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5518B1 - 셀프 주유 제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셀프 주유 장치 - Google Patents

셀프 주유 제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셀프 주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5518B1
KR101225518B1 KR1020120061991A KR20120061991A KR101225518B1 KR 101225518 B1 KR101225518 B1 KR 101225518B1 KR 1020120061991 A KR1020120061991 A KR 1020120061991A KR 20120061991 A KR20120061991 A KR 20120061991A KR 101225518 B1 KR101225518 B1 KR 1012255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lf
user
fueling
car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1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권
기우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포스밴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포스밴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포스밴시스템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5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55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5/00Coin-freed apparatus with meter-controlled dispensing of liquid, gas or electric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08Arrangements of devices for controlling, indicating, metering or registering quantity or price of liquid transfer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08Arrangements of devices for controlling, indicating, metering or registering quantity or price of liquid transferred
    • B67D7/22Arrangements of indicators or registers
    • B67D7/224Arrangements of indicators or registers involving price indica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06Q20/145Payments according to the detected use or quantit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06Details of the software used for the vending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oading And Unloading Of Fuel Tanks Or Sh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셀프 주유 제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셀프 주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유인 주유기; 및 유인 주유기에 탈부착 가능하게 내장되는 것으로서, 유인 주유기에 대해 셀프 주유가 가능하게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 권한을 가지는 기기를 결정하는 권한 결정부; 및 사용자가 이용하려는 주유량을 입력받거나 사용자가 이용한 주유량을 측정하여 사용자가 이용하려는 주유량 또는 사용자가 이용한 주유량으로부터 계산된 주유비를 결제하며, 사용자가 입력한 금액으로 주유비를 결제하는 주유비 결제부를 구비하는 셀프 주유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주유 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인 주유기에 내장되어 유인 주유기를 셀프 주유 가능하게 변경시키는 것이 가능해지며, 유인 주유기 전체를 셀프 주유기로 교체하지 않아도 되므로 비용 절감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셀프 주유 제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셀프 주유 장치{Apparatus for controlling self-lubricator and self-lubricator therewith}
본 발명은 셀프 주유 제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셀프 주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인 주유기를 셀프 주유기화시키는 셀프 주유 제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셀프 주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셀프 주유기는 일체형으로 제작된 것이 일반이다. 그래서 유인 주유기가 셀프 주유기 기능을 할 수 있게 변경하는 것이 불가능했다. 또한 셀프 주유기 가격이 상당한 고가여서 주유소마다 셀프 주유기를 설치하는 데에 많은 비용이 소모되었으며, 이러한 이유로 중소 규모의 주유소에는 셀프 주유기가 설치되지 못했다.
한편, 종래 셀프 주유기는 주유한 후 카드로 주유 대금을 결제할 때 사용된 카드가 주유자의 카드인지 도난 또는 분실된 카드인지를 판단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이와 같이 도난 또는 분실된 카드의 사용으로 발생한 카드 사용 요금에 대한 책임 소재에 관한 분쟁들이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유인 주유기에 내장되어 유인 주유기를 셀프 주유 가능하게 변경시키는 셀프 주유 제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셀프 주유 장치를 제안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 서명기를 장착한 셀프 주유 제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셀프 주유 장치를 제안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유인 주유기; 및 상기 유인 주유기에 탈부착 가능하게 내장되는 것으로서, 상기 유인 주유기에 대해 셀프 주유가 가능하게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 권한을 가지는 기기를 결정하는 권한 결정부; 및 상기 사용자가 이용하려는 주유량을 입력받거나 상기 사용자가 이용한 주유량을 측정하여 상기 사용자가 이용하려는 주유량 또는 상기 사용자가 이용한 주유량으로부터 계산된 주유비를 결제하며,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금액으로 상기 주유비를 결제하는 주유비 결제부를 구비하는 셀프 주유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주유 장치를 제안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셀프 주유 제어 장치는 상기 유인 주유기에서 탈부착 가능한 커버의 내측에 장착되어 상기 유인 주유기에 내장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권한 결정부는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 위치하는 유인 주유기들을 모두 제어하는 총괄 제어 장치 및 각 유인 주유기마다 내장된 셀프 주유 제어 장치 중 어느 하나의 장치를 상기 유인 주유기에 대한 제어 권한을 가지는 기기로 결정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권한 결정부는 상기 총괄 제어 장치가 비정상적으로 작동될 때 상기 각 유인 주유기마다 내장된 셀프 주유 제어 장치를 상기 유인 주유기에 대한 제어 권한을 가지는 기기로 결정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셀프 주유 제어 장치가 상기 유인 주유기에 대한 제어 권한을 가지는 기기로 결정되면 상기 셀프 주유 제어 장치가 상기 사용자가 이용하려는 주유량 또는 상기 사용자가 이용한 주유량으로부터 상기 주유비를 직접 계산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유비 결제부는, 상기 사용자가 삽입한 현금(cash)을 식별하는 현금 식별부; 상기 사용자가 삽입한 카드를 리드(read)하는 카드 리더부; 식별된 현금들을 합산하여 현금 총액을 계산하며, 상기 현금 총액과 상기 주유비를 비교하여 상기 현금 총액이 상기 주유비 이상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제1 결제 가능여부 판별부; 리드된 카드가 정상적으로 이용 가능한 카드인지 여부에 대한 카드 이용 가능 판별을 수행하며, 상기 카드 이용 가능 판별을 수행할 때 상기 사용자로부터 전자 서명을 입력받는 제2 결제 가능여부 판별부; 및 상기 현금 총액이 상기 주유비 이상일 때 상기 주유비를 결제하며, 상기 리드된 카드가 정상적으로 이용 가능한 카드이고 상기 전자 서명이 입력될 때 상기 리드된 카드로 상기 주유비를 결제하는 현금/카드 이용 결제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셀프 주유 제어 장치는, 상기 주유비에 대한 내역이 기록된 주유비 영수증을 출력하며, 현금으로 주유비를 결제할 때 잔액에 대한 정보도 함께 기록하여 상기 주유비 영수증을 출력하는 영수증 출력부; 상기 주유비 영수증을 출력하지 못할 때 상기 주유비에 대한 내역을 상기 사용자가 휴대한 휴대 단말로 전송하는 주유비 내역 전송부; 및 터치 패널 형태의 것으로서 사용자의 입력을 인식하며 사용자 확인이 필요한 내용이나 사용자에게 알리려는 내용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욱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유비 결제부는, 상기 사용자가 삽입한 카드의 뒷면에 기록된 서명을 식별하는 서명 식별부; 및 식별된 서명과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전자 서명을 비교하여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서명 일치여부 판별부를 더욱 포함하며, 상기 제2 결제 가능여부 판별부는 상기 식별된 서명과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전자 서명이 일치할 때 상기 리드된 카드를 정상적으로 이용 가능한 카드로 판별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인 주유기에 탈부착 가능하게 내장되는 것으로서, 상기 유인 주유기에 대해 셀프 주유가 가능하게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 권한을 가지는 기기를 결정하는 권한 결정부; 및 상기 사용자가 이용하려는 주유량을 입력받거나 상기 사용자가 이용한 주유량을 측정하여 상기 사용자가 이용하려는 주유량 또는 상기 사용자가 이용한 주유량으로부터 계산된 주유비를 결제하며,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금액으로 상기 주유비를 결제하는 주유비 결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주유 제어 장치를 제안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셀프 주유 제어 장치는 상기 유인 주유기에서 탈부착 가능한 커버의 내측에 장착되어 상기 유인 주유기에 내장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권한 결정부는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 위치하는 유인 주유기들을 모두 제어하는 총괄 제어 장치 및 각 유인 주유기마다 내장된 셀프 주유 제어 장치 중 어느 하나의 장치를 상기 유인 주유기에 대한 제어 권한을 가지는 기기로 결정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권한 결정부는 상기 총괄 제어 장치가 비정상적으로 작동될 때 상기 각 유인 주유기마다 내장된 셀프 주유 제어 장치를 상기 유인 주유기에 대한 제어 권한을 가지는 기기로 결정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셀프 주유 제어 장치가 상기 유인 주유기에 대한 제어 권한을 가지는 기기로 결정되면 상기 셀프 주유 제어 장치가 상기 사용자가 이용하려는 주유량 또는 상기 사용자가 이용한 주유량으로부터 상기 주유비를 직접 계산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유비 결제부는, 상기 사용자가 삽입한 현금(cash)을 식별하는 현금 식별부; 상기 사용자가 삽입한 카드를 리드(read)하는 카드 리더부; 식별된 현금들을 합산하여 현금 총액을 계산하며, 상기 현금 총액과 상기 주유비를 비교하여 상기 현금 총액이 상기 주유비 이상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제1 결제 가능여부 판별부; 리드된 카드가 정상적으로 이용 가능한 카드인지 여부에 대한 카드 이용 가능 판별을 수행하며, 상기 카드 이용 가능 판별을 수행할 때 상기 사용자로부터 전자 서명을 입력받는 제2 결제 가능여부 판별부; 및 상기 현금 총액이 상기 주유비 이상일 때 상기 주유비를 결제하며, 상기 리드된 카드가 정상적으로 이용 가능한 카드이고 상기 전자 서명이 입력될 때 상기 리드된 카드로 상기 주유비를 결제하는 현금/카드 이용 결제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셀프 주유 제어 장치는 상기 주유비에 대한 내역이 기록된 주유비 영수증을 출력하며, 현금으로 주유비를 결제할 때 잔액에 대한 정보도 함께 기록하여 상기 주유비 영수증을 출력하는 영수증 출력부; 상기 주유비 영수증을 출력하지 못할 때 상기 주유비에 대한 내역을 상기 사용자가 휴대한 휴대 단말로 전송하는 주유비 내역 전송부; 및 터치 패널 형태의 것으로서 사용자의 입력을 인식하며 사용자 확인이 필요한 내용이나 사용자에게 알리려는 내용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욱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유비 결제부는, 상기 사용자가 삽입한 카드의 뒷면에 기록된 서명을 식별하는 서명 식별부; 및 식별된 서명과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전자 서명을 비교하여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서명 일치여부 판별부를 더욱 포함하며, 상기 제2 결제 가능여부 판별부는 상기 식별된 서명과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전자 서명이 일치할 때 상기 리드된 카드를 정상적으로 이용 가능한 카드로 판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셀프 주유 제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셀프 주유 장치는 다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유인 주유기에 내장되어 유인 주유기를 셀프 주유 가능하게 변경시키는 것이 가능해지며, 유인 주유기 전체를 셀프 주유기로 교체하지 않아도 되므로 비용 절감이 가능해진다.
둘째, 전자 서명기를 장착함으로써 전자 서명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셀프 주유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주유비 결제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셀프 주유 장치에 추가되는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2의 주유비 결제부에 추가되는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셀프 주유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셀프 주유 제어 장치가 장착된 셀프 주유 장치의 정면도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7은 셀프 주유 제어 장치가 장착된 셀프 주유 장치의 우측면도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8은 셀프 주유 제어 장치가 장착된 셀프 주유 장치의 좌측면도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9와 도 10은 셀프 주유 제어 장치가 유인 주유기의 커버 내측에 장착된 예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셀프 주유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따르면, 셀프 주유 장치(100)는 유인 주유기(110) 및 셀프 주유 제어 장치(120)를 포함한다.
유인 주유기(110)는 종래 일반적인 형태의 주유기를 의미한다.
셀프 주유 제어 장치(120)는 유인 주유기(110)에 탈부착 가능하게 내장되는 것으로서, 권한 결정부(130), 주유비 결제부(140), 전원부(150) 및 주제어부(160)를 포함한다. 셀프 주유 제어 장치(120)는 유인 주유기(110)에서 탈부착 가능한 커버의 내측에 장착되어 유인 주유기(110)에 내장될 수 있다. 셀프 주유 제어 장치(120)는 도 5의 내장 컴퓨터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5의 내장 컴퓨터는 유인 주유기(110)에 내장되는 컴퓨터를 의미한다.
권한 결정부(130)는 유인 주유기(110)에 대해 셀프 주유가 가능하게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 권한을 가지는 기기를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권한 결정부(130)는 도 5의 입출력 보드로써 구현될 수 있다.
권한 결정부(130)는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 위치하는 유인 주유기들을 모두 제어하는 총괄 제어 장치 및 각 유인 주유기마다 내장된 셀프 주유 제어 장치 중 어느 하나의 장치를 유인 주유기(110)에 대한 제어 권한을 가지는 기기로 결정할 수 있다. 총괄 제어 장치는 도 5의 전방 컴퓨터로써 구현될 수 있다.
권한 결정부(130)는 총괄 제어 장치가 비정상적으로 작동될 때 각 유인 주유기마다 내장된 셀프 주유 제어 장치를 유인 주유기(110)에 대한 제어 권한을 가지는 기기로 결정할 수 있다. 그 외의 경우에는 권한 결정부(130)는 총괄 제어 장치를 유인 주유기(110)에 대한 제어 권한을 가지는 기기로 결정할 수 있다. 그러나, 결정 방법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주유비 결제부(140)는 사용자가 이용하려는 주유량을 입력받거나 사용자가 이용한 주유량을 측정하여 사용자가 이용하려는 주유량 또는 사용자가 이용한 주유량으로부터 계산된 주유비를 결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주유비 결제부(140)는 사용자가 입력한 금액으로 주유비를 결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주유비 결제부(1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금 식별부(141), 제1 결제 가능여부 판별부(142), 카드 리더부(143), 제2 결제 가능여부 판별부(144) 및 현금/카드 이용 결제부(14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주유비 결제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현금 식별부(141)는 사용자가 삽입한 현금(cash)을 식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현금 식별부(141)는 도 5의 지폐 인식기로써 구현될 수 있다.
제1 결제 가능여부 판별부(142)는 식별된 현금들을 합산하여 현금 총액을 계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제1 결제 가능여부 판별부(142)는 현금 총액과 주유비를 비교하여 현금 총액이 주유비 이상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카드 리더부(143)는 사용자가 삽입한 카드를 리드(read)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카드 리더부(143)는 도 5의 카드 리더기로써 구현될 수 있다.
제2 결제 가능여부 판별부(144)는 리드된 카드가 정상적으로 이용 가능한 카드인지 여부에 대한 카드 이용 가능 판별을 수행하며, 카드 이용 가능 판별을 수행할 때 사용자로부터 전자 서명을 입력받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2 결제 가능여부 판별부(144)는 도 5의 사인 패드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현금/카드 이용 결제부(145)는 현금 총액이 주유비 이상일 때 주유비를 결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현금/카드 이용 결제부(145)는 리드된 카드가 정상적으로 이용 가능한 카드이고 전자 서명이 입력될 때 리드된 카드로 주유비를 결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셀프 주유 제어 장치(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수증 출력부(210), 주유비 내역 전송부(220) 및 디스플레이부(230)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셀프 주유 장치에 추가되는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영수증 출력부(210)는 주유비에 대한 내역이 기록된 주유비 영수증을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영수증 출력부(210)는 현금으로 주유비를 결제할 때 잔액에 대한 정보도 함께 기록하여 주유비 영수증을 출력할 수 있다. 영수증 출력부(210)는 도 5의 영수증 프린터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주유비 내역 전송부(220)는 주유비 영수증을 출력하지 못할 때 주유비에 대한 내역을 사용자가 휴대한 휴대 단말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디스플레이부(230)는 터치 패널 형태의 것으로서 사용자의 입력을 인식하며 사용자 확인이 필요한 내용이나 사용자에게 알리려는 내용을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주유비 결제부(140)는 사용자가 입력한 전자 서명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삽입한 카드가 정상적으로 이용 가능한 카드인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이 경우 주유비 결제부(1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명 식별부(146) 및 서명 일치여부 판별부(147)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주유비 결제부에 추가되는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서명 식별부(146)는 사용자가 삽입한 카드의 뒷면에 기록된 서명을 식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컨대 서명 식별부(146)는 카드의 뒷면을 촬영한 뒤 촬영 영상에서 문자를 인식하는 방법으로 서명을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서명 일치여부 판별부(147)는 식별된 서명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전자 서명을 비교하여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제2 결제 가능여부 판별부(144)는 식별된 서명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전자 서명이 일치할 때 리드된 카드를 정상적으로 이용 가능한 카드로 판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전원부(150)는 셀프 주유 제어 장치(120)를 구성하는 각 구성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주제어부(160)는 셀프 주유 제어 장치(120)를 구성하는 각 구성부의 전체 작동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셀프 주유 제어 장치(120)가 유인 주유기(110)에 대한 제어 권한을 가지는 기기로 결정되면 셀프 주유 제어 장치(120)가 사용자가 이용하려는 주유량 또는 사용자가 이용한 주유량으로부터 주유비를 직접 계산할 수 있다. 총괄 제어 장치가 유인 주유기에 대한 제어 권한을 가지는 기기로 결정되면, 총괄 제어 장치가 사용자가 이용하려는 주유량 또는 사용자가 이용한 주유량으로부터 주유비를 계산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셀프 주유 제어 장치를 포함한 셀프 주유 장치의 일실시예로서 셀프 주유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셀프 주유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설명은 도 5를 참조한다.
셀프 주유 시스템(500)은 기존 유인 주유기에도 설치가 용이하고, 전자 서명이 가능한 셀프 주유기 제어 장치를 구비한 셀프 주유기를 의미한다. 셀프 주유 시스템(500)에서는 유인 주유기(530)의 커버에 내장 컴퓨터(510)를 마이컴 형태로 장착하여 셀프 주유 기능을 수행한다.
셀프 주유 시스템(500)은 유인 주유기(530), 내장 컴퓨터(510), 입출력 보드(I/O BOARD: 520), 카드 리더기(561), 지폐 인식기(562), 영수증 프린터(570), 사인 패드(580), 전방 컴퓨터(541), DB 서버(550) 및 후방 컴퓨터(542)를 를 포함한다.
내장 컴퓨터(510)는 주유 요금을 카드 또는 현금으로 지불하는 경우 이를 처리하는 요금 입력부, 사용자가 주유 대금으로 지불한 요금의 결제를 확인하는 요금 처리 확인부, 사용자에게 주유 대금 처리 결과, 주요 절차 및 현재의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요금 처리부와 요금 처리 확인부 및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 내부 장치의 처리 과정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내장 컴퓨터(510)는 유인 주유기(530) 앞쪽 커버에 설치된다. 내장 컴퓨터(510)는 일반용 컴퓨터와 부품 구성이 동일하다. 메인 보드로는 산업용 보드가 사용될 수 있고, CPU로는 아톰 프로세서가 사용될 수 있다. HDD로는 CF 카드가 사용될 수 있으며, 메모리로는 예컨대 DDR2와 같은 노트북용 메모리가 사용될 수 있다.
내장 컴퓨터(510)는 여러 가지 외부 장치와 연결되어 있다. 내장 컴퓨터(510)는 입출력 보드(520)와 RS-485 또는 RS-422를 통하여 연결되고, 디스플레이와 VGA 포트를 통해 연결된다. 내장 컴퓨터(510)는 영수증 프린터(570)와 RS-232를 통해 연결되고, 카드 리더기(561)와 PS2를 통해 연결된다. 내장 컴퓨터(510)는 지폐 인식기(562)와 RS-232를 통해 연결되고, 사인 패드(580)와 RS-232를 통해 연결된다. 디스플레이로는 LCD 모니터 또는 터치 패널이 사용될 수 있다. 터치 패널로는 특히 USB 방식의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이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로는 LCD 모니터와 터치 패널 모두 사용되거나 둘 중의 하나만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내장 컴퓨터(510)는 DB 서버(550)와 TCP/IP로 연결되어 자료를 송수신하며, 마이컴 형태의 입출력 보드(520)를 통해 유인 주유기(530)와 RS-485 또는 RS-422 방식으로 자료를 송수신한다.
내장 컴퓨터(510)에는 셀프 솔루션이 설치되어 소비자가 직접 터치 모니터로 조작하며 각 단계별로 화면과 음성이 안내된다. 사용자가 지폐 인식기(562)를 통해 현금으로 주유 대금을 결제하거나 카드 리더기(561)를 통하여 카드로 주유 대금을 결제한 다음 직접 주유를 하며, 주유가 끝나면 영수증이 발행된다. 내장 컴퓨터(510)는 주유가 끝나면 다음 손님을 처리하기 위해 디스플레이가 주유를 위한 초기 화면 상태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입출력 보드(520)는 내장 컴퓨터(510)와 전방 컴퓨터(541) 사이에서 통신 자료를 송수신하거나 내장 컴퓨터(510)와 유인 주유기(530) 사이에 통신 자료를 송수신한다. 입출력 보드(520)는 내장 컴퓨터(510) 및 전방 컴퓨터(541)와 RS-485 또는 RS-422 방식으로 연결되고, 유인 주유기(530)와 주유기 통신 케이블을 통해 연결된다.
입출력 보드(520)는 내장 컴퓨터(510)와 전방 컴퓨터(541) 중 어느 하나의 컴퓨터를 선택하여 유인 주유기(530)의 제어 권한을 가질 수 있게 연결시켜 주는 기능을 한다. 종래에는 모든 셀프 주유기가 전방 컴퓨터에 연결되며, 이 전방 컴퓨터가 모든 유인 주유기를 제어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경우 전방 컴퓨터에 문제가 발생하면 모든 셀프 주유기의 사용이 중지된다. 본 발명은 이것을 보완하기 위해 입출력 보드(520)를 사용해서 내장 컴퓨터(510)와 전방 컴퓨터(541)를 선택적으로 유인 주유기(530)와 통신할 수 있게 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 유인 주유기(530)가 독립적으로 내장 컴퓨터(510)와 연결되기 때문에 문제가 발생하는 유인 주유기(530)나 내장 컴퓨터(510)에 한하여 사용이 중지되며 나머지 유인 주유기는 그대로 사용이 가능해진다.
카드 리더기(561)는 내장 컴퓨터(510)에 PS2 방식으로 연결되며 신용카드, 포인터 카드, 현금영수증 카드, 고객 카드 등의 마그네틱 카드 정보를 읽을 때 사용된다. 지폐 인식기(562)는 내장 컴퓨터(510)에 RS-232 방식으로 연결되며 현금으로 결제할 때 현금을 입금받는 장치이다. 지폐 인식기(562)가 설치되지 않는 컴퓨터가 존재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경우에도 사용자가 주유 대금으로 현금을 지불하는 경우에는 직원이 손님에게 현금을 받고, 마스터 카드를 긁고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현금이 입금된 걸로 인지된다. 나머지 과정은 지폐 인식기(562)가 설치된 셀프 주유기에서 사용자가 현금으로 주유 대금을 납부한 경우와 동일한 과정으로 진행된다.
영수증 프린터(570)는 내장 컴퓨터(510)에 RS-232 방식으로 연결되며 주유 대금의 지불이 끝난 후 주유 정보와 입금 정보를 포함한 영수증을 출력한다. 현금으로 처리한 경우에, 설정된 주유 대금보다 보다 작은 양으로 주유가 되었을 때 거스름돈 정보를 출력하며, 이와 동시에 주유소 내부의 관리자 모니터에도 동일한 거스름돈 정보가 출력되며, 소비자는 이 영수증을 갖고 사무실에 가서 거스름돈을 돌려받는다.
관리자는 모든 유인 주유기의 통신 상태와 현재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는 단가 수정, 시재 마감, 영수증 재발행, 결제 수정 작업 등도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작업은 각 셀프 주유기에서 직접 수행할 수 있으며, 관리실 내부에서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유인 주유기(530)에서 결제된 영수증은 전방 컴퓨터(541)에 연결된 영수증 프린터에도 똑같이 한장 더 발행된다.
사인 패드(580)는 내장 컴퓨터(510)에 RS-232 방식으로 연결되며 카드로 지불할 경우 서명을 받는다.
전방 컴퓨터(541)는 DB 서버(550)와 TCP/IP로 연결되어 자료를 송수신받고, 유인 주유기(530)와는 입출력 보드(520)를 통해 RS-485 또는 RS-422로 연결된다.
후방 컴퓨터(542)는 DB 서버(550)에 TCP/IP 로 연결되며, 유인 주유기(530)나 전방 컴퓨터(541)에서 발생한 자료를 분석, 조회, 출력한다. 후방 컴퓨터(542)는 DB 서버(150)와 함께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DB 서버(550)는 내장 컴퓨터(510), 전방 컴퓨터(541), 후방 컴퓨터(542) 등과 TCP/IP로 연결되며, 주유 과정 등에서 발생하는 모든 자료를 저장한다. DB 서버(550)는 원거리에 위치하거나 주유소 내부의 별도로 설치될 수 있다. 내장 컴퓨터(510)와 전방 컴퓨터(541) 및 후방 컴퓨터(542)는 다양한 형태의 제어부 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10은 셀프 주유 장치에 셀프 주유 제어 장치가 장착된 예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6에서는 셀프 주유 제어 장치(120)가 장착된 셀프 주유 장치(100)의 정면도를 보여주고 있으며, 도 7에서는 셀프 주유 제어 장치(120)가 장착된 셀프 주유 장치(100)의 우측면도를 보여주고 있다. 도 8에서는 셀프 주유 제어 장치(120)가 장착된 셀프 주유 장치(100)의 좌측면도를 보여주고 있다. 도 6 내지 도 8에서 도면부호 110은 유인 주유기를 의미한다. 도 9와 도 10에서는 내장 컴퓨터(510)를 비롯한 셀프 주유 제어 장치(120)가 유인 주유기(110)의 커버 내측에 장착된 예를 보여준다.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된 셀프 주유 제어 장치의 내부 사양은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보드 : 산업용 아톰 1.6GHz
RS-485 1개, RS-232 3개
100m 랜 2개
PS2, SOUND
SSD : WINDOM SATA SSD 4ch FDM MLC (16GB)
파워 : Heroichi TALON 500W V2.3
터치 모니터 : 15인치 LED 정전압 방식 1000CD (햇빛에도 화면이 선명하게 보임)
메모리 : 1G 노트북용
프린터 : 티켓 프린터 YJ-720L3
MSR : PS2 타입
XP : DSP HOME EDITION
사인 패드 : 신용카드 전자 서명용
스피커 : 1채널
MICOM BOARD : 펌프(모터) 제어, 셀프. 전방 주유기 연결 전환
케이스 : 주유기 앞 케이스에 부착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셀프 주유 장치 110 : 유인 주유기
120 : 셀프 주유 제어 장치 130 : 권한 결정부
140 : 주유비 결제부 141 : 현금 식별부
142 : 제1 결제 가능여부 판별부 143 : 카드 리더부
144 : 제2 결제 가능여부 판별부 145 : 현금/카드 이용 결제부
146 : 서명 식별부 147 : 서명 일치여부 판별부
150 : 전원부 160 : 주제어부
210 : 영수증 출력부 220 : 주유비 내역 전송부
230 : 디스플레이부

Claims (15)

  1. 유인 주유기; 및
    상기 유인 주유기에 탈부착 가능하게 내장되는 것으로서, 상기 유인 주유기에 대해 셀프 주유가 가능하게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 권한을 가지는 기기를 결정하는 권한 결정부; 및 사용자가 이용하려는 주유량을 입력받거나 상기 사용자가 이용한 주유량을 측정하여 상기 사용자가 이용하려는 주유량 또는 상기 사용자가 이용한 주유량으로부터 계산된 주유비를 결제하며,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금액으로 상기 주유비를 결제하는 주유비 결제부를 구비하는 셀프 주유 제어 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주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셀프 주유 제어 장치는 상기 유인 주유기에서 탈부착 가능한 커버의 내측에 장착되어 상기 유인 주유기에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주유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권한 결정부는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 위치하는 유인 주유기들을 모두 제어하는 총괄 제어 장치 및 각 유인 주유기마다 내장된 셀프 주유 제어 장치 중 어느 하나의 장치를 상기 유인 주유기에 대한 제어 권한을 가지는 기기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주유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권한 결정부는 상기 총괄 제어 장치가 비정상적으로 작동될 때 상기 각 유인 주유기마다 내장된 셀프 주유 제어 장치를 상기 유인 주유기에 대한 제어 권한을 가지는 기기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주유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셀프 주유 제어 장치가 상기 유인 주유기에 대한 제어 권한을 가지는 기기로 결정되면 상기 셀프 주유 제어 장치가 상기 사용자가 이용하려는 주유량 또는 상기 사용자가 이용한 주유량으로부터 상기 주유비를 직접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주유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유비 결제부는,
    상기 사용자가 삽입한 현금(cash)을 식별하는 현금 식별부;
    상기 사용자가 삽입한 카드를 리드(read)하는 카드 리더부;
    식별된 현금들을 합산하여 현금 총액을 계산하며, 상기 현금 총액과 상기 주유비를 비교하여 상기 현금 총액이 상기 주유비 이상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제1 결제 가능여부 판별부;
    리드된 카드가 정상적으로 이용 가능한 카드인지 여부에 대한 카드 이용 가능 판별을 수행하며, 상기 카드 이용 가능 판별을 수행할 때 상기 사용자로부터 전자 서명을 입력받는 제2 결제 가능여부 판별부; 및
    상기 현금 총액이 상기 주유비 이상일 때 상기 주유비를 결제하며, 상기 리드된 카드가 정상적으로 이용 가능한 카드이고 상기 전자 서명이 입력될 때 상기 리드된 카드로 상기 주유비를 결제하는 현금/카드 이용 결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주유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셀프 주유 제어 장치는,
    상기 주유비에 대한 내역이 기록된 주유비 영수증을 출력하며, 현금으로 주유비를 결제할 때 잔액에 대한 정보도 함께 기록하여 상기 주유비 영수증을 출력하는 영수증 출력부;
    상기 주유비 영수증을 출력하지 못할 때 상기 주유비에 대한 내역을 상기 사용자가 휴대한 휴대 단말로 전송하는 주유비 내역 전송부; 및
    터치 패널 형태의 것으로서 사용자의 입력을 인식하며 사용자 확인이 필요한 내용이나 사용자에게 알리려는 내용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주유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주유비 결제부는,
    상기 사용자가 삽입한 카드의 뒷면에 기록된 서명을 식별하는 서명 식별부; 및
    식별된 서명과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전자 서명을 비교하여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서명 일치여부 판별부
    를 더욱 포함하며,
    상기 제2 결제 가능여부 판별부는 상기 식별된 서명과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전자 서명이 일치할 때 상기 리드된 카드를 정상적으로 이용 가능한 카드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주유 장치.
  9. 유인 주유기에 탈부착 가능하게 내장되는 것으로서,
    상기 유인 주유기에 대해 셀프 주유가 가능하게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 권한을 가지는 기기를 결정하는 권한 결정부; 및
    사용자가 이용하려는 주유량을 입력받거나 상기 사용자가 이용한 주유량을 측정하여 상기 사용자가 이용하려는 주유량 또는 상기 사용자가 이용한 주유량으로부터 계산된 주유비를 결제하며,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금액으로 상기 주유비를 결제하는 주유비 결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주유 제어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권한 결정부는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 위치하는 유인 주유기들을 모두 제어하는 총괄 제어 장치 및 각 유인 주유기마다 내장된 셀프 주유 제어 장치 중 어느 하나의 장치를 상기 유인 주유기에 대한 제어 권한을 가지는 기기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주유 제어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권한 결정부는 상기 총괄 제어 장치가 비정상적으로 작동될 때 상기 각 유인 주유기마다 내장된 셀프 주유 제어 장치를 상기 유인 주유기에 대한 제어 권한을 가지는 기기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주유 제어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셀프 주유 제어 장치가 상기 유인 주유기에 대한 제어 권한을 가지는 기기로 결정되면 상기 셀프 주유 제어 장치가 상기 사용자가 이용하려는 주유량 또는 상기 사용자가 이용한 주유량으로부터 상기 주유비를 직접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주유 제어 장치.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주유비 결제부는,
    상기 사용자가 삽입한 현금(cash)을 식별하는 현금 식별부;
    상기 사용자가 삽입한 카드를 리드(read)하는 카드 리더부;
    식별된 현금들을 합산하여 현금 총액을 계산하며, 상기 현금 총액과 상기 주유비를 비교하여 상기 현금 총액이 상기 주유비 이상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제1 결제 가능여부 판별부;
    리드된 카드가 정상적으로 이용 가능한 카드인지 여부에 대한 카드 이용 가능 판별을 수행하며, 상기 카드 이용 가능 판별을 수행할 때 상기 사용자로부터 전자 서명을 입력받는 제2 결제 가능여부 판별부; 및
    상기 현금 총액이 상기 주유비 이상일 때 상기 주유비를 결제하며, 상기 리드된 카드가 정상적으로 이용 가능한 카드이고 상기 전자 서명이 입력될 때 상기 리드된 카드로 상기 주유비를 결제하는 현금/카드 이용 결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주유 제어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주유비에 대한 내역이 기록된 주유비 영수증을 출력하며, 현금으로 주유비를 결제할 때 잔액에 대한 정보도 함께 기록하여 상기 주유비 영수증을 출력하는 영수증 출력부;
    상기 주유비 영수증을 출력하지 못할 때 상기 주유비에 대한 내역을 상기 사용자가 휴대한 휴대 단말로 전송하는 주유비 내역 전송부; 및
    터치 패널 형태의 것으로서 사용자의 입력을 인식하며 사용자 확인이 필요한 내용이나 사용자에게 알리려는 내용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주유 제어 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주유비 결제부는,
    상기 사용자가 삽입한 카드의 뒷면에 기록된 서명을 식별하는 서명 식별부; 및
    식별된 서명과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전자 서명을 비교하여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서명 일치여부 판별부
    를 더욱 포함하며,
    상기 제2 결제 가능여부 판별부는 상기 식별된 서명과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전자 서명이 일치할 때 상기 리드된 카드를 정상적으로 이용 가능한 카드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주유 제어 장치.
KR1020120061991A 2011-07-18 2012-06-11 셀프 주유 제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셀프 주유 장치 KR1012255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70948 2011-07-18
KR1020110070948 2011-07-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5518B1 true KR101225518B1 (ko) 2013-01-23

Family

ID=47842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1991A KR101225518B1 (ko) 2011-07-18 2012-06-11 셀프 주유 제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셀프 주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551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9743B1 (ko) 2019-10-22 2020-09-24 김천식 다수의 독립적 셀프 주유 장치를 구비한 셀프 주유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027907A (ko) * 2019-09-03 2021-03-11 한성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컨트랙트를 활용한 주유소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7611A (ko) * 1997-08-25 1999-03-15 이원일 주유기의 셀프서어비스 시스템
KR200252134Y1 (ko) * 1998-07-24 2002-02-19 기 형 박 주유제어장치
KR100566056B1 (ko) 2003-11-20 2006-03-30 (주)베노테크놀로지 주유제어기와 이를 이용하는 주유시스템 및 주유방법
KR20070071618A (ko) * 2005-12-30 2007-07-04 포스데이타 주식회사 셀프 주유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차량 단말기 및 주유소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7611A (ko) * 1997-08-25 1999-03-15 이원일 주유기의 셀프서어비스 시스템
KR200252134Y1 (ko) * 1998-07-24 2002-02-19 기 형 박 주유제어장치
KR100566056B1 (ko) 2003-11-20 2006-03-30 (주)베노테크놀로지 주유제어기와 이를 이용하는 주유시스템 및 주유방법
KR20070071618A (ko) * 2005-12-30 2007-07-04 포스데이타 주식회사 셀프 주유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차량 단말기 및 주유소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7907A (ko) * 2019-09-03 2021-03-11 한성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컨트랙트를 활용한 주유소 장치
KR102383830B1 (ko) * 2019-09-03 2022-04-06 한성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컨트랙트를 활용한 주유소 장치
KR102159743B1 (ko) 2019-10-22 2020-09-24 김천식 다수의 독립적 셀프 주유 장치를 구비한 셀프 주유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62070B2 (en) Electronic money system, electronic value transfer method, mobile terminal, method for controlling mobile terminal, program product, and recording medium on which program product is recorded
CN111862461A (zh) Etc智慧加油系统
US9633346B2 (en) Flexible financial services terminal and methods of operation
US9818266B2 (en) Remote disabling of target point-of-sale (“POS”) terminals
JP2023060324A5 (ko)
KR101225518B1 (ko) 셀프 주유 제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셀프 주유 장치
TW201523474A (zh) 受理裝置、受理裝置之控制方法、及程式
KR101677098B1 (ko) ⅠoT컨트롤러를 이용한 주유소 통합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4021628B (zh) 数据处理方法和装置
JP4523029B2 (ja) 遊技機利益管理システム
JP6491006B2 (ja) 自動精算システム及び自動精算装置
KR20000050374A (ko) 전자지갑 자동 충전 및 징수장치와 그 처리방법
JP4316535B2 (ja) 給油所システム
US20130231985A1 (en) Reloading of money-storing cards in single space parking meters
KR20140013581A (ko) 카드 매출 관리 시스템
JP2018072932A (ja) サイネージ付き給電システム
CN212411287U (zh) Etc智慧加油系统
KR101469885B1 (ko) 모바일 주유 결제 시스템
JP2015153039A (ja) 決済システム、並びにその特典管理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6069640B2 (ja) アミューズメント施設向けの決済システム、及びその決済制御方法
RU132908U1 (ru) Универсальная информационно-платежная система
JP4316537B2 (ja) 給油所システム
JP6313796B2 (ja) アミューズメント施設向けの決済システム、及びその決済制御方法
KR20070067300A (ko) 휴대통신 단말기의 충전기능을 가지는 금융자동화기기
CN108830573A (zh) 用于民航服务支付的虚拟货币管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