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4574B1 - 음성 인식 기기의 등록 여부알림 방법 - Google Patents

음성 인식 기기의 등록 여부알림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4574B1
KR100214574B1 KR1019920002045A KR920002045A KR100214574B1 KR 100214574 B1 KR100214574 B1 KR 100214574B1 KR 1019920002045 A KR1019920002045 A KR 1019920002045A KR 920002045 A KR920002045 A KR 920002045A KR 100214574 B1 KR100214574 B1 KR 1002145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stration
voice
user
registered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2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8463A (ko
Inventor
한석진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200020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4574B1/ko
Publication of KR9300184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84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45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45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7/00Speaker identification or verification techniques
    • G10L17/04Training, enrolment or model building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7/00Speaker identification or verification techniq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정 화자 음성 인식기기에 관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음성 인식기기의 구동 방법은 음성 인식시에 등록이 되어 있지 않으면 아무런 메시지가 나오지 않으므로 사용자가 기기의 고장으로 인식할 수 있고 등록시에 같은 번호로 다른 사람이 등록하면 기존에 등록되어 있은 사람의 음성 데이터가 소실되어 처음 등록한 사람에게 피해를 줄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회로에 따르는 결함을 감안하여 음성의 등록시 등록 데이터 메모리의 등록상태를 확인하여 등록 여부에 따라 등록 여부 플랙을 생성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등록번호가 미등록 상태이면 지정된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여 사용자가 그 메시지에 따라 그대로 발음할 때 그 음성 데이터의 특징으로 추출하여 메모리에 저장하고 등록을 완료하며 이미 등록되어 있는 사용자 등록 번호에 대한 등록시에는 재등록 처리하여 기존의 내용을 신규 데이터 대체하고, 음성의 인식시에는 사용자로부터 제어 명령을 입력하고 데이터의 등록 상태를 체크하여 등록 상태에 따라 등록 여부 플랙을 생성한 다음 등록되어 있으면 발음된 음성 신호에서 특징 데이터를 추출하고 이로부터 가장 유사한 단어의 등록 번호를 전송하도록 창안된 것이다.

Description

음성 인식 기기의 등록 여부알림 방법
제1도는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음성 인식 브이씨알의 기본 구성도.
제2도는 기존의 방법에 의한 음성 데이타의 인식 방법에 대한 흐름도.
제3도는 기존의 방법에 의한 음성 데이터의 등록 방법에 대한 흐름도.
제4도는 본 발명 음성 인식 기기의 등록 여부알림 방법에 따른 등록 상태 확인 영역 데이터의 저장 구성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등록 여부의 확인 흐름도.
제6도는 등록 상태 플랙의 구성도.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음성 데이터 인식 방법의 흐름도.
제8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음성 데이터의 등록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마이크 2 : A/D 변환기
3 : 음성 인식부 4 : 등록 데이터 저장부
5 : 마이콤 6 : 등록키
7 : 숫자키 8 : 음성 합성부
9 : 음성 합성 메모리 10 : 음성 송출부
본 발명은 특정화자 음성 인식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음성 인식 브이씨알에서 사용자가 현재 등록되어 있지 않은 브이씨알을 음성으로 제어하거나 현재 등록되어 있는 사용자 번호에 재등록을 할 때 등록여부를 알려줌으로써 사용상의 오류를 방지하는데 적당하도록 한 음성 인식 기기의 등록 여부알림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음성인식 브이씨알의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성 입력 수단인 마이크(1)와, 이 마이크(1)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특정 형태의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변환부(2)와, 디지털 음성 신호를 등록 데이터 저장부(4)에 등록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등록 데이터 저장부(4)에 등록되어 있는 데이터와 비교하여 인식 기능을 수행하는 음성 인식부(3)와 상기 음성 인식부(3)가 음성의 등록 및 인식 기능을 수행할 때 사용하는 등록 데이터 저장부(4)와, 등록 및 인식 기능의 음성 인식부(3)를 제어하고 브이씨알을 인식 결과에 따라 제어하는 마이콤(5)과, 사용자가 등록을 원할 때 사용하는 등록키(6)와, 사용자가 등록번호를 선택할 때 사용하는 숫자키(7)와, 마이콤(5)의 제어에 따라 음성 합성용 메모리(9)의 데이터를 합성하여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음성 합성부(8)와, 상기 음성 합성부(8)에서 출력되는 음성 신호를 사용자가 들을 수 있게 변환하는 음성 송출부(1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회로에 대하여 그 동작 및 문제점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인식과정은 마이콤(5)에서 음성 인식부(3)로 음성의 인식명령을 내리고 나서 마이크(1)로 제어명령을 입력하면, A/D 변환부(2)에서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음성 인식부(3)에서 입력 음성의 특징 데이터를 추출한다.
추출한 특정 데이터와 등록 데이터 저장부(4)에 등록된 단어를 서로 비교하고 비교결과 가장 유사한 단어의 등록 단어 번호에 등록된 단어들과 비교를 한다.
비교결과 가장 유사한 단어의 등록번호를 마이콤(5)에 전송하고 만일 등록 데이터 저장부(4)에 등록된 단어가 없으면 마이콤(5)에서는 인식 결과가 전송되지 않고 그대로 인식과정을 완료한다.
한편, 음성 데이터의 등록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등록키(6)를 누르면 음성 인식부(3)는 등록 모드로 들어가고 마이콤(5)는 음성 합성부(8)를 제어하여 몇번 사용자 등록을 원하십니까라는 음성 메시지를 송출한다.
사용자가 숫자키(7)로 사용자 번호를 누르면 그 번호에 대응하는 음성 메시지를 송출하고 마이콤(5)은 음성 인식부에 해당되는 단어의 등록 번호를 전송한다.
그리고 등록순서에 따라서 음성 합성부(8)는 음성 입력 대기 상태로 들어가고 사용자가 발음을 하면 그 발음에 대한 음성 특징으로 추출하여 등록 데이터 저장부(4)의 등록 단어 번호에 해당되는 영역에 등록시킨다.
다음단어 플래이라고 발음하세요라는 유도 메시지를 송출하고 최초의 등록 키 입력과정으로 다시 돌아가 새로운 데이터를 등록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인식시에 만일 등록이 되어 있지 않으면 아무런 메시지가 나오지 않으므로 사용자가 제품의 고장으로 인식할 수 있고, 등록시에 같은 번호로 중복하여 등록하면 이전에 등록한 데이터가 지워지므로 처음 등록한 사람에게 피해를 줄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음성 인식기기에 따르는 결함을 감안하여, 등록되어 있지 않은 음성 인식기기를 제어할 때 등록되어 있지 않음을 알려주고 등록시 사용자가 선택한 사용자 번호에 등록 여부를 알려주어 그 전에 등록한 내용이 실수로 지워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창안한 것으로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등록 데이터 저장부(4)는 제4도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데이터가 등록되어 있으면 0이 아닌 임의의 값이 기록되고,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0으로 기록되어 있다.
데이터의 등록 여부를 확인할 때에는 제5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은 흐름도에 의거하여 등록 데이터 저장부(4)의 등록 상태확인 영역을 읽는데, 등록 상태 플랙을 0으로 클리어하고 제4도의 등록 상태확인 영역에서 사용자 1의 8바이트를 읽어서 8바이트가 모두 0이 아니면 제6도의 등록 상태 플랙에서 해당하는 사용자 비트를 1로 만들고, 8 바이트가 모두 0이면 대응하는 플랙을 0으로 그대로 유지하며, 이와 같은 과정을 등록 데이터 저장부(4)의 모든 사용자 등록 영역에 대하여 시행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인식 과정을 제7도를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등록 데이터 저장부(4)의 등록 상태 확인 영역을 읽고 등록 상태 플랙을 0으로 클리어시킨 다음 등록 상태 확인 영역의 사용자 1의 8바이트를 읽어서, 그 8바이트가 모두 0이 아니면 등록 상태 플랙의 사용자 비트 1을 1로 만들고, 8바이트가 모두 0이면 그대로 0을 유지한다.
그리고, 등록 상태 플랙이 00H이면 음성 합성부로 현재 등록된 사용자가 없습니다라는 메시지를 출력하고 인식을 완료한 다음 등록 상태 플랙이 00H가 아니면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발음된 음성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음성 인식부(3)에 의해 음성의 특징 데이터를 추출한 다음 등록 데이터 저장부(4)에서 입력 데이터를 비교하여 가장 유사한 단어의 번호를 전송함으로써 인식을 완료한다.
한편, 제8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등록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등록키(6)를 누르면 음성 인식부(3)가 등록모드로 전환되고, 마이콤(5)이 제6도와 같이 등록 상태 플랙 생성한 다음 음성합성부(8)를 제어하여 몇번 사용자 등록을 원하십니까라는 음성 메시지를 송출한다. 이때 사용자가 숫자키(7)를 사용하여 사용자번호 1번을 입력하였을 경우 마이콤(5)은 음성 합성부(8)를 제어하여 1번 입니다라는 메시지를 음성 송출부(10)로 보내며, 이에 대응하는 등록 상태 플랙의 사용자 비트를 체크하여 만일 플랙이 1의 값을 가지고 있으면, 현재 특정 사용자가 등록되어 있으므로 현재 등록되어 있습니다. 재등록을 원하시면 1번키를 눌러주십시요라는 메시지를 송출하고 다시 1번키가 들어오면, 그때 비로소 마이콤(5)은 음성 인식부(3)에 해당되는 단어의 등록 번호를 전송한다.
이후에는 등록순서에 따라서 음성 합성부는 음성 입력 대기상태로 들어가고 사용자는 발음을 하면 그 발음에 대한 음성 특징으로 추출하여 등록 데이터 저장부(4)의 등록 단어 번호에 해당하는 영역에 등록시킨다.
다음단어 플래이라고 발음하세요라는 유도 메시지를 송출하고 최초의 등록 키 입력과정으로 다시 돌아가 새로운 데이터를 등록하고 등록이 완료되면 등록이 완료되었습니다.라는 메시지를 출력하여 사용자가 등록의 완료를 확인 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의 등록모드에서 숫자키1에 대한 등록 플랙의 사용자 비트값이 1일경우 등록키를 다시 누르면, 이 키는 토글키이므로 등록과정에서 빠져 나가며 이와 동시에 등록이 완료되었습니다라는 메시지를 송출한다.
따라서, 등록 여부 확인 플랙의 상태에 따라 등록과 인식에 대한 제어를 그에 맞게 수행함으로써 음성의 등록과 인식에 따르는 오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등록되어 있지 않은 음성 인식 기기를 제어할 때 제어가 되지 않는데 따른 오류를 방지하고 등록시 사용자가 선택한 번호에 등록되어 있음을 알려주고 재등록의 여부를 다시 한번 확인함으로써 이전에 등록한 사람의 등록내용을 보호할 수 있게 해준다.

Claims (1)

  1. 음성의 등록시 등록 데이터 메모리의 등록상태를 확인하여 등록 여부에 따라 등록 여부 플랙을 생성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등록 번호의 등록 상태 여부에 따라 지정된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등록번호가 미등록상태일 경우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의 특징을 추출하여 메모리에 저장하고 등록을 완료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등록번호가 등록상태일 경우 현재 등록되었음을 알려주는 재등록 여부를 확인하여 처리하는 제3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인식기기의 등록여부 알림 방법.
KR1019920002045A 1992-02-12 1992-02-12 음성 인식 기기의 등록 여부알림 방법 KR1002145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2045A KR100214574B1 (ko) 1992-02-12 1992-02-12 음성 인식 기기의 등록 여부알림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2045A KR100214574B1 (ko) 1992-02-12 1992-02-12 음성 인식 기기의 등록 여부알림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8463A KR930018463A (ko) 1993-09-22
KR100214574B1 true KR100214574B1 (ko) 1999-08-02

Family

ID=19328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2045A KR100214574B1 (ko) 1992-02-12 1992-02-12 음성 인식 기기의 등록 여부알림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457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8463A (ko) 1993-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05029B1 (en) Speech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4426733A (en) Voice-controlled operator-interacting radio transceiver
US5222121A (en) Voice recognition dialing unit
US6175819B1 (en) Translating telephone
EP0307137B1 (en) Multiple language telephone answering machine
JPS64720B2 (ko)
JPH0614127A (ja) 外部より登録容易なビデオテープレコーダの録画予約装置
JPH0461377B2 (ko)
KR100214574B1 (ko) 음성 인식 기기의 등록 여부알림 방법
KR960013310B1 (ko) 음성등록 및 인식 제어방법
JPS58109921A (ja) キ−ボ−ド
JPH10510081A (ja) 装置及び機器の音声制御用装置
JPH02171098A (ja) 音声認識リモコン装置
JP3278595B2 (ja) 携帯電話
JPH04177400A (ja) 音声起動方式
JPH06233359A (ja) 制御装置
JP2604776Y2 (ja) 音声入力装置
JPS59148097A (ja) 音声認識方式
JPH0983633A (ja) 受信装置
JPS6227720B2 (ko)
JP2811196B2 (ja) 音声式報知器
JPS5855991A (ja) ポ−タブル音声認識システム
JPH0363811A (ja) キーボード入力装置
JPS6390954A (ja) パ−ソナルコンピユ−タ
JPS6085661A (ja) 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50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