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4603B1 - 차량의 탱크통기 장치의 기능 능력을 검사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탱크통기 장치의 기능 능력을 검사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4603B1
KR100234603B1 KR1019940002417A KR19940002417A KR100234603B1 KR 100234603 B1 KR100234603 B1 KR 100234603B1 KR 1019940002417 A KR1019940002417 A KR 1019940002417A KR 19940002417 A KR19940002417 A KR 19940002417A KR 100234603 B1 KR100234603 B1 KR 1002346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negative pressure
valve
inspection
duty rat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2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드레아스블루멘스톡
헬무트덴츠
Original Assignee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4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46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5/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 F02M25/08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adding fuel vapours drawn from engine fuel reservoir
    • F02M25/0809Judging failure of purge contro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35Fuel tanks characterised by venting means
    • B60K15/03504Fuel tanks characterised by venting means adapted to avoid loss of fuel or fuel vapour, e.g. with vapour recovery systems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탱크 통기 진단을 가능한 한 빨리 실시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탱크 통기 장치에 있어서 탱크(10)의 액량이 측정되고, 그 액량에 따라 통기 밸브 (TEV)를 개방시키는 듀티비가 구해진다. 이어서, 탱크 통기 밸브가 결정된 듀티비로 개방되고 차단 밸브 (AV)가 폐쇄되면 소정 부압에 달한 경우, 탱크 통기 밸브가 폐쇄되고 탱크 내에서 감소하는 부압의 부압 감소 구배가 구해지고, 그에 의해 장치의 밀폐성이 판단된다. 밀폐 검사기 부압을 증가시킬때 탱크 통기 밸브를 개방시키는 듀티비가 탱크 액량에 관계지워져 있으므로 탱크가 가득차 있을 때의 압력 증대가 너무 바르거나 혹은 너무 강하거나 하는 일이 방지되는 동시에 탱크가 거의 비어 있는 경우 검사 기간을 짧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탱크 통기 장치의 기능 능력을 검사하는 방법 및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탱크 통기 진단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럭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진단 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우 챠트.
제3도는 제2도의 플로우 차트 내의 탱크 액량 검사의 흐름을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
제4도 (a) 내지 (d)는 제3도의 시퀀스를 설명하는 시간에 대한 신호 파형도.
제5도는 제2도의 플로우 차트 내의 밀폐 검사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챠트.
제6도 (a) 내지 (d)는 제5도의 시퀀스를 설명하는 시간에 대한 신호 파형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V : 차단 밸브 TEV : 탱크 통기 밸브
10 : 탱크 11 : 탱크압 센서
13 : 흡착 필터 14 : 환기관
17 ; 내연기관 또는 엔진 18 : 판단 장치
19 : 시퀀스 제어 장치 20 : 촉매
22 : 람다 제어 장치 24 : 구배 계산 장치
본 발명은 탱크 통기 장치를 갖는 차량의 탱크 통기을 행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 탱크 통기 장치의 부압의 크기에 관하여 언급이 반복하여 행해진다. 이 경우, 부압이 「크다」라는 것은 절대치가 큰 부압을 의미한다. 따라서, 실제의 부압의 절대치가 임계치 부아의 절대치보다 커진 때 실제의 부압은 임계치 부압을 「상회하게」된다.
독일연방공화국 공보 DE-A 4132055호(PCT/DE-A-92 00725호)에는 탱크 통기 장치의 부압에 대한 감소 구배를 이용하는 탱크 통기 진단 방법 및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탱크 통기 장치는 탱크압 센서를 구비한 탱크와, 탱크 접속관을 거쳐 탱크와 결합되고 차단 밸브에 의해 폐쇄 가능한 환기관을 갖은 흡착 필터와, 밸브 파이프를 거쳐 흡착 필터와 결합되는 탱크 통기 밸브를 구비하고 있다. 부압을 형성하기 위해 차단 밸브가 폐쇄되고 탱크 통기 밸브가 개방된다. 소정 부압이 얻어지면, 탱크 통기 밸브가 다시 폐쇄된다. 그에 의해 부압이 다시 감소하고, 특히 탱크 통기 장치가 밀폐되어 있을 때는 비교적 완만하게 감소한다. 그러나 부압 감소 구배는 장치의 밀폐성 뿐만 아니라 탱크의 액량에도 관계한다. 그러나 이러한 영향은 부압 증대 구배도 측정하여 양 구배를 서로 관계지울 때는 제거할 수 있다. 이러한 것이 독일연방공화국 특허 출원 P 42 03 100호에 기재되어 있다.
부압 증대를 위해 종래의 방부방법에서는 탱크의 통기 밸브는 소정의 최대 듀티비(duty ratio)로 개방된다. 이 듀티비는 거의 가득찬 탱크에 있어서도 다른 측정량, 특히 희박 보정 측정량의 시간 검출에 따라 선택되는 소요 최저 기간의 경과 전에는 소요 부압에 달하지 않도록 설정된다. 탱크가 비교적 비어 있는 경우에는 듀티비가 정해진 것으로 되기 때문에 탱크 통기 장치를 소요 부압에 달할 때까지 펌핑 배출하는 시간은 상당히 장시간이 된다. 이는 전체의 검사 시퀀스에 필요한 기간에 직접 영향을 준다. 그러나, 이 기간을 길게 하는 것은 문제이다. 즉, 부압 감소 구배의 판단에 의한 탱크 통기 진단에서는 자동차가 소정의 운전 상태에 있을 때만 신뢰성이 있는 결과가 얻어지기 때문이다. 특히, 이를 위해 공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전 단계는 대표적으로는 이삼십초가 되므로 소요 부압에 달하는 데 필요한 기간에 의해 검사 기간이 너무 길어져서는 안된다. 여기서, 60ℓ의 수용 능력이 있는 탱크에서 10%의 듀티비인 경우 2.5ℓ의 4기통 가솔린 엔진의 공전에서 5hPa의 소요 부압에 달하는 데 40초가 필요함을 미리 말해 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진단을 가능한 한 빨리 실시할 수 있도록 구성된 탱크의 통기 진단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 과제는 청구의 범위 제1항과 제7항에 기재된 구성에 의해 해결된다. 즉,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내연 기관(17)을 구비한 차량의 탱크 통기 장치의 기능 능력을 검사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탱크 통기 장치가 탱크압센서(11)을 구비한 탱크(10)과, 탱크 접속관(12)를 거쳐 탱크와 결합되고 차단 밸브(AV)에 의해 폐쇄 가능한 환기관(14)를 갖는 흡착 필터(13)과, 밸브 파이프(15)를 거쳐 흡착 필터와 결합되는 탱크 통기 밸브(TEV)를 구비한 차량의 탱크 통기 장치의 기능 능력을 검사하는 방법 및 장치에 있어서,
가) 탱크 액량 검사를 실시하여 탱크 액량을 구하고, 구해진 탱크 액량을 기초로 하여 듀티비를 결정하며, 계속되는 밀폐 검사에서 상기 듀티비로 탱크의 통기 밸브를 개방하고,
나) 상기 밀폐 검사를 적어도 이하의 공정, 즉
나-1) 탱크 통기 밸브를 결정된 듀티비로 개방하고 차단 밸브를 폐쇄하며,
나-2) 압력에 관련하는 소정의 조건이 만족된 때 탱크 통기 밸브를 폐쇄하고,
나-3) 탱크 내에서 감소하는 부압의 부압 감소 구배를 구하며,
나-4) 구해진 부압 감소 구배를 이용하여 장치의 밀폐성을 판단하는 공정에 의해 실시하는 구성을 채택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탱크가 거의 빈 경우에는 탱크가 거의 가득찬 경우보다도 소요 부압에 달할 때까지 다량의 기체를 통기 장치로부터 탱크 통기 밸브를 거쳐 내연 기관의 흡기관에 펌핑 배출해야 한다는 인식에 입각하고 있다. 다른 기체량을 이와 같이 펌핑 배출하는 데 기간이 달라지는 일이 없게 하기 위해서는 다량의 기체를 펌핑 배출해야 할 때는 고속으로 펌핑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탱크가 비어 갈수록 탱크 통기 밸브를 개방시키는 듀티비가 커지게 선택된다. 즉, 어떤 방법으로라도, 우선 액량이 검출되고, 그 액량을 기초로 하여 듀티비가 결정되고, 이어서 소요 부압이 얻어지게 하는 밀폐 검사의 초기 단계에서 이렇게 결정된 듀티비를 이용하여 탱크의 통기 밸브가 구동된다. 그에 의해 항상 소요 부압이 비교적 단시간에 얻어진다. 이 부압에 달하면 탱크 통기 밸브가 폐쇄되고 부압 감소 구배가 구해진다. 이어서 이 감소 구배만에 의해, 혹은 독일연방 공화국 특허 출원 P 42 03 100호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압력 증대 구배와 조합하여 이 경우에 압력 증대 구배를 기준 듀티비에 관해 규격화하여 진단이 행해진다.
탱크가 탱크 액량 센서를 갖지 않는 경우에는 청구의 범위 제2항의 방법을 실시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 방법에서는 우선 탱크 통기 장치가 「시험적으로」펌핑 배출된다. 그 경우, 상당히 단시간 내에 소정의 부압에 달한 때는 이는 탱크가 비교적 가득차 있으며, 한편 그 기간이 길 때는 탱크가 거의 비었다고 생각할 수 있다.
실제로는 소정의 탱크 액량 범위에 대해 두 세개의 듀티비, 예를 들어 2/3 혹은 그 이상 채워져 있는 탱크에 대해서는 제1 듀티비로, 1/3 내지 2/3 채워져 있는 탱크에 대해서는 제2 듀티비로, 또 1/3 까지만 채워져 있는 경우에는 제3 듀티비를 설치하면 된다.
본 발명의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방법을 실시하도록 프로그램되어 있는 프로그램 가능한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탱크 액량 검사 및 밀폐 검사가 내연 기관의 소정 운전 상태일 때만 실시된다. 또, 탱크 액량 검사가 행해지는 공전 단계가 직후의 밀폐 검사에 대해 충분히 길지 않은 때에는, 밀폐 검사는 그후의 다음 공전 단계중 하나에서 실시된다. 또, 탱크 액량 검사 종료후 소정 기간 내에 밀폐 검사에 대한 조건이 얻어질 때만 밀폐 검사가 실시된다.
이하,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특히, 제1도에 도시된 탱크 통기 장치는 탱크압 센서(11)을 구비한 탱크(10)과, 탱크 접속관(12)를 거쳐 탱크와 결합되고, 차단 밸브(AV)가 삽입된 환기관(14)를 구비한 흡착 필터(13)과, 흡착 필터를 내연 기관(17)의 흡기관(16)과 결합하는 밸브 파이프(15)에 배치된 탱크 통기 밸브(TEV)를 갖고 있다. 탱크 통기 밸브(TEV)와 차단 밸브(AV)는 시퀀스 제어 장치(19)에 의해 구동된다. 탱크 통기 밸브(TEV)는 대표적으로는 주행 사이클에 대해 1회만 실시되는 여기서 설명되는 진단 장치와는 독립하여 엔진(17)의 운전 상태에 따라 구동할 수도 있다. 엔진(17)의 배기 가스로(30)에는 촉매(20)이 배치되고, 그 전방에 산소 센서(21)이 배치된다. 산소 센서는 그 신호를 람다(lambda) 폐루프 제어 장치(22)에 출력하고, 람다 제어 장치는 그 신호를 기초로 하여 흡기관(16)의 분사 장치(23)에 대한 조작 신호를 결정한다.
탱크 통기 장치가 기능할 수 있는 지 없는 지의 판단은 구배 계산 장치(24)와 판단 장치(18)을 이용하여 행해진다. 또, 시간 측정 장치(25)가 설치된다. 구배 계산 장치(2)와 시퀀스 제어 장치(19) 사이에 듀티비/구배의 특성 곡선(30)과 대기 시간/구배의 특성 곡선(31)이 접속된다.
시퀀스 제어 장치(19)는 엔진의 드로를 밸브(26)과 협동하는 공전 신호 발생기(27)이 공전을 표시한 때에는 탱크 통기 장치의 기능 능력을 검사하는 시퀀스를 개시한다. 또, 주행 신호 발생기에 의해 차량이 정지하고 있거나, 서행하고 있음이 표시되는 것을 조건으로 할 수도 있다. 이 조건의 검사는 제2도에 있어서 스텝 s2.1에 의해 도시되어 있다. 이 조건이 만족되면 처리 스텝 s2.2에 있어서 제3도와 제4도를 기초로 하여 이하에 상술하는 탱크 액량 검사가 실시된다.
이 탱크 액량 검사에 이어서 탱크 통기 장치의 기능 능력에 관한 검사가 행해진다. 그러나, 이 검사는 스텝 s2.7로 되어야 비로소 행해진다. 이는 그 전의 각종 조건을 조사해야 하기 때문이다. 우선, 특히 부압 감소 구배 뿐만 아니라 증가 구배도 진단에 이용하는 때는 탱크에는 다시 통상의 압력이 걸려 있어야 한다는 것에 주의해야 한다. 따라서, 스텝 s2.3에 있어서 대기 시간 tw가 경과하는 것을 기다리게 한다. 탱크가 비어 있을수록 소정의 부압으로부터 다시 통상의 압력으로 되기까지의 시간이 길어진다. 따라서, 이 대기 시간은 액량에 관계하고 있으며, 이것이 대기 시간/ 구배의 특성 곡선(31)에 의해 고려되고 있다.
또, 경우에 따라서는 탱크의 액량 검사에 이어서 곧바로 밀폐 검사의 조건이 되지 않음에 주의해야한다. 즉, 스텝 s2.3에 있어서 다시 종료 시점 TEnd가 측정된다. 스텝 s2.4에서는 공전 상태인지가 조사된다. 이때 공전 상태인 경우에는 스텝 s2.5에서 관련하는 시점 T가 측정된다. 지연 시간 tVERZUG가 T와 TEND사이의 차로서 계산된다. 스텝 s2.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은, 이 지연 시간이 소정 기간, 예를 들어 2분 보다 짧은 경우에는 상술한 밀폐 검사 스텝 s2.7을 수행한다. 이것은 종료되면, 전체의 처리가 종료한다.
여기서 탱크의 액량 센서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같은 결과를 얻는데 제2도의 처리 스텝 수는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이 경우에는 단순히 액량을 측정할 뿐이며 (이는 제2도의 시퀀스에서 스텝 s2.2에 의한 탱크 액량 검사로 실시된다), 그 액량을 이용하여 밀폐 검사 동안 탱크 통기 밸브를 구동하는 듀티비가 결정되고, 이어서 밀폐 검사가 실시된다. 그러나, 이하에서는 이와 같은 액량 센서가 존재하지 않음을 전제로 한다.
다음에 제3도와 제4도를 기초로 하여 본 실시예에 의한 탱크 액량 검사의 시퀀스를 설명한다.
제3도에 도시한 시퀀스의 스텝 s3.1에 있어서 람다 페루프 제어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보정 계수 FR1이 대표적인 시점에서 측정된다. 제4도 (a)에 도시한 바에 있어서는 희박으로부터 농후 방향의 P(비례) 변화의 종료 시점이다. 이 측정과 동시에 탱크 통기 밸브가 소정의 듀티비로 개방된다(스텝 s3.2). 이 개방은 급격히 소정 듀티비로 행해지지만 이 듀티비는 너무 큰 값이어서는 안되며, 예를 들면 10%를 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즉, 탱크 통기 장치로부터 거의 순수한 연료 증기가 흡입되고, 이로써 혼합기가 농후해져서 엔진이 정지될 위험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탱크 통기 밸브는 제4도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완만하게만 개방된다. 여기서 제4도 및 제6도의 시간축의 척도에 관해서는 공전시의 람다 제어 진동은 대표적으로는 약 4초임을 서술해 둔다. 제4도 (a)및 (b)를 비교하면 탱크 통기 밸브는 약 10초 내에 50%의 듀티비까지 개방 제어됨을 알 수 있다.
람다 페루프 제어 장치(22)가 강한 희박 보정을 통해 탱크 통기 장치로부터의 농후한 연료 가스를 미리 지시하지 않는 경우에만 전술한 큰 값이 되기까지의 개방 제어가 행해진다. 이것은 스텝 s3.3과 s3.4에서 조사된다. 스텝 s3.3에서는 이전과 같은 조건, 즉 여기서는 희박으로부터 농후로의 P변화의 종료가 만족되고 있을 때 제어 계수 FR이 측정된다. 이 측정치는 FR2가 된다. FR1과 FR2의 차가 ΔFR이 된다. 스텝 s3.4에 있어서 ΔFR이 임계치 ΔFRTH보다 큰 지를 판단한다. 큰 경우에는 조사 처리 전체가 종료된다. 이는 두 가지 이유가 있다. 그 하나는 연료의 증발이 강한 경우에는 탱크 통기 장치의 밀폐도에 대해 구체적인 이미지를 부여하는 압력 구배 측정에 신뢰성이 없어지기 때문이다. 다른 이유는 탱크 통기 장치로부터의 다량의 연료가 흡입될 때에는 소기해야 함을 표시하지만 이는 검사 처리 중에는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탱크 통기 장치로부터 연료가 흡입되지 않거나 혹은 극히 소량이며, 계속되는 검사에 장애를 줄 우려가 없을 때에는 스텝 s3.5에 있어서 차단 밸브 (AV)가 폐쇄된다. 그 경우, 관련하는 기간 T1과 관련하는 부압 ΔP1이 측정된다. 스텝 s3.6과 s3.7에 있어서 계속적으로 반복되는 부압의 측정(스텝 s3.6)과 측정 부압의 소정 부압ΔPFIX와의 비교(스텝 s3.7)에 의해 이미 소정 부압에 달했는지가 조사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는 5 hPa이다. 이 소정 부압에 달하면 스텝 s3.8에 있어서 탱크 통기 밸브 (TEV)가 폐쇄되고, 차단 밸브 (AV)가 개방된다. 또, 스텝 s3.9에 있어서 관련하는 기간 T2가 측정되고, 기간 Δt=T2=T1이 계산된다. 부압 증대 구배 ΔPGRAD가 ΔFIX/ Δt로서 구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그렇지 않지만 이 구배가 계속 밀폐 검사에 이용되는 경우에는 압력 변화로서 단순히 ΔPFIX가 아니라 값 ΔPFIX-ΔP1을 이용할 것을 권장한다.
제4도 (d)에는 부압 증대에 대한 두 개의 곡선이 도시되어 있다. 실선은 탱크가 반쯤 채워져 있을 때의 부압에 관한 것이고, 한편 점선은 탱크가 거의 비어 있는 경우의 부압 구배를 도시하고 있다. 이리하여 스텝 s3.9에 있어서 계산된 부압 구배에 의해 탱크가 거의 비어 있는지, 거의 반쯤 들어 있는지, 혹은 거의 가득차 있는지를 대략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미 스텝 s3.4에 있어서 연료의 증발 또는 기화가 전혀 없는지 또는 거의 없는지가 확인되어 있으므로 증발하는 연료에 의해 이 판단이 잘못되는 일은 없다.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부압 증대 구배는 대기 시간 tw와, 이어지는 밀폐 검사시 사용되는 탱크 통기 밸브의 듀티비 τTEV를 구하는 데 이용된다. 이것이 스텝 s3.10에 있어서 특성 곡선(30 과 31)을 이용하여 행해진다.
다음에 제5도와 제6도를 기초로 하여 스텝 s2.7의 밀폐 검사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5도의 시퀀스의 스텝 s5.1부터 s5.4까지는 기능적으로 스텝 s3.1부터 s3.4까지와 동일하다. 제6도 (a) 와 (b)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탱크 통기 밸브가 완만히 개방 제어될 때 제어 계수에 대해 값 FR1과 FR2대신에 값 FR3과 FR4가 측정될 뿐이다. 탱크 통기 밸브의 개방 제어시 매우 강한 희박 보정이 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 s5.4에 있어서 검사 처리가 중단된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5.5가 계속되고, 거기서 차단 밸브(AV)가 폐쇄되고, 그 후 상술한 스텝 s3.6내지 s3.7에 대응하는 스텝 s5.6과 s5.7에 있어서 이미 부압 ΔPFIX에 달했는지 조사된다. 그런 경우에는 스텝 s5.8에 있어서 탱크 통기 밸브가 폐쇄된다. 이것은 시점 T5(제6도)로 되어 있다.
이 때부터 탱크의 부압이 완만하게 감소한다. 스텝 s5.9에 있어서 부압 감소 구배가 구해진다. 이는 단순히 소정 기간 내의 부압 감소 혹은 소정 압력 감소에 요하는 기간을 구하고, 부압 감소를 기간 내의 부압 감소 혹은 소정 압력 감소에 요하는 기간을 구하고, 부압 감소를 기간으로 나눔으로써 행해진다. 스텝 s5.10에 있어서 이 부압 감소 구배가 일계값 TH 보다 큰 지가 조사된다. 그런 경우에는 스텝 s5.11에 있어서 장치가 밀폐되어 있지 않다는 지시가 출력된다. 이 스텝후 혹은 스텝 s5.10 후에 계속되는 스텝 s5.12에 달하고, 여기서 차단 밸브 (AV)가 다시 개방된다.
제6도 (b) 내지 (d)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반 쯤 들어 있는 탱크의 시간 경과(실선)과 거의 비어 있는 탱크의 시간 경과(점선)은 달라진다. 반 쯤 들어 있는 탱크의 경우, 스텝 s3.10에서 구한 25%의 듀티비에 시점 T4에서 도달하고, 그 후 불변으로 되고, 차단 밸브가 폐쇄된다. 거의 비어 있는 탱크의 경우에는 스텝 s3.10에서 50%의 듀티비 τTEV가 설정되고, 시점 T4에서 이에 도달한다. 이 경우도 다시 차단 밸브가 폐쇄되고 듀티비가 불변으로 된다. 이 두가지 경우 모두 차단 밸브가 폐쇄되고 나서 소정의 부압 ΔPFIX에 도달하기 까지의 기간은 거의 같아진다. 반 쯤 들어 있는 탱크의 경우에는 기간 T5-T4가 되며, 한 편 거의 비어 있는 탱크의 경우에는 기간 T5'-T4'로 된다. 거의 가득차 있는 탱크의 경우에는 예를 들면 12.5%의 듀티비가 설정된다.
서두에 서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가득찬 탱크의 듀티비가 항상 이용되고 있다. 그 결과, 거의 비어 있는 경우에는 탱크의 부압 ΔPFIX에 달하기 까지 경과하는 기간은 제6도의 T5'-T4' 보다 상당히 길어진다.
밀폐 검사시 부압을 증가시킬 때 탱크 통기 밸브를 개방시키는 듀티비가 탱크 액량에 관계되어 있으므로 탱크가 가득차 있을 때의 압력 증대가 너무 빨라지거나 너무 강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탱크가 거의 비어 있는 경우 검사 기간을 짧게 할 수 있다. 즉, 탱크의 통기 밸브가 매우 큰 듀티비로 구동되고 그에 의해 배기할 체적이 큰 데도 불구하고 빨리 부압을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제5도의 시퀀스에 있어서 스텝 s5.10의 밀폐 검사는 부압 감소 구배만 판단하여 행해지지만,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밀폐 판단 방법은 그다지 중요하지 않고, 본질적인 것은 부압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방법이 이용되는 것이며, 이 부압 증대가 탱크 액량에 관계하는 탱크 통기 밸브의 개방 듀티비로 행해지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원리는 밀폐 검사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알아야 한다. 예를 들면, 독일연방공화국 특허 출원 P41 32 055호 또는 P 42 03 100호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부압 증대 구배 혹은 부압 감소 구배를 이용하여 탱크 통기 장치의 막힘도 검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기재된 검사에 부가하여 이와 같은 검사를 실시할 수 있다. 중요한 것은 소요 부압이 탱크 액량에 의존하는 탱크 통기 밸브의 듀티비를 이용하여 조절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밀폐 검사시 부압을 증가시킬 때 탱크 통기 밸브를 개방시키는 듀티비가 탱크 액량에 관계되고 있으므로 탱크가 가득차 있을 때의 압력 증대가 너무 빠르거나 또는 너무 강하거나 하는 일이 방지되는 동시에 탱크가 거의 비어 있는 경우 검사 기간을 짧게 할 수 있다.

Claims (7)

  1. 내연 기관(17)을 구비한 차량의 탱크 통기 장치의 기능 능력을 검사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탱크 통기 장치가 탱크압 센서(11)을 구비한 탱크(10)과, 탱크 접속관(12)를 거쳐 탱크와 결합되고 차단 밸브(AV)에 의해 폐쇄 가능한 환기관(14)를 갖는 흡착 필터(13)과, 밸브 파이프(15)를 거쳐 흡착 필터와 결합되는 탱크 통기 밸브(TEV)를 구비한 차량의 탱크 통기 장치의 기능 능력을 검사하는 방법에 있어서, 가) 탱크 액량 검사를 실시하여 탱크 액량을 구하고, 구해진 탱크 액량을 기초로 하여 듀티비를 결정하며, 계속되는 밀폐 검사에서 상기 듀티비로 탱크의 통기 밸브를 개방하고, 나) 상기 밀폐 검사를 적어도 이하의 공정, 즉 나-1) 탱크 통기 밸브를 결정된 듀티비로 개방하고 차단 밸브를 폐쇄하며, 나-2) 압력에 관련하는 소정의 조건이 만족된 때 탱크 통기 밸브를 폐쇄하고, 나-3) 탱크 내에서 감소하는 부압의 부압 감소 구배를 구하며, 나-4) 구해진 부압 감소 구배를 이용하여 장치의 밀폐성을 판단하는 공정에 의해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탱크 장치의 기능 능력검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 가)는 이하의 공정, 즉 가-1) 탱크 통기 밸브를 소정의 듀티비로 개방하고 차폐 밸브를 폐쇄하며, 가-2) 탱크 내에서 증대하는 부압의 부압 증대 구배를 구하고, 가-3) 구한 부압 증대 구배를 기초로 하여 듀티비를 결정하고 계속되는 밀폐 검사에서 상기 듀티비로 탱크 통기 밸브를 개방하는 공정으로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 가-1) 또는 나-1)에 있어서 희박 보정 검사가 행해지고, 얻어진 희박 보정이 소정의 임계치를 넘을 때는 처리를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2항에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의 액량 검사 및 밀폐 검사가 내연기관의 소정의 운전 상태일 때만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탱크의 액량 검사가 행해지는 공전 단계가 그 직후의 밀폐 검사에 대해 충분히 길지 않았을 때는, 밀폐 검사는 그후의 다음 공전 단계중 하나에서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탱크 액량 검사 종류후 소정 기간 내에 밀폐 검사에 대한 조건이 얻어질 때에만 밀폐 검사가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내연 기관(17)을 구비한 차량의 탱크 통기 장치의 기능 능력을 검사하는 장치로서, 상기 탱크 통기 장치가 탱크압 센서(11)을 구비한 탱크(10)과, 탱크 접속관(12)를 거쳐 탱크와 결합되고 차단 밸브(AV)에 의해 폐쇄 가능한 환기관(14)를 갖는 흡착 필터(13)과, 밸브 파이프(15)를 거쳐 흡착 필터와 결합되는 통기 밸브(TEV)를 구비하고, 시간 측정 장치(25)와, 탱크압 센서와 시간 측정 장치로부터의 신호를 부압 변화 구배를 계산하는 구배 계산 장치(24)와, 구배 계산 장치로부터의 신호를 기초로 한 탱크 통기 장치의 기능 능력을 판단하는 판단 장치(18)과, 부압 변화 구배를 검출할 수 있도록 탱크 통기 밸브와 차단 밸브의 개폐를 시간적으로 제어하는 시퀀스 제어 장치(19)를 갖는 차량의 탱크 통기 장치의 기능 능력을 검사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퀀스 제어 장치가 이하의 시퀀스, 즉 가) 탱크 액량 검사를 실시하여 탱크의 액량을 구하고, 구해진 탱크 액량을 기초로 하여 듀티비를 결정하며, 계속되는 밀폐 검사에서 상기 듀티비로 통기 밸브를 개방하고, 나) 상기 밀폐 검사를 이하의 공정, 즉 나-1) 탱크 통기 밸브를 결정된 튜티비로 개방하고 차단 밸브를 폐쇄하며, 나-2) 압력에 관련하는 소정의 조건이 만족된 때 탱크 통기 밸브를 폐쇄하고, 나-3) 탱크 내에서 감소하는 부압의 부압 감소 구배를 구하며, 나-4) 구해진 부압 감소 구배를 이용하여 장치의 밀폐성을 판단하는 공정에 의해 실시하는 시퀀스를 실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탱크 통기 장치의 기능 능력 장치.
KR1019940002417A 1993-02-11 1994-02-08 차량의 탱크통기 장치의 기능 능력을 검사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2346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P4303997.9 1993-02-11
DE4303997A DE4303997B4 (de) 1993-02-11 1993-02-11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Tankentlüftungsdiagnose bei einem Kraftfahrzeu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34603B1 true KR100234603B1 (ko) 1999-12-15

Family

ID=6480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2417A KR100234603B1 (ko) 1993-02-11 1994-02-08 차량의 탱크통기 장치의 기능 능력을 검사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353771A (ko)
JP (1) JP3474613B2 (ko)
KR (1) KR100234603B1 (ko)
DE (1) DE4303997B4 (ko)
FR (1) FR27046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312720A1 (de) * 1993-04-20 1994-10-27 Bosch Gmbh Robert Tankentlüftungsanlage für ein Kraftfahrzeug sowie Verfahren zu deren Betreiben
DE4312721A1 (de) * 1993-04-20 1994-10-27 Bosch Gmbh Robert Tankentlüftungsanlage sowi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Überprüfen der Funktionsfähigkeit eines Tankentlüftungsventils
US5560347A (en) * 1994-05-02 1996-10-01 General Motors Corporation Conductive foam vapor sensing
JPH084569A (ja) * 1994-06-22 1996-01-09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蒸発燃料制御装置
DE4427688C2 (de) * 1994-08-04 1998-07-23 Siemens Ag Verfahren zum Überprüfen der Funktionstüchtigkeit einer Tankentlüftungsanlage für ein Kraftfahrzeug
DE4429307C1 (de) * 1994-08-18 1995-12-21 Freudenberg Carl Fa Vorrichtung zum vorübergehenden Speichern und dosierten Einspeisen von im Freiraum einer Tankanlage befindlichen flüchtigen Kraftstoffbestandteile in das Ansaugrohr einer Verbrennungskraftmaschine
US5488936A (en) * 1994-09-12 1996-02-06 Ford Motor Company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evaporative purge flow
US5614665A (en) * 1995-08-16 1997-03-25 Ford Motor Company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an evaporative purge system
DE19538775A1 (de) * 1995-10-18 1997-04-24 Bosch Gmbh Robert Verfahren zur pneumatischen Prüfung der Funktionsfähigkeit einer Tankentlüftungsanlage
US5671718A (en) * 1995-10-23 1997-09-30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 flow of vapor in an evaporative system
JP3317121B2 (ja) 1996-01-25 2002-08-2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バポシステムおよびその診断方法
JP3322119B2 (ja) * 1996-03-04 2002-09-09 三菱電機株式会社 燃料蒸散防止装置の故障診断装置
US5685279A (en) * 1996-03-05 1997-11-11 Chrysler Corporation Method of de-pressurizing an evaporative emission control system
JP3411768B2 (ja) * 1996-12-13 2003-06-0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バポシステムの診断装置
US5957115A (en) * 1997-02-12 1999-09-28 Siemens Canada Limited Pulse interval leak detection system
JP3367373B2 (ja) * 1997-03-28 2003-01-1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蒸発燃料処理装置の診断装置
US5868120A (en) * 1997-06-30 1999-02-09 Siemens Canada Limited Fuel vapor management system for motor vehicles
GB9723595D0 (en) * 1997-11-08 1998-01-07 Smiths Industries Plc Autoclaves
DE19830234C2 (de) * 1998-07-07 2000-06-08 Daimler Chrysler Ag Verfahren zum Prüfen einer Tankanlage in einem Kraftfahrzeug auf Dichtheit
DE19836295B4 (de) * 1998-08-11 2004-07-08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r Prüfung der Funktionsfähigkeit einer Tankentlüftungsanlage eines Fahrzeugs
US6282945B1 (en) * 1999-12-16 2001-09-04 Siemens Automotive, Inc. Method and system for aggressive cycling of leak detection pump to ascertain vapor leak size
DE10147977A1 (de) 2001-09-28 2003-04-10 Volkswagen Ag Verfahren zum Erkennen einer Leckage im Einlasskanal eines Verbrennungsmotors und entsprechend eingerichteter Verbrennungsmotor
DE102007018232A1 (de) * 2007-04-18 2008-10-23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r Diagnose eines Tankentlüftungssystems eines Fahrzeugs und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DE102021113976A1 (de) 2021-05-31 2022-12-01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Betrieb eines Tankentlüftungsventils sowie computerlesbares Speichermedium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929506A1 (de) * 1989-09-06 1991-03-14 Moto Meter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messen des fluessigkeitsinhalts von geschlossenen fluessigkeitstanks
DE4003751C2 (de) * 1990-02-08 1999-12-02 Bosch Gmbh Robert Tankentlüftungsanlage für ein Kraftfahrzeug und Verfahren zum Überprüfen deren Funktionstüchtigkeit
DE4012111C1 (ko) * 1990-04-14 1991-03-07 Audi Ag, 8070 Ingolstadt, De
DE4111360A1 (de) * 1991-04-09 1992-10-15 Bosch Gmbh Rober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pruefen einer tankentluefungsanlage
DE4112481A1 (de) * 1991-04-17 1992-10-22 Bosch Gmbh Rober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ueberpruefen der funktionsfaehigkeit einer tankentlueftungsanlage
DE4122975A1 (de) * 1991-07-11 1993-01-14 Bosch Gmbh Robert Tankentlueftungsanlage fuer ein kraftfahrzeug sowi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ueberpruefen von deren funktionsfaehigkeit
DE4124465C2 (de) * 1991-07-24 2002-11-14 Bosch Gmbh Robert Tankentlüftungsanlage und Kraftfahrzeug mit einer solchen sowi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Prüfen der Funktionsfähigkeit einer solchen
US5237979A (en) * 1991-09-02 1993-08-24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Evaporative fuel control apparatu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DE4132055A1 (de) * 1991-09-26 1993-04-01 Bosch Gmbh Rober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pruefen der funktionsfaehigkeit einer tankentlueftungsanlage
US5261379A (en) * 1991-10-07 1993-11-16 Ford Motor Company Evaporative purge monitoring strategy and system
DE4203100A1 (de) * 1992-02-04 1993-08-05 Bosch Gmbh Rober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pruefen der funktionsfaehigkeit einer tankentlueftungsanlage
US5297528A (en) * 1992-06-30 1994-03-29 Suzuki Motor Corporation Evaporation fuel control apparatus for engine
US5297529A (en) * 1993-01-27 1994-03-29 Siemens Automotive Limited Positive pressure canister purge system integrity confirmation
US5411004A (en) * 1993-02-03 1995-05-02 Siemens Automotive Limited Positive pressure canister purge system integrity confirm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4303997A1 (de) 1994-08-18
DE4303997B4 (de) 2006-04-20
US5353771A (en) 1994-10-11
JPH06249095A (ja) 1994-09-06
FR2704648B1 (fr) 1997-01-10
FR2704648A1 (fr) 1994-11-04
JP3474613B2 (ja) 2003-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4603B1 (ko) 차량의 탱크통기 장치의 기능 능력을 검사하는 방법 및 장치
JP3516599B2 (ja) 蒸発燃料処理装置のリーク診断装置
JP3192145B2 (ja) タンク液面検出方法および装置
US7204239B2 (en) Failure diagnostic apparatus and failure diagnostic method for in-tank canister system
US7409947B2 (en) Fuel vapor treatment apparatus
US7219535B2 (en) Leakage diagnosis apparatus for fuel vapor purge system and method thereof
JP3073010B2 (ja) 自動車のタンク通気装置及びその機能正常性を検査する方法
JP3614433B2 (ja) 正圧診断装置を含んだキャニスタパージシステム
US7383826B2 (en) Fuel vapor treatment apparatus, system having the same,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6220229B1 (en) Apparatus for detecting evaporative emission control system leak
JP3089687B2 (ja) 燃料蒸発ガス状態検出装置
US5629477A (en) Testing apparatus for fuel vapor treating device
JP3253994B2 (ja) タンク通気装置とその気密性を検査する方法
US5666925A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diagnosing a tank-venting system
US616142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agnosing leaks of fuel vapor treatment unit
US7165447B2 (en) Failure diagnostic apparatus for fuel vapor purge system and fuel vapor purge apparatus and combustion engine having failure diagnostic apparatus
US611966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agnosing leakage of fuel vapor treatment unit
JP2000073883A (ja) 内燃エンジンの蒸発燃料処理装置
US6308559B1 (en) Two stage monitoring of evaporative purge system
JP2000065671A (ja) 容器とくにタンク通気装置の機能性の検査方法
JP3412678B2 (ja) 蒸発燃料処理装置のリーク診断装置
JP2004117355A (ja) 容器の気密検査方法および装置
JP3412683B2 (ja) 蒸発燃料処理装置のリーク診断装置
JP4123970B2 (ja) 蒸発燃料処理装置のリーク診断装置
JP3340380B2 (ja) 蒸発燃料処理装置のリーク診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9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