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7802B1 - 자동 세발기 - Google Patents

자동 세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7802B1
KR100237802B1 KR1019970079074A KR19977009074A KR100237802B1 KR 100237802 B1 KR100237802 B1 KR 100237802B1 KR 1019970079074 A KR1019970079074 A KR 1019970079074A KR 19977009074 A KR19977009074 A KR 19977009074A KR 100237802 B1 KR100237802 B1 KR 1002378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pe
neck
water
tank
ho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9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쯔오 사까네
히데아끼 마쯔나가
다께나리 유끼
마사루 노로
미쯔루 나가나와
Original Assignee
다카노 야스아키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카노 야스아키,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카노 야스아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7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78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9/00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9/00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 A45D19/06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in the form of bowls or similar open containers
    • A45D19/08Adaptations of wash-basins
    • A45D19/10Backward lavabo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9/00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 A45D19/14Closed washing devices, e.g. washing caps

Landscapes

  • Cleaning And Drying Hair (AREA)

Abstract

본 자동 세발기에서는 수조(60)의 측벽에 물이 통하여 목덜미에 이를 수 있는 오목부(60a)를 형성했다. 오목부(60a)에는 핀 굴곡형의 목덜미 지지 부재(32)가 복수, 간격을 두고 구비되고, 그 꼭대기부(32a)에 목덜미를 얹은 상태에서 오목부(60a) 저부에 구비한 목덜미 전용 고정 노즐(66a) 및 가동식 하부 노즐(64)로부터 세척수가 오목부(60a)를 통하여 목덜미를 세척할 수 있다. 수조(60)의 개구 주위 모서리부에는 목덜미를 얹은 패드(31)를 착탈 가능하게 구비하여 목의 피로를 방지하고, 물의 비산을 방지했다. 따라서, 목이 아파지지 않는 편안한 자세로 목덜미를 세발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 세발기
본 발명은 이발소, 미용실 등에서 사용되는 업무용 자동 세발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자동 세발기에는 상부에 개구를 갖는 수조가 구비되고, 그 수조 내에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있다(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평6-22812호). 이와 같은 자동 세발기에서는 피세발자는 얼굴을 위로하여 머리부를 수조 내로 삽입하고, 위를 향한 자세로 세발된다. 이 때, 피세발자의 머리부는 그 목덜미를 상술한 수조 개구의 주위 모서리부에 얹음으로써 지지되게 된다.
그러나, 목덜미가 상술한 주위 모서리부에 얹어져 있으면 피세발자의 목덜미가 상기 주위 모서리부에서 덮여져 버리므로 분사되는 세척수가 목덜미에 미치지 않는다. 그로 인해, 미용사나 그 보조자가 목덜미를 핸드 샤워를 이용하거나 손으로 세척하지 않을 수 없었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 머리카락이나 두피뿐만 아니라 목덜미도 자동 세척할 수 있는 자동 세발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자동 세발기는 세발 시에 피세발자의 머리부를 배면 상태로 삽입할 수 있도록 상부에 개구를 갖는 수조와, 수조 내에 배치되어 세척수를 피세발자의 목덜미에 분사하는 분사 수단을 구비한 자동 세발기에 있어서, 분사 수단으로부터의 세척수가 목덜미로 이르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면서 피세발자의 목덜미를 지지하는 목덜미 지지 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구성에 따르면 목덜미 지지 부재는 목덜미로의 공간을 확보하면서 목덜미를 지지할 수 있으므로, 피세발자는 목덜미를 아프게 하지 않는 편안한 자세로 수조의 개구 주위 모서리부에서 통상 쉽게 보이지 않는 목덜미를 확실히 세척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목덜미 지지 부재는 그 위치를 공간보다도 수조 내측으로 함으로써, 목덜미의 근원측 부분에 공간을 확보하면서 목덜미의 머리부 근처 부분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목덜미 지지 부재는 그 형상을 핀 굴곡형이나 망상으로 함으로써 공간을 확보하기 쉽다. 또한, 목덜미 지지 부재는 위치 및 형상의 양자를 상술한 바와 같이 하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분사 수단은 목덜미에 세척수를 뿜어 댈 수 있는 전용 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구성에 따르면 목덜미에 세척수가 강하게 뿜어 대게 되므로 세발후의 세척감을 향상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그리고 공간 주위 모서리에 목덜미를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완충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구성에 따르면, 목덜미를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므로, 완충재가 좁아져도 목덜미가 아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탄력성이 있는 완충재는 목덜미와 밀착할 수 있으므로, 목덜미에 강하게 세척수가 뿜어 대게 되어도 세척수가 목덜미를 지나서 등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완충재는 세척수가 수조로부터 장치 외부로 비산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조 상방을 덮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구성에 따르면, 완충재가 목덜미 주위를 덮을 수 있으므로, 목덜미 주위로부터 세척수가 비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주위의 환경을 청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완충재는 착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구성에 따르면 완충재를 교환해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피세발자의 목 굵기에 따라서 확실히 세척수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청결감을 향상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자동 세발기의 외관 사시도.
도2는 도1의 자동 세발기의 수로도.
도3은 도1의 자동 세발기 수조의 전방부 확대 단면 측면도.
도4는 도3의 하부 노즐 링크의 사시도.
도5는 도3의 노즐 링크의 구동 기구의 측면 도해도.
도6은 도1의 자동 세발기 수조의 전방부 정면 단면도이며, 도3의 A-A 단면도.
도7은 도1의 자동 세발기 수조의 전방부 평면도.
도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자동 세발기 수조의 전방부 확대 단면 측면도.
도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자동 세발기 수조의 전방부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입구 (개구)
31 : 패드 (완충재)
32 : 목덜미 지지 부재
60 : 수조
60a : 수조
64 : 하부 노즐 (분사 수단)
66a : 목덜미 전용 고정 노즐 (전용 노즐)
N : 목덜미
도1은 자동 세발기를 도시한 외관 사시도이다.
이 자동 세발기는 캐비닛(1)에 의해 그 외관 형상이 형성되어 있다. 캐비닛(1)의 상면 중앙에는 피세발자의 머리부를 삽입하기 위한 개구로서의 입구(2)가 형성되어 있다. 입구(2)의 내측에는 머리부 및 머리카락이 수용되는 수조(60)(도2 참조)가 배치되어 있다.
입구(2)에는 피세발자의 안면부 주위를 덮는 후드(3)가 부착되어 있다. 후드(3)는 입구(2)를 크게 개방한 개방 상태와 입구(2)를 작게 오므린 도시한 폐쇄 상태로 개폐 가능하다. 후드(3)에는 사용 시에 피세발자의 안면을 노출시키기 위한 절제부(4)가 형성되어 있다. 절제부(4)의 주위 모서리에는 피세발자의 안면에 탄력적으로 접촉하고, 수조 내로부터 비산하는 물방울이 피세발자의 안면에 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페이스 실(5)이 배치되어 있다. 페이스 실(5)이 절제부(4)의 주위 모서리로부터 돌출하는 돌출량은 3개의 조정 노브(6)에 의해 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자동 세발기에서는 피세발자는 위를 향해 입구(2)에 머리부를 삽입하여 안면을 후드(3)로부터 나온 상태에서, 목덜미의 근원부를 입구(2)의 주위 모서리부의 정면측 부분에 부착된 패드(31)에 얹어 세발된다.
또한, 캐비닛(1)의 상면, 예를 들면 우측에는 조작 패널(7)이 배치되어 있으며, 마이크로 컴퓨터 등을 포함하는 제어부(도시 생략)의 제어 하에서 이 자동 세발기를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캐비닛(1)의 상면 좌측에는 자동 세발기를 조작하는 미용사 등이 세발 마무리시 등에 이용하는 핸드 샤워(8)를 빼내기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캐비닛(1) 상면의 좌측 구석에는 오목부(9)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9)에는 샴푸액이 저장된 샴푸 용기(10) 및 트리트먼트액이 저장된 트리트먼트 용기(11)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샴푸 용기(10) 및 트리트먼트 용기(11)로서는 모두 시판되고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게다가 또, 캐비닛(1) 상면의 우측 구석에는 핸드 샤워(8)를 위한 냉수 및 온수의 유출/정지, 유량 조정용 노브(73, 78)가 구비되어 있다.
도2는 도1에 도시한 자동 세발기의 수로도이다.
상술한 수조(60)의 내부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대략 반원호형의 상부 노즐 링크(61)에 구비된 상부 노즐(62)과, 봉형의 하부 노즐 링크(58)에 구비된 하부 노즐(64)과, 측벽에 고정된 고정 노즐(66)이 배치되어 있다.
다음에, 이들 각 노즐에 온수를 공급하기 위한 수로 및 공급 기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면 외의 급수관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은 냉수 공급부(70)를 경유하여 혼합 밸브(71)로 제공된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은 급탕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온수는 온수 공급부(72)를 경유하여 혼합 밸브(71)에 제공된다. 혼합 밸브(71)에서는 제공된 물과 온수가 혼합되고, 적당한 온도의 온수가 만들어진다. 혼합 밸브(71)에서 만들어지는 온수의 온도는 이 자동 세발기의 조작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도록 구비된 노브(73)를 조작함으로써 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혼합 밸브(71)에서 만들어진 온수는 급탕 밸브(74)가 개방되면, 공급관(75)을 거쳐서 온수 저장 탱크(76)로 공급된다. 공급관(75)에는 상기 혼합 밸브(71)로부터 공급되는 온수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서미스터(77)가 구비되어 있다.
혼합 밸브(71)에서 만들어지는 온수는 또한, 이 자동 세발기의 조작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도록 구비된 노브(78)가 수동 조작되어 샤워 밸브(79)가 개방되면, 첵 밸브(80) 및 공급로(81)를 거쳐서 핸드 샤워(8)로 유도된다. 그 결과, 핸드 샤워(8)로부터 온수가 분사된다. 핸드 샤워(8)는 수조(60) 내에 있어서 사용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으며, 세발 마무리시나 수조(60) 내의 세척 등을 행할 때 사용된다.
상기 혼합 밸브(71)에서 만들어지는 온수가 공급되는 온수 저장 탱크(76)는 본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면 용량 40 리터의 탱크가 채용되고 있다. 온수 저장 탱크(76) 내부에는 온수 저장 탱크(76)에 저장되어 있는 온수의 수량을 검출하기 위한 하위 수량 센서(82) 및 상위 수량 센서(83)가 구비되어 있다. 하위 수량 센서(82) 및 상위 수량 센서(83)의 출력은 마이크로 컴퓨터에 있어서의 급탕 밸브(74)의 개폐 제어에 이용된다. 이로써, 온수 저장 탱크(76) 내에 항상 적량의 온수가 채워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온수 저장 탱크(76)의 하방 위치에는 온수 저장 탱크(76)에 저장된 온수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서미스터(84)가 구비되어 있다.
온수 저장 탱크(76)의 상방 위치에는 상위 수량 센서(83)에서 검출되는 수량 이외에 온수가 온수 저장 탱크(76) 내로 저장된 경우, 그 여분의 온수를 온수 저장 탱크(76)의 외부로 흘러 넘치게 하기 위한 일수구(85)가 형성되어 있다. 일수구(85)의 하방에는 배수 팬(86)이 구비되어 있다. 일수구(85)로부터 흘러 넘친 온수는 배수 팬(86)으로 받아 내고, 배수 팬(86)으로부터 장치 외부로 연장되어 있는 배수관(87)을 통해서 장치 외부로 배수된다.
그리고, 배수 팬(86)에는 배수관에 일단 배수된 온수가 역류하는 등으로 인해 배수 팬(86) 내에 온수가 가득 찬 이상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수위 센서(88)가 구비되어 있다.
온수 저장 탱크(76)의 하방에는 유출관(89)이 연결되어 있다. 유출관(89)의 타단부는 인버터(90)에 의해 구동되는 펌프(91)에 접속되어 있다. 온수 저장 탱크(76)에 저장되어 있는 온수는 상기 펌프(91)가 인버터(90)에 의해 구동되면, 유출관(89)으로 급출되고 펌프(91) 내로 흡입된다.
유출관(89)의 도중부에서는 샴푸액 공급관(92) 및 트리트먼트액 공급관(93)이 분기되어 있다. 샴푸액 공급관(92)에는 샴푸 용기(10)로부터 샴푸 펌프(94)를 거쳐서 연장되어 있는 압송 튜브(95)가 접속되어 있다. 트리트먼트액 공급관(93)에는 트리트먼트 용기(11)로부터 트리트먼트 펌프(96)를 거쳐서 연장되어 있는 압송 튜브(97)가 접속되어 있다.
샴푸 펌프(94) 및 트리트먼트 펌프(96)는 압송 튜브(95, 97)를 당김으로써 샴푸 용기(10) 및 트리트먼트 용기(11)에 저장되어 있는 샴푸액 및 트리트먼트액을 각각 흡입하고, 압송 튜브(95, 97)를 거쳐서 송출하기 위한 것이다. 송출된 샴푸액 및 트리트먼트액이 유도되는 샴푸액 공급관(92) 및 트리트먼트액 공급관(93)에는 각각 샴푸 밸브(98) 및 트리트먼트 밸브(99)가 개재 장착되어 있다.
본 구성에 있어서, 펌프(91)가 인버터(90)에 의해 구동되고 있는 경우, 샴푸 밸브(98)가 개방되면, 샴푸 용기(10)에 저장되어 있는 샴푸액이 압송 튜브(95) 및 샴푸액 공급관(92)을 거쳐서 유출관(89)에 공급된다. 그 결과, 온수에 샴푸액이 혼입되고, 샴푸용 온수가 만들어진다.
마찬가지로, 펌프(91)가 구동되고 있는 경우, 트리트먼트 밸브(99)가 개방되면, 트리트먼트 용기(11)에 저장되어 있는 트리트먼트액이 압송 튜브(97) 및 트리트먼트액 공급관(93)을 거쳐서 유출관(89)에 공급된다. 그 결과, 온수에 트리트먼트액이 혼입되고, 트리트먼트용 온수가 만들어진다.
펌프(91) 내로 흡입된 온수, 샴푸용 온수 또는 트리트먼트용 온수는 펌프(91)의 출구측으로부터 토출된다. 펌프(91)의 출구측에는 온수를 4개관으로 유도하는 분기관(100)이 접속되어 있다. 분기관(100)의 각 분로 선단부에는 상부 노즐 밸브(101), 하부 노즐 밸브(102), 고정 노즐 밸브(103) 및 배수 밸브(104)를 거쳐서 제1 공급관(105), 제2 공급관(106), 제3 공급관(107) 및 제4 공급관(108)이 각각 접속되어 있다.
제1 공급관(105)의 선단부는 상부 노즐 링크(61)에 접속되어 있다. 제2 공급관(106)의 선단부는 하부 노즐 링크(58)에 접속되어 있다. 제3 공급관(107)의 전방부는 수조(60)의 측벽 외방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이 제3 공급관(107)의 전방부에는 상술한 복수의 고정 노즐(66)이 소정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있다. 제4 공급관(108)의 선단부는 수조(60)의 저면 하방에 연속 설치된 배수 트랩(109)에 연결되어 있다. 이 배수 트랩(109)에는 배수관(110)이 접속되어 있다. 배수관(110)은 상기 배수관(87)에 접속되어 있다.
본 구성에 따르면, 인버터(90)에 의해 펌프(91)를 구동하고, 또 상부 노즐 밸브(101), 하부 노즐 밸브(102) 또는 고정 노즐 밸브(103)를 필요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개방시킴으로써, 수조(60) 내의 소망의 노즐로부터 온수, 샴푸용 온수 또는 트리트먼트용 온수를 분사시키고, 피세발자의 머리카락을 자동적으로 세발할 수 있다.
또한, 상부 노즐 링크(61) 및 하부 노즐 링크(58)는 링크 모터(RM)를 포함하는 구동 기구(65)에 연결되어 있다. 세발 시에는 상기 구동 기구(65)에 의해 상부 노즐 링크(61) 및 하부 링크(58)가 각각 요동 및 회전된다(도3, 도5 참조). 그 결과, 상부 노즐(62) 및 하부 노즐(64)로부터 분사되는 온수 분사 방향이 변화하여 이로써, 피세발자의 머리카락을 고르게 또 양호하게 세발할 수 있다.
도3은 도1의 자동 세발기의 수조 전방부의 단면 측면도이다.
상부 노즐 링크(61)는 수조(60) 내에서 머리부를 따르도록 대략 반원호형으로 형성되고, 각도 범위(D1) 내에서 요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상부 노즐 링크(61)는 온수를 분사하기 위한 복수의 상부 노즐(62)을 갖고, 상부 노즐(62)은 머리부 방향을 향해 배열되어 있다.
하부 노즐 링크(58)는 수조(60) 내에서 머리부의 하방에 배치되고, 대략 일직선형으로 연장되는 봉형으로 형성되어, 각도 범위(D2) 내에서 그 축 주위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하부 노즐 링크(58)는 온수를 분사하기 위한 복수의 상술한 하부 노즐(64)을 갖고 있으며, 하부 노즐(64)은 머리부 방향을 향해 배열되어 있다.
양 노즐 링크는 대략 같은 구성에 의해 수조(60)의 측벽에 각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하부 노즐 링크(58)를 중심으로 그 구체적인 구성예를 설명한다.
도4는 하부 노즐 링크(58)의 사시도이다.
하부 노즐 링크(58)는 대략 직선형으로 연장되는 관(581)을 갖고, 이 관(581)의 선단부가 되는 일단부는 폐쇄되어 자유 단부가 되어 근원측 타단부는 수조(60) 측벽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관(581)의 근원부는 베어링(583)을 거쳐서 수조(60)의 측벽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관(581)의 근원부에는 로터리 조인트(584)를 거쳐서 세척수 공급관(도시 생략)이 접속되어서 관(581)으로 세척수가 공급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관(581)의 근원부에는 풀리(585)가 연결되어 있으며, 풀리(585)에는 회전 중심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 돌출 축(586)이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 축(586)에 구동 기구(65)(도5 참조)에 의해 구동력이 부여되면, 풀리(585)가 회전하고, 그에 수반하는 관(581)이 회전한다. 그에 의해 관(581)에 배치된 하부 노즐(64)의 분사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도5는 상부 노즐 링크(61)와 하부 노즐 링크(58)의 구동 기구의 측면 도해도이다.
구동 기구(65)에서는 상부 노즐 링크(61) 및 하부 노즐 링크(58)가 하나의 링크 모터(RM)에 의해 구동되어 있다. 즉, 링크 모터(RM)의 회전축(652)에는 비교적 짧은 암(653)이 부착되어 있다. 암(653) 선단부에는 링크 봉(654)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링크 봉(654)의 타단부는 하부 노즐 링크(58) 풀리(585)에 구비된 돌출 축(586)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하부 노즐 링크(58)의 풀리(585)와 상부 노즐 링크(61)의 풀리(612)는 벨트(655)로 연결되어 있다.
링크 모터(RM)가 회전하면 암(653)이 회전하고, 그 회전력은 링크 봉(654)의 상하 운동으로 변환된다. 링크 봉(654)의 상하 운동은 하부 노즐 링크(58)의 풀리(585)를 일정 각도(D2) 범위 내에서 왕복 회전시킨다. 따라서, 하부 노즐 링크(58)의 관(581)은 이 각도 범위(D2) 내에서 왕복 회전 운동한다.
하부 노즐 링크(58)의 풀리(585)의 상술한 왕복 회전 운동은 벨트(655)를 거쳐서 상부 노즐 링크(61) 풀리(612)에 전달된다. 그 결과, 상부 노즐 링크(61)도 일정 각도(D1) 내에서 요동된다.
이와 같이, 세발 시에는 구동 기구(65)에 의해 상부 노즐 링크(61) 및 하부 노즐 링크(58)가 각각 요동 및 회전되면서 상부 노즐(62) 및 하부 노즐(64)로부터 분사되는 온수의 분사 방향이 변화하여 이로써, 피세발자의 머리카락을 고르게, 또 양호하게 세발할 수 있다.
도6은 도1의 자동 세발기 수조 전방부의 정면 단면도이며, 도3의 A-A 단면을 도시한다. 도7은 도1의 자동 세발기의 수조 전방부의 평면도이다.
도3, 도6 및 도7을 참조한다. 또한, 각 도면에는 피세발자의 목덜미(N)로부터 머리부가 일점 쇄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수조(60)는 저면부와, 저면부로부터 급상승한 측벽을 갖고 있으며, 상방이 개방한 용기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수조(60)는 그 측벽 상단 모서리에 목덜미의 근원을 지지하기 위한 베개부(60b)와, 베개부(60b) 후방의 수조(60) 내측에 형성된 오목부(60a)를 갖고 있다. 오목부(60a)에는 목덜미 지지 부재(32)가 구비되고, 또 베개부(60b) 상에는 완충재로서의 패드(31)가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 패드(31) 및 목덜미 지지 부재(32) 사이에는 통수로가 구획되는 동시에 패드(31) 및 목덜미 지지 부재(32) 상에 목덜미를 얹을 수 있다. 목덜미 지지 부재(32)의 상방에는 고정 노즐(66)의 하나인 목덜미 전용 고정 노즐(66a)이 구비되어 있으며, 목덜미 전용 고정 노즐(66a) 및 하부 노즐(64)로 분사된 세척수가 통수로를 통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얹어져 있는 목덜미를 세척할 수 있다.
이하, 상세하게 설명한다.
베개부(60b)에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드(31)를 따르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베개부(60b)는 안장형으로 형성되어 정면으로 보아 수조(60)의 입구 주위 모서리부의 상단 모서리의 정면 중앙 부분이 주위보다 한단 낮은 오목 만곡 면형으로 형성되고, 또 베개부(60b)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으로 보아 수조(60)의 입구 주위 모서리부의 상단 모서리가 그 전후 부분보다 한단 높은 볼록 만곡 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베개부(60b)의 상면에는 패드(31)를 거쳐서 목덜미의 근원부 근처 부분을 얹을 수 있다.
오목부(60a)는 베개부(60b)의 후방에 있는 수조(60) 측벽 전방측 부분이 평면으로 보아 장방 형상으로 전방으로 오목하고, 또 사방이 개방되어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목덜미의 근원부 근처 부분을 베개부(60b)에 얹은 때 목덜미의 머리부 근처 부분을 오목부(60a)로부터 수조(60) 내로 향하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목덜미 전용 노즐(66a)이나 하부 노즐(64)로부터의 세척수를 목덜미로 유도할 수 있다.
목덜미 지지 부재(32)는, 예를 들면 금속 선재를 대략 M자형으로 굴곡하여 형성되고 있으며, 목덜미를 얹을 수 있는 꼭대기부(32a)와 이 꼭대기부(32a)의 양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꼭대기부(32a)를 소정 높이로 지지하기 위한 다리부(32b)를 갖고 있다. 목덜미 지지 부재(32)는 복수, 예를 들면 3개가 오목부(60a) 내에 구비되어 있다.
목덜미 지지 부재(32)의 꼭대기부(32a)는 그 중앙이 낮은 오목 만곡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목 주위를 덮도록 하여 목덜미를 무리 없이 지지할 수 있다. 또한, 각 목덜미 지지 부재(32)의 꼭대기부(32a) 끼리는 수조(60) 내방(후방)을 향해 낮아지도록 하여, 또 패드(31)의 적재 부분(31a)에 매끄럽게 이어지도록 하여 서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전방 2개의 목덜미 지지 부재(32)의 꼭대기부(32a)는 같은 높이로, 또 최후방의 목덜미 지지 부재(32)의 꼭대기부(32a)는 전방 2개의 꼭대기부(32a)보다도 낮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목덜미 지지 부재(32) 및 베개부(30b)에 목덜미를 편안한 자세로 얹을 수 있으므로, 오목부(60a)를 형성하기 위해 베개부(60b) 폭(전후 방향 치수)이 좁아졌다고 해도 목이 아파지는 일은 없다. 특히, 목덜미 지지 부재(32)는 금속 선재를 대략 M자형으로 굴곡하여 형성됨으로써 그 꼭대기부(32a)에 얹은 목덜미를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목덜미 지지 부재(32)의 꼭대기부(32a) 높이는, 예를 들면 수조(60) 내측을 향해 서서히 낮아지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목덜미 지지 부재(32)는 꼭대기부(32a)가 오목부(60a)의 측벽(60c)에 평행하게(목덜미의 연장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연장되어 오목부(60a)의 측벽(60a)에 대해 수조(60) 내측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또한, 목덜미 지지 부재(32) 끼리는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이 소정 간격은 그 사이를 통하여 목덜미 지지 부재(32) 상에 얹어져 있는 목덜미에 목덜미 전용 고정 노즐(66a)이나 하부 노즐(64)로부터 세척수가 이를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목덜미는 그 꼭대기부 근처 부분에서 목덜미 지지 부재(32)에 의해 지지되면서 그 지지되고 있는 목덜미 부분보다도 근원측에 있는 목덜미 부분에 수조(60) 내에 있는 노즐로부터 통수로를 통하여 세척수를 뿜어 대게 된다.
하부 노즐(64)은 오목부(60a) 상방에 있는 목덜미의 꼭대기부 근처 부분에 세척수를 뿜어 대게 할 수 있도록 그 위치나 하부 노즐 링크(58)의 회전 각도 등이 설정되어 있으며, 하부 노즐(64)로부터의 물은 하부 노즐 링크(58)의 회전에 수반하여 피세발자의 후방 머리부로부터 통수로를 따라서 목덜미에 뿜어 댈 수 있고, 목덜미를 세척할 수 있다.
목덜미 전용 고정 노즐(66a)은 오목부(60a)의 저부에 세척수를 상방을 향해 분사할 수 있도록 배치되고, 그곳으로부터의 세척수가 통수로를 통하여 목덜미에 뿜어 대게 된다. 이와 같이, 목덜미 전용 고정 노즐(66a)에 의해 목덜미에 세척수가 강하게 뿜어 대게 되므로 세발후의 세척감을 향상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통수로는 수조(60) 내에 세척수가 노즐로부터 분사되어 목덜미에 이르기 위한 공간으로서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면, 하부 노즐(64)로부터의 세척수는 수조(60)의 전방부로부터 오목부(60a) 내를 통하여 측벽(60c)과 목덜미 지지 부재(32)의 꼭대기부(32a) 사이나 목덜미 지지 부재(32)의 꼭대기부(32a) 끼리의 사이를 통하여 목덜미에 이를 수 있다. 또한, 목덜미 전용 고정 노즐(66a)로부터의 세척수는 수조(60)의 오목부(60a) 내를 통하여 측벽(60c)과 목덜미 지지 부재(32)의 꼭대기부(32a) 사이나 목덜미 지지 부재(32) 꼭대기부(32a) 끼리 사이를 통하여 목덜미에 이를 수 있다.
패드(31)는 목덜미를 얹은 적재 부분(31a)과 적재 부분(31a)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오목부(60a) 상부를 덮는 설편(31b)을 구비하고 있다. 패드(31)는 세척수를 통하지 않고, 또 탄력성을 갖는 예를 들면 고무 등의 탄성재로 형성되어 있다.
적재 부분(31a)은 베개부(60b)를 덮는 안장형으로 형성되고, 그 위에 목덜미를 얹어서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패드(31)는 좁은 폭이라도 피세발자의 목덜미를 아프게 하지 않고 지지할 수 있다. 또한, 탄력성이 있는 패드(31)는 목덜미와 밀착할 수 있으므로, 목덜미에 세척수가 강하게 뿜어 대더라도 세척수가 목덜미를 지나서 등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설편(31b)은 한 쌍으로 구비되어 있으며, 한 쌍의 설편(31b) 사이로부터 목덜미가 오목부(60a)를 향할 수 있다. 설편(31b)은 오목부(60a)의 상방에 있어서, 목덜미 지지 부재(32)의 꼭대기부(32a)의 좌우 양측 부분을 덮을 수 있다. 그러므로, 설편(31b)은 목덜미를 목덜미 지지 부재(32)에 얹은 상태에서 목덜미의 좌우로 오목부(60a)가 상방으로 개방되어 발생하는 간극을 덮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패드(31)가 설편(31b)으로 목덜미 주위를 덮을 수 있으므로 목덜미 주위로부터 세척수가 비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주위의 바닥이나 피세발자의 의복이 적셔지지 않고 주위의 환경을 청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그런데, 목덜미의 사이즈는 사람에 따라서 다르다. 이로 인해, 패드(31)의 사이즈에 따라서는 목덜미 주위를 확실히 덮을 수 없는 경우도 고려된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패드(31)를 착탈 가능하게 하고 있다. 예를 들면, 패드(31)의 적재 부분(31a)은 수조(60)의 베개부(60b)에 치 결합되어 부착되어 있다. 그러므로, 패드(31)를 피세발자에 따른 사이즈로 준비하여 피세발자에 따라서 바꾸어 사용할 수 있고 피세발자의 목덜미 사이즈에 따라서 확실히 물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설편(31b)의 간격을 다르게 한 대중소 사이즈의 패드(31)를 준비해 둠으로써, 목이 굵은 사람, 표준적인 굵기의 사람, 목이 가는 사람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패드(31)는 교환 가능하므로 위생적이며, 청결감을 향상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목덜미 지지 부재(32)보다도 수조(60) 외측에 통수로를 확보하면서, 목덜미의 머리부 근처 부분을 목덜미 지지 부재(32)에 의해 지지할 수 있으므로, 피세발자는 목덜미를 아프게 하지 않는 편안한 자세로 수조(60)의 개구 주위 모서리부에서 통상 쉽게 보이지 않는 목덜미를 확실히 세척할 수 있다. 또한, 목덜미 지지 부재(32)를 구비하지 않으면 목덜미의 근원부만이 지지되게 되므로 세발 시에 목덜미의 피로를 초래하여 그다지 바람직하지 않다.
그리고, 목덜미 지지 부재(32)는 그 형상을 핀 굴곡형이나 망상으로 함으로써 그 하방을 세척수가 쉽게 통하여 목덜미로의 통수로를 확보하기 쉽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목덜미를 세척하기 위한 노즐로서는 목덜미 전용 고정 노즐(66a)과, 가동 노즐로서의 하부 노즐(64)이 구비되어 있었지만 어느 한 쪽만이라도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완충재는 베개부(31b)에만 부착되어 있으며, 목덜미 지지 부재(32)에 부착되어 있지 않지만, 이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8의 단면 측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목덜미 지지 부재(32)의 꼭대기부(32a)에 패드를 부착해도 좋다. 패드(33)는 단면 C자형의 부재이며, 관형 부재를 그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서 절개한 형상을 갖고 그 절개된 부분을 통하여 그 중공 부분에 목덜미 지지 부재(32)의 꼭대기부(32a)를 삽입함으로써, 목덜미 지지 부재(32)에 착탈할 수 있다. 패드(33)는 부드러운 부재로 형성되고, 목덜미를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완충재로서의 기능을 한다.
또한, 패드(31)의 형상은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설편(31b)은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은 평면으로 보아 장방 형상인 것에 한정되지 않고, 도9의 평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목덜미형에 맞는 형상으로 하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각 노즐로부터 분사된 세척수가 목덜미로 이르는 통수로로서 수조(60) 내의 오목부(60a)가 구비되어 있었지만, 이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오목부(60a)의 형상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평면으로 보아 장방 형상으로 전방으로 오목해 이었지만,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목덜미, 특히 머리 부근 부분의 형상에 맞도록 수조(60) 내방을 향해 넓어지는 테이퍼를 가진 평면으로 보아 다이 형상으로 전방으로 오목해 있어도 좋고, 이 경우에는 수조(60) 내의 각 노즐로부터의 세척수가 목덜미에 끼얹어지기 쉽다. 또한, 수조(60)에 오목부(60a)가 형성되지 않아도 개의치 않고, 요는 목덜미에 세척수가 끼얹어지기만 하면 된다.
또한, 목덜미 지지 부재(32)로서는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목덜미 지지 부재(32)는 상술한 것과는 마찬가지로 핀 굴곡형으로 형성되고, 그 꼭대기부가 목덜미의 연장되는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목덜미 지지 부재(32)로서는 수조(60)와 일체로 형성된 리브의 꼭대기부에 목덜미를 얹기 위한 시트를 형성하여 그 리브끼리의 사이에 세척수를 통하는 통수로를 구획해도 좋다. 또한, 목덜미 지지 부재(32)로서는 목덜미를 지지할 수 있는 망상 부재를 오목부(60a) 상방에 구비하고, 그물눈의 개구로부터 세척수를 통하도록 해도 좋고, 이 그물형 부재를 다수의 구멍을 갖고 목덜미를 얹을 수 있는 부재로 해도 좋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목덜미 지지 부재는 목덜미로의 공간을 확보하면서 목덜미를 지지할 수 있으므로, 피세발자는 목덜미를 아프게 하지 않는 편안한 자세로 수조의 개구 주위 모서리부에서 통상 쉽게 보이지 않는 목덜미를 확실히 세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목덜미에 세척수가 강하게 뿜어 대게 되므로 세발후의 세척감을 향상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목덜미를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므로, 완충재가 좁아져도 목덜미가 아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탄력성이 있는 완충재는 목덜미와 밀착할 수 있으므로, 목덜미에 강하게 세척수가 뿜어 대게 되어도 세척수가 목덜미를 지나서 등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완충재가 목덜미 주위를 덮을 수 있으므로, 목덜미 주위로부터 세척수가 비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주위의 환경을 청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완충재를 교환해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피세발자의 목 굵기에 따라서 확실히 세척수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청결감을 향상할 수 있다.

Claims (5)

  1. 세발 시에 피세발자의 머리부를 배면 상태에서 삽입할 수 있도록 상부에 개구를 갖는 수조와, 수조 내에 배치되어 세척수를 피세발자의 목덜미에 분사하는 분사 수단을 구비한 자동 세발기에 있어서,
    분사 수단으로부터의 세척수가 목덜미로 이르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면서 피세발자의 목덜미를 지지하는 목덜미 지지 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세발기.
  2. 제1항에 있어서, 분사 수단은 목덜미에 세척수를 뿜어 댈 수 있는 전용 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세발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공간 주위 모서리에 목덜미를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완충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세발기.
  4. 제3항에 있어서, 완충재는 세척수가 수조로부터 장치 외부로 비산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수조 상방을 덮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세발기.
  5. 제4항에 있어서, 완충재는 착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세발기.
KR1019970079074A 1997-01-29 1997-12-30 자동 세발기 KR1002378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015669 1997-01-29
JP09015669A JP3133690B2 (ja) 1997-01-29 1997-01-29 自動洗髪機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37802B1 true KR100237802B1 (ko) 2000-01-15

Family

ID=1189516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9074A KR100237802B1 (ko) 1997-01-29 1997-12-30 자동 세발기
KR1019970079074A KR19980070292A (ko) 1997-01-29 1997-12-30 자동 세발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9074A KR19980070292A (ko) 1997-01-29 1997-12-30 자동 세발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906012A (ko)
EP (1) EP0856266B1 (ko)
JP (1) JP3133690B2 (ko)
KR (2) KR100237802B1 (ko)
CN (1) CN1108123C (ko)
DE (1) DE69802120D1 (ko)
TW (1) TW350246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9549A (ja) * 1998-11-10 2000-05-23 Ohiro Seisakusho:Kk 自動洗髪機
JP2000157324A (ja) 1998-11-27 2000-06-13 Ohiro Seisakusho:Kk 洗髪装置及びこれに用いる首受け部材
JP2000217625A (ja) * 1999-02-01 2000-08-08 Ohiro Seisakusho:Kk 洗髪用防水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自動洗髪機
JP2001314223A (ja) * 2000-05-08 2001-11-13 Ohiro Seisakusho:Kk 洗髪台
JP3469860B2 (ja) * 2000-08-25 2003-11-25 三洋電機株式会社 自動洗髪機
JP2002360333A (ja) * 2001-06-11 2002-12-17 Ohiro Seisakusho:Kk 自動洗髪機
JP2003038239A (ja) * 2001-07-27 2003-02-12 Ohiro Seisakusho:Kk 洗髪用ボウル
US7114201B2 (en) * 2001-09-28 2006-10-03 Sanyo Electric Co., Ltd Automatic shampoo machine
US7171704B2 (en) * 2003-02-04 2007-02-06 Johnson Ernest L Automatic hair washing device
JP4990667B2 (ja) * 2007-04-06 2012-08-01 有限会社ターレス 頭皮洗浄装置
JP5162490B2 (ja) * 2009-02-06 2013-03-13 ハイアール グループ コーポレーション 自動洗髪機
JP2011212251A (ja) * 2010-03-31 2011-10-27 Sanyo Electric Co Ltd 自動洗髪機
EP2371235A1 (en) * 2010-03-31 2011-10-05 Sanyo Electric Co., Ltd. Automatic hair washing machine
JP2011212249A (ja) * 2010-03-31 2011-10-27 Sanyo Electric Co Ltd 自動洗髪機
CN103796546A (zh) * 2011-10-04 2014-05-14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自动头部护理方法以及自动头部护理系统
US9386833B2 (en) * 2012-05-30 2016-07-12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Head care apparatus
CN103536414B (zh) * 2013-11-05 2016-03-30 福建省泉州市第七中学 护理型洗发机
JP6041973B1 (ja) 2015-12-29 2016-12-14 株式会社セリックス 自動洗髪機
IT202000013534A1 (it) * 2020-06-08 2021-12-08 Semplice Mente S R L S Dispositivo per il lavaggio dei capelli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21647A (en) * 1968-10-11 1970-07-28 Verna S Mercer Hair treating apparatus
US3894546A (en) * 1971-05-21 1975-07-15 William D Nolan Apparatus for treating the hair and scalp with solutions
US4081867A (en) * 1977-02-07 1978-04-04 Simeola Mario J Portable shampoo unit
US4411032A (en) * 1981-01-29 1983-10-25 Lewy Laury P Neck rest for shampoo bowls
US4901378A (en) * 1989-01-19 1990-02-20 Lealyce Reddell Shampoo basin
US5012534A (en) * 1990-04-05 1991-05-07 Iht, Inc. Automatic hair and scalp treatment machines
JPH0775566B2 (ja) * 1992-02-27 1995-08-16 三洋電機株式会社 自動洗髪機
EP0586989B1 (en) * 1992-08-31 1998-01-07 Sanyo Electric Co., Ltd Automatic hair-washing machine
ZA9510718B (en) * 1995-01-06 1996-06-20 Carmel Dawn Fine A hair washing apparatus
US5528776A (en) * 1995-01-11 1996-06-25 Carmichael; Jacqueline Portable pump operated washing basi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56266B1 (en) 2001-10-24
DE69802120D1 (de) 2001-11-29
CN1192343A (zh) 1998-09-09
JP3133690B2 (ja) 2001-02-13
TW350246U (en) 1999-01-11
EP0856266A1 (en) 1998-08-05
JPH10211012A (ja) 1998-08-11
US5906012A (en) 1999-05-25
KR19980070292A (ko) 1998-10-26
CN1108123C (zh) 2003-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7802B1 (ko) 자동 세발기
JP4089772B2 (ja) 自動洗髪機
JP6041973B1 (ja) 自動洗髪機
JP5162490B2 (ja) 自動洗髪機
US3636961A (en) Automatic shampoo machine
JP2649128B2 (ja) 自動洗髪機
KR100288887B1 (ko) 자동세발기
KR100780342B1 (ko) 자동세발기
JP4550329B2 (ja) 自動洗髪機
JP3100560B2 (ja) 支持体および自動洗髪機
JP4089777B2 (ja) 自動洗髪機
CN104983343A (zh) 一种洗澡机的运行方法
JP3723789B2 (ja) フォーミング現象検知装置及びこのフォーミング現象検知装置を用いた理美容用スチーム噴射装置
RU2787262C1 (ru) Чистя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бритвен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и бритвенная система, содержащая такое чистящее устройство
CN211608454U (zh) 一种盖体组件及洗头机
JPH07236512A (ja) 自動洗髪機
JP3143426B2 (ja) 自動洗髪機
JP2592857Y2 (ja) 浴槽蓋及びこれを備える風呂装置
JP3143425B2 (ja) 自動洗髪機
JP2001057999A (ja) 人体洗浄装置
JP5330007B2 (ja) 洗髪機
JP2940799B2 (ja) 自動洗髪機
JP2771742B2 (ja) 自動洗髪機
JPH0731508A (ja) 自動洗髪機
JPH0866226A (ja) 自動洗髪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