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9590A - 운전자의 운행에 따른 적립포인트를 이용한 가상화폐 결제시스템 - Google Patents

운전자의 운행에 따른 적립포인트를 이용한 가상화폐 결제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9590A
KR20210009590A KR1020190086291A KR20190086291A KR20210009590A KR 20210009590 A KR20210009590 A KR 20210009590A KR 1020190086291 A KR1020190086291 A KR 1020190086291A KR 20190086291 A KR20190086291 A KR 20190086291A KR 20210009590 A KR20210009590 A KR 202100095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r
vehicle
app
smartphone
poi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6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현석
권재형
Original Assignee
장현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현석 filed Critical 장현석
Priority to KR1020190086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9590A/ko
Publication of KR20210009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95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7Payment using discounts or coup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0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funds transfer [EFT]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ome banking system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운전자가 소지하는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App)을 통하여 운전 습관에 따라 포인트가 적립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의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과 통신하는 중앙제어 서버와, 운전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포인트를 가상화폐로 전환하여 운전자의 전자지갑에 전송하는 가상화폐 결제서버와, 차량에 설치되어 차량의 외부 및 내부의 영상 및 음성데이타를 수집하고 저장하며, 상기 앱으로 단거리 통신에 의해 그 데이터를 전송하게 되는 블랙박스와, 자동차의 각종 센서를 통하여 수집되는 정보를 ECU(Engine Control Unit)를 통하여 전달받게 되는 자동차 정보기록장치와, 자동차 정보기록장치에 연동되어 차량의 속도, RPM를 차량 유리창의 전면에 표시하는 한편 운전자의 스마트폰과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증강현실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스마트폰 앱을 통하여 전달되는 정보를 통해, 운전자가 교통 안전 법규를 준수하는 정도에 따라 상기 포인트를 차등적으로 적립하며, 상기 앱은 상기 자동차 정보기록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활용하여 차량의 상태를 파악하고, 운전자는 상기 앱을 통하여 상기 중앙제어 서버에 자신의 차량의 진단을 원격으로 요청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편, 상기 중앙제어 서버는 상기 앱을 통하여 운전자로부터 수집되는 위치를 파악하고, 해당 위치의 주변에 해당하는 주차장의 주차 상황을 상기 앱을 통하여 운전자에게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의 운행에 따른 적립포인트를 이용한 결제시스템.

Description

운전자의 운행에 따른 적립포인트를 이용한 가상화폐 결제시스템{The payment system using accumulated points by driver's operation}
가상화폐(virtual money / virtual currency)는 지폐나 동전과 같은 실물이 없이 네트워크로 연결된 공간에서 전자적 형태로 사용되는 디지털 화폐의 일종이며, 암호화폐(cryptocurrency)라고도 한다. 가상화폐는 달러나 원화와 같은 실물화폐와 달리 화폐를 발행하는 중앙은행 없이 인터넷 네트워크에 P2P 방식으로 분산 저장되어 운영된다.
현재 유통되는 주요 가상화폐로는 비트코인, 비트코인캐시, 이더리움, 이더움 클래식, 리플, 대시, 라이트코인, 모네로 제트캐시, 퀀텀등이 있는데, 가상화폐는 화폐 발행에 따른 생산비용이 전혀 들지 않고 이체비용 등 거래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으며, 보관비용이 들지 않고, 도난/분실의 우려가 없기 때문에 가치의 저장수단으로서의 기능도 뛰어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운전자의 운행에 따른 적립포인트를 이용한 가상화폐 결제시스템은 운전자가 자신의 운전 습관(주행 거리, 안전법규 준수, 차량의 운행 습관 등)에 따라 운전자의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을 통하여 일정한 포인트를 적립받고, 이렇게 적립된 포인트를 가상화폐로 전환하여 자동차 보험료, 자동차 정비소, 세차장, 유료 주차장 등에 법정 화폐와 동일한 효력으로 결제할 수 있는 IOT 기반의 전자 결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화폐는 재화나 서비스에 대한 교환수단으로 발생하였으며, 화폐 자체가 갖는 자산으로서의 가치도 있다. 이러한 화폐의 기능은 그 화폐가 갖는 안정성 및 신뢰성을 바탕으로 성립된다. 따라서, 대부분의 화폐는 국가가 이러한 안정성과 신뢰성을 책임지고 보장하는 화폐를 국가차원에서 발행하게 되며, 이를 법정화폐라 한다.
하지만, 법정화폐는 지역(국가간)과 세금에 대한 사용상의 규제와 제한이 발생하므로 이를 극복하고자 하는 새로운 Needs로 블록체인(Block Chain) 암호화 기술 기반의 가상(암호)화폐가 탄생하였으며, 가상화폐는 가상경제라는 새로운 경제영역을 만들어 가고 있다.
그 중에서 비트코인(Bitcoin)은 실제 생활에서 쓰이는 화폐가 아니라 온라인 거래상에서 쓰이는 가상화폐로서, 2008년 '사토시 나카모토’라는 정체불명의 인물이 각국의 중앙은행이 화폐 발행을 독점하고 자의적인 통화정책을 펴는 것에 대한 반발로 고안해 낸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2009년부터 통용되기 시작했다.
비트코인(Bitcoin)을 비롯한 가상통화(Virtual Currency)에 대한 법 규정을 도입 및 검토해야 한다는 의견과 동시에 금융사업이 큰 전환점을 맞고 있다. 핀테크(FinTech)로 불리는 IT를 활용한 혁신적인 금융서비스 사업의 모퉁이에 논란이 많은 것이 가상화폐이고, 일련의 금융서비스의 일부 분야에 특화되어 IT를 활용한 새로운 비즈니스 및 서비스를 전개하는 다른 핀테크와 비교하면, 송금, 결제, 금융상품 통화 등 활용범위가 매우 광범위하다.
그러나, 이러한 가상화폐가 가지고 있는 가장 큰 문제점은 가상화폐보유자(고객)가 결제수단으로 가상화폐를 사용할 때, 거래당사자인 가맹점이 해당 가상화폐와의 연관성이 전혀 없으므로 신뢰할 만한 결제수단으로 받아들이기 어렵다는 것이다. 즉, 교환수단으로서의 가상화폐에 있어, 판매자(가맹점)가 가상화폐와의 아무런 이해관계가 없음으로 가상화폐를 교환수단으로 인정하고 가맹점의 재화 또는 서비스를 가상화폐 고객에게 제공할 아무런 동기가 발생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가상화폐는 화폐의 주기능인 교환수단이 없는 단순한 투기적 자산으로 인식되어 가상화폐 자체를 사고파는 투기적 과열 양상을 보이게 되고 있는 작금의 실정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운전자의 운행에 따른 적립포인트를 이용한 결제시스템은 운전자의 운전 습관(교통법규 준수, 급발진/급제동 여부, 과속 여부 등)에 따라 그 적립되는 포인트에 차등을 둠으로써 운전자의 안전 운전을 자연스럽게 유도하여 교통질서의 확립이라는 공익적 목적의 달성을 도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운전자의 운행에 따른 적립포인트를 이용한 결제시스템은 법정 화폐의 주기능인 교환수단으로서 가상화폐의 활용성을 보다 높임으로써, 가상화폐 보유자가 안전하고 신뢰할 만한 거래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운전자의 운행에 따른 적립포인트를 이용한 결제시스템은 운전자가 스스로 보유하고 있는 포인트를 가상화폐로 언제든지 전환하여 가상화폐 거래소를 통한 거래에 의해 투자 이익의 실현도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자본주의 시장질서에 부합되는 부의 증식에도 이바지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운전자의 운행에 따른 적립포인트를 이용한 결제시스템은 차량의 안전 진단 및 정비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함으로써 운전자의 안전 확보를 극대화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한편,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운전자의 운행에 따른 적립포인트를 이용한 결제시스템은 실시간으로 운전자에게 주차가 용이한 근거리 장소를 전달하여 ckfif 이용에 다른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운전자의 운행에 따른 적립포인트를 이용한 가상화폐 결제시스템은,
운전자가 소지하는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App)을 통하여 운전 습관에 따라 포인트가 적립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의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과 통신하는 중앙제어 서버;
운전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포인트를 가상화폐로 전환하여 운전자의 전자지갑에 전송하는 가상화폐 결제서버;
차량에 설치되어 차량의 외부 및 내부의 영상 및 음성데이타를 수집하고 저장하며, 상기 앱으로 단거리 통신에 의해 그 데이터를 전송하게 되는 블랙박스;
자동차의 각종 센서를 통하여 수집되는 정보를 ECU(Engine Control Unit)를 통하여 전달받게 되는 자동차 정보기록장치;를 포함하고,
자동차 정보기록장치에 연동되어 차량의 속도, RPM를 차량 유리창의 전면에 표시하고, 한편 운전자의 스마트폰과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증강현실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스마트폰 앱을 통하여 전달되는 정보를 통해, 운전자가 교통 안전 법규를 준수하는 정도에 따라 상기 포인트를 차등적으로 적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스마트폰 앱을 통하여 전달되는 정보를 통해, 차량의 주행거리에 따라 상기 포인트를 차등적으로 적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스마트폰 앱을 통하여 전달되는 정보를 통해, 운전자가 급출발, 급정지와 같은 운전 습관에 따라 상기 포인트를 차등적으로 적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운전자에게 적립되는 상기 포인트는 운전자가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폰의 화면에 항상 표시되거나, 운전자의 선택에 의해 상기 앱의 실행시에만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고,
상기 앱은 상기 자동차 정보기록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활용하여 차량의 상태를 파악하고, 운전자는 상기 앱을 통하여 상기 중앙제어 서버에 자신의 차량의 진단을 원격으로 요청할 수 있고, 더불어 자신의 차량에 대한 출장 정비를 상기 중앙제어 서버에 신청하는 것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운전자의 운행에 따른 적립포인트를 이용한 결제시스템은 운전자의 운전 습관(교통법규 준수, 급발진/급제동 여부, 과속 여부 등)에 따라 그 적립되는 포인트에 차등을 둠으로써 운전자의 안전 운전을 자연스럽게 유도하여 교통질서의 확립이라는 공익적 목적에 부합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운전자의 운행에 따른 적립포인트를 이용한 결제시스템은 법정 화폐의 주기능인 교환수단으로서 가상화폐의 활용성을 보다 높임으로써, 실물 경제에 있어서 화폐 거래의 안전성과 신뢰도 및 보안성을 높이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운전자의 운행에 따른 적립포인트를 이용한 결제시스템은 운전자가 스스로 보유하고 있는 포인트를 가상화폐로 언제든지 전환하여 가상화폐 거래소를 통한 거래에 의해 투자 이익의 실현도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단순히 교환수단으로서의 통화에서 나아가 통화의 저장 및 투자가치를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운전자의 운행에 따른 적립포인트를 이용한 결제시스템은 운전자가 자신의 스마트폰으 통하여 신속하고 편리하게 차량의 기계적 상태를 파악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차량의 정비에 대한 신속성과 정확성을 높이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운전자의 운행에 따른 적립포인트를 이용한 결제시스템은 차량의 안전 진단 및 정비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함으로써 운전자의 안전 확보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운전자의 운행에 따른 적립포인트를 이용한 결제시스템은 주행거리, 안전운전 및 교통법규 준수 등으로 인한 포인트의 차등 적립으로 인하여 운전자의 올바른 운전을 유도하고, 운전자에게는 그에 맞는 금전적 보상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운전자에게 운행 안전성과 경제적 만족을 동시에 주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 대하여 가상화폐의 활용성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에 따른 결제시스템은 운전자가 자신의 휴대폰을 소지한 상태에서 운전을 하는 경우, 그 운전의 습관 및 성향 등에 따라 경제적인 가치를 가지는 포인트가 운전자의 개인 전자지갑에 적립이 되고, 운전자는 원하는 경우 해당 적립된 포인트를 언제든지 가상화폐로 환전하여 각종의 재화를 구입하는 데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이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운전자는 자신의 스마트폰에 특정한 어플리케니션(Application; 이하, 줄여서 '앱'이라 칭하기로 한다.)을 설치해야 한다. 상기 앱은 운전자가 운행하는 차량으로부터 차량에 관한 각종의 정보(예를 들어 과전압, 과열, 엔진의 미스파이어 등을 포함하는 상태 정보와 급가속, 급정거, 차량 충격 등을 포함하는 운전 정보)를 수신받고 취함하여 후술하는 중앙제어 서버(관리자가 운영)로 송신하는 역할을 한다.
결국 상기 앱은 운전자의 스마트폰을 통해서 운전자와 관리자를 연결시켜 주는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앱의 설치 방식은 스마트폰에서 통상의 앱을 설치하는 방식과 동일한 방식에 의하는 것으로서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중앙제어 서버는 관리자가 운영하는 것으로서, 운전자자 운행하는 차량의 정보를 운전자의 스마트폰으로부터 전달받고 이렇게 취합된 데이터를 저장/관리하는 기능을 한다. 중앙제어 서버는 스마트폰 앱을 통하여 전달되는 정보를 통해, 운전자가 교통 안전 법규를 제대로 준수하는 지에 대한 사항, 주행 거리에 관한 사항 및 급출발/급정지와 같은 운전 습관들을 파악하여 정해진 프로그램에 따라 운전자에게 그에 부합하는 포인트를 지급하게 된다.
운전자는 자신의 스마트폰에 적립된 포인트를 원하는 시점에서 언제든지 관리자가 제공하는 특정의 가상화폐로 환전하는 것이 가능하다. 가상화폐는 거래소에 상장되어 그 특성상 시세가 시간에 따라 변동되는 것이므로, 포인트를 환전하는 하는 시점의 가상화폐의 시세에 따라 환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후 운전자는 주어지는 가상화폐를 가지고 자동차 보험료, 자동차 수리비, 자동차 세차비 등을 지급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가상화폐 결제서버는 상기와 같이 운전자의 환전 요구에 따라 포인트를 그 시점에서의 시세 맞추어 운전자의 전자지갑에 가상화폐를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가상화폐 결제서버는 운전자의 신원, 운전자의 본인 인증키, 전자지갑의 주소 및 운전자의 적립된 포인트, 그 중에서 사용된 포인트 및 잔여 포인트, 전송된 가상화폐 수량, 거래 일시 등에 관한 사항은 블록체인 방식에 의해서 저장하게 된다.
블록체인에 따른 가상화폐의 저장 방식은 통상의 블록체인 방식(복수개의 노드(node)에 따른 동의를 거처 이전 블록과 특정한 암호에 의해 저장되는 방식)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자동차 정보기록장치는 차량에 부착된 각종의 센서를 통하여 수집되는 정보를 ECU(Engine Control Unit)를 통하여 전달받게 된다. 이러한 정보기록장치는 ECU로부터 전달받은 각종의 차량 정보를 운전자의 스마트폰으로 보내게 된다. 이후 스마트폰은 상기의 정보들을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중앙제어 서버로 송신하게 된다. 자동차 정보기록장치는 대표적으로 OBD(On Board Diagnostics)를 사용할 수 있는데, OBD는 전기/전자적인 차량의 작동 상태를 확인하고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양한 차량 정보를 운전자에게 보여주는 트립 컴퓨터로서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는 것이다.
블랙박스는 차량에 설치되어 차량의 외부 및 내부의 영상 및 음성데이타를 수집하고 저장하며, 운전자의 스마트폰으로 그렇게 최합된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블랙박스는 'Dashboard camera'(줄여서 Dashcam이라고도 함)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최근의 차량에는 여러 가지 이유에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는데, 카메라와 녹화장치가 내장되어 있어서, 동영상과 음성을 녹화한다.
앞서 설명한 정보기록장치 및 블랙박스는 운전자의 스마트폰과 근거리 통신에 의해 자신들의 데이터를 전달하게 된다. 근거리 통신의 방식으로는 Wi-Fi, 비콘(Beacon) 방식, 블루투스 방식 등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비콘방식의 경우 소비하는 전력이 적으며 통신 가능 거리가 50~70m에 이르며, 운전자의 위치까지 정확하게 파악이 가능하므로, 운전자가 차량에 접근할 경우 자동으로 앱을 실행시켜 차량의 정보를 운전자의 스마트폰에 바로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다.
블루투스는 10m 정도의 거리에서 활성화되는 저전력 통신 방식으로서, 블루투스를 활용하는 경우 장치간의 연결시 암호를 저장하여 둠으로써, 필요에 따라 운전자 이외의 제3자가 자신의 스마트폰으로 차량의 장치와 연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등을 활용할 수도 있는데, 비콘신호는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데이터를 전송 가능하여 판매자 정보와 같은 다양한 데이터를 용이하게 전파할 수 있다.
물론, 상기와 같은 무선통신에 의하지 아니하고 유선 방식에 의해 장치들간의 통신하도록 하는 방법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예를 들어, OBD를 블랙박스에 유선으로 연결하고, 블랙박스는 스마프폰과 와이파이,블루투스 등에 의해서 무선 통신하게 하는 경우도 가능할 것이다. 물론, OBD와 블랙박스가 스마트폰에 각각 직접 데이터를 전달하도록 연동시키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것이다.
장치간의 통신방식을 무선으로 하느냐, 유선으로 하느냐, 또는 유선과 무선의 조합하느냐는 본 발명의 요지를 구성하는 것이 아닌 만큼 어떠한 방식을 취하든지 그러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단순한 설계 변형에 불과한 것으로서,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증강현실장치(Augmented Reality Device)는 자동차 정보기록장치(예를 들어 OBD 등)에 연동되어(유선 또는 무선 연결) 차량의 속도, RPM를 차량 유리창의 전면에 표시하는 것으로서, 운전자의 스마트폰과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증강형실장치로서는 대표적인 것이 HUD(Head Up display)이다.
HUD는 유리창에 각종의 운행 정보를 표시해주는 것으로서, OBU(Om Board Unit) 또는 OBD 등에 연동되어 차량의 속도, RPM, 현재 시각 정도만 표시하는 단순형부터 네비게이션에 연동되어 유리창에 표시해주거나 차량 센서와 연동되어 후측방 경보, 차선이탈정보 등을 표시해주는 것도 있다. 최근에는 스마트폰과 연동되어 내비게이션은 물론 통화, SNS, 이메일 등 스마트폰의 화면을 그대로 보여주는 것도 제시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HUD는 OBD에 연동되어 OBD로부터 정보를 전달받아 디스플레이하는 동시에 스마트폰으로 그러한 정보들을 송신(유/무선 모두 가능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UD는 주행중에 차량의 유리창에 각종의 운행 정보를 표시함으로써 운전자에게 보다 편리하게 운행 정보를 제공하고, 이룰 통하여 보다 안전 운전을 유도하는효과를 가진다.
한편, 앱은 OBD와 같은 자동차 정보기록장치 또는 HUD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활용하여 차량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파악하고, 운전자는 앱을 통하여 중앙제어 서버에 자신의 차량의 진단을 원격으로 요청할 수 있고, 또한 그에 따라서 운전자는 앱을 통하여 중앙제어 서버에 자신의 차량에 대한 출장 정비를 신청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후 중앙제어 서버는 파악된 운전자의 위치에 따라 가장 근거리의 정비소와 교신하여 운전자에게 신속한 수리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중앙제어 서버는 앱을 통하여 운전자로부터 수집되는 위치를 파악하고, 해당 위치의 주변에 해당하는 주차장의 주차 상황을 상기 앱을 통하여 운전자에게 알리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이러한 사항이 가능하기 위해서 중앙제어 서버는 다수의 주차장에 대하여 어느 정도의 공간이 확보되어 있는지를 파악하고 있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중앙제어 서버는 각 주차장의 서버와 통신하여 주차상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있어야 할 것이다.
중앙제어 서버는 앱을 통하여 운전자로부터 수집되는 위치를 파악하고, 해당 위치의 주변에 해당하는 차량 정비소를 운전자의 선택에 따라 앱을 통하여 운전자에게 안내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차량의 진단을 원격으로 요청하거나 차량에 대한 출장 정비를 신청하거나 운전자의 주변에 해당하는 차량 정비소를 안내하거나 하는 등의 서비스는 운전자의 신청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일정한 요건이 충족되는 경우 중앙제어 서버가 판단하여 운전자의 신청이 없는 경우라 하더라도 자동적으로 이루어지게 할 수도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형예 역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을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4)

  1. 운전자가 소지하는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App)을 통하여 운전 습관에 따라 포인트가 적립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의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과 통신하는 중앙제어 서버;
    운전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포인트를 가상화폐로 전환하여 운전자의 전자지갑에 전송하는 가상화폐 결제서버;
    차량에 설치되어 차량의 외부 및 내부의 영상 및 음성데이타를 수집하고 저장하며, 상기 앱으로 단거리 통신에 의해 그 데이터를 전송하게 되는 블랙박스; 및
    자동차의 각종 센서를 통하여 수집되는 정보를 ECU(Engine Control Unit)를 통하여 전달받게 되는 자동차 정보기록장치를 포함하고,

    자동차 정보기록장치에 연동되어 차량의 속도, RPM를 차량 유리창의 전면에 표시하고, 한편 운전자의 스마트폰과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증강현실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스마트폰 앱을 통하여 전달되는 정보를 통해, 운전자가 교통 안전 법규를 준수하는 정도에 따라 상기 포인트를 차등적으로 적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스마트폰 앱을 통하여 전달되는 정보를 통해, 차량의 주행거리에 따라 상기 포인트를 차등적으로 적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스마트폰 앱을 통하여 전달되는 정보를 통해, 운전자가 급출발, 급정지와 같은 운전 습관에 따라 상기 포인트를 차등적으로 적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운전자에게 적립되는 상기 포인트는 운전자가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폰의 화면에 항상 표시되거나, 운전자의 선택에 의해 상기 앱의 실행시에만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앱은 상기 자동차 정보기록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활용하여 차량의 상태를 파악하고, 운전자는 상기 앱을 통하여 상기 중앙제어 서버에 자신의 차량의 진단을 원격으로 요청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의 운행에 따른 적립포인트를 이용한 결제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앱은 상기 자동차 정보기록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활용하여 차량의 상태를 파악하고, 운전자는 상기 앱을 통하여 상기 중앙제어 서버에 자신의 차량에 대한 출장 정비를 신청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의 운행에 따른 적립포인트를 이용한 결제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제어 서버는 상기 앱을 통하여 운전자로부터 수집되는 위치를 파악하고, 해당 위치의 주변에 해당하는 주차장의 주차 상황을 상기 앱을 통하여 운전자에게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의 운행에 따른 적립포인트를 이용한 결제시스템.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제어 서버는 상기 앱을 통하여 운전자로부터 수집되는 위치를 파악하고, 해당 위치의 주변에 해당하는 차량 정비소를 운전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앱을 통하여 운전자에게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의 운행에 따른 적립포인트를 이용한 결제시스템.

KR1020190086291A 2019-07-17 2019-07-17 운전자의 운행에 따른 적립포인트를 이용한 가상화폐 결제시스템 KR202100095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6291A KR20210009590A (ko) 2019-07-17 2019-07-17 운전자의 운행에 따른 적립포인트를 이용한 가상화폐 결제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6291A KR20210009590A (ko) 2019-07-17 2019-07-17 운전자의 운행에 따른 적립포인트를 이용한 가상화폐 결제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9590A true KR20210009590A (ko) 2021-01-27

Family

ID=74238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6291A KR20210009590A (ko) 2019-07-17 2019-07-17 운전자의 운행에 따른 적립포인트를 이용한 가상화폐 결제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959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6146B1 (ko) * 2022-05-11 2023-02-10 솔트 주식회사 미용기기 연동형 마일리지 적립 서비스 제공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6146B1 (ko) * 2022-05-11 2023-02-10 솔트 주식회사 미용기기 연동형 마일리지 적립 서비스 제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15143B2 (en) Network-based system for showing cars for sale by non-dealer vehicle owners
CN105659268A (zh) 用于安全车载支付交易的机制
KR20060008900A (ko) 지불 장치와 방법
JP6900509B2 (ja) 共通料金支払い及び収受システム
KR20150129336A (ko) 주차 요금 결제 처리 방법 및 그 처리 시스템
JP5848107B2 (ja) 電子マネー管理サーバ、電子マネー決済処理方法および現金払出処理方法
KR20200012649A (ko) 암호화폐를 통한 결제 방법 및 이를 위한 결제매체
JP2021176098A (ja) 施設管理装置、施設管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施設管理システム
JP5102254B2 (ja) 自動料金支払いシステムにおける車載器
KR20210009590A (ko) 운전자의 운행에 따른 적립포인트를 이용한 가상화폐 결제시스템
KR20130110437A (ko) 주차관리 시스템
KR20210009589A (ko) 운전자의 운행에 따른 적립포인트를 이용한 가상화폐 결제시스템
JP6954538B2 (ja) 車両通過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車両通過情報処理方法
JP2018139040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料金算出装置、情報処理方法、料金算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ITMI20121237A1 (it) Sistema per effettuare e verificare il pagamento delle tariffe dei parcheggi.
KR20060090846A (ko) 주유소에서의 주유 요금 결재시스템 및 결재처리 방법
KR20140047249A (ko) 모바일 주유 결제 시스템
JP6608214B2 (ja) 駐車サービス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装置
JP7069228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方法
KR101246035B1 (ko) 앱신용카드를 이용한 상거래 시스템과 방법
TWI666601B (zh) 基於自助販賣交易之系統及其方法
KR102033576B1 (ko) 전자 결제 시스템, 장치 및 방법
KR20130110436A (ko) 모바일 주유 결제 시스템
JP5857331B2 (ja) 取引情報登録システム、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602625B1 (ko) 고속버스 승차권 결제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