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8864B1 -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비트라인 감지증폭회로 - Google Patents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비트라인 감지증폭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8864B1
KR100238864B1 KR1019960038707A KR19960038707A KR100238864B1 KR 100238864 B1 KR100238864 B1 KR 100238864B1 KR 1019960038707 A KR1019960038707 A KR 1019960038707A KR 19960038707 A KR19960038707 A KR 19960038707A KR 100238864 B1 KR100238864 B1 KR 1002388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bit line
circuit
supply voltag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8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0274A (ko
Inventor
강경우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60038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8864B1/ko
Publication of KR199800202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02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88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88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06Sense amplifiers; Associated circuits, e.g. timing or triggering circuits

Landscapes

  • Dram (AREA)

Abstract

셀어레이 영역으로부터 도출된 한쌍의 비트라인과 접속되고, 상기 비트라인 중의 하나의 라인을 풀업시키기 위한 제1감지증폭회로와, 그 나머지 하나의 비트라인을 풀다운시키기 위한 제2감지증폭회로를 가지며, 상기 비트라인 디벨롭시 오버슈팅을 방지하기 위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비트라인 감지증폭회로에 있어서: 주변회로 영역에 배치되어 인가되는 외부 전원전압을 소정 레벨의 내부 전원전압으로 출력하기 위한 내부 전원전압 발생회로와; 미리 설정된 기준전압과 피이드백되는 상기 제1감지증폭회로의 구동신호를 입력으로 하고, 클럭신호에 응답하여 인가되는 외부 전원전압의 변동에 따라 상기 기준전압 레벨 만큼의 설정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외부 전원용 제어회로와; 상기 클력신호에 응답하고 인가되는 상기 내부 전원전압에 대응하는 버퍼링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내부 전원용 제어회로와; 상기 설정신호 또는 버퍼링신호에 응답하여 인가되는 상기 외부 또는 내부전원전압을 드라이빙하고, 상기 비트라인의 풀업 디벨롭핑의 초기동안 상기 외부 또는 내부전원전압을 동시에 드라이빙하여 제1구동신호를 출력하고, 미리 설정된 시간후에 상기 설정신호를 디스에이블시키고 최종시간동안 상기 내부 전원전압을 드라이빙하여 상기 제1구동신호의 레벨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제2구동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복수개의 외부 또는 내부 전원용 드라이버회로를 구비하고 비트라인 디벨롭시 오버슈팅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비트라인 감지증폭회로{BIT LINE SENSE AMPLIFIER OF SEMICONDUCTOR MEORY DEVICE}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내의 메모리 셀과 비트라인간의 데이타 공유시점에서 미약한 정보신호를 신속하게 감지 및 증폭하기 위한 비트라인 감지증폭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트라인의 하이 레벨 디벨롭시 발생하는 비트라인 오버슈팅을 방지하기 위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비트라인 감지증폭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이나믹 램 등과 같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로우 디코더에 의해 선택된 메모리 셀에 축적된 데이타를 셀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접속된 비트라인으로부터 전위를 충전하거나 그로 방전하고, 상기 비트라인 상에서 전압차 형태로 나타난 정보는 상기 비트라인에 병렬 접속된 상기 감지증폭기에 의해 감지증폭되어 외부로 출력된다. 그리고, 독출된 상기 메모리 셀에는 다시 원래의 데이타(정보)가 리스토아되어 다이내믹한 메모리 기능을 갖는다.
먼저, 전반적인 종래 기술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감지증폭회로를 보인 도 도 2d를 참조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는 설명의 용이함과 이해의 편의를 목적으로 도면을 일정 순서 없이 참조하고 있음을 유의하길 바란다. 도 2d는 센스앰프 구동신호 LA, LAB를 입력하여 상기 비트라인 BL, BLB를 풀업 풀다운의 레벨로 디벨롭하기 위한 즉, 증폭하기 위한 비트라인 감지증폭회로를 보인 도면이다.
셀어레이 영역 54, 56의 유닛셀의 엔형 모오스 트랜지스터의 드레인단자와 접속된 한쌍의 비트라인 BL, BLB에 감지증폭회로 33, 35가 병렬 접속된다. 셀어레이 영역 54의 특정 워드라인이 선택되면 이미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상기 워드라인에 접속된 상기 엔형 모오스 트랜지스터가 "턴온"되고 이와 접속된 캐패시터와 비트라인간에는 차아지 셰어링(charge sharing) 동작이 일어난다. 하이 레벨의 PISOi(PISOj)가 인가되어 전달 게이트 34, 36을 도통시킨다. 그러면, 한쌍의 비트라인간에 크로스 접속된 피형 모오스 트랜지스터들 38, 40과 엔형 모오스 트랜지스터들 46, 48은 상기 비트라인의 데이타 레벨을 감지하여 풀업/풀다운으로 디벨롭하여 데이타의 논리를 결정한다. 블럭 37은 하이 레벨의 컬럼선택신호 CSL이 입력될 때 감지증폭회로에 의해 디벨롭된 데이터를 입출력 라인(IO)에 연결시켜 데이터 버스로 출력시킨다. 이로 인해 한쌍의 비트라인의 논리 상태가 상기 컬럼선택신호 CSL의 인에이블에 의해 입출력라인 IO, IOB로 전송된다. 이때, 크로스 접속된 피형 모오스 트랜지스터들 38, 40은 구동신호 LA에 응답하여 상기 비트라인의 하나를 풀업 디벨롭하는 동작을 하는 피형 센스앰프이고, 또 다른 크로스 접속된 엔형 모오스 트랜지스터들 46, 48은 상보적인 구동신호 LAB에 응답하여 나머지 비트라인을 풀다운으로 디벨롭하는 동작을 하는 엔형 센스앰프이다.
상기 구동신호 LA, LAB는 도 2b 및 도 2c에 제시한 드라이버회로로부터 제공된 신호이다. 도 2b는 외부 전원용 제어회로의 제어신호 LAPGE를 게이트단으로 입력으로 하여 한쌍의 비트라인 중 어느 하나의 비트라인을 풀업 디벨롭하기 위한 구동신호 LA를 제공하는 피형 모오스 트랜지스터 30으로 이루어진 외부 전원(E)용 드라이버회로이다. 도 2c는 통상의 인버터로 부터의 출력된 신호 LANG를 게이트단으로 입력으로 하고 나머지 하나의 비트라인을 풀다운으로 디벨롭하기 위한 구동신호 LAB를 제공하는 엔형 모오스 트랜지스터 32로 이루어진 드라이버회로를 보인 도면이다. 따라서, 상기 감지증폭회로 33, 35의 일단으로 상기 각각의 구동신호가 입력되어 데이타 논리결정 동작을 구동하게 한다. 한편, 비트라인 풀업 디벨롭신호를 결정하는 구동신호 LA는 외부 전원전압(E)의 변동에 의해 안정된 신호가 되지 못하며 또한, 피형 트랜지스터 30의 도통 저항으로 인한 원치 않는 전류가 공급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트랜지스터 30의 게이트단으로 외부 전원용 제어회로의 제어신호 LAPGE가 입력된다. 이 외부 전원용 제어회로는 도 2a에 제시한다. 즉, 일단은 구동신호 LA를 피이드백하여 다시 입력으로 하고 타단은 기준전압발생신호 VREFA를 입력으로 한다. 그리고, 클럭과 셀어레이영역으로 부터 제공된 블럭선택신호 PBLSij에 응답하여 인가되는 외부 전원전압(E)을 상기 기준전압 레벨에 대응하여 상기 제어신호 LAPGE를 출력한다. 이 외부 전원용 제어회로는 피형 및 엔형 트랜지스터들 14, 16, 18, 20과 프리차아지 트랜지스터 24와 인버터 26, 28로 구성되며 외부 전원전압(E)를 전류원으로 한다. 이러한 구조는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자세한 구조설명은 생략한다.
하지만, 상기 외부 전원용 제어회로는 동작상의 반응시간이 지연되고 또한 구동신호 LA가 기준전압 VREFA만큼 디벨롭되어 제어신호 LAPGE를 디스에이블시킬 때 제어신호 LAPGE의 디스에이블이 지연되므로 상기 설정된 기준전압 보다 높은 전압으로 상기 구동신호 LA가 오버슈팅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오버슈팅된 구동신호 LA에 응답하여 풀업 비트라인 레벨을 기준전압 보다 상승시키고 칩의 프리차아지 동작에서 비트라인의 프리차아지 레벨을 상승시킨다. 도 5a는 기준전압 발생신호 레벨 118보다 구동신호 LA신호가 후반부 122에서 상승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그 다음 사이클의 칩동작시 센싱마진 손해가 발생한다. 또한, 상기 비트라인 디벨롭후에 상기 외부 전원용 제어회로의 피이드백 출력으로 제어신호 LAPGE가 디스에이블되어 비트라인의 플로팅구간이 발생하며 이는 풀업 비트라인 레벨의 릭다운 (leak down) 유발과 리커버리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을 수반한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개선코자 도3에서는 도 1의 내부전원전압 발생회로의 내부전원 VCCA를 이용하고 입력되는 클럭신호를 도 3a의 인버터 58, 60, 62로 버퍼링함으로서 버퍼링신호 LPAGA를 출력하고 이를 고 3b의 드라이버회로의 입력으로 하고 내부전원(A)를 이용하여 구동신호 LA를 제공하나 이 또한 드라이버 피형 트랜지스터 64의 도통 저항으로 인해 비트라인 디벨롭시 상기 VCCA의 딥(dip)현상 및 리커버리 시간이 문제가 되어 비트라인 액티브 및 리스토아 시간에 큰 손실을 준다. 이는 노이즈를 유발시켜 소자의 특성저하를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코자 본 발명의 목적은 비트라인 디벨롭시 오버슈팅을 방지하기 위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비트라인 감지증폭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안정된 디벨롭핑 동작을 수행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비트라인 감지증폭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부전원전압 발생회로를 보인 도면.
도 2a는 종래 기술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부 전원용 제어회로를 보인 도면이고, 도 2b는 상기 외부 전원용 제어회로의 출력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비트라인을 풀업 디벨롭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제공하는 외부 전원용 드라이버회로를 보인 도면이고, 도 2c는 상기 비트라인을 풀다운으로 디벨롭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제공하는 드라이버회로를 보인 도면이다. 그리고, 도 2d는 상기 구동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상기 비트라인을 디벨롭하기 위한 비트라인 감지증폭회로를 보인 도면.
도 3a는 종래 기술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내부 전원용 제어회로를 보인 도면이고, 도 3b 및 도 3c는 감지증폭회로의 일단 및 타단에 구동신호를 제공하는 드라이버회로를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로 블럭을 보인 도면.
도 5a는 종래 기술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트라인 디벨롭핑 타이밍을 보인 도면이며,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비트라인 디벨롭핑 타이밍을 보인 도면.
제 6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부 전원용 제어회로를 보인 도면이고, 도 6b는 내부 전원용 제어회로를 보인 도면이고, 도 6c는 외부 또는 내부 전원용 드라이버회로를 보인 도면이고, 도 6d는 디벨롭핑 풀다운 구동신호인 제3구동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드라이버회로를 보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로 블럭을 보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셀어레이 영역 68, 76과 이에 도출된 비트라인에 병렬로 감지증폭회로 33, 35와 접속된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다. 구동신호 LA는 감지증폭회로 33의 입력단으로 제공되고 감지증폭회로 33은 한쌍의 비트라인 중 하나의 비트라인을 풀업 디벨롭핑시킨다. 입력클럭 및 셀어레이영역으로 부터 제공된 PBSij에 응답하여 외부 전원용 제어회로 78은 제어신호 LAPGE로 외부 또는 내부 전원용 다수의 드라이버회로 70, 72, 74를 공통 제어한다. 또한, 입력클럭 및 셀어레이 영역으로부터 제공된 PBSij에 응답하여 내부 전원용 제어회로 80도 입력클럭 및 셀어레이 영역으로부터 제공된 PBLSij에 응답하여 외부 또는 내부 전원용 다수의 드라이버회로 70, 72, 74를 공통 제어한다. 이때, 상기 외부 또는 내부 전원용 드라이버회로는 도 6c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게이트단으로는 상기 제어신호 LAPGE가 입력되고, 소오스단으로는 상기 외부 전원전압(E)이 인가되고 드레인단이 상기 구동신호 출력라인과 접속된 제1피형 모오스 트랜지스터 104와, 게이트단으로는 상기 제어신호 LAPGA가 입력되고 소오스단으로는 상기 내부 전원전압(A)이 인가되고 드레인단이 상기 제1피형 모오스 트랜지스터 104의 드레인단과 상기 출력라인과 공통접속되는 제2피형 모오스 트랜지스터 106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외부 또는 내부 전원용 드라이버회로들 70, 72, 74는 상기 제어신호 LAPGE 및 LAPGA에 각각 응답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 만큼 즉, 도 5b의 초기구간 112동안 외부 또는 내부 전원을 동시에 드라이빙하여 풀업 디벨롭핑시키기 위한 감지증폭회로 33의 제1구동신호 LA를 출력한다.
일정 지연시간 후 상기 제어신호 LAPGE를 디스에이블시키고 도 5b의 후기 구간 114에서 처럼 풀업 디벨롭핑 상태를 일정시간 동안 유지시키기 위하여 내부 전원전압 만을 드라이빙하여 제2구동신호 LA를 제공한다. 이때, 내부전원용 제어회로 80은 입력클럭 및 PBLSij신호가 입력되고 제어신호 LAPGA를 제공한다. 즉, 종래와는 달리 제1구동신호를 외부전원전압의 전류원으로서 이용하고 제2구동신호를 내부전원전압의 전류원으로 이용한다. 따라서, 비트라인 디벨롭핑 슬로프(slope)를 개선하고 비트라인의 오버슈팅도 개선할 수 있다. 이에 상기 각 블럭의 상세한 회로구성을 아래에 설명한다.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비트라인 디벨롭핑 타이밍을 보인 도면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부 전원용 제어회로를 보인 도면이다. 외부 전원용 제어회로 78은 일단은 구동신호 LA를 피이드백하여 다시 입력으로 하고 타단은 기준전압발생신호 VREF를 입력하여 제어신호 LAPGE를 출력한다. 이 외부 전원용 제어회로 78은 피형 및 엔형 트랜지스터들 82, 84, 86, 88, 90과 프리차아지 트랜지스터 92와 인버터 94, 96으로 구성되며 외부전원전압(E)를 전압원으로 한다. 도 6b는 내부 전원용 제어회로 80을 보인 도면이고 입력되는 클럭신호에 응답하여 제어신호 LAPGA를 출력하기 위한 인버터 98, 100, 102로 구성되며 내부 전원전압(A)을 전압원으로 한다. 이때, 내부 전원전압(A)은 도 1에 도시된 내부 전원전압 발생회로로부터 출력된다. 도 6c는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외부 또는 내부 전원용 드라이버회로이다. 도 6d는 상기 제1구동신호 LA의 상보신호인 구동신호 LAB를 상기 감지증폭회로 35의 일단에 제공하여 비트라인을 풀다운 디벨롭핑을 일정 시간동안 수행하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트라인 감지증폭회로의 제어회로의 동작을 설명한다.
지금, 로우 어드레스 스트로브 신호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티브 로우로 활성화되어 블럭선택신호 PBLSij와 입력클럭이 도 5b와 같이 "하이"로 입력되면, 도 6a와 같이 구성된 외부전원용 제어회로 78과 도 6b와 같이 구성된 내부전원용 제어회로 80들이 각각 동작되어 도 5b와 같은 제어신호들 LAPGE 및 LAPGA를 각각 발생하여 출력한다.
상기 도 5b와 같이 발생된 제어신호 LAPGE 및 LAPGA들중 도 6a도에 도시된 외부 전원용 제어회로 78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 LAPGE는 로우로 활성화된 후 소정 시간이 경과되면 도 5b의 16과 같이 자동으로 하이로 천이되는 자동펄스의 형태로서 외부 또는 내부 전원용 드라이버회로 70, 72, 74들에 제공된다. 이러한 자동펄스 116은 상기 외부 전원용 제어회로 78의 출력단에 자동펄스발생회로를 접속시키므로서 용이하게 발생시킬 수 있다. 예컨대, 모노스테이블 등과 같은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도 5b에서 112로 도시된 초기구간 동안에는 도 6c와 같이 구성된 외부 또는 내부 전원용 드라이버회로 70, 72, 74를이 각각 구동되어 외부전원전압(E)과 내부전원전압(A)의 레벨을 가지는 구동신호 LA로서 도 2d의 피형 센스앰프 33을 구동하여 비트라인을 풀업 디벨롭시킨다. 이후, 자동펄스 116가 비활성화 상태로 천이되어진 후기기간 114부터는 다수의 외부 또는 내부 전원용 드라이버회로 70, 72, 74들내의 피모오스 트랜지스터 106만이 구동되므로써 비트라인은 초기 외부전원전압(B)에 의해 고속으로 풀업 디벨롭된 후 내부전원전압(A)에 의해 풀업 디벨롭동작이 유지된다.
이후, 도 5b에 도시된 로우 어드레스 스트로브 신호가 논리 하이로 비활성화되면, 블럭선택신호 PBLSij와 입력클럭이 모두 비활성화되므로 외부 전원용 제어회로 78과 내부 전원용 제어회로 80이 모두 디스에이블되어져 센싱동작이 종료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회로는 초기 센싱동작이 개시될 때에는 외부전원전압(E)으로 피형 센스앰프 33을 구동하고, 소정시간 경과에 내부전원전압(A)으로 피형 센스앰프 33을 구동하므로써 비트라인의 디벨롭 슬로프가 보다 양호한 상태로 개선되며, 비트라인 오버슈팅도 개선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제 5a의 초기동작구간 112와 최종동작구간 114의 구분을 위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초기동작구간 112에 내부 또는 외부 전원을 동시에 드라이빙하여 외부전원전압의 레벨을 갖는 구동신호 LA를 출력하고, 최종동작구간 114부터는 제어신호 LAPGE를 자동펄스로서 디스에이블시켜 내부전원전압(A)의 레벨을 가지는 구동신호 LA로 센스앰프 33를 구동하는 것을 예로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국한되지 않음을 유의해야 한다.
예컨데, 상기 외부전원용 제어회로 78내에 공급되는 기준전압 VREF을 비트라인 디벨롭 타켓 레벨에 대비 낮게 설정하여, 상기 외부 전원용 제어회로 78에 의해 상기 초기동작구간 112의 동작을 개시한다. 이후, 센스앰프 33의 동작에 의해 상기 구동신호 LA의 전압레벨이 비교적 낮게 설정된 기준전압 VREF의 레벨에 도달하게 되면 초기동작구간 112의 동작이 완료되어 상기 외부 또는 내부 전원용 드라이버회로 70, 72, 74내의 외부전원용 모오스 트랜지스터 104를 오프시킨다. 따라서, 내부전원용 제어회로 8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 LAPGA에 의해 외부 또는 내부 전원용 드라이버회로 70, 72, 74내의 내부전원용 모오스 트랜지스터 106만이 온되어 최종동작구간 114의 동작이 수행된다.
상기한 본 발명은 도면을 중심으로 예를 들어 한정되었지만, 그 동일한 것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 변화와 변형이 가능함이 본 분야의 숙련된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을 따르면, 초기 비트라인의 디벨롭을 외부전원전압에 의해 개시한 후 내부전원전압에 의해 디벨롭을 연속하므로써 비트라인 디벨롭시 오버슈팅을 방지하고 안정된 풀업 디벨롭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셀어레이 영역으로 부터 도출된 한쌍의 비트라인과 접속되고, 상기 제1구동신호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비트라인 중의 하나의 라인을 풀업시키는 제1감지증폭회로와, 그 나머지 하나의 비트라인을 풀다운시키기 위한 제2감지증폭회로를 가지며, 상기 비트라인 디벨롭시 오버슈팅을 방지하기 위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비트라인 감지증폭회로에 있어서,
    주변회로 영역에 배치되어 인가되는 외부전원전압을 보다 낮은 레벨의 내부전원전압으로 출력하기 위한 내부 전원전압 발생회로와,
    미리 설정된 기준전압과 상기 제1감지증폭회로로부터 피이드백되는 제1구동신호를 입력하며 클럭신호의 입력에 응답하여 소정 기간 동안 외부전원전압 레벨을 가지는 제1제어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외부 전원용 제어회로와,
    상기 클력신호에 응답하고 인가되는 상기 내부 전원전압의 레벨에 대응하는 제2제어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내부 전원용 제어회로와,
    상기 제1제어신호와 제2제어신호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감지증폭회로로 제공되는 제1구동신호를 소정 시간 동안 외부전원전압의 레벨로 드라이빙한 후, 내부전원전압의 레벨로서 제1구동신호를 출력하는 복수개의 외부 또는 내부 전원용 드라이버회로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비트라인 감지증폭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또는 내부 전원용 드라이버회로는,
    게이트단으로는 외부전원전압 레벨의 제1제어신호가 입력되며 소오스로는 상기 외부 전원전압이 인가되고, 드레인은 상기 제1감지증폭회로에 접속된 제1피형 모오스 트랜지스터와,
    게이트단으로는 내부전원전압 레벨의 제2제어신호가 입력되며 소오스로는 상기 내부전원전압이 인가되고, 드레인은 상기 제1피형 모오스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접속되는 제2피형 모오스 트랜지스터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비트라인 감지증폭회로.
KR1019960038707A 1996-09-06 1996-09-06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비트라인 감지증폭회로 KR1002388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8707A KR100238864B1 (ko) 1996-09-06 1996-09-06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비트라인 감지증폭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8707A KR100238864B1 (ko) 1996-09-06 1996-09-06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비트라인 감지증폭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0274A KR19980020274A (ko) 1998-06-25
KR100238864B1 true KR100238864B1 (ko) 2000-01-15

Family

ID=19473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8707A KR100238864B1 (ko) 1996-09-06 1996-09-06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비트라인 감지증폭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886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0274A (ko) 1998-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10938B1 (ko) 동작전원 전압으로써 복수의 정격 전압을 가지는 다이나믹 · 랜덤 · 액세스 · 메모리
US5625597A (en) DRAM having test circuit capable of performing function test of refresh counter and measurement of refresh cycle simultaneously
KR100201718B1 (ko) 반도체 기억 장치에 있어서의 데이타 전송로의 단락 방법 및 반도체 기억 장치
JP3101298B2 (ja) 半導体メモリ装置
KR900017273A (ko) 반도체 기억장치
JPH0713857B2 (ja) 半導体記憶装置
JPH087997B2 (ja) ランダムアクセスメモリ装置
US6925020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sense amplifier and method for overdriving the sense amplifier
JPH0917183A (ja) 半導体記憶装置
US5323345A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read/write circuitry
KR100297717B1 (ko) 반도체메모리의입출력선프리차아지회로및이를사용하는반도체메모리
KR0140175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센스앰프 회로
KR100295048B1 (ko) 기입시간을최소화하는메모리장치및데이터기입방법
KR20210149194A (ko) 감지 증폭기 신호 부스트
KR0146863B1 (ko) 고속 및 저전력의 데이타 읽기/쓰기 회로를 구비한 반도체 메모리
KR100195633B1 (ko) 출력하한값에 대한 리미트기능을 갖는 증폭회로 및 상보형 증폭 회로
US5703829A (en) Synchronous typ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which can be adapted to high frequency system clock signal
US5841730A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synchronous write driver circuit
KR100238864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비트라인 감지증폭회로
JPS62202398A (ja) 半導体記憶装置
KR100206706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비트라인 감지증폭회로
US6553520B1 (en) Integrated circuit devices with mode-selective external signal routing capabilities and methods of operation therefor
US6992912B2 (en) Nonvolatile ferroelectric memory device having timing reference control func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5563840A (en) Integrated semiconductor device
JP2927344B2 (ja) 半導体記憶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0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