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5238B1 - 화장료용기 - Google Patents

화장료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5238B1
KR100235238B1 KR1019950051222A KR19950051222A KR100235238B1 KR 100235238 B1 KR100235238 B1 KR 100235238B1 KR 1019950051222 A KR1019950051222 A KR 1019950051222A KR 19950051222 A KR19950051222 A KR 19950051222A KR 100235238 B1 KR100235238 B1 KR 1002352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hook
lid
pushbutton
cosmetic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51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1146A (ko
Inventor
이찌로 키자와
유끼토모 유하라
Original Assignee
요시다 쯔구오
요시다고교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시다 쯔구오, 요시다고교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요시다 쯔구오
Publication of KR9700611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11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52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52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2Casings characterised by a hinged cov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13/1076Arrangement of fasteners with a snap action
    • A45C13/1084Arrangement of fasteners with a snap action of the latch-and-catch ty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06/00Special receptacle or package
    • Y10S206/823Cosmetic, toilet, powder puf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175Bolt releasers
    • Y10T292/18Free-end-engaging mean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입상부재가 독립하여 취부되었으므로 부품점수가 증가하여 정판성(맡붙느 성질)이 악화 된다 연질 켜버가 두껍게 형성되므로 압상부재를 작동하기 위하여 큰 압력을 필요로 하며 뚜껑의 개방 조작성이 악화된다
용기본체(12)의 주벽(12a)의전방측을 두껍게 형성하고 이전방측 주벽(12a)의 중앙부에 전방으로 위쪽을 향하여 개구하는 구멍부(12c)를 형성한다.구멍부(12c)의 후방 내벽에 제 1후크 (20)를 돌설하는 한편 뚜껑(16)의 전단부이면(16a)에 제 2후크(22)를 돌설한다.커버체 (24)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에 의해 형성하고 중앙 부분에 얇게 형성한 압버튼 (24a)응 취부한다. 압버튼 (24a)의 주연부에 허??싱그브(28)를 형성한다. 환상구부(28)를 압버튼(24a)를 압버튼(24a)의 외주를 따라 원형상으로 형성한다.

Description

화장료용기
제1도는 본 발명의 화장료용기의 제 1실시예를 도시하는 뚜껑을 닫은 상태의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도시하는 요부를 확대한 분해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제1도중의A-A선의 확대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작동상태를 도시하는 제3도 중 B부분의 확대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제6도 중 C부분의 확대단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제6도 중 C부분의 확대단면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하는 요부 확대 단면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의 작동상태를 도시하는 요부확대 단면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요부 확대 단면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도시하는 요부 확대 단면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작동상태를 도시하는 요부 확대 단면도.
제13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요부 확대 단면도.
제14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를 도시하는 요부 확대 단면도.
제15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의 작동상태를 도시하는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화장료 용기 12 : 용기본체
12c : 구멍부 14 : 경첩
16 : 뚜껑 20 : 제1후크
22 : 제2 후크 24 : 커버체
24a : 압버튼 26 : 후크 해제용돌기
26a : 선단부 28 : 환상구부
본 발명은, 화장료(化粧料)를 수납하여 휴대하기에 용이한 화장료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료를 휴대할 때에 콤팩트라 칭하는 화장료용기가 사용되는데, 이 화장료용기는 용기본체내에 화장료를 수납하도록 되어 있다. 전기 용기본체의 후단부에는 개페가 자유롭도록 뚜껑이 접착(接着)되어 있고, 용기본체와 뚜껑의 전단부간에 각각 취부된 후크를 서로 계합하는 것에 의해, 뚜껑의 폐지상태를 보존하고 유지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되어 있다. 이때, 용기본체의 전단부로부터 전기 후크의 계합을 해제하여 뚜껑를 개방가능케하기 위한 푸쉬버튼(Push button)이 돌출된다.
그런데, 이 종류의 화장료용기에서는 실공소 62-21204호 공보에 개시된 것 처럼, 전기 푸쉬버튼으로 고안하도록 한 것이 있다. 즉, 이 화장재용기에서는 뚜껑측에 취부한 후크를 강제적으로 밀어올리는 압상부재를 용기본체로 형성한 요흠구내에 취부함과 동시에, 이 요흠구의 전면입구부에 연질커버를 달고, 이 연질커버를 누름으로써 의해 압상부재를 작동케하여 뚜껑을 개방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화장료용기에있어서는 압상부재가 독립하여취부되므로, 부품점수가 증가하여 정판성(맞붙는 성질)이 현저히 악화된다. 또한, 전기 연질 커버가 두껍게 형성되므로, 압상부재를 작동하기 위해서는 큰 압압력(押壓力)을 필요로 하므로, 뚜껑의 개방조작성이 악화된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과제에 감안하여, 부품점수의 삭감 및 뚜껑의 개방조작성의 향상을 꾀한 화장료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화장료르 수납하는 용기본체와, 이 용기본체에 개폐가 자유롭게 취부되는 뚜껑을 구비하고, 용기본체측에 취부한 제1후크와 뚜껑내에 위부한 제2후크가 계합되며, 뚜껑의 폐지상내가 보존 , 유지되도록 된 화장료요기에 있어서, 전기 제1, 제2후크의 계합부분의 외측을, 연재질의 커버체로 피복함과 동시에, 이 커버체에는, 여기에 형성한 탄성가요변형이 자유로운 환상구부(環狀舊婦)로 구획을 둘러싸서압버튼을 취부하고, 이 압버튼으로 부터 전기 제1후크와 전기 제2 후크의 계합을 해제하는 후크해제래용돌기를 돌설하는 것에 의해 구성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화장료용기는 , 압버튼으로부터 후크 해제용돌기가 돌설되어 있고, 압버튼을 누르는 것에 의해 후크 해제용돌기가 밀려들러가 , 제 1후크와 제2후크의 계합을 해제하여 뚜껑을 개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전기 압버튼은 연재질의 커버체어 취부되고, 또 이 압버튼은 탄성 가요변형이 자유로운 환상구부로 구획을 둘러싸 귀성되어 있으므로, 연체질의 커버체 자체의 가요성과 가요변형이 자유로운 전기 환상구부에 의해, 압버튼 부분의 반발성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음과 동시에, 그 휘는 양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뚜껑을, 개방할 때의 압버튼의 압력을 계속 감소시켜, 밀어넣는 양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므로, 압버튼의 조작성, 나아가서는, 뚜껑의 개방조작성을 대폭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전기 압버튼이 환상구부에 의해 구획이 둘러싸이기 때문에, 이 압버튼의 위치의 시인성을 향상할수가 있고, 이것에 의해 압버튼 부분의 돌출량을 적제하며, 커버체 전체의 평탄화를 꾀할 수 있다. 더우기, 전기 후크 해제용돌기는 압버튼으로부터 미리 돌설해 두면 좋으며, 화장용용기를 맞붙이는 단계에서의 부품접수의 삭감을 가능케 하고, 그 맞붙임 작업을 간단화할 수 있다.
전기 용기본체에는 그 주벽을 관통시켜 전기 제1, 제2후크의 계합부분에 연통하는 투공이 형성되고, 전기 커버체가 그 투공을 기밀히 덮어 장착된다.
또한, 전기 뚜껑에는, 그 주벽을 관통시켜 전기 제1, 제2후크의 계합부분에 연통하는 투공이 형성되고, 전기 커버체가 그 투공을 기밀히 덮어 장착되는 경우도 있다.
게다가, 전기 커버체가, 가요성을 가지는 고무상의 연재질인 폴리올레핀계, 스틸롄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계 , 염화비닐계 등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또는 가요성을 가지는 연질합성수지재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전기 커버제는, 이중성형법에 의해 전기 용기본체 또는 전기 뚜껑에 융착하며 이것들과 일체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기커버체에는, 그 중앙에 형성되는 얇은 부분이 구면상에 조금 바깥 쪽 으로 팽출형성되는 것에 의해, 전기 압버튼이 형성됨과 동시에, 그 압버튼의 주위에 형성되는 두꺼운 부분에, 그 커버체를 전기 용기본체 또는 전기 뚜껑에 보존하고 유지시키기 위한 계합부가 형성된다.
게다가 또, 전기 환상구부는, 전기 압버튼의 외주연(外周戀)을 따라 탄성적으로 가요변형이 가능토록 얇게 헝성되어 있다.
또한, 전기 압버튼에는, 전기 후크 해제용돌기가 그 이면(裏面)에 일체적으로 취부 되어 있다.
다르게는, 전기 후크해제용돌기를, 경질의 합성수지재로 전기 커버체와는 별도로 형성하여, 전기 압버튼에 맞붙이는 경우도 있다.
이하, 본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에서 제4도는 본 발명의 화장료용기의 제1실시예를 도시하고, 제1도는 뚜껑을 닫은 상태의 사시도, 세2도는 요부룰 확대하여 도시한 s 분해사시도, 제3도는 제1도 중의 A-A선의 확대단면도, 제4도는 작동상태를 도시하는 제3도 중 B부분의 확대단면도 이다. 본 실시예는 기본적으로는, 화장료를 수납하는 용기본체(12)와, 이 용기본체(12)에 개폐가 자유롭게 취부되는 뚜껑(16)을 구비하며 용기본체(12)측에 취부한 제1후크(20)과 뚜껑(16)측에 취부된 제2후크(22)가 계합되어, 뚜껑(16)의 폐지상태가 보존, 유지되도록 된 화장료용기 (10)에 있어서, 제1, 제2후크(20,22)의 계합삽부분의 외측을, 연재질의 커버체(24)로 피복함과 동시에, 이 커버(24)에는, 여기에 형성한 탄성가요변형이 자유로운 환상구부(28)로 구획을 둘러싸서 압버튼(24a)을 취부하고, 이 압버튼(24a)으로부터 제1후크(20)와 제2후크 (22)의 계합을 해제하는 후크 해제용 돌기(26)를 돌설하는 것에 의해 구성된다.
즉, 본 실시예의 화장료용기(10)는 제1도 및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본체(12)와, 용기본체(12)의 후단부에 경첩(14)을 개입시켜 접착되는 뚜껑(16)을 구비한다.용기본체(12)의 후단부 중앙에 형성한 요부(14a)에, 뚜껑(16)의 후단부 중앙에 형성한 철부(14b)를 감합하고, 이들 요부(14a)와 철부(14b)에 걸쳐 양측 부분으로부터 경첩핀(14)을 삽입하는 것에 의해 구성된다. 한편, 전기 뚜껑의 이면에는 요부(16b)가 형성되며, 이 요부(16b) 에 배니티미러(vanitymirror)(18)가 감합되어 취부된다. 또한, 본실시예의 화장료용기(10)에서는, 제3도 중 전기 경첩(14)이 취부되는 오른쪽을 후방으로 하고, 그 반대측이 되는 왼쪽을 전방으로서 설명한다.
전기 주벽(12a)의 전방측은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껍게 형성되며, 이 전방측 주벽(12a)의 중앙부에는 전방으로부터 위쪽으로 향하여 개구하는 구멍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 구멍부(12c)의 후방내벽에 제1후크(20)를 돌설하는 한편, 전기뚜껑의 전단부 이면(16a)에는 전기 제1후크(20)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2후크(22)를 돌설하고, 이들 제1, 제2 후크 (20,22)의 계합상태에서 뚜껑(16)의 폐지상태가 보존, 유지되도록 되어있다.
또한, 전기 구명부(12c)의 전단부에는 이 구멍부(12c)보다 폭이 넓은 요부(12d)를 형성하며, 이 요부(12d)에 커버체(24)가 밀접하여 감착(嵌着)되도록 되어 있다. 전기 커버체 (24)는 연재질인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에 의해 형성되고, 중앙 부분에 얇게 형성한 압버튼(24a)이 취부됨과 동시에, 그 주연부에두꺼운 부분(24b)이 형성된다. 전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플라스틱용 성형기로 고무상 탄성체 제품을 형성할 수 있는 재료로서 개발되고, 현재로는 폴리올레핀계, 스틸렌계, 폴리우레탄계, 염화비닐계 등의 각종 엘라스토머가 알려져 있다.
전기 두꺼운 부분(24b)은 전기 요부(12d)의 내측형상에 따라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이 두꺼운 부분(24b)의 양측으로부터 돌설한 도웰(dowel)(24d)을, 전기 요부(12d)에 형성한 계합요부(12e)에 계합함으로써 이요부(12d)에 감합한 커버체(24)의 탈락이 방지된다.
전기 압버튼(24a)은 구면으fh 약간 바깥쪽으로 팽출되며, 이 압버튼 (24a)의 이측부터는 후크 해제용 돌기 (26)가 안쪽으로 향해 돌설된다. 전기 후크 해제돌기(26)는, 그 선단부(26a)의 상측 후방으로 갈수록 아래쪽으로 내려가는 경사면 (26b)이 형성되고, 이 경사면(26b)이; 뚜껑(16)의 폐지상태에서 전기 제2후크(22)의 하측에 당접(當接)된다. 또한, 후크 해제용돌기(26)가 삽입되는 구멍부(12c)의 저면을, 압버튼(24a)의 압압력의 작용방향에 따른 수평면으로 형성하고, 후크 해제용돌기(26)의 하측을 이 수평면에 습동가능하게 [당접시킨다. 또한, 전기 후크 해제용돌기(26)는 전기 커버체(24) 및 압버튼(24a)과는 별도로 경질의 합성수지 등에 의해 형성되며, 압버튼(24a)의 이측에 돌설한 통상의 돌기부(24c)내에 압입하여 교정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압버튼(24a)의 주연부에 탄성가요형이 자유로운 환상구부(28)를 형성한다. 전기 환상구부(28)는 압버튼(24a)의 외주에 따라 두꺼운 부분(24b)에 걸리도록 원형상으로 형성시키고, 이 환상구부(26)는, 이것을 형성하는 부분의 두께가 0.2mm-1.0mm 정도로 얇게 되며, 그것은 소정의 두께로 형성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본 실시예의 화장료용기(10)에 있어서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제2후크(20,22)가 서로 계합되어 뚜껑(16)이 폐지된 상태에 있으며, 한편 압버튼(24a)이 압압되지 않고 자연상태에 있을때에는, 이 압버튼(24a)은 바깥쪽에 돌출되어 후크해제용돌기가 전방(26)(제 3도중 왼쪽)에 후퇴되어 있다. 그리고, 뚜껑(1b)을 개방하려고 하여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버튼(24a)을 수동으로 압압하면 이 압버튼(24a)의 변형에 동반하여 전기 후크해제용돌기(26)가 후방(제4도중 오른쪽)에 밀려난다. 그러면, 전기 선단부(26a)의 경사면(26b)에 당접되어 있는 제2후크는, 후크 해제용돌기(26)의 후방이동에 의해 강제적으로 밀어올려져서 제1후크(20)을 타넘고 제2후크(20)로부터 이탈된다.
이와같이 제2후크(22)가 제1후크(20)으로부터 이탈하여 계합이 해제되는 것에 의해, 뚜껑(16)은 약간 개동된 상태로 되며, 후에는 수동으로 뚜껑(16)을 개방할 수 있다. 또한, 전기 후크 해제용돌기(26)는 압버튼(24a)의 압압력을 해제하는 것에 의해, 압버튼(24a) 및 환상구부(28)의 탄성작용에 의해 전방에 복귀이동된다.
다음으로, 개방상태에 있는 뚜껑(16)을 폐지할 때에는, 뚜껑(16)을 단순히 수동으로 폐동하는 것에 의해, 제 2후크(22)가 용기본체(12)의 구멍부(12c)에 삽입되어 제1후크(20)에 계합된다.이때, 이 제2후크(22)의 하측이 전기 부크 해제용돌기 (26)의 경사면(26b)에 당접된 상태가 된다.
그런데, 전기 커버체(24)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 형성되며, 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고무상의 연재질이기 때문에, 커버체 (24)자체에 열가소성을 구비해, 압버튼(24a)의 주연부에 탄성가요변형이 자유로운 환상구부(28)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 형성된 커버체 (24) 자체의 탄성, 가요성이 첨가되고, 전기 환상구부(28)에 의해 압버튼 (24a)전cp의 반발성을 현저히 저하시킬수 있음과 동시에, 그 휘는 양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뚜껑(16)을 개방할 때의 압버튼(24a)의 조작이, 밀어넣는 양을 충분히 확보해 나가고 그 압압력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압버튼(24a)의 조작성, 나아가서는, 뚜껑(16)의 개방조작성을 대폭 향상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전기압버튼 (24a)의 주연부가 환상구부(28)에 의해 구획을 들러싸고 있는 것에 의해, 이 압버튼(24a)의 위치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구면상으로 광축되는 전기 압버튼(24a)의 돌출량을 적게하고, 커버체 (24)의 평탄화를 꾀할 수 있다. 더우기, 전기 후크 해제용돌기(26)는 커버체(24)와는 별도로 형성되는데, 화장용용기(10)를 맞붙이기 전에 미리 이 후크 해제용돌기(26)를 압버튼(24)으로부터 돌설하여 두면 좋고, 이화장용용기(10)를 맞붙이는 단계에서 부품점수의 삭감을 가능케 하며, 그 맞붙임 작업을 간단화할 수 있다. 게다가 또, 용기본체(12)에 형성된 구멍부(12c)는, 요부(12d)에 커버체(24)가 밀접하여 감착되는 것에 의해, 뚜껑(16)의 폐지상태로 먼지, 휴지 등의 이물이 용기본체 (12)내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여, 압버튼(24a)의 작동 불량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함께, 화장료용기(10) 내를 청결히 보존할 수 있다.
더우기이 전기 제1 실시예에서는 후크 해제용 돌기(10)를 압버튼(24a)과 별도로 형성하고 각각을 일체로 맞붙이도록 한 경우를 개시했는데, 이것에 한하지 않고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버튼(24a)과 후크 해제용돌기 (26)를 일체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후크 해제용돌기(26)는 압버튼(24a)를 형성하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 형성되게 되므로, 이 후크 해제용돌기(26)는 소요의 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소정의 단면적을 가지고 형성된다.
제6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하며, 전기 실시 예와 동리 구성 부분에 동일 부호를 붙여 중복하는 설명을 생략하여 기술한다. 또한, 제6도는 전기 제3도에 대응하는 단면도, 제7도은 작동상태를 도시하는 제6도 중 c부분의 확대 단면도 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커버체(24)의 압버튼(24a)으로부터 돌설되는 후크 해제용돌기(26)를 주상으로 형성하고, 동시에, 구멍부(12c)의 저면에 후방으로 감에 따라 위쪽으로 들어 올리는 경사면(12f)을 형성한다. 그리고, 전기 후크 해제용돌기(26)의 산단부(26a)를, 뚜껑(16)의 폐지상태로 제2후크(22)의 하측에 당접하여 배치함과 동시에, 전기 경사면(12f)에 전기 후크 해제용돌기 (26)의 선단부(26a) 하측을 당접한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는 뚜껑(16)을 개방함에 있어서, 압버튼 (24a)을 압압하면, 후크 해제용돌기(26)는 밀어넣어져 선단부(26a)가 경사면 (12f)을 따라서 위쪽으로 들어올려진다. 그러면, 전기선단부(26a)의 상측에 당접되어 있는 제2후크(22)는, 들어올려진 전기 선단부(26a)에 압압되어 강제적으로 밀어올려지므로, 제1후크(20)와 제2후크(22)의 계합이 해제되어 뚜껑(16)의 개방이 가능하게 된다.
더우기, 이 실시예에서는 압버튼(24a)으로부터 후크 해제용돌기(26)를 일체형성한 것을 개시했는데 이것에 한하지 않고, 각각을 별도로 형성하여 서로 결합시킬 수도 있다.
제8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도시하며, 잔기 각 실시예와 동일구성부분에 동일부호를 붙여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여 기술한다. 또한, 제8도는 요부 확대단면도, 제9는 작동상태를 도시한 요부확대 단면도 이다.
즉, 이실시예에서는 제8도에 나타나도록 후크 해제용돌기(26)의 선단부(26a) 에, 구부림이 자유로운 대략 삼각형상의 절곡편(折曲) (26c)을 형성하고, 이절곡편(26c)의 상측을 제2후크(22)의 하측에, 당접시키는 것과 동시에, 혈구 (12c) 후방 입벽을 가이드면으로 하여, 이 후방 입벽에 절곡편(26c)의 선단을 당접시킨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뚜껑(16)을 개방하는데 있어, 제9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압버튼(24a)을 압압 하여 후크 해제용돌기(26)를 밀어넣으면, 선단부(26a)의 절곡편(26c)이 구멍부(12c)의 후방입벽을 차츰 올라간다. 그러면, 차츰 올라간 전기 절곡편(26c)이 제 2후크(22)를 강제적으로 위쪽으로 밀어올리고, 이제 2후크(22)를 제1후크(20)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다.
게다가, 이 실시예에서는 전기 후크 해제용돌기(26)를 압버튼(24a)과 별도로 형성한 경우를 개시했는데 이것에 한하지 않고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버튼 (24a)으로부터 후크해제용돌기 (26)를 일체형성할 수도 있다.
제11도, 제12도는 본발명의 제4실시예를 도시하며, 전기 각 실시예와 동일 구성 부분에 동일부호를 붙여 중복하는 설명을 생략하여 기술한다, 또한 제11도는 요부확대단면도, 제 12도는 작동상태를 도시하는 요부확대 단면도이다.
즉, 이 실시예에서 후크 해제용 돌기(26)의 선단부(26a)를 위쪽으로 절곡하여 L자상으로 형성하고, 그 L자상 선단부에 제 1후크(20)을 형성하고, 후크 해제용돌기 (26)의 후방이동에 의해 제1후크(20)와 뚜껑(16)의 제2후크(22)의 계합을 해제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전기 후크해제용돌기(26)의 선단부(26a)는, 구멍부(12c)의 후방입벽에 형성한 요설부(12a)내에 습동가능하게 감합되고, 이 선단부(26a)가 위쪽으로 들려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이 실시예에 있어서도 전기 후크 해제용돌기(26)를 압버튼 (24a)과 별채로 형성한 경우를 개시했는데 이것에 한하지 않고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버튼 (24a)으로부터 전기 후트 해제용돌기 (26)를 일체형성할 수도있다
도 14, 도15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를 도시하며, 전기 각 실시예와 동일 구성부분에 동일부호를 불여 중복하는 설명을 생략하여 기술한다. 또한 , 도14는 요부 확대단면도, 도 15는 작동상태를 도시하는 요부확대단면도이다.
즉, 이 실시예에서는 커버체 (24)를 뚜껑(16)에 취부한 것이며, 후크 해제부분의 구성에 전기 제 1실시예의 구조를 적용하고 있다. 다시말해 제1, 제2후크 (20,22)의 계합부분에 통하는 구멍부(12c)를 뚜껑(16)의 전단부 중앙에 형성함과 동시에 이구멍부(12c)의 전단부에 형성한 요부(12d)에 전기커버체 (24)가 밀접하여 감착된다. 그리고 압버튼(24a)의 이면으로부터 돌설한 후크 해제용돌기의 선단부(26a)에 형성된 경사면(26b)이 제 1후크(20)의 상단에 당접된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는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버튼(24a)을 누르는 것에 의해 후크 해제용돌기(26)가 밀어넣어지고 경사면(26b)이 제1후크(20)를 밀어내려 제2후크(22)와의 계합이 해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의 후크해제부분의 구성을 적용한 경우를 개시 했는데, 이것에 한하지 않고 제2실시예로부터 제4실시예의 모든 후크 해제부분의 구성을 적용해도 좋음은 말할 필요도 없다.
그런데, 전기 제2실시예로부터 제5실시에에 있어서도 각각의 커버체 (24)를 연재질인 열가소성 엘라스토모로 형성하고 압버튼 (24a)의 주연부에 탄성가요변형이 자유로운 환상구부(28)를 형성하며, 이 압버튼 (24a)의 탄성 가요성 및 밀어넣는 양이 충분히 확보되도록 되어 있다. 또 제1실시예로부터 제5실시예의 커버체(24)는 전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에 한하지 않고 연질 합성수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더우기이 전기 커버체(24)는 용기본체(12)또는 뚜껑(16)과 별도로 형성하고, 요부 (12d)에 감착하는 경우를 개시하였는데, 이것에 한하지 않고 커버체 (24)를 용기본체 (12) 또는 뚜껑(16)에 이중성형에 의해 융착하여 일체화 할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발명의 화장료용기에 있어서는 , 제1, 제2후크의 계합부분의 외측을, 연재질의 커버체로 피복함과 동시에, 이 커버체에는, 여기에 형성한 탄성가요변형이 자유로운 환상구부로 구획을 둘러싸 압버튼을 취부하고, 이 압버튼으로부터 전기 제1후크와 전기 제2후트의 계합을 해제하는 후크 해제용 돌기를 돌설하여 구성한 것으로, 연재질인 커버체 자체의 가요성과 탄성가요변형이 자유로운 전기환상구부에 의해, 압버튼 부분의 반발성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는 동시에 휘는 양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뚜껑를 개방할 때의 압버튼의 압압력을 감소해나가는 밀어넣는 양을 충분히 확보할수 있으므로 압버튼의 조작성 나아가서는, 뚜껑의 개방조작 성르 대폭으로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전기 압버튼이 환상구부에 대해, 구획을 둘러싸는 것에 대해 이 압버튼의 위치의 시인성을 향상할 수 있으며, 이것에 의해 압버튼 부분의 돌출량을 적게하고 커버체 본체의 평탄화를 꾀할 수 있다. 게다가 전기 후크 해제용 돌기는 압버튼으로부터 미리 돌설해 두면 좋으며 화장용용기의 맞붙임 단계에서의 부품점수의 삭감을 가능하게 하고, 그 맞붙임 작업을 간단화할 수 있다고 하는 각종의 우수한 효과를 거둔다.

Claims (9)

  1. 화장료룰 수납하는 용기 본체와 , 그용기 본체에 개페자재로 달리는 뚜껑(덮개)를 비해, 그 용기본에측에 취부한 제1후크(hook)와 그 뚜껑측에 단 제 2 후크가 계합(契合)하여 그 뚜껑의 페지상내가 지속, 보존되도록 한 화장료용기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훅의 계합부분의 외측을 연재질의 커버체로 피복함과 동시에, 그커버체에는, 여기에 형성한 탄성가요변형이 자유로운 환상구부로 구획을 둘러싸서 압버튼을 달아, 그 압버튼으로 부터 상기 제1후크와 상기 제2후의 계합을 해제하는 후크 해제용돌기를 돌설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전기 용기 본체에는 , 그 주벽을 관통시켜 전기 제1 제2후크의 계합부분에 연통하는 투공(透孔)이 형성되어, 전기 커버체가 그 투공을 기밀 (氣密)하게 덮어 장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용기
  3. 제1항에있어서, 전기 뚜껑에는, 그 주벽을 관통시켜 전기 제 1, 제 2후크의 계합부분에 연통하는 투공이 형성되어, 전기커버체가 그 투공을 기밀하게 덮어 장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용기
  4. 제1내지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기 커버체가 가요성을 가지는 고무상의 연재질인 폴리올레핀계, 스틸렌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레우레탄계, 염화비닐계등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또는 가요성을 가지는 연질합성수지재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화장료용기
  5. 제1 내지 3한중에 어느 한항에 있어서 전기커버체가, 이중성형법에 의해 전기 용기 본체 또는 전기 뚜껑에 융착되어 이것들에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용기
  6. 제1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기커버체에는, 그 중앙에 형성된 얇은 부분이 구면상(垢面狀)으로 조금 바깥쪽으로 팽출 형성되는 것에 의해, 전기 압 보턴이 형성되는 것과 함께, 그 압버튼의 주위에 형성되는 두꺼운 부분에, 그 커버체를 전기 용기 본체 또는 전기뚜껑에 보존시키기 위한 계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용기.
  7. 제 1내지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기 환상구부는, 전기 압버튼의 외주연(外注戀)에 부합하여 더욱 탄성적으로 가요변형가능하게 얇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용기.
  8. 제1내지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기 압버튼에는, 전기 후크 해제용 돌기가 그 이면에 일체적으로 취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용기
  9. 제1 내지 3항 중에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기 후크 해제용 돌기는, 경질의 합성수지재로 전기 커버 전체와는 별도로 형성되어 있고 , 전기 압버튼에 달라붙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용기.
KR1019950051222A 1995-11-01 1995-12-18 화장료용기 KR1002352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7-284748 1995-11-01
JP28474895A JPH09121931A (ja) 1995-11-01 1995-11-01 化粧料容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1146A KR970061146A (ko) 1997-09-12
KR100235238B1 true KR100235238B1 (ko) 1999-12-15

Family

ID=17682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51222A KR100235238B1 (ko) 1995-11-01 1995-12-18 화장료용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682910A (ko)
JP (1) JPH09121931A (ko)
KR (1) KR1002352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PN239695A0 (en) * 1995-04-13 1995-05-11 Mcewan, Sturt Compact disc cassette case
FR2761243B1 (fr) * 1997-03-26 1999-05-14 Qualipac Sa Boitier pour produits cosmetiques a fermeture etanche
JP3249936B2 (ja) * 1997-06-20 2002-01-28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簡易着脱型蓋付き容器
US5887736A (en) * 1997-10-06 1999-03-30 Mar; Bob Safety container requiring two simultaneous movements to effect opening
US5875795A (en) * 1997-10-23 1999-03-02 Color Access, Inc. Airtight container
US5787906A (en) * 1997-12-19 1998-08-04 Nadel Industries, Inc. Deformable push-button release for cosmetic compacts
DE19832799B4 (de) * 1998-07-21 2006-03-02 Kunststoffwerk Kutterer Gmbh & Co. Kg Aufklappbare Verschlußkappe
EP0996324A1 (en) * 1998-10-19 2000-04-26 Lucent Technologies Inc. Single lock seal
US6902077B1 (en) * 1998-11-09 2005-06-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ntainer
US6367639B1 (en) 1999-03-29 2002-04-09 Bob Mar Safety container providing optional opening and closing arrangements
US6592000B1 (en) * 2000-01-31 2003-07-15 Paragon Medical, Inc. Sterilization container for medical instrumentation having a sliding latch
KR200200762Y1 (ko) * 2000-05-02 2000-10-16 주식회사연우 화장품 용기
FR2818089A1 (fr) * 2000-12-12 2002-06-14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Boitier d'appareil electronique
US7198305B2 (en) * 2001-06-13 2007-04-03 Southco, Inc. Load floor latch
US7047983B2 (en) * 2002-03-27 2006-05-23 Manougian Katherine J Protected containers
US7044328B1 (en) * 2002-07-08 2006-05-16 Joseph S. Kanfer Tamper proof latch for dispensers
NL1024956C2 (nl) * 2003-12-05 2005-06-07 Costel Linta Houder voor een informatiedrager.
FR2865119B1 (fr) * 2004-01-19 2006-12-01 Techpack Int Boitier a fermoir integre
US7097391B1 (en) * 2004-04-09 2006-08-29 Vaupell Molding & Tooling, Inc. Pneumatic carrier
FR2878700B1 (fr) * 2004-12-07 2007-01-05 Techpack Int Sa Emballage de produits cosmetiques, typiquement un boitier, a prehension amelioree et ouvrable d'une seule main
DE102005036904B3 (de) * 2005-08-05 2006-10-19 A. Raymond Et Cie Vorrichtung mit einer lösbaren Rastverbindung
JP2009507733A (ja) * 2005-09-13 2009-02-26 ミードウエストベコ・コーポレーション 係止及び解除機構を備えた容器
US20070080160A1 (en) * 2005-10-11 2007-04-12 Lutzke David E Tote clip and assembly
US20070175897A1 (en) 2006-01-24 2007-08-02 Labcyte Inc. Multimember closures whose members change relative position
ES2262450B1 (es) * 2006-05-18 2007-09-16 Seaplast, S.A. "tapon con tapa abatible para botellas y similares dotado de un sistema automatico de apertura de la tapa que comprende un pulsador mejorado".
KR100962327B1 (ko) * 2007-12-06 2010-06-10 주식회사 태성산업 클램셀형 용기
CN101752533A (zh) * 2008-12-11 2010-06-23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电池盖卡锁装置
WO2011053949A1 (en) * 2009-11-02 2011-05-05 Master Lock Company Llc Safe with dual locking mechanism
US8789540B2 (en) * 2010-03-18 2014-07-29 Yong Jun Lee Sealing ring structure of a cosmetic container
KR101073436B1 (ko) * 2011-02-25 2011-10-17 김진우 화장용 파우더 용기
US20140209604A1 (en) * 2013-01-28 2014-07-31 Valentin Leung Pop-up Push Lid
US9738426B1 (en) * 2013-02-26 2017-08-22 Csp Technologies, Inc. Flat pack ramp lever
WO2015087336A1 (en) * 2013-12-12 2015-06-18 Faurecia Interior Systems India Pvt. Ltd. Actuation device with such an actuation plate, storage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a storage system
US9120605B1 (en) 2014-08-07 2015-09-01 Bob Mar Safety container providing optional opening and closing arrangements
EP3000350A1 (en) * 2014-09-25 2016-03-30 Albéa Services Receptacle for cosmetic product having an opening button for separating the cap from the container
HK1215123A2 (zh) * 2015-04-10 2016-08-12 深圳迪凱工貿有限公司 層東側 表面無突起的飾品儲存裝置和飾品展示方法
CN106562535A (zh) * 2016-10-28 2017-04-19 东莞市北扬工业设计有限公司 一种自吸式推移式智能手拿包
USD836842S1 (en) 2017-11-27 2018-12-25 Mary Kay Inc. Cosmetic compact
USD863685S1 (en) 2017-11-27 2019-10-15 Mary Kay Inc. Cosmetic compact
USD843660S1 (en) 2017-11-27 2019-03-19 Mary Kay Inc. Cosmetic compact
USD850006S1 (en) 2017-11-27 2019-05-28 Mary Kay Inc. Cosmetic compact
US10669752B2 (en) 2017-12-20 2020-06-02 Lear Corporation Armrest assembly with lid with latch release handle
FR3108245A1 (fr) 2020-03-20 2021-09-24 Crystal International (Group), Inc. Boîtier de produit cosmétique absorbeur de choc
US11503893B2 (en) 2020-03-20 2022-11-22 Crystal International (Group) Shock absorbing cosmetic compact
US11738914B2 (en) 2021-11-18 2023-08-29 Yeti Coolers, Llc Container and latch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1204A (ja) * 1985-07-22 1987-01-29 Hitachi Ltd 条巻変圧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9121931A (ja) 1997-05-13
US5682910A (en) 1997-11-04
KR970061146A (ko) 1997-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5238B1 (ko) 화장료용기
AU709893B2 (en) Container for wetted tissues
CN101448710B (zh) 用于瓶子的具有铰接盖且具有自动开盖系统的闭合装置
JP2001277770A (ja) リングバインダ
CN101448709B (zh) 用于瓶子的带有铰接盖的且具有包括改进按钮的自动开盖系统的闭合装置
JP3620667B2 (ja) 気密化粧料容器
JP2991277B2 (ja) 容 器
JP2000037223A (ja) 網付レフィル容器
JP3062266U (ja) 密封容器
JPH08244814A (ja) 容 器
US7917987B2 (en) Air-injection type tool for scrubbing off the dirt on a body
JPH08205925A (ja) 化粧料容器
KR20220016061A (ko)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JP3865799B2 (ja) 化粧料容器
JPH09140441A (ja) 化粧料容器
JP2960403B1 (ja) 網付レフィル容器
JP3865144B2 (ja) 化粧用コンパクト容器
JP3751339B2 (ja) 化粧用コンパクト容器
JPH0628752Y2 (ja) 押釦スイッチ用スプリング部材
CN214453357U (zh) 一种双色弹力盖
JP3784562B2 (ja) 化粧用コンパクト容器
JP4106421B2 (ja) 操作ボタンの防水構造
JP2562793Y2 (ja) 化粧料容器
KR200321260Y1 (ko) 펜던트
JPH08315672A (ja) 電子機器の操作釦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80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