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3893B1 -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233893B1 KR100233893B1 KR1019950035269A KR19950035269A KR100233893B1 KR 100233893 B1 KR100233893 B1 KR 100233893B1 KR 1019950035269 A KR1019950035269 A KR 1019950035269A KR 19950035269 A KR19950035269 A KR 19950035269A KR 100233893 B1 KR100233893 B1 KR 10023389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creen
- cabinet
- rear cabinet
- stopper
- front cabine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4—Projection arrangements for image reproduction, e.g. using eidopho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4N9/3147—Multi-project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Overhead Projectors And Projection Screens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Abstract
투사 유닛은 전면에 스크린을 구비한 전캐비닛 및 내부에 광학 유닛 상자를 유지한 후 후캐비닛과의 대략 반으로 분할되어 있고, 후캐비닛은 전캐비닛의 내측에 슬라이드 수납 가능하게 설치되고 광학 유닛 상자의 대부분이 직접 외부로 드러나도록 바구니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투사 유닛의 경량화 및 컴팩트화를 도모하고, 수송시, 설치시 및 보관시의 작업성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스크린을 스크린 누름 쇠장식을 이용하여 전캐비닛의 전단 부분에 앞뒤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한 구성으로 하여, 투사 유닛을 복수개 쌓아 올린 상태에서도 간단하게 스크린을 교환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의 PJ 유닛단일체의 구조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제2도는 제1도에서 광학 유닛 상자를 분리한 상태에서 후캐비닛을 도시하는 도면.
제3도는 제1도의 PJ 유닛을 상부측에서 본 도면.
제4a도는 제1도에서 PJ 유닛의 후캐비닛을 오퍼레이션 위치 또는 쉬핑 위치로 고정하기 위해 샤프트를 고정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제4b도는 제4a도의 샤프트의 부분 홈의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
제5a도는 선단에 볼트를 갖는 샤프트를 2개 이용하여 PJ 유닛의 슬라이드 기구를 보다 확실하게 고정하기 위한 후캐비닛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5b도는 선단에 볼트를 갖는 샤프트를 이용하여 후캐비닛을 전캐비닛에 연결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제6a도는 선단에 너트를 갖는 샤프트를 2개 이용하여 PJ 유닛의 슬라이드 기구를 보다 확실하게 고정하기 위한 후캐비닛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6b도는 선단에 너트를 갖는 샤프트를 이용하여 후캐비닛을 전캐비닛에 연결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제7도는 실내 공간이 한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1도의 PJ 유닛을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미끄러뜨려 이동시켜서 대형 화면을 만들고 있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
제8도는 제1도의 PJ 유닛을 종횡으로 쌓아올릴 때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제9a도는 쉬핑 위치로 쌓아올려진 제1도의 PJ 유닛을 하단으로부터 순서대로 오퍼레이션 위치로 변경하는 것을 도시한 측면도.
제9b도는 후캐비닛의 인출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판을 배치한 부분적인 측면도.
제9c도는 후캐비닛의 인출 작업을 설명하는 부분적인 측면도.
제10도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의 PJ 유닛이 스크린 장착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11a도는 제10도의 B-B 선으로부터 본 단면도.
제11b도는 제11도의 a의 주요부의 확대도.
제11c도는 제11도의 b의 평면도.
제11d도는 제11a도에서 스크린을 배면측에서 전반으로 압출한 상태의 단면도.
제11e도는 숫나사의 형상을 도시하는 도면.
제11f도는 스크린 누름 쇠장식의 구멍 부근의 걸림(係止) 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
제11g도는 제11f도의 C- C선 단면도.
제12도는 제10도의 PJ 유닛을 여러단 쌓아올린 상태에서 스크린을 전방으로 압출한 경우의 단면도.
제13a도는 제10도의 D로 표시된 부분의 단면도.
제13b도는 스크린 누름 쇠장식의 구멍과 나사와의 사이에 횡방향으로 변위가 발생된 부적합함을 도시하는 단면도.
제14a도는 제10도의 스크린 누름 쇠장식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14b도는 제14a도의 스크린 누름 쇠장식을 나사로 스크린 장착틀에 단단히 죄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15도는 제14도의 스크린 누름 쇠장식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16도 내지 제19도는 스크린을 분리시켜 교환하는 작업 순서의 일예를 설명하는 사시도.
제20a도는 PJ 유닛을 쌓아 올린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스크린 교환 작업을 설명하는 사시도.
제20b도는 제20a도를 부분적으로 확대한 도면.
제21도는 제10도의 스크린 누름 쇠장식의 걸림부(係止部)에서 스크린을 분리하기 위한 수단을 설치한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22도는 제10도의 스크린 누름 쇠장식의 걸림부에 스크린 누름 쇠장식과 함께 스크린을 외측으로 인출함과 동시에 스크린을 분리하기 위한 수단을 설치한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23도는 제10도의 스크린 누름 쇠장식의 걸림부에 스크린 누름 쇠장식과 함께 스크린을 외측으로 인출함과 동시에 스크린을 분리하기 위한 다른 수단을 설치한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24도는 종래의 PJ 유닛 단일체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25도는 종래의 PJ 유닛 단일체가 종횡 방향으로 단쌓기되어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고 있는 것을 도시하는 사시도.
제26도는 제25도의 A-A 선으로 표시된 부분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횡 빔 2 : 플랜지부
3 : 광학 유닛 상자 4a, 4b : 샤프트
5 : 스토퍼 6 : 스크린 장착틀
8 : 전캐비닛 9 : 후캐비닛
13 : 골조 프레임 14 : 스크린 누름 쇠장식
33 : 스크린
본 발명은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업무용의 대형화면 장치를 제공하기 위하여 소형 크기의 투사 유닛(입방체 투사 디스플레이라고도 칭하며, 이하, "PJ 유닛"이라 한다)을 복수개 종횡 방향으로 여러단 쌓아 올려 와이드 스크린화한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의 PJ 유닛의 캐비닛 구조 및 스크린 장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보다 현장감 있는 영상을 많은 사람이 시청하기 위한 대형 화면 표시 장치로서 대형 비디오 프로젝터(투사식 디스플레이)가 있다. 이것은 적색, 청색, 녹색의 3원색에 따른 3개의 CRT 화상을 40 인치에서 60 인치 정도까지의 대형 스크린에 투사하는 것으로, 전면 투사식과 배면 투사식이 있다.
최근, 이와 같은 대형의 투사식 디스플레이의 성능은 상당히 향상되어 있다고 할 수 있지만, 화면의 밝기나 지향성 등은 CRT 디스플레이에 비하면 다소 뒤떨어진다. 한편, CRT 디스플레이는 가정용 텔레비전 수상기로서 널리 보급되고 있지만, 40 인치형까지가 한도로 되어 있다.
그래서, 최근에는 60 인치를 넘는 대형 스크린을 실현하기 위해서, 1개의 대형 화면보다도 복수개의 작은 화면을 복수개 조합하여 전체적으로 1개의 대형 화면을 실현하는 방식이 이용되고 있고, 예컨대, 상기 배면 투사식 디스플레이인 소형 크기의 PJ 유닛을 복수개 종횡 방향으로 여러단 쌓아올려 와이드 스크린화한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등이 일반적이다.
제24도는 종래의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의 PJ 유닛 단일체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제24도에서 PJ 유닛(30A)의 캐비닛은 동체(31), 스크린(33) 및 상기 스크린(33)을 설치하기 위한 스크린 장착틀(32)로 이루어져 있고, 동체(31)의 내측에는 도시 생략한 회로 부분, 투사관 부분, 렌즈 부분으로 이루어진 광학 유닛 상자(프로젝터)(34)가 수납되어 있다. 동 도면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동체(31)의 길이와 스크린 장착틀(32)의 길이를 합친 PJ 유닛(30A)의 캐비닛의 전체 길이는 스크린(33)의 중심부에 있어서, 상기 광학 유닛 상자(프로젝터)(34)로부터의 투사광이 광학 설계상의 정규의 촛점을 연결했을 때에 스크린(33)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의 영상이 투사되는 거리로 결정된다.
제25도는 종래의 PJ 유닛 단일체가 종횡 방향으로 여러단 쌓아 올려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고 있는 것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여기서는 4개의 PJ 유닛(30A, 30B, 30C, 30D)으로 구성된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를 예로서 설명한다.
제25도에서, PJ 유닛(30A, 30B, 30C, 30D)의 전면에 배설된 스크린(33, 35, 36, 37)은 PJ 유닛(30A~30D)이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에 단쌓기가 되었을 때에, 인접한 각 스크린, 즉 각 PJ 유닛 단일체간에 있어서 약간의 극간도 발생하지 않도록 각직각 정밀도가 뛰어난 구조로 마무리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장치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PJ 유닛(30A)의 캐비닛의 전체 길이(스크린 장착틀(32)의 길이 + 동체(31)의 길이)가 광학 설계상의 정규 치수거리와 동일한 크기이고, 이 긴 전체 길이대로 수송·보관·조립(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로의 조립)을 행하지 않으면 안되며, 특히, 깊이가 좁은 장소에서의 설치 작업시 등에서 캐비닛을 회전시킬 필요가 생기면, 작업성의 저하가 현저하다.
또한, 광학 유닛 상자(34)로부터 스크린(33)까지의 사이는 단순한 공간(빈공간)이고, 영상이 투사되고 있을 때 이외에는 유효하지 않다. 즉, 수송시에 있어서는 쓸데없는 용적을 수송할 필요가 생기며, 보관시에 있어서는 넓은(쓸데없는) 보관 공간을 필요로 한다.
또, 캐비닛 후방에 있어서, 광학 유닛 상자(34)와 동체(31)가 이중 구조로 되어있기 때문에, 이중 구조에 의한 재료 만큼의 무게가 중복되고, 또한, 제조 비용의 상승에 결부된다. 특히, 무게에 관하여 말하자면, 복수개의 PJ 유닛 단일체를 다수개 겹쳐 쌓아서 대형 화면을 구성할 때 등에 영향이 크며, 1 대마다의 PJ 유닛 단일체의 중량이 약간의 증가가 대형 화면을 구성하는 PJ 유닛 단일체 중량의 총중량으로서 매우 큰 영향력을 가지게 되며, 예컨대, 겹쳐 쌓을 때의 캐비닛의 내하중 강도나 취급의 용이함에 관하여 중대한 영향을 주는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제26도는 제25도의 A-A 선으로 관측된 부분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제26도와 같이 PJ 유닛(30A)의 캐비닛은 동체(31), 스크린 장착틀(32), 스크린(33) 및 스크린 누름 쇠장식(38)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스크린(33)은 배면측의 프레넬부(33B)와 표면측의 렌티큘러부(33A)로 이루어지며, 스크린 장착틀(32)과 스크린 누름 쇠장식(38)에 의해 유지된다. 이 스크린 장착틀(32)은 스크린(33)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구성되어 있다.
스크린 장착틀(32)은 스크린(33)의 표면측으로 절곡되도록 하여 구성되는 걸림부(32A)와, 외주를 둘러싸도록 구성되는 틀부(32B)로 이루어지며, 이 스크린 장착틀(32)의 틀부(32B)는 나사(39)로써 동체(31)에 체결되어 고착된다. 또, 이 나사(39)는 인접한 PJ 유닛(예컨대 30A, 30B)끼리 손상을 주지 않도록 스크린 장착틀(32)의 외주면을 포함하는 면내에 나사의 머리가 오도록 접시형 나사(39)가 이용되고 있다.
한편, 스크린 누름 쇠장식(38)이 스크린 배면측에 설치되어 있고, 이 스크린 누름 쇠장식(38)과 상기 스크린 장착틀(32)의 걸림부(32A)와의 사이에 스크린(33)을 끼워 넣도록 하여 스크린(33)이 부착된다. 이 스크린 누름 쇠장식(38)은 판형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한쪽 단부가 반대측의 단부를 포함하는 평면부와 거의 직교하도록 절곡되어 있다. 이 절곡된 부분(38A)과 상기 걸림부(32A)와의 사이에 스크린(33)을 끼우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스크린 누름 쇠장식(32)에는 나사(40)를 관입하기 위하여 나사 지름보다 약간 큰 구멍이 설치되어 있고, 이 구멍으로부터 스크린 장착틀(32)에 설치된 나사 구멍에 나사(40)를 끼움으로써, 이 스크린 누름 쇠장식(38)은 고정된다.
또, 스크린 장착틀(32)의 스크린측의 면에는 스크린 외주와 스크린 장착틀과의 사이에 공간부(41)가 설치되고 있고, 적절한 정도의 장력으로써 스크린(33)을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다른 PJ 유닛(30B~30D)도 동일한 구성이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에 있어서는 PJ 유닛(30A~30D)을 복수단 쌓은 후, 스크린 등의 교환 보수 작업을 행하는 경우, 스크린을 교환하는 PJ 유닛 이외의 PJ 유닛을 모두 분리하고 나서 작업해야만 하기 때문에 매우 불편하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것은 스크린 장착틀(32)의 고정에 이용되고 있는 접시형 나사(39)를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를 쌓아 올린 상태로 떼어낼 수 없는 것에 의한다. 따라서, PJ 유닛의 수가 증가한 경우 등, 발생하는 교환 작업에 많은 노동력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스크린(33)에는 예컨대, 아크릴재 등의 광학 특성이 뛰어난 것이 사용된다. 한편, 스크린 장착틀(32)에는 경량이고 강성 등의 면에서 알루미늄재가 이용되고 있다. 이 때문에, 온도 또는 습도에 의한 신축에 차이가 있고, 스크린(33)을 평탄하게 유지하기 위해 스크린 장착틀(32)과 스크린(33)의 외주의 사이에 공간부(41)를 설치하지 않으면 안된다. 따라서, 충분한 폭치수를 갖는 걸림부(32A)가 필요하기 때문에, 이것에 의해 영향을 받아 PJ 유닛(30A~30D)간의 메지(경계선)가 커지며, 화면이 보기 흉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송 작업, 보관 작업, 설치 작업 및 부품의 교환 작업 등을 효율적으로 행하고, 작업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송시나 보관시에 있어서의 공간의 저감과, 복수개의 PJ 유닛의 설치 작업시 등에 있어서 PJ 유닛을 쌓아올릴 때의 작업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크린의 교환 작업의 효율화를 도모한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래서, 제1 발명에 의한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투사 유닛으로 구성되어 대형 멀티 영상을 만들어내는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전캐비닛과 후캐비닛과의 대략 반으로 분할된 구조를 가진 투사 유닛과 ; 상기 전캐비닛에 장착되어 배면측으로부터 투사되는 영상을 영사하는 스크린과 ; 상기 후캐비닛의 내부에 유지되어 상기 스크린으로 영상을 투사하기 위한 회로 부분·투사관 부분·렌즈 부분으로 이루어진 기능을 수납한 광학 유닛 상자와 ; 상기 후캐비닛을 상기 전캐비닛의 내측에 슬라이드 수납하는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스크린은 스크린 유지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전캐비닛의 전단 부분에 앞뒤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후캐비닛은 상기 광학 유닛 상자의 대부분이 직접 외부로 드러나도록 바구니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발명에 의하면, 후캐비닛을 전캐비닛에 대하여 슬라이드 수납 가능하게 하고, 후캐비닛의 구조를 바구니 형상(틀 형상)으로 하여 광학 유닛 상자의 대부분이 직접 외부로 드러나도록 구성함으로써, 수송시, 설치시 및 보관시의 투사 유닛의 경량화 및 컴팩트화를 도모하여 수송시, 설치시 및 보관시의 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스크린을 스크린 유지 수단을 이용하여 캐비닛의 전단 부분에 앞뒤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정착하는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투사 유닛을 복수개 쌓아 올린 상태에서도 스크린을 전방으로 인출하여 간단하게 스크린 교환을 할 수 있다.
제2 발명에 의한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투사 유닛으로 구성되어 대형 멀티 영상을 만들어내는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전캐비닛과 후캐비닛과의 대략 반으로 분할된 구조를 가진 투사 유닛과 ; 상기 전캐비닛에 장착되어 배면측으로부터 투사되는 영상을 영사하는 스크린과 ; 상기 후캐비닛의 내부에 유지되어 상기 스크린으로 영상을 투사하기 위한 회로 부분·투사관 부분·렌즈 부분으로 이루어진 기능을 수납한 광학 유닛 상자와 ; 상기 후캐비닛을 상기 전캐비닛의 내측에 슬라이드 수납하는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후캐비닛은 상기 광학 유닛 상자의 대부분이 직접 외부로 드러나도록 바구니 형상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 발명에 의하면, 후캐비닛을 전캐비닛에 대하여 슬라이드 수납 가능하게 하고, 후캐비닛의 구조를 바구니 형상(틀 형상)으로서 광학 유닛 상자의 대부분이 직접 외부로 드러나도록 구성함으로써, 수송시, 설치시 및 보관시의 투사 유닛의 경량화 및 컴팩트화를 도모하여, 수송시, 설치시 및 보관시의 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할수 있다. 또한, 후캐비닛을 씌우고 있던 부재 만큼의 중량을 경감할 수 있고, 제작비용을 삭감할 수 있으며, 광학 유닛 상자의 방열율의 향상이나 유지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3 발명에 의한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면에 스크린을 구비하고, 이 스크린에 영상광을 확대 투사하는 광학계를 캐비닛내에 수납한 투사 유닛을 종횡 방향으로 복수개 배열하여 구성되어 대형 멀티 영상을 만들어내는 멀티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은 스크린 유지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캐비닛의 전단 부분에 앞뒤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3 발명에 의하면, 스크린을 스크린 유지 수단을 이용하여 캐비닛의 전단부분에 앞뒤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투사 유닛을 복수개 쌓아올린 상태에서도 스크린을 전방으로 인출하여 간단하게 스크린을 교환할 수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의 PJ 유닛 단일체의 구조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제1도에 있어서, PJ 유닛은 전캐비닛(8)과 후캐비닛(9)과의 대략 반으로 분할되어 있고, 전캐비닛(8)은 스크린(33)을 장착하는 스크린 장착틀(6)과, 횡 빔(1) 및 플랜지부(2)를 갖는 동체(7)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후캐비닛(9)은 후술하는 골조 프레임(13)과, 스토퍼(5) 및 샤프트(4a, 4b)로 구성되어 있다. 후캐비닛(9)의 내부에는 스크린(33)으로 투사하는 영상을 만들어내는 회로 부분·투사관 부분·렌즈 부분을 수납한 광학 유닛 상자(3)가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제2도는 광학 유닛 상자를 분리시킨 상태에서 후캐비닛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제2도에서 후캐비닛(9)을 구성하는 좌우 2개의 스토퍼(5)에는 각각 2 개씩 총 4개의 샤프트(4a, 4b)가 설치되어 있고, 하측의 2개의 샤프트(4b)에는 각각 부분 홈(10a, 10b, 11a, 11b)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측의 2개의 샤프트(4b)의 스토퍼(5)와 반대측 단부에는 샤프트를 회전시키기 위한 샤프트의 손잡이(12)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캐비닛(9)은 바구니 형상(틀 형상)으로 형성되지 있기 때문에, 상기 광학 유닛 상자(3)는 직접 외부로 드러나게 되지만, 이것에 의해 후캐비닛(9)은 골조 프레임(13)의 중량만으로 좋으며, 상기 광학 유닛 상자(3)와 동체(34)의 덮개와의 이중 구조(제24도 참조)에 의한 중량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고, 거의 광학 유닛 상자(3)만의 중량으로 할 수 있으며,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후캐비닛(9)의 덮개가 없는 것에 의해 광학 유닛 상자(3)의 냉각 효율을 높이거나 광학 유닛 상자(3)내의 각종 구성 부분(부품)등의 유지 관리를 용이하게 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제3도는 PJ 유닛을 상부측에서 본 도면이다.
제3도에서 횡 빔(1)은 동체(7)의 상측에 설치되고 있고, 후술하는 PJ 유닛을 쌓아 올릴 때에 인접한 PJ 유닛의 스크린 장착틀(6)에 손상을 입히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다음에, 제3도를 이용하여 본 발명인 후캐비닛(9)을 전캐비닛(8)의 내부로 수납하는 구조, 즉 슬라이드 수납 구조에 관해서 설명한다.
후캐비닛(9)의 골조 프레임(13)의 내측에는 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샤프트(4a, 4b)가 좌우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전캐비닛(8)의 후단부는 전술한 대로 플랜지부(2)를 가지고 있고, 상기 4개의 샤프트(4a, 4b)는 이 플랜지부(2)를 관통하여 통과하고 있다. 그리고 이 4개의 샤프트(4a, 4b)는 후캐비닛(9)을 앞뒤로 이동시킬 때의 가이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또한, 전캐비닛(8)으로부터 후캐비닛(9)을 인출할 경우에는 상기 4개의 샤프트(4a, 4b)의 전캐비닛(8)측의 종단에 각각 설치된 스토퍼(5)에 의해서 인출 길이에 제한을 받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스토퍼(5)가 플랜지부(2)와 접촉된 상태 이상으로 전캐비닛(8)으로부터 후캐비닛(9)이 인출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4개의 샤프트(4a, 4b)의 전캐비닛(8)측의 종단에 각각 설치된 스토퍼(5)에 의해 제한된, 상기 인출 길이의 제한치의 범위내에서 상기 후캐비닛(9)의 전캐비닛(8)의 내부로의 슬라이드 수납 및 상기 후캐비닛(9)의 전캐비닛(8)의 내부로부터의 인출이 상기 4개의 샤프트(4a, 4b)에 따라 원활하게 실행될 수 있다.
PJ 유닛을 이상과 같이 구성함으로써, PJ 유닛의 수송, PJ 유닛의 보관 또는 PJ 유닛을 종횡으로 쌓아 올리는 경우 등에, PJ 유닛의 후캐비닛(9)을 전캐비닛(8)의 내부로 슬라이드 수납된 상태로 행하면, 후캐비닛(9)의 대부분이 전캐비닛(8)의 내부로 슬라이드 수납된 상태, 즉 PJ 유닛 단일체의 용적이 약 반의 상태가 되며, 이 상태에서 상기 작업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공간 효율이 매우 좋아지고, 또한 PJ 유닛의 쌓아올리기(설치) 작업 등에 있어서의 효율을 크게 개선할 수 있다.
다음에, PJ 유닛의 후캐비닛(9)이 한도껏 전캐비닛(8)으로부터 인출된 상태, 즉, 정규 치수 위치(오퍼레이션 위치라고도 함)와, PJ 유닛의 후캐비닛(9)이 전캐비닛(8)에 슬라이드 수납된 상태, 즉 출하 상태(쉬핑 위치라고도 함)의 각각의 위치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기구를 확실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구조에 관해서 기술한다.
제4a도는 PJ 유닛의 후캐비닛을 오퍼레이션 위치 또는 쉬핑 위치로 고정하기 위해서 샤프트를 고정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4b도는 제4a도의 샤프트의 부분 홈의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좌우 각 1개의 샤프트에 각 2 개소(오퍼레이션 위치용 및 쉬핑 위치용)의 부분 홈을 설치한다. 즉, 제4도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4b)의 일부에 절결 홈(사선으로써 나타내는 부분 10a)을 깎는다.
또한,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2 개의 샤프트(4b)에 대하여, 오퍼레이션 위치의 위치 결정을 행하기 위한 부분 홈(10a, 10b) 및 쉬핑 위치의 위치 결정을 행하기 위한 부분 홈(11a, 11b)이 설치되어 있다. 이하, 샤프트(4b)의 부분 홈(10a)을 예를 들어, 그 고정 방법에 관해서 설명한다.
제4a도에 있어서, 이 부분 홈(10a)에 상대하도록 위치 결정 쇠장식 스토퍼(20)를 전캐비닛(8)의 플랜지부(2)의 후단에 설치한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 결정 쇠장식 스토퍼(20)는 회전축 나사부(22)를 축으로 스프링(21)에 의해 항상 아래쪽으로 꽉 눌러져 있다. 후캐비닛(9)은 이 샤프트(4b)의 부분 홈(10a)에 위치 결정 쇠장식 스토퍼(20)가 끼워 맞추어짐으로써 고정된다.
또한, 이러한 고정을 해제할 때에는 샤프트(4b)를 샤프트의 손잡이(12)를 이용하여 회전시켜서, 샤프트(4b)의 부분 홈(10a)를 포함하는 원주상에서 홈이 없는면과 위치 결정 쇠장식 스토퍼(20)가 접하는 위치에 양쪽의 접점을 맞추는 것으로 행한다. 이 상태에서는 샤프트(4b)는 슬라이드 운동이 자유로운 상태가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단순한 기구에 의해서, 후캐비닛(9)을 용이하게 오퍼레이션 위치 또는 쉬핑 위치로 고정시킬수 있다.
그런데, 위치 결정 쇠장식 스토퍼(20) 및 샤프트(4b)의 부분 홈(10a)의 끼워 맞춤에 의해 PJ 유닛을 오퍼레이션 위치 또는 쉬핑 위치로 고정하는 상기 방법은 PJ 유닛을 정지한 상태에서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매우 유효하다. 그러나, 예컨대 차량에 탑재된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와 같이 이동하면서 오퍼레이션 위치에서 상기 PJ 유닛을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고정 강도(안정성)의 면에서 문제가 있다. 즉, 이동 등에 수반되는 진동에 의해 상기 PJ 유닛의 오퍼레이션 위치가 변동(진동)하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하면서 PJ 유닛을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오퍼레이션 위치의 위치 변위가 발생하지 않는, 즉 샤프트(4b)의 슬라이드 기구를 보다 확실히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구조에 관해서 이하에 기술한다.
제5도의 (a) 및 (b)는 선단에 볼트를 갖는 샤프트를 2개 이용하여 PJ 유닛의 슬라이드 기구를 보다 확실하게 고정하기 위한 후캐비닛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a)는 후캐비닛을 도시하는 사시도, (b)는 후캐비닛을 전캐비닛에 대하여 연결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제5도의 (a) 및 (b)에 있어서, 후캐비닛(9)의 스토퍼(5)상의 샤프트(4a)의 부근에는 너트(51)가 설치되고, 전캐비닛(8)의 플랜지부(2)에는 이 샤프트(4a)와 평행하고 너트(51)와 동일축이 되도록 관통 구멍(53)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골조 프레임(13)의 후단의 지주(받침대)에도 동일하게 샤프트(4a)와 평행하고, 너트(51)와 동축이 되도록 관통 구멍(52)이 설치되어 있다. 즉, 골조 프레임(13)의 관통 구멍(52) 및 플랜지부(2)의 관통 구멍(53) 및 스토퍼(5)상의 너트(51)가 동일 직선상에 나란하도록 구성되고, 이들을 관통하도록 샤프트(4c)가 장착되도록 되어있다.
여기서, 샤프트(4c)는 샤프트(4a) 보다도 약간 길고, 선단이 너트(51)와 맞물리도록 피치가 절취된 볼트(55)로 되어 있어서, 이 볼트 부분은 플랜지부(2)의 폭보다 길고 밑부분에 단 부착부(볼트 지름(62)보다 굵다)(5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플랜지부(2)의 관통 구멍(53)의 구멍 지름은 샤프트(4c)의 선단의 볼트(55)의 볼트 지름(62)보다 크고, 샤프트(4c)의 축 지름(61)은 플랜지부(2)의 관통 구멍(53)의 구멍 지름보다 크며, 골조 프레임(13)의 관통 구멍(52)의 구멍 지름은 샤프트(4c)의 축 지름(61)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있어서, 후캐비닛(9)을 오퍼레이션 위치까지 인출한 상태에서 후캐비닛(9)의 외부의 후방으로부터 샤프트(4c)를 골조 프레임(13)의 관통 구멍(52)을 통하여 플랜지부(2)의 관통 구멍(53)을 통하여 스토퍼(5)상의 너트(51)에 상기 샤프트(4c)의 선단의 볼트(55)를 비틀어 넣어 끼워 맞추면, 플랜지부(2)의 후면과 샤프트(4c)의 단 부착부(54)가 밀착된 상태로 나사 멈춤 고정된다. 이것에 의해, 스토퍼(5)는 플랜지부(2)의 내측에 견고하게 압착되어 고정되기 때문에 이동하면서 PJ 유닛을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오퍼레이션 위치의 위치 변위를 방지할 수 있으며, 후캐비닛(9)은 안정된 위치 상태를 확보하게 된다.
이상은 샤프트(4c)의 선단의 볼트(55)와, 스토퍼(5)상의 너트(51)를 나사 멈춤 고정함으로써, 샤프트(4b)의 슬라이드 기구를 보다 확실히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것이지만, 샤프트(4c)의 선단에 너트를 설치하고, 스토퍼(5)상에 볼트를 설치하여, 양쪽을 나사 멈춤 고정하는 것에 의해서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 구조에 관해서 이하에 기술한다.
제6도의 (a) 및 (b)는 선단에 너트를 갖는 샤프트를 2개 사용하여 PJ 유닛의 슬라이드 기구를 보다 확실하게 고정하기 위한 후캐비닛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a)는 후캐비닛을 도시하는 사시도, (b)는 후캐비닛을 전캐비닛에 대하여 연결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제6도의 (a) 및 (b)에 있어서, 후캐비닛(9)의 스토퍼(5)상의 샤프트(4a)의 부근에는 볼트(56)가 설치되어 있고(용접 등에 의해 고정), 전캐비닛(8)의 플랜지부(2)에는 이 샤프트(4a)와 평행하고 볼트(56)와 동축이 되도록 관통 구멍(57)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골조 프레임(13)의 프레임(13)의 후단의 지주에도 동일하게 샤프트(4a)와 평행하고 볼트(56)와 동축이 되는 관통 구멍(52)이 설치되어 있다. 즉, 골조 프레임(13)의 관통 구멍(52), 플랜지부(2)의 관통 구멍(57) 및 스토퍼(5)상의 볼트(56)가 동일 직선상에 나란하도록 구성되고, 이들에 관통 또는 걸어맞추도록 샤프트(4d)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샤프트(4d)는 샤프트(4a)보다도 약간 길고, 선단이 볼트(56)와 맞물리도록 피치가 절취된 선단 너트(58)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플랜지부(2)의 관통 구멍(57)의 구멍 지름은 볼트(56)의 외경보다 크고, 샤프트(4d)의 축 지름(61)은 플랜지부(2)의 관통 구멍(57)의 구멍 지름보다 크며, 골조 프레임(13)의 관통 구멍(52)의 구멍 지름은 샤프트(4d)의 축 지름(61)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있어서, 후캐비닛(9)을 오퍼레이션 위치까지 인출한 상태에서 후캐비닛(9)의 외부의 후방에서 샤프트(4d)를 골조 프레임(13)의 관통 구멍(52)을 통하여 스토퍼(5)상의 볼트(56)에 상기 샤프트(4d)의 선단 너트(58)를 비틀어 넣어 끼워 맞추면, 플랜지부(2)의 후면과 샤프트(4d)의 선단 부분이 밀착된 상태로 나사 멈춤 고정된다. 이것에 의해, 스토퍼(5)는 플랜지부(2)의 내측에 견고하게 압착되어 고정되기 때문에 이동하면서 PJ 유닛을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오퍼레이션 위치의 위치 변위를 방지할 수 있으며, 후캐비닛(9)은 안정된 위치 상태를 확보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샤프트(4d)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라도 오퍼레이션 위치에 있어서, 스토퍼(5)상의 볼트(56)가 플랜지부(2)의 관통 구멍(57)의 대부분을 막고, 외부로부터의 광이 동체(7)내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고, 이것에 의해, 스크린(33)에 표시되는 영상의 외부광 침입에 의한 화질의 열화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7도는 실내 공간이 한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PJ 유닛을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미끄러뜨려 이동시켜서 대형 화면을 만들고 있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받침(24)상에 PJ 유닛을 종횡 방향으로 쌓아올리는 작업을 행하는데에 포크 리프트(23)를 이용하여 행하고 있다.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 공간이 한정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는 PJ 유닛에 의한 대형 화면을 구축하는 경우가 있어서, 예컨대 PJ 유닛을 상술한 쉬핑 위치에 고정된 상태에서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 미끄러뜨려 이동시켜서 PJ 유닛에 의한 대형 화면을 구축하지 않으면 안되는 상황이 발생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작업 순서(또는 이것에 근접한 작업 순서)로 상기 PJ 유닛을 종횡으로 쌓아 올리는 작업을 행할 때에 PJ 유닛의 스크린(33)을 유지하고 있는 스크린 장착틀(6)의 전면단(코너)이 인접한 다른 PJ 유닛이나 이동 도중에 있는 다른 PJ 유닛 등에 맞부딪침으로서 특히 캐비닛의 각(코너)을 손상시키는 경우가 많이 발생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서, 상기한 바와 같이(제3도), 전캐비닛(8)의 상부단에 스크린 장착틀(6)보다 약간 상측으로 돌출하도록 횡 빔(1)을 설치하고 있고, 이것에 의해 PJ 유닛을 종횡으로 쌓아올릴 때에 캐비닛의 각(코너)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제8도는 PJ 유닛을 종횡으로 쌓아올릴 때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8도에서 공간이 한정되어 있는 상태, 즉 깊이가 받침(24)의 폭과 동일한 장소에 PJ 유닛을 종횡으로 쌓아올릴 때에 하부측에 위치하는 PJ 유닛의 횡 빔(1)이 상부측에 위치하는 PJ 유닛의 이동중(쌓아올리는 도중)에 서로의 스크린 장착틀(6)이 접촉하지 않도록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는 역할을 하여 캐비닛의 각(코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이 때, 하부측에 위치하는 PJ 유닛의 후캐비닛(9)은 오퍼레이션 위치 또는 쉬핑 위치 어느 위치라도 좋다.
제9도의 (a)~(c)는 후캐비닛을 쉬핑 위치에 고정한 상태로 쌓아 올려진 PJ 유닛을 하단으로부터 순서대로 오퍼레이션 위치로 변경하는 작업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제9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PJ 유닛을 쉬핑 위치에 고정한 상태로 쌓아올려 만들어진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의 각 PJ 유닛을 최하단의 PJ 유닛을 제외하고, 하단으로부터 상단을 향하여 순차적으로 후캐비닛(9)의 인출(오퍼레이션 위치로 한다) 작업을 행할 때, 후캐비닛(9)을 인출함에 따라서 후캐비닛(9)이 갖는 중량(자체 중량)에 의해 골조 프레임(13)이 아래쪽으로 왜곡되게 된다. 이 때문에, 제9a도의 2 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하단의 골조 프레임(13)의 후단의 지주 상부 내측과, 상단의 골조 프레임(13)의 후단의 지주 하부 외측이 접촉을 일으키고, 상단의 후캐비닛(9)의 인출을 원활하게 행할 수 없게 된다.
그래서, 제9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조 프레임(13)의 후단의 지주 상부 앞쪽에 적당한 경사각 α°를 갖는 작업용 판(71)을 설치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제9c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의 후캐비닛(9)의 인출 작업을 행할때에 상기 후캐비닛(9)이 갖는 중량(자체 중량)에 의해 골조 프레임(13)이 아래쪽으로 왜곡하더라도 골조 프레임(13)의 후단의 지주 상부 앞쪽에 설치된 작업용 판(71)의 경사면에 따라 상단의 골조 프레임(13)의 후단의 지주 하부가 들어 올려지고, 하단의 골조 프레임(13)의 후단의 지주 상부 내측과, 상단의 골조 프레임(13)의 후단의 지주 하부 외측이 접촉을 일으키는 일이 없어지고, 상단의 후캐비닛(9)의 인출 작업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제1도 내지 제9도에서 설명한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이하의 효과가 있다.
첫째로, 후캐비닛의 바구니 형상(틀 형상)이고, 내측의 광학 유닛 상자가 외부로 직접 드러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PJ 유닛 전체의 경량화가 가능하다.
둘째로, PJ 유닛이 분할되어 있는 것에 의해, 오퍼레이션 위치 또는 쉬핑 위치의 2 개를 선택할 수 있고 수송·보관·설치시 등의 각 상황에 따라서 PJ 유닛의 전체 길이를 선택할 수 있으며, 공간 효율 및 양호한 작업성을 얻을 수 있다.
세번째로, PJ 유닛의 후캐비닛의 샤프트가 후캐비닛을 전캐비닛에 수납할 때의 수납 동작의 가이드 역할을 달성함과 동시에, 상기 샤프트상에 설치된 부분 홈과 위치 결정 스토퍼에 의해 상기 오퍼레이션 위치 또는 쉬핑 위치를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고, 또한 출납 동작이 용이하다.
네번째로, 선단에 볼트 또는 너트를 갖는 샤프트를 이용하여 전캐비닛에 대하여 후캐비닛을 견고하게 또한 극간이 없는 상태로 고정할 수 있으므로, 이동하면서 PJ 유닛을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오퍼레이션 위치의 위치 어긋남에서 발생하는 영상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외부광의 입사에 기인한 PJ 유닛의 화질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다섯번째로, 전캐비닛 동체 상부에 설치한 횡 빔에 의해 좁은 한정된 공간내에서도 복수의 PJ 유닛의 쌓아 올리기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특히 PJ 유닛을 가로 방향으로 간단히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 때 상기 횡 빔에 의해 캐비닛의 각(코더)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작업성이 향상된다. 또한, 쉬핑 위치에서의 쌓아올리기 작업도 가능하고, 핸들링이 매우 용이하다.
여섯번째로, 상단의 후캐비닛의 인출 작업을 행할 때, 상기 후캐비닛이 자체 중량에 의해 아래쪽으로 왜곡하다라도 작업용 판의 경사면에 따라 상단의 지주 하부면이 들어 올려짐에 따라 왜곡이 교정되므로, 상단의 후캐비닛의 인출 작업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제10도는 제1도의 PJ 유닛의 스크린 장착 구조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캐비닛(8)의 동체(7)의 전단에는 스크린 장착틀(6)이 설치되어 있고, 스크린 장착틀(6)에는 후캐비닛(9) 내의 광학 유닛 상자에 의해 영상이 확대 투사되는 스크린(33)이 설치되어 있다. 이 스크린(33)은 제1 유지수단으로서의 스크린 누름 쇠장식(14)과 제2 유지 수단으로서의 스크린 장착틀(6에 의해 유지되고 있다. 이 스크린 장착틀(6)은 동체(7)에 일체적으로 설치되고 있고, 스크린 장착틀(6)과 스크린(33)을 둘러싸도록 하여 설치되는 스크린 누름 쇠장식(14)으로써 스크린(33)이 끼워져 있다. 또한, 스크린 누름 쇠장식(14)은 스크린 장착틀(6)의 4개 단의 주변 부분에 각각 배치되어 있고, 복수의 나사(15)에 의해 스크린 장착틀(6)에 고정되어 있다.
제11a도는 제10도의 B-B 선을 절취한 단면도로서, 스크린의 설치 구조를 설명한다. 또, 제11b도는 제11a도의 스크린 누름 쇠장식(14)의 고정부를 확대한 도면이고, 제11c도는 제11b도를 위에서 본 도면이고, 제11d도는 스크린부가 이동한 경우의 도면, 제11e도는 숫나사의 형상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제11f도는 스크린 누름 쇠장식(14)의 구멍(14E) 부근의 걸림 구조를 상부측에서 본 도면이고, 제11g도는 제11f도의 C-C 라인을 절취한 단면도이다.
제11a도에 있어서, 스크린(33)은 프레넬부(33B)와 렌티큘러부(33A)로 구성되며, 이 스크린(33)을 둘러싸도록 스크린 누름 쇠장식(14)이 설치되어 있다.
이 스크린 누름 쇠장식(14)은 얇은 두께의 금속(예컨대 스테인레스강)의 판형의 부재로써 구성되며, 한쪽 단부가 스크린 표면으로 절곡되도록 되어 있고, 이 절곡된 부분(걸림부)(14C)에 스크린(13)이 걸리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들 스크린 누름 쇠장식(14)의 다른쪽 단부는 소정의 치수를 두고 외주를 포함하는 면과 거의 직교하도록 절곡되어 있으며, 또, 소정의 치수를 두어 외주를 포함하는 면과 거의 평행하게 되도록 절곡되어 있다. 이 외주와 거의 평행하게 된 절곡된 부분(14D)에 이 스크린 누름 쇠장식(14)을 고정하기 위한 구멍(14E)이 설치되어 있다. 이 구멍(14E)은 거의 타원형을 이루고 있고, 스크린(33)을 향하여 타원의 장축이 오도록 설치되고 있다(제11c도 참조). 또한, 이 구멍(14E)은 외주를 다라서 복수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11도의 (f) 및 (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 누름 쇠장식(14)의 구멍(14E)의 부근에서 구멍(14E)의 스크린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숫나사(15)의 헤드부 하부면이 당접가능한 소정의 톺이 H로 돌출부(14W)를 설치하고, 이 돌출부(14W)를 포함한 높이 H를 제11g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숫나사(15)의 나사가 절취되어 있지 않은 단부(15A)의 높이 h 보다 약간 높도록 설정한다(h〈H). 따라서, 제11도의 (a)~(c)에; 도시하는 스크린 고정 상태에서는 숫나사(15)의 헤드부가 구멍(14E) 부근의 돌출부(14W)에 당접하여 돌출부(14W)를 압착하여 스크린 누름 쇠장식(14)을 고정하도록 가능한다.
한편, 이 스크린 누름 쇠장식(14)을 유지하는 동시에, 상기 걸림부(14C)와 쌍이 되어 스크린(33)을 끼우기 위한 받침부(6A)를 갖는 스크린 장착틀(6)이 스크린의 배면측에 배설되어 있다. 이 스크린 장착틀(6)은 동체(7)와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고, 스크린(33)의 외주보다도 큰 동체(7)와 거의 동일형의 외주를 갖는다. 이 스크린 장착틀(6)의 스크린측의 단부에 받침부(6A)가 설치되고 있고, 이 받침부(6A)는 스크린(33)의 외주를 포함하는 면내에 스크린 장착틀(6)의 외주 에지가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스크린 장착틀(6)의 스크린(33)의 단면측에는 인접한 유닛간에 간극이 생기도록 되어 있다. 이 간극이 설치된 부분에 얇은 판형의 스크린 누름 쇠장식(14)이 배설되어 있고, 이들 스크린 누름 쇠장식(14)의 2매의 판두께의 합을 인접한 유닛간의 간극보다 작게 설정함으로써 스크린 누름 쇠장식(14)을 배치한 후에도 스크린 누름 쇠장식간에 공간부(17)(제12도 참조)가 설치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스크린 장착틀(6)에는 받침부(6A)로부터 소정의 치수를 사이에 두고 오목부(6B)가 설치되고 있고, 여기서 스크린 누름 쇠장식(14)의 절곡부(14D)와 오목부(6B)의 저면이 접하도록 되어 있다. 이 저부에는 오목부(6B)의 단면으로부터 소정의 치수 k를 사이를 두고 암나사(6C)가 절취되어 있고, 스크린 누름 쇠장식(14)의 구멍(14E)을 통해서 삽입되는 숫나사(15)와 나사 결합하게 되어 있다. 또한, 오목부(6B)의 저면으로부터의 높이는 숫나사(15)를 끼운 후에도 인접한 PJ 유닛의 스크린 누름 쇠장식(14)으로 이 숫나사(15)의 헤드부가 영향을 받지 않을 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한편, 이 숫나사(15)에는 제11e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15)의 헤드부의 하측에 나사가 절취되어 있지 않은 높이 h의 원주형 단부(15A)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1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숫나사(15)가 스크린 장착틀(6)의 암나사(6C)에 삽입된 후, 스크린 장착틀(6)에 설치된 오목부(6B)의 바닥면으로부터 이 단부(15A)가 돌출하여 스크린 누름 쇠장식(14)의 구멍(14E)으로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이 단부(15A)의 높이 h는 스크린 누름 쇠장식(14)의 판두께 d 보다 약간 크게 설치되어 있고, 또한, 거의 타원형의 구멍(14E)의 단축 방향의 길이는 단부(15A)의 직경보다 크게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단부(15A)를 축으로 하여 거의 타원형의 구멍(14E)의 장축을 따라서 스크린 누름 쇠장식(14)이 함께 스크린을 미끄러뜨릴 수 있도록 하여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들 숫나사(15)와 타원형의 구멍(14E)으로 고정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제11도의 (f) 및 (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리 누름 쇠장식(14)의 구멍(14E)의 부근에서 또한 구멍(14E)의 스크린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숫나사(15)의 헤드부의 하부면이 당접가능한 소정의 높이 H에서 돌출부(14W)를 설치하였으므로, 제11도의 (a)~(c)에 도시하는 스크린 고정 상태에서는 숫나사(15)의 헤드부가 구멍(14E) 부근의 돌출부(14W)에 당접하여 돌출부(14W)를 압착하고, 스크린 누름 쇠장식(14)을 확실하게 고정하여 스크린(33)을 확실하게 유지한다.
이렇게 하여, 스크린 설치 및 교환시를 제외하고는 스크린(33)을 스크린 누름 쇠장식(14)과 스크린 장착틀(6)의 받침부(6A)로 끼우는 한편, 스크린(33)을 분리할 때에는 스크린과 함께 스크린 누름 쇠장식(14)을 숫나사(15)의 단부(15A)를 축으로 하여 구멍(14E)에 따르도록 하여 스크린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제11d도 참조).
또한, 상기 설명에서는 제10도의 B-B 선을 절취한 종단면으로서 설명하였지만, 횡방향의 단면에 관해서도 동일하다.
다음에 제10도의 작용을 제12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제12도는 복수의 PJ 유닛(10, 10A, 10B)을 쌓아 올린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의 단면도이다.
제1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크린 장착틀(6)은 스크린(33)측보다 동체(7)측의 외주가 크도록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즉, 제12도에 도시하는 외형 치수 a, c간에서는 a〉c), 인접한 유닛(10, 10A)과의 사이 및 유닛(10, 10B)과의 사이의 스크린측에는 간극(a-c)이 생긴다. 또한, 인접한 유닛(10과 10A 및 10과 10B)에 배설되는 각 스크린 누름 쇠장식(14)의 판두께의 합(2 x d)이 간극 [2 x (a-c)]보다 작아지도록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스크린 누름 쇠장식(14)이 서로 접촉하지 않는 구성으로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접한 스크린 누름 쇠장식(14)간에 공간부(17)를 추가로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거의 타원형의 구멍(14E)에 따라서 스크린 누름 쇠장식(14)을 이동하여 스크린(33)부만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스크린 누름 쇠장식(14)은 얇은 금속을 이용하기 때문에, 탄력성이 있고, 외측으로 개방시킴으로써 스크린(33)을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리한 후 스크린 누름 쇠장식(14)이 복원되어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가며, 언제나 설치 또는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공간부(17)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스크린(33)의 온도 혹은 습도에 의한 신축의 영향을 흡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11도의 (f) 및 (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 누름 쇠장식(14)의 타원형 구멍(14E)의 부근에서 구멍(14E)의 스크린측에 나사 멈춤되는 부분에 숫나사(15)의 헤드부 하부면이 당접가능한 높이 H의 돌출부(14W)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숫나사(15)에 의해 스크린 누름 쇠장식(14)을 압착할 때에 이 돌출부(14W)에 의해 부분적으로 강한 체결력을 부여시킬 수 있으며, 보다 확실하게 스크린(33)을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제10도의 실시예를 개량한 예를 제13도에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크린 횡방향의 설치 위치를 규제하기 위한 나사를 이용함으로써, 작업성의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제13도는 제10도의 D에서 본 단면도이다.
제1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의 나사만 거의 타원형의 구멍(14E)의 단축 방향의 길이와 가의 동일한 치수의 머리 지름을 갖는 나사(18)에 의해 스크린 누름 쇠장식(14)이 이동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다른 나사는 단부(15A)를 갖는 나사(15)로 구성되어 있다. 제13도의 작용을 설명한다.
제13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시 구멍(14E)의 단축 방향의 길이 g와 나사 단부(15A)의 지름 e 와의 사이에 차(헐거움 : g-e)가 있기 때문에, 횡방향으로 어긋나는 경우가 있었다(제13b도 참조).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중앙의 나사(18)가 위치 결정의 기능을 하고, 횡방향의 위치를 규제하기 때문에 교환 작업이 더욱 용이해진다.
동일하게, 제14도 및 제15도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14도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11도에서 도시한 스크린 누름 쇠장식(14)을 개량한 도면이다. 제14a도는 개량을 부가한 스크린 누름 쇠장식의 측단면도이고, 제14b도는 제14a도의 스크린 누름 쇠장식을 나사(15)에 의해 스크린 장착틀(6)에 체결하기 전의 모양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14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 누름 쇠장식(14M)은 스크린(33)의 표면측으로 한쪽 단부가 절곡되도록 하여 스크린(33)을 걸기 위한 걸림부(14F)가 설치된다. 이 스크린 누름 쇠장식(14M)의 다른쪽 단부가 소정의 치수를 두고 외주를 포함하는 면에 대하여 예각으로 절곡되어 있으며, 또한 이 절곡된 부분으로부터 소정의 치수를 두고 외주보다 작게 이 절곡된 부분과 거의 직교하도록 다시 절곡되어 있다. 이 절곡된 부분에 거의 타원형의 구멍(14G)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스크린 누름 쇠장식(14M)도 제11도의 스크린 누름 쇠장식(14)과 같고, 얇은 두께의 판형의 금속으로써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스크린 누름 쇠장식(14M)을 각각의 단 근처에 배치하고, 스크린(33)을 둘러싸도록 하여 스크린(33)을 유지하고 있다. 이 스크린 누름 쇠장식(14M)은 예각으로 절곡되어 있기 때문에, 체결되기 전에는 제14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멍(14G)의 스크린측 단부에 공극부 s가 설치되도록 되어 있다. 이 부분이 스프링백으로 되고, 이 부분이 없어지도록 체결되어 고정된다. 또한, 이 부분은 나사(15)의 단부(15)의 높이 h와 스크린 누름 쇠장식(14M)의 판두께 d 와의 차보다도 이 스크린 누름 쇠장식(14M)의 구멍부(14G)의 스크린측의 단부와 스크린 장착틀(6)과의 사이에 생기는 공극의 길이 t 쪽이 커지도록 설정되고, 체결대가 설치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15도는 제14도의 스크린 누름 쇠장식의 변형예의 측단면도이다.
제1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스크린 누름 쇠장식(14N)은 외주를 포함하는 면에 거의 직교하도록 하여 절곡되고, 또 이 절곡된 부분에 직각보다 큰 각도(둔각)를 갖도록 하여 절곡되어 있다. 이러한 스크린 누름 쇠장식(14N)을 각각 스크린(33)의 단 근처에 배치하고, 스크린(33)을 고정하고 있다. 이 스크린 누름 쇠장식(14N)도 제14a도의 스크린 누름 쇠장식(14M)과 같이 숫나사(15)를 체결하기 전에는 공극부가 발생되고, 체결된 후에는 공극부가 없어지도로 고정된다.
제14도 및 제15도의 작용을 설명한다.
제14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15)를 체결하기 전에, 스크린 누름 쇠장식(14M)과 스크린 장착틀(6)과의 사이에 공극부 s를 구멍부(14G)의 스크린(33)측의 단부에만 설치할 수 있으며, 이 공극부 s가 스프링백으로서 작용하기 때문에, 스크린(33)을 보다 확실하게 걸 수 있게 된다. 이것은 스프링 와셔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체결력이 커지고, 보다 확실하게 체결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것에 의해 걸림부(14F)에서 스크린(33)의 배면 방향으로 보다 큰 힘을 가할 수 있다. 또한, PJ 유닛을 스크린 배면측으로부터 어느 정도의 힘을 가하여 스크린(33)부를 스크린 누름 쇠장식(14M)과 함께 압출할 때, 스크린 누름 쇠장식(14M)에 스프링력(탄성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나사의 단부(15A)와 구멍의 일단이 부딪칠 때까지 미끄러뜨리면서 원활하게 압출할 수 있다. 또한, 스크린(33)을 압출하였을 때, 완전히 나사(15)의 단부(15A)와 구멍(14G)의 일단(도시우측의 단부)이 접촉된 후에는 스프링백 기능이 없어지기 때문에, 외측으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4도 및 제15도의 스크린 누름 쇠장식을 이용하며, PJ 유닛이 쌓아 올려져 있을 때에는 스프링백 기능에 의해 확실하게 스크린을 고정할 수 있고, 스크린의 교환시에는 이 스프링백 기능이 없어지며, 용이하게 스크린을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 제16도~제19도를 참조하여 스크린을 분리하여 교환하는 작업 순서의 일예를 설명한다.
제1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캐비닛(9)의 내부에 고정 수납되어 있는 광학 유닛 상자(3)를 걸림 수단을 해제하여 슬라이드가능한 상태로 한 후, 하단의 레일형의 골조 프레임(13)을 따라서 후방으로 슬라이드하여 인출하는 것에 의해 후캐비닛(9)의 내부로부터 분리시킨다.
그 후, 제1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캐비닛(8)의 내부로부터 스크린(33)의 배면측의 윗부분을 누름으로써, 스크린(33)과 상부, 좌측부 및 우측부의 스크린 누름 쇠장식(14)을 전방으로 압출한다.
다음에, 제1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의 스크린 누름 쇠장식(14)을 절곡하여 약간 변형시키는 것에 의해 스크린(33)을 상부의 스크린 누름 쇠장식(14)으로부터 떼어낸 후, 스크린(33)을 상부측으로 인출함으로써 스크린(33)을 분리한다.
다음에, 새로운 스크린(33)의 설치를 행한다. 상부의 스크린 누름 쇠장식(14)을 약간(7~10㎜ 정도) 후방으로 밀고, 새로운 스크린(33)을 좌우의 스크린 누름 쇠장식(14)의 내측으로 넣고, 하부의 스크린 누름 쇠장식(14)에 도달할 때까지 삽입한다. 삽입후, 제1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 누름 쇠장식(14)을 약간 변형시킴으로써, 다시 스크린(33)의 윗부분에 상부의 스크린 누름 쇠장식(14)을 건다. 그리고, 전면측에서 후방으로, 상부, 좌측부 및 우측부의 스크린 누름 쇠장식(14)을 스크린(33)과 함께 밀어넣는 것으로 스크린(33)의 설치를 완료한다.
제16도~제19도까지의 스크린 교환 작업은 제20a, 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PJ 유닛을 쌓아올린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태로 가능하다. 이것은 제1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PJ 유닛간에 공간부(17)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제16도~제19도 및 제20a, b도에서는 상부, 좌측부 및 우측부의 스크린 누름 쇠장식(14)을 전방으로 압출하고(즉, 슬라이드하고), 하부의 스크린 누름 쇠장식(14)은 이동시키지 않은 상태(즉, 고정된 상태)에서 스크린 교환을 행하는 작업예를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하부의 스크린 누름 쇠장식(14)을 고정하지 않더라도 좋음을 물론이다. 예컨대, 우측부, 상부 및 하부의 스크린 누름 쇠장식(14)을 전방으로 압출하고(즉, 슬라이드하고), 좌측부의 스크린 누름 쇠장식(14)을 이동시키지 않은 상태(즉, 고정된 상태)에서 스크린 교환을 행할 수도 있다.
제21도~제23도에 스크린 누름 쇠장식(14)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21도는 스크린 누름 쇠장식(14)의 걸림부(14C)에서 스크린(33)을 분리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절결부(14P)를 설치하여 개량을 행한 예이며, 교환 작업의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제2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결부(14P)를 스크린(33)의 표면측에 설치하고 있다. 이 절결부(14P)는 도면에서는 PJ 유닛 화면의 거의 대각선상에 적어도 2개 설치하고 있지만, 다수개 설치해도 좋다. 절결부(14P)에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삽입하는 등의 방법에 의해 스크린(33)을 스크린 누름 쇠장식(14)으로부터 간단히 떼어낼 수 있다. 즉, 외측에서 스크린(33)을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다.
또한, 제22도는 스크린(33)을 스크린 외측에서 분리할 수 있도록 추가로 개량을 행한 예이다. 제21도의 절결부(14P)의 쇠장식 부분을 절제하지 않고 세워진 돌출부(14Q)를 설치하고, 또, 이 돌출부(14Q)에 구멍(14R)을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이 구멍 부분(14R)에 와이어를 통과시켜 스크린(33)의 표면측으로 스크린 누름 쇠장식(14)을 인출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교환 작업을 행할 때, 내측에서 스크린을 누를 필요가 없이 외부에서 작업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제23도는 스크린(33)을 떼어낼 수 있도록 제21도의 실시예에 다시 개량을 행한 예이고, 스크린을 떼어내는 수단으로서 스크린(33)의 표면측에 팽창부(14T)를 설치하고 있다. 이 팽창부(14T)는 예컨대 튜브 가공(소위 변형 가공) 등을 이용하여 가공되어 있고, 스크린측으로 절곡된 단부측(14S)만 스크린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따라서, 이 절곡된 단부측(14S)에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삽입하는 등의 방법에 의해, 스크린 누름 쇠장식(14)을 인출하여 스크린(33)을 스크린 누름 쇠장식(14)으로부터 간단히 떼어낼 수 있다. 즉, 외측에서 스크린(33)을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다.
또한, 제21도~제23도에 도시한 스크린 누름 쇠장식의 스크린 분리 수단은 제11도에 도시한 형태의 스크린 누름 쇠장식(14)으로 한정되지 않고, 제14도 및 제15도에 도시한 형태의 스크린 주름 쇠장식(14M, 14N)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나사의 단부(15A) 및 나사의 헤드(18)를 축으로 하여 스크린 누름 쇠장식(14)(또는 14M, 14N)이 이동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쌓아 올린 경우에도 제1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이하게 스크린 누름 쇠장식(14)(또는 14M, 14N)과 함께 스크린(33)을 스크린 표면측으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술한 스크린 누름 쇠장식(14)(또는 14M, 14N)은 얇은 판두께의 금속으로써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탄력성이 있고, 스크린(33)부의 틀을 공구를 이용하여 외측으로 개방함으로써, 간단히 스크린(33)을 떼어낼 수 있다.
또한, 인접한 PJ 유닛간의 스크린측에 공간부(17)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종래예에서 설치되어 있던 공간부(27)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항상 적절한 장력으로써 스크린(33)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이 공간부(17)는 종래예에 비하여 매우 작기 때문에, 메지로 화면이 보기 흉하게 되는 일도 없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1 유지 수단을 이루는 스크린 누름 쇠장식(14, 14M, 14N)의 걸림부(14C 또는 14F)에 스크린 분리 수단으로서 절결부(14P) 또는 절결부를 절제하지 않고 돌출된 돌출부(14Q) 또는 팽창부(14T)를 각각 별도로 설치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절결부(14P)와 돌출부(14Q) 또는 절결부(14P)와 팽창부(14T)를 함께 스크린 누름 쇠장식(14, 14M, 14N)의 걸림부(14C 또는 14F)에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상의 제10도 내지 제23도에서 설명한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이하의 효과가 있다. 첫째로, PJ 유닛을 단쌓기한 후, 스크린 표면에 손상이 발생하여, 교환을 요하는 경우, 단쌓기하여 이루어진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를 붕괴하지 않고 스크린을 교환할 수 있다. 따라서, 교환 작업이 용이해지는 동시에, 새로운 부품을 추가하지 않고, 간단한 구성으로 보다 확실하게 스크린을 고정할 수 있다.
둘째로, 제1 유지 수단을 이루는 스크린 누름 쇠장식에 얇은 금속을 이용하여 인접한 PJ 유닛간에 공간부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종래예에서 설치되어 있는 공간부와 같은 효과가 얻어지며, 메지로 화면이 보기 흉하지 않을 정도로 알맞은 장력으로써 스크린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크린을 떼어낼 때에는 스크린을 이동한 후, 이 얇은 금속으로써 구성되는 제1 유지 수단을 외측으로 개방하는 것만으로도 간단히 스크린을 떼어낼 수 있다. 또, 스크린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이 쇠장식을 외측으로 개방하고, 제1 유지 수단에 스크린을 삽착하는 것만으로 탄성력에 의해 제1 유지 수단이 복원되어 스크린을 누르게 되기 때문에, 간단히 스크린 교환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세번째로, 제1 유지 수단에 스프링백 기능을 갖게 하고 있기 때문에, 확실하게 스크린을 고정시킴으로써, 수송시 또는 작업중에 스크린이 부주의하게 튀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네번째로, 스크린 장착틀의 단 근처에 배치되는 적어도 한 개의 원주부가 없는 나사에 의해 스크린의 설치 위치가 규제되기 때문에, 더욱 확실하고 안전하게 스크린을 설치할 수 있다.
다섯번째로, 스크린을 교환할 때, 제1 유지 수단의 걸림부에 스크린을 분리하기 위한 수단을 설치함으로써, 스크린을 떼어내는 작업이 보다 간단해지는 효과가 있다.
여섯번째로, 스크린을 교환할 때, 제1 유지 수단의 걸림부에 스크린을 분리하는 수단을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스크린을 떼어내는 작업이 보다 간단할 뿐만 아니라, 이 분리 수단에 설치된 구멍에 와이어를 걸고, 제1 유지 수단과 함께 스크린을 인출할 수 있으며, 모든 교환 작업이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의 외부에서 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일곱번째로, 제1 유지 수단의 걸림부에 설치된 팽창부에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삽입함으로써, 스크린을 제1 유지 수단과 함께 인출할 수 있기 때문에, 모든 교환 작업이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의 외부에서 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상 기술한 실시예에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발명의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Claims (8)
- 복수의 투사 유닛으로 구성되어 대형 멀티 영상을 만들어내는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전캐비닛(8)과 후캐비닛(9)과의 대략 반으로 분할된 구조를 가진 투사 유닛과 ; 상기 전캐비닛(8)에 장착되어 배면측으로부터 투사되는 영상을 영사하는 스크린(33)과 ; 상기 후캐비닛(9)의 내부에 유지되어 상기 스크린으로 영상을 투사하기 위한 회로부분·투사관 부분·렌즈 부분으로 이루어진 기능을 수납한 광학 유닛상자(3)와 ; 상기 후캐비닛(9)을 상기 전캐비닛(8)의 내측에 슬라이드 수납하는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스크린(33)은 스크린 유지 수단(14)을 이용하여 상기 전캐비닛(8)의 전단 부분에 앞뒤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후캐비닛(9)은 상기 광학 유닛 상자(3)의 대부분이 직접 외부로 드러나도록 바구니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 복수의 투사 유닛으로 구성되어 대형 멀티 영상을 만들어내는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전캐비닛(8)과 후캐비닛(9)과의 대략 반으로 분할된 구조를 가진 투사 유닛과 ; 상기 전캐비닛(8)에 장착되어 배면측으로부터 투사되는 영상을 영사하는 스크린(33)과 ; 상기 후캐비닛(9)의 내부에 유지되어 상기 스크린으로 영상을 투사하기 위한 회로 부분·투사관 부분·렌즈 부분으로 이루어진 기능을 수납한 광학 유닛상자(3)와 ; 상기 후캐비닛(9)을 상기 전캐비닛(8)의 내측에 슬라이드 수납하는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후캐비닛(9)은 상기 광학 유닛 상자(3)의 대부분이 직접 외부로 드러나도록 바구니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캐비닛(9)을 상기 전캐비닛(8)의 내측에 슬라이드 수납하는 기구는, 상기 전캐비닛(8)에 설치된 상기 스크린(33)과의 반대측에 설치된 플랜지부(2)와 ; 상기 후캐비닛(9)에 상기 플랜지부(2)를 관통하도록 설치된 복수의 샤프트(4a, 4b)와 ; 상기 복수의 샤프트(4a, 4b)의 상기 플랜지부(2)측에 설치된 스토퍼(5)와 ; 상기 후캐비닛(9)의 내부에 상기 광학 유닛 상자(3)를 유지하도록 설치된 골조 프레인(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후캐비닛(9)을 상기 전캐비닛(8)의 내측에 슬라이드 수납하는 기구는, 상기 전캐비닛(8)에 설치된 상기 스크린(33)과의 반대측에 설치된 플랜지부(2)와 ; 상기 후캐비닛(9)에 상기 플랜지부(2)를 관통하도록 설치된 복수의 샤프트(4a, 4b)와 ; 상기 복수의 샤프트(4a, 4b)의 상기 플랜지부(2)측에 설치된 스토퍼(5)와 ; 상기 후캐비닛(9)의 내부에 상기 광학 유닛 상자(3)를 유지하도록 설치된 골조 프레임(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후캐비닛(9)이 상기 전캐비닛(8)으로부터 상기 스토퍼(5)에 의해 정지될 때까지 인출되는 위치는, 상기 광학 유닛 상자(3)로부터 상기 스크린(33)에 대하여 투사되는 영상이 광학 설계상의 정규 초점 거리가 되는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후캐비닛(9)이 상기 전캐비닛(8)으로부터 상기 스토퍼(5)에 의해 정지될 때까지 인출되는 위치는, 상기 광학 유닛 상자(3)로부터 상기 스크린(33)에 대하여 투사되는 영상이 광학 설계상의 정규 초점 거리가 되는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투사 유닛은, 상기 후캐비닛(9)에 설치된 상기 복수의 샤프트(4a, 4b)중 적어도 좌우 각 1개의 샤프트(4b)상의 상기 스토퍼(5)측에 설치된 제1 부분 홈(10a, 10b)과 ; 상기 제1 부분 홈(10a, 10b)이 설치된 샤프트(4b)상의 상기 스토퍼(5)와 반대 위치에 설치된 제2 부분 홈(11a, 11b)과 ; 상기 제1 부분 홈(10a, 10b) 및 제2 부분 홈(11a, 11b)중 어느 하나와 끼워 맞추어짐으로써 상기 전캐비닛(8)과 상기 후캐비닛(9)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전캐비닛(8)의 상기 플랜지부(2)의 후단에 설치된 위치 결정 쇠장식 스토퍼(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투사 유닛은, 상기 후캐비닛(9)에 설치된 상기 복수의 샤프트(4a, 4b)중 적어도 좌우 각 1개의 샤프트(4b)상의 상기 스토퍼(5)측에 제1 부분 홈((10a, 10b)과 ; 상기 제1 부분 홈(10a, 10b)이 설치된 샤프트(4b)상의 상기 스토퍼(5)와 반대 위치에 설치된 제2 부분 홈(11a, 11b)과 ; 상기 제1 부분 홈(10a, 10b) 및 제2 부분 홈(11a, 11b)중 어느 하나와 끼워 맞추어짐으로써 상기 전캐비닛(8)과 상기 후캐비닛(9)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전캐비닛(8)의 상기 플랜지부(2)의 후단에 설치된 위치 결정 쇠장식 스토퍼(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6249396A JPH08116505A (ja) | 1994-10-14 | 1994-10-14 | マルチスクリーン取付構造 |
JP94-249396 | 1994-10-14 | ||
JP94-270022 | 1994-11-02 | ||
JP6270022A JPH08130697A (ja) | 1994-11-02 | 1994-11-02 | マルチスクリーンディスプレイ構造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60016515A KR960016515A (ko) | 1996-05-22 |
KR100233893B1 true KR100233893B1 (ko) | 1999-12-15 |
Family
ID=26539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50035269A KR100233893B1 (ko) | 1994-10-14 | 1995-10-13 |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5654776A (ko) |
EP (1) | EP0707422B1 (ko) |
KR (1) | KR100233893B1 (ko) |
DE (2) | DE69522285T2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47894B1 (ko) | 2008-02-28 | 2008-07-23 | 샘솔정보기술(주) | 멀티디스플레이의 상하좌우 조절 장치 |
KR100847893B1 (ko) | 2008-02-28 | 2008-07-23 | 샘솔정보기술(주) | 레일구조의 멀티디스플레이 거치 장치 |
KR100971459B1 (ko) | 2008-07-18 | 2010-07-22 | 조재현 | 거치형 디스플레이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0650295B1 (en) * | 1993-10-21 | 1999-07-21 | Kabushiki Kaisha Toshiba | Multiscreen display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
JPH0983918A (ja) * | 1995-09-19 | 1997-03-28 | Toshiba Corp | マルチスクリーンディスプレイキャビネット構造 |
US6088140A (en) * | 1998-02-05 | 2000-07-11 | Zebra Imaging, Inc. | Segmented display system for large, continuous autostereoscopic images |
US6490011B1 (en) * | 1998-12-18 | 2002-12-03 | Caterpillar Inc | Display device convertible between a cave configuration and a wall configuration |
US6844865B2 (en) * | 1999-08-09 | 2005-01-18 | Michael Stasko | Multiple screen computer monitor |
US6594078B2 (en) * | 2001-03-27 | 2003-07-15 | Clarity Visual Systems, Inc. | Interlocking mounting package having separatable chassis for use in multiscreen projection displays |
JP2002311501A (ja) * | 2001-04-18 | 2002-10-23 | Olympus Optical Co Ltd | マルチディスプレイ装置 |
KR100547118B1 (ko) * | 2003-06-02 | 2006-01-26 | 삼성전자주식회사 | 프로젝션 텔레비전 |
US7156522B2 (en) * | 2003-07-16 | 2007-01-02 | Plut William J | Projection-type display devices with reduced weight and size |
US7281807B2 (en) | 2003-07-16 | 2007-10-16 | Honeywood Technologies, Llc | Positionable projection display devices |
TWM320828U (en) * | 2007-04-02 | 2007-10-11 | Micro Star Int Co Ltd | Display apparatus frame |
JP5279456B2 (ja) * | 2008-11-11 | 2013-09-04 | 三菱電機株式会社 | 投射型映像表示装置 |
KR101375579B1 (ko) * | 2008-12-23 | 2014-03-19 | 주식회사 오리온 |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87561B2 (ja) * | 1988-03-08 | 1995-09-20 | パイオニア株式会社 | プロジェクションテレビユニット及びマルチプロジェクションテレビの連結部材 |
JPH03238436A (ja) * | 1990-02-16 | 1991-10-24 | Hitachi Ltd | 投写装置 |
US5264941A (en) * | 1990-08-03 | 1993-11-23 |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 Large screen display apparatus utilizing a transparent plate to display an image over an entire surface of a diffusing surface |
JPH04212580A (ja) * | 1990-11-20 | 1992-08-04 | Pioneer Electron Corp | プロジェクションテレビにおけるスクリーン固定装置 |
DE69218507T2 (de) * | 1991-06-28 | 1997-11-13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Gehäuse für Projektionsfernsehempfänger und Verfahren zum Montieren eines Bildschirms |
JPH0556375A (ja) * | 1991-07-25 | 1993-03-05 | Hitachi Ltd | 組合せ型背面投写型テレビ |
JPH05316454A (ja) * | 1992-05-12 | 1993-11-26 | Hitachi Ltd | 投写型表示装置 |
JP2988165B2 (ja) * | 1992-12-02 | 1999-12-06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組合せ形投写形表示装置 |
JPH06292112A (ja) * | 1993-04-06 | 1994-10-18 | Hitachi Ltd | マルチビジョンの組立装置 |
EP0650295B1 (en) * | 1993-10-21 | 1999-07-21 | Kabushiki Kaisha Toshiba | Multiscreen display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
-
1995
- 1995-10-11 DE DE69522285T patent/DE69522285T2/de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5-10-11 EP EP95307211A patent/EP0707422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5-10-11 DE DE0707422T patent/DE707422T1/de active Pending
- 1995-10-13 US US08/542,790 patent/US5654776A/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5-10-13 KR KR1019950035269A patent/KR100233893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47894B1 (ko) | 2008-02-28 | 2008-07-23 | 샘솔정보기술(주) | 멀티디스플레이의 상하좌우 조절 장치 |
KR100847893B1 (ko) | 2008-02-28 | 2008-07-23 | 샘솔정보기술(주) | 레일구조의 멀티디스플레이 거치 장치 |
KR100971459B1 (ko) | 2008-07-18 | 2010-07-22 | 조재현 | 거치형 디스플레이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5654776A (en) | 1997-08-05 |
DE707422T1 (de) | 1996-10-10 |
EP0707422B1 (en) | 2001-08-22 |
KR960016515A (ko) | 1996-05-22 |
DE69522285D1 (de) | 2001-09-27 |
DE69522285T2 (de) | 2002-05-16 |
EP0707422A2 (en) | 1996-04-17 |
EP0707422A3 (en) | 1997-06-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233893B1 (ko) |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 |
US5382990A (en) | Projector of a rear projection type | |
US5299017A (en) | Screen fixing device of projection type television system | |
US20070177063A1 (en) | Rear projection display apparatus | |
US7002640B2 (en) | Apparatus for mounting a screen in a projection television | |
CN1063903C (zh) | 背面投影式电视机 | |
US5512968A (en) | Multiple projection television system | |
JPH0983918A (ja) | マルチスクリーンディスプレイキャビネット構造 | |
US7195221B2 (en) | Device with stabilization leg, image display device, device mount block, device display system, image display device mount block, image display device display system, and image display device displaying method | |
JPH0832907A (ja) | マルチスクリーンディスプレイ | |
US6717800B2 (en) | Shield plate mounting apparatus | |
US7249811B2 (en) | Apparatus for assembling/disassembling screen of projection television | |
KR0164245B1 (ko) |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및 그 조립 방법 | |
JP2791639B2 (ja) | マルチプロジェクションシステム | |
JP2745863B2 (ja) | 投写型テレビジョン受像機とスクリーン装着方法 | |
KR20070072405A (ko) | 리어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 | |
US6345904B1 (en) | Fastening device for projector lamp | |
JP2799827B2 (ja) | マルチプロジェクションシステム | |
JPH0284893A (ja) | 投写形テレビ | |
KR100978163B1 (ko) | 프로젝션 텔레비전의 경량 외피를 위한 장치 및 방법 | |
JPH08116505A (ja) | マルチスクリーン取付構造 | |
JPH0736107A (ja) | 投写型表示装置 | |
KR100783601B1 (ko) | 액정표시 글래스 적재용 카세트 | |
JPH06245177A (ja) | マルチビジョン | |
JPH08130697A (ja) | マルチスクリーンディスプレイ構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80813 Year of fee payment: 10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