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8069B1 - 얀 공급기 장치 - Google Patents

얀 공급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8069B1
KR100218069B1 KR1019960014925A KR19960014925A KR100218069B1 KR 100218069 B1 KR100218069 B1 KR 100218069B1 KR 1019960014925 A KR1019960014925 A KR 1019960014925A KR 19960014925 A KR19960014925 A KR 19960014925A KR 100218069 B1 KR100218069 B1 KR 1002180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ring
housing
yarn feeder
feeder device
roll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4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41453A (ko
Inventor
카우프만 리하르드
레오폴드 군터
뵈르너 흐리스토프
Original Assignee
디터브라운
메밍게르-이에르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776128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218069(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디터브라운, 메밍게르-이에르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디터브라운
Publication of KR9600414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414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80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80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8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15/48Thread-feed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8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15/48Thread-feeding devices
    • D04B15/50Thread-feeding devices for elastic thre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 Forwarding And Storing Of Filamentary Material (AREA)
  • Mounting Of Bearings Or Others (AREA)
  • Preliminary Treatment Of Fibers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 Spinning Methods And Devices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Fibers (AREA)

Abstract

편물 기계내의 탄성체 얀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는 두 부분으로 갈라진 하우징을 가지며, 하우징상에 베어링과 구동 롤러가 서로 평행하게 이격되고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하우징은 베어링과 구동 롤러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하기 위해 기어 수단을 수용하는 내부실을 에워싼다. 기어 수단은 구동휠로 부터 힘을 전달하고, 구동휠은 하우징으로 부터 돌출하는 축과, 적어도 하나의 베어링과 구동 롤러에 고정되어 있다. 베어링과 구동롤러는 볼 베어링을 통해 지지되고, 볼 베어링은 하우징내에 제공된 대응 베어링 시트에 의해 유지된다. 베어링 시트는 각 하우징부내에 일체로 형성된 리세스이며, 하우징부는 적합하게 사출성형으로 만들어진다. 하우징부를 서로 경계짖는 분할선은 모든 베어링 시트를 통해 연장하므로, 볼 베어링은 하우징부 사이에 유지된다. 하우징부를 서로 고정하면 동시에 볼 베어링도 고정된다.

Description

얀 공급기 장치
제1도는 편물 기계내에 사용되는 두 부분으로 갈라진 하우징과, 탄성 중합체 얀의 얀 공급기 장치의 사시도.
제2도는 하우징이 개방하고 있는 제1도의 얀 공급기 장치의 다소 개략적인 사시도.
제3도는 얀 보빈과 제1도의 얀 공급기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제4도는 제3도에 도시한 보빈을 구동하는 데 사용된 두 개의 베어링과 구동 롤러와 함께, 제1도의 얀 공급기 장치의 하우징에 의해 수용된 축과 기어요소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5도는 하우징에 의해 수용된 롤러 베어링과, 제1도의 얀 공급기 장치의 하우징의 상세도.
제6도는 전기배선과 제1도의 얀 공급기 장치의 하우징부의 평면도.
제7도는 하우징부가 없는, 제1도와 제3도의 얀 공급기 장치의 하우징내에 제공된 전기 도선의 배치(layout)의 측면도.
제8도 내지 제12도는 하우징에 의해 수용된 롤러 베어링과, 얀 공급기 장치의 하우징의 다양한 실시예를 각각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 : 고정 장치 8 : 분할선
12 : 피봇축 13, 14 : 베어링 롤러
19 : 리테이닝 수단 25 : 기어 수단
41, 42, 43, 44 : 베어링 수단 84 : 베어링 시트
본 발명은, 특히 탄성 중합체 얀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편물 기계에서, 탄성 중합체 얀 처리되어 질 때 이들은 크릴(실꾸리 꽂는틀)의 보빈으로부터 인발될 수 없다. 탄성 중합체 얀의 길이 방향의 연신율 때문에, 시간에 따라 일정하게 유지하는 낮은 얀 인장력에서 얀이 편물 기계에 공급되도록 보빈을 구동할 필요가 있다. 보빈을 구동하기 위해서, 현재에 사용중인 장치는 대응하는 편물 기계에 따라서 상당히 많은 수가 존재한다.
이들 장치는 편물 기계상에 특정 유닛으로 제공되고 적당한 클램프에 의해 기계 프레임의 일부분에 고정된다. 현존하는 편물 기계에 대해서, 이들 장치는 필요할 때 벤더부(vendor part)로 공급되어 기계에 장착된다. 이것이 가능한 간단하고 빨리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독일 특허 명세서 DE 32 33 869 C2는 기계 프레임에 고정해야할 내부실을 에워싸는, 하우징을 가진 편물 기계에 탄성 중합체 얀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를 공개한다. 각각이 수평으로 위치되고 서로 평행하게 이격되어 있는 두 개의 구동 롤러는 하우징을 통해 연장한다. 각 구동 롤러는 하우징으로부터 돌출하여 양단부에 놓인다. 롤러 베어링은 구동 롤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해 하우징내에 제공되어 있다. 구동 롤러는 수직으로 방위된 축선을 가진 톱니형 벨트 풀리에 의해 구동된다. 풀리는 하우징의 내부에 제공된, 원추형 휠 구동부와 톱니형 벨트를 통해서 두 개의 구동 롤러에 작용한다. 하우징 외측내 위치된 상술한 톱니형 벨트 풀리는 전체 장치를 구동하는 역할을 하고 편물 기계상에 위치된 다수의 장치의 톱니형 벨트 풀리를 구동하는 톱니형 벨트와 연결되어 있다.
하우징은 측면에 개구를 가진 평평한 면을 가지고 있으며, 개구를 통해서 구동 롤러가 연장한다. 장치가 조립되면, 구동 롤러는 이들 개구로 끼어 들어간다.
독일 실용신안 공보 번호 TW 187 394호에는, 탄성 얀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가 기재되어 있으며, 이 장치는 처로 평행하게 이격된 두 개의 구동 롤러가 대형 리세스된 보유 몸체(retaining body)내에 볼 베어링 쌍을 통해 각각 지지되어 있다. 대형 몸체의 두께는 서로 매우 인접한 두 개의 볼 베어링의 두께와 거의 같다. 각 구동 롤러는 톱니형 벨트 풀리와 일체이고, 대형 리테이너의 측방으로 외측에 위치되어 있다. 톱니형 벨트는 두 개의 구동 롤러의 톱니형 벨트 풀리를 주행하므로써 이들을 구동하는 역할을 한다.
측면으로 균일하게 주행하는 구동 톱니형 벨트의 인장력과 볼 베어링에 의한 구동 롤러의 매우 조밀하게 이격된 지지체의 인장력은 구동 롤러의 정렬을 제한한다.
독일 실용신안 TW 82 606으로부터. 탄성 중합체 얀을 공급하기 위한 얀 공급기 장치는 알려져 있으며, 이 장치는 두 부분으로 갈라진 하우징을 가진다. 얀 공급기 장치에서, 두 개의 구동 롤러가 제공되며, 이들 각각은 하우징으로부터 돌출하여 양 단부에 놓이며, 서로 평행하게 하우징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서로로부터 이격된다. 각 구동 롤러에는 베어링 장치, 베어링판과 베어링판의 바로 근접해서 위치된 톱니형 벨트 풀리가 제공되어 있다. 하우징은 구동 롤러가 직립되어 있는 평면을 따라서 갈라진다. 두 개의 하우징부 중 하나는 한쪽 이 개방된 두 개의 원통형 수용 포켓을 가지며, 이 포켓은 구동 롤러상에 안치된 베어링 장치를 수용할 수 있다. 수용 포켓 각각에는 베어링 판을 고정하기 위해 주변부에 3개의 나사산이 형성된 보어가 제공되어 있다. 두 구동 롤러를 동시에 구동하기 위한 톱니형 벨트는 풀리를 통해서 주행하고 다음으로 베어링 수단을 주행한다. 톱니형 벨트는 어떠한 베어링 수단도 포함하지 않은 하우징부에 의해 커버된다.
이 장치는 상술한 것과 동일한 제한을 가진다. 더욱이, 수용 포켓은 베어링 장치를 수용하기 위해 일체로 형성되며 그러므로 정확하게 제조해야 한다.
편물 기계는 많은 수의 얀 공급기 장치를 필요로 한다. 그러므로, 얀 공급기 장치가 가장 경제적인 가능한 가격에서 필요한 수량을 얻을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얀 공급기 장치를 가능한 간단한 방법으로 조립 및 분리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기본적인 목적은 서로 양호한 정렬로 유지되는 베어링과 구동 롤러를 가지며, 또한 간단히 제조되고 간단히 조립될 수 있는 얀 공급기 장치를 만드는 것이다.
이 목적은 제1항의 특징부에 의해 정의된 얀 공급기 장치(얀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에 의해 달성되어진다.
얀 공급기 장치는 두 개의 베어링 롤러를 가지며, 두 개의 베어링 롤러중 적어도 하나는 구동되어진다. 베어링 롤러는 서로 이격되어 위치되어 있으므로 이들의 원주면 사이의 최소의 이격공간은 공급보빈의 코일포머(coil former)의 외경보다 작다. 작동중, 탄성 중합체 얀이 인발되어지는 보빈이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베어링 롤러상에 안치되어 있다.
리세스를 통해서 연장하는 분할선을 따라서 하우징을 두 개의 하우징부로 분할함으로써, 설치된 위치내의 하우징은 하나 이상의 상부와 하나의 하부로 세분되어진다. 이것은 분할선이 구동되는 하나 이상의 베어링 롤러가 하우징으로 부터 돌출하는 개구의 에지를 통해서 연장하거나 에지에 있는 것을 의미한다. 베어링 롤러는 분할선으로부터 직접 리세스내에 놓여질 수 있거나 베어링 수단이 제공되어 있는 리세스내에 놓여질 수 있다; 각각의 리세스는 분할선으로부터 접근하기 쉬운 개구를 가진다. 사용중인 위치에서의 하부 하우징부는 하우징을 개방한 상태에서, 하부 하우징부안으로 베어링 수단과 기어 수단과 함께 베어링 롤러를 위치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결국, 분할선으로부터 하부 하우징부 내에 포함될 부품을 삽입하므로써, 장치를 조립하거나 또는 다시말하면 함께 구성할 수 있다. 베어링과 구동 롤러, 베어링 수단과 기어 수단의 완전한 조립과 위치적 고정을 위해서, 필요한 것은 다른 부, 즉, 상부 하우징부를 상부에 놓는 것이다. 조립공정에서, 하부 하우징부는 조립의 보조역할로 작용한다. 약간의 부품을 대응 리세스 등으로 강제로 넣기 위한 보조장치는 필요없다.
상술한 개구를 통과하는 분할선을 따라 분리된 하우징의 두-셀 디자인은 또한 베어링 수단에 대해, 틈이 거의 없는 아주 간단한 베어링 시트(bearing seat)를 만들 수 있다. 대응하는 베어링 시트는 두 개의 하우징부내에 오목한 곳에 놓여 있다. 각 베어링 시트는 한 하우징부와 다른 하우징부에 의해 부분적으로 구속되어 있다. 결국, 대응하는 베어링 수단은 매우 정확한 필수의 베어링 시트를 제조하지 않고, 상부와 하부 하우징부 사이에 클램프될 수 있다. 이것은 지나치게 조밀한 틈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매우 조밀한 틈의 제품보다 더욱더 경제적이다. 그러므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리세스 또는 베어링 시트는 분할선을 통과하는 개구를 가진 포켓형 리세스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리세스의 마우스(mouth)는 분할선을 형성하는 면내에 놓이고, 리세스와 직면하는 분할선으로부터 하우징 벽으로 연장한다. 결국, 하우징부는 밑을 잘라낸(undercut)부분이 없으며 간단한 사출성형 부품으로서 저가로 제조될 수 있다.
간단한 하우징 폼은 적어도 약간의 섹션에서, 분할선이 제1 구동 롤러의 피봇 축선에 평행하고 제2 구동 롤러의 구동 축선에 평행하게 방위설정된 평면 내에 위치되는 경우에 얻어진다. 이 섹션은 베어링 롤러에 위치되며, 이것으로 하우징부를 간단한 디자인으로 만들 수 있다.
또한, 전체 분할선을 평탄하게 할 수 있으며 이것은 하우징 형상을 보다 간단하게 만들 수 있게 한다.
하우징부에 의해 수용된 베어링 수단은 외측을 향해 작용하는 시일에 의해 더럽혀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이런 밀봉 장치는 마찰물, 먼지 또는 윤활제가 하우징으로부터 외측으로 빠져나가지 못하게 하고 오염을 일으키지 못하게 하며 또한 먼지와 오염물이 외부로부터 들어오지 못하게 한다.
상술한 디자인으로, 하우징은 플라스틱, 특히 사출성형 부품으로 간단한 방법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사출성형 하우징부의 정확성은 의도된 용도에 충분하므로, 베어링 수단의 영역내의 분할선의 위치 때문에, 이들 부품들은 재가공없이 사용될 수 있다.
베어링 수단을 유지하기 위한 리테이닝 장치는 하우징부내에 적당하게 제공된 리세스이다. 베어링 수단은 하우징이 폐쇄될 때 이들 리세스내에 확고하게 클램프된다. 클램핑력이 다소 작아도, 베어링 수단의 방사방향 고정뿐만아니라 더욱더 측면방향으로 고정을 얻기 위해서, 리세스는 적합하게 수용 포켓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들은 베어링 수단을 양 축방향으로 고정하는 측벽을 가진다. 그러나, 수용 포켓은 분할선으로부터 접근가능하므로, 장치가 조립될 때 베어링 수단은 단지 수용 포켓내에 놓기만 하면 된다.
하우징부의 리세스는 적당하게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한 하우징 절반부의 리세스가 여유없이 베어링 수단을 수용하고 그러므로 이들의 위치를 결정하면, 다른 하우징 절반부의 리세스는 베어링 수단이 분할선의 방향으로 약간의 여유(play)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리세스 또는 수용 포켓의 깊이는 베어링 수단이 리세스내에 지지되는 방식으로 치수결정되어진다. 결국, 베어링 수단은 베어링 수단용 리테이닝 장치내에 확고히 안치되며, 리테이닝 장치는 대향된 리세스에 의해 형성된다. 그러나, 이것 외에도, 하우징부를 약간의 틈으로 연결할 수 있다. 어째든, 이들은 서로에 대해서 정확하게 위치설정시킬 필요가 없으며, 그러므로서, 은못(dowel) 또는 비교가능한 조정 수단을 사용할 필요가 없다.
베어링 수단의 유지는 특히 생산작업시 변화에 취약하지 않으므로, 리테이닝 장치가 스프링 수단에 제공되는 경우, 베어링 수단의 고정에 의해 고정된다. 스프링 수단은 여유없이 하우징상에 베어링 수단을 유지한다. 스프링 수단은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장치의 조립, 즉 짜 넣는 작업을 매우 간단하게 할 수 있는 실시예는 베어링 롤러와 기어 수단이 싱글 하우징부에 의해 서로에 대해 완전히 고정되도록 형성된 하우징을 가진다. 이것은 모든 부품이 조립체내의 한 하우징부내에 놓여져 조립될 수 있게 하고, 그리고 나서 상부에 제2 하우징부를 놓으므로써 장치의 조립을 완료할 수 있게 한다.
장치는 베어링 롤러가 하우징의 단지 한 측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중 피스(piece)의 실시예에서, 베어링 롤러는 중간 피스를 가지며, 중간 피스상에서 롤러부가 양단부로 슬립되고 클램핑 스크류에 의해 고정된다. 한-피스 실시예에서, 베어링 롤러의 양호한 집중성(concentricity)을 간단하게 성취할 수 있다. 이것은 균일한 얀 공급에 중요하다.
한 실시예에서, 기어 수단은 베어링 롤러를 지지하는 두 개의 베어링 사이에 결합한다. 그에 의해서, 베어링상의 균일한 부하가 얻어지고 이것으로 장치의 부품에 정확한 작업을 할 수 있게 한다.
기어 수단은 적합하게 조합된 기어휠과 풀리이다. 한 단부 만큼 하우징으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단부에 풀리를 가지는 구동축과 하우징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주축 사이에, 베벨 기어가 제공되어 있다. 이 기어는 구동축에 영구적으로 연결되어있고 클램핑 스크류에 의해 주축상에 이동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는 두 개의 베벨 기어중 하나와 짝을 이루는 베벨 기어이다.
주축의 회전방향은 구동축의 베벨 기어와 짝을 이루는 기어휠을 선택함으로서 설정가능하다. 벨트는 주축과 제1 베어링 롤러, 즉, 주축에 가장 가깝게 위치된 베어링 롤러 사이의 힘 전달 수단으로서 역할을 한다. 벨트로서 가능한 예는 둥근 벨트, 톱니형 벨트, 평평 벨트 등이다.
벨트와 특히 톱니형 벨트가 사용되면, 벨트 인장력을 얻기 위한 인장 수단은 불필요하다.
슬립없이 작동하는 톱니형 벨트가 양호하며, 이런 경우에 제1 베어링 롤러는 정의된 회전속도를 가진다. 제2 톱니형 벨트는 제1 베어링 롤러와 제2 베어링 롤러 사이에, 힘 전달 수단으로서 연장될 수 있다. 주축과 제1, 2 베어링 롤러를 주행하는 하나의 톱니형 벨트를 가지는 실시예와 비교하면, 이것은 보다 큰 랩 각도(wrap angle)를 얻는 데 장점을 가지므로, 심지어 낮은 벨트 인장력으로도, 탈선의 위험이 없으므로 베어링 롤러가 불일치하게 주행할 위험이 없다. 추가로, 금속 또는 플라스틱 체인이 구동의 목적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하우징부는, 예를 들어, 간단한 고정 수단에 의해 함께 결합될 수 있다. 이들은 스크류 연결부 또는 멈춤쇠 연결부이다. 멈춤쇠 연결부는 디자인이 적당한 조립체가, 특히 간단하고 멈춤쇠 수단이 하우징부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멈춤쇠 수단은 하우징부상에 제공되고 다른 하우징부내의 대응 리세스를 결합하는 멈춤쇠 텅(detent tongues)이거나 다른 종류의 멈춤쇠 돌출부일 수 있다.
하우징부는 더욱이 강한 하우징 실시예를 생성하는, 재료결합, 즉 접착 본딩 또는 용접에 의해 함께 결합될 수 있다.
보빈 또는 얀 이동을 모니터하기 위한, 스위치 등과 같은 센서 수단은 얀 공급기 장치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들 센서 수단은 레일에 의해 운행되며, 레일은 하우징에 제공되고 감겨지지 않는 채로 보빈을 유지하는 유지수단을 가진다. 센서 수단은 전기 도선을 통해서 전기 연결장치에 연결되며, 전기 연결장치는 하우징을 기계 프레임에 고정하기 위해 제공된 고정장치에 위치되어 있다. 전기 도선은 하우징내에 놓여진 금속 스트립에 의해 형성되고, 예를 들어, 사출성형 또는 그렇지 않으면 성형된 유지 너브(formed-on holding nub)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금속 스트립은 분할선을 가로질러 연장하고 대응 탄성 접촉 수단은 분할선에 제공되어 있고, 분할선을 하우징부가 조립될 때 전기 접촉을 한다.
본 발명의 한 형태에서, 베어링과 구동 롤러상에 보빈을 축방향으로 고정하기 위한 조정가능한 장치가 제공된다. 적합하게, 상술한 레일상에 멈춤 수단을 가지는 선택적인 가요성 슬라이드가 안치된다. 슬라이드는 클램핑 스크류에 의해 고정되고, 클램핑 스크류는 또한 얀 공급기 장치의 작동 동안 조정가능하다.
본 발명의 한 설명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겠다.
제1도에서, 공급 보빈이 없는 탄성 중합체 얀을 위한 공급 장치(1)가 도시되어 있다. 공급 장치는 다수의 동일한 공급기 장치(1)가 고정되어 있는 편물 기계에 제공되어 있다. 그리고 공급기 장치(1)의 각각은 하나 이상의 보빈을 수용하고 이들을 예정된 속도로 푼다. 그러므로, 편물 스테이션(knitting station)에는 일정한 얀 인장력으로 탄성 중합체 얀이 공급된다.
공급기 장치(1)는 평면상으로 L형태의 하우징과 둥근 에지를 가진다. 장치의 단면은 둥근 코너를 가진 정사각형이다. 기계 프레임에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6)를 가진 부착 피스(5)(도시 생략)는 L형상 하우징(3)의 보다 짧은 레그상에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3)은 분할선(8)에서 두 개로 갈라져 하부 하우징부(10)와 상부 하우징부(11)를 가지며, 이들은 각각 한 피스의 플라스틱 사출성형부로서 형성된다. 분할선(8)은 하우징(3)의 거의 중앙에서 가로지르는 평면내에 위치된다. 필요하다면, 하나 이상의 하우징부(10)에는 일체적으로 형성된 립과 같은, 시일링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서로 이격 유지되고 평행한 두 개의 베어링 롤러(13, 14; 13', 14')는 하우징(3)으로부터 측면으로 돌출하고 풀리게 될 보빈(제3도)을 수용하여 구동하는 역할을 한다. 이런 보빈의 주변 면에서는 베어링 롤러(13, 14: 13', 14')가 설정되고, 이것은 사용중인 위치에서 수평이고 각각은 한 피봇 축(12, 12') 둘레에 회전되므로, 베어링 롤러(13, 14; 13', 14')의 회전시, 스스로 보빈 축을 회전한다. 베어링 롤러(13, 14)의 서로에 대한 공간이 보빈을 지지하는 보빈 코일포머의 외경보다 작다. 이런 한 사실이 베어링 롤러(13', 14')에도 적용된다.
베어링 롤러(13, 14; 13', 14')에 평행하지만, 이들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레일(15)은 사용중인 위치에서 하우징(3) 아래에 있으며, 레일은 리테이너(17)에 의해 하우징부(10)에 지지되고, 제3도에 부분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보빈 리미터(19)를 지탱하는 역할을 한다. 이 보빈 리미터(19)는 레일(15)에서 이동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마디가 있는 스크류에 의해 형성된, 클램핑 스크류에 의해 감겨질 수 있는 슬라이드를 가진다. 이 슬라이드로부터 리미팅 바(limiting bar; 22)는 레일(15)에 거의 직각으로 충분히 상향으로 돌출하므로, 베어링 롤러(13, 14)상에 회전하는 보빈은 축방향으로 유지된다. 대응하는 슬라이드는 베어링 롤러(13', 14') 아래에 위치된 섹션상에 안치된다. 보빈 리미터(19)는 다양한 보빈 폭과 다양한 수의 보빈에 간단히 적용할 수 있다.
베어링 롤러(13, 14; 13',14')는 하우징에 의해 형성된 내부실(23)을 통해 연장하고,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이 내부실내에는 베어링 롤러(13, 14)를 구동하기 위한 기어 수단이 위치되어 있다. 기어 수단(25)은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베어링 롤러(13, 14; 13', 14')에 구동휠(27)을 연결한다. 구동휠(27)은 사용중 수직인, 또는 다시 말하면, 베어링 롤러(13, 14; 13', 14')에 직각으로 방위설정된 축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이것은 제2도에 개별적으로 도시되어 있고, 이 구동휠은 구동되어 편물 기계상에 제공된 구동 벨트를 통해 회전된다.
구동휠(27)로부터 베어링 롤러(13, 14)에 힘을 전달하는 작용을 하는 기어 수단(25)과 하우징(3) 상에 베어링 롤러(13, 14; 13', 14')를 지지하는 지지부가 제2도에 도시되어 있다. 베벨 기어(31)를 지탱하는 주축(29)은 L형상의 하우징처럼, 내부실(23)의 짧은 레그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추형 휠(cone wheel; 31)은 베벨 기어(32)와 짝맞추어 있고 차례로, 상대적 회전에 대향해 고정된 방법으로, 구동 휠(27)에 의해 구동된 축상에 안치된다. 양 단부에서, 축(29)은 볼 베어링(34, 35)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이 볼베어링(34, 35)은 제각기 하우징부(10, 11) 또는 하우징의 리세스(36a, 36b) 내에 후술하는 방법으로 수용되어 있고, 이들 리세스는 볼 베어링(34, 35)용 리테이닝 장치를 형성한다.
추가의 리세스(36c, 36d, 36e, 36f)는 볼 베어링(41, 42, 43, 44)을 수용하기 위해 하우징(3)의 긴 레그내에 제공되어 있다. 이 리세스(36c, 36d)는 단부가 베어링 롤러(13, 13')를 지탱하고 있는 축(46)(제4도)을 지지하도록 위치되어 있다. 베어링 롤러(13, 13')는 축(29)과 평행하게 정렬되어 있다.
축(46)은 톱니형 벨트 풀리(48)를 지탱하고, 톱니형 벨트 풀리(48)는 축(29)에 안치된 톱니형 벨트 풀리(52)에 의해 톱니형 벨트(50)를 통해 구동된다.
따라서, 단부가 베어링과 구동 롤러(14, 14')를 지탱하는 축(54)은 볼 베어링(43, 44)에 의해 지지된다. 축(54)에는 톱니형 벨트 풀리(55)가 제공되고, 톱니형 벨트 풀리(55)는 축(46)에 안치된 톱니형 벨트 풀리(48)에 의해 톱니형 벨트(57)를 통해 구동된다. 간략화를 위해 제2도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4도에서만 도시되어 있는 추가의 베벨 기어(58)는 축(29)상에 제공될 수 있으며, 축(29)의 회전방향을 바꿀 수 있다. 결국, 원추형 휠(31, 58)은 축(29)상에 이동가능하게 위치되며 원추형 휠(32)과 선택적으로 일치시킬 수 있다. 볼 베어링(34, 35, 41, 42, 43, 44)을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부(10, 11)내에 제공된 리세스 (36a 내지 36f)는 하우징(3)이 리세스(36c 내지 36f)에서 외측을 향해 개방되지만 그렇지 않으면 폐쇄되는 하나의 차이점을 제외하고는 모두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모든 리세스를 대표해서, 제5도에서 하우징부(10, 11)의 적용가능한 벽내에 형성되어 있는 리세스(36)를 도시하고 있다. 분할선(8)의 초기에, 반원형 수용 포켓(61)은 하부 하우징부(10)내에 위치되어 있으며, 이것의 반경은 수용 포켓(61)에 의해 수용된 볼 베어링[예로서 볼 베어링(41)]의 외부 반경과 동일하다. 벽을 가로질러 측정한 리세스의 폭은 축방향으로 측정된 볼 베어링의 폭과 동일하다. 측면으로, 또는 다시 말하면 볼 베어링(41)의 축방향으로, 수용 포켓(61)은 서로 평행하게 이격된 평평한 측면(cheek: 63,64)에 의해 형성되며, 평평한 측면은 내부 통로 개구(66)를 제외하고는 볼 베어링(41)을 덮는다.
대응하는 수용 포켓(68)은 상부 하우징부(11)내에 형성되며 하우징(3)이 폐쇄될 때 수용 포켓(61)에 대향해 맞추어지도록 위치되어 있다.
제6도와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은 공급기 장치(1)상에 제공된 센서 또는 스위치와 클램프(6)의 영역내에 위치된 전기 접속수단(72) 사이의 접속을 위한 전기 도선(69, 70)을 포함한다. 이 목적을 위해, 도선(70)은 접지되어 있고 레일(15)에 접속되어 있다. 도선(69)은 클램프(6)로부터 차단 스위치(shutoff switch)(도시생략)용 연결부에 안내된다.
도선(69, 70)은 분할선(8)을 가로질러 연장하고, 도선(69, 70)을 형성하는 금속 스트립은 분할선(8)에서 중단되며, 각각은 스프링 텅(76, 77)에서 종결된다. 스프링 텅(76, 77)은 서로를 향해 탄성적으로 미리 응축되어 있으므로 접기 접촉을 보장한다. 이 접촉을 위해서 납땜을 할 필요가 없다. 도선(69, 70)과 편물 기계의 대응 도선의 접속은 공급기 장치(1)가 편물 기계에 고정될 때 특별한 장비를 필요하지 않고, 플러그형 또는 클램프 연결에 의해 클램프(6)의 영역내에서 자동적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장치의 추가의 기능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공급기 장치(1)는 클램프(6)에 의해 편물 기계의 기계 프레임에 설치된다. 다수의 동일한 공급기 장치를 구동하는 톱니형 벨트는 구동휠(27)을 가로질러 놓여진다. 풀려질 얀을 가진 보빈은 제3도에 제안한 방법으로 베어링 롤러(13, 14; 13', 14')상에 장착된다. 구동휠(27)은 상술한 톱니형 벨트(도시 생략)에 의해 구동될 때, 기어 수단(25)은 회전 모션을 베어링 롤러(13, 14; 13', 14')에 전달하므로, 얀(80)은 소정 속도와 소정 방향으로 공급된다.
개별부품으로부터의 공급기 장치(1)의 조립은 다음과 같다.
기어 수단(25)과 볼 베어링(34, 35, 41, 42, 43, 44)은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하우징부(10) 내에 놓여진다. 하우징부(11)는 상부에 놓여지고 하우징부(10)에 고정된다. 이 목적으로, 스크류 또는 멈춤쇠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축(29)에 베벨 기어(31)와 톱니형 벨트 풀리(52)를 제공하며, 톱니형 벨트(50)를 톱니형 벨트 풀리(52)상에 놓고, 축(29)에 볼 베어링(34, 35)을 제공하며, 리세스(36a, 36b)내에 놓는다. 다음으로, 축(46)에 톱니형 벨트 풀리(49)와 베어링 롤러(13, 13')를 제공한다. 볼 베어링(41, 42)이 슬립되어지고 톱니형 벨트(50, 57)가 제위치에 놓여지면, 볼 베어링(41, 42)을 리세스(36c, 36d)내에 놓는다. 베어링 롤러(14, 14')를 대응하는 방법으로 설치한다.
전체 공정을 추가의 보조물없이 그리고 특별한 기구없이 할 수 있다. 또한 미훈련된 작업자에 의해 간단히 할 수 있다. 상부 하우징부(11)를 제위치에 놓으면, 공급기 장치(1)가 완전히 조립된다.
하우징부(10, 11)는 사출성형 부품이고, 이들 모두는 여기에 일체로 제공된 돌출부나 리세스의 형태로, 서로 결합될 부품을 수용하는 고정 장치로 작용한다. 리세스(36)는 특히 이들이 재가공없이 볼 베어링을 수용할 수 있도록, 그리고 하우징부(10, 11)가 함께 조립될 때 볼 베어링이 고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결국, 상술한 수용 포켓(61, 68) 외에도, 베어링 시트(84a 내지 84d)는 제8도 내지 제1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르게 제공될 수 있다.
제8도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하우징(3)내의 리세스(36a 내지 36f) 대신에 제공된 모든 베어링 시트(84a)는 동일한 형태이다. 하우징부(10)에서, 포켓(85)이 제공되고 이 포켓의 깊이는 볼 베어링(41)의 직경과 일치하며, 상기 볼 베어링(41)은 여기에 도시한 것으로 모든 볼 베어링을 대표한다. 포켓(85)은 바닥부에서 반원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볼 베어링(41)은 포켓(85) 내에 여유없이 놓여진다. 포켓(85)은 축방향으로 측면(도시생략)에 의해 형성되며, 이 측면은 축방향으로 충분한 여유없이 볼 베어링(41)을 유지한다. 하우징부(11)는 분할선(8)에서 평면으로 형성되므로 하등의 리세스도 가지지 않는다. 포켓(85)내에서 볼 베어링(41)을 유지한다. 그러나, 모든 설명적인 실시예로서, 베어링 시트[84a(및 b-c)]는 하우징부(10, 11)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의 장점은 조립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볼 베어링은 각 포켓(85) 내에 놓여진후 측면으로 고정되므로, 조립은 톱니 벨트(50, 57)(제2도)가 팽팽하게 될지라도 간단하게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베어링 시트(84a)는 하우징부(10, 11)의 서로에 대한 부정확한 조립을 생기지 않게 한다. 하우징부(10, 11)의 서로에 대한 관계는 베어링 시트(84a)와는 무관하다.
분할선(8)은 한 측면에 베어링 시트(84a)를 형성하고 동시에 덮개(closure)를 형성한다.
제9도는 베어링 시트(84b)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리세스 또는 포켓(86, 87)은 상부 하우징부(11)와 하부 하우징부(10) 양쪽에 제공되어 있다. 하부 하우징부(10)의 포켓(86)은 반원통형이고, 반경은 볼 베어링(41)의 외부 통로의 반경을 약간 초과한다. 상부 하우징부(11) 내에 제공된 포켓(87)은 볼 베어링(41)의 외부 통로에 놓여 있는 평평한 바닥(88)을 가진다. 바닥(88)과 포켓(87)의 하부점 사이의 거리는 볼 베어링(41)의 직경과 동일하다.
리세스 또는 포켓(86, 87)은 또한 측면을 가지는 모든 베어링 시트와 마찬가지로, 분할선(8)에서 서로 경계를 형성하며, 분할선은 볼 베어링(41)의 중심을 통과한다.
이 베어링 시트(84b)에서, 서로에 대한 하우징부(10, 11)의 이동은 베어링(41)의 시트를 부과하지 않고 가능하다. 그러므로 생산에서의 차이를 보상받을 수 있다.
제10도는 또 다른 베어링 시트(84c)를 도시하며, 이것은 볼 베어링(41)을 탄성적으로 수용가능하며 그러므로 틈으로부터 보다 큰 자유도를 보장한다. 하우징부(10)에서, 수용 포켓(91)이 형성되어 있고, 이것은 프리즘형 방식으로 볼 베어링(41)을 수용하는 것으로 상술한 하우징부(10)의 리세스와 포켓과 다르다. 결국, 수용 포켓(91)은 서로 직각이고 볼 베어링의 외부 통로가 두점에서 선형으로 접촉하여 놓이는, 두 개의 평평한 베어링면(93, 94)을 가진다.
상부 하우징부(11) 내에 제공된 수용 포켓(95)은 평평하지만 바닥(96)에 탄성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바닥에 볼 베어링(41)의 외부 통로가 놓인다. 바닥(96)은 볼 베어링(41)에 의해 탄성적으로 변형된다. 볼 베어링(41)은 베어링 시트(84c)내의 3점에서 수용되어진다. 탄성적으로 강한 바닥(96)은 틈이 상당히 넓을지라도 볼 베어링의 고정 시트를 보장한다.
바닥(96)의 강한 탄성은 적합한 이중 볼록 리세스(97)에 의해 보강될 수 있다. 이중 볼록 리세스는 하우징부(11)내의 바닥(96)에서 약간 떨어진 거리에 위치되어 있다. 필요하다면, 스프링 요소(98)는 리세스(97)내에 위치될 수 있다.
제11도는 베어링 시트(84d) 변경된 실시예를 도시한다. 하우징부(10) 내에서 프리즘 방식으로 볼 베어링을 수용하는 수용 포켓(101)이 형성된다. 결국, 수용 포켓(101)은 서로 직각인 두 개의 커브진 베어링면(103, 104)을 가지며, 이들 베어링면 상에 볼 베어링의 외부 통로가 두 점에 놓인다. 베어링면(103, 104)의 곡률에 의해서, 볼 베어링(41)은 베어링면(103, 104) 상에 보다 큰 영역이 놓인다.
상부 하우징부(11) 내에 제공된 수용 포켓(105)은 볼 베어링(41)의 외부 통로가 놓이는, 커브진 바닥(106)을 가진다. 볼 베어링(41)은 3점에서 베어링 시트(84d) 내에 수용된다. 바닥(106)의 곡률 반경은 볼 베어링(41)의 외부 통로의 직경을 현저하게 초과한다. 결국 틈에 대한 취약성을 제거한다.
최종적으로, 제12도는 제9도의 베어링 시트(84b)와 아주 유사한 베어링 시트(84e)를 도시한다. 그러나, 하우징부(10)에 제공된 리세스(107)는 제9도의 실시예의 리세스(86) 보다 큰 직경을 가진다. 하우징부(11)에서 리세스(108)가 제공되고 리세스(87) 보다 깊은 깊이를 가진다. 볼 베어링(41)은 O형 링(111)에 의해 리세스(107, 108)내에 유지된다. O형 링(111)은 틈에 대해 상당히 큰 보상을 하는 방식으로 베어링 시트(84e)내에 볼 베어링(41)을 유지하는 스프링 요소를 형성한다. O형 링은 리세스(107)의 바닥에, 필요하다면 홈(도시생략)과 결합한다.
O형 링은 또한 상술한 공급기 장치(1)의 모든 실시예에 스프링 또는 보상 요소로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대응하는 베어링 시트(84a 내지 84e)의 직경과 깊이를 정의해야 한다.
상술한 실시예로부터, 베어링 롤러(13, 13')와 베어링 롤러(14, 14') 양쪽은 각각 한 피스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베어링 롤러(13, 13'; 14, 14')가 톱니형 벨트 풀리(48, 55)와 함께 한 피스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양호한 집적도와 용이한 조립과 저비용이 달성된다.
또한, 다른 실시예는 제9도 내지 제12도에 따른 한 하우징부와 제4도 내지 제12도에 따라서 임의의 다른 하우징부를 조합할 수 있다.
편물 기계 내의 탄성 중합체 얀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기 장치는 두 부분으로 갈라지는 하우징을 가지고, 여기에 베어링 롤러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서로로부터 평행하게 이격되어 있다. 하우징은 하나 이상의 베어링 롤러를 구동하기 위한 기어 수단을 수용하는 내부실을 에워싼다. 기어 수단은 하우징으로부터 돌출하는 축에 고정되는 구동 휠로부터 하나 이상의 베어링 롤러까지 힘을 전달한다. 베어링 롤러는 볼 베어링을 통해 지지되고, 볼 베어링은 하우징내에 제공된 대응 베어링 시트에 의해 유지된다. 베어링 시트는 하우징부내에 형성되고, 하우징부는 각각 한 피스로 만들어지고 적합하게 사출성형으로 제조된다. 하우징부를 서로 경계짖는 분할선은 모든 베어링 시트를 통해 연장하므로, 볼 베어링은 하우징부 사이에 유지된다. 볼 베어링은 하우징부를 서로 고정함으로써 동시에 고정되어진다.

Claims (31)

  1. 실제로 분할선(8)에 평행한 각각의 제1 및 제2 보완 표면을 구비한 제1 및 제2 하우징 부분(10, 11)을 포함하며 내부실을 에워싸는 벽을 구비한 하우징(3)과, 제1 피봇축(12) 둘레에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3)에 고정적으로 유지 및 지지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제1 베어링 롤러(13, 13')와, 제2 피봇축(12') 주위에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베어링 롤러(13, 13')에 이격되어 평행하게 유지되고, 하우징(3) 상에 지지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제2 베어링 롤러(14, 14')와, 리세스(36)가 제1 및 제2 하우징 부분의 적어도 하나 위에 베어링 시트 표면을 구비한 베어링 시트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베어링 롤러(13, 13'; 14, 14')가 연장하고, 이 제1 및 제2 베어링 롤러(13, 13'; 14, 14')가 각 피봇축(12, 12')에 대해 교차한 분할선(8)으로부터 연장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하우징부(10, 11)의 벽에 제공된 리세스(36)와, 상기 하나 이상의 베어링 롤러(13, 13'; 14, 14')를 회전가능하게 구동하기 위한 구동기구와, 상기 하우징부(10, 11)를 서로 결합하기 위한 고정 수단과, 상기 하우징(3)을 기계 프레임에 유지하기 위한 고정 장치(6)를 포함하며, 제1 및 제2 보완적인 표면과 분할선(8)중 적어도 하나가 베어링 시트와 교차하거나 접촉하며, 제1 및 제2 하우징 부분의 하나 이상의 베어링 시트 표면의 적어도 일부는 탄력적으로 구성된 얀 공급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36)에 의해 베어링 시트(84)가 형성되고, 상기 리세스내에 베어링 수단(41, 42, 43, 44)이 위치되며, 상기 베어링 수단에 의해 베어링 롤러(13, 13'; 14, 14')가 저 마찰력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얀 공급기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36) 또는 베어링 시트(84)는 상기 분할선(8)을 관통하는 개구를 가진 포켓형 리세스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얀 공급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선(8)에 의해 위치된 경계부를 가진 개구는 피봇축(12, 12')에 대해 90°와 다른 각도로 방위 설정된 표면 영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얀 공급기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기구는 하나 이상의 기어 수단(25)을 포함하며, 상기 기어 수단에 의해 베어링 롤러(13, 13'; 14, 14')가 구동휠(27)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얀 공급기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선(8)은 베어링 롤러(13, 13'; 14, 14')의 하나 이상의 피봇축(12, 12')에 평행하게 방위 설정된 평면내의 적어도 약간의 섹션에 위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얀 공급기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롤러(13, 13'; 14, 14')를 포함하는 섹션에서의 분할선(8)은 제1 베어링 롤러(13, 13')의 피봇축(12)과 제2 베어링 롤러(14, 14')의 피봇축(12') 모두에 평행한 평면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얀 공급기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10, 11) 사이에 제공된 분할선(8)은 제1 베어링 롤러(13, 13')의 피봇축(12)과 제2 베어링 롤러(14, 14')의 피봇축(12') 모두에 평행한 평면내에 완전히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얀 공급기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3)은 플라스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얀 공급기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10, 11)는 사출성형 부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얀 공급기 장치.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시트(84)는 하우징이 폐쇄될 때 베어링 수단(41)이 베어링 시트(84)에 의해 여유(play) 없이 완전히 수용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얀 공급기 장치.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시트(84)는 베어링 수단(41, 42, 43, 44)의 공간적 위치를 형성하도록 하우징부(10, 11) 중 하나 상에 형성되며, 반면 리테이닝 장치는 베어링 수단(41)과의 공간적 관계가 제한값 내에서 변화할 수 있도록 하우징부(10, 11)의 다른 하나 상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얀 공급기 장치.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36) 또는 베어링 시트(84)에는 베어링 롤러(13, 13'; 14, 14') 또는 베어링 수단(41)이 하우징(3) 상에 여유없이 유지되도록, 베어링 롤러(13, 13'; 14, 14') 또는 베어링 수단(41)에 작동하는 스프링 수단(96, 97)이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얀 공급기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 11)과 리세스(36)는 상기 베어링 롤러(13, 13'; 14, 14')가 하나의 하우징부(10)에 의해 서로에 대해서 완전히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얀 공급기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롤러(13, 13'; 14, 14')는 하우징(3)을 통해 연장하고 양 단부(13, 13'; 14, 14') 만큼 하우징(3)으로부터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얀 공급기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롤러(13)는 다수의 축 섹션(13, 46, 13')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얀 공급기 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롤러(13, 13'; 14, 14')는 한 피스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얀 공급기 장치.
  1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롤러(13, 13'; 14, 14') 각각은 베어링 수단으로서 두 개의 베어링(41, 42; 43, 43)을 가지며, 이들 사이에 기어 수단(25)이 베어링 롤러(13, 13'; 14, 14') 상에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얀 공급기 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 수단(25)은 슬립을 일으키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얀 공급기 장치.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 수단(25)은 마찰 결합에 의해 힘을 전달하는 하나 이상의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얀 공급기 장치.
  2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 수단(25)은 원추형 휠 기어(31, 32, 58)를 가지며, 상기 원추형 휠 기어는 구동축과 주축(29) 사이에 작동 가능하며 회전방향을 바꿀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얀 공급기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주축(29)에서부터 제1 베어링 롤러(13, 13')까지의 힘의 전달은 벨트(50) 또는 체인을 통해 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얀 공급기 장치.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어링 롤러(13, 13')에서부터 상기 제2 베어링 롤러(14, 14')까지의 힘의 전달은 벨트(57) 또는 체인을 통해 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얀 공급기 장치.
  2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10, 11)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고정수단은 포지티브한 고정수단(positive securing mean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얀 공급기 장치.
  2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10, 11)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고정수단은 멈춤쇠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얀 공급기 장치.
  2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10, 11)는 재료 결합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얀 공급기 장치.
  2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에는 공급되어지는 얀을 감시하기 위한 센서 수단이 고정될 수 있는 리테이닝 수단(15)이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얀 공급기 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수단은 전기 도선(69, 70)을 고정 장치(6)에 제공된 연결 장치에 연결되고, 이 연결 장치는 상기 장치(1)를 지탱하는 기계 프레임상에 위치되어 있는 연결 수단과 연결하기 위해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얀 공급기 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도선(69, 70)은 상기 하우징부(10) 내에 들어있는 금속 스트립이고, 제각기 다른 하우징부(11) 상에 제공되어 있는 금속 스트립과 접촉하기 위해 분할선(8)에 있는 접촉 텅(tongues: 76, 77)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얀 공급기 장치.
  30.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도선(69, 70)과 하우징부(10, 11)는 센서 수단의 전기 접촉이 납땜없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얀 공급기 장치.
  3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롤러(13, 13'; 14, 14')의 축방향으로 보빈의 이동성을 제한하고 베어링 롤러(13, 13'; 14, 14')의 면단부를 조정가능한 리테이닝 수단(19)은 베어링 롤러(13, 13'; 14, 14')와 관련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얀 공급기 장치.
KR1019960014925A 1995-05-06 1996-05-03 얀 공급기 장치 KR1002180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516719A DE19516719C2 (de) 1995-05-06 1995-05-06 Fadenzuliefervorrichtung
DE19516719.8 1995-05-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41453A KR960041453A (ko) 1996-12-19
KR100218069B1 true KR100218069B1 (ko) 1999-09-01

Family

ID=7761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4925A KR100218069B1 (ko) 1995-05-06 1996-05-03 얀 공급기 장치

Country Status (21)

Country Link
US (1) US5716024A (ko)
EP (1) EP0742304B1 (ko)
JP (1) JP3100902B2 (ko)
KR (1) KR100218069B1 (ko)
CN (1) CN1062041C (ko)
BR (1) BR9602117A (ko)
CZ (1) CZ284083B6 (ko)
DE (2) DE19516719C2 (ko)
EE (1) EE03700B1 (ko)
EG (1) EG21274A (ko)
ES (1) ES2147323T3 (ko)
GR (1) GR3034036T3 (ko)
HK (1) HK1011714A1 (ko)
IN (1) IN184152B (ko)
PE (1) PE41396A1 (ko)
RO (1) RO116655B1 (ko)
RU (1) RU2126360C1 (ko)
SK (1) SK284083B6 (ko)
TR (1) TR199600363A2 (ko)
TW (1) TW327661B (ko)
UA (1) UA43353C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4573B1 (ko) * 2002-08-29 2004-11-06 장항곤 사 공급장치
KR100981740B1 (ko) * 2010-02-18 2010-09-10 우상노 환편기용 스판공급기
KR101932116B1 (ko) * 2018-05-08 2019-03-20 신익환 변속 기반의 편직용 탄성 섬유 피딩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32485A1 (de) * 1999-07-12 2001-01-18 Memminger Iro Gmbh Lagereinrichtung, insbesondere für Fadenliefergeräte
DE19932481A1 (de) * 1999-07-12 2001-01-18 Memminger Iro Gmbh Fadenliefergerät für Textilmaschinen
KR200198604Y1 (ko) * 2000-05-01 2000-10-02 박윤석 실(絲) 공급장치
KR20020025625A (ko) * 2000-10-18 2002-04-04 장경복 얀 공급장치
US20020116266A1 (en) * 2001-01-12 2002-08-22 Thaddeus Marshall Method and system for tracking and providing incentives for time and attention of persons and for timing of performance of tasks
CN100439583C (zh) * 2004-11-05 2008-12-03 慈溪市太阳纺织器材有限公司 弹性纱输纱装置
CN102560859B (zh) * 2006-05-17 2014-11-26 梅明格-Iro股份有限公司 改进的纱线退绕装置
CN101443498B (zh) * 2006-05-17 2013-06-19 梅明格-Iro股份有限公司 改进的纱线退绕装置
BRPI0622228B1 (pt) * 2006-12-22 2017-05-02 Memminger-Iro Gmbh aparelho de fornecimento de fio com dispositivo de desligamento aperfeiçoado
CN100570032C (zh) * 2007-12-13 2009-12-16 常熟市金龙机械有限公司 送纱器
CN105780283A (zh) * 2016-02-15 2016-07-20 今富企业有限公司 单线橡筋纱送纱器
EP3333442B1 (en) * 2016-12-06 2020-05-20 Meritor Heavy Vehicle Braking Systems (UK) Limited Fixing for a brake carrier and a mount for a disc brake and method thereof
CN106829578A (zh) * 2017-03-01 2017-06-13 肖叶 一种装饰贴膜涂布双辊收卷装置
KR102280339B1 (ko) * 2020-05-08 2021-07-21 민진기 메탈릭 얀 공급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201645A (fr) * 1958-07-08 1960-01-04 Dispositif de support rotatif pour bobines de déroulement de matière en fil, en feuille ou en ruban
DE3233869C2 (de) * 1982-09-13 1985-04-04 Memminger Gmbh, 7290 Freudenstadt Vorrichtung zum Zuliefern von elastomeren Fäden, insbesondere für Strick- und Wirkmaschinen
DE3515104C1 (de) * 1985-04-26 1986-10-02 SIPRA Patententwicklungs- und Beteiligungsgesellschaft mbH, 7470 Albstadt Vorrichtung zur zwangsweisen Zulieferung von Elastomerfaeden an Textilmaschinen
DE3824437C1 (ko) * 1988-07-19 1990-02-01 Gustav 7290 Freudenstadt De Memminger
DE4311425A1 (de) * 1993-04-07 1994-10-13 Horst Paepke Vorrichtung zur Zuführung elastomerer Fäden
CN2168000Y (zh) * 1993-09-06 1994-06-08 陈仁惠 弹性纱送纱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4573B1 (ko) * 2002-08-29 2004-11-06 장항곤 사 공급장치
KR100981740B1 (ko) * 2010-02-18 2010-09-10 우상노 환편기용 스판공급기
KR101932116B1 (ko) * 2018-05-08 2019-03-20 신익환 변속 기반의 편직용 탄성 섬유 피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E9600024A (et) 1996-12-16
BR9602117A (pt) 1998-06-30
TR199600363A2 (tr) 1996-11-21
EP0742304A1 (de) 1996-11-13
SK284083B6 (sk) 2004-09-08
GR3034036T3 (en) 2000-11-30
CN1062041C (zh) 2001-02-14
SK56796A3 (en) 1997-03-05
RU2126360C1 (ru) 1999-02-20
JP3100902B2 (ja) 2000-10-23
US5716024A (en) 1998-02-10
DE59605482D1 (de) 2000-08-03
IN184152B (ko) 2000-06-24
CN1138113A (zh) 1996-12-18
UA43353C2 (uk) 2001-12-17
EE03700B1 (et) 2002-04-15
MX9601675A (es) 1997-07-31
DE19516719C2 (de) 1998-02-12
EP0742304B1 (de) 2000-06-28
CZ284083B6 (cs) 1998-08-12
PE41396A1 (es) 1996-10-08
RO116655B1 (ro) 2001-04-30
ES2147323T3 (es) 2000-09-01
CZ120296A3 (en) 1996-12-11
DE19516719A1 (de) 1996-11-07
HK1011714A1 (en) 1999-07-16
JPH08302547A (ja) 1996-11-19
KR960041453A (ko) 1996-12-19
EG21274A (en) 2001-06-30
TW327661B (en) 1998-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18069B1 (ko) 얀 공급기 장치
JP2018027855A (ja) 搬送システム
EP0906878A1 (en) Apparatus for changing and guiding running direction of conveyor belt
US6932293B1 (en) Thread-supplying device for textile machines
JPH049222B2 (ko)
US8317014B2 (en) Belt conveyor
JP2738968B2 (ja) 紡績機械のための無端運搬装置
US5477718A (en) Rotary apparatus for removing a habitual tendency of an electric wire
EP0346910A1 (en) A bobbin-carrying apparatus of a combined fine spinning machine and winder
EP1162293B1 (en) A locating frame for units for drawing and compacting bundles of textile fibres
GB2030604A (en) Device for texturing textile yarns by imparting false twist by friction
JP3439562B2 (ja) 電動式直線往復動装置
KR920010704B1 (ko) 슬라이드 파스너 결합 엘레멘트용의 모노필라멘트를 스탬프하기 위한 장치
MXPA96001675A (en) H supply device
JP2938544B2 (ja) ベルトコンベヤのベルト案内装置
US3530659A (en) Textile apparatus
JP3038920U (ja) 蛇行防止コンベアベルトに於けるガイド体の 誘導装置
JPH01111027A (ja) 二重撚糸機におけるスピンドル回転装置
JPS62137461A (ja) ベルト駆動装置
JPS5938469Y2 (ja) ボビン移送装置
JPH026003Y2 (ko)
KR950007764B1 (ko) 캔뚜껑 공급장치
SE8504994L (sv) Anordning i symaskin
JPS58148110A (ja) 可撓線付部品の整列移送方法及び装置
JPH1036005A (ja) 糸条巻取機のトラバ−ス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00620

Effective date: 20011130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40719

Effective date: 20050929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2X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J222 Remand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REMAND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51102

Effective date: 20060622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60718

Effective date: 20080710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081001

Effective date: 20090115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80715

Effective date: 20090521

J2X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90629

Effective date: 20100909

J222 Remand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REMAND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00920

Effective date: 20110513

J2X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101229

Effective date: 20110810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10615

Effective date: 20110929

J222 Remand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REMAND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11011

Effective date: 20120203

J2X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10822

Effective date: 20120330

J221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ree format text: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OR INVALIDATION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20312

Effective date: 20120628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20710

Effective date: 2012080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2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