 기준 시트를 독취할 주기가 경과했을 경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취장치의 클리닝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임의의 클리닝 모드 수행 조건은 별도로 클리닝 키를 마련하여, 상기 클리닝 키를 온시킨 경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취장치의 클리닝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판단 단계는 독취 장치가 백색의 기준 시트를 독취하여 독취 데이터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독취 데이터와 백색의 기준 데이터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비교된 데이터에 의하여 독취 장치의 오염 정도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독취 장치의 오염도가 기준치보다 같거나 큰지를 판단하는 단계;의 순서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취 장치의 클리닝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독취장치의 클리닝을 수행 및 완료하여 대기시키는 단계는 클리닝 위치로 이동되는 상기 독취장치를 정지시키는 단계가 부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취장치의 클리닝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독취장치가 대기 상태에서 해제되는 경우는, 임의의 키가 입력된 경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취장치의 클리닝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임의의 키는 리셋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취장치의 클리닝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독취장치가 대기 상태에서 해제되는 경우는, 대기 시간을 카운팅하여, 이 카운팅된 시간이 기설정된 시간보다 같거나 초과하는 경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취장치의 클리닝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시간은 상기 독취장치를 사용자가 클리닝하여 완료할 수 있는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취 장치의 클리닝 방법.
  11. 구동 수단의 동력을 전달받아 안내 레일을 따라 소정의 구간을 이동하여 베이스 프레임위에 위치한 원고를 독취하기 위한 독취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소정 위치에 상기 독취장치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 사이로 클리닝 부재를 유입하여 상기 독취장치를 클리닝할 수 있도록 공간을 마련하기 위해 소정 각도의 경사면을 형성하고, 상기 경사면에 반사경을 부착하여 외부에서 상기 독취장치의 하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취 장치의 클리닝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은, 상기 독취장치의 이송 범위중 좌측 또는 우측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끝단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취 장치의 클리닝 장치.
KR1019970078236A 1997-12-30 1997-12-30 독취장치의클리닝방법및클리닝장치 KR1002487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8236A KR100248758B1 (ko) 1997-12-30 1997-12-30 독취장치의클리닝방법및클리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8236A KR100248758B1 (ko) 1997-12-30 1997-12-30 독취장치의클리닝방법및클리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8149A KR19990058149A (ko) 1999-07-15
KR100248758B1 true KR100248758B1 (ko) 2000-04-01

Family

ID=19529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8236A KR100248758B1 (ko) 1997-12-30 1997-12-30 독취장치의클리닝방법및클리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87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91703A (zh) * 2016-08-31 2018-03-13 东友科技股份有限公司 喷墨打印机及其检视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91703A (zh) * 2016-08-31 2018-03-13 东友科技股份有限公司 喷墨打印机及其检视装置
CN107791703B (zh) * 2016-08-31 2019-11-22 东友科技股份有限公司 喷墨打印机及其检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8149A (ko) 199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42956B1 (en) Ink jet recording apparatus recording images when an ink jet head is installed thereon and reading images when an image reading head is installed thereon
US6488353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diagnosing print head and optical system conditions based on printed test pattern
US20060127156A1 (en) Printing apparatus and printing method
US20060044336A1 (en) Inkjet type record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KR100248758B1 (ko) 독취장치의클리닝방법및클리닝장치
JP2003259096A (ja)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052202B2 (ja) 画像形成装置
JPH11192768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方法
JP2008012863A (ja) 画像形成装置
US20080212143A1 (en) Image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restoring recording head for image recording apparatus
US20060219113A1 (en) Image-forming apparatus
US5781207A (en) Ink jet recording apparatus
JP2002258545A (ja) 画像読取装置
US6134026A (en) Data reading apparatus and method
JPH03117962A (ja) 原稿読取装置の清掃方法と汚れ検知方法
JP3412961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3506241B2 (ja) インク残量検知装置
JP3501602B2 (ja)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読み取り機能を有する情報処理装置
JP3496928B2 (ja) 走査装置
JP2001245114A (ja) 画像読取装置
JP2006103155A (ja) 記録装置
JP3231732B2 (ja) 熱転写印刷装置
JPS62144465A (ja) 原稿読み取り装置
JPH1188620A (ja) 白基準取得装置、白基準取得方法、および記憶媒体
KR19990004364U (ko) 복합기기의 스케너 오염 방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1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