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2535B1 - 자주반송차의 신호검지장치 - Google Patents

자주반송차의 신호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2535B1
KR100242535B1 KR1019950001958A KR19950001958A KR100242535B1 KR 100242535 B1 KR100242535 B1 KR 100242535B1 KR 1019950001958 A KR1019950001958 A KR 1019950001958A KR 19950001958 A KR19950001958 A KR 19950001958A KR 100242535 B1 KR100242535 B1 KR 1002425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e
magnetic
track
hanging
magnetic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1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1740A (ko
Inventor
후지오 다구치
야스나리 오하라
가즈히로 히라사토
죠지 미노
도미요시 오리타
히데유키 이나바
Original Assignee
후쿠나가 다카시
가부시키가이샤 쯔바기모도체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030809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215663A/ja
Priority claimed from JP6065465A external-priority patent/JP286680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8103894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274366A/ja
Application filed by 후쿠나가 다카시, 가부시키가이샤 쯔바기모도체인 filed Critical 후쿠나가 다카시
Publication of KR950031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17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25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25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3/00Other railway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Abstract

자주 반송차의 주행로로 부터의 신호를 검지하는 신호검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신호검지장치(30)는, 자주 반송차의 주행로를 따라서 장착되어 표면 및 이면중의 어느 한쪽 면에 N극이 다른쪽 면에 S극이 착자된 자기시이트(51, 52)와, 자기시이트의 각 열과 대향하여 자주 반송차에 설치된 자극검지기(61, 62)를 구비하고 있다.
자기시이트열과 자극검지기와의 조합이 2조인 경우에는, 자기시이트(51, 52)의 N극과 S극에 의해서 8가지의 자극조합이 있고, 이 조합을 신호검지장치(30)는 8가지 신호로서 검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주 반송차의 신호검지장치
본 발명은, 자주(自走) 반송차의 주행로로부터 신호를 검지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자주 반송차는, 제9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프레임(21)상의 구동용모터(22)에 연결된 차륜(23)에 의해서 궤도(R) 위를 스스로 주행하도록 되어 있다.
자주 반송차(20)는, 신호검지장치(26)에 의해서 주행로(궤도 : R)로부터의 신호를 검지하여 주행하도록 되어 있다.
신호검지장치(26)는, 궤도(R)를 따라서 2열로 배열(제9도의 표면/이면 방향으로 배열)된 스트라이커(24, 25)와, 자주 반송차(20)에 설치되어 스트라이커의 각 열과 대향하는 2개의 근접스위치(27, 28)로 구성되어 있다.
즉, 신호검지장치(26)는, 스트라이커(24)의 열과 근접스위치(27)를 1조로 하고, 스트라이커(25)의 열과 근접스위치(28)를 다른 1조로 하여, 2조의 스트라이커의 열과 근접스위치를 가지고 있다.
근접스위치(27, 28)는 스트라이커(24, 25)와 대향하였을 때 ON이 되도록 되어 있고, 신호검지장치(26)는 2개의 근접스위치(27, 28)의 ON, OFF의 조합에 의해서, 궤도(R)로부터의 신호를 받아들이도록 되어 있다.
2개의 근접스위치(27, 28)의 ON, OFF의 조합에는, 다음의 4가지가 있다.
(1) 제1 근접스위치(27)는 ON, 제2 근접스위치(28)는 ON.
(2) 제1 근접스위치(27)는 ON, 제2 근접스위치(28)는 OFF.
(3) 제1 근접스위치(27)는 OFF, 제2 근접스위치(28)는 ON.
(4) 제1 근접스위치(27)는 OFF, 제2 근접스위치(28)는 OFF.
이중에서, (4)의 조합은 신호검지장치(26)의 비작동 상태와 구별할 수 없기 때문에 사용되지 않고, (1) 내지 (3)의 3가지 조합이 사용된다.
신호검지장치(26)는, 이 3가지의 조합을 신호로서 검지하고, 제어회로(도시생략)와 협동하여 자주 반송차(20)의 주행제어를 행한다.
또한, 스트라이커와 근접스위치가 1조(도시생략)인 경우는, 근접스위치가 ON인 1가지뿐이므로, 신호검지장치는 1개의 신호밖에 검지할 수 없다.
그러나, 이와같은 신호검지장치는, 근접스위치와 스트라이커의 수에 비하여, 검지할 수 있는 신호의 종류가 적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스트라이커의 부착작업에 노력을 요함과 동시에, 스트라이커의 부착스페이스를 넓게 필요로 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함과 동시에, 자주 반송차가 고속으로 주행할 지라도 자극검지기가 확실하게 자극시이트를 검지가능한 신호 검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자주 반송차가 비교적 저속의 주행속도로 주행하는 저속 영역과 상기 자주 반송차가 비교적 고속의 주행 속도로 주행하는 고속영역을 적어도 갖는 주행로에서 상기 자주 반송차의 주행 속도를 검지하는 자주 반송차의 주행속도를 검지하는 자주 반송차의 신호 검지 장치로서, 이 신호 검지 장치는, 상기 자주 반송차의 상기 주행로를 따라서 장착되어 표면 및 이면 중의 어느 한 쪽 면에 N극이 다른쪽 면에 S극이 착자된 자기시이트와, 상기 자기시이트와 대향하여 상기 자주 반송차에 설치된 자극검지기를 구비하고, 상기 자기시이트의 길이를 저속 영역에서는 비교적 짧게 설정함과 동시에 상기 고속영역에서는 비교적 길게 설정하여, 상기 자주 반송차의 저속 주행 영역과 고속 영역에서 다르게 한 자주 반송차의 신호검지장치에 의해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였다.
자기시이트는 한쪽 면에 N극이, 다른쪽 면에 S극이 착자되어 있는데, 어느쪽 면을 표면으로 하여(자극검지기에 대향시켜서) 주행로에 부착할 것인가에 따라 자극검지기가 검지하는 자극이 다르다.
가령, 자기시이트의 열과 자극검지기와의 조합이 1조인 경우에는, N극을 표면으로 한 자기시이트와 S극을 표면으로 한 자기시이트를 주행로에 부착할 수 있고, 자극검지기는 자기시이트의 N극과 S극을 2가지의 신호로서 검지할 수 있다.
신호검지장치는 이 2가지 신호에 의거하여 자주 반송차의 주행제어를 행한다.
종래의 신호검지장치는 스트라이커의 열과 근접스위치와의 조합이 1조인 경우에는, 1가지 신호밖에 검지할 수 없으나, 본 발명의 신호검지장치는 2가지의 신호를 검지할 수 있다.
가령, 자기시이트의 열과 자극검지기와의 조합이 2조인 경우에는, 2개의 자극검지기에 의해서 검지되는 자기시이트의 자극조합은 다음의 8가지가 있다.
(1) 한쪽의 자극검지기는 N극을 검지, 다른쪽의 자극검지기는 N극을 검지.
(2) 한쪽의 자극검지기는 N극을 검지, 다른쪽의 자극검지기는 S극을 검지.
(3) 한쪽의 자극검지기는 S극을 검지, 다른쪽의 자극검지기는 N극을 검지.
(4) 한쪽의 자극검지기는 S극을 검지, 다른쪽의 자극검지기는 S극을 검지.
(5) 한쪽의 자극검지기는 N극을 검지, 다른쪽의 자극검지기는 비검지.
(6) 한쪽의 자극검지기는 S극을 검지, 다른쪽의 자극검지기는 비검지.
(7) 한쪽의 자극검지기는 비검지, 다른쪽의 자극검지기는 N극을 검지.
(8) 한쪽의 자극검지기는 비검지, 다른쪽의 자극검지기는 S극을 검지.
신호검지장치는 이 8가지 신호에 의거하여 자주 반송차의 주행제어를 행한다.
종래의 신호검지장치는 스트라이커의 열과 근접스위치와의 조합이 2조인 경우에는, 3가지의 신호밖에 검지할 수 없으나, 본 발명의 신호검지장치는 8가지의 신호를 검지할 수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신호검지장치의 개략사시도,
제2도는 신호검지장치를 구비한 반송차의 정면도로서, 일부분을 파단한 도면,
제3도는 제2도의 좌측면도로서, 일부분을 단면하여 나타낸 도면,
제4도는 제2도의 우측면도,
제5도는 자기시이트의 자극을 나타낸 도면,
제6도는 자기시이트의 배열상태를 나타낸 도면,
제7도는 다른 실시예의 신호검지장치의 자기시이트의 배열상태도,
제8도는 다른 실시예의 신호검지장치의 자기시이트의 배열상태도,
제9도는 종래의 자주 반송차에 신호검지장치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제10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궤도를 매다는 구조를 궤도에 부착시켰을 때의 정면도로서, 일부를 단면하여 나타낸 도면,
제11도는 궤도를 매다는 구조의 측면도로서, 제10도에서 좌측의 조여 붙임용 볼트에 따른 단면도,
제12도는 제10도에 나타낸 궤도를 매다는 구조의 분해사시도,
제13도는 궤도의 홈에 걸어맞춤체를 조립할 때의 상태도,
제14도는 궤도를 매다는 구조의 다른 부착상태를 나타낸 도면,
제15도는 다른 실시예인 궤도를 매다는 구조의 정면도로서, 제10도에 해당하는 도면,
제16도는 다른 실시예인 궤도를 매다는 구조의 정면도로서, 제17도중의 7-7선 화살표에서 본 단면도,
제17도는 제16도의 궤도를 매다는 구조의 좌측면도,
제18도는 제16도의 궤도를 매다는 구조의 분해사시도,
제19도는 다른 실시예인 걸어맞춤체를 궤도의 홈에 삽입하는 상태의 사시도,
제20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호이스트의 급전구조를 구비한 캐리어의 정면도,
제21도는 제20도의 캐리어를 우측에서 본 도면,
제22도는 급전구조의 외관도,
제23도는 회전축에 따른 권취풀리의 단면도,
제24도는 제22도중의 5-5선 화살표에서 본 단면도,
제25도는 케이블의 권취형상의 다른 실시예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R : 궤도(반송로) 30, 70, 71 : 신호검지장치
31 : 자주 반송차 32 : 구동륜
33 : 모터 34, 36 : 가이드로울러
35 : 종동륜 37 : 케이싱
38 : 오토그립퍼 39 : 집전자
51, 52, 53, 54, 55 : 자기시이트
61, 62, 63, 64, 65 : 자극검지기
140, 165, 170 : 궤도를 매다는 구조
142, 172, 193 : 걸어맞춤체 150, 180, 194 : 수직부분
152, 182, 195 : 하측검림돌출편
191, 192 : 매다는 기구 221 : 호이스트
241 : 모터 243 : 회전축
244 : 권취풀리 245 : 벨트
248 : 코드 250, 260 : 케이블
251 : 핸드링장치(작동장치)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제1도 내지 제8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신호검지장치(30)는, 궤도(주행로)(R)를 스스로 주행하는 자주 반송차(이하, 간단히 [반송차]라고 칭함)(31)의 주행에 따라서 궤도(R)로부터의 신호를 검지하는 장치이다.
반송차(31)는, 제2도 내지 제4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구동바퀴(32), 모터(33), 가이드로울러(34) 등에 의해서 구동측이 구성되고, 종동바퀴(35), 가이드로울러(36) 등에 의해 종동측이 구성되어 있다. 반송차(31)는 전체가 케이싱(37)에 의해 덮혀 있다.
반송차(31)에는 승강하여 반송물을 잡는 오토그리퍼(38)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반송차(31)내에는 집전자(39)가 설치되어 있다.
신호검지장치(30)(제1도, 제2도, 제6도 참조)는, 자기시이트(51, 52)와 자극검지기(61, 62)로 구성되어 있다.
자기시이트(51, 52)(제6도 참조)는, 궤도(R)의 웨이브(W)의 길이가 긴 방향을 따라서 2열로 부착되어 있다.
신호검지장치(30)는, 자기시이트열과 자극검지기와의 조합이 2조이다.
또한, 자기시이트는 궤도(R)위의 위, 아래 플랜지(F1, F2)에 부착하여도 좋다.
자극검지기(61, 62)는, 자기시이트(51, 52)의 각 열에 대향하여 반송차(31)에 설치되어 있다.
자기시이트(51, 52)(제5도 참조)는 한쪽 면에 N극이, 다른쪽 면에 S극이 착자되어 있다.
자기시이트는 어느쪽 면을 자극검지기에 대향시켜서 궤도에 부착하는가에 따라서, 자극검지기가 검지하는 자극이 달라진다.
제6도에 있어서, 상하방향[궤도(R)의 높이방향]에서 서로 이웃하는 자기시이트(51, 52)는 길이가 거의 동일하다.
자기시이트(51, 52)의 길이는, 반송차(31)의 주행속도에 따라 다르다.
반송차(31)가 저속으로 주행하는 영역에 부착되는 자기시이트(도시생략)는 짧게 설정되고, 고속으로 주행하는 영역에 부착되는 자기시이트(도시생략)는 길게 설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후술하는 자극검지기가 자기시이트를 확실하게 검지할 수 있고, 또한 자기시이트를 필요 최소한도의 길이로 할 수가 있다.
또한, 제6도에 나타낸 궤도(R)의 길이가 긴 방향에서의 자기시이트(51, 52)의 배열간격은, 설명의 편의상 좁게 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더 넓다.
2열의 자기시이트(51, 52)에 있어서, 어느쪽 면을 표면으로 하여 자기시이트를 궤도(R)에 부착하는가에 따라, 상하방향에서 서로 이웃하는 자기시이트 부착방법에는, 제6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8가지의 방법이 있다.
제6도에 있어서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설명하면,
(1) 제1열의 자기시이트(51)는 N극, 제2열의 자기시이트(52)는 N극.
(2) 제1열의 자기시이트(51)는 N극, 제2열의 자기시이트(52)는 S극.
(3) 제1열의 자기시이트(51)는 S극, 제2열의 자기시이트(52)는 N열.
(4) 제1열의 자기시이트(51)는 S극, 제2열의 자기시이트(52)는 S극.
(5) 제1열의 자기시이트(51)는 N극, 제2열의 자기시이트(52)는 없음.
(6) 제1열의 자기시이트(51)는 S극, 제2열의 자기시이트(52)는 없음.
(7) 제1열의 자기시이트(51)는 없음, 제2열의 자기시이트(52)느 N극.
(8) 제1열의 자기시이트(51)는 없음, 제2열의 자기시이트(52)는 S극이다.
다음으로 동작을 설명한다.
반송차(31)는 구동바퀴(32)와 종동바퀴(35)에 의해서 단면 I자 형상 궤도(R)의 아래 플랜지(F2)위를 주행한다. 가이드로울러(34, 36)는 반송차(31)의 주행을 안내한다.
반송차(31)의 주행 중에 자극검지기(61, 62)는 대향하는 자기시이트(51, 52)의 자극을 검지한다.
반송차(31)의 주행중 자극검지기(61, 62)는, 자기시이트(51, 52)의 자극을 검지한다.
반송차(31)가 제6도의 왼쪽으로부터 오른쪽으로 주행하는 경우, 제1 자극검지기(61), 제2 자극검지기(62)는 각각 다음과 같이 자기시이트(51, 52)의 자극을 검지한다.
(1) 제1 자극검지기(61)는 N극을 검지, 제2 자극검지기(62)는 N극을 검지.
(2) 제1 자극검지기(61)는 N극을 검지, 제2 자극검지기(62)는 S극을 검지.
(3) 제1 자극검지기(61)는 S극을 검지, 제2 자극검지기(62)는 N극을 검지.
(4) 제1 자극검지기(61)는 S극을 검지, 제2 자극검지기(62)는 S극을 검지.
(5) 제1 자극검지기(61)는 N극을 검지, 제2 자극검지기(62)는 비검지.
(6) 제1 자극검지기(61)는 S극을 검지, 제2 자극검지기(62)는 비검지.
(7) 제1 자극검지기(61)는 비검지, 제2 자극검지기(62)는 N극을 검지.
(8) 제1 자극검지기(61)는 비검지, 제2 자극검지기(62)는 S극을 검지.
이와같이 하여, 신호검지장치(30)는, 8가지의 자극조합을 신호로서 검지하고, 제어회로(도시생략)와 협동하여 반송차(31)를, 예컨대 서행, 저속, 중속, 고속, 초고속, 일시정지의 주행제어를 행할 수가 있다.
종래의 신호검지장치는 스트라이커의 열과 근접스위치와의 조합이 2조인 경우에는, 3가지 신호밖에 검지할 수 없으나, 본 발명의 자기시이트열과 자극검지기와의 조합이 2조인 신호검지장치(3)는 8가지 신호를 검지할 수 있다.
자기시이트는, 제7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상하방향으로 서로 이웃하지 않는 2열의 배열이어도 좋다.
이 경우, 자기시이트(53, 54)의 자극은 제7도에서, 좌측으로부터,
(1) 제1열의 자기시이트(53)는 N극, 제2열의 자기시이트(54)는 없음.
(2) 제1열의 자기시이트(53)는 S극, 제2열의 자기시이트(54)는 없음.
(3) 제1열의 자기시이트(53)는 없음, 제2열의 자기시이트(54)는 N극.
(4) 제1열의 자기시이트(53)는 없음, 제2열의 자기시이트(54)는 S극이다.
제7도에 있어서, 반송차(31)가 왼쪽으로부터 오른쪽으로 주행하는 경우에, 제1 자극검지기(63), 제2 자극검지기(64)는 각각 다음과 같이 자기시이트(53, 54)의 자극을 검지한다.
(1) 제1 자극검지기(63)는 N극을 검지, 제2 자극검지기(64)는 비검지.
(2) 제1 자극검지기(63)는 S극을 검지, 제2 자극검지기(64)는 비검지.
(3) 제1 자극검지기(63)는 비검지, 제2 자극검지기(64)는 N극을 검지.
(4) 제1 자극검지기(63)는 비검지, 제2 자극검지기(64)는 S극을 검지.
이 경우, 신호검지장치(70)는, 4가지의 자극조합을 신호로서 검지하고, 제어회로와 협동하여 반송차(31)를, 예컨대 저속, 중속, 고속, 초고속의 주행제어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제8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자기시이트(55)는 1열, 자극검지기(65)는 하나이어도 좋다.
이 경우, 자기시이트(55)는 제8도에 있어서 좌측으로부터 N극, S극의 순으로 부착되어 있다. 또한 S극, N극의 순으로 부착해도 좋다.
신호검지장치(71)는, N극, S극의 2가지 자극을 신호로서 검지하고, 제어회로와 협동하여 반송차(31)를, 예컨대 저속, 고속의 주행제어를 행할 수 있다.
종래의 신호검지장치는 스트라이커의 열과 근접스위치와의 조합이 1조의 경우에는, 1가지 신호밖에 검지할 수 없으나, 본 발명의 자기시이트열과 자극검지기와의 조합이 1조인 신호검지장치(71)의 경우에는 2가지 신호를 검지할 수 있다.
또한, 이상의 자주 반송차는 궤도위를 주행하도록 되어 있으나, 평탄한 바닥에 부착된 자기테이프, 광반사테이프에 의거하여 자기적, 광학적으로 안내되어 스스로 주행하는 자주 반송차(도시생략)도 있다. 이 경우, 그 자주 반송차가 주행하는 바닥면이 반송로가 되고, 바닥면에 자기시일이 부착되게 되어, 바닥으로부터의 돌출물이 없어서 안전하다.
청구항 1, 2의 신호검지장치는, 종래의 스트라이커를 바꾸어 양면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자기시이트를 이용한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간단한 구성으로 많은 신호를 검지할 수 있다.
또한, 자기시이트는 반송로에 부착하여 장착되기 때문에, 장착작업이 간단하다.
자기시이트는 반송로로부터 거의 돌출하지 않기 때문에, 반송로에서의 돌출물이 없어지고 반송로의 보수점검시에 위험성이 적어진다.
또한, 자기시이트가 반송로로부터 돌출하지 않음으로써, 종래의 스트라이커와 비교하여 부착스페이스를 적게 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궤도를 매다는 구조에 대하여 제10도 내지 제19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궤도를 매다는 구조(140)(제10도 내지 제19도 참조)는, 궤도(R)를 건조물에 매어다는 구조물로서, 궤도(R)에는 I형 로프가 사용되고 있다.
궤도(R)의 아래플랜지의 윗면(Rb)은 캐리어의 차륜(Ca)이 주행하는 주행면으로 되어 있다. 또한, 아래플랜지의 양측면(Rc, Rc)과, 궤도의 위플랜지에 형성된 돌출선의 양측면(Rd, Rd)은 캐리어의 가이드로울러(Cg)의 주행면으로 되어있다.
궤도(R)에는, H형 로프, 단면이 ㄷ자 형상인 홈형 로프를 사용하여도 좋다. H형 로프의 경우는 플랜지를 수평으로 하여 사용하며, 또한, 궤도(R)는 알루미늄제이어도 좋다. 캐리어로는, 예컨대 현수식의 모노레일이 있다.
건조물에는, 건물(예컨대, 공장)의 기둥, 대들보, 대들보에 부착된 C형상 또는 ㄷ자 형상의 요오크, 옥내 또는 옥외에 구축된 T자 형상 또는 역 L자 형상의 지주 등이 있다.
궤도를 매다는 구조(140)는, 단면이 L자 형상인 한 쌍의 홈(141, 141), 한 쌍의 걸어맞춤체(142, 142), 커버부재(143), 누름판(144), 이 누름판(144)에 세워서 설치된 조여붙임용 볼트, 너트(145, 146)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단면 L자 형상인 한 쌍의 홈(141, 141)은, 궤도(R)의 위끝단의 양쪽 길이가 긴 방향으로 서로 맞대어서 형성되어 있고, 홈(141, 141)은 궤도(R)의 전장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홈(141)은 궤도(R)의 길이가 긴 방향의 중간부분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으며, 궤도(R)의 중간부분에 형성된 홈의 길이는 걸어맞춤체(142)의 부착에 필요한 길이와 위치조정에 필요한 길이를 더한 길이이다.
걸어맞춤체(142)는, 수직부분(150)과, 이 수직부분(150)의 위, 아래부분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수평한 상측끼움돌출편(151)과, 하측걸림돌출편(152)에 의해서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하측걸림돌출편(152)은 홈(141)에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걸어맞춤체(142)(제13도 참조)의 수직부분(150)의 두께치수(A)는 홈(141)의 개구폭치수(B)보다 짧게 설정되어 있고, 수직부분(150)의 두께치수(A)와 하측걸림돌출편(152)의 길이치수(C)를 더한 치수는 홈(141)의 개부폭치수(B)보다 길게 [(A+C) > B] 설정되어 있다.
걸림맞춤체(142)의 하부바깥쪽의 각은 절제되어 있으며, 걸어맞춤체(142)의 하부바깥쪽은 원호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누름판(144)은, 궤도(R)의 폭방향으로 배열된 한 쌍의 걸어맞춤체(142, 142)의 상측끼움돌출편(151)의 아래면(153)과 궤도(R)의 윗면(Ra)과의 사이에 삽입되고, 상측끼움돌출편(151)의 아래면(153)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커버부재(143)는, 궤도(R)의 폭방향으로 배열된 한쌍의 걸어맞춤체(142, 142)의 상측끼움돌출편(151)을 바깥에서 끼워넣어 한쌍의 걸어맞춤체(142, 142)와 누름판(144)을 수납하도록 형성되고, 후술하는 조여붙임용 볼트(145)가 관통하는 관통구멍(154)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구멍(154)의 직경은, 조여붙임용 볼트(145)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으며, 조여붙임용 너트(146)는 누름판(144)과 커버부재(143)와의 사이에 한 쌍의 걸어맞춤체(142, 142)의 상측끼움돌출편(151, 151)을 끼워 지지하도록, 조여붙임용 볼트(145)에 나사맞춤 되어 있다.
누름판(144)에는 2개의 조여붙임용 볼트(145, 145)가 세워져 있다. 이 조여붙임용 볼트(145)의 수는 2개로 한정되지 않고, 1개 또는 3개 이상이어도 좋으며, 조여붙임용 볼트(145)에는, 부착용 너트(157, 157)에 의해서 매다는 판(155)이 부착되도록 되어 있다. 매다는 판(155)은 건조물에 부착된 매달기용 볼트(156)에 부착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궤도(R)를 매다는 구조(140)에 의해서 매달기용 볼트(156)에 매다는 순서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한쌍의 각 걸어맞춤체(142, 142)(제13도 참조)의 하부를 한쌍의 각 홈(141, 141)에 삽입하여, 한쌍의 걸어맞춤체(142, 142)를 서로 마주대하게 한 상태로 한다. 걸어맞춤체(142)는, 걸어맞춤체(142)의 하부 바깥쪽의 각기 절제되어 있기 때문에 홈(141, 141)의 길이가 긴 방향의 중간부분으로부터 원활하게 회동삽입할 수 있으며, 또한 걸어맞춤체(142)는, 궤도(R)의 끝단부로부터 홈(141)에 삽입하여도 좋다.
조여붙임용 볼트(145)에는 부착용 너트(157, 157)에 의해서 매다는 판(155)이 부착되도록 되어 있다. 매다는 판(155)은, 건조물에 부착된 매달기용 볼트(156)에 부착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서로 마주 대하고 있는 상측끼움돌출편(152)의 아래면(153)과 궤도(R)의 윗면(Ra)과의 사이에 누름판(144)을 삽입하고, 한 쌍의 걸어맞춤체(142, 142)에 커버부재(143)를 덮어씌운다. 이때, 조여붙임용 볼트(145)를 커버부재(143)로부터 돌출되게 한다.
그리고, 조여붙임용 볼트(145)에 조여붙임용 너트(146)를 가볍게 조여넣고, 이 조여붙임용 너트(146)에 의해서 누름판(144)과 커버부재(143)와의 사이에 한 쌍의 걸어맞춤체(142, 142)의 상측끼움돌출편(151)을 가볍게 끼워지지되게 하여, 걸어맞춤체(142), 누름판(144), 커버부재(143)를 일체화한다.
이에 따라, 궤도(R)에 하나의 궤도를 매다는 구조(140)가 위치조정이 가능하게 부착된다.
궤도(R)에는, 궤도(R)의 매달린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서, 마찬가지로 하여, 하나의 궤도를 매다는 구조(140)(제11도 참조)가 더 부착된다.
그리고, 2개의 궤도를 매다는 구조(140, 140)(제11도 참조)의 조여붙임용 볼트(145, 145)의 끝단에, 공통의 매다는 판(155)이 한 쌍의 부착용 너트(157, 157)에 의해서 부착된다. 매다는 판(155)에는, 조여붙임용 볼트(145)가 관통하는 볼트구멍(16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궤도를 매다는 구조는 제14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한 장의 매다는 판에 부착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 2개의 매달기용 볼트(156, 156)와 2개의 조여붙임용 볼트(145, 145)는 궤도(R)의 폭방향으로 일직선으로 배열되는 배치관계이다.
또한, 궤도(R)의 길이에 따라, 제11도에 나타낸 바와같은 배치관계인 2개의 궤도를 매다는 구조(140, 140)를 궤도(R)의 양끝단에 설치하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에, 궤도를 매다는 구조는 도합 4개가 궤도(R)에 부착되게 된다.
이제 까지의 공정은 지상에서 행하여진다.
그후, 걸어맞춤체(142, 142)가 부착된 궤도(R)는, 크레인, 리프터 등에 의해 매달기용 볼트(156, 156)의 아래끝단 근방까지 들어올려져서, 수평면에서의 위치조정이 행하여진다. 궤도(R)는 위치조정된 후, 더 들어올려져서, 매다는 판(155)에 형성된 볼트구멍(159, 159)으로 매달기용 볼트(156, 156)를 받아들인다.
그러나, 궤도를 매다는 구조(140)가 궤도(R)의 소정위치로 조립되지 않으면, 궤도(R)를 더욱 더 들어올려도 볼트구멍(159)은 매달기용 볼트(156)를 받아들일 수 없다.
이 경우에는, 궤도(R)를 움직이지 않게 하고 매다는 판(155)을 궤도(R)의 길이가 긴 방향으로 이동시켜, 매다는 판(155)의 볼트구멍(159)을 매달기용 볼트(156)에 대향시킨다. 매다는 판(155)을 이동시켰을 때, 매다는 판(155)과 일체인 매달기용 볼트(156, 156)를 통하여, 커버부재(143)와, 커버부재(143)가 덮고 있는 한 쌍의 걸어맞춤체(142, 142), 누름판(144)도 일체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궤도(R)를 움직이지 않고, 걸어맞춤체(142), 커버부재(143), 누름판(144), 조여붙임용 볼트(145), 매다는 판(155)의 위치조정을 행할 수 있다.
또한, 걸어맞춤체(142)는, 궤도(R) 위를 이동하게 되어도, 상측끼움돌출편(151)이 커버부재(143)와 누름판(144)에 끼워져서 기울기가 규제되어 있기 때문에, 홈(141)으로부터 떨어지지 않는다. 가령, 다소 기울었다고 해도, 수직부(150)의 두께치수(A)와 하측걸림돌출편(152)의 길이치수(C)를 더한 치수를 홈(141)의 개구폭치수(B)보다 길게 [(A+C) > B] 설정하면, 홈(141, 141)으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매다는 판(155)의 볼트구멍(159)이 매달기용 볼트(156)에 대향한 후에, 궤도(R)를 더 들어올리고, 볼트구멍(159)에 매달기용 볼트(156)를 관통시켜 매달기용 너트(158, 158)와 조여붙임용 너트(146)를 조여넣는다.
너트(158, 146)의 조여넣는 순서는 정하여져 있지 않다. 어느 쪽의 너트(158, 146)를 먼저 조여넣어도 좋다. 이 때문에, 너트의 조여붙임 순서에 구애되지 않고 궤도를 건조물에 매달 수 있고, 궤도를 매다는 작업의 능률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매달기용 너트(158)를 조여넣으면, 매달기용 볼트(156)와 매다는 판(155)이 일체화되며, 조여붙임용 너트(146)를 조여넣으면, 걸어맞춤체(142)의 상측끼움돌출편(151)은 커버부재(143)와 누름판(144)과의 사이에 견고하게 끼워진다. 이에 따라, 궤도(R)는, 궤도를 매다는 구조(140)에 의해 건조물에 매달린다.
이와 같이 하여 궤도를 매다는 구조(140)에 의해서 건조물에 매달린 궤도(R)는, 걸어맞춤체(142)의 하측걸림돌출편(152)에 홈(141)의 수평돌출편(160)이 걸어맞추어서 매달린 상태가 된다.
궤도(R)는, 하측걸림돌출편(152)에 단순히 매달린 상태로 되어 있어도, 자중에 의해서 하측걸림돌출편(152)에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길이가 긴 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유동하는 일이 거의 없다.
또한, 조여붙임용 너트(146)의 나사맞춤을 이용하여 커버부재(143)의 테두리(162)에서 궤도(R)를 눌러 밑으로 내리고, 수평돌출편(160)을 하측걸림돌출편(152)에 강제적으로 눌러 접하게 하여, 궤도(R)의 길이방향으로의 이동과 상하 이동을 적극적으로 규제하여도 좋다.
제10도에서의 걸어맞춤체(142)와 궤도(R)와의 좌우방향으로의 위치어긋남은, 홈(141, 141)의 수평돌출편(160)의 끝단과 커버부재(143)의 내벽과의 사이에 걸어맞춤체(142)가 끼워져서 저지된다.
또한, 볼트구멍(159)은, 매달기용 볼트(156)를 받아들이기 쉬운 크기, 즉, 매달기용 볼트(156)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있다. 볼트구멍(159)은, 궤도를 매다는 구조(140)의 위치조정을 행하기 쉽게 하기 위하여, 매달기용 볼트(156)의 직경보다 충분히 크게 형성하여도 좋고(소위, 헐거운 구멍이라고 한다), 궤도(R)의 길이가 긴 방향과 평행한 긴 구멍으로 형성되고, 긴 구멍의 폭은 매다는 볼트(156)의 직경보다 넓게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이상의 설명에서는, 매다는 판(155)은, 조여붙임용 볼트(145)에 부착된 후에, 매달기용 볼트(156)에 부착되도록 되어 있으나, 반대로 매달기용 볼트(156)에 미리 부착한 후에, 조여붙임용 볼트(145)에 부착하여도 좋다.
이 경우, 매다는 판(155)에 형성된 볼트구멍(159)에 조여붙임용 볼트(145)가 대향되도록 궤도를 매다는 구조(140)이 위치조정을 행할 필요가 있다. 볼트구멍은, 궤도(R)의 길이가 긴 방향과 평행한 긴 구멍으로서, 긴 구멍의 폭은, 조여붙임용 볼트(145)의 직경보다 넓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궤도를 건조물에 매다는 순서에 있어서, 궤도를 수평면에서 위치조정한 후, 궤도를 매다는 구조를 궤도상에서 위치조정을 하고, 궤도를 매다는 구조가 건조물에 대향되도록 하고 있으나, 궤도를 소정의 매다는 높이까지 단번에 들어올려서, 매다는 판(155)의 볼트구멍(159)에서 조여붙임용 볼트(145)를 받아들이고 난 후에, 궤도(R)를 수평면에서 위치조정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 가령 매다는 판(155)의 볼트구멍(159)에서 조여붙임용 볼트(145)를 받아들일 수 없을 때는, 궤도(R)를 어느 정도의 높이에 지지하여 두고, 궤도를 매다는 구조만 이동시켜 매다는 판(155)의 볼트구멍(159)을 조여붙임용 볼트(145)에 대향시킨다.
매다는 판(155)은, 제15도에 나타낸 궤도를 매다는 구조(165)와 같이, 커버부재(143)와 조여붙임용 너트(146)와의 사이에 끼워져서 부착되어도 좋다. 이 궤도를 매다는 구조(165)의 경우는, 조여붙임용 너트(146)와 제10도에서의 부착용 너트(157)를 겸용하여 조여붙임용 볼트(145)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는 등,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제16도 내지 제19도에 나타낸 궤도(R)를 매다는 구조(170)는, 다른 실시예의 궤도를 매다는 구조이다.
이 궤도를 매다는 구조(170)는, 서로 이웃하는 2개의 매다는 기구(191, 192)에 의해서 궤도(R)를 건조물에 매달도록 되어 있다.
상기 2개의 매다는 기구(191, 192)는, 커버부재(173)이외의 부분은 제10도 내지 제13도에 나타낸 궤도를 매다는 구조(140)와 거의 동일하므로, 그 동일부분의 구조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2개의 매다는 기구(191, 192)의 각 커버부재(173, 173)는, 서로 마주 대하고 있는 부분이 개방되어 있고, 이 개방부(173a, 173a)에 결합판(185)의 끝단부가 삽입되어 있으며, 결합판(185)에 누름판(174)가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매다는 기구(191, 192)는, 결합판(185)에 의해서 연결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2개의 매다는 기구(191, 192)는 제10도 내지 제13도를 나타낸 궤도를 매다는 기구(140)와 같은 순서에 의해서 궤도(R)에 부착된 후에, 건조물에 부착된 매달기용 볼트(매달아 설치하는 기구)(186)에 결합판(185)을 통해 부착되어 궤도(R)를 건조물에 매달 수가 있다.
매달기용 볼트(186)와, 결합판(185)에 형성된 볼트구멍(189)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조여붙임용 너트(176)를 느슨하게 한 상태에서, 매다는 기구(191, 192)를 홈(171)을 따라 이동시켜 위치조정을 행한다. 이 동안에, 궤도(R)를 지지한 상태에서 이동시킬 필요는 없다. 볼트구멍(189)의 형상은 제10도 내지 제13도의 볼트구멍(159)과 같이 긴 구멍으로 형성되어 있다.
결합판(185)의 볼트구멍(189)에 매달기용 볼트(186)를 끼워넣은 후에는, 매달기용 너트(188)와 매다는 기구(191, 192)의 조여붙임용 너트(176)를 나사맞춤 시킨다.
이 경우에, 어느 쪽의 너트(188, 176)를 먼저 나사맞춤시켜도 좋으며, 너트(188, 176)를 나사맞춤 시키는 순번은 정하여져 있지 않다. 이 때문에, 너트의 조여붙임 순서에 구애되지 않고 궤도를 건조물에 매달 수 있고, 궤도를 매다는 작업의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하여, 궤도(R)는 건조물에 매달리게 된다.
또한, 걸어맞춤체(142, 172)의 하부바깥쪽의 각은 절제되어 있으나, 제19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걸어맞춤체의 하측걸림돌출편(195)을 궤도(R)의 끝단부로부터 홈(141, 171)으로 삽이바고, 궤도(R)에 조립할 수 있는 경우에는, 반드시 각을 절제할 필요는 없다.
이와같은 형상의 걸어맞춤체(193)는 다음의 이점을 가지고 있다.
(1) 걸어맞춤체(193)의 수직부분(194)의 두께치수(A)를 홈(141, 171)의 개구폭치수(B)에 가깝도록 두껍게 할 수 있으므로, 걸어맞춤체(193)가 홈(141, 171)으로부터 떨어지기 어렵게 되어 궤도(R)의 탈락을 방지할 수가 있다.
(2) 수직부분(194)의 두께를 두껍게 할 수 있는 것과, 각이 절제되어 있지 않음에 의해서, 걸어맞춤체(193)는 견고한 형상이 되고, 중량이 있는 궤도(R) 또는 캐리어를 매달 수가 있다.
(3) 각이 절제되어 있지 않음에 의해서, 걸어맞춤체(193)의 제작이 용이하다.
다음에,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호이스트의 급전구조에 대하여 제20도 내지 제25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호이스트(221)(제20도, 제21도 참조)는 캐리어(222)에 탑재되어 있다. 이 캐리어(222)(제21도 참조)는, 구동바퀴(223), 모터(224), 가이드로울러(225) 등으로 구성된 구동측(226)과, 종동바퀴(227), 가이드로울러(228) 등으로 구성된 종동측(229)을 가지고 있으며, 캐리어(222) 전체는, 케이싱(230)에 의해 덮혀 있다.
캐리어(222)(제20도 참조)는, 단면이 I자 형상인 궤도(R)의 웨이브(W)에 부착된 전원케이블(231)과 제어케이블(232)에 접촉하는 여러개의 집전자(233)에 의해 전력과 제어신호를 받아서 궤도(R) 위를 주행하도록 되어 있다.
구동바퀴(223), 종동바퀴(227)는 궤도(R)의 하부플랜지(F) 위를 주행하고, 가이드로울러(225, 228)는 상부, 하부플랜지의 측면을 주행하도록 되어 있다.
호이스트(221)(제20도, 제21도 참조)는, 모터(241), 모터(241)에 접속된 감속기(242), 감속기(242)의 회전축(243) 양끝단에 부착된 한 쌍의 권취풀리(244, 244), 각 권취풀리(244)에 감겨짐과 동시에 핸들링장치(작동장치)(251)를 매다는 벨트(245)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핸들링장치(251)는 반송물을 끼워두는 장치이다.
1개의 권취풀리(244)(제21도, 제24도 참조)에는 2개의 벨트(245, 245)가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핸들링장치(251)는 4개의 벨트(245)에 의해서 호이스트(221)에 매달려 있다.
벨트(245)(제24도 참조)의 한 끝단은, 권취풀리(244)의 드럼부(246)와 지지부(247)에 볼트(254, 254)의 나사맞춤에 의해 지지되어져 있다. 4개의 벨트(245)중, 1개의 벨트(245)(제23도 참조)에는, 코드(248)가 파묻혀 있다.
코드(248)(제24도 참조)의 한 끝단은, 드럼부(246)를 축방향으로 절결하여 형성된 2개의 도피홈(249)중, 한쪽의 도피홈(249)내에 돌출하여 케이블(250)의 한 끝단에 접속되어 있다. 코드(248)의 다른 끝단은 핸들링장치(251)의 모터나 제어회로(도시 생략) 등에 접속되어 있다.
케이블(250)(제22도, 제23도 참조)의 한 끝단은, 권취풀리(244)의 플랜지(252)의 구멍(255)에 끼워넣어진 고무제 또는 탄성을 가지는 수지제의 부시(253)에 의해서 플랜지(252)에 부착되고, 다른 끝단은 캐리어(222)의 제어박스(도시 생략)에 접속되어 있다.
케이블(250)은, 회전축(243)의 직경보다 큰 권취직경으로 회전축(243)의 주위에 길이가 긴 방향으로 여러번 감겨져 있다(나선형상으로 감겨져 있음). 케이블(250)은 가요성을 가지고 감겨져 힘이 가해진 코일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케이블(250)은, 전원케이블(231)(제20도 참조)과 제어케이블(232)로부터 보내어진 전력과 제어신호를 핸들링장치(251)로 보내기 위한 케이블이다.
또한, 케이블은, 제25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회전축(243)을 중심으로 하여 소용돌이형상으로 감아도 좋다. 이 경우의 케이블(260)도 가요성을 가지며 코일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동작을 설명한다
호이스트(221)의 모터(241)를 회전시키면, 회전축(243)과 권취풀리(244)가 일체적으로 감속회전한다. 권취풀리(244)는 회전하여 벨트(245)를 보내거나 감아올려 핸들링장치(251)를 하강시키거나 상승시킨다.
이때, 케이블(250)의 한 끝단이 권취풀리(244)와 일체적으로 회전하게 된다. 케이블(250)의 다른 끝단(제20도, 제22도에서 왼쪽 끝단)은 캐리어(22)의 제어박스(도시생략)에 접속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케이블(250)의 한 끝단이 회전하면, 케이블(250)은 권취풀리(244)의 회전에 따라 회전축(243)에 감겨지거나 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축(243)의 주위를 회전한다.
케이블(250)은, 감기풀리(244)가 벨트(245)를 보내는 방향(제22도 중의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하면, 감김 수가 적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감김직경이 커진다.
또한, 케이블(250)은, 권취풀리(244)가 벨트(245)를 감아올리는 방향(제22도중의 화살표 B방향)으로 회전하면, 감김 수가 많아지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감김직경이 작아진다.
케이블(250)은, 가요성을 가지고 감겨져 힘이 가해져 코일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감김 수나 감김직경이 변화하여도 형상을 코일형상으로 유지하고 있어, 꼬이거나 서로 휘감기는 일은 없다.
신호검지장치(71)는, N극, S극의 2가지 자극을 신호로서 검지하고, 제어회로와 협동하여 반송차(31)를, 예컨대 저속, 고속의 주행제어를 행할 수 있다.
종래의 신호검지장치는 스트라이커의 열과 근접스위치와의 조합이 1조의 경우에는, 1가지 신호밖에 검지할 수 없으나, 본 발명의 자기시이트열과 자극검지기와의 조합이 1조인 신호검지장치(71)의 경우에는 2가지 신호를 검지할 수 있다.
또한, 이상의 자주 반송차는 궤도위를 주행하도록 되어 있으나, 평탄한 바닥에 부착된 자기테이프, 광반사테이프에 의거하여 자기적, 광학적으로 안내되어 스스로 주행하는 자주 반송차(도시생략)도 있다. 이 경우, 그 자주 반송차가 주행하는 바닥면이 반송로가 되고, 바닥면에 자기시일이 부착되게 되어, 바닥으로부터의 돌출물이 없어서 안전하다.
청구항 1, 2의 신호검지장치는, 종래의 스트라이커를 바꾸어 양면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자기시이트를 이용한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간단한 구성으로 많은 신호를 검지할 수 있다.
또한, 자기시이트는 반송로에 부착하여 장착되기 때문에, 장착작업이 간단하다.
자기시이트는 반송로로부터 거의 돌출하지 않기 때문에, 반송로에서의 돌출물이 없어지고 반송로의 보수점검시에 위험성이 적어진다.
또한, 자기시이트가 반송로로부터 돌출하지 않음으로써, 종래의 스트라이커와 비교하여 부착스페이스를 적게 할 수 있다.

Claims (2)

  1. 자주 반송차가 비교적 저속의 주행속도로 주행하는 저속 영역과 상기 자주 반송차가 비교적 고속의 주행 속도로 주행하는 고속영역을 적어도 갖는 주행로에서 상기 자주 반송차의 주행 속도를 검지하는 자주 반송차의 신호 검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신호 검지 장치가,
    상기 자주 반송차의 상기 주행로를 따라서 장착되어 표면 및 이면 중의 어느 한 쪽 면에 N극이 다른쪽 면에 S극이 착자된 자기시이트와, 상기 자기시이트와 대향하여 상기 자주 반송차에 설치된 자극검지기를 구비하고,
    상기 자기시이트의 길이를 저속영역에서는 비교적 짧게 설정함과 동시에 상기 고속영역에서는 비교적 길게 설정하여, 상기 자주 반송차의 저속 주행 영역과 고속 영역에서 다르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 반송차의 신호검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시이트는 상기 주행로를 따라서 여러개의 열로 배열하여 설치되고, 상기 자극검지기는 상기 각 열에 대향하여 여러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 반송차의 신호검지장치.
KR1019950001958A 1994-02-03 1995-02-03 자주반송차의 신호검지장치 KR1002425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030809A JPH07215663A (ja) 1994-02-03 1994-02-03 軌道吊下構造
JP94-30809 1994-02-03
JP6065465A JP2866800B2 (ja) 1994-03-10 1994-03-10 自走搬送車の信号検知装置
JP94-65465 1994-03-10
JP94-81038 1994-03-29
JP8103894A JPH07274366A (ja) 1994-03-29 1994-03-29 ホイストの給電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1740A KR950031740A (ko) 1995-12-20
KR100242535B1 true KR100242535B1 (ko) 2000-03-02

Family

ID=27287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1958A KR100242535B1 (ko) 1994-02-03 1995-02-03 자주반송차의 신호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253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1740A (ko) 1995-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156699A1 (en) Vertical rotary parking system
US4480157A (en) Overhead running carrier
CA2406812A1 (en) Versaroll overhead conveyor system
KR100242535B1 (ko) 자주반송차의 신호검지장치
CN113829325A (zh) 一种挂轨式机器人的行走机构和轨道机器人
US5398804A (en) Curved conveyor belt with supporting frame devoid of belt band rollers
CN217669431U (zh) 一种输煤廊道挂轨式智能巡检机器人
CN219114052U (zh) 一种稳定高速的轨道巡控机器人
CN219054392U (zh) 一种矿用巡检机器人
US4993327A (en) Apparatus for collective transportation of passengers, of metropolitan type with automatic drive by independent traction trucks using propulsion notably by linear motor
US4582192A (en) Conveyor with twin belt synchronizing mechanism
JP3604313B2 (ja) メッキ処理工程における軌条式移送装置
CN220430134U (zh) 一种防止缆道式自驱作业车脱轨及打滑结构
CN219708136U (zh) 一种铁托盘箱的倍速链条自动输送装置
CN216372173U (zh) 一种挂轨式机器人的行走机构和轨道机器人
CN211107388U (zh) 索道用导向座和索道
CN218560125U (zh) 一种吊挂式挂轨驱动模块
CN218908741U (zh) 一种圆环链牵引悬挂式单轨运输系统
JP2004009942A (ja) 移載設備
SU1344722A1 (ru) Транспортна система
JPH06173559A (ja) 門扉駆動ユニット
SU1164152A1 (ru) Нат жна станци конвейера
KR100216924B1 (ko) 무빙 워크의 벨트 처짐 방지 장치
JP2762762B2 (ja) モノレール型搬送装置
JP2846224B2 (ja) ドグ及びドグの取り付け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2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