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3310B1 - 음성등록 및 인식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음성등록 및 인식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3310B1
KR960013310B1 KR1019930020433A KR930020433A KR960013310B1 KR 960013310 B1 KR960013310 B1 KR 960013310B1 KR 1019930020433 A KR1019930020433 A KR 1019930020433A KR 930020433 A KR930020433 A KR 930020433A KR 960013310 B1 KR960013310 B1 KR 9600133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recognition
registration
control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0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3218A (ko
Inventor
임상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헌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헌조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300204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13310B1/ko
Publication of KR950013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32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33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33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60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음성등록 및 인식 제어방법
제1도는 종래 음성인식 제어장치 볼록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음성등록 및 인식 제어방법에 따른 음성인식 제어장치 블록도.
제3도는 제2도에 대한 신호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마이크 20 : 음성인식부
30 : 키부 40 : 마이크로컴퓨터
50 : 메모리부 60 : 제어신호 전송부
본 발명은 음성인식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음성인식 제어대상기기를 사용자 취향에 따라 임의로 선택하여 등록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음성인식 제어장치에서의 음성등록 및 인식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음성인식장치는 사용자가 제어할 기능의 단어를 입력하는 등록모드와 등록된 단어를 발음하여 음성인식장치를 제어하는 인식모드가 있다.
일반적인 음성인식 제어장치는 개발자에 의해 그 제어대상기능 및 등록순서가 특정지어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미리 개발자에 의해 결정된 기능 및 순서, 예를 들면 전원 온/오프→볼륨 증/감→음소거 모드→방송국선택의 순으로 등록해야 된다.
제1도는 종래의 음성인식 티브이용 음성인식 제어장치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성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이하 ADC라 약칭함) (1)와, 상기 ADC(1)의 출력신호를 음성인식에 필요한 패턴으로 변환하여 이를 입력된 음성패턴과 비교하여 프로그램메모리(3)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시스템을 제어하는 디에스피(Digital Signal Processor : DSP) (2)와, 상기 디에스피(2)에서 음성인식에 필요한 음성패턴으로 변환된 데이타를 저장하는 데이타 메모리부(4)와, 상기 디에스피(2)의 인식 결과에 따라 사용자에게 에러/유도메시지를 전달하는 음성합성부(5)와, 상기 디에스피(2)의 인식결과에 따라 적외선로드(IR Code)를 발생하여 티브이를 제어하는 티브이 제어부(6)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종래 음성인식 제어장치의 등록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등록모드를 설정하면, 그에 따른 유도메시지에 따라 각 기능에 대응하는 단어를 발음하면 이 단어는 ADC(1)를 통해 디지탈 신호로 변환된후 디에스피(2)로 인가된다.
이에따라, 상기 디에스피(2)는 프로그램 메모리(3)에 저장된 인식 알고리즘(Algorithm)에 따라 상기 디지탈 신호를 음성인식시 필요한 음성패턴으로 변환하여 데이타 메모리부(4)의 각 데이타 메모리 (41∼4n)에 저장한다 .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하여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이 등록되어 있는 음성인식 제어장치에서 인식과정은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어떤 대상을 제어하기 위해 음성신호를 입력하면, 그 음성신호는 ADC(1)를 통해 디지탈 신호로 변환되어 디에스피(2)에 인가되고, 그 디에스피(2)는 그 디지탈 신호를 프로그램 메모리(3)에 저장된 인식알고리즘을 통하여 음성패턴으로 변환한다.
이에 따라 상기 디에스피(2)는 그 음성패턴과 데이타 메모리부(4)에 저장되어 있는 음성패턴중 가장 유사한 음성패턴을 각 데이타 메모리 (42∼4n)에서 찾아 인식결과를 티브이 제어부(6)로 전송하면, 그 티브이 제어부(6)는 전송신호에 따라 티브이를 제어할 수 있는 적외선 코드(IR Cord)를 발생하여 티브이를 제어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음성인식 제어장치는 개발자가 제어기능을 결정하여 프로그램화하기 때문에 구현한 제어대상기능 이외의 사용자가 원하는 제어기능을 추가등록할 수 없으며, 등록순서도 결정되어 있어 사용자는 등록순서도 알아야 하고, 등록되어 있는 단어를 변경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등록과정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제어기능과 음성등록순서를 자유로이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제어기능의 선택폭을 넓힐 수 있도록 한 음성인식제어장치에서의 음성등록 및 인식 제어방법을 창안한 것으로, 이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음성등록 및 인식 제어방법에 따른 음성인식 제어장치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음성이 입력되는 마이크(10)와, 상기 마이크(10)를 통해 들어오는 음성을 분석하고 판단하는 음성인식부(20)와, 음성등록 및 음성인식 모드설정키 (Key) 및 제어대상기기의 각 제어기능에 해당하는 키(Key)를 포함하는 키부(30)와, 음성등록모드시 상기 음성인식부(20)에서 분석한 음성패턴을 저장하는 메모리부(50)와, 음성등록모드 도는 음성인식모드인가를 판단하여 음성등록모드시 각 제어기능에 해당하는 키의 입력을 검출함과 아울러 상기 마이크(10)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을 해당 제어기능에 대응하는 음성패턴으로 판단하여 등록하고, 음성인식모드시에는 입력되는 음성을 등록된 음성패턴과 비교하도록 상기 음성인식부(20)와 메모리부(50)를 제어하는 마이크로컴퓨터(40)와, 음성인식모드시에 해당하는 기능제어명령에 따라 제어대상 기기에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제어신호전송부(60)로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첨부한 제3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음성인식장치에 부착된 등록키를 눌러 등록모드로 절환한 다음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키를 키부(30)에서 누르면 눌러진 키의 신호가 마이크로컴퓨터(40)로 전달된다.
이에 따라 상기 마이크로컴퓨터(40)는 그 키의 기능을 메모리부(50)에 기록한후 사용자의 음성을 기다린다.
사용자가 눌러진 기능에 해당하는 단어를 발음하면 이 단어는 마이크(10)를 통해 음성인식부(20)로 전달되고, 그 음성인식부(20)는 인식에 필요한 단어의 음성패턴을 만들어 이를 상기 메모리부(50)에 저장하고, 음성이 등록되었음을 상기 마이크로컴퓨터 (40)로 전달한다.
이에 따라 마이크로컴퓨터 (40)는 음성패턴과 사용자가 누른 키부(20)의 기능키를 대응시켜 최종적으로 메모리부(50)에 기록시키게 된다.
제3도는 기능키를 1개씩 음성등록을 하는 것으로 나타내었지만, 소정시간 이내로 연속등록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에는 등록키를 최초 한번만 누르면 된다.
상기의 동작 순서에 맞게 사용자는 원하는 키를 선택하여 등록을 마치게 되는 것이며, 한번에 한번 또는 둘 이상의 기능키에 대해 등록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제 등록 가능한 패턴수는 메모리부(50)의 크기에 의해 제한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기능키의 갯수가 등록 가능한 패턴수보다 많게 된다. 이러한 경우 등록 가능한 패턴수 이상으로 음성이 등록될 때에는 가장 먼저 등록된 것부터 소거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결국, 음성등록모드는 등록모드인지 아닌지를 등록키에 의해 결정하는 등록모드설정 단계와, 상기 음성인식 제어장치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제어기능을 키패드를 통해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기능에 대응되는 단어의 발음을 마이크를 통해 입력하는 단계와, 음성인식부에서 상기 입력된 단어의 음성패턴을 생성하고 상기 음성패턴을 메모리에 저장해 음성등록을 종료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등록이 완료된 음성인식장치의 음성인식모드는 다음과 같다.
이 음성인식모드는 전원이 공급된후 일정시간(약 3초)동안 등록키가 눌러지지 않으면 음성인식모드로 절환된다.
사용자가 음성등록모드에서 선택한 기능의 음성을 마이크(10)를 통해 발음하면 음성인식부(20)는 이 음성을 음성패턴으로 변환하고, 이 음성패턴과 음성등록모드에서 메모리부(50)에 저장되어 있는 음성패턴과 비교하여 그 결과를 마이크로컴퓨터(40)로 전달한다.
이에 따라 상기 마이크로컴퓨터 (40)는 상기 음성인식부(20)에서 인식한 결과와 메모리부(50)에 기록하여 둔 키기능과 대응하여 제어신호를 제어신호전송부(60)로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신호전송부(60)는 상기 마이크로컴퓨터(40)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어대상기기를 제어하게된다.
만약 상기 메모리부(50)에 저장된 키기능과 음성인식부(20)의 음성패턴이 대응되지 않으면 에러메시지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게 된다.
결국, 음성인식모드는 등록키가 설정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 인식모드로 설정하는 단계와, 마이크를 통해 단어를 입력하는 단계와, 음성인식을 통해 상기 입력된 단어의 음성패턴과 등록된 단어의 음성패턴을 비교하여, 대응하는 패턴이 있으면 그 인식결과를 마이크로컴퓨터에 전달하고, 없으면 에리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인시결과에 해당하는 제어기능을 갖는 제어코드를 제어대상장치에 발생하는 제어단계로 이루어 진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어기능과 음성등록순서를 사용자가 자유로이 선택함으로써 사용자의 선택자유를 더 향상시킬 수 있으며 잘 사용하지 않는 단어를 등록하지 않아도 되는 편리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음성인식 제어장치에서 등록모드인지 아닌지들 등록키에 의해 결정하는 등록모드 설정단계와, 상기 음성인식 제어장치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제어기능을 키패드를 통해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기능에 대응되는 단어의 발음을 마이크를 통해 입력하는 단계와, 음성인식부에서 상기 입력된 단어의 음성패턴을 생성하고 그 음성패턴을 메모리에 저장하여 음성등록을 종료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음성등록과정과; 상기 등록키가 설정되어 있지 않는 경우 인식모드로 설정하는 단계와, 마이크를 통해 단어의 발음을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된 단어의 음성인식을 통한 음성패턴과 상기 등록된 음성패턴을 비교하여 대응하는 패턴이 있으면 그 인식결과를 마이크로컴퓨터에 전달하고, 없으면 에러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인식결과에 해당하는 제어기능을 갖는 제어코드를 제어대상장치에 발생하는 제어단계로 이루어진 인식제어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등록 및 인식 제어방법.
KR1019930020433A 1993-10-04 1993-10-04 음성등록 및 인식 제어방법 KR9600133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0433A KR960013310B1 (ko) 1993-10-04 1993-10-04 음성등록 및 인식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0433A KR960013310B1 (ko) 1993-10-04 1993-10-04 음성등록 및 인식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3218A KR950013218A (ko) 1995-05-17
KR960013310B1 true KR960013310B1 (ko) 1996-10-02

Family

ID=19365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0433A KR960013310B1 (ko) 1993-10-04 1993-10-04 음성등록 및 인식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133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15078A1 (en) * 2001-08-09 2003-02-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Voice registration method and system, and voice recognition method and system based on voice registration method and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8376B1 (ko) * 1995-12-23 2003-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성우편시스템의 음성인식 서비스장치
KR20020081168A (ko) * 2002-09-02 2002-10-26 김석균 전자식 도어록
KR20220140989A (ko) 2021-04-12 2022-10-19 선형준 정전식 터치 구조요청 웨어러블 디바이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15078A1 (en) * 2001-08-09 2003-02-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Voice registration method and system, and voice recognition method and system based on voice registration method and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3218A (ko) 1995-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45857A (en) Remote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US6718307B1 (en) Speech input device with attention span
KR20020043635A (ko) 다운로드가능한 음성 명령 세트를 구비하는 음성 제어형원격제어기
US6674372B1 (en) Chinese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numeric keys and apparatus thereof
US6281883B1 (en) Data entry device
JP2001197379A (ja) 機器設定装置、機器設定システムおよび機器設定処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960013310B1 (ko) 음성등록 및 인식 제어방법
US5621484A (en) User-programmable control device for a television apparatus
EP0467157A3 (en) Voice-operated device for entertainment electronic, especially for video recorder
KR0127764B1 (ko) 캠코더의 특성조정장치 및 그 조정방법
KR20010043050A (ko) 원격 제어 유닛 및 시스템
KR0144551B1 (ko) 음성인식 리모콘의 기준 음성패턴 등록방법
JPH06233359A (ja) 制御装置
KR950005086A (ko) 음성인식 원격제어 송신기
KR20020040300A (ko) 컴퓨터를 이용한 음성인식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20011028A (ko) 음성신호를 이용한 원격 제어방법 및 제어장치
JPH02171098A (ja) 音声認識リモコン装置
JPH10326175A (ja) 音声指示装置および音声指示情報記憶媒体
KR0139745B1 (ko) 리모콘의 숫자 인식 방법 및 장치
KR19980021167U (ko) 음성인식을 통한 기능제어장치
KR100214574B1 (ko) 음성 인식 기기의 등록 여부알림 방법
KR940011503B1 (ko) 음성인식 vcr용 리모콘 제어 방법
KR0136480Y1 (ko)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 일체형 텔레비젼의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 전원 제어회로
JPH0363811A (ja) キーボード入力装置
KR20060116627A (ko) 방향 키를 이용한 한글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18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