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3793Y1 - 무인 주유 제어기가 부착된 주유기 - Google Patents

무인 주유 제어기가 부착된 주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3793Y1
KR200213793Y1 KR2020000025541U KR20000025541U KR200213793Y1 KR 200213793 Y1 KR200213793 Y1 KR 200213793Y1 KR 2020000025541 U KR2020000025541 U KR 2020000025541U KR 20000025541 U KR20000025541 U KR 20000025541U KR 200213793 Y1 KR200213793 Y1 KR 2002137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lubricator
fueling
banknote
se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55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철홍
이성근
안병원
Original Assignee
김철홍
이성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철홍, 이성근 filed Critical 김철홍
Priority to KR20200000255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37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37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3793Y1/ko

Links

Landscapes

  • Loading And Unloading Of Fuel Tanks Or Shi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기존의 유인 주유기를 셀프주유기로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치로써 기존의 주유기와; 주유기 키패드와 주유모터를 제어하는 주유제어부, 주유기 및 주변 기기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 사용자 정보 입력과 주유금액의 입력을 위한 입력부, 주유금액의 영수증 출력을 위한 출력부를 가지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고 카드리더 및 신용조회기를 가진 카드체크부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고 지폐 투입부와 지폐 이송부 및 지폐감식부를 가진 지폐체크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존 주유기를 그대로 사용하여 시설비의 부담이 적고, 필요에 따라 유인 주유기 및 셀프주유기로의 전환이 간편하여 주유소 경영에 있어 경쟁력을 제고시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무인 주유 제어기가 부착된 주유기 {Lubricator equipped with Self-lubricate controller}
본 고안은 주유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의 유인 주유와 셀프 주유가 모두 가능한 주유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내 또는 도로변에 일정거리를 두고 위치하는 현재 주유소의 주유체계는 운전자가 연료 충전을 위해 주유기 앞에 차량을 정차시키게 되면 주유원이 운전자에게 주유량을 물어보고 그 주유량만큼 주유원이 연료를 공급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주유체계는 기본적으로 주유원이 필요하므로 이 주유원의 인건비를 주유소 운영자와 소비자들이 부담해야하는 문제가 있다.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기존 주유체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운전자가 직접 주유기와 주유건(Gun)을 조작하여 연료를 주입할 수 있도록 하는 셀프 주유기의 등장으로 인력난의 해소와 인건비 절감요인을 유가에 반영시켜 낮은 유가에 의한 고객유치방법을 제시하고 있으나, 여기에 사용되는 기존의 유인 주유기와는 별도로 제작되고 있기 때문에 사용수명이 다하지 않은 정상적인 작동이 가능한 고가의 유인 주유기를 셀프 주유기로 교체하기 위해서는 사용수명이 다할 때까지 기다려야 하며 셀프주유기로의 교체시에도 막대한 비용이 지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기존에 사용중인 유인 주유기를 저렴한 비용으로 셀프 주유기로의 전환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기존의 유인 주유방식과 셀프 주유방식의 연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기존에 사용중인 주유기의 지속적인 사용을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주유원이 필요 없는 셀프주유기로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주유기에 설치된 제어기의 내부구성에 대한 개략블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
1 : 제어기 10 : 카드체크부
20 : 지폐체크부 30 : 제어부
100, 200 : 주유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기존에 사용중인 유인 주유기와; 주유기와 주유모터를 제어하는 주유제어부, 주유기 및 주변 기기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 사용자 정보 입력과 주유금액의 입력을 위한 입력부, 주유금액의 영수증 출력을 위한 출력부를 가지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고 카드리더 및 신용조회기를 가진 카드체크부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고 지폐 투입부와 지폐 이송부 및 지폐감식부를 가진 지폐체크부를 포함하는 제어기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제어부는 셀프주유기로의 전환시 주유기 및 제어기에 설치된 주변기기들과의 통신을 통해 주유기의 키패드(Keypad)와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며, 또한 주유기 내부에 설치된 주유모터의 제어를 통해 입력된 금액만큼의 주유가 이루어지도록 한 후 주유금액에 대한 영수증의 출력을 담당하고 있다.
본 고안에서 상기 카드체크부는 기존의 카드리더와 신용조회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서 상기 지폐체크부는 기존의 지폐 투입과 지폐 이송 및 지폐 감식의 기능을 가진 지폐 식별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서 상기 제어기는 바람직하게는 한 대 이상의 주유기를 제어하며,제어기의 설치 위치는 주유기와 인접한 곳, 예를 들어 주유기의 일측면에 부착할 수도 있으며 또는 주유기와 주유기 사이의 여유 공간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기는 바람직하게는 열쇠형태로 된 키(KEY)로써 작동을 On/Off 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기존의 유인 주유기로의 전환 및 셀프 주유기로의 전환이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주유기와 연동되는 제어기(1)의 내부구성에 대한 개략블록도로서, 기존에 사용중인 유인 주유기(100)(200)와; 주유기의 키패드(120)(2
20)와 주유모터를 제어하는 주유제어부(31), 상기 주유기 및 주변 기기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33), 사용자 정보 입력과 주유금액의 입력 및 주유시작명령의 입력을 위한 입력부(35), 주유금액의 영수증 출력을 위한 출력부(37)를 가지는 제어부(30)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고 카드리더(11) 및 신용조회기(13)를 가진 카드체크부(10)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고 지폐 투입부(21)와 지폐 이송부(23) 및 지폐감식부(25)를 가진 지폐체크부(20)로 구성되어 있으며 셀프 주유기로의 사용에 따른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어기(1)는 PCB(인쇄회로기판)로 구성되어 있는 바, PCB(Printed Cir
cuit Board)는 강화 섬유유리나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며, 구리로 된 회로를 통해 부품들이 서로 연결되어 그 위에 칩이나 기타 다른 전자부품들이 설치되어 있는 얇은 판으로, 상기 제어기(1)를 구성하고 있는 일련의 보드 또는 카드를 지칭하는 말이다.
상기 제어기(1)를 셀프 주유기로의 사용을 위해 ON 하게 되면, 제어기(1) 내부의 회로와 병렬 연결되어 있는 주유기(100)(200)의 키패드(120)(220) 제어회로는 제어기(1)의 ON과 동시에 차단되어 사용을 할 수 없게 된다.
상기 제어기(1)는 바람직하게는 주유기(100)(200)의 디스플레이 회로와 병합되어 있기 때문에 별도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할 필요 없이 공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카드 체크부(10)는 주유시에 신용카드, 직불 카드 및 주유 카드로 요금을 지불하는 경우에 사용되며, 사용자는 상기 카드 체크부(10)의 카드리더(11)에 카드를 통과시킨다. 이어서 상기 카드리더(11)에 의해 읽혀진 사용자 카드 정보는 신용조회기(13)에 의해 카드를 조회하고 승인번호가 나오면 제어부(30)에 전송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30)에서는 카드 체크부(10)로부터 받은 사용자 카드조회 결과 데이터를 통신부(33)를 통해 주유제어부(31)에 전송함과 동시에 상기 주유기(100)
(200)의 디스플레이부(110)(210)에 전송하게 되고, 사용승인을 받은 사용자는 원하는 주유 금액을 입력부(35)에 입력하게 되며 상기 사용자 카드 조회 결과와 입력부(35)에 입력된 금액은 상기 디스플레이부(110)(210)에 표시되게 된다.
상기 지폐체크부(20)는 본 실시예에서는 천원권, 오천원권, 만원권의 지폐가 사용이 가능하며, 지폐투입부(21)로 투입된 지폐는 지폐이송부(23)를 거쳐 지폐감식부(25)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지폐감식부(25)에 의해 감식된 금액에 대한 정보는 상기 통신부(33)를 통해 주유제어부(31)와 디스플레이부(110)(210)에 전송되어 주유명령전송 및 금액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30)와 주유기(100)(200) 및 주변 기기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33)는 널리 알려져 있는 데이터 통신 표준인 RS-232C방법을 사용하는데, RS-232C 통신은 데이터를 전송하고 수신하는 회로와, 이런 회로사이에서 사용하는 전기적인 신호의 특성을 이용한 통신방법으로서 데이터를 보내기 위해서는 최소한 3개의 선이 필요한데, 상기 통신부(33)의 통신포트에 설치되어 있는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TXD 단자와 데이터의 수신을 위한 RXD 단자, 접지를 위한 GRN 단자가 상기 제어부(30)와 카드체크부(10), 지폐체크부(20) 및 주유기(100)(200)와의 통신을 위해 상호 연결되어 있다. 상기 RS-232C를 이용한 통신방법은 이미 IBM-PC 계열의 통신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본 예시에서는 자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상기 주유제어부(31)는 제어기(1)가 ON 되었을 때 상기 주유기(100)(200)의 키패드(120)(220) 사용을 제한하고 또한 상기 입력부(35)의 주유명령에 의해 주유모터(미도시)를 동작시켜 입력된 주유 금액만큼 주유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상기 주유제어부(31)로부터 전송받은 주유명령에 의한 주유 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카드체크부(10)와 지폐제어부(20)를 통해 전송된 주유금액이 입력부(35)에 입력되면 상기 통신부(33)를 통해 전송받은 주유명령에 의해 주유모터가 ON 되며, 이미 설정되어진 주유량 계산법에 따라, 예를 들어 주유 입력 금액이 이만원일 경우 미리 설정되어 있는 유종의 리터(Liter)당 단가로 나눈다. 즉 주유를 원하는 유종의 리터당 단가가 오천원이라면 주유량 계산은 이만원/오천원으로 4 리터이고, 상기와 같이 계산되어진 주유량에 미리 설정되어 입력된 리터당 주유 모터의 회전 펄스(Pulse)를 곱한다. 미리 설정되어진 주유 모터의 회전수가 리터당 200펄스이면 4리터는 800펄스가 되므로 주유모터는 800펄스만큼 회전함과 동시에 상기 주유모터의 회전정보를 감지하는 주유 모터 내부에 설치된 엔코더(Encoder)에 의해 주유모터의 회전수가 계수되며, 주유 모터의 엔코더가 지정된 펄스만큼 회전을 계수하게 되면 상기 주유제어부(31)의 명령에 의해 주유모터의 동작이 OFF 되는 것이다.
상기 주유방법은 카드사용의 경우 및 지폐사용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는 방법임은 당연하다.
상기와 같이 주유를 마친 후에는 출력부(37)에 의해 주유 금액에 대한 전표가 출력이 되는데 통상의 카드사용에 따른 전표는 가맹점용, 은행용 및 고객용의 세장의 전표가 출력이 되고 있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는 상기 출력부(37)에서 출력되는 세장의 전표 중 가맹점용과 은행용의 전표는 출력과 동시에 제어기(1) 내부에 별도로 설치된 롤러(Roller)(미도시)에 감겨 보관되며 고객용 전표 한 장만 상기 제어기(1)의 외부로 출력하게 된다. 상기에서 제어기(1) 내부의 롤러에 감겨진 가맹점용 및 은행용 전표는 주유소 종업원에 의해 회수되어 별도로 처리된다. 또한 지폐사용의 경우에도 상기 출력부(37)를 통한 영수증의 출력이 가능함은 당연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어기로 인하여, 경제적으로 큰 부담을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기존의 유인 주유기를 셀프 주유기로 전환하여 서비스를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인력난의 해소와 인건비 절감요인을 유가에 반영시켜 낮은 유가에 의한 고객유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주유소 경쟁력의 제고에 도움을 주는 이점이 있다.
또한 기존 주유 시스템에 제어기만을 설치하여 기존의 유인 주유기와 셀프 주유기로의 연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기존의 주유기를 교체할 필요가 없이 그대로 활용하므로 경쟁력 향상의 장점이 있다.

Claims (1)

  1. 주유량을 입력시키는 키패드(120)(220)와, 키패드(120)(220)에 입력된 값에 따라 주유하기 위한 주유모터를 가진 주유기(100)(200)와;
    ㄱ)a)카드리더(11), b)신용조회기(13)를 가진 카드체크부(10)와;
    ㄴ)a)지폐 투입부(21)와 b)지폐 이송부(23) 및 c)지폐감식부(25)를 가진 지폐체크부(20)와;
    ㄷ)a)상기 주유기(100)(200)의 키패드(120)(220)입력을 차단하고 주유모터를 제어하는 주유제어부(31)와 b)상기 주유기 및 주변 기기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33), c)사용자 정보 입력과 주유금액의 입력을 위한 입력부(35) 및 d)주유금액의 영수증 출력을 위한 출력부(37)를 가지는 제어부(30)를 가진 제어기
    를 포함하는 주유기
KR2020000025541U 2000-09-07 2000-09-07 무인 주유 제어기가 부착된 주유기 KR2002137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5541U KR200213793Y1 (ko) 2000-09-07 2000-09-07 무인 주유 제어기가 부착된 주유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5541U KR200213793Y1 (ko) 2000-09-07 2000-09-07 무인 주유 제어기가 부착된 주유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3793Y1 true KR200213793Y1 (ko) 2001-02-15

Family

ID=73088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5541U KR200213793Y1 (ko) 2000-09-07 2000-09-07 무인 주유 제어기가 부착된 주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379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55718A (en) Integrated credit/information exchange module
US3931497A (en) Automated fuel dispenser
US5602745A (en) Fuel dispenser electronics design
US4777354A (en) System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utility services to consumers
EP1306819B1 (en) Off-line credit card transaction system and method for vending machines
US6085805A (en) 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 flee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and method of impeding theft of fuel
US6092629A (en) Service station island transaction terminal
US5557529A (en) In-dispenser-card-reader control system
EP0068747A1 (en) Monitored delivery systems
US20040225516A1 (en) Automated filling station with change dispenser
AU4471899A (en) Dispenser system for preventing unauthorized fueling
KR200213793Y1 (ko) 무인 주유 제어기가 부착된 주유기
KR102029848B1 (ko) 셀프주유 지원장치를 이용한 odt 시스템
KR100566056B1 (ko) 주유제어기와 이를 이용하는 주유시스템 및 주유방법
KR100803910B1 (ko) 셀프 주유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차량 단말기 및 주유소시스템
US6822550B1 (en) Intelligent rolled coin dispenser
KR100294761B1 (ko) 셀프주유자동결제시스템
JPH08301396A (ja) ガソリンスタンドにおける自動課金システム
KR100273957B1 (ko) 판매 관리 시스템에서의 카드 결제방법
KR20040050694A (ko) 급유장치
CN106781029A (zh) 一种集成式供油系统
KR19990017611A (ko) 주유기의 셀프서어비스 시스템
KR19980055689U (ko) 입출력수단이 구비된 셀프주유기
KR100548987B1 (ko) 현금 수납처리 기능을 구비한 셀프 주유 시스템 및 셀프주유 시스템에서의 현금 수납처리 방법
KR101141469B1 (ko) 계원조작부와 듀얼로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장치를 구비한금융자동화기기 및 그 표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3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