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8235B1 - 작업기 - Google Patents

작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8235B1
KR100228235B1 KR1019970025283A KR19970025283A KR100228235B1 KR 100228235 B1 KR100228235 B1 KR 100228235B1 KR 1019970025283 A KR1019970025283 A KR 1019970025283A KR 19970025283 A KR19970025283 A KR 19970025283A KR 100228235 B1 KR100228235 B1 KR 1002282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ssel
work
frame
excavation
work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5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2487A (ko
Inventor
아끼히사 고모리
후미끼 나까기리
가즈후미 하시구찌
도시까즈 무라이
Original Assignee
세구치 류이치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구치 류이치,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세구치 류이치
Publication of KR9800024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24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82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82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7/00Equipment for conveying or separating excavated material
    • E02F7/02Conveying equipment mounted on a dredg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10Supports for movable superstructures mounted on travelling or walking gears or on other superstructures
    • E02F9/12Slewing or traversing gears
    • E02F9/121Turntables, i.e. structure rotatable about 360°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25Particular purposes of control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2F9/205Remotely operated machines, e.g. unmanne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peration Control Of Excavators (AREA)
  • Shovels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셀을 구비하여 운반기능을 갖는 작업기에 있어서 넓은 작업범위을 얻을 수 있고, 또한 소형으로 구성할 수 있어 협소한 도로나 부지 등에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작업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주행체(1)상에 선회장치(2)를 개재하여 선회프레임(3)을 설치한다. 선회프레임(3)상에는 파워유닛(7)과, 뒤쪽 또는 옆쪽으로 덤프가능한 베셀(4)을 탑재한다. 또 선회프레임(3)상에 선회장치(5)를 개재하여 다관절프론트(6)를설치하고, 이 다관절프론트(6)에 작업기구(23)를 설치한다.

Description

작업기{OPERATING MACHINE}
본 발명은 굴착, 해체, 파쇄 등의 작업을 행함과 동시에 굴착물이나 해체물또는 기재나 자재 등의 보관, 운반기능을 구비한 작업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협소한 장소에서 공사를 행하는 경우에 적합한 작업기에 관한 것이다.
도로 등에 있어서 하수, 상수, 전기, 가스 등의 각종 배관공사를 행할 경우,종래에는 먼저 표층인 아스팔트층이나 콘크리트층, 그 밑의 사력층, 토층을 유압셔블에 의하여 굴착하여 트랜치를 형성하고, 필요한 경우에는 그 트렌치의 붕괴를 방지하는 방토(防土)를 행하고, 다음에 그 홈에 상기 각종 배관을 넣고, 다시 토사를메운 후 성토재(backfill material)를 깔고 표층을 형성한다.
이와같은 배관공사나 도로보수공사를 비교적 넓은 도로에서 행하는 경우에는
유압셔블옆에 덤프트럭을 대기시켜 놓고, 아스팔트 블록이나 토사를 유압셔블에 의해 덤프트럭에 적재하고, 덤프트럭으로 운반한다. 또 배관공사에 있어서, 굴착토사를 다시 매우는 데 이용할 수 있는 경우에는, 일부 토사는 다시 메우는 데 사용하고, 유압셔블이나 훨로우더를 사용하여 성토를 행한다.
한편, 덤프트럭이 들어가지 못하는 좁은 도로의 공사를 행할 경우는 비교적소형인 유압셔블을 사용하고, 굴착한 토사는 작업원이 일륜차로 운반하여 교통의 장해가 적은 소정 장소에 모아두고 집적한 토사의 일부나 아스팔트블록등은 유압셔블을 사용하여 덤프트럭에 실어 운반하였다.
한편 일본국 실개소 57-12463호 공보에는 굴착장치가 부착된 운반차가 개시 되어 있으며, 상기 운반차는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륜을 가지는 주행부 프레임상의 뒤쪽에 덤프가능한 베셀(53)을 탑재하고, 주행체 프레임의 앞쪽의 한쪽에 운전석(52)을 탑재하고, 다른 쪽에 백호우 버킷(backhoe bucket)을 가지는 다관절프론트(54)를 선회 장치(55)를 개재하여 설치한 것이다. 이 굴착장치가 부착된 운반차는 굴착한 토사를 베셀(53)에 집적시켜 운반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유압셔블의 옆에 덤프트럭을 대기시켜 두고 굴착, 적재 를 행하는 경우에는 도로교통의 장해가 된다. 또 일륜차를 사용하여 글삭물의 운반을 행하는 경우에는 운반을 위한 작업원이 필요하게 된다.
또, 상기한 일본국 실개소 57-12463호 공보에 개시된, 도 7b에 나타낸 굴착 장치가 부착된 운반차는 백호우 프론트(54)에 의하여 굴착물을 모아둘 수는 있지만, 최근과 같이 주택이 밀집한 협소한 도로나 부지에서의 작업성이 나쁘다.
즉, 상기 공보에 기재된 운반차는 백호우 프론트(54)가 주행체 프레임상에 운전석(52) 이외의 범위에 걸쳐 선회가능하게 탑재되어 있는 바, 이 백호우 프론트에 의한 굴착범위(G)는 백호우 프론트(54)의 선회범위에 한정되어 좁으며, 넓은 범위를 굴착하려면 운반차의 방향을 여러방향으로 바꾸어 굴착을 행할 필요가 있어,주행체를 빈번하게 구동하지 않으면 안되는 데다가 운반차 뒤쪽의 굴착은 불가능하며 운반차의 뒤쪽을 굴착하려면 차의 방향을 반전하지 않으면 안된다.
또 협소한 도로나 부지에서는 운반차의 방향을 바꾸려면 전후로 왕복운동을반복하여 방향을 바꾸어야 하기 때문에 작업성이 나쁘다. 또, 도 6과 같은 도로 (46)의 단부에서의 연속적인 트렌치굴착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굴착장치가 부착된 운반차를 협소한 도로나 부지 등에서 굴착이나 운반에 사용하는 것은곤란하다. 가령 백호우 프론트(54)대신 해체 또는 파쇄용 등의 작업기구를 사용하여 해체, 파쇄 등의 작업을 행할 경우에 있어서도 동일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베셀을 구비함으로써 굴착물 등의일부보관이나 운반기능을 구비한 작업기에 있어서 넓은 작업범위가 얻어지며, 또한소형으로 구성할 수 있어, 협소한 도로나 부지 등에서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작업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작업기의 일 실시예를 베셀이 리프트된 상태에서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상기 실시예의 작업기를 베셀이 리프트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상기 실시예외 작업기를 다관절프론트를 생략하여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상기 실시예의 작업기를 다관절프론트를 생략하여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상기 실시예의 작업기의 조작장치의 블록도,
도 6은 상기 실시예의 작업상황의 일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7(a)는 본 실시예의 작업기구의 도달범위를 나타낸 도, (b)는 종래기술에있어서의 작업기구의 도달범위를 나타낸 도,
도 8(a)는 상기 실시예에 의한 측구굴착의 굴착범위를 나타낸 도, b는 다관절프론트로서 옵셋프론트를 사용한 경우의 측구굴착 프론트의 굴착범위를 나타낸 도,
도 9는 상기 실시예의 비교예의 작업기구의 도달범위를 나타낸 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작업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주행체 2: 선회장치
3: 선회프레임 4: 베셀
4a: 연장돌출부 4b: 덮개
5: 선회장치 6: 다관절 프론트
6A: 옵셋프론트 7: 파워 유닛
7a: 커버 8: 리프트장치
9: 덤프장치 23: 백호우 버킷
45: 덤프트럭 63: 운전석
본 발명의 작업기는 주행체상에 선회장치를 개재하여 선회프레임을 설치하고, 상기 선회프레임상에 파워유닛 및 후방 또는 측방으로 덤핑가능한 베셀을 탑재함과 동시에 상기 선회프레임상에 선회장치를 개재하여 다관절프론트를 설치하고,상기 다관절프론트에 작업기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청구항 1).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작업기구로서는 백호우버킷, 로더버킷 등의 굴착기구, 해체 또는 파쇄용 작업기구, 말뚝고정용 작업기구, 압력전달용 작업기구, 브레이커, 크램쉘, 포크 또는 농업 또는 원예용 작업기구중 어느 하나가 다관절 프론트에 대하여 호환성을 가지고 사용된다(청구항 2).
또 본 발명에 있어서, 베셀을 덤프장치를 개재하여 선회프레임상에 탑재하거나(청구항 3), 또는 리프트장치를 개재하여 선회프레임상에 베셀이 탑재됨과 동시에 상기 리프트장치와 덤프장치를 따로따로 설치하여 이루어진다(청구항 4).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선회프레임의 선단에 상기 다관절프론트를 설치하고, 뒤쪽에 베셀을 탑재하고, 상기 다관절프론트와 베셀사이에 상기 파워유닛을탑재하고(청구항 5), 또 조작방식을 원격조작방식(청구항 6)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베셀의 일단부를 연장돌출시키고 상기 연장돌출부에 의하여 상기파워유닛의 커버 위를 덮는 구조로 하는(청구항 7)구조가 채용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작업기에 있어서는, 굴착, 해체, 파쇄 등에 의하여 생긴토사나 폐자재등은 다관절프론트의 선회에 의하여 베셀에 실고, 그 후 주행체를 작동시켜 주행함으로써 작업기를 이동시켜 소정의 집적개소 등에 덤프할 수 있다.
또 작업개시전에 베셀에 블록, 성토재, 포장재 등의 자재나 작업에 사용할 기재를탑재하여 현장으로 주행함으로써 자재나 기재의 운반차로서의 기능도 한다.
이 작업기의 작업기구의 도달범위는 선회프레임의 선회와, 다관절아암의 선
회 및 관절부의 신축에 의하여 결정되고, 2측선회가 되기 때문에 작업기구의 위치 설정의 자유도가 높아짐과 동시에 작업범위가 확대되어 주행체 뒤쪽의 굴착 외의 작업도 가능하게 된다.
또, 가령 선회프레임상에 부가하여 선회대를 설치하고 그 선회대 상에 파워유닛과 다관절프론트를 함께 탑재했다고 하면, 선회프레임 상에 파워유닛을 선회시키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지 않으면 안되고 선회프레임이 길어지게 되나, 청구항 1의 구성에 있어서는 베셀에 대하여 파워유닛은 선회하지 않고 다관절프론트만이 선회하기 때문에 상기 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없어 전장이 짧아진다.
이와 같이 전장이 짧아지는 것과, 상기한 바와 같이 작업범위가 확대되어 작업기구의 위치설정의 자유도가 높아지는 것과의 상승작용에 의하여 좁은 도로나 부지에서의 작업성이 향상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작업기에 있어서는, 작업기구로서 백호우버킷 등의 굴착기구를 사용한 경우에는 도로, 택지, 각종 배관공사 등에 굴착 및 굴착물의 반송에이 작업기를 사용할 수 있다. 또, 굴착토사를 다시 메우는 데 이용할 수 있는 경우는 작업기구로서의 백호우버킷을 사용하여 일단 굴착한 토사를 베셀에 실어 두고되메우기 할때에는 베셀을 기울여 토사를 덤프하면서 주행함으로써 되메우기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베셀이 선회프레임상에 탑재되어 있기 때문에 주행방향에 대하여 베셀의 덤프방향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고, 되메우기나 부설에 있어서의작업성이 향상한다. 또 다관절프론트에 백호우버킷 대신 상기 각종 작업기구를 설치함으로써 각종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작업기에 있어서는 상기 되메우기나 부설정지등이 가능하다.
청구항 4에 기재된 작업기에 있어서는 선회프레임상에 리프트장치와 덤프장치를 따로따로 설치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되메우기나 부설정지 등에 있어서는 베셀을 낮은 자세인 채로 하여 토사 등의 낙하목표위치를 벗어나지 않게 행할 수 있고 또 리프트장치에 의하여 베셀을 올린 상태로 덤프함으로써 덤프트럭으로의 덤핑이 가능하게 된다.
청구항 5에 기재된 작업기에 있어서는 다관절프론트를 선회프레임의 선단에설치하고, 다관절프론트와 베셀사이에 파워유닛을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콤팩트한구성을 실현할 수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작업기에 있어서는 원격조작방식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운전실 혹은 운전석이 불필요하게 되고 시계가 양호하게 되어 위험한 장소에 근접하는 일 없이 작업을 행할 수 있다.
청구항 7에 기재된 작업기에 있어서는 베셀로부터 연장돌출한 부분에 의하여파워유닛의 커버가 덮혀지기 때문에 작업기구로부터 굴착물이나 폐자재등이 낙하한경우에도 연장돌출부에 의하여 파워유닛으로의 충돌이 방지되어 파워유닛이 보호된다.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재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작업기의 일 실시예를 베셀이 올려진 상태로 나타낸측면도, 도 2는 상기 작업기를 베셀이 올려지지 않은 상태로 나타낸 측면도, 도 3,도 4는 각각 상기 실시예의 평면도, 정면도(단, 다관절프론트의 도시는 생략되어 있음)이다.
도 1 내지 도 4에 있어서, 부호 1은 주행체이고, 본 실시예는 주행체프레임 (la)(도 4참조)의 좌우에 크롤러(1b)를 설치한 것을 나타내었으나, 휠(wheel)식의주행체도 사용된다. 부호 2는 주행체프레임(la)상에 설치한 선회장치이며, 도 3에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선회장치(2)는 선회용 유압모터(2a)와 센터죠인트(2b)를 가진다. 부호 3은 상기 선회장치(2)의 피선회체측에 설치한 선회프레임이다.
상기 선회프레임(3) 상의 뒤쪽에는 덤프가능한 베셀(4)을 탑재함과 동시에 전단부에는 선회장치(5)를 개재하여 다관절 프론트(6)를 설치하고, 상기 다관절프론트(6)와 베셀(4) 사이에는 파워유닛(7)을 탑재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셀(4)은 리프트장치(8)와 덤프장치(9)를 개재하여 선회프레임(3)상에 탑재된다. 리프트장치(8)는 선회프레임(3)상에 고정된 테이블프레임(11)과 리프트프레임(10) 사이에 개재되는 X형의 지지프레임(12)과, 선회프레임(3)과 리프트프레임(10) 사이에 장치된 리프트용 유압실린더(13)로 이루어진다. X형의 지지프레임(12)은 베셀(4)의 좌우에 설치되는 것으로 두 프레임(14, 15)의 일단은 핀(16,17)에 의해 각각 테이블프레임(11)과 베셀(4)에 결합되고, 타단에는 각각 베셀(4), 테이블프레임(11)을 따라 전후로 전동하는 롤러(18, 19)가 설치된다. 덤프장치(9)는 리프트프레임(10)과 베셀(4)의 저부 사이에 개재된 두 개의 덤프용 유압실린더(20)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베셀(4)을 뒤쪽으로 덤프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나, 옆쪽으로 덤프시키는 구성도 채용할 수 있다. 또 리프트장치(8)를 생략하고 덤프장치(9)를 개재하여 선회프레임(3)상에 베셀(4)을 탑재하여도 된다.
상기 다관절프론트(6)는 선회프레임(3) 선단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부움(21), 아암(22), 백호우버킷(23), 및 이들을 상하이동, 회전이동시키는 부움실린더(25), 아암실린더(26), 버킷실린더(27) 로 이루어지는 예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는 무선에 의한 원격조작을 행하는 작업기에 관하여 나타내고 있으며, 도 5의 블록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퍼레이터에 의하여 원격조작되는 휴대식송신기(30)로부터의 특정 전력무선신호를 선회프례임(3)상에 탑재한 수신기(31)에의하여 수신하고, 그 수신신호를 디지탈송신에 의하여 밸브드라이버(32)(상기 밸브드라이버(32)는 마이크로컴퓨터와 그 출력에 의하여 제어되는 드라이버회로로 이루어짐)로 보내고, 밸브드라이버(32)에 의하여 각 액츄에이터(35)의 콘트롤밸브(36)의 파일롯밸브인 전자비례감압밸브(37)나 전자온오프밸브(38)를 조작함으로써 액츄에이터(35)를 제어한다. 액츄에이터(35)는 주행체(1)의 주행용 유압모터(도시하지않음), 선회장치(2)의 선회용 유압모터(2a)(도 3참조), 선회장치(5)의 선회용 유압모터(도시하지 않음), 베셀(4)의 리프트용 유압실린더(13), 덤프용 유압실린더 (20), 부움실린더(25), 아암실린더(26), 버킷실린더(27)등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회프레
임(3)의 앞쪽에는 상기 수신기 (31), 콘트롤밸브(36), 전자비례감압밸브(37), 전자온오프밸브(38)가 탑재된다.
또, 오일탱크나 연료탱크 등의 탱크류(40)가 탑재된다. 파워유닛(7)은 엔진·유압펌프(41)와 라디에이터·오일쿨러(42)와 상기 탱크류(40)로 이루어지며, 커버(7a)에 의하여 커버된다. 상기 파워유닛(7)은 베셀의 일단부를 연장돌출시키고, 상기연장돌출부(4a)에 의하여 상기 파워유닛(7)의 커버(7a) 위를 덮어 보호하는 구조로한다.
도 6은 본 실시예의 작업기를 사용하는 일예를 나타내는 도이며, 덤프트럭 (45)이 들어가지 않는, 예를 들어 주택(44)이 밀집한 좁은 도로(46)에 측구(48)를굴착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며, 덤프트럭(45)은 교통에 지장이 없는 장소 (49)에 대기시켜 두고 작업기(S)가 화살표(X)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측구(48)를 굴착하고 굴착한 아스팔트블록 또는 토사는 베셀(4)에 실어 두고 베셀(4)이 가득차면덤프트럭(45)을 불러 A의 위치에 위치시키고, 도 1과 같이 리프트용 유압실린더 (13)를 신장시켜 베셀(4)을 들어올림으로써 베셀(4)을 덤프에 적합한 높이로 하고,이어서 베셀(4) 후단의 덮개(4b)를 열고 덤프용 유압실린더(20)를 신장시켜 일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덤핑함으로써 덤프트럭(45)의 베셀(45a)에 실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작업기(S)에 굴착물을 실어 보관해 두는 운반차의 기능을 가지게함으로써 덤프트럭(45)이 굴착기를 항상 따라다닐 필요가 없고 덤프트럭(45)으로의적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교통장해의 저감에 기여할 수 있다. 또, 한 대의덤프트럭(45)을 여러대의 작업기(S)가 공통으로 사용하면, 덤프트럭(45)을 효율좋게 사용할 수 있고 덤프트럭(45)의 대수를 줄일 수 있다. 또 일륜차와 작업원도 불필요하게 되어 인력절약 및 효율향상을 달성할 수 있다.
또, 도 6에 있어서 점선으로 나타낸 단부(B)영역의 굴착을 행함에 있어 작업기(S)를 넓은 도로(50)로 밀어내지 않고 선회장치(2)에 의하여 180도 선회프레임 (3)을 선회시키고, 반X방향으로 주행, 굴착을 반복함으로써 단부(B)영역의 굴착을행할 수 있고 주행체의 방향을 바꾸는 경우와 비교하여 훨씬 간단하게 또한 교통에영향을 적게 하여 굴착장소의 전환을 행할 수 있다.
또 측구(48)에 U자관이나 상하수도관을 매설함에 있어서 베셀(4)내에 U자관을 실어 운반하고, 다관절프론트(6)의 끝에 적당한 매달아올림용 어태치먼트나 모먼트리미터(moment limiting device) 등의 안전장치를 설치하여 측구(48)로 이송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베셀(4)에 되메움용 성토재나 굴착토사를 실어 두고,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셀(4)을 낮은 자세로 하여 두고 주행체(1)의 방향에 대하여 선회프레임(3)의 방향을 직교하는 방향으로 하여 주행시키고, 일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베셀(4)을 경사지게함으로써 베셀(4)의 높이를 적당한 높이로 한상태에서 작업기(S)를 주행시키면서 되메우기를 행할 수 있고, 되메우기나 부설정지의 작업성이 향상한다. 가령 주행체프레임상에 덤프식 베셀을 설치하여 뒤쪽으로 덤프하는 경우에는 측구(48)의 위로 토사를 되메우기 하는 것이 곤란하나, 베셀 (4)을 선회프레임(3)상에 탑재함으로써 되메우기에 있어서의 작업성이 향상한다.
또 도로공사에 있어서, 굴착토가 그대로 되메우기에 사용가능한 경우에는 굴착한 토사를 베셀(4)에 집적시켜 두고 굴착후의 되메우기에는 그 굴착토사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소정 장소에 일륜차에 의하여 운반, 집적시키고, 되메우기 할 때에는 다시 일륜차에 실어 원래의 위치로 운반하여 되메우기 작업을 행할 필요가 없어 인력을 절감할 수 있고 능률이 향상한다.
도 7(a)는 본 실시예인 작업기의 작업기구(백호우비킷(23))의 도달범위, 즉작업범위를 나타내는 도이며, 사선으로 나타내는 E의 범위는 주행체(1)의 방향과 선회프레임(3)의 방향을 일치시켰을 때 백호우버킷(23)에 의해 굴착가능한 범위이며, 이 경우, 주행체(1)의 뒤쪽은 베셀(4) 및 선회프레임(3)이 방해가 되어 굴착이불가능하나, 선회프레임(3)을 선회시킴으로써 주행체(1)의 뒤쪽도 굴착가능하게 되고, 선회장치(2)를 중심으로 원형을 이루는 F의 범위에 나타내는 전체 원주에 대하여 굴착이 가능하게 된다.
도 7(b)에 있어서는 본 실시예와 작업범위를 비교하기 위하여 상기 실개소 57-12463호 공보에 개시된 굴착장치가 부착된 운반차인 경우의 작업범위(G)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 종래예의 경우에는 주행체프레임상의 앞,뒤쪽에 각각 운전석(52),베셀(53)이 고정되고, 상기 운전석(52)과 나란히 선회장치(55)를 개재하여 백호우프론트(54)가 설치되고, 안전상 백호우 프론트(54)는 운전석(52)측으로는 선회하지않도록 선회범위를 θ로 나타내는 범위로 한정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주행체 뒤쪽의 굴착은 주행체의 방향을 반전시키지 않으면 행할 수 없고 또 운전석 (52)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선회범위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주행체의 앞쪽에대해서도 굴착가능한 범위는 한쪽(좌측)으로 한정된다. 따라서 굴착가능한 범위 (G)가 본 발명의 약 3분의 1정도가 되어 주행체에 의하여 빈번하게 방향을 변경하지 않으면 넓은 범위에 대한 굴착을 행할 수 없기 때문에 조작이 곤란하며, 좁은 도로와 같이 주행체의 방향을 큰폭으로 변경할 수 없는 경우에는 굴착할 수 없는 영역도 생긴다.
도 8(a)는 상기 실시예의 구조에 의하여 측구(48)의 굴착가능 범위가 넓게 확보되는 것을 설명하는 도이고, 선회프레임(3)의 주행체(1)에 대한 선회와 선회프레임(3)에 대한 다관절프론트(6)의 선회에 의하여 버킷(23)을 주행체(1)방향과 평행하게 한 채로 주행체(1)의 주행방향의 중심에 대하여 a에 나타낸 거리만큼 옵셋한 위치에 세트할 수 있으며, 이로써 주행체(1)의 좌우에 W1로 나타낸 넓은 범위에걸쳐 굴착을 행할 수 있다.
도 8(b)는 다관절프론트(6A)로서 선회장치(5)를 개재하여 선회프레임(3)에 설치된 제 1부움(21a), 평행링크(21b), 제 2부움(21c), 및 제 2부움(21c)을 제 1부움(21a)에 대하여 좌우로 평행이동시키는 유압실린더(도시하지 않음)를 가지는 옵셋(측구파기)프론트를 사용한 예이며, 이와 같은 옵셋프론트를 사용하면, b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보다도 큰 옵셋량(b)이 얻어지고 더 넓은 측구 굴착범위 (W2)가 얻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후기하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회프레임(3) 상에조작레버(62)를 가지는 운전석(실)(63)를 설치하는 구성도 가능하나, 본 실시예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원격조작방식으로 하면, 운전석(실)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운전석으로의 굴착토사의 낙하위험도 없어진다. 또, 원격조작방식으로함으로써 굴착 등의 현장에 접근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안전성이 향상한다.
또, 가령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행체프레임상에 선회장치(56)를 개재하여 파워유닛(57)이나 운전석(실)(58), 다관절프론트(59)를 탑재한 선회대(60)를 설 치하고, 주행체프레임의 후방에 베셀(61)을 설치한다면, 선회대(60)의 선회에 따른선회대(60)와 베셀(61)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베셀(61)을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선회대(60)가 선회에 의하여 뒤쪽으로 △L만큼 변위되지 않으면 안되어 그만큼 작업기의 길이가 길어진다.
또 도 9의 예와 같이 베셀(61)을 주행체프레임 상의 고정위치에 설치하면, 작업범위는 I로 나타낸 사선내의 범위로 되어 베셀(61) 후방의 굴착은 할 수 없기때문에 후방굴착을 위해서는 주행체에 의하여 방향을 바꿀 필요가 있어 도 가b)의예와 동일하게 작업성이 나빠진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다관절프론트(6)와 베셀(4) 사이에 파워유닛(7)을 설치함과 동시에 다관절프론트(6)가 선회하고 파워유닛(7)은 베셀(4)에 대하여 선회하지 않는 구조로 하였기 때문에, 이 △L의 변위는 불필요하고 전장이 짧은 콤팩트 한 구성을 실현할 수 있어 좁은 현장에서의 작업성이 향상한다. 또, 전체적으로 소형으로 구성할 수 있음과 동시에 다관절프론트(6)는 선회프레임(3)의 전단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기(S)의 뒤쪽에서 본 경우에도 굴착부나 그 근방의 작업시계가 양호하게 되어 안전성이 향상된다.
도 10의 예는 선회장치(5)의 피선회측에 조작레버(62)를 가지는 운전석 (실)(63)을 설치한 예이며, 위치가 나쁜 장소에서 오퍼레이터가 원격조작하기 어려운 경우에 유효하다. 또, 운전석(실)(63)이 다관절프론트(6)와 함께 선회하기 때문에 항상 굴착장소가 오퍼레이터의 앞쪽에 있어 보기 쉬워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다관절프론트로서 신축아암을 포함하는 것이나 이은다리 아암을 사용하는 것도 사용가능하다. 또 상기 실시예의 작업기(S)는 택지조성에 있어서, 한 대로 유압셔블,(적재기)휠로더, 크롤러캐리어(운반차)의 3가지 기능을다할 수 있으며, 또한 주행체프레임(la)에 배토판을 설치하면, 불도저(정지기계)의역할도 다할 수 있어 한 대로 4가지 기능을 다할 수 있다.
또 다관절 프론트(6)의 선단에 백호우버킷(23)외에 토류말뚝고정용 작업기구, 콘크리트의 파쇄용 작업기구, 압력전달용 작업기구 등을 교환 또는 부가할 수있도록 준비하여 두고 있으면, 상하수도의 공사에 있어서 자재, 기재의 운반, 콘크리트 또는 아스괄트 절단후의 파쇄, 덤프적재, 굴착, 토류장치설치, 압력전달, 되메우기를 한 대로 할 수 있다.
또, 다관절 프론트(6)에 목조가옥의 해체에 사용되는 포올식 또는 삽입식의해체용 작업기구나 철근콘크리트 파쇄용 작업기구를 설치하면, 해체기 또는 파쇄기와 운반차의 두 대의 역할을 한 대로 할 수 있다. 또, 해체물이나 파쇄물을 베셀 (4)에 수용하고 정리하면서 작업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환경이 양호하게 되고 안전성이 향상한다.
또, 다관절 프론트(6)에 백호우버킷(23) 등을 사용하면, 원예업 등에 있어서작은 수목의 경우에는 이 작업기를 굴착, 운반차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 지진대책으로서 교각보강을 위해 교각 포장재의 굴착, 반출, 기초까지의 굴착, 굴착토사반출을 행할 경우, 각 교각마다 작업기(S)를 각각 대고 전체로 덤프트럭 1 내지 2대를 준비하여 작업을 행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작업을 행할 수 있다.
상기 다관절 프론트(6)에 설치하는 작업기구로서는 상기 이외에 로더버킷, 브레이커, 크램쉘, 포크 또는 농업, 원예용 작업기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청구항 1에 기재된 작업기에 의하면, 선회프레임 상에 베셀을 탑재함으로써원래의 작업 외에 운반, 보관기능을 작업기에 구비하게 하고 덤프트럭에 싣기까지의 보관, 혹은 자재, 기재의 운반에 상기 작업기가 사용되는 것은 물론이며, 부가하여 주행체상에 선회장치를 개재하여 선회프레임을 설치하고, 그 위에 선회장치를개재하여 다관절프론트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넓은 작업범위가 얻어지며, 선회프레임의 선회에 의하여 주행체의 후방작업도 가능하다, 또, 파워유닛이 베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선회하지 않기 때문에 베셀을 후방으로 변위시킬 필요가 없고 그 만큼 작업기를 소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 작업기를 소형으로 구성할 수 있는 것과 상기한 바와 같이 작업범위가 넓어지고 작업기구의 위치설정의 자유도가 높아지는 것 등의 상승작용에 의하여 좁은 도로나 부지에서의 작업성이 향상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작업기에 의하면, 작업기구로서 백호우버킷 등의 굴착기구를 사용한 경우에는, 일단 굴착한 토사를 베셀에 실어 두고 되메우기 시에는 베셀을 기울어지게 하여 토사를 덤프하면서 주행함으로써 되메우기를 용이하게 행할수 있다. 또, 베셀이 선회프레임 상에 탑재되어 있기 때문에 주행방향에 대하여 베셀의 덤프방향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고 되메우기나 부설정지에 있어서의 작업성이 향상한다. 또, 해체 또는 파쇄 등의 다른 작업기구를 사용할 때에도 베셀에 필요한 자재나 기재 또는 해체쓰레기 등을 실으면서 작업을 행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작업기에 의하면, 선회프레임 상에 덤프장치를 개재하여 선회프레임을 설치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되메우기나 부설정지 등을 행할 수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작업기에 의하면, 선회프레임 상에 리프트장치와 덤프장치를 따로따로 설치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되메우기나 부설정지, 덤프트럭으로의덤핑을 각각 적합한 베셀높이에서 행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작업기에 있어서는 다관절프론트를 선회프레임의 전단에 설치하고, 다관절프론트와 베셀사이에 파워유닛을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콤팩트한 구성을 실현할 수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작업기에 의하면, 조작방식을 원격조작방식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운전실 또는 운전석이 불필요하게 되고 시계가 양호해진다. 또, 반드시 운전석(실)을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운전석(실)으로의 굴착토사나 해체쓰레기등의 낙하 위험도 없어 안전성이 향상한다.
청구항 7에 기재된 작업기에 의하면, 베셀로부터 연장돌출된 부분에 의하여파워유닛의 커버가 덮여지기 때문에 작업기구로부터 굴착물이나 폐자재등이 낙하한경우에도 연장돌출부에 의하여 파워유닛으로의 충돌이 방지되어 파워유닛이 보호되고 안전성이 높아진다.

Claims (7)

  1. 주행체상에 선회장치를 개재하여 선회프레임을 설치하고,
    상기 선회프레임상에는 파워유닛과, 후방 또는 측방으로 덤핑가능한 베셀을 탑재함과 동시에,
    상기 선회프레임상에 선회장치를 개재하여 다관절프론트를 설치하고, 상기 다관절프론트에 작업기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기구가 백호우 버킷, 로더 버킷, 해체 또는 파쇄용 작업기구, 말뚝고정용 작업기구, 압력전달용 작업기구, 브레이커, 크램쉘, 포크, 또는 농업 또는원예용 작업기구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베셀은 덤프장치를 개재하여 상기 선회프레임상에 탑재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작업기.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베셀은 리프트장치를 개재하여 상기 선회프레임상에 탑재됨과 동시에 상기 리프트장치와 덤프장치를 따로따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기.
  5. 제 1항 내지 제 4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프레임의 선단에 상기 다관절프론트를 설치하고, 뒤쪽에는 베셀을탑재하고, 상기 다관절프론트와 베셀사이에 상기 파워유닛을 탑재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작업기.
  6. 제 1항 내지 제 5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작방식이 원격조작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기.
  7. 제 1항 내지 제 6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셀의 일단부를 연장돌출시키고, 상기 연장돌출부에 의하여 상기 파워 유닛의 커버 위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기.
KR1019970025283A 1996-06-19 1997-06-18 작업기 KR1002282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178574 1996-06-19
JP17857496A JP3187325B2 (ja) 1996-06-19 1996-06-19 作業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2487A KR980002487A (ko) 1998-03-30
KR100228235B1 true KR100228235B1 (ko) 1999-11-01

Family

ID=16050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5283A KR100228235B1 (ko) 1996-06-19 1997-06-18 작업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187325B2 (ko)
KR (1) KR1002282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8558B1 (ko) 2011-02-17 2013-05-02 대호 (주) 트랙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97648B2 (ja) * 2007-10-30 2012-03-14 日立建機株式会社 遠隔操作式作業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7467U (ko) * 1985-06-28 1987-01-17
JPS6212662U (ko) * 1985-07-09 1987-01-26
JPH05187039A (ja) * 1992-01-14 1993-07-27 Toyota Autom Loom Works Ltd ショベルローダの土砂落下防止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7467U (ko) * 1985-06-28 1987-01-17
JPS6212662U (ko) * 1985-07-09 1987-01-26
JPH05187039A (ja) * 1992-01-14 1993-07-27 Toyota Autom Loom Works Ltd ショベルローダの土砂落下防止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8558B1 (ko) 2011-02-17 2013-05-02 대호 (주) 트랙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187325B2 (ja) 2001-07-11
JPH108498A (ja) 1998-01-13
KR980002487A (ko) 199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6313B1 (ko) 휠식 작업기
CA2037202C (en) Universal excavator with auxiliary tool supply means and bucket scraper
KR102657223B1 (ko) 작업 기계용 하부 주행체
KR20160052390A (ko) 작업용 기계
US5295318A (en) Backhoe-loader
US6804903B1 (en) Excavator with trenching attachment
KR100228235B1 (ko) 작업기
JP2001200553A (ja) 作業機
EP0798162B1 (en) Self-loading vehicle with loading arm
JPH1134719A (ja) 作業機
CN211113812U (zh) 一种挖掘工程车
CN210917514U (zh) 一种多功能救险车
US4945662A (en) Attachment for tractor
KR200167202Y1 (ko) 적재함이 구비된 스키드스티어 로우더
JP3794771B2 (ja) 油圧ショベルの作業機制御装置
JP7349000B1 (ja) 作業車両
EP0875630A1 (en) Construction machine
JPH11350534A (ja) 土工機械のための走査センサ設備
JPH1191428A (ja) 作業機
US20060263190A1 (en) Tracked rotatable cab loader
CN213952337U (zh) 一种用于滑移装载机的开沟回填机
JP4897648B2 (ja) 遠隔操作式作業機
CN211621749U (zh) 一种链斗式挖掘机
KR0184969B1 (ko) 다기능 복합 건설중장비
JP3087110B2 (ja) 小口径管埋設用オ−プンシ−ルド機の駆動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7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