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6298B1 - 디지탈 전자악기 음악파일의 가사와 진행부분 표시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탈 전자악기 음악파일의 가사와 진행부분 표시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6298B1
KR100216298B1 KR1019970031287A KR19970031287A KR100216298B1 KR 100216298 B1 KR100216298 B1 KR 100216298B1 KR 1019970031287 A KR1019970031287 A KR 1019970031287A KR 19970031287 A KR19970031287 A KR 19970031287A KR 100216298 B1 KR100216298 B1 KR 1002162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yrics
music file
processing unit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1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9030A (ko
Inventor
박순철
Original Assignee
양원모
주식회사벨로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원모, 주식회사벨로체 filed Critical 양원모
Priority to KR10199700312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6298B1/ko
Publication of KR19990009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90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62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62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08Associated control or indicating mea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2Constructional detail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005Non-interactive screen display of musical or status data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탈 전자악기 음악파일의 가사와 진행부분 표시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파일로 저장되어 있는 음악파일을 해독해서 가사를 한글 또는 영문으로 화면에 표시하도록함과 동시에, 화면에 표시된 가사에서 진행부분을 표시하도록함으로서, 디스크를 이용하여 파일형식의 표준음악파일을 활용할 수 있게 하는 디지탈 전자악기 음악파일의 가사와 진행부분 표시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음악파일을 활용할 수 있도록한 디지탈 전자악기에 적용되는 것으로, 음악파일의 가사를 한글 또는 영문으로 가사를 화면으로 출력시키고, 연주시에는 상기 표시된 가사에서 진행부분을 표시시킴과 동시에 사운드를 출력하도록하여, 음악파일의 활용하여 학습이 가능하게 되었으며, 지원하는 가사표시 및 진행부분의 표시로 인하여 정확한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디지탈 전자악기 음악파일의 가사와 진행부분 표시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디지탈 전자악기 음악파일의 가사와 진행부분 표시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파일로 저장되어 있는 음악파일을 해독해서 가사를 한글 또는 영문으로 화면에 표시하도록함과 동시에, 화면에 표시된 가사에서 진행부분을 표시하도록함으로서, 디스크를 이용하여 파일형식의 표준음악파일을 활용할 수 있게 하는 디지탈 전자악기 음악파일의 가사와 진행부분 표시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1은 종래의 디지탈 전자악기의 구성도로서, 도1을 참조하면, 종래의 디지탈 전자악기는 연주기능을 포함한 디지탈 전자악기의 기능을 선택하도록된 기능선택부(11)와, 상기 기능선택부(1)에서 선택된 기능에 따라 건반부로부터의 건반음을 처리하는 중앙처리장치(10)와, 연주시 기능선택이나 연주상황을 표시하는 표시부(13)와, 상기 중앙처리장치(10)에서 처리된 음을 가청음으로 출력하는 사운드출력부(14)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디지탈 전자악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디지탈 전자악기는 건반을 통한 연자자의 연주만을 처리하여 출력하는 단순한 기능만을 제공하는 관계로, 파일형식의 음악파일의 가사를 화면표시하거나 이 표시된 가사에서 진행부분을 표시하는등을 활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파일로 저장되어 있는 음악파일을 해독해서 가사를 한글 또는 영문으로 화면에 표시하도록함과 동시에, 화면에 표시된 가사에서 진행부분을 표시하도록함으로서, 디스크를 이용하여 파일형식의 표준음악파일을 활용할 수 있게 하는 디지탈 전자악기 음악파일의 가사와 진행부분 표시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종래의 디지탈 전자악기의 구성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탈 전자악기의 구성도이다.
도3a는 도2의 표시부에 한글가사와 진행부분이 표시된 예시도이고, 도3b는 도2의 표시부에 영문가사와 진행부분이 표시된 예시도이다.
도4은 본 발명에 따른 가사와 진행부분 표시방법을 보이는 플로우챠트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중앙처리장치 105 : 인터페이스
110 : 기능선택버턴부 120 : 시스템메모리
130 : 표시부 140 : 사운드처리부
142 : 사운드합성부 144 : 사운드출력부
150 : 가사처리부 152 : 가사판독부
154 : 가사변환부 160 : 디스크처리부
162 : 디스크구동제어부 164 : 디스크구동부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수단으로써, 본 발명의 장치는 디스크처리부내의 디스크에 저장된 음악파일의 불러오기선택, 곡명선택 및 연주시작선택을 위한 선택버턴이 마련된 기능선택버턴부; 전자악기동작에 필요한 시스템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시스템메모리; 중앙처리장치의 요구에 따라 저장된 음악파일 각각의 곡명 또는 선택된 음악파일을 상기 중앙처리장치로 제공하는 디스크처리부; 중앙처리장치의 제어에 따라 선택된 음악파일에서 가사를 판독한후 변환시키는 가사처리부; 상기 기능선택버턴부로부터 인터페이스를 통한 음악파일 불러오기선택시, 상기 디스크처리부에 저장된 전체 음악파일의 곡명에 대한 화면표시를 제어한후, 상기 기능선택버턴부로부터 특정 음악파일선택시, 선택한 음악파일에 대한 가사판독 및 가사변환을 제어한 다음, 변환된 가사를 화면표시하고, 연주시작선택시 상기 표시된 가사에 연주진행부분을 표시함과 동시에 사운드처리부를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 상기 중앙처리장치의 제어에 따라 곡명, 가사, 가사의 진행부분을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중앙처리장치의 제어에 따라 사운드를 출력하는 사운드처리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기술적인 수단으로써, 본 발명의 방법은 디스크처리부내의 디스크에 저장된 음악파일을 기능선택버턴부를 통해 불러오기를 선택하면 상기 디스크에 저장된 음악파일 각각의 곡명을 표시부로 디스플레이하는 제1단계;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된 곡명중 하나를 선택하면, 선택된 곡명의 음악파일에 가사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별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에서 가사가 있으면, 한글가사이면 한글로 가사를 상기 표시부로 표시하고, 영문가사이면 영문으로 가사를 상기 표시부로 표시하는 제3단계; 상기 제3단계후 상기 기능선택버턴부를 통해 선택한 음악파일의 연주시작선택시,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가사에 연주진행부분을 표시하는 제4단계; 상기 제4단계와 동시에, 또는 상기 제2단계에서 가사가 없는 경우에는 사운드처리후 출력하는 제5단계; 상기 선택된 음악파일이 끝인지를 판별하여 끝이 아닐 경우에는 제4단계로 진행하고, 끝일 경우에는 연주를 종료시킨후 제1단계의 곡명디스플레이하는 단계로 진행하는 제6단계; 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탈 전자악기의 가사와 진행부분 표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탈 전자악기의 구성도로서,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탈 전자악기 음악파일의 가사와 진행부분 표시장치에서, 110은 기능선택버턴부이며, 이는 디스크처리부(160)내의 디스크에 저장된 음악파일의 불러오기선택, 곡명선택 및 연주시작선택을 위한 선택버턴이 마련되어 있는 기능선택부이다. 120은 시스템메모리이며, 이는 전자악기동작에 필요한 시스템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롬메모리이다.
160은 디스크처리부이며, 이는 디스크구동제어부(162)와 디스크구동부(164)를 포함하여, 중앙처리장치의 요구에 따라 저장된 음악파일 각각의 곡명 또는 선택된 음악파일을 상기 중앙처리장치(100)로 제공하는 장치이고, 이 디스크처리부는 플로피디스크를 적용할 수 있다.
150은 가사처리부이며, 이는 가사판독부(152)와 가사변환부(154)를 포함하여, 중앙처리장치(100)의 제어에 따라 선택된 음악파일에서 가사의 유무판정, 한글가사 또는 영문가사인지의 판정 및 가사정보가 있는 경우에 이를 가사로 변환시키는 장치이다.
100은 중앙처리장치이며, 이는 상기 기능선택버턴부(110)로부터 인터페이스(105)를 통한 음악파일 불러오기선택시, 상기 디스크처리부(160)에 저장된 전체 음악파일의 곡명에 대한 화면표시를 제어한후, 상기 기능선택버턴부(110)로부터 특정 음악파일선택시, 선택한 음악파일에 대한 가사판독 및 가사변환을 제어한 다음, 변환된 가사를 화면표시하고, 연주시작선택시 상기 표시된 가사에 연주진행부분을 표시함과 동시에 사운드처리부(140)를 제어하는 제어장치이다.
130은 표시부이며, 이는 상기 중앙처리장치(100)의 제어에 따라 곡명, 가사, 가사의 진행부분을 표시하는 표시장치이다. 140은 사운드처리부이며, 이는 사운드합성부(142)와 사운드출력부(144)를 포함하여, 상기 중앙처리장치(100)의 제어에 따라 사운드를 출력하는 장치이다. 170은 램이며, 이는 중앙처리장치(100)의 제어에 따라 음악파일의 가사와 진행부분을 표시시키는 동작수행중에 발생하는 데이타를 저장하는 메모리이다.
도3a는 도2의 표시부에 한글가사와 진행부분이 표시된 예시도이고, 도3b는 도2의 표시부에 영문가사와 진행부분이 표시된 예시도이며, 도4은 본 발명에 따른 가사와 진행부분 표시방법을 보이는 플로우챠트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장치에 따른 동작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하기에 상세히 설명한다.
도2에서 도4까지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먼저 제1단계(411,412,413)에서는 디스크처리부(160)내의 디스크에 저장된 음악파일을 기능선택버턴부(110)를 통해 불러오기를 선택하면, 이를 중앙처리장치(100)가 인식한후 디스크처리부(160)로 음악파일의 곡명을 요구하면, 상기 디스크처리부(160)는 디스크처리부(160)의 디스크에 저장된 음악파일 각각의 곡명을 상기 중앙처리장치(100)로 제공하면, 상기 중앙처리장치(100)가 인터페이스(105)를 통해서 곡명의 리스트를 표시부(130)로 디스플레이시킨다.
제2단계(414,415)에서는 상기 표시부(130)에 디스플레이된 곡명중 하나를 기능선택버턴부(110)를 통해 선택하면, 이를 중앙처리장치(100)가 인식한후 상기 선택된 곡명에 해당하는 음악파일에 가사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의 판별을 가사처리부(150)에 요구하면, 상기 가사처리부(150)가 가사의 유무판정, 한글가사 또는 영문가사인지의 판정, 가사로의 변환을 수행한후, 수행결과와 변환된 가사를 상기 중앙처리장치(100)에 제공하는데, 이때 상기 중앙처리장치(100)는 제공받은 데이타를 램(170)에 저장시킨다.
제3단계(416,417,418)에서는 상기 제2단계(411,412,413)에서 가사가 있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장치(100)는 한글가사이면 상기 가사처리부(150)로부터의 한글로 가사를 상기 인터페이스(105)를 통해서 표시부(130)로 표시하고, 한글가사가 아니고 영문가사이면 영문으로 가사를 상기 인터페이스(105)를 통해 상기 표시부(130)로 표시한다.
제4단계(419,420)에서는 상기 제3단계(416,417,418)후 상기 기능선택버턴부(110)를 통해 선택한 음악파일에 대한 연주시작선택이 있으면, 상기 표시부(130)에 표시된 가사중 현재 연주중인 가사부분에 진행부분을 소정의 방법으로 표시하는데, 이 표시방법은 사각박스형태, 역상형태등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도3a는 한글가사인 경우에 대한 진행부분의 표시방법의 일예이고, 도3b는 영문가사에 대한 진행부분의 표시방법의 일예이다.
제5단계(421)에서는 상기 제4단계(419,420)와 동시에 수행되거나, 또는 상기 제2단계(414,415)에서 선택된 음악파일에 가사정보가 없는 경우에 수행되는 단계로, 이 단계에서는 상기 중앙처리장치(100)가 상기 선택된 음악파일에 대한 사운드출력을 사운드처리부(140)로 제어하면, 상기 사운드처리부(140)가 사운드의 합성과정과 주파수변환과정을 통해서 가청음으로 출력하는 것이다.
제6단계(422,423)에서는 상기 중앙처리장치(100)가 선택된 음악파일이 끝인지를 판별하여 끝이 아닐 경우에는 상기 제4단계(419,420)로 진행하고, 끝일 경우에는 선택된 음악파일의 연주를 종료시킨후 제1단계(413)의 곡명디스플레이하는 단계로 진행하는데, 이와같은 과정으로 선택된 음악파일에 대해서 가사 및 가사의 진행부분을 화면에 표시하면서 이를 연주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서는 음악파일을 활용할 수 있도록한 디지탈 전자악기에 적용되는 것으로, 음악파일의 가사를 한글가사 또는 영문으로 가사를 화면으로 출력시키고, 연주시에는 상기 표시된 가사에서 진행부분을 표시시킴과 동시에 사운드를 출력하도록하여, 음악파일의 활용하여 학습이 가능하게 되었으며, 지원하는 가사표시 및 진행부분의 표시로 인하여 정확한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파일로 저장되어 있는 음악파일을 해독해서 가사를 한글 또는 영문으로 화면에 표시하도록함과 동시에, 화면에 표시된 가사에서 진행부분을 표시하도록함으로서, 디스크를 이용하여 파일형식의 표준음악파일을 활용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한 설명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그 구성의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개조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상기 디지탈 전자악기 음악파일의 가사와 진행부분 표시장치 및 방법이 상기 기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4)

  1. 디스크처리부(160)내의 디스크에 저장된 음악파일의 불러오기선택, 곡명선택 및 연주시작선택을 위한 선택버턴이 마련된 기능선택버턴부(110);
    전자악기동작에 필요한 시스템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시스템메모리(120);
    중앙처리장치의 요구에 따라 저장된 음악파일 각각의 곡명 또는 선택된 음악파일을 상기 중앙처리장치(100)로 제공하는 디스크처리부(160);
    중앙처리장치(100)의 제어에 따라 선택된 음악파일에서 가사를 판독한후 변환시키는 가사처리부(150);
    상기 기능선택버턴부(110)로부터 인터페이스(105)를 통한 음악파일 불러오기선택시, 상기 디스크처리부(160)에 저장된 전체 음악파일의 곡명에 대한 화면표시를 제어한후, 상기 기능선택버턴부(110)로부터 특정 음악파일선택시, 선택한 음악파일에 대한 가사판독 및 가사변환을 제어한 다음, 변환된 가사를 화면표시하고, 연주시작선택시 상기 표시된 가사에 연주진행부분을 표시함과 동시에 사운드처리부(140)를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100);
    상기 중앙처리장치(100)의 제어에 따라 곡명, 가사, 가사의 진행부분을 표시하는 표시부(130);
    상기 중앙처리장치(100)의 제어에 따라 사운드를 출력하는 사운드처리부(140); 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전자악기 음악파일의 가사와 진행부분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사처리부(150)는 선택된 음악파일에 대해 가사의 유무의 판정, 한글가사 또는 영문가사인지의 판정을 수행하는 가사판정부(152)와, 상기 음악파일의 가사정보를 가사로 변환시키는 가사변환부(15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전자악기 음악파일의 가사와 진행부분 표시장치.
  3. 디스크처리부내의 디스크에 저장된 음악파일을 기능선택버턴부(110)를 통해 불러오기를 선택하면 상기 디스크에 저장된 음악파일 각각의 곡명을 표시부(130)로 디스플레이하는 제1단계(411,412,413);
    상기 표시부(130)에 디스플레이된 곡명중 하나를 선택하면, 선택된 곡명의 음악파일에 가사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별하는 제2단계(414,415);
    상기 제2단계(411,412,413)에서 가사가 있으면, 한글가사이면 한글로 가사를 상기 표시부(130)로 표시하고, 영문가사이면 영문으로 가사를 상기 표시부(130)로 표시하는 제3단계(416,417,418);
    상기 제3단계(416,417,418)후 상기 기능선택버턴부(110)를 통해 선택한 음악파일의 연주시작선택시, 상기 표시부(130)에 표시된 가사에 연주진행부분을 표시하는 제4단계(419,420);
    상기 제4단계(419,420)와 동시에, 또는 상기 제2단계(414,415)에서 가사가 없는 경우에는 사운드처리후 출력하는 제5단계(421);
    상기 선택된 음악파일이 끝인지를 판별하여 끝이 아닐 경우에는 제4단계(419,420)로 진행하고, 끝일 경우에는 연주를 종료시킨후 제1단계(413)의 곡명디스플레이하는 단계로 진행하는 제6단계(422,423); 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전자악기 음악파일의 가사와 진행부분 표시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에서의 가사 진행부분표시와 상기 제5단계의 사운드출력은 동기되어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전자악기 음악파일의 가사와 진행부분 표시방법.
KR1019970031287A 1997-07-07 1997-07-07 디지탈 전자악기 음악파일의 가사와 진행부분 표시장치 및 방법 KR1002162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1287A KR100216298B1 (ko) 1997-07-07 1997-07-07 디지탈 전자악기 음악파일의 가사와 진행부분 표시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1287A KR100216298B1 (ko) 1997-07-07 1997-07-07 디지탈 전자악기 음악파일의 가사와 진행부분 표시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9030A KR19990009030A (ko) 1999-02-05
KR100216298B1 true KR100216298B1 (ko) 1999-08-16

Family

ID=19513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1287A KR100216298B1 (ko) 1997-07-07 1997-07-07 디지탈 전자악기 음악파일의 가사와 진행부분 표시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629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9030A (ko) 1999-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257667A1 (en)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practicing musical instrument
US20030051595A1 (en) Chord presenting apparatus and chord presenting computer program
US7375274B2 (en) Automatic accompaniment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apparatus, and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method
US7642447B2 (e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system and method emulating a removable media drive
KR100216298B1 (ko) 디지탈 전자악기 음악파일의 가사와 진행부분 표시장치 및 방법
KR100216297B1 (ko) 디지탈 전자악기의 악보표시장치 및 방법
JP4255871B2 (ja) 電子楽器の表示装置
JP4096952B2 (ja) 楽音発生装置
JP2641851B2 (ja) 自動演奏装置
JP4238807B2 (ja) 音源用波形データの決定装置
JP2000172267A (ja) 演奏補助装置及びそのための記録媒体
JP4648177B2 (ja) 電子楽器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321419B2 (ja) 電子音楽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7663050B2 (en) Automatic accompaniment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method
JP4134870B2 (ja) エフェクト設定装置およびエフェクト設定プログラム
KR100216295B1 (ko) 디지탈 전자악기에서의 음악파일 편집장치 및 방법
JP3885791B2 (ja) 自動伴奏装置および自動伴奏方法を実現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
JP4075756B2 (ja) 自動伴奏装置および自動伴奏方法を実現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
JP3503487B2 (ja) 自動演奏装置および記憶媒体
JP3788396B2 (ja) 電子音楽装置および電子音楽装置用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H10254443A (ja) パンチイン装置、パンチイン方法及び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媒体
JP5034602B2 (ja) 電子音楽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H07334154A (ja) 電子楽器のシーケンサ
JP2006195045A (ja) 音名決定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音名決定プログラム
JP2003044083A (ja) 音データ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5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