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5493B1 - 자동차 스티어링 칼럼 샤프트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 스티어링 칼럼 샤프트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5493B1
KR100235493B1 KR1019960075758A KR19960075758A KR100235493B1 KR 100235493 B1 KR100235493 B1 KR 100235493B1 KR 1019960075758 A KR1019960075758 A KR 1019960075758A KR 19960075758 A KR19960075758 A KR 19960075758A KR 100235493 B1 KR100235493 B1 KR 1002354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column
steering
column shaft
absorbing means
vibration absorb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5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6488A (ko
Inventor
김화진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10199600757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5493B1/ko
Publication of KR19980056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64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5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54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7/00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 B62D7/22Arrangements for reducing or eliminating reaction, e.g. vibration, from parts, e.g. wheels, of the steering system
    • B62D7/224Arrangements for reducing or eliminating reaction, e.g. vibration, from parts, e.g. wheels, of the steering system acting between the steering wheel and the steering gear, e.g. on the steering colum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02Control of vehicle driving sta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Linkage Mechanisms And Four-Wheel St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스티어링 칼럼 샤프트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의 주행중에 바퀴에 가해지는 노면으로부터의 충격이 스티어링 휠에 전해지지 않도록 스티어링 칼럼 샤프트를 이중으로 형성하고 그 내부에 진동흡수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종래 이러한 진동흡수수단이 없어 사용자가 여러 가지 불편함을 겪던 것을 해소하기 위한 자동차 스티어링 칼럼 샤프트 구조에 관한 것이다. 즉 두 개의 진동흡수수단(5a)(5b)과, 양측에 돌출된 체결구(11)를 갖고 있는 원주형의 어퍼 바(1)와, 상기 어퍼 바(1)의 체결구(11)와 맞물려 원주를 이루도록 내측에 결합구(31)를 구비한 원통형의 로워 바(3)와 상기 진동흡수수단(5a)(5b)이 로워 바(3)내에 위치하는 부위인 상, 하부 공간(A)(B)으로 이루어져 종래에 따른 스티어링 칼럼이 차량의 주행중에 바퀴에서 전해지는 노면으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하지 못하여 운전자가 비포장 도로를 운행할 때나 고속 주행시에 조향 안전성에 문제를 초래하였던 것을 해소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스티어링 칼럼 샤프트 구조
본 발명은 자동차 스티어링 칼럼 샤프트 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차량의 주행중에 바퀴에 가해지는 노면으로부터의 충격이 스티어링 휠에 전해지지 않도록 스티어링 칼럼 샤프트를 이중으로 형성하고 그 내부에 진동흡수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운전자가 비포장 도로를 운행할 때나 고속 주행시에 조향 안전성에 도움을 주게 되는 자동차 스티어링 칼럼 샤프트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티어링 조작기구는 핸들, 스티어링 축, 스티어링 칼럼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운전자의 조작력을 기어 기구에 전달하는 부분으로서, 운전자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해 여러 가지 안정장치가 구비된다. 또한 여기에는 핸들 잠금 장치, 혼 스위치, 라이트 스위치등 여러 가지 스위치들이 설치되어 있다.
도1은 종래 자동차 스티어링 장치의 개략도로서 통상 운전자의 조작력은 조작기구의 핸들(100)을 돌림으로써 기어 기구의 스티어링 기어(500)에 전달되며 그 부분에서 감속됨과 동시에 운동의 방향이 전환되어 링크 기구인 피트먼 암(501), 드래그 링크 및 너클 아암(800)을 경유하여 너클 스핀들에 전달된다.
또한 너클 스핀들은 그 움직임에 의해 킹 핀을 중심으로 한 회전 운동을 하게 되어 앞바퀴의 움직임이 바뀌게 된다. 또 좌우의 너클은 너클 암(800)을 거쳐서 타이로드(700)가 장착되며 한쪽 바퀴의 움직임을 반대쪽의 바퀴에 전달하도록 되어 있다.
전형적인 스티어링 칼럼은 도2에서와 같이 도시될 수 있으며 자동차의 스티어링 기구는 핸들이 고정 설치되는 스티어링 칼럼(300)과 상기 스티어링 칼럼(300)에 장착되는 스티어링 축이 구비된다. 여기에서 핸들의 회전력이 스티어링 칼럼(300)을 통하여 스티어링 축에 전달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스티어링 축의 외면에는 환상홈을 형성하고 볼을 상기 환상홈내에 적절한 수단에 의해 고정시켜 볼이 스티어링 칼럼 내면을 따라 이동되면서 스티어링 칼럼 (300)과 볼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핸들의 충격을 흡수하게 되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에 따른 스티어링 칼럼 샤프트(300)는 차량의 주행중에 바퀴에서 전해지는 노면으로부터의 충격이 스티어링 칼럼(300)을 따라 그대로 핸들에 전달되어 운전자가 비포장 도로를 운행할 때나 고속 주행시에는 조향 안전성에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은 차량의 주행중에 바퀴에 가해지는 노면으로부터의 충격이 스티어링 휠에 전해지지 않도록 스티어링 칼럼 샤프트를 이중으로 형성하고, 그 내부에 진동흡수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종래에 따른 스티어링 칼럼이 차량의 주행중에 바퀴에서 전해지는 노면으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하지 못하여 운전자가 비포장 도로를 운행할 때나 고속 주행시에 조향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복수의 진동흡수수단으로써 진동이 흡수 되게 연결되는 자동차 스티어링 칼럼 샤프트에 있어서, 양측에 대향되게 체결구가 돌출 형성된 원주형의 어퍼 바; 상기 어퍼 바의 체결구와 맞물려 원주를 이루도록 내경에 대향되게 결합구가 형성된 원통형의 로워 바; 상기 로워 바 내경에 구비되어 상기 진동흡수수단이 위치하는 상부공간 및 하부공간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달성된다.
제1도는 종래 자동차 조향 장치의 개략도.
제2도는 제1도 스티어링 칼럼의 확대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인 스티어링 칼럼 샤프트의 분해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인 스티어링 칼럼 샤프트의 요부 단면도.
제5도는 제4도의 A-A선 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칼럼 샤프트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어퍼 바 3 : 로워 바
A : 상부공간 B : 하부공간
11 : 체결구 31 : 결합구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3은 본 발명인 스티어링 칼럼 샤프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크게 두 개의 진동흡수수단(5a)(5b)과 양측에 대향되게 체결구(11)를 돌출 형성된 원주형의 어퍼 바(1)와 상기 어퍼 바(1)의 체결구(11)와 맞물려 원주를 이루도록 내경에 대향되게 결합구(31)를 구비한 원통형의 로워 바(3)와, 상기 진동흡수수단(5a)(5b)이 로워 바(3)내에 위치하는 부위인 상, 하부공간(A)(B)으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는 도4 내지 도6에서와 같이 스티어링 휠과 스티어링 기어 피니언을 연결하는 자동차 스티어링 칼럼 샤프트와, 두 개의 진동흡수수단(5a)(5b)과, 양측에 돌출된 체결구(11)를 갖고 있는 원주형의 어퍼 바(1)와, 상기 어퍼 바(1)의 체결구(11)와 맞물려 원주를 이루도록 내경에 결합구(31)를 구비한 원통형의 로워 바(3)와 상기 진동흡수수단(5a)(5b)이 로워 바(3) 내경에 위치하는 부위인 상, 하부공간(A)(B)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진동흡수수단(5a)(5b)은 로워 바(3)의 상부공간(A)과 하부공간(B)에 일치하도록 형성된 원통형의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과정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차량의 주행중에 바퀴에서 전달된 노면의 진동은 스티어링 기어를 따라 유니버셜 조인트로 전해지는데 이 때, 로워 바(3)와 어퍼 바(1) 사이에 진동흡수수단(5a)(5b)이 위치하는 관계로 스티어링 칼럼 샤프트가 상하로 진동하며 발생하는 충격의 흡수를 여기에서 떠맡게 된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스티어링 휠에 전해지는 진동은 극히 미약하여 운전자는 진동을 거의 느낄 수 없게 된다.
상기에서 서술한 어퍼 바(1)와 로워 바(3)의 체결과정은 도3의 분해 사시도에서 볼 수 있듯이 로워 바(3)를 두쪽으로 형성하여 그 사이에 어퍼 바(1)를 끼워넣고 결합구(31)를 기준으로 상하로 분리되는 공간, 즉 상부공간(A)과 하부공간(B)에 각각 진동흡수수단(5a)(5b)을 위치시키게 된다. 어퍼 바(1)의 체결구(11)는 도5의 A-A선 단면도에서와 같이, 로워 바(3)내에서 결합구(31)와 정확히 일치하는 형상을 취하게 되어 회전유동을 하지 않게 되어 스티어링 칼럼 샤프트의 비틀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체결구(11)와 결합구(31)가 맞물린 부위의 상하로 진동흡수수단(5a)(5b)이 각각 존재하게 된다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차량의 주행중에 바퀴에 가해지는 노면으로부터의 충격이 스티어링 휠에 전해지지 않도록 상술한 바와 같이 스티어링 칼럼 샤프트를 이중으로 형성하고 그 내부에 진동흡수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종래에 따른 스티어링 칼럼이 차량의 주행중에 바퀴에서 전해지는 노면으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하지 못하여 운전자가 비포장 도로를 운행할 때나 고속 주행시에 조향 안전성에 문제를 초래하였던 것을 해소할 수 있다.

Claims (1)

  1. 복수의 진동흡수수단으로써 진동이 흡수되게 연결되는 자동차 스티어링 칼럼 샤프트에 있어서, 양측 외경에 대향되게 부채꼴 형상의 체결구(11)가 일체로 돌출 형성된 원주형의 어퍼 바(1); 상기 어퍼 바(1)의 체결구(11)와 맞물려 원주를 이루도록 내경에 대향되게 결합구(31)가 형성된 원통형의 로워 바(3); 및 상기 로워 바(3)의 내경에 구비되어 원통형의 상기 진동흡수수단(5a)(5b)이 위치하는 상부공간(A) 및 하부공간(B)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스티어링 칼럼 샤프트 구조.
KR1019960075758A 1996-12-30 1996-12-30 자동차 스티어링 칼럼 샤프트 구조 KR1002354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5758A KR100235493B1 (ko) 1996-12-30 1996-12-30 자동차 스티어링 칼럼 샤프트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5758A KR100235493B1 (ko) 1996-12-30 1996-12-30 자동차 스티어링 칼럼 샤프트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6488A KR19980056488A (ko) 1998-09-25
KR100235493B1 true KR100235493B1 (ko) 1999-12-15

Family

ID=19492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5758A KR100235493B1 (ko) 1996-12-30 1996-12-30 자동차 스티어링 칼럼 샤프트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54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8226B1 (ko) * 2000-12-27 2004-11-26 주식회사 만도 차량용 스티어링장치
KR100421099B1 (ko) * 2001-07-06 2004-03-04 주식회사 만도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
US10029642B2 (en) 2016-03-18 2018-07-24 Hyundai America Technical Center, Inc Enhanced steering system utilizing fixed dab for occupant protection in frontal impacts with laterial loa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6488A (ko) 199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5493B1 (ko) 자동차 스티어링 칼럼 샤프트 구조
KR200147847Y1 (ko) 자동차 스티어링 칼럼의 유니버셜 조인트
KR200143798Y1 (ko) 자동차 스티어링 기어 마운팅 브래킷
KR910008858Y1 (ko) 진동흡수식 조향축
KR100224404B1 (ko) 자동차의 조향장치
KR19980028532U (ko) 자동차용 조향장치의 타이로드 댐핑구조
KR100418667B1 (ko) 자동차용 조향장치의 인터미드 샤프트
KR20070030526A (ko) 자동차의 유압 파워 스티어링장치
KR0154630B1 (ko) 스티어링 휠의 충격 흡수장치
JPS5855092Y2 (ja) ステアリングシヤフトの支持装置
KR100254983B1 (ko) 자동차의 진동저감형 조향장치
KR19990034901A (ko) 자동차의 스티어링 장치
KR19980057713U (ko) 진동흡수장치가 구비된 조향 휠 조립체
KR19980028515U (ko) 자동차용 조향장치의 중심링크 댐핑구조
KR200187368Y1 (ko) 조향칼럼의 충격흡수구조
KR100231996B1 (ko) 스티어링 샤프트의 충격 흡수구조
KR19980054337U (ko) 스티어링 샤프트의 충격흡수형 조인트어셈블리
KR19980027133U (ko) 자동차의 조향축 완충구조
KR19980044983U (ko) 조향축과 조향핸들의 완충구조
KR19980036829U (ko) 충격 흡수구조를 갖는 인터미디어트 샤프트
KR19980047309A (ko) 자동차용 조향장치의 인터미드샤프트
KR19980054176A (ko) 태양광자동차의 조향장치
KR19980054102A (ko) 자동차의 볼이음장치
KR20030024484A (ko) 방진고무가 부착된 조향 드래그링크
KR19980038218U (ko) 스티어링 휠의 완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