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7611A - 주유기의 셀프서어비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주유기의 셀프서어비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7611A
KR19990017611A KR1019970040606A KR19970040606A KR19990017611A KR 19990017611 A KR19990017611 A KR 19990017611A KR 1019970040606 A KR1019970040606 A KR 1019970040606A KR 19970040606 A KR19970040606 A KR 19970040606A KR 19990017611 A KR19990017611 A KR 199900176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agement unit
unit
self
lubricator
central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06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일
Original Assignee
이원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원일 filed Critical 이원일
Priority to KR10199700406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7611A/ko
Publication of KR19990017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7611A/ko

Links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의 주유 체계에서 하위 관리부만을 설치하므로써 주유소의 주유기를 셀프화하여 소비자가 직접 원하는 양 만큼의 주유량을 직접 확인하면서 주유할 수 있도록 하여 주유소의 주유 체계를 최소의 인원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이에 따른 인건비를 절감하여 유가의 인상 요인을 제거하고 대외 경쟁력을 강화하도록 하는 주유소의 셀프 서어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중앙 관리부와 주유부가 직접 연결되어 있던 주유 데이터 전송 체계에 하위 관리부를 추가로 설치하여 상기 하위 관리부가 주유부를 직접 관리하고 주유량과 주유값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구축하도록 하는 것이 특징인 것이다.

Description

주유기의 셀프서어비스 시스템
일반적으로 주유소의 주유 체계는 운전자가 오일 충전을 위해 주유기(Dispenser : DPN) 앞에 차량을 정차시키게 되면 주유원이 운전자에게 주유량을 물어보고 그 값을 입력부(Out Door Terminal : ODT)를 통해 사무실 내부에 있는 중앙 관리부(POS)로 데이터를 전송하게 되면 중앙 관리부(Point of sales : POS)는 주유기(DPN)에 주유 동작 명령을 전달하고 그 결과에 대한 데이터를 관리함과 동시에 입력부(ODT)로 부터 주유 카아드등을 판독한 데이터를 전송받아 입력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입력부(ODT)는 카아드의 판독기를 겸하거나 따로 부착되어 있는 것을 통칭한 것이다.
단 이때 중앙 관리부(POS)는 주유시 주유량의 과소는 통제할 수 없는 것이고 단지 입력되어지는 오일의 판매량을 통해 오일의 재고량 산출이 용이하므로 필요한 오일을 즉시 반입하여 판매할 수 있도록 되어진 것이다.(도1 참조)
상기와 같은 체계는 입력부(ODT)를 주유부와는 별개로 구성하여 주유기(DPN) 주변이나 인접하는 사무실에 설치되어지므로 그 차지하는 면적으로 인한 설치 위치 및 장소 선정이 어렵고, 더구나 처리 장치가 내장되어 있어 그 제작 및 설치상 많은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또, 카아드 리더를 주유기와 연결하여야 해당 주유량, 요금등이 입력됨은 물론 고객 또느 종업원이 카아드 리더가 설치된 곳 또는 사무실에 들러 카아드를 판독 확인 후 다시 주유기로 와서 오일을 주유받거나 하게 되므로 소요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입력부(ODT) 또는 카아드 리더가 없이 중앙 관리부(POS)가 주유부와 연결되어 있는 상태(도2 참조)에서는 사무실 내부의 중앙 관리부(POS)에서는 주유량만이 체크 될 뿐 주유량에 따른 주유값은 관리가 불가능하여 주유원들의 비리가 발생할 수도 있는 것이었다.
상기 두가지 유형이 일반적인 주유소의 주유 체계이며 이는 상기의 문제점외에도 현금 거래시 주유원의 비리가 발생할 수 있고 주유원이 현금을 사무실로 입금하기 위하여 수시로 출입하여야 하므로 바쁜 시간대에는 원할한 서어비스를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고 주유원이 많이 필요하므로 인건비등에 따른 소비자의 부담이 가중되었던 것이 사실이며 주유 시장이 개방될 경우 이는 경쟁력 약화 원인이 되는 경제적인 손실을 초래할 수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주유소의 주유기를 셀프서어비스화하여 소비자가 직접 원하는 양 만큼의 주유량을 직접 확인 하면서 주유할 수 있도록 하여 주유소의 주유 체계를 최소의 인원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이에 따른 인건비를 절감하여 유가의 인상 요인을 제거하고 대외 경쟁력을 강화하도록 하는 주유소의 셀프 서어비스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중앙 관리부와 직접 연결되어 있는 주유 데이터 전송 체계에 하위 관리부를 추가로 설치하여 사익 하위 관리부가 주유부 및 주유 업무전반을 직접 관리하고 주유량과 주유값은 물론 그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구축함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주유기의 셀프 서어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주유소에서 자동차 운전자가 오일 충전시 주유 직원의 도움을 받지 않고 자신이 직접 주유할 수 있도록 함에 있어서 입력부, 중앙 관리부, 하위 관리부, 주유부등이 데이터를 주고 받는 전송 체계를 구축함으로써 최소의 인원으로 주유소의 판매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주유기의 셀프 서어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1,2는 종래의 주유기 시스템을 보인 계통도
도3은 본 발명 주유기의 셀프서어비스 시스템을 보인 계통도
도4,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시스템을 보인 계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주유 시스템 10 : 입력부(판독부) 20 : 중앙관리부
30 : 하위 관리부 40 : 주유부 50 : 신용조회부
계속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 도면의 도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주유기의 셀프 서어비스 시스템을 보인 계통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의 도면중 부호 100은 본 발명의 주유 시스템을 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주유 시스템(100)은 종래의 입력부(10)와 중앙 관리부(20)및 주유부(40)로 이루어지는 주유 시스템에 있어서, 중앙 관리부(20)와 각 주유부(40) 사이에 셀프 서어비스가 가능하도록 하는 하위 관리부(30)를 설치토록 하는 것이다.
상기 입력부(10)는 주유량을 설정하거나 혹은 주유 금액을 설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카아드를 인식할 수 있는 기능이 있으며 상기 데이터들을 후기하는 중앙 관리부(20)로 전송시키게 되어 있어 설정된 값에 따라 주유된 양 만큼 신용 카아드, 직불 카아드 및 주유소 카아드로 온라인을 통해 지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중앙 관리부(20)는 외부의 입력부(10)로 부터 입력되어지는 데이터를 인식하고 후기하는 하위 관리부(30)로 명령을 전송하게 되고 그 결과를 재 전송 받게 되며 이를 자료화하여 저장하도록 되어진 것으로 판매량, 판매 금액의 기간별 집계와 급유 설정, 정지, 해제등의 주유 제어와 급유 데이터 표시, 재고 파악등의 주유 업무 및 데이터등의 통제, 관리를 하게 되어 있는 것이다.
이때 중앙 관리부(20) 자체에 신용 조회부가 구비되어 있어 있는 경우에는 중앙 관리부(20) 자체에서 신용 조회가 가능한 것이나, 중앙 관리부(20)에 신용 조회부가 없는 경우에 하위 관리부(30)에 신용 조회부(50)를 병설시켜 하위 관리부(30)에서 신용 조회를 하도록 하는 것이다.
하위 관리부(30)는 다수개의 셀프 관리가(SELF1, SELF2... SELFn)가 중앙 관리부(20)와 주유부(40) 사이에 직렬 또는 병렬로 구비되어 전술한 입력부(10)와는 별도로 입력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중앙 관리부(20)에서 전송되어진 명령을 인식하고 주유부(40)에 주유 가능 상태를 알리게 되고 주유 진행 상태와 주유 완료 상태를 통제하여 설정된 값만큼의 정확한 양을 주유하고 완료하도록 되어 있으며 중앙 관리부(20)의 기능을 대체하여 중앙 관리부(20)의 명령없이 직접 주유 업무 및 데이터를 통제, 관리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하위 관리부(30)는 지폐 인식기, 카아드 리더, 신용 조회기, 터어치 스크린, 액정 표시기(L. C. D Display), 음성 출력기, 프린터부 및 키이 패드등의 모든 입, 출력수단(미도시)으로 되어 있는 것으로, 지폐 인식기는 주유량 설정과는 관계없이 입금되어지는 금액 만큼 주유를 할 수 있도록 현금 거래시 이용되는 것이고, 각종 카아드 리더와 신용 조회기는 주유소에서 발급하는 주유 카아드나 직불 카아드 및 신용 카아드로 신용 결재시 이용되는 것으로 상기의 것들은 주유 결재 수단이며 터어치 스크린과 액정 표시기(L. C. D Display) 및 음성 출력기는 입, 출력 수단으로서 주유시 원하는 데이터를 입력 시키거나 입력되는 내용 및 주유 진행 상태등을 목시할 수 있도록 화면에 문자나 숫자로 표현되거나 계산서 발행 및 스피커를 통해 음성 표현되어지는 것이다.
주유부(40)는 상기 주유 시스템(100)에서 최하위 장치로서 다수개의 주유기(DPN1, DPN2... DPNn)가 구비되어 차량에 직접 주유 하는 부분으로 하위 관리부(30)의 통제하에서 작동하도록 되어 있다.
신용 조회부(50)는 별도로 구비되어 하위 관리부(30)에 연결되거나 내장되어지는 것으로서, 신용 카아드 사용시 거래 가능 여부를 확인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중앙 관리부(20)에 신용 조회 기능이 있는 경우에는 하위관리부(30)에서 신용 조회 기능을 배제 시킬 수 있으며, 중앙 관리부(20)에 신용 조회 기능이 있거나 또는 없는 경우에 하위 관리부(30)에 신용 조회 기능이 구비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첨부 도면 도4와 도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시스템을 보인 계통도로서, 도4는 기존의 주유 시스템에 있어서 입력부(10)에 하위 관리부(30)가 결합 설치된 것이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입력부(10) 또는 하위 관리부(30)에서 주유부(40)의 주유량 및 주유량에 대한 지불 유형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여 중앙 관리부(20)로 데이터가 전송되어지고 설정된 값을 중앙 관리부(20)가 설정 주유부(40)로 전송하여 주유를 하게 되는 시스템인 것이다.
또한 도5에서 보는 바와 같은 시스템은 별도의 입력부(10)와 중앙 관리부(20)가 없는 주유 체계로서 하위 관리부(30) 1개에 1개 또는 다수개의 주유부(40)를 직, 병렬로 연결하여 주유 작동을 관리하게 하는 것이다.
즉, 하위 관리부(30)에서 입력 수단을 통해 주유량을 설정하거나 주유 가격을 설정하고 카아드로 외상, 후불하거나 현금을 지불하고 주유를 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시스템에서 명령을 전달하는 전송 라인에서는 컴퓨터의 입출력 장치에 사용되고 있는 알파뉴메릭 코드의 하나인 ASCII CODE(미국 정보 교환 표준 부호)가 통용되고 있는 것으로 상기의 주유 시스템에서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전송 명령어를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통신 시작 단계의 명령은
STX _ ETX
로서, 여기서 STX는 명령의 시작임을 알리는 것이고, ETX는 명령의 끝을 알리는 것이며, _ 에는 주유부(40)의 주유기 번호를 설정하도록 되어진 것이다.
예를 들어 STX 01 ETX 의 명령은 첫번째 주유기(DPN1)의 통신 연결 여부를 확인하고 명령을 받게 되는 것이다.
이때 주유기 번호의 뒤에
STX 01 _ _ _ _ _ _ _ _ ETX
와 같이 8자리의 코드를 삽입할 수 있는데 이는 지불하는 값에 따라 주유량을 입력하도록 하거나 단위량당 주유하게 되는 양을 입력하거나 또는 무한대로 입력하여 가득 채울 수 있도록 분류값을 입력하는 한자리를 첫번째 자리에 할당하고 나머지 자리에 주유량의 입력값을 지정하도록 되어진 것이다.
예를 들어 STX 01 10010000 ETX는 첫번째 주유기(DPN1)의 주유를 시작하되 10,000원 어치만 주유하고 종료하라는 명령이고, STX 02 20002000 ETX는 두번째 주유기(DPN2)의 주유를 시작하되 2,000리터를 주유하고 종료하라는 명령인 것이다.
단, 신용 카아드의 경우 STX 01 14 10010000 ETX의 명령을 사용하여 신용 카아드로 지불한다는 것을 나타내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의 모든 명령어를 운용함에 있어서 어느 부분에서 어느 부분으로 명령을 보낸다는 명령어가 반드시 입력되어야 전송이 가능하게 되고 수신측에서 인식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STX 01 10010000 ETX CHECKSUM이라는 명령어는 하부관리기(30)에서 주유기로 명령을 보내는 것으로 첫번째 주유기(DPN1)가 주유를 시작하여 10,000원 어치 만큼을 주유하고 주유를 정지하라는 명령인 것이다.
또한 모든 명령의 맨 마지막에는 상기와 같이 CHECK SUM을 사용하는데 이는 STX부터 ETX까지의 모든 숫자 또는 문자의 2byte 합을 그 값으로 하여 컴퓨터가 명령의 옳고 그름을 확인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HEX 값으로)
상기와 같은 명령을 통하여 모든 체계가 자연 스럽게 운용된다면 다행이나 그렇지 못하고 에러가 발생하게 되는경우도 있기 때문에 이에 대처하는 명령 또한 갖추어져야 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며 이때는 송신 데이터 전송을 재요구하여서 올바로 명령을 수행하여야 하는 것으로 아래의 명령이 이에 해당하는 것이다.
만약 주유부(40)와 하위 관리부(30)에서 에러가 발생하게 되면 STX 01 RE SLFTD ETX라는 명령을 전송하여 재 송신을 요구하게 되는 것이다.
SLFTD에서 SLF는 첫번째 하위 관리부(SELF1)를 뜻하는 것이고 D는 첫번째 주유기(DPN1)를 뜻하는 것으로 T를 삽입하여 첫번째 하위 관리부(30)에서 첫번째 주유기(40-1)로 재 전송 요구를 한다는 뜻이다.
상기와 같은 규칙으로 하여 SLFTP는 하위 관리부(30)에서 중앙 관리부(20)로 재 전송 요구시 사용되는 명령어이고 POSTS는 중앙 관리부(20)에서 하위 관리부(30)로 데이터를 재전송하라는 명령어가 되는 것이다.
이때 송신 재요구 명령에도 응답이 없거나 올바르지 않은 명령이 전송될 경우 정상적으로 수신될 때 까지 송신 재요구를 매 10초 마다 전송하게 되며 송신 재 요구가 10회 이상 반복되어도 응답이 없거나 올바르지 않을 경우 주유 작동을 멈추게 되는 것이다.
단 주유부(40)의 경우 먼저 수신된 데이터에 대해서는 인식이 되었다면 동작 완료후 정지하게 되고 주유부(40) 또는 하위 관리부(30)로 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에 이상(데이터 깨짐이나 데이터의 변이가 감지)이 발생되는 경우에는 언제든지 송신 재요구를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기존 주유소의 주유 시스템에 하위 관리부만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진 것으로서 어떠한 주유 시스템에도 호환이 가능하여 범용성에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경제적으로 큰 부담을 주지 않는 범위내에서 셀프 서비스화 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최소의 인원으로도 주유소 운영이 가능하여 인건비에 따른 유가의 상승을 다소나마 억제할 수 있어 대외적인 경쟁력을 향상시키는데 주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입력부(10)가 중앙 관리부(20)에 연결되고 중앙 관리부(20)에 다수개의 주유기가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된 주유부(40)로 이루어지는 주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중앙 관리부(20)에 연결되고 주유부(40)와는 배열에 따라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되면서 주유 금액의 입금 및 결재 수단과 주유 데이터의 입, 출력 수단을 구비하여서 독자적으로 주유부(40)의 주유량과 주유량에 따른 지불 내역 및 재고등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고 그 결과값을 중앙 관리부(20)로 전송하도록 하는 하위 관리부(30)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기의 셀프 서어비스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하위 관리부(30)가 입력부(10)에 구비되면서 중앙 관리부(20)에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기의 셀프 서어비스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10)와 중앙 관리부(20)가 없는 상태에서 직렬 또는 병렬로 구비된 주유부(40)의 주유기를 하위 관리부(30)에 연결시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기의 셀프 서어비스 시스템.
KR1019970040606A 1997-08-25 1997-08-25 주유기의 셀프서어비스 시스템 KR199900176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0606A KR19990017611A (ko) 1997-08-25 1997-08-25 주유기의 셀프서어비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0606A KR19990017611A (ko) 1997-08-25 1997-08-25 주유기의 셀프서어비스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7611A true KR19990017611A (ko) 1999-03-15

Family

ID=66091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0606A KR19990017611A (ko) 1997-08-25 1997-08-25 주유기의 셀프서어비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761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6152B1 (ko) * 1998-02-25 2005-10-26 에스케이 주식회사 셀프 주유기의 주유방법
KR100803910B1 (ko) * 2005-12-30 2008-02-15 포스데이타 주식회사 셀프 주유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차량 단말기 및 주유소시스템
KR101225518B1 (ko) * 2011-07-18 2013-01-23 주식회사 한국포스밴시스템 셀프 주유 제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셀프 주유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6152B1 (ko) * 1998-02-25 2005-10-26 에스케이 주식회사 셀프 주유기의 주유방법
KR100803910B1 (ko) * 2005-12-30 2008-02-15 포스데이타 주식회사 셀프 주유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차량 단말기 및 주유소시스템
KR101225518B1 (ko) * 2011-07-18 2013-01-23 주식회사 한국포스밴시스템 셀프 주유 제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셀프 주유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95457A (en) Automated filling station with change dispenser
EP1017614B1 (en) A forecourt ordering system for fuel and services at a filling station
EP0722904B1 (en) Fuel dispenser
EP1306819B1 (en) Off-line credit card transaction system and method for vending machines
US5797470A (en) System for transacting fuel purchases using an island transaction terminal
US6824049B2 (en) Card transaction settlement method in point of sale systems
US20050182681A1 (en) Money dispensing system
KR100566056B1 (ko) 주유제어기와 이를 이용하는 주유시스템 및 주유방법
KR19990017611A (ko) 주유기의 셀프서어비스 시스템
KR20210043317A (ko) 주유소 관리 시스템
KR100294761B1 (ko) 셀프주유자동결제시스템
AU709794B1 (en) Card transaction settlement method in point of sale systems
CA1234632A (en) Automated fuel discounting system
JP2002225996A (ja) 給油システム
JPS62297971A (ja) 自動車
JP2002133094A (ja) 金融店舗における現金管理システム
KR100548987B1 (ko) 현금 수납처리 기능을 구비한 셀프 주유 시스템 및 셀프주유 시스템에서의 현금 수납처리 방법
KR101103312B1 (ko) 운수회사의 사납금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0303640B1 (ko) 판매관리시스템에서의카드결제방법
KR20010038728A (ko) 셀프 주유방법 및 시스템
KR20220100805A (ko) 알에프가 가능한 도구의 정보에 옵션정보을 연동하는 방법
KR200213793Y1 (ko) 무인 주유 제어기가 부착된 주유기
KR19980055689U (ko) 입출력수단이 구비된 셀프주유기
KR20190141036A (ko) 주유 결제 지원 장치
KR20190102125A (ko) 할인정보를 설정할 수 있는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