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7218B1 - 폴리우레탄 발포체 성형품의 제조방법 및 당해 방법으로 수득한 성형품 - Google Patents

폴리우레탄 발포체 성형품의 제조방법 및 당해 방법으로 수득한 성형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7218B1
KR100217218B1 KR1019910005757A KR910005757A KR100217218B1 KR 100217218 B1 KR100217218 B1 KR 100217218B1 KR 1019910005757 A KR1019910005757 A KR 1019910005757A KR 910005757 A KR910005757 A KR 910005757A KR 100217218 B1 KR100217218 B1 KR 1002172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mponent
blowing agents
mold
isocyan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5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8439A (ko
Inventor
노이하우스 알프레트
아바르 게자
룩카스 브루노
필게르 프리이드헬름
Original Assignee
빌프리더 하이더
바이엘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DE4012005A external-priority patent/DE4012005A1/de
Priority claimed from DE4013141A external-priority patent/DE4013141A1/de
Application filed by 빌프리더 하이더, 바이엘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빌프리더 하이더
Publication of KR9100184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84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7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72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 C08G18/76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8Polyethers
    • C08G18/4829Polyethers containing at least three hydroxy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2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the reacting monomers or modifying agents during the preparation or modification of macromolecu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110/00Foam properties
    • C08G2110/0016Foam properties semi-rigi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110/00Foam properties
    • C08G2110/0025Foam properties rigi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110/00Foam properties
    • C08G2110/0033Foam properties having integral sk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110/00Foam properties
    • C08G2110/0041Foam properties having specified density
    • C08G2110/0058≥50 and <150kg/m3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110/00Foam properties
    • C08G2110/0041Foam properties having specified density
    • C08G2110/0066≥ 150kg/m3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110/00Foam properties
    • C08G2110/0083Foam properties prepared using water as the sole blowing ag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115/00Oligomerisation
    • C08G2115/02Oligomerisation to isocyanurate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7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75/04Polyuretha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lding Of Porous Articles (AREA)
  • Ultra Sonic Daignosis Equipment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범위하게는, 발포제로서, 기타 화학적 또는 물리적 발포제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결정수를 함유하는 염을 사용하여 인테그랄 스킨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폴리우레탄 발포체 성형품의 제조방법 및 당해 방법으로 수득한 성형품
본 발명은 결정수를 함유하는 염을 발포제로서 사용하여 비기포질 표면을 갖는 폴리우레탄 발포체로 구성된 성형품을 제조하는 신규한 방법 및 당해 방법으로 수득한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금형 속에서 발포시킴으로써 비기포질 표면을 갖는 폴리우레탄 발포체[즉, 인테그랄 스킨 발포체(intergral skin foams)] 성형품을 제조하는 방법은 이미 공지되어 있다(참조: 예를 들면, 독일연방공화국 특허공보 제1,196,864호). 당해 방법은 유기폴리이소시아네이트,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 그룹을 함유하는 화합물 및 통상적인 보조제와 첨가제의 발포 가능한 반응성 혼합물을 제한 없이 발포시킬 수 있는 조건하에 금형을 완전히 충전시키는 데 필요한 양보다 과량으로 금형 속으로 도입시킨 다음, 혼합물을 밀폐된 금형속에서 발포시킴으로써 수행된다. 적합한 출발 성분(특히 이의 분자량과 관능성 면에서)을 선택함으로써 가요성의 반경질 또는 경질 성형품을 제조할 수 있다. 조밀한 외부 스킨은 자유 발포 조건하에 금형의 용적을 충전시키는데 필요한 양보다 과량의 발포 가능한 혼합물을 금형 속으로 도입시키고 발포제로서 플루오로클로로하이드로카본을 사용함으로써 수득된다. 이들 발포제는 반응 온도 및압력 조건하에 금형의 내벽에서 응축되어 발포 반응이 금형의 내벽에서 정지함으로써, 고형 외부스킨이 형성된다.
공업용 폴리우레탄 화학 분야에서는 위에서 언급한 물리적 발포제 뿐만 아니라 물과 이소시아네이트와의 반응에 의해 방출되는 이산화탄소에 의해 화학적 발포제로서 작용하는 물이 사용된다. 이들 화학적 발포제가 제한 없이 발포되는 조건하에서 품질이 탁월한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제조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비기포질 표면을 갖는 고품질 성형 발포체(즉, 인테그랄 스킨 발포체)를 제조할 수는 없다. 이러한 이유는, 이산화탄소가 통상적인 조건하에서는 금형 내벽에 응축되지 않아 발포작용이 표면 스킨 영역에서 저지되지 않기 때문이다.
다른 화학적 또는 물리적 발포제, 예를 들면, 질소를 방출하는 발포제(예: 아조-디카본아미드또는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또는 이산화탄소를 방출하는 발포제[예: 피로카본산 에스테르 및 무수물(미합중국 특허 제4,070,310호)] 및 공기 등의 발포제(이는 반응물, 특히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 그룹을 함유하는 성분 속에서 용해된다)는 위와 동일한 문제점을 수반하므로, 고품질의 인테그랄 스킨 발포체의 제조에도 적합하지 않다.
폴리우레탄 시스템에 있어서의 결정수를 함유하는 화합물의 용도는 이미 기술된 바 있지만, 이에 관련된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기술은 비기포질 표면을 갖는 성형 발포체 생성물 제조용 발포제로서의 결정수를 함유하는 화합물의 용도를 교시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예를 들면, 결정수를 함유하는 염은 영국 특허 제1,147,695호에 따라 발포되지 않은 폴리우레탄 중합체의 제조에 사용된다. 독일연방공화국 공개특허공보 제1,806,404호에는, 특히 균질한 특성을 갖는 성형 발포체 생성물의 제조에 있어서 결정수를 함유하는 염의 용도가 기술되어 있으며, 이는 정확히 말해서 발포체의 코어(core) 및 비기포질 표면 스킨으로 구성된 불균질한 구조물을 수득하는 본 발명에 따라 요구되는 효과와는 반대이다. 끝으로, 독일연방공화국 공개특허공보 제2,651,400호에는, 1성분 시스템에서의 결정수를 함유하는 화합물의 용도가 개지되어있지만,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한 생성물을 구성하는 유형의 인테그랄 스킨 발포체의 제조에 대해서는 언급되어 있지 않다.
놀랍게도, 본 발명에 이르러, 비기포질 표면을 갖는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고품질 성형 생성물은, 결정수를 함유하는 무기 염 또는 유기 염이 사용되는 경우, 통상적인 출발 물질로부터 제조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발포작용은 물의 분해를 열적으로 조절하고 지연시킨 다음, 이소시아네이트와 물과의 반응에 의해 이산화탄소를 방출시킴으로써 수행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 이루어진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a),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 그룹을 2개 이상 갖는 유기 화합물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반응성 성분(b), 발포제(이는 임의의 기타의 화학적 또는 물리적 발포제 이외에 결정수를 함유하는 염을 포함한다) 및 임의로 기타 보조제 및 첨가제(d)를 포함하는 반응 혼합물을 이소시아네이트 지수 75 내지 1,500에서 금형 속에서 발포시킴으로써 비기포질 표면을 갖고 전체 밀도가 120kg/㎥ 이상인 폴리우레탄 발포체 성형품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방법으로 수득한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 "폴리우레탄 발포체"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폴리하이드록실 화합물의 반응 생성물로서 수득된 우레탄 그룹을 함유하는 공지된 발포체 뿐만 아니라,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유기 폴리아민으로부터 수득 가능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기본으로 하는 기타 발포체, 예를 들면, 이소시아네이트 개질된 폴리우레탄 발포체 및 우레탄 그룹으로부터 유리되고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유기 폴리아민으로부터 수득 가능한 폴리우레아 발포체를 의미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가장 바람직하게는, 임의로는 이소시아누레이트로 개질된 우레탄 그룹 함유 폴리우레탄인 생성물에 관한 것이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a)는 이소시아네이트 함량이 20중량% 이상인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일 수 있다. 예로는, 2,4-디이소시아네이토-톨루엔 및 이와 2.6-디이소시아네이토-톨루엔과의 시판용 혼합물또는 바람직하게는 공지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또는 디페닐메탄계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혼합물(예: 아닐린/포름알데히드 축합물을 포스겐화한 다음, 임의로 포스겐화 생성물을 증류 후처리하여 수득한 화합물)을 들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에 특히 적합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또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혼합물은 일반적으로 디이소시아네이토디페닐메탄 이성체를 50 내지 100중량% 함유하며 나머지 부분은 거의이들 디이소시아네이트의 고관능성 동족체로 이루어진다. 이들 혼합물 속에 존재하는 디이소시아네이트는, 실질적으로, 디이소시아네이트의 총량을 기준으로하여 2,4'-디이소시아네이토-디페닐메탄 60중량% 이하 및 임의로 2,2'-디이소시아네이토-디페닐메탄 소량과 혼합된 4,4'-디이소시아네이토-디페닐메탄으로 이루어진다. 우레탄, 카보디이미드 또는 알로파네이트 그룹으로 개질된 이들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유도체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a)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반응성 성분(b)는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 그룹을 2개 이상 함유하는 유기 화합물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성분(b)는 일반적으로 이러한 몇몇 화합물의 혼합물이다.
성분(b)의 개별적인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그 자체로서 폴리우레탄 화학계에 공지된 유기 폴리하이드록실 화합물이다.
분자량이 400 내지 10,000, 바람직하게는 1,500 내지 6,000이고 분자당 하이드록실 그룹을 2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2내지 6개 함유하는 공지된 폴리하이드록시폴리에테르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유형의 폴리하이드록시폴리에테르는 공지된 방법으로 적합한 출발 분자[예: 물,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롤, 트리메틸올 프로판, 소르비톨, 사탕수수 슈가, 아미노알콜(예: 에탄올아민 또는 디에탄올아민) 또는 지방족 아민(예: n-헥실아민 또는 1,6-디아미노헥산)] 또는 이러한 출발 분자의 혼합물을 알콕시화함으로써 수득된다. 프로필렌 옥사이드는 특히 적합한 알콕시화제이며, 에틸렌 옥사이드도 경우에 따라서는 알콕시화 반응시 개별 반응단계에서 프로필렌 옥사이드와 함께 또는 개별적으로 도입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폴리에테르 폴리올의 공지된 개질 생성물, 즉 위에서 예시한 단순한 폴리에테르 폴리올을 기본으로 하는 공지된 그라프트 폴리에테르 및 충전제를 함유하는 폴리에테르 폴리올 형태의 공지된 중부가 생성물이 또한 적합하다. 여기서, 충전된 폴리올은, 예를 들면, 폴리히드라조카본아미드 폴리올 및 중합체 폴리올을 포함한다.
또한, 분자량 범위가 400 내지 10,000, 바람직하게는 1,500 내지 4,000이고 분자당 하이드록실 그룹을 2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2 내지 6개 함유하는 통상적인 폴리에스테르폴리올이 성분(b)로서 또는 성분(b)의 일부로서도 적합하다.
출발 분자로서 위에 예시한 유형의 과량의 다가 알콜과 다염기산(예: 석신산, 아디프산, 프탈산, 테트라하이드로프탈산 또는 이러한 산들의 혼합물)과의 공지된 반응 생성물 그 자체가 또한 적합한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이다.
저분자량, 즉 분자량이 62내지 399인 폴리하이드록실 화합물이 또한 성분(b)또는 성분(b)의 일부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이들은 폴리우레탄 화학계에 공지된 저분자량의 하이드록실 함유 연쇄 연장제 및 가교결합제(예: 출발분자로서 이미 위에서 예시한 유형의 알칸 폴리올 및 이러한 출발 분자를 알콕시화함으로써 수득할 수 있는 저분자량 폴리에테르 폴리올)를 포함한다.
성분(b)는 바람직하게는 이미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위에서 예시한 유형의 유기 폴리하이드록실 화합물 또는 유기 폴리하이드록실 화합물의 혼합물로 이루어진다. 성분(b)는 위에서 예시한 비교적 고분자량의 폴리하이드록실 화합물과 위에서 예시한 저분자량의 폴리하이드록실 화합물과의 혼합물 또는 저분자량의 폴리 하이드록실 화합물 그 자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반응성 성분(b)는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아미노그룹을 함유하는 화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들은분자량 범위가 400 내지 12,000, 바람직하게는 2,000 내지 8,000 이며, 둘 이상의 지방족 결합되고/되거나 방향족 결합된 1급 아미노 그룹 및/또는 2급 아미노 그룹, 바람직하게는 1급 아미노 그룹을 갖는 아미노 폴리에테르와 분자량 범위가 60 내지 399인 저분자량 폴리아민을 둘 다 포함한다.
적합한 아미노폴리에테르는 유럽 특허 제0,081,701호, 미합중국 특허 제3,654,370호, 제3,155,728호, 제3,236,895호, 제3,808,250호, 제3,975,428호, 제4,016,143호, 제3,865,791호 및 독일연방공화국 공개특허공보 제2,948,491호에 언급되어 있는 아미노폴리에테르를 포함한다. 저분자량 폴리아민은, 예를 들면, 지방족 폴리아민(예: 에틸렌 디아민 또는 1,6-디아미노헥산), 바람직하게는 방향족 폴리아민, 특히 알킬 치환된 페닐렌디아민(예: 1-메틸-3,5-디에틸-2,4-디아미노벤질,1-메틸-3,5-디에틸-2,6-디아미노벤젠, 4,6-디메틸-2-에틸-1,3-디아미노벤젠, 3,5,3',5'-테트라에틸-4,4'-디아미노디페닐메탄, 3,5,3'5'-테트라이소프로필-4,4'-디아미노디페닐-메탄, 3,5-디에틸-3',5'-디이소프로필-4,4'-디아미노-디페닐 메탄 및 이들 화합물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하는 발포제(c)는 임의로 다른 공지된 화학적 또는 물리적 발포제와 함께 결정수를 함유하는 염이다.
용어 "결정수를 함유하는 염"은 또한 중금속의 수화 산화물 또는 수산화물을 함유함을 의미한다. 발포제(c)로서 적합한 염은 특히 20℃에서의 수중 용해도가 5g/l 미만인, 결정수를 함유하는 염이다. 또한, 이러한 염들은 일반적으로 사용된 폴리올 혼합물 속에서는 저용해도를 갖도록 요구된다. 미약한 흡습성만을 가져서 쉽게 미세한 분말로 연마될 수 있는 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처리하기에가장 적합한 형태이다. 이들 염은 바람직하게는 70% 이상이 100㎛ 메쉬체를 통과하는 분말 형태로 사용된다.
사용되는 염은 알루미늄, 바륨, 칼슘, 철,구리 또는 마그네슘의수화 산화물 또는 수산화물 ; 또는 금속(예; 알루미늄, 바륨, 칼슘,크롬, 철, 칼륨,구리, 마그네슘, 망간, 나트륨, 아연, 주석 또는 지르코늄)과의 무기산 또는 유기산(예: 카본산, 염산, 황산, 불화수소산, 붕산, 옥살산, 포름산, 아세트산, 락트산 또는 벤조산)의 결정수를 함유하는 염, 예를 들면, AlKSO4·12H2O, Ba(OH)2·8H2O, BaC2O4·2H2O, CaC4H4O6·4H2O, CaC2O·H2O, CaSO4·2H2O, CeSO4·4H2O, Ce(C2O4)3·10H2O, CuSO4·5H2O, Na2B4O7·10H2O, NH4MgAsO4·6H2O, MgCO3·3H2O, KHCO3·MgCO3·4H2O, Al2O3·2SiO2·2H2O 또는 4MgCO4·Mg(OH)2·4H2O 일 수 있다.
그러나, 특히인산, 이인산 및 중합성 인산의 결정수를 함유하는 염, 예를 들면, Mg3(PO4)2·8H2O, AlPO4·3H2O, CaHPO4·2H2O, Ca(H2PO4)2·H2O, Mg3(PO4)2·8H2O, Cu2P2O7·3H2O, FePO4·2H2O, Na2HPO4·12H2O, Na2HPO4·2H2O, Na2H2P2O6·6H2O, Na3PO4·12H2O, Mg(H2PO4)2·4H2O, MgHPO4·2H2O 및 특히 MgNHPO·6H2O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언급한 6몰의 결정수를 함유하는 마그네슘 암모늄 포스페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에 있어서, 본 발명에 필수적인, 결정수를 함유하는 염은 소량의 기타 공지된 화학적 또는 물리적 발포제와의 혼합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은 물, 기체(예: 출발 성분 속에서 물리적으로 용해된 공기, 이산화탄소 또는 질소), 피로카본산 에스테르, 질소를 방출시키는 화합물, 및 휘발성 탄화수소 및 할로겐화 탄화수소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러한 기타 발포제를 포함하는 것이 특별히 유리하지는 않고 교반에 의해 물 또는 공기가 도입되는 것을 종종 피하기도 한다. 이러한 기타 발포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는 일반적으로 반응 혼합물에 존재하는 모든 발포제의 50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25중량% 이하여야 한다.
종종 유동성과 외부 스킨의 형성이 결합수(bound water)와 자유수(free water)의 면밀한균형에 의해 연속적으로 조절될 수 있기 때문에, 염에 결합되지 않는 물을 첨가하는 것이 때로는 유리한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자유수의 양은 일반적으로 결정수로서 결합된 물의 양의 1/3을 초과하지 않는다.
물론, 사용되는 발포제의 총량은 성형품의 목적하는 밀도에 좌우된다.
일반적으로 성분(c)의 중량은 성분(a), 성분(b), 성분(c) 및 성분(d)로 이루어진 반응 혼합물의 총량의 0.1 내지 15중량%, 바람직하게는 1내지 10중량%이다.
임의로 사용되는 기타 보조제와 첨가제는, 예를 들면, 이소시아네이트 중부가 반응을 촉진시키는 공지된 촉매[예: 3급 아민(예: 트리에틸렌 디아민, N,N-디메틸벤질아민 또는 N,N-디메틸사이클로헥실아민) 또는 유기 금속성 화합물, 특히 주석 화합물(예: 주석(II) 옥토에이트 또는 디부틸 주석 디라우레이트)]일 수 있다. 제조되는 폴리우레탄 발포체가 이소시아누레이트 그룹을 함유해야하는 경우, 예를들면, 삼량체화 촉매[예: 알칼리 금속 아세테이트(예: 나트륨 또는 칼륨 아세테이트), 알칼리 금속 페놀레이트(예: 나트륨 페놀레이트 또는 나트륨 트리클로로페놀레이트)또는 2,4,6-트리스-(디메틸아미노메틸)-페놀 또는 납 나프테네이트, 납 벤조에이트 또는 납 옥토에이트]를 본 발명에 따라 사용할 수 있다.
임의로 사용되는 기타 보조제와 첨가제(d)는, 예를 들면, 폴리에테르 개질된 폴리실록산을 기본으로 하는 발포 안정화제 등의 공지된 발포 안정화제를 포함한다.
임의로 사용되는 기타 보조제와 첨가제(d)는 내부 금형 이형제를 포함하며, 예를 들면, 이들은 유럽 특허 제081,701호, 미합중국 특허 제3,726,952호,제4,098,731호, 제4,058,492호, 제4,033,912호, 제4,024,090호 및 제4,098,731호, 영국 특허 제1,365,215호 및 독일연방공화국 공개특허공보 제2,319,648호 및 제2,427,273호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은 일반적으로 최초에 출발성분(b) 내지 출발성분(d)를 혼합시킨 다음, 혼합물을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a)와 혼합시킴으로써 수행한다.
마지막으로 언급한 혼합은, 예를 들면, 교반 혼합기, 또는 바람직하게는 폴리 우레탄 발포체를 제조하는 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유형의 통상적인 고압 혼합장치속에서 수행할 수 있다. 반응 혼합물을 제조한 직후, 후자를 금형(통상적으로 폐쇄되도록 고안된 금형)속으로 도입시키는데, 이때 금형 속으로 도입되는 양은 성형품의 목적하는 전체 밀도가 되도록 조절한다. 목적하는 비기포질 외부 스킨을 확실하게 형성하기 위해서는, 반응 혼합물의 양은, 제한 없이 발포시키는 경우, 금형 용적의 1.5배이상으로 충전되도록 선택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은 이러한 1단계 방법 뿐만 아니라 반예비 중합체 방법으로도 수행할 수 있으며, 여기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a)의 총량을 성분(b)의 일부, 예를 들면, 3:1 이상, 바람직하게는 8:1 이상의 NCO/OH 당량비가 유지되도록 하는 비율로 반응시켜 이소시아네이트 반예비 중합체를 형성시킨 다음, 이를 나머지 성분(b) 내지 성분(d)의 혼합물과 반응시킨다. 물론, 이소시아네이트 반예비 중합체의 제조에 사용되는 폴리하이드록실 화합물(b)는 후속적으로 이소시아네이트 반예비 중합체와 혼합되는 폴리하이드록실 화합물(b)과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의 모든 변형에 있어서, 개별 성분의 양적 비율은 이소시아네이트 지수가 75 내지 1,500,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50으로 되도록 선택한다.
"이소시아네이트 지수"란 이소시아네이트 그룹의 수를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 그룹의 수로 나눈 몫에 100을 곱한 수이다. 삼량체화 촉매가 이소시아누레이트 개질된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시에 동시에 사용되는 경우, 실제로 100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 지수가 적합할 것이다. 본 발명에 필수적인, 결정수를 함유하는 염에 존재하는 물은 이소시아네이트 지수를 계산할 때 포함되지 않는다.
성형품의 전체 밀도는 120kg/㎥ 이상, 바람직하게는 180내지 800kg/㎥이다.
사용되는 금형의 온도는 일반적으로 30℃이상, 바람직하게는 50℃ 이상이다. 필요한 경우, 금형의 내벽은 금형이 충전되기 전에 공지된 외부 금형 이형제로 피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에 의해, 이제까지 항상 사용되던 플루오로클로로하이드로카본을 사용하지 않고도 기포 부재 고체 표면을 갖는 고품질의 성형 폴리우레탄 발포체 생성물을 제조할 수 있게 되었다.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은 자동차 및 가구 제조 산업에서 널리 사용되는 유형의 비기포질 표면을 갖는 반경질 내지 경질 내부 발포체의 제조에 특히 적합하다.
[실시예 1]
[출발물질]
성분(a) : 이소시아네이트 함량이 31중량%이고, 4,4'-디이소시아네토디페닐메탄 55중량%와 2,4'-디이소시아네토디페닐메탄 약 5중량%를 함유하는 디페닐메탄계와 디이소시아네토디페닐메탄의 고급 동족체 45%의 폴리이소시아네트 혼합물.
폴리올 성분(b1) : OH 가가 860인 트리메틸올프로판의 프로폭시화 생성물.
폴리올 성분(b2) : OH 가가 42인 트리메틸올프로판의 프로폭시화 생성물.
첨가제(d1)(안정화제): 시판용 폴리에테르 실록산[상표명:Tegostab
Figure kpo00001
OS 50, 제조원: 독일 4300 에쎈 1에 소재하는 골슈미트 아게(Goldschmidt AG)]
첨가제(d2)(촉매): N,N-디메틸사이클로헥실아민, 표 1의 폴리올 혼합물은 표1에 기재되어 있는 폴리이소시아네트 성분(a)의 양으로 후처리된다.
Figure kpo00002
전체 밀도가 200내지600kg/㎥인 판 형태의 성형 발포체 생성물을 표 1의 제형으로부터 제조한다(표 2 참조). 사용되는 금형은 내벽이 통상적인 왁스계 외부 금형 이형제(상표명: Acmosil
Figure kpo00003
180, 제조원: Acmos, 소재지 : D-2800 Bremen I)로 피복된 10 x 200 x 200mm의 편평한 금형이다. 폴리올 혼합물을 후처리하기 전에, 이들은 고속 교반기 속에서 혼합물을 단시간 동안 교반(5분, 1,000회전/분, 프로펠러 교반기)함으로써 잘 분산된 공기 10용적%(대기압 기준)로 단시간 하중시킨다.
폴리올 혼합물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a)로이루어진 반응 혼합물은 통상적인 교반 혼합기 속에서 제조된다. 성형품의 밀도는, 각각의 경우, 금형 속으로 도입되는 반응 혼합물의 양에 의해 결정된다.
[실시예 2]
1, 2 및 3 : 이산화탄소를 지연 생성하는 발포제로서 결정수를 방출하는 염을 사용하는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
4 및 5 : 이산화탄소를 방출하는 발포제로서 물을 사용하는 비교실시예.
5 및 7 : 발포제로서 모노플루오로트리클로로메탄(상표명: Freigen
Figure kpo00004
R 11, 경질성이 대단히 큰 통상적 적층 발포체)을 사용하는 비교실시예.
개별 성형 발포체 생성물의 표면 경도 쇼어(Shore) D는 다음 표 2 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다.
Figure kpo00005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 1, 2 및 3의 표면경도 값은 모든 전체 밀도에서 비교실시예 4 및 5의 표면경도 값보다 명백하게 더 크다. 이는 발포제로서 프리겐 R 11(Frigen
Figure kpo00006
R 11)을 사용하여 무수적으로 제조한 인테그랄 발포체 6 및 7의 표면경도와 유사하다.

Claims (3)

  1. 하나이상의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트로 이루어진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a),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 그룹을 2개 이상 갖는 유기 화합물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반응성 성분(b), 기타의 화학적 또는 물리적 발포제 이외에, 20℃에서의 수중 용해도가 5g/ℓ이하인 결정수를 함유하는 염을 포함하는 발포제(c) 및 기타의 보조제 및 첨가제(d)를 포함하는 반응 혼합물을 이소시아네이트 지수 75 내지 1,500으로 금형속에서 발포시킴을 특징으로 하여, 비기포질 표면을 갖고 전체밀도가 120kg/㎥ 이상인 폴리우레탄 발포체 성형품을 제조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결정수를 함유하는 염(c)가 6몰의 결정수를 함유하는 마그네슘 암모늄 포스페이트인 방법.
  3. 제1항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성형품.
KR1019910005757A 1990-04-13 1991-04-11 폴리우레탄 발포체 성형품의 제조방법 및 당해 방법으로 수득한 성형품 KR1002172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P4012005.8 1990-04-13
DE4012005A DE4012005A1 (de) 1990-04-13 1990-04-13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formkoerpern aus polyurethanschaumstoffen und die nach diesem verfahren erhaltenen formkoerper
DE4013141A DE4013141A1 (de) 1990-04-25 1990-04-25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formkoerpern aus polyurethanschaumstoffen und die nach diesem verfahren erhaltenen formkoerper
DEP40131416 1990-04-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8439A KR910018439A (ko) 1991-11-30
KR100217218B1 true KR100217218B1 (ko) 1999-10-01

Family

ID=25892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5757A KR100217218B1 (ko) 1990-04-13 1991-04-11 폴리우레탄 발포체 성형품의 제조방법 및 당해 방법으로 수득한 성형품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EP (1) EP0451685B1 (ko)
JP (1) JPH0710930B2 (ko)
KR (1) KR100217218B1 (ko)
AT (1) ATE134201T1 (ko)
BR (1) BR9101487A (ko)
CA (1) CA2040054A1 (ko)
DE (1) DE59107398D1 (ko)
DK (1) DK0451685T3 (ko)
ES (1) ES2085366T3 (ko)
FI (1) FI1032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28734A (en) 1985-07-10 1998-10-27 Ronald A. Katz Technology Licensing, Lp Telephone interface call processing system with call selectivity
DE4131203A1 (de) * 1991-09-19 1993-03-25 Bayer Ag Salzgetriebener pur-folienverbund
JP5080004B2 (ja) * 2005-06-28 2012-11-21 株式会社イノアックコーポレーション ポリウレタン発泡体
JP5005215B2 (ja) * 2005-12-26 2012-08-22 株式会社イノアックコーポレーション ポリウレタン発泡体
JP4794300B2 (ja) * 2005-12-28 2011-10-19 株式会社イノアックコーポレーション 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のモールド成形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05275A (en) * 1964-12-10 1970-04-07 Hodogaya Chemical Co Ltd Process for producing non-foaming urethane-type polymers
DE1769313B2 (de) * 1968-05-07 1972-03-23 Farbenfabriken Bayer Ag, 5090 Lever Kusen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elastischen polyurethanschaum stoffen mit kompakter oberflaeche
DE1806404A1 (de) * 1968-10-31 1969-06-04 Dunlop Co Lt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cellularen Polyurethanmasse
DE2651400A1 (de) * 1976-11-11 1978-05-18 Franz Bovender Abis K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formstoffen
DE3742122A1 (de) * 1987-12-11 1989-06-22 Bayer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olyurethanschaumstoff-formteilen
DE3819940A1 (de) * 1988-06-11 1989-12-14 Bayer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olyurethan-weichblockschaumstoff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8439A (ko) 1991-11-30
EP0451685A3 (en) 1992-12-09
JPH0710930B2 (ja) 1995-02-08
FI103281B (fi) 1999-05-31
EP0451685B1 (de) 1996-02-14
CA2040054A1 (en) 1991-10-14
FI911741A0 (fi) 1991-04-11
FI103281B1 (fi) 1999-05-31
ATE134201T1 (de) 1996-02-15
EP0451685A2 (de) 1991-10-16
BR9101487A (pt) 1991-12-03
DE59107398D1 (de) 1996-03-28
DK0451685T3 (da) 1996-06-17
FI911741A (fi) 1991-10-14
JPH0625453A (ja) 1994-02-01
ES2085366T3 (es) 1996-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797126B2 (ja) ポリウレタン成形発泡体の製造方法
JP3061717B2 (ja) 変性ポリイソシアヌレート発泡体の製造法
US5124369A (en) Process for preparing soft flexible polyurethane foams and a polyol composition useful in said process
US3645927A (en) Polyurethane catalyst
JP2001139655A (ja) 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の製造方法
KR100217218B1 (ko) 폴리우레탄 발포체 성형품의 제조방법 및 당해 방법으로 수득한 성형품
US5296181A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composite bodies having enhanced bonding between layers of the composite bodies thus obtained
JPH1087777A (ja) 良好な流動性をもつ発泡性ポリウレタン調製物及び発泡ポリウレタン成形品の製造方法
JPH0770270A (ja) 硬質ポリウレタンもしくはウレタン改質ポリイソシアヌレートフォームの製造方法
USRE33290E (en) Rigid polyurethane foam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EP0423594B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Formkörpern aus Polyurethanschaumstoffen
EP0295568B1 (en) A process for manufacturing rigid polyurethane foam
CA2026033A1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heat curable flexible molded polyurethane foams
US5426124A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moldings of polyurethane foams
US4173691A (en) Catalyst composition for flexible polyurethane foams
JP2516226B2 (ja) 硬質ポリウレタンフォ―ムの製造方法
JP2604953B2 (ja) 変性ポリイソシアヌレート発泡体の製造法
EP3740520B1 (en) Polyisocyanurate comprising foams with long cream time and snap-cure behaviour
DE4013141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formkoerpern aus polyurethanschaumstoffen und die nach diesem verfahren erhaltenen formkoerper
US4981878A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heat curable flexible polyurethane molded foams
DE4012005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formkoerpern aus polyurethanschaumstoffen und die nach diesem verfahren erhaltenen formkoerper
GB2094322A (en) Manufacture of rigid polyurethane foams from polyether- polyols and polyhydroxypolyphenylalkanes
JPH02284913A (ja) 熱硬化性軟質成形ポリウレタンフオーム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60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