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2868B1 - 급유장치 - Google Patents

급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2868B1
KR100262868B1 KR1019980008210A KR19980008210A KR100262868B1 KR 100262868 B1 KR100262868 B1 KR 100262868B1 KR 1019980008210 A KR1019980008210 A KR 1019980008210A KR 19980008210 A KR19980008210 A KR 19980008210A KR 100262868 B1 KR100262868 B1 KR 1002628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supply
refueling
meter
signal
indic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8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80168A (ko
Inventor
마사유끼 진보
Original Assignee
다쓰노 히로미찌
가부시끼가이샤 다쓰노.메카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쓰노 히로미찌, 가부시끼가이샤 다쓰노.메카트로닉스 filed Critical 다쓰노 히로미찌
Publication of KR19980080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01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2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28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08Arrangements of devices for controlling, indicating, metering or registering quantity or price of liquid transferred
    • B67D7/10Arrangements of devices for controlling, indicating, metering or registering quantity or price of liquid transferred operated by keys, push-buttons or cash regi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08Arrangements of devices for controlling, indicating, metering or registering quantity or price of liquid transferred
    • B67D7/16Arrangements of liquid me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08Arrangements of devices for controlling, indicating, metering or registering quantity or price of liquid transferred
    • B67D7/22Arrangements of indicators or registers
    • B67D7/221Arrangements of indicators or registers using electrical or electro-mechanica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ing And Unloading Of Fuel Tanks Or Sh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고객이 급유전처리를 종료하고 계량기에 의한 급유가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어 보다 적은 종업원에 의해서 급유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가 있는 급유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위해 본 발명은 급유전처리를 행하는 정산처리기(20)와, 그 정산처리기(20)에 의한 급유전처리로 급유가능한 상태로 되는 계량기(10)로서 구성되는 급유장치에 있어서, 상기 계량기(10)가 급유가능 상태로 되었다는 것을 통보하는 통보장치(40)(50)를 마련하고 있다. 이로써 고객이 정산처리기에서 급유전처리를 행하는 것으로 계량기가 급유가능한 상태로 된 것을 통보기가 통보하기 때문에 적은 종업원으로 급유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급유장치
본 발명은 자동차등에 연료를 공급하는 급유소에 설치하는 급유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급유소에서는 어느 계량기가 급유중인가, 급유가 중단되었는가 혹은 급유가 완료했는지 등의 급유상태를 알기 위해서 옥외에 표시기를 마련하여 적은 종업원으로 동시에 다수의 급유 작업을 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급유소에서는 종업원이 고객의 요구에 응해서 유종이나 급유량의 설정 혹은 급유 요금의 정산처리를 따로 행하기 때문에, 그것을 위한 작업이 필요하였다. 이와같은 급유 이외의 급유전처리(給油前處理) 작업등을 정산처리기에 의해서 고객이 자기 스스로 행하고 실제의 급유작업만을 종업원이 행하므로서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가 있으나, 종업원은 고객에 의한 급유전처리 작업등이 종료하여 급유가 가능한 것인가를 알 수가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고객이 급유전처리를 종료하였을시 계량기에 의한 급유가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가 있어 보다 적은 종업원에 의해 급유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가 있는 급유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급유장치는 급유전처리를 행하는 정산처리기와, 그 정산처리기에 의한 급유전처리로 급유가능상태로 되는 계량기등으로 구성되는 급유장치에 있어서, 상기 계량기가 급유가능 상태로 되었다는 것을 통보하는 통보장치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고객이 정산처리기에서 급유전처리를 행하는 것으로 계량기가 급유가능 상태가 되었음을 통보장치를 통해 알 수가 있기 때문에 적은 종업원에 의해서 급유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가 있다.
또 상기 통보장치는 각 급유지역 근방에 마련된 통보기로 구성하는 것이 급유작업중인 종업원이 계량기의 급유가능 상태를 쉽게 알 수가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 상기 통보장치는 계량기에 대응하는 표시등을 구비하며, 또 각 급유지역으로부터 보이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는 급유상태표시기로 구성하는 것이 급유작업중인 종업원이 계량기의 급유가능상태를 볼수가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계량기의 급유데이터 관리를 행하는 급유데이터관리기가 더 마련되며, 상기 정산처리기로부터의 전처리 신호를 수신한 그 급유데이터관리기가 상기 계량기를 급유가능상태로 만드는 급유허가신호와, 상기 통보장치로 급유상태를 통보하는 통보신호를 출력하는 것이 급유데이터관리기에 의해 계량기나 통보장치의 급유가능상태를 집중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급유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급유장치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급유장치를 배치한 급유소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급유장치의 급유데이터관리기를 중심으로 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아트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급유장치 2 : 부지
3 : 아이랜드 4 : 본체케이스
5 : 본체 6 : 사무소
9 : 안내간판 10 : 계량기
11 : 펌프 12 : 유량펄스발신기
13 : 유량계 14 : 급유노즐
15 : 급유호스 16 : 노즐걸이
17 : 노즐스위치 18 : 급유량표시기
19 : 급유제어부 20 : 정산처리기
21 : 선불처리부 22 : 설정처리부
23 : 전표발행기 24 : 정산제어부
30 : 급유데이터관리기 40 : 급유상태표시기
41 : 표시등 42 : 차임벨(chime bell)
43 : 상태표시제어부 50 : 통보기
이하 본 발명을 도시하는 일실시예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급유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급유장치를 설명하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급유장치를 배치한 급유소의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급유장치(1)는 급유소의 부지(2)내에 마련한 아이랜드(3)상에 세워설치한 계량기(10)와, 급유전처리를 행하는 정산처리기(20)와, POS단말기를 구성하는 급유데이터관리기(30)와, 계량기(10)의 급유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급유상태표시기(40) 및 통보기(50)들로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계량기(10)는 상자형으로 형성된 본체케이스(4)내에 모우터(11a)로 구동되는 펌프(11), 유량펄스발신기(12)를 갖는 유량계(13)가 순차적으로 지하탱크로 연이어 통하도록 배관으로 접속되며, 보통, 고급 혹은 경유등의 어느기름을 급유하기 위한 급유계통이 내장되며, 그 급유계통의 배관에 각각 급유노즐(14)을 갖는 급유호스(15)가 접속되어져 있다. 이 본체케이스(4)의 조작측의 표면에는 급유노즐(14)을 거는 노즐걸이(16)가 마련되며, 그 노즐걸이(16)의 근방에는 급유노즐(15)의 탈착에 의해 온ㆍ오프 하는 노즐스위치(17)가 마련되며, 그 본체케이스(4)의 노즐걸이(16)의 상부에는 급유량등을 표시하는 급유량표시기(18)가 마련되어 있다. 또 본체케이스(4)내에는 노즐스위치(17)나 유량 펄스발신기(12)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하여 펌프(11)의 모우터(11a)나 급유량표시기(18)등을 제어하거나 급유데이터관리기(30)로부터 송신되어오는 급유 허가 신호를 수신하거나, 노즐스위치의 온ㆍ오프 신호나 급유데이터등의 급유신호를 급유데이터관리기(30)로 송신하는 급유제어부(19)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정산처리기(20)는 상자형으로 형성된 본체(5)내에 고객이 급유요금의 선불처리를 행하는 선불처리부(21) 및 기름의 종류나 급유량을 고객이 설정하는 설정처리부(22)와, 급유종료후에 전표를 발행하는 전표발행기(23)와, 이들의 각부를 제어하거나 급유데이터관리기(30)로 급유전(給油前)처리 신호를 송신하거나 정산처리 신호를 급유데이터관리기(30)로부터 수신하거나 하는 정산제어부(24)로서 구성되어져 있다. 선불처리부(21)는 카아드에 의한 선불처리 혹은 현금에 의한 선불처리를 행하여 급유후 거스름 돈이 있는 경우에는 거스름 돈 처리를 행하는 부분이며, 본체(5)의 조작측에 카아드 선불용의 프리페이드 카아드삽입구(21a) 및 크레디트 카아드삽입구(21b)와 현금선불용의 화폐투입구(21c) 및 코인투입구(21d)와, 거스름돈방출구(21e)들이 마련되어 있다. 설정처리부(22)는 기름의 종류나 급유량을 설정하기 위한 부분이며, 본체(5)의 정면측에 텐키이(25)와 그의 표시기(26)들이 마련되어져 있다.
상기 급유데이터관리기(30)는 급유소의 모든 계량기(10), 정산처리기(20), 급유상태표시기(40) 및 통보기(50)를 집중적으로 관리하는 부분이며, 정산처리기(20)의 정산제어부(24)로부터 고객이 정산처리를 종료한 전처리신호(前處理信號)를 수신했을 때 소정의 계량기(10)로 급유 허가 신호를 송신하며, 동시에 급유상태표시기(40)로 상태표시신호의 송신과 통보기(50)로 작동신호를 송신하며, 또 계량기(10)로부터 급유종료의 급유신호를 수신하여 급유데이터처리를 행하여 정산처리기(20)로 전표발행등을 위한 정산처리신호를 송신하는 부분이다.
상기 급유상태표시기(40)는 계량기(10)의 급유허가상태, 급유중 혹은 급유종료등의 급유상태를 표시하는 부분이며, 작업중에 급유지역으로부터 보일수가 있도록 부지(2)에 마련된 사무소(6)의 벽등에 달아붙여져 있으며, 계량기(10)의 번호에 대응하는 램프등으로서 되는 표시등(41)과, 음성을 출력하는 차임벨(42)과, 급유데이터관리기(30)로부터 상태표시신호를 수신하여 표시등(41) 및 차임벨(42)을 제어하기 위한 상태표시제어부(43)로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통보기(50)는, 각 급유지역근방에서, 예를 들면 정산처리기(20)의 본체(5) 정상부에 각각 계량기(10)에 대응하여 마련되는 적색램프와 회전하는 반사경을 갖는 헤트라이트이며, 급유데이터관리기(3)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급유상태에 대응하는 작동신호에 의거하여 동작한다.
또한 계량기(10) 근방의 아이랜드(3)상에는 「어서오십시오」나 급유하는 기름의 종류나 석유회사명등을 표시하는 안내간판(9)이 세워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는 상기 구성의 급유장치(10)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급유장치의 급유데이터 관리기를 중심으로 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아트이다.
동 도면에 있어서, 우선 고객이 정산처리기(20)의 선불처리부(21)에서 프리페이드카아드투입구(21a)나 크레디트카아드투입구(21b)에 카아드를 삽입하거나 혹은 지폐투입구(21c)나 코인투입구(21d)에 현금을 삽입하고, 설정처리부(22)의 텐키이(26)로 급유량이나 기름의 종류를 선택하면 정산제어부(24)로 전처리신호가 출력된다. 이 전처리신호가 급유데이터관리기(30)에 입력하면(ST1), 급유데이터관리기(30)는 급유허가신호를 대응하는 계량기(10)로 송신하는 동시에 상태표시 신호를 급유상태표시기(40)로 송신하여 상태표시제어부(43)에 의해 대응하는 계량기(10)의 번호의 표시등(41)을 점멸하며, 또 작동신호를 대응하는 통보기(50)로 송신하여 그것에 의해 통보기(50)를 작동한다(ST2).
이 표시등(41)의 점멸 혹은 통보기(50)에 의한 통보를 종업원이 보고서, 대응하는 계량기(10)의 장소로 가서, 급유노즐(14)을 노즐걸이(16)로부터 떼어내므로써 노즐스위치(17)가 온으로 되면, 급유량표시기(18)가 0으로 되돌려지고 펌프(11)가 구동되며, 동시에 급유제어부(19)로부터 노즐벗어남 신호가 출력된다. 이 노즐벗어남 신호가 급유데이터관리기(30)로 입력하면(ST3), 급유데이터관리기(30)에 의한 급유데이터관리가 개시된다(ST4).
다음에 급유데이터관리기(30)가 계량기(10)로부터 유량펄스발신기(12)에 의한 유량펄스를 수신하여 급유중이라고 판단하면(ST5), 상태표시신호를 급유상태표시기(40)로 송신하여 표시등(41)이 점멸로부터 점등으로 되며, 작동신호의 송신을 정지하여 통보기(50)가 작동을 정지한다(ST6). 다음에 유량펄스의 입력이 일정시간 단절되어서 급유정지라고 판단하면(ST7), 상태표시신호를 급유상태표시기(40)로 송신하여 표시등(41)이 점등으로부터 점멸로 되고 차임벨(42)이 작동하며, 작동신호를 통보기(50)로 송신하여 그것에 의해 통보기(50)가 재차 작동하고(ST8), 이것에 의해서 작업원이 급유정지를 알게된다. 그리고 다시 급유를 개시한때에는(ST10), 급유중 이후의 동작(ST6)으로 되돌아간다. 즉 급유상태표시기(40)의 표시등(41)이 점등하고, 차임벨(42)의 동작이 정지하며, 통보기(50)의 작동이 정지한다. 다음에 종업원이 급유노즐(14)을 노즐걸이(16)에 걸고 노즐스위치(17)가 오프로되어 급유제어부(19)로부터 급유데이터관리기(30)로 노즐걸림신호가 입력하면(ST9, ST11), 급유상태표시 신호를 급유상태표시기(40)로 송신하여 표시등(41)이 소등되고, 동시에 정산처리기(20)로 정산처리지시의 신호가 송신되며, 그 신호에 의거하여 전표발행기(23)에서 전표가 발행되며, 카아드를 사용한 경우에는 카아드가 프리페이드카아드투입구(21a)나 크레디트카아드투입구(21b)로부터 배출되어서 반환되고, 현금의 경우에 거스름돈이 있을때에는 거스름돈방출구(21e)로부터 거스름돈이 방출되고, 또 급유데이터관리기(30)에 의한 급유데이터관리가 종료된다(ST12).
상기 구성의 급유장치(1)에 의하면, 고객이 정산처리기(20)의 선불처리부(21) 및 설정처리부(22)에 의해 카아드 혹은 현금에 의한 선불처리를 하고 유종을 선택하여 급유량을 설정하는 것으로 전처리신호가 급유데이터관리기(30)에 입력하면, 급유데이터관리기(30)가 계량기(10)로 급유 허가 신호를 송신함과 동시에 급유상태표시기(40)로 상태표시신호를 송신하여 표시등(41)이 점멸하고, 또 작동신호로서 통보기(50)가 작동하기 때문에 종업원은 표시등(41)의 점멸 혹은 통보기(50)의 통보에 의해 고객이 급유전처리를 종료하고 계량기(10)에 의한 급유가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가 있게 된다. 또 종업원이 급유를 자동으로 설정했을 때에는 급유정지에 의해 급유상태표시기(40)의 표시등(41)이 점멸하고, 차임벨(42)이 작동하여 통보기(50)가 작동하는 것으로 종업원은 급유정지를 알 수가 있다. 또한 종업원이 급유노즐(14)을 노즐걸이(16)에 걸면 노즐스위치(17)가 오프로되어 급유데이터관리기(24)로부터 급유상태표시기(40)로 상태표시신호를 송신하여 표시등(14)이 소등하고, 정산처리 신호를 정산처리기(20)로 송신하여, 카아드나 현금에 의한 처리가 행해져서 전표발행기(23)에 의해서 전표가 발행되기 때문에 종업원에 의한 정산처리 작업을 없게할 수가 있다. 따라서 보다 적은 종업원에 의해서 급유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더욱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급유상태표시기(40)는 표시등(41) 및 차임벨(42)을 갖추고 있고, 통보기(50)는 헤트라이트를 예로 설명하였으나 적어도 눈이나 귀로 지각할 수 있는 다른 통보장치를 사용할 수가 있으며, 통보상태도 급유 허가중, 급유중, 급유종료등에 따라 임의로 할 수 있어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급유상태표시기(40)는 급유지역으로부터 보이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통보기(50)는 급유지역 근방에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급유장치에서는 고객이 정산처리기에서 급유전처리를 행하는 것으로 급유상태 표시기나 통보기가 작동하여 계량기가 급유 가능한 것이 통보되며, 또 급유종료후에는 정산처리기에서 자동적으로 정산처리를 행할 수 있는 까닭에 종업원에 의한 급유전처리의 작업이나 급유종료후의 정산처리의 작업이 감소되어서 보다 적은 종업원에 의해 급유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가 있다.

Claims (4)

  1. 급유전처리를 행하는 정산처리기와, 그 정산처리기에 의한 급유전처리로써 급유가능상태로 되는 계량기로서 구성되는 급유장치에 있어서, 상기 계량기가 급유가능상태로 되었다는 것을 통보하는 통보장치를 마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유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보장치는 각 급유지역 근방에 마련된 통보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유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보장치는 계량기에 대응하는 표시등을 갖추고 있으며, 또 각 급유지역으로부터 보이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는 급유상태표시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유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계량기의 급유데이터 관리를 행하는 급유데이터 관리기가 추가로 마련되며, 상기 정산처리기로 부터의 전처리 신호를 수신한 상기 급유데이터 관리기가 상기 계량기를 급유 가능 상태로 만드는 급유허가 신호와, 상기 통보장치로 급유상태를 통보하는 통보신호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유장치.
KR1019980008210A 1997-04-22 1998-03-12 급유장치 KR1002628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117431 1997-04-22
JP?9-117431 1997-04-22
JP9117431A JPH10291595A (ja) 1997-04-22 1997-04-22 給油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0168A KR19980080168A (ko) 1998-11-25
KR100262868B1 true KR100262868B1 (ko) 2000-08-01

Family

ID=14711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8210A KR100262868B1 (ko) 1997-04-22 1998-03-12 급유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10291595A (ko)
KR (1) KR10026286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8119U (ko) * 1996-07-12 1998-04-30 박낙진 주유기의 콘트롤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8119U (ko) * 1996-07-12 1998-04-30 박낙진 주유기의 콘트롤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0291595A (ja) 1998-11-04
KR19980080168A (ko) 1998-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85805A (en) 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 flee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and method of impeding theft of fuel
KR100247621B1 (ko) 급유장치
KR100262868B1 (ko) 급유장치
JP3385918B2 (ja) 給油装置
JPH0610035B2 (ja) 給油装置
KR200215743Y1 (ko) 주유 안내장치
JP3127539B2 (ja) 給油装置
JPH10264995A (ja) 給油所管理システム
KR950001421B1 (ko) 현금사용이 가능한 자동판매 주유기의 내부회로
KR20010038728A (ko) 셀프 주유방법 및 시스템
JPH11227897A (ja) 給油装置
KR100303640B1 (ko) 판매관리시스템에서의카드결제방법
KR100413248B1 (ko) 급유소에 있어서의 연료유 판매 시스템
JP2001206497A (ja) 給油装置
JPH06239398A (ja) 給油装置
JP3761016B2 (ja) 給油所用携帯報知装置
JP3334542B2 (ja) 給油装置
JP4193212B2 (ja) 給油装置
KR20000005815A (ko) 급유소
KR200213793Y1 (ko) 무인 주유 제어기가 부착된 주유기
KR100291349B1 (ko) 급유장치
JP3924850B2 (ja) 給油所
JPH0398898A (ja) 複式給油装置
JPH10287399A (ja) 給油所
JPH11124199A (ja) 給油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50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