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3037B1 - 무선통신시스템 및 무선통신단말 - Google Patents

무선통신시스템 및 무선통신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3037B1
KR100223037B1 KR1019960011597A KR19960011597A KR100223037B1 KR 100223037 B1 KR100223037 B1 KR 100223037B1 KR 1019960011597 A KR1019960011597 A KR 1019960011597A KR 19960011597 A KR19960011597 A KR 19960011597A KR 100223037 B1 KR100223037 B1 KR 1002230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communication
identification code
communication terminal
storage medium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1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40052A (ko
Inventor
히로유키 이시가와
다카오 우치쿠라
가쓰미 무로이
Original Assignee
가시오 가즈오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시오 가즈오,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시오 가즈오
Publication of KR960040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400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3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30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4Peer-to-peer [P2P]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16Mechanical arrangements for accommodating identification devices, e.g. cards or chips; with connectors for programming identification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2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a predetermined code, e.g. password, passphrase or P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04M1/727Identification code transfer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04W8/183Processing at user equipment or user record carrier

Abstract

본 발명은 친자등록되어 있지 않은 다른 무선통신단말과의 사이에서도 자기간직접통신할 수 있는 무선통신시스템 및 무선통신단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PHS단말(4a)에 있어서 미리 ID칩(28)에 그 PHS단말(4a)이 등록되어 있는 시스템을 식별하기 위한 시스템호출부호와 그 단말을 식별하기 위한 자기 번호를 등록시키고, 외출지에서는 상기 ID칩(28)을 PHS단말(4a)과 동일 시스템 호출부호를 갖고 있지 않은 PHS단말(4b)을 장착하고, 이용자가 PHS단말(4a)에 있어서 직접통신을 하기 위한 조작을 하면 제어용 물리슬롯을 이용하여 착호측의 PHS단말(4b)을 호출하고, PHS단말(4b)은 상기 ID칩(28)내의 시스템 호출부호에 의거하여 제어용 물리슬롯의 시스템 호출부호 및 PS호출번호를 식별하는 것에 의해 자신으로의 호출임을 인지하고, 상기 ID칩(28)내의 시스템 호출부호 및 PS호출번호에 의거 하여 PHS단말(4a)로 응답신호를 송신한다. 그 결과 미리 동일 시스템부호를 갖지 않은 무선통신단말끼리에서도 단말간 직접 통신을 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통신시스템 및 무선통신단말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PHS단말 등 무선통신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제2도는 본 실시예에 의한 PHS단말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제3도는 본 실시예에 의한 PHS단말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
제4도는 본 실시예에 의한 ID칩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제5도는 ID칩의 EEPROM의 데이터 구성을 도시하는 개념도.
제6도는 본실시예에 의한 CS-ID의 데이터 구성을 도시하는 개념도.
제7도는 본 실시예에 의한 제어용 물리슬롯(SSCH)의 데이터 구성을 도시하는 개념도.
제8도는 본 실시예에 의한 제어용 물리슬롯(SCCH)의 일부의 데이터 구성을 도시하는 개념도.
제9도는 제1실시예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제10도는 제2실시예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제11도는 제1실시예의 ID칩으로 자기간직접통화정보를 등록하는 등록 처리를 표시하는 플로챠트.
제12도는 본 실시예에 의한 PHS단말간에서의 자기간직접통신에 있어서의 제어순서를 도시하는 개념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통신회선망 4a, 4b : PHS단말
28 : ID칩
본 발명은 시스템부호를 갖는 무선통신단말간에서 직접 무선통신 하는 무선통신시스템 및 무선통신단말에 관한 것이다 .
최근, 이용자가 휴대하고, 일반 가정내 전화기를 포함하는 다른 단말과 음성이나 데이터를 상호 통신하는 무선통신단말(예를 들면 휴대 전화기, PHS단말 : Personal Handy Phone System단말, 페이저,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과, 통신회선에 접속되고, 상기 무선통신단말과 무선으로 통신하고, 상기 무선통신단말을 통신회선에 접속하는 기지국으로 구성되는 무선통신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이 무선통신시스템에서는 상기 무선통신단말은 휴대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이차전지 등에 의해 구동되고, 상대지의 전화번호나, 주소록, 스케줄, 문자 · 음성에 의한 메모 등의 각종 데이터를 축적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동시에, 전화회선망을 통해 다른 단말과 정보(음성, 음성데이터, 텍스트데이터, 화상데이터 등)를 교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무선통신시스템의 하나로서 현재 일본에서 실용되고 있는 PHS가 있다. 이하 이 PHS를 예로 하여 설명을 한다.
이 PHS의 무선통신단말(자기라고도 함)은 가정내에 설치된 친기(기지국)의 자기로서 사용되는 동시에, 옥외로 가지고 나가면 전화회선망에 접속된 기지국(공중기지국이나 자영기지국)을 통해 통신회선에 접속되어 상대단말과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또 공통의 친기에 친자등록되어 있는 무선통신단말끼리에서는 단말끼리 직접 무선통신하는 것도 가능해지고 있다. 무선통신단말끼리 직접통신(이하, 자기간 직접통신이라고 함)하는 경우에는 공통 친기의 시스템코드를 가지고 있을 필요가 있다. 이때문에 미리 공통 친기가 있는 곳에 모든 무선통신단말을 가지고 가서, 친기와 자기를 대응시키는 친자등록을 해둔다. 이 친자등록에서는 친기에 자기를 식별하기 위한 자기번호를 등록해 두고, 자기에 친기를 식별하기 의한 시스템호출부호(CS-ID의 일부)를 등록한다. 그리고 자기간 직접통신을 할 때는, 상기 시스템호출부호와 자기번호를 교환하고, 그 시스템호출부호에 의거하여 직접 통신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있다. 바꿔말하면 시스템호출번호가 동일하지 않으면, 자기간직접통신할 수 없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렇지만 상술한 종래의 무선통신단말에서는 무선통신단말끼리 자기간직접통신하는 경우에는, 미리 공통 친기가 있는 곳에 모든 무선통신단말을 가지고 가서, 친기와 자기를 대응시키는 친자등록을 할 필요가 있었던 것으로, 외출지 등에서 친기와의 사이에서 친자등록되어 있지 않은 무선통신단말, 또는 다른 친기와의 사이에서 이미 친자 등록된 무선통신단말과 자기간직접통신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친자등록되어 있지 않은 다른 무선통신단말과의 사이에서도 자기간직접통신할 수 있는 무선통신시스템 및 무선통신단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해 본 발명은 통신회선망에 접속되어 시스템식별부호를 갖는 시스템으로, 기억매체와, 상기 시스템식별부호를 갖고 상기 기억매체를 장착가능한 제1무선통신단말과, 상기 기억매체를 장착가능한 제2무선통신단말로 구성되는 무선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무선통신단말은 상기 기억매체가 상기 무선통신단말에 장착되었을 때, 그 기억매체에 상기 시스템식별부호를 복사하고, 상기 제2무선통신단말은 상기 제1무선통신단말에서 시스템식별부호를 복사된 기억매체가 장착되었을 때, 그 제1무선통신단말과 무선으로 단말간직접 통화를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통신회선망에 접속되어 시스템식별부호를 갖는 시스템으로, 상기 시스템식별부호를 갖는 기억매체와, 상기 시스템식별부호를 갖고 상기 기억매체를 장착가능한 제1무선통신단말과, 상기 기억매체를 장착가능한 제2무선통신단말로 구성되는 무선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2무선통신단말은 상기 기억매체가 장착되었을 때, 그 기억매체에 기억되어 있는 시스템식별부호를 그 무선통신단말의 내부 메모리에 복사하고, 그 내부메모리에 복사한 시스템식별부호에 의거하여 상기 제1무선통신단말과 단말간직접통신을 한다.
또 본 발명에서는 기억매체와, 소정 시스템을 식별하는 시스템식별부호를 갖고, 그 기억매체를 부착이탈 가능하게 한 제1무선통신단말과, 상기 기억매체를 부착이탈 가능하게 한 제2무선통신단말로 구성되는 무선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무선통신단말은 상기 기억매체가 장착되었을 때, 상기 기억매체에 시스템식별부호를 복사하고, 상기 제2무선통신단말은 상기 시스템식별부호가 복사된 기억매체가 장착되었을 때, 상기 제1무선통신단말과 단말간직접통신을 한다.
또 본 발명에서는 시스템식별부호를 갖는 기억매체와, 상기 시스템 부호와 동일 시스템부호를 갖고, 상기 기억매체를 부착이탈 가능한 제1무선통신단말과, 상기 기억매체를 부착이탈 가능한 제2무선통신단말로 구성되어 있는 무선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2무선통신단말은 상기 기억매체가 장착되었을 때, 그 기억매체에 기억되어 있는 시스템식별부호를 그 제2무선통신단말의 내부메모리에 복사하고, 그 내부메모리에 복사된 시스템식별부호에 의거하여 상기 제1무선통신단말과 무선으로 단말간직접통신을 한다.
또 본 발명에서는 시스템식별부호를 갖고, 통신망에 접속되어 있는 시스템과 상기 시스템식별부호와 동일 시스템식별부호를 갖고, 이 시스템식별부호에 의해 그 동일 시스템식별부호를 갖는 다른 무선통신단말과 무선으로 단말간직접통신을 하는 무선통신단말이고, 상기 무선통신단말은 상기 무선통신단말에 부착이탈 가능하게 구성된 기억매체와, 복사를 지시하는 지시신호를 출력하는 지시수단과, 상기 지시수단에서의 지시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무선통신단말에 기억되어 있는 시스템식별부호를 상기 무선통신단말에 장착된 상기 기억매체에 기입하는 기입수단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오리지널 시스템식별부호를 갖고, 다른 무선통신단말과 단말간직접통신을 하는 무선통신단말을 포함하고, 통신망에 접속되어 있는 시스템이고, 그 무선통신단말은 시스템식별부호를 기억하고, 상기 무선통신단말에 착탈가능한 기억매체와, 상기 시스템 식별부호를 기억한 상기 기억매체가 장착되고, 상기 오리지널 시스템식별부호와 해당 기억매체에 기억되어 있는 시스템식별부호중 어느 한쪽을 선택하는 선택수단과, 이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시스템식별부호에 의거하여 다른 무선통신단말과 단말간직접통신을 하는 통신수단을 갖는다.
또 본 발명에서는 다른 무선통신단말과 단말간직접통신을 하는 무선통신단말을 포함하고, 통신망에 접속되어 오리지널 시스템식별부호를 갖는 시스템이고, 상기 무선통신단말은 상기 무선통신단말에 부착이탈 가능하게 구성되고, 시스템식별부호를 기억하는 제1기억매체와, 시스템식별부호를 기억하는 제1내부메모리와, 상기 무선통신단말에 상기 제1기억매체가 장착되면 그 제1기억매체에 기억되어 있는 시스템식별부호를 상기 제1내부메모리에 기입하는 기입수단과, 상기 기입수단에 의해 내부메모리에 기입된 시스템식별부호에 의거하여 다른 무선통신단말과의 단말간직접통신을 하는 통신수단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소정 시스템의 시스템식별부호를 갖고, 이 시스템식별부호와 동일 시스템식별부호를 갖는 다른 무선통신단말과 단말간직접통신을 하는 무선통신단말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단말에 부착이탈 가능하게 설치된 기억매체와, 기입을 지시하는 지시신호를 출력하는 지시수단과, 상기 지시수단에서의 지시신호에 따라 상기 무선통신단말의 시스템식별부호를 상기 장착된 기억매체에 기입하는 기입수단을 갖는다.
또 본 발명에서는 오리지널 시스템식별부호를 갖고, 다른 무선통신단말과 단말간직접 통신을 하는 무선통신단말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단말에 부착이탈 가능하게 구성되고, 시스템식별부호를 기억한 기억매체와, 상기 무선통신단말에 상기 시스템식별부호를 갖는 기억매체가 장착되면, 상기 오리지널 시스템식별부호와 상기 기억매체에 기억된 시스템식별부호를 선택하는 선택수단과. 상기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시스템 식별부호에 의거하여 다른 무선통신단말과의 단말간직접통신을 하는 통신수단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다른 무선통신단말과 단말간직접 통신을 하는 무선통신단말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단말은 그 무선통신단말에 부착이탈 가능하게 구성되고, 시스템 식별부호를 기억한 제1기억매체와, 시스템식별부호를 기억하는 제1내부메모리와, 상기 제1기억매체가 상기 무선통신단말에 장착되었을 때, 그 제1기억매체에 기억되어 있는 시스템식별부호를 상기 제1내부메모리에 기입하는 기입수단과, 상기 기입수단에 의해 상기 제1내부메모리에 기입된 시스템식별부호에 의거하여 다른 무선통신단말과 단말간직접통신을 하는 통신수단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는 동일 시스템식별부호를 갖는 무선통신단말끼리 직접통신을 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소정 무선통신단말에 의해 부착이탈 가능한 기억매체를 장착하고, 이 기억매체에 자신이 등록되어 있는 시스템의 식별부호를 복사한다. 그리고 이 시스템식별부호를 복사한 기억매체를 다른 시스템에 등록되어 있는 무선통신단말에 장착한다. 이 결과 다른 시스템 식별부호를 갖는 무선통신단말과의 사이에서도 단말간직접통신을 하는 것이 가능하게된다.
또한 동일 시스템식별부호를 갖는 무선통신단말끼리 직접통신을 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소정 무선통신단말이 등록되어 있는 시스템의 식별신호를 기억한 기억매체를 다른 시스템에 등록되어 있는 무선통신단말에 장착하고, 이 기억매체에 기억되어 있는 소정 단말이 등록되어 있는 시스템의 식별부호를 다른 시스템에 등록되어 있는 무선통신단말에 복사한다. 이 결과 다른 시스템 식별부호를 갖는 무선통신단말과의 사이에서도 단말간직접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PHS에 적용한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A. 무선통신시스템의 구성]
제1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PHS의 시스템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그리고 PHS의 구성은 후술하는 제1 및 제2실시예에서 공통한다. 도면에 있어서 1은 전국에 둘러쳐진 통상의 아날로그전화 회선망 또는 전용의 디지털회선망 (총칭해서 통신회선망이라고 함)이다. 다음에 친기(기지국)(2)는 통신회선망(1)에 접속되어 사무소나 가정 등에 설치되어 있고, 전화회선망(1)과 PHS단말(4)을 무선으로 접속한다. 또 우선 기지국(3)은 통신회선망(1)에 접속되어 옥외나 공공시설 등에 설치되어 있고, 통신회선망(1)과 옥외나 공공시설 등으로 가지고 나간 PHS단말(4)을 무선으로 접속한다.
다음에 PHS단말(4, 4)은 이용자가 휴대하여 옥내 또는 옥외에 있어서, 상기 친기(2)나 무선 기지국(3)에 대해 무선에 의해 회선 접속요구를 제시하여 다른 친기 또는 다른 PHS단말(4)과 통신한다. 또 친기(2)와의 사이에서 친자등록된 PHS단말(4a)은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친자등록되어 있지 않은 다른 PHS단말(4b)과 자기간 직접통신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다른 PHS단말(4b)에는 상기 PHS단말(4a)이 친자등록했을 때에, 친기를 식별하기 위한 시스템호출부호 등 자기간직접통신에 필요한 정보가 기억된 ID칩(28)이 장착되어 있다. 또는 이외의 PHS단말(4b)에는 ID칩(28)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PHS단말(4a)과의 자기간 직접통신에 필요한 정보를 다른 PHS단말(4b)의 내부메모리에 복사한다.
이 결과 PHS단말(4b)은 상기 ID칩(28)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 또는 본체내부의 메모리에 복사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PHS단말(4a)과의 사이에서 자기간직접통신을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ID칩(28)의 상세한 것에 대해서 후술한다.
[B. PHS단말의 구성]
다음에 제2도는 본 실시예에 의한 PHS단말(4)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10은 송수신부이고, 수신부(11) 및 송신부(12)로 구성되는 주파수변환부와, 송수신기능을 갖는 모뎀(디지털 변복조부)(13)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파수변환부의 수신부(11)는 송신/수신을 분배하는 안테나스위치(14)를 통해 입력된다. 안테나(ANT)에서 수신한 신호를 PLL신시사이저(15)에서 출력되는 소정 주파수의 국부발진신호와 혼합하는 것에의해 1.9GHz의 대(帶)에서 1MHz대 부근의 1F(중간주파)신호로 주파수 변환한다. 또 주파수변환부의 송신부(12)는 후술하는 모뎀(13)에서 공급되는 π/4 시프트 QPSK의 변조파를 PLL신시사이저(15)에서 출력되는 소정 주파수의 국부발진신호와 혼합하는 것에 의해 1.9GHz대로 주파수 변환하고, 안테나스위치(14)를 통해 안테나(ANT)에서 복사한다. 다음에 상술한 모뎀(13)의 수신부는 주파수변환부의 수신부(11)에서의 IF신호를 복조하고, IQ데이터로 분리하여 데이터열로 하고, TDMA처리부(16)로 보낸다. 또 모뎀(13)의 송신부에서는 TDMA처리부(16)에서 공급되는 데이터에서 IQ데이터를 작성하고, π/4 시프트 QPSK의 변조를 하여 주파수변환부의 송신부(12)로 보낸다.
TDMA처리부(16)는 무선주파수를 시간분할하고, 특정의 시간대에서 버스트형상으로 송수신신호를 전송하는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분할 다원 접속)처리를 실시한다. 즉 TDMA처리부(16)는 수신측에서는 모뎀(13)에서 공급되는 데이터에서 소정 타이밍으로 1슬롯 분의 데이터를 꺼내고, 이 데이터 중에서 유니크워드(동기신호)를 추출하여 프레임 동기신호를 생성하고, 또 제어데이터부 및 음성 데이터부의 스크램블 등을 해제하고, 이 슬롯의 포맷에서 구성데이터를 꺼내고, 제어 데이터를 제어부로 보내고, 음성 송신측에서는 스피치코딩부(17)를 전송한다. 송신측에서는 스피치코딩부(17)에서 전송되는 음성 데이터에 제어데이터를 부가하여 송신데이터를 작성하고, 스크램블 등을 부여한 후에 유니크워드 등을부가하여 1슬롯분의 송신데이터를 작성하고, 소정 타이밍으로 즉 프레임의 자기할당 슬롯에 삽입하여 모뎀(13)으로 보낸다. 또한 TDMA처리부(16)는 친기(기지국) 또는 자기(무선통신단말, PHS단말)가 동일 주파수로 시간적으로 신호가 중복되지 않도록 송신하고 서로 통신을 실시하도록 처리하는 것이다. 각 국은 프레임 내의 할당된 타임 슬롯에 신호를 보내고, 이 신호가 다른 신호에 충돌하지 않도록 그 시간위치제어 (버스트 동기제어 )를 실시한다.
다음에 상술한 스피치 코딩부(17)는 디지털 데이터의 압축/신장처리를 실시하는 것이고, 수신측 및 송신측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신측은 TDMA처리부(16)에서 공급되는 ADPCM 음성신호(4 비트 × 8KHz=32Kbps )를 PCM 음성신호(8비트 × 8KHz=64kbps)로 복호화하는 것에 의해 신장하여 음성변환회로(18)에 출력한다. 송신 측은 음성 변환회로(18)에서 공급되는 PCM 음성신호를 ADPCM 음성신호로 부호화하는 것에 의해 압축하여 TDMA처리부(16)로 보낸다.
다음에 음성 변환회로(18)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화처리를 하는 것이며, 수신부는 스피치 코딩부(17)에서 공급되는 PCM 음성신호를 D/A변환에 의해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 (20)에서 발음시키고, 송신부는 마이크(21)에서 입력된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A/D변환에 의해 PCM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치 코딩부 (17)로 보낸다. 스피커 (20) 및 마이크(21)는 손잡이부분을 통해 결합하여 일체화한 송수기(핸드세트 )로서 구성된다.
다음에 키 입력부(22)는 상대지의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수치키나, 온훅/오프훅을 실시하는 스위치, 음성 출력을 바꾸는 볼륨스위치 등으로 구성된다. 이들 키나 스위치의 상태는 제어부(23)에 공급된다 .다음에 제어부(23)는 소정의 프로그램에 따라 장치전체를 제어한다. ROM(24)에는 상기 제어부(23)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이나, 통신 사업자에 의해 미리 기억되어 있는 CS-ID등의 여러 가지 파라미터가 격납되어 있다. 또 RAM(25)에는 상기 제어부(23)의 제어에 따라 생성되는 데이터가 격납되거나 작업영역으로서 사용된다. 그리고 RAM(25)의 기억은 도시하지 않은 이차전지 등에서의 전원에 의해 유지되고 있다.
다음에 표시부(26)에는 동작모드나, 전화번호, 통화시간 등의 각종 데이터, 서비스 제공회사에서의 서비스 선택메뉴 등을 표시하는 액정표시기나, 스위치 등의 온/오프 등을 표시하는 LED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각종 데이터를 표시하는 동시에, 터치 패널로 되어 있고, 표시한 아이콘 등이 이용자 또는 도시하지 않은 터치펜에 의해 지시(누름)되면 그 아이콘에 할당된 기능이 실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EEPROM(27)에는 당해 PHS단말이 정규 이용자에 의해 사용되고 있는지를 판별하기 위한 암호(暗號)번호가 기억되어 있다. 또 제2실시예에 있어서는 후술하는 ID칩(28)에 기억되어 있는 자기간직접통화에 필요한 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그 암호번호는 당해 PHS단말의 조작이나 사용개시시에, 이용자에게 입력시켜 EEPROM(27)에 기억되어 있는 암호번호와 비교하고, 일치하면 정규 이용자라고 판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ID칩(28)은 당해 PHS단말에 부착이탈 가능하다. 그리고 후술하는 친기의 CS-ID와 PHS단말을 식별하기 위한 자기번호 등이 기억된다. 그리고 이 ID칩(28)의 상세한 것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인터페이스(29)는 상기 ID칩(28)과 데이터 교환하는 것이고, ID칩(28)이 장착된 것을 검출하는 부착이탈 검출부를 구비하고 있고, 검출결과를 제어부(23)로 공급한다 링궈부(30)는 착신 등을 알리는 링궈를 울린다.
[C. PHS단말의 외관]
제3도는 상술한 PHS단말(4)의 대략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제2도에 대응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도면에 있어서 PHS단말(4)의 하우징의 일면에는 상술한 스피커(20), 표시부(26), 키입력부(22) 및 마이크(21)가 배설되어 있다. 또 하우징의 하부에는 ID칩(28)이 삽입되는 슬롯(32)이 설치되어 있다. ID칩(28)의 단부(상기 슬롯내에 접하는 단부)에는 상술한 부착이탈 검출부(29)에 끼워맞추는 단자(도시생략)가 설치되어 있다. 그 ID칩(28)은 전술한 바와 같이 부착이탈 가능하고, 다른 PHS단말(4)에도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D. ID칩의 구성]
다음에 제4도는 상술한 ID칩(28)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ID칩(28)은 CPU(40), ROM(41), RAM(42), EEPROM(43) 및 커넥터(44)로 구성되어 있다. CPU(40)는 PHS단말(4)과의 사이에서 각종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통신제어를 실시한다. ROM(41)에는 상기 CPU(40)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이 격납되어 있다. 또 RAM(42)은 CPU(40)에 의한 프로그램 실행시에 있어서의 작업영역으로서 사용된다. EEPROM(43)은 제5도에 도시하는 데이터가 격납된다. 도면에 있어서 전화번호는 발호시 및 착호시에 사용되는 상대의 전화번호 등을 기억하는 영역이다. 단축다이얼은 전화장 등을 기억하는 영역이다. 또 무전기코드는 후술하는 자기간에서 직접통화를 하기 위한 코드를 기억하는 영역이다. 그외는 내선번호, 통화시간, 요금 등을 기억하는 상기 3개의 영역에 포함되지 않는 정보를 기억하는 영역이다.
커넥터(44)에는 리셋신호, SIO(시리얼IO)신호, 클록신호, VCC, 및 그라운드(접지)의 신호 각각의 단자가 인출되어 있다. 리셋신호는 ID칩(29)내의 CPU(40)를 리셋하는 신호이다. SIO신호는 양방향의 데이터신호이고, PHS단말(4)의 제어부(23)와의 사이에서 데이터를 교환한다. 클록신호는 ID칩(28)내의 CPU(40)로 공급되는 신호이다. VCC는 전원공급을 위한 신호선이다.
[E. CS-ID의 구성]
모든 친기(2)에는 PHS단말(4)이 대응하는 친기를 식별하기 위한 CS-ID가 기억되어 있다. 제6도는 CS-ID의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CS-ID는 전부 42비트이고, 29비트의 시스템호출부호와, 13비트의 부가ID로 구성되어 있다. CS-ID는 PHS단말(4)에 자신의 친기(2)를 등록할 때에, 소정의 조작으로 친기(2)에서 PHS단말(4)로 송신되고, PHS단말(4)의 내부 EEPROM(27)에 기억되는 것에 의해 친기(2)와 PHS단말(4)이 대응된다. 이것에 의해 친기(2)와 PHS단말(4)과의 사이에서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또 PHS단말(4)에 기억된 상기 CS-ID의 일부(시스템호출부호)는 상술한 ID칩(28)을 PHS단말(4)에 장착한 상태에서 PHS단말(4)에서 소정의 조작을 실행하면, EEPROM(43)의 무전기코드 영역에 복사된다.
[F. 제어용 물리슬롯의 구성]
본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통신(기지국←→단말, 또는 단말←→단말)을 하는 경우, PHS단말(4)끼리는 무선에 의한 회선의 확립시, 제7도에 도시하는 제어용 물리슬롯에 의해 발신측, 착신측의 식별 등을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면에 있어서 제어용 물리슬롯은 전부 240비트로 구성되어 있고, R은 과도응답용램프타임 (4비트), SS는 스타트심벌(2비트), PR은 프리앰블(62비트), UW는 등기 워드(32비트), CI는 채널종별(4비트), 착식별부호(42비트), 발식별부호(28비트), 데이터I(34비트), CRC(16비트), G는 카드비트(16비트)이다. 상기 중에서도 본 발명에 관한 것은 상기 착식별부호와 발식별부호이고, 기지국과 단말간에서는 제6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42비트의 CS-ID가 착식별부호의 영역에, 단말식별부호인 28비트의 PS-ID가 발식별부호의 영역에 기입된다(이 경우, 제7도는 상승예이고, 하강은 42비트의 CS-ID가 발식별부호가 되고, PS-ID가 착식별부호가 된다). 또한 단말간에서는 제8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착식별부호는 전술한 친기를 식별하기 위한 시스템호출부호(29비트)와 착호측의 PHS단말을 식별하기 위한 PS호출부호(13비트)로 구성되어 있다. 또 발식별부호는 발호측의 PHS단말을 식별하기 위한 PS호출부호(PS-ID)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PS호출번호는 자기간직접통신에서만 유효한 논리번호이다.
[H. 실시예의 동작]
다음에 상술한 실시예에 의한 PHS단말(4)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실시예에서는 제9(a)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한쪽 PHS단말(A)에 부착이탈메모리를 장착하고, 이 부착이탈메모리에 PHS단말(A)과의 자기간직접통화에 필요한 PHS단말(4a)의 시스템호출부호(CS-ID의 일부) 및 자기번호(PS호출부호)를 복사한다. 그리고 제9(b)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른쪽 PHS단말(8)에 자기간직접 통화정보(CS-IDA)를 복사한 부착이탈메모리를 장착한다. 이것에 의해 다른쪽 PHS단말(B)은 이 부착이탈메모리내의 자기간직접통화정보를 선택하는 것에 의해 PHS단말(A)과 자기간직접통화가 가능하게 된다.
제2실시예에서는 제10(a)도 및 제10(b)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한쪽 PHS단말(A)과 자기간직접 통화에 필요한 PHS단말(A)의 시스템호출부호 (CS-ID의 일부) 및 자기 번호(PS호출부호)를 기억한 부착이탈메모리를 다른쪽 PHS단말(B)에 장착하고, 이 자기간직접 통화정보(CS-IDA)를 다른쪽 PHS단말(B)의 내부메모리에 복사한다. 이것에 의해 다른쪽 PHS 단말(B)은 부착이탈메모리에 의해 복사된 PHS단말(A)의 시스템 호출부호(CS-IDA)를 선택하는 것에 의해 PHS단말(A)과 자기간 직접통화가 가능하게 된다.
[H - 1. 제1 실시예]
제11도는 한쪽 PHS단말에서 ID칩으로 시스템 호출부호(CS-ID의 일부) 및 자기 번호(PS호출부호)를 등록하는 등록처리를 표시하는 플로챠트이다.
PHS단말(4)에 있어서 키 입력부(22) 등에서 등록모드가 선택되면, 먼저 스텝 S10에 있어서 암호번호의 입력을 재촉하는 메시지, 예를 들면암호번호를 입력해 주십시오라는 메시지를 표시부(26)에 표시시킨다. 다음에 스텝 S12에 있어서 암호번호가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암호번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스텝 S12에 있어서의 판단결과는NO가 되어 스텝 S10으로 되돌아간다. 한편 암호 번호가 입력되면 스텝 S12에 있어서의 판단결과는YES가 되어 스텝 S14로 이행한다. 스텝 S14에서는 미리 EEPROM(27)에 설정되어 있는 암호번호와, 입력된 암호번호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일치하지 않으면 스텝 S14에 있어서의 판단결과는NO가 되어 스텝 S10으로 되돌아간다. 이하 바른 암호번호가 입력될 때 까지 스텝 S10S14를 반복해서 실행한다. 그리고 소정 회수 일치하지 않으면 당해 처리를 종료하도록 해도된다. 한편 암호번호가 일치하면 스텝 S14에 있어서의 판단결과는YES가 되어 스텝 S16으로 이행한다.
스텝 S16에서 는 ID칩(28)이 장착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ID칩(28)이 장착되어 있지 않으면 스텝 S16에 있어서의 판단 결과는NO가 되어 스텝 S18로 이행한다. 스텝 S18에서는 ID칩(28)이 장착을 재촉하는 메시지, 예를 들면ID칩을 세트해 주십시오라는 메시지를 표시부(26)에 표시시킨다. 그리고 스텝 S16으로 되돌아가 ID칩(28)이 장착되는 것을 기다린다. 한편 ID칩(28)이 이미 장착되어 있던지 또는 상기 메시지에 따라 장착되면 스텝 S16에 있어서의 판단결과는YES가 되어 스텝 S20으로 이행한다. 스텝 S20에서는 자기번호의 입력을 재촉하는 메시지, 예를 들면자기번호를 입력해 주십시오라는 메시지를 표시부(26)에 표시시킨다.
다음에 스텝 S22로 이행하여 자기번호가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다. 그 자기 번호는 전술한 PS호출번호에 상당하고, 자기간직접 통신을 하는 경우에 착호측의 PHS단말을 호출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자기 번호를 키 입력부(22)에서 입력하도록 하고 있지만, 친기인 기지국(2)측에서 자동적으로 할당하도록 해도 된다. 그리고 자기번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스텝 S22에 있어서의 판단결과는NO가 되어 스텝 S16으로 되돌아간다. 이하 자기 번호가 입력 될 때까지 스텝 S16S22를 반복하여 실행한다. 한편 자기 번호가 입력되면 스텝 S22에 있어서의 판단결과는YES가 되어 스텝 S24로 이행한다. 스텝 S24에서는 자기 번호가 등록완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이미 등록이 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텝 S24에 있어서의 판단결과는YES가 되어 스텝 S26으로 이행한다. 스텝 S26에서는 이미 자기번호가 등록되어 있음을 알리기 위한 메시지, 예를 들면등록완료입니다라는 메시지를 표시부(26)에 표시시킨다. 그리고 스텝 S16으로 되돌아간다.
한편 아직 자기 번호가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스텝 S24에 있어서의 판단결과는NO가 되어 스텝 S28로 이행한다. 스텝 S28에서는 ID 칩(28)에 시스템부호와 입력된 자기 번호를 인터 페이스(29)를 통해 전송한다. ID칩(28)에서는 EEPROM(43)의 무전기 코드영역에 격납된다. 다음에 스텝 S30에 있어서 입력된 자기 번호를 등록한 것을 알리기 위한 메시지, 예를 들면자기번호 N을 등록했습니다라는 메시지를 표시부(26)에 표시시킨다. 그리고N은 실제로 입력된 자기 번호이다. 다음에 스텝 S32에서는 등록이 종료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종료하고 있지 않으면 스텝 S32에 있어서의 판단결과는NO가 되어 스텝 S16으로 되돌아간다. 한편 등록이 종료한 경우에는 스텝 S32에 있어서의 판단결과는YES가 되어 당해 처리를 종료한다.
이와 같이 PHS단말(4) (예를 들면 4a)에 장착된 ID칩(28)에는 그 PHS단말(4)이 미리 등록되어 있는 친기(2)를 식별하기 위한 시스템부호와, 그 ID칩(28)이 장착되는(착호측의) PHS단말을 식별하기 위한 자기 번호가 기억되게 된다. 다음에 PHS단말(4)에서 상기 ID칩(28)을 빼내어 외출지 등에 있어서 친기 (2)와의 사이에서 등록을 하고 있지 않은 다른 PHS단말(예를 들면 4b)에 장착한다. 이 결과 PHS단말(4b)에 있어서 ID칩(28)에 기억되어 있는 자기간직접 통화정보를 선택하는 것에 의해 미리 등록된 시스템부호가 다르더라도 자기간 직접 통신을 실행할 수 있게 된다.
[H -2. 제2실시예]
다음에 제2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한다. 이 제2실시예는 제 1실시예의 일부를 변형하는 것에 의해 실현할 수 있으므로, 제1실시예에서 사용한 플로챠트인 제11도를 사용하여 변경개소를 설명한다. 이하 ID칩(28)의 시스템부호를 PHS단말(4)의 EEPROM(27)에 복사하는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다른 친기(2)의 시스템부호가 기억되어 있는 ID칩(28)을 PHS단말(4)에 장착하여 키 입력부(22) 등에서 등록모드를 선택하면 제 11도의 플로챠트인 실행된다. 먼저 암호번호의 입력을 재촉하고, 암호번호가 일치 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0, S12, S14). 사용자에 의해 바른 암호번호가 입력되면 ID칩(28)이 장착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6). 그리고 ID칩(28)이 장착되어 있지 않으면 ID칩(28)의 장착을 재촉하는 메시지, 예를 들면ID칩을 세트해 주십시오라고 하는 메시지를 표시부(26)에 표시시킨다(스텝 S18).
한편 ID칩(28)이 이미 장착되어 있던지 또는 상기 메시지에 따라 장착되면 자기 번호의 입력을 재촉하는 메시지, 예를 들면자기 번호를 입력해 주십시오라는 메시지를 표시부(26)에 표시시킨다(스텝 S20) .다음에 스텝 S22로 이행하고, 자기 번호가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그 자기 번호는 전술한 PS호출번호에 상당하고, 자기간직접 통신을 하는 경우에 착호측의 PHS단말을 호출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자기 번호를 키 입력부(22)에서 입력하도록 하고 있지만, 친기인 기지국(2)측에서 자동적으로 할당하도록 해도 된다.
그리고 이 스텝 S22의 표시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자기 번호가 입력되면 ID칩(28)내에 기억되어 있는 자기 번호에 의거 하여 입력된 자기 번호가 등록완료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24). 이때 입력된 자기 번호가 이미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미 자기 번호가 등록되어 있음을 알 리기 위한 메시지, 예를 들면등록완료입니다라는 메시지를 표시부(26)에 표시시킨다.
한편 아직 입력된 자기 번호가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PHS단말(4)은 ID칩(28)에서 시스템부호와 자기번호를 받아들이고, 내부의 EEPROM(27)에 등록한다(스텝 S28). 또 ID칩(28)에서는 입력된 자기 번호를 EEPROM(4))의 무전기 코드영역에 격납한다.
다음에 입력된 자기 번호를 등록했음을 알리기 위한 메시지, 예를 들면자기번호 N을 등록했습니다라는 메시지를 표시부(26)에 표시시킨다(스텝 S30). 그리고N은 실제로 입력된 자기번호이다.
그리고 등록이 종료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 S32), 등록이 종료한 경우에는 당해처리를 종료한다.
이와 같이 다른 친기(2)를 식별하기 위한 시스템부호와, 그 친기(2)에 미리 등록하고 있는 자기 번호가 격납되어 있는 ID칩(28)을 다른 친기에 등록하고 있는 PHS단말(4) (예를 들면 4b)의 EEPROM(27)에 기억되게 구성된다.
이 결과 PHS단말(4b)에 있어서 EEPROM(27)에 기억되어 있는 자기간직접통화정보를 선택하는 것에 의해 PHS단말(4a)과 미리 등록된 시스템부호가 다르더라도 자기간 직접통신을 실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하에 상기 제1또는 제2실시예에 등록한 자기간직접통화정보를 사용한 자기간 직접통화의 동작을 설명한다.
[H-3. 통신 처리]
제12도는 본 실시예의 PHS단말에 의한 자기간 직접통신에 있어서의 제어순서를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그리고 통화에 따른 각부의 동작에 대해서는 통상의 PHS단말의 동작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또 상기 각 실시예에 있어서 시스템호출부호는 키입력부(22)에 의해 단말내부의 ROM(24)내의 시스템호출부호와 ID칩(28)내의 시스템호출 부호를 선택하는 방법과, ID칩(28)의 장착상태를 부착이탈검출부에서 검출하여 단말내부의 ROM(24) 또는 ID칩(28)에 일의적으로 전환하는 방법이 있다.
먼저 어느쪽의 시스템호출부호를 사용할 것인지를 결정하고(사용자에 의한 선택 또는 ID칩의 부착이탈상태에 자동적), 발호측의 PHS 단말(4a)에 있어서, 자기간 직접통신을 실행하기 위해 이용자가 키입력부(22)에 의해 자기간발호의 조작을 행하면, 제8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말내부에 기억해 둔 CS-ID중 시스템호출부호(29비트)와, 착호측의 자기 번호인 PS호출번호와, 발호측의 PHS단말을 식별하기 위한 PS호출부호를 결합하고, 제7도에 도시하는 제어용 물리슬롯에 넣어 무선에 의해 발신한다(스텝 1의 호출신호). 착호측의 PHS단말(4b)은 수신한 제어용 물리슬롯의 시스템 발호부호 및 PS호출번호와, ID칩(28)에 기억되어 있는 시스템호출부호 및 자기 번호를 비교하는 것에 의해 자신으로의 발호임을 인지한다. 그후 발호측, 착호측의 PHS단말 (4a, 4b) 사이에서 제어용 물리 슬롯에 의해 동기 워드를 교환한다(스텝 2, 3의 동기신호). 그리고 착호측의 PHS단말(4b)은 ID칩(28)에 기억되어 있는 시스템호출부호와, 발호측의 자기번호(PS호출번호)와, 자신의 자기 번호(PS호출부호)를 결합하고, 제7도에 도시하는 제어용 물리슬롯에 넣어 무선에 의해 발호측의 PHS단말(4a)로 송신한다(스텝 4의 응답신호). 그리고 발호측, 착호측의 PHS단말(4a, 4b) 사이에서 아이들 버스트를 교환한 후(스텝 5, 6), 자기간직접 통신으로 이행한다(스텝 7이후).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외출할 때에 ID칩(28)을 지참하고, 외출지 등에서는 그 ID칩을 다른 친기에 등록된 다른 PHS단말에 장착하면 공통의 친기가 있는 곳에서 친자등록하고 있지 않은 PHS단말과의 사이에서도 자기간직접통신을 실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술한호출신호는 착호측에서의 전지절약을 고려하여 최대송신시간을 10초로 해도 된다. 또 송신측의 PHS단말(4b)은 자동응답시동기신호를 생략해서응답신호를 직접 회답하도록 해도 된다. 또 송신시간의 카운트는 발호측의 PHS단말(4a)에서는호출신호송신시, 착호측의 PHS단말(4b)에서는동기신호송신시에서 실행하도록 해도 된다.
그리고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ID칩(28)에 기억한 CS-ID의 일부는 단말과 친기(2)와의 통화에는 사용할 수 없으므로, 즉 자기간직접 통신(무전기통신)에만 사용되므로, 소거 등은 특별히 필요없지만 일정시간, 일수, 통화회수 등에 의해 자동적으로 소거하도록 해도 된다.
또 ROM(24), EEPROM(27) 또는 ID칩(28)에 복수의 시스템호출부호를 기억하도록 하고, 키 입력부(22)에 의한 조작시, 무언가의 방법에 의해 사용하는 시스템호출부호를 선택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복수의 친기에 대응할 수 있으므로, 자기간직접통신 가능한 PHS단말을 늘릴 수 있다.
그리고 제2실시예에 있어서 미리 부착이탈메모리(예를 들면 ID칩(28))에 기억되어 있는 시스템 호출부호(예를 들면 무선통신단말(B)의 CS-IDB)를 무선통신단말 (예를 들면 무선통신단말(B) )의 내부메모리에 기억해도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무선통신단말은 부착이탈 가능한 기억매체를 갖고, 다른 무선통신단말은 이부착이탈 가능한 기억매체를 장착하고, 그 기억매체에 적어도 직접 통신에 필요한 기지국정보를 기억하는 것에 의해 친자등록되어 있지 않은 다른 무선통신단말과의 사이에서도 자기간직접 통신 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Claims (25)

  1. 공통의 식별부호를 갖는 단말끼리 단말간직접통신을 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 있어서, 기억매체와, 그 기억매체를 부착이탈 가능하게 한 제1무선통신단말과, 상기 기억매체를 부착이탈 가능하게 한 제2무선통신단말로 구성되고, 상기 제1무선통신단말은 상기 기억매체가 장착되었을 때. 그 제1무선통신단말에 기억되어 있는 식별부호를 상기 기억매체에 복사하고, 상기 제2무선통신단말은 상기 식별부호가 복사된 기억매체가 장착되었을 때, 그 기억매체내의 식별부호를 사용하여 상기 제1무선통신단말과 단말간직접통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무선통신단말은 상기 제1무선통신단말의 식별부호가 아닌 다른 식별부호를 갖고, 상기 제1무선통신단말에서 식별부호가 복사된 기억매체가 장착되었을 때, 그 기억매체에 기억되어 있는 식별부호로 자동적으로 전환하고, 그 기억매체에 기억되어 있는 식별부호에 의거하여 상기 제1무선통신단말과 단말간직접통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무선통신단말은 상기 제1무선통신단말의 식별부호가 아닌 다른 식별부호를 갖고, 상기 제1무선통신단말에서 식별부호가 복사된 기억매체가 장착되고, 사용자에 의해 그 다른 식별부호와 그 기억매체에 기억되어 있는 식별부호 중 어느 한쪽을 선택하고 그 선택된 식별부호에 의거하여 상기 제1무선통신단말과 단말 간직접통신을 하는 것을 특정으로 하는 무선통신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무선통신단말은 사용자에 의해 바른 암호가 입력되면 상기 복사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시스템.
  5. 공통의 식별부호를 갖는 단말끼리 단말간직접통신을 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식별부호를 갖는 기억매체와, 상기 기억매체를 부착이탈 가능한 제1무선통신단말과, 상기 기억매체를 부착이탈 가능한 제2무선통신단말로 구성되고, 상기 제2무선통신단말은 상기 기억매체가 장착되었을 때, 그 기억매체에 기억되어 있는 식별부호를 그 제2 무선통신단말의 내부메모리에 복사하고, 그 내부메모리에 복사된 식별부호를 사용하여 그 기억매체가 장착된 상기 제1무선통신단말과 무선으로 단말간직접통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무선통신단말은 상기 제1무선통신단말의 식별부호가 아닌 다른 식별부호를 갖고, 상기 내부메모리에 식별부호가 복사되었을 때, 그 내부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식별부호로 자동적으로 전환하고, 그 내부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식별부호에 의거하여 상기 제1무선통신단말과 단말간직접통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무선통신단말은 상기 제1무선통신단말의 식별부호가 아닌 다른 식별부호를 갖고. 사용자에 의해 그 다른 식별부호와 그 내부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식별부호중 어느 한쪽을 선택하고, 그 선택된 식별부호에 의거하여 상기 제1무선통신단말과 단말간직접통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시스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무선통신단말은 사용자에 의해 바른 암호가 입력되면, 상기 복사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시스템.
  9. 시스템식별부호를 본체내에 기억하고, 이 시스템식별부호를 사용하여 기지국과 통신을 하고, 공통의 시스템식별부호를 사용하여 다른 무선통신단말과 단말간직접통신을 하는 무선통신단말에 있어서, 시스템식별부호를 기억하고, 상기 무선통신단말에 부착이탈 가능한 기억매체와, 상기 시스템식별부호를 기억한 기억매체가 장착되고, 상기 본체내에 기억되어 있는 시스템식별부호와 그 기억매체에 기억되어 있는 시스템식별부호를 어느 한쪽을 선택하는 선택수단과, 이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시스템식별부호에 의거하여 다른 무선통신단말과 단말 간직접통신을 하는 통신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단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수단은 상기 시스템식별부호가 기억되어 있는 기억매체가 장착되면, 자동적으로 상기 본체내에 기억되어 있는 시스템식별부호와 상기 기억매체에 기억되어 있는 시스템식별부호중 어느 한쪽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단말.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단말은 사용자에 의해 외부에서 제어되고, 상기 본체내에 기억되어 있는 시스템식별부호와 상기 기억매체에 기억되어 있는 식별부호중 어느 한쪽을 선택하는 선택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단말.
  12. 무선통신단말에 부착이탈 가능하게 구성되고, 시스템식별부호를 기억하는 제1기억매체와, 시스템식별부호를 기억하는 것이 가능한 제1내부메모리와, 상기 무전통신단말에 상기 제1기억매체가 장착되면 그 제1기억매체에 기억되어 있는 시스템식별부호를 상기 제1내부메모리에 기입하는 기입수단과, 상기 기입수단에 의해 내부메모리에 기입된 시스템식별부호에 의거하여 상기 기지국을 통하는 일없이 다른 무선통신단말과의 단말간직접통신을 하는 통신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단말.
  13. 제12항에 있어서, 기지국과의 통신에 사용하는 다른 시스템식별부호를 기억하는 제2내부메모리와, 상기 제2내부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시스템식별부호와 상기 제1내부메모리에 쓰여진 시스템식별부호중 어느 한쪽을 선택하는 선택수단을 갖고, 상기 무선통신수단은 상기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시스템식별부호에 의거하여 상기 다른 무선통신단말과의 단말간직접통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단말.
  14. 제12항에 있어서, 무선통신단말에 부착이탈 가능하게 구성되고, 기지국과의 통신에 사용하는 다른 시스템식별부호를 기억하는 제2기억매체와, 상기 제2 기억매체가 상기 무선통신단말에 장착되었을 때, 그 제2기억매체에 기억되어 있는 시스템식별부호와 상기 제1내부메모리에 기입된 시스템식별부호를 선택하는 선택수단을 갖고, 상기 무선통신수단은 상기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식별부호에 의거하여 상기 다른 단말과 단말간직접통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단말.
  15. 공통의 식별부호를 갖는 다른 무선통신단말과 단말간직접통신을 하는 무선통신단말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단말에 부착이탈 가능하게 설치된 기억매체와, 기입을 지시하는 지시신호를 출력하는 지시수단과, 상기 지시수단에서의 지시신호에 따라 상기 무선통신단말의 식별부호를 상기 장착된 기억매체에 기입하는 기입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단말.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단말은 암호를 입력하는 입력수단과, 상기 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된 암호와 소정의 암호를 비교하는 비교수단과, 이 비교수단의 비교결과가 일치하면 상기 기입수단의 기입을 실행시키는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단말.
  17. 공통의 식별부호를 갖는 다른 무선통신단말과 단말간직접통신을 하는 무선통신단말에 있어서, 식별부호를 기억하는 내부메모리와, 상기 무선통신단말에 부착이탈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내부메모리에 기억된 식별부호와는 다른 식별부호를 기억한 기억매체와, 상기 무선통신단말에 상기 식별부호를 기억한 기억매체가 장착되면 상기 내부메모리에 기억된 식별부호와 상기 기억매체에 기억된 시스템식별부호를 선택하는 선택수단과, 상기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식별부호에 의거하여 다른 무선통신단말과의 단말간직접통신을 하는 통신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단말.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수단은 그 무선통신단말에 상기 기억매체가 장착되었을 때, 자동적으로 상기 내부메모리에 기억된 식별부호와 상기 기억매체에 기억된 식별부호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단말.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단말은 사용자에 의한 외부조작에 의해 상기 내부메모리에 기억된 식별부호와 상기 기억매체에 기억된 식별부호를 선택하는 선택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단말.
  20. 공통의 식별부호를 갖는 다른 무선통신단말과 단말간직접통신을 하는 무선통신단말에 있어서, 그 무선통신단말에 부착이탈 가능하게 구성되고, 식별부호를 기억한 제1기억매체와, 식별부호를 기억하는 것이 가능한 제1내부메모리와, 상기 제1 기억매체가 상기 무선통신단말에 장착되었을 때 그 제1기억매체에 기억되어 있는 식별부호를 상기 제1내부메모리에 기입하는 기입수단과, 상기 기입수단에 의해 상기 제1내부메모리에 기입된 식별부호를 사용하여 다른 무선통신단말과 단말간직접통신을 하는 통신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단말.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단말은 상기 식별부호가 아닌 다른 식별부호를 기억한 제2내부메모리와, 상기 제2내부메모리에 기억된 식별부호와 상기 제1내부메모리에 기입된 식별부호를 선택하는 선택수단을 갖고, 상기 통신수단은 상기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식별부호를 사용하여 단말간직접통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단말.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단말은 상기 식별부호가 아닌 다른 식별부호를 기억한 제2기억매체와, 상기 제2기억매체가 상기 무선통신단말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제2기억매체에 기억되어 있는 식별부호와 상기 기입수단에 의해 상기 제1내부메모리에 기입된 식별부호를 선택하는 선택수단을 갖고, 상기 통신수단은 상기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식별부호를 사용하여 단말간직접통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단말.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무선통신단말은 통신회선에 접속된 기지국을 통해서 통신이 가능하고, 상기 공통의 식별부호는 해당 기지국을 통해서 통신할때에 사용하는 시스템식별부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시스템.
  24.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무선통신단말은 통신회선에 접속된 기지국을 통해서 통신이 가능하고, 상기 공통의 식별부호는 해당 기지국을 통해서 통신할때에 사용하는 시스템식별부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시스템.
  25.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단말은 통신회선에 접속된 기지국을 통해서 통신이 가능하고, 상기 공통의 식별부호는 해당 기지국을 통해서 통신을 할 때에 사용하는 시스템부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시스템.
KR1019960011597A 1995-04-18 1996-04-17 무선통신시스템 및 무선통신단말 KR1002230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116419 1995-04-18
JP11641995 1995-04-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40052A KR960040052A (ko) 1996-11-25
KR100223037B1 true KR100223037B1 (ko) 1999-10-01

Family

ID=14686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1597A KR100223037B1 (ko) 1995-04-18 1996-04-17 무선통신시스템 및 무선통신단말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909652A (ko)
EP (1) EP0739149A3 (ko)
KR (1) KR100223037B1 (ko)
CN (1) CN1081878C (ko)
HK (1) HK1002217A1 (ko)
MY (1) MY132184A (ko)
SG (1) SG471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6080B2 (ja) * 1996-07-31 2000-06-26 埼玉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電話機
FI104937B (fi) 1997-01-27 2000-04-28 Sonera Oyj Tilaajaidentiteettimoduuli, matkaviestin ja menetelmä älykorttitoiminteen suorittamiseksi
DE19704907A1 (de) * 1997-02-10 1997-07-31 Andre Bornholt Mobilfunktelefon mit Möglichkeit zur Direktverbindung
DE19745350C1 (de) * 1997-02-10 1998-08-20 Kunze Ingeburg Mobilfunktelefon für Multi-Mode-Betrieb und Verwendung einer Relaisstation für derartige Mobilfunktelefone
EP1038368B1 (en) 1997-11-13 2013-07-31 Intellectual Ventures I LLC File transfer system
US6195568B1 (en) * 1998-02-24 2001-02-27 Ericsson Inc. Radiotelephone adapted to the identity of its user
KR100715936B1 (ko) * 1999-05-12 2007-05-11 주식회사 아이디어파크 근거리 음성/문자통신기능을 갖는 핸드폰
US7142812B1 (en) * 2000-06-13 2006-11-28 Sony Deutschland Gmbh Wireless transmission system
US6704566B1 (en) * 2000-10-20 2004-03-09 Motorola, Inc. Communication device for placing calls within a plurality of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JP3494998B2 (ja) * 2001-01-25 2004-02-09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情報通信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通信特定情報の保存方法、通信特定情報の保存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通信特定情報の保存プログラム
US20030022664A1 (en) * 2001-07-24 2003-01-30 Tim Goldstein Cellular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cellular signals
US20040003136A1 (en) * 2002-06-27 2004-01-01 Vocollect, Inc. Terminal and method for efficient use and identification of peripherals
GB0229231D0 (en) * 2002-12-12 2003-01-22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Electronic units
CN100473215C (zh) * 2004-01-16 2009-03-25 Ut斯达康通讯有限公司 个人手机系统中的改进寻呼方法及相关设备
US20080172545A1 (en) * 2007-01-12 2008-07-17 John Christian Boucard System and method for accessing and displaying interactive content and advertising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036380A1 (de) * 1980-09-26 1982-05-13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Kommunikationssystem, insbesondere fernsprechsystem
JPH0787493B2 (ja) * 1986-05-23 1995-09-20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カ−ドアクセス電話機
US5020105A (en) * 1986-06-16 1991-05-28 Applied Information Technologies Corporation Field initialized authentication system for protective security of electronic information networks
JPH087720B2 (ja) * 1986-09-16 1996-01-29 富士通株式会社 複数サービス用icカードの領域アクセス方法
US4992926A (en) * 1988-04-11 1991-02-12 Square D Company Peer-to-peer register exchange controller for industrial programmable controllers
JPH0271623A (ja) * 1988-09-06 1990-03-12 Seiko Instr Inc 無線通信システム
GB2241133A (en) * 1990-02-14 1991-08-21 Motorola Inc Radiotelephone having removable memory means for storing radio user validation code
JPH05110507A (ja) * 1991-10-16 1993-04-30 Toshiba Corp 移動無線通信装置
CA2101953A1 (en) * 1992-09-04 1994-03-05 Jeffrey Charles Smolinske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information between a radio transceiver and a portable memory element
DE4321381A1 (de) * 1993-06-26 1995-01-05 Sel Alcatel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Austausch oder Änderung von Software in Geräten
US5418837A (en) * 1993-07-30 1995-05-23 Ericsson-Ge Mobile Communica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upgrading cellular mobile telephones
JPH07235981A (ja) * 1993-12-28 1995-09-05 Casio Comput Co Ltd コードレス電話システム及びコードレス電話システムにおける子機増設方法
US5497411A (en) * 1994-03-14 1996-03-05 Pellerin; Joseph C. E. Telecommunications card-access system
US5675628A (en) * 1994-08-01 1997-10-07 Nokia Telecommunication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enabling roaming of subscriber among plural mobile radio systems, using mobile equipment accepting removable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5511232A (en) * 1994-12-02 1996-04-23 Motorola, Inc. Method for providing autonomous radio talk group configur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739149A3 (en) 1999-11-17
KR960040052A (ko) 1996-11-25
SG47126A1 (en) 1998-03-20
CN1158062A (zh) 1997-08-27
EP0739149A2 (en) 1996-10-23
US5909652A (en) 1999-06-01
HK1002217A1 (en) 1998-08-07
CN1081878C (zh) 2002-03-27
MY132184A (en) 2007-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3037B1 (ko) 무선통신시스템 및 무선통신단말
EP0634859B1 (en) Portable telephone set
US5590397A (en) Selecting and prioritizing radio telephone systems at radio terminal
US6192251B1 (en) Communication system having a notification function with respect to a predetermined state of each communication terminal thereof
US5566226A (en) Portable telephone apparatus which can be connected to an external apparatus without using an adapter
JP3200646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情報通信端末および情報管理局
US6477383B1 (en) Communication system having a notification function with respect to a predetermined state of each communication terminal thereof
JP2885648B2 (ja) 無線端末
JPH1051855A (ja) 通信方法及び通信装置
JPH08322087A (ja) 無線通信端末
JP3433481B2 (ja) 電子機器及びデータ通信システム
JPH099359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端末
JP3169860B2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およびその通信圏内判定方法
JP3190832B2 (ja) コードレス電話機の子機登録方法
JP3048765B2 (ja) デジタルコードレス電話機
JP3716465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端末
JPH0916732A (ja) Icカード、該icカードが接続される電子機器、および該icカードを用いる無線通信端末
JP2537097B2 (ja) コ―ドレス電話装置
JPH0746662A (ja) デジタルコードレス電話装置
JP2820087B2 (ja) 通信モード切替装置を備えたデジタルコードレス電話方式
KR20000018398A (ko) 무선통신을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소프트웨어 업그레드방법
KR19980072498A (ko) 가정용 및 공중용 겸용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에서 사용모드 자동전환 방법
JP3400266B2 (ja) ディジタルコードレス電話装置
JPH08289370A (ja) 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基地局および通信端末
JPH11113063A (ja) 移動無線端末及びそ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2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