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4404B1 - 자동차의 조향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조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4404B1
KR100224404B1 KR1019960073156A KR19960073156A KR100224404B1 KR 100224404 B1 KR100224404 B1 KR 100224404B1 KR 1019960073156 A KR1019960073156 A KR 1019960073156A KR 19960073156 A KR19960073156 A KR 19960073156A KR 100224404 B1 KR100224404 B1 KR 1002244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coupled
arm
lever arm
sleeve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3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4026A (ko
Inventor
김성주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60073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4404B1/ko
Publication of KR19980054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40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44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44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7/00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 B62D7/20Links, e.g. track r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Linkage Mechanisms And Four-Wheel St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조향장치에 관한 것으로, 진행방향을 바꾸기 위해 조향 조작을 하도록 된 스티어링휠(110), 이 스티어링휠(110)의 조작력을 전달하도록 된 스티어링샤프트, 이 스티어링샤프트를 보호하기 위해 외주면에 감싸여지도록 된 스티어링컬럼(120), 상기 스티어링컬럼(120)에 일측 끝단부가 결합된 스티어링컬럼지지수단(800), 상기 스티어링샤프트의 회전을 감속함과 더불어 조작력을 크게하여 운동방향을 바꾸어주도록 된 기어기구(200), 섹터기어와 샤프트에 세레이션을 이용하여 부착되도록 된 피트먼암(310), 이 피트먼암(310)에 일측 끝단부가 결합되도록 된 드래그링크(320), 이 드래그링크(320)의 타측 끝단부가 중간 소정부위에 결합됨과 더불어 일측 끝단부가 보강용브라켓트(900)를 매개로 차체프레임(400)에 결합되도록 된 슬리브레버암(330), 이 슬리브레버암(330)의 타측 끝단부와 볼조인트(500)를 매개로 상기 슬리브레버암(330)과 드래그링크(320)의 결합부위치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되게 일측 끝단이 결합됨과 더불어 타측 끝단이 구동바퀴(600)가 장착된 너클과 결합되도록 된 너클암(340)으로 이루어져, 상기 슬리브레버암(330)의 운동궤적이 리이프스프링(700)의 운동궤적과 서로 접촉되지 않음으로 인해 간섭발생이 방지됨은 물론 스티어링휠(110)로 전달되는 진동이 감소되어 시미현상이 저감되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조향장치
본 발명은 자동차의 조향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슬리브레버암의 궤적중심이 상향됨으로써 조향시 너클암과 리이프스프링과의 간섭발생이 저감됨은 물론, 스티어링휠의 진동현상인 시미(Shimmy)현상이 저감되도록 된 자동차의 조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진행방향을 조향하도록 된 조향장치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기구(100)와 기어기구(200) 및 링크기구(300)로 이루어지되, 상기 조작기구(100)는 진행방향을 바꾸기 위해 운전자가 직접 조향조작을 하도록 된 스티어링휠(110)과, 이 스티어링휠(110)의 조작력을 전달하도록 된 스티어링샤프트(도시되어있지 않음) 및, 이 스티어링샤프트를 보호하도록 외주면에 감싸여져 충격에 의해 측방향으로 오므라들도록 된 스티어링컬럼(120) 등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기어기구(200)는 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스티어링샤프트의 회전을 감속함과 더불어 조작력을 크게하여 상기 조작기구(100)의 운동방향을 바꾸어 주게 된다.
또한, 상기 링크기구(300)는 기어기구(200)의 작동을 앞바퀴에 전달하고 좌우바퀴의 관계위치를 바르게 지지하는 부분으로, 섹터기어의 샤프트에 세레이션을 이용하여 부착되도록 된 피트먼암(310)과, 이 피트먼암(310)에 일측 끝단부가 결합되도록 된 드래그링크(320)와, 이 드래그 링크(320)의 타측 끝단부가 중간 소정부위에 결합됨과 더불어 일측 끝단부가 차체프레임(400)에 결합되도록 된 슬리브레버암(330)고, 이 슬리브레버암(330)의 타측 끝단부와 일측 끝단이 볼조인트(500)를 매개로 결합됨과 더불어 타측 끝단이 구동바퀴(600)가 장착된 너클(도시되어있지 않음)과 결합되도록 된 너클암(340)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주행중 진행방향의 변경을 위하여 스티어링휠(110)을 조작하게 되면, 이 스티어링휠(110)의 조작력이 스티어링샤프트와 기어기구(200)에 의해 드래그링크(320)와 슬리브레버암(330) 및 너클암(340)으로 전달되어 너클을 작동시킴으로써 구동바퀴(600)가 조향되어져 주행방향이 변경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조향장치에 의하면, 상기 너클암(340)과 결합되는 슬리브레버암(330)의 운동궤적중심이 상기 슬리브레버암(330)와 드래그링크(320)의 결합부위치보다 낮게 위치됨으로 인해 일측 끝단부가 차체프레임(400)과 결합된 리이프스프링(700)의 운동궤적과 접촉되어 상기 너클암(340)과 리이프스프링(700)간에 간섭이 발생됨은 물론, 이로 인해 스티어링휠(110)로 전달되는 진동이 증가되어 시미현상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슬리브레버암의 운동궤적중심을 상기 슬리브레버와 드래그링크의 결합부위치 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시킴으로 인해 리이프스프링의 운동궤적과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너클암과 리이프스프링간에 간섭발생을 방지함과 더불어 스티어링휠로 전달되는 진동을 감소시켜 시미현상을 저감시키도록 된 자동차의 조향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종래 구조에 따른 조향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조향장치의 구성도이다.
* 도면에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조작기구 110 : 스티어링휠
120 : 스티어링컬럼 200 : 기어기구
300 : 링크기구 310 : 피트먼암
320 : 드래그링크 330 : 슬리브레버암
340 : 너클암 400 : 차체프레임
500 : 볼조인트 600 : 구동바퀴
700 : 리이프스프링 800 : 스티어링컬럼지지수단
900 : 보강용브라켓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진행방향을 바꾸기 위해 조향조작을 하도록 된 스티어링휠, 이 스티어링휠의 조작력을 전달하도록 된 스티어링샤프트, 이 스티어링샤프트를 보호하기 위해 외주면에 감싸여지도록 된 스터어링컬럼, 상기 스티어링샤프트의 회전을 감속함과 더불어 조작력을 크게하여 운동방향을 바꾸어주도록 된 기어기구, 섹터기어의 샤프트에 세레이션을 이용하여 부착되도록된 피트먼암, 이 피트먼암에 일측 끝단부가 결합되도록 된 드래그링크, 이 드래그링크의 타측 끝단부가 중간 소정부위에 결합됨과 더불어 일측 끝단부가 차체프레임에 결합되도록 된 슬리브레버암, 이 슬리버레버암의 타측 끝단부와 일측 끝단이 볼조인트를 매개로 결합됨과 더불어 타측 끝단이 구동바퀴가 장착된 너클과 결합되도록 된 너클암으로 이루어진 자동차의 조향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티어링컬럼에는 스티어링컬럼지지수단이 결합되고, 상기 슬리브레버암과 너클암의 결합부위가 상기 슬리브레버암과 드래그링크의 결합부위치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되도록 차체에 결합되되, 상기 슬리브레버암이 결합력향상을 위해 보강용브라켓트를 매개로 결합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조향장치의 구성도로서, 본 발명은, 진행방향을 바꾸기 위해 운전자가 직접 조향조작을 하도록 된 스티어링휠(110)과, 이 스티어링휠(110)의 조작력을 전달하도록 된 스티어링샤프트 및, 이 스티어링샤프트를 보호하도록 외주면에 감싸여져 충격에 의해 축방향으로 오므라들도록 된 스티어링컬럼(120)과, 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스티어링샤프트의 회전을 감속함과 더불어 조작력을 크게하여 운동방향을 바꾸어주도록 된 기어기구(200)와, 섹터기어의 샤프트에 세레이션을 이용하여 부착되도록 된 피트먼암(310)과, 이 피트먼암(310)에 일측 끝단부가 결합되도록 된 드래그링크(320)와, 이 드래그링크(320)의 타측 끝단부가 중간 소정부위에 결합됨과 더불어 일측 끝단부가 차체프레임(400)에 결합되도록 된 슬리브레버암(330) 및, 이 슬리브레버암(330)의 타측 끝단부와 일측 끝단이 볼조인트(500)를 매개로 결합됨과 더불어 타측 끝단이 구동바퀴(600)가 장착된 너클과 결합되도록 된 너클암(340)으로 이루어진 자동차의 조향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티어링컬럼(120)의 소정부위에는 일측 끝단부가 결합됨과 더불어 타측 끝단부가 차체와 결합되어 상기 스티어링컬럼(120)의 강도가 향상됨은 물론 진동을 저감시키도록 된 스티어링컬럼지지수단(800)이 결합되고, 상기 슬리브레버암(330)과 너클암(340)의 결합부위가 상기 슬리브레버암(330)의 운동궤적이 리이프스프링(700)의 운동궤적과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슬리브레버암(330)과 드래그링크(320)의 결합부 위치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되도록 차체(400)에 결합되되, 상기 슬리브레버암(330)이 결합력향상을 위해 보강용브라켓트(900)를 매개로 결합된다.
따라서, 주행중 진행방향의 변경을 위하여 스티어링휠(110)을 조작하게 되면, 이 스티어링휠(110)의 조작력이 스티어링샤프트와 기어기구(200)에 의해 드래그링크(320)와 슬리브레버암(330) 및 너클암(340)으로 전달되어 너클을 작동시킴으로써 구동바퀴(600)가 조향되어져 주행방향이 변경되는 바, 이때 상기 슬리브레버암(330)의 운동궤적이 리이프스프링(700)의 운동궤적과 서로 접촉되지 않음으로 인해 간섭발생이 방지됨은 물론, 이로 인해 스티어링휠(110)로 전달되는 진동이 감소되어 시미현상이 저감되어 진다.
또한, 상기 스티어링컬럼(120)에 스티어링컬럼지지수단(800)이 결합됨으로 인해 상기 스티어링컬럼(120)의 강성이 향상됨은 물론, 상기 스티어링컬럼지지수단(800)의 지지력에 의해 스티어링컬럼(120)으로 전달되는 진동이 재차 저감되어 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조향장치가, 진행방향을 바꾸기 위해 조향조작을 하도록 된 스티어링휠, 이 스티어링휠의 조작력을 전달하도록 된 스티어링샤프트, 이 스티어링샤프트를 보호하기 위해 외주면에 감싸여지도록 된 스티어링컬럼, 상기 스티어링컬럼에 일측 끝단부가 결합된 스티어링컬럼지지수단, 상기스티어링샤프트의 회전을 감속함과 더불어 조작력을 크게하여 운동방향을 바꾸어주도록 된 기어기구, 섹터기어의 샤프트에 세레이션을 이용하여 부착되도록 된 피트먼암, 이 피트먼암에 일측 끝단부가 결합되도록 된 드래그링크, 이 드래그링크의 타측 끝단부가 중간 소정부위에 결합됨과 더불어 일측 끝단부가 보강용브라켓트를 매개로 차체프레임에 결합되도록 된 슬리브레버암, 이 슬리브레버암의 타측 끝단부와 볼조인트를 매개로 상기 슬리브레버암과 드래그링크의 결합부위치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되게 일측 끝단이 결합됨과 더불어 타측 끝단이 구동바퀴가 장착된 너클과 결합되도록 된 너클암으로 이루어져, 상기 슬리브레버암의 운동궤적이 리이프스프링의 운동궤적과 서로 접촉되지 않음으로 인해 간섭발생이 방지됨은 물론, 이로인해 스티어링휠로 전달되는 진동이 감소되어 시미현상이 저감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진행방향을 바꾸기 위해 운전자가 직접 조향조작을 하도록 된 스티어링휠(110)과, 이 스티어링휠(110)의 조작력을 전달하도록 된 스티어링샤프트 및, 이 스티어링샤프트를 보호하도록 외주면에 감싸여져 충격에 의해 축방향으로 오므라들도록 된 스티어링컬럼(120)과, 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스티어링샤프트의 회전을 감속함과 더불어 조작력을 크게하여 운동방향을 바꾸어주도록 된 기어기구(200)와, 섹터기어의 샤프트에 세레이션을 이용하여 부착되도록 된 피트먼암(310)과, 이 피트먼암(310)에 일측 끝단부가 결합되도록 된 드래그링크(320)와, 이 드래그링크(320)의 타측 끝단부가 중간 소정부위에 결합됨과 더불어 일측 끝단부가 차체프레임(400)에 결합되도록 된 슬리브레버암(330) 및, 이 슬리브레버암(330)의 타측 끝단부와 일측 끝단이 볼조인트(500)를 매개로 결함됨과 더불어 타측 끝단이 구동바퀴(600)가 장착된 너클과 결합되도록 된 너클암(340)으로 이루어진 자동차의 조향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티어링컬럼(120)의 소정부위에는 일측 끝단부가 결함됨과 더불어 타측 끝단부가 차체와 결합되어 상기 스티어링컬럼(120)의 강도가 향상됨은 물론 진동을 저감시키도록 된 스티어링컬럼지지수단(800)이 결합되고, 상기 슬리브레버암(330)과 너클암(340)의 결합부위가 상기 슬리브레버암(330)의 운동궤적이 리이프스프링(700)의 운동궤적과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슬리브레버암(330)과 드래그링크(320)의 결합부위치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되도록 차체(400)에 결합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조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레버암(330)이 결합력의 향상을 위해 보강용브라켓트(900)를 매개로 차체(400)에 결합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조향장치.
KR1019960073156A 1996-12-27 1996-12-27 자동차의 조향장치 KR1002244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3156A KR100224404B1 (ko) 1996-12-27 1996-12-27 자동차의 조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3156A KR100224404B1 (ko) 1996-12-27 1996-12-27 자동차의 조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4026A KR19980054026A (ko) 1998-09-25
KR100224404B1 true KR100224404B1 (ko) 1999-10-15

Family

ID=19491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3156A KR100224404B1 (ko) 1996-12-27 1996-12-27 자동차의 조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440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4026A (ko) 199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3103665A (ja) インホイールモータ駆動車輪の転舵装置
US5975573A (en) Steering system
KR100224404B1 (ko) 자동차의 조향장치
KR100235493B1 (ko) 자동차 스티어링 칼럼 샤프트 구조
KR200147847Y1 (ko) 자동차 스티어링 칼럼의 유니버셜 조인트
KR102413236B1 (ko) 조향장치
KR19980028532U (ko) 자동차용 조향장치의 타이로드 댐핑구조
KR19980054176A (ko) 태양광자동차의 조향장치
KR200143798Y1 (ko) 자동차 스티어링 기어 마운팅 브래킷
KR100237418B1 (ko) 자동차의 시미현상과 킥백현상을 저감시키기 위한 장치
KR20070030526A (ko) 자동차의 유압 파워 스티어링장치
KR19980028515U (ko) 자동차용 조향장치의 중심링크 댐핑구조
KR100356841B1 (ko) 자동차용 조향링키지의 구조
KR19980057713U (ko) 진동흡수장치가 구비된 조향 휠 조립체
KR100254983B1 (ko) 자동차의 진동저감형 조향장치
KR100368860B1 (ko) 자동차의 조향축 마운팅 브라켓
KR19980035575A (ko) 3절링크형 조향조작장치
KR19990029720U (ko) 차축 현가식 조향장치의 충격흡수장치
KR19980054172A (ko) 자동차의 조향장치
KR20230060647A (ko) 독립 코너모듈
KR20030024484A (ko) 방진고무가 부착된 조향 드래그링크
KR20060003642A (ko) 동력조향장치의 기어박스구조
JPH06211027A (ja) 操舵輪懸架装置
KR20030020613A (ko) 자동차용 조향장치의 링크기구
KR19980038217U (ko) 스티어링 휠의 완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7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