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0629B1 - 봉투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봉투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0629B1
KR100220629B1 KR1019970039023A KR19970039023A KR100220629B1 KR 100220629 B1 KR100220629 B1 KR 100220629B1 KR 1019970039023 A KR1019970039023 A KR 1019970039023A KR 19970039023 A KR19970039023 A KR 19970039023A KR 100220629 B1 KR100220629 B1 KR 1002206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envelope
feeding
print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9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6461A (ko
Inventor
심관보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700390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0629B1/ko
Publication of KR19990016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64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0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06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28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printing downwardly on flat surfaces, e.g. of books, drawings, boxes, envelopes, e.g. flat-bed ink-jet prin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6Means for preventing paper jams or for facilitating their remov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10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 B41J13/103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for the sheet feeding section

Landscapes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별적인 측벽 두께를 갖는 용지의 급지시 급지불량을 제거하여 인쇄면의 오염을 최소화한 봉투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봉투 공급장치는 용지를 인쇄하는 위치까지 이송하도록하는 급지수단과, 급지수단에 위치하고 용지의 아래에 위치하여 임의의 탄성력을 갖고 용지의 일측을 지지하는 지지수단과, 용지를 배출하는 배출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봉투 공급장치는 프린터에 봉투를 급지하는 경우에 있어서, 스큐현상 및 잼의 발생을 제거하여 인쇄면의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봉투 공급장치
본 발명은 프린터와 같은 문서 인쇄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별적인 측벽 두께를 갖는 용지의 급지시 급지불량을 제거하여 인쇄면의 오염을 최소화한 봉투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린터는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 PC)등과 연결되어 전송라인을 통해 문자 또는 화상 데이터를 용지상에 인쇄하여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그러한 프린터중 잉크젯 프린터는 잉크를 용지에 분사시켜 정보를 출력하고, 레이저 프린터는 레이저의 조사에 의해 용지상에 정보를 출력한다.
용지를 헤드가 인쇄하도록 급지하고 아울러 인쇄된 용지를 배지하는 급지 및 배지 메카니즘은 세트 메이커(set maker)에 따라 다소간 차이가 있지만 기본적으로 유사한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프린터의 급지 및 배지 메카니즘의 방식으로는 크게 L 방식과 U방식으로 나뉘어 질 수 있다. 이를 세트 메이커와 결부하여 예를 들면, 삼선전자와 케논사의 프린터는 상단 배면에서 급지하고 하단전면으로 배지하는 L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이와는 다르게, LG전자와 동경전자의 프린터는 상단 배면에서 급지하고 상단 배면으로 배지하는 U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U 방식으로는 휴렛 패커드 (HP)사에서 채택하고 있는 전면 하단에서 급지하고 전면 상단에서 배지하는 것도 있다.
현재 시판되고 있는 프린터는 다양한 용도의 문서인쇄를 위하여 전용인쇄용지(A4용지, B5용지 등) 뿐만 아니라 봉투와 같은 다양한 규격의 인쇄용지에 정보를 출력하도록하고 있다. 봉투를 급지하는 경우에 있어서, 종래의 프린터의 급지 및 배지 메카니즘은 봉투의 측벽부 단차 및 차별적인 강성을 고려치 않는 문제로 봉투의 인쇄면에 스큐(skew) 현상 급지 불량으로 인한 잉크오염을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첨부한 제1도 내지 제5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차별적인 측벽 높이를 갖는 통상의 봉투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종단면도(A) 및 평면도(B)를 도시한다.
도시한 봉투는 미국표준 #10규격의 봉투로서 수납부(1a)와 덮개(1b)로 이루어진다. 덮개(1b)로 덮어진 봉투는 "A" 영역과 "B"영역에서 차별적인 측벽 두께를 갖는다. 수납부(1a)의 측벽 두께를 t라고 한다면, 덮개(1b)가 덮여진 수납부(1a)의 "A" 영역은 2t의 측벽 두께에 이른다. 따라서, 봉투의 "A"영역과 "B"영역 사이에는 측벽 높이에서 단차를 갖는다.
제2도는 통상의 프린터에서 인쇄용지의 급지 및 배지 메카니즘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제3도는 제2도에 도시된 인쇄용지의 급지 및 배지 메카니즘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제3도에 있어서, 크레들(14) 및 패드 홀더(6)는 도면에서 생략한다.
제3도를 참조하면, 통상의 프린터에서 인쇄용지의 급지 및 배지 메카니즘은 인쇄용지(1)가 안착되는 프레이트 빅업(2)과, 회전운동에 의해 인쇄용지(1)를 잉크분사지점까지 이송시키는 어드밴스 롤러(4)와, 어드밴스 롤러(4)의 아래에 위치한 패드 홀더(6)와, 인쇄용지(1)가 인쇄될 때 인쇄용지(1)를 아래에서 지지하는 어드밴스 프레임(8)과, 어드밴스 프레임(8)에 인접하여 인쇄된 용지를 배출하도록 하는 이젝트 롤러(10)를 구비한다.
프레이트 빅업(2)은 인쇄될 인쇄용지(1)가 안착되고, 수직운동이 가능하도록 카세트(12)내에 설치된다. 프레이트 빅업(2)에 안착된 인쇄용지(1)는 어드벤스 롤러(4)가 회전운동함에 따라 한 장씩 어드밴스 롤러(8)의 어드밴스 롤러 러버(8a)와 패드 러버(6a) 사이에서 공급되기 시작한다.
프린터의 급지 및 배지장치는 인쇄용지(1)가 잉크 분사지점까지 평행하게 이송할 수 있도록 하는 크레들(14)을 추가로 구비한다.
크레들(14)은 어드밴스 롤러(4)의 표면에 인접하여 어드밴스 롤러(8)의 회전운동에 종속적으로 회전운동하는 크레들 롤러(14a)를 구비한다. 크레들(14)의 일측에는 일정 각도로 굽어져 일정한 압력을 가함으로서 인쇄용지(1)가 수평을 이룬채 잉크 분사지점까지 피딩(feeding)하도록하는 크레들코(15)가 형성되어 있다.
인쇄용지(1)는 어드밴스 프레임(8)을 지나면서 미도시된 헤드에 의해 잉크가 분사되면서 인쇄가 된다. 이 때, 인쇄용지(1)는 어드밴스 프레임(8)의 상단면에 돌출부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브(8a)에 의해 지지된다.
인쇄된 인쇄용지(1)는 이젝트 롤러(10)에 의하여 배출된다. 이젝트 롤러(10)에 의해 배출된 인쇄용지(1)는 미도시된 트레이 페이퍼에 순차적으로 수납된다.
제4도는 봉투가 공급될 때, 작용하는 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제4도를 참조하면, 인쇄용지(1)는 측벽 두께가 균일한 전용 인쇄용지(예를 들면, A4용지)가 아닌 차별적인 측벽 두께를 갖는 봉투가 공급될 때의 작용하는 힘의 원리에 대해서 설명하면, 전용 인쇄용지는 측벽 두께가 균일하여 어드밴스 롤러(4)에 감겨 올라 갈 때, 곡률 반경이 일정하지만, 봉투는 차별적인 측벽 두께로 인하여 제1도에서 "A" 영역과 "B"영역에서 곡률 반경이 다르게 된다. 따라서, 봉투의 "A"영역은 어드밴스 롤러(4)에 접촉하게 되고, "B"영역은 미접촉이 되어 그에 따라 작용하는 힘이 달라지게 된다.
이런 접촉력의 차이로 패드 러버(6a)와 어드밴스 롤러 러버(4a) 사이에서 봉투에 작용하는 힘 Fn의 차이가 생긴다. Fn의 차이는 어드밴스 롤러(4)가 봉투를 끄는 힘의 차이를 발생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봉투가 공급될 때, 잼(Jam) 등의 급지불량과 출력된 인쇄상태에서 스큐(Skew)가 발생하거나 인쇄면의 오염이 발생할 수 있다.
제5도는 제1도에 도시된 봉투를 종래의 프린터에 급지하여 출력한 인쇄상태에서의 문제점을 설명하기위한 봉투 인쇄면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봉투를 급지하여 인쇄하는 경우, 전용 인쇄용지(예를 들면 A4용지)와 달리, 차별적인 측벽 두께와 그로 인한 강성의 차이로 스큐(Skew) 현상, 인쇄면의 오염, 급지불량 등의 문제점을 초래한다.
제5(a)도를 참조하면, 봉투는 급지도중 단차를 이룬 "A" 영역과 "B" 영역에서 차별적인 드래깅력(Draging Force)이 발생하여 봉투가 어느 한쪽으로 치우쳐 급지된다. 이에 따라, 봉투가 기울어진채 "C"부분과 같이 스큐(Skew) 현상을 일으키며 인쇄면에 인쇄된다.
스큐의 발생은 봉투가 공급되기 시작하는 시점, 봉투가 공급되고 나서 인쇄를 하기 위하여 피딩(Feeding)하는 시점, 인쇄완료 후 봉투를 배출하는 시점에서 나타날 수 있다.
그리고 봉투를 급지하는 경우, 제5(b)도와 같이 봉투의 강성으로 인하여 잉크가 마르기 전에 스타휠 커버의 바닥면에 인쇄면이 접촉됨으로서 인쇄상태가 번져 "D" 부분과 같이 인쇄면에 오염이 발생한다.
스큐발생 및 잉크오염의 문제 뿐만 아니라 종래의 프린터는 차별적인 측벽 두께를 갖는 봉투를 급지함으로서, 봉투를 끌어 들이는 어드밴드 롤러(Advance roller)의 드래깅력(Draging Force)이 차별적으로 작용하여 봉투가 회전하면서 공급되거나 어드밴스 프레임(Advance frame)에 봉투가 걸려 공급되지 않는 잼(Jam)이 발생하는 등의 급지불량을 초래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프린터에 봉투를 급지하는 경우에, 스큐현상 및 잼의 발생을 제거하여 인쇄면의 오염을 최소화하도록 한 봉투 공급장치를 제공 하는데 있다.
제1도는 통상의 봉투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와 선 "AA-AA' "를 따라 절취한 종단면도.
제2도는 종래의 프린터의 급지 및 배지 장치의 개략적인 종단면도.
제3도는 제2도에 도시된 종래의 프린터의 급지 및 배지 장치의 분해 사시도.
제4도는 종래의 프린터에서 봉투가 공급될 때의 작용하는 힘을 나타내는 도면.
제5도는 종래의 프린터에 봉투 급지시 출력상태의 문제점을 설명하는 도면.
제6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봉투 공급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종단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봉투 공급장치를 나타내는 위에서 본 평면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봉투 공급장치에서 봉투를 공급할 때 작용하는 힘을 나타내는 도면.
제9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봉투 공급장치에서 시트의 상세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인쇄용지 2 : 프레이트 빅업
4,24 : 어드밴스 롤러 6,26 : 패드 홀더
4a : 어드밴스 롤러 러버 6a : 패드 러버
8 : 어드밴스 프레임 8a : 리브
10 : 이젝트 롤러 12 : 카세트
14 : 크레들 14a : 크레들 롤러
15 : 크레들 코 20 : 시트
100 : 봉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봉투 공급장치는 용지를 인쇄하는 위치까지 이송하도록하는 급지수단과, 급지수단에 위치하고 용지의 아래에 위치하여 임의의 탄성력을 갖고 용지의 일측을 지지하는 지지수단과, 용지를 배출하는 배출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목적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잇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하, 제6도 내지 제9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6도 및 제7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봉투 공급장치는 회전운동에 의해 봉투(100)를 잉크 분사지점까지 이송시키는 어드밴스 롤러(24)와, 어드밴스 롤러(24)의 아래에 위치한 패드 홀더(26)와, 봉투(100)가 공급될 때 봉투(100)를 아래에서 지지하는 시트(20)를 구비한다.
시트(20)는 차별적인 측벽 두께(제1도에서 "A"영역과 "B"영역)를 갖는 봉투(100)가 공급될 때, 어드밴스 롤러(24)에 봉투(100)의 접촉이 균일하여 그에 따른 봉투에 작용하는 힘 Fn이 균일하게 작용하도록 봉투 아래에서 일정한 지지력(Ff)으로 봉투를 지지한다.
즉, 어드밴스 롤러(24)와 패드 홀더(26)의 롤러에 의해 봉투(100)가 급지되고, 시트(20)는 봉투(100)가 급지될 때 봉투(100)의 "B" 영역을 아래에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시트(20)는 프레임(22)에 일측이 고정되어 일정한 탄성력으로 봉투를 지지한다.
봉투(100)가 공급되면, 시트(20)는 봉투(100)의 "B" 영역의 아래에서 적당한 힘으로 긴장과 이완을 한다. 따라서, 봉투(100)는 어드밴스 롤러(24)와 패드 홀더(26)에 의해 균일한 드래깅력(Draging Force)으로 공급된다.
이에 따라, 봉투(100)는 평행하게 인쇄지점까지 이송되어 미도시된 헤드에 의해 인쇄되고 봉투(100)를 배출하는 역할로 제2도의 이젝트 롤러(10)에 의해 배출된다.
제8도는 지지력(Ff)이 부과됨으로서 봉투(100)에 작용하는 힘을 도식적으로 나타낸다.
제8도를 참조하면, 어드밴스 롤러(24)에 의해 작용되는 드래깅력(Draging Force)이 균일하도록 시트(20)는 봉투(100)의 "B"영역에 지지력(Ff)을 부과한다.
시트(20)는 지지력(Ff)을 봉투(100)의 "B"영역에 부과하도록 탄성체로서 스프링 역할을 하면서 봉투(100)와의 과도한 마찰력이 작용하지 않도록 마찰 계수가 적은 재료가 바람직하다.
시트(20)를 위에서 본 평면도와 그 측면도를 나타낸 제9(a)도 및 제9(b)도를 참조하면, 시트(20)는 45
Figure kpo00002
로 굴곡하고
Figure kpo00003
의 각도로 탄성 여유를 확보하도록 한다.
시트(20)는 시트(20)가 프레임에 접착하도록 하는 평면부(20a)와 평면부(20a)에서 일정 각도(실시예로 경사각= 45
Figure kpo00004
Figure kpo00005
15
Figure kpo00006
)로 신장되어 봉투(100)에 지지력(Ff)을 부과하는 경사면부(20b)로 이루어 진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봉투 공급장치는 프린터에 봉투를 급지하는 경우에 있어서, 스큐현상 및 잼의 발생을 제거하여 인쇄면의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 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4)

  1. 서로 다른 측벽 두께를 갖는 용지를 인쇄하는 프린터에 있어서, 상기 용지를 인쇄하는 위치까지 이송하도록하는 급지수단과, 상기 급지수단에 위치하고 상기 용지의 아래에 위치하여 임의의 탄성력을 갖고 상기 용지의 일측을 지지하는 지지수단과, 상기 용지를 배출하는 배출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투 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임의의 탄성계수를 갖고, 낮은 측벽을 갖는 상기 용지의 부분을 아래에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투 공급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임의의 고정부에 상기 지지수단을 고정시키는 평면부와 상기 평면부에서 임의의 각도로 신장되어 상기 용지를 아래에서 지지하는 경사면부로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투 공급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임의의
    Figure kpo00007
    각도로 긴장과 이완을 하며 상기 용지를 아래에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투 공급장치.
KR1019970039023A 1997-08-14 1997-08-14 봉투 공급장치 KR1002206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9023A KR100220629B1 (ko) 1997-08-14 1997-08-14 봉투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9023A KR100220629B1 (ko) 1997-08-14 1997-08-14 봉투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6461A KR19990016461A (ko) 1999-03-05
KR100220629B1 true KR100220629B1 (ko) 1999-09-15

Family

ID=19517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9023A KR100220629B1 (ko) 1997-08-14 1997-08-14 봉투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062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6461A (ko) 1999-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52622A (en) Printer with improved anti-skew mechanisms
JP4930041B2 (ja) 給紙機構及びそれを備えた記録装置
US6540221B2 (en) Feeder of an image forming apparatus
JP3870104B2 (ja) 給紙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記録装置
JP3022849B2 (ja) プリンタ
JP3935310B2 (ja) プリンタの媒体形状制御用内部紙案内
KR100220629B1 (ko) 봉투 공급장치
JP3807481B2 (ja) 用紙排出装置
JP3241158B2 (ja) シリアルプリンタ
JP2004167780A (ja) 記録装置
JP2003326804A (ja) 記録装置
JP2000225736A (ja) 印刷装置
JP4425480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H1053368A (ja) 画像形成装置
JP3551585B2 (ja) 記録装置
JP2004175017A (ja) 記録媒体ガイド機構及びその機構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08120592A (ja) 給紙機構及びそれを備えた記録装置ならびに給紙機構の制御方法
JP2004269124A (ja) 給送装置、記録装置及び液体噴射装置
JP2003081468A (ja) 給紙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記録装置
JP4446322B2 (ja) 給紙装置及びそれを使用した画像形成装置
KR200181201Y1 (ko) 프린터의 배지 트레이
JP2008156034A (ja) 給紙機構及びそれを備えた記録装置
EP0433022B1 (en) Printer with improved antiskew mechanisms
JPH08301473A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該シート給送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00226130A (ja) 用紙分離方法及び用紙搬送装置並びに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3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