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9228B1 - 유리 온실 철구조물 조립식 연결재 - Google Patents

유리 온실 철구조물 조립식 연결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9228B1
KR100229228B1 KR1019960032172A KR19960032172A KR100229228B1 KR 100229228 B1 KR100229228 B1 KR 100229228B1 KR 1019960032172 A KR1019960032172 A KR 1019960032172A KR 19960032172 A KR19960032172 A KR 19960032172A KR 100229228 B1 KR100229228 B1 KR 1002292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beam
nut
bolt
steel structure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2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3620A (ko
Inventor
강성광
Original Assignee
강성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성광 filed Critical 강성광
Priority to KR10199600321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9228B1/ko
Publication of KR19980013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36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92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92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2009/1484Glazing apparatu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18Details of bol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리 온실(glass house) 시공시에 사용하는 4각형 철구조물(빔)을 조립, 연결하는 연결부속에 관한 것으로, 특히 4각형 빔을 절단 천공후 용접에 의하여 작업하던 종래의 방법을 개선하여, 알루미늄과 아연 합금으로 높은 정밀도를 유지하면서 강도가 우수한 연결부속을 다량 생산하여 보울트 및 너트로 수직빔 및 수평빔을 결합하여 유리 온실을 보다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는 유리 온실 철구조물 연결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유리 온실 철구조물 조립식 연결재.
본 발명은 유리 온실(glass house) 시공시에 사용하는 4각형 철구조물(빔)을 조립, 연결하는 연결부속에 관한 것으로, 특히 4각형 빔을 절단 천공후 용접에 의하여 작업하던 종래의 방법을 개선하여 빔(beam)을 연결부속을 사용하여 보울트 및 너트로 수직빔 및 수평빔을 결합하여 유리 온실을 보다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는 유리 온실 철구조물 연결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통상 유리 온실을 설치하는 철구조물은 크게 2가지로 단면이 H자 형상인 빔과 또는 내부가 트이고 외면이 4각형인 빔을 사용하여 온실을 설치하고 있으며 4각형 빔을 사용하여 설치되는 종래의 유리 온실은 제 5도 내지 제 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치하고자 하는 온실의 크기에 맞추어 수직빔(101)과 수평빔(102)을 절단한후 지면에 수직빔(101)을 고정하기 위하여 직사각형의 베이스 플레이트(BASE PLATE)(103)를 수직빔(101)의 하단에 용접한 후 구조물에 고정된 앵커보울트에 베이스 플레이트(103)를 위치시켜 너트로 수직빔(101)을 고정한 다음 수직빔(101)의 상단부에 수평빔(102)을 용접에 의한 방법으로 고정하는 것이다.
이와같이 수직빔 및 수평빔이 설치가 완료된 후 수직빔(101)의 상단에 강관을 용접하여 온실의 상면을 "∧"자 형상으로 설치하고 또한 빔과 빔의 균형유지를 위하여 당김봉(107)을 고정하기 위하여 수직빔(101)의 상단을 제 7도에 도시한 형상으로 빔을 엇각으로 절단 및 용접하여 강관을 보울트 및 너트로 고정하여 온실의 천정을 구성하고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법은 수직빔(101)에 플레이트(103)를 작업자가 일일이 용접으로 용이하므로 용접작업이 번거로운 단점이 있는 것이고, 용접 작업의 수행시 플레이트를 잘못 작업하게 되면 수직빔의 설치가 곤란한 단점이 있는 것이고, 수평빔의 연결시에도 용접으로 수행하므로 작업성이 떨어지는 폐단이 발생하고, 빔의 융착시 정확한 각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고숙련 기능공을 요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유리 온실의 설치시 습기등에 의하여 구조물의 부식이 발생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반드시 아연 용융도금을 수행하여야 하므로 용접부위의 도막형성이 불균일 하여지는 단점과, 구조물의 길이가 대략 10M 이상의 길이로 되므로 운반 및 보관시 빔에 융착된 부분으로 인하여 용융도금이 손상이 야기되는 커다란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제작공정의 지연에 따른 유리 온실의 설치기간이 장기간이 소요되므로 전체적으로 설치비용의 상승과, 인건비의 상승등의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빔을 용접에 의하여 설치하는 방식이 아닌 높은 정밀도의 균일한 연결부속을 다량 생산하여 구성된 별도의 연결부속을 빔에 삽입하여 보울트 및 너트로 수직빔 및 수평빔등을 결합하여 설치하는 방식으로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여 작업하므로 작업시간이 현저히 짧아지고, 이에 따른 공사기간의 단축 및 인건비를 현저하게 절감할 수 있는 유리 온실 철구조물 연결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제 1도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제 2도는 제 1도의 A부의 분해사시도.
제 3도는 제 1도의 B부의 분해사시도.
제 4도는 제 1도의 C부의 분해사시도.
제 5도는 종래의 유리온실의 설치상태의 개략도.
제 6도는 제 5도의 D부의 분해사시도.
제 7도는 제 5도의 D부의 분해사시도.
제 8도는 제 5도의 F부의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A : 고정구 B : 봉 연결재
3 : 지지부 4 : 보강살
5 : 고정턱 6 : 보강턱
7 : 단턱 8,8a,8b : 체결공
제 1도는 본 발명이 결합되어 설치된 유리 온실의 개략적인 도면으로 본 발명에 따른 유리 온실 철구조물 연결부속은 공지의 수직 및 수평빔의 외주 형상에 맞게 금속재질의 1 쌍의 고정구(A)를 수직빔(101)의 하단에 결합하고, 수직빔(101)의 상단으로는 알미늄과 아연 합금으로 다이캐스팅된 봉 연결재9B)를 삽입, 결합하여 공지의 보울트 및 너트로 각각 결합하여 구성된 것이다.
제 2도는 수직빔(101)의 하단에 고정구(A)가 고정되어 지면에 설치된 구조물에 수직빔이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상기 1 쌍의 고정구(A)는 대략 "ㄴ"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직립된 상단의 외향으로 양측에 지지부(3)가 돌설되고, 절곡부(9)에는 고정구(A)의 보강을 위하여 보강턱(6)이 형성되어 수직빔(101)의 하단을 1 쌍의 지지부(3)로 감싸면서 보울트 및 너트로 결합되어 구조물에 고정된 앵커보울트(도시안됨)에 고정되는 것이다.
이때 고정구(A)는 금속을 프레스등으로 가압하여 형성하거나 또는 알루미늄과 아연 합금으로 다이캐스팅 제조하여도 금속을 프레스로 가압하여 제조된 것과 동일한 강도를 유지하면서 균일한 제품을 다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제 3도는 수직빔(101)의 상단에 천정빔(103)을 결합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수직빔(101)의 상단으로 수직빔(101)의 내경에 맞추어 일정한 길이로 하측으로 삽입부(2)가 형성되고, 삽입부(2)의 상면으로는 단턱(7)으로 구분되고, 내부에는 격자상으로 보강살(4)이 형성된 봉 연결재(B)에 천공된 체결공(8a)을 수직빔(101)에 천공된 체결공(8b)에 맞춘후 보울트 및 너트로 결합하면 되는 것이다.
이때 봉 연결재(B)는 알루미늄과 아연합금으로 다이캐스팅으로 제조하여 높은 정밀도의 균일한 제품을 강도를 유지하여 다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것이고, 그외의 연결판(14)의 각도 및 구조는 수직빔(101)의 상단을 절단한 후 용접하는 구조와 동일한 것이다.
제 4도는 트러스의 상단 중앙부분 물홈통 지점을 결합하는 도면으로 알루미늄과 아연합금으로 물홈통구(10)를 생산하여 정밀도가 높은 균일한 제품을 보울트 및 너트를 이용하여 트러스(105)에 고정하면 공지의 방법보가 간편하게 결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시공시에는 고정구(A)의 양단에 돌설된 지지부(3)를 수직붐(101)의 하단을 감싸는 형태로 1 쌍을 삽입한 후 고정구(A)에 천공된 체결공(8)에 보울트 및 너트를 이용하여 수직빔(101)에 결합한 후 지면에 설치된 구조물에 돌설된 앵커보울트(도시안됨)에 고정구(A)에 천공된 체결공(8)을 삽입한 후 너트를 사용하여 고정하면 수직빔(101)이 지면에 설치된 구조물에 간편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이후 제 1도에 도시한 형태로 온실을 설치하여야 하므로 수직빔(101)의 적당한 장소에 수평빔(102)을 고정구(A)를 사용하여 수직빔(101)에 고정하면 수평빔(102)을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수평빔(102)에 고정되는 고정구(A)는 수직빔(101)의 외경보다 수평빔(102)의 외경이 다소 얇으므로 수직빔(101)의 외측면에 고정되는 고정구(A) 보다는 크기가 작아야 함은 물론이다.
또한 수평빔(102)을 수직빔(101)에 결합시 플레이트(11)를 삽입하여 연결바(106)를 결합하면 설치작업을 보다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수직빔과 수평빔이 설치된 후 빔의 균형과 하중의 분산을 위하여 봉 연결재(B)의 하단에 형성된 삽입부(2)에 천공된 체결공(8a)을 수직빔(101)에 천공된 체결공(8b)에 일치시킨 후 보울트 및 너트를 이용하여 고정시킨 후 당김봉(107)을 X자형상으로 연결하면 하중의 분산은 물론 구조물이 더욱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이때 삽입부(2)에 천공되는 체결공(8a)과 수직빔(101)에 천공되는 체결공(8b)은 봉 연결재(B)를 삽입한 후 드릴을 사용하여 삽입부(2)와 수직빔(101)에 직접 천공하여도 충분한 것이다.
또한 철구조물의 중량이나 높이 및 길이등에 따라 고정구(A) 및 봉 연결재(B)의 크기를 조절하여 빔에 결합하여 사용하면 빔의 외경에 관계없이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전술한 구조의 고정구 및 봉 연결재를 알루미늄과 아연 합금으로 다이캐스팅으로 높은 정밀도의 균일한 제품을 다량 생산하여 작업하므로 작업성이 개선되고 이에 따른 작업기간의 단축 되는 장점이 있으며, 보다 견고하고 내구성이 우수한 유리 온실을 설치할 수 있는 부가적인 장점이 실현된다.
당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첨부한 등록청구의 범위에 있어서 수정이나 변형이 가능하며, 첨부한 도면과 상술한 설명에 의해 본 발명의 원리가 제한되는 것이다.

Claims (1)

  1. 공지의 빔의 외주 형상에 맞게 금속재질의 고정구(A)를 대략 "ㄴ"자 형상으로 절곡하여 상단 양측에 지지부(3)를 돌설하고, 절곡부(9)에는 보강턱(6)을 형성하여 지지부(3)가 수직빔(101)의 외경을 감싸면서 보울트 및 너트로 결합되고, 수직빔(101)의 내경에 맞추어 일정한 길이로 삽입부(2)가 형성되고, 삽입부(2)의 상면으로는 단턱(7)으로구분되고, 내부에는 격자상으로 보강살(4)이 형성된 봉 연결재(B)를 수직빔(101)의 상단으로 삽입하여 보울트 및 너트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온실 철구조물 연결재.
KR1019960032172A 1996-08-01 1996-08-01 유리 온실 철구조물 조립식 연결재 KR1002292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2172A KR100229228B1 (ko) 1996-08-01 1996-08-01 유리 온실 철구조물 조립식 연결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2172A KR100229228B1 (ko) 1996-08-01 1996-08-01 유리 온실 철구조물 조립식 연결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3620A KR19980013620A (ko) 1998-05-15
KR100229228B1 true KR100229228B1 (ko) 1999-11-01

Family

ID=19468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2172A KR100229228B1 (ko) 1996-08-01 1996-08-01 유리 온실 철구조물 조립식 연결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922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3620A (ko) 1998-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00220B2 (en) Concrete weldment
JPH11256687A (ja) 軸組構造及び軸組工法
US5259165A (en) Supporting metal fittings for double beams
KR100229228B1 (ko) 유리 온실 철구조물 조립식 연결재
KR200464661Y1 (ko) 조립식 가로등주
KR200386881Y1 (ko) 강관파일의 두부 보강 구조
JP3538233B2 (ja) 鉄骨梁と鉄筋コンクリート梁との接合構造
JP3892764B2 (ja) 法面受圧板
KR102474648B1 (ko) 볼트연결철물을 이용한 접합부를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라멘구조물
KR200285281Y1 (ko) 콘크리트 합벽 지지대
JP2710651B2 (ja) 壁パネル取付構造
JPH07116781B2 (ja) 外壁コンクリートパネルの取付け方法
RU210507U1 (ru) Трубобетонная колонна
AU781708B2 (en) Connecting ferrule
JPH0692673B2 (ja) 閉鎖形断面柱と梁主筋との接合構造
JPH0358023B2 (ko)
JPH061923Y2 (ja) 軽量気泡コンクリートパネル敷設用取付金具
JP2710650B2 (ja) 壁パネル取付構造
JPH0711168B2 (ja) 軽量気泡コンクリートパネルの敷設方法
JPH0526177Y2 (ko)
JP2007032168A (ja) 下地鋼材の取付金具及びパネル基礎部の施工方法
JPH0349252Y2 (ko)
JPH04203042A (ja) 柱梁接合部構造
JP4647699B2 (ja) 木質残存型枠形成用の支持金具および木質残存型枠
CN113513184A (zh) 锈蚀钢筋原位加固装置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