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7659B1 - 도형 편집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도형 편집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7659B1
KR100237659B1 KR1019960002037A KR19960002037A KR100237659B1 KR 100237659 B1 KR100237659 B1 KR 100237659B1 KR 1019960002037 A KR1019960002037 A KR 1019960002037A KR 19960002037 A KR19960002037 A KR 19960002037A KR 100237659 B1 KR100237659 B1 KR 1002376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diting
edited
target
displayed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2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9945A (ko
Inventor
요시꼬 나이또
Original Assignee
미다라이 후지오
캐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다라이 후지오, 캐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다라이 후지오
Publication of KR9600299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99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76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76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Digital Computer Display Outpu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룹화된 편집 대상들 중에서 소망의 문자를 선택하는 경우에서와 같이 코드 번호 순서와는 다른 절차에 의해 편집될 문자를 지정하는 경우 편집 대상의 문자를 용이하고 확실하게 지정할 수 있는 도형 편집 장치 및 방법을 개시한다. 예를 들면, 한자의 문자 형태를 수정하기 위해 편집 대상의 문자를 지정하는 경우, 편집 대상 지정 방법의 선택 메뉴로부터 좌변 부수를 선택하여, 좌변 부수의 종별 테이블을 표시한다. 예를 들면, 삼수변(

Description

도형 편집 장치 및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형 편집 장치의 블럭도.
제2도는 그룹 정의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
제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제4(a)도 내지 제4(d)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데이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제5도는 편집 대상 지정 방법의 선택 메뉴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제6도는 (한자의 ) 좌변 부수 종별의 선택 메뉴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제7도는 문자의 테이블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도형 편집 장치 제어부 2 : 중앙 처리 장치
3 : 프로그램 메모리(PMEM) 4 : 입/출력 인터페이스
5 : 메모리 디바이스 6 : CRT
7 : 비디오 메모리(VRAM) 8 : KBD
9 : 포인팅 디바이스(PD)
본 발명은 문자 폰트의 수정 등에 적합한 도형 편집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편집 대상의 지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런 종류의 도형 편집 장치에 있어서, 편집될 대상이 지정되면, 소정의 룰에 기초하여 할당된 번호, 예를 들면 JIS 코드에 의해 대상이 지정된다.
그러나, 문자 등을 편집 대상으로 그룹화하고, 번호 순서 이외의 순서에 따라 모든 그룹을 순차 편집하기 위해서는, 조작자는 메모랜덤 보거나 혹은 그의 기억에 따라 편집 대상을 번호마다 하나씩 지정하여야만 한다. 또, 어느 대상이 편집되었고 아직 편집되지 않았는지를 알 수 있는 방법이 없다. 조작자는 또한 메모랜덤 등에 이러한 정보를 기입함으로써 편집 또는 미편집에 관한 이러한 정보를 관리하여야만 한다. 따라서, 조작자의 부담이 커지고 또한 실수가 용이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이며, 그 목적은 그룹마다 편집 대상을 순차로 편집하는 경우 등과 같이, 번호 순서 이외의 순번에 다라 편집 대상을 편집하는 경우에, 편집 대상을 용이하고 또한 확실히 지정할 수 있는 도형 편집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도형 편집 장치는 편집 대상의 종별 테이블을 표시하기 위한 제1 표시 수단, 상기 제1 표시 수단에 의해 표시되는 종별 테이블로부터 소망의 종별을 선택하기 위한 제1 선택 수단, 상기 제1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종별에 기초하여 편집 대상의 테이블을 표시하기 위한 제2 표시 수단, 및 상기 제2 표시 수단에 의해 표시된 편집 대상 테이블로부터 소망의 편집 대상을 편집하기 위한 제2 선택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형 편집 방법은, 편집 대상의 종별 테이블을 표시하는 제1 표시 단계, 상기 제1 표시 단계에서 표시된 종별 테이블로부터 소망의 종별을 선택하는 제1 선택 단계, 상기 제1 선택 단계에서 선택된 종별에 기초하여 편집 대상의 테이블을 표시하는 제2 표시 단계, 및 상기 제2 표시 단계에서 표시된 편집 대상 테이블로부터 소망의 편집 대상을 선택하는 제2 선택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형 편집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참조 번호(1)는 도형 편집 장치의 제어부를 나타내며, 이하 설명될 플로우챠트에 의해 표현된 동작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CPU(중앙 처리 장치(2); 내부 메모리, 즉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등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메모리(PMEM)(3); 하드 디스크 등과 같은 입/출력 인터페이스(I/O-I/F)(4); 및 하드디스크 등의 외부 메모리 디바이스(5)로 구성된다. 이하 설명될 플로우챠트에 의해 표현된 동작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이 PMEM(3)에 기억되어 있다.
참조 번호(6)는 도형 편집 장치 내의 화상 표시부로서의 CRT이고; 참조 번호(7)는 CRT(6) 상에 표시될 데이타를 비트 맵으로 전개하기 위한 VRAM(비디오 메모리)이며; 참조 번호(8)는 키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키보드와 같은 디바이스이고; 참조 번호(9)는 CRT(6) 상의 커서를 X 및 Y 방향으로 임의로 이동시켜 명령 메뉴상의 명령 이미지 등을 선택하고 지정할 수 있는 PD(포인팅 디바이스)이다.
이제부터, 본 발명의 실시예의 동작을 도형 편집의 예로서 한자의 문자 형태의 수정 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번호 순서 이외의 편집 순서가 미리 정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편집 대상이 그룹화된 후의 편집의 예로서, 이제부터 한자의 좌변을 구성하는 “좌변 부수”, 한자의 우변을 구성하는 “우변 부수”등과 같이 편집 대상을 부수마다 그룹화 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삼수변(), 나무목변(木) 등과 같은 “좌변 부수”의 종별마다 그룹화된 편집 대상의 그룹이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의되어 외부 메모리 디바이스(5)에 기억된다. 이제부터 제3도 내지 제7도를 참조하여 편집 대상의 지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외부 메모리 디바이스(5)에 기억되어 있으며 편집될 파일의 명칭이 지정되면, 단계(S1)(제3도에 S1으로 도시되고, 이하 동일하게 적용됨)에서, 제5도에 도시된 편집 대상 지정 방법의 선택 메뉴에 대한 화면이 VRAM(7)을 통해 CPU(2)에 의해 CRT(6) 상에 표시된다. 제5도에서, a-1은 지정되어 편집될 파일의 명칭이고; a-2는 편집 대상 지정 방법의 선택 메뉴를 나타내며, a-3는 편집대상의 코드가 표시되고 예를 들면 키보드(8)에 의해 코드가 입력되는 영역이고; a-4는 편집 대상의 지정 확인을 지시하는 지시부이며; a-5는 문자 수정의 종료를 지시하는 지시부이고; a-6은 편집 대상 지정 방법에 부합하는 문자의 테이블을 표시하는 영역이다.
단계(S2)에서, PD(9)에서의 편집 대상 지정 방법 선택 메뉴(a-2)에서 “코드(code)”, “테이블(table)”, “좌변 부수(left-hand radical)”, 및 “우변 부수(right-hand radical)” 중 어느 하나가 지정 방법의 선택이 수신된다. 여기서 수신된 지정 방법은 단계(S3)에서 판단되어 단계(S4)에서 처리되고 지정 방법에 따라 후속 단계가 실행된다. 플로우챠트에서는 “코드” 및 “우변 부수”에 대한 처리 흐름은 생략되어 있다.
단계(S2)에서, 먼저 “좌변 부수”가 지정 방법으로서 선택된 경우를 설명한다. 단계(S4)에서, “좌변 부수”의 종별을 지정하기 위해 제6도의 a-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변 부수” 종별 메뉴가 VRAM(7)을 통해 CRT(6) 상에 표시된다. 단계(S5)에서, PD(9)에 의해 “좌변 부수” 종별 메뉴(a-7)에서의 “좌변 부수”의 종별중 어느 하나의 지정을 수신한다. 단계(S6)에서, 제4(a)도 내지 제4(d)도에 도시된 데이타 영역으로 지정된 종별에 속하는 편집 대상의 정보를 기억하기 위해, 외부 메모리 디바이스(5)에 기억된 제2도에 도시된 그룹 정의 테이블이 I/O-I/F(4)를 통해 참조된다. 지정된 종별에 속하는 문자 수가 제4(a)도의 “ncode”에 기억되고, 문자 코드가 제4(b)도의 “코드(code[i])”에 기억되며, 이들이 PMEM(3)에 보유된다. 그리고, 제4(b)도의 “코드(code[i])”에 설정된 코드의 데이타가 외부 메모리 디바이스(5)에 기억되어 있는지, 그리고 현재 편집 혹은 미편집으로서 지정된 파일에 존재하는지가 점검된다. 그리고 데이타가 이미 편집되었는지 혹은 아직 편집되지 않았는지를 가리키고 지정된 파일상에 모든 데이타를 할당하는 ID 정보를 사용하여 데이타가 이미 편집되었는 지의 여부를 검색한다. 데이타가 지정된 파일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1”이 제4(c)도의 “status[i]”에 설정되고, 데이타가 이미 편집된 경우에는 “1”이 설정된다. 데이타가 아직 편집되지 않은 경우에는 “0”이 설정된다. “code[i]”내의 모든 데이타의 검색을 완료한 후에, “status[i]”를 참조하면서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자 테이블이 제5도의 영역 a-6에 선택 메뉴로서 표시된다. “status[i]”가 -1이면, 아무것도 표시되지 않고, “status[i]”가 1이면,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련된 문자가 반전되어 표시됨으로써, 대상이 이미 편집되었다는 것을 가리킨다.
단계(S7)에서, 포인트 i=0으로부터 “status[i]”를 순차적으로 검색한다. 데이타가 최초에 0인 문자, 즉 미편집 문자코드를 편집 대상의 디폴트(default)로서 설정된다. 즉, 이것이 편집 대상으로서 일시적으로 지정된다. 그리고 제4(b)도의 대응하는 “code[i]”를 참조하고, 이 값이 제4(d)도의 “sel-code”로서 설정되고 VRAM(7)을 통해 CRT(6)에 표시된 제5도의 코드 표시 영역(a-3)에 표시된다. 또, 이 a-3의 코드가 어떤 문자를 가리키고 있는 지를 나타내기 위해, 이는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메뉴 상에 태선(bold frame)으로 둘러싸인다. 단계(S7)에서, 미편집 데이타를 발견하지 못하는 경우, “sel-code”에 -1을 설정한다. 단계(S8)에서, 단계(S7)에서 표시된 문자 테이블의 메뉴에 대한 PD(9)의 지령을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제5도의 표시 영역(a-6)에 표시된 문자 테이블(제7도 참조)에서, 상술한 태선에 의해 둘러싸인 문자를 그대로 선택하는 경우, PD(9)로서 제5도의 표시 여역(a-4)에 “OK”를 가리킴으로써, 편집 대상의 지정이 완료된다 (단계 S9). 태선으로 둘러싸인 문자 대신에 다른 문자가 편집 대상으로서 지정되면, 이와 같은 문자가 PD(9)에 의해 문자 테이블에 지정된다. 이와 같이, 태선의 표시가 지정된 문자로 이동되므로, 그 표시가 확인되고, 표시 영역(a-4)의 “OK”가 PD(9)로서 지정됨으로써, 편집 대상의 지정을 완료한다(단계 S9).
이와 같이, 지정된 편집 대상의 문자 도형이 (도시 생략된) 편집 화면에 표시되어 문자 형태의 편집이 행해진다.
문자 수정 종료 지시부(a-5)를 가리킴으로써 문자형태가 PD(9)에 의해 편집된 후, 편집 대상 지정 방법 선택 메뉴의 화면 표시가 완료된다.
단계(S2)에서, “우변 부수”가 지정 방법으로서 선택된 경우에, “좌변 부수”가 선택된 경우와 유사한 방식으로 처리가 실행된다. 이러한 설명은 생략한다.
단계(S2)에서, “테이블(table)”이 선택된 경우의 처리를 설명한다. 단계 S10에서, 편집 대상이 기억되어 있는 외부 메모리 디바이스(5)가 I/O-I/F(4)를 통해 참조되고, 미편집 문자가 문자 코드의 순서에 따라 검색되며, 검색의 결과에 따라 그 값이 “sel-code”에 설정된다. “ncode”는 문자 테이블의 1페이지의 문자수를 가리키며, 미리 결정된다. 미편집 문자를 포함하여 문자 테이블의 1페이지 정도의 데이타가 PMEM(3)의 “code[i]”에 설정된다. 데이타의 상태에 따른 값이 “status[i]”에 설정된다. 단계 S11에서, 단계 S6과 유사한 방식으로 “status[i]”와 관련하여 반전 표시 등이 실행된다. 이어서, 단계(S7 및 S8)의 처리가 실행된다.
코드에 의한 편집 대상의 지정 방법이 생략되었지만, 이는 번호에 의해 지정하는 공지의 방법에 의해 지정된다.
이 실시예에서, 편집 문자가 반전되어 표시되었지만, 컬러 디스플레이를 CRT(6)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 편집 문자는 또한 미편집 문자와는 다른 컬러로 표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따르면, 편집 대상으로서의 문자가 선정된 문자 그룹으로부터 용이하고 확실하게 지정될 수 있다. 그룹내의 문자들이 편집되었는지 혹은 아직 편집되지 않았는지의 여부를 쉽게 알 수 있다.
[변형]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편집 대상은 문자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을 도형 편집 장치에 의해 편집될 수 있는 CAD 도면 등과 같은 대상에도 적용할 수 있다. 그룹화 처리에 관해서도 “좌변 부수”또는 “우변 부수”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은 제2도에 도시된 포맷에 의해 정의 되어 있는 대상에도 적용될 수 있다. 편집 방법을 지정하는 디바이스는 PD(9)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은 키보드(8)에도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Claims (20)

  1. 도형 편집 장치에 있어서, 편집 대상의 종별(classification) 테이블을 표시 수단 상에 표시하기 위한 종별 테이블 표시 수단; 상기 종별 테이블 표시 수단에 의해 표시된 상기 종별 테이블로부터 소정의 종별을 선택하기 위한 종별 선택 수단; 상기 종별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종별에 기초하여 편집 대상의 테이블을 상기 표시 수단 상에 표시하기 위한 편집 대상 테이블 표시 수단; 상기 편집 대상 테이블 표시 수단에 의해 표시된 상기 편집 대상 테이블로부터 소정의 편집 대상을 선택하기 위한 편집 대상 선택 수단; 및 상기 편집 대상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편집 대상에 기초하여 편집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편집 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편집 대상 표시 수단에 의해 표시된 상기 편집 대상의 테이블에서, 상기 편집 수단에 의해 편집된 상기 대상과, 편집되지 않은 대상은 상호 서로 다른 표시 형태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형 편집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편집 대상이 상기 편집 수단에 의해 편집되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데이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형 편집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 대상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편집 대상의 코드 정보를 상기 표시 수단 상에 표시하기 위한 코드 정보 표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형 편집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 대상의 테이블에서, 상기 편집 대상 테이블 표시 수단은 편집된 편집 대상을 반전시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형 편집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 대상의 테이블에서, 상기 편집 대상 테이블 표시 수단은 아직 편집되지 않은 편집 대상의 컬러와는 다른 컬러로 편집된 편집 대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형 편집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 대상의 테이블에서, 상기 편집 대상 테이블 표시 수단은 아직 편집되지 않는 편집 대상의 제1 후보에 대해 일시적인 지정을 가리키는 특수 표시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형 편집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 대상의 테이블에서, 상기 편집 대상 테이블 표시 수단은 상기 아직 편집되지 않은 편집 대상의 제1 후보를 태선(bold frame)으로 둘러싸고, 상기 제1 후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형 편집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 대상은 한자(Chinese charact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형 편집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 대상의 종별은 한자의 부수(radical, 部首)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형 편집 장치.
  10. 도형 편집 방법에 있어서, 편집 대상의 종별 테이블을 표시 수단 상에 표시하는 종별 테이블 표시 단계; 상기 종별 테이블 표시 단계에서 표시된 상기 종별 테이블로부터 소정의 종별을 선택하는 종별 선택 단계; 상기 종별 선택 단계에서 선택된 종별에 기초하여 편집 대상의 테이블을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하는 편집 대상 테이블 표시 단계; 상기 편집 대상 테이블 표시 단계에서 표시된 상기 편집 대상 테이블로부터 소정의 편집 대상을 선택하는 편집 대상 선택 단계; 및 상기 편집 대상 선택 단계에서 선택된 상기 편집 대상에 기초하여 편집 처리를 수행하는 편집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편집 대상 테이블 표시 단계에서 표시된 상기 편집 대상의 테이블에서, 상기 편집 단계에서 편집된 상기 편집 대상과, 상기 편집 단계에서 편집되지 않은 편집 대상은 상호 서로 다른 표시 형태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형 편집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각각의 편집 대상이 상기 편집 단계에서 편집되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데이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형 편집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 대상 선택 단계에서 선택된 편집 대상의 코드 정보를 상기 표시 수단 상에 표시하는 코드 정보 표시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형 편집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 대상의 테이블에서, 상기 편집된 편집 대상이 상기 편집 대상 테이블 표시 단계에서 반전되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형 편집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 대상의 테이블에서, 상기 편집된 편집 대상이 상기 편집 대상 테이블 표시 단계에서 편집되지 않은 편집 대상의 컬러와는 다른 컬러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형 편집 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 대상의 테이블에서, 일시 지정을 가리키는 특수 표시가 상기 편집 대상 테이블 표시 단계에서 편집되지 않은 편집 대상의 제1 후보에 대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형 편집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 대상의 테이블에서, 아직 편집되지 않은 편집 대상의 제1 후보는 태선(bold frame)에 의해 둘러싸이고, 상기 편집 대상 테이블 표시 단계에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형 편집 방법.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 대상은 한자(Chinese charact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형 편집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 대상의 종별은 상기 한자의 부수(radical, 部首)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형 편집 방법.
  19.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 대상의 지정 방법의 테이블을 표시하는 지정 방법 테이블 표시 단계; 및 상기 지정 방법 테이블 표시 단계에서 표시된 상기 지정 방법 테이블로부터 소정의 지정 방법을 선택하는 지정 방법 선택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지정 방법 선택 단계에서 선택된 상기 지정 방법에 기초하여 상기 편집 대상의 종별 테이블이 상기 종별 테이블 표시 단계에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형 편집 방법.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 대상의 지정 방법의 테이블을 표시하기 위한 지정 방법 테이블 표시 수단; 및 상기 지정 방법 테이블 표시 수단에 의해 표시된 상기 지정 방법 테이블로부터 소정의 지정 방법을 선택하기 위한 지정 방법 선택 수단을 더 구비하되, 상기 종별 테이블 표시 수단은 상기 지정 방법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지정 방법에 기초하여 편집 대상의 종별 테이블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형 편집 장치.
KR1019960002037A 1995-01-31 1996-01-30 도형 편집 장치 및 방법 KR1002376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1418095A JP3658027B2 (ja) 1995-01-31 1995-01-31 図形編集装置および図形編集方法
JP95-014180 1995-01-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9945A KR960029945A (ko) 1996-08-17
KR100237659B1 true KR100237659B1 (ko) 2000-01-15

Family

ID=11853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2037A KR100237659B1 (ko) 1995-01-31 1996-01-30 도형 편집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890179A (ko)
JP (1) JP3658027B2 (ko)
KR (1) KR100237659B1 (ko)
CN (1) CN1102269C (ko)
DE (1) DE19603280C2 (ko)
TW (1) TW43076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15861B2 (ja) * 1996-05-13 2002-08-19 シャープ株式会社 文字生成装置
JPH10289211A (ja) * 1997-04-14 1998-10-27 Sharp Corp 小型電子機器
CA2432868A1 (en) * 2003-06-20 2004-12-20 Ibm Canada Limited - Ibm Canada Limitee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a document targeted for one system on another system
US7755629B2 (en) * 2004-06-30 2010-07-13 Canon Kabushiki Kaisha Method of rendering graphic objects
US10218873B2 (en) 2015-01-16 2019-02-26 Canon Kabushiki Kaisha Apparatus and method that process image data by using code, and storage medium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98143A (en) * 1981-11-12 1985-02-05 Stanislaus Strzelecki Method of and apparatus for forming ideograms
CN1006014B (zh) * 1985-04-01 1989-12-06 团国兴 非编码的汉字处理方法和输入键盘
US5187480A (en) * 1988-09-05 1993-02-16 Allan Garnham Symbol definition apparatus
US5319386A (en) * 1992-08-04 1994-06-07 Gunn Gary J Ideographic character selection method and apparatus
US5384700A (en) * 1992-10-29 1995-01-2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storing multiple, modifiable Yomi and Kanji strings in a structured document
US5586198A (en) * 1993-08-24 1996-12-17 Lakritz; David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characters in ideographic alphabet
CA2105847C (en) * 1993-09-09 1996-10-01 Adrian Storisteanu Method of editing text in column sensitive environm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9603280A1 (de) 1996-08-01
CN1102269C (zh) 2003-02-26
TW430765B (en) 2001-04-21
CN1135059A (zh) 1996-11-06
KR960029945A (ko) 1996-08-17
US5890179A (en) 1999-03-30
JP3658027B2 (ja) 2005-06-08
DE19603280C2 (de) 2001-06-07
JPH08212361A (ja) 1996-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21255B2 (en) Sequence program editing apparatus
JPH06105455B2 (ja) 製造工程計画を生成する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KR100237659B1 (ko) 도형 편집 장치 및 방법
JPS63172330A (ja) 文書処理装置の網かけ方式
JP3185931B2 (ja) ハイパーテキスト編集装置
JPH08202856A (ja) 画像処理方法
JPH0635987A (ja) 回路図作成装置および回路図作成方法
WO2024014354A1 (ja) 制御プログラム編集装置、編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955995B2 (ja) 画像操作方法
JP2598153B2 (ja) 図面管理方法及びその装置
JP2695257B2 (ja) データ処理装置
JPH04246785A (ja) 図形作成装置
JP2922578B2 (ja) 文字処理装置
JP2001101165A (ja) 文書編集装置
JPS6057405A (ja) グラフイツク画面を用いたブロックサーチ装置
JPH01134623A (ja) 電子フアイリングシステムにおけるイメージによる階層選択方式
JPH07311790A (ja) カタログ類の図形修正装置
JPH04330574A (ja) 図形編集方法および装置
JPH02297208A (ja) 入力装置
JPH02133880A (ja) 画像処理方法
JPH03216762A (ja) Cadシステムにおける文字探索方式
JPH08202888A (ja) 図面読み取り装置におけるシンボル作画方法
JPH06222914A (ja) 電子機器
JPH07296179A (ja) 表示データ処理装置及び方法
JPH08115351A (ja) プラント画面設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6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