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0033B1 - 화상처리장치 - Google Patents

화상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0033B1
KR100230033B1 KR1019920011021A KR920011021A KR100230033B1 KR 100230033 B1 KR100230033 B1 KR 100230033B1 KR 1019920011021 A KR1019920011021 A KR 1019920011021A KR 920011021 A KR920011021 A KR 920011021A KR 100230033 B1 KR100230033 B1 KR 1002300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ry
residual
field
image
sto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1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3746A (ko
Inventor
미쯔하루 오오끼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9300037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37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00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00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144Movement detection
    • H04N5/145Movement esti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1Motion detection
    • H04N23/6811Motion detection based on the image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Color Television Systems (AREA)
  • Image Analy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 이동벡터에 기인하여 손떨림에 의한 화상의 흔들림을 리얼타임으로 보정하는 화상처리장치에 있어서, 이동벡터를 검출하기 위하여 구비한 잔차메모리의 용량을 축소한다. 본 발명의 구성, 1라인의 화소데이터가 순차 입력한다. 감산기(31)와 절대치회로(32)와 가산기(33)는 입력하는 각 화소 데이터에 관해서 잔차 또는 그 도중 결과를 산출하여 잔차메모리(34)에 격납한다. 잔차 메모리(34)는 격납한 잔차 또는 그 도중결과를 수평귀선기간을 이용하여 필드메모리(8)의 유휴(遊休)영역으로 퇴피하고, 다음 라인의 화상데이터의 입력에 대비한다. 본 발명의 효과, 잔차메모리(34)의 용량은 종래의 면(面) 대응으로부터 선(線) 대응으로 함으로써 대폭 축소할 수 있고, 설정 가능한 대표점수나 블록수를 대폭 늘리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보다 정확한 손떨림 보정을 실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상처리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
제2도는 화면의 화소 구성예를 표시한 설명도.
제3도는 상기 제2도의 화면에 있어서 대표점 및 수색범위의 배치도.
제4도는 상기 실시예의 동작을 표시하는 설명도.
제5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블록도.
제6도는 대표점 및 수색범위의 배치예를 표시하는 설명도.
제7도는 복수의 블록배치예를 표시하는 설명도.
제8도는 종래 장치의 일예를 표시하는 블록도.
제9도는 종래 장치의 다른예를 표시하는 블록도.
제10도는 입력 및 출력화상 영역을 표시하는 설명도.
제11도는 보간회로(9)의 구성과 동작 표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입력신호 2 : 대표점 메모리
3, 4, 5, 6 : 이동벡터 검출회로 7 : 제어회로
8 : 필드 메모리 9 : 보간회로
10 : 출력신호 31 : 감산기
32 : 절대치회로 33 : 가산기
34 : 잔차(殘差)메모리(Q워드) 39 : 최소잔차 계산회로
44 : 제1잔차 메모리(Q워드) 45 : 제2잔차 메모리(Q워드)
54 : 잔차 메모리(QXR워드) 64 : 제1잔차 메모리(QXR워드)
65 : 제2잔차메모리(QXR워드)
본 발명은 입력이동 화상데이타에 있어서 필드간의 이동벡터를 검출하고, 비데오 카메라에 있어서 필드간의 화상의 흔들림을 보정하는 손떨림 보정장치, 이동화상의 데이타량을 압축하는 화상압축장치 등의 화상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비데오 촬영시의 카메라 흔들림에 의한 화상의 떨림을 화상처리에 의해 보정하는 손떨림 보정장치나 고능률의 화상전송을 위한 데이타량의 압축을 행하는 이동화상 압축장치등의 화상처리장치에 있어서 적절한 손떨림 보정이나 고능률의 데이타 압축을 행하는데 에는 각 필드간에 있어서 화상의 이동벡터를 정확하게 구할 필요가 있다.
현 필드(=제n필드)의 전 필드(=제(n-i)필드, 단 이하 설명에서 i=1로 한다.)에 대한 이동벡터 V(n)의 검출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6도는 가령 1화면에 16개의 대표점 Pk(k=0~15)을 설치하는 이동벡터를 구하는 경우를 표시한 것이다. 제(n-1)필드의 대표점 Pk(n-1)에 있어서 화소데이타(이하 대표점 데이타 라고 한다.)를 Ak(n-1)로 한다. 제n필드의 수색범위 Wk(단, 수색원점을 대표점 Pk(n)으로 하고 수평방향 Q화소 및 수직방향에 R화소의 범위)내에서 대표점 데이타 Ak(n-1)에 대응하는 제n필드의 화소데이타 Aij(n)를 수색한다. 구체적으로는 가령 수색원점 Pk에서부터 수색 범위 Wk내의 모든 수색점(1, m)까지의 벡터(이하 벡터(1, m)이라고 한다.)의 각각에 대해 다음식으로 주어지는 잔차 S(1, m)을 계산한다.
여기서, Ak(1, m)(n)은 수색범위 Wk내의 수색점(1, m)에 있어서 제n필드의 화소데이타이다. 모든 수색점에 있어서 잔차 S(1, m)중에서 최소의 잔차를 S(11, m1)으로 하면 제(n-1)필드에 대한 제n필드의 이동벡터 V(n)은 벡터(11, m1)으로 주어진다. 상기에 (제6도)에서는 1화면 전체에 대하여 잔차 S를 계산하여 이동벡터 V를 구했지만 다른 실시예로서 1화면을 복수의 블록, 예를 들면, 제7도에 표시와 같이 4개의 블록 B1, B2, B3, B4로 분할하여 각 블록의 이동벡터 V1, V2, V3, V4를 상기예와 똑같이(결국 각 블록을 상기예에 있어서 화면 전체에 견주어) 검출하여도 좋다.
이 경우 각 블록에서 검출된 합계 4개의 이동벡터 V1, V2, V3, V4로 부터,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판정기준에 의해 제n필드의 이동벡터 V(n)을 판정한다.
제1케이스: 4개의 이동벡터중 3개 이상이 동일한 경우 이 일치하는 벡터를 제n필드의 이동벡터 V(n)으로 한다.
제2케이스: 제1케이스 이외의 경우이고, 이동벡터 V(n)를 검출불능으로 하든가, 각 블록에 겹쳐붙게 되는 이동벡터 V(n)을 판정하든가 혹은 각 블록에서의 4개의 이동벡터 V1, V2, V3, V4와 동시에 화면전체의 이동벡터 Vw를 검출하고, 이동벡터 V(n)로서 화면전체의 이동벡터 Vw를 채용한다.
이것은 복수의 블록중 하나, 가령, 제3블록 B3의 이동벡터 V3가 사람이나 자동차 등의 동체의 영향에 의해 정확하게 검출할 수 없는 것 같은 경우에 대치하고자 하는 방법이다. 제8도 및 제9도는 종래의 화상처리장치로서의 손떨림 보정장치를 표시하는 블록도이고, 각각 제6도 및 제7도에 대응하는 것이다. 또한 제8도와 제9도의 상이점은 전자가 QXR 워드의 잔차 메모리(54)를 가지고 있는데 대하여 후자는 제1 및 제2 블록 B1, B2 혹은 제3 및 제4블록에 대응하여 각각 QXR 워드 제1 및 제2 잔차 메모리(64, 65)를 갖는 점이다. 따라서 화면을 복수 블록으로 블록화한 제9도에 대해서 설명하고, 여기에 포함된 제8도에 대해서 설명은 생략한다.
제9도에 종래의 화상처리장치의 일예로서 제7도의 블록배치에 있어서 손떨림 보정장치의 블록도를 표시한다. 시각 T0(제7도 참조)까지의 제(n-1)필드의 화상데이타 Aij(n-1)는 데이타버스 BU를 거쳐 필드메모리(8)에 격납되고 또 화상데이타 Aij(n-1) 중에서 대표점 데이타 Ak(n-1)은 데이타 버스 BU를 거쳐 대표점 메모리(2)에 격납되어 있다. 기간 T0~T1에 있어서 입력신호 1로서 순차 입력하는 제n필드의 화상데이타 Aij(n)은 이동벡터 검출회로(6)에 공급된다. 이동벡터 검출회로(6)의 감산기(31)에 의해 화상데이타 Aij(n)중 제1 및 제2블록 B1, B2 전 수색점의 각 화소데이타와 대표점 메모리(2)에서 데이타버스 BU를 거쳐 공급되는 대표점 데이타 Ak(n-1)와의 차분이 얻어지고 가산기(33)에 의해 차분절대치의 누적가산치, 즉 잔차 S(1, m)의 도중결과 혹은 최종결과가 계산되고 제1 및 제2 잔차 메모리(64, 65)에 격납된다. 여기서 제1잔차 메모리(64)에는 제1블록 B1의 모든 잔차 S1(1, m)(또는 그 도중결과)가 격납된다. 잔차 S1(1, m), S2(1, m)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최소 잔차 계산회로(39)는 제1잔차 메모리(64)에 격납된 제1블록 B1의 모든 잔차 S1(1, m)중 최소 잔차 S1(l11, m11)를 검출하고 제1블록 B1의 이동벡터 V1(111, m11)로서 출력한다. 여기서 최소잔차 S11(l13, m13), …를 검출하고 제1블록의 이동벡터로서 복수개의 이동벡터 V11(l11, m11), V12(l12, m12), V13(l13, m13), …를 출력하도록 하여도 좋다. 제1블록 B1이외의 각 블록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시각 T1에 있어서 제1블록 B1의 이동벡터 V1(l11, m11)와 제2블록 B2의 이동벡터 V2(l21, m21)이 제어회로(7)로 출력된다. 기간 T1에 있어서 제3블록 B3 및 제4블록 B4의 이동벡터 V31(l31, m31) 및 V41(l41, m41)가 이동벡터 검출회로(6)에 의해 검출된다. 이 기간 T1~T2에 제1 및 제2 잔차 메모리(64, 65)에 격납되는 각 잔차 S3(1, m) 및 S4(1, m)는 다음식으로 표현된다.
제n필드의 입력이 끝나는 시각, 즉 시각 T2에 있어서 제어회로(7)은 상술과 같은 판정기준에 따라 복수블록 B1, B2, B3 및 B4의 이동벡터 V1, V2, V3, V4로 부터 제n필드의 제(n-1)필드에 대한 이동벡터 V(n)를 판정하고 이 이동벡터 V(n)를 기준필드(가령 제1필드) 이후의 누적 이동벡터 Vt에 누적가산(Vt(n)=Vt(n-1)+V(n))하고 이 누적이동벡터 Vt(n) 만큼 보정한 독출어드레스 ADR을 필드메모리(8)로 출력한다. 동기간 T0~T2에 있어서 결국 이동벡터 V1, V2, V3, V4의 검출도 병행하고, 제n필드의 화상데이타 Aij(n)중 제n필드의 대표점 데이타 Ak(n)는 대표점 메모리(2)에 취입되고 사용이 끝난 대표점 데이타 Ak(n-1)의 갱신이 순차로 행해진다. 또 동기간 T0~T2에 필드메모리(8)에 격납되어 있는 제(n-1)필드의 화상데이타 Aij(n-1)은 데이타버스 BU를 거쳐 보간회로(9)에 순차 출력되고 출력이 끝난 화상데이타 Aij(n-1)는 제n필드의 화상데이타 Aij(n)에 의해 순차 갱신 된다. 제10도는 필드메모리(8)에 격납된 입력화상영역과 다음의 필드기간에 독출되는 출력화상영역을 표시하는 도면이다.
제10도에 있어서 입력화상영역은 기준필드의 출력화상영역과 상정한 최대이동벡터에 대응하여 기준필드의 출력화상영역의 주변에 설정된 보정 영역으로 구성되므로 기준필드 혹은 임의 필드의 출력화상영역(점선으로 표시한다)은 입력화상영역보다도 한바퀴 작은 영역으로 된다. 출력화상영역이 화면틀영역보다도 작은 경우 화상데이타의 보간에 의한 화상확대가 필요하다. 제11(a)도는 보간회로(9)를 표시하는 블록도, 제11(b)는 3/2배로 확대하는 경우의 동회로 동작을 표시하는 타이밍도, 제12(c)도는 보간결과를 표시하는 도면이다. 제11(a)도에 있어서 제9도에 표시한 입력신호 1은 각 수평주사기간 H에 주사선 데이타 Yi(단, i=0, 1, 2, …)로서 순차 입력한다. 입력하는 주사선 데이타 Yi는 승산기(91)에 의해 계수 C0가 승산된 다음 가산기(95)에 입력한다. 이와 동시에 주사선 데이타 Yi는 스위치(92)를 거쳐 1H지연선(93)에 입력하고 1수평주사기간(1H) 지연한후 승산기(94)에 의해 계수 C1이 승산되고 가산기(95)에 입력한다. 가산기(95)는 승산기(91, 94)에서의 양출력을 가산하고 출력 주사선 데이타 Yi를 출력한다. 3/2배로 확대하는 경우에 있어서 보간회로(9)의 라인 보간동작을 표시하는 제11(b)도에 있어서 각 주사선 데이타 Yi(Y0, Y1, Y2, …)는 순차로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하지만 주사선 데이타 Y0 혹은 두개의 주사선 데이타 Y1과 Y2, Y3과 Y4 …를 입력한 후의 1수평주사기간(1H)는 더미(dummy) 데이타를 입력기간중은 b측에 절환되므로 1H지연선(93)은 1수평주사기간(1H) 늦은 각 주사선 데이타 Y0, Y0, Y1, Y2, Y2, Y3, Y4, Y4, …를 승산기(94)로 출력한다. 승산기(91)의 계수 C0은 수평주사기간(H)에 동기하여 도시와 같이 0, 2/3, 1/3로 되도록 제어되고 또한 승산기(94)의 계수 C1은 동일하게 1, 1/3, 2/3, …으로 되도록 제어되므로 가산기(95)에서 1H지연되어 출력되는 보정후의 주사선 데이타 Yi는 다음과 같이 된다.
제11(c)도에서 입력하는 각 주사선 데이타 Yi를 점선으로 표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수직방향에의 화상확대와 동시에 수평방향에의 확대도 필요하지만 주지된 기술이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또 제10도에 있어서 출력화상영역과 화면틀이 일치하는 경우 상술과 같은 화상의 확대는 불필요하지만 입력화상영역의 필드메모리(8)에의 서입 크록을 기준으로 하면 출력화상영역은 똑같이 수라인마다 더미데이타 DM를 삽입하여 출력하고 보간회로(9) 대신에 데이타 변환회로를 사용하여 더미 데이타 DM의 제거를 행한다. 즉, 이 경우에도 필드 메모리로 부터 데이타 변환회로에의 출력이 정지하는 더미데이타 송출기간이 똑같이 존재한다. 제9도에 있어서 다음의 제(n+1) 필드기간 T0~T2(n+1)에 있어서 필드 메모리에 격납되어 있는 화상데이타 Aij(n)은 제어회로(7)에서의 독출어드레스 ADR(n)에 기초하여 데이타 버스 BU를 거쳐 보간회로(9)에 순차 출력되고 상술한 바와 같이 보간 처리등의 후에 출력신호(10)으로서 출력된다. 더욱이 상술한 종래의 장치에 있어서 필드 메모리(8)의 독출 서입은 다음과 같이 출력된다. 더욱이 상술한 종래의 장치에 있어서 필드 메모리(8)의 독출 서입은 다음과 같이 행해진다. 제(n-1)필드의 출력화상영역중 이미 보간회로(9)에 출력이 끝난 영역, 병행하여 이 출력화상영역의 외측에 출력되지 않은 영역(보정영역)에 입력하는 제n필드의 화상데이타 Aij(n)가 순차로 중복 서입된다.
또한 상기예에 있어서의 각 수색범위 Wk에 설정된 수색점의 갯수는 (QXR)이다. 상술한 종래의 장치에 있어서 1화면 또는 각 블록의 수색범위 Wk내에 설정된 모든 수색점 각각에 대해 잔차 S(1, m)가 계산되므로 각 잔차메모리(54, 64, 65)의 용량은 각각각 (QXR) 워드이다. 1화면을 4블록(=2X2)으로 분할한 상기예에 있어서, 가령 제1플러스 제2블록(B1+B2)을 제5블록 B5, 제3프러스 제4블록(B3+B4)를 제6블록, 제1프러스 제2프로스 제3프러스 제4블록(=전화면)을 제7블록 B7등으로 하는 블록설정이 가능하고, 또 2X2 분할이외에 3X3분할등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경우 종래 장치에서는 a개의 블록(가령, B1, B2, B5 및 B7의 4블록)의 이동벡터를 동시에 검출하기 때문에 각각 QXR워드의 a개의 잔차 메모리를 구비해야 한다. 이 때문에 대표점수나 블록수를 증대하고 회로규모가 크게 되어버리는 문제가 있었다.
여기서 본 발명은 수평귀선기간등 필드 메모리의 입출력을 정지하는 기간을 이용하여, 잔차의 도중결과를 필드 메모리의 여백영역으로 퇴피(退避)함으로써, 각 잔차 메모리의 용량을 종래의 QXR워드로 부터 Q워드로 각각 삭감한 화상처리장치를 제한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는 현 필드의 앞 필드에 대한 화상의 이동벡터를 검출하고, 이 이동벡터에 기인하여 필드 메모리에 격납한 현 필드의 손떨림 보정 및 이동화상 압축을 행하는 화상처리장치에 있어서, 임의의 일수평 주사선분의 화상데이터가 입력하는 기간에 산출되는 잔차 또는 그 중간결과를 격납하는 잔차 메모리를 지니고, 화상데이터가 입력한 기간후의 소정기간에, 잔차 메모리에 격납한 잔차 또는 그 중간결과를 필드 메모리의 여백영역으로 퇴피하는 것이다.
또, 현 필드의 앞 필드에 대한 화상의 이동벡터를 검출하고, 이 이동벡터에 기인하여 필드 메모리에 격납한 현 필드의 손떨림 보정 및 이동화상 압축을 행하는 화상처리장치에 있어서, 임의의 일 수평주사 선분의 화상데이터가 입력하는 기간에 산출되는 잔차 또는 그 중간결과를 격납하는 잔차 메모리를 지니고, 필드 메모리를 멀티포트 메모리로 구성하고, 잔차 메모리에 격납한 잔차 또는 그 중간결과를 이 필드 메모리의 여백영역으로 퇴피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제1도에 관하여 설명한다.
단, 설명을 간단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1필드의 화소수를 100개, 즉 화소데이터 Ai, j를 i=0~9, j=0~9의 100개로 한다. 또 수색범위 W0를 i=0~4 그리고 j=0~4, 수색범위 W1을 i=0~4 그리고 j=5~9, 수색범위 W2를 i=5~9 그리고 j=0~4 및 수색범위 W3를 i=5~9 그리고 j=5~9로 한다. 즉 수색범위 Wk(k=0~)는 Q=5, R=5의 사이즈이고, 1=-2, -1, 0, 1, 2 및 m=-2, -1, 0, 1, 2인 25개의 벡터(1, m)에 관하여 잔차 S(1, m)를 계산한다.
1) 임의의 필드(제n필드)의 개시시점 To(n)에 있어서의 상태는 다음과 같다.
1-1) 대표점 메모리(2)에는 제(n-1)필드의 대표점 Pk에 있어서의 화소 데이터 Ak(n-1)각 격납되어 있다.
여기서, 대표점 P0의 화소데이터 A0(n-1)=A22(n-1),
대표점 P1의 화소데이터 A1(n-1)=A27(n-1),
대표점 P2의 화소데이터 A2(n-1)=A72(n-1) 및
대표점 P3의 화소데이터 A3(n-1)=A77(n-1)이다.
1-2) 제어회로(7)은 이동벡터 검출회로(3)가 출력하는 제(n-1)필드의 이동벡터 V(n-1)을 입력으로 하고, 기준필드(예를 들면, 제1필드)이후의 누적이동벡터(Vt)에 이 이동벡터 V(n-1)을 누가산하여 누적이동벡터(Vt)를 갱신하고, 이 갱신된 누적이동벡터분 보정한 독출 어드레스(ADR)를 필드 메모리(8)로 출력한다.
1-3) 필드 메모리(8)에는 제(n-1) 필드의 화소데이터 Aij(n-1)가 격납되어 있다.
2) 제n필드 기간에 있어서의 동작을 다음에 설명한다.
2-1) 제0수평 주사기간에 있어서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2-1-1)5(=Q) 워드(어드레스 0~4)의 잔차 메모리(34)를 클리어한다.
2-1-2)수색범위 W0(k=0)의 화소데이터 A00이 입력하고, 또 대표점 메모리(2)로 부터는 대표점 P0(k=0)의 화소데이터 A0(n-1)이 독출되고, 감산기(31)와 절대치회로(32)는 잔차(-2, -2)의 제1부분항, 즉 차분점에서 │A00-A0(n-1)│를 계산한다. 가산기(33)는 잔차 메모리(34)의 어드레스 0에 격납된 잔차 S(-2, 02)의 도중결과(=0)를 독출하고, 이것에 제1부분항을 가산하고, 이 가산결과를 잔차 메모리(34)의 어드레스 0에 격납한다. 순차 입력하는 수색범위 W0의 화소데이터 A01, A02, A03 및 A04에 관해서도 마찬가지로 잔차 S(-1, 02), S(0, 02), S(1, -2) 및 S(2, -2)의 제1부분항을 계산하고, 이것에 잔차 메모리(34)의 어드레스 1, 2, 3 및 4에 격납되어 있는 잔차 S(-1, -2), S(0, -2), S(1, -2) 및 S(2, -2)의 도중결과(=0)을 가산하고, 가산결과를 잔차 메모리(34)의 어드레스 1, 2, 3 및 4에 순차격납한다.
2-1-3) 수색범위 W1(k=1)의 화소데이터 A05가 입력하고, 또 대표점 메모리(2)로 부터는 대표점 P1(k=1)의 화소데이터 A1(n-1)이 독출되고, 감산기(31)과 절대치회로(32)는 잔차(-2, -2)의 제2부분항, 즉 차분절대치 │A05-A1(n-1)│을 가산한다. 가산기(33)는 잔차 메모리(34)의 어드레스 0에 격납된 잔차 S(-2, -2)의 도중결과(=│A00-A0(n-1)│)을 독출하고, 이것에 제2부분항을 가산하고, 이 가산결과를 잔차 메모리(34)의 어드레스 0에 격납한다. 순차입력하는 수색범위 W1는 화소데이터 A06, A07, A08 및 A09에 관해서도 마찬가지로 잔차 S(-1, -2), S(0, -2), S(1, -2) 및 S(2, -2)의 제2부분항을 계산하고, 이것에 잔차 메모리(34)의 어드레스 1, 2, 3 및 4에 격납되어 있는 잔차 S(-1, -2), S(0, -2), S(1, -2) 및 S(2, -2)의 도중결과를 가산하고, 가산결과를 잔차 메모리(34)의 어드레스 1, 2, 3 및 4에 순차 격납한다.
2-1-4) 화소데이터 A09의 입력후, 화소데이터 A10의 입력까지의 수평귀선기간에 잔차 메모리(34)의 모든 내용, 즉 어드레스 0~4의 내용을 데이터 버스(BU)를 거쳐 필드 메모리(8)의 여백 영역의 어드레스 0~4에 퇴피(겹쳐쓰기)한다. 이 결과 필드 메모리(8)의 여백영역의 어드레스 0~4에는 잔차 S(1, -2) 즉, S(-2, -2), S(-1, -2), S(0, -2), S(1, -2) 및 S(2, -2)의 도중결과(제1부분항과 제2부분항의 합)가 이 순서로 격납된다.
2-2) 제1~제4수평주사기간(i=1~4)에 있어서도, 상기 「2-1)항」과 동일한 처리가 행해지고, 잔차 S(1, -1), S(1, 0), S(1, 1), S(1, 2)의 도중결과(제1부분항과 제2부분항의 합)이 필드 메모리(8)의 여백 영역의 어드레스 5~24에 순차 격납된다.
2-3) 제5수평주사기간에 있어서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2-3-1) 필드 메모리(8)의 여백영역의 어드레스 0~4의 내용을 5(=Q)워드의 잔차 메모리(34)의 어드레스 0~4에 기입한다(리스트어 한다).
2-3-2) 수색범위 W2(k=2)의 화소데이터 A50가 입력하고, 또 대표점 메모리(2)로 부터는 대표점 P2(k=2)의 화소데이터 A2(n-1)가 독출되고, 감산기(31)과 절대치회로(32)는 잔차 S(-2, -2)의 제3부분항, 즉 차분절대치 │A50-A2(n-1)│을 계산한다. 가산기(33)은 잔차 메모리(34)의 어드레스 0에 격납된 잔치 S(-2, -2)의 도중결과 (=│A00-A0(n-1)│)+(=│A05-A1(n-1)│)을 독출하고, 이것에 제3부분항을 가산하고, 이 가산결과를 잔차 메모리(34)의 어드레스 0에 격납한다.
순차입력하는 수색범위 W2의 화소데이터 A51, A52, A53 및 A54에 관해서도 동일하게 잔차 S(-1, -2), S(0, -2), S(1, -2) 및 S(2, -2)의 제3부분항을 계산하고, 이것에 잔차 메모리(34)의 어드레스 1, 2, 3 및 4에 격납되어 있는 잔차 S(-1, -2), S(0, -2), S(1, -2) 및 S(2, -2)의 도중결과를 가산하고, 가산결과를 잔차 메모리(34)의 어드레스 1, 2, 3 및 4에 순차격납한다.
2-3-3) 수색범위 W3(k=3)의 화소데이터 A55가 입력하고, 또 대표점 메모리(2)로 부터는 대표점 P3(k=3)의 화소데이터 A3(n-1)이 독출되고, 감산기(31)와 절대치회로(32)는 잔차(-2, -2)의 제4부분항, 즉 차분절대치 = │A55-A3(n-1)│을 계산한다. 가산기(33)는 잔차 메모리(34)의 어드레스 0에 격납된 잔차 S(-2, -2), 의 도중결과 (=│A00-A0(n-1)│+=│A05-A1(n-1)│+│A50-A2(n-1)│)을 독출하고, 이것에 제4부분항을 가산하고, 이 가산결과, 즉 잔차 S(-2, -2)를 잔차 메모리(34)의 어드레스 0에 격납한다. 순차입력하는 수색범위 W3의 화소데이터 A56, A57, A58 및 A59에 관해서도 동일하게 잔차 S(-1, -2), S(0, -2), S(1, -2) 및 S(2, -2)의 제4부분항을 계산하고, 이것에 잔차 메모리(34)의 어드레스 1, 2, 3 및 4에 격납되어 있는 S(-1, -2), S(0, -2), S(-1, -2), S(0, -2), S(1, -2) 및 S(2, -2)를 잔차 메모리(34)의 어드레스 1, 2, 3 및 4에 순차격납한다.
2-3-4) 화소데이터 A59의 입력후, 화소데이터 A60의 입력까지의 수평귀선주기에 잔차 메모리(34)의 모든 내용, 즉 어드레스 0~4의 내용을 데이터 버스(BU)로 거쳐 필드 메모리(8)의 여백영역의 어드레스 0~4에 퇴피(겹쳐쓰기)한다. 이 결과, 필드 메모리(8)의 여백영역의 어드레스 0~4에는 잔차 S(1, -2), S(-2, -2), S(-1, -2), S(0, -2), S(1, -2) 및 S(2, -2)가 이 순서로 격납된다.
2-4) 제6~제8수평주사기간 (i=6~8)에 있어서도, 상기 「2-3)항)」과 동일한 처리가 행해지고, 잔차 S(1, -2), S(1, 0) 및 S(1, 1)가 필드 메모리(8)의 여백영역의 어드레스 5~19에 순차 격납된다. 또, 제9수평주사기간(i=9)에 있어서, 동일하게 계산된 잔차 S(1, 2)는 잔차 메모리(34)의 어드레스 0~4에 각각 격납된다.
2-5) 제n필드의 최종화소데이터 A99의 입력후, 최소잔차 계산회로(39)는 필드 메모리(8)의 여백영역의 어드레스 0~19에 격납된 20개의 잔차 S(1, m)(단, 1=-2~2, m=-2~1)과 잔차 메모리(34)에 격납된 5개의 잔차 S(1, 2) 가운데 최소잔차 S(l1, m1)을 검출하고, 벡터 (l1, m1)을 제n필드의 제(n-1)필드에 대한 이동벡터 V(n)으로서 제어회로(7)에 출력한다.
2-6) 대표점 메모리(2)에 격납되어 있는 대표점 데이터 Ak(n-1)의 가운데 이미 잔차계산에 사용되어 불필요하게된 대표점 데이터는, 입력하는 화소데이터 Aij(n)에 포함되는 대표점 데이터 Ak(n)에 의해서 순차갱신된다.
2-7) 필드 메모리(8)는 독출 어드레스 ADR(n-1)에 의해 제(n-1)필드의 화소데이터 Aij(n-1)을 데이터 버스(BU)를 거쳐 보간회로(9)에 출력함과 동시에, 순차 입력하는 제n필드의 화소데이터 Aij(n)을 이미 출력이 종료하여 불필요하게된 화소데이터 Aij(n-1)의 위에 순차 겹쳐쓴다.
2-8) 보간회로(9)는 필드 메모리(8)로 부터 입력하는 화소데이터 Aij(n-1)에 보간처리를 실시하고, 화면테두리를 만족하도록 확대하여 제(n-1)필드의 출력신호(10)로 한다.
상기 「2-1)항」내지 「2-8)항」을 계속되는 필드, 즉 제(n+1), 제(n+2), …필드에 대하여 반복실행함으로써, 본 발명을 비데오카메라 등에 있어서의 손떨림 보정장치에 적용한 경우에는, 필드간의 화상의 흔들림을 리얼타임으로 보정하는 손떨림 보정이 또 화상전송에 있어서의 이동화상 압축장치에 적용한 경우에는 리얼타임의 화상데이터 압축이 잔차 메모리의 용량을 종래의 QXR 워드로 부터 Q워드에, 즉 1/R로 억제하면서 가능하게 된다.
[실시예]
이어서, 본 발명에 관련된 화상처리장치로 비데오 카메라 등의 손떨림 보정장치에 적용한 경우의 실시예에 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블럭도이며, 종래예(제8도)에 있어서의 이동벡터 검출회로(5)의 잔차 메모리(54)(단, 메모리 용량은 QXR워드)를 이동벡터 검출회로(3)의 잔차 메모리(34)(단, 메모리 용량은 Q워드)로 축소하고, 잔차 메모리(34)에 격납한 Q개의 잔차 또는 잔차 도중 결과를 수평귀선 기간에 잔차 메모리(34)로 부터 필드 메모리(8)의 여백영역에 데이터 버스(BU)를 거쳐 퇴피함과 동시에, 다음의 수평주시가간에 필요하게 된 Q개의 잔차 도중결과를 필드 메모리(8)의 여백영역으로 부터 잔차 메모리(34)에 데이터 버스(BU)를 거쳐 기입하(리스트어 한다)도록 구성한 것이다.
필드 메모리(8)의 여백영역에 관해서 설명한다.
임의 필드(이하, 제n필드라고 한다)의 이동화상 입력데이터 Aij(n)을 240000워드(수평주사선당 500화소, 필드당 480 주사선)으로 한다. 이 경우, 메모리 용량은 2의 거듭 제곱근으로서 주어지므로, 필드 메모리(8)의 용량은 「2의 18승」(=262144)워드로 선정된다. 양 워드수간의 차(差)를 필드 메모리(8)의 여백영역이라 부르고, 본 발명에 있어서는 종래 미사용의 이 여백영역에, 잔차 메모리(34)에 기억중의 잔차 또는 잔차 도중 결과를 퇴피함으로써, 잔차 메모리(34)의 용량을 일수평 주사선에 있어서의 잔차계산에 상당하는 용량, 즉 Q워드로 축소한다.
제1도에 나타낸 일실시예의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단, 설명을 간단명료하게 하기 위해,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n필드는 수평주사선당 10화소(j=0~9), 필드당 10주사선(i=0~9)로 구성되는 것으로 한다.
즉, 화소데이터 Aij(n)은 A00~A99의 100워드이다. 또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표점 Pk 및 이동벡터의 수색범위 Wk(단, k=0~3)을 설정하는 것으로 한다. 즉, 수색범위 WO는 화소데이터 Aij(단, i=0~4, j=5~9)를 수색범위 W2는 화소데이터 Aij(단, i=5~9, j=0~4) 및 수색범위 W3은 화소데이터 Aij(단, i=5~9, j=5~9)를 포함하도록 설정된다.
따라서, 수색범위 Wk의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의 사이즈는 각각 Q=5 및 R=5, 잔차 메모리(34)의 용량은 5(=Q) 워드(어드레스 0~4), 계산해야 할 잔차 S(1, m)의 수는 25개 (1=-2, -1, 0, 1, 2 및 m=-2, -1, 0, 1, 2), 잔차 S(1, m) 또는 그 도중결과를 퇴피하는 필드 메모리(8)의 여백 영역은 27워드(어드레스 0~24)이다.
제1도에 있어서, 제n필드의 개시시각 T0(n)에서의 각부의 상태는 다음과 같다. 또한 이들의 상태와는, 후술하는 제n필드 기간에 있어서의 각 부의 동작이 제(n-1)필드 기간에도 동일하게 실행된 결과로서 가져오는 것이다.
1) 대표점 메모리(2)에는 제(n-1)필드의 대표점 Pk에 있어서의 화소데이터 Ak(n-1)가 격납되어 있다. 여기서, 대표점 P0의 화소데이터 A0(n-1)=A22(n-1), 대표점 P1의 화소데이터 A1(n-1)=A27(n-1), 대표점 P2의 화소 데이터 A2(n-1)=A72(n-1) 및 대표점 P3의 화소데이터 A3(n-1)=A77(n-1)이다.
2) 제어회로(7)는 이동벡터 검출회로(3)의 출력하는 제(n-1)필드의 이동벡터 V(n-1)를 입력으로 하고, 기준 필드(예를 들면, 제1필드)이후의 누적이동벡터 Vt에 이 이동벡터 V(n-1)를 누가산하여 누적이동벡터(Vt)를 갱신하고, 이 갱신된 누적이동 벡터(Vt)분 만큼 보정한 독출 어드레스(ADR)를 필드 메모리(8)에 출력한다.
3) 필드 메모리(8)에는 제(n-1)필드의 화소데이터 Aij(n-1)가 격납되어 있다. 다음으로 제n필드기간에 있어서의 동작을 다음에 설명한다.
1) 제0수평주사기간(i=0)에 있어서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1-1) 5(=Q)워드 (어드레스 0~4)의 잔차 메모리(34)를 클리어한다.
1-2) 수색범위 W0(k=0)의 화소데이터 A00이 입력하고, 또 대표점 메모리(2)로부터 대표점 P0(k=0)의 화소데이터 A0(n-1)가 데이터 버스(BU)를 거쳐 독출되고, 감산기(31)와 절대치 회로(32)는 잔차(-2, -2)의 제1부분항, 즉 차분절대치 │A00-A0(n-1)│을 계산한다. 가산기(33)는 잔차 메모리(34)의 어드레스 0에 격납된 잔차 S(-2, -2)의 도중결과(=0)를 독출하고, 이것에 제1부분항 │A00-A0(n-1)│을 가산하고, 이 가산결과 (=0+│A00-A0(n-1)│)을 잔차 메모리(34)의 어드레스 0에 격납한다.
순차입력하는 수색범위(W0)의 화소데이터(A01)(A02)(A03) 및 (A04)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잔차 S(-1, -2), S(0, -2), S(1, -2) 및 S(2, -2)의 제1부분항 │A01-A0(n-1)│, │A02-A0(n-1)│, │A03-A0(n-1)│ 및 │A04-A0(n-1)│을 계산하고, 이것에 잔차 메모리(34)의 어드레스(1, 2, 3 및 4)에 격납되어 있는 잔차 S(-1, -2), S(0, -2), S(1, -2) 및 S(2, -2)의 도중결과(어느것이나 0)를 가산하고, 가산결과 │A01-A0(n-1)│, │A02-A0(n-1)│, │A03-A0(n-1)│및 │A04-A0(n-1)│를 잔차 메모리(34)의 어드레스 (1, 2, 3 및 4)에 순차 격납한다.
1-3) 수색범위(W1)(k=1)의 화소데이터(A05)가 입력하고, 또 대표점 메모리(2)로 부터는 대표점(P1)(k=1)의 화소데이터 A1(n-1)가 독출되고, 감산기(31)와 절대치회로(32)는 잔차(-2, -2)의 제2부분항, 즉 차분절대치 │A05-A1(n-1)│를 계산한다. 가산기(33)는 잔차 메모리(34)의 어드레스(0)에 격납된 잔차 S(-2, -2)의 도중결과(=│A00-A0(n-1)│)을 독출하고, 이것에 제2부분항 │A05-A1(n-1)│를 가산하고, 이 가산결과(│A00-A0(n-1)│+│A05-A1(n-1)│를 잔차 메모리(34)의 어드레스(0)에 격납한다.
순차입력하는 수색범위(W1)의 화소데이터 (A06, A07, A08) 및 (A09)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잔차 S(-1, -2), S(0, -2), S(1, -2) 및 S(2, -2)의 제2부분항 │A06-A1(n-1)│, │A07-A1(n-1)│, │A08-A1(n-1)│및 │A09-A1(n-1)│를 계산하고, 이것에 잔차 메모리(34)의 어드레스(1, 2, 3 및 4)에 격납되어 있는 잔차 S(-1, -2), S(0, -2), S(1, -2) 및 S(2, -2)의 도중결과(│A01-A0(n-1)│, │A02-A0(n-1)│, │A03-A0(n-1)│및 │A04-A0(n-1)│을 가산하고, 가산결과 (│A01-A0(n-1)│+││A06-A1(n-1)│+│A02-A0(n-1)│+│A07-A1(n-1)│) (│A03-A0(n-1)│+│A08-A1(n-1)│및 │A04-A0(n-1)│+│A09-A1(n-1)│를 잔차 메모리(34)의 어드레스(1, 2, 3 및 4)에 순차 격납한다.
1-4) 화소데이터(A09)의 입력 후 화소데이터(A10)의 입력까지의 수평귀선기간에 잔차 메모리(34)의 모든 내용, 즉 어드레스(0~4)의 내용 │A01-A0(n-1)│+│A06-A1(n-1)│+│A02-A0(n-1)│+│A07-A1(n-1)│) (│A03-A0(n-1)│+│A08-A1(n-1)│및 │A04-A0(n-1)│+│A09-A1(n-1)│를 데이터 버스(BU)를 통하여 필드 메모리(8)의 여백영역의 어드레스(0~4)에 퇴피(겹쳐쓰기)한다.
이 결과, 필드 메모리(8)의 여백영역의 어드레스(0~4)에는 나머지차 S(1, -2) 즉 S(-2, -2), S(-1, -2), S(0, -2), S(1, -2) 및 S(2, -2)의 도중 결과(제1부분항과 제2부분항의 합)이 이 순서로 격납된다.
2) 제1~제4 수평주사기간(i=1~4)에 있어서도 상기 「1)항」과 동일한 처리가 행하여지고, 잔차 S(1, -1), S(1, 0), S(1, 1) 및 S(1, 2)의 도중결과(제1부분항과 제2부분항의 합)가 필드 메모리(8)의 여백영역의 어드레스(5~24)에 순차 격납된다.
3) 제5수평주사기간에 있어서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3-1) 필드 메모리(8)의 여백 영역의 어드레스(0~4)의 내용(│A00-A0(n-1)│+│A05-A1(n-1)│+│A01-A0(n-1)│+│A06-A1(n-1)│) (│A02-A0(n-1)│+│A07-A1(n-1)│및 │A03-A0(n-1)│+│A08-A1(n-1)│및 │A04-A0(n-1)│+│A09-A1(n-1)│)를 5(=Q) 워드의 잔차 메모리(34)의 어드레스(0~4)에 기입한다(리스트어 한다).
3-2) 수백범위(W2)(k=2)의 화소데이터(A50)가 입력하고, 또 대표점 메모리(2)로 부터는 대표점(P2)(k=2)의 화소데이터 A2(n-1)가 독출되고, 감산기(31)와 절대치회로(32)는 잔차(-2, -2)의 제3부분항, 즉 차분절대치 │A50-A2(n-1)│를 계산한다. 가산기(33)는 잔차 메모리(34)의 어드레스(0)에 격납된 잔차 S(-2, -2)의 도중결과 │A00-A0(n-1)│+│A05-A1(n-1)│)를 독출하고, 이것에 제3부분항 │A50-A2(n-1)│를 가산하고, 이 가산결과 (│A00-A0(n-1)│)+(│A50-A1(n-1)│+│A50-A2(n-1)│)를 잔차 메모리(34)의 어드레스(0)에 격납한다.
순차 입력하는 수색범위(W2)의 화소데이타(A51, A52, A53 및 A54)에 대하여도 동일하게 잔차 S(-1, -2), S(0, -2), S(1, -2) 및 S(2, -2)의 제3부분항(│A51-A2(n-1)│), (│A52-A2(n-1)│,│A53-A2(n-1)│), (│A54-A2(n-1)│)를 계산하고, 이것에 잔차 메모리(34)의 어드레스(1, 2, 3 및 4)에 격납되어 있는 잔차 S(-1, -2), S(0, -2), S(1, -2) 및 S(2, -2)의 도중결과 (│A01-A0(n-1)│+│A06-A1(n-1)│+│A02-A0(n-1)│+│A07-A1(n-1)│) (│A03-A0(n-1)│+│A08-A1(n-1)│및 │A04-A0(n-1)│+│A09-A1(n-1)│를 가산하고, 가산결과 (│A01-A0(n-1)│+│A06-A1(n-1)│+│A51-A2(n-1)│+│A02-A0(n-1)│) (│A07-A1(n-1)│+│A52-A2(n-1)│+│A03-A0(n-1)│+│A08-A1(n-1)│+│A53-A2(n-1)│+│A04-A0(n-1)│) (│A09-A1(n-1)│+│A54-A2(n-1)│)을 잔차 메모리(34)의 어드레스(1, 2, 3 및 4)에 순차 격납한다.
3-3) 수색범위(W3)(k=3)의 화소데이터(A55)가 입력하고, 또 대표점 메모리(2)로 부터는 대표점(P3)(k=3)의 화소데이터 A3(n-1)이 독출되고, 감산기(31)와 절대치 회로(32)는 잔차 S(-2, -2)의 제4부분항, 즉 차분 절대치 │A55-A3(n-1)│를 계산한다. 가산기(33)는 잔차 메모리(34)의 어드레스(0)에 격납된 잔차 S(-2, -2)의 도중결과(│A00-A0(n-1)│+│A05-A1(n-1)│+│A50-A2(n-1)│)를 독출하고, 이것에 제4부분항(│A55-A3(n-1)│)을 가산하고, 이 가산결과, 즉 잔차 S(-2, -2) (│A00-A0(n-1)│+│A05-A1(n-1)│+│A50-A2(n-1)│+│A55-A3(n-1)│)을 잔차 메모리(34)의 어드레스(0)에 격납한다.
순차입력하는 수색범위(W3)의 화소데이터(A56, A57, A58 및 A59)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잔차 S(-1, -2), S(0, -2) 및 S(2, -2)의 제4 부분항 │A56-A3(n-1)│, │A57-A3(n-1)│,│A58-A3(n-1)│및, │A59-A3(n-1)│를 계산하고, 이것에 잔차 메모리(34)의 어드레스(1, 2, 3 및 4)에 격납되어 있는 잔차 S(-1, -2), S(0, -2), S(1, -2) 및 S(2, -2)의 도중결과(│A01-A0(n-1)│+│A06-A1(n-1)│+│A51-A2(n-1)│,│A02-A0(n-1)│) +(│A07-A1(n-1)│+│A52-A2(n-1)│, │A03-A0(n-1)│+│A08-A1(n-1)│)+│A53-A2(n-1)│및 │A04-A0(n-1)│) (│A09-A1(n-1)│+│A54-A2(n-1)│를 가산하고, 가산결과 즉 잔차 S(-1, -2), S(0, -2), S(1, -2) 및 S(2, -2)를 잔차 메모리(34)의 어드레스(1, 2, 3 및 4)에 순차 격납한다.
3-4) 화소 데이터(A59)의 입력후, 화소데이터(A60)의 입력까지의 수평귀선기간에 잔차 메모리(34)의 모든 내용, 즉 어드레스(0~4)의 내용을 데이터 버스(BU)를 통하여 필드 메모리(8)의 어드레스(0~4)의 퇴피(겹쳐쓰기)한다. 이 결과, 필드 메모리(8)의 여백 영역의 어드레스(0~4)에는 잔차 S(1, -2) 즉 S(-2, -2), S(-1, -2), S(0, -2), S(1, -2) 및 S(2, -2)가 이 순서로 격납된다.
4) 제6~제8 수평주사기간(i=6~8)에 있어서도 상기 「3)항」과 동일한 처리가 행하여지고, 잔자 S(1, -1), S(1, 0) 및 S(1, 1)가 필드 메모리(8)의 여백영역의 어드레스(5~19)에 순차 격납된다.
또, 제9 수평주사기간(i=9)에 있어서, 동일하게 계산된 잔차 S(1, 2)는 잔차 메모리(34)의 어드레스(0~4)에 각각 격납되어 있다.
5) 제n필드의 최종화소데이터(A99)의 입력후 최소잔차 계산회로(39)는 필드 메모리(8)의 여백영역의 어드레스(0~19)에 격납된 20개의 잔차 S(1, m) (단, 1=-2~2, m=-2~1)과 잔차 메모리(34)에 격납된 5개의 잔차 S(1, 2) 중의 최소잔차 S(11, m1)를 검출하고, 벡터(11, m1)를 제n필드의 제(n-1)필드에 대한 이동 벡터 V(n)로서 제어회로(7)에 출력한다.
6) 대표점 메모리(2)에 격납되어 있는 대표점 데이터 Ak(n-1)중, 이미 잔차 계산에 사용되어 불필요하게 된 대표점 데이터는 입력하는 화소데이터(Aij)(n)에 포함되는 대표점 데이터 Ak(n), 즉 A0(n)=A22(n), A1(n)=A27(n), A2(n)=A72(n) 및 A3(n)=A77(n)에 의해 순차 갱신된다.
7) 필드 메모리(8)는, 독출 어드레스 ADR(n-1)에 의해 제(n-1)필드의 화소데이터(Aij)(n-1)를 데이터 버스(BU)를 통하여 보간회로(9)에 출력하면 동시에, 순차입력하는 제n필드의 화소데이터(Aij)(n)를 이미 출력이 종료하여 불필요하게된 화소데이터(Aij)(n-1)의 영역에 순차 겹쳐쓰기 한다.
8) 보간회로(9)는 필드 메모리(8)로부터 입력하는 화소데이터(Aij)(n-1)에 보간처리를 실시하고, 화면틀을 차도록 확대하여 제(n-1)필드의 출력신호(10)로 한다.
상기 「1)항」내지「8)항」을 잇따르는 필드 즉, 제(n+1), 제(n+2), …필드에 대하여 반복실행함으로써, 이 발명을 비디오 카메라등에 있어서의 손떨림 보정장치에 적용한 경우에는 필드간의 화상의 흔들림을 리얼타임으로 보정하는 손떨림보정이 또 화상전송에 있어서의 동화상 압축장치에 적용한 경우에는, 리얼타임의 화상데이터 압축이 잔차 메모리의 용량을 종래의 QXR워드에서 Q워드에, 즉 1/R에 억제되면서 가능하게 된다.
제4도는 이동벡터 검출회로(3)의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상술의 설명을 요약한 것임으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제5도는 이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종래에(제9도)에 있어서의 이동벡터 검출회로(6)의 제1 및 제2 잔차 메모리(64)(65)(함께, 메모리 용량은 QXR워드)를 이동벡터 검출회로(4)의 제1 및 제2 잔차 메모리(44)(45)(함께 메모리용량은 Q워드)로 축소하고, 잔차 메모리(44)중의 제1 또는 제3 블록의 Q개의 잔차 또는 그의 도중결과와, 잔차 메모리(45)중의 제2 또는 제4블록의 Q개의 잔차 또는 그의 도중결과를 수평귀선기간에 잔차 메모리(44)(45)에서 필드 메모리(8)의 여백 영역에 데이터 버스(BU)를 통하여 퇴피함과 동시에 다음의 수평주사기간에 필요가 되는 각각 Q개의 잔차 도중결과를 필드 메모리(8)의 여백 영역에서 잔차(44)(45)에 데이터 버스(BU)를 통하여 기입(리스트어 한다)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용량이 Q워드로 축소된 제1 및 제2 잔차 메모리(44)(45)의 동작은 전술한 한실시예(제1도)에 있어서의 잔차 메모리(34)와 동일하며, 또, 화면을 복수블록으로 분할한 경우에 각 블록의 이동벡터를 검출하는 이동벡터 검출회로(4)의 동작은 다른 종래예(제9도)에 있어서 상술한 바와 동일함으로, 제5도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잔차 메모리에서 필드 메모리에의 퇴피 및 필드 메모리에서 잔차 메모리에의 리스트어를 실행하는 소정의 기간으로서 상술의 실시예에서는 수평귀선기간을 들어서 설명하였으나, 전술한 더미데이터 송출기간 및 수직귀선기관을 병용하여도 좋다. 또, 이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필드 메모리(8)로서, 2입력 2출력의 멀티포트 메모리를 사용한 경우에는, 상기의 퇴피 및 리스트어의 실행은, 수평귀선기간, 더미데이터 송출기간 및 수직귀선기간으로 이루는 소정기간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 이 발명에 관계되는 화상처리장치를 비디오 카메라등의 손떨림 보정장치에 적용한 실시예에 대해 상술하였으나, 화상통신등에 있어서 상술의 이동벡터를 화면전체 또는 각 블록의 이동벡터로서, 예를 들면 화면전체 또는 각 블록마다에 이동벡터분 시프트한 화상데이터의 차분을 취함으로써, 소용량의 잔차 메모리를 사용하여서 화상데이터 압축이 리얼타임으로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대표점을 화면내에 정방격자형으로 4점 또는 16점 설정하는 예에 대해 상술하였으나, 6방격자형이라도 좋고, 대표점수도 임의이다. 또, 임의 필드(제n필드)의 직전의 필드(제(n-1)필드)에 대한 이동벡터를 검출하였으나, 필드번호의 차(i)는 1에 한하지 않고 임의이다. 그래서, 입력신호가 디지탈 데이터이며, 대표점 좌표등이 소수로 부여되는 경우, 대응하는 화소가 존재하지 않으나, 주지하는 바와 같이 근방의 화소에서 보간하여 대표점 데이터등으로 하면좋다.
상술하는 바와 같이, 이 발명에 있어서는 수평귀선기간등의 소정기간을 이용하여 직전의 한 수평주사선 데이터에 대해 산출한 잔차 또는 그의 도중결과를 잔차 메모리에서 필드 메모리의 여백영역에 퇴피함으로써 잔차 메모리의 용량을 종래의 QXR워드에서 Q워드로 축소할 수 있다.
따라서, 회로규모의 점으로 종래 제약되고 있던 대표점수나 블록수의 대폭적인 증가가 회로규모의 증대를 수반하지 않고 가능해지고, 보다 정확한 이동벡터의 검출이 가능해짐으로, 이 발명에 관계되는 화상처리장치를 비디오 카메라에 있어서의 손떨림 보정장치에 적용한 경우에는 보다 정확한 손떨림 보정처리가 또 화상 전송에 있어서의 동화상 압축장치에 적용한 경우에는 보다 고능율의 데이터량의 압축처리가 리얼타임으로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현 필드의 앞필드에 대한 화상의 이동벡터를 검출하고, 이 이동벡터에 기인하여 필드 메모리에 격납한 현 필드의 손떨림 보정 및 이동화상압축을 행하는 화상처리 장치에 있어서, 임의의 일수평주사선분의 화상데이터가 입력하는 기간에 산출되는 잔차 또는 그 중간결과를 격납하는 잔차 메모리를 지니고, 상기 화상데이터가 입력한 기간후의 소정기간에, 상기 잔차 메모리에 격납한 잔차 또는 그 중간결과를 상기 필드 메모리의 여백영역으로 퇴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 장치.
  2. 현 필드의 앞필드에 대한 화상의 이동벡터를 검출하고, 이 이동벡터에 기인하여 필드 메모리에 격납한 현 필드의 손떨림 보정 및 이동화상 압축을 행하는 화상처리장치에 있어서, 임의의 일수평주사선분의 화상데이터가 입력하는 기간에 산출되는 잔차 또는 그 중간결과를 격납하는 잔차 메모리를 지니고, 상기 필드 메모리를 멀티포트 메모리로 구성하고, 상기 잔차 메모리에 격납한 잔차 또는 그 중간결과를 이 필드 메모리의 여백영역으로 퇴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 장치.
KR1019920011021A 1991-07-16 1992-06-24 화상처리장치 KR1002300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1-175345 1991-07-16
JP17534591A JP3116967B2 (ja) 1991-07-16 1991-07-16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3746A KR930003746A (ko) 1993-02-24
KR100230033B1 true KR100230033B1 (ko) 1999-11-15

Family

ID=15994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1021A KR100230033B1 (ko) 1991-07-16 1992-06-24 화상처리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313296A (ko)
EP (1) EP0523924B1 (ko)
JP (1) JP3116967B2 (ko)
KR (1) KR100230033B1 (ko)
DE (1) DE69216312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68594A (ja) * 1992-03-18 1993-10-15 Sony Corp 動画像の動き検出装置
WO1994006247A1 (en) * 1992-09-08 1994-03-17 Paul Howard Mayeaux Machine vision camera and video preprocessing system
DE4336352C2 (de) * 1993-10-25 2001-12-06 Micronas Munich Gmbh Verfahren und Schaltungsanordnung zur Flimmerreduzierung bei Fernsehgeräten
JP3319133B2 (ja) * 1994-03-29 2002-08-26 ソニー株式会社 画像プリンタ装置
WO1996002895A1 (en) * 1994-07-14 1996-02-01 Johnson Grace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ressing images
JP3339191B2 (ja) * 1994-08-08 2002-10-28 ミノルタ株式会社 ブレ補正機能付カメラ
US5973733A (en) * 1995-05-31 1999-10-26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Video stabilization system and method
EP1158786A3 (en) * 2000-05-24 2005-03-09 Sony Corporation Transmission of the region of interest of an image
US8013900B2 (en) * 2003-12-11 2011-09-06 Advasense Technologies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amera shake compensation
JP4389779B2 (ja) * 2004-12-27 2009-12-24 ソニー株式会社 撮像画像信号の歪み補正方法および撮像画像信号の歪み補正装置
US8184173B1 (en) * 2007-04-30 2012-05-22 Pixim Israel Ltd. Method and device for reading a pixel
JP4844854B2 (ja) * 2007-09-05 2011-12-28 国立大学法人東北大学 固体撮像素子及び撮影装置
US20090066799A1 (en) * 2007-09-11 2009-03-12 Omnivision Technologies, Inc. Image sensor apparatus and method for embedding image stabilization data into image data
US11285142B2 (en) 2015-09-29 2022-03-29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and treating dystonia disorders
US10951912B2 (en) 2016-10-05 2021-03-16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adaptive selection of weights for video coding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68276A (ja) * 1984-02-13 1985-08-31 Kokusai Denshin Denwa Co Ltd <Kdd> 画面上の移動体の動き方向検出方式
JPH07118784B2 (ja) * 1984-10-27 1995-12-18 ソニー株式会社 テレビジヨン信号の動き検出方法
JPS61113377A (ja) * 1984-11-07 1986-05-31 Sony Corp テレビジヨン信号の動き検出装置
JPS61200789A (ja) * 1985-03-04 1986-09-05 Kokusai Denshin Denwa Co Ltd <Kdd> 画面上の物体の動きベクトル検出方式
JPH0746861B2 (ja) * 1985-07-26 1995-05-17 ソニー株式会社 テレビジヨン画像の動き補正装置
US5012270A (en) * 1988-03-10 1991-04-30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shake detecting device
JP2664944B2 (ja) * 1988-08-12 1997-10-2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映像信号処理回路
US5047850A (en) * 1989-03-03 1991-09-1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etector for detecting vector indicating motion of image
JPH07105949B2 (ja) * 1989-03-20 1995-11-1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画像の動きベクトル検出装置および揺れ補正装置
JP2563567B2 (ja) * 1989-03-20 1996-12-1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揺れ補正装置
EP0449283B1 (en) * 1990-03-30 1997-11-12 Sanyo Electric Co., Ltd. An image sensing apparatus having camera-shake detection fun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216312D1 (de) 1997-02-13
JP3116967B2 (ja) 2000-12-11
EP0523924A2 (en) 1993-01-20
JPH0522648A (ja) 1993-01-29
DE69216312T2 (de) 1997-06-12
EP0523924A3 (en) 1993-06-23
US5313296A (en) 1994-05-17
KR930003746A (ko) 1993-02-24
EP0523924B1 (en) 1997-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0033B1 (ko) 화상처리장치
US5991463A (en) Source data interpolation method and apparatus
JP3103897B2 (ja) 手振れ補正装置および手振れ補正方法
US5253064A (en) Video camera apparatus with electronic zoom control and method therefor
US5977994A (en) Data resampler for data processing system for logically adjacent data samples
KR100505377B1 (ko) 화상프로세서,화상처리장치및화상처리방법
KR100416370B1 (ko) 비디오필드들을순차주사비디오프레임들로디인터레이싱하기위한방법및장치
JP4361991B2 (ja) 画像処理装置
JP3132055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CN111275615B (zh) 基于双线性插值改进的视频图像缩放方法
KR20030025058A (ko) 완전 탐색블록 정합회로 및 완전 탐색블록 정합방법
JPH08149421A (ja) 動きベクトルを用いた動き内挿方法および動き内挿回路
US5703650A (en) Method of and device for estimating motion in a video signal
JP3192698B2 (ja) 動きベクトル評価装置
EP1032883B1 (en) Data resampler for data processing system
JPH057328A (ja) 手振れ補正装置
US6788348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digital images
KR970006553B1 (ko) 영상신호처리시스템에 있어서 화면원근이동(Zooming)장치
GB2373950A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and recording medium
JPH08279949A (ja) 電子ズーム処理装置および電子ズーム処理方法
KR0178241B1 (ko) 영상 확장시의 블럭킹 현상 방지 방법
CN111768341A (zh) 一种图像处理方法及图像处理装置
Oh et al. An architecture for on-the-fly correction of radial distortion using FPGA
JPH10161633A (ja) 画素補間装置
JPH03151785A (ja) 適応型輪郭補正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3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