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2338B1 - 타이어가황기의 중심기구 - Google Patents

타이어가황기의 중심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2338B1
KR100232338B1 KR1019970045641A KR19970045641A KR100232338B1 KR 100232338 B1 KR100232338 B1 KR 100232338B1 KR 1019970045641 A KR1019970045641 A KR 1019970045641A KR 19970045641 A KR19970045641 A KR 19970045641A KR 100232338 B1 KR100232338 B1 KR 1002323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center
center post
clamp ring
tire vulcaniz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5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4308A (ko
Inventor
토시후미 무라카미
케이이찌 토오모토
Original Assignee
마스다 노부유키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스다 노부유키,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스다 노부유키
Publication of KR199800243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43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2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23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45Devices for inserting vulcanising cores, i.e. bladders, into the tyres; Closing the press in combination herewi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30Mounting, exchanging or centering
    • B29C33/303Mounting, exchanging or centering centering mould parts or halves, e.g. during mounting
    • B29C33/304Mounting, exchanging or centering centering mould parts or halves, e.g. during mounting centering co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Heating, Cooling, Or Curing Plastics Or The Like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이어가황기의 중심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타이어가황기의 설치피트의 깊이를 대폭적으로 감소할 수 있는 타이어가황기의 중심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며, 그 구성에 있어서, 블래더(B)의 위쪽개구단부를 클램프하는 상부클램프링(8)과, 블래더(B)의 아래쪽개구단부를 클램프하는 하부클램프링(12)과, 동하부클램프링(12)을 지지하는 하부금형(4)쪽의 하부링(13)과, 동하부링(13)에 장착한 환기부를 가진 스페이서(16)와, 동 스페이서(16)에 장착한 센터포스트승강구동용 실린 더(19)를 가지고, 동 센터포스트승강구동용실린더(19)의 피스톤로드의 연장부를 센터포스트하고, 동센터포스트를 상기 하부링(13) 및 상기 하부클램프링(12)의 중심부에 형성한 관통구멍(23)에 승강가능하게 끼워넣는 동시에, 하부클램프링(12)의 관통구멍 (23)으로부터 위쪽으로 돌출한 센터포스트(10)의 상단부에 상기 상부클램프링(8)을 고정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Description

타이어가황기의 중심기구
본 발명은, 타이어가황기의 중심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타이어가황기의 중심기구(예를 들면 일본국 실개소 58-66934호 공보에 기재된 타이어가황기의 중심기구)를 제2도에 의해서 설명하면, B가 블래더, (101)이 블래더B의 위쪽 개구단부를 클램프하는 상부클램프링, (102)가 상단부에 상부클램프링(101)을 착탈가능하게 고정된 센터포스트, (103)이 블래더B의 아래쪽 개구단부를 클램프하는 하부클램프링, (104)가 하부클램프링(103)을 착탈가능하게 고정된 하부링, (105)가 센터포스트승강구동용 실린더, (106)이 센터포스트승강구동용 실린더( 105)의 제2피스톤로드, (107), (108), (109)가 시일부재이다. 또, 센터포스트(102)가 센터포스트승강구동용 실린더(105)의 피스톤(105a)에 고정되고, 제2피스톤로 드(106)가 센터포스트(102)의 외주부에 끼워넣어져 있는 동시에, 하부링(104)의 중심부에 형성한 관통구머엥 승강가능하게 끼워넣어져 있다. 이 제2피스톤로드(106)는, 센터포스트(102)의 승강스트로크를 규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런데, 타이어의 가황은, 200℃가까운 고온하에서 행하여지기 때문에, 센터포스트승강구동용 실린더(105)가 고온으로 된다. 그때, 시일부재(107), (108)가 손모하고, 블래터B를 개재해서 타이어의 안쪽에 공급된 가열·가압매체(온수, 증기 또는 증기와 비활성가스의 혼합기체)가 센터포스트승강구동용 실린더(105)의 방향으로 누설되어, 동실린더(105)내로 들어오기 때문에, 관로(管路)가 파손되는 등의 트러블이 발생하고 있다. 특히, 가열·가압매체로서 비활성가스가 사용되게 되고나서는, 트러블의 발생빈도가 급증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제3도에 표시한 타이어가황기의 중심기구(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 3-274113호 명세서에 기재된 타이어가황기의 중심기구)가 사용되는 경향이 있다.
제3도의 T가 가황중의 타이어, B가 블래더, (201), (203)이 블래더B의 상하개구단부를 클램프하는 상하의 클램프링, (204)가 하부크램프링(203)을 착탈가능하게 고정된 하부링, (202)가 하부링(204)의 중심부에 형성한 관통구멍에 승강가능하게 끼워넣는 센터포스트이고, 센터포스트(202)의 상단부에는, 상부클램프링(201)이 착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또, (207)이 하부링(204)과 센터포스트(202)와의 사이에 개재장치한 시일부재, (205)가 스페이서(206)를 개재해서 하부링(204)에 고정된 센터포스트승강구동용 실린더이며, 동 실린더(205)의 피스톤로드(205a)의 상단부는 센터포스트(202)의 하단부에 비틀어넣으므로써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3도에 표시한 타이어가황기의 중심기구에서는, 스페이서(206)의 존재에 의해 센터포스트승강구동용 실린더(205)에의 전열랑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 스페이서(206)에 관로(도시생략)를 접속하여, 시일부재(207)의 손모에 의해 누설된 가열·가압매체를 스페이서(206)에 접속한 관로(도시생략)를 거쳐서 가황기밖으로 배출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가열·가압매체의 센터포스트승강구동용 실린더 (205)내에의 유입을 전무하게 할 수 있고, 상기 트러블을 해소할 수 있는 동시에, 센터포스트승강구동용 실린더(205)의 작동유체에 작동유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그 반면, 스페이서(206)의 길이를 센터포스트(202)의 승강스트로크 이상으로 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상기 제3도에 표시한 타이어가황기의 중심 기구에서는, 스페이서(206)의 길이분만큼 타이어가황기의 설치피트의 깊이를 깊게 하지 않으면 안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에 비추어 제안하는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하는바는, 타이어가황기의 설치피트의 깊이를 대폭적으로 감소할 수 있는 타이어가황기의 중심기구를 제공할려고 하는 점에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의 타이어가황기의 중심기구인 일실시형태를 표시한 종단측면도.
제2도는 종래의 타이어가황기의 중심기구의 일예를 표시한 종단측면도.
제3도는 종래의 타이어가황기의 중심기구의 다른 예를 표시한 종단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타이어가황기프레임의 베이스 2 : 단열판
3 : 하부열판 4 : 하부금형
5 : 상부금형 6 : 상부비드링
7 : 클램프판 8 : 상부클램프링
9 : 록링 10 : 센터포스트
11 : 하부비드링 12 : 하부클램프링
13 : 하부링 13a : 가열·가압매체통로
13b : 배관 14 : 플랜지
14a : 노즐 15 : 조합체
16 : 스페이서 16a : 통기창
17 : 부시 18 : 안내통
19 : 센터포스트승강구동용실린더 19a : 플랜지
20 : 브래킷 21 : 비드리프트실린더
21a : 피스톤로드 22 : 플랜지
23 : 관통구멍 B : 블래더
T : 타이어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발명인 타이어가황기의 중심기구는, 블래더의 위쪽개구단부를 클램프하는 상부 클램프링과, 블래더의 아래쪽 개구단부를 클램프하는 하부클램프링과, 동 하부클램프링을 지지하는 하부금형쪽의 하부링과, 동하부링에 장착한 환기부를 가진 스페이서와, 동 스페이서에 장착한 센터포스트승강구동용실린더를 가지고, 동 센터포스트승강구동용 실린더의 피스톤로드의 연장부를 센터포스트로하고, 동 센터포스트를 상기 하부링 및 상기 하부클램프링의 중심부에 형성한 관통구멍에 승강가능하게 끼워넣는 동시에, 하부클램프링의 관통구멍으로부터 위쪽으로 돌출한 센터포스트의 상단부에 상기 상부클램프링을 고정시키고 있다.
본 발명의 제2발명은, 상기 제1발명의 타이어가황기의 중심기구에 있어서, 센터포스트승강구동용 실린더의 피스톤로드와 센터포스트를 일체로 형성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제3발명은, 상기 제1발명의 타이어가황기의 중심기구에 있어서, 스페이서의 하단부와 센터포스트승강구동용 실린더의 상하중간위치에 형성한 플랜지를 연결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제4발명은, 상기 제1발명~제3발명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의 중심기구를 가진 타이어가황기로 해도 된다.
본 발명의 타이어가황기의 중심기구는, 상기와 같이 블래더의 위쪽 개구단부를 클램프하는 클램프링과, 블래더의 아래쪽개구단부를 클램프하는 하부클램프링과, 동 하부클램프링을 지지하는 하부금형쪽의 하부링과, 동하부링에 장착한 환기부를 가진 스페이서와, 동스페이서에 장착한 센터포스트승강구동용 실린더를 가지고, 동 센터포스트승강구동용 실린더의 피스톤로드의 연장부를 센터포스트로 하고, 동센터포스트를 상기 하부링 및 상기 하부클램프링의 중심부에 형성한 관통구멍에 승강가능하게 기워넣는 동시에, 하부클램프링의 관통구멍으로부터 위쪽으로 돌출한 센터포스트의 상단부에 상기 상부클램프링을 고정하고 있으며, 센터포스트승강구동용 실린더의 피스톤로드의 연장부를 센터포스트로 하고 있으므로, 하부링과 센터포스트승강구동용 실린더와의 간격을 단축할 수 있다. 추가하여 스페이스의 환기부를 설치해서, 방열을 촉진하고 있으므로, 스페이서를 길게할 필요가 없어, 타이어가황기의 설치피트깊이를 대폭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타이어가황기의 중심기구를 제1도에 표시한 일실시형태에 의해 설명하면, T가 가황중의 타이어, B가 블래더이다.
(1)이 타이어가황기본체프레임의 베이스, (3)이 단열판(2)을 개재해서 베이스(1)에 보울트등에 의해 고정된 하부열판, (4)가 하부열판(3)에 보울트등에 의해 고정된 하부금형, (5)가 본체프레임에 승강가능하게 조립한 볼스터플레이트(도시생략)에 단열판 및 상부열판(도시생략)을 개재해서 보울트등에 의해 고정된 상부금형, (6)이 상부금형(5)에 보울트죔된 상부비드링이다.
(8)이 블래더B의 위쪽개구단부를 클램프하는 상부클램프링이며, 이 상부클램프링(8)에 클램프판(7)을 보울트죔하므로써, 블래더B의 위쪽개구단부는 클램프가능하게 되어 있다.
(9)가 둘레방향으로 2분할 가능한 록링, (10)이 상단부에 상부클램프링(8)을 고정한 센터포스트(센터포스트승강구동용 실린더(19)의 피스톤로드)이며, 상부 클램프링(8)은 센터포스트(10)의 상단부에 삽입해서 2분할한 록링(9)을 보울트죔하므로써 일체화되어 있다. 또, 센터포스트(10)와 상부클램프링(8)과의 사이에는, 시일부재가 개재장치되어 있다.
(12)가 블래더B의 아래쪽 개구단부를 클램프하는 하부클램프링이며, 이 하부클램프링(12)에 하부비드링(11)을 보울트죔하므로써, 블래더B의 아래쪽개구단부는 클램프 가능하게 되어 있다.
(13)이 하부클램프링(12)을 외주부에 비틀어넣고 고정한 하부링이고, 하부링(13)과 하부클램프링(12)과의 사이에는, 시일부재가 개재장치되어 있다.
(15)가 하부링(13)의 내주부에 삽입한 시일부재와 부시와의 조합체이며, 상기 조합체(15)는, 하부링(13)에 보울트죔한 플랜지(14)에 의해 이탈방지되어 있다. 또, 시일부재와 부시와의 조합체(15)의 안쪽에는, 센터포스트(10)가 승강가능하게 끼워넣어져 있다. 즉, 하부링(13) 및 하부클램프링(12)의 중심부에는, 센터포스트(10)를 끼워넣는 관통구멍(2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부링(13)내에 형성한 가열·가압매체통로(13a)의 상단부는, 플랜지( 14)에 설치한 노즐(14a)을 개재해서 블래더B의 안쪽에 연통되어 있으며, 동 가열·가압매체통로(13a)의 하단부는, 비틀어넣기등에 의해 고정된 배관(13b)을 개재해서 가열·가압매체공급배출장치(도시생략)에 접속되어 있다.
(16)이 비틀어넣기 등에 의해 하부링(13)의 외주부에 고정된 스페이서이며, 스페이서(16)의 상하중간부에는, 환기를 행하는 환기부인 통기창(16a)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환기는, 냉각팬 등에 의해 행하도록 해도 된다.
(19)는 상하중간부에 플랜지(19a)가 형성된 센터포스트승강구동용 실린더이며, 동 실린더(19)의 플랜지(19a)와 스페이서(16)의 하단부와는 보울트죔 되어 있다. 따라서, 센퍼토스트승강구동용 실린더(19)를 작동하여, 센터포스트(센터포스트승강구동용 실린더(19)의 피스톤로드)를 승강시키므로써, 블래더B는 상하방향으로 신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18)이 하부열체(3)의 내주부에 설치된 안내통이며, 안내통(18)의 내주에는, 부시(17)가 삽입,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부시(17)의 안쪽에는, 스페이서(16)와 일체인 하부링(13)이 승강가능하게 끼워넣어져 있다.
(21)이 베이스(1)에 고정된 브래킷(20)에 보울트죔되어 있는 비드리프트실린더이며, 비드리프트실린더(21)의 피스톤로드(21a)의 상단부는 상기 스페이서(16)의 플랜지(22)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비드리프트실린더(21)를 작동시키므로써, 센터포스트승강구동용 실린더(19), 스페이서(16), 하부링(13) 및 하부비드링(11)은 승강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제1도에 표시한 타이어가황기의 중심기구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타이어가황중, 센터포스트(10)의 상부, 하부링(13)등은, 블래더B를 개재해서 타이어T의 안쪽에 공급한 가열·가압매체에 접촉하므로, 200℃가까운 고온으로 된다. 그러나, 이 200℃가까운 온도는, 하부링(13)보다도 아래쪽으로 돌출하고 있는 센터포스트(10)의 부분으로부터 방열되므로써, 센터포스트승강구동용 실린더(19)에 도달하기 전에 강하한다.
이 때, 스페이서(16)에 설치한 통기창(16a)으로부터의 환기에 의해 상기 방열이 촉진되는 동시에, 스페이서(16)를 경유하는 전열량이 감소하기 때문에, 센터포스트승강구동용 실린더(19)의 온도가 동실린더(19)의 작동유체 및 시일부재의 허용온도이하로 된다.
또한, 센터포스트승강구동용 실린더(19)와 하부링(13)과의 사이의 간격은, 센터포스트승강구동용 실린더(19)의 온도가 동실린더(19)의 작동유체 및 시일부재의 허용온도이하로 되도록 미리 결정되어 있다.
타이어T의 가황이 종료되면, 종래와 마찬가지로 타이어T의 안쪽의 가열·가압매체를 배출하고, 이어서 상부금형(5)을 상승시킨다. 그리고, 블래더B내를 진공으로 하는 동시에, 센터포스트승강구동용 실린더(19)를 작동하여, 상부클램프링(8)을 상승시키고, 블래더B를 축경연신(縮經延伸)시켜서, 타이어T를 꺼낸다.
이어서 비트리프실린더(21)를 작동하여, 하부비드링(11)을 상승시키고, 타이어T를 하부금형(4)으로부터 박리, 상승시킨다. 그리고, 공지의 수단에 의해 타이어T를 가황기밖으로 꺼내서, 가황하는 타이어T를 반입한다.
그후는, 반입한 타이어T의 정형, 상부금형(5)의 하강을 해하고, 금형의 폐쇄되면, 블래더B를 개재해서 타이어T의 안쪽에 가열·가압매체를 주입하고, 가황공정으로 들어가, 상기의 조작을 반복한다.
또한 이상은, 타이어반출입시에 블래더B를 축경연신시키는 형식의 타이어가 황기의 중심기구에 적용한 경우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타이어가황기의 중심기구는, 그 이외의 형식의 타이어가황기의 중심기구, 예를 들면 타이어반출입시에 블래더B를 웰(Well)내에 수납하는 형식의 타이어가황기의 중심기구에도 적용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타이어가황기의 설치피트의 깊이를 대폭감소하고, 관로파손 등의 트러블을 억제할 수 있는 타이어가황기의 중심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4)

  1. 블래더의 위쪽개구단부를 클램프하는 상부클램프링과, 블래더의 아래쪽개구단부를 클램프하는 하부클램프링과, 동 하부클램프링을 지지하는 하부금형쪽의 하부링과, 동하부링에 장착한 환기부를 가진 스페이서와, 동 스페이서에 장착한 센터포스트승강구동용 실린더를 가지고, 동센터포스트승강구동용 실린더의 피스톤로드의 연장부를 센터포스트로하고, 동 센터포스트를 상기 하부링 및 상기 하부클램프링의 중심부에 형성한 관통구멍에 승강가능하게 끼워넣는 동시에, 하부클램프링의 관통구멍으로부터 위쪽으로 돌출한 센터포스트의 상단부에 상기 상부클램프링을 고정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가황기의 중심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포스트승강구동용 실린더의 피스톤로드와 상기 센터포스트를 일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가황기의 중심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의 하단부와 상기 센터포스트승강구동용 실린더의 상하중간위치에 형성한 플랜지를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가황기의 중심기구.
  4. 제1항~제3항의 어느 한 항에 기재의 중심기구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가황기.
KR1019970045641A 1996-09-03 1997-09-03 타이어가황기의 중심기구 KR1002323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3316396A JP3300744B2 (ja) 1996-09-03 1996-09-03 タイヤ加硫機の中心機構
JP96-233163 1996-09-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4308A KR19980024308A (ko) 1998-07-06
KR100232338B1 true KR100232338B1 (ko) 1999-12-01

Family

ID=16950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5641A KR100232338B1 (ko) 1996-09-03 1997-09-03 타이어가황기의 중심기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853769A (ko)
EP (1) EP0826484B1 (ko)
JP (1) JP3300744B2 (ko)
KR (1) KR100232338B1 (ko)
CN (1) CN1062213C (ko)
DE (1) DE69715995T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2289B1 (ko) * 2000-10-07 2003-05-01 금호산업 주식회사 타이어 가류기용 센터 포스트 내부의 증기 분출 구조
KR101160235B1 (ko) 2010-08-31 2012-06-26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가류 장치
KR101356577B1 (ko) 2012-11-09 2014-02-04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가류기의 중심기구 배관 연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87047B2 (ja) * 2000-07-13 2009-12-16 株式会社神戸製鋼所 中心機構
KR20030095466A (ko) * 2002-06-10 2003-12-24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가류기의 그린타이어 센터링 장치
JP4490916B2 (ja) 2003-07-25 2010-06-30 不二商事株式会社 タイヤの加硫方法及び同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加硫機
US20080084007A1 (en) * 2006-10-05 2008-04-10 Carlisle Intangible Company Low aspect ratio tire curing bladder
JP5469361B2 (ja) * 2009-04-10 2014-04-16 三菱重工マシナリ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タイヤ加硫機の中心機構
CN101537718A (zh) * 2009-04-27 2009-09-23 余延博 轮胎热翻中心冲气机构
CN102672859B (zh) * 2012-05-09 2016-11-02 青岛康宏安工贸有限公司 双模高效斜交轮胎全自动硫化机
KR101414517B1 (ko) * 2012-11-13 2014-07-04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열손실을 방지한 타이어 가류금형
CN106671321B (zh) * 2017-01-20 2022-11-15 华澳轮胎设备科技(苏州)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分体式定位环的硫化机中心机构及轮胎硫化机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280A (en) * 1870-08-09 James t
DE1729860A1 (de) * 1964-06-26 1971-07-08 Karl Zaengl Verfahren zum Einbringen eines Blaehbalges in einem zu vulkanisierenden Reifen und Vulkanisierpresse zum Durchfuehren des Verfahrens
US3632712A (en) * 1969-04-10 1972-01-04 Gen Tire & Rubber Co Method for curing of pneumatic tires
US4338069A (en) * 1980-04-09 1982-07-06 Nrm Corporation Tire press
JPS57150556A (en) * 1981-03-13 1982-09-17 Kobe Steel Ltd Center mechanism for tire vulcanizer
JPS5866934A (ja) * 1981-10-16 1983-04-21 Fuji Photo Film Co Ltd 放射線画像情報記録読取装置
US4768937A (en) * 1987-02-02 1988-09-06 Nrm Corporation Tire curing press
JPH0637058B2 (ja) * 1989-08-02 1994-05-1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タイヤ加硫機の中心機構
JP2647531B2 (ja) * 1990-03-26 1997-08-2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タイヤ加硫機の中心機構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2289B1 (ko) * 2000-10-07 2003-05-01 금호산업 주식회사 타이어 가류기용 센터 포스트 내부의 증기 분출 구조
KR101160235B1 (ko) 2010-08-31 2012-06-26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가류 장치
KR101356577B1 (ko) 2012-11-09 2014-02-04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가류기의 중심기구 배관 연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26484A3 (en) 1999-06-30
US5853769A (en) 1998-12-29
CN1062213C (zh) 2001-02-21
KR19980024308A (ko) 1998-07-06
DE69715995T2 (de) 2003-06-18
DE69715995D1 (de) 2002-11-07
CN1178158A (zh) 1998-04-08
JPH1076529A (ja) 1998-03-24
EP0826484B1 (en) 2002-10-02
JP3300744B2 (ja) 2002-07-08
EP0826484A2 (en) 1998-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2338B1 (ko) 타이어가황기의 중심기구
JPS5915811B2 (ja) タイヤカリユウプレスチユウシンキコウ
EP1743755A1 (en) Tire vulcanizing method and tire vulcanizing process setting method
US4927344A (en) Steam dome type vertical tire press
KR960000447A (ko) 타이어가황기용 분할금형장치
US4383808A (en) Vulcanizing press for manufacturing tires
EP032316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ulcanising an elastomer product
JP2010241090A (ja) タイヤ加硫機の中心機構
US5961913A (en) Device and process for vulcanizing tires
JP5259007B1 (ja) タイヤ加硫機、および、タイヤ加硫機のメンテナンス方法
JP7428875B2 (ja) タイヤ加硫装置および方法
JP7417080B2 (ja) タイヤ加硫装置および方法
US4184823A (en) Tire mold press
KR100760592B1 (ko) 타이어 가류기용 블래더의 편심 방지 장치
JP2017065233A (ja) タイヤ加硫用金型及びタイヤ製造方法
KR0141928B1 (ko) 타이어 가황기
US4095804A (en) Sealing means for high temperature, high pressure, cylindrical furnaces
US4239723A (en) Tire mold press operating method
JPH01184106A (ja) ドーム型加硫装置
JPH11138545A (ja) タイヤ加硫機
CN113329853B (zh) 轮胎硫化装置及方法
JPS5970537A (ja) タイヤ加硫機の流体給排装置
KR200141862Y1 (ko) 타이어가류용 몰드의 예열장치
JP3310841B2 (ja) タイヤ加硫プレス
US4029448A (en) Bead aligner wheels with projection for retreading machi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2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5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