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6741B1 - 유료방송수신장치 - Google Patents

유료방송수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6741B1
KR100236741B1 KR1019920020525A KR920020525A KR100236741B1 KR 100236741 B1 KR100236741 B1 KR 100236741B1 KR 1019920020525 A KR1019920020525 A KR 1019920020525A KR 920020525 A KR920020525 A KR 920020525A KR 100236741 B1 KR100236741 B1 KR 1002367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signal
descrambling
information
scram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0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1683A (ko
Inventor
요시카즈 고타카
도루 미네마츠
노부오 나메카와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9300116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16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6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67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40/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broadcast information
    • H04H40/18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 H04H40/27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 - H04H20/95
    • H04H40/90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 - H04H20/95 specially adapted for satellite broadcast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5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video stream decry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2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크램블을 해제하는 디스크램블회로(42)수단과, 스크램블을 해제할 수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계약조건 비교회로(46)와, 이 판정결과에 의거하여 접속된 기록장치의 동작을 제어함과 동시에 사용자에 대하여 판정결과를 시각적 및/또는 청각적으로 인식시키는 경고회로(47)를 구비하여, 수신장치와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나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 DAT등의 기록장치를 조합하였을 경우에 스크램블이 풀리지 않아 녹화미스 혹은 녹음미스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유료방송수신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수신장치의 개략구성을 나타낸 블록회로도이다.
제2도는 제1수신장치의 경고회로에 있어서의 동작의 플로우차트도이다.
제3도는 제2실시예의 레코더와 타이머와 수신기와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4도는 제2실시예의 수신장치의 개략구성을 나타낸 블록회로도이다.
제5도는 제2실시예의 경고회로에 있어서의 동작의 플로우차트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안테나 2 : S-U콘버터
3 : 선국회로 5 : 로우페스필터
16 : PCM디코더 17 : D/A콘버터
40 : PSK복조회로 41,91 : 데이터 분리회로
42,92 : 디스크램블회로 43 : 마스터키이 정보발생수단
44,45,94,95 : 복조회로 48,96 : 계약조건 비교회로
47,97 : 경고회로 48,98 : PN발생 회로
67,80 : 메시지 기억회로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소위 유료방송방식의 텔레비젼 방송신호 등을 수신하는 수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예를 들면 텔레비젼방송 등의 유료방송방식은 시청자가 특정방송의 시청을 희망하고 방송사업자와 대가계약을 체결함으로써 방송서비스를 받는 방식이며, 페이(pay)서비스, 페이(pay)텔레비, 한정수신 시스템등으로 불리워지고 있다.
이 유료방송방식중의 예를 들면 CATV(케이블텔레비젼)시스템 등의 케이블에 의한 방송에서는 케이블의 접속으로 수신을 제어할 수 있으나, 무선에 의한 방송에서는 미계약자에도 같은 전파가 도달하므로, 미계약자는 프로그램이 시청되지 않도록 신호를 스크램블하여 방송하게 된다. 또 CATV로 특정의 프로그램을 별도 요금으로 할 경우에는 마찬가지로 신호를 스크램블하는 수단이 필요하게 된다. 이와 같이 신호에 스크램블이 걸려져 있는 경우 계약한 가입자는 디코더를 사용하여 정상적인 프로그램신호를 얻는다.
상술한 바와같은 유료방송은 유선계에서는 예를 들면 별도 요금을 지불하고 서비스를 받는 페이케이블, 지상의 무선계에서는 STV(Subscription television)로서 실용화되어 있고, 직접방송위성(DBS)에 의한 실시도 검토되고 있다. 또, 프로그램 공급회사가 통신위성을 통하여 각지의 CATV의 헤드엔드의 프로그램을 배송할 때에도 비가입자에 의한 수신을 방지하기 위해 스크램블이 도입되고 있다.
여기서, 신호를 스크램블할 때에는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의사랜덤(PN)신호계열(스크램블계열)로 제어될 때가 많고, 수신측에서는 송신측과 같은 신호계열(이 경우 디스크램블계열)을 사용하여 디스크램블을 하고, 원신호를 재현한다. 이 PN신호계열을 발생하기 위해 스크램블 키이가 수신측으로 보내진다.
또, 유료방송에서는 각 가입자의 계약내용(계약한 서비스, 계약기간, 불입금등)에 의거하여 디스크램블을 제어할 필요가 있고, 이를 위한 정보도 수신기에 보내진다.
이들 스크램블 키이나 유료방송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는 관련정보라고 불리워진다. 관련정보를 전송하는 매체는 전파에 의한 무선매체와 자기카드, IC카트 등의 물리매체와 전화선 등의 유선매체로 나눌 수 있고, 각각 전송속도, 정보용량, 전송신뢰성, 쌍방향성 등의 특징에 차이가 있다.
각 수신기에 개별정보를 전파로 보내는 경우를 일반적으로 전파 어드레스싱이라고 부른다. 이와 같이 전파로 보내는 경우에는 관련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스크램블된 방송신호가 복원되지 않는 것이나, 금전에 직접 관계하는 정보가 포함되는 것으로 부터 전송 신뢰성이 높은 것이 특히 중요하다.
여기서, 예를 들면 현행방식의 텔레비젼 스크램블 전송방식에 있어서의 관련정보로서는 다음의 정보가 있다. 즉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와 스크램블 키이를 포함하는 정보인 프로그램정보와, 디코더의 디스크램블기능의 강제 온/오프를 지령하는 정보인 제어정보와, 가입자마다의 계약정보 및 공통정보(프로그램정보와 제어정보의 총칭)의 암호를 풀기위한 작업키이를 포함하는 정보인 개별정보(전파로 배송할 때에는 각 가입자마다의 마스터키이로 암호화한다)와, 유료방송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수신측에서 부가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정보인 메시지정보가 있다. 이들 관련정보를 전파로 보낼 경우에는 데이터채널로 패킷(packet)전송을 행한다.
또, 예를 들면 고정밀도 텔레비젼 스크램블 전송방식에 있어서의 관련정보도 상기 현행방식 텔레비젼 스크램블 전송방식과 동일한 정보이며, 이 정보를 전파로 보내는 경우는 상술과 동일한 데이터채널롤 패킷 전송한다.
그런데 통상의 유료방송수신기와 예를 들면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나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 등을 조합하여 예를 들면 이들 레코더로 상기 유료방송을 녹화 또는 녹음코저할 경우 상기 레코더는 녹화 혹은 녹음코저하는 신호의 상술한 스크램블이 풀릴 것인지 풀리지 않을 것인지가 녹화(녹음)하여 진다.
여기서, 예를 들면 상기 스크램블이 풀리지 않은 상태에서 녹화 혹은 녹음을 하였다고 하면 후에 재생하였을 경우 비디오 테이프레코더의 예에서는 줄무늬 모양만의 화면으로 무음의 상태가 되고,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의 예에서는 무음의 상태가 된다. 즉, 테이프에는 프로그램이 녹화(녹음)되지 않게 된다.
특히, 타이머를 사용한 예약녹화 혹은 녹음(소위 부재중의 녹화, 녹음)을 행하는 경우에는 레코더의 소유자(사용자)가 녹화중 혹은 녹음중의 내용을 확인하고나서 녹화 혹은 녹음을 행할 뿐만아니라, 또 예를 들면 예약녹화 혹은 녹음의 설정때에는 프로그램의 채널, 방송시간, 위성방송의 경우는 위성(위성이 다수 있는 경우) 스크램블의 계약조건 등을 사용자가 틀리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사용자는 녹화 혹은 녹음이 되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어도, 실제로는 아무것도 녹화(녹음)되지 않는다고 하는 것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특히 어떤 프로그램만 유료가 되는 계약(pay-per- program계약)의 경우에는 상술과 같은 것이 일어나기 쉽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술과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제안한 것이며,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나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 등의 기록장치와 조합한 경우에 스크램블이 풀리지 않음으로써 녹화실수 혹은 녹음실수를 방지할 수 있는 수신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수신장치는 상술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안된 것이며, 스크램블이 걸린 송신신호를 수신하고 접속된 기록장치에 이 수신신호를 공급하는 수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신신호에 걸려진 상기 스크램블을 해제하는 디스크램블수단과 상기 수신신호의 스크램블을 해제할 수 있으냐 없느냐를 판정하는 판정수단과, 상기 판정수단으로의 판정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접속된 기록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시에 사용자에 대하여 이 판정결과를 시각적 및/또는 청각적으로 인식시키는 제어인식수단을 가지고 이루어진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수신장치에 있어서, 예를 들면 상기 기록장치가 기록모드로 되어 있을때에 상기 판정수단으로서의 판정이 부가되었다면, 상기 제어 인식수단은 사용자에 대하여 상기 시각적인 인식으로서 표시수단상에 예를 들면 상기 스크램블을 풀 수 없었다는 뜻의 표시를 한다던지 청각적인 인식으로서 발음수단에서 예를 들면 알람음을 발음시켜서 경고를 발하고, 또 상기 기록장치에서의 기록동작을 중지시킨다. 그리고 상기 기록장치가 예를 들면 타이머 기록모드가 되어 타이머 설정한 시간으로부터 기록이 개시될 때에 상기 판정결과가 부가되었다면 이 타이머기록을 중지하는 동시에, 그 뜻의 메시지를 남긴다.
환언하면, 본 발명의 수신장치는 예를 들면 유료방송의 프로그램 등을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등으로 예를 들면 타이머녹화(흑은 음성방송의 레코더에 의한 타이머 녹음)할 때에 녹화(녹음)상태에 들어가도 스크램블이 풀리지 않을 경우에는 그 프로그램이 녹화(녹음)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 경우에 예를 들면 알람음에 의한 경고(혹은 경고의 표시)를 발하고, 녹화(녹음)을 중지하고, 또 이력을 남긴다는 동작을 행한다. 즉 예를 들면 상기 경고를 발함으로써 사용자가 그 자리에 있으면 어떠한 대처를 취할 수 있다. 또 녹화(녹음)을 중지함으로써 사용자가 그 자리에 없을 때에는 테이프나 레코더의 헤드 등의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력을 남김으로서 후에 사용자가 무엇이 일어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신장치에 의하면, 접속된 기록장치의 동작을 판정수단으로서의 판정결과에 의거하여 제어하고, 예를 들면 판정결과가 부인 경우에 기록장치로서의 기록을 중지하는 것으로 쓸데없는 기록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사용자에 대하여 판정결과를 시각적 및/또는 청각적으로 인식시키는 것으로 사용자는 스크램블이 풀려져 있지 않은(풀리지 않았다)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의 수신장치는 예를 들면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크램블이 걸려있는 송신신호를 안테나(1)로 수신하고, 단자(6, 18 및 65, 66, 61, 62)를 통하여 접속된 기록장치에 이 수신신호를 공급하는 수신장치이며, 상기 수신신호에 걸려진 상기 스크램블을 해제하는 디스크램블을 풀 수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판정수단인 계약조건 비교회로(46)와 상기 계약조건 비교회로(46)에서의 판정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접속된 기록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시에 사용자의 대하여 이 판정결과를 시각적 및/또는 청각적으로 인식시키는 제어인식수단으로서의 경고회로(47)를 가지고 이루어진 것이다.
여기서, 이 제1의 실시예에서는 이 수신기로서 예를 들면 위성방송수신기를 예를 들고, 상기 기록장치로서 예를 들면 도시를 생략하는 VTR(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을 예를 들고 있다. 따라서, 제1의 실시예에서는 이 위성방송수신기와 상기 VTR이 접속되어 있고, 예를 들면 단자(6)가 상기 VTR의 영상입력단자와 접속되고 단자(18)가 음성 입력단자와 접속되어 있다.
이 제1도에 있어서 예를 들면 방송위성으로 부터의 스크램블이 걸려진 송신신호는 안테나(1)로 수신되고 S-U콘버터(2)에 보내진다. 이 S-U콘버터에서는 SHF대(12GHz)에서 UHF대(1GHz대)로 콘버트하는 처리가 이루어진다. 즉 이 S-U콘버터(2)에서는 안테나(1)로 모아진 미약한 12.GHz대의 신호를 비교적 다루기 쉬운 12.GHz의 신호로 주파수 변환한다.
상기 S-U콘버터(2)를 통하여 수신신호는 선국회로(3)로 보내진다.
이 선국회로(3)에서는 수신신호에서 수신하고 싶은 프로그램의 채널을 하나 선택하는 처리가 이루어진다.
상기 선국회로(3)에서 선택된 1채널의 신호는 텔레비젼 방송신호대역(영상신호)을 추출하는 로우패스필터(5)를 통하여 상기 스크램블을 해제하기 위한 상기 디스크램블회로(42)에 보내지는 동시에 공급된 신호에 대하여 소위 PSK(Phase Shift Keying)복조처리를 실시하는 PSK복조회로(40)에 보내진다. 즉 이 PSK복조회로(40)에서는 PCM에 의한 디지털신호로 5.727272MHz의 부반송파를 PSK변조하여 방송위성에서 송신되는 상기 위성방송에 있어서의 텔레비전 방송신호의 음성신호 및 스크램블을 풀리기 위한 상술한 스크램블 키이나 유료방송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PSK변조된 신호가 복조된다.
여기서 상기 스크램블 키이나 유료방송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인 상기 관련정보에는 예를 들면 상술한 바와 같이,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와 스크램블 키이를 포함하는 정보인 프로그램정보와, 디코더의 디스크램블 기능의 강제 온/오프를 지령하는 정보인 제어정보와, 가입자마다의 계약정보 및 공통정보(프로그램과 제어정보의 총칭)의 암호를 풀기 위한 작업 키이를 포함하는 정보인 개별정보(전파로 배송할 때에는 각 가입자마다의 마스터 키이로 암호화한다)와, 유료방송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수신측에서 부가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정보인 메시지정보가 있다.
상기 PSK복조회로(40)의 출력, 즉 PSK복조된 음성데이터와 상기 관련정보의 데이터는 데이터 분리회로(41)에 보내진다. 이 데이터 분리회로(41)에서는 상기 음성 데이터와 상기 관련정보의 데이터가 분리된다. 상기 분리된 음성데이터는 상기 디스크램블회로(42)에 보내진다.
또, 상기 데이터 분리회로(41)에서는 상기 관련정보의 데이터에서 예를 들면 상기 개별정보의 데이터와 상기 공통정보의 데이터를 분리하는 처리도 이루어지고, 상기 개별정보의 데이터는 복호회로(45)에 보내지고, 상기 공통정보의 데이터는 복호회로(44)에 보내진다. 이들 복호회로(44, 45)는 이 수신기(혹은 사용자)마다에 주어진 마스터 키이의 정보를 발생하는 마스터 키이 정보발생수단(43)으로 부터의 마스터 키이 정보에 의거하여 공급된 공통정보 및 개별정보의 복호처리를 행한다.
이들 복호회로(44, 45)를 통하여 공통정보 및 개별정보의 데이터는 상기 계약조건 비교회로(46)에 보내진다. 이 계약조건 비교회로(46)에서는 상기 디스크램블회로(42)에서 수신신호의 스크램블을 풀 수 있는지 없는지를 판정하는 처리가 행하여 진다. 즉, 환언하면, 이 계약조건 비교회로(46)에서는 이 수신기를 가지는 사용자에 대하여 방송신호 공급측(방송회사, 방송사업자)과의 사이에서 교환되는 상술한 바와 같은 수신계약의 조건(수신기마다에 설정되는 계약조건)과 상기 공통정보 및 개별정보가 일치하고 있는지 아닌지의 계약조건을 비교하는 처리가 이루어진다.
이 계약조건 비교회로(46)는 상기 조건비교의 결과가 일치한 경우(OK)에는 상기 의사램덤(PN)신호계열(스크램블계열)의 신호를 발생하는 PN발생회로(48)에 대하여 PN부호의 초기치를 보낸다. 상기 PN발생회로(48)는 상기 초기치에 의거하여 PN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디스크램블회로(42)에 보낸다.
상기 디스크램블회로(42)는 상기 PN신호에 의거하여 공급되고 있는 영상신호와 음성데이터의 디스크램블처리를 행한 후 디스크램블처리된 영상신호를 상기 단자(6)에 상기 음성데이터를 PCM디코더(16)에 보낸다. 상기 단자(6)에 보내진 영상신호는 이 단자(6)와 접속된 VTR의 영상입력단자에 보내진다. 또, 음성데이터는 상기 PCM디코더(16)로 PCM디코드처리된 후, D/A(디지털/아날로그)콘버터(17)로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화되어서 단자(18)에서 출력된다. 이 단자(18)로 부터의 음성신호가 상기 VTR의 음성 입력단자로 보내진다.
또, 상기 계약조건 비교회로(46)는 상기 조건비교의 결과에 따른 신호를 상기 경고회로(47)에 보낸다. 이 경고회로(47)는 상술한 바와같이, 상기 계약조건 비교회로(46)에서의 판정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접속된 기록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시에 사용자에 대하여 이 판정결과를 시각적 및/또는 청각적으로 인식시키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경고회로(47)는 예를 들면 상기 VTR이 기록모드가 되어 있을때에 상기 계약조건 비교회로(46)에서의 판정이 부가되었으면(조건비교의 결과가 NG일때) 사용자에 대하여 상기 시각적인 인식으로서 표시수단상에 예를 들면 상기 스크램블을 풀 수 없었던 뜻의 표시를 한다던지 청각적인 인식으로서 발음수단에서 예를 들면 알람음으로 경고를 발하도록 시킨다던지하고 또, 상기 VTR에서의 기록동작을 중지시킨다. 그리고 상기 VTR이 예를 들면 타이머기록 모드로 되어있어 타이머를 시간으로 되어 기록이 개시될 때에 상기 조건비교의 판정결과가 부로 되어 있으면, 이 경고회로(47)는 상기 VTR에 대하여 이 타이머기록을 중지시키도록 하는 동시에 그 뜻의 메시지를 남기도록 하고 있다.
즉, 이와 같은 것을 행하기 위해 이 경고회로(47)는 스피커 등의 알람음의 발음수단을 제어하는 알람음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단자(64)를 통하여 이 발음수단으로 보내는 동시에, 상기 사용자에 대하여 상기 스크램블을 풀수 없었던 뜻을 표시하기 위한 메시지정보를 발생하여 메시지 기억수단(67)에 보내고 VTR의 녹화의 개시를 제어하는 녹화개시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단자(65)를 통하여 상기 VTR로 보내고 VTR의 동작정지를 제어하는 동작정지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단자(66)를 통하여 상기 VTR로 보내도록 하고 있다. 또, 이 경고회로(47)에는 단자(60)를 통하여 상기 VTR에서 이 VTR의 타이머 녹화모드정보가 공급되고, 단자(61)를 통하여 상기 VTR에서 이 VTR의 전원 ON/OFF정보가 공급되고, 단자(62)를 통하여 상기 VTR에서 이 VTR이 녹화중이라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경고회로(47)는 이 수신기의 주전원을 ON/OFF 제어하는 주전원 제어신호도 발생하여 이 제어신호가 단자(63)에서 출력한다.
이 경고회로(47)에서는 구체적으로는 제2도에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와 같은 처리가 된다. 이 플로우차트는 VTR이 타이머 녹화모드가 되어 있는 경우의 처리를 나타내고 있다.
이 제2의 플로우차트에 있어서, 스텝(S1)에서는 상기 단자(60)를 통하여 공급되는 상기 VTR이 타이머녹화 모드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VTR이 타이머녹화 모드로 되어 있는지 아닌지의 판단을 하고, 타이머녹화 모드로 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NO)는 이 스텝(S1)의 처리를 반복하고, 타이머녹화 모드로 되어 있다고 판단한 경우(YES)는 스텝(S2)에 진행한다.
스텝(S2)에서는 상기 단자(61)를 통하여 공급되는 상기 VTR의 전원 ON/OFF정보에 의거하여 VTR의 전원이 ON으로 되어있는지 아닌지의 판단을 하고, VTR의 전원이 ON으로 되어 있다고 판단한 경우(YES)에는 스텝(S3)으로 진행한다.
스텝(S3)에서는 상기 단자(63)를 통하여 수신기의 주전원을 ON제어하는 주전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이 수신기의 전원을 넣는 행한후 스텝(S4)으로 진행한다. 이 스텝(S4)에서는 상기 단자(62)를 통하여 공급되는 상기 VTR이 녹화중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VTR의 녹화 중인지 아닌지의 판단을 하고, 녹화중 이라고 판단할 경우(NO)는 이 스텝(S4)의 처리를 반복하고 녹화중이라고 판단한 경우(YES)는 스텝(S5)으로 진행한다.
스텝(S5)에서는 상기 계약조건 비교회로(46)로 부터의 상기 조건비교의 결과에 따른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스크램블이 풀렸는지 아닌지의 판단을 하고, 스크램블이 풀렸다고 판단한 경우(YES)는 스텝(S10)으로 진행하고, 스크램블이 풀리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NO)는 스텝(S6)으로 진행한다.
상기 스텝(S10)에서는 상기 단자(61)를 통하여 공급되는 상기 VTR의 전원 ON/OFF정보에 의거하여 VTR의 전원이 ON으로 되어 있는지 아닌지의 판단을 하고, VTR의 전원이 ON으로 되어 있다고 판단한 경우(YES)에는 스텝(S5)으로 되돌아와 판단을 반복하고, VTR의 전원이 ON으로 되어 있지 않다(OFF)고 판단한 경우(NO)에는 스텝(S11)으로 진행한다. 이 스텝(S11)에서는 상기 단자(63)를 통하여 수신기의 주전원을 OFF로 제어하는 주전원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이 수신기의 전원을 OFF하는 처리를 종료한다.
또, 상기 스텝(S6)에서는 상기 단자(64)를 통하여 상기 스피커 등의 알람음 발음수단에 대하여 알람음 제어신호를 보내고, 이 알람음 발음수단에서 스크램블이 풀리지 않은 것을 사용자에게 인식시키기 위한 경고의 알람음을 발생시킨다. 동시에 이 스텝(S6)에서는 상기 단자(66)를 통하여 상기 VTR에 대하여 녹화동작을 정지(중지)시키는 동작정지 제어신호를 보낸다. 또 이 스텝(S6)에서는 상기 메시지 기억수단(67)에 대하여 상기 스크램블을 풀 수 없었던 뜻을 사용자에게 인식시키기 위한 메시지를 보낸다. 이 메시지 기억수단(67)에서 독출된 메시지 정보는 예를 들면, 수신기의 조작판넬상의 액정표시수단이나 LED표시수단 혹은 텔레비젼 수상기 등의 모니터화면 등에 표시된다.
상기 스텝(S6)의 다음은 스텝(S7)으로 진행한다. 이 스텝(S7)에서는 상기 단자(61)를 통하여 공급되는 상기 VTR의 전원 ON/OFF정보에 의거하여 VTR의 전원이 ON으로 되어 있는지 아닌지의 판단을 하고, VTR의 전원이 ON으로 되어 있다고 판단한 경우(YES)에는 스텝(S8)으로 진행하고, VTR의 전원이 ON으로 되어 있지 않다(OFF)고 판단한 경우에는 스텝(S12)으로 진행한다. 이 스텝(S12)에서는 상기 단자(63)를 통하여 수신기의 주전원을 OFF로 제어하는 주전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이 수신기의 전원을 OFF처리를 행한 후 처리를 종료한다.
상기 스텝(S8)에서는 상기 계약조건 비교회로(46)로 부터의 상기 조건비교의 결과에 따른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스크램블이 풀렸는지 아닌지의 판단을 하고, 스크램블이 풀렸다고 판단한 경우(YES)는 스텝(S9)으로 진행하고, 스크램블이 풀리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NO)는 스텝(S7)으로 되돌아간다.
상기 스텝(S9)에서는 상기 단자(65)를 통하여 상기 VTR에 대하여 녹화동작을 개시시키는 동작개시 제어신호를 보낸다. 또 이 스텝(S9)에서는 상기 단자(64)를 통하여 상기 알람음 발음수단에 대하여 알람음 제어신호를 보내고, 이 알람음 발음수단에 대하여 알람음의 발생을 정지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의 경고회로(47)에서는 VTR의 타이머녹화모드의 정보가 공급되어 있고(혹은 VTR이 타이머녹화 모드로 되어있는 것을 이 경고회로(47)로 설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상기 VTR이 타이머녹화 모드이고 VTR이 전원을 ON으로 하였을때에 이 수신기의 주전원을 넣도록 한다.
또 이 경고회로(47)는 상기 VTR이 녹화상태에 들어가 있는 것을 감지한 경우이고 스크램블이 풀리지 않았을 때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경고음(알람음)을 발생시킨다던지 VTR을 정지시킨다던지 스크램블이 풀리지 않았다는 뜻의 메시지를 남기는(표시하는) 등의 일련의 동작을 행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이 경고회로(47)는 VTR전원이 ON으로 하고 있는한 스크램블이 풀렸는지 어떤지의 체크를 반복하고, 스크램블이 풀렸으면 재차 VTR의 녹화를 스타트시키도록 하고 있다.
또한, 이 제1실시예에 있어서, VTR의 전원이 ON되거나 VTR에 의해 녹화되는 것을 나타내는 신호는 소위 유선 서크스(wired SIRCS)에 의해 VTR 자체로 출력하거나, 또는 VTR의 녹화시간에 대응하여 동작하는 분리된 타이머에 의해 출력된다. 혹은 수신기측에서 VTR의 소비전류의 변화 등을 감지하고, VTR이 전원이 ON상태이라든가, 녹화상태이라든가를 감지하고, VTR전원이 ON이나 녹화중인 등의 판단을 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제1의 실시예는 위성방송튜너를 염두에 두고 기술하였으나, 상술한 것은 예를 들면 위성튜너 내장 VTR에 관하여도 같이 말할 수 있다.
상술한 제1의 실시예는 위성방송 수신기와 VTR과의 조합을 예로 들고 있으나 이하에 나타내는 제2의 실시예와 같이 상기 수신장치로 PCM음성방송수신기와 상기 기록장치로서 DAT(디지털 오디오 테이프)의 레코더와 조합도 가능하다.
여기서,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DAT레코더나 카세트 테이프레코더(소위 카세트데크) 등의 레코더(1)를 사용하여 음성방송의 타이머녹음(즉, 소위 부재중의 녹음)을 하는 경우는 통상 타이머(오디오 타이머(73))를 사용하여 음성방송 수신기(튜너)(72) 및 레코더(71)전원의 ON/OFF를 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즉, 이 제2의 실시예의 음성방송 수신기는 제4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크램블이 걸려진 송신신호(유료음성방송신호)를 수신하고, 단자(7, 84)를 통하여 접속된 상기 레코더(71)(제4도에서는 도시를 생략한 DAT레코더)에 이 수신신호를 공급하는 수신기로서 상기 스크램블을 풀 수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계약조건 비교회로(96)와, 상기 계약조건 비교회로(96)에서의 판정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접속된 레코더(71)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시에 사용자에 대하여 이 판정결과를 시각적 및/또는 청각적으로 인식시키는 경고회로(97)를 가지고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이 제2의 실시예에서는, 이 수신기의 단자(7)가 상기 레코더(71)의 음성입력단자와 접속되어 있다.
이 제4도에 있어서 단자(4)에는 도시를 생략하는 안테나 등을 통한 PCM 음성방송신호의 수신신호가 공급된다. 이 수신신호는 데이터 분리회로(91)에 보내진다.
이 데이터 분리회로(91)에서는 상기 수신신호중의 음성데이터와 상기 스크램블을 키이나 유료방송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인 관련정보의 데이터가 분리된다. 상기 분리된 음성데이터 상기 스크램블회로(92)에 보내진다.
또 상기 데이터 분리회로(91)에서는 상기 관련정보의 데이터에서 개별정보의 데이터와 공통정보의 데이터로 분리되고, 상기 개별정보의 데이터는 복호회로(95)에 보내지고 상기 공통정보의 데이터는 복호회로(94)에 보내진다. 이들 복호회로(94, 95)는 단자(8)를 통하여 공급되는 이 수신기(혹은 사용자)마다에 주어진 마스터 키이의 정보에 의거하여 공급된 상기 공통정보 및 개별정보의 복호처리를 한다.
이들 복호회로(94, 95)를 통한 공통정보 및 개별정보의 데이터는 상기 예약조건 비교회로(96)에 보내진다. 이 계약조건 비교회로(96)에서는 상기 디스크램블회로(92)에서 수신신호의 스크램블을 풀 수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처리가 행하여진다. 즉, 이 계약조건 비교회로(96)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수신계약의 조건과 상기 공통정보 및 개별정보가 일치하고 있는지 아닌지의 계약조건을 비교하는 처리가 행하여진다.
이 계약조건 비교회로(96)는 상기 조건비교의 결과가 일치한 경우에는 상기 의사랜덤(PN)신호계열의 신호를 발생하는 PN발생회로(98)에 대하여 PN부호의 초기치를 보낸다. 상기 PN발생회로(98)는 상기 초기치에 의거하여 PN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디스크램블회로(92)에 보낸다.
상기 디스크램블회로(92)는 상기 PN신호에 의거하여 공급되어 있는 음성데이터의 디스크램블처리를 한 후 디스크램블처리된 음성데이터를 단자(7)를 통하여 레코더(71)에 보낸다.
또, 상기 계약조건 비교회로(96)는 상기 조건비교의 결과에 따른 신호를 상기 경고회로(97)에 보낸다. 이 경고회로(97)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계약조건 비교회로(96)에서의 판정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접속된 기록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시에 사용자에 대하여 이 판정결과를 시각적 및/또는 청각적으로 인식시키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경고회로(97)는 예를 들면 상기 레코더(71)가 기록모드로 되어 있을때 상기 계약조건 비교회로(96)에서의 판정이 부가되었으면(조건비교의 결과가 NG의 때) 사용자에 대하여 상기 시각적인 인식으로서 표시수단상에 예를 들면 상기 스크램블을 풀 수 없었던 뜻의 표시를 한다던지 청각적인 인식으로 예를 들면 발음수단에서 알람음으로 경고를 발하도록 시킨다던지 또 상기 레코더에서의 기록동작을 중지시킨다(즉 오디오 타이머(73)에서 상기 레코더(71)로의 전원공급을 정지시킨다).
그리고 상기 오디오 타이머(73)에 기록시간이 미리 설정되어 있어 타이머모드에 세트되어 있어서, 상기 타이머를 설정한 시간으로 되어 상기 레코더(71)에 전원이 공급되어 이 레코더(71)에서 기록이 개시될 때에 상기 조건비교의 판정결과가 부가 되어있다면, 이 경고회로(97)는 상기 오디오 타이머(73)에서 레코더(71)로 전원공급을 중지하도록 하고 있다.
즉, 이와 같은 것을 행하기 위해 이 제2의 실시예의 경고회로(97)는 스피커 등의 알람음 발음수단을 제어하는 알람음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단자(83)를 통하여 이 알람음 발음수단으로 보내는 동시에 상기 사용자에 대하여 상기 스크램블을 풀 수 없었다는 뜻을 표시하기 위한 메시지정보를 발생하여 메시지 기어수단(80)으로 보내고, 오디오 타이머(73)로 부터의 전원의 상기 레코더(71)로의 공급을 정지시키는 제어를 하는 동작정지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단자(84)를 통하여 출력하도록 하고 있다. 또 이 경고회로(97)에는 단자(81)를 통하여 타이머기록 모드의 세트정보가 공급되고, 단자(82)를 통하여 상기 타이머가 설정되는 녹음예약 시각정보가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이 경고회로(97)에서는 구체적으로는 제5도에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와 같은 처리가 행하여진다. 이 플로우차트도 타이머녹음 모드가 되어 있는 경우의 처리를 나타내고 있다.
이 제5도의 플로우차트에 있어서, 스텝(S21)에서는 상기 단자(81)를 통하여 공급되는 상기 타이머녹음모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타이머녹음모드로 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타이머녹음모드로 되어 있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NO)는 이 스텝(S21)의 처리를 반복하고, 타이머모드가 되어 있다고 판단한 경우(YES)는 스텝(S22)으로 진행한다.
스텝(S22)에서는 상기 계약조건 비교회로(96)로부터의 상기 조건비교의 결과에 따른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스크램블이 풀렸는지 아닌지의 판단을 하고, 스크램블이 풀렸다고 판단한 경우(YES)는 이 스텝(S22)의 처리를 반복하고, 스크램블이 풀리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NO)는 스텝(S23)으로 진행한다.
상기 스텝(S23)에서는 상기 단자(83)를 통하여 상기 스피커 등의 알람음 발음수단에 대하여 알람음 제어신호를 보내고, 이 알람음 발음수단에 대하여 스크램블이 풀리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경고의 알람음을 발생시킨다.
동시에 이 스텝(S23)에서는 상기 단자(84)를 통하여 상기 오디오 타이머(73)에서 레코더(71)로의 전원공급을 정지시켜서 녹음을 정지시키는 동작정지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또 이 스텝(S23)에서는 상기 메시지 기억수단(80)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하여 상기 스크램블을 풀 수 없었다는 뜻을 표시하는 메시지정보를 보낸다. 이 메시지 기억수단(80)에서 독출된 메시지정보는 예를 들면 수신기의 조작판넬상의 액정표시수단이나 LED표시수단 등에 표시된다.
상기 스텝(S23)의 다음은 스텝(S24)으로 진행한다. 이 스텝(S24)에서는 상기 계약조건 비교회로(96)로 부터의 상기 조건비교의 결과에 따른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스크램블이 풀렸는지 아닌지의 판단을 하고, 스크램블이 풀리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NO)는 스텝(S23)의 처리를 반복하고, 스크램블이 풀렸다고 판단한 경우(YES)는 스텝(S25)으로 진행한다.
상기 스텝(S25)에서는 상기 오디오 타이머(7)로 부터의 전원을 상기 레코더(71)에 대하여 보내고, 이 레코더(71)에서의 녹음으로 스타트시킨다.
또 이 스텝(S25)에서는 상기 단자(83)를 통하여 상기 스피커 등의 알람음 발음수단에 대하여 알람음 제어신호를 보내고, 이 알람음 발음수단에 대하여 알람음의 발생을 정지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소위 부재중의 녹음의 예약시간이 되어 상기 오디오 타이머(71)로 부터의 전원이 공급되어 본 실시예의 수신기(튜너)에 전원이 들어가면 타이머녹음모드에 세트되어 있는 경우에는 수신신호의 스크램블이 풀렸는지 아닌지를 체크한다. 이때, 상기 스크램블이 풀리지 않은 경우에는 알람음을 발생시켜서 녹음을 중지시키는 동시에 메시지를 출력하는 등의 일련의 동작을 하여 스크램블이 풀릴 때까지 기다리도록 하고 있다. 또 상기 스크램블이 풀리면, 상기 레코더(71)에 대하여 오디오 타이머(71)로 부터의 전원을 보내서 녹음을 스타트시킨다. 그리고, 이때 상기 메시지만은 남기도록 하고 있다. 이와같은 레코더(71)에서의 녹음의 스타트 스톱은 이 레코더(71)로의 전원을 ON, OFF시킴으로서 행하고 있다. 또한, 상술의 일련의 동작은 오디오 타이머(73)가 본 실시예 수신기의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종료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알람음 등의 경고에 의해 스크램블이 풀리지 않는 것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그 자리에 있으면 어떠한 대처를 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사용자가 그 자리에 없어서 대처할 수 없을 때는 녹화(녹음)가 중지됨과 동시에, 그 뜻의 메시지를 남기게 되므로, VTR 등의 테이프, 헤드의 소모가 방지되고, 이후에 무엇이 일어났는가를 사용자는 알 수 있게 된다.
상술과 같이 본 발명의 유료방송수신장치에 있어서는 스크램블을 해제하는 디스크램블수단과, 스크램블을 풀 수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판정수단과, 이 판정결과에 의거하여 접속된 기록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시에 사용자에 대하여 판정결과를 시각적 및/또는 청각적으로 인식시키는 제어인식수단을 가지고 이루어진 것으로써 비디오 오디오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 DAT 등의 기록장치와 조합한 경우에 스크램블이 풀리지 않아 녹화미스 혹은 녹음미스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9)

  1. 유료방송수신장치에 있어서, 스크램블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수단과, 여기에 접속된 기록장치와, 가능한 한 상기 스크램블된 신호를 디스크램블하는 상기 수신수단에 접속된 디스크램블수단과, 상기 스크램블된 신호가 디스크램되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상기 스크램블된 신호에 대응하는 판정수단과, 상기 판정수단에 의한 판정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기록장치의 기록동작을 제어하는 상기 판정수단에 대응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료방송수신장치.
  2. 스크램블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수단과, 여기에 접속된 기록장치와, 가능한 한 상기 스크램블된 신호를 디스크램블하는 상기 수신수단에 접속된 디스크램블수단과, 상기 스크램블된 신호가 디스크램블되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상기 스크램블된 신호에 대응하는 판정수단과, 상기 판정수단에 의한 판정결과의 시각적 및 청각적 인식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실행하는 상기 판정수단에 대응하는 인식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료방송수신장치.
  3. 미리 설정된 시간에 의거해 디스크램블된 신호를 기록하는 타이머 기록방법에 있어서, 타이머 기록모드를 검출하는 단계와, 타이머 기록모드가 검출될 때 디스크램블이 실행되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단계와, 디스크램블이 실행되는 경우에 디스크램블 신호를 기록하는 단계와, 디스크램블이 실행되지 않는 경우에 경보를 발생, 기록을 중지, 메시지를 발생하는 단계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디스크램블이 실행되는지 아닌지를 다시 판정하는 단계와, 디스크램블이 실행될 때 경보 판정과 기록 개시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머 기록방법.
  5. 디스크램블이 실행되는 경우에 스크램블된 신호에서 디스크램블된 신호를 기록하는 기록방법에 있어서, 디스크램블이 실행되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단계와, 기록처리가 진행되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단계와, 디스크램블이 실행가능하고 기록처리가 진행되는 경우에 디스크램블이 실행되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단계와, 디스크램블이 실행되지 않고 기록처리가 진행되는 경우에 경보를 발생하고, 기록을 중지하고, 디스크램블이 실행되지 않는 메시지를 발생하는 단계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실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기록장치의 현재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고 현재 상태를 나타내는 상기 신호와 상기 판정수단의 판정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기록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료방송수신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기록장치로 전류소비의 변화를 감지하는 것에 의거하여 상기 기록장치의 현재 동작상태를 판정하고 상기 판정수단의 판정결과와 현재 동작 상태의 판정결과에 의거해 상기 기록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료방송수신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경보음을 발생하기 위한 청취 가능한 경보수단과, 경보상태의 청취 인식을 촉진하기 위해서 상기 청취 가능한 경보수단으로부터 상기 경보음을 나타내는 상기 인식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료방송수신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메시지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수단과, 경보상태의 시각적 인식을 촉진하기 위해서 상기 표시상태에 상기 메시지정보를 표시하는 상기 인식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료방송수신장치.
KR1019920020525A 1991-11-22 1992-11-03 유료방송수신장치 KR1002367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1-332953 1991-11-22
JP33295391A JP3341291B2 (ja) 1991-11-22 1991-11-22 受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1683A KR930011683A (ko) 1993-06-24
KR100236741B1 true KR100236741B1 (ko) 2000-01-15

Family

ID=18260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0525A KR100236741B1 (ko) 1991-11-22 1992-11-03 유료방송수신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406625A (ko)
EP (1) EP0543668B1 (ko)
JP (1) JP3341291B2 (ko)
KR (1) KR100236741B1 (ko)
DE (1) DE69216778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56964B2 (ja) * 1994-05-24 2010-10-06 ソニー株式会社 映像表示装置及び映像表示方法
JP4636043B2 (ja) * 1994-05-24 2011-02-23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再生装置及びデータ伝送方法
DE69516577T2 (de) * 1994-05-24 2001-01-04 Sony Corp Datenbuskommunikation
JP4556963B2 (ja) * 1994-05-24 2010-10-06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蓄積装置及びデジタルテレビジョン信号の記録方法
KR0152788B1 (ko) * 1994-11-26 1998-10-15 이헌조 디지탈 영상 시스템의 복사 방지 방법 및 장치
KR0136458B1 (ko) 1994-12-08 1998-05-15 구자홍 디지탈 자기 기록재생 시스템의 복사 방지장치
JPH08331544A (ja) * 1995-06-02 1996-12-13 Hitachi Ltd 信号処理装置
DE19525425C1 (de) * 1995-07-12 1996-10-24 Siemens Ag Videosignalempfangseinrichtung mit Aufzeichnungsschutz
US6545709B2 (en) * 1996-09-02 2003-04-08 Canon Kabushiki Kaisha Wireless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JP3963037B2 (ja) * 1997-03-19 2007-08-22 ソニー株式会社 記録装置及び再生装置
CN1112695C (zh) * 1998-09-21 2003-06-25 日本胜利株式会社 信息记录方法与装置、重放装置及信息保护方法
FR2846179B1 (fr) 2002-10-21 2005-02-04 Medialive Embrouillage adaptatif et progressif de flux audio
FR2849980B1 (fr) * 2003-01-15 2005-04-08 Medialive Procede pour la distribution de sequences video, decodeur et systeme pour la mise en oeuvre de ce prodede
FR2853786B1 (fr) * 2003-04-11 2005-08-05 Medialive Procede et equipement de distribution de produits videos numeriques avec une restriction de certains au moins des droits de representation et de reproduction
CN100551007C (zh) 2004-12-08 2009-10-14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数字广播记录设备和数字广播记录方法
JP2006340314A (ja) * 2005-06-06 2006-12-14 Sharp Corp 放送受信端末
EP2062056B1 (en) * 2006-09-29 2019-04-10 Luminex Corporation Differentiation of flow cytometry pulses and applications
KR20080040956A (ko) * 2006-11-06 2008-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기록 중 수신영상의 상태에 기초하여 영상기록을제어하는 촬영장치 및 그의 영상기록방법
JP5173661B2 (ja) * 2008-08-04 2013-04-03 キヤノン株式会社 録画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38866A2 (en) * 1988-04-22 1989-10-25 British Broadcasting Corporation Method for downloading a scrambled television signal and receiver therefo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57858A (ja) * 1983-02-28 1984-09-07 Sony Corp 記録装置
US4706121B1 (en) * 1985-07-12 1993-12-14 Insight Telecast, Inc. Tv schedule system and process
GB2218287B (en) * 1988-05-02 1992-10-07 Hashimoto Corp Display system for use with a tv program reservation system
ATE147917T1 (de) * 1991-04-12 1997-02-15 Thomson Multimedia Sa Verfahren zur steuerung von einem aufzeichnungsgerä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38866A2 (en) * 1988-04-22 1989-10-25 British Broadcasting Corporation Method for downloading a scrambled television signal and receiver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5145922A (ja) 1993-06-11
JP3341291B2 (ja) 2002-11-05
DE69216778D1 (de) 1997-02-27
EP0543668B1 (en) 1997-01-15
KR930011683A (ko) 1993-06-24
EP0543668A1 (en) 1993-05-26
US5406625A (en) 1995-04-11
DE69216778T2 (de) 1997-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6741B1 (ko) 유료방송수신장치
EP0569350B1 (en) Television programme distribution system
US5799081A (en) Illegal view/copy protec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igital broadcasting system
EP1280350B1 (en) Time validation system
US5588058A (en) Method and device for scrambling and descrambling of a specific television broadcast
KR20010029492A (ko) 재생된 암호화된 정보신호에 대한 재생 권한을 독립적으로 요구하는 장치
JP2012070416A (ja) 受信装置及び記録方法
JP3568581B2 (ja) 記録装置のプログラミング方法およびプログラミングユニット
US5579391A (en) TV scramble system for preventing illegal reception
US20050084243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recording audio and video signal
KR0179106B1 (ko) 유료시청방송의 한정수신시스템
JP2001169262A (ja) 有料放送受信装置
JP5184757B2 (ja) 放送受信装置および表示方法
KR100555756B1 (ko) 콤보 시스템의 예약 녹화 방법
WO199101508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recording machine
JP2829974B2 (ja) 信号処理装置
KR20050115556A (ko) 디지털 셋탑 박스의 수신 제한장치
JP2000050227A (ja) デジタル放送受信機
JPH07303247A (ja) スクランブルデコーダ内蔵受信装置
JP2008118629A (ja) 受信装置
JPH02149032A (ja) 有料放送システム
JP2001333406A (ja) 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
JP2004056543A (ja) スクランブル放送受信装置
JP2003319422A (ja) 送受信装置、受信装置
JPH05176320A (ja) 放送受信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