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7251B1 -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7251B1
KR100227251B1 KR1019970023307A KR19970023307A KR100227251B1 KR 100227251 B1 KR100227251 B1 KR 100227251B1 KR 1019970023307 A KR1019970023307 A KR 1019970023307A KR 19970023307 A KR19970023307 A KR 19970023307A KR 100227251 B1 KR100227251 B1 KR 1002272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stop
elevator
arm
governor
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3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1797A (ko
Inventor
다카시 유무라
Original Assignee
다니구찌 이찌로오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기타오카 다카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니구찌 이찌로오,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기타오카 다카시 filed Critical 다니구찌 이찌로오
Publication of KR9800017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17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72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72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4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excessive speed
    • B66B5/044Mechanical overspeed govern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18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 B66B5/22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by means of linearly-movable we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와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자기 항력은, 비상 정지를 동작시키는 힘과 비교하여 작으며, 축 항력만으로 비상 정지를 동작시키는 것이 어려웠다. 또한 비상 정지를 초기 상태로 되돌리는 기능도 없었다.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에, 강한 마찰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엘리베이터를 제동하는 비상 정지 기구와, 비상 정지 기구를 동작시키는 구동부와, 엘리베이터의 이동 속도가 위험 속도에 도달한 경우에는 상기 구동부를 해방시키는 캠 래치 기구와, 캠 래치 기구를 작동시키는 조속기를 구비한 것이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이동 속도가 규정된 위험 속도에 도달한 경우에 엘리베이터를 제동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24(a)도 및 제24(b)도는 각각,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인 조속기의 정면도 및 평면도이며, 도면에서, 12는 엘리베이터의 케이지, 13은 케이지(12)의 위에 설치된 엘리베이터 조속기의 기대(基臺), 14는 기대(13)의 지점(15)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2쌍의 평행 링크로 구성된 암이다. 16은 암(14)의 일측 단부에 2점으로서 연결된, 엘리베이터의 속도를 검출하기 위한 픽업이며, 상기 픽업(16)은 고정도체(18)와 대향하여 그 양측에 배치된 2개의 자석(16a)과, 상기 2개의 자석(16a)의 자속의 통로를 확보하기 위한 백요크(16b)에 의해 구성된 자기회로를 구비하고 있다. 17은 암(14)의 타측 단부에 픽업(16)과 균형이 잡히도록 설치된 밸런스 웨이트이다. 또한, 상기 암(14), 기대의 지점(15), 픽업(16), 밸런스 웨이트(17)에 의해 조속기가 구성되어 있다. 19는 암(14)을 지지하며, 밸런스 웨이트(17)에 작용하는 힘(항력)을 변위로 바꾸기 위한 스프링이다. 20a는 케이지 정지용 스위치이고, 상기 케이지 정지용 스위치(20a)는 밸런스 웨이트(17)의 변위에 의해, 엘리베이터를 승강시키는 감아 올림기 등(도시하지 않음)의 전원을 차단한다. 21은 비상 정지 조작 봉이고, 이 비상 정지 조작봉(21)은 비상 정지 장치(제동장치(도시하지 않음))를 작동시킨다.
다음은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인 조속기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픽업(16)은, 자석(16a)과 백요크(16b)에 의해서 구성된 자기 회로를 지니며, 2개의 자석(16a)의 사이에 존재하는 고정 도체(18)의 면에 대하여 수직의 자장을 만든다. 케이지(12)가 승강하여, 이 자장이 고정도체(18)속을 이동하면, 고정도체(18)중에 자장의 변화를 제거할 수 있는 와전류가 발생하며, 자석(16a)에는 케이지(12)의 속도에 대응한 크기로, 케이지(12)의 이동에 저항하는 방향의 힘(자기항력)이 발생한다. 또한, 케이지(12)의 속도(V)와 발생된 자기항력(F1)과의 관계를 제26도에 도시한다. 이 자기항력(F1)은 제2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암(14)과 스프링(19)에 의해, 픽업(16) 및 밸런스 웨이트(17)의 상하 방향의 변위로 변환된다. 또한, 픽업 변위(밸런스 웨이트 변위, Z)와 스프링력(F2)의 관계를 제27도에, 케이지 프레임(12)의 속도(V)와 픽업 변위(밸런스 웨이트 변위, Z)와의 관계를 제28도에 도시한다.
케이지(12)의 하강 속도가 소정치를 초과한 제1과속도(통상은 정격 속도의 1.3배 정도)가 되면, 자석(16a)은 이 속도에 대응한 상향의 자기 항력을 받아, 밸런스 웨이트(17)를 하향으로 변위시킨다. 그리고, 이 변위에 의해 케이지 정지용 스위치(20a)가 작동하여 엘리베이터 구동장치의 전원이 차단되며, 케이지(12)이 정지한다. 또한 어떠한 원인으로, 케이지(12)의 하강 속도가 제2과속도(통상은 정격속도의 1.4배 정도)에 도달한 경우라도, 이 속도에 대응하여 밸런스 웨이트(17)가 더욱 하향으로 변위하며, 이 변위에 의해 비상 정지 조작봉(21)이 이동하여 케이지(12)에 설치된 비상 정지 장치(도시하지 않음)를 작동시켜, 케이지(12)가 급정지한다.
또한, 이상 설명한 종래 기술외에 본 발명과 유사한 기술로서, 일본 특허공개평5-147852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평6-321454호 공보 등이 있다.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이하와 같은 과제가 있었다.
(a)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에서는, 와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자기항력은, 비상 정지를 동작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힘과 비교하여 작으며, 케이지의 하강 속도가 제2과속도에 도달한 경우에 있어서도 픽업의 변위량이 적으므로, 자기항력만으로 비상 정지를 작동시키는 것이 어려우며, 동작의 안정성이 나쁘다는 과제가 있었다.
(b)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에서는, 픽업과 균형이 잡히도록 밸런스 웨이트를 설치하지만, 상기 밸런스 웨이트가 비상 정지 조작봉 등에 의해 비상 정지 장치(제동 장치)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연결된 장치 전체로서의 밸런스가 잡히지 않으며, 그로 인해, 케이지 진동(승객의 타고 내림) 등의 케이지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픽업에 변위가 발생하여, 오동작이 발생하기 쉬운 과제가 있었다.
(c)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에서는, 픽업을 암의 일측 단부에 설치하고, 밸런스 웨이트를 암의 타측 단부에 설치함으로써, 밸런스를 잡고 있으므로, 보통 운전시로부터 비상 정지를 해제하기 위한 아래쪽 방향으로의 힘을 작용시켜 둘수 없으며, 또한, 비상 정지 장치가 동작한 후, 비상 정지 장치가 가이드 레일에 파고 들어간 상태를 해제하려고 해도, 간단하게는 초기 상태로 복귀하지 않는 과제가 있었다.
(d)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에서는, 승객이 타고 내릴 때라든가 케이지내의 승객의 날뜀 등에 의해, 일시적이면서 진동적으로 케이지 속도가 크게 변동하면, 픽업부의 변위가 커져, 안전 장치가 오동작하기 쉬운 과제가 있었다.
(e)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에서는, 조속기와 비상 정지 장치가 케이지 위라든가 아래로 떨어져서 배치되어 있으므로, 안전 장치로서 전체가 커지는 과제가 있었다.
(f)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에서는, 현지 설치시 또는 메인티넌스시에 있어서의 동작 검사나 보수 점검시에, 실제로 케이지를 움직여서 동작을 체크하지 않으면 안되며, 검사나 점검이 어렵고, 위험하다는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제2과속도에 도달하였을 때에 발생하는 조속기의 자기 항력이 작더라도 확실하게 비상정지 장치를 동작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한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지에 진동이 발생하더라도 오동작이 적은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비상 정지가 동작한 후에도 간단하게 비상 정지가 해제될수 있으며, 용이하게 초기 상태로 복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승객의 타고 내림시라든지 케이지내의 승객의 날뜀 등에 의해, 일시적이면서 진동적으로 케이지 속도가 크게 변동하더라도 오동작하기 어려운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소형으로 간단한 구조의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간단히 검사나 보수를 행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청구항 제1항 기재의 발명과 관계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는, 엘리베이터의 승강로를 따라서 설치 고정된 도체의 가이드 레일과, 이동부에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을 파지하고, 마찰력을 발생시켜서 상기 이동부를 제동시키는 비상 정지 기구와, 상기 이동부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부의 속도가 위험 속도에 도달한 경우에 변위하여 상기 비상 정지 기구를 작동시키는 조속기와, 해당 조속기의 변위를 비상 정지 기구에 전달하는 비상 정지 동작 기구를 구비한 것이다.
청구항 제2항에 기재된 발명과 관계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는, 엘리베이터의 승강로를 따라서 설치 고정된 도체의 가이드 레일과, 이동부에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을 파지하고, 마찰력을 발생시켜서 상기 이동부를 제동시키는 비상 정지 기구와, 해당 비상 정지 기구를 동착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이동부에 설치되고, 해당 이동부의 속도가 위험 속도에 도달한 경우에, 억제하고 있던 상기 구동부의 구동력을 해방시키는 캠 래치 기구와, 상기 이동부에 설치되고, 해당 이동부의 속도가 위험 속도에 도달한 경우에 변위하여 상기 캠 래치 기구를 작동시키는 조속기를 구비한 것이다.
청구항 제3항에 기재된 발명과 관계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는, 엘리베이터의 승강로를 따라서 설치 고정된 도체의 가이드 레일과, 이동부에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을 파지하고, 마찰력을 발생시켜서 상기 이동부를 제동시키는 비상 정지 기구와, 상기 가이드 레일과 쐐기 끼워 맞춤이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비상 정지 기구의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끌어 올림 쐐기 기구와, 상기 이동부에 설치되고, 해당 이동부에 속도가 위험 속도에 도달한 경우에, 상기 끌어 올림 쐐기 기구와 연동하여, 해당 끌어 올림 쐐기 기구를 작동시키는 캠 래치 기구와, 상기 이동부에 설치되고, 해당 이동부의 속도가 위험 속도에 도달한 경우에 변위하여 상기 캠 래치 기구를 작동시키는 조속기와, 상기 캠 래치 기구와 상기 비상 정지 기구를 연결하여, 상기 끌어 올림 쐐기 기구가 발생한 구동력을 상기 비상 정지 기구에 전달하는 링크부를 구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에 있어서는, 조속기를 가이드 레일과 함께 자기회로를 구성하는 자석 및 백요크로 이루어지는 픽업과, 일측단부측에 해당 픽업이 설치되고 타측 단부측에 밸런스 웨이트가 설치되며, 상기 픽업의 변위를 전달하는 회전 가능한 암과, 해당 암의 지점에 장착 고정되어, 상기암의 변위에 따라서 회전하는 주축과, 해당 주축을 지지하는 기대를 구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에 있어서는, 캠 래치 기구를 이동부의 속도에 따라서 회전하는 조속기의 주축에 설치된 캠과, 래치 핀을 통해 해당 래치핀을 지점에 회전 가능하게 상기 조속기에 설치되고, 일측 단부가 상기 캠과 접촉하고 타측 단부가 구동부와 연결된 래치 암을 구비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이동부의 속도가 위험 속도에 도달한 경우에 상기 캠의 회전에 의해, 억제되어 있던 상기 구동부의 구동력을 해방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에 있어서는, 구동부를 일측 단부가 캠 래치 기구와 연결되며, 타측 단부가 비상 정지 기구와 연결된 끌어올림 봉과, 이동부의 속도가 위험 속도에 도달한 경우에 상기 끌어 올림 봉을 상승시키는 스프링부를 구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에 있어서는, 엘리베이터의 승강로를 따라서 설치 고정된 도체의 가이드 레일과, 이동부에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을 파지하고, 마찰력을 발생시켜서 상기 이동부를 제동시키는 비상 정지 기구와, 상기 이동부의 속도가 위험 속도에 도달한 경우에 변위하는 조속기와, 해당 조속기상에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과 쐐기 끼워 맞춤이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비상 정지 기구의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끌어 올림 쐐기 기구와, 상기 조속기와 상기 비상 정지 기구를 연결하여, 상기 끌어 올림 쐐기 기구가 발생한 구동력을 상기 비상 정지 기구에 전달하는 링크부를 구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과 관계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에 있어서는, 조속기의 변위에 의해 가동하는 조속기, 비상 정지 동작기구, 비상 정지 기구의 어느 하나에 보조 웨이트를 설치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에 있어서는, 보조 웨이트를 비상 정지 암에 설치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에 있어서는, 조속기의 변위에 의해 가동하는 조속기, 비상 정지 동작 기구, 비상 정지 기구의 어느 하나에 해제 암을 설치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에 있어서는, 엘리베이터의 승강로에 해제 암과 결합하는 해제 캠을 설치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에 있어서는, 일측 단부가 캠 래치 기구와 연결되며, 타측 단부가 비상 정지 기구와 연결된 누름 봉과, 해당 누름 봉이 상방으로 이동하면 구동부를 걸어 구속하며, 상기 누름 봉이 하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구동부의 걸어 구속한 것을 해제하는 훅부로 구성된 비상 정지 해제 기구를 구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에 있어서는, 훅부를 누름봉에 설치된 훅과, 조속기에 설치되고, 상기 누름 봉이 하방으로 이동하면 끌어 올림 봉을 해제하는 훅 해제핀을 구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에 의하면, 비상 정지 기구는 이동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비상 정지 암과, 해당 비상 정지 암의 단부에 설치된 비상 정지 슈와, 해당 비상 정지 슈 및 가이드 레일과 쐐기 끼워 맞춤이 가능하게 구성된 비상 정지 끼움쇠를 구비하며, 구동부는 일측 단부가 캠 래치 기구와 연결되며, 타측 단부가 상기 비상 정지 암의 회전축 부근에 긴 구멍을 통해 활주 가능하게 연결된 끌어 올림 봉과, 상기 이동부의 속도가 위험 속도에 도달한 경우에 상기 끌어 올림 봉을 상승시키는 스프링부를 구비하며, 비상 정지 해제 기구는, 일측 단부가 상기 캠 래치 기구와 긴 구멍을 통해 활주 가능하게 연결되며, 타측 단부가 상기 비상 정지 암의 단부에 연결된 누름 봉과, 해당 누름 봉에 설치되고, 해당 누름 봉이 상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끌어 올림 봉을 걸어 구속하고, 상기 누름 봉이 하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끌어 올림 봉의 걸어 맞춤 구속을 해제하는 훅부를 구비하여, 비상 정지 동작시에는 상기 비상 정지 암의 회전내외 변위차에 의해 상기 누름 봉이 상기 끌어 올림 봉에 의해 긴 구멍의 길이에 대응하는 양만큼 상승 이동하며, 상기 훅부가 상기 끌어 올림 봉을 걸어 맞추어 구속하며, 비상 정지 해제 동작시에는 상기 이동체가 상방으로 들어 올려지면, 상기 비상 정지 끼움쇠가 상기 가이드 레일과 쐐기 감합하고 있으므로 상기 비상 정지 암이 하방으로 내려가고, 해당 비상 정지 암과 연결된 상기 누름 봉이 하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훅부에 의해 걸어 맞추어 구속된 상기 끌어 올림 봉이 상기 누름 봉과 동변위량으로서 하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구동부가 초기 상태로 되돌아간 위치에서 걸어 맞춤구속을 해제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에 있어서는, 조속기, 비상 정지 동작 기구 또는 비상 정지 기구의 어느 것이든 진동을 흡수하는 진동 흡수부를 설치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에 있어서는, 엘리베이터의 승강로를 따라서 설치 고정된 도체의 가이드 레일과, 이동부의 속도가 위험 속도에 도달한 경우에 변위하는 조속기와, 상기 조속기상에 설치되고, 해당 조속기의 변위와 직접 연동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을 파지하고, 마찰력을 발생시켜서 이동부를 제동시키는 비상 정지 기구를 구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2도는 조속기(및 비상 정지 해제 기구의 일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제1도의 원(A)으로써 둘러싼 부분의 확대도).
제3도는 래치 암과 캠의 접점부분의 마찰을 경감시키는 베어링 롤러라든지 볼기구 등의 마찰 경감 기구를 나타낸 도면.
제4(a)도 및 제4(b)도는 조속기의 픽업부의 상세를 설명한 구성도.
제5도는 혹부의 상세를 나타내는 확대 구성도.
제6도는 비상 정지 기구(및 비상 정지 해제 기구의 일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제1도의 원(B)으로 둘러싼 부분의 확대도).
제7도는 스프링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제8도는 제7도의 스프링부와는 다른 구성의 스프링부의 설명도.
제9(a)도 및 제9(b)도는 캠 래치 기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10(a)도 내지 제10(c)도는 훅 결합 동작의 설명도.
제11(a)도 내지 제11(c)도는 훅 해제 동작의 설명도.
제12(a)도 및 제12(b)도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제13도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의 비상 정지 해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14(a)도 내지 제14(d)도는 제13도에 도시한 비상 정지 해제 동작과는 다른 비상 정지 해제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
제15(a)도 내지 제15(d)도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의 구성 및 동작 설명을 나타내는 도면.
제16(a)도 내지 제16(d)도는 제15도와는 비상 정지 해제 기구가 다른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의 구성도.
제17(a)도 내지 제17(e)도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의 구성 및 동작 설명을 나타내는 도면.
제18(a)도 내지 제18(e)도는 제17도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의 비상 정지 해제 기구를 훅부에 의해 행하는 설명도.
제19(a)도 내지 제19(e)도는 제17도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의 비상 정지 해제 기구를 훅부에 의해 행하는 설명도.
제20(a)도 및 제20(b)도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5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의 비상 정지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제21도는 픽업의 상하로 비상 정지 기구를 설치한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제22도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6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제23(a)도 및 제23(b)도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7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의 구성 및 동작 설명을 나타내는 도면.
제24(a)도 및 제24(b)도는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인 조속기의 정면도 및 평면도.
제25도는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인 조속기의 동작후의 정면도.
제26도는 케이지의 속도(V)와 발생한 자기항력(F1)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제27도는 픽업 변위(밸런스 웨이트 변위, Z)와 스프링력 (F2)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제28도는 케이지 프레임의 속도(V)와 픽업 변위(밸런스 웨이트 변위, Z)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케이지 프레임 14 : 조속기 암
16 : 픽업 17 : 밸런스 웨이트
18 : 가이드 레일 21 : 끌어 올림 봉
30 : 주축 32 : 캠
35 : 누름 봉 40 : 비상 정지 암
51 : 끌어 올림 스프링 55 : 훅
56 : 혹 핀 57 : 훅 해제핀
60 : 해제 암 61 : 해제 캠
70 : 진동 흡수부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일 형태를 설명한다.
[실시의 형태 1]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에 있어서는, 와전류에 의한 자기항력이 작고, 와전류에 의한 자기항력만으로서는 끌어 올림 봉을 끌어올리어, 비상 정지 장치를 동작시키는 것이 어려웠다. 또한, 비상 장치가 동작한 후의 해제 방법도 없었다. 실시의 형태 1에서는 제2과속도에서의 비상 정지 동작의 트리거를 조속기 및 캠 래치 기구로써 행하며, 비상 정지 동작을 행하는 구동력을 스프링 등의 스프링부에서 발생시키고, 비상 정지 해제 동작을 훅부에 의해 실현하고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면에서; 12는 엘리베이터의 케이지에 덮혀설치되는 케이지 프레임(이동부), 21은 끌어 올림 봉(구동부, 링크부, 비상 정지 동작 기구), 35는 누름 봉(비상 정지 해제 기구), 51은 끌어 올림 스프링(스프링부, 구동부, 비상 정지 동작 기구)이다. 원(A)으로 둘러싸인 부분은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의 조속기를 구성하는 부분, 원(B)으로 둘러싸인 부분은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의 비상 정지 장치를 구성하는 부분이다.
또한, 제1도에서는 제24(a)도 및 제24(b)도에 도시한 가이드 레일(고정 도체, 18)은 생략한다.
제2도는 조속기 및 캠 래치 기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제1도의 원(A)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면에 있어서, 13은 케이지 프레임(12)상에 설치된 조속기의 기대(조속기)이고, 상기 기대(13)는 ㄷ자형로 형성되어 있다. 30은 ㄷ자형의 기대(13)에 양측 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는 주축(조속기)이며, 14는 기대(13)에 연결 고정되며, 주축(30)을 지점으로 회전 가능한 조속기 암(암, 조속기)이며, 상기 조속기 암(14)이 회전하면 주축(30)도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16은 조속기 암(14)의 일측 단부에 2점에서 연결된 픽업(조속기)이며, 상기 픽업(16)은 가이드 레일(18, 제2도에서 생략한다)과 대향하여 해당 가이드 레일(18)의 양측에 배치된 자석(픽업, 조속기, 16a)과, 자석(16a)의 자속의 통로를 확보하기 위한 백요크(16b, 16c, 픽업, 조속기)로써 구성되며, 백요크(16c)가 조속기 암(14)과 연결되어 있다. 17은 조속기 암(14)의 타측 단부에 픽업(16)과 균형이 잡히도록 설치된 밸런스 웨이트(조속기)이다.
32는 주축(30)의 일측 단부에 설치된 캠(캠 래치 기구, 비상 정지 동작 기구)이고, 상기 캠(32)은 주축(30)의 회전에 의해서 회전한다. 33은 ㄷ자형의 기대(13)(의 캠(32)이 설치되어 있는 쪽)에 설치된 래치축이며, 34는 래치축(33)을 지점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래치 암(캠 래치 기구, 비상 정지 동작 기구)이고, 이 래치 암(34)의 일측 단부는 캠(32)과 접촉하여, 래치 암(34)의 타측 단부에는 끌어 올림 봉(21)과 누름 봉(35)이 래치핀(캠 래치 기구, 비상 정지 동작 기구, 36)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누름 봉(35)에는 긴 구멍(누름 봉, 35a)이 설치되고, 래치 핀(36)은 이 긴 구멍(35a)내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래치 암(34)의 일측 단부와 캠(32)의 접촉 부분의 마찰을 경감하기 위해서,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어링 롤러라든지 볼 기구 등의 마찰 경감 기구(캠 래치 기구, 38)를 설치해도 된다.
55는 훅(훅부, 비상 정지 해체 기구)이고, 이 훅(55)은 누름 봉(35)에 훅 핀(56)을 끼워서 연결되어 있다. 57은 기대(13)에 설치된 훅 해제핀(훅부, 비상 정지 해제 기구)이다.
또한, 제2도에 있어서는 케이지의 하강 속도가 제1과속도에 도달한 경우에, 엘리베이터를 승강시키는 감아 올림기 등의 전원을 차단하는 스위치(종래 기술(제24도)에 도시하는 케이지 정지용 스위치(20a)에 상당하는 스위치)는 생략된다.
제4(a)도 및 제4(b)도는 조속기의 픽업의 상세를 설명하는 구성도이다. 픽업(16)은 자석(16a), 백요크(16b, 16c) 및 가이드 레일(18)에 의해 자기회로를 구성하고 있다. 자석(16a)과 가이드 레일(18)은 근접하고 있지만 비접촉이다.
자기회로의 구성예로서는, 예를 들면 제4(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18)의 한쪽에 S극의 자석(16a1)을, 다른 한쪽에 N극의 자석(16a2)을 배치하여, 백요크(16b, 16c)를 통해 되돌아가는 자로를 형성한 것이 있다.
또한, 다른 자기회로의 구성예로서, 예를 들면 제4(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18)의 한쪽의 백요크(16b)의 상부에 S극의 자석(16a1)을, 그 하부에 N극의 자석(16a2)을 배치하고, 한쪽의 백요크(16b)의 상하의 자석(16a1, 16a2)으로 (한쪽의 백요크(16b)만으로) 자로(磁路)를 형성하는 것이 있다 (제4(b)도 에서는 양측의 백요크(16b)의 상하의 자석(16a1, 16a2)으로서 2개의 자로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자기회로의 구성으로는 상기한 것에 한정할 필요는 없으며, 당연히 한쪽의 백요크(16b)만으로 자로를 구성해도 되며, 또한, 자극의 방향도 이 예 뿐만 아니라, 동일 극이 서로 향하고 있어도 되며 다른 극이라도 된다.
제5도는 훅부의 상세를 나타내는 확대 구성도이고, 도면에서, 55는 훅이고, 이 훅(55)은 훅핀(56)을 통해 누름 봉(35)에 한방향(제5도중 좌 회전, 즉 가이드 레일(18)측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55a는 훅(55)의 상부인 테이퍼형의 테이퍼부, 55b는 테이퍼부(55a)의 하방(훅(55)의 중간부)에 설치된 잘려진 부분이다. 55c는 훅(55)의 하부에 설치된 돌출부이고, 이 돌출부(55c)는 한방향(상방향)으로는 로크되고, 타방향(하방향)으로는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57은 기대(13)에 장착 고정된 훅 해제핀(훅부, 비상 정지 해제 기구)이다. 또한, 제5도에서, 제2도와 동일 부호를 붙인 동일한 구성 부분에 관해서는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제6도는 비상 정지 기구( 및 비상 정지 해제 기구의 일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제1도의 원(B)으로써 둘러싸인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면에서, 도면 부호 40은 비상 정지 암(비상 정지 기구)이고, 상기 비상 정지 암(40)의 일측 단부는, 케이지 프레임(12, 또는 케이지)에 고정된 지지축(41, 회전축, 비상 정지 기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비상 정지 암(40)에는 끌어 올림 봉(21)의 단부에 설치된 긴 구멍(끌어 올림 봉, 21a)과 걸어 맞추는 끌어 올림 핀(42)이 지지축(41)의 부근에 설치되고, 비상 정지 암(40)의 타측 단부(지지축과 반대의 단부)에는 누름 핀(43)을 통해 누름 봉(35)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44는 비상 정지 암(40)의 타측 단부에 설치된 비상 정지 슈(비상 정지 기구), 45는 비상 정지 슈(44)의 상방에 설치된 비상 정지 끼움쇠(비상 정지 기구)이고, 비상 정지 암(40)의 타측 단부가 상방을 향하여 회전한 경우에, 비상 정지 슈(44)가 비상 정지 끼움쇠(45) 및 가이드 레일(18)과 접하여, 쐐기 효과에 의해서 비상 정지 끼움쇠(45)와 와 가이드 레일(18)의 사이로 파고 들어가며, 그 결과, 마찰 효과에 의해 큰 제동력이 발생하여, 비상 정지 동작을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45a는 비상 정지 끼움쇠(45)의 비상 정지 슈(44)와의 접합부, 45b는 비상 정지 끼움쇠(45)의 틀, 45c는 접합부(45a)와 틀(45b)의 사이에 설치된 비상 정지 누름 스프링이다.
제7도는 스프링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면에서 51은 끌어 올림 스프링, 52는 엘리베이터의 케이지 프레임(12)에 장착 고정된 스프링 베이스(스프링부, 구동부, 비상 정지 동작 기구)이고, 상기 스프링 베이스(52)의 위에 끌어 올림 스프링(51)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스프링 베이스(52)에는 설치된 끌어 올림 스프링(51)의 중심 위치에 구멍이 설치되고, 끌어 올림 봉(21)이 상기 구멍 및 끌어 올림 스프링(51)을 삽입 통과하고 있다. 53은 끌어 올림 봉(21)에 고정된 스프링 누름 판(스프링부, 구동부, 비상 정지 동작 기구)이며, 상기 스프링 누름 판(53)은 끌어 올림 스프링(51)에 의해 상방으로 가압된다.
상기 스프링부는 일례이며, 이것과 다른 구성이라도 된다. 제8도는 제7도의 스프링부와는 다른 구성의 스프링부의 설명도이다.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상 정지 암(40)의 지지축(41)에 대하여, 비상 정지 암(40)의 선단(누름 봉(35) 및 비상 정지 슈(44)가 설치되어 있는 부분)을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방향 (제8도중 우측 회전 방향)으로 회전력을 가하는 비상 정지 암 회전 스프링(스프링부, 구동부, 비상 정지 동작 기구, 54)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비상 정지 암 회전 스프링(54)의 스프링력(회전력)에 의해서도 끌어 올림 봉(21)을 상방으로 가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프링부(구동부)는 상기 캠 래치 기구와 함께 비상 정지 동작 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다음은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1)우선, 제1도 및 제4도를 이용하여, 조속기 및 캠 래치 기구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픽업(16)은 자석(16a)과 백요크(16b, 16c)로써 구성되는 자기 회로를 구비하며(제4도), 2개의 자석(16a1, 16a2)의 사이에 존재하는 가이드 레일(18)의 면에 대하여 자장을 만든다. 케이지 프레임(12)이 승강하여, 이 자장이 가이드 레일(18)에 대하여 이동하면, 가이드 레일(18)에 자장의 변화를 제거하는 와전류가 발생하며, 자석(16a)에 대하여 케이지 프레임(12)의 속도에 대응한 크기로, 케이지 프레임(12)의 이동에 저항하는 방향의 힘(자기항력)이 발생한다. 상기 자기항력이 조속기 암(14)에 전달되고, 이 힘이 픽업(16) 및 밸런스 웨이트(17)의 상하 방향의 변위로 변환된다. 상기 픽업(16) 및 밸런스 웨이트(17)의 변위에 의해 주축(30)이 회전하고, 주축(30)의 일측 단부에 설치된 캠(32)이 회전한다.
또한, 케이지 프레임(12)의 하강 속도가 소정 값(제1과속도)을 초과하면,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와 같이, 밸런스 웨이트(17)의 하향의 변위에 의해 케이지 정지용 스위치(도시하지 않음)가 작동하여, 엘리베이터 구동장치의 전원이 차단되고, 케이지 프레임(12)이 정지한다.
(2) 다음은 비상 정지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어떠한 원인으로, 케이지 프레임(12)의 하강 속도가 어떤 속도(제2과속도)에 도달한 경우, 이 속도에 대응하여 밸런스 웨이트(17)가 더욱 변위하여, 상기 밸런스 웨이트(17)의 변위에 따라서 주축(30)이 회전한다. 상기 주축(30)의 회전에 수반하여, 주축(30)의 일측 단부에 설치된 캠(32)이 회전하면, 래치 암(34)이 캠(32)이 잘려진 부분에 도달한다.
여기에서, 제9(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래치 암(34)의 타측 단부(끌어 올림봉(21)이 설치되어 있는 부분)에는, 끌어 올림 스프링(51)에 의한 상방향의 가압력이 끌어 올림 봉(21)을 통해 작용하고 있으므로, 래치 암(34)의 일측 단부(캠(32)과 접하고 있는 부분)에는 래치 핀(36)을 지점으로 하여 하방향(캠(32)을 누르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제9(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축(30)이 회전하여, 래치 암(34)이 캠(32)의 잘려진 부분에 도달하면, 눌려있던 래치 암(34)의 하방향의 힘이 해방되고, 끌어 올림 봉(21)이 끌어 올림 스프링(51)의 가압력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한다. 그렇게 하면 끌어 올림 봉(21)과 연결된 비상 정지 암(40)도 상방으로 끌어 올려지고(제6도), 비상 정지 암(40)의 단부에 설치된 비상 정지 슈(44)가 비상 정지 끼움쇠(45)와 가이드 레일(18)의 사이에 파고 들어가며, 마찰효과에 의해 큰 제동력이 발생하여 비상 정지 동작이 행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끌어 올림 봉(21)이 상방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비상 정지 암(40)도 상방으로 끌어 올려지지만, 동시에 비상 정지 암(40)의 단부에 설치된 누름 봉(35)도 상방으로 밀려올라간다. 끌어 올림 봉(21)은 비상 정지 암(40)의 지지축(41) 부근에 설치되어 있지만, 누름 봉(35)은 비상 정지 암(40)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끌어 올림 봉(21)의 상방으로의 작은 변위에 의해 누름 봉(35)은 크게 상방으로 변위하게 된다. 예를 들면, 제9(a)도 및 제9(b)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끌어 올림 봉(21)과 지지축(41) 사이의 거리를 a, 누름 봉(35)와 지지축(41) 사이의 거리를 b라고 하면, 누름 봉(35)은 끌어 올림 봉(21)의 b/a배만큼 상방으로 변위한다.
한편, 끌어 올림 봉(21)과 누름 봉(35)은 래치 핀(36)으로서 거의 같은 위치에 래치 암(34)에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누름 봉(35)은 긴 구멍(35a)에 있어서 핀과 결합되어 있으므로, 긴 구멍(35a)의 길이 만큼, 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비상 정지 동작후는, 상술한 바와 같이 누름봉(35)의 쪽이 끌어 올림봉(21)보다도 변위량이 크므로, 제9(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누름 봉(35)만이 위로 크게 튀어 나가는 형으로 된다.
다음은 훅의 결합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비상 정지가 동작하여, 누름봉(35)이 끌어 올림 봉(21)의 b/a배의 변위로 상방으로 밀려 올라가면, 누름 봉(35)과 훅핀(56)을 통해 연결된 훅(55)도 또한 상방으로 밀려 올라간다(제5도).
제10(a)도 내지 제10(c)도는 훅(55)의 결합 동작의 설명도이다. 초기 상태, 즉 비상 정지 동작전에 있어서는 (제10(a)도), 끌어 올림 봉(21)도 누름 봉(35)도 거의 같은 위치에 있지만, 비상 정지 동작중에 있어서는 제10(b)도), 누름 봉(35)은 끌어 올림 봉(21)의 b/a 배의 변위로 밀려 올려지고, 누름 봉(35)이 끌어 올림봉(21)보다도 상방으로 돌출한다. 여기에서, 누름 봉(35)에 연결된 훅(55)도 또 누름 봉(35)과 함께 밀려 올려지지만, 상기 훅(55)의 상부에는 테이퍼상의 테이퍼부(55a)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훅(55)의 상방에 래치 핀(36)에 걸리는 경우는 없다. 또한, 훅(55)의 하부에 설치된 돌출부(55c)는 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돌출부(55c)의 상방에 설치된 훅 해제 핀(57)을 피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훅(55)이 밀려 올라가면, 훅(55)의 잘려진 부분(55b)이 래치핀(36)과 결합하여, 훅의 결합 동작이 완료한다(제10(c)도).
이상에 의해 비상 정지 동작이 완료한다.
(3) 다음은 비상 정지 해제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비상 정지를 해제하기 위해서, 엘리베이터의 케이지를 감아 올림기 등에 의해 상방으로 들어 올리면, 엘리베이터의 케이지(또는 케이지 프레임)에 설치 고정된 비상 정지 끼움쇠(45)도 동시에 들어올려진다. 비상 정지 끼움쇠(45)가 들어 올려지면, 압축하고 있는 비상 정지 누름 스프링(45c)의 복원력 및 가이드 레일(18)과 비상 정지 슈(44)의 마찰력에 의해, 비상 정지 끼움쇠(45)와 비상 정지 슈(44)와의 파고 들어감이 없어진다. 그러나, 비상 정지 끼움쇠(45)와 비상 정지 슈(44)의 파고 들어감이 없어지는 것만으로서는 끌어 올림 봉(21)은 초기 상태(끌어 올림 스프링(51)을 압축시키며, 래치 암(34)이 올라간 상태)로 되돌아가지 않는다.
그리하여, 비상 정지 해제 기구가 그 역할을 한다.
비상 정지 해제 기구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비상 정지 슈(44)가 비상 정지 끼움쇠(45)와 가이드 레일(18)의 사이에 파고 들어가는 상태에서는 마찰력이 작용하므로, 비상 정지 슈(44)는 그대로 멈추려고 하며, 상대적으로는 하방향으로 이동하고, 그 결과, 비상 정지 암(40)이 하방향으로 회전한다. 비상 정지 암(40)이 하방향으로 회전하면, 누름봉(35)도 아래쪽으로 끌려 내려간다. 여기에서, 누름 봉(35)에 연결된 훅(55)은, 제10(c)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래치 핀(36)에 결려 있으므로(래크(55) 결합 상태), 끌어 올림봉(21)은 누름 봉(35)에 구속되며, 누름 봉(35)과 같은 변위량으로 하방으로 끌려 내려간다(또한, 끌어 올림 봉(21)이 누름 봉(35)과 같은 변위로 이동가능한 것은 끌어 올림봉(21)의 단부가 긴 구멍(21a)로 되어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끌어 올림 봉(21)은 밀려 올라갈(비상 정지 동작)때와 비교하여 b/a 배의 변위로 이동하며, 밀어 올릴 때보다도 짧은 거리, 즉 비상 정지 슈(44)와 가이드 레일(18)의 마찰력이 유지되는 (비상 정지 슈(44)가 비상 정지 끼움쇠(45)와 가이드 레일(18)의 사이에 파고 들어간 상태로 유지된다) 것과 같은 짧은 거리로서 초기 위치로 되돌아간다. 끌어 올림 봉(21)이 초기 상태의 위치로 되돌아가면, 래치 암(34)도 위로 올라간다. 이때, 케이지 프레임(12)은 비상 정지 슈(44)와 가이드 레일(18)의 마찰력이 유지되고 있기 때문에, 저속 운전하고 있으므로, 조속기 암(14)은 수평 상태로 되돌아가고자 하는 힘이 작용하고 있고, 따라서, 래치 암(34)이 상방으로 밀려 올라가면 캠(32)이 회전하여 초기 상태로 되돌아간다.
또한, 케이지 프레임(12)이 상방향으로 이동하면, 누름봉(35)이 하방으로 내려가고, 훅(55)은 훅 해제 핀(57)의 위치에 도달하며, 훅 해제 핀(57)이 훅(55)을 회전시킨다 (제11(b)도). 그렇게 하면 훅(55)과 래치핀(36)의 결합이 벗겨지고, 끌어 올림 봉(21)의 누름 봉(35)으로부터의 구속도 해제된다. 이 때, 래치 암(34)은 이미 초기 상태로 되돌아가므로, 끌어 올림 봉(21)의 구속이 해제되더라도 끌어 올림 스프링(51)의 가압력에 의해 밀려 올라가는 일도 없다.
또한 케이지 프레임(12)이 상방향으로 이동하며, 비상 정지 슈(44)와 가이드 레일(18)이 떨어지면 마찰력이 없어지며, 비상 정지 누름 스프링(45c)의 복귀력에 의해 누름 봉(35)이 최후까지 끌려 내려가며, 모두 초기 상태로 되돌아간다(제11(c)도).
이와 같이, 비상 정지 암(40)의 회전시에 내외 변위차와, 훅(55)의 동작에 의해, 비상 정지 동작 및 해제 동작이 행해진다. 즉, 비상 정지 동작에 있어서는, 끌어 올림 봉(21)이 비상 정지 암(40)을 밀어 올리며, 이것에 따라 누름 봉(35)이 끌어 올림 봉(21)의 스트로크의 b/a 배의 스트로크로 밀려올려진다. 반대로, 비상 정지 해제 조작에 있어서는, 누름봉(35)이 비상 정지 암(40)과 함께 끌어 내려가고, 이것에 따라 끌어 내림 봉(21)도 누름 봉(35)과 같은 스트로크로 끌려내려간다. (훅(55)의 작용).
또한, 이 실시의 형태 1에서는 캠(32)을 사용하였지만, 픽업(16)의 변위가 비상 정지 동작의 트리거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끌어 올림 예압을 개방하는 기구라면 다른 기구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 실시의 형태 1에 나타낸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에서는, 조속기, 캠 래치 기구, 비상 정지 기구, 구동부, 비상 정지 해제 기구 등은, 케이지 프레임(12)에 설치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할 필요는 없으며, 엘리베이터의 케이지, 중추(重錘)등의 이동부에 설치하는 것이면 가능하다. 하기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도 같다.
상기와 같이, 이 실시의 형태 1에 의하면, 비상 정지 동작의 트리거를 조속기 및 캠 래치 기구로 행하며, 비상 정지 동작을 행하는 구동력을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로써 발생시키며, 비상 정지 해제 동작을 훅부에 의해 행하고 있으므로, 와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자기항력이 약하게 과속도를 검출하였을 때의 조속기의 끌어 올림력이 약하더라도, 이것을 트리거로서 비상 정지 동작을 확실하게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오동작을 적게 할 수 있으며, 동시에 케이지를 올리는 것만으로 비상 정지 기구를 간단히 초기 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다.
[실시의 형태 2]
제12(a)도 및 제12(b)도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면에 있어서, 37은 래치 암이며, 상기 래치암(37)의 일측 단부는 캠(32)과 접촉하며, 타측 단부는 직접 비상 정지 암(4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59는 비상 정지 암(40)의 하방에 배치되며, 비상 정지 조속기 암(40)을 상방으로 가압하는 끌어 올림 스프링(스프링부, 구동부, 비상 정지 동작 기구)이다.
제13도는 제12(a)도 및 제12(b)도에 도시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에 비상 정지 해제 동작의 설명도이며, 도면에 있어서, 60은 암(14), 캠(32), 래치 암(37) 및 (또는) 비상 정지 암(40)에 설치된 해제 암(비상 정지 해제 기구) 이다.
또한, 제12(a)도 및 제12(b)도 및 제13도에 있어서, 상기 실시의 형태 1(제2도, 제6도)과 동일 부호를 붙인 부분은 상기 실시의 형태 1과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이므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관련하여, 제12(a)도 및 제12(b)도 및 제13도에 있어서는 동작을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래이면 직교하는 캠(32)의 정면(래치 암(37)의 방향)과 비상 정지 면(비상 정지 암(40)의 방향)을 동일 면에 나타내고 있다. 후술하는 제14도로부터 제24도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캠(32)의 정면과 비상 정지 면을 동일면으로 하여, 동작을 이해하기 쉽게 한다.
다음은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비상 정지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는, 래치 암(34)과 비상 정지 암(40)을 끌어 올림 봉(21) 및 누름 봉(35)에 의해 연동시키고 있었지만, 이 실시의 형태 2에서는 래치 암(37)과 비상 정지 암(40)을 직접 회전 가능하게 연결한 것이다.
제12(a)도 및 제12(b)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래치 암(37)은 통상 상태에서는 끌어 올림 스프링(59)에 의해 비상 정지 동작 방향(상방향)으로 가압되고 있다(제12(a)도). 캠(32)과 안접한 래치 암(37)이 캠(32)의 회전에 의해 개방되면, 래치암(37)이 회전하여, 래치 암(37)과 연결된 비상 정지 암(40)이 상방으로 회전한다.
그렇게 하면 비상 정지 암(40)의 단부에 설치된 비상 정지 슈(44)가 비상 정지 끼움쇠(45)와 가이드 레일(18)의 사이에 파고 들어가서 비상 정지 동작을 행해진다.
다음은 비상 정지 해제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3도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의 비상 정지 해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비상 정지 동작 종료후에 그 동작을 해제하는 경우, 비상 정지 슈(44)의 마찰력(제동력)이 없어지는 방향(상방향)으로, 감아 올림기에 의해 엘리베이터의 케이지 프레임(12)을 천천히 올리며, (또한, 게이지 프레임(12)은 상방으로 이동할수 있지만, 비상 정지 슈(44)는 결합 상태에 있고, 이 시점에서는 비상 정지는 완전히 해제되어 있지 않다). 그리고 가장 가까운 층에서 도어를 열고, 타는 입구측으로부터 해제 암(60)을 동작시키기 위한 암 등을 사용하여, 해제암(60)을 수동으로 동작함으로써, 비상 정지 동작을 완전히 해제한다.
제14(a)도 내지 제14(b)는 제13도에 도시한 비상 정지 해제 동작과는 다른 비상 정지 해제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도면에 있어서, 61은 엘리베이터의 승강로에 배치된 해제 캠(비상 정지 해제 기구)이고, 이 해제 캠(61)은 상기 해제 암(60)과 결합시키는 것에 의해, 감아 올림기(62)에 의해 케이지 프레임(12)을 들어 올리기만 해도 비상 정지 해제 동작을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케이지 프레임(12)의 하강 속도가 제2과속도에 도달하면 비상 정지 기구가 동작한다(제14(a)도). 비상 정지 기구가 동작하면, 래치 암(37)이 기울어지고, 래치 암(37)에 설치된 해제 암(60)이 케이지 프레임(12)밖으로 돌출한다 (제14(b)도). 이 상태로부터, 케이지 프레임(12)을 상방으로 끌어 올리면, 해제 암(60)이 승강로에 설치된 해제 캠(61)과 결합하며(제14(c)도), 또한, 케이지 프레임(12)를 상방으로 올리면, 해제 암(60)이 케이지 프레임(12)내에 밀려들어가고, 그 결과, 래치 암(37)도 초기 상태로 되돌아가며, 비상 정지 해제 기구가 초기 상태로 복귀한다(제14(d)도).
상기와 같이, 이 실시의 형태2에 의하면, 래치 암(37)을 비상 정지 암(40)에 직접 연결하였으므로,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전체의 구성이 간단하게 된다. 비상 정지 해제 동작은 수동으로 행하지만, 이 조작도 간단히 행할 수 있으며, 또한, 해제 암(60) 및 해제 캠(61)을 설치하면, 자동적으로 비상 정지 해제를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의 형태 3]
상기 실시의 형태 1에서는 제2과속도에서의 비상 정지 동작의 트리거를 조속기 및 캠 래치 기구로 행하며, 비상 정지 동작을 행하는 구동력을 스프링 등의 스프링부에서 발생시키며, 비상 정지 해제 동작을 훅부에 의해 실현했었지만, 이 실시의 형태 3에서는 제2과속도에서의 비상 정지 동작의 트리거를 조속기 및 캠래치 기구에 의해 행하며, 비상 정지 동작을 행하는 구동력을 픽업상에 설치한 끌어 올림 쐐기 기구로 발생히키며, 비상 정지 해제 동작을 끌어 내림 스프링으로서 실현하고 있다.
제15(a)도 내지 제15(b)도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면에서, 65는 래치 암(34)의 단부(캠(32)과 접하고 있는 단부와 반대측의 단부)에 설치된 끌어 올림 슈(끌어 올림 쐐기 기구). 66은 끌어 올림 슈(65)의 상방에 설치된 끌어 올림 끼움쇠(끌어 올림 쐐기 기구)이고, 래치 암(34)이 회전하여 해당 단부가 상방으로 이동하면, 끌어 올림 슈(65)가 끌어 올림 끼움쇠(66) 및 가이드 레일(18)과 접하며, 쐐기 효과에 의해서 끌어 올림 끼움쇠(66)와 가이드 레일(18)의 사이에 파고 들어가며, 그 결과, 마찰 효과에 의해 큰 제동력이 발생하며, 비상 정지 동작을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64는 비상 정지 암(40)을 하방으로 끌어 내림 스프링(비상 정지 해제 기구)이다. 21은 래치 암(34)과 비상 정지 암(40)을 연결하는 끌어 올림 봉(링크부)이다.
또한, 상기 실시의 형태 1또는 2(제2도, 제6도, 제12도)와 동일 부호를 붙이고 있는 부분을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이고, 그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은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비상 정지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케이지 프레임(12)이 통상 운전 속도에 있는 경우는 조속기 암(14)은 수평상태에 있지만(제15(a)도), 케이지 프레임(12)의 하강속도가 올라가면, 조속기 암(14)이 기울어지고, 캠(32)이 회전한다(제15(b)도). 또한, 케이지 프레임(12)이 제2과속도에 도달하면(또는 제2과속도를 초과하면), 캠(32)이 또한 회전하여, 래치 암(34)의 일측 단부(캠(32)와 접하고 있는 단부)가 캠(32)의 잘려진 부분에 도달한다. 그렇게 하면 래치 암(34)이 기울어지고, 래치 암(34)의 타측 단부에 설치된 끌어 올림 슈(65)가 끌어 올려지며, 끌어 올림 슈(65)가 끌어 올림 끼움쇠(66)로 파고 들어가(제15(c)도), 마찰 효과에 의해 큰 제동력이 발생한다. 이것에 의해, 래치 암(34) 및 끌어 올림 봉(21)은 강한 힘으로 끌어 올려지고, 비상 정지 기구를 동작시킨다 (제15(d)도). 또한, 동작시는 제2과속도가 될 때까지 비상 정지 기구의 긴 구멍(21a)으로 되어 있으며, 제2과속도로 된 경우는 끌어 올림 슈(65)의 쪽이 쉽게 끌어 올림 끼움쇠(66)으로 파고 들어가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은 비상 정지 해제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케이지 프레임(12)을 상방으로 들어 올리면, 비상 정지 암(40)이 끌어 내림 스프링(64)에 의해 비상 정지 기구를 해제하는 방향(하방향)으로 끌려 내려가므로, 비상 정지 슈(44)와 비상 정지 끼움쇠(45)와의 마찰력이 없어져서, 비상 정지 해제 동작이 행해진다. 또한, 끌어 올림 쐐기 기구도 마찬가지로 해제된다. 여기에서, 캠(32)은 케이지 프레임(12)이 저속도의 상태에서는 수평위치로 되돌아가고자 하므로, 캠(32)도 초기 위치로 복귀한다.
제16(a)도 내지 제16(d)도는 제15도와는 비상 정지 해제 기구가 다른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의 구성도이고, 도면에 있어서, 67은 끌어 올림 봉(21)의 하단에 설치된 훅(훅부, 비상 정지 해제 기구)이다. 68은 훅 해제판(비상 정지 해제 기구)이다.
또한, 제15도와 동일 부호를 붙이는 부분은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이고,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에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비상 정지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케이지 프레임(12)이 통상 운전 속도에 있는 경우에는 조속기 암(14)는 수평 상태에 있지만(제16(a)도), 케이지 프레임(12)의 하강 속도가 올라가면, 픽업(16)이 상방향으로 변위하여, 픽업(16)상에 설치된 끌어 올림 슈(65)가 끌어 올림 끼움쇠(66)에 접근한다. 케이지 프레임(12)이 제2과속도에 도달하면 (초과하면), 끌어 올림 슈(65)가 끌어 올림 끼움쇠(66)에 접촉하여, 마찰에 의해 끌어 올림 끼움쇠(66)와 가이드 레일(18)의 사이에 끌어 올림 슈(65)가 파고 들어간다(제16(b)도). 이 때, 조속기 암(14)에 설치된 끌어 올림 봉(21)도 상승하여, 끌어 올림 봉(21)의 하단에 설치된 훅(67)이 끌어 올림 핀(42)에 걸린다(제16(b)도), 끌어 올림 봉(21)이 긴 구멍(21a)에 도달하면, 쐐기 작용에 의한 강한 끌어 올림력에 의해 비상 정지 암(40)을 끌어 올리며, 비상 정지 동작 상태로 하고(제16(c)도), 비상정지의 쐐기 작용에 의해 비상 정지 동작을 완료한다 (제16(d)도).
또한, 비상 정지 해제 동작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의 형태 1에서 설명한 훅(55)을 사용한 비상 정지 해제 동작과 같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이 실시의 형태 3에 의하면, 통상 운전시에 캠(32)에 걸리는 힘을 작게 할 수 있으며, 또한 비상 정지 동작의 힘도 크고, 또한 비상 정지 해제 동작도 간단히 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는, 끌어 올림력을 끌어 올림 스프링(51)에 의한 가압력에 의지하므로, 캠(32)에 래치 암(34)으로부터의 강한 힘이 항상 가해지고 있었지만, 이 실시의 형태 2에 의하면, 끌어 올림력은 끌어 올림 쐐기 기구에 의한 쐐기작용으로 행하기 때문에, 캠(32)에는 픽업(16)에 대한 자기항력을 회전방향의 변위로 변환하는 스프링력밖에 걸리지 않고, 캠(32)과 래치 암(34)의 마찰이 감소되어, 캠 래치 기구의 안정성도 향상한다.
또한, 픽업(16)의 변위에 의해 과속도를 검출하고, 캠 래치 기구를 트리거로서 끌어 올림 쐐기 기구를 동작시키고 있으므로, 픽업(16)만 정확하면, 정확한 과속도 검출을 행할 수 있으며, 기계 정밀도가 완화할 수 있는 동시에, 안정성도 향상된다.
또한 비상 정지 해제 기구를 끌어 내림 스프링(64) 또는 훅(67)에 의해 구성하였으므로, 케이지를 상승시키는 것만으로 간단하고 또한 확실하게 비상 정지 해제 동작을 행할 수 있다.
[실시의 형태 4]
상기 실시의 형태 4에서는 끌어 올림 쐐기 기구를 픽업(16)상에 설치하는 것에 의해 실현하고 있다.
제17(a)도 내지 제17(e)도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17도에 있어서, 상기 실시의 형태 1내지 3과 동일 부호를 붙인 부분은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이고,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실시의 형태 3에 있어서 래치 암(34)의 단부에 끌어 올림 슈(65)를 설치하고 있지만, 이 실시의 형태 4에서는 픽업(16)상에, 쐐기 작용에 의해 끌어 올림력을 끌어 내는 끌어 올림 슈(65)를 설치하고, 끼움쇠 기대(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케이지 프레임(12)측에 고정된 끌어 올림 끼움쇠(66)가 끌어올림 슈(65)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픽업(16)은 끌어 올림 봉(21)을 통해 비상 정지 기구와 연결되어 있다. 또한, 비상 정지 암(40)은 끌어 내림 스프링(64)에 의해, 초기 상태의 위체어서 끌어 내림력을 받고 있다.
다음은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비상 정지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케이지 프레임(12)이 통상 운전 속도에 있는 경우는, 조속기 암(14)은 수평 상태로 있지만 (제17(a)도), 케이지 프레임(12)의 하강 속도가 올라가면, 픽업(16)이 상방향으로 변위하여, 픽업(16)위에 설치된 끌어 올림 슈(65)가 끌어 올림 끼움쇠(66)에 접근한다 (제17(b)도). 또한, 케이지 프레임(12)이 제2과속도에 도달하면(또는 제2과속도를 초과하면), 끌어 올림 슈(65)가 끌어 올림 끼움쇠(66)에 접촉하여, 마찰에 의해 끌어 올림 끼움쇠(66)와 가이드 레일(18)의 사이에 끌어 올림 슈(65)가 파고 들어간다(제17(c)도). 끌어 올림 끼움쇠(66)의 끌어 올림 슈(65)와의 들어 맞닿는 면에는 쐐기가 넓어지는 방향으로, 거의 일정한 예를 들면 스프링력이 가해지며, 쐐기 작용에 의한 강한 끌어 올림력을 일정한 힘으로 유지할수 있다. 끌어 올림 봉(21)이 긴 구멍(21a)에 도달하면, 쐐기 작용에 의한 강한 끌어 올림력에 의해 비상 정지 암(40)이 끌어 올려지고, 비상 정지 동작 상태가 되며(제17(d)도). 비상 정지의 쐐기 작용에 의해 비상 정지 동작을 완료한다 (제17(e)도).
또한, 비상 정지 해제 동작에 관해서는 상기 실시의 형태 3과 같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17(a)도 내지 제17(e)도에 도시한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는 끌어 내림 스프링(64)에 의해 비상 정지 해제 동작을 행하고 있었지만, 이것을 훅부에 의해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8(a)도 내지 제18(e)도 및 제19(a)도 내지 제19(e)도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의 비상 정지 해제 기구를 훅부에 의해 행하도록 구성된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의 설명도이다. 제18(a)도 내지 제18(e)도는 비상 정지 동작, 제19(a)도 내지 제19(e)도는 비상 정지 해제의 동작을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비상 정지 동작 및 비상 정지 해제 동작에 관해서는 제17도에 도시한 비상 정지 동작 및 상기 실시의 형태 3에 나타낸 비상 정지 해제 동작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이 실시의 형태 4에 의하면, 픽업(16)상에 끌어 올림 쐐기 기구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전체로서 구성이 간단하게 되는 동시에, 끌어 올림 쐐기 기구의 쐐기 작용에 의해 커다란 끌어 올림력으로 비상 정지 기구를 동작시킬 수 있으며, 또한 케이지를 올리는 것만으로 비상 정지 해제 동작을 간단히 행할 수 있다.
[실시의 형태 5]
제20(a)도 내지 제20(e)도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5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47은 비상 정지 끼움쇠(45)를 설치하는 비상 정지 기대(비상 정지 기구)이고, 이 비상 정지 기대(47)는 픽업(16)의 위에 설치된 비상 정지 슈(44)의 상방에 비상 정지 끼움쇠(45)가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실시의 형태 1내지 4 및 종래 기술과 동일 부호를 붙인 부분은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으로, 그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은 비상 정지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케이지 프레임(12)의 속도가 제2과속도에 도달하면, 픽업(16)이 상방으로 이동하여, 픽업(16)상에 설치된 비상 정지 슈(44)도 또한 상방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비상 정지 슈(44)가, 픽업(16)의 상방으로 비상 정지 기대(47)를 통해 배치된 비상 정지 끼움쇠(45)와 가이드 레일(18)의 사이에 파고 들어가며, 큰 마찰력이 발생하여 엘리베이터의 비상 정지가 행해진다.
제21도는 픽업(16)의 상방 및 하방에 비상 정지 기구를 설치한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면에 있어서, 48은 비상 정지 끼움쇠(비상 정지 기구)이며, 상기 비상 정지 끼움쇠(48)는 픽업(16)의 상하에 설치된 비상 정지 슈(44)가 파고 들어 갈 수 있도록, 파업(16)의 상방 및 하방을 덮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픽업(16)의 상하 방향에 비상 정지 기구를 설치함으로써, 상하 어떤 방향으로도 엘리베이터의 비상 정지를 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 실시의 형태 5에 의하면, 비상 정지 슈(44)를 픽업(16)상에 설치하여, 비상 정지 끼움쇠(45)를 비상 정지 기대(47)을 통해 픽업(16)의 상방(및 하방)에 배치하였기 때문에, 끌어 내림봉(21), 누름 봉(35), 끌어 올림 쐐기 기구등이 불필요하게 되어, 픽업(16)의 변위에 의해 직접 비상 정지 동작을 행할 수 있으며,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를 더욱 소형으로 또한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이들 비상 정지 기구를 케이지 프레임(12)상에 배치함으로서, 설치 조정을 행하기 쉬우며, 검사·보수도 용이하게 된다.
[실시의 형태 6]
제22도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6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면에 있어서, 70은 픽업(16)과 조속기 암(14)의 사이에, 끌어 올림봉(21)의 도중, 또는( 및) 비상 정지 암(40)에 설치된 진동 흡수부이다. 또한, 제22도에서 상기 실시의 형태 4(제17도)와 동일 부호를 붙인 부분은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이고, 그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케이지 이동시의 진동, 케이지로의 사람의 타고 내림, 케이지내에서의 승객의 날뜀 등에 의해, 케이지가 상하 진동하면, 케이지 속도도 진동적으로 크게 변화하여, 비상 정지가 오동작할 위험성이 있다. 그리하여, 제22도에 도시함 바와 같이, 진동 흡수부(70)를 설치함으로서, 케이지의 진동을 흡수하여, 오동작을 일으킬 가능성을 적게 할 수 있다. 이 진동 흡수부(70)는 스프링, 고무 등의 탄성체로 구성되며, 또한 진동 흡수부(70)의 장착 위치는 제22도에 도시한 이외의 장소라도 되며, 조속기, 비상 정지 동작 기구 또는 비상 정지 기구의 어느 장소에 설치해도 된다.
또한, 진동 흡수부(70)는 흡수하고자 하는 진동 주파수(예를 들면 엘리베이터내에서 사람이 날뛸 때의 케이지의 진동주파수를 5Hz로 하면, 탄성체(진동흡수부(70))를 부가하였을 때의 안전 장치의 탄성체에 의한 1차 공진 주파수가, 이 흡수하고자 하는 진동 주파수 5㎐임)보다도 낮게 (예를 들면 2㎐정도로 되도록) 설정하면, 이 1차 공진 주파수보다도 낮은 주파수까지는 스프링은 물리적으로 단단한 강성체로서 작용한다. 따라서, 케이지의 낙하라든지 제어 불능에 의해 위험 속도에 도달하는 것과 같은 이상 상태에서는 진동적이지 않은, 즉 낮은 주파수로 변동하기 때문에, 위험 속도에 도달하는 것과 같은 상태에서는 탄성체가 강체에 가까운 특성이 되며, 시간이 늦지 않게 확실하게 비상정지를 시킬 수 있고, 또한, 케이지내의 날뜀 등의 진동적인 입력에 대해서는 주파수가 높기 때문에 흡수할 수 있다.
[실시의 형태 7]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에서는, 자기회로를 구성하는 픽업(16)과의 밸런스를 잡기 위해서 카운터 웨이트를 설치하고 있었지만, 이것으로서는 비상 정지 기구(끌어 올림 봉(21), 비상 정지 암(40), 비상 정지 슈(44) 등)를 설치하면, 한방향으로 힘이 기울어, 와전류에 의한 끌어 올림력의 밸런스가 무너지며, 정확한 과속도 검출이 불가능할 가능성이 있었다. 또한 동작 기구부 전체(조속기, 캠 래치 기구, 비상 정지 기구, 비상 정지 해제 기구 등)로서 밸런스가 잡히지 않으므로, 케이지 프레임(12)에 가해지는 진동 등의 영향에 의해 조속기가 변위하여, 비상 정지 기구가 오동작할 가능성이 있었다.
그리하여, 이 실시의 형태 7에서는 동작 기구부 전체에서 밸런스를 잡는 것에 의해, 안정한 동작을 행하도록 한다.
제23(a)도 및 제23(b)도는 본 발명에 실시의 형태 7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의 구성 및 동작 설명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면에서, 49는 동작 기구부 전체에서 밸런스를 잡기 위해서, 비상 정지 암(40)의 지지축(41)의 뒤에 설치된 보조웨이트이다. 이 보조웨이트(49)는 초기 상태(비상 정지 동작전의 상태)에서 동작 기구부 전체의 밸런스가 잡히도록 조절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제22도에 도시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에 있어서, 밸런스 웨이트(17)와 균형이 잡히도록 한 주된 구성 부분은 픽업(16), 조속기 암(14), 끌어 올림 봉(21), 비상 정지 암(40) 및 비상 정지 슈(44)이고, 이들 밸런스가 균형이 잡히도록 보조웨이트(49)의 무게를 조절한다.
또한, 제23(a)도 내지 제23(b)도에서 상기 실시의 형태 1내지 6과 동일 부호를 붙인 부분은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으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은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케이지 프레임(12)이 통상 운전 속도에 있는 경우는 조속기 암(14)은 수평 상태에 있지만(제23(a)도), 케이지 프레임(12)의 하강 속도가 올라가면, 픽업(16)이 상방으로 변위하여, 비상 정지 암(40)이 끌려 올라간다. 여기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보조 웨이트(49)에서 동작 기구부 전체의 밸런스를 조절하고 있기 때문에, 케이지가 제2과속도에 도달하면 정확히 동작하게 된다. 케이지 프레임(12)이 제2과속도에 도달하면(또는 제2과속도를 초과하면), 비상 정지 슈(44)가 비상 정지 끼움쇠(45)에 접촉하여, 마찰에 의해 비상 정지 끼움쇠(45)와 가이드 레일(18)사이에 비상 정지 슈(44)가 파고들어 간다(제23(b)도). 또한, 비상 정지 끼움쇠(45)의 비상 정지 슈(44)와 맞닿는 면은 쐐기가 넓어지는 방향으로, 거의 일정한 예를 들면 스프링력이 가해지며, 쐐기 작용에 의한 강한, 끌어 올림력을 일정한 힘으로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쐐기 작용에 의한 강한 끌어 올림력에 의해 비상 정지 암(40)이 끌어 올려지고, 비상 정지 동작 상태가 되며, 비상 정지의 쐐기 작용에 의해 비상 정지 동작을 완료한다.
또한, 비상 정지 해제 동작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의 형태 1과 같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이 실시의 형태 7에 의하면, 비상 정지 암(40)의 단부에 보조 웨이트(49)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동작 기구부 전체로서 밸런스가 잡히도록 조절할 수 있으며, 케이지 프레임(12)에 가해지는 진동 등의 영향에 의해 조속기가 변위하여 비상 정지가 오동작하는 것도 적어진다.
상기와 같이, 청구항 제1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엘리베이터의 승강로를 따라서, 설치 고정된 본체의 가이드 레일과, 이동부에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을 파지하고, 마찰력을 발생시켜서 상기 이동부를 제동시키는 비상 정지 기구와, 상기 이동부에 설치되고, 해당 이동부의 속도가 위험 속도에 도달한 경우에 변위하여 상기 비상 정지 기구를 작동시키는 조속기와, 해당 조속기의 변위를 비상 정지 기구에 전달하는 비상 정지 동작 기구를 구비하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확실하게 엘리베이터의 케이지(이동부)을 정지시킬 수 있다.
청구항 제2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엘리베이터의 승강로를 따라서 설치 고정된 도체의 가이드 레일과, 이동부에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을 파지하고, 마찰력을 발생시켜서 상기 이동부를 제동시키는 비상 정지 기구와, 해당 비상 정지 기구를 동작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이동부에 설치되고, 해당 이동부의 속도가 위험 속도에 도달한 경우에, 억제되어 있던 상기 구동부의 구동력을 해방시키는 캠 래치 기구와, 상기 이동부에 설치되고, 해당 이동부의 속도가 위험 속도에 도달한 경우에 변위하여 상기 캠 래치 기구를 작동시키는 조속기를 구비하도록 구성하였으므로, 와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자기항력이 약하고 과속도를 검출하였을 때의 조속기의 끌어 올림력이 약하더라도, 이것을 트리거로서 비상 정지 동작을 확실하게 동작시킬 수 있으며(오동작이 적어짐), 또한 케이지(이동체)을 올리는 것만으로 비상 정지 기구를 간단히 초기 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다.
청구항 제3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엘리베이터의 승강로를 따라서 설치 고정된 도체의 가이드 레일과, 이동부에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을 파지하고, 마찰력을 발생시켜서 상기 이동부를 제동시키는 비상 정지 기구와, 상기 가이드 레일과 쐐기 끼워 맞춤이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비상 정지 기구의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끌어 올림 쐐기 기구와, 상기 이동부에 설치되고, 해당 이동부의 속도가 위험 속도에 도달한 경우에, 상기 끌어 올림 쐐기 기구와 연동하여, 해당 끌어 올림 쐐기 기구를 작동시키는 캠 래치 기구와, 상기 이동부에 설치되고, 해당 이동부의 속도가 위험 속도에 도달한 경우에 변위하여 상기 캠 래치 기구를 작동시키는 조속기와, 상기 캠 래치 기구와 상기 비상 정지 기구를 연결하여, 상기 끌어 올림 쐐기 기구가 발생한 구동력을 상기 비상 정지 기구에 전달하는 링크부를 구비하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통상 운전시에 캠에 걸리는 힘을 적게 할 수 있고, 또한, 비상 정지 동작의 힘도 크게 할 수 있으며, 또한 비상 정지 해제 동작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조속기를, 가이드 레일과 함께 자기 회로를 구성하는 자석 및 백요크로 구성되는 픽업과, 일측 단부측에 해당 픽업이 설치되고 타측 단부측에 밸런스 웨이트가 설치되고, 상기 픽업의 변위를 전달하는 회전 가능한 암과, 해당 암의 지점에 장착 고정되며, 상기 암의 변위에 따라서 회전하는 주축과, 해당 주축을 지지하는 기대를 구비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케이지(이동체)의 속도를 직접 검출할 수 있으며, 속도의 검출 정밀도를 향상시키고, 이 검출속도에 따라서 비상 정지 동작을 개시하므로, 비상 정지 동작을 확실하게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캠 래치 기구를 이동부의 속도에 따라서 회전하는 조속기의 주축에 설치된 캠과, 래치핀을 통해 해당 래치핀을 지점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조속기에 설치되고, 일측 단부가 상기 캠과 접촉하여 타측 단부가 구동부와 연결된 래치 암을 구비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이동부의 속도가 위험 속도에 도달한 경우에 상기 캠의 회전에 의해, 억제하고 있던 상기 구동부의 구동력을 해방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비상 정지 기구의 구동력을 유지할 수 있고, 와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자기항력이 약하며 조속기의 끌어 올림력이 약하더라도, 이것을 트리거로써 비상 정지 동작을 확실하게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구동부를, 일측 단부가 캠 래치 기구와 연결되며, 타측 단부가 비상 정지 기구와 연결된 끌어 올림 봉과, 이동부의 속도가 위험 속도에 도달한 경우에 상기 끌어 올림 봉을 상승시키는 스프링부를 구비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비상 정지 기구에 강한 구동력을 작용시킬 수 있으며, 비상 정지 동작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엘리베이터의 승강로를 따라서 설치 고정된 도체의 가이드 레일과, 이동부에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을 파괴하고, 마찰력을 발생시켜서 상기 이동부를 제동시키는 비상 정지 기구와, 상기 이동부의 속도가 위험 속도에 도달한 경우에 변위하는 조속기와, 해당 조속기상에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과 쐐기 끼워 맞춤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비상 정지 기구의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끌어 올림 쐐기 기구와, 상기 조속기와 상기 비상 정지 기구를 연결하여, 상기 끌어 올림 쐐기 기구가 발생한 구동력을 상기 비상 정지 기구에 전달하는 링크부를 구비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비상 정지 동작의 힘도 크고, 비상 정지 해제 동작도 간단히 행할 수 있으며, 또한 캠 래치 기구가 없으므로 구성도 간단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조속기의 변위에 의해 가동하는 조속기, 비상 정지 동작 기구, 비상 정지 기구의 어느 것이든 보조웨이트를 설치하도록 구성함으로서, 동작 기구 전체의 밸런스를 유지할 수 있으며, 조속기의 속도 검출의 정밀도도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보조웨이트를 비상 정지 암에 설치하도록 구서함으로서, 용이하게 동작 기구부 전체의 밸런스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조속기의 변위에 의해 가동하는 조속기, 비상 정지 동작 기구, 비상 정지 기구의 어느 것이든 해제 암을 설치하도록 구성함으로서, 비상 정지 해제 동작을 수동으로 행할 수 있으며, 따라서, 비상 정지 해제 기구를 설치하지 않는 간단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엘리베이터의 승강로에 해제 암과 결합하는 해제 캠을 설치하도록 구성함으로서, 엘리베이터를 승강시키는 것만으로 자동적으로 비상 정지 해제 동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일측 단부가 캠 래치 기구와 연결되며, 타측 단부가 비상 정지 기구와 연결된 누름 봉과, 해당 누름 봉이 상방으로 이동하면 구동부를 걸어 구속하며, 상기 누름 봉이 하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구동부가 걸려 구속된 것을 해제하는 훅부로 구성된 비상 정지 해제 기구를 구비하도록 구성함으로서, 케이지(이동체)를 상방으로 들어올리는 것만으로 비상 정지 기구를 간단히 초기 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훅부를 누름 봉에 설치된 훅과, 조속기에 설치되고, 상기 누름 봉이 하방으로 이동하면 끌어 올림 봉을 해제하는 훅 해제 핀을 설치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간단한 구성으로 비상 정지 해제 동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비상 정지 기구는 이동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비상 정지 암과, 해당 비상 정지 암의 단부에 설치된 비상 정지 슈와, 해당 비상 정지 슈 및 가이드 레일과 쐐기 끼워 맞춤이 가능하게 구성된 비상 정지 끼움쇠를 구비하며, 구동부는 일츨 단부가 캠 래치 기구와 연결되며, 타측 단부가 상기 비상 정지 암의 회전축 부근에 긴 구멍을 통해 활주 가능하게 연결된 끌어 올림 봉과, 상기 이동부의 속도가 위험 속도에 도달한 경우에 상기 끌어 올림 봉을 상승시키는 스프링부를 구비하며, 비상 정지 해제 기구는 일측 단부가 상기 캠 래치 기구와 긴 구멍을 통해 활주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 단부가 상기 비상 정지암의 단부에 연결된 누름 봉과, 해당 누름 봉에 설치되고, 해당 누름 봉이 상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끌어 올림 봉을 걸어 구속하며, 상기 누름 봉이 하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끌어 올림 봉이 걸려 구속한 것을 해제하는 훅부를 구비하도록 구성하며, 비상 정지 동작시에는, 상기 비상 정지 암의 회전내의 변위차에 의해 상기 누름 봉이 상기 끌어 올림 봉보다 긴 구멍의 길이에 대응하는 양만큼 상승 이동하여, 상기 훅부가 상기 끌어 올림 봉을 걸어 구속하고, 비상 정지 해제 동작시에는 상기 이동체가 상방으로 들어 올려지면, 상기 비상 정지 끼움쇠가 상기 가이드 레일과 쐐기 끼워맞춤하고 있으므로 상기 비상 정지 암이 하방으로 내려가고, 해당 비상 정지 암과 연결된 상기 누름 봉이 하방으로 이동하며, 상기 훅부에 의해 걸어 구속된 상기 끌어 올림 봉이 상기 누름 봉과 동변위량으로 하방으로 이동하고, 상기 구동부가 초기 상태로 되돌아간 위치에서 걸려 구속된 것을 해제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비상 정지 슈와 가이드 레일의 마찰력이 유지되는 짧은 거리로 비상 정지 기구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조속기, 비상 정지 기구 또는 비상 정지 기구의 어느 것이든 진동을 흡수하는 진동 흡수부를 설치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승객의 타고 내림시라든지 케이지(이동체)내에서의 승객의 날뜀에 의하여, 일시적으로 케이지가 크게 진동하여 케이지 속도가 변동하더라도, 이 진동을 흡수할 수 있어, 비상 정지 기구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엘리베이터의 승강로를 따라서 설치 고정된 도체의 가이드 레일과, 이동부의 속도가 위험 속도에 도달한 경우에 변위하는 조속기와, 상기 조속기상에 설치되고, 해당 조속기의 변위와 직접 연동하여, 상기 가이드 레일을 파지하고, 마찰력을 발생시켜서 이동부를 제동시키는 비상 정지 기구를 구비 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끌어 올림 봉, 누름 봉, 끌어 올림 쐐기 기구 등이 불필요하게 되어, 픽업의 변위로 직접 비상 정지 동작을 행할 수 있고, 보다 소형이며 간단한 구성으로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이들 비상 정지 기구를 케이지(케이지 프레임)위에 배치함으로써, 설치 조정이 행해지기 쉬우며, 검사·보수도 용이하게 된다.

Claims (3)

  1. 엘리베이터의 승강로를 따라서 설치 고정된 도체의 가이드 레일과, 엘리베이터의 이동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 레일을 파지하는 것에 의해 마찰력을 발생시켜서 상기 이동부를 제동시키는 비상 정지 기구와, 상기 이동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부의 속도에 따라서 변위하는 조속기와, 상기 조속기의 변위와 연동하여 작동하며, 이동부의 속도가 위험속도에 도달한 경우에, 상기 비상 정지 기구를 작동시키는 비상 정지 기구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에 있어서, 상기 비상 정지 작동 기구는, 상기 비상 정지 기구를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하는 스프링부와, 상기 조속기의 변위와 연동하여 작동하고, 통상 운전시에는, 상기 스프링부가 발생하는 구동력을 억제하며, 상기 이동부의 속도가 위험속도에 도달하는 경우에, 억제되어 있는 상기 구동력을 해방하여 상기 비상 정지 기구를 작동시키는 캠 래치 기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 정지 기구는, 상기 이동부에 회전가능 하게 설치된 비상 정지 암과, 상기 비상 정지 암의 단부에 설치된 비상 정지 슈와, 비상 정지 슈 및 가이드 레일과 쐐기 결합 가능하게 구성된 비상 정지 끼움쇠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3. 엘리베이터의 승강로를 따라서 설치 고정된 도체의 가이드 레일과, 이동부에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을 파지하고, 마찰력을 발생시켜서 상기 이동부를 제동시키는 비상 정지 기구와, 상기 가이드 레일과 쐐기 끼워 맞춤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비상 정지 기구의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끌어 올림 쐐기 기구와, 상기 이동부에 설치되고, 해당 이동부의 속도가 위험 속도에 도달한 경우에, 상기 끌어 올림 쐐기 기구와 연동하여, 해당 끌어 올림 쐐기 기구를 작동시키는 캠 래치 기구와, 상기 이동부에 설치되고, 해당 이동부의 속도가 위험 속도에 도달한 경우에 변위하여 상기 캠 래치 기구를 작동시키는 조속기와, 상기 캠 래치 기구와 상기 비상 정지 기구를 연결하여, 상기 끌어 올림 쐐기 기구가 발생한 구동력을 상기 비상 정지 기구에 전달하는 링크부를 구비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KR1019970023307A 1996-06-11 1997-06-05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 KR1002272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4962296A JP3532349B2 (ja) 1996-06-11 1996-06-11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JP96-149622 1996-06-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1797A KR980001797A (ko) 1998-03-30
KR100227251B1 true KR100227251B1 (ko) 1999-11-01

Family

ID=15479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3307A KR100227251B1 (ko) 1996-06-11 1997-06-05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003636A (ko)
EP (1) EP0812796B1 (ko)
JP (1) JP3532349B2 (ko)
KR (1) KR100227251B1 (ko)
CN (1) CN1092129C (ko)
DE (1) DE69708976T2 (ko)
TW (1) TW34817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53879B1 (en) 1998-12-22 2001-07-03 Otis Elevator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of determining overspeed of an elevator car
US6161653A (en) * 1998-12-22 2000-12-19 Otis Elevator Company Ropeless governor mechanism for an elevator car
US6173813B1 (en) 1998-12-23 2001-01-16 Otis Elevator Company Electronic control for an elevator braking system
US6170614B1 (en) 1998-12-29 2001-01-09 Otis Elevator Company Electronic overspeed governor for elevators
JP4109384B2 (ja) 1999-05-27 2008-07-0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調速機
US6293376B1 (en) * 1999-11-22 2001-09-25 Magnetar Technologies Ltd Apparatus including eddy current braking system
US6412611B1 (en) * 2000-07-17 2002-07-02 Magnetar Technologies, Ltd Eddy current brake system with dual use conductor fin
TW593117B (en) 2000-12-07 2004-06-21 Inventio Ag Safety brake and method for unlocking a safety brake
WO2003050029A1 (fr) * 2001-12-11 2003-06-19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Ascenseur
AT412967B (de) * 2002-12-11 2005-09-26 Wittur Gmbh Vorrichtung zur geschwindigkeitsabhängigen auslösung eines brems- und bzw. oder schaltvorganges bei hebezeugen
DE10300993A1 (de) * 2003-01-14 2004-07-22 Aufzugswerke M. Schmitt & Sohn Gmbh & Co. Bremsvorrichtung für eine Aufzuganlage
JP4412175B2 (ja) * 2003-02-25 2010-02-10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用調速器
US7137484B2 (en) * 2003-05-27 2006-11-21 Inventio Ag Safety system for restraining movement of elevator car when car doors are open
US7073632B2 (en) * 2003-05-27 2006-07-11 Invento Ag Safety system for restraining movement of elevator car when car doors are open
EP1915273A2 (en) * 2005-06-30 2008-04-30 Magnetar Technologies Corporation Axial rotary eddy current brake with adjustable braking force
WO2011078848A1 (en) * 2009-12-22 2011-06-30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ystem with magnetic braking device
WO2011109022A1 (en) * 2010-03-05 2011-09-09 Otis Elevator Company Magnet releasing carrier
KR20130040912A (ko) * 2010-05-18 2013-04-24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통합 엘리베이터 안전 시스템
CN103189294B (zh) * 2010-11-01 2015-05-06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装置
JP5535398B2 (ja) * 2011-04-05 2014-07-0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装置
KR101267004B1 (ko) * 2011-08-12 2013-05-30 (주)금영제너럴 수동제동장치가 부착된 비상정지장치
JP5931382B2 (ja) * 2011-09-14 2016-06-08 株式会社東芝 停止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エレベータ
CN102490045B (zh) * 2011-12-23 2013-06-19 安徽安凯福田曙光车桥有限公司 汽车中后桥壳总成差速锁压力开关孔及通气孔斜孔钻夹具
BR112015001696A2 (pt) 2012-08-02 2017-07-04 Mitsubishi Electric Corp dispositivo de parada de emergência para elevador
JP5973316B2 (ja) * 2012-10-23 2016-08-2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の非常止め装置
ES2622333T3 (es) * 2012-11-13 2017-07-06 Inventio Ag Ascensor con un freno de seguridad
CN102942089B (zh) * 2012-11-26 2015-06-17 杭州沪宁电梯配件有限公司 电磁夹轨器
CN106458508B (zh) * 2014-05-14 2018-12-07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装置
CA3035062A1 (en) * 2016-08-29 2018-03-08 Safeworks, Llc Mechanical brake interrupter device
WO2018100888A1 (ja) * 2016-11-29 2018-06-0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乗りかご及びエレベーター
US10889468B2 (en) * 2016-12-13 2021-01-12 Otis Elevator Company Electronics safety actuator
CN106744136B (zh) * 2017-03-27 2022-05-10 通用电梯股份有限公司 一种家用电梯安全保护装置
CN107473049B (zh) * 2017-09-11 2023-03-17 恒达富士电梯有限公司 一种电梯安全钳装置
CN108639896A (zh) * 2018-07-12 2018-10-12 苏州福特美福电梯有限公司 一种具有坠落保护的电梯井
CN109264534A (zh) * 2018-11-22 2019-01-25 迈格钠磁动力股份有限公司 一种电梯轿厢永磁安全缓速器
CN109650208B (zh) * 2018-12-25 2020-07-10 武汉科技大学 一种电梯刹车装置
CN114829283A (zh) * 2019-12-17 2022-07-29 因温特奥股份公司 用于电梯的防坠装置
EP3909898B1 (en) * 2020-05-15 2023-11-08 KONE Corporation An apparatus for actuating a safety gear associated with an elevator car
CN112093615A (zh) * 2020-09-17 2020-12-18 罗跃红 一种施工升降机多级限速防坠装置
CN112551301B (zh) * 2020-12-03 2022-05-10 刘涛 一种电磁式电梯制动器
CN113772518B (zh) * 2021-09-26 2023-04-25 杭州天奥电梯有限公司 一种升降机轿架
JP7256970B1 (ja) * 2021-10-08 2023-04-13 フジテック株式会社 エレベータ
WO2024111042A1 (ja) * 2022-11-22 2024-05-3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及び非常止め装置の復帰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26046A (en) * 1942-05-02 1943-08-03 Westinghouse Elec Elevator Co Elevator safety apparatus
JP2646049B2 (ja) * 1991-11-27 1997-08-25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調速機
US5301773A (en) * 1992-10-23 1994-04-12 Otis Elevator Company Positive terminal overspeed protection by rail grabbing
US5467850A (en) * 1993-12-16 1995-11-21 Otis Elevator Company Permanent magnet, magnetodynamic safety brake for elevators and the like
JP3142205B2 (ja) * 1994-05-10 2001-03-0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フレーム同期装置
JP3390578B2 (ja) * 1995-07-26 2003-03-24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調速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532349B2 (ja) 2004-05-31
JPH09328268A (ja) 1997-12-22
CN1180041A (zh) 1998-04-29
EP0812796A1 (en) 1997-12-17
CN1092129C (zh) 2002-10-09
DE69708976D1 (de) 2002-01-24
DE69708976T2 (de) 2002-07-25
TW348170B (en) 1998-12-21
US6003636A (en) 1999-12-21
KR980001797A (ko) 1998-03-30
EP0812796B1 (en) 2001-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7251B1 (ko)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
US7753176B2 (en) Emergency stop system of elevator
JP6633208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US7578373B2 (en) Elevator rope slip detector and elevator system
KR101334712B1 (ko) 과가속 및 과속 검출 및 처리 시스템
EP2408701B1 (en) Elevator over-acceleration and over-speed protection system
US5467850A (en) Permanent magnet, magnetodynamic safety brake for elevators and the like
US9809420B2 (en) Compensatory measure for low overhead or low pit elevator
KR20130093650A (ko) 엘리베이터 장치
JPWO2011052053A1 (ja) エレベータ用非常止め装置
JP2004345803A (ja) 昇降体の非常止め装置、非常止め復帰装置及び非常止め復帰方法
JP4044035B2 (ja)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US11845634B2 (en) Safety brake device
CN209536730U (zh) 一种无机房限速器
JPH1111823A (ja)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CN109650230B (zh) 电梯曳引系统及其控制方法
EP4289776A1 (en) Resetting a safety actuator in an elevator system
CN109516335A (zh) 一种无机房限速器
KR100429303B1 (ko)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
CN210236812U (zh) 机械阻止装置
EP4140931A1 (en) Safety brake system
JPS602136Y2 (ja) エレベ−タの安全装置
JP2013151346A (ja) エレベータの非常止め装置
KR200219245Y1 (ko)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
JPH02158583A (ja) エレベータ制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