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2523Y1 - 차량용 연료요금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연료요금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2523Y1
KR200222523Y1 KR2020000031112U KR20000031112U KR200222523Y1 KR 200222523 Y1 KR200222523 Y1 KR 200222523Y1 KR 2020000031112 U KR2020000031112 U KR 2020000031112U KR 20000031112 U KR20000031112 U KR 20000031112U KR 200222523 Y1 KR200222523 Y1 KR 2002225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nit
fuel
gas opening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11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형
Original Assignee
이승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형 filed Critical 이승형
Priority to KR20200000311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25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25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2523Y1/ko

Links

Landscapes

  • Loading And Unloading Of Fuel Tanks Or Shi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 실내에서 주유받고 싶은 요금 및 결제방법을 입력하고, 이를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출력하여 연료주입자에게 주유정보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각수단에 의해 정보전달이 이루어져 연료주입자나 사용자모두에게 보다 편리함을 제공코자 하는 차량용 연료요금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주유구 도어 레버를 조작하여 주유구 도어가 개방되면 주유구 도어 열림 정보를 출력하고, 도어가 닫히면 주유구 도어 닫힘 정보를 출력하는 주유구 도어 개폐 감지부와; 차량에 주유하고자 하는 연료량 선택 정보와 결제방법을 사용자 선택에 의하여 각각 입력토록 하는 주유정보 입력부와; 상기 주유구 도어 개폐 감지부의 정보가 열림이면 상기 입력부에 전원을 연결하여 온 시키고, 입력부를 통해 전달되는 버튼 신호를 분석하여 연료량 정보는 금액으로 환산하고, 결제방법은 현금 내지는 신용카드로 분류하며, 주유구 도어 개폐 감지부의 정보가 닫힘이면 입력부의 전원공급을 차단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입력되는 연료량 선택정보와 결제방법을 외부로 디스플레이 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차량용 연료요금 표시장치{Fuel Charge Display Unit for Vehicles}
본 고안은 차량용 연료요금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 실내에서 주유받고 싶은 요금 및 결제방법을 입력하고, 이를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출력하여 연료주입자에게 주유정보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청각수단이 아닌 시각수단에 의해 정보전달이 이루어져 연료주입자나 사용자모두에게 보다 편리함을 제공코자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연료요금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행되는 차량은 일정시간 이상을 주행 할 경우 연료 탱크에 저장된 연료를 소비하여 이를 보충하게 되는데 대부분 도로변의 주유소를 통해 연료를 보충하게 된다.
주유소에는 차량에 연료를 주입하기 위한 소정의 주유기가 설치되어 있으며, 설치된 각각의 주유기는 주유하는 연료의 량과 주유 요금을 디지탈 방식으로 표시하여 줌으로서 주유요원과 고객의 편리를 도모하게 되며, 각각의 주유기에는 연료 호스를 통해 연결되는 연료 주입건이 차량의 연료 주입구에 삽입되게 됨으로서 주유시 주유원의 편리를 도모하여 주게 된다.
그러나, 주유소에서 금액을 결제하는 방법이 번거롭게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운전자나 주유요원이 불편한 경우가 많이 일어나고 있다.
즉, 운전자는 주유소 앞에 오면 무조건 창문을 열어야 되는데 이는 주유받을 양을 청각작용을 통해 전달해야 되기 때문이며, 또한 주유가 다 끝나면 그제서야 결제에 들어가기 때문에 신속한 주유에 방해가 되었다.
이하에서 주유소에서 결제하는 시스템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주유하려는 운전자 입장에서 살펴보면 주유기 전방으로 차를 유동시킨 후 창문을 여는 단계와;
급유기 레버를 당겨 주유기 도어를 오픈시킴으로서 주유가 가능하도록 하는 단계와;
넣고자 하는 연료량을 금액으로 표현하는 단계와;
주유가 끝나면 현금 또는 카드를 주유요원에게 제출하고 카드인 경우 싸인하고 다시 창문을 닫는 단계의 동작이 일어나게 된다.
다음, 주유요원의 입장에서 살펴보면 주유기 전방으로 차를 유도한 후 주유받고자 하는 정도를 물어보는 단계와;
주유가 끝나면 고객에게 끝났음을 알린후 고객(운전자)의 의중에 따라 고객이 현금으로 결제하는 경우는 현금을 수령하고 카드로 결제할 경우에는 카드기에서 영수증을 가져와 싸인을 부탁하는 단계를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같이 일반적인 주유 및 결제 시스템은 모두 청각에 의존하고 있어 주유를 준비하는 단계부터 결제가 완료될때까지 통상 창문을 계속 열고 있어야 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 입장에서는 주유가 완료될때까지 창문을 열고 있거나 아니면 최초 연료를 넣을 양을 말할때 창문을 열고 다시 결제할때 창문을 열어야 하는등 불편함이 있으며, 주유요원 입장에서는 최초 창문을 연 후에 주유동작을 시작하고 끝날때까지 현금결제할 것인지 카드결제할 것인지를 알 수 없기 때문에 주유가 끝난 후에야 고객에게 끝났음을 알리고 운전자의 의중에 따라 결제하는등 최소한 2번 이상은 창내부의 운전자와 대화를 나누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이는 신속한 주유업무에 방해가 되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주유받고자 하는 연료량과 결제방법을 미리 외부에 디스플레이 함으로서, 운전자는 결제할때 한번만 창문을 열면 되고, 주유요원이 주유할 양을 미리 판독가능하게 하고 또한 주유중 모든 결제를 완료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운전자와 주유요원모두에게 보다 신속한 주유 및 결제 시스템을 제공코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은 사용자가 주유구 도어 레버를 조작하여 주유구 도어가 개방되면 주유구 도어 열림 정보를 출력하고, 도어가 닫히면 주유구 도어 닫힘 정보를 출력하는 주유구 도어 개폐 감지부와;
차량에 주유하고자 하는 연료량 선택 정보와 결제방법을 사용자 선택에 의하여 각각 입력토록 하는 주유정보 입력부와;
상기 주유구 도어 개폐 감지부의 정보가 열림이면 상기 입력부에 전원을 연결하여 온 시키고, 입력부를 통해 전달되는 버튼 신호를 분석하여 연료량 정보는 금액으로 환산하고, 결제방법은 현금 내지는 신용카드로 분류하며, 주유구 도어 개폐 감지부의 정보가 닫힘이면 입력부의 전원공급을 차단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입력되는 연료량 선택정보와 결제방법을 외부로 디스플레이 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블록도.
도 2는 본 고안의 어셈블리 설치 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의 입력부 구성 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표시부 설치 예시도.
도 5는 도 4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표시부 상세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주유구 도어개폐 감지부 20: 입력부
30: 제어부 40: 표시부
50: 주유구 도어 60: 전원부
이하에서 도면을 통해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블록도.
도 2는 본 고안의 어셈블리 설치 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의 입력부 구성 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표시부 설치 예시도.
도 5는 도 4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표시부 상세 예시도로써 도시한 바와같이, 사용자가 주유구 도어 레버를 조작하여 주유구 도어가 개방되면 주유구 도어 열림 정보를 출력하고, 도어가 닫히면 주유구 도어 닫힘 정보를 출력하는 주유구 도어 개폐 감지부(10)와;
차량에 주유하고자 하는 연료량 선택 정보와 결제방법을 사용자 선택에 의하여 각각 입력토록 하는 주유정보 입력부(20)와;
상기 주유구 도어 개폐 감지부(10)의 정보가 열림이면 상기 입력부(20)에 전원을 연결하여 온 시키고, 입력부(20)를 통해 전달되는 버튼 신호를 분석하여 연료량 정보는 금액으로 환산하고, 결제방법은 현금 내지는 신용카드로 분류하며, 주유구 도어 개폐 감지부(10)의 정보가 닫힘이면 입력부(20)의 전원공급을 차단하는 제어부(30)와;
상기 제어부(30)의 제어신호에 따라 입력되는 연료량 선택정보와 결제방법을 외부로 디스플레이 하는 표시부(4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주유구 도어 개폐 감지부(10)는 도어의 열림 및 닫힘을 센싱하기 위한 것으로, 도어와 접촉되는 차량의 하우징에 근접센서와 같은 센싱소자을 설치하여 도어의 닫힘과 열림상태의 정보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도어 개폐 감지부(10)의 신호에 따라 도어가 개방되면 전원공급부(60)로 부터 출력되는 전원공급을 제어하여 입력부(20)에 전원공급을 개시하여, 이때 입력되는 입력부(20)의 정보에 따라 출력부에 제어신호를 인가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도어가 닫히면 전원공급부(60)로 부터 출력되는 전원공급을 제어하여 입력부(2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함으로서 이후 발생되는 입력신호는 무시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본 고안의 차량용 연료요금 표시장치(40)는 주유소에 도착하여 운전자가 주유구 도어를 개방하였을 때에만 주유량 및 결제방법 입력을 스텐바이 하고, 이후 입력신호를 받아들여 외부로 디스플레이 하며, 주유가 완료되어 주유구 도어를 닫으면 곧바로 입력부 및 디스플레이부의 전원신호를 차단토록 하고 있다.
따라서, 주유외에는 본 고안의 장치가 작동되지 않으므로, 운전자만이 사용가능하며, 그 동작은 주유구 레버를 작동시킨후 곧바로 입력부를 통해 원하는 정보를 입력하면 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입력부(20)는 패널상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버튼(21)을 통해 입력하도록 하였는바, 예를 들어 1번 버튼은 1만원이 디스플레이되고, 2번 버튼은 2만원이 디스플레이 되고, 3번 버튼은 3만원이 디스플레이 되고, 4번 버튼은 4만원이 디스플레이 되고, 5번 버튼은 5만원이 디스플레이 되며, Full 버튼은 Full이 표시되도록 하여 주유요원이 주유하고자 하는 양을 곧바로 알 수 있도록 하였으며,
또한 현금 및 카드 결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현금 또는 카드를 선택하는 버튼을 설치하여 주유량이 출력됨과 함께 현금 또는 카드가 선택되어 출력됨으로써 주유요원이 결제방법을 즉시 알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 연료요금 제어부(30)는 사용자가 세팅한 정보를 기억하여 사용자가 이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 기능버튼을 푸싱하면 사용자가 세팅한 정보를 곧바로 출력토록 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는바, 이 기능을 이용하면 항상 자신이 원하는 주유량과 결제방법이 동시에 디스플레이 되기 때문에, 연료량 선택버튼과 결제방법 선택버튼을 누르는 두가지 동작을 한번에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기능키를 사용하는 이유는 운전자의 습관이 일정한 패턴을 유지하는 경향이 있어 Full로 채우는 사람은 항상 연료를 Full로 체우는 경향이 있고, 결제 방법에 있어서도 카드결제를 하는 사람은 거의 대부분 카드 결제를 이용하려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연료량 선택버튼과 결제방법 선택버튼과 더불어 기능키를 일정개수 더 설치토록 하여 운전자의 성향에 따라 선택버튼(21) 조작을 완료후 자동키를 누르면 이 상태가 자동으로 메모리 되어 다음부터는 자동키(F1)만을 누르는 동작으로 연료량 선택과 결제방법이 표시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본 고안의 표시부(40)는 주유구 도어(50) 내측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주유요원이 주유구 도어(50)를 열면서 바로 주유량과 결제방법을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물론, 상기 표시부(40)는 차량의 전방 윈도우 글래스등 다른 부분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표시부(40)를 외부에 디스플레이시키게 되면, 주유요원은 운전자의 의중을 곧바로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디스플레이된 숫자만큼 연료량을 주입하고, 연료량을 주입하는 도중에 결제를 할 수 있다.
즉, 운전자가 3만원어치를 주유하고 카드결제를 원한다면 입력버튼에서 3을 누르고 결제버튼에서 카드결제를 누르면 디스플레이부에서는 30,000이 디스플레이 되고, 동시에 옆에는 카드라는 숫자가 점등되어, 주유요원은 운전자가 3만원어치를 주유하고 이를 카드로 결제한다는 것을 곧바로 알 수 있기 때문에 주유기를 3만원으로 세팅하고, 곧바로 결제에 들어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을 이용하게 된다면 주유요원과 운전자는 말한마디 없이 모든 주유에 대한 업무를 종결지을 수 있게 된다.
왜냐하면 주유요원이 얼마치를 넣을 것인가 무엇으로 결제할 것인가를 물을 필요도 없고, 운전자 역시 얼마치를 넣을 것인가 무엇으로 결제하겠다는 대답을 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다.
만약 본 고안이 장착된 차량이 주유하게 된다면 운전자는 주유도중 창문을 열고 현금을 전달하거나 카드를 전달하여 결제가 완료되기 때문에 주유기를 제거한 다음 곧바로 차량을 출발시킬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서는 주유량을 한번 선택하게 되면 표시부(40)에서는 주유구 도어가 닫힐때까지 계속 점등되도록 하여 연속성을 유지시킴으로서 운전자와 주유요원간에 불필요한 마찰이 발생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하였다.
한편, 본 고안의 장치는 입력부(20) 및 제어부(30)는 일체의 어셈블리로 제작하여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100)에 부착하여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즉, 운전자의 손이 쉽게 닿을 수 있는 지점에 설치해야만이 주유기 앞에서 곧바로 주유량과 결제방법을 버튼을 눌러 표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고안의 입력부와 제어부(30)는 차량의 카스테레오를 통해서도 가능한바, 카스테레오의 중앙처리장치에 주유량과 결제방법을 미리 프로그래밍하고, 카스테레오의 외부에 설치되어 있는 선국버튼을 이용하여 주유량과 결제방법을 선택하고, 이를 디스플레이 장치로 연결하여 운전자가 원하는 정보를 외부로 출력시킬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급유구 레버를 당기는 단계와;
운전자가 요금 표시기 버튼을 누르는 단계와;
창문을 열고 카드 또는 현금을 결제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고안을 이용하게 되면 주유요원과 운전자가 말을 주고받을 필요가 없고, 또한 결제를 위해 창문을 잠깐 여는 정도로 주유업무를 마무리 할 수 있기 때문에 운전자 및 주유요원이 모두 편리하고 신속하게 일을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차량 실내에서 주유받고 싶은 요금 및 결제방법을 입력하고, 이를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출력하여 연료주입자에게 주유정보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청각수단이 아닌 시각수단에 의해 정보전달이 이루어저 연료주입자나 사용자모두에게 보다 편리함과 신속함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사용자가 주유구 도어 레버를 조작하여 주유구 도어가 개방되면 주유구 도어 열림 정보를 출력하고, 도어가 닫히면 주유구 도어 닫힘 정보를 출력하는 주유구 도어 개폐 감지부(10)와;
    차량에 주유하고자 하는 연료량 선택 정보와 결제방법을 사용자 선택에 의하여 각각 입력토록 하는 주유정보 입력부(20)와;
    상기 주유구 도어 개폐 감지부(10)의 정보가 열림이면 상기 입력부(20)에 전원을 연결하여 온 시키고, 입력부(20)를 통해 전달되는 버튼 신호를 분석하여 연료량 정보는 금액으로 환산하고, 결제방법은 현금 내지는 신용카드로 분류하며, 주유구 도어 개폐 감지부(10)의 정보가 닫힘이면 입력부(20)의 전원공급을 차단하는 제어부(30)와;
    상기 제어부(30)의 제어신호에 따라 입력되는 연료량 선택정보와 결제방법을 외부로 디스플레이 하는 표시부(40)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연료요금 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요금 제어부(30)는 사용자가 세팅한 정보를 기억하여 사용자가 이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 기능버튼을 푸싱하면 사용자가 세팅한 정보를 곧바로 출력토록 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연료요금 표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40)는 주유를 하기 위해 주유구 도어(50)를 오픈시키면 사용자가 원하는 연료량 및 결제방법을 작업자가 볼 수 있도록, 주유구 도어 내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연료요금 표시장치.
KR2020000031112U 2000-11-07 2000-11-07 차량용 연료요금 표시장치 KR2002225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1112U KR200222523Y1 (ko) 2000-11-07 2000-11-07 차량용 연료요금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1112U KR200222523Y1 (ko) 2000-11-07 2000-11-07 차량용 연료요금 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2523Y1 true KR200222523Y1 (ko) 2001-05-02

Family

ID=73091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1112U KR200222523Y1 (ko) 2000-11-07 2000-11-07 차량용 연료요금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252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7813A (ko) * 2016-04-14 2017-10-24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스마트 주유결제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7813A (ko) * 2016-04-14 2017-10-24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스마트 주유결제 시스템 및 방법
KR102455571B1 (ko) 2016-04-14 2022-10-1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스마트 주유결제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1758B1 (ko) 급유장치
KR200222523Y1 (ko) 차량용 연료요금 표시장치
KR100566056B1 (ko) 주유제어기와 이를 이용하는 주유시스템 및 주유방법
KR100421290B1 (ko) 급유 시스템
JPH10211997A (ja) 給油装置
WO200005417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uel additive dispensing
KR950001421B1 (ko) 현금사용이 가능한 자동판매 주유기의 내부회로
KR20010038728A (ko) 셀프 주유방법 및 시스템
KR200252134Y1 (ko) 주유제어장치
KR200210701Y1 (ko) 무인주유 장치
JP2925579B2 (ja) 給油装置
JPH07132997A (ja) 給油案内装置
JP4187335B2 (ja) 給油装置
JPH1111594A (ja) 給油装置
KR20180008070A (ko) 스마트 주유 결제 시스템
JP3313020B2 (ja) 油液配送車
JP4198451B2 (ja) 燃料供給装置
KR100397641B1 (ko) 무인 주유 시스템
JPH10264995A (ja) 給油所管理システム
JPH05270594A (ja) 給油装置
JP2985542B2 (ja) 給油所
KR100262868B1 (ko) 급유장치
KR200240955Y1 (ko) 주유기의현금관리장치
JP4198450B2 (ja) 燃料供給装置
JP2000309397A (ja) 給油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22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