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6519B1 - 전자계산기 - Google Patents

전자계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6519B1
KR100246519B1 KR1019950045768A KR19950045768A KR100246519B1 KR 100246519 B1 KR100246519 B1 KR 100246519B1 KR 1019950045768 A KR1019950045768 A KR 1019950045768A KR 19950045768 A KR19950045768 A KR 19950045768A KR 100246519 B1 KR100246519 B1 KR 1002465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input
key
calculation
arithm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45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5111A (ko
Inventor
노부오 하라
아키라 나카자와
야스오 이케야
마코도 다케나카
가쓰요시 스즈키
Original Assignee
가시오 가즈오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298430A external-priority patent/JPH08161270A/ja
Priority claimed from JP05051395A external-priority patent/JP350827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05649095A external-priority patent/JP3693262B2/ja
Application filed by 가시오 가즈오,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시오 가즈오
Publication of KR9600251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51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65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65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02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02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 G06F15/0225User interface arrangements, e.g. keyboard, display; Interfaces to other computer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alculators And Similar Devices (AREA)
  • Complex Calcu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전자계산기는 입력된 일련의 계산식 데이터를 차례로 기억하는 RAM(4, 14, 40)과, 검산을 하기 위해 다시 상기 일련의 계산식 데이터의 입력에 의해 검산을 하는 검산모드와, 검산처리에 의해 불일치한 부분의 계산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7, 16)가 구비되어 있다. 먼저 처음에 기초가 되는 일련의 계산식 데이터를 입력하면, 계산처리를 실행함과 동시에 이 계산식 데이터는 RAM(4, 14, 40)에 차례로 기억된다. 이 일련의 계산이 종료한 후, 상기 계산의 계산결과가 정확한 것을 확인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검산처리를 지정하는 입력이 실행되면, 검산모드가 되어 2회째의 계산식 데이터 입력이 되고, 그리고 2회째 계산식 데이터의 입력에 따라 차례로 상기 RAM(4, 14, 40)에 기억된 계산식 데이터와 2회째 계산식 데이터가 차례로 비교되어 RAM(4, 14, 40)에 기억된 계산식 데이터와 2회째에 입력된 계산식 데이터가 일치하고 있는지의 여부가 판단되고, 불일치한다고 판단되면 이 불일치라고 판단된 부분의 계산데이터가 상기 RAM(4, 14, 40) 및 2회째에 입력된 연산식데이터에서 판독되어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교대로 전환표시된다.

Description

전자계산기
제1도는 본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전자계산기의 전자회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제2도는 상기 전자계산기의 RAM에 있어서의 레지스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제3도는 상기 전자계산기에 의한 검산계산처리를 도시하는 플로챠트.
제4도는 상기 전자계산기의 검산계산처리에 따르는 키조작대응의 표시동작을 도시하는 도면.
제5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전자계산기의 기본구성을 도시하는 회로구성도.
제6도는 상기 실시예의 전자계산기의 메모리영역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제7도는 상기 실시예의 전자계산기의 외관을 도시하는 평면도.
제8도는 상기 실시예의 전자계산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챠트(레지스터키/기능키 처리루틴).
제9도는 상기 실시예의 전자계산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챠트(레지스터키/기능키 처리루틴).
제10도는 상기 실시예의 전자계산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챠트(검산키 처리루틴).
제11도는 상기 실시예의 전자계산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챠트(타이머 처리루틴).
제12도는 상기 실시예의 전자계산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챠트(「확인」키 처리루틴).
제13도는 상기 실시예의 전자계산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챠트(「AC」키 처리루틴).
제14도는 상기 실시예의 전자계산기의 키입력부에 있어서의 키조작예와, 그때의 상기 표시창의 표시예를 대응시켜 도시한 도면.
제15도는 상기 실시예의 전자계산기의 키입력부에 있어서의 키조작예와, 그때의 상기 표시창의 표시예를 대응시켜 도시한 도면.
제16도는 상기 실시예의 전자계산기의 메모리영역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제17도는 상기 실시예의 전자계산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챠트(레지스터키/기능키 처리루틴).
제18도는 상기 실시예의 전자계산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챠트(레지스터키/기능키 처리루틴).
제19도는 상기 실시예의 전자계산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챠트(검산키 처리루틴).
제20도는 상기 실시예의 전자계산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챠트(「확인」키 처리루틴).
제21도는 상기 실시예의 전자계산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챠트(「AC」키 처리루틴).
제22도는 상기 실시예의 전자계산기의 사사오입스위치 및 소수점 지정스위치의 설정상태예와, 키입력부에 있어서의 키조작예와, 그때의 상기 표시창의 표시예를 대응시켜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자계산기 2, 11 : CPU
3, 13 : ROM(판독전용메모리) 4, 14, 40 : RAM(수시기입판독메모리)
5, 12 : 키입력부 6, 15 : 표시구동회로
7, 16 : 표시부 8, 17 : 증폭회로
9, 18 : 스피커
본 발명은 전자계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입력된 계산식 데이터의 계산을 실행함과 동시에 이 일련의 계산식 데이터를 기억하고, 이 기억한 계산식 데이터와 2회째에 입력된 계산식 데이터를 비교하는 것에 의해 검산을 하는 검산기능을 구비한 전자계산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임의의 계산을 실행하여 계산결과를 얻은 후, 이 계산결과의 정확성을 확인하기 위해 동일한 계산을 반복하여 실행하고, 최초의 계산결과의 2회째의 계산결과를 비교한다고 하는 검산작업을 하는 일이 있었다.
그리고, 이 검산을 전자계산기내의 제어에 의해 실행하는 검산기능을 구비한 전자계산기가 구상되고 있다.
즉, 이 종류의 전자계산기는 최초로 입력된 계산식 데이터를 차례로 기억하고, 이 계산식 데이터의 계산결과를 얻은 후에, 검산을 하기 위해 2회째의 계산식 데이터 입력이 행해졌을 때, 상기 기억된 계산식 데이터와 검산을 위해 입력된 2회째의 계산식 데이터를 차례로 비교하고, 이 결과 최초의 계산식 데이터와 2회째 계산식 데이터가 불일치하면 외부로 알림과 동시에, 기억된 최초의 계산식 데이터를 표시시키고, 그것이 잘못되어 있으면 바르게 하여 입력시킴으로써, 최초의 계산식 데이터와 2회째의 계산식 데이터가 일치하고 있지 않음을 사용자에게 알린다고 하는 것이었다.
그렇지만 상기 구성의 전자계산기에서는 검산에 의해 1회째와 2회째의 입력데이터가 불일치한다고 판단되었을 때, 이 불일치라고 판단된 1회째와 2회째의 데이터중 어느쪽인가, 또는 양쪽이 잘못된 데이터인지를 확인하는 것은 불가능하였다.
본원은 상기 과제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검산에 의해 불일치 판단된 데이터중, 어느쪽의 데이터가 틀린 것인지를 간단히 확인할 수 있고,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검산처리를 실행할 수 있는 전자계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원에서는,
연산식 데이터를 입력하는 연산식 데이터 입력수단과,
이 연산식 데이터 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된 연산식 데이터를 차례로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상기 연산식 데이터 입력수단에 의해 새로 연산식 데이터가 입력되었을 때,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연산식 데이터와 상기 새로 입력된 연산식 데이터가 일치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차례를 비교판단하는 비교판단수단과,
이 비교판단수단에 의해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연산식 데이터와 상기 새로 입력된 연산식 데이터가 불일치한다고 판단되었을 때,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연산식 데이터와 상기 새로 입력된 연산식 데이터의 불일치부분의 데이터를 교대로 표시하는 불일치데이터 표시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정확하고 신뢰가 있는 검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이하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을 실시한 전자계산기의 전자회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이 전자계산기는 CPU(11)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CPU(11)는 키입력부(12)에서의 키조작신호에 따라, ROM(13)에 미리 기억되어 있는 시스템 프로그램을 기동시키고, 각종 계산처리에 따라 회로각부의 동작제어를 실행하는 것이고, 이 CPU(11)에는 상기 키입력부(12), ROM(13) 외에, RAM(14)이 접속됨과 동시에, 표시 구동회로(15)를 통해서 액정표시부(16)가 접속된다.
또 상기 CPU(11)에는 증폭회로(17)를 통해서 스피커(18)가 접속된다.
상기 키입력부(12)에는 계산식 등의 수치입력을 실행할 때에 조작되는 소수점을 포함하는 수치키와 +, -, ×, ÷, = 등의 기능키를 구비하는 것이고, 즉 「0」~「9」까지의 숫자키(12a), 「+」키(12b), 「-」키(12c), 「×」키(12d), 「÷」키(12e)로 구성되는 연산자키, 「=」키(12f), 도시하지 않은 소수점키 등이 구비되어 있다.
또 검산모드를 설정할 때에 조작되는 「검산」키(12g), 상기 검산모드의 설정상태에 있어서 검산을 위해 입력되어 있는 계산식의 현재 입력항의 수치 및 연산자와 검산대상이 되는 계산식의 대응하는 항의 수치 및 연산자를 전환표시하여 확인할 때에 조작되는 「확인」키(12h), 검산계산처리에 있어서는 검산을 위해 입력된 계산식의 계산결과와 검산대상이 되는 계산식의 계산결과를 전환표시할 때에 조작되는 「∇」키(12j), 「△」키(12k), 검산계산처리에 있어서 표시중의 데이터를 삭제할 때에 조작되는 「삭제」키(12m) 등이 구비된다.
상기 ROM(13)에는 이 전자계산기 전체의 동작을 관리하는 시스템 프로그램과 함께, 통상 계산처리프로그램, 검산계산처리프로그램 등의 각종 계산모드에 따른 서브 프로그램이 미리 기억된다.
제2도는 상기 전자계산기의 RAM(14)에 있어서의 레지스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RAM(14)에는 예를 들면 키입력된 수치나 기능 등, 액정표시부(16)에 표시해야 할 피표시데이터가 기입되는 표시레지스터(14a), 키입력부(12)의 숫자키(12a) 및 각종 연산자키(12b~12e)의 조작에 따라 입력되어 상기 표시레지스터(14a)에 기입된 계산식이 그 수치 및 연산자로 구성되는 각 입력항마다 차례로 기억되는 입력식레지스터(14b), 이 입력식레지스터(14b)에 기억된 계산식에 따른 계산결과가 기억되는 답레지스터(14c), 검산모드가 설정되었을 때에 상기 입력식레지스터(14b)에 기억되어 있는 계산식이 상기 답레지스터(14c)에 기억되어 있는 계산결과와 함께 검산대상계산식으로서 전송기억되는 피검산식레지스터(14d), 검산모드의 설정상태에서 “1”로 세트되는 검산모드플래그레지스터(F), 그 검산모드의 설정상태에 있어서 「확인」키(12h)의 조작에 따른 검산을 위한 연산식의 수치, 연산자의 표시상태에서 “1”로 세트되고, 또 검산대상계산식의 수치, 연산자의 표시상태에서 “0”으로 세트되는 확인플래그레지스터(G), 검산모드의 설정상태에서 입력된 수치를 삭제하는 것에 의해 “1”로 세트되는 삭제플래그레지스터(C) 등이 구비된다.
다음에 상기 구성에 의한 전자계산기의 검산계산처리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3도는 상기 전자계산기에 의한 통상의 계산 및 검산의 처리인 검산계산처리를 도시하는 플로챠트이다.
제4도는 상기 전자계산기의 검산계산처리에 따르는 키조작과 대응하는 표시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예를 들면 검산모드가 아닐 때(F가 “0”일 때)에 「513 + 257 + … =」라고 계산하는데, 먼저 제4(a)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키입력부(12)의 숫자키(12a) 및 「+」키(12b)를 조작하고, 「513+」라고 입력하면 「+」가 조작된 것이 스텝 S1에서 판단되어 스텝 S2로 이행하여 RAM(14)내의 검산모드 플래그레지스터(F)가 “0”이라는 판단을 거쳐, 스텝 S3에서 당해 입력항의 수치 「513」 및 연산자 「+」가 입력식레지스터(14b)에 기억된다. 다음의 스텝 S4에서는 표시레지스터(14a)의 키입력된 「513」 및 「+」가 액정표시부(16)에 표시된다.
다음에 제4(b)도에 도시하는 「257」이 입력되면, 이 수치는 표시레지스터(14a)에 기입되어 액정표시부(16)에 표시되고, 이어서 「+」가 입력되면 RAM(14)내의 검산모드플래그레지스터(F)가 “0”이라는 판단을 거쳐, 당해 입력항의 수치 「257」 및 연산자 「+」가 입력식레지스터(14b)에 추가기억됨과 동시에, 「513」과 「257」을 가산한 수 「770」이 답레지스터(14c)에 기억됨과 동시에 액정표시부(16)에 표시된다(스텝 S1→S2→S3, S4).
이후 상기와 같이 소망의 계산식을 각 항마다 키입력하는 것으로, 상기 스텝 S1~S4의 처리가 반복되고, 그 입력된 계산식이 수치 및 연산자로 구성되는 입력항마다 차례로 입력식레지스터(14b)에 기억됨과 동시에 계산결과가 답레지스터(14c)에 기억되고, 또 액정표시부(16)에 표시된다.
그리고 상기 소망의 계산식을 입력한 상태에서 제4(c)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키(12f)를 조작하면 스텝 S5에 의해 이것이 검출되어 다음 스텝 S6에서 최후의 계산처리가 실행되고, 그 계산결과 「1740」이 답레지스터(14c)에 기억됨과 동시에, 액정표시부(16)에 표시된다(스텝 S7, S4).
또 스텝 S6의 계산처리에서는 도시하지 않지만, 후술하는 검산모드에 있어서는 검산식의 계산을 실행하여 최종적인 계산결과를 얻은 후, 이 결과를 답레지스터(14c)의 데이터와 비교해서 최종결과와 일치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일치하지 않을 때는 알리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계산처리의 검산을 실행하는데 「검산」키(12g)를 조작하면, 상기 입력식레지스터(14b)에 기억되어 있는 계산식이 검산대상계산식으로서 피검산식레지스터(14d)에 전송기억됨과 동시에, 검산모드플래그레지스터(F)에 “1”이 세트되고, CPU(11)가 검산모드에 설정된다(스텝 S8→S9, S10). 이 레지스터(F)에 “1”이 세트되면 CPU(11)는 제4(d)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액정표시부(16)에 「검산중」의 문자를 표시시킨다.
그리고 제4(d)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검산을 위한 계산식을 입력하기 위해, 먼저 「513」라고 입력하면 검산모드플래그레지스터(F)가 “1”이라는 판단을 거쳐, 당해 입력수치 「513」이 입력식레지스터(14b)에 기억됨과 동시에, 연산자의 입력이 아니라고 하는 판단을 거쳐, 액정표시부(16)에 표시된다(스텝 S1→S2→S11, S12→S4).
이어서 「+」라고 입력하면 검산모드플래그레지스터(F)가 “1”이라는 판단을 거쳐, 당해 입력연산자 「+」가 입력식레지스터(14b)에 추가기억됨과 동시에, 연산자의 입력이라는 판단을 거쳐, 금회의 계산항 입력에 의해 입력식레지스터(14b)에 기억된 수치 「513」 및 연산자 「+」와, 상기 피검산식레지스터(14d)에 전송기억되어 있는 검산대상계산식의 대응하는 계산항의 수치 「513」 및 연산자 「+」가 비교되고, 그 일치/불일치가 판단됨과 동시에 일치하고 있으면 계산처리가 실행된다(스텝 S1→S2→S11, S12→S13, S14).
이 경우 검산용으로서 금회 입력된 계산항의 수치 및 연산자 「513+」와 피검산식의 대응하는 계산항의 수치 및 연산자 「513+」는 동일한 것으로, 틀림없는 것으로 일치판단되면 그대로 표시상태 「513+」이 계속된다. (스텝 S14→S4).
다음에 제4(e)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검산을 위한 계산식 2항째의 수치를 「267」라고 입력하면, 검산모드플래그레지스터(F)가 “1”이라는 판단을 거쳐, 당해 입력수치 「267」이 입력식레지스터(14b)에 기억됨과 동시에, 연산자의 입력이 아니라는 판단을 거쳐, 액정표시부(16)에 표시된다. (스텝 S1→S2→S11, S12→S4).
그리고, 제4(f)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라고 입력하면, 검산모드플래그레지스터(F)가 “1”이라는 판단을 거쳐, 당해 입력연산자 「+」가 입력식레지스터(14b)에 추가 기억됨과 동시에, 연산자의 입력이라는 판단을 거쳐 금회의 계산항 입력에 의해 입력식레지스터(14b)에 기억된 수치 「267」 및 연산자 「+」와, 상기 피검산식레지스터(14d)에 전송기억되어 있는 검산대상 계산식의 대응하는 계산항의 수치 「257」 및 연산자 「+」가 비교되고, 그 일치/불일치가 판단된다(스텝 S1→S2→S11, S12→S13, S14).
이 경우 검산용으로서 금회 입력된 계산항의 수치 및 연산자 「267+」와 피검산식의 대응하는 계산항의 수치 및 연산자 「257+」은 다르므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스텝 S14에서 불일치 판단되면, 다음 스텝 S15A에서는 증폭회로(17)를 통해 스피커(18)에서 입력실수의 발생개소임을 알리는 알림신호 「삐삐」가 출력된다(스텝 S14→S15).
즉, 검산을 위한 계산식을 차례로 입력하면, 그 연산자의 입력에 의해 구별된 각 계산항마다 검산대상계산식의 각 대응하는 계산항과의 일치/불일치의 비교판단이 실행되고, 불일치판단된 경우에는 입력실수의 발생개소로서 알려지게 된다. 그리고 다음 스텝 S15B에서는 확인플래그레지스터(G)에 “0”이 세트된다.
여기서 제4(g)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확인」키(12h)를 조작하면, 검산모드플래그레지스터(F)가 “1”이라는 판단 및 확인플래그레지스터(G)가 “0”이라는 판단을 거쳐, 상기 스텝 S14에서 불일치 판단된 검산대상계산식에 있어서의 계산항의 수치 및 연산자 「257+」가 표시됨과 동시에, 상기 확인플래그레지스터(G)가 “0”에서 “1”로 전환 세트된다(스텝 S16→S17→S18→S19, S20).
또 제4(h)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확인」키(12h)를 반복하여 조작하면, 검산모드플래그레지스터(F)가 “1”이라는 판단, 및 확인플래그레지스터(G)가 “1”이라는 판단을 거쳐, 상기 스텝 S14에 있어서 불일치 판단된 검산을 위한 입력계산식에 있어서의 계산항의 수치 및 연산자 「267+」가 표시됨과 동시에, 상기 확인플래그레지스터(G)가 “1”에서 “0”으로 복귀세트된다(스텝 S16 → S17 → S18 → S21, S22).
즉, 상기 「확인」키(12h)를 조작할 때마다 상기 스텝 S14에 있어서 불일치 판단된 검산대상계산식 및 검산을 위한 입력계산식 각각의 대응하는 계산항의 수치 및 연산자가 교대로 전환되어 표시되는 것으로, 이것에 의해 최초로 계산을 실행한 검산대상계산식의 계산항에 입력실수가 있는 것인지, 또는 검산용 입력계산식에 있어서의 계산항에 입력실수가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예를 들면 상기 검산용 입력식에 있어서의, 또는 최초의 입력식에 있어서의 계산항에 입력실수가 있었던 것으로서, (G) 또는 (H)에서 도시한 그 입력항의 수치 및 연산자 「257+」 또는 「267+」을 표시시킨 상태에서 「삭제」키(12m)를 조작하면, 이것이 스텝 S23에서 검출되고, 다음의 스텝 S24A에서는 상기 입력실수에 따르는 입력항의 수치 및 연산자인 「257+」 및 「267+」은 각각 피검산식레지스터(14a) 및 입력식레지스터(14b)에서 삭제되고, 바른 수치 및 연산자의 입력대기상태가 되고, 그리고 스텝 S24B에서는 검산모드라고 판단하면 플래그(C)에 “1”이 세트된다.
여기서 검산계산처리를 계속하기 위해 (J)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검산대상계산식에 따른 바른 수치 및 연산자로 구성되는 계산항 「257+」을 입력하면, 스텝 S2에서 검산모드플래그레지스터(F)가 “1”이라는 판단을 거쳐, 스텝 S11에서는 플래그(C)가 “1”임을 판단하고, 이것에 의해 당해 입력계산항 「257+」을 레지스터(14d 및 14b)의 삭제한 계산항 「257」 및 「267+」대신 추가기억시킨다. 또 피검산식레지스터(14d)에 기억된 수치 및 연산자로 구성되는 식의 계산을 다시 실행하고, 그 결과를 답레지스터(14c)에 기입한다. 이 처리 후는 플래그(C)를 “0”으로 되돌려 놓는다.
이것에 의해 상기 최초의 계산식 또는 검산용계산식의 입력실수는 해소되고, 이후 상기와 같이 해서 각 입력항마다의 입력실수의 판단, 확인처리가 반복된다.
그리고 검산용계산식의 입력이 종료하고, 「=」키(12f)의 조작에 의해 전술한 바와 같이 스텝 S6에서 계산결과의 비교가 이루어진다. 또 그 계산결과가 나온 상태에서 「∇」키(12j) 또는 「△」키(12k)를 선택조작하면 상기 피검산식레지스터(14d)에 이미 기억되어 있는 검산대상계산식 또는 입력식레지스터(14b)에 기억된 검산용계산식이 각각 선택적으로 차례로 전환표시되도록 되어 있다(스텝 S25→S26).
따라서 검산용계산식을 입력할 때에는 그 입력항마다 검산대상계산식과의 비교판단이 실행되고, 불일치된 계산항은 「확인」키(12h)의 조작에 의해 그 각각이 교대로 전환표시되므로, 검산대상계산식측 또는 검산용계산식측의 어느 개소에 입력실수가 있는 것인지를 매우 간단히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 본 발명의 전자계산기의 제2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5도는 이 실시예의 전자계산기의 기본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동도면에 도시하는 전자계산기(1)는 프로그램의 명령에 따라 전자계산기(1) 전체의 제어를 하는 중앙연산처리장치(CPU)(2)와, CPU(2)에서 처리하는 마이크로 프로그램을 기억한 판독전용메모리(ROM)(3)와, 데이터를 기억하는 수시기입판독메모리(RAM)(4)와, 데이터입력이나 후술하는 모드의 전환 등을 실행하기 위한 키입력부(5)와, CPU(2)에서 출력되는 수치데이터나 각종 메시지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구동회로(6) 및 표시부(7)와, CPU(2)에서 출력되는 알림음신호를 증폭하여 방음하기 위한 증폭회로(8) 및 스피커(9)로 구성된다.
상기 RAM(4)은 제6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표시부(7)에 표시하는 데이터를 기억하는 표시레지스터영역(레지스터입력레지스터영역을 겸함)(20)과, CPU(2)가 연산하기 위한 수치를 일시 기억하는 연산용레지스터영역(21)과, 연산결과를 일시기억하는 메모리레지스터영역(22)과, 프로그램 실행중 각종조건의 플래그(F, H, J, L, T)를 기억하는 영역(23)을 갖는다.
각 플래그의 내용은 하기와 같다.
F = 0 통상의 연산모드
F = 1 검산모드
H = 1 정정모드
H = 0 정정모드해제
J = 1 입력금지(오버플로)
J = 0 입력금지해제
L = 1 타이머 스타트
L = 0 타이머 삭제
T 타이머 시간
또 RAM(4)은 키입력부(5)에서의 입력내용을 일시기억하는 저널메모리영역(24)과, 저널메모리영역(24)의 어드레스를 나타내는 어드레스포인터(Pn)를 기억하는 영역(25)을 갖고 있다.
저널메모리영역(24)은 입력된 수치를 기억하는 레지스터메모리영역(24a)과, 입력된 연산명령(+, -, ×, ÷, =)을 기억하는 기능메모리영역(24b)을 갖는다. 그리고 키입력부(5)에서 연산을 위한 입력이 이루어질 때마다 수치데이터와 그 직후에 입력된 연산명령데이터를 세트하여, 각 어드레스(P0, P1, P2, P3, …)에 차례로 기억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키입력부(5)는 제7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자계산기(1)의 조작면(30)상에 배설된 레지스터키군(31), 연산명령키군(32), 명령키군(33), 메모리키군(34) 및 검산키(35)를 구비하고 있다.
레지스터키군(31)은 0에서 9까지의 수치를 각각 입력하기 위한 숫자키 「0」~「9」와, 소수점을 입력하기 위한 소수점키 「.」로 구성된다.
연산명령키군(32)은 사칙연산명령을 각각 입력하기 위한 사칙연산명령키 「+」, 「-」, 「×」, 「÷」와, 답을 구하기 위한 동호키 「=」로 구성된다.
명령키군(33)는 표시되어 있는 수치의 플러스마이너스를 전환하기 위한 플러스마이너스키 「+/-」와, 백분율계산으로 전환하기 위한 퍼센트키 「%」와, 검산모드에 있어서 전회의 연산결과와 금회의 연산결과를 교대로 표시시키기 위한 확인키 「확인」(36)과, 잘못눌려진 수치의 정정(레지스터정정)을 하기 위한 삭제키 「C」와, 지금까지의 연산데이터를 모두 소거(초기화)하기 위한 전체삭제키 「AC」로 구성된다.
메모리키군(34)은 표시되어 있는 수치를 상기 메모리 레지스터에 기억되어 있는 수치에 더하기(플러스의 수치로 입력)위한 메모리 플러스키 「M+」와, 빼기(마이너스의 수치로 입력)위한 메모리 마이너스키 「M-」와, 상기 메모리 레지스터에 기억되어 있는 수치를 다시 호출하기 위한 메모리리콜키 「MR」와, 상기 메모리 레지스터에 기억되어 있는 수치를 다시 호출함과 동시에 메모리내용을 제거하기 위한 메모리리콜삭제키 「MC」로 구성된다.
검산키 「검산」(35)는 표준연산모드와 검산모드를 교대로 전환하기 위한 명령키이다.
상기 표시창(7a)은 주지의 액정디스플레이로 구성되는 것이며, CPU(2)에서 출력된 수치데이터나 각종 메시지데이터 등이 표시구동회로(6)에 입력되면, 이 표시구동회로(6)에 의해 구동되고, 제14도, 제15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표시창(7a)에 레지스터나 답 등의 수치정보나, 각종 메시지정보 등을 표시하는 것이다.
표시창(7a)은 제7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면(30)의 입력키상방에 설치되어 있다. 이 표시창(7a)에는 8자리수까지의 수치를 표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수치표시영역의 좌측에는 RAM(4)의 메모리레지스터에 수치가 들어 있을 때는 “M”이, 정수계산중은 “K”가, 어떤 수를 0으로 나누는 등의 입력에러가 있었을 때는 “E”가, 각각 점등하도록 되어 있다.
또 수치표시영역의 상측 영역은 “검산중”, “OK”, “전회”, “금회”, “사사오입”, “OVER”등의 메시지 표시영역이고, 검산모드로 되어 있을 때에 “검산중”이, 검산의 결과 계산이 맞았을 때에 “OK”가, 표시되어 있는 수치가 전회(통상연산모드)의 수치일 때에 “전회”가, 금회(검산모드)의 수치일 때에 “금회”가, 메모리가 오버플로했을 때에 “OVER”가 검산모드에서 전회와 금회의 데이터중 사사오입스위치(38), 또는 소수점지정스위치(39)의 설정이 불일치했을 때에 “사사오입”이 각각 점등하도록 되어 있다.
또 표시창(7a)의 좌측상단 구석부에는 표시창(7a)에 표시되어 있는 수치에 이어서 입력된 연산명령의 기호(+, -, ×, ÷)를 표시하기 위한 연산기호표시부(37)가 설치되어 있다.
또 전자계산기(1)의 조작면(30)에는 소수점이하를 어떻게 처리할 것인지를 지정하기 위한 사사오입스위치(38)와, 사사오입스위치(38)의 지정에 대응시켜 소수점이하 몇자리수까지 구할 것인지를 지정하기 위한 소수점지정스위치(39)가 설치되어 있다.
사사오입스위치(38)는 소수점이하를 가능한한 자유롭게 구하는 모드 “F”와, 소수점이하의 지정자리수까지를 구하는 모드 “CUT”와, 소수점이하의 지정자리수까지를 사사오입에 의해 구하는 모드 “5/4”의 어느것인가를 지정할 수 있다.
소수점지정스위치(39)는 사사오입스위치(38)가 “CUT” 또는 “5/4”로 지정되어 있을 때에 유효한 스위치이고, 소수점이하를 구하지 않는 모드 “0”, 소수점이하 1자리수까지 구하는 모드 “1”, 소수점이하 2자리수까지 구하는 모드 “2”, 소수점이하 4자리수까지 구하는 모드 “4”의 어느것인가를 지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지정된 수의 아래 1자리수(2이면 3자리수째)가 잘라버림 또는 사사오입되도록 되어 있다.
또 이 소수점지정스위치(39)는 「.」키를 누르지 않아도 자동적으로 2자리수에 소수점을 넣는 교정소수점모드 “ADD2”의 지정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전자계산기(1)의 동작에 대해서 제8도~제13도의 플로챠트와 제14도 및 제15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AC」키가 눌려진 후, 키입력부(5)에서 데이터가 입력되면, 레지스터키/기능키 처리루틴(제8도, 제9도)에 있어서, 먼저 F=0인지의 여부, 즉 통상연산모드인지 검산모드인지가 판단된다(스텝 E1).
그리고 F=0의 경우에는 그 입력데이터가 레지스터키에 의한 입력데이터인지의 여부가 판단되고(스텝 E2), 레지스터키의 경우에는 그 수치가 표시레지스터(20)에 기억됨과 동시에 표시창(7a)에 표시된다(스텝 E3). 이 레지스터키에 의한 입력조작이 임의의 회수 반복되는 것에 의해 임의 자리수의 수치(단 8자리수까지)가 표시창(7a)에 표시된다.
그리고 다음에 「+」나 「-」등의 사칙연산명령키가 조작되면, J=0인지의 여부, 즉 입력가능한 상태인지의 여부가 판단되고(스텝 E4), J=0인 경우에는 입력된 수치와 연산명령이 저널메모리의 어드레스포인터(Pn)(최초는 Pn=P0)로 지정되어 있는 레지스터메모리영역(24a)과 기능메모리영역(24b)에 각각 기억된다(스텝 E5). 이 연산조작이 반복될 때마다 어드레스포인터(Pn)가 차례로 그 다음 어드레스지정(Pn+1)이 된다(스텝 E6).
그리고 상기 연산조작 도중에 저널메모리영역(24)이 오버플로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오버플로라고 판단되면 표시창(7a)의 메시지 표시영역에 “OVER”가 표시되고(스텝 E8), 저널메모리로의 입력을 금지하는 플래그(J)가 J=1이 된다(스텝 E9).
또 입력데이터를 기초로 계산처리가 실행되고, 답이 표시창(7a)에 표시된다(스텝 E10).
다음에 「검산」키(35)가 조작되면 검산키 처리루틴(제10도)이 실행되고, 스텝 E11에서 현재 통상의 연산모드가 검산모드인지가 판단되고, 현재 통상의 연산모드라고 판단되면, 먼저 표시창(7a)의 메시지표시영역에 “검산중”이 표시된다(스텝 E12). 그리고 어드레스포인터(Pn)가 초기의 어드레스지정(P0)이 된 후, 플래그(F)가 F=1, 즉 검산모드가 된다(스텝 E14).
그리고 현재 검산모드로 되어 있을 때에 「검산」키(35)가 조작되면 “검산중”의 표시가 소거되고(스텝 E15), 통상 연산모드로 되돌아 간다(스텝 E16).
검산모드에서는 레지스터키/기능키 처리루틴(제8도, 제9도)의 스텝 E1에 있어서 검산모드라고 판단되고, 스텝 E17에서 L=1인지의 여부, 즉 타이머가 스타트하고 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그리고 L=0인 경우에는 또 H=0인지의 여부, 즉 정정모드가 되어 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스텝 E18).
그리고 H=0일 때에 키입력부(5)에서 데이터가 입력되면, 그 입력데이터가 레지스터키에 의한 입력데이터인지의 여부가 판단되고(스텝 E19), 레지스터키인 경우에는 그 수치가 표시레지스터영역(20)에 기억됨과 동시에 표시창(7a)에 표시된다(스텝 E20). 이 레지스터키에 의한 입력조작이 임의의 회수 반복되는 것에 의해 임의 자리수의 치수(値數)(단 8자리수까지)가 표시창(7a)에 표시된다.
이어서 스텝 E19에서 연산명령키가 조작되었다고 판단되면, 어드레스포인터(Pn)가 최대 어드레스값을 오버하고 있지 않은지 판단되고(스텝 E21), 오버하고 있지 않으면 입력된 레지스터/연산명령과 저널메모리영역(24)에 기억되어 있는 지정된 어드레스의 레지스터/연산명령(전회의 레지스터/연산명령)이 비교되는 것에 의해 검산이 실행된다.
그리고 입력된 레지스터/연산명령과 기억되어 있는 레지스터/연산명령이 일치하고 있는 경우에는 어드레스포인터(Pn)가 차례로 다음 어드레스지정(Pn)이 되고(스텝 S23), 계산처리, 계산결과 표시처리가 실행된다(스텝 E24).
상기 레지스터키와 연산명령키의 조작이 반복될 때마다, 입력된 레지스터/연산명령과 저널메모리영역(24)에 기억되어 있는 지정된 어드레스의 레지스터/연산명령이 차례로 비교되고, 일치하고 있는 경우에는 그때마다 계산처리, 계산결과표시처리가 실행된다.
그리고 「=」키가 조작되면 계산이 종료되고, 표시창(7a)의 메시지표시영역에 계산이 맞았음을 표시하는 “OK”가 표시된다(스텝 E26).
또 입력된 레지스터/연산명령과 저널메모리영역(24)에 기억되어 있는 지정된 어드레스의 레지스터/연산명령이 일치하지 않은 경우, 스피커(9)에서 경보음이 발생된다(스텝 E27).
그후 플래그(H)가 H=1, 즉 정정모드가 됨과 동시에, 플래그(L)가 L=1이 되고, 타이머가 스타트한다(스텝 E28, E29). 그리고 타이머 스타트 후, 바로 표시창(7a)의 메시지 표시영역에 “금회”가 표시된다.
정정모드에서는 타이머 처리루틴(제11도)에 있어서, L=1인지의 여부, 즉 타이머를 스타트시킬 것인지의 여부가 판단되고(스텝 E31), L=1이면 타이머가 작동하고 카운트업이 개시된다(스텝 E32). 그리고 카운트업 개시후, 일정시간(T0)(예를 들면 1초) 경과하면 플래그(L)가 L=0이 되고, 타이머가 삭제된다(스텝 E33, E34). 이 카운트업이 실행되고 있는 동안, 키입력부(5)에서의 입력조작은 모두 무효가 된다.
여기서 「확인」키(36)가 눌려지면 「확인」키 처리루틴(제12도)이 실행된다. 「확인」키(36)의 조작은 플래그(F)가 F=1(검산모드)이며 플래그(H)가 H=1(정정모드)일 때만 유효하고, 이 「확인」키(36)가 눌려질 때마다 전회의 레지스터 및 연산명령기호와 금회의 레지스터 및 연산명령기호가 교대로 표시됨과 동시에, “전회”와 “금회”가 교대로 표시된다(스텝 E35~E37).
그리고 소정시간(Y0) 경과후, 키입력부(5)에서 정정입력처리가 실행되면 레지스터키/기능키 처리루틴의 스텝 E35에 있어서 정정처리가 실행되고, 레지스터키에 의해 전회와 같은 바른 입력이 실행된 후에, 연산명령키에 의해 전회와 같은 바른 입력이 실행되면 플래그(H)가 H=0이 되고, 정정모드를 종료시킨다(스텝 E37).
상기 정정입력후 어드레스포인터(Pn)가 그 다음 어드레스지정(Pn+1)이 된후(스텝 E38), 계산처리, 계산결과 표시처리가 실행되고(스텝 E39), 입력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그후 상기 스텝 E17~E24와 동일 처리를 거쳐, 전회와 금회의 레지스터/연산명령이 일치하고 있는 경우, 계산종료로 「=」키가 조작되면(스텝 E25), 표시창(7a)의 메시지 표시영역에 “OK”가 표시된다(스텝 E24).
그리고 「AC」키가 눌려지면 「AC」키 처리루틴(제13도)이 실행되고, 이상의 통상연산 및 검산의 데이터가 모두 소거된다(스텝 E40). 그리고 플래그(J)가 J=0이 되어 통상연산입력이 가능한 상태로 되고(스텝 E41), 또 어드레스포인터(Pn)가 초기의 어드레스지정(P0)으로 되돌아간다(스텝 E42).
그리고 상기 검산조작 도중에 저널메모리영역(24)의 용량을 나타내는 어드레스포인터(Pn)가 가득찬 경우는, 검산처리가 불가능하게 되어 표시창(7a)의 메시지표시영역에 “OVER”가 표시되고(스텝 E23), “검산중”의 표시가 소거된다(스텝 E44). 그리고 플래그(F)가 F=0이 되고(스텝 E45), 통상연산모드에서 계산처리, 계산결과표시처리가 실행된다(스텝 E46). 즉, 검산조작중은 전회의 계산내용을 기억하고 있는 메모리 용량이 가득찬 후는 검산은 할 수 없지만, 계산처리는 그대로 계속할 수 있다.
제14도 및 제15도에는 상기 키입력부(5)에 있어서의 키조작예와, 그때의 상기 표시창(7a)의 표시예가 좌우로 대응시켜 표시되어 있다.
제14(a)도의 조작은 통상연산모드에 있어서의 조작예이고, (b)~(g)도의 조작은 (a)도의 연산조작이 맞았는지의 여부를 검산하는 검산모드에 있어서의 조작예이다.
제14(a)도에 있어서는 「AC」키가 조작된 후(상기 스텝 E40~E42), 「5」, 「+」, 「7」, …의 일련의 키조작이 실행되고, 마지막으로 「=」키가 조작된 것에 의해 연산결과를 나타내는 수치 “27”이 표시창(7a)에 표시되어 있다(상기 스텝 E1~E10).
제14(b)도에 있어서는 「검산」키가 조작된 것에 의해 표시창(7a)의 메시지 표시영역에 “검산중” 및 “금회”의 표시가 점등하고(상기 스텝 E11~E24), 「5」키, 「+」키까지는 전회와 동일 키조작이 실행되고, 다음에 전회의 숫자키와 다른 「8」키가 조작되고, 그리고 「+」키가 조작된 것에 의해 “금회” 및 “+”가 점등하고 있다(스텝 E19, E21, E22, 27~E30). 이때 스피커(9)에서 「삐삐」라고 하는 경보음이 발생됨과 동시에, 검산모드가 되고, 타이머가 스타트한다.
검산중 잘못 입력이 된 개소에서 경보음을 울리는 것으로, 즉석에서 실수를 검지할 수 있다.
제14(c)도에 있어서는 「2」키가 조작되고 있지만, 이 시점에서는 타이머의 카운트값이 1초로 되어 있지 않으므로, 키조작이 무시되고, 표시창(7a)에는 여전히 “8”이 표시되어 있다(스텝 E31~E35).
이와 같이 검산 도중에 키조작을 잘못했을 때, 그후 일정시간입력을 무효로 하는 것에 의해, 검산모드에 있어서 잘못된 데이터가 입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4(d)도에 있어서는 「확인」키(36)가 눌려진 것에 의해, 전회의 입력값 “7”이 표시됨과 동시에 메시지표시부에 “전회”가 점등하고 있다(스텝 E35~E37).
제14(e)도에 있어서는 다시 「확인」키(36)가 눌려진 것에 의해, 금회의 입력값 “8”이 표시됨과 동시에 메시지표시부에 “금회”가 점등하고 있다(스텝 E35~E37)
이와 같이 「확인」키(36)를 누르는 것에 의해 전회의 입력값과 금회의 입력값을 교대로 표시할 수 있도록 한 것에 의해, 어떻게 틀린것인지를 검증할 수 있다.
제14(f)도에 있어서는 바른키인 「7」키와 「+」키가 키조작된 것에 의해 그 시점에서의 바른 계산값 “12”가 표시되어 있다(스텝 E35, E36, E37).
제14(g)도에 있어서는 계속 키입력이 실행된 후, 마지막으로 「=」키가 조작되는 것에 의해, 바른 답인 “27”이 표시되어 있다. 동시에 메시지표시부에 “OK”가 점등하고 있다.
이와 같이 계산이 맞았음을 나타내는 메시지 “OK”가 표시되도록 한 것으로, 검산이 종료했음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고, 조작성이 현저히 향상한다.
또 제15(h)~(j)도의 조작은 통상연산모드에 있어서의 다른 조작예이고, 제15(k)~(n)도의 조작은 검산모드에 있어서의 다른 조작예이다.
제15(h)도에 있어서는 「AC」키가 조작된 후(상기 스텝 E40~E42), 「2」키, 「+」키, 「3」키, 「+」키가 조작된 것에 의해 도중 계산값 “5”와 “+”가 표시되어 있다(스텝 E1~E7, E10).
제15(i)도에 있어서는 제15(h)도에 이어지는 일련의 키입력조작 후, 「2」키, 「3」키, 「+」키가 조작된 시점에서 저널메모리가 가득찼으므로 메시지표시부에 “OVER”가 점등하고(스텝 E8), 도중 계산값 “503”이 표시되어 있다(스텝 E10).
제15(j)도에 있어서는 제15(i)도에 이어지는 일련의 키입력조작 후, 「1」키, 「5」키가 조작되고, 마지막으로 「=」키가 조작된 것에 의해 연산 결과를 나타내는 수치 “627”이 표시창(7a)에 표시되어 있다(상기 스텝 E1~E10). “OVER“는 점등한 상태이다.
제15(k)도에 있어서는 「검산」키가 조작된 것에 의해 표시창(7a)의 메시지 표시영역에 “검산중”의 표시가 점등하고(상기 스텝 E11~E14), 전회와 마찬가지로 「2」키, 「+」키, 「3」키, 「+」키가 조작된 것에 의해, 도중 계산값 “5”와 “+”가 표시되어 있다(스텝 E1, E17, E18~E20).
제15(l)도에 있어서는 제15(k)도에 이어지는 전회와 동일 일련의 키입력조작 후, 전회와 마찬가지로 「2」키, 「3」키, 「+」키가 조작된 시점에서 저널메시지가 가득찼으므로 메시지표시부에 “OVER”점등하고(스텝 E43), 도중 계산값 “503”이 표시되어 있다.
제15(m)도에 있어서는 제15(l)도에 이어서 「1」키가 조작된 시점에서 저널메모리가 가득찼기 때문에 “OVER”의 표시가 점등함과 동시에 “검산중”의 표시가 소거하고(스텝 E43~E44), 또 「1」키, 「+」키가 조작되어 도중 계산값 “514”가 표시되어 있다(스텝 E45, E46).
제15(n)도에 있어서는 제15(n)도에 이어지는 일련의 입력조작 후 「1」키~「5」키가 조작되고, 마지막으로 「=」키가 조작된 것에 의해 연산결과를 나타내는 수치 “625”가 표시창(7a)에 표시되어 있다(상기 스텝 E10). 이 경우도 “OVER”의 표시는 점등한 상태이다.
이와 같이 저널메모리가 오버플로한 시점에서 검산모드가 해제되고, 이후의 연산은 통상 연산모드에서 실행되도록 한 것으로, 오버플로할 때마다 검산을 도중에서 중지해야만 한다고 하는 단점을 방지할 수 있다.
또 “OVER”의 표시가 점등하는 것으로, 오버플로하기 전까지의 계산은 맞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입력자는 그후의 입력조작에만 주의를 기울이고, 계산결과를 확인하는 것에 의해 검산을 실행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전자계산기는 상기 실시예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들면, 상기 실시예에서는 「확인」키(36)를 누르는 것에 의해 전회의 입력값과 금회의 입력값을 교대로 표시할 수 있도록 했으므로, 검산중에 오(誤)입력이 있었던 경우, 전회의 입력값과 금회의 입력값이 일정시간을 두고 교대로 자동표시되도록 해도 된다.
또, 오입력후 키입력을 무료로 하는 시간은 1초 이하이어도 그 이상이어도 된다.
그리고, 오입력후 일정시간 입력을 무효로 하지않고, 「확인」키(36)가 눌려질 때까지 다른 키에 의한 입력을 무효로 해도 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전자계산기의 제3실시에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제3실시예의 전자계산기의 기본구성 및 외관은 상기 제2실시예(제5도, 제7도)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고, RAM 내부와 처리동작에 대해서만 설명을 한다.
제16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제3실시예의 RAM(40)은 상기 표시창(7a)에 표시하는 데이터를 기억하는 표시레지스터영역(레지스터 입력레지스터 영역을 겸함)(41)과, CPU(2)가 연산하기 위한 수치를 일시 기억하는 연산용 레지스터영역(42)과, 연산결과를 일시 기억하는 메모리레지스터영역(43), 프로그램 실행중 각종 조건을 나타내는 표플래그(F, H)의 내용을 기억하는 플래그 레지스터 영역(44)을 갖는다.
각 플래그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F = 0 통상의 연산모드
F = 1 검산모드
H = 1 정정모드
H = 0 정정모드 해제
또, RAM(40)은 키입력부(5)에서의 입력내용을 일시 기억하는 저널 메로리영역(45)과, 저널 메모리영역(45)의 각 레지스터를 지정하는 어드레스포인터(Pn)를 기억하는 영역(46)을 갖고 있다.
저널 메모리영역(45)은 입력된 수치를 기억하는 레지스터 메모리영역(45a)과, 입력된 연산명령(+, -, ×, ÷, =)을 기억하는 기능 메모리영역(45b)과, 사사오입 스위치(38)로 지정된 사사오입상태 지정데이터(F, C, 5/4)를 기억하는 사사오입상태 메모리영역(45c)과, 소수점 지정스위치(39)에 의해 지정된 자리수 지정데이터(4, 2, 1, 0, ADD2)를 기억하는 자리수지정 메모리영역(45d)을 갖는다. 그리고, 키입력부(5)에서 연산을 위한 입력이 실행될 때마다 수치데이터와, 그 직후에 입력된 연산명령데이터와, 그때의 사사오입 연산상태데이터(사사오입 상태지정데이터, 자리수지정데이터)를 세트로 해서 어드레스포인터(P0, P1, P2, P3, …)에 의해 지정되어 있는 저널메모리영역(45)의 레지스터에 차례로 기억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키입력부(5)는 제2실시예와 동일하고, 제7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자계산기(1)의 조작면(30)상에 배설된 레지스터키(31), 연산명령키(32), 명령키군(33), 메모리키군(34), 「검산」키(35), 사사오입스위치(38), 및 소수점지정스위치(39)를 구비하고 있다.
표시창(7a)은 제3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면(30) 입력키의 상방에 설치되어 있다. 이 표시창(7a)에는 8자리수까지의 수치를 표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수치표시영역의 좌측에는 RAM(4)의 메모리레지스터에 수치가 들어있을 때는 “M”이, 정수계산중은 “K”가, 어떤 수를 0으로 나누는 등의 입력에러가 있었을 때는 “E”가 각각 점등하도록 되어 있다.
또 수치표시영역의 상측 영역은 “검산중”, “OK”, “전회”, “금회”, “사사오입” 등의 메시지 표시영역이고, 특히 “사사오입”의 메시지표시는 검산시에 소수점지정스위치(39) 및 사사오입스위치(38)의 설정이 전회의 계산시와 다를 때에 “사사오입”이 각각 점등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전자계산기의 동작에 대해서 제17도~제21도의 플로챠트와 제22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AC」키가 눌려진후, 키입력부(5)에서 데이터가 입력되면 레지스터키/기능키 처리루틴(제17도, 제18도)에 있어서, 먼저 F=0인지의 여부, 즉 통상 연산모드인지 검산모드인지가 판단된다(스텝(K1).
그리고 F=0인 경우에는 그 입력데이터가 레지스터키에 의한 입력데이터인지의 여부가 판단되고(스텝 K2), 레지스터키인 경우에는 그 수치가 표시레지스터영역(41)에, 기억됨과 동시에 표시창(7a)에 표시된다(스텝 K3). 이 레지스터키에 의한 입력조작이 임의의 회수 반복되는 것에 의해 임의 자리수의 수치(단 8자리수까지)가 표시창(7a)에 표시된다.
그리고 다음에 「+」나 「-」키 등의 사칙연산명령키가 조작되면, 입력된 수치데이터(5, 6, 3, 2, 1 등)와, 연산명령데이터(+, -, ×, ÷)와, 그때의 사사오입 상태지정데이터(F, C, 5/4)와, 자리수지정데이터(4, 2, 1, 0, ADD2)가 어드레스포인터(Pn)(최초는 Pn=P0)로 지정되어 있는 저널메모리영역(45)의 레지스터의 레지스터메모리영역(45a), 기능메모리영역(45b), 사사오입 상태메모리영역(45c), 및 자리수지정메모리영역(45d)에 각각 기억된다(스텝 K4).
이 연산조작이 반복될 때마다 어드레스포인터(Pn)가 차례로 그 어드레스지정(Pn+1)이 되고(스텝 K5), 차례로 계산처리, 계산결과표시가 실행된다(스텝 K6).
그리고 「=」키가 조작되면 답이 표시창(7a)에 표시된다.
다음에 「검산」키(35)가 조작되면 검산키 처리루틴(제19도)이 실행되고, 먼저 표시창(7a)의 메시지표시영역에 “검산중”이 표시된다(스텝 K17). 그리고 어드레스포인터(Pn)가 초기의 어드레스지정(P0)이 된후, 플래그(F)가 F=1, 즉 검산모드가 된다(스텝 K9, K10).
또 검산모드로 되어 있을 때에 「검산」키(35)가 조작되면, “검산중”의 표시가 소거되고(스텝 K11), 통상연산모드로 되돌아간다(스텝 K12).
검산모드에서는 레지스터키/기능키 처리루틴(제17도, 제18도)에 있어서, 먼저 H=0인지의 여부, 즉 정정모드로 되어 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스텝 K13).
그리고 H=0일 때에 키입력부(5)에서 데이터가 입력되면, 그 입력 데이터가 레지스터키에 의한 입력데이터인지의 여부가 판단되고(스텝 K14), 레지스터키인 경우에는 그 수치가 표시레지스터영역(41)에 기억됨과 동시에 표시창(7a)에 표시된다(스텝 K15). 이 레지스터키에 의한 입력조작이 임의의 회수 반복되는 것에 의해 임의 자리수의 레지스터(단 8자리수까지)가 표시창(7a)에 표시된다.
이어서 연산명령키가 조작되면, 입력된 금회의 수치/연산명령/사사오입연산상태데이터와, Pn으로 지정되어 있는 저널메모리영역(45)의 레지스터에 기억되어 있는 전회의 수치/연산명령/사사오입연산상태데이터가 비교된다(스텝 K16).
그리고 금회의 수치/연산명령/사사오입연산상태데이터와 저널메모리영역(45)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레지스터/연산명령/사사오입연산상태데이터가 일치하고 있는 경우에는 어드레스포인터(Pn)가 차례로 그 다음 어드레스지정(Pn+1)이 되고(스텝 K17), 계산처리, 계산결과표시처리가 실행된다(스텝 K18).
상기 레지스터키와 연산명령키의 조작이 반복될 때마다, 입력된 수치/연산명령/사사오입연산상태데이터와 Pn으로 지정된 저널메모리영역(45)의 각 레지스터에 기억되어 있는 수치/연산명령/사사오입연산상태데이터가 차례로 비교되고, 일치하고 있는 경우에는 차례로 계산처리, 계산결과표시처리가 실행된다(스텝 K16~K18).
그리고 「=」키가 조작되면 계산이 종료되고(스텝 K19), 표시창(7a)의 메시지 표시영역에 계산이 맞았음을 나타내는 “OK”가 표시된다(스텝 K20).
또 입력된 수치/연산명령/사사오입연산상태데이터와, Pn으로 지정된 저널메모리영역(45)의 레지스터에 기억되어 있는 전회의 수치/연산명령/사사오입연산상태데이터가 일치하지 않은 경우, 스피커(9)에서 경보음이 발생되고(스텝 K21), 일치하지 않은 데이터가 표시창(7a)에 점멸표시된다(스텝 K22).
그후 플래그(H)가 H=1, 즉 정정모드가 되고(스텝 K23), 표시창(7a)의 메시지 표시영역에 “금회”가 표시된다(스텝 K24).
정정모드에서는 「확인」키가 눌려지면 「확인」키 처리루틴(제20도)이 실행된다. 「확인」키의 조작은 플래그(F)가 F=1(검산모드)이며 플래그(H)가 H=1(정정모드)일 때만 유효하고, 이 「확인」키가 눌려질 때마다 전회 입력된 수치 및 연산명령기호와 금회 입력된 수치 및 연산명령기호가 교대로 표시됨과 동시에, “전회”와 “금회”의 표시체가 교대로 표시된다(스텝 K25~K27).
그리고 레지스터키에 의해 전회와 같은 바른 입력이 된 후에 연산 명령키에 의해 전회와 같은 바른 입력이 되면(스텝 K28, K29), 플래그(H)가 H=0이 되고, 정정모드를 종료시킨다(스텝 K30).
상기 정정처리 후, 어드레스포인터(Pn)가 그 다음 어드레스지정(Pn+1)이 된후(스텝 K31), 계산처리, 계산결과표시처리가 실행된다(스텝 K32).
그후 상기 스텝 K13~K18과 동일 처리를 거쳐, 전회와 금회의 모든 수치/연산명령/사사오입연산상태데이터가 일치하고 있는 경우, 「=」키가 조작되면(스텝 K20), 표시창(7a)의 메시지표시영역에 “OK”가 표시된다(스텝 K24).
그리고 「AC」키가 눌려지면 「AC」키 처리루틴(제21도)이 실행되고, 이상의 통상 연산 및 검산의 데이터가 모두 소거된 후(스텝 K33), 어드레스포인터(Pn)가 초기의 어드레스지정(P0)으로 되돌아가고(스텝 K34), 통상연산의 입력대기상태가 된다.
제22도에는 상기 사사오입스위치(38) 및 소수점지정스위치(39)의 설정상태예와, 상기 키입력부(5)에 있어서의 키조작예와, 그때의 상기 표시창(7a)의 표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중 (a)~(c)도는 통상 연산모드에 있어서의 연산예이고, (d)~(g)는 (a)~(c)의 조작에 이어서 실행된 검산모드에 있어서의 연산예이다.
(a)에 있어서는 사사오입스위치(38)를 프리모드 “F”로, 소수점지정스위치(39)를 2자리수모드 “2”로 설정한 상태에서 「5」키, 「+」키, 「6」키, 「÷」키가 차례로 조작된 결과, 표시창(7a)에 계산값 “11”이 표시되어 있다.
또, 표시창(7a)의 연산기호표시부(37)에는 이 시점에서 마지막으로 조작된 연산명령키의 연산기호 “÷”가 표시되어 있다.
(b)에 있어서는 사사오입스위치(38)를 카운트모드 “C”로 전환한 후, (a)의 조작에 있어서 「3」키, 「÷」키가 차례로 조작된 결과, 소수점 이하 2자리수 미만을 잘라버린 계산값 “3.66”과 연산기호 “÷”가 표시되어 있다.
(c)에 있어서는 사사오입스위치(38)를 사사오입모드 “5/4”로, 소수점지정스위치(39)를 1자리수모드 “1”로 각각 전환하고, (b)의 조작에 이어서 「2」키, 「.」키, 「1」키가 차례로 조작된 후, 마지막으로 「=」키가 조작된 것에 의해 연산결과를 나타내는 수치 “1.7”이 표시되어 있다.(이상, 상기 스텝 K1~K6)
(d)에 있어서는 「검산」키(35)가 조작된 것에 의해 표시창(7a)의 메시지 표시영역에 “검산중”의 표시가 점등하고(상기 스텝 K7, K8), 그후 전회와 같은 「5」키, 「+」키, 「6」키, 「÷」키가 차례로 조작된 결과, 계산값 “11”이 표시되어 있다.(상기 스텝 K13, K14, K16~K18).
(e)에 있어서는 사사오입스위치(38)는 전회와 같은 컷모드 “C”로 설정되어 있지만, 소수점지정스위치(39)가 전회와 다른 1자리수모드 “1”로 설정된 것에 의해 (d)의 조작에 이어서 「3」키가 조작되고, 그리고 「÷」키가 조작된 시점에서 스피커(9)에서 「삐삐」라는 경보음이 일시적으로 발생되고, 표시창(7a)의 메시지 표시영역에 “사사오입”의 표시체가 점멸표시되어 있다(상기 스텝 K16, K21, K22).
이와 같이 전회와 다른 사사오입연산상태에서 연산조작이 실행된 시점에서 경보음을 울리고, 오조작의 내용을 나타내는 표시체를 점멸표시시키는 것에 의해, 사사오입연산상태의 지정에 실수가 있었음을 입력자에게 바로 알릴 수 있다.
(f)에 있어서는 소수점지정스위치(39)가 전회와 같은 2자리수모드 “2”로 다시 설정된 것에 의해, 바른 계산값 “3.66”이 표시되어 있다.
(g)에 있어서는 사사오입스위치(38)를 전회와 같은 사사오입모드 “5/4”로, 소수점지정스위치(39)를 전회와 같은 1자리수모드 “1”로 전환한 후, (f)의 조작에 이어서 「2」키, 「.」키까지는 전회와 같은 키조작이 실행되었지만, 다음에 전회와 다른 숫자키 「2」키가 조작된 것에 의해 「=」키가 조작된 시점에서 스피커(9)에서 「삐삐」라는 경보음이 일시적으로 발생되고, 표시창(7a)에 금회 잘못 입력된 수치 “2.2”가 점멸표시됨과 동시에, 메시지 표시영역에 “금회”의 표시체가 표시되어 있다(상기 스텝 K16, K21~24).
이상과 같이 전회의 데이터와 일치하지 않은 데이터를 표시창(7a)에 점멸표시시키는 것으로, 입력조작 또는 사사오입연산상태의 지정에 실수가 있었음을 입력자에게 확실히 알릴 수 있고, 또 어떠한 실수가 있었는지를 입력자에게 확인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의 전자계산기는 「확인」키를 누르는 것에 의해 전회의 수치 및 연산명령데이터와 금회의 수치 및 연산명령데이터를 표시창(7a)에 교대로 표시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므로, 전회의 입력값을 표시창(7a)상에서 확인하여 바로 실수를 정정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전자계산기는 상기 실시예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에서는 소수점이하 몇자리수까지 구할 것인지를 지정하기 위한 소수점지정스위치(39)와, 소수점지정스위치(39)로 지정된 자리수의 아래 1자리수를 잘라버릴것인지 사사오입할 것인지를 지정하기 위한 사사오입스위치(38)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소수점이하의 일정 자리수까지 구하도록 자리수가 고정된 기종의 경우는 소수점지정스위치(39)는 필요없음은 말할필요도 없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확인」키를 누르는 것에 의해 전회의 입력값과 금회의 입력값을 교대로 표시할 수 있도록 했지만, 검산중에 오입력이 있었던 경우, 전회의 입력값과 금회의 입력값이 일정시간마다 교대로 자동표시되도록 해도 된다.

Claims (10)

  1. 연산식데이터를 입력하는 연산식데이터 입력수단과; 이 연산식데이터 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된 연산식데이터를 차례로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상기 연산식데이터 입력수단으로 입력되는 연산데이터를 차례로 연산하는 연산수단과; 이 연산수단에 의한 연산결과의 자리수를 지정하는 자리수지정수단과; 이 자리수지정수단에 의해 지정된 지정자리수로 상기 연산수단에 의한 연산결과를 처리하는 자리수처리수단과; 상기 자리수지정수단의 자리수지정상태를 기억하는 상태기억수단과; 상기 연산식데이터 입력수단에 의해 새로 연산식데이터가 입력되었을 때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연산식데이터와 상기 새로 입력된 연산식데이터가 일치하고 있는지의 여부, 상기 상태기억수단에 기억된 자리수지정수단의 상태와 현재의 자리수지정수단의 상태가 일치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차례로 비교판단하는 비교판단수단과; 이 비교판단수단에 의해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연산식데이터와 상기 새로 입력된 연산식데이터 또는 상기 상태기억수단에 기억된 자리수지정수단의 상태와 현재의 자리수지정수단의 상태중 적어도 한쪽이 불일치한다고 판단되었을 때, 알림을 행하는 알림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계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기억수단은 상기 새로 입력된 연산식데이터중 기능데이터가 입력될 때 마다 상기 기능데이터에 대응시켜 자리수지정수단의 상태를 기억하는 연산상태기억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계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기억수단은 상기 자리수지정수단의 상태가 변화할 때 마다 이 자리수지정수단의 상태를 기억하는 절환상태기억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계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판단수단은 상기 새로 입력된 연산식데이터중 기능데이터가 입력될 때 마다,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연산식데이터와 상기 새로 입력된 연산식데이터를 비교하는 식비교수단과; 상기 상태기억수단에 기억된 자리수지정수단의 상태와 현재의 자리수지정수단의 상태를 비교하는 자리수비교수단을 구비한 비교판단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계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리수지정수단은 소수점 이하의 자리수를 지정하는 소수점지정수단과; 이 소수점지정수단에 의해 지정된 자리수가 되도록 적어도 상기 소수점지정수단에 의해 지정된 자리수 이하를 사사오입 또는 잘라버림을 지정하는 처리지정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계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수단은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연산식데이터와 상기 새로 입력된 연산식데이터의 불일치부분을 교대로 전환표시하는 표시전환키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계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수단은 상기 표시전환키수단에 의해 불일치부분의 데이터를 교대로 전환표시했을 때, 표시된 데이터가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연산식데이터, 및 상기 새로 입력된 연산식데이터의 어느 것인지를 명시하는 명시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계산기.
  8. 제1항에 있어서, 또 상기 비교판단수단에 의해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연산식데이터와 상기 새로 입력된 연산식데이터가 불일치한다고 판단되었을 때, 그후의 데이터 입력을 무효로 하는 입력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계산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제어수단은 상기 비교판단수단에 의해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연산식데이터와 상기 새로 입력된 연산식데이터가 불일치라고 판단된 후, 일정시간 데이터의 입력을 무효로 하는 타이머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계산기.
  10. 제1항에 있어서, 또 상기 기억수단이 오버플로했을 때 상기 기억수단으로의 상기 입력된 연산식데이터의 기억을 정지시키는 기억제어수단과; 상기 비교판단수단에 의한 비교판단을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부분만 실행시키는 부분검산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계산기.
KR1019950045768A 1994-12-01 1995-11-30 전자계산기 KR1002465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298430 1994-12-01
JP6298430A JPH08161270A (ja) 1994-12-01 1994-12-01 電子計算機
JP05051395A JP3508274B2 (ja) 1995-02-14 1995-02-14 電子計算機
JP95-050513 1995-02-14
JP05649095A JP3693262B2 (ja) 1995-02-20 1995-02-20 電子計算機
JP95-056490 1995-02-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5111A KR960025111A (ko) 1996-07-20
KR100246519B1 true KR100246519B1 (ko) 2000-03-15

Family

ID=27293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45768A KR100246519B1 (ko) 1994-12-01 1995-11-30 전자계산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870318A (ko)
EP (1) EP0715263B1 (ko)
KR (1) KR100246519B1 (ko)
CN (1) CN1095131C (ko)
DE (1) DE69530461T2 (ko)
HK (1) HK1013471A1 (ko)
MY (1) MY113894A (ko)
TW (1) TW28322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12998A1 (en) * 2000-08-04 2002-02-14 Data Action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rounding numerical values according to significant digits or rounding interval
DE10353210A1 (de) * 2003-11-13 2005-06-16 Siemens Ag Sichere Erfassung von Eingabewerten
JP5667324B1 (ja) * 2014-10-17 2015-02-12 晃康 加藤 検算機能付き電子式計算機
CN107870886B (zh) * 2016-09-23 2021-05-18 卡西欧计算机株式会社 计算装置、计算方法以及计算机可读取的存储介质
CN108760517B (zh) * 2018-05-22 2024-05-07 西南交通大学 填砂路基的地基系数k30校正试验装置及其试验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86412A (en) * 1979-12-17 1983-05-31 Casio Computer Company, Ltd. Calculator with equation display device
JPS5786965A (en) * 1980-11-19 1982-05-31 Nec Corp Electronic desk-top calculator
JPS58213369A (ja) * 1982-06-05 1983-12-12 Casio Comput Co Ltd 検算機能付小型電子式計算機
JPS6020661A (ja) * 1983-07-15 1985-02-01 Fujitsu Ltd マルチチヤネルト−クン方式
EP0264098B1 (en) * 1986-10-14 1995-01-04 Sharp Kabushiki Kaisha Input system for use in a portable type data processing device
DE3725284A1 (de) * 1987-07-30 1989-02-09 Michael Mueller Elektronisches rechengeraet
JPH05204864A (ja) * 1992-01-27 1993-08-13 Sharp Corp 関数電卓
JPH0628499A (ja) * 1992-07-07 1994-02-04 Sharp Corp データ駆動型情報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715263A2 (en) 1996-06-05
EP0715263A3 (en) 1996-08-28
DE69530461D1 (de) 2003-05-28
EP0715263B1 (en) 2003-04-23
DE69530461T2 (de) 2003-10-30
KR960025111A (ko) 1996-07-20
CN1095131C (zh) 2002-11-27
HK1013471A1 (en) 1999-08-27
CN1127902A (zh) 1996-07-31
US5870318A (en) 1999-02-09
MY113894A (en) 2002-06-29
TW283223B (ko) 1996-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12620A (en) Apparatus for collecting scheduled maintenance data
KR100246519B1 (ko) 전자계산기
JP3508277B2 (ja) 電子計算機
JP3693262B2 (ja) 電子計算機
JPS63245701A (ja) 制御装置
EP0729105B1 (en) Computer with a check function
US5253191A (en) Electronic computer capable of entering unary operator using prefix notation
JPH08221368A (ja) 電子計算機
KR960017031A (ko) 저항용접제어장치
JP4092810B2 (ja) 演算表示装置及び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H08161270A (ja) 電子計算機
JPH0578055B2 (ko)
JPH06168104A (ja) 電子式計算機
JP3557645B2 (ja) 電子計算機
JPS5924361A (ja) 日付の表示方式
KR950009762B1 (ko) 전자계산기의 메모리 기능키 데이타 표시방법
JPS6319859Y2 (ko)
JP2530478Y2 (ja) 出退シーケンスチェック機能付きタイムレコーダ
JPS6225208B2 (ko)
JPH1049502A (ja) 検算装置
JPS627563B2 (ko)
JPH0452499B2 (ko)
JPS60168674A (ja) 電子タイプライタの編集装置
JPH0471171B2 (ko)
JPS62224807A (ja) 数値制御装置のオプシヨンパラメ−タ設定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