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1927B1 - 엘리베이터의 가이드 롤러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가이드 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1927B1
KR100241927B1 KR1019970051255A KR19970051255A KR100241927B1 KR 100241927 B1 KR100241927 B1 KR 100241927B1 KR 1019970051255 A KR1019970051255 A KR 1019970051255A KR 19970051255 A KR19970051255 A KR 19970051255A KR 100241927 B1 KR100241927 B1 KR 1002419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frame
guide rail
guide roller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1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2582A (ko
Inventor
이광남
권윤기
김용훈
Original Assignee
이종수
엘지산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수, 엘지산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종수
Priority to MYPI97004890A priority Critical patent/MY114468A/en
Priority to IDP973463A priority patent/ID18368A/id
Priority to US08/953,433 priority patent/US5984053A/en
Priority to SG1997003788A priority patent/SG70611A1/en
Priority to CN97122570A priority patent/CN1093500C/zh
Priority to JP9287230A priority patent/JP2905761B2/ja
Publication of KR199800325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25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19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19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B66B7/04Riding means, e.g. Shoes, Rollers, between car and guiding means, e.g. rails, ropes
    • B66B7/046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B66B7/04Riding means, e.g. Shoes, Rollers, between car and guiding means, e.g. rails, ropes
    • B66B7/048Riding means, e.g. Shoes, Rollers, between car and guiding means, e.g. rails, ropes including passive attenuation system for shocks, vibrations

Landscapes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가이드 레일에서 가이드 롤러로 전달되는 횡방향의 동하중이 그대로 전달되지 않고 엘리베이터의 주행방향인 종방향으로 분산·흡수될 수 있도록 하여 횡방향의 진동을 저감시킴으로서 케이지의 승차감을 향상시키고, 아울러 가이드 롤러의 횡방향 진동에 대해 각 부품의 안전성을 향상시켜 가이드 롤러의 제품 신뢰성을 제고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엘리베이터의 가이드 롤러를 제공하는 것으로, 가이드 레일(52)의 전면(52a) 및 좌,우측면(52b)(52c)에 구름되어 카(50)의 주행을 안내하는 가이드 롤러(54a)(54b)(54c)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52)의 좌,우측면(52b)(52c)을 구름하는 양 가이드 롤러(54b)(54c)의 회전 중심이 되는 축(19)과 연결되고 힌지브래킷(12)의 힌지축(16)과 연결되되 프레임(10)에 대해 기울기(α)를 갖고 연결되는 강체 부재(14)와, 상기 프레임(10)에 고정된 스프링 지지대(23)(23) 및 이 스프링 지지대(23)(23)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프레임(10)에 대해 경사자세를 이루면서 상기 강체 부재(14)와 연결되는 탄성 부재로 구성하여 상기 강체 부재(14)와 연결되어 가이드 레일(52)을 구름하는 가이드 롤러가 가이드 레일(52)로부터 전달되는 횡방향의 동하중을 종방향으로 분산·흡수시켜 횡방향의 진동을 저감시킴으로서 케이지의 승차감을 향상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가이드 롤러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주행시 카가 가이드 레일을 따라 안내되도록 카의 상하 양측에 설치되는 가이드 롤러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이드 롤러의 횡방향(카의 주행방향과 직각방향) 동하중을 종방향(카의 주행방향)으로 분산·흡수시킴으로서 횡방향 진동 저감에 따라 엘리베이터의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엘리베이터의 가이드 롤러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의 카는 승강로 내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승강 주행을 하게 된다. 상기 카의 승강 주행을 위해 승강로에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을 수직으로 설치할 때 설치 정밀도에 의해 가이드 레일에는 미세한 구부러짐 등이 존재하게 된다. 특히 엘리베이터가 설치되는 건물은 자중 및 새로운 설비들의 설치에 따른 수직압축력에 의해 기하학적인 변형(예를 들면, 좌굴하중)이 발생되며, 또한 풍압에 의한 탄성적 변형이 발생된다.
상기와 같은 변형들은 승강로 내에 수직으로 설치된 가이드 레일에도 자연적으로 미치게 되어 가이드 레일의 수직 직진도에 대한 변형량을 갖게 된다. 이러한 변형량은 건물이 고층화 될수록 커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가이드 레일의 수직 직진도에 대한 변형량은 엘리베이터의 카가 승강로를 주행할 때 횡진동을 발생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엘리베이터가 고속으로 주행할수록 횡진동은 증폭되어 케이지에 탑승하고 있는 승객에게 불쾌감 및 불안감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가이드 레일과 접촉되어 구름되는 가이드 롤러에 카의 횡진동을 저감시키고 차단시키는 역할을 갖게 하어 승객의 불쾌감 및 불안감을 없애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제1도는 종래 카의 상하 양측에 설치되는 가이드 롤러를 예시한 카의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카(50)의 상하 양측에는 가이드 레일(52)에 접촉되어 구름되는 가이드 롤러(54)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의 가이드 롤러(54)는 가이드 레일(52)의 전면(52a)과 좌,우측면(52b)(52c)(제3도참조)에 각각 구름되도록 3개로 구성된다.
제2도 내지 제4도는 종래 가이드 롤러를 예시한 것이다.
도면부호 56은 카(50)에 볼트 등의 고정수단으로 설치되는 프레임이다. 이 프레임(56)에는 하판(57)이 부착되어 이 하판(57)을 통해 복수의 레버브래킷(58)이 수직되게 설치되고, 이 레버브래킷(58)을 통해 수직으로 레버(60)가 힌지(62) 결합되며, 상기 레버(60)의 중간을 통해 베어링(64)으로 축결합된 가이드 롤러(54)가 힌지(62)를 중심으로 회동이 가능하게 각각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하판(57)에 수직되게 설치된 지지편(66)을 통해 안내봉(68)이 지지편(66)에 대해 직교방향(횡방향)으로 설치되고, 이 안내봉(68)은 레버(60)에 천공된 안내공(70)을 통해 삽입되어 그 단부에 고정너트(72)가 설치되며, 고정너트(72)와 레버(60) 사이에는 스프링(74)이 설치되어 상기 스프링(74)에 의해 가이드 롤러(54)가 가이드 레일(52)에 탄발적으로 접촉하게 되어 가이드 롤러(54)의 전달하중을 지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편(66)의 하부에는 스토퍼 로드(76)가 지지편(66)에 대해 직교방향(횡방향)으로 설치되고, 이 스토퍼 로드(76)는 레버(60)에 천공된 안내공(78)을 통해 삽입되며 그 단부에 스토퍼(80)가 설치되어 가이드 롤러(54)가 힌지(62)를 중심으로 운동할 때 상기 스토퍼(80)가 회전각을 제한하게 된다.
한편 상기 지지편(66)의 상부에는 상판(82)이 설치되고 이를 통해 레버(60)의 상부와 접촉되는 마찰댐퍼(84)가 설치되어 상기 마찰댐퍼(84)가 레버(60)의 운동시 마찰효과를 주어 진동을 억제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가이드 롤러(54)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를 1조로 하여 구성되며, 이들중 하나의 가이드 롤러(54)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52)의 전면(52a)과 접촉되게 되고, 나머지 두 개의 가이드 롤러(54)는 가이드 레일(52)의 좌우측면(52a)(52c)에 각각 접촉되어 구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카(50)를 가이드 레일(52)을 따라 주행시키는 가이드 롤러(54)에 의해 카(50)가 승강 주행을 하게 되면, 가이드 레일(52)의 수직 직진도에 따라 가이드 롤러(52)는 힌지(62)를 중심으로 움직이게 되며, 가이드 롤러(54)로 전달되는 하중이 스프링(74)에 전달되면서 하중을 감소시켜 카(50)의 횡진동을 저감하게 되고, 또한 가이드 레일(52)의 수직 직진도에 따라 카(50)가 과도하게 요동할 때는 힌지(62)를 중심으로 움직이는 가이드 롤러(54)의 회전량을 스토퍼(80)가 저지하여 카(50)가 가이드 레일(52)로부터 탈선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마찰댐퍼(84)가 레버(60)에 접촉되어 스프링(74)의 감쇠역할을 보조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종래의 각 가이드 롤러(54)에 있어 안내봉(68)과 스프링(74)이 프레임(56)에 대해 수평방향(횡방향)으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가이드 레일(52)에서 오는 불규칙한 진동이 가이드 롤러(54)를 통하여 그대로 횡방향 진동으로 나타나게 되어 결국 케이지에 탑승하고 있는 승객에게 불쾌감 및 불안감을 미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안내봉(68)에 스프링(74)을 지지하기 위해 설치된 고정너트(72) 또한 프레임(56)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가이드 롤러(54)의 진동력이 고정너트(72)로 직접 전달됨에 따른 고정너트(72)의 풀림 및 파손에 대한 안전성의 문제가 따른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가이드 레일에서 가이드 롤러로 전달되는 횡방향의 동하중이 그대로 전달되지 않고 엘리베이터의 주행방향인 종방향으로 분산·흡수될 수 있도록 하여 횡방향의 진동을 저감시킴으로서 케이지의 승차감을 향상시키고, 아울러 가이드 롤러의 횡방향 진동에 대해 각 부품의 안전성을 향상시켜 가이드 롤러의 제품 신뢰성을 제고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엘리베이터의 가이드 롤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가이드 레일의 전면 및 좌,우측면에 구름되어 카의 주행을 안내하는 가이드 롤러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의 좌,우측면을 구름하는 양 가이드 롤러의 회전 중심이 되는 축과 연결되고 힌지브래킷의 힌지축과 연결되되 프레임에 대해 기울기를 갖고 연결되는 강체 부재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된 스프링 지지대 및 이 스프링 지지대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프레임에 대해 경사자세를 이루면서 상기 강체 부재와 연결되는 탄성 부재로 구성되어 가이드 레일을 구름하는 가이드 롤러가 가이드 레일로부터 전달되는 횡방향의 동하중을 종방향으로 분산·흡수시켜 횡방향의 진동을 저감시킴으로서 케이지의 승차감을 향상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가이드 레일의 전면을 구름하는 가이드 롤러 또한 가이드 레일의 좌,우측면을 구름하는 가이드 롤러와 같이, 가이드 롤러의 축에 대해 힌지브래킷의 힌지축과 연결된 강체 부재를 상기 축 방향으로 기울기를 갖고 설치함으로서 3개의 가이드 롤러에서 횡방향의 동하중을 종방향으로 분산·흡수시키는데 더욱 유리하다.
그런데 상기 가이드 레일의 전면을 구름하는 가이드 롤러의 경우에 있어, 이 가이드 롤러를 지지하는 프레임과 스프링 지지대가 승강로의 바닥 피트부에 설치되는 버퍼에 간섭받는 것을 감안하고, 또한 원가절감을 감안하여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의 좌,우측면을 구름하는 가이드 롤러에만 강체 부재의 기울기를 갖도록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제1도는 종래 카의 상하 양측에 설치되는 가이드 롤러를 예시한 카의 정면도.
제2도는 종래 가이드 롤러의 사시도.
제3도는 제2도의 정면도.
제4도는 제3도의 측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가이드 롤러의 사시도.
제6도는 제5도의 정면도.
제7도는 제6도의 측면도.
제8도는 제7도의 평면도.
제9도는 본 발명의 강체 부재의 정면도.
제10도는 제9도의 측면도.
제11도는 종래 횡방향의 외부 힘과 횡방향의 강체 부재의 충격량에 대한 비교 그래프.
제12도는 종래 횡방향의 외부 힘과 횡방향의 스프링 부재의 충격량에 대한 비교 그래프.
제13도는 종래 횡방향의 외부 힘과 횡방향의 강체 부재와 스프링 부재의 합성 충격량에 대한 비교 그래프.
제14도는 본 발명의 횡방향의 외부 힘과 횡방향의 강체 부재의 충격량에 대한 비교 그래프.
제15도는 본 발명의 횡방향의 외부 힘과 횡방향의 스프링 부재의 충격량에 대한 비교 그래프.
제16도는 본 발명의 횡방향의 외부 힘과 횡방향의 강체 부재와 스프링 부재의 합성 충격량에 대한 비교 그래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프레임 12 : 힌지브래킷
14 : 강체 부재 16 : 힌지축
20,23 : 스프링 지지대 22 : 스프링 시트
24 : 스프링 부재 26 : 스토퍼 로드
28 : 스토퍼 30 : 프레임 스토퍼
36 : 고무패드 50 : 카
52 : 가이드 롤러 54a, 54b, 54c : 가이드 롤러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5도는 본 발명의 가이드 롤러의 사시도이고, 제6도는 제5도의 정면도이며, 제7도는 제6도의 측면도이고, 제8도는 제7도의 평면도이며, 제9도는 본 발명의 강체 부재의 정면도이고, 제10도는 제9도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부호 10은 카(50)에 볼트 등의 고정수단으로 설치되는 프레임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프레임(10) 상에는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52)의 전면(52a)과 좌,우측면(52b)(52c)에 접촉·구름하는 3개의 가이드 롤러(54a)(54b)(54c)가 각각 배치된다.
상기 각각의 가이드 롤러(54a)(54b)(54c)들은 제5도 내지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으로 축(19)과 베어링(18)이 설치되어 축(19)을 중심으로 가이드 레일(52)에서 회전가능하게 된다.
상기 프레임(10)에는 가이드 롤러(54a)(54b)(54c)와 동수를 이루는 힌지브래킷(12)이 각 고정 설치되고, 이 힌지브래킷(12)의 구멍을 통해 강체 부재(14)과 연결된 힌지축(16)이 힌지 연결되고, 이 강체 부재(14)의 상부에 형성된 중공부(14b)를 통해 상기 축(19)이 삽입 연결되어 너트(21)의 고정수단으로 고정된다.
상기 강체 부재(14)는 제9도 및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힌지축(16)을 연결하는 중공부(14a)와, 그 타측에 상기 중공부(14a)와 동일축을 이루며 축(19)을 연결하는 중공부(14b)와, 상기 중공부(14b)와 직교방향으로 위치되어 후술하는 스프링 부재(24)를 안착시키는 스프링 안내부(14c)와, 상기 스프링 안내부(14c)로부터 하부에 위치되어 후술하는 스토퍼 로드(26)를 안내하는 장공(14d)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강체 부재(14)는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10)에는 가이드 롤러(54a)(54b)(54c)와 동수를 이루는 스프링 지지대(20)(23)(23)를 고정 설치하되, 상기 가이드 레일(52)의 좌,우측면(52b)(52c)에 구름하는 2개의 가이드 롤러(54b)(54c)를 지지하기 위해 대향되게 설치된 스프링 지지대(23)(23)에는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면에 제1경사면(23a)을 형성하고, 이를 통해 탄성 부재를 설치하여 상기 탄성 부재가 강체 부재(14)와 프레임(10)에 대해 경사자세를 유지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탄성 부재는 스프링 시트(22)와 스프링 부재(24)로 이루어지며, 스프링 시트(22)가 너트(25)의 고정수단으로 상기 스프링 지지대(23)(23)의 제1경사면(23a)에 설치되고, 상기 스프링 시트(22)와 강체 부재(14)의 스프링 안내부(14c) 사이에 스프링 부재(24)가 개재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 시트(22)에 의해 스프링 부재(24)의 압축력을 너트(25)에 의해 조정할 수 있게 되고, 또한 스프링 부재(24)의 조립을 간편하게 하게 된다.
상기에서 스프링 부재(24)와 스프링 시트(22)로 이루어진 탄성 부재가 강체 부재(14)와 직각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 지지대(23)(23)에는 제2경사면(23b)을 형성하여 이를 통해 스토퍼 로드(26)를 너트(27)의 고정수단으로 설치하고, 이 스토퍼 로드(26)에 스토퍼(28)를 나사 결합하고 이에 고정너트(29)로 고정하며 스토퍼 로드(26)의 단부를 강체 부재(14)의 장공(14d)에 삽입하여 가이드 롤러(54a)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구성한다.
한편 상기 가이드 레일(52)의 전면(52a)에 구름하는 1개의 가이드 롤러(54a)를 지지하기 위해 설치된 스프링 지지대(20)는 제5도 및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면(20a)의 상부로부터 차례로 스프링 시트(22)와 스토퍼 로드(26)를 너트(25)(27)의 고정수단으로 고정하고, 상기 스프링 시트(22)와 강체 부재(14)의 스프링 안내부(14c) 사이에 스프링 부재(24)를 개재시켜 구성한다.
상기에서 가이드 롤러(54a)의 축(19)과 연결된 강체 부재(14)는 수직되게 연결되는 바, 이는 프레임(10)이 승강로의 바닥 피트부에 설치되는 버퍼(도시안됨)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 지지대(20)가 설치된 프레임(10)의 양 경사단면(10a)이 서로 연결되는 일단면(10b)이 잘리게 되어 이 일단면(10b) 위에 배치되는 스프링 지지대(20)가 설치 한계로 인해 강체 부재(14)가 프레임(10)에 대해 수직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스프링 지지대(20)의 설치 한계가 없다면, 가이드 레일(52)의 전면(52a)을 구름하는 가이드 롤러(54a) 또한 가이드 레일(52)의 좌,우측면(52b)(52c)을 구름하는 가이드 롤러(54b)(54c)와 같이, 가이드 롤러(54b)(54c)의 축(19)에 대해 힌지브래킷(12)의 힌지축(16)과 연결된 강체 부재(14)를 상기 프레임(10)에 대해 기울기(α)를 갖고 설치함으로서 3개의 가이드 롤러(54a)(54b)(54c)에서 횡방향의 동하중을 보다 효과적으로 종방향으로 분산·흡수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이드 레일(52)의 전면(52a)을 구름하는 가이드 롤러(54a)의 경우에 있어, 이 가이드 롤러(54a)를 지지하는 프레임(10)과 스프링 지지대(20)가 승강로의 바닥 피트부에 설치되는 버퍼에 간섭받는 것을 감안하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52)의 좌,우측면(52b)(52c)을 구름하는 가이드 롤러(54b)(54c)에만 강체 부재(14)의 기울기(α)를 갖도록 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스토퍼 로드(26)에 스토퍼(28)를 나사 결합하고 이에 고정너트(29)로 고정하며 스토퍼 로드(26)의 단부를 강체 부재(14)의 장공(14d)에 삽입하여 가이드 롤러(54a)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제5도 및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부호 30은 프레임 스토퍼를 도시한 것으로, 이 프레임 스토퍼(30)는 프레임(10)상에 볼트(32)와 너트(34)의 고정수단으로 설치되고, 그 내측의 ㄷ자 표면에 고무패드(36)를 부착하여 이 고무패드(36)가 가이드 레일(52)의 전면(52a) 및 좌,우측면(52b)(52c)에 근접되어 프레임(10)이 가이드 레일(52)에 직접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프레임(10)에 고정된 힌지브래킷(12)과 스프링 지지대(20)(23)(23)는 프레임(10)과 함께 주물로 일체로 이루어진 것이다.
그리고 제5도 및 제8도에 도시된 도면부호 38은 그리스 니플로서 힌지브래킷(12)에 설치되어 힌지축(16)에 그리스를 주입시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카(50)가 승강 주행을 하게 되면, 가이드 레일(52)의 수직 직진도에 따라 가이드 롤러(54a)(54b)(54c)들은 구름되면서 힌지축(16)을 중심으로 강체 부재(14)를 통해 움직이게 되며, 이때 스프링 부재(24)를 받치고 있는 스프링 지지대(20)(23)(23)가 카(50)의 횡방향 동하중에 대해 나누어 작용하게 되며, 특히 가이드 레일(52)의 좌,우측면(52b)(52c)을 구름하는 가이드 롤러(54b)(54c)의 경우에는 스프링 지지대(23)(23)의 제1경사면(23a)에 의해 스프링 부재(24)와 스프링 시트(22)가 강체 부재(14)와 직각을 이루면서 프레임(10)에 대해 경사자세를 이루게 되어 카(50)의 횡방향 동하중에 대해 나누어 작용하면서 횡방향의 동하중을 종방향으로 분산·흡수시키게 되어 케이지의 승차감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는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의 주행중 가이드 레일(52)에서 가이드 롤러(54a)(54b)(54c)로 횡방향(X)의 동하중만 작용하고 종방향(Y)으로는 거의 작용하지 않는 엘리베이터의 특별한 경계 조건에서 볼 때, 횡방향(X)의 동하중을 종방향으로 많이 흡수시킬수록 횡방향(X)의 진동이 상대적으로 줄어들게 된다. 한편 엘리베이터의 종방향(Y) 관성(Inertia)이 횡방향(X)의 관성보다 크기 때문에 횡방향에서 종방향으로 분산 전달되는 힘은 결국 종방향 진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
즉, 제11도 내지 제13도는 종래 강체 부재와 스프링 부재의 충격량에 대한 비교 그래프도서, 제1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횡방향으로 0.025초마다 주기적으로 10 N크기의 힘을 가했을 때 강체 부재에 작용되는 횡방향(X)과 종방향(Y)의 힘은 거의 나타나지 않고, 반면 제1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프링 부재에 작용되는 횡방향(X)의 힘은 약
Figure kpo00002
5.0N 정도 크기의 힘이 나타나게 되고, 종방향(Y)의 힘은 나타나지 않고 있다. 이러한 결과로서 제1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강체 부재와 스프링 부재의 합성충격량을 보면 횡방향(X)의 힘은 약
Figure kpo00003
5.0N 정도 크기의 힘이 나타나게 되고, 종방향(Y)의 힘은 거의 나타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가이드 롤러(54)로 전달되는 횡방향의 동하중이 그대로 횡방향 진동을 나타나게 되어 케이지의 승차감을 저하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제14도 내지 제16도는 본 발명의 강체 부재와 스프링 부재의 충격량에 대한 비교 그래프로서, 제1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횡방향으로 0.025초마다 주기적으로 10N 크기의 힘을 가했을 때 강체 부재에 작용되는 횡방향(X)의 힘은 약 ±2.5N, 종방향(Y)의 힘은 약 ±4.5N 정도로 나타나게 되고, 제1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프링 부재에 작용되는 횡방향(X)의 힘은 약
Figure kpo00004
2.5N 정도 크기로 나타나게 되고, 종방향(Y)의 힘은 약 ±1.5N 정도 크기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결과로서 제1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강체 부재의 스프링 부재의 합성충격량을 보면 앞서 제14도와 제1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강체 부재의 횡방향 충격량이 정방향(+)으로 미치는 동안 거의 동일한 힘을 가진 스프링 부재의 횡방향 충격량이 역방향(-)으로 미치기 때문에 상기 강체 부재의 횡방향 충격량과 상기 스프링 부재의 횡방향 충격량은 서로 상쇄되어 그 합성충격량이 미미하게 나타나고 있고, 이때 종방향(Y)의 합성충격량은 약 ±6.0N 이상 크기의 힘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가이드 롤러(54a)(54b)(54c)로 전달되는 횡방향의 동하중이 종방향으로 분산·흡수되어 카(50)의 횡방향 진동을 크게 저감시키게 됨에 따라 케이지의 승차감을 향상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엘리베이터의 고유 특성을 갖고 고찰하면, 엘리베이터에 동일한 힘이 전달되더라도 횡방향으로 미치는 진동은 종방향(엘리베이터의 주행 방향)의 진동과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승객은 횡방향의 진동(즉, 승객이 좌,우로 흔들리는 진동을 말함)을 크게 느끼게 되고, 종방향의 진동(즉, 승객이 위,아래로 흔들리는 진동을 말함)이 커지더라도 그 느낌은 상대적으로 작게 느껴지기 때문에 결국 횡진동을 저감시키는 것이 엘리베이터의 특성상 승차감을 향상시키기 때문에 가이드 레일(52)로부터 가이드 롤러(54a)(54b)(54c)로 전달되는 횡방향의 동하중을 종방향으로 분산·흡수시키는 것이 필요한 것이다.
한편 카(50)의 과도한 요동시에는 힌지축(16)을 중심으로 움직이는 가이드 롤러(54a)(54b)(54c)들의 회전량을 각 스토퍼(28)가 제한하여 카(50)가 가이드 레일(52)로부터 탈선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프레임 스토퍼(30)에 의해 프레임(10)이 가이드 레일(52)에 직접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스프링 지지대(23)(23)가 약 60°의 경사각도를 갖고 스프링 부재(24)를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가이드 롤러(54b)(54c)로부터 강체 부재(14)로 전달되는 힘을 안정되게 받쳐주게 되어 부품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힌지축(16)에 그리스 니플(38)을 통해 그리스를 주입하여 강체 부재(14)가 회전할 때 마찰을 줄여 자기 가진운동(self excitation)을 방지함으로서 카(50)의 횡방향 진동을 줄이는데 도움을 주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프레임에 고정된 스프링 지지대의 제1경사면에 스프링 부재와 스프링 시트가 강체 부재와 직각을 이루면서 프레임에 대해 경사자세를 이루게 됨으로서 상기 강체 부재와 연결되어 가이드 레일의 좌,우측면을 구름하는 가이드 롤러는, 가이드 레일로부터 전달되는 횡방향의 동하중을 종방향으로 분산·흡수시켜 횡방향의 진동을 저감시킴으로서 케이지의 승차감을 향상시키게 되고, 상기 스프링 지지대가 스프링 부재를 지지하는 스프링 시트를 일정각도를 갖고 지지하여 가이드 롤러로부터 전달되는 힘을 안정되게 받쳐주게 되어 부품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되는 것이다.

Claims (2)

  1. 승강로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엘리베이터 카의 주행을 안내하고, 상기 가이드레일의 전면 및 좌우측면에 구름운동하는 가이드롤러를 지지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카의 프레임에 설치된 가이드롤러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52) 좌,우측면(52b,52c)에 구름하는 양 가이드롤러(54b,54c)의 회전중심과 연결되고, 상기 프레임(10)에 대하여 제1의 경사각도(α)를 갖고 연결되는 강체부재(14)와, 상기 강체부재(14)와 연결되고 상기 프레임(10)에 대하여 제2의 경사각도(β)를 갖고 연결되는 탄성부재(24)와, 상기 프레임(10)에는 상기 강체부재(14)를 힌지 연결하기 위한 힌지브래킷(12)과 상기 탄성부재(24)의 일측을 연결하기 위한 탄성부재지지대(23)를 설치하고, 상기 탄성부재지지대(23)에는 상기 탄성부재(24)를 상기 프레임(10)에 대하여 경사를 유지하기 위한 경사면(23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가이드롤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지지대(23)와 강체부재(14)를 연결하는 스토피로드(26)가 프레임(10)에 대하여 경사지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가이드롤러.
KR1019970051255A 1996-10-19 1997-10-06 엘리베이터의 가이드 롤러 KR1002419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MYPI97004890A MY114468A (en) 1996-10-19 1997-10-17 Guide roller supporting apparatus for elevator car
IDP973463A ID18368A (id) 1996-10-19 1997-10-17 Alat pendukung roda pengarah pada kereta lift
US08/953,433 US5984053A (en) 1996-10-19 1997-10-17 Guide roller supporting apparatus for elevator car
SG1997003788A SG70611A1 (en) 1996-10-19 1997-10-18 Guide roller supporting apparatus for elevator car
CN97122570A CN1093500C (zh) 1996-10-19 1997-10-19 用于电梯轿厢的导辊支承装置
JP9287230A JP2905761B2 (ja) 1996-10-19 1997-10-20 エレベータのガイドローラ支持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6-34636 1996-10-19
KR2019960034636 1996-10-19
KR19960034636 1996-10-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2582A KR19980032582A (ko) 1998-07-25
KR100241927B1 true KR100241927B1 (ko) 2000-03-02

Family

ID=66041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1255A KR100241927B1 (ko) 1996-10-19 1997-10-06 엘리베이터의 가이드 롤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192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2582A (ko) 1998-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905761B2 (ja) エレベータのガイドローラ支持装置
KR100657622B1 (ko) 철도차량용 조향대차
JP2013504483A (ja) 走行装置への車体の接続が側方に柔軟な鉄道車両
NO175740B (no) Innretning for kompensering av skråstillingen til vognkassen i et skinnekjöretöy ved kurvekjöring
JPH10194627A (ja) エレベータのガイドローラ装置
US5311821A (en) Rail vehicle having supplementary spring providing the restoring moment at high angles of body roll
KR100241927B1 (ko) 엘리베이터의 가이드 롤러
JPH033884A (ja) 昇降機
US4132176A (en) Hydraulically dampened railway truck bolster
JPH033888A (ja) 昇降機の横揺れ制振装置
US4955293A (en) Slider
KR100604380B1 (ko) 3차 현수기능을 갖는 철도차량용 대차
KR102130225B1 (ko) 엘리베이터의 가이드 롤러 장치
KR100246743B1 (ko) 엘리베이터의가이드롤러장치
EP3617030B1 (en) Railway vehicle
EP0683081A1 (en) A bogie equipped with a body-tilt system for a railway car
KR100604379B1 (ko) 3차 현수기능의 철도차량용 대차
KR0166768B1 (ko) 엘리베이터 승강차용 가이드롤러의 진동흡수장치
KR0140529Y1 (ko) 철도차량용 1차 현가장치
JP3210238B2 (ja)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のかご
KR20240003901A (ko) 자동차용 시트의 진동 전달을 차단하기 위한 면진 구조
KR101910998B1 (ko) 철도차량의 객차간 통로 바닥 연결 장치
KR970004184Y1 (ko) 엘리베이터의 승강차 안내장치
JPH05186163A (ja) エレベーターのローラガイド及び該ローラガイドを用いたエレベーター
KR100218391B1 (ko) 엘리베이터의 가이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6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1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