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3521B1 - 스틸카메라가 부착된 비데오카메라 - Google Patents

스틸카메라가 부착된 비데오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3521B1
KR100233521B1 KR1019960018615A KR19960018615A KR100233521B1 KR 100233521 B1 KR100233521 B1 KR 100233521B1 KR 1019960018615 A KR1019960018615 A KR 1019960018615A KR 19960018615 A KR19960018615 A KR 19960018615A KR 100233521 B1 KR100233521 B1 KR 1002335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recording
video camera
unit
sti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8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4668A (ko
Inventor
구미꼬 후쿠이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ublication of KR9700046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46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3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35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04N5/772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the recording apparatus and the television camera being placed in the same enclos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2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ameras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Photographic Or Optical Apparatuses (AREA)
  • Cameras In General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자기테이프 등의 기록매체에 화상 및 음성신호를 기록하는 비데오카메라부와, 필름 등에 정지화를 기록하는 스틸카메라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된 스틸카메라부가 부착된 비데오카메라에 관한 것으로, 비데오카메라에 의해 기록되는 기록신호에의 스틸카메라의 필름구동음을 방지하면서도 스틸카메라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틸카메라가 부착된 비데오카메라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비데오카메라부(5)에 의한 촬영중에 스틸카메라부(3)에 의한 촬영을 수행한 경우에 비데오카메라부(5)의 기록동작이 간헐기록동작중이면, 기록정지기간내에 필름(2) 감기를 수행하며, 또 연속기록동작 중이면, 기록동작을 정지하여, 필름(2) 감기를 수행하고, 필름(2) 감기가 종료한 후, 기록동작을 재개시킨다. 이때, 간헐 및 연속기록동작중에 필름(2)이 종료한 경우에는 기록동작이 종료한 후에 필름(2) 되감기를 수행한다.

Description

스틸카메라가 부착된 비데오카메라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블록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스틸카메라 촬영시의 동작 플로우챠트.
제3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스틸카메라 촬영시의 동작설명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스틸카메라 촬영시의 동작설명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스틸카메라 촬영시의 동작설명도.
제6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동작 플로우챠트.
제7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동작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스틸카메라가 부착된 비데오카메라 2 : 필름
3 : 스틸카메라부 4 : 자기테이프
5 : 비데오카메라부 12 : 필름감기모터
13 : 필름감기구동부 14 : 필름되감기모터
15 : 필름되감기구동부 19 : 셔터버튼
20 : 필름 검출부 21 : 스틸카메라제어기
22 : CCD 26 : 신호처리부
27 : 기록/재생부 30 : 비데오카메라제어기
본 발명은 스틸카메라가 부착된 비데오카메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기테이프 등의 기록매체에 화상 및 음성을 기록하는 비데오카메라와, 필름 등에 정지화를 기록하는 스틸카메라가 일체로 형성된 스틸카메라가 부착된 비데오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비데오카메라에서 촬영을 수행하고 있을 때, 특정한 피사체를 스틸사진으로 기록하고자 하는 요청에 대응하기 위하여, 스틸카메라 비데오카메라를 일체화하여, 비데오카메라 촬영중에 간단한 조작으로 스틸카메라에 의한 스틸사진의 촬영을 수행할 수 있는 스틸카메라 일체형 비데오카메라가 제안되어 있다. 이같은 스틸카메라 일체형 비데오카메라에 있어서, 스틸카메라로 촬영시에는 통상의 스틸카메라와 마찬가지로 촬영할 때마다 필름 감기를 수행해야 하며, 또 촬영 종료 후에는 필름을 되감아 줄 필요가 있다.
따라서, 비데오카메라 촬영시에 스틸카메라에 의해 스틸사진의 촬영을 수행하면, 필름 감는 소리와 필름 되감는 소리가 기록되어져 버리는 비데오 카메라에 의한 기록신호에 이러한 필름 감는 소리와 필름 되감는 소리가 기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종래의 특개소 63-248285 호에서 보여지고 있는 것처럼 비데오카메라의 동작 중에는 스틸카메라의 필름구동을 정지시킴으로써 비데오카메라의 기록신호에 필름 감는 소리와 되감는 소리 등의 잡음이 기록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었다.
그런데, 특개소 63-248285 호에서 보여지는 종래의 스틸카메라 일체형 비데오카메라에서는 비데오카메라의 기록 중에는 스틸카메라의 필름 감기 및 되감기를 수행하는 필름구동회로의 동작을 정지시킴으로써 비데오카메라의 기록신호에 스틸카메라의 필름 감는 소리와 되감는 소리가 기록되지 않도록 구성하고 있으므로, 비데오카메라 기록시에 스틸카메라에 의해 1회 촬영을 하고나면 필름 감기가 수행되지 않아 1회 촬영밖에 수행할 수 없으므로, 스틸카메라에 의한 촬영의 자유도 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비데오카메라에 의해 기록되는 기록신호로의 스틸카메라 필름구동음의 혼입을 방지하면서도, 스틸카메라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틸카메라가 부착된 비데오카메라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록매체에 화상 및 음성을 기록하는 비데오카메라부와, 정지화상을 필름에 기록하는 스틸카메라부로 이루어진 스틸카메라가 부착된 비데오카메라는, 상기 스틸카메라부에서 상기 정지화상을 기록하는 상기 필름 감기 및 되감기를 수행하는 필름구동부와, 상기 비데오카메라부에 의한 상기 화상 및 음성의 상기 기록매체로의 기록과, 상기 필름구동부의 동작을 서로 다르게 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비데오카메라부의 기록동작시에 상기 필름구동부의 동작을 금지하며, 상기 비데오카메라부의 기록동작이 완료하였을 때, 상기 필름구동부를 동작시킨다.
상기 제어수단은 또한 상기 필름구동부가 동작하는 동안, 상기 비데오카메라의 기록동작을 금지시킨다.
상기 비데오카메라부는 일정주기로 되풀이하여 기록을 수행하는 기능을 가지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비데오카메라부의 기록중에 상기 스틸카메라부의 촬영이 수행된 경우, 상기 필름구동부의 구동을 일시 보류하며, 상기 비데오카메라부의 기록이 정지되는 주기에 필름구동부를 구동시킨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록매체에 화상 및 음성을 기록하는 비데오카메라부와 정지화상을 필름에 기록하는 스틸카메로부로 이루어진 스틸카메라가 부착된 비데오카메라는, 상기 스틸카메라에서 상기 정지화상을 기록하는 상기 필름을 구동하는 필름구동부, 및 상기 비데오카메라부에 의한 상기 화상 및 음성의 상기 기록매체로의 기록동작시에, 상기 필름구동부가 구동하였을 때에 상기 비데오카메라부의 상기 음성이 상기 기록매체로의 기록을 금지하는 음성기록제어수단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비데오카메라부의 기록동작시에 상기 필름구동부의 상기 필름을 되감는 동작을 금지하며, 상기 비데오카메라부의 기록동작이 완료하였을 때, 상기 필름구동부에 상기 필름을 되감는 동작을 수행시키는 필름구동제어수단을 더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현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블록 구성도를 보여준다. 본 실시예의 스틸카메라가 부착된 비데오카메라(1)는 피사계의 정지화상을 필름(2)에 기록하는 스틸카메라부(3) 및 피사계의 화상을 자기테이프(4)에 기록하는 비데오카메라부(5)로 구성된다.
스틸카메라부(3)는 피사계의 화상을 필름(2)상에 결상하기 위한 렌즈(6), 렌즈(6)의 필름(2)까지의 초점거리를 제어하는 AF(오토 포커스)제어부(7), 필름(2)로 공급되는 광량을 제어하는 조리개(8), 조리개(8)가 졸여지는 량을 제어하는 조리개제어부(9), 필름(2)의 노출을 제어하는 셔터(10), 셔터(10)의 구동제어를 수행하는 셔터구동부(11), 필름(2)을 감는 필름 감기 모터(12), 필름 감기 모터(12)의 구동제어를 수행하는 필름감기구동부(13), 필름(2)의 종료시에 필름(2)을 되감는 필름되감기모터(14), 필름되감기모터(14)의 구동제어를 수행하는 필름되감기구동부(15), 피사체의 밝기 및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측정부(16), 피사체에 빛을 조사하는 스트로보(17), 스트로보(17)의 발광을 제어하는 스트로보구동부(18), 셔터(10)을 온 시키는 셔터버튼(19), 필름(2)의 끝단을 검지하는 필름검출부(20), 측정부(16)에서의 측정결과, 셔터버튼(19)의 조작, 필름검출부(20)의 검출결과 및 비데어카메라부(5)의 상태에 대응하여 후술하도록 AF제어부(7), 조리개제어부(9), 셔터구동부(11), 필름감기구동부(13), 필름되감기구동부(15)에 동작지시를 수행함과 동시에 비데오카메라부(5)에 동작제어지시를 수행하는 스틸카메라제어기(21)로 구성된다.
렌즈(23)는 피사계로부터의 화상을 필름(2)상에 결상시킨다. 이때, 측정부(16)에서 측정된 피사체까지의 거리에 대응한 데이터가 스틸카메라제어기(21)를 삽입하여 AF제어부(7)로 공급되고, 렌즈의 AF제어부(7)에 의해 초점 거리가 제어되며, 원하는 피사체상을 필름(2)상에 결상시키는 소위, AF(오토 포커스)제어가 수행된다.
또, 측정부(16)에서 측정된 피사체의 밝기에 관한 정보는 스틸카메라제어기(21)을 삽입하여 조리개제어부(9) 및 셔터구동부(9)는 필름(2)으로 공급되는 광량이 최적이 되도록 조리개(8)가 졸여지는 량을 제어하며, 셔터구동부(11)는 필름(2)으로 공급되는 광량이 최적이 되도록 셔터(10)의 열린시간(셔터 스피드)을 제어하며, 조리개(8) 및 셔터(10)에 의해 필름(2)으로의 노광제어가 수행된다.
필름감기모터(12)는 필름(2)을 필름감기구동부(13)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1코마씩 감는다. 이때, 필름감기구동부(13)는 스틸카메라제어기(21)로부터 셔터버튼(19)이 온 되어, 스틸카메라 촬영이 종료할 때마다 공급되는 필름감기 지시에 따라 필름감기모터(12)를 구동한다.
또, 필름되감기모터(14)는 필름되감기구동부(15)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필름(2)을 모두 되감는다. 이때, 필름되감기구동부(15)는 스틸카메라제어기(21)로부터 공급되는 필름되감기 지시에 따라 필름되감기모터(14)를 구동한다. 스틸카메라제어기(21)는 필름(2)의 끝단을 검출하는 필름검출부(20)에 의해 필름(2)의 끝단이 검출되면, 필름되감기구동부(15)에 필름되감기 지시를 내려, 자동으로 필름(2) 되감기가 수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비데오카메라부(5)는 피사계의 화상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CCD(Charge Coupled Device, 22), 피사계의 화상을 CCD(22)에서 결상시키는 렌즈(23), 렌즈(23)의 초점거리를 제어하는 AF(오토 포커스)제어부(24), 주위 음성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로폰(25), CCD(22)에서 얻어진 화상신호 및 마이크로폰(25)에서 얻어진 음성신호를 신호처리하여, 자기테이프(4)에 기록하는데 적합한 신호로 함과 아울러 자기테이프(4)에서 재생된 재생신호를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로서 출력단자(TOUT)로부터 출력하는 신호처리부(26), 신호처리부(26)에서 처리된 기록신호를 자기테이프(4)에 기록함과 동시에 자기테이프(4)에 기록된 신호를 재생하는 기록/재생부(27), 기록/재생부(27)에서 기록/재생된 화상을 표시하는 뷰파인더(28), 기록/재생, 빨리감기, 되감기 등의 지시를 입력하는 비데오카메라조작부(29), 측정부(16)에서 측정한 피사체까지의 거리에 대응하여 AF제어 지시를 AF제어부(24)에 수행함과 동시에 비데오카메라조작부(29)의 지시 및 스틸카메라제어기(21)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기록/재생부(27)의 동작 및 신호처리부(26)의 신호처리를 제어하는 비데오카메라제어기(30)으로 구성된다.
기록/재생부(27)는 자기테이프(4)에 신호처리부(26)에서 처리된 화상 및 음성신호를 기록하기 위한 부분으로, 자기테이프(4)를 끼워 지지하는 형태로 주행시키는 캡스턴모터(27a) 및 핀치롤러(27b), 자기테이프(4)에 신호를 기록하는 자기헤드(27c, 27d), 자기헤드(27c, 27d)를 자기테이프(4)에 대하여 조작하는 회전드럼(27e), 회전드럼(27e)을 회전시키는 드럼모터(27f)로 구성된다.
피사계의 화상은 렌즈(23)에 의해 CCD(22)의 광입사면에 결상된다. 렌즈(23)의 AF제어부(24)에 따라 원하는 피사체의 화상이 핀트가 맞도록 제어된다.
CCD(22)에 결상된 화상은 CCD(22)에서 전기신호로 변환되어 신호처리부(26)에 공급된다. 신호처리부(26)는 화상기록시에는 CCD(22)로부터의 화상신호와 마이크로폰(25)으로부터의 음성신호를 중첩하여 자기헤드(27c, 27d)에 공급하며, 자기테이프(4)는 공급된 화상 및 음성을 기록한다. 또, 신호처리부(26)는 화상재생시에는 자기헤드(27c, 27d)에 의해 자기테이프(4)로부터 독출된 신호를 이용하여 화상 및 음성을 복조하며, 출력단자(TOUT)로 출력시킨다. 신호처리부(26)는 또한 기록 또는 재생화상신호를 뷰파인더(28)에 공급하고, 뷰파인더(28)는 기록 또는 재생화상을 표시하며, 기록 또는 재생화상의 모니터를 가능케 한다.
비데오카메라제어기(30)는 비데오카메라조작부(29)에서 기록조작이 수행되면, 신호처리부(26)가 기록을 위한 신호처리를 하도록 제어하며, 기록/재생부(27)의 캡스턴모터(27a), 드럼모터(27f)를 구동시키고, 자기테이프(4)를 주행시켜 자기헤드(27c, 27d)가 자기테이프(4)를 주사하게 한다. 또, 정지조작이 수행되면, 캡스턴모터(27a), 드럼모터(27f)를 정지시킨다.
비데오카메라제어기(30)는 측정부(16)로부터의 측정결과가 공급되며, 피사체까지의 거리 데이터를 AF제어부(24)에 공급한다. AF제어부(24)는 피사체까지의 거리에 대응되게 렌즈(23)의 초점거리를 제어한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스틸카메라 사용시의 동작 플로우챠트, 제3도 내지 제5도는 그 동작설명도를 보여준다.
스틸카메라제어기(21)는 사용자에 의해 셔터버튼(19)이 온 되면 셔터구동부(11)에 셔터구동지시를 출력하며, 스틸카메라부(3)에 의한 정지화상의 기록을 수행한다(스텝 S1-1, S1-2). 셔터구동지시에 따라 셔터(10)는 열려지며 필름(2)은 노광된다. 그 다음으로 스틸카메라제어기(21)는 비데오카메라부(5)의 동작상태를 판별한다(스텝 S1-3, S1-4).
우선, 스틸카메라제어기(21)는 스텝 S1-3에서 비데오카메라부(5)의 동작상태가 일정한 주기로 간헐적으로 기록을 수행하는 간헐기록동작중인지를 판별한다. 스틸카메라제어기(21)는, 스텝 S1-3에서 간헐기록동작중이라고 판별되면, 그 다음에 간헐기록동작중의 기록동작주기인지를 판별한다. 비데오카메라부(5)가 현재 간헐기록동작중의 기록동작기간중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비데오카메라부(5)가 간헐기록동작중의 기록/정지기간에 도달 할 때 까지, 스틸카메라제어기(21)는 필름 감기를 금지하며, (스텝 S1-5, 1-6), 정지기간이 되었을 때에 필름(2)이 감겨지도록 제어한다(스텝 S1-7).
제3도에서 간헐기록동작의 동작설명도를 보여준다. 제3도에 있어서 (A)는 비데오카메라부(5)의 동작상태를 보여주고 있으며, 기간(T1)이 기록동작기간, 기간(T2)가 정지기간을 나타내며, (B)는 셔터버튼(19)의 조작상태, (C)는 필름감기모터(12)의 동작상태, (D)는 필름되감기모터(14)의 동작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사용자가 간헐기록동작중의 기록동작기간(T1)의 어느 시각(t1)에서 셔터버튼(19)을 온 하면, 셔터버튼(19)의 온에 대응하여 셔터(10)가 열리며, 필름(2)으로의 기록이 수행된다. 그러나, 비데오카메라부(5)는 기록동작기간이므로, 필름(2)의 감기동작은 비데오카메라부(5)가 정지기간이 되는 시각(t2)까지 금지되며, 시각(t2)가 되었을 때, 필름감기모터(12)가 구동되고, 필름(2)의 감기가 수행된다. 이때, 필름 감기는 비데오카메라부(5)의 정지기간에 수행되므로, 필름(2)의 감는 소리가 비데오카메라부(5)의 마이크로폰(25)을 통과하여 기록되는 일이 없다.
또, 스텝 S1-1에서 셔터버튼(10)이 온이 되며, 스틸카메라부(3)에 의한 촬영이 수행된다. 스텝 S1-3, S1-4에서 연속기록동작중이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비데오카메라부(5)에 의한 기록동작을 정지하며, 필름 감기 구동부(13)에 감기 지시를 내리고, 필름 감기 모터(12)를 구동하여 필름(2) 감기를 수행한다(스텝 S1-9, 스텝 S1-10). 스틸카메라제어기(21)는 필름(2)의 감기가 종료하면, 비데오카메라제어기(30)에 정지해제지시를 행하여 비데오카메라부(5)의 기록동작을 재개한다(스텝 S1-11, 스텝 S1-12).
제4도에서 비데오카메라부(5)의 연속기록동작시의 타이밍챠트를 보여준다. 제4도에 있어서 (A)는 비데오카메라부(5)의 동작상태, (B)는 셔터버튼(10)의 조작상태, (C)는 필름감기모터(12)의 동작상태, (D)는 필름되감기모터(14)의 동작상태를 보여준다.
비데오카메라부(15)가 연속기록동작을 수행하고 있는 시각(t4)에서 셔터버튼(10)이 온이 되면, 스틸카메라부(3)에 의한 필름(2)으로의 촬영이 종료한 시각(t5)에서 비데오카메라부(15)의 기록동작을 정지시키고, 필름(2) 감기 수행하며, 필름(2) 감기가 종료하면 시각(t6)에서 다시 기록동작을 재개한다. 이같이 셔터버튼(10)이 온이 되어, 필름(2)으로의 촬영이 종료하고, 필름(2)감기가 수행되는 (t5)로부터 필름감기가 종료하면 시각(t6)까지의 기간은 비데오카메라부(5)의 기록동작은 정지되므로, 비데오카메라부(5)의 기록신호에 필름감기모터(12)의 동작음이 기록되지 않는다.
스틸카메라제어기(21)는 간헐기록동작에서 정지기간이 되고 스텝 S1-7에서 필름감기가 수행되며, 스텝 S1-8에서 필름(2) 감기가 종료한 경우 및 연속기록동작에서 기록동작이 정지되며, 스텝 S1-10에서 필름(2)이 감겨 스텝 S1-12에서 기록동작이 재개된 경우에는 다음에 필름검출부(20)를 참조하여 필름(2)이 끝단이 되었는지를 판단한다(스텝 S1-13).
스텝 S1-13에서 필름(2)이 끝단이 아니면, 필름(2) 되감기는 불필요하므로 처리를 종료한다. 또, 스텝 S1-13에서 필름(2)이 끝단인 경우에는 필름(2)을 되감을 필요가 있으므로, 필름(2)을 되감기 위한 처리를 속행한다.
필름(2)을 되감는 처리를 실행할 때 우선, 비데오카메라제어기(30)로부터 스틸카메라제어기(21)에 기록동작의 정지지시가 있었다는 정보가 공급되고 있는지를 판단한다(스텝 S1-14). 스텝 S1-14에서 간헐기록동작 또는 연속기록동작중인 경우에는 간헐기록동작 또는 연속기록동작이 정지할 때까지 필름되감기동작을 금지한다(스텝 S1-15).
스텝 S1-13에서 필름(2) 끝단의 검지후, 간헐기록동작 또는 연속기록동작이 정지되면 스틸카메라제어기(21)는 필름되감기구동부(15)에 필름되감기지시를 내려, 필름(2) 되감기를 수행한다(스텝 S1-16).
스텝 S1-16에 의해 필름(2) 되감기가 실행되면, 스틸카메라제어기(21)은 필름(2) 되감기를 하는 중에 비데오카메라제어기(30)에 비데오카메라조작부(29)로부터 기록동작지시가 있었는지를 판단한다(스텝 S1-17).
스텝 S1-17에서 필름(2) 되감기를 하는 도중에 비데오카메라부(5)의 기록동작지시가 있었던 경우에는 비디오카메라부(5)의 기록동작을 금지시키며, 필름(2) 되감기가 종료할 때까지 대기시킨다(스텝 S1-18, S1-19).
스틸카메라제어기(21)는 필름(2) 되감기가 종료한 시점에서 비데어카메라제어기(30)에 필름(2) 되감기종료신호를 공급하여, 비데오카메라제어기(30)의 기록동작금지를 해제하며, 비데오카메라부(5)에 필름되감기 중에 지시된 기록동작을 개시시킨다(스텝 S1-20). 또, 스텝 S1-17에서 필름되감기 중에 기록동작지시가 없으면, 필름되감기종료에 의해 처리를 종료시킨다(스텝 S1-21). 또한, 스텝 S1-3, S1-4에서 비데오카메라부(5)가 기록동작중이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 S1-7로부터 처리가 실행된다.
제5도에서 필름되감기시의 동작설명도를 보여준다. 제5도에 있어서, (A)는 비데오카메라조작부(29)의 비데오카메라부(5)의 동작을 지시하는 기록 스위치의 온/오프 상태, (B)는 비데오카메라조작부(29)의 비데오카메라부(5)의 정지동작을 지시하는 정지스위치의 온/오프 상태, (C)는 비데오카메라부(5)의 기록동작상태, (D)는 셔터버튼(19)의 온/오프 상태, (E)는 스틸카메라부(3)의 필름감기모터(13)의 상태, (F)는 스틸카메라부(3)의 필름되감기모터(14)의 상태를 보여준다.
비데오카메라부(5)가 연속기록동작중인 시각(t3)에서 셔터버튼(19)이 온이 되어, 기록동작이 일단 정지되고, 필름(2) 감기가 수행되며 이때, 필름(2)이 끝단이 된 것으로 한다. 이때, 시각(t32)에서 정지스위치가 온이 되면, 시각(t33)에서 비데오카메라부(5)의 기록동작이 정지되며, 필름되감기가 개시된다. 필름되감기가 수행되어, 필름되감기 기간(T10)의 시각(T34)에서 기록스위치가 온이 되면, 필름되감기가 종료하는 시각(T35)까지 비데오카메라부(5)의 기록동작은 금지되며, 시각(T35)부터 기록동작이 개시된다.
이상의 본 실시예에 의하면, 비데오카메라부(5)에 있어서, 정기(고정 또는 가변)시간주기에서의 기록동작(간헐기록동작)중에, 스틸카메라부(3)에 의한 촬영이 수행된 경우에는, 비데오카메라제어기(30)에 의해 기록개시·정지제어가 수행되며, 비데오카메라제어기(30)로부터 스틸카메라제어기(21)로 비데오무비에 의한 촬영이 수행되고 있는 것을 보여주는 신호와 필름감기 금지명령이 보내지며, 스틸카메라제어기(21)에서는 이러한 신호수신상태에서 셔터버튼(19)을 개폐시켜 스틸촬영을 수행하였을 때는 상기 신호의 해제에 이르러서는, 필름감기구동부(13)로의 제어지령을 보류하며, 비데오카메라부(5)가 간헐기록시간을 경과하여 기록대기상태가 되면, 비데오카메라제어기(30)로부터 스틸카메라제어기(21)에 보내지고 있던 필름감기금지명령이 해제되어 필름되감기구동부(13)에 필름감기지령을 송신하여, 필름감기를 수행한다. 따라서, 필름감기구동부(13)는 비데오카메라 기록 중에는, 필름(2) 감기를 수행하지 않으므로, 필름 감는 소리가 잡음으로 기록되는 일은 없다. 또, 필름 감는 시간이 간헐기록에 있어서, 기록정지시간에 비하여 짧으므로 간헐기록시의 기록기간에 따라서 필름이 감기는 일이 없으며 필름 감는 소리가 기록되는 일도 없다.
이같은 동작을 수행하면, 간헐기록동작중에 자동적으로 스틸촬영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 비데오카메라부(5)에 있어서, 연속기록동작중에 스틸카메라부(3)에 의한 촬영이 수행된 경우에는, 스틸카메라제어기(21)는 셔터(10)를 개폐시켜 스틸개폐를 수행하였을 때에, 스틸촬영신호를 비데오카메라제어기(30)로 보내며, 비데오카메라제어기(30)는 스틸촬영신호를 인식하면 기록일시정지상태가 되고, 스틸촬영신호의 해제에 이르러서는 기록동작을 보류하며, 신호해제 후 자동적으로 기록상태에 복귀한다.
따라서, 비데오카메라의 기록중에는, 필름감기구동부(13)는 기록일시대기상태를 유지하므로 필름 감는 소리가 기록되지 않는다.
더욱, 셔터(10)를 개폐시켜 스틸촬영을 수행한 후, 필름(2)이 모두 촬영을 마치고, 필름(2) 교환을 요구하는 상태가 된 경우에는, 스틸카메라제어기(21)는 비데오카메라제어기(30)로부터 비데오촬영이 종료했다는 지시에 따라, 필름되감기구동부(15)에 제어지령을 내려 필름을 되감는다. 이때, 스틸카메라제어기(21)에 의해 비데오카메라제어기(30)로 필름되감기중임을 나타내는 신호를 발송하며, 이 신호에 따라, 비데오제어기(30)는 기록동작을 금지하므로 비데오촬영중의 필름 되감는 소리가 기록되는 일이 없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비데오촬영중에 스틸촬영이 수행되며, 필름감기가 수행되는 경우에는 비데오카메라부(5)의 기록동작을 정지시켜 필름 감는 소리의 기록을 금지하였으나, 화상 기록은 그대로 두고 음성만 뮤트상태로 하는 방법도 있다.
제6도에서 필름 감기시에 비데오카메라부(5)의 음성 기록을 금지하는 경우의 본 실시예의 동작 플로우챠트를 보여준다. 본 실시예의 구성은 제1도와 동일하고, 스틸카메라제어기(21) 및 비데오카메라제어기(30)의 동작이 다른 것 뿐이므로 구성의 설명은 생략한다.
스틸카메라제어기(21)는 사용자에 의해 셔터버튼(19)이 온이 되면 셔터구동부(11)에 셔터구동지시를 내려 셔터(10)를 열고 필름(2)을 노광시키며, 스틸카메라부(3)에 의한 정지화상의 기록을 수행한다(스텝 S1-2, S2-2). 다음에 스틸카메라제어기(21)는 비데오카메라부(5)의 동작상태를 판별한다(스텝 S2-3).
스텝 S2-3에서 비데오카메라부(5)가 기록동작상태라고 판별하면 비데오카메라부(5)의 신호처리부(26)에서 마이크로폰(25)으로부터의 음성신호의 기록재생부(27)로의 공급을 금지하며, 음성신호를 뮤트상태로 하고 필름(2)을 감는다(스텝 S2-3, S2-5). 이 결과로, 필름(2) 감는 소리가 비데오카메라부(5)의 마이크로폰(25)을 삽입하여 기록된다.
스텝 S2-5에서 필름(2) 감기가 종료한 경우에는 비데오카메라부(5)의 뮤트상태를 해제하며, 다음에 필름검출부(20)를 참조하여 필름(2)이 끝단이 되었는지를 판별한다(스텝 S2-6, S2-7, S2-8).
스텝 S2-8에서 필름(2)이 끝단이 아니면, 필름(2)되감기는 불필요하므로 처리를 종료한다. 또, 스텝 S2-8에서 필름(2)이 끝단인 경우에는 필름(2)을 되감을 필요가 있으므로, 제3도의 스텝 S1-14~S1-21과 같은 처리인 스텝 S2-9~S2-16인 필름(2)을 되감기 위한 처리를 속행한다.
제7도에서 비데오카메라부(5)의 기록동작시의 타이밍챠트를 보여준다. 제4도에 있어서 (A)는 비데오카메라부(5)의 동작상태, (B)는 비데오카메라부(5)의 음성기록/상태, (C)는 셔터버튼 조작상태, (D)는 필름감기모터(12)의 동작상태를 보여준다.
비데오카메라부(5)가 기록동작을 수행하고 있는 시각(t11, t11′)에서 셔터버튼(10)이 온이 되면, 스틸카메라부(3)에 의한 필름(2)으로의 촬영이 종료한 시각(t12, t12′)에서 비데오카메라부(5)의 음성신호헤드(27d, 27e)로의 공급을 필름(2) 감기가 종료하는 시각(t13, t13′)까지 정지시킨다. 필름(2) 감기가 종료하면 시각(t13, t13′)에서 음성신호를 다시 (27d, 27e)로 공급한다.
이같이 셔터버튼(10)이 온이 되어, 필름(2)으로의 촬영이 종료하며, 필름(2) 감기가 수행되는 (t12, t12′)에서 필름(2) 감기가 종료하면, (t13, t13′)까지의 기간은 비데오카라부(5)의 음성신호 기록은 정지되므로, 비데오카메라부(5)의 기록신호에 필름감기모터(12)의 동작음이 기록되는 일은 없다. 단, 이때 화상은 기록되며, 화상이 두절되는 일은 없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스틸카메라부에서 정지화상을 기록하는 필름감기 및 되감기를 수행하는 필름구동부의 동작과 비데오카메라부에 의한 화상 및 음성의 기록동작과의 동작타이밍을 서로 다르게함으로써 비데오카메라부에 의해 화상 및 음성이 기록되고 있는 도중에 필름구동부가 동작하며, 동작음을 발생하지 않고, 비데오카메라에 의한 기록신호에 불필요한 소리가 혼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갖는다.
비데오카메라부가 기록동작중에 스틸카메라부가 조작되어, 필름구동부에 동작지시가 수행된 경우, 필름구동부의 동작을 금지하며, 비데오카메라부의 기록동작이 종료한 후에 필름구동부가 동작하므로, 비데오카메라부에 의한 기록시에는 필름구동부의 동작음이 발생하지 않아, 비데오카메라부의 기록신호에 필름구동부의 동작음이 기록되지 않고, 또 필름되감기시 등의 장시간의 동작이 필요한 경우에 상기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비데오카메라부에 의한 기록에 장시간의 공백을 발생시키지 않고 마치는 특징을 갖는다.
스틸카메라부에 의한 기록후에 필름감기가 수행되는 경우에는 비데오카메라부의 기록동작이 금지되므로, 필름구동부의 동작음이 비데오카메라부의 기록신호에 기록되지 않으며, 또 스틸카메라부에 의한 촬영후에는 필름이 바로 감기어, 다음 촬영이 가능해진다는 특징을 갖는다.
비데오카메라부의 기록기능에 일정주기로 되풀이하여 기록을 수행하는 기능을 갖게하며, 상기 기능으로 기록을 수행하고 있을 때에는 기록을 수행하고 있는 기간에 스틸카메라부에 의해 촬영을 수행하면 비데오카메라가 기록동작을 정지하고 있는 기간에 필름 감기가 수행되므로, 비데오카메라부의 기록신호에 필름 감기 동작음이 기록되지 않는다는 특징을 갖는다.
비데오카메라부에서의 기록 중에 시틸카메라부의 수행하였을 때에는, 필름 감기를 하는 중에 비데오카메라부의 음성기록을 금지하므로, 비데오카메라부에 필름 감는 소리 등의 잡음이 기록되지 않으며, 또 구동시간이 짧은 필름감기시에는 비데오카메라부에서 기록되는 음성만을 뮤트함으로써 필름 감기음의 기록은 방지하면서도 화상의 중단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 비데오카메라부의 기록동작시에도 필름이 감겨지므로, 스틸촬영을 연속하여 수행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Claims (6)

  1. 기록매체에 화상 및 음성을 기록하는 비데오카메라부와, 정지화상을 필름에 기록하는 스틸카메라부로 이루어진 스틸카메라가 부착된 비데오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스틸카메라부에서 상기 정지화상을 기록하는 상기 필름을 구동하는 필름구동부; 및 상기 비데오카메라부 및 스틸카메라부의 동작여부를 체크한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비데오카메라부에 의한 기록신호에 상기 필름구동부의 구동음이 기록되지 않도록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비데오카메라부에서의 상기 기록동작과 상기 필름구동부의 구동동작이 선택적으로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틸카메라가 부착된 비데오카메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비데오카메라부의 기록동작시에 상기 필름구동부의 동작을 금지하며, 상기 비데오카메라부의 기록동작이 종료하였을 때, 상기 필름구동부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틸카메라가 부착된 비데오카메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필름구동부가 동작하는 동안, 상기 비데오카메라의 기록동작을 금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틸카메라가 부착된 비데오카메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데오카메라부는, 일정주기로 되풀이하여 기록을 수행하는 기능을 가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데오카메라부의 기록중에 상기 스틸카메라부의 촬영이 수행된 경우, 상기 필름구동부의 구동을 일시보류하며, 상기 비데오카메라부의 기록이 정지되는 주기로 상기 필름구동부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틸카메라가 부착된 비데오카메라.
  5. 기록매체에 화상 및 음성을 기록하는 비데오카메라부와 정지화상을 필름에 기록하는 스틸카메라부로 이루어진 스틸카메라가 부착된 비데오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스틸카메라부에서 상기 정지화상을 기록하는 상기 필름을 구동하는 필름구동부; 상기 비데오카메라부에 의한 상기 화상 및 음성의 상기 기록매체로의 기록동작시에, 상기 필름구동부가 구동한 때에 상기 비데오카메라부의 상기 음성의 상기 기록매체로의 기록을 금지하는 음성기록제어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틸카메라가 부착된 비데오카메라. .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비데오카메라부의 기록동작시에 상기 필름구동부의 상기 필름을 되감는 동작을 금지하며, 상기 비데오카메라부의 기록 동작이 종료했을 때, 상기 필름구동부에 상기 필름을 되감는 동작을 수행시키는 필름제어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틸카메라가 부착된 비데오카메라.
KR1019960018615A 1995-06-13 1996-05-29 스틸카메라가 부착된 비데오카메라 KR1002335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7-146399 1995-06-13
JP7146399A JPH099188A (ja) 1995-06-13 1995-06-13 スチルカメラ付ビデオカメ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4668A KR970004668A (ko) 1997-01-29
KR100233521B1 true KR100233521B1 (ko) 1999-12-01

Family

ID=15406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8615A KR100233521B1 (ko) 1995-06-13 1996-05-29 스틸카메라가 부착된 비데오카메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99188A (ko)
KR (1) KR10023352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99188A (ja) 1997-01-10
KR970004668A (ko) 1997-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93355A (en) Camera information recording apparatus
EP0286922B1 (en) Camera for shooting movie and still pictures
KR100233521B1 (ko) 스틸카메라가 부착된 비데오카메라
JP2952182B2 (ja) 撮像装置
JP2898999B2 (ja) ビデオ信号記録装置
KR100209908B1 (ko) 스틸카메라일체형비데오카메라
JP4046814B2 (ja) 画像編集システム
KR100207676B1 (ko) 영상재생장치 및 영상기록/재생장치
JP3785293B2 (ja) 記録装置
JPH09186956A (ja) スチルカメラ一体型ビデオカメラ
JP3101595B2 (ja) 記録装置
JP3077431B2 (ja) フィルム画像撮像装置
JP3391939B2 (ja) カメラ
JPS63237043A (ja) スチルカメラ付ビデオカメラ
JP2002051292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8307813A (ja) スチルカメラ付ビデオカメラ
JPH10191150A (ja) 撮像装置
JPH05142612A (ja) カメラの最終駒検出装置
JPH0541843A (ja) カメラシステム
JPH05150325A (ja) カメラの磁気再生装置
JPH073715B2 (ja) ビデオテープレコーダのつなぎ撮り装置
JP2000105410A (ja) 撮影動作制御装置
JPH05142679A (ja) 情報再生装置を有するカメラ
JPH07220327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915714A (ja) 磁気記憶部付フィルムを用いる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