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1471B1 - 주차설비의 스테커 속도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주차설비의 스테커 속도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1471B1
KR100221471B1 KR1019970037618A KR19970037618A KR100221471B1 KR 100221471 B1 KR100221471 B1 KR 100221471B1 KR 1019970037618 A KR1019970037618 A KR 1019970037618A KR 19970037618 A KR19970037618 A KR 19970037618A KR 100221471 B1 KR100221471 B1 KR 1002214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cker
speed
moving
distance
elev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7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5491A (ko
Inventor
이동철
Original Assignee
이해규
삼성중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해규, 삼성중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해규
Priority to KR10199700376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1471B1/ko
Publication of KR19990015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54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14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14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42Devices or arrangements peculiar to garages, not covered elsewhere, e.g. securing devices, safety devices, monitoring and operating schemes; centering devices
    • E04H6/422Automatically operated car-par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Floor-to-roof stacking devices, e.g. "stacker cranes", "retrie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차량을 주차설비에/로부터 입/출고하기 위한 스테커의 속도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스테커 속도제어방법은 승강기와 함께 스테커를 목적위치 부근에 고속으로 이동시켜 일시 정지시킨후 정확한 정위치를 찾기 위해 스테커를 재차 서행시키게 함으로써, 스테커의 이동거리가 승강기의 승강거리보다 짧을 경우에는 정확한 위치를 찾기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스테커의 속도제어방법은 인버터의 파라미터를 변경하여 스테커가 승강기의 승강거리에 따라 각기 다른 다단계의 속도값으로 멈춤없이 연속적으로 이동될 수 있게 함으로써, 차량을 주차설비에/로부터 입/출고하기 위한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주차설비의 스테커 속도제어방법
본 발명은 차량을 주차설비에/로부터 입/출고하기 위한 스테커의 속도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테커와 연계되어 있는 승강기의 승강거리에 따라 각기 다른 다단계의 속도로 스테커를 이동시키기 위한 주차설비의 스테커 속도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차차량은 승강기 및 스테커에 의해 주차설비에/로부터 입/출고되므로, 차량의 입/출고 처리시간을 짧게 하기 위해서는 승강기 및 스테커를 적절히 신속하게 이동시켜야 한다.
우선, 스테커를 이용한 주차설비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에서 보는 바와같이, 스테커를 이용한 주차설비는 여러 층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각 층에는 차량(10)이 주차될 수 있는 주차실(20)을 다수 개 구비하고 있다. 주차설비의 중앙부에는 스테커(30)가 선로(40,70)들과 결합된 상태로 설치되어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선로상의 스테커(30)에 의해 두 부분으로 구분되게 된다. 스테커(30)는 승강기(50)를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결합하고 있고, 승강기(50)의 상면에는 차량을 주차실로/로부터 이동시켜 입/출고하기 위한 파커(60)가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차량이 주차설비의 입구를 통해 승강기(50)에 적재되면 승강기가 하강하면서 적당한 주차실(20)로 스테커(30)가 이동하게 되고, 차량이 해당 주차실에 도달하면 파커(60)가 작동하여 차량을 주차실로 이동시켜 주차시키게 되며, 반대로 차량을 출고시킬 경우에는 이와 반대의 과정으로 주차설비를 작동시키면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의 주차설비는 주차실의 정위치를 탐색하는 센서의 위치가 좌우로 배치되어 있고 각각의 주차실(20)들이 상하 또는 좌우로 정확하게 배치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해 승강기(50)의 승강이 스테커(30)의 주행보다 먼저 완료되도록 하여야만 한다.
이에 따라, 일실시예로서, 승강기(50)와 스테커(30)를 50m/min정도의 동일한 속도로 목적위치 부근까지 이동시켜 일시 정지시킨후 승강기(50)의 승강이 완료되면 주차실(20)의 정위치를 찾기 위해 스테커(30)를 다시 이동시키는 방법이 제시되어 있다. 이러한 속도제어방법에서는 차량(10)이 입고되기 위해 승강기(50)에 적재될 경우, 승강기 및 스테커를 주차설비중 비어있는 적당 주차실(20) 부근위치까지 50m/min의 다소 높은 속도로 이동시키고, 이어 정확한 주차실 위치를 찾기 위해 스테커를 다시 이동시키도록 한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차량이 입고되는 것이며, 이와 반대로 주차된 차량을 출고할 경우에도 이같은 방식을 통해 출고될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스테커 속도제어방법은 승강기와 함께 스테커를 목적위치 부근에 고속으로 이동시켜 정지시킨후 정확한 정위치를 찾기 위해 스테커를 재차 서행시키게 함으로써, 스테커의 이동거리가 승강기의 승강거리보다 짧을 경우에는 정확한 위치를 찾기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승강기의 승강거리에 따라 스테커를 각기 다른 다단계의 속도로 구분하여 제어함으로써 스테커의 주행중 정지시키지 않고 목적위치로 이동시키도록 한 스테커의 속도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1은 스테커를 이용한 주차설비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테커의 속도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스테커 주행제어기 및 인버터와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구성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테커의 속도제어방법에 의한 속도패턴중 일예를 도시한 그래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테커의 속도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스테커의 속도제어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차량 20 : 주차실
30 : 스테커 40 : 하부선로
50 : 승강기 60 : 파커
70 : 상부선로 80 : 스테커 주행제어기
90 : 인버터
위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차량을 주차설비에/로부터 입/출고하기 위해 승강기와 연계된 스테커의 속도를 제어하는 스테커 속도제어방법에 있어서, (1) 차량 운전자의 입/출고 요청에 따라 차량의 이동 목적지가 결정되면, 이동하여야할 승강기의 승강거리와 스테커의 이동거리를 계산하는 단계; (2) (1)단계의 계산결과치에 따라 승강거리와 이동거리를 비교하여, 이동거리가 승강거리보다 클 경우에는 설정된 고속속도 패턴으로 스테커를 이동시키는 단계; 및 (3) (2)단계에서 이동거리가 승강거리보다 작을 경우에는 승강거리에 대한 이동거리의 비율값을 다단계 범위로 구분하여, 구분된 비율값에 따라 스테커의 이동속도를 다단계의 속도값으로 차등적으로 설정함으로써 스테커를 설정된 다수의 속도패턴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테커 속도제어방법에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스테커의 속도제어는, 실제로는 도2에서 보는 바와같은 스테커 주행제어기(80)와 인버터(90)간에서의 신호의 입출력관계에 의해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테커는 그 이동거리가 승강기의 승강거리보다 클 경우와 작을 경우로 구분하여, 작을 경우에는 다시 승강기의 승강거리에 대한 스테커의 이동거리의 비를 기준으로 여러 단계로 구분함으로써 각기 다른 5단계의 속도로 차등적으로 이동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인버터(90)의 파라미터를 변경하여 스테커가 5단계 이상의 각기 다른 속도로 차등적으로 이동되게 할 수도 있다.
도2 및 도3을 참조하여 스테커의 속도가 5단계로 구분된 경우를 예로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스테커 주행제어기(80)와 연계된 인버터(90)는 스테커의 이동거리가 승강기의 승강거리보다 큰값인가, 그리고 작을 경우에는 승강기의 승강거리에 대한 스테커의 이동거리의 비가 0.8이상, 0.5이상, 0.3이상 및 0.3이하인가에 따라 스테커가 40m/min, 30m/min, 20m/min 및 5m/min의 차등적인 속도로 이동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스테커의 이동거리가 승강기의 승강거리보다 클 경우에는 제어기(80)의 출력신호 1또는 2를 살리고 출력신호 8와 9를 동시에 살려, 인버터(90)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입력신호를 살리고 다단속지령1과 2를 동시에 살림으로써 스테커가 50m/min의 속도로 이동되게 한다. 이와는 달리, 스테커의 이동거리가 승강기의 승강거리보다 작을 경우에 있어서, 승강기의 승강거리에 대한 스테커의 이동거리의 비가 0.8이상일 때에는 제어기(80)의 출력신호 1또는 2를 살리고 출력신호 9를 살려, 인버터(90)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입력신호를 살리고 다단속지령2를 살림으로써 스테커가 40m/min의 속도로 이동되게 한다. 승강기의 승강거리에 대한 스테커의 이동거리의 비가 0.5이상이면 제어기(80)의 출력신호 1또는 2를 살리고 출력신호 8을 살려, 인버터(90)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입력신호를 살리고 다단속지령1을 살림으로써 스테커가 30m/min의 속도로 이동되게 한다. 승강기의 승강거리에 대한 스테커의 이동거리의 비가 0.3이상일 때에는 제어기(80)의 출력신호 1또는 2를 살려, 인버터(90)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입력신호를 살림으로써 스테커가 20m/min의 속도로 이동되게 한다. 또한, 승강기의 승강거리에 대한 스테커의 이동거리의 비가 0.3이하이면 제어기(80)의 출력신호 11을 살려, 인버터(90)의 조깅신호를 살림으로써 스테커가 5m/min의 속도로 이동되게 한다. 이와 같이, 주차설비의 스테커는 인버터의 파라미터 설정에 의해 승강기의 승강거리에 따라 각기 다른 속도로 차등적으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인버터의 파라미터 설정값에 의한 스테커의 속도제어과정을 도4의 제어흐름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입/출고될 차량의 이동 목적지가 결정되면 승강기(도1의 50) 및 스테커(도1의 30)가 이동하여야 할 거리를 계산한다(단계100). 계산된 결과에 따라 승강기의 승강거리와 스테커의 이동거리를 비교하여(단계110), 이동거리가 승강거리보다 크면 스테커를 50m/min로 결정된 주행속도 패턴으로 이동시킨다(단계120,130). 그리하여, 스테커가 목표지점에 도착하면 제어공정을 끝내고, 도착하지 않았으면 단계130을 다시 수행한다(단계140). 한편, 단계110에서 이동거리가 승강거리보다 작으면 인버터의 파라미터 설정값에 따라 승강기의 승강거리에 대한 스테커의 이동거리의 비가 0.8이상, 0.5이상, 0.3이상 및 0.3이하인가를 판단한다(단계150). 이에 따라, 그 비가 0.8이상이면 스테커를 40m/min로 결정된 주행속도 패턴으로 이동시키고,(단계160), 그 비가 0.5이상이면 스테커를 30m/min로 결정된 주행속도 패턴으로 이동시키며(단계170), 그 비가 0.3이상이면 스테커를 20m/min로 결정된 주행속도 패턴으로 이동시키며(단계180), 또한 그 비가 0.3이하이면 스테커를 5m/min로 결정된 주행속도 패턴으로 이동시킨다(단계190). 이럼으로써, 스테커는 승강기의 승강거리에 따라 차등적인 속도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테커의 속도제어방법은 인버터의 파라미터를 변경하여 스테커가 승강기의 승강거리에 따라 각기 다른 다단계의 속도값으로 멈춤없이 연속적으로 이동될 수 있게 함으로써, 주차차량을 주차설비에/로부터 입/출고하기 위한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차량을 주차설비에/로부터 입/출고하기 위해 승강기와 연계된 스테커의 속도를 제어하는 스테커 속도제어방법에 있어서,
    (1) 차량 운전자의 입/출고 요청에 따라 상기 차량의 이동 목적지가 결정되면, 이동하여야할 상기 승강기의 승강거리와 스테커의 이동거리를 계산하는 단계;
    (2) 상기 (1)단계의 계산결과치에 따라 상기 승강거리와 상기 이동거리를 비교하여, 상기 이동거리가 상기 승강거리보다 클 경우에는 설정된 고속속도 패턴으로 상기 스테커를 이동시키는 단계; 및
    (3) 상기 (2)단계에서 상기 이동거리가 상기 승강거리보다 작을 경우에는 승강거리에 대한 이동거리의 비율값을 다단계 범위로 구분하여, 구분된 비율값에 따라 상기 스테커의 이동속도를 다단계의 속도값으로 차등적으로 설정함으로써 상기 스테커를 설정된 다수의 속도패턴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테커 속도제어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단계에서 상기 고속속도 패턴이 50m/min의 속도로 설정되어 상기 스테커를 이동시키도록 한 스테커 속도제어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3)단계에서 승강거리에 대한 이동거리의 비율값을 4단계로 구분하고 이와 대응되게 상기 스테커의 이동속도를 4단계의 속도값으로 차등적으로 설정하여, 설정된 4개의 차등적인 속도패턴으로 상기 스테커를 이동시키도록 한 스테커 속도제어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패턴이 40m/min, 30m/min, 20m/min 및 5m/min의 차등적인 속도로 설정되어 상기 스테커를 이동시키도록 한 스테커 속도제어방법.
KR1019970037618A 1997-08-06 1997-08-06 주차설비의 스테커 속도제어방법 KR1002214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7618A KR100221471B1 (ko) 1997-08-06 1997-08-06 주차설비의 스테커 속도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7618A KR100221471B1 (ko) 1997-08-06 1997-08-06 주차설비의 스테커 속도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5491A KR19990015491A (ko) 1999-03-05
KR100221471B1 true KR100221471B1 (ko) 1999-09-15

Family

ID=19517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7618A KR100221471B1 (ko) 1997-08-06 1997-08-06 주차설비의 스테커 속도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147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5491A (ko) 1999-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58748A (en) Synchronized off-shaft loading of elevator cabs
CN105421842B (zh) 一种使用自由载车板的多层循环立体车库
JPH04210703A (ja) 蓄電池による横行台車の駆動装置
JP2012126486A (ja) エレベータの乗かごの位置検出装置
KR100221471B1 (ko) 주차설비의 스테커 속도제어방법
US20210094795A1 (en) Controlling movement of an elevator car of an elevator system
CN111517186B (zh) 一种基于安全距离的多轿厢电梯运行速度计算方法
JP3419089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0245046B1 (ko) 주차설비의 횡행미끄러짐보상방법
US4463833A (en) Elevator system
JPH06144720A (ja) 自走式エレベータ
JPH11134028A (ja) 自走台車の走行システム
KR100259500B1 (ko) 엘리베이터방식 주차설비의 리프트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240064278A (ko) 신속 입출차용 자동주차로봇 제어 시스템
JPH0718851Y2 (ja) 三段式立体駐車装置の安全装置
KR100388036B1 (ko) 무인자동크레인의간섭제어방법
CN116216159A (zh) 一种智能物流仓储用四向穿梭车定位方法
JPH07139209A (ja) 多層循環方式立体駐車装置およびその自動車載置用トレ ー循環移動方法
JP2000118608A (ja) 無人フォ−クの走行制御装置
JPH11200653A (ja) 複合型エレベータパーキング
KR20000024857A (ko) 스태커 주차설비 및 이의 입출고방법
JPH02279877A (ja) 立体駐車装置のケージ位置制御装置
JPH10196147A (ja) 駐車装置
JP2024063583A (ja) エレベーター、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ーの制御方法
JPH0331104A (ja) 電動式移動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8

Year of fee payment: 1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