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6152B1 - 셀프 주유기의 주유방법 - Google Patents

셀프 주유기의 주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6152B1
KR100506152B1 KR1019980006005A KR19980006005A KR100506152B1 KR 100506152 B1 KR100506152 B1 KR 100506152B1 KR 1019980006005 A KR1019980006005 A KR 1019980006005A KR 19980006005 A KR19980006005 A KR 19980006005A KR 100506152 B1 KR100506152 B1 KR 1005061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bricator
determining whether
nozzle
amount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6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70888A (ko
Inventor
유승엽
이재홍
봉현철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800060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6152B1/ko
Publication of KR199900708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08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6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61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08Arrangements of devices for controlling, indicating, metering or registering quantity or price of liquid transferr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06Q20/202Interconnection or interaction of plural electronic cash registers [ECR] or to host computer, e.g. network details, transfer of information from host to ECR or from ECR to EC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5/00Coin-freed apparatus with meter-controlled dispensing of liquid, gas or electricit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oading And Unloading Of Fuel Tanks Or Sh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셀프 주유기의 주유방법에 관한 것으로, 주유기의 작동을 위한 전원이 온상태인가를 판단하는 단계(S100)와, 전원이 온되었을 때에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단말기와 데이터통신을 개시하는 단계(S101)와, 노즐이 온상태인가를 판단하는 단계(S102)와, 조작패널(20)의 디스플레이부(22)를 초기화시키는 단계(S103)와, 노즐이 온상태일 때에 주유할 연료의 양이 정액에 따라 설정되었나를 판단하는 단계(S104)와, 설정된 값을 저장하고 디스플레이부(22)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S105)와, 설정이 완료된 후에 취소키(28)가 입력되었나를 판단하는 단계(S106)와, 취소키(28)의 입력이 없다면 주유기의 방아쇠가 작동되었나를 판단하는 단계(S107)와, 주유기의 방아쇠가 작동되는 것을 감지하여 유압밸브 및 디스플레이부(22)를 제어하는 단계(S108)와, 상기 단계(S104)에서 설정된 설정값에 도달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09)와, 설정값이 도달하였을 때에 솔레노이드밸브를 오프상태로 절환시키는 단계(S110)와, 노즐이 오프되었나를 판단하여 오프되었을 때에 단계(S102)로 복귀하는 단계(S111)로 이루어져 주유기의 조작패널의 간단한 조작 및 조작패널을 통해 조작된 정액에 해당하는 정량만큼 자동으로 주유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향상 및 주유소의 경비를 절감시킨 주유방법을 제공한 것이다.

Description

셀프 주유기의 주유방법
본 발명은 주유기의 주유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셀프 주유기로 주유원 또는 주유원이외의 셀프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스스로 자동차나 연료통 등에 일정량의 연료를 주유할 때, 주유할 연료의 정량이나 정액에 따라 연료를 주유할 수 있도록 한 셀프 주유기의 주유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주유기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나뉘어져 있고, 수동의 경우에는 주유기에 구성된 레버 및 밸브의 작동에 의해 레버를 누르는 것에 따라 밸브의 개폐로 연료가 공급 또는 차단되도록 한 것이고, 자동의 경우에는 주유기의 노즐을 주유할 자동차나 연료통에 삽입한 상태에서 레버를 계속 작동시켜 두면 노즐의 일측에 장착된 센서가 연료의 충전상태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레버를 구동시켜 연료의 공급을 차단시키도록 한 것이 있다. 즉, 수동의 경우에는 주유기의 레버를 일시적으로 사용자가 손으로 계속 누르고 있어야 하지만, 자동일 경우에는 주유기의 레버를 연속상태로 조작시켜 두는 것으로, 사용자가 직접 레버를 조작시키지 않아도 연료가 소정의 양만큼 주유되게 되면 센서의 작동에 의해 레버가 자동으로 해제되어 주유상태가 차단되도록 한 것이다.
종래의 자동 주유기의 전면 일측에 부착된 조작패널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단에 금액 또는 주유량을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부(12)와, 숫자, 금액 또는 복수의 입력키로 구성된 키입력부(14)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조작패널(10)은 내장된 CPU 및 각종 제어용 수단 등이 연결되어 있고, 입력되는 키의 조작에 따라 CPU의 제어로 연료의 주유상태나 주유설정 및 상태표시 등이 구동된다.
이러한 종래의 주유기중에서 자동 주유기의 주유제어 및 그 방법은 도 2의 흐름도에서, 최초에 주유기를 구동시켜 작동상태가 되면, 단계(S10)에서 주유원이 직접 주유기를 조작하여 연료의 주유가 시작된다. 이때, 단계(S11)에서 주유원이 주유기를 작동시키면, 내장된 CPU는 주유기의 작동이 온상태인가를 판단한다. 단계(S12)에서는 주유기의 작동이 온상태일 경우에는 주유기의 주유레버가 자동모드인지 수동모드인지를 판단하게 되고, 자동모드일 경우에는 단계(S13)와 같이 정액, 정량 또는 만충전에 따른 센서가 작동된다. 그러므로 단계(S14)에서 노즐의 일단에 장착된 센서가 온상태인지를 판단하게 되고, 센서가 온상태가 되면, 단계(S15)에서 주유기의 작동을 오프상태로 절환시켜 주유상태를 차단시킨다.
그러나, 상기 단계(S12)에서 주유레버의 모드가 수동모드일 경우에는 단계(S16)에서와 같이 정액, 정량만큼만 주유가 이루어진다. 즉, 이때는 주유원이 주유기의 레버를 손으로 잡고 있는 상태에서 조작패널상의 디스플레이부(12)를 주시하면서 해당되는 정액 또는 정량만큼만 연료를 주유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단계(S17)에서 주유원이 디스플레이부(12)에 나타난 수치를 판단한 다음에 주유기의 레버를 해제시키면, 주유기의 작동이 오프되어 주유가 차단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주유기의 경우에는 주유원이 주유레버의 조작을 자동 또는 수동으로 조작하는 것에 따라 주유방법이 결정된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주유소에서 판매하는 연료는 주유원이 직접 판매 및 서비스의 목적으로 주유를 하기 때문에 훈련된 주유원에 의한 주유기의 조작이 능숙하여 정액이나 정량에 대해 적절하게 주유를 할 수 있지만, 연료를 구매하기를 원하는 사용자가 직접 셀프서비스로 전환된 상태에서는 주유기의 조작이 미숙하여 정액 또는 정량만큼 주유하기란 쉽지 않았다. 즉, 셀프서비스로 주유를 할 때에 주유하려는 정액이나 정량만큼 정확하게 주유를 할 수 없게 되면 정액이나 정량보다 많게 주유하거나 정액이나 정량만큼 주유하기 위해 여러번에 걸쳐 주유레버를 조작해야하는 불편이 뒤따랐다. 또는 주유중에 주유정도를 용이하게 판단하지 못해 연료를 외부로 흘려 연료를 낭비하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셀프서비스의 경우에 사용자가 원하는 정액이나 정량을 조작패널을 통해 설정을 한 후에 주유를 하여야 하므로 조작패널을 조작하기도 쉽지 않았던 문제점 등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주유기의 조작패널을 간단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하고, 조작패널을 통해 조작된 정액에 해당하는 정량만큼 자동으로 주유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킨 셀프 주유기의 주유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 목적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주유기의 작동을 위한 전원이 온상태인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전원이 온되었을 때에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단말기와 데이터통신을 개시하는 단계와, 노즐이 온상태인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조작패널의 디스플레이부를 초기화시키는 단계와, 노즐이 온상태일 때에 주유할 연료의 양이 정액에 따라 설정되었나를 판단하는 단계와, 설정된 값을 저장하고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와, 설정이 완료된 후에 취소키가 입력되었나를 판단하는 단계와, 취소키의 입력이 없다면 주유기의 방아쇠가 작동되었나를 판단하는 단계와, 주유기의 방아쇠가 작동되는 것을 감지하여 유압밸브 및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설정된 설정값에 도달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설정값이 도달하였을 때에 솔레노이드밸브를 오프상태로 절환시키는 단계와, 노즐이 오프되었나를 판단하여 오프되었을 때에 상기 노즐이 온되었나 판단하는 단계로 복귀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셀프 주유기의 주유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셀프 주유기의 실시예로 나타낸 조작패널의 정면도로, 조작패널(20)은 셀프서비스를 원하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조작패널(20)의 상단일측에는 입력된 정액이 표시되는 복수의 7-세그먼트가 구성된 디스플레이부(22)가 포함되어 있고, 조작패널(20)의 하단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정액을 입력시킬 수 있는 복수의 입력키(24-28)가 포함되어 있다. 상기 복수의 입력키(24-28)는 만원(₩10,000)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키(24), 오천원(₩5,000)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키(25), 천원(₩1,000)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키(26), 백원(₩100)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키(27) 및 입력한 금액을 취소할 수 있는 입력키(28) 등이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복수의 입력키(24-28)로 사용자가 원하는 금액을 설정하여 입력 또는 취소시킬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일만오천원을 설정할 경우에는 만원짜리 입력키(24)와 오천원짜리 입력키(25)를 각각 1회 누르므로써 설정이 가능하고, 이 설정된 금액은 해당하는 입력키(24-27)를 누를 때마다 디스플레이부(22)에 표시된다. 디스플레이부(22)에 표시되는 금액은 입력키의 입력때마다 가산되어 표시된다. 또한 사용자가 금액을 설정할 때, 입력키(24-27)를 오조작시켜 원하지 않는 금액이 디스플레이부(22)에 표시되게 되면, 이를 삭제하거나 초기화시키기 위하여 취소키(28)를 누르면 된다.
본 발명의 조작패널(20)은 금액을 설정하는 입력키 대신에 주유할 연료의 양을 설정할 수 있는 입력키를 구성하여 입력할 수도 있다. 즉, 금액이 기입된 입력키및/또는 정량이 기입된 입력키를 병설하여 정액 및/또는 정량을 입력하여 주유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설정된 조작패널을 이용하여 셀프서비스를 원하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조작 및 연료를 주유할 수 있도록하는 주유방법에 대하여 도 4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단계(S100)에서는 주유기의 작동을 위한 전원이 온상태인가를 판단하게 되는 데, 이는 주유기를 구동시키기 위하여 최초에 외부로부터 전원을 입력시켜야 하고, 전원이 입력된 상태에서 셀프서비스용 주유기가 작동을 시작을 하게 된다. 단계(S101)은 상기 단계에서 주유기로 전원이 인가되어 주유기가 온상태가 되었을 때, 주유기와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단말기와 데이터통신을 개시하는 것으로, 단말기는 주유소에 설치된 복수의 주유기를 제어하거나 각 주유기로부터 발생된 데이터를 통신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각 주유기를 통해 설정되어 입력된 금액과, 주유기를 통해 공급된 연료의 양과, 탱크에 잔류된 연료량의 점검 등, 주유기의 제어에 필요한 데이터신호 등을 제어하여 전체 주유기의 작동상태를 감시 및 저장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데이터통신은 POS(Point-of-Sales)통신이 사용되며, POS통신은 상품의 판매와 동시에 그 데이터를 바코드리드 등의 단말기로부터 주 컴퓨터에 입력하여 매상이나 재고관리를 하도록 한 시스템이다.
단계(S102)에서는 주유기의 데이터통신이 이루어지면, 노즐이 온상태인가를 판단하게 되는 데, 주유기의 노즐박스로부터 노즐을 빼냄과 동시에 주기판에 장착된 CPU에서 작동신호를 주유기에 내장된 모터에 전달하게 된다. 즉, 주유기의 노즐박스에서 노즐을 빼내면 온상태가 되고, 노즐을 노즐박스에 다시 집어 넣으면 오프상태가 된다.
단계(S103)은 조작패널(20)에 구성된 디스플레이부(22)를 구동시켜 초기화시킨다.
단계(S104)에서는 노즐이 온상태일 때에 주유할 연료의 양이 정액에 따라 설정되었나를 판단한다. 즉, 단계(S105)에서 사용자가 노즐을 노즐박스로부터 인출한 후에 조작패널(20)에 구성된 입력키를 조작하여 원하는 금액을 설정하면, 설정된 금액에 대한 데이터는 CPU로 입력되고, CPU는 입력된 금액에 대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22)에 표시한다. 이때 CPU는 입력된 데이터를 POS통신을 통해 단말기로 출력시킨다. 또한 CPU는 상기 설정되어 입력된 금액을 판단하여 해당되는 금액에 대한 연료의 양을 판단하게 되고, 이는 주유시에 금액에 해당되는 연료량을 결정하게 된다. 단계(S106)에서는 상기 단계(S104)에서 설정된 금액이 정상적으로 입력되었나를 판단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오조작에 의한 입력이 있을 경우에는 취소키(28)의 입력을 판단하는 것이다. 만약, 취소키(28)가 입력되었다면, 상기 단계(S104)로 복귀하여 재입력을 기다리게 된다.
단계(S107)에서는 취소키(28)의 입력이 없고 주유기의 방아쇠(레버)가 작동되었을 경우로, 조작패널(20)을 통해 설정된 금액을 정정하거나 취소하지 않고, 설정된 금액만큼 주유를 시작하는 때이다. 이때는 사용자가 미리 노즐을 자동차나 연료통의 주입구에 삽입한 상태이다.
단계(S108)에서는 CPU에서 주유기의 방아쇠가 작동되는 것을 감지하여 유압밸브 및 디스플레이부(22)를 제어하는 것으로, 상기 단계(S107)에서의 방아쇠 작동과 동시에 급유량 및 급유액에 대하여 모터풀리, 펌프흡입, 유량계, 카운터, CPU 및 디스플레이부(22)를 통해 구동 및 표시되는 것이다.
단계(S109)에서는 상기 단계(S104)에서 설정된 설정값에 도달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즉, 연료의 주유가 시작된 시점으로부터 설정된 연료의 공급량을 계산하여 설정값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는 것이다.
이는 단계(S110)에서 설정값이 도달하였을 때에 솔레노이드밸브를 오프상태로 절환시키게 되는 데, 이러한 작동은 솔레노이드 밸브의 오프점이 정액으로 약 50원이하가 남았거나 정량으로 약 40ml이하가 남았을 때에 오프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설정은 미리 원하는 기준점을 설정해 둘 수 있고, 실제로 펌프를 통해 출력된 연료가 솔레노이드 밸브로부터 노즐까지 공급된 연료의 양이 될 것이다. 즉, 솔레노이드 밸브가 오프되는 시점에서 솔레노이드 밸브를 거친 연료의 양을 계산하여 평가하는 것이다.
한편, 단계(S111)에서는 상기 단계(S110)에서 연료의 급유가 완료되어 솔레노이드 밸브의 오프가 있은 후에 노즐이 노즐박스에 삽입되었나를 판단하는 것이다. 이때, 노즐이 오프되었을 때에는 상기 노즐이 온되었나 판단하는 단계(S102)로 복귀하게 된다.
한편, 상기 단계(S102) 및 단계(S103)의 수행순서를 바꾸어, 단말기와 데이터통신을 개시하는 상기 단계(S101)에서 조작패널(20)의 디스플레이부(22)를 초기화시킨 후에 노즐이 온상태인가를 판단하는 단계로 구성하여도 셀프 주유기의 주유방법은 동일할 것이고, 이러한 순서의 변화는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연료의 급유가 완료되면, 주유기내의 CPU는 주유시에 작동했던 모터풀리, 펌프흡입, 유량계 및 카운터 등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급유시에 발생된 모든 데이터를 해당되는 단말기로 출력시킨다. 이때 출력된 데이터중에는 사용자가 입력한 금액을 정산할 수 있도록 계산서나 영수증 등을 발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셀프 주유기의 주유방법으로, 셀프서비스용 주유기로 주유시에 사용자가 원하는 금액에 대한 급유를 위하여 조작패널의 간단한 조작만으로 작동시킬 수 있고, 주유기의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으며, 연료의 흘림에 의한 낭비 등을 배제할 수 있도록하여 사용자의 편의향상 및 연료비 절감과 주유소에서의 주유원 감축으로 인한 경비절감 등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주유기의 조작패널의 정면도,
도 2는 종래 주유기의 주유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셀프 주유기의 조작패널을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셀프 주유기를 이용하여 주유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조작패널 22: 디스플레이부
24-28: 입력키

Claims (4)

  1. 주유기의 작동을 위한 전원이 온상태인가를 판단하는 단계(S100)와,
    전원이 온되었을 때에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단말기와 데이터통신을 개시하는 단계(S101)와,
    노즐이 온상태인가를 판단하는 단계(S102)와,
    조작패널(20)의 디스플레이부(22)를 초기화시키는 단계(S103)와,
    노즐이 온상태일 때에 주유할 연료의 양이 정액에 따라 설정되었나를 판단하는 단계(S104)와,
    설정된 값을 저장하고 디스플레이부(22)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S105)와,
    설정이 완료된 후에 취소키(28)가 입력되었나를 판단하는 단계(S106)와,
    취소키(28)의 입력이 없다면 주유기의 방아쇠가 작동되었나를 판단하는 단계(S107)와,
    주유기의 방아쇠가 작동되는 것을 감지하여 유압밸브 및 디스플레이부(22)를 제어하는 단계(S108)와,
    상기 단계(S104)에서 설정된 설정값에 도달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09)와,
    설정값이 도달하였을 때에 솔레노이드밸브를 오프상태로 절환시키는 단계(S110)와,
    노즐이 오프되었나를 판단하여 오프되었을 때에 단계(S102)로 복귀하는 단계(S111)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주유기의 주유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S110)에서 솔레노이드 밸브의 오프점은 정액으로 50원이하가 남았을 때와 정량으로 40ml이하가 남았을 때에 오프시키는 것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주유기의 주유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S108)에서는 단계(S107)에서의 방아쇠 작동과 동시에 급유량 및 급유액에 대하여 모터풀리, 펌프흡입, 유량계, 카운터, CPU 및 디스플레이부(22)를 통해 구동 및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주유기의 주유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단말기와 데이터통신을 개시하는 단계(S101)에서 조작패널(20)의 디스플레이부(22)를 초기화시킨 후에 노즐이 온상태인가를 판단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주유기의 주유방법.
KR1019980006005A 1998-02-25 1998-02-25 셀프 주유기의 주유방법 KR1005061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6005A KR100506152B1 (ko) 1998-02-25 1998-02-25 셀프 주유기의 주유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6005A KR100506152B1 (ko) 1998-02-25 1998-02-25 셀프 주유기의 주유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0888A KR19990070888A (ko) 1999-09-15
KR100506152B1 true KR100506152B1 (ko) 2005-10-26

Family

ID=37305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6005A KR100506152B1 (ko) 1998-02-25 1998-02-25 셀프 주유기의 주유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615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19791A (ja) * 1989-02-20 1990-09-03 Tokico Ltd 給油所システム
JPH09142587A (ja) * 1995-11-21 1997-06-03 Tatsuno Co Ltd 給油管理システム
KR970069871A (ko) * 1997-08-27 1997-11-07 변옥선 오락기형 셀프서비스 주유기 시스템
KR19990017611A (ko) * 1997-08-25 1999-03-15 이원일 주유기의 셀프서어비스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19791A (ja) * 1989-02-20 1990-09-03 Tokico Ltd 給油所システム
JPH09142587A (ja) * 1995-11-21 1997-06-03 Tatsuno Co Ltd 給油管理システム
KR19990017611A (ko) * 1997-08-25 1999-03-15 이원일 주유기의 셀프서어비스 시스템
KR970069871A (ko) * 1997-08-27 1997-11-07 변옥선 오락기형 셀프서비스 주유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0888A (ko) 1999-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87372A (en) Automated fluid changing system with single-point connection
US5018645A (en) Automotive fluids dispensing and blending system
US2003002828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uel and fuel additive dispensing
CA2127279A1 (en) Fluid exchanger with fluid reconciliation
KR100506152B1 (ko) 셀프 주유기의 주유방법
KR0119119B1 (ko) 급액장치
JP2004034755A (ja) 潤滑油配送車
JP4022295B2 (ja) オイル供給装置
EP119685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uel additive dispensing
KR200252134Y1 (ko) 주유제어장치
KR200222523Y1 (ko) 차량용 연료요금 표시장치
KR200240955Y1 (ko) 주유기의현금관리장치
KR20000032628A (ko) 경품추첨기능을 구비한 주유시스템 및 그 경품추첨방법
KR20040008797A (ko) 알에프-칩을 이용한 비접촉식 급유 자동 결제 시스템 및그 방법
KR20070060585A (ko) 오일자동판매시스템의 오일 회수 및 공급방법
JPH1111594A (ja) 給油装置
KR960007966B1 (ko) 엔진오일 자동 주유장치
JP4055965B2 (ja) オイル供給装置
KR200222591Y1 (ko) 카드와현금단가표시기가구비된주유기
KR100548987B1 (ko) 현금 수납처리 기능을 구비한 셀프 주유 시스템 및 셀프주유 시스템에서의 현금 수납처리 방법
KR19980055689U (ko) 입출력수단이 구비된 셀프주유기
KR200337642Y1 (ko) 로보트를 이용한 무인 자동 주유기
KR20050032197A (ko) 로보트를 이용한 무인 자동 주유기 및 주유 방법
JP3127539B2 (ja) 給油装置
KR200215743Y1 (ko) 주유 안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1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