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9885B1 - 모바일 주유 결제 시스템 - Google Patents

모바일 주유 결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9885B1
KR101469885B1 KR1020120032410A KR20120032410A KR101469885B1 KR 101469885 B1 KR101469885 B1 KR 101469885B1 KR 1020120032410 A KR1020120032410 A KR 1020120032410A KR 20120032410 A KR20120032410 A KR 20120032410A KR 101469885 B1 KR101469885 B1 KR 1014698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online
portable terminal
payment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2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0436A (ko
Inventor
이왕주
Original Assignee
와이엠디(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이엠디(주) filed Critical 와이엠디(주)
Priority to KR10201200324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9885B1/ko
Publication of KR20130110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04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98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98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0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funds transfer [EFT]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ome bank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6Payments settled via telecommunication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4Credit schemes, i.e. "pay af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6Payment applications installed on the mobil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220/00Business processing using cryptography
    • G06Q2220/10Usage protection of distributed data files
    • G06Q2220/14Requiring a supplemental attachment or input, e.g. a dongle, to open
    • G06Q2220/145Specific computer ID, e.g. serial number, configur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주유비를 결제할 수 있다. 또한, 운전자가 원하는 결제 수단을 이용하여 주유비를 결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주유소에 배치되는 카메라가 주유를 위해 차량이 정차하는 주유 영역을 촬상한 이미지를 제공 시, 주유소, 및 차량의 주유위치를 판단하는 위치판단 모듈, 차량에 대한 주유가 종료된 후, 카메라가 상기 차량에 유류를 제공한 주유기의 계기판에 대한 촬상 이미지를 제공 시, 촬상된 영상에 대해 비전인식을 수행하여 주유 비용에 대한 정보를 판독하는 비전인식 모듈, 및 차량 운전자가 휴대단말기를 통해 주유비용 결제를 요청 시, 차량 운전자의 신용카드에 대응하며, 고유한 키 값을 갖는 온라인 아이디 정보를 금융사 서버에 요청하여 획득하는 온라인 아이디 관리모듈, 및 차량 운전자의 휴대단말기에서 주유비 결제에 이용할 신용카드가 선택되면, 신용 카드사에 대한 네트워크 접속 경로, 및 온라인 아이디 정보의 키 값을 상기 휴대단말기로 제공하며, 휴대단말기가 온라인 아이디 정보를 이용하여 금융사 서버로 주유 비용 결제를 진행토록 하는 접속 중개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모바일 주유 결제 시스템{Mobile payment systrem for refueling counter}
본 발명은 주유 결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바일 환경에서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주유비를 결제 가능한 모바일 주유 결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주유소 관리 시스템은 차량이 주유 위치에 정차하면, 차량에 유류를 주유하고, 주유기에 표시된 금액을 차량 운전자에게 통보하며, 주로 신용카드를 이용하여 주유비를 결제하는 방식이 이용되고 있다. 신용카드를 이용하여 주유비를 결제하는 경우, 차량에 유류를 주유하는 시간이나 신용카드로 결제하는 시간이 비슷한 경우도 있으며, 주유소에 대기 차량이 많은 경우, 신용카드를 이용한 주유비 결제에 의한 시간 손실이 결코 적지 않은게 현실이다. 또한, 주유비 결제 시, 차량 운전자가 주유기의 계기판을 조회하기가 쉽지 않은 경우도 있어 차량 운전자가 올바른 비용을 지불하는가에 대한 의문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해 등록 실용 20-0261474에서는 운전자가 차량에 앉은 상태에서 주유금액, 주유량, 및 주유 단가에 대한 정보를 조회할 수 있으며, 신용카드로 주유비를 결제하는 무선 신용카드 조회기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등록 실용 20-0261474는 기존의 주유 관리 시스템에 비해 주유비 결제에 소요되는 시간을 감소시키기는 하였으나, 오프라인 환경에서 주유비를 결제하여야 하는 점은 종래와 다를 바 없고, 현재 결제 수단으로 많이 이용되는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주유비를 결제하는 방안은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모바일 환경에서도 주유비를 결제 가능하며, 주유비 결제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하는 모바일 주유 결제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모바일 환경에서 주유비를 결제할 수 있도록 하며, 주유비 결제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하는 모바일 주유 결제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주유 결제 시스템은, 주유소에 배치되는 카메라가 주유를 위해 차량이 정차하는 주유 영역을 촬상한 이미지를 제공 시, 상기 주유소, 및 상기 차량의 주유위치를 판단하여, 상기 차량에 주유하고 있는 주유기와 상기 차량을 매칭시키는 위치판단 모듈; 상기 차량에 대한 주유가 종료된 후, 상기 카메라가 상기 차량에 유류를 제공한 주유기의 계기판에 대한 촬상 이미지를 제공 시, 촬상된 영상에 대해 비전인식을 수행하여 주유 비용에 대한 정보를 판독하는 비전인식 모듈; 및 상기 휴대단말기에서 비전인식 모듈에서 판독된 비용 결제를 위한 로그인 접속시, 상기 비용 결제에 이용 가능한 카드 또는 은행계좌 목록을 디스플레이하여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 화면 및 상기 휴대 단말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카드사 또는 은행으로의 접속경로를 상기 휴대 단말기로 제공하는 접속 중개모듈; 및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상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다수의 카드 또는 은행 계좌 중 어느 하나가 상기 휴대단말기 사용자에 의해서 선택될 때, 상기 선택된 신용카드 또는 은행계좌의 금융사 서버로 상기 선택된 신용카드 또는 은행계좌에 대응하는 고유의 키 값을 가지는 온라인 아이디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요청에 의하여 금융사 서버에서 생성되는 온라인 아이디 정보를 획득하는 온라인 아이디 관리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접속 중개모듈은,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제공된 접속경로를 통하여 상기 온라인 아이디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신용카드 및 은행계좌 중 하나를 대체하여 결제를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온라인 아이디 정보는,숫자, 문자, 및 특수문자의 선택적 조합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유기는, 이웃하는 타 주유기의 계기판을 촬상하기 위한 카메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유기는 통신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휴대단말기가 상기 비용 결제를 요청 시, 상기 휴대단말기로부터 온라인 아이디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유기는, 상기 금융사 서버로 상기 온라인 아이디 정보, 및 가맹점 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주유 비용에 대한 결제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유기는, 상기 휴대단말기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통신모듈;을 구비하며, 상기 차량에 대한 주유가 종료된 후, 상기 휴대단말기로 주유 정보, 및 가맹점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휴대단말기는, 상기 주유 정보 및 상기 가맹점 정보, 및 온라인 아이디 정보를 상기 접속 중개모듈을 통하여 상기 금융사 서버로 제공하며 상기 주유비 결제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유기에는 지역, 및 주유 사업자를 식별하기 위한 고유 번호가 표시되며, 상기 휴대단말기는, 상기 고유 번호를 상기 금융사 서버로 제공하여 상기 주유비 결제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에 따라,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주유 비용이 자동으로 판단되고 운전자가 주유비용을 모니터링하면서 간편하게 주유비를 결제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가 분실되는 경우에도 휴대단말기 차원에서는 어떠한 금융 정보를 포함하고 있지 않으므로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운전자가 원하는 예를 든다면 신용카드 결제 또는 계좌이체 등과 같이 여러가지 결제 수단을 이용하여 주유비를 결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모바일 주유비 결제 시스템에 이용되는 주유기의 외형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주유기가 비치된 주유소에 대한 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주유 결제 시스템에 대한 블록 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4 내지 도 7은 휴대단말기와 주유기(또는 통합 단말기), 및 모바일 주유비 결제 시스템 사이의 주유비 지불 프로세스에 대한 참조도면을 도시한다.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주유소는 차량이 정차 가능한 주유 영역을 복수개 구비하며, 차량 촬상을 위한 카메라가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는 주유기에 마련되거나, 주유 영역을 제외한 주유기 주변에 마련되거나, 또는 주유소 천정과 같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금융사 서버는, 카드사 서버, 은행 서버, PG(Payment Gateway) 서버, VAN(Value Added Network) 서버, 및 기타 다양한 형태의 금융업체 서버일 수 있으며, 금융사 서버는 상기 언급된 카드사 서버, 은행 서버, PG 서버, 및 기타 금융업체 서버와 혼용되어 기재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서 금융사 서버는 카드사 서버, 또는 은행 서버 중 하나를 중심으로 기재되고 설명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휴대단말기는 상기 언급된 금융사 서버에 네트워크 접속되어 주유비 결제를 요청하고 결제 내역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 가능한 형태의 단말기를 지칭한다. 현재, PC, 스마트 탭, 휴대폰, PDA, 스마트폰, 노트북, 및 기타 이동하면서 무선 통신이 가능한 것이라면, 본 명세서에서 기재하는 휴대단말기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근거리 무선통신은 블루투스 통신과 같이 휴대단말기와 주유기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거나, 또는 휴대단말기에 NFC(Near Field Communicaion) 칩이 내장되고, 주유기, 또는 주유기 주변에 위치하는 무선 단말기가 휴대단말기의 NFC 칩과 통신하는 통신 방식을 지칭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주유기가 모바일 주유비 결제 시스템에 주유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기재한다. 그러나, 주유기가 복수인 주유소에서는 복수의 주유기에서 제공되는 주유 정보를 모바일 주유비 결제 시스템으로 통보하기 위한 별도의 통합 단말기가 존재하고, 단말기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모바일 주유비 결제 시스템으로 주유정보를 통보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대한 설명에서 주유기, 또는 통합 단말기가 모바일 주유비 결제 시스템에 주유정보를 통보할 수 있으며, 이를 따로 구분하여 설명하는 대신 주유기가 통보한다고 기재한다. 이 경우, 주유기가 모바일 주유 결제 시스템으로 통보하거나, 또는 통합 단말기가 모바일 주유 결제 시스템으로 통보함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주유기는 통합 단말기로 지칭되어 동일한 참조부호로 기재될 수 있다. 주유기가 복수일 때, 각 주유기에서 발생하는 주유정보를 통합 수취하고 모바일 주유 결제 시스템, 또는 운전자의 휴대단말기로 주유정보나 가맹점 정보를 제공하는 통합 단말기는 유무선 네트워크 기능을 구비하는 컴퓨터의 형태로 구현되거나, 또는 주차 영역에 주차하는 차량의 주차위치를 판단하기 위한 위치판단 카메라와 일체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다만 한정하지는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모바일 주유비 결제 시스템에 이용되는 주유기의 외형도를 도시하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주유기가 비치된 주유소에 대한 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1 내지 도 2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면, 주유기(50)는 하우징(50e), 하우징(50e)의 일 측에 마련되는 주유건(50c), 하우징(50d)에 마련되며, 주유량, 주유 비용, 및 주유 단가를 표시하기 위한 계기판(50b), 카메라(50a), 및 하우징(50e)에 부착, 또는 마킹되는 고유 번호(50d)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50a)는 복수의 주유기가 설치되는 주유소에서 이웃하는 타 주유기의 계기판을 향하며, 타 주유기에서 차량에 대한 주유가 종료될 때, 계기판에 표시된 주유량, 및 주유 비용과 같은 주유정보를 촬상하여 이미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이미지를 모바일 주유 결제 시스템에 통보할 수 있다.
주유의 종료는 주유건(50c)이 주유건 걸이(50f)에서 이탈된 후, 주유가 종료되어 다시 주유건 걸이(53f)로 삽입될 때, 주유가 종료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주유의 종료 여부는 주유기(50)에서 판단되거나, 또는 주유기(50)와 네트워크 연결되는 통합 단말기(미도시)가 판단할 수 있으며, 카메라(50a)는 주유가 종료된 시점의 주유기(50) 계기판(50b)을 촬상하여 운전자의 휴대단말기(60)로 전송하여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유소에 진입한 차량의 위치는 주유기(50)에 마련되는 카메라(50a), 또는 위치판단 카메라(20)에 의해 판단될 수 있다. 위치판단 카메라(20)는 주유 영역(30)에 차량(10)이 위치 시, 주유 영역(30)을 촬상하여 차량(10)이 주유 영역(A, B, C, 및 D) 중 어느 영역에 위치하는가를 판단하며, 판단결과에 따라 주유기(50) 부근에 차량(10)이 위치한 것으로 판단하면 주유기(53)의 카메라(53a)를 구동하여 주유기(50)의 계기판(50b)을 촬상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위치판단 카메라(20)는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한 컴퓨터와 일체로 형성되는 통합 단말기일 수 있다.
위치판단 카메라(20)가 통합 단말기인 경우, 통합 단말기는 차량(10) 운전자가 신용카드 결제 시, 휴대단말기(60)로 가맹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가맹점 정보는 신용카드를 결제하는 결제 단말기가 금융사 서버로 제공하는 정보이며, 본 발명에서는 가맹점 정보는 통합 단말기(20)에서 운전자의 휴대단말기(60)로 제공되고, 휴대단말기(60)는 가맹점 정보를 이용하여 금융사 서버에 접속하여 주유비를 결제하도록 요청하는 방식이 구현될 수 있다.
각 주유기(50 ∼ 53)는 서로 마주보는 주유기의 계기판을 촬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주유기(50)는 주유기(53)의 계기판을 촬상하고, 주유기(52)는 주유기(51)의 계기판을 촬상할 수 있다. 다른 한편, 위치판단 카메라(20)에서 주유기(50 ∼ 53)의 계기판을 촬상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위치판단 카메라(20)는 도 2의 예시에서 주유기(50)와 주유기(51) 사이에 하나 더 필요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주유 결제 시스템에 대한 블록 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주유 결제 시스템(100)은, 웹 서비스 모듈(110), 온라인 아이디 관리모듈(120), 위치판단 모듈(130), 비전인식 모듈(140), 결제 중개모듈(150), 및 데이터베이스(1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웹 서비스 모듈(110)은 휴대단말기(60)가 결제 앱을 통해 네트워크 접속하여 로그인을 수행 시, 휴대단말기로 접속 계정(아이디, 패스워드)을 요청하고, 올바른 접속 계정을 전송 시, 로그인을 허여한다. 휴대단말기(60)는 상기한 주유비 결제를 처리하기 위한 결제 앱이 설치될 수 있다. 결제 앱은,
1) 모바일 주유 결제 시스템(100)에 네트워크 접속하며, 이때, 로그인 메뉴를 디스플레이자치에 표시하는 기능,
2) 모바일 주유 결제 시스템(100)이 제공하는 결제 수단(카드사, 및 카드명칭)을 카드사, 및 카드명칭의 순서대로 순차 표시하는 기능,
3) 휴대단말기(60) 사용자가 결제 수단을 선택 시, 모바일 결제 시스템(100)에 온라인 아이디 정보를 요청하는 기능,
4) 모바일 주유 결제 시스템(100)에서 온라인 아이디 정보를 획득 후, 획득한 온라인 아이디 정보를 금융사 서버에 제공하면서 주유비 결제를 요청하는 기능,
5) 주유기(50), 또는 통합 단말기(20)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며, 주유기(50), 또는 통합 단말기(20)로부터 가맹점 정보를 획득하는 기능,
6) 가맹점 정보, 및 주유정보를 금융사 서버로 전송하여 주유비 결제를 요청하는 기능, 및
7) 운전자가 주유기(50)에 표시된 주유정보, 및 주유기(50)에 마킹된 고유정보를 입력하는 인터페이스를 휴대단말기(60)의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하고, 사용자 입력된 내역을 금융사 서버로 전송하여 주유비 결제를 요청하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한 결제 앱은 휴대단말기(60)의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아이콘, 또는 메뉴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으며, 운전자의 터치입력에 응답하여 1) 내지 6)의 기능을 자동으로 진행하거나, 또는 7)의 기능을 운전자의 수동 입력에 따라 구현할 수도 있다. 주유비 결제의 간편함과 신속함을 위해, 결제 앱은 1) 내지 6)의 기능이 자동으로 구현됨이 바람직하다.
위치판단 모듈(130)은 주유기(50)의 고유 번호, 또는 통합 단말기(20)에서 제공하는 가맹점 정보나, 위치정보를 토대로 차량(10)이 위치한 주유소, 주유기, 또는 주유 영역(A, B, C, D)을 판단할 수 있다. 주유기(50)가 네트워크 접속 기능을 구비하는 경우, 위치판단 모듈(130)은 주유기(50)를 통해 주유기(50)의 고유 번호를 획득하고, 이를 주유비 결제에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주유기(50)가 휴대단말기(60)와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경우, 휴대단말기(60)가 주유기(50)로부터 획득한 주유정보, 고유 번호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다른 한편, 주유소에 통합 단말기(20)가 존재하는 경우, 통합 단말기(20)를 통해 주유정보, 및 가맹점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가맹점 정보는 운전자가 신용카드 결제를 할 때, 신용카드를 결제하는 단말기에 부여되는 정보이므로, 가맹점 정보를 통해 차량(10)에 유류를 공급한 주유소가 파악될 수 있다.
비전인식 모듈(140)은 주유기(50)에 마련되는 카메라(50a), 또는 통합 단말기(20)에 의해 촬상된 이미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이미지에 대해 비전인식을 수행하여 텍스트, 및 숫자를 추출할 수 있다. 비전인식 모듈(140)은 추출된 숫자, 및 텍스트를 통해 주유량, 주유비용, 및 주유기(50)의 고유번호와 같은 주유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결제 중개모듈(150)은 비전인식 모듈(140)에서 추출된 주유정보, 또는 결제 앱에서 제공되는 주유정보, 또는 주유기(50)나 통합 단말기(20)에서 제공된 주유정보를 토대로 운전자가 지불해야할 주유비를 판단하고, 이를 휴대단말기(6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결제 중개모듈(150)은 휴대단말기(60)에서 비용 결제를 위해 로그인 접속시 상기 비용 결제에 이용가능한 카드 또는 은행계좌 목록을 디스플레이하여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 화면 및 휴대 단말기(60)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카드사 또는 은행으로의 접속경로를 휴대 단말기(60)로 제공할 수 있다.
온라인 아이디 관리모듈(120)은 제공된 인터페이스 화면상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다수의 카드 또는 은행 계좌 중 어느 하나가 상기 휴대 단말기(60)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될 때, 선택된 신용카드 또는 은행 계좌의 금융사 서버(300)로 선택된 신용카드 또는 은행 계좌에 대응하는 고유의 키 값을 가지는 온라인 아이디 정보를 요청하고 요청에 따라 금융사 서버(300)에서 생성되는 온라인 아이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온라인 아이디 정보는 온라인 아이디 관리모듈(120)에서 신청한 경우에 1회성으로 금융사 서버(300)에서 생성하는 것으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생성된 온라인 아이디 정보의 유지시간을 제한하여 예를 들어, 10초동안만 유지되고 10초 동안 생성된 온라인 아이디 정보가 사용되지 않거나 금융사 서버(300)로 피드백되지 않는 경우 소멸시킴으로써 보안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결제 중개모듈(150)은 운전자 휴대 단말기(60)가 제공된 접속경로를 참조하여 온라인 아이디 정보를 이용하여 신용카드 또는 은행계좌 중 하나를 대체하여 결제가 진행된다.
금융사 서버(300)는 휴대단말기(60)에서 요청된 주유비 결제 요청에 응답하여 휴대단말기(60) 인증을 위한 인증번호나 OTP(One Time Password)를 휴대단말기(60)로 보내고 피드백받아 휴대단말기(60)를 인증할 수도 있다.
데이터베이스(160)는 휴대단말기(60)가 주유비 결제를 요청한 내역, 주유기(50)나 통합 단말기(20)에서 전송한 이미지, 및 금융사 서버로부터 획득한 온라인 아디 정보를 임시, 또는 영구 저장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은 휴대단말기와 주유기(또는 통합 단말기, 이하 생략함)(50), 및 모바일 주유비 결제 시스템 사이의 주유비 지불 프로세스에 대한 참조도면을 도시한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주유 결제 시스템은 운전자의 휴대단말기(60)가 모바일 주유 결제 시스템(100)에 로그인하면, 모바일 주유 결제 시스템(100)은 휴대단말기(60)로 비용 결제에 이용할 카드사, 및 카드사의 신용카드를 선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휴대단말기(60)가 선택한 카드사로 의 접속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모바일 주유 결제 시스템(100)은 은행, 또는 카드사에서 휴대단말기(60) 사용자가 사용할 온라인 아이디 정보의 생성을 요청하여 획득한다.
온라인 아이디 정보는 휴대단말기(60) 사용자가 은행이나 카드사에 사용을 위해 미리 서비스 신청해 두는 것으로, 은행이나 카드사 이외의 금융사(예컨대 카드사)서 은행 계좌정보나 카드정보를 취급하지 못하도록 하는 지역에서도 모바일 금융거래에 이용할 수 있도록 본 출원인이 고안한 것이다.
온라인 아이디 정보는 파일, 또는 숫자와 문자열의 조합으로 형성되는 키 값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온라인 아이디 정보는 고유한 키 값을 나타내나, 그 자체가 계좌번호나 신용카드의 정보를 가지지 않는다. 반면, 온라인 아이디 정보는 은행이나 카드사에서 하나의 은행 계좌나 신용카드에 대응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운전자의 휴대단말기(60) 사용자는 은행이나 신용카드사에 온라인 아이디 정보 사용을 위하여 서비스 신청을 미리 하여야 하고, 은행이나 신용카드사는 휴대단말기(60) 사용자가 선택한 신용카드 및 로그인 정보 또는 폰정보에 매칭되게 생성된 온라인 아이디 정보를 신청에 의하여 생성하여 모바일 주유 결제 시스템(100)에 제공한다. 따라서, 획득된 온라인 아이디 정보는 최종적으로 사용자의 휴대단말기(60)로 제공되지 않고 휴대단말기(60)는 단순히 결제처리 요청과 같은 이벤트 신호만이 발생되도록 하고 모바일 주유 결제 시스템(100)에서는 이러한 이벤트 요청이 들어오는 경우 로그인 정보 또는 폰 번호에 매칭되는 온라인 아이디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처리가 되도록 함으로써 휴대단말기의 분실 등에 의한 카드정보 등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하여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의 휴대단말기(60)는 온라인 아이디 정보를 마치 신용카드 처럼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운전자의 휴대단말기(60)는 온라인 아이디 정보를 이용하여 주유비 결제를 수행 시, 통상의 보안인증 방법과 마찬가지로, 비밀번호 입력의 과정을 거칠 수 있다.
모바일 주유 결제 시스템(100)은 휴대단말기(60)가 로그인 접속 시, 휴대단말기(60)가 결제에 이용할 카드사와 신용카드의 선택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휴대단말기(60)에서 카드사와 신용카드가 선택되면, 선택된 카드사에 해당되는 금융사 서버(300)로 온라인 아이디 정보 생성을 요청하여 획득하고 금융사 서버(300)는 생성된 온라인 아이디 정보를 신용카드에 매칭해 두는 것이다. 휴대단말기(60)는 모바일 결제 시스템(100)이 제공하는 접속경로를 참조하여 온라인 아이디 정보를 이용하여 금융사 서버(300)로 결제 비용을 포함하는 결제 정보를 제공하여 주유비 결제를 요청하며, 금융사 서버(300)는 주유비 결제에 이용되는 신용카드에 대해 비밀번호를 요청하여 결제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프로세스는 휴대단말기(60)가 금융사 서버(300)에 직접 주유비 결제를 진행하는 방식에 대한 개념도를 도시하고 있으나, 모바일 환경에서 주유비 결제를 진행하는 방식은 다양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도 5 내지 도 7을 통해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주유 결제 시스템의 개략적인 주유비 결제과정에 대한 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모바일 주유 결제 시스템(100)은 휴대단말기(60)로부터 카드사 명칭, 카드사에 따른 카드 명칭, 휴대단말기(60)의 폰 번호, 로그인 정보, 온라인 아이디 정보 정보, 및 등록된 카드 명칭별 접속 경로에 대한 정보를 구비할 수 있다.
모바일 주유 결제 시스템(100)은 휴대단말기(60)가 접속하여 로그-인을 수행 시, 휴대단말기(60)로 카드사, 및 카드를 선택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모바일 주유 결제 시스템(100)은 휴대단말기(60)가 접속하여 로그-인을 수행 시, 운전자의 휴대단말기(60)로 카드사, 및 카드에 대한 정보만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휴대단말기에는 모바일 주유 결제 시스템(100)에서 제공하는 카드사, 및 카드 명칭을 순차로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 선택이 가능하도록 하는 결제 앱(App)이 설치될 수 있다.
휴대단말기(60)는 차량(10)에 유류를 주유 후, PG/VAN 서버(400)를 통해 금융사 서버(300)로 비용 결제를 요청할 수 있다. 이때, 휴대단말기(60)는 내장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칩을 통해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주유기(50)로 폰 번호 또는 로그인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들 정보는 암호화될 수 있으며, 주유기(50)는 폰 번호 또는 로그인 정보, 결제금액, 및 가맹점 정보(가맹점 명칭, 가맹점 고유번호, 또는 가맹점 코드)를 모바일 주유 결제 시스템(100)이 제공하는 접속경로를 따라 PG/VAN 서버(400)를 통해 금융사 서버(300)로 전송하여 결제를 요청할 수 있다.
결제 단말기(50)가 PG/VAN 서버(400)를 통해 금융사 서버(300)로 결제를 요청하면, PG/VAN 서버(400)는 결제 단말기(60)로부터 수신된 가맹점 정보와 결제 금액에 대한 정보 및 모바일 중개 시스템(100)으로부터 수신되는 온라인 아이디 정보를 금융사 서버(300)로 제공하여 결제를 요청하며, 금융사 서버로부터 결제가 승인되면 승인 결과를 휴대단말기(60)로 통지할 수 있다. 이때, 승인 결과는 SMS(Short Message Serevice)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주유 결제 시스템의 개략적인 접속 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주유기(50), 또는 통합 단말기(20)는 모바일 주유 결제 시스템(100)에 가맹점 정보, 결제 금액, 휴대단말기(60)의 로그인 정보 또는 폰 번호를 통보하며, 모바일 주유 결제 시스템(100)은 가맹점 정보, 및 금액을 휴대단말기(60)로 통보할 수 있다.
이때, 모바일 주유 결제 시스템(100)은 휴대단말기(60)가 주유비 결제를 진행해야 할 금융사 서버(300)에 대한 접속 경로를 제공할 수 있으며, 휴대단말기(60)는 PG/VAN 서버(400)를 통해 금융사 서버(300)로 접속하여 온라인 아이디 정보, 가맹점 정보, 및 결제 금액을 통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단말기(60)는 온라인 아이디 정보의 키 값이 노출되더라도, 온라인 아이디 정보의 키 값 그 자체로는 카드정보나 개인 신상정보를 포함하지 않으므로, 어떠한 보안상의 문제를 유발하지 않는 바, 금융 거래에 따른 보안 사고가 발생할 여지를 유발하지 않을 수 있다.
PG/VAN 서버(400)는 휴대단말기(60)에서 제공되는 가맹점 정보, 키 값, 및 결제 금액을 금융사 서버(300)로 통보하여 주유비 결제 승인을 요청하고, 금융사 서버(300)(카드사 서버, 또는 은행 서버)는 온라인 아이디 정보의 키 값에 대응하는 은행 계좌를 찾아 매칭하며, 올바른 매칭 결과가 존재할 때, 온라인 아이디 정보에 대한 비용 결제를 승인할 수 있다. 승인 결과는 PG/VAN 서버(400)에 통보되고, PG/VAN 서버(400)는 승인 결과를 휴대단말기(60)로 제공함으로써 비용 결제가 처리될 수 있다.
상기한 결제 방식에 따라, 휴대단말기(60)의 보안 취약성이 상당부분 극복되는 이점을 갖는다. 온라인 아이디 정보는 그 자체로서는 어떠한 종류의 카드정보나 은행 계좌정보를 포함하지 않는다. 다만, 은행이나 카드사에서 실제의 신용카드나 은행 계좌를 찾는데 이용되는 참조 번호와 유사한 특징을 갖는다. 또한, 결제 단말기(60)는 숫자, 문자, 특수문자, 또는 이들 숫자, 문자, 및 특수문자가 선택적으로 조합된 키 값을 금융사 서버(300)로 제공하기 위한 별도의 하드웨어 로직을 요구하지도 않는다. 온라인 아이디 정보의 키 값을 금융사 서버(300)로 제공하기 위한 별도의 부품이나 장치가 요구되지 않으므로, 기존에 운용되는 결제 단말기가 본 발명에서 그대로 이용될 수 있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주유 결제 시스템의 개략적인 접속 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7를 참조하면, 휴대단말기(60)는 주유기(50), 또는 통합 단말기(20)에 마련되는 결제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주유비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주유기(50)(또는 통합 단말기(20), 이하 생략함)는 휴대단말기(60)로 가맹점 정보, 결제 금액을 제공하고, 운전자의 휴대단말기(60)는 모바일 주유 결제 시스템(100)에 로그인하여 원하는 카드사, 및 카드사에 따른 카드를 선택할 수 있다. 휴대단말기(60)가 결제에 이용할 카드를 선택하면, 모바일 주유 결제 시스템(100)은 금융사 서버(300)로 접속할 접속 경로에 대한 정보를 운전자의 휴대단말기(60)로 제공할 수 있으며, 휴대단말기(60)는 모바일 중개 시스템(100)에 의하여 제공되는 접속 경로를 참조하여 PG/VAN 서버(400)를 통해 금융사 서버(300)로 접속하여 가맹점 정보, 결제 금액, 및 온라인 아이디 정보의 키 값을 제공하여 비용 결제를 요청할 수 있다.
휴대단말기(60)는 PG/VAN 서버(400)를 통해 주유비, 키 값, 및 가맹점 정보를 금융사 서버(300)(카드사 서버나 은행 서버)로 제공하여 주유비 결제를 요청하며, 금융사 서버(300)로부터 결제 승인 결과를 수신하여 휴대단말기(6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금융사 서버(300)는 결제 승인 결과를 SMS(Short Message Service)를 이용하여 휴대단말기(60)로 통보할 수 있다.
110 : 웹 서비스 모듈 120 : 온라인 아이디 관리모듈
130 : 위치판단 모듈 140 : 비전인식 모듈
150 : 결제 중개모듈 160 : 데이터베이스

Claims (8)

  1. 주유소에 배치되는 카메라가 주유를 위해 차량이 정차하는 주유 영역을 촬상한 이미지를 제공 시, 상기 주유소, 및 상기 차량의 주유위치를 판단하여, 상기 차량에 주유하고 있는 주유기와 상기 차량을 매칭시키는 위치판단 모듈;
    상기 차량에 대한 주유가 종료된 후, 상기 카메라가 상기 차량에 유류를 제공한 주유기의 계기판에 대한 촬상 이미지를 제공 시, 촬상된 영상에 대해 비전인식을 수행하여 주유 비용에 대한 정보를 판독하는 비전인식 모듈;
    휴대단말기에서 비전인식 모듈에서 판독된 비용 결제를 위한 로그인 접속시, 상기 비용 결제에 이용 가능한 기등록된 카드 또는 은행계좌 목록을 디스플레이하여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 화면 및 상기 휴대 단말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카드사 또는 은행으로의 접속경로를 상기 휴대 단말기로 제공하는 접속 중개모듈; 및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상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다수의 카드 또는 은행 계좌 중 어느 하나가 상기 휴대단말기 사용자에 의해서 선택되는 이벤트 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선택된 신용카드 또는 은행계좌의 금융사 서버로 상기 선택된 신용카드 또는 은행계좌에 대응하는 고유의 키 값을 가지는 1회성 온라인 아이디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요청에 의하여 금융사 서버에서 생성되는 온라인 아이디 정보를 획득하는 온라인 아이디 관리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접속 중개모듈은,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제공된 접속경로를 통하여 상기 온라인 아이디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신용카드 및 은행계좌 중 하나를 대체하여 결제를 진행하며,
    상기 금융사 서버는, 상기 발급된 1회성 온라인 아이디 정보가 소정 시간 이상 결제에 사용되지 않는 경우, 발급된 온라인 아이디 정보를 소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주유 결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아이디 관리모듈은,
    상기 사용자 휴대단말기에서 선택된 신용카드 또는 은행계좌, 사용자 폰 정보 또는 로그인 정보를 해당 금융사 서버로 제시하여 1회성 온라인 아이디 발급을 요청하여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주유 결제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유기는,
    이웃하는 타 주유기의 계기판을 촬상하기 위한 카메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주유 결제 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주유기는 통신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휴대단말기가 상기 비용 결제를 요청 시, 상기 휴대단말기로부터 온라인 아이디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주유 결제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주유기는,
    상기 금융사 서버로 상기 온라인 아이디 정보, 및 가맹점 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주유 비용에 대한 결제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주유 결제 시스템.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주유기는, 상기 휴대단말기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통신모듈;을 구비하며,
    상기 차량에 대한 주유가 종료된 후, 상기 휴대단말기로 주유 정보, 및 가맹점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휴대단말기는, 상기 주유 정보 및 상기 가맹점 정보, 및 온라인 아이디 정보를 상기 접속 중개모듈을 통하여 상기 금융사 서버로 제공하며 상기 주유비 결제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주유 결제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주유기에는 지역, 및 주유 사업자를 식별하기 위한 고유 번호가 표시되며,
    상기 휴대단말기는,
    상기 고유 번호를 상기 금융사 서버로 제공하여 상기 주유비 결제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주유 결제 시스템.
  8. 삭제
KR1020120032410A 2012-03-29 2012-03-29 모바일 주유 결제 시스템 KR1014698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2410A KR101469885B1 (ko) 2012-03-29 2012-03-29 모바일 주유 결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2410A KR101469885B1 (ko) 2012-03-29 2012-03-29 모바일 주유 결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0436A KR20130110436A (ko) 2013-10-10
KR101469885B1 true KR101469885B1 (ko) 2014-12-09

Family

ID=49632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2410A KR101469885B1 (ko) 2012-03-29 2012-03-29 모바일 주유 결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98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9022B1 (ko) * 2016-01-26 2016-12-22 박재덕 유가보조금관리기를 이용한 유가보조금 부정수급 방지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0619518A (zh) * 2018-06-20 2019-12-27 北京聚利科技股份有限公司 加油支付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2304A (ko) * 2006-02-22 2006-03-09 사단법인 금융결제원 휴대폰번호 또는 소정의 가상번호를 이용한 쌍방향금융결제 서비스 방법
KR100852660B1 (ko) * 2007-10-09 2008-08-18 (주)제이슨알앤디 주유 상태 제공 시스템, 주유기, 무선 통신 단말기 및 이를이용한 주유 상태 제공 방법
KR20110084865A (ko) * 2011-06-30 2011-07-26 정영선 모바일 아이디와 접촉/비접촉식 통신을 이용한 모바일 신용카드 결제방법 및 장치
KR20110136056A (ko) * 2010-06-14 2011-12-21 윤주열 주차유도 및 주차위치확인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2304A (ko) * 2006-02-22 2006-03-09 사단법인 금융결제원 휴대폰번호 또는 소정의 가상번호를 이용한 쌍방향금융결제 서비스 방법
KR100852660B1 (ko) * 2007-10-09 2008-08-18 (주)제이슨알앤디 주유 상태 제공 시스템, 주유기, 무선 통신 단말기 및 이를이용한 주유 상태 제공 방법
KR20110136056A (ko) * 2010-06-14 2011-12-21 윤주열 주차유도 및 주차위치확인시스템
KR20110084865A (ko) * 2011-06-30 2011-07-26 정영선 모바일 아이디와 접촉/비접촉식 통신을 이용한 모바일 신용카드 결제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0436A (ko) 2013-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77917B2 (ja) 無線周波数(rf)支払いデバイス
KR101660103B1 (ko) 주유소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20170243410A1 (en) Transaction management method by recognition of the registration number of a vehicle
JP2015518606A (ja) 商品の供給のための装置
CN111862461A (zh) Etc智慧加油系统
JP2018514032A (ja) 駐車場管理方法、駐車場管理サーバ及び駐車場管理システム
KR20140047248A (ko) 차량용 요금결제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84865A (ko) 모바일 아이디와 접촉/비접촉식 통신을 이용한 모바일 신용카드 결제방법 및 장치
KR20120011776A (ko) 역방향 주문결제 방법
KR101245272B1 (ko)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모바일쿠폰 실시간 인증 결제방법 및 장치
KR101677098B1 (ko) ⅠoT컨트롤러를 이용한 주유소 통합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69885B1 (ko) 모바일 주유 결제 시스템
KR20130110437A (ko) 주차관리 시스템
KR20140047249A (ko) 모바일 주유 결제 시스템
KR101845971B1 (ko) 현금인출 기능을 구비한 셀프 주유기 및 그 동작방법
JP5861233B2 (ja) 決済処理システム、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212411287U (zh) Etc智慧加油系统
KR20180137651A (ko) 간편 주유결제 방법
JP2013137780A (ja) 接触および非接触取引における無線周波数識別を用いて支払を動機付け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11348106B2 (en) Vehicle refueling authentication system
KR101048654B1 (ko)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역방향 주문결제 시스템
KR20210009590A (ko) 운전자의 운행에 따른 적립포인트를 이용한 가상화폐 결제시스템
KR101773875B1 (ko) 앱투앱 사용자 직접 결제 방식의 결제 시스템, 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휴대단말기용 애플리케이션
JP5857331B2 (ja) 取引情報登録システム、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WO2017205941A1 (en) A system and method for the control of vehicle oper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