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0869B1 - 직렬 헤드형 기록 장치 - Google Patents

직렬 헤드형 기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0869B1
KR100220869B1 KR1019970040588A KR19970040588A KR100220869B1 KR 100220869 B1 KR100220869 B1 KR 100220869B1 KR 1019970040588 A KR1019970040588 A KR 1019970040588A KR 19970040588 A KR19970040588 A KR 19970040588A KR 100220869 B1 KR100220869 B1 KR 1002208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ses
pulse number
conveying roller
motor
real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0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8972A (ko
Inventor
기요시 히비노
미쯔아끼 구로까와
요시노리 세노
Original Assignee
다카노 야스아키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카노 야스아키,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카노 야스아키
Publication of KR19980018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89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08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08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 B41J29/393Devices for controlling or analysing the entire machine ; Controlling or analysing mechanical parameters involving printing of test patte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36Blanking or long feeds; Feeding to a particular line, e.g. by rotation of platen or feed roller
    • B41J11/42Controlling printing material conveyance for accurate alignment of the printing material with the printhead; Print regis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0009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control of the transport of the copy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5/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continuous form, e.g. webs
    • B41J15/04Supporting, feeding, or guiding devices; Mountings for web rolls or spi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7/00Mechanisms for manipulating page-width impression-transfer material, e.g. carbon paper
    • B41J17/02Feeding mechanisms
    • B41J17/04Feed dependent on the record-paper feed, e.g. both moved at the same time
    • B41J17/07Feed dependent on the record-paper feed, e.g. both moved at the same time electromagnetically control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9/00Character- or line-spacing mechanisms
    • B41J19/76Line-spac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9/00Character- or line-spacing mechanisms
    • B41J19/76Line-spacing mechanisms
    • B41J19/78Positive-feed mechanisms
    • B41J19/96Variable-spac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48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building-up characters or image elements applicable to two or more kinds of printing or marking processes
    • B41J2/5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building-up characters or image elements applicable to two or more kinds of printing or marking processes from an assembly of identical printing elements
    • B41J2/51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building-up characters or image elements applicable to two or more kinds of printing or marking processes from an assembly of identical printing elements serial printer typ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andling Of Sheets (AREA)
  • Character Spaces And Line Spaces In Printers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 Dot-Matrix Printers And Others (AREA)

Abstract

행간 피치 얼룩의 발생을 극력 저감할 수 있는 직렬 헤드형 기록 장치를 제공한다.
반송 롤러의 일주중에 나타나는 반송 얼룩에 대응한 펄스수 보정치를 펄스수 보정치 유지부(32)에 유지해 두고, 제어부(33)는 상기 펄스수 보정치에 기초하여 개행처의 인사 위치의 목표 펄스수(실수)를 생성하며, 이 개행처의 인사 위치의 목표 펄스수(실수)를 정수화하여 이 정수화한 펄스수를 펄스 모터(11)로 제공해 그 회전량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33)는 현시점의 인사 위치의 목표 펄스수를 상기 모터에 실수가 아닌 정수 펄스수를 공급한 것에 대응하여 수정하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직렬 헤드형 기록 장치
본 발명은 직렬 헤드를 이용한 프린터에서 기록지를 직렬 헤드의 폭에 대응시켜 반송시키는 직렬 헤드형 기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직렬 헤드형 기록 장치의 주요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 직렬 헤드형 기록 장치는 기록지(도시하지 않음)를 반송하는 반송 롤러(1)와, 이 반송 롤러(1)의 근방에 배치된 플래튼(2), 펄스에 따라 소정 각도 회전하는 모터(도시하지 않음), 이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반송 롤러(1)로 전달하기 위한 기어군(3), 기록지에 인사를 행하는 직렬 헤드(4), 이 직렬 헤드(4)를 지지하는 헤드 지지체(5), 이 헤드 지지체(5)에 셋된 잉크 리본 카세트(6), 상기 헤드 지지체(5)를 기록지의 횡방향으로 안내하는 샤프트(7) 및 급지 트레이(8)를 구비하고 있다.
도 2는 인사 기구부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상기 직렬 헤드(4)와 플래튼(2)과의 사이에 기록지(10)가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이 기록지(10)와 직렬 헤드(4)와의 사이에 잉크 리본 카세트(6)의 잉크 리본(6a)이 개재되어 있다. 직렬 헤드(4) 및 잉크 리본 카세트(6)는 도 2의 좌방향(캐리지 주사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잉크 리본(6a)이 급지측 롤(6b)에서 풀려 감는측 롤(6c)로 감아들인다. 그리고, 일행이 인사되면, 상기 반송 롤러(1)가 구동되어 기록지(10)가 개행폭량만큼 이동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도 25는 상기 인사 원리에 의해, 기록지(10)상에 3행과 다음 행의 약 1/3까지의 인사가 이루어진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이와 같은 직렬 헤드(4)를 이용한 기록 장치에서는, 행간 피치 얼룩의 발생이 문제로 되고 있다. 이 행간 피치 얼룩은 기록지 반송계에서의 반송 얼룩에 기인한다. 이 반송 얼룩은 반송 롤러(1)나 기어의 편심 및 위상에 의해 생긴다. 그리고,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록지(10)의 반송량이 필요로 하는 개행폭(직렬 헤드(4) 폭)보다도 크면 행간에 간극이 생기고, 작으면 화상이 원하지 않게 중첩되어 그 부분만 고농도화가 발생하거나 도트의 불일치에 따른 화상의 열화가 발생한다. 또, 도 26은 모식도로서, 승화형 프린터에서는 도면과 같은 잉크층은 보이지 않는다.
도 27은 반송 얼룩과 행간 변동의 관계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여기서, S는 목표 반송량이고, L은 실제의 반송량을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S와 L의 차가 반송 얼룩 F로 된다(F=L-S). 또한, 개행폭을 G로 하면, 0행째와 1행째의 간극은 L1-(L0+G)로 되고, L0=S0+F0, L1=S1+F1, G=S1-S0이기 때문에, 간극은 F1-F0로 나타난다.
도 28은 모터에 공급하는 펄스수와 급지량과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로서, 실선은 이상적인(반송 얼룩이 없는) 이송량을 도시하고, 점선은 실제의 이송량(반송 얼룩이 있는)을 도시하고 있다.
종래의 기록지 반송에서는 이런 종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정밀도 기어나 고정밀도 롤러를 채용하는 것이 시도되고 있지만, 이러한 경우라도 약 ±65㎛의 반송 얼룩이 생겨버린다. 따라서, 고해상도 프린터나 칼라 프린터에서는 이러한 방법을 채용하는 것만으로는 행간 피치 얼룩의 대책으로서 불충분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개행에 즈음하여 전행에 대해 의도적으로 도트 겹침을 행함으로써 행간 간극의 발생을 방지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고, 이러한 방법은 용융형 칼라 프린터에서는 어느 정도의 유효성을 보일 수 있지만, 승화형 칼라 프린터에서는 이와 같은 도트 겹침을 행할 경우, 도트 겹침의 편차량을 편차량 0로부터 중첩 방향으로 약 30㎛ 이하로 하지 않으면 양질의 화상을 얻을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에 감안하여 행간 피치 얼룩의 발생을 극력 저감할 수 있는 직렬 헤드형 기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직렬 헤드형 기록 장치는 기록지를 반송하는 반송 롤러와, 펄스수에 따라 소정 각도 회전하는 모터와, 이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반송 롤러로 전달하기 위한 기어군과, 기록지에 인사를 행하는 직렬 헤드를 구비한 직렬 헤드형 기록 장치에있어서, 상기 반송 롤러에 의한 기록지의 일 개행분의 이송량이 반송 롤러의 원주 길이의 정수배로 설정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직렬 헤드의 폭이 상기 이송량 이상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따르면, 가령 반송 롤러가 편심하고 있더라도 그것이 정수 횟수 회전할 때에는 반송 롤러의 원주 길이에 대응한 분량 만큼 기록지가 반송되게 되기 때문에, 상기 반송 롤러에 의한 기록지의 일 개행분의 이송량이 반송 롤러의 원주 길이의 정수배로 설정되어 있음으로써 반송 롤러에 의한 개행폭을 일정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직렬 헤드의 폭이 상기 이송량에 일치하도록 설정되어 있을 경우에는 중첩 인사가 이루어지지 않는 한편, 상기 직렬 헤드의 폭이 상기 이송량보다도, 예를 들어 1도트분 만큼 클 경우에는 인접하는 행에서 1도트 중첩 인사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기어군중, 적어도 상기 반송 롤러에 직결하는 기어와 이것에 맞물리는 기어와의 감속비가 정수비로 되어도 된다. 이것에 의하면, 적어도 상기 반송 롤러에 직결하는 기어와 이것에 맞물리는 기어에 기인하는 작은 반송 얼룩은 반송 롤러의 일주마다 규칙적으로 확실하게 발생하기 때문에, 상기 반송 얼룩의 영향을 받지 않고 반송 롤러에 의한 개행폭을 일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직렬 헤드형 기록 장치는, 기록지를 반송하는 반송 롤러와, 펄스수에 따라 소정 각도 회전하는 모터와, 이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반송 롤러로 전달하기 위한 기어군과, 기록지에 인사를 행하는 직렬 헤드를 구비한 직렬 헤드형 기록 장치에 있어서, 각 개행에서의 반송 얼룩에 기초하여 상기 반송 얼룩이 저감되도록 기준 위치로부터 각 개행마다 제공된 상기 모터의 회전한 수에 관한 데이타를 유지하는 유지 수단과, 상기 데이타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의 회전을 제어하는 회전 제어 수단 및, 한장의 기록지의 인사가 종료할 때마다 상기 모터를 모든 개행의 토탈 회전한 수 만큼 역회전시키는 역회전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이면, 상기 데이타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의 회전을 제어하는 회전 제어 수단에 의해, 한장의 인사에 있어서 행간 간극 등을 해소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모터의 회전한 수에 관한 데이타는 기준 위치로부터 제공되기 때문에, 한장의 인사 후에 그대로 다음 행의 인사를 행한 것에서는 해당 다음 행의 인자에서는 상기 데이타는 도움이 되지 않는다. 그래서, 한장의 기록지의 인사가 종료할 때 마다 상기 모터를 모든 개행의 토탈 회전한 수 만큼 역회전시켜 상기 기준 위치를 확보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직렬 헤드형 기록 장치는, 반송 롤러의 실제의 변위량에 대응하는 실수치의 목표 펄스수를 L로 하고, 상기 목표 펄스수 L에 대응한 실수치의 펄스수 보정치 H에 의해, 상기 반송 롤러를 구동하는 모터에 제공하는 정수의 공급 펄스수의 기초가 되는 실수치의 공급 펄스수 P를 P=L+H로서 산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직렬 헤드형 기록 장치는, 반송 롤러의 실제의 변위량에 대응하는 실수치의 목표 펄스수를 L로 하고, 상기 반송 롤러를 구동하는 모터에 제공하는 정수의 공급 펄스수의 기초가 되는 실수치의 공급 펄스수를 P로 하여 상기 공급 펄스수 P에 대응한 실수치의 펄스수 보정치 A에 의해, 상기 L을 L=P+A로서 산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직렬 헤드형 기록 장치는, 기록지를 반송하는 반송 롤러와, 펄스수에 따라 소정 각도 회전하는 모터와, 이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반송 롤러로 전달하기 위한 기어군과, 기록지에 인사를 행하는 직렬 헤드를 구비한 직렬 헤드형 기록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어군중 적어도 상기 반송 롤러에 직결하는 기어와 이것에 맞물리는 기어와의 감속비가 정수비로 설정되어 있고, 상기 반송 롤러의 일주를 복수로 구획할 때의 각 구획별 반송 얼룩에 기초하여 해당 반송 얼룩이 저감되도록 각 구획마다 제공된 목표 펄스수에 대한 펄스수 보정치를 유지하는 유지 수단과, 현시점의 인사 위치의 실수치 목표 펄스수에 개행분의 실수치 펄스수를 가산하여 개행처의 기록지 이송량을 나타내는 실수치의 목표 펄스수를 산출하며, 이 개행처의 기록지 이송량을 나타내는 실수치의 목표 펄스수, 이 목표 펄스수에 대응한 상기 구획의 펄스수 보정치를 가산함으로써 상기 모터에 제공하는 정수 펄스수의 기초가 되는 실수치의 공급 펄스수를 산출하는 수단, 상기 실수치의 공급 펄스수로부터 개행분의 펄스수를 산출하고 이것을 정수화하여 정수 펄스수를 생성해 이것을 상기 모터로 공급하는 수단 및, 상기 모터에 실수가 아닌 정수 펄스수를 공급한 것에 대응하여 개행처의 목표 펄스수를 수정하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는, 적어도 상기 반송 롤러에 직결하는 기어와 이것에 맞물리는 기어와의 감속비가 정수비로 설정되기 때문에, 반송 롤러의 일주중에 상기 정수비에 따른 반송 얼룩이 주기적으로 나타난다. 그리고, 이 반송 얼룩에 대응하는 펄스수 보정치를 유지하고, 이것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의 회전을 제어하기 때문에 반송 얼룩을 거의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현시점의 인사 위치의 목표 펄스수를 상기 모터로 실수가 아닌 정수 펄스수로 공급한 것에 대응하여 수정하는 수단을 구비하기 때문에 상기 모터로 실수가 아닌 정수 펄스수를 공급함으로써 오차도 대략 해소된다.
기록지가 제1행째 인사 위치에 반송되기까지 상기 반송 롤러의 기준 위치를 카운트 개시점으로 하여 상기 모터로 제공된 펄스수를 카운트하는 수단과, 상기 펄스수에 대응한 구획에 기초하여 실수치의 펄스수 보정치를 취득하고, 이 펄스수 보정치를 가미하여 제1행째 현시점의 인사 위치의 실수치의 목표 펄스수를 판단하는 수단을 구비하여도 된다.
개행처의 기록지 이송량을 나타내는 실수치의 목표 펄스수가 반송 롤러의 일주분의 실수치의 펄스수를 넘을 경우에, 상기 목표 펄스수로부터 상기 반송 롤러의 일주분의 실수치 펄스수를 감산하고, 이 감산한 나머지의 실수치 목표 펄스수를 이용해 구획을 판단함과 동시에, 상기 감산한 나머지의 실수치 목표 펄스수를 이용하여 보정 후의 공급 펄스수를 산출하도록 되어 있어도 된다.
개행처의 기록지 이송량을 나타내는 실수치의 목표 펄스수가 반송 롤러의 일주분의 실수치 펄스수를 넘을 경우에, 상기 목표 펄스수로부터 상기 반송 롤러의 일주분의 실수치 펄스수를 감산하고, 이 감산한 나머지의 실수치 목표 펄스수를 이용하여 구획을 판단함과 동시에, 상기 반송 롤러의 기준 위치를 카운트 개시점으로 하여 상기 모터로 제공된 펄스수를 이용해 보정 후의 공급 펄스수를 산출하도록 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직렬 헤드형 기록 장치는, 기록지를 반송하는 반송 롤러와, 펄스수에 따라 소정 각도 회전하는 모터와, 이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반송 롤러로 전달하기 위한 기어군과, 기록지에 인사를 행하는 직렬 헤드를 구비한 직렬 헤드형 기록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어군중 적어도 상기 반송 롤러에 직결하는 기어와 이것에 맞물리는 기어와의 감속비가 정수비로 설정되어 있고, 상기 반송 롤러의 일주를 복수로 구획했을 때의 각 구획별 반송 얼룩에 기초하여 해당 반송 얼룩이 저감되도록 각 구획마다 제공된 공급 펄스수에 대한 펄스수 보정치를 유지하는 유지 수단, 현시점의 인사 위치의 실수치 목표 펄스수를 현시점의 인사 위치의 공급 펄스수, 이 공급 펄스수에 대응한 상기 구획의 펄스수 보정치를 가산함으로써 취득하는 수단, 개행처의 기록지 이송량을 나타내는 실수치의 목표 펄스수를 상기 현시점의 인사 위치의 목표 펄스수와 개행분의 실수치 펄스수를 가산하여 취득하는 수단, 상기 개행처의 기록지 이송량을 나타내는 실수치 목표 펄스수를 대용하여 공급 펄스수에 대한 펄스수 보정치를 얻어 개행처의 기록지 이송량을 나타내는 실수치의 공급 펄스수를 취득하는 수단, 개행처의 기록지 이송량을 나타내는 실수치 공급 펄스수로부터 현시점의 인사 위치의 공급 펄스수를 감산하고, 개행분의 실수치 펄스수를 산출하는 수단 및, 상기 개행분의 실수치 펄스수를 정수화하여 이것을 상기 모터로 공급하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직렬 헤드형 기록 장치는, 기록지를 반송하는 반송 롤러와, 펄스수에 따라 소정 각도 회전하는 모터와, 이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반송 롤러로 전달하기 위한 기어군과, 기록지에 인사를 행하는 직렬 헤드를 구비한 직렬 헤드형 기록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어군중 적어도 상기 반송 롤러에 직결하는 기어와 이것에 맞물리는 기어와의 감속비가 정수비로 설정되어 있고, 상기 반송 롤러의 일주를 복수로 구획했을 때의 각 구획별 반송 얼룩에 기초하여 해당 반송 얼룩이 저감되도록 각 구획마다 제공되는 공급 펄스수에 대한 펄스수 보정을 유지하는 유지 수단, 현시점의 인사 위치의 실수치 목표 펄스수를 현시점의 인사 위치의 공급 펄스수, 이 공급 펄스수에 대응한 상기 구획의 펄스수 보정치를 가산함으로써 취득하는 수단, 규정의 개행분의 실수치 펄스수를 상기 현시점의 인사 위치의 실수치의 공급 펄스수에 가산하여 가(假) 개행처의 기록지 이송량을 나타내는 실수치의 공급 펄스수를 산출하는 수단, 상기 가 개행처의 기록지 이송량을 나타내는 공급 펄스수에, 해당 공급 펄스수에 대응한 상기 구획의 펄스수 보정치를 가산하여 가 개행처의 목표 펄스수를 산출하는 수단, 상기 가 개행처의 목표 펄스수로부터 현시점의 인사 위치의 목표 펄스수를 감하여 가 개행분의 실수치 펄스수를 산출하는 수단, 상기 가 개행분의 실수치 펄스수로부터 상기 규정의 개행분의 실수치 펄스수를 감산하여 오차를 산출하는 수단, 상기 오차를 가미하여 개행분의 수정 실수치 펄스수를 산출하는 수단 및, 상기 수정 실수치 펄스수를 정수화하여 이것을 상기 모터로 공급하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직렬 헤드형 기록 장치의 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일반적인 직렬 헤드형 기록 장치의 인사(印寫) 기구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직렬 헤드형 기록 장치의 기록지 반송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기록지 반송 얼룩을 도시하는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직렬 헤드형 기록 장치의 제어계를 도시하는 블럭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직렬 헤드형 기록 장치의 기록지 반송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직렬 헤드형 기록 장치의 제어계를 도시하는 블럭도.
도 8은 본 발명의 펄스수 보정치 유지부의 내용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제어부의 제1 제어예의 일부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10은 도 9에 이어지는 플로우차트.
도 11은 도 10에 이어지는 플로우차트.
도 12는 도 11에 이어지는 플로우차트.
도 13은 도 10의 스텝 15의 구체적 내용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L0의 추정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P1의 추정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16은 L1=L0+Lg에 보정치 H1을 가미하여 얻어지는 K를 이용해, P0+K의 계산으로 P1점이 얻어지는 것을 도시하는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반송 롤러의 일주 검출 센서를 원점으로 한 목표 거리 상당 펄스수와 보정해야 할 양(펄스수 환산)과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
도 1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제어부의 제2 제어예에서의 반송 롤러와 구획과의 관계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제어부의 제2 제어예에서의 펄스수 보정치 유지부의 내용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제어부의 제2 제어예의 일부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21은 도 20에 이어지는 플로우차트.
도 22는 도 21에 이어지는 플로우차트.
도 23은 도 22에 이어지는 플로우차트.
도 24는 스텝 48, 62의 구체적 내용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25는 직렬 헤드에 의한 직렬 인사 원리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26은 행간(行間) 얼룩의 설명도.
도 27은 반송 얼룩과 행간 변동과의 구체적 관계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28은 모터 펄스수와 급지량과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 2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의 제어부의 제1 제어예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3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의 제어부의 제2 제어예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31은 헤드폭과 제3축에 의한 반송 얼룩과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위상차로서 약 0. 2 주기가 생긴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32는 상기 0. 2 주기의 위상차에 의한 행간 변동(① 내지 ①′, ② 내지 ②′ 등)을 나타낸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반송 롤러
2 : 플래튼(platen)
3 : 기어군
4 : 직렬 헤드
5 : 직렬 헤드 지지체
6 : 잉크 리본 카세트
7 : 샤프트(shaft)
8 : 급지 트레이
(제1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 설명의 편의 상 종래예에서 이용한 도 1 및 도 2를 여기서 다시 이용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직렬 헤드형 기록 장치의 주요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 직렬 헤드형 기록 장치는, 기록지(도시하지 않음)를 반송하는 반송 롤러(1)와, 이 반송 롤러(1) 근방에 배치된 플래튼(2), 펄스수에 따라 소정 각도 회전하는 펄스 모터(도시하지 않음), 이 펄스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반송 롤러(1)로 전달하기 위한 기어군(3), 기록지에 인사를 행하는 직렬 헤드(4), 이 직렬 헤드(4)를 지지하는 헤드 지지체(5), 이 헤드 지지체(5)에 셋된 잉크 리본 카세트(6), 상기 헤드 지지체(5)를 기록지의 횡 방향으로 안내하는 샤프트(7) 및, 급지 트레이(8)를 구비하고 있다.
도 2는 인사 기구부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상기 직렬 헤드(4)와 플래튼(2)과의 사이에 기록지(10)가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이 기록지(10)와 직렬 헤드(4)와의 사이에 잉크 리본 카세트(6)의 잉크 리본(6a)이 개재되어 있다. 직렬 헤드(4) 및 잉크 리본 카세트(6)는 도 2의 좌측 방향(캐리지 주사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잉크 리본(6a)이 급지측 롤(6b)에서 풀려 감는측 롤(6c)로 감긴다. 그리고, 일행이 인사되면, 상기 반송 롤러(1)가 구동되고, 기록지(10)가 개행폭분 만큼 이동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동작을 반복해 행함으로써, 한장의 기록지(10) 전체에 인사가 행하여지게 된다.
도 3은 기록지 반송계를 구성하는 반송 롤러(1)와, 기어군(3) 및, 펄스 모터(11)를 도시한 개략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의 직렬 헤드형 기록 장치에 있어서는 반송 롤러(1)의 롤러 지름을 A, 직렬 헤드(4)의 헤드 인자(印字)폭을 B로 하면, 이하의 수학식 1의 관계를 갖고 있다.
Figure kpo00001
단, n은 자연수
여기서, 도 4에서 목표 반송량과 반송 얼룩과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를 도시하고 있다. 이 그래프로부터 알 수 있듯이, 반송 롤러(1)의 일주 길이가 37.7㎜일 경우에 그 일주 내에서는 반송 얼룩이 생기고 있지만, 반송 롤러(1)의 일주 길이인 37.7㎜ 간격으로 반송 얼룩을 보면, 해당 반송 얼룩의 값은 거의 동일하게 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반송 롤러(1)에 의한 기록지(10)의 일개행분의 이송량을 37.7㎜로 하고, 상기 n을 1로 하여 헤드 인자폭 B가 37.7㎜로 설정되는 본 실시의 형태의 구성이면, 개행 간극이 생기는 것이 방지된다.
또, 헤드 인자폭 B를 37.7㎜ 보다, 예를 들어 1도트분 크게 했을 경우에는 인접하는 행에서 1도트 중첩 인사가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일 개행분의 이송량을 반송 롤러(1)의 원주 길이의 1배가 아닌 2배 혹은 3배로 한 바와 같이 정수배로 설정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기어군(3)중 적어도 상기 반송 롤러(1)에 직결하는 제1 기어(3a)와 이것에 맞물리는 제2 기어(3b)의 소(小) 기어부와의 감속비가 정수비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면, 이러한 기어에 기인하는 작은 반송 얼룩은 반송 롤러(1)의 일주마다 규칙적으로 확실하게 발생하기 때문에, 상기 반송 얼룩의 영향을 그다지 받지 않고 반송 롤러(1)에 의한 개행폭을 거의 일정하게 할 수 있다. 물론, 제3 기어(3c)나 제4 기어(3d)에서 감속비가 정수비로 되어 있더라도 좋은 것이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기록지 반송계의 구성이나 헤드 구성 부분은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는 본 실시 형태의 직렬 헤드형 기록 장치의 제어부를 중심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모터 회전수 데이타 유지부(21)는 각 개행에서의 기록지의 반송 얼룩의 측정에 기초하여 상기 반송 얼룩이 저감되도록 기준 위치로부터 각 개행마다 제공된 펄스 모터(11)의 회전한 수(회전량)에 관한 데이타를 유지한다. 상기한 측정이나 데이타의 저장 처리는 제품의 검사 출하 단계에서 행하여진다.
제어부(22)는, 상기 데이타에 기초하여 상기 펄스 모터(11)의 회전을 제어하는 회전 제어를 행한다. 그리고, 상기 펄스 모터(11)의 토탈 회전한 수를 계측하고, 이 토탈 회전한 수의 데이타를 토탈 회전수 데이타 유지부(23)에 저장한다. 또한, 한장의 기록지 인사가 종료할 때마다 상기 토탈 회전수 데이타 유지부(23)로부터 토탈 회전한 수의 데이타를 판독하고, 그 토탈 회전한 수의 분량만큼 상기 펄스 모터(11)를 역회전시키는 역회전 제어를 행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이면, 상기 측정한 반송 얼룩에서 구해진 데이타에 기초하여 상기 펄스 모터(11)의 회전이 제어되기 때문에, 한장의 인사에 있어서 행간 간극 등을 해소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펄스 모터(11)의 회전한 수에 관한 데이타는 기준 위치로부터 제공된 것이기 때문에, 한장의 인사 후에 그대로 다음의 인사를 행함으로써는 해당 다음 인자에서는 상기 데이타가 도움이 되지 않는다. 그래서, 한장의 기록지의 인사가 종료할 때 마다 상기 펄스 모터(11)를 전 개행의 토탈 회전한 수만큼 역회전시키고 있다. 이에 따라, 다음의 인사에 있어서 상기 기준 위치가 확보되기 때문에, 해당 다음 인사에서도 행간 간극 등이 해소되게 된다.
(제3 실시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실시의 형태의 기록지 반송계를 구성하는 반송 롤러(1)와, 기어군(3), 펄스 모터(11), 상기 반송 롤러(1)의 일주의 기준 위치를 검출하는 일주 검출 센서(31) 및, 페이퍼 센서(35)를 도시한 개략의 사시도이다. 상기 기어군(3)중 적어도 상기 반송 롤러(1)에 직결하는 제1 기어(3a)와 이것에 맞물리는 제2 기어(3b)의 소 기어부의 감속비가 정수비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일주 검출 센서(31)는 센서 플레이트부(31a)와 플레이트 센서부(31b)로 이루어진다. 센서 플레이트부(31a)는 하나의 절취부(기준 위치)를 갖는 원반체로 이루어지고, 그 중심이 반송 롤러(1)의 중심축의 연장상에 위치하여 반송 롤러(1) 또는 제1 기어(3a)에 연결됨으로써, 반송 롤러(1)가 1회전하면 1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플레이트 센서부(31b)는 센서 플레이트부(31a)에 형성된 상기의 절취부를 검출했을 때 신호를 발생하는 것으로 반송 롤러(1)의 일주를 통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페이퍼 센서는 인사 개시 위치에서의 기록지 선단(先端)을 검출하도록 되어 있다.
도 7은 본 실시 형태의 직렬 헤드형 기록 장치의 제어부를 중심에 도시한 블럭도이다. 펄스수 보정치 유지부(32)는 상기 반송 롤러(1)의 일주를 복수로 구획했을 때의 각 구획별 기록지(10)의 반송 얼룩의 측정에 기초하여 상기 반송 얼룩이 저감되도록 각 구획마다 제공된 펄스수 보정치(H)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도 8은 반송 롤러의 일주를 32 구획했을 때의 각 구획(각도로 하면 11. 25°: 360/32)의 펄스 보정치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반송 얼룩의 측정 및 이것에 기초하는 펄스수 보정치의 상기 유지부(32)로의 저장은 제품의 출하 단계에서 행하여진다. 또한, 일주 검출 센서(31)의 절취부를 원점으로 한 목표 거리 상당 펄스수와 보정해야 할 양(펄스 환산)과의 관계를 도시하면, 예를 들어 도 17과 같은 그래프가 얻어진다. 또한, 도면중 미세한 파형을 갖는 곡선은 모든 기어의 감속비를 정수비로 했을 경우의 보정 곡선이다. 한편, 보다 원활한 파형을 갖는 곡선은 제2 기어의 소 기어부의 감속비를 정수비로 했을 경우의 보정 곡선이다.
펄스수 카운터(34)는 상기 센서(31)에 의한 반송 롤러의 1주의 검출마다 상기 펄스 모터(11)로 제공되는 펄스수를 계측한다. 제어부(33)는 상기 펄스수에 기초하여 반송 롤러(1)의 회전량에 따른 구획의 펄스수 보정치를 입수하고, 이 펄스 보정치에 기초하여 상기 펄스 모터(11)의 회전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어부(33)의 상세한 제어 내용에 대해서는 후술하지만, 우선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 형태의 직렬 헤드형 기록 장치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적어도 상기 반송 롤러(1)에 직결하는 제1 기어(3a)와 이것에 맞물리는 제2 기어(3b)의 소 기어부의 감속비가 정수비로 되어 있기 때문에, 반송 롤러(1)의 일주중에, 해당 기어의 편심 등에 의한 반송 얼룩이 상기 정수비에 따라 주기적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이 일주 범위에서의 반송 얼룩에 대응하는 각 구획의 펄스수 보정치를 이용해 모터 회전 제어를 행하고 있음으로써, 예를 들어 개행폭이 반송 롤러의 0.45 회전에 대응하는 것과 같을 경우에도, 0.45 회전분에 상당하는 곳의 구획(인사 개시 위치까지 반송 롤러가 소정수 회전하고 있으면, 그것을 가미한 회전분에 상당하는 곳의 구획)에서의 펄스수 보정치에서도 갖고, 적정하게 펄스 모터(11)를 회전시켜 목표로 하는 곳의 반송 롤러 회전량을 얻어 개행 간극을 저감할 수 있다.
다음에, 제어부(33)의 제어에서의 기본적인 사고 방식 및 상기 기어군(3)에서의 감속비나 반송 롤러(1)의 지름 등 구체적 내용에 대해 설명한다.
① 기록지의 목표 위치의 관리는 L(실수치의 목표 펄스수)로 행한다. L은 반송 롤러의 목표 변위이고, 일주 검출 센서에 의한 일주 검출점을 원점으로 하여 펄스수(실수)로 나타내면 0≤L≤4360. 04734의 범위에 있다.
또한, 반송 롤러가 일주하기 위한 펄스수인 상기 4360.04734의 값은 이하와 같이 하여 제공된다. 기어군(3)에서의 전체 감속비 I가 0.0055이고, 모터의 스텝각이 15°라고 하면, 360°/(15°×I)에 의해 구할 수 있다.
또한, 개행폭을 Lg가 95도트 상당분으로 하고, 해상도를 144dpi로 하면, 25.4㎜×95/144도트=16.7569444…㎜와 롤러 지름=12±0으로부터 4360.04734×16.7569444/12π=1938. 0051…이 되어 개행폭분의 펄스수가 1938. 0051이 된다. 실제로는, 롤러 지름을 측정하는 공정을 생략하기 때문에, 그리고 실측 지름과 실제로 반송에 기여하는 지름에 차가 있기 때문에, 개행폭분의 펄스수는 이하와 같이 실측에 의해 구한다. 즉,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상(理想)적인 직선을, 실제의 반송량을 1차 근사한 직선으로 대용한다. 그리고, 이 직선의 기울기로부터 16.7569444에 상당하는 펄스를 구한다.
② 펄스 모터의 펄스수 관리를 P(실수치의 보정 후 펄스수)로 행한다. P는 일주 검출 센서에 의한 일주 검출점을 원점으로 하고, 계산상 얻어지는 펄스수(실수)로 나타내면, 0≤P≤4360. 04734의 범위에 있지만, 모터로 제공할 수 있는 펄스 자체는 정수이다.
③ 도 8에서의 펄스 보정치를 H로 하면, H=P-L로 나타낸다. 따라서, 모터로 제공해야 할 펄스수 P는 P=L+H로 된다.
④ 페이퍼 센서(35)가 기록지의 선단을 검출했을 때의 P를 P0(P0는 정수이다)로 한다. 그리고, 이 P0가 제공되었을 때의 실제의 롤러 변위 L0를 추정한다.
⑤ 일행 보내는 곳 L1은 L1=L0+Lg로 된다. L1일 때, 펄스수가 어떻게 있어야 될지 P1을 추정한다. 개행분의 펄스는 K=P1-P0이지만, 이 K를 정수화한 것을 Ka로 하면, 실제로 모터에 제공하는 펄스수는 정수이기 때문에 펄스수 P1=P0+Ka로 된다.
⑥ 모터에 펄스 Ka를 제공한다. Ka는 정수이기 때문에, 그 때의 롤러 변위는 L1으로는 되지 않는다. 그래서, P1으로부터 L1을 추정한다.
⑦ 이상의 처리를 반복한다.
⑧ 모든 기어의 감속비가 정수비인 경우에는 최초에 반송 롤러의 일주를 검출하여 P를 리셋하고 상기 P0가 얻어진 다음에는 카운트값은 이 제어예에서는 사용하지 않는다. 한편, 일부만이 정수비인 경우는 롤러 일주를 검출할 때 마다 P는 리셋된다. 따라서, 후술의 스텝 32는 이 경우 생략된다.
다음에, 제어부(33)의 상세한 제어 내용을 도 9 내지 도 13의 플로우차트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우선, 급지(給紙) 지령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 1), 급지 지령이 있으면, 펄스 모터(11)의 구동(펄스 공급)을 개시한다(스텝 2). 다음에, 상기 펄스 모터(11)로 공급한 펄스수(P)를 펄스수 카운터(34)에서 카운트한다(스텝 3). 그리고, 상기 반송 롤러(1)의 절취부(기준 위치)가 검출되었는지의 여부를 상기 일주 검출 센서(31)에서 검출한다(스텝 4).
기준 위치가 검출되었다면, P=0의 처리(리셋 처리)를 행한다(스텝 5). 그리고, 페이퍼 센서(35)로 기록 선단이 검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6). 기록지 선단이 검출되었다면, P0=P의 처리를 행한다(스텝 7). 즉, 기록지 선단이 검출되기까지 펄스 모터로 제공된 실제의 펄스수를 P0로 둔다.
한편, 스텝 4에서 기준 위치가 검출되지 않으면, P<4360.04734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8). YES이면, 스텝 6으로 진행하지만, NO이면 에러 처리를 행한다(스텝 9). 또한, 스텝 6에서 기록지 선단이 검출되지 않으면, 스텝 2로 진행하여 펄스 모터의 구동을 속행한다. 또한, 스텝 4로부터 스텝 8로 이행하여 스텝 6으로 진행하고, 스텝 7에서 P0=P로 되는 경우도 상기 P는 일주 검출 센서(31)에서 반송 롤러(1)의 기준 위치가 검출되면서 상기 페이퍼 센서(35)에서 기록지의 선단이 검출되기까지는 상기 펄스 모터로 제공된 정수 펄스수로 된다.
다음에, 가 인덱스 i, j의 산출 처리를 행한다(스텝 10). 상기 i는 i=Int(P0/(4360.04734/32))의 계산으로 구하고, 상기 j는 j=(i+1)-{Int(i+1)/32)}×32의 계산으로 구한다. 상기 j는 i가 0일 때 1, i가 1일 때 2, i가 31일 때 0과 같이 산출된다. 그리고, 이들 i, j는 반송 롤러가 P0펄스분 변위한 곳이 몇 구획째에 대응하는지를 나타내게 되는 것이다.
다음에, 인덱스 i, j 에서의 롤러 변위 L(i) 및 L(j)를 산출한다(스텝 11). 상기 L(i)는 L(i)=(4360.04734/32)×i의 계산에 의해 구하고, L(j)=(4360.04734/32)×j의 계산에 의해 구한다. 즉, 1구획이 4360.04734/32 펄스에 상당하기 때문에, 여기에 구획수를 곱하는 것으로 그 구획에 대응한 롤러 변위량이 구해진다.
다음에, 인덱스 i, j의 펄스수 보정치 H(i), H(j)를 상기 도 8의 보정 후 리스트로부터 구한다(스텝 12). 예를 들어, H(1)이면 -1.2345로 된다.
다음에, 인덱스 i, j의 보정 완료 펄스 P(i), P(j)를 산출한다(스텝 13). P(i)는 P(i)=L(i)+H(i)의 계산에 의해 구하고, P(j)는 P(j)=L(j)+H(j)의 계산에 의해 구한다.
다음에, 0<P<4360.04734를 확보하기 위한 처리를 행한다(스텝 14). 즉, 혹시 P(i)<0이면 P(i)=P(i)+4360.04734의 처리를 행하고, P(j)>4360.04734이면 P(j)=P(j)-4360. 04734의 처리를 행한다.
다음에, P0가 P(i) 내지 P(j)의 구획 내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15). 이 처리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i=31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151). NO이면 스텝 153으로 진행한다. 한편, YES이면 스텝 152의 처리에 의해 원칙으로서 F=0으로 하지만, 혹시 P0-P(i)<0이면, F=-1로 하고, 혹시 P(j)-P0>0이면 F=1로 한 상태에서 스텝 153으로 진행한다.
스텝 153에서는 i=0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YES이면, 원칙으로서 F=0으로 하지만, 혹시 P0>(4360.04734/32)×31이면 F=-1로 하고, 혹시 P0>P(j)이면 F=1로 하고(스텝 154) 리턴한다. 또한, 스텝 153에서 NO로 되었다면 원칙으로서 F=0로 하지만, 혹시 P0<P(i)이면 F=-1로 하고, 혹시 P0>P(j)이면 F=1로 하여(스텝 155) 리턴한다.
또한, 스텝 15(151 내지 155)의 처리에 있어서, F=0으로는 구간 내에 있는 것을 의미하고, F=1로는 구간 외인 것을 의미하며, 그 플러스 마이너스는 떨어진 방향을 의미한다.
상기한 스텝 15의 처리 후 i=(i+F)-32×Int((i+F)/32)의 계산 및 j=(i+F)-32×Int((i+F)/32)의 계산을 행한다(스텝 16). 즉, 구간 내일 때는 i는 i 그대로 j는 j 그대로지만, 구간 외(F=±1)일 때는 구간 수정이 이루어진다.
다음에, 펄스수 P0로부터 롤러 변위 L0를 추정하기 위한 처리를 행한다(스텝 17). 구체적으로는 (L(i), P (i)) (L(j), P(j))로부터 (L0, P0)의 L0를 추정한다. 이 처리는, 도 14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P(i)로부터 P(j)로의 변화가 직선적이라고 간주하고, P(i)에 대한 P0의 시프트량과, L(i)에 대한 L0의 시프트량을 대응시키는 것으로서, 이 L0를 구하고 있다(일차 근사). 즉, L0-L(i) : L(j)-L(i)=P0-P(i) : P(j)-P(i)로부터 L0를 추정할 수 있다.
다음에, 상기 구한 L0에서 직렬 헤드를 주사하여 일행을 인자하는 처리를 행한다(스텝 18). 그 후, 예정행이 인사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스텝 19), 예정행 이 인사했다면 배지(排紙) 처리를 행하고(스텝 24), 예정행이 인자되지 않았다면 다음 인사를 위해 기록지를 1 개행분 진행시켜야 하며, 펄스 모터로 공급해야 할 펄스수를 산출한다.
우선, 개행폭 Lg를 판독한다(스텝 20). 개행폭 Lg는 상술한 바와 같이, 펄스수로 환산하여 1938.0051이다. 그리고, 개행처의 변위 L1을 계산한다(스텝 21). L1은 L1=L0+Lg의 계산식에 의해 얻어진다.
다음에, L1>4360.04734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22). 이것은 개행중에 반송 롤러(1)가 기준 위치를 넘었는지를 조사하는 것에 상당한다. 기준 위치를 넘게 되면, L1을 L1-4360.04734로 한 값으로 치환한다(스텝 23).
다음에, 인덱스 i, j의 산출을 행한다(스텝 25). 이 처리는, 스텝 10과 마찬가지로 i=Int(L1/(4360.04734/32))의 계산으로 구하고, 상기 j는 j=(i+1)-{Int(i+1)/32}×32의 계산으로 구한다. 다음에, 인덱스 i, j에서의 롤러 변위 L(i) 및 L(j)를 산출한다(스텝 26). 이 처리는, 스텝 11과 마찬가지로 L(i)=(4360.04734/32)×i의 계산에 의해 구하고, L(j)=(4360.04734/32)×j의 계산에 의해 구한다.
다음에, 인덱스 i, j의 펄스수 보정치 H(i), H(j)를 구한다(스텝 27). 이 처리는 스텝 12와 마찬가지로 상기 도 8의 리스트로부터 구하면 된다. 그리고, 인덱스 i, j의 보정 완료 펄스 P(i), P(j)를 산출한다(스텝 28). 이 처리는, 스텝 13과 마찬가지로 P(i)=L(i)+H(i)의 계산 및 P(j)=L(j)+H(j)의 계산에 의해 구할 수 있다.
다음에, (L(i), P(i)) (L(j), P(j))로부터 (L1, P1)의 P1을 추정한다(스텝 29). 또, L1은 스텝 21에서 이미 얻어지고 있다. P1의 추정 처리는, 도 15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P(i)로부터 P(j)로의 변화가 직선적이라고 간주하고, L(i)에 대한 L1의 시프트량과 P(i)에 대한 P1의 시프트량을 대응시키는 것으로서, 이 P1을 추정한다 (일차 근사).
다음에, 개행 펄스수 K(실수)를 산출한다(스텝 30). K는 K=P1-P0로부터 구해진다. 롤러를 넘을 경우는 P1-P0<0이 되기 때문에, K=4360.04734+P1-P0로 한다. 다만, 펄스 모터로 제공되는 펄스수는 정수이기 때문에, 정수 펄스수 Ka를 구한다(스텝 31). Ka는 Int(K+0.5)의 처리에 의해 구하고 있다. 또, 0.5의 가산은 사사오입 후의 정수화를 의미하고 있다.
다음에, 실제 개행처의 펄스수 수정을 행한다(스텝 32). 구체적으로는, P1=P0+Ka에 의해 새롭게 P1을 구하고, P1>4360.04734이면 P1=P1-4360.04734의 수정 처리를 행한다. 그리고, 스텝 33에서 상기 펄스수 Ka를 펄스 모터로 제공하고, 모든 기어의 감속비가 정수비인 경우는 P0=P1의 처리를 실행하여(스텝 34) 스텝 10으로 진행한다. 또, 일부 기어만 감속비가 정수비인 경우에는 롤러 1주를 검출할 때 마다 P는 리셋된다. 이 때는 스텝 32는 생략된다. P1은 실 카운트값을 이용한다. 또한, 스텝 32의 수정 처리를 행하는 것은, 상술한 스텝 34에서 P0의 값을 P1의 값으로 대체하는 것으로 스텝 10으로 되돌아갈 때의 처리에 대응함과 동시에, P0를 0<P0<4360.04734의 범위로 받아들여야 하기 때문이다.
또, 이상의 처리 골격을 설명하면, 용지 선단이 검출될 때의 모터로의 공급 펄스수 P0(정수)에 기초하여, 도 8의 보정표를 가미해 실제의 롤러 변위량(실제의 기록지의 위치) L0를 추정하고, 이 L0에 개행폭을 가산하는 것으로 다음 기록지의 위치(롤러 변위량) L1을 산출하며, 이 L1으로 되기 위한 보정 후 공급 펄스수 P1을 도 8의 보정표를 가미하여 구하고, 또 P1-P0에 의해 이번에 공급해야 할 펄스수 K를 구하며, 또 이것을 정수화하여 Ka로서 실제로 모터로 공급해야 할 펄스수로 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펄스 모터로 상기 펄스수 K를 제공할 수 있으면(실제는 할 수 없다), 개행 후의 롤러 변위는 L1이 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정수인 펄스수 Ka에서 펄스 모터를 구동하기 때문에, 실제로는 개행 후의 변위는 L1으로는 되지 않는다. 따라서, 다음 개행을 위한 계산(*L1=*L0+Lg)에서 *L0로서 상기 L1을 제공하면, 실제의 변위와 이것을 관리하기 위한 L과의 오차가 크게 된다. 그래서, 스텝 34에서 P0=P1의 처리를 행하고, 스텝 10으로 되돌아가 스텝 17에 도달하는 것으로서, 다시 P0에 기초하여 L0를 추정하며, 이것을 기준으로서 스텝 21에서 다음 개행처의 변위 L1을 계산하도록 하고 있다. 또, 도 16에서는 L1=L0+Lg에 보정치 H1을 가미하여 얻어지는 K를 이용하고, P0+K의 계산으로 P1점이 얻어지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스텝 7에서, P0=P=136이었을 경우를 가정하면, 스텝 10에서 i=0, j=1로 되고, 스텝 11에서 L(0)=0, L(1)=136.25148로 되며, 스텝 12에서 H(0)=0, H(1)=-1.2345로 되어 스텝 13에서 P(0)=0, P(1)=135.01698로 된다. 따라서, 스텝 14에서는 수정이 없게 된다. 또한, 스텝 15의 구간 판정에서는 P0인 136은 0∼ 135.01698의 구간 내에 없기 때문에 구간 수정이 필요로 된다. 구체적으로는 스텝 153에서 YES로 되고, 스텝 154에서 P0(136)>P(j)=135.01698로 되기 때문에 F=1로 되며, 스텝 16에서 i=(0+1)-32×0=1, j=(1+1)-32×0=2로 된다. 즉, i=1, j=2로 수정된다.
다음에, 상기 제어예(제1 제어예)의 변형예(제2 제어예)에 대해 도 18 및 도 19를 이용해 설명한다. 이 변형예에서의 변경점은 이하와 같다.
① 변경점 1
제1 제어예에서는 반송 롤러의 1주를 구획수 32로 나누고, 모든 구획 전체에서 정확하게 반송 롤러의 일주에 상당하는 모양으로 하고 있었다.
제2 제어예에서는 반송 롤러 1주(이전 예에서는 4360.04734로 설명했지만, 여기서는 롤러 지름, 스텝각, 감속비의 변경에 따라 수치가 변하고 있어 4493.7329 펄스로 한다)를 32로 나눈 값인 140.4291531펄스를 3비트분 시프트업하여 정수로서 취급한다. 즉, 140.4291531×8≒1123.4. 그리고, 끝맺기 좋은 1024로 한다. 그리고, 이 1024를 3비트 시프트다운하여 1구획의 펄스수를 128 펄스로 한다. 반송 롤러의 일주 펄스수인 4493.7329를 128펄스로 나누면, 35.107…로 되기 때문에, 구획수를 36으로 하였다. 즉, 이 경우의 반송 롤러의 일주와 구획의 관계에서는 도 18과 같이, 전 구획의 토탈은 반송 롤러의 일주를 넘어, 제1 구획과 제36 구획이 반송 롤러의 동일 부분을 중첩하여 담당하게 된다. 그리고, 이 경우의 펄스수 보정 테이블은 도 19와 같게 된다.
② 변경점 2
제1 제어예에서는 기록지의 선단을 검출한 시점의 펄스 카운트 P0로부터 L0를 추정하였다.
제2 제어예에서는 이하와 같이 처리하여 얻어지는 L0′를 L0로 한다. 본래, P0=L0+H0지만, L0및 H0는 알 수 없다(H0는 L0에 대해 제공되는 것이기 때문임). 그래서, L0를 대용으로 P0를 사용하여 가 H0인 H0′를 설정한다. L0=P0-H0로부터 L0≒L0′=P0-H0′로 된다. 이 L0′를 L0의 대용으로 한다. 이러한 방법을 채택하면, 오차는 다소 존재하지만 간편한 처리로 완료하게 된다. 또, 오차를 적게 하는 데는 다시 L0′를 사용해 가 H0″를 구하고, L0=P0-H0로부터, L0≒L0″=L0′-H0″로 하여 L0를 L0″로 대용한다. 이것을 반복하는 만큼 오차는 작아진다.
③ 변경점 3
제1 제어예에서는 현시점의 인사 위치의 실수치 목표 펄스수 L0로, 개행분의 실수치 펄스수 Lg를 가산하여 개행처의 기록지 이송량을 나타내는 실수치의 목표 펄스수 L1을 산출하고, 이 L1이 롤러 일주분을 넘는 것이면, L1=L1-롤러의 일주분의 펄스수라는 처리(스텝 23)를 행하였다.
제2 제어예에서는 상기 변경점 1에 의해, 인덱스 구간의 토탈 펄스수가 롤러의 일주 이상인 것을 감안하여, L1이 인덱스 36×128 펄스=4608을 넘으면 L1=L1롤러 일주분의 펄스수로 고친다. 예를 들어, L1=4600 이면, 인덱스 구간은 i=35 ∼ j=36이 사용되게 되고, L1=4610이면, L1>4608에서 L1=4610-4493.7329=116.2671로 하며, 인덱스 구간으로서 i=0 내지 j=1을 사용하도록 한다.
④ 변경점 4
제1 제어예에서는 모터에 실수가 아닌 정수 펄스수를 공급한 것에 대응해 행하는 현시점의 인사 위치의 목표 펄스수의 수정을 스텝 34에서 P0=P1으로 하고, 또 스텝 10 내지 스텝 17의 처리를 거쳐 상기 P0로부터 L0를 추정하는 것으로 행하였다. 요컨대, 개행처의 롤러 변위량 L1=L0+Lg로부터 보정 후 펄스수 P1(실수)을 구하고(P1=L1+H1), 현시점의 펄스수 P0와의 차 K(실수)를 구하여(K=P1-P0), 더욱 정수화하든가 (Ka=Int(K+0.5)), 모터에 실수가 아닌 정수 펄스수를 공급한 것에 대응하여, 정수 펄스수로서의 P1을 구하고(P1=P0+Ka 즉, 정수로의 치환), 이 정수의 P1을 P0로서 P0로부터 L0를 추정한다.
제2 제어예에서는 P1′=P0+Ka(정수로의 치환)로 하고, E=P1′-P1(실수) 계산을 행한다. 즉, 소수점 이하의 부분을 추출하는 것으로, 이것은 실수가 아닌 정수 펄스수를 공급한 것에 의한 차이를 구하는 것에 상당한다. 그리고, L1′ =L1+E의 처리를 행하고, 이 L1′를 L1의 대용으로 하여 이 L1을 L0로서 개행처의 롤러 변위량 L1을 구한다.
⑤ 변경점 5
제1 제어예에서는 스텝 4, 5에서, 반송 롤러의 일주가 검출되었을 때의 카운터의 리셋(이하, 기준점 검출이라 함)은 그 스텝 이후에서 행하는 것은 아니였다. 이 기준점 검출을 행하지 않는 수법은 기어군(3)의 기어비가 모든 기어에서 정수비(롤러축과 다른 축과의 각각의 비)이기 때문에 하등 문제는 없다. 즉, 반송 롤러의 일주분의 펄스수를 모터로 제공하면 반드시 반송 롤러는 일주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롤러의 일주분의 펄스수에는 유효 자릿수로부터 나오는 오차가 있고 또한, 기어군(3)의 모든 기어에 대해 기어비를 정수비로 하는 것은 오히려 바람직하지 않으며(기어의 열화가 촉진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는 제1축과 제2축 혹은 제3축 사이에서 정수비를 확보하기 때문에 반송 롤러의 일주분의 펄스수를 모터로 제공해도 반드시 반송 롤러가 일주한다고는 할 수 없다.
그래서, 제2 제어예에서는 매회 기준점 검출을 행하고, 펄스 카운터를 리셋하도록 하고 있다. 즉, 상기한 변경점 3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L1=L1-롤러 일주분의 펄스수로 고치고, 이 L1으로부터 P1을 추정하여 이 P1에 의해 반송 롤러를 회전시키기 때문이지만, 이 회전중에 롤러의 일주가 검출될 경우에는 펄스 카운터가 리셋되고, 기준점 경과 후의 P1에 의한 반송 롤러 변위량은 상기 펄스 카운터로 구해진다. 그리고, 이 펄스 카운터에 의한 펄스수(P0)로 다시 처리를 반복하도록 하고 있다. 또, 이 경우는 실제로 펄스 카운터로 검출된 P0에 기초하여 L1이 생성되게 되기 때문에 변경점 4에서 진술한 보정된 L1은 불필요하게 된다.
상술한 제2 제어예의 내용을 도 20 내지 도 24의 플로우차트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지 개시 지령 후에 펄스 모터를 구동한다(스텝 41). 상기 펄스 모터로의 공급 펄스수를 항상 카운트하고 있는 펄스수 카운터(34 ; 도 7 참조)는 일주 검출 센서(31)에서 반송 롤러의 기준 위치가 검출될 때 리셋된다(스텝 42). 또, 이 처리는 항상 행하여지고 있다. 페이퍼 센서(35)에서 기록지 선단이 검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43). 검출되었으면, P0=P의 처리를 행한다(스텝 44).
다음에, 펄스 카운트 P0로부터 롤러 변위 L0의 추정 처리에 들어 간다. 우선,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 롤러 변위 L0′(이하, 가 L0′라 함)로서 상기 P0의 값을 넣는다(스텝 45). 다음에, 반복 횟수 m으로서 "1"을 넣는다(스텝 46). 그리고, 인수 변위 Lx로서 상기 가 L0′의 값을 넣고(스텝 47), 인수 변위 Lx로부터 펄스수 보정치 Hx를 구한다(스텝 48). 이 스텝 48은, 구체적으로는 도 24에 도시하는 스텝 73, 74, 75의 처리에 의해 행하여진다. 이들 처리는 제1 제어예에서의 구획 판단 처리에 상당한다.
다음에, 가 펄스수 보정치 H0′로서 상기 Hx의 값을 넣는다(스텝 49). 그리고, 상기 P0과 H0′에 의해 추정 L0를 구한다(스텝 50). 다음에, 상기 반복 횟수 m이 소정 횟수 N이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51). 소정 횟수로 되어 있지 않으면 추정 L0를 가 L0'로 두고(스텝 53), m을 인크리먼트시켜(스텝 54) 스텝 47로 되돌아가며, 추정 L0의 생성 처리를 반복한다. 한편, 소정 횟수로 된 것이면, 추정 L0를 L0로 둔다(스텝 52).
상술한 스텝 45 내지 스텝 52의 처리는 제1 제어예에서의 스텝 10 내지 17의 처리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상술한 변경점 2의 구체적 내용을 도시하는 것이기도 하다.
다음에, 개행처의 롤러 변위 L1의 계산 처리를 행한다. 즉,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1행을 인자한(스텝 55) 후, 예정행을 인자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스텝 56) 예정행을 인자했으면 배지하고, 예정행에 도달하지 않았다면 개행폭 Lg를 판독하여(스텝 57) L0와 Lg를 가산함으로써 개행처 롤러 변위 L1을 구한다(스텝 58). 그리고, 개행중에 최대 인덱스(36) 변위 L1(36)=4608을 넘는지의 여부(도 19 참조)를 판단한다(스텝 59). 넘을 경우, 즉 개행처로의 종이 이송에서 반송 롤러의 기준 위치가 일주 검출 센서에서 검출되게 될 경우, L1=L-Lr의 처리(스텝 60)를 행한 상태에서 스텝 61로 진행하는 한편, 넘지 않을 경우에는 그대로 스텝 61로 진행한다. 또, 상기 Lr은 롤러 일주분의 변위(4493.7329 펄스)이다.
상술한 스텝 59, 60의 처리는 상기 변경점 3에 대응하는 처리이다.
다음에,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행처의 롤러 변위(개행처의 기록지 이송량을 나타내는 실수치의 목표 펄스수)로부터 개행처 펄스수(상기 모터에 제공하는 정수 펄스수가 기초가 되는 실수치의 보정후 펄스수) P1을 산출한다. 우선, 도 22의 스텝 60에서 구한 L1을 가 L1으로 하여 그 값을 인수 Lx로 도입한다(스텝 61). 인수 변위 Lx로부터 펄스수 보정치 Hx를 구한다(스텝 62). 이 스텝 62는, 구체적으로는 도 24에 도시하는 스텝 73, 74, 75의 처리에 의해 행하여진다. 다음에, H1으로서 Hx의 값을 넣는다(스텝 63). 다음에, 개행처 펄스수 P1(실수)을 P1=L1+H1의 처리에 의해 구한다(스텝 64). 다음에, 개행처 펄스수 K(실수)를, K=P1-P0의 처리에 의해 구한다(스텝 65). 또, 0>K이면, K에 4493.7329를 더한다. 다음에, 실제의 개행 펄스 Ka(정수)를 Ka=Int(K+0.5)의 처리에 의해 구한다(스텝 66). 다음에, 사사오입하여 오차 E를 E=Ka-K의 처리에 의해 구한다(스텝 67). 그리고, 개행처 펄스수 P1의 정수화에 수반하는 L1의 수정을 L1=L1+E의 처리에 의해 행한다(스텝 68).
그리고, Ka의 수만큼 펄스를 모터로 공급하는 처리를 개시하고(스텝 69), 이 펄스 공급중에 반송 롤러의 기준 위치가 일주 검출 센서(31)에서 검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70). 검출되었다면, P0=P(펄스수 카운터 34에서 카운트한 카운트수)의 처리를 행하고(스텝 71) 스텝 45로 진행한다. 한편, 검출되지 않았다면 L1=L0의 처리를 행하고(스텝 71) 스텝 55로 진행한다.
상술한 스텝 61 내지 스텝 66의 처리는 제1 제어예의 스텝 25 내지 스텝 31에 상당한다. 또한, 스텝 67 및 스텝 68은 제1 제어예의 스텝 34→스텝 10 이후의 P에 기초하여 다시 L의 산출을 간략화한 것으로, 변경점 4에 대응하는 처리이다. 또한, 스텝 71은 변경점 5에 대응하는 처리이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구획수를 32 또는 36으로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반송 롤러의 일주의 펄스수에 대응한 4361 또는 4494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반송 롤러만(무부하 상태)으로 기록지의 반송을 실측하고, 일차 근사에 의해 기준으로 되는 개행 펄스 Lg를 구했지만, 한장의 인사의 초기 수행에 걸쳐서는 급지 롤러가 세로로 이동하여 기록지 반송의 부하로 되기 때문에, 0.04% 정도의 슬립이 발생한다. 이것은 1행을 16.7㎜로 했을 경우, 16.68㎜의 슬립에 상당하고 이것을 펄스수로 환산하면, 약 0.8펄스에 상당한다.
따라서, 이 수행에 걸쳐서는 기준 개행 펄스 Lg를 상당량 △Pg 더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한장의 후반에서는 반송 롤러(캡스턴 롤러)만으로 반송하기 때문에, 기준 개행 펄스의 변경은 불필요하다.
또한, 중간의 1행에서는 급지 롤러가 부하로 되어 있는 상태로 되지 않은 상태가 계속해서 일어난다. 이 경우는 기준 펄스 Lg를 상당량 △Pg/2(분모는 상태가 차지하는 비율에 따른 수치라고 하면 된다) 가하여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4 실시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제3 실시 형태에서는, 반송 롤러의 실제의 변위량에 대응하는 실수치의 목표 펄스수를 L로 하고, 상기 목표 펄스수 L에 대응한 실수치의 펄스수 보정치 H에 의해, 상기 반송 롤러를 구동하는 모터에 제공하는 정수의 공급 펄스수의 기초로 되는 실수치의 공급 펄스수 P를 P=L+H에서 산출하며, 현행의 P와 다음 행의 P에 의해 개행분의 펄스수를 산출하도록 한데 대해, 본 제4 실시 형태에서는 반송 롤러의 실제의 변위량에 대응하는 실수치의 목표 펄스수를 L로 하고, 상기 반송 롤러를 구동하는 모터에 제공하는 정수의 공급 펄스수의 기초가 되는 실수치의 공급 펄스수를 P로 하며, 상기 공급 펄스수 P에 대응한 실수치의 펄스수 보정치 A에 의해, 상기 L을 L=P+A에서 산출하고, 상기 P를 상기 모터로 제공해도 실제로는 L에 대응한 변위량으로서 현행의 L과 다음행의 L에 의해 개행분의 펄스수를 산출한다. 상기 A는 도 8과 마찬가지의 형식으로 기억부에 저장해 두면 된다.
도 29는 본 실시 형태의 제1 제어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로서, 상기 도 9 내지 도 13에 대응시켜 나타냄과 동시에, 설명의 중첩을 피하기 위해 간략화하여 나타내고 있다. 즉, 우선 도 9의 스텝 7까지의 처리와 마찬가지로 하여, P0=P의 처리를 행한다(스텝 101). 다음에, L0=P0+A0의 처리를 행한다(스텝 102). 즉, 모터로 제공한 펄스 P0에 기초하여 이 P0에 대응하는 A0를 취득하고, 실제의 롤러 변위량 L0를 취득한다. 그리고, L1=L0+Lg의 처리에 의해, 개행처의 실제의 롤러 변위량을 취득한다(스텝 103). 다음에, P1대신에 L1을 이용해 인덱스 i, j를 구한다(스텝 104). 그리고, L(i)=P(i)+A(i) 및 L(j)=P(j)+A(j)의 계산 처리를 행한다(스텝 105). 더욱이, (L(i), P(i)), (L(j), (P(j))로부터 일차 근사에 의해 L1일 때의 P1을 구한다(스텝 106).
다음에, K=P1-P0의 연산에 의해, 개행분의 실수치의 펄스수를 구한다(스텝 107). 그리고, K를 사사오입 정수화하여 Ka를 구하고(스텝 108), Ka의 개행을 행한다(스텝 109). 또한, P1=P0+Ka의 처리를 행하고(스텝 110), P0=P1으로 하여(스텝 111) 스텝 101로 되돌아간다.
또한, 이러한 제어가 행해지는 직렬 헤드형 기록 장치에서도, 기록지를 반송하는 반송 롤러와, 펄스수에 따라 소정 각도 회전하는 모터와, 이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반송 롤러로 전달하기 위한 기어군과, 기록지에 인사를 행하는 직렬 헤드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기어군중 적어도 상기 반송 롤러에 직결하는 기어와 이것에 맞물리는 기어와의 감속비가 정수비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구성적으로는 도 7과 같이 구성되어 있고, 상기한 각 스텝에 대응한 처리를 실행하는 수단을 제어부(33)가 실현하도록 되어 있으면 된다.
도 30은, 본 실시 형태의 제1 제어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로서, 상기 도 20 내지 도 24에 대응시켜 나타냄과 동시에, 설명의 중첩을 피하기 위해 간략화하여 도시하고 있다. 즉, 우선 도 20의 스텝 44까지의 처리와 마찬가지로 해서, P0=P의 처리를 행한다(스텝 121). 다음에, L0=P0+A0의 처리를 행한다(스텝 122). 다음에, 가 P1=P0+K′의 처리에 의해, 개행처의 가 공급 펄스수를 취득한다(스텝 123). 또, K′는 기준 개행 펄스로서, 어떻게 정해도 좋지만, 여기서는 개행폭 Lg를 대용하고 있다. 다음에, 가 L1=가 P1+가 A1의 처리에 의해, 상기 가 P1의 펄스를 모터로 제공했다고 가정했을 때의 실제의 롤러 변위량을 산출한다(스텝 124).
그리고, 가 Lg=가 L1-L0의 처리(스텝 125) 및 E=가 Lg-Lg의 처리(스텝 126)에 의해 개행폭 Lg의 오차 E를 구하고, 이 오차 E를 가미해 상기 K′로 보정(K=K′-E)하여 개행분의 실수의 펄스수 K를 구한다(스텝 127). K를 사사오입 정수화하여 Ka를 구하고(스텝 128), Ka의 개행을 행한다(스텝 129). 또한, P1=P0+Ka의 처리를 행하고(스텝 130), P0=P1으로 하여(스텝 131) 스텝 121로 되돌아간다.
또, 이러한 제어가 행해지는 직렬 헤드형 기록 장치에서도, 기록지를 반송하는 반송 롤러와 펄스수에 따라 소정 각도 회전하는 모터와, 이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반송 롤러로 전달하기 위한 기어군과, 기록지에 인사를 행하는 직렬 헤드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기어군중 적어도 상기 반송 롤러에 직결하는 기어와 이것에 맞물리는 기어와의 감속비가 정수비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구성적으로는 도 7과 같이 구성되어 있고, 상기한 각 스텝에 대응한 처리를 실행하는 수단을 제어부(33)가 실현하게 되면 좋다.
그런데, 기어의 열화가 촉진되기 때문에, 모든 기어의 감속비를 롤러에 대해 정수비로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상술의 실시 형태에서는 적어도 롤러축과 그것에 맞물리는 소 기어의 감속비는 정수로 했다.
그러나, 제3축의 반송 얼룩도 ±6㎛ 정도로 무시할 수 없다. 그래서, 제3축이 1주한 경우의 반송량 l3(주기)으로 했을 경우, l3와 인사폭을 최적화하도록 제3축의 롤러축에 대한 감속비를 결정하면, 반송 얼룩을 꽤 경감할 수 있고, 더구나 정수비가 아니기 때문에 기어의 열화를 촉진하지 않는다.
1주의 거리 l3=φ12.15π×(13/52)×(19/41)=4.4222㎜
(52) → 제1축의 대 기어의 톱니수
(13) → 제1축의 소 기어의 톱니수
(41) → 제2축의 대 기어의 톱니수
(19) → 제2축의 소 기어의 톱니수
인사폭 B=95dot×25.4㎜/144dpi=16.7569㎜로 된다. 또한, B/l3=3.79로 되고 따라서, 위상차는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약 0.2주기로 된다.
위상차 0.2×l3로 생각 할 수 있는 행간 변동은 도 32에 있어서 ① 내지 ①′, ② 내지 ②′ …⑤ 내지 ⑤′에 상당하고, 계산 상 행간 변동은 6㎛×1.175=7㎛가 된다. 따라서, 위상차 0으로 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고, B/l3=n(n은 정수)으로 되도록 롤러 지름, 제3축의 감속비, 인사폭을 결정한다. 또, 1.175는 계산상 구해지는 위상에 의한 최대의 영향을 나타내는 승수치이다.
여기서, 제3축의 감속비와 롤러 지름이 프린터에서 결정되도록 하면, 인사폭을 조정하면 된다.
mdot×25.4㎜/144dpi=n·4.4222㎜
n을 3.79에 가까운 4로 하면, m=100dot
n을 3.79에 가까운 3으로 하면, m=75dot
이에 따라, 기어비를 정수화할 수 없어도 반송 얼룩의 영향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제4축, 제5축에도 적용하면 된다. 롤러축에 가까운 축만큼 우선되어야된다. 또, 제3축에 대응하여 인사폭을 설정했을 경우, 제4축 등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감속비 등을 설정하면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기록지의 반송량이 필요로 하는 개행폭 보다도 클 경우에 생기는 행간 간극 혹은 작을 경우에 생기는 화상의 원하지 않은 중첩을 저감하고, 화질이 향상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Claims (13)

  1. 기록지를 반송하는 반송 롤러와, 펄스수에 따라 소정 각도 회전하는 모터와, 이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반송 롤러로 전달하기 위한 기어군과, 기록지에 인사(印寫)를 행하는 직렬 헤드를 구비한 직렬 헤드형 기록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반송 롤러에 의한 기록지의 일 개행분의 이송량이 반송 롤러의 원주 길이의 정수(整數)배로 설정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직렬 헤드의 인자폭이 상기 이송량 이상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렬 헤드형 기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군 중 적어도 상기 반송 롤러에 직결하는 기어와 이것에 맞물리는 기어와의 감속비가 정수비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렬 헤드형 기록 장치.
  3. 기록지를 반송하는 반송 롤러와, 펄스수에 따라 소정 각도 회전하는 모터와, 이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반송 롤러로 전달하기 위한 기어군과, 기록지에 인사를 행하는 직렬 헤드를 구비한 직렬 헤드형 기록 장치에 있어서, 각 개행에서의 반송 얼룩에 기초하여 상기 반송 얼룩이 저감되도록 기준 위치로부터 각 개행마다 제공된 상기 모터의 회전한 수에 관한 데이타를 유지하는 유지 수단과, 상기 데이타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의 회전을 제어하는 회전 제어 수단과, 한장의 기록지의 인사가 종료할 때 마다 상기 모터를 모든 개행의 토탈 회전한 수만큼 역회전시키는 역회전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렬 헤드형 기록 장치.
  4. 반송 롤러의 실제의 변위량에 대응하는 실수치의 목표 펄스수를 L로 하고, 상기 목표 펄스수 L에 대응한 실수치의 펄스수 보정치 H에 의해, 상기 반송 롤러를 구동하는 모터에 제공하는 정수의 공급 펄스수의 기초가 되는 실수치의 공급 펄스수 P를 P=L+H에서 산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렬 헤드형 기록 장치.
  5. 반송 롤러의 실제의 변위량에 대응하는 실수치의 목표 펄스수를 L로 하고, 상기 반송 롤러를 구동하는 모터에 제공하는 정수의 공급 펄스수의 기초가 되는 실수치의 공급 펄스수를 P로 하고, 상기 공급 펄스수 P에 대응한 실수치의 펄스수 보정치 A에 의해 상기 L을 L=P+A에서 산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렬 헤드형 기록 장치.
  6. 기록지를 반송하는 반송 롤러와, 펄스수에 따라 소정 각도 회전하는 모터와, 이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반송 롤러에 전달하기 위한 기어군과, 기록지에 인사를 행하는 직렬 헤드를 구비한 직렬 헤드형 기록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어군 중 적어도 상기 반송 롤러에 직결하는 기어와 이것에 맞물리는 기어와의 감속비가 정수비로 설정되어 있고, 상기 반송 롤러의 일주(一周)를 복수로 구획했을 때의 각 구획별 반송 얼룩에 기초하여 당해 반송 얼룩이 저감되도록 각 구획별로 제공된 목표 펄스수에 대한 펄스수 보정치를 유지하는 유지 수단과, 현시점의 인사 위치의 실수치의 목표 펄스수에, 개행분의 실수치 펄스수를 가산하여 개행처의 기록지 이송량을 나타내는 실수치의 목표 펄스수를 산출하고, 이 개행처의 기록지 이송량을 나타내는 실수치의 목표 펄스수와, 이 목표 펄스수에 대응한 상기 구획의 펄스수 보정치를 가산함으로써, 상기 모터에 제공하는 정수 펄스수의 기초가 되는 실수치의 공급 펄스수를 산출하는 수단과, 상기 실수치의 공급 펄스수로부터 개행분의 펄스수를 산출하고, 이것을 정수화하여 정수 펄스수를 생성해 이것을 상기 모터로 공급하는 수단, 및 상기 모터로 실수가 아닌 정수 펄스수를 공급한 것에 대응하여, 개행처의 목표 펄스수를 수정하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렬 헤드형 기록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기록지가 제1행째의 인사 위치에 반송되기까지 상기 반송 롤러의 기준 위치를 카운트 개시점으로 하여 상기 모터에 제공된 펄스수를 카운트하는 수단과, 상기 펄스수에 대응한 구획에 기초하여 실수치의 펄스수 보정치를 취득하고, 이 펄스수 보정치를 가미하여 제1행째의 현시점의 인사 위치의 실수치의 목표 펄스수를 판단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렬 헤드형 기록 장치.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개행처의 기록지 이송량을 나타내는 실수치의 목표 펄스수가 반송 롤러의 일주분(一周分)의 실수치의 펄스수를 초과할 경우에, 상기 목표 펄스수로부터 상기 반송 롤러의 일주분의 실수치의 펄스수를 감산한 나머지 실수치의 목표 펄스수를 이용하여 구획을 판단함과 동시에, 상기 감산한 나머지 실수치의 목표 펄스수를 이용하여 보정 후의 공급 펄스수를 산출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렬 헤드형 기록 장치.
  9.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개행처의 기록지 이송량을 나타내는 실수치의 목표 펄스수가, 반송 롤러의 일주분의 실수치의 펄스수를 초과할 경우에 상기 목표 펄스수로부터 상기 반송 롤러의 일주분의 실수치의 펄스수를 감산하고, 이 감산한 나머지 실수치의 목표 펄스수를 이용하여 구획을 판단함과 동시에, 상기 반송 롤러의 기준 위치를 카운트 개시점으로 하여 상기 모터에 제공된 펄스수를 이용해 보정 후의 공급 펄스수를 산출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렬 헤드형 기록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감속비가 전부 정수비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렬 헤드형 기록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일부만 감속비가 정수비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렬 헤드형 기록 장치.
  12. 기록지를 반송하는 반송 롤러와, 펄스수에 따라 소정 각도 회전하는 모터와, 이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반송 롤러에 전달하기 위한 기어군과, 기록지에 인사를 행하는 직렬 헤드를 구비한 직렬 헤드형 기록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어군 중 적어도 상기 반송 롤러에 직결하는 기어와 이것에 맞물리는 기어와의 감속비가 정수비로 설정되어 있고, 상기 반송 롤러의 일주를 복수로 구획했을 때의 각 구획별 반송 얼룩에 기초하여 당해 반송 얼룩이 저감되도록 각 구획별 제공된 공급 펄스수에 대한 펄스수 보정치를 유지하는 유지 수단과, 현시점의 인사 위치의 실수치의 목표 펄스수를, 현시점의 인사 위치의 공급 펄스수와, 이 공급 펄스수에 대응한 상기 구획의 펄스수 보정치를 가산함으로써 취득하는 수단과, 개행처의 기록지 이송량을 나타내는 실수치의 목표 펄스수를, 상기 현시점의 인사 위치의 목표 펄스수와 개행분의 실수치 펄스수를 가산하여 취득하는 수단과, 상기 개행처의 기록지 이송량을 나타내는 실수치의 목표 펄스수를 대용해 공급 펄스수에 대한 펄스수 보정치를 얻어 개행처의 기록지 이송량을 나타내는 실수치의 공급 펄스수를 취득하는 수단과, 개행처의 기록지 이송량을 나타내는 실수치의 공급 펄스수로부터 현시점의 인사 위치의 공급 펄스수를 감산하여 개행분의 실수치 펄스수를 산출하는 수단, 및 상기 개행분의 실수치 펄스수를 정수화하여 이것을 상기 모터로 공급하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렬 헤드형 기록 장치.
  13. 기록지를 반송하는 반송 롤러와, 펄스수에 따라 소정 각도 회전하는 모터와, 이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반송 롤러에 전달하기 위한 기어군과, 기록지에 인사를 행하는 직렬 헤드를 구비한 직렬 헤드형 기록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어군 중 적어도 상기 반송 롤러에 직결하는 기어와 이것에 맞물리는 기어와의 감속비가 정수비로 설정되어 있고, 상기 반송 롤러의 일주를 복수로 구획했을 때의 각 구획별 반송 얼룩에 기초하여 당해 반송 얼룩이 저감되도록 각 구획별 제공된 공급 펄스수에 대한 펄스수 보정을 유지하는 유지 수단과, 현시점의 인사 위치의 실수치의 목표 펄스수를 현시점의 인사 위치의 공급 펄스수와, 이 공급 펄스수에 대응한 상기 구획의 펄스수 보정치를 가산함으로써 취득하는 수단과, 규정 개행분의 실수치 펄스수를 상기 현시점의 인사 위치의 공급 펄스수에 가산하여 가(假) 개행처의 기록지 이송량을 나타내는 실수치의 공급 펄스수를 산출하는 수단과, 상기 가 개행처의 기록지 이송량을 나타내는 실수치의 공급 펄스수에, 당해 공급 펄스수에 대응한 상기 구획의 펄스수 보정치를 가산하여 가 개행처의 목표 펄스수를 산출하는 수단과, 상기 가 개행처의 목표 펄스수로부터 현시점의 인사 위치의 목표 펄스수를 감하여 가 개행분의 실수치 펄스수를 산출하는 수단과, 상기 가 개행분의 실수치 펄스수로부터 상기 규정의 개행분의 실수치 펄스수를 감산하여 오차를 산출하는 수단과, 상기 오차를 가미하여 개행분의 수정 실수치 펄스수를 산출하는 수단, 및 상기 수정 실수치 펄스수를 정수화하여 이것을 상기 모터로 공급하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렬 헤드형 기록 장치.
KR1019970040588A 1996-08-26 1997-08-25 직렬 헤드형 기록 장치 KR1002208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224131 1996-08-26
JP8224131A JPH1058785A (ja) 1996-08-26 1996-08-26 シリアルヘッド型記録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8972A KR19980018972A (ko) 1998-06-05
KR100220869B1 true KR100220869B1 (ko) 1999-09-15

Family

ID=16809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0588A KR100220869B1 (ko) 1996-08-26 1997-08-25 직렬 헤드형 기록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H1058785A (ko)
KR (1) KR100220869B1 (ko)
CN (1) CN1123453C (ko)
TW (1) TW39611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33632A1 (de) * 2000-08-23 2002-03-07 Heidelberger Druckmasch Ag Verfahren zur Minimierung von Über-oder Unterfüllungen bei der Druckvorlagenherstellung
KR20030060190A (ko) * 2002-01-07 2003-07-16 삼성전자주식회사 서보모터 제어방법
JP2012041182A (ja) * 2010-08-23 2012-03-01 Seiko Epson Corp 搬送装置、記録装置及び搬送方法
CN110065322A (zh) * 2018-01-24 2019-07-30 北大方正集团有限公司 套印处理方法、系统、计算机设备和可读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396115B (en) 2000-07-01
JPH1058785A (ja) 1998-03-03
CN1176894A (zh) 1998-03-25
KR19980018972A (ko) 1998-06-05
CN1123453C (zh) 2003-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64549B1 (en) Calibration of a media advanced system
EP1852267B2 (en) Printing apparatus and method
EP2134549B1 (en) Tape drive
US6126345A (en) Sheet feeding device and correction method of sheet feed amount in the sheet feeding device
US20080219743A1 (en) Tape drive
KR100220869B1 (ko) 직렬 헤드형 기록 장치
JPH1149399A (ja) シート搬送装置およびシート搬送装置におけるシート搬送量の補正方法
US5529414A (en) Paper feeding apparatus for printer
EP1782960B1 (en) Drive mechanism for a feed roller in a printer
EP3680107A1 (en) Printing device and meandering amount detecting method
US20020018106A1 (en) Process and printer with masking of defects
EP0451321B1 (en) Paper position control in a recorder
JP3480604B2 (ja) ラスタ式記録装置
US6889607B2 (en) Method for drawing a printing master onto a printing form cylinder
US6126346A (en) Serial head type recorder
EP3328652A1 (en) Printing apparatus and method
JP2004114618A (ja) 搬送装置、印刷装置、搬送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US20020195010A1 (en) Motor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time recorder having same and impact type printing apparatus
JPH0825699A (ja) ラスタ式記録装置
JPH08267864A (ja) プリンタ装置の紙送り装置
JP2000085185A (ja) 記録装置
JP2000238356A (ja) シート材搬送方法及び装置
JP2839996B2 (ja) 用紙送り装置
JPH0890862A (ja) プリンタの紙送り装置
JPH0839486A (ja) 用紙切断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0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