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7621B1 - 급유장치 - Google Patents

급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7621B1
KR100247621B1 KR1019980002812A KR19980002812A KR100247621B1 KR 100247621 B1 KR100247621 B1 KR 100247621B1 KR 1019980002812 A KR1019980002812 A KR 1019980002812A KR 19980002812 A KR19980002812 A KR 19980002812A KR 100247621 B1 KR100247621 B1 KR 1002476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ueling
signal
indicator
oil supply
status indic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2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71004A (ko
Inventor
겐지 고바야시
겐고 야마자끼
Original Assignee
다쓰노 히로미찌
가부시끼가이샤 다쓰노.메카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쓰노 히로미찌, 가부시끼가이샤 다쓰노.메카트로닉스 filed Critical 다쓰노 히로미찌
Publication of KR199800710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10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7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76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08Arrangements of devices for controlling, indicating, metering or registering quantity or price of liquid transferred
    • B67D7/22Arrangements of indicators or registers
    • B67D7/221Arrangements of indicators or registers using electrical or electro-mechanical means
    • B67D7/222Arrangements of indicators or registers using electrical or electro-mechanical means involving digital cou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08Arrangements of devices for controlling, indicating, metering or registering quantity or price of liquid transfer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08Arrangements of devices for controlling, indicating, metering or registering quantity or price of liquid transferred
    • B67D7/22Arrangements of indicators or registers
    • B67D7/224Arrangements of indicators or registers involving price indicators
    • B67D7/227Arrangements of indicators or registers involving price indicators using electrical or electro-mechanical means
    • B67D7/228Arrangements of indicators or registers involving price indicators using electrical or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digital cou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08Arrangements of devices for controlling, indicating, metering or registering quantity or price of liquid transferred
    • B67D7/22Arrangements of indicators or registers
    • B67D7/24Arrangements of indicators or registers with means for producing or issuing a receipt or record of sale
    • B67D7/243Arrangements of indicators or registers with means for producing or issuing a receipt or record of sale using electrical or electro-mechanical means
    • B67D7/246Arrangements of indicators or registers with means for producing or issuing a receipt or record of sale using electrical or electro-mechanical means involving digital cou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08Arrangements of devices for controlling, indicating, metering or registering quantity or price of liquid transferred
    • B67D7/22Arrangements of indicators or registers
    • B67D7/26Arrangements of indicators or registers with resetting or zeroing means
    • B67D7/263Arrangements of indicators or registers with resetting or zeroing means using electrical or electro-mechanical means
    • B67D7/266Arrangements of indicators or registers with resetting or zeroing means using electrical or electro-mechanical means involving digital coun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02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by volume
    • G07F13/025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by volume wherein the volume is determined during delive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oading And Unloading Of Fuel Tanks Or Sh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옥외용 급유상태 표시기를 옥내용 급유상태 표시기의 제어하에 놓는 것에 의해서 처리능력이 큰 정산기를 설치할 필요를 없게하여 투자비용을 낮게할 수 있는 급유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이를위해 차의 진입로(1)와 급유지역(2)과 퇴출로(3)가 앞면에 형성된 아이랜드(M)의 급유지역에 면하는 위치에 마련된 복수대의 계산기(5)와, 사무소내에 마련된 정산기(7) 및 옥내용 급유상태 표시기(8)와, 급유지역으로부터 보이는 위치에 마련된 옥외용 급유상태 표시기(9)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계량기의 제어부(5h)는 급유노즐(5d)이 노즐걸이(5f)로부터 벗어났을 때에 급유개시 신호를, 급유노즐이 노즐걸이에 걸려졌을 때에 급유종료 신호를, 유량계(5c)로부터의 유량 신호를 정산기에 출력하며, 상기 정산기의 제어부(7a)는 상기 유량신호가 입력하였을 때에 급유중 신호를, 유량신호가 정지했을 때에 급유정지 신호를, 상기 급유종료 신호가 입력하였을 때에 급유종료 신호를, 정산이 종료되었을 때에 정산종료 신호를 상기 옥내용 급유상태 표시기로 출력하고, 상기 옥내용 급유상태 표시기의 제어부(8e)는 급유중 신호를 받아서 표시등(8c)를 점등하고, 급유종료 신호를 받아서 표시등을 점멸하며, 정산종료 신호를 받아서 표시등을 소등하고, 또 급유중 신호와 급유정지 신호와 급유종료 신호를 상기 옥외용 급유상태 표시기에 출력하며, 상기 옥외용 급유상태 표시기의 제어부(9e)는 급유중 신호를 받아서 표시등(9c)을 점등하며, 급유정지 신호를 받아서 표시등을 점멸하고, 급유종료 신호를 받아서 표시등을 소등한다.

Description

급유장치
본 발명은 자동차에 연료를 급유하는 급유소에 설치되는 급유장치로서, 특히 급유작업자에게 급유정지를 알리는 옥외용 급유상태 표시기와 사무소내의 정산관리자에게 급유의 종료를 알리는 옥내용 급유상태 표시기를 마련한 급유장치에 관한 것이다.
급유정지를 급유작업자에게 알리고 급유종료를 정산관리자에게 알리는 급유장치는 본출원인이 일본 특개평 8-258897호로써 제안하고 있다. 이 급유장치는 복수대의 계량기와, 이 계량기에 신호선으로 접속된 정산기(POS)와, 정산기에 신호선으로 접속된 옥내용 급유상태 표시기 및 옥외용 급유상태 표시기로써 구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종래의 급유장치는 계량기에 접속된 정산기에 의해 옥내용 급유상태표시기와 옥외용 급유상태표시기가 제어되며, 정산기에 많은 기능을 짊어지게 하였으므로 정산기의 처리능력이 작으면 처리가 늦어지고, 처리능력이 큰 정산기라면 투자비용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옥외용 급유상태 표시기를 옥내용 급유상태표시기의 제어하에 두게되는 것에 의해서 처리능력이 큰 정산기를 설치할 필요가 없게하여 투자비용을 낮게 억제한 급유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위하여 본 발명은 차의 진입로와 급유지역과 퇴출로가 앞면에 형성된 아이랜드의 급유지역에 접하는 위치에 마련된 복수대의 계량기와, 사무소내에 마련된 정산기 및 옥내용 급유상태 표시기와, 급유지역으로부터 보이는 위치에 설치된 옥외용 급유상태 표시기로써 구성되며, 상기 계량기의 제어부는 급유노즐이 노즐걸이로부터 벗겨졌을 때에 급유개시신호를, 급유노즐이 노즐걸이에 걸렸을 때에는 급유종료 신호를, 유량계로부터의 유량신호를 각기 정산기로 출력하고, 상기 정산기의 제어부는 상기 유량신호가 입력했을 때에 급유중 신호를, 유량신호가 정지했을 때에 급유정지 신호를, 상기 급유종료 신호가 입력했을 때에 급유종료 신호를, 정산이 종료했을 때에 정산종료신호를 상기 옥내용 급유상태표시로 출력하며, 상기 옥내용 급유상태 표시기의 제어부는 급유중 신호를 받아서 표시등을 점등하고, 급유종료 신호를 받아서는 표시등을 점멸하며, 정산종료 신호를 받아서는 표시등을 소등하고, 또 급유중 신호와 급유정지 신호와 급유종료 신호와를 상기 옥외용 급유상태 표시기로 출력하며, 상기 옥외용 급유상태 표시기의 제어부는 급유중 신호를 받아서 표시등을 점등하고, 급유정지 신호를 받아서 표시등을 점멸하며, 급유종료 신호를 받아서 표시등을 소등하므로써 급유작업자에게 급유정지를, 정산관리자에게는 급유종료를 정확하게 알릴 수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옥내용 급유상태 표시기 및 옥외용 급유상태 표시기에는 통보기가 마련되며, 옥내용 급유상태 표시기의 제어부는 급유종료 신호를 받아서 통보기를 울리고, 옥외용 급유상태 표시기의 제어부는 급유정지신호를 받아서 통보기를 울리게하므로 시각만이 아니라 청각에 의해서도 급유작업자에게 급유정지를, 정산관리자에게 급유종료를 정확하게 알릴 수가 있게되는 것이다.
또, 상기 아이랜드의 퇴출로에 접하는 위치에 주행가부 표시장치가 마련되며, 그 주행가부 표시장치의 표시체는 주행가부 표시장치의 케이스에 마련된 누름버튼스위치가 눌려졌을 때에 주행불가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옥내용 급유상태 표시기가 정산종료 신호를 받았을 때에 출력되는 정산종료신호를 받아서 주행가능 위치로 이동하여 주행 가능함을 표시하므로 급유중에 자동차를 발차시켜서 급유장치를 망가뜨리는 일이 없게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급유장치를 마련한 급유소의 전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급유장치의 일부를 단면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계량기의 제어부의 작동흐름도이다.
도 4는 정산기의 제어부의 작동흐름도이다.
도 5는 옥내용 급유상태 표시기의 제어부의 작동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진입로 6c : 표시체
2 : 급유지역 4d : 누름버튼스위치
3 : 퇴출로 7 : 정산기
4 : 급유안내 표시장치 7a : 제어부
4a : 지주 7b : 키이보오드
4b : 케이스 7c : 발행키이
4c : 안내표시판 7d : 프린터
5 : 계량기 8 : 옥내용 급유상태 표시기
5a : 급유관 8a : 본체케이스
5b : 펌프 8b : 계량기번호
5c : 유량계 8c : 표시등
5d : 급유노즐 8d : 통보기
5e : 급유호스 8e : 제어부
5f : 노즐걸이 8f : 누름버튼스위치
5g : 노즐스위치 9 : 옥외용 급유상태 표시기
5h : 제어부 9a : 본체케이스
5i : 급유량 표시장치 9b : 계량기번호
6 : 주행가부 표시장치 9c : 표시등
6a : 지주 9d : 통보기
6b : 본체케이스 10,11,12 : 신호선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동차에 연료유를 급유하는 급유소에는 복수의 아이랜드(M)(M)가 마련되며, 이 아이랜드(M)의 앞면에는 진입로(1)와, 진입로(1)에 연이어 접하는 급유지역(2)과, 급유지역(2)에 연이어 접한 퇴출로(3)가 형성되어 있다. 아이랜드(M)의 진입로(1)에 면한 선단부에는 급유안내 표시장치(4)가 마련되며, 급유지역(2)에 면한 중앙부에는 계량기(5)가 마련되고, 퇴출로(3)에 면한 후단부에는 주행가부 표시장치(6)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사무소(N)내에는 정산기(7)와 옥내용 급유상태 표시기가 마련되고, 사무소(N)의 외벽 등과 같이 각 급유지역(2)으로부터 보이는 위치에 옥외용 급유상태 표시기(9)가 마련되어 있다. 계량기(5)와 정산기(7)와는 신호선(10)으로 접속되며, 정산기(7)와 옥내용 급유상태 표시기(8)와는 신호선(11)으로 접속되고, 옥내용 급유상태 표시기(8)와 옥외용 급유상태 표시기(9) 및 주행가부 표시장치(6)와는 신호선(12)으로 접속되어 있다.
아이랜드(M)의 선단부의 진입로(1)에 면한 위치에 마련된 급유안내 표시장치(4)는 아이랜드(M)에 고정된 2개의 지주(4a)와, 이 지주(4a)의 상부에 달아붙여진 케이스(4b)와, 이 케이스(4b)의 앞면에 달아 붙여진 안내표시판(4c)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안내표시판(4c)에는 「H, R, 경유」등의 급유 가능한 유종이 표시, 혹은 「어서오십시요」등의 인사표시가 기재되어 있다.
아이랜드(M)의 중앙부의 급유지역(2)에 면한 위치에 마련된 계량기(5)에는 보통 개솔린과 고급개솔린과 경유의 3종류의 급유계통이 짜여들어가 있다. 각 유종의 급유계통의 급유관(5a)에는 펌프(5b) 및 유량계(5c)가 장치되며, 급유관(5a)은 선단에 급유노즐(5d)을 달아붙인 급유호스(5e)에 접속되며, 급유노즐(5d)의 노즐걸이(5f)에는 급유노즐(5d)의 걸고 떼어냄을 검지하는 노즐 스위치(5g)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노즐스위치(5g)로부터의 노즐 걸고 떼어냄 신호와, 유량계(5c)로부터의 유량신호가 제어부(5h)에 입력되며, 제어부(5h)는 노즐스위치(5g)로부터의 노즐벗겨냄 신호를 받아서 급유량 표시기(5i)에 표시되어 있던 전회의 급유량을 0으로 되돌리고, 펌프(5b)에 구동신호를 출력하며, 유량계(5c)로부터의 유량신호에의해 연산된 급유량을 급유량표시기(5i)에 표시하고, 노즐스위치(5g)로부터의 노즐걸림신호를 받아서 펌프(5b)로의 구동신호를 소멸하도록 되어있다. 또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어부(5h)는 노즐스위치(5g)로부터 노즐벗겨냄 신호를 받아서 급유개시신호를, 노즐걸림 신호를 받아서 급유종료 신호를, 그리고 유량계로부터의 유량신호를 각기 정산기(7)로 출력하도록 되어있다.
아이랜드(M)의 후단부의 퇴출로(3)에 면한 위치에 마련되어 있는 주행가부 표시장치(6)는 아이랜드(M)에 고정된 지주(6a)와, 이 지주(6a)의 상부에 달아붙여진 본체케이스(6b)와, 이 본체케이스(6b)에 달아붙여진 표시체(6c)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표시체(6c)는 본체케이스(6b)내에 마련된 도시하지 않은 가역모우터에 의해 표시체(6c)가 수직으로 되어 주행가능위치(A)를 표시하거나 표시체(6c)가 주행불가위치(B)까지 90도만큼 회전하여 수평 위치로 이동하도록 되어있다. 즉 본체케이스(6b)에 마련된 누름버튼스위치(6d)가 눌려졌을 때의 온 신호를 받아서 가역모우터가 작동하여 표시체(6c)를 주행가능위치(A)로부터 주행불가위치(B)로 이동시키게 되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옥내용 급유상태 표시기(8)로부터 정산종료신호를 받았을 때에는 가역모우터가 역구동하여 표시체(6c)를 주행불가위치(B)로부터 주행가능위치(A)로 이동시키도록 되어있다.
사무소(N)내에 마련되어 있는 정산기(7)는 소위 POS가 사용되며, 정산기(7)의 제어부(7a)는 계량기(5)로부터의 급유개시신호를 받아서 이 계량기(5)의 급유데이터의 관리를 개시하며, 유량신호를 연산하여 정산기(7)의 키이보오드(7b)의 발행키이(7c)가 눌려졌을 때에 연산된 급유데이터가 인쇄된 급유전표를 프린터(7d)에서 발행한다. 또 계량기(5)로부터 유량신호가 입력되면 급유중 신호를, 유량신호의 입력이 정지하면 급유정지 신호를, 급유종료 신호가 입력했을 때에 급유 종료신호를 옥내용 급유상태 표시기(8)로 출력하며, 발행키이(7c)가 눌려졌을 때에 정산종료신호를 주행가부 표시장치(6)로 출력하도록 되어있다.
사무소(N)내에 마련되어 있는 옥내용 급유상태 표시기(8)는 본체케이스(8a)와, 본체케이스(8a)의 앞면에 기록되어 있는 계량기번호(8b)와, 계량기번호(8b)에 대응하여 마련된 표시등(8c)과, 통보기(8d) 및 제어부(8e)로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부(8e)는 정산기(7)의 제어부(7a)로부터 급유중 신호를 받아서 표시등(8c)을 점등하고, 급유종료 신호를 받아서는 표시등(8c)을 점멸하고 통보기(8d)를 울리게 하며, 정산 종료신호를 받아서는 표시등(8c)을 소등하고, 또 급유중신호와 급유정지 신호 및 급유종료 신호를 상기 옥외용 급유상태 표시기(9)로 출력하며, 정산종료 신호를 받았을 때에는 정산종료 신호를 주행가부 표시장치(6)로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사무소(N)의 외벽등과 같이 각 급유지역(2)에서 보이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는 옥외용 급유상태 표시기(9)는 본체케이스(9a)와, 본체케이스(9a)의 앞면에 기록되어 있는 계량기번호(9b)와, 계량기번호(9b)에 대응하여 마련된 표시등(9c)과, 통보기(9d) 및 제어부(9e)로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부(9e)는 옥내용 급유상태 표시기(8)로부터 급유중 신호를 받아서 표시등(9c)을 점등하고, 급유정지 신호를 받아서는 표시등(9c)을 점멸하고 통보기(9d)를 울리며, 급유종료 신호를 받아서는 표시등(9c)을 소등하도록 되어있다.
다음에는 동작을 설명한다. 급유중의 자동차가 없을 때에는 주행가부 표시장치(6)의 표시체(6c)는 수직으로 늘어내려서 퇴출로(3)측으로부터 끌어들여간 주행가능위치(A)에 있게되며, 옥내용 급유상태 표시기(8) 및 옥외용 급유상태 표시기(9)의 표시등(8c)(9c)은 소등하고 있다. 급유하러 오는 손님은 급유안내 표시장치(4)의 안내표시판(4c)에 소망의 유종이 기재되어 있는 진입로(1)로 자동차를 주행하여 급유지역(2)에 정차한다. 급유지역(2)에 자동차가 정차한 것을 보고 급유소의 작업원이 주행가부 표시장치(6)의 누름버튼스위치를 누르면 표시체(6c)는 수직으로 늘여내린 주행가능위치(A)로부터 수평의 주행불가위치(B)까지 회전운동하여 이동한다. 이와같이 주행가부 표시장치(6)의 표시체(6c)가 퇴출로(3)측으로 돌출하고 주행불가를 표시하므로 운전자가 차량 전면을 가로막고 있는 막대를 보고 급유중에 잘못해서 자동차를 발차시키는 일이 없게 된다. 계량기(5)의 소망의 유종의 급유노즐(5d)을 노즐걸이(5f)에서 떼어내고 노즐스위치(5g)로부터 노즐떼어냄 신호가 제어부(5h)로 입력하면(도 3, ST1), 제어부(5h)는 급유량 표시기(5i)에 표시되어 있던 전회의 급유량을 0으로 되돌리고, 펌프(5b)로 구동신호를 출력하며, 정산기(7)로 급유개시 신호를 출력하므로써(도 3, ST2), 펌프(5b)가 구동된다. 그리고 급유노즐(5d)을 자동차의 급유구에 삽입하고, 급유노즐(5d)의 밸브를 열어서 급유를 개시하면 유량계(5c)로부터 유량 신호가 제어부(5h)로 입력하고(도 3, ST3), 유량신호에서 연산된 급유량을 급유량 표시기(5i)에 표시하고, 유량 신호를 정산기(7)로 출력한다(도 3, ST4).
정산기(7)의 제어부(7a)는 급유개시 신호를 받아서(도4, ST1) 해당하는 계량기(5)의 급유데이터의 관리를 개시한다(도 4, ST2). 그리고 유량신호가 입력하면 (도 4, ST3) 유량신호를 연산하며, 옥내용 급유상태 표시기(8)로 급유중 신호를 출력하고 후술하는 카운터를 리세트한다(도 4, ST4).
옥내용 급유상태 표시기(8)는 정산기(7)에서 급유중 신호가 입력하면(도 5, ST1) 표시등(8c)을 점등하고, 옥외용 급유상태 표시기(9)로 급유중 신호를 출력한다(도 4, ST2). 그리고 옥외용 급유상태 표시기(9)의 제어부(9e)는 급유중 신호를 받아서 해당하는 계량기(5)의 표시등(9c)을 점등한다.
이와같이하여 급유가 진행되어 자동차의 연료탱크가 거의 만탱크로 되어 액면 검지에 의해 급유가 정지하고 계량기(5)로부터 정산기(7)로의 유량신호의 입력이 정지하면(도 4, ST3), 급유정지 시간을 카운트하는 카운터가 세트된다(도 4, ST5). 그리고 급유정지 시간이 일정 이상, 예를 들면 3초이상 계속되면 카운터는 카운트업하고(도 4, ST6), 정산기(7)의 제어부(7a)은 급유정지 신호를 옥내용 급유상태 표시기(8)로 출력한다(도 4, ST7). 급유정지 신호를 받은 옥내용 급유상태표시기(8)의 제어부(8e)는 (도 5, ST3), 옥외용 급유상태 표시기(9)에 급유정지 신호를 출력하고(도 5, ST4), 옥외용 급유상태 표시기(9)의 제어부(9e)는 표시등(9c)을 점멸하고 통보기(9d)를 울린다.
이와같이 옥외용 급유상태 표시기(9)의 표시등(9c)이 점등으로부터 점멸로 변하고 통보기(9d)가 울리게되므로, 급유소의 작업원이 급유중에 다른 작업을 하고 있어도 급유의 정지를 알 수가 있게 된다. 이 통보에 의해서 급유의 정지를 알게 된 작업원은 급유노즐(5d)의 밸브를 재차 열고서 만탱크가 되기까지 추가급유를 하게 된다. 급유노즐(5d)의 밸브를 열면 계량기(5)로부터 정산기(7)로 유량신호가 재차 입력하여(도4, ST3) 급유중 신호가 옥내용 급유상태 표시기(8)로 출력되어 급유정지 시간을 카운트하는 카운터를 리세트한다(도 4, ST4). 그리고 옥내용 급유상태 표시기(8)는 급유중 신호를 받아서(도 5, ST5) 급유중 신호를 옥외용 급유상태 표시기(9)로 출력하고(도 5, ST6) 옥외용 급유상태 표시기(9)의 표시등(9c)은 재차 점등한다.
이와같이하여 자동차의 연료탱크를 만탱크로하고 급유노즐(5d)을 노즐걸이(5f)에 걸고서 노즐스위치(5g)로부터 노즐걸림 신호가 입력하면(도 3, ST5), 계량기(5)의 제어부(5h)는 펌프(5b)로의 구동신호를 소멸하고, 급유종료 신호를 정산기(7)로 출력한다(도 3, ST6). 정산기(7)의 제어부(7a)는 급유종료 신호를 받아서 (도 4, ST8) 옥내용 급유상태 표시기(8)로 급유종료 신호를 출력한다(도 4, ST9). 급유종료 신호를 받은 옥내용 급유상태 표시기(8)는 (도 5, ST7), 표시등(8c)을 점멸하고 통보기(8d)를 울리며, 옥외용 급유상태 표시기(9)로 급유종료 신호를 출력한다(도 5, ST8). 그리고 급유종료신호를 받은 옥외용 급유상태표시기(9)의 제어부(9e)는 표시등(9c)을 소등한다.
이와같이 옥내용 급유상태표시기(8)의 표시등(8c)이 점등으로부터 점멸로 변하고 통보기(8d)가 울리므로 사무소(N)내의 정산관리자는 급유의 종료를 알 수가 있어 즉시 정산처리를 행할 수가 있다. 그리고 정산기(7)의 발행키이(7c)를 누르면(도 4, ST10), 프린터(7d)에서 급유데이터의 인쇄된 급유전표가 발행되며, 정상종료 신호를 옥내용 급유상태 표시기(8)로 출력한다(도 4, ST11).
정산종료 신호를 받은 옥내용 급유상태 표시기(8)는 (도 5, ST9), 표시등(8c)을 소등하고 정산종료 신호를 주행가부 표시장치(6)로 출력한다(도 5, ST10). 정산종료 신호를 받은 주행가부 표시장치(6)는 표시체(6c)를 주행불가위치(B)로부터 주행가능위치(A)로 회전시켜 이동시킨다. 그리고 주행가부 표시장치(6)의 표시체(6c)가 주행불가위치(B)로부터 주행가능위치(A)로 이동된 후에는 급유지역(2)으로부터 퇴출로(3)로 자동차를 주행하여 급유소에서 출차할 수가 있게 된다.
또 일정시간이상 급유가 정지한 후에 추가급유를 하지않고서 급유를 끝내고서 계량기(5)로부터 정산기(7)로 급유정지 신호가 입력하여 정산기(7)로부터 옥내용 급유상태 표시기(8)로 급유정지 신호가 입력하면(도 5, ST11), 스텝 ST8로 진행되어서 전술한 바와 같이 옥내용 급유상태 표시기(8)의 제어부(8e)는 표시등(8c)을 점멸하고 통보기(8d)를 울리게 되며, 옥외용 급유상태 표시기(9)로 급유종료 신호를 출력하므로써 옥외용 급유상태 표시기(9)의 표시등(9c)이 소등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급유장치는 차의 진입로와 급유지역과 퇴출로가 앞면에 형성된 아이랜드의 급유지역에 면하는 위치에 마련된 복수대의 계량기와, 사무소내에 마련된 정산기 및 옥내용 급유상태 표시기와, 급유지역으로부터 보이는 위치에 마련된 옥외용 급유상태 표시기로써 구성되며, 상기 계량기의 제어부는 급유노즐이 노즐걸이로부터 벗어났을 때에 급유개시 신호를, 급유노즐이 노즐걸이에 걸려졌을 때에 급유종료 신호를, 그리고 유량계로부터의 유량신호를 정산기로 출력하며, 상기 정산기의 제어부는 상기 유량신호가 입력했을 때에 급유중 신호를, 유량신호가 정지했을 때에 급유정지 신호를, 상기 급유종료 신호가 입력했을 때에 급유종료 신호를, 정산이 종료했을 때에 정산종료 신호를 상기 옥내용 급유상태 표시기로 출력하며, 상기 옥내용 급유상태 표시기의 제어부는 급유중 신호를 받아서 표시등을 점등하고, 급유종료 신호를 받아서 표시등을 점멸하며, 정산종료 신호를 받아서 표시등을 소등하며, 또 급유중 신호와 급유정지 신호와 급유종료 신호를 상기 옥외용 급유상태 표시기에 출력하며, 상기 옥외용 급유상태 표시기의 제어부는 급유중 신호를 받아서 표시등을 점등하고, 급유정지 신호를 받아서 표시등을 점멸하며, 급유종료 신호를 받아서 표시등을 소등하므로써 급유작업자에게는 급유정지를, 그리고 정산관리자에게는 급유종료를 정확하게 알릴 수가 있다.

Claims (3)

  1. 차의 진입로와 급유지역과 퇴출로가 앞면에 형성된 아이랜드의 급유지역에 면하는 위치에 마련된 복수대의 계량기와, 사무소내에 마련된 정산기 및 옥내용 급유상태 표시기와 급유지역으로부터 보이는 위치에 마련된 옥외용 급유상태 표시기로서 구성되며,
    상기 계량기의 제어부는 급유노즐이 노즐걸이로부터 벗겨졌을 때에 급유개시 신호를, 급유노즐이 노즐걸이에 걸려졌을 때에 급유종료 신호를, 그리고 유량계로부터의 유량신호를 정산기로 출력하며,
    상기 정산기의 제어부는 상기 유량신호가 입력했을 때에 급유중 신호를, 유량신호가 정지했을 때에 급유정지 신호를, 상기 급유종료 신호가 입력했을 때에 급유종료 신호를, 그리고 정산이 종료했을 때에 정산종료 신호를 상기 옥내용 급유상태 표시기로 출력하며,
    상기 옥내용 급유상태 표시기의 제어부는 급유중 신호를 받아서 표시등을 점등하고, 급유종료 신호를 받아서 표시등을 점멸하며, 정산종료 신호를 받아서 표시등을 소등하고, 또 급유중 신호와 급유정지 신호와 급유종료 신호를 상기 옥외용 급유상태 표시기에 출력하며,
    상기 옥외용 급유상태 표시기의 제어부는 급유중 신호를 받아서 표시등을 점등하고, 급유정지 신호를 받아서 표시등을 점멸하며, 급유종료 신호를 받아서 표시등을 소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유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옥내용 급유상태 표시기 및 옥외용 급유상태 표시기에는 통보기가 마련되며, 옥내용 급유상태 표시기의 제어부는 급유종료 신호를 받아서 통보기를 울리게하고 옥외용 급유상태 표시기의 제어부는 급유정지 신호를 받아서 통보기를 울리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급유장치.
  3. 제 1 항에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랜드의 퇴출로에 면하는 위치에 주행가부 표시장치가 마련되며, 그 주행가부 표시장치의 표시체는 주행가부 표시장치의 케이스에 마련된 누름스위치가 눌려졌을 때에 주행불가위치로 이동하며, 상기 옥내용 급유상태 표시기가 정산종료신호를 받았을 때에 출력되는 정산종료 신호를 받아서 주행가능 위치로 이동하여 주행가능함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유장치.
KR1019980002812A 1997-02-03 1998-02-02 급유장치 KR1002476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3443397A JP3334543B2 (ja) 1997-02-03 1997-02-03 給油装置
JP?9-34433 1997-02-03
JP1997-34433 1997-02-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1004A KR19980071004A (ko) 1998-10-26
KR100247621B1 true KR100247621B1 (ko) 2000-04-01

Family

ID=12414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2812A KR100247621B1 (ko) 1997-02-03 1998-02-02 급유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926097A (ko)
JP (1) JP3334543B2 (ko)
KR (1) KR1002476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52629A (en) 1997-07-18 2000-04-18 Gilbarco Inc. Internet capable browser dispenser architecture
US5980090A (en) * 1998-02-10 1999-11-09 Gilbarco., Inc. Internet asset management system for a fuel dispensing environment
US6068030A (en) * 1998-10-15 2000-05-30 Tatsuno Corp. Fueling system
WO2000054172A1 (en) * 1999-03-10 2000-09-14 Additech,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fuel additive dispensing
IL132973A (en) * 1999-11-16 2001-06-14 Litt Aryeh Gasoline pump
US6625519B2 (en) 2001-10-01 2003-09-23 Veeder-Root Company Inc. Pump controller for submersible turbine pumps
US20060079993A1 (en) * 2004-10-07 2006-04-13 Progressive International Electronics Inc. Fuel dispenser controller application installed on host computer
US7469826B2 (en) * 2005-10-31 2008-12-30 The Kroger Co. Combined in-store and fuel center point-of-sale system
US20070119859A1 (en) * 2005-11-14 2007-05-31 Dresser, Inc. Fuel Dispenser Management
US10430843B2 (en) * 2009-06-01 2019-10-01 Additech, Inc. Method and system for purchasing non-fuel merchandise
US10155652B2 (en) * 2016-07-28 2018-12-18 Gilbarco Inc. Fuel dispensing environment utilizing fueling position availability indicator system
CN108928796B (zh) * 2017-05-27 2020-10-09 中国石油天然气股份有限公司 一种摩托车自助加油系统
WO2019142639A1 (ja) * 2018-01-16 2019-07-25 関西ペイント株式会社 複層塗膜形成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565110A5 (ko) * 1973-04-19 1975-08-15 Oxy Metal Finishing Corp
US4064555A (en) * 1976-09-27 1977-12-20 Research Fuels, Inc. Gasoline pump modification apparatus
US4186381A (en) * 1978-07-24 1980-01-29 Veeder Industries Inc. Gasoline station registration and control system
US4247899A (en) * 1979-01-10 1981-01-27 Veeder Industries Inc. Fuel delivery control and registration system
US4250550A (en) * 1979-03-09 1981-02-10 Veeder Industries Inc. Fuel delivery control system
US4589069A (en) * 1982-09-18 1986-05-13 Tokyo Tatsuno Co., Ltd. Data input/output system for gasoline stations
JPS6045199A (ja) * 1983-08-19 1985-03-11 トキコ株式会社 整数給液制御方式
US5249129A (en) * 1991-02-22 1993-09-28 Alain Lamoureux Method and system for dispensing precise amount of fluid with automatic set reset
US5361216A (en) * 1992-07-02 1994-11-01 Progressive International Electronics Flow signal monitor for a fuel dispensing system
ATE151901T1 (de) * 1992-10-13 1997-05-15 Gilbarco Inc Einrichtung zur abwicklung eines geschäftsvorgangs
US5400253A (en) * 1993-11-26 1995-03-21 Southern Power, Inc. Automated statistical inventory reconcilation system for convenience stores and auto/truck service stations
US5602745A (en) * 1995-01-18 1997-02-11 Gilbarco Inc. Fuel dispenser electronics design
JPH08258897A (ja) * 1995-03-27 1996-10-08 Tatsuno Co Ltd 給油所設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334543B2 (ja) 2002-10-15
JPH10218294A (ja) 1998-08-18
US5926097A (en) 1999-07-20
KR19980071004A (ko) 1998-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7621B1 (ko) 급유장치
KR100246085B1 (ko) 급유장치
KR100247620B1 (ko) 급유장치
JP3734076B2 (ja) 給油所
JP4331639B2 (ja) キャップ報知システム
JP3385918B2 (ja) 給油装置
KR100262868B1 (ko) 급유장치
JP3832017B2 (ja) 給油所
KR100291349B1 (ko) 급유장치
JP3743116B2 (ja) 給油所用の案内装置
JP3972474B2 (ja) 給油装置
JP3924850B2 (ja) 給油所
JPH02242792A (ja) 給油装置
KR100413248B1 (ko) 급유소에 있어서의 연료유 판매 시스템
JPH0471799B2 (ko)
JPS62271896A (ja) 給油装置
JPH11292200A (ja) 給油装置
JPH10211871A (ja) 走行可否表示装置
JPH06239398A (ja) 給油装置
JPH11227897A (ja) 給油装置
JPH1076919A (ja) 給油所
JPH10291594A (ja) 給油所の給油状態表示器
JPH0130716B2 (ko)
JPH10120097A (ja) 給油装置
JPH05338700A (ja) 給油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1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