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4697B1 - 래커 슬러지로부터 결합제 성분을 회수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래커 슬러지로부터 결합제 성분을 회수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4697B1
KR100244697B1 KR1019930007626A KR930007626A KR100244697B1 KR 100244697 B1 KR100244697 B1 KR 100244697B1 KR 1019930007626 A KR1019930007626 A KR 1019930007626A KR 930007626 A KR930007626 A KR 930007626A KR 100244697 B1 KR100244697 B1 KR 1002446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cquer
solvent
water
component
orga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7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3419A (ko
Inventor
빌란트호베슈타트
요헨브뤽
볼커슈나이더
Original Assignee
빌프리더 하이더
바이엘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빌프리더 하이더, 바이엘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빌프리더 하이더
Publication of KR9300234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34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46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46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11/00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71Paint detackifiers or coagulants, e.g. for the treatment of oversprays in paint spraying install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7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75/04Polyurethanes

Abstract

본 발명은 i) a) 2액형 폴리우레탄 래커에 존재하는 물 또는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 기보다 이소시아네이트 기에 대해 더 큰 반응성을 나타내는 화합물을 용해 또는 분산된 형태로 함유하고 b) 유화제를 함유할 수 있는 수성 매질을 사용하여 도장 공장의 배기를 통하여 과분사물을 세척하고 ⅱ) 상기 수성 매질 중에 존재할 수 있는 단계 (i)에서 형성된 화학적으로 개질된 과분사물을 응고제로 처리하여 래커 슬러지 형태로 단리하고 ⅲ) 완전히 반응된 래커 성분, 응고제 및 물이 함유하는 래커 슬러지를 임의로 물의 일부를 제거한 후 유기 용매와 혼합하고, ⅳ) 수층 및 존재 가능한 불용성 성분으로부터 단계 ⅲ)에서 축적되는 유기층을 분리하고 유기층에 용해되어 있는 개질된 결합제 성분의 용액을 회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매 함유 2액형 폴리우레탄 래커 또는 용매 함유 수분 경화성 1액형 폴리우레탄 래커의 분사중에 과분사물로 축적되는 유기 결합제 성분의 회수 및 재순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정을 실행함으로서 통상적인 래커의 분사 과정중에 발생하는 과분사물 중의 결합제 성분을 이후에 연속되는 교차 결합 반응 결과 재사용이 불가능 해지기 전에 회수할 수 있고 회수된 결합제 성분은 2액형 폴리우레탄 래커 또는 1액형 폴리우레탄 래커로서 재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래커 슬러지로부터 결합제 성분을 회수하는 방법
본 발명은 용매가 함유된 1액형 또는 2액형 폴리우레탄 래커의 분사중에 축적되는 래커 슬러지로부터 유기 결합제 성분을 회수하고 재활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용매를 함유하는 2액형 폴리우레탄 래커는 그의 탁월한 특성으로 인하여 도장공업에 있어서 상당한 실제적인 중요성을 갖는다. 실제적으로, 래커는 통상 도장되어야 하는 물질에 분사하는 방법으로 가해진다. 이 과정에서 과도한 분사의 결과, 사용되는 도장제의 상당량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실제적으로 이러한 과량의 분사물은 통상 도장 공장에서 물에 비해 배기로부터 세척 제거되고, 응고제, 예를 들면 알루미나 등의 계면 활성 무기 물질을 사용하여 응고시킨다. 지금까지는 이러한 "래커 슬러지"를 재사용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정상적으로 진행되는 교차 결합 반응의 결과 래커 슬러지 중의 결합제 성분이 사용불가능해지기 전에, 이를 사용될 수 있도록 처리하는 방법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 방법은 또한 용매 함유 1액형 폴리우레탄 래커에 응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결합제는 수분의 존재하에 경화되는 NCO 단량체이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은
a)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b) 바람직하게는, 2액형 폴리우레탄 래커의 경우, 이소시아네이트 기와 반응할 수 있는 기를 갖는 유기 화합물, 바람직하게는 유기 폴리히드록실 화합물,
c) 임의로 안료 및 기타 첨가제, 및
d) 용매를 함유하는
래커가 과분사된 경우, i) 임의로 유화제를 사용하여 도장 공장의 물중에 용해 또는 현탁되어 있고, ii)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물의 반응짝보다 이소시아네이트 기와 더 반응성인 기를 함유하는 화합물과 반응하면 그의 회수 및 재활용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달성될 수 있음이 발견되었다. 래커 슬러지는 응고제를 사용하여 단리시키고 유기 성분은 추출된다.
본 발명은
i) a) 2액형 폴리우레탄 레커에 존재하는 물 또는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기보다 이소시아네이트 기에 대해 더 큰 반응성을 나타내는 화합물을 용해 또는 분산된 형태로 함유하고 b) 유화제를 함유할 수 있는 수성 매질을 사용하여 도장 공장의 배기로부터 과분사물을 세척해내고,
ⅱ) 수성 매질 중에 존재할 수 있는 단계 (i)에서 형성된 화학적으로 개질된 과분사물을 응고제로 처리함으로써 래커 슬러지 형태로 단리하고,
ⅲ) 완전히 반응된 래커 성분, 응고제 및 물을 함유하는 래커 슬러지를 임의로 물의 일부를 제거한 후, 유기 용매와 혼합하고,
ⅳ) 존재할 수 있는 불용성 성분 및 수층으로부터 단계(ⅲ)에서 축적된 유기층을 분리하고 유기층에 용해된 개질된 유기 결합제 성분의 용액을 회수함으로써, 용매 함유 2액형 폴리우레탄 래커 또는 용매 함유 수분 경화성 1액형 폴리우레탄 래커의 분사중 과분사물로 축적되는 유기 결합제 성분을 회수 및 재순환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용어 "과분사물"은 분사 중에 도장되는 기판과 접촉하여 잔류되어 도장 공장의 배기중으로 들어가는 래커의 성분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2액형 폴리우레탄 래커 및 수분 존재하에 경화하는 1액형 래커의 처리 과정 중 축적되는 래커 슬러지의 재생에 대한 것이다. 2액형 폴리우레탄 래커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은 바람직하게는 "래커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성분, 즉 뷰렛, 이소시아누레이트, 우레탄, 알로파네이트 및(또는)우레트디온기를 함유하는 디이소시아네이트 단량체의 유도체이다. 이러한 다이소시아네이트단량체의 예는 특히, 1,6- 디이소시아네이트헥산 또는 1,6-디이소시아네이토헥산과 1-이소시아네이토-3,3,5-트리메틸-5-이소시아네이토-에틸-시클로헥산과의 혼합물 및(또는) 덜 바람직하게는, 2,4-및(또는) 2,6-디이소시아네이토톨루엔 등의 방향성 디이소시아네이트 기재의 것들이다. 이러한 래커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공지되어 있고, 일반적으로 디이소시아네이트 단량체가 0.5중량% 미만으로, 이소시아네이트기가 약 15-25중량%로 함유되어 있다.
2액형 폴리우레탄 래커에 있어서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하는 반응 짝은 공지되어 있고, 바람직하게는 비교적 고분자량을 가지고, 0.1중량% 내지 10 중량%의 히드록실기를 갖는 폴리히드록실 화합물이다. 예를 들면, 공지된 히드록시 관능기를 가지는 폴리에스테르, 폴리히드록실,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우레탄, 폴리디엔 수지 및 에폭시 수지 뿐만 아니라 이러한 폴리히드록실 화합물의 혼합물 또는 반응산물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덜 바람직한 1액형 폴리우레탄 래커는 결합제가 약 3 중량% 내지 16중량%의 NCO 함량을 갖는 NCO 전구합체를 함유하고, 디이소시아네이트 단량체 및(또는) 전술한 래커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전술한 폴리히드록실 화합물과 화학량론적 양 미만으로 반응시켜 얻어지는 것이다.
안료, 충진제 및 기타 첨가제(예를 들어, 균전제, 광택제, 침전 방지제, 증점제, 요변화제, 항산화제 및 열안정제)는 임의로 래커내에 존재할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른 공정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이러한 성분은 그들의 용해성에 따라서 단계(iv)에 따라 축적되는 유기층 또는 불용성 고상중에서 회수된다.
단계 (i)에서 사용되는, 이소시아네이트 기와 반응성인 기를 갖는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이소시아네이트 부가 반응에서 단일 관능성이고 2액형 폴리우레탄 래커에 사용되는 물 및 반응 성분(특히, 상기 언급한 폴리히드록실 화합물)보다 이소시아네이트 기와 더 용이하게 반응하는 화합물이다. 예를 들면, n-부틸아민, 이소부틸아민, n-펜틸아민, n-헥실아민, n-스테아릴아민, 디메틸아민, 디에틸아민, 디-n-프로필아민, 디-n-부틸아민, 디-n-펜틸아민, 디-n-헥실아민, 디이소프로필아민, n-메틸-n-스테아릴아민, 디-n-헥실아민, 디이소프로필아민, n-메틸-n-스테아릴아민, 디-n-스테아릴아민, 시클로헥실아민, 피페리딘, 피롤리딘 또는 모르폴린 등의 지방족 또는 시클로지방족으로 결합된 아미노 기를 갖는 1급 또는 2급 모노아민류이다. 방향성 1급 또는 2급의 단일 관능기를 가진 아민 또한 적합하나 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모노아민의 혼합물이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위한 반응 성분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고휘발성 모노아민은 하기 언급된 차단제에 필적하며, 본 발명에 따른 생성물은 스토빙 래커(Stoving lacquer)에 또는 스토빙 래커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래커가 경화될 때, 모노아민은 차단제와 같이 제거된다.
이소시아네이트기와 반응가능한 기를 가지고, 단계 (i)에 사용될 수 있는 또다른 화합물의 군은 이소시아네이트 기와 고도로 반응하는 단일 관능성 차단제이며, 바람직하게는 아세톤 옥심, 부타논 옥심 또는 시클로헥사논 옥심 등의 옥심류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이러한 차단제가 사용될 때, 스토빙 래커로서 사용될 수 있는 용매 또는 결합제 혼합물이 얻어진다. 이러한 차단제 및 고휘발성 모노아민에 있어서, 스토빙 래커는 용매-함유 스토빙 래커 또는(예를 들면, 분사 건조 등에 의해 용매를 제거한 후에) 분말상의 래커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단계 (i)에서 사용될 수 있는 또다른 화합물의 군은 아미노알콜이다. 아미노 및 히드록실 기는 반응성의 상당한 차이로 인해, 이소시아네이트 부가 반응에 있어서, 특히 각 이소시아네이트 기에 하나 이상의 아미노기가 존재하는 양으로 사용될 때 아미노알콜은 단일 관능성인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아미노알콜의 예를 들면, 2-아미노에탄올, 2-(메틸아미노)-에탄올, 디에탄올아민, 3-아미노-1-프로판올, 1-아미노-2-프로판올, 디이소프로판올아민, 2-아미노-2-메틸-프로판올, 2-아미노-2-메틸-1,3-프로판디올, 2-아미노-2-히드록시메틸-1,3-프로판디올 및 그들의 혼합물 등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아미노알콜이 사용될 경우, 2액형 폴리우레탄 래커에 폴리올 성분으로 재활용될 수 있는 유기 폴리히드록실 화합물의 용액 또는 혼합물이 얻어진다.
이소시아네이트 기와 고도의 반응성이 있는 기에 더하여, 부가적인 관능기, 특히 카르복실레이트 또는 술포네이트기를 가지는 화합물은 단계 (i)에서 이소시아네이트 기와 반응 가능한 기를 가진 화합물로서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나 덜 바람직하다. 이러한 화합물의 예를 들면, 특히, 아미노카르복실산 또는 아미노술폰산의 알칼리염이다. 이러한 화합물의 사용 결과, 물 중에 분산될 수 있는 반응 산물이 생성되어 수성 도장 조성물용 첨가제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2액형 폴리우레탄 래커에 사용되는 물 및 반응성분보다 이소시아네이트기와 더 용이하게 반응하는 다른 화합물도 함유할 수 있는 전술한 화합물의 혼합물이 또한 적합하다.
단계 (i)에 사용하기에 특히 바람직한 화합물은 전술한 2급 아민, 옥심 및 아미노알콜이다.
단계 (i)에 사용되는 이소시아네이트 기와 반응가능한 기를 가진 화합물이 도장 공장의 물에 불용일 경우, 공지된 음이온성, 양이온성 및(또는)비이온성 유화제를 혼합하여 수용성 또는 수분산이 가능한 형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바람직한 음이온성 및 양이온성 유화제는
1) 바람직하게는 탄소 원자 8 내지 18개의 사슬 길이를 가진 알킬술페이트; 소수성 잔기에 8 내지 18개의 탄소 원자 및 1 내지 40개의 에틸렌옥시드 및(또는)프로필렌 옥시드 단위를 가지는 알킬 및 알킬아릴에테르술페이트,
2) 술포네이트, 특히 탄소 원자 8 내지 18개의 알킬술포네이트: 탄소 원자 8 내지 18개의 알킬아릴 술포네이트: 및 알킬 잔기에 탄소원자 4 내지 15개를 가지고 있는 1가 알콜 또는 알킬 페놀과 술폰숙신산의 타우리드, 에스테르 및 반-에스테르(이러한 알콜 또는 알킬페놀은 1 내지 40개의 에틸렌옥시드 단위에 의해 에톡실화될 수 있다);
3) 인산 및 알칼리의 부분 에스테르 및 그의 암모늄 염, 특히 유기 잔기에 8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알킬 또는 알킬아릴포스포네이트; 및 알킬 또는 알킬아릴 잔기에 8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고 1 내지 40개의 에틸렌옥시드 단위를 가지는 알킬에테르 또는 알킬아릴에테르포스페이트;
4) 바람직하게는, 에틸렌옥시드 8 내지 40개 단위 및 탄소 원자 8 내지 20개의 알킬 잔기를 갖는 알킬폴리글리콜에테르;
5) 바람직하게는, 8 내지 40개의 에틸렌옥시드 단위 및 알킬 및 아릴 잔기에 8 내지 20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아릴폴리글리콜에테드.
6) 바람직하게는, 8 내지 40개의 에틸렌옥시드 또는 프로필렌옥시드 단위를 갖는 에틸렌옥시드/프로필렌옥시드(EO/PO) 블록 공중합체.
7) 알킬 잔기에 탄소 원자 4 내지 15개의 사슬 길이를 가지는 양쪽성 암모늄; 및 (또는)
8) 상기의 양쪽성 암모늄 및(또는)기타 유화제 또는 계면활성 물질의 혼합물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정에 사용되는 응고제는 래커의 유기 성분에 대해서 특정 친화성을 가지고 검화를 저해하는 물질, 즉시 사용되는 설비 및 용기에 래커 성분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물질 중에서 선택된다. 물과 혼합된 응고제를 사용하면 일반적으로 단계 (i)에서 화학적으로 개질된 래커의 유기 결합제 성분이 응고제 상에 응고 또는 흡착되어 존재하는 다상 시스템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고혈 성분은 대부분의 물에서 분리될 수 있고, 계속적으로 부유 또는 침전에 의해 분리할 수 있다. 고상물은 단계(ⅱ)에서 단리되는 래커 슬러지를 구성한다.
적합한 응고제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 산화물 또는 수산화물, 철산화물, 수소화철산화물 및 철수산화물 등의 금속 산화물 또는 수산화물: 시트 실리케이트: 왁스에멀젼: 및 알루미나 등의 계면 활성 물질이 있다. 바람직한 응고제는 알루미나이다. 바람직한 응고제는 물 및 사용되는 추출제 양쪽에 대해 불용이다.
단계 (ⅲ)에 사용되는 용매 또는 추출제는 원래의 래커에도 사용되는 바람직한 유형의 용매이다. 그러나, 용매가 동일하여야 할 필요성은 없다. 적합한 용매는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시클로펜타논, 시클로헥사논: 벤젠, 톨루엔, 크실렌, 클로로벤젠 및 니트로벤젠 등의 방향성 물질: 테트라히드로푸란, 디옥산 및 2-부톡시에탄올 등의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프로필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및 염소화 탄화수소 등의 에스테르: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및 디메틸술폭시드 등의 비양자성 용매: 및 이러한 용매의 혼합물 등이다.
바람직한 용매는 유기 래커 성분이 높은 용해성을 가지지만, 그 자신은 물과 혼화되지 않거나 단지 제한된 정도로 물과 혼화되는 것이다. 이러한 용매의 예를 들면, 부틸아세테이트 및 특히, 톨루엔 또는 크실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 등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서 과분사에 의해 축적되는 래커 성분에 비교하여 대단히 과량의 물이 사용된다. 응고제는 일반적으로 과분사물 중량에 대하여 1 중량% 내지 1000 중량%, 바람직하게는 5 중량% 내지 500 중량%의 양으로 사용된다.
단계 (i) 반응에서 사용되는 이소시아네이트 기와 반응가능한 기를 가진 성분의 양은 물의 양을 기준으로 0.001 중량%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5 중량% 내지 10 중량%이다. 이러한 양은 과분사물에 존재하는 모든 이소시아네이트기에 대해, 이소시아네이트 기와 고반응성인 것이 0.25 이상, 바람직하게는 0.9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1.0 이상의 기가 되도록 선택된 양이다.
임의로 사용될 수 있는 유화제의 양은 가능한 한 소량으로 유지되어야 하며, 이소시아네이트 기와 반응가능한 기를 갖는 단계 (i)의 성분을 기준으로 0.01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내지 20 중량%이다.
단계 (ⅲ)의 용매의 양은 고상 및 액상의 효과적인 분리가 가능하도록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래커 슬러지의 중량을 기준으로 0.5배 내지 5배의 양이면 충분하다. 래커 슬러지는 응고제를 함유하는데, 이는 물에 부착하고 래커 성분과 완전히 반응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함에 있어서, 이소시아네이트와 고반응성인 화합물을 도장 공장의 세척수에 용해 또는 분산시키고, 생성된 수용액 또는 분산액은 배기를 통한 세척에 사용된다. 과분사물 존재하는 이소시아네이트 기의 반응은 이러한 고반응성 기와 자발적으로 일어난다.
세척 공정 및 반응은 일반적으로 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60℃의 온도에서 일어난다. 세척수에 축적되는 개질된 래커 성분은 단계 (ⅱ)에서 응고제를 사용하여 단리된다. 단계 (i) 및 (ⅱ)는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일어날 수 있다. 한 실시태양에 있어서, 응고제에 고 반응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수용액 또는 분산액과 혼합함으로써, 응고에 의한 래커 슬러지의 화학적 개질 및 형성이 필히 동시에 일어날 수 있다. 제2 실시태양에 있어서, 초기에 단계 (i)에 따른 화학반응이 진행되고 난 후, 응고제를 가하여 응고상의 래커 슬러지를 단리한다.
래커 슬러지는 부유 또는 침전에 의해 분리되고, 경사 분리 또는 여과에 의해 수적으로부터 유리된다. 단리된 래커 슬러지는 이후, 단계 (ⅲ)의 용매와 혼합된다. 최종적으로, 단계 (ⅳ)에 있어서 잔존하는 임의의 물(예를 들면, 상 분리, 증류 또는 공비 증류의 결과로) 및 고형 성분은 여과 또는 경사 분리에 의해 용매상으로부터 분리된다. 생성된 용액은 특정 공정에서 다시 사용될 수 있는 화학적으로 개질된 래커 성분을 함유한다. 용매는 부가적인 용도를 위해 잔류하거나 증류제거시킨 후 또다른 용매로 대체될 수 있다.
최적의 수율을 얻기 위해, 단계 (ⅳ)에 따라 분리제거된 물 및(또는) 유기 용매 중의 불용성 고상물을 상기 예에서 언급한 유형의 용매에 의해 추출하고 그에 의해 축척되는 용매상을 단계 (ⅳ)에서 얻어진 용액과 혼합할 수 있다.
하기의 실시예에 있어서, 별도의 지시가 없는 한 모든 비율 및 퍼센트는 중량 단위로 나타낸다.
[실시예 1]
래커 1kg을 수-분리 시스템이 설치된 부스 내부에 분사하였다. 래커는 50%의 용매를 함유하는 순수 래커이다. 결합제는 고상물 기재로서 OH 성분 2.0%의 상업용 폴리아크릴레이트(Desmophen A450, Bayer AG) 및 NCO 성분 19.4%의 삼량체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Desmodur N 3390, Bayer AG)를 함유하였다. 도장 성분은 NCO:OH 당량비가 1:1로서 존재하였다. 래커 용매는 크실렌이었다. 50g의 디-n-부틸아민 및 10g의 상업용 유화제(Emulgator NP 20, Bayer AG에서 시판되는 에톡실화 노닐페놀)를 분사되는 물 중에 용해하였다. 또한, 응고제(Ipafloc, IPA에서 시판되는 알루미나 제품)을 0.4% 농도로 분사되는 물 중에 부가하였다. 물 혼합물, 부착 방지제 및 충분히 반응한 과분사물은 침전조에 운반되어 과분사물의 중량에 대하여 20 %인 응고제(Ipased, IPA에서 시판하는 알루미나 제품)와 혼합하였다.
분사 공정이 완료되었을 때, 침전된 래커 슬러지(2.5kg)를 제거하여 5 리터 용적의 교반기로 옮겼다. 격렬히 교반하면서 실온의 크실렌 2.5리터를 가하였다. 물은 공비적으로 증류제거되고, 그 후 알루미나는 침전 제거되었다. 여과물로서 축척되는 용액은 원래 사용되었던 래커 결합제의 95 %를 함유하고 있고, 이는 재활용에 적합하였다. 결합제 용액은 50 % 고형 성분으로 감소되었다.
회수된 결합제를 NCO:OH 평형비가 1:1이 되도록 전술한 삼량체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에 가한 후, 2액형 폴리우레탄 래커로서 시험판에 분사하는 방법으로 가하였다. 실온에서 경화시킨 후에 완전히 가교 결합된 용매 내성 도장이 얻어졌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언급한 과정을 따랐다. 그러나, 회수된 결합제에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부가하여 혼합하는 대신에 1액형 폴리우레탄 시스템으로서 회수된 결합제를 가하고 170℃에서 30분간 건조시켰다. 완전히 교차결합된 용매내성 도장이 얻어졌다.
[실시예 3]
제거된 래커 슬러지에 톨루엔 2.5ℓ를 처리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에서 언급한 과정을 따랐다. 공비적으로 물을 증류제거시키고 알루미나를 침전제거한 후, 틴(Ⅱ) 옥토에이트(tin(Ⅱ octoate)2.5g을 회수된 결합제 용액에 가하고, 생성되는 혼합물을 분사 건조기 중에 처리하여 분말 래커를 형성하였다. 분말 래커를 시험판에 가한 뒤 160℃에서 30분간 건조시켰다. 완전히 가교결합된 용매 내성 도장이 얻어졌다.
[실시예 4]
폴리올이 고상물 기재로서 OH 성분 4.3 %를 함유하는 상업용 폴리에스테르(Desmophen 670, Bayer AG)이고 래커 용매는 부틸아세테이트이고 디-n-부틸아민 대신에 수용성 디이소프로필아민 100 g을 분사될 물에 가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에서 언급된 래커 슬러지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래커 슬러지를 용적 5 리터인 교반기에 옮겼다. 실온에서 부틸아세테이트 2.0리터를 가하였다. 이후에 실시예 1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결합제가 회수되었다. 회수된 결합제를 NCO:OH 당량비가 1:1에서 전술한 삼량체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에 가하고, 2액형 폴리우레탄 래커로서 시험판에 분사하였다. 실온에서 경화시킨 후에 완전히 가교결합된 용매 내성 도장이 얻어졌다.
[실시예 5]
폴리이소시아네이트가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Desmodur HL, Bayer AG)의 혼합 삼량체인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에서 언급된 과정에 따랐다.
회수된 결합제는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올(Desmophen A 450, Bayer AG) 500 g과 혼합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NCO:OH 당량비가 1:1에서 전술한 혼합 삼량체에 가하고, 2액형 폴리우레탄 래커로서 시험판에 분사하였다. 실온에서 경화시킨 후에 완전히 가교결합된 용매내성 도장이 얻어졌다.
[실시예 6]
실시예 4의 폴리올이 사용되고 디-n-부틸아민 대신에 수용성 디이소프로필아민 110 g을 분사될 물에 가하고 추출용매가 시클로헥사논인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1 에서 언급된 과정을 따랐다. 여액으로서 축적되는 용액은 원래 사용된 결합제의 96%를 함유하였다.
회수된 결합제를 삼량체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에 가하여 실시예 1에서 언급한 도장을 형성하였다. 실온에서 경화시킨 후에 완전히 가교결합된 용매 내성도장이 얻어졌다.
[실시예 7]
실시예 1에서 언급한 5g의 유화제를 사용하여 부타논 옥심 40g을 분사될 물 중에 유화시키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에 따른 과정을 따랐다. 또한, 추출 용매는 톨루엔이었다. 회수된 결합제를 분사 건조기에서 처리하여 분말 래커를 형성하였다.
분말 래커를 시험판에 가하고 180℃ 에서 30분간 건조하였다. 완전히 가교 결합된 용매 내성 도장이 얻었졌다.
[실시예 8]
아세톤 옥심 40g을 분사될 물에 용해시키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에 따른 절차를 따랐다. 또한, 추출 용매는 부틸 아세테이트이었고, 물은 80℃, 진공하에서 공비적으로 증류 제거되었다. 여과액으로서 축적되는 용액은 원래 사용된 결합제의 96%를 함유하였다.
회수된 결합제는 1액형 폴리우레탄 시스템으로서 가해지고 140℃에서 30분간 건조시켰다. 완전히 교차결합된 용매 내성 도장이 얻어졌다.
[실시예 9]
폴리올은 OH 성분 2.7%인 고상물 기재 상업용 폴리아크릴레이트(Desmodur A 160, Bayer AG)이고, 래커 용매는 크실렌이고 스테아릴아민(디-n-부틸아민 대신에) 100g이 실시예 1에서 언급한 유화제 5 g을 사용하여 분사될 물 중에 유화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에서 언급된 과정을 따랐다. 또한, 시클로헥사논을 추출용매로 사용하였다.
회수된 결합제를 삼량체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에 가하여 실시예 1에서 언급한 도장을 형성하였다. 실온에서 경화시킨 후에 완전히 가교결합된 용매 내성도장을 얻었다.
[실시예 10]
실시예 9의 폴리올을 사용하고, 디-n-부틸아민 35g 및 디-n-프로필아민 35g을 유화제(Levapon OLN, Bayer AG) 5g을 사용하여 분사될 물 중에 유화시키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에서 언급된 절차를 따랐다. 또한, 추출 용매는 크실렌이었다.
회수되는 결합제는 1액형 폴리우레탄 시스템으로서 분사에 의해 시험판에 가해졌다. 160 ℃에서 30분 후, 완전히 가교결합된 용매 내성 도장이 얻어졌다.
설명을 목적으로 본 발명이 상세히 전술되었으나 그러한 상세함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이고,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제한받는 경우를 제외하고,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본 발명이 변형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Claims (8)

  1. i) a) 2액형 폴리우레탄 래커에 존재하는 물 또는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기보다 이소시아네이트 기에 대해 더 큰 반응성을 나타내는 화합물을 용해 또는 분산된 형태로 함유하고 b) 유화제를 함유할 수 있는 수성 매질을 사용하여 도장 공장의 배기로부터 과분사물을 세척해내고,
    ⅱ) 상기 수성 매질 중에 존재할 수 있는 단계 (i)에서 형성된 화학적으로 개질된 과분사물을 응고제로 처리하여 래커 슬러지 형태로 단리하고,
    ⅲ) 완전히 반응된 래커 성분, 응고제 및 물을 함유하는 래커 슬러지를 임의로 물의 일부를 제거한 후 유기 용매와 혼합하고,
    ⅳ) 수층 및 존재 가능한 불용성 성분으로부터 단계 ⅲ)에서 축적되는 유기층을 분리하고 유기층에 용해되어 있는 개질된 결합제 성분의 용액을 회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매 함유 2액형 폴리우레탄 래커 또는 용매 함유 수분 경화성 1액형 폴리우레탄 래커의 분사중 과분사물로서 축적되는 유기 결합제 성분의 회수 및 재순환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i)의 화합물이 지방족 또는 시클로지방족이 결합된 아미노기를 갖는 1급 또는 2급 모노아민으로 이루어진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i)의 화합물이 옥심으로 이루어진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i)의 화합물이 아미노알콜로 이루어진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단계 ⅳ)에서 회수된 개질된 결합제 성분을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혼합하여 2액형 폴리우레탄 래커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단계 ⅳ)에서 회수된 개질된 결합제 성분이 승온에서 교차 결합하여 용매 내성 도장을 형성할 수 있는 1액형 폴리우레탄 래커로서의 용도에 적합한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승온에서 교차 결합하여 용매 내성 도장을 형성할 수 있는 분말 래커를 형성하기 위해서 단계 ⅳ)에서 회수된 유기 결합제 성분으로부터 용매를 제거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단계 ⅳ)에 따라 분리된 물 및(또는)불용성 성분을 용매로 처리하여 부가적으로 개질된 결합제 성분을 회수하고, 생성된 용매층을 단계 ⅳ)에 따라 얻어진 유기상과 혼합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KR1019930007626A 1992-05-06 1993-05-04 래커 슬러지로부터 결합제 성분을 회수하는 방법 KR1002446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4214943A DE4214943A1 (de) 1992-05-06 1992-05-06 Verfahren zur Wiederverwertung von Lackschlamm
DEP4214943.6 1992-05-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3419A KR930023419A (ko) 1993-12-18
KR100244697B1 true KR100244697B1 (ko) 2000-03-02

Family

ID=6458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7626A KR100244697B1 (ko) 1992-05-06 1993-05-04 래커 슬러지로부터 결합제 성분을 회수하는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344851A (ko)
EP (1) EP0569756B1 (ko)
JP (1) JPH0632937A (ko)
KR (1) KR100244697B1 (ko)
AT (1) ATE171464T1 (ko)
CA (1) CA2095378A1 (ko)
DE (2) DE4214943A1 (ko)
ES (1) ES2123015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411753A1 (de) * 1994-04-06 1995-10-12 Bayer Ag Verfahren zur Wiederverwertung von Lackschlamm
US6100361A (en) 1999-04-30 2000-08-08 Spalding Sports Worldwide, Inc. Golf ball top coating containing an aromatic/aliphatic polyisocyanate copolymer
US20050031873A1 (en) * 2003-08-04 2005-02-10 Guenter Berschel Method for multi-coat refinishing of substrates
AU2004289703B2 (en) * 2003-11-13 2010-07-15 Mark Andrew Rowen A paint product and method of manufacture
WO2005047408A1 (en) * 2003-11-13 2005-05-26 Mark Andrew Rowen A paint product and method of manufacture
DE102005025855A1 (de) * 2005-06-06 2006-12-14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ulverförmigen Alkoxycarbonylaminotriazin
JP4720739B2 (ja) * 2006-12-25 2011-07-13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からの水酸化アルミニウムの回収・再利用方法
JP5223872B2 (ja) * 2008-02-19 2013-06-26 コニカミノルタエムジー株式会社 医用画像管理装置
DE102009052655A1 (de) * 2009-11-11 2011-05-12 Dürr Systems GmbH Vorrichtung, System, Bauteil, Verfahren und Zusammensetzung zur Vermeidung von Ablagerungen eines Entsorgungsmittels in Beschichtungsanlagen
JP7037952B2 (ja) * 2018-02-08 2022-03-17 旭化成株式会社 ブロックイソシアネート組成物、水分散体、水系コーティング組成物、コーティング基材及び凝集方法
CN108620413B (zh) * 2018-04-24 2020-11-17 湖南路美工程材料有限公司 水性沥青漆渣的再利用方法及应用
BR102019025255A2 (pt) * 2019-11-29 2021-06-15 Geisi Dos Santos Luciano Me Processo para reciclagem do rejeito proveniente das estações de tratamento das indústrias produtoras de pigmentos, corantes, anilinas e promovedores de cor e uso do lodo, borra ou lodo petry tratad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20456A (en) * 1979-06-21 1980-09-02 Fremont Industries, Inc. Paint removal composition spray method for paint booths
DE3412763A1 (de) * 1984-04-05 1985-10-17 Henkel Kgaa Mittel zur koagulierung von lacken, wachsen und beschichtungsmitteln
DE3421289C1 (de) * 1984-06-07 1985-09-26 Zeller + Gmelin GmbH & Co, 7332 Eislingen Einkomponentenformulierung zur Entklebung und Koagulation von Kunstharzlackanteilen in Nassabscheidern von Spritzlackieranlagen und deren Verwendung
DE4204817A1 (de) * 1992-02-18 1993-08-19 Bayer Ag Verfahren zur wiederverwertung von lackschlam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095378A1 (en) 1993-11-07
ES2123015T3 (es) 1999-01-01
EP0569756B1 (de) 1998-09-23
ATE171464T1 (de) 1998-10-15
DE59308997D1 (de) 1998-10-29
US5344851A (en) 1994-09-06
DE4214943A1 (de) 1993-11-11
JPH0632937A (ja) 1994-02-08
EP0569756A1 (de) 1993-11-18
KR930023419A (ko) 1993-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4697B1 (ko) 래커 슬러지로부터 결합제 성분을 회수하는 방법
CA2066481C (en) Polyisocyanate mixtures, a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and their use as cross-linking agents in coating compositions
US5098983A (en) Polyisocyanate mixtures, processes for their production and their use as binders for coating compositions or as reactants for compounds reactive to isocyanate groups or carboxyl groups
CA1233929A (en) Aqueously dispersed coating compositions
CA2088805A1 (en) Coating compositions, a process for their production and their use for coating water-resistant substrates
KR100252606B1 (ko) 코팅슬러리로부터유기결합제성분을회수및재순환시키는방법
US6583216B1 (en) Malonic ester-blocked HDI trimer with IPDA stabilization and formaldehyde stabilization
KR20050008732A (ko) 폴리우레탄 분산액
US4297456A (en) Process for working up isocyanate distillation residues
WO2010038943A2 (ko) 방향족 술폰산 및 우레탄 관능성 레올로지 조정제를 포함하는, 내부침투성이 우수한 양이온 전착도료용 수지 조성물
JPH01160950A (ja) ブロックされた尿素基含有ポリイソシアネートの製造方法
US5453460A (en) Process for reusing the overspray obtained from spraying coating compositions
US3084182A (en) Blocked isocyanates from still residues
CA2530128C (en) Blocked polyisocyanates
EP0079536B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modifizierter Polyamine
CN110914245A (zh) 多异氰酸酯的连续稀释
EP0676440B1 (de) Verfahren zur Wiederverwertung von Lackschlamm
US5716996A (en) Method for the recovery of secondary polyols from paint sludges
JPH11114483A (ja) オーバースプレーミストの回収および再使用方法、およびその方法において使用するブース循環水
CN1842554A (zh) 借助闪蒸制备聚氨酯水分散体的方法
JPH01144498A (ja) ポリウレタンレンズ成形型付着物除去方法
GB2031907A (en) Alkali- and urea group-free polyfunctional isocyanates
CA2198792A1 (en) Method of producing a binder vehicle component for aqueous two componentcoating media
DE4431961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reinem Naphthylendiamin-(1,5)
JPH1192591A (ja) セミカルバジド組成物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