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2732B1 - 평판소자의 필름형 기능막 부착방법 - Google Patents

평판소자의 필름형 기능막 부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2732B1
KR100212732B1 KR1019950064378A KR19950064378A KR100212732B1 KR 100212732 B1 KR100212732 B1 KR 100212732B1 KR 1019950064378 A KR1019950064378 A KR 1019950064378A KR 19950064378 A KR19950064378 A KR 19950064378A KR 100212732 B1 KR100212732 B1 KR 1002127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functional
functional layer
electrod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64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1740A (ko
Inventor
구본희
Original Assignee
김영남
오리온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남, 오리온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남
Priority to KR10199500643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2732B1/ko
Publication of KR970051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17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27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27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02Manufacture of electrodes or electrod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as-Filled Discharge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C형 PDP의 평판소자에 절연층 등의 기능층을 형성하는 필름형태의 기능막을 개시한다.
인쇄방법이나 박막증착법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필름형태의 기능막은 주름이나 틈새의 잔류에 의해 소자의 균일한 특성이 보장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전극과 유사한 레벨로 기능층을 인쇄형성한 뒤 그 상면에 기능막을 부착시키도록 함으로써 기능막이 주름이나 틈새 없이 밀착될 수 있도록 하였다.

Description

평판표시소자의 필름형 기능막 부착방법
제1도는 AC형 PDP의 구성을 보이는 단면도.
제2도는 필름형태의 절연막을 사용한 절연층의 형성과정을 보이는 단면도.
제3도는 절연막의 접합상태를 보이는 단면도.
제4(a)도 내지 제4(d)도는 본 발명 방법의 진행을 보이는 순차적 단면도들.
제5(a), (b)도는 제4(b)도에 대치되는 전극과 절연층의 상호관계를 보이는 단면도들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S1, S2 : (전면 및 배면)기판 E1, E2 : 전극
M : 금속전극 T : 투명전극
D : 복합기능층(절연층) D´ : 기능층
F : 기능막(절연막)
본 발명은 플라즈마 표시소자(PDP; Plasma Display Panel) 등의 평판소자의 제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교류(AC)형 PDP의 절연층 구성에 사용되는 절연막(dielectric film) 등의 기능막을 부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평판소자, 특히 평판화상표시소자의 일례로서, 기체방전현상을 화상표시에 이용하는 PDP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대향하는 두 기판(S1, S2)에 서로 교차하는 전극(E1, E2)을 배열하고 격벽(B)으로 구획하여 방전셀을 형성하여 전극(E1, E2)간의 선택에 의해 각 방전셀을 선택적으로 발광시킴으로써 화상을 표시하게 된다.
전면기판(S1)측의 전극(E1)은 발광된 빛의 투과경로상에 놓이게 되므로 일반적으로 ITO 등의 투명전극(T)으로 구성되는데, 이 경우 투명전극(T)의 낮은 도전성과 큰 저항을 보상하기 위해 이보다 작은 면적의 금속전극(M)이 함께 형성되어 버스(bus)전극 등을 구성하게 된다.
한편 교류의 구동전압이 인가되는 AC형 PDP는 벽전하(wall discharge)를 방전에 이용하므로 어느 한 전극(E1)상에 절연층(D)이 형성된다. 이 절연층(D)은 일반적으로 후막(厚膜)공정인 인쇄방향으로 형성되는데, 인쇄방법은 공정원가는 낮으나 인쇄와 건조 및 소성이 수차례 반복되어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롭고 완성된 절연층(D)의 균일성 등 품질이 낮은 문제가 있다.
이 경우 방전시의 이온 봄바드먼트(ion bombardment)에 의한 전극(E1)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절연층(D)의 표면에는 보호층(도시안됨)이 형성되지 않으면 안된다.
한편 고품질의 절연층(D)을 형성하여 별도의 보호층이 불필요하도록 절연층(D)을 증착 등의 박막공정으로 형성하고자 하는 시도도 있었으나. 박막공정은 고순도의 타겟(target)을 제작하고 진공상태의 증착실을 구비해야 하는 등 매우 높은 공정원가를 요구하므로 고품질의 절연층(D)을 얻을 수 있음에도 실용화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형태로 구성된 절연막(F)을 기판(S1)의 전극(E1)상에 기계적으로 접합하여 절연층(D)을 형성하고자 하는 소위 드라이필름(dry film)공법이 출현하였다.
이 절연막(F)은 열가소성(thermo plastic) 합성수지를 베이스(base)로 구성되어 롤러(roller) 등에 의해 기판(S1)의 전극(E1)상에 압착된 후, 가열로등에서의 열처리에 의해 접합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드라이필름공법은 절연막(F)의 재료가 비교적 고가이기는 하지만 공정이 매우 간단하고 용이하여 차후 PDP등 평판소자의 기능층의 형성에 널리 보급되리라 예상된다.
그런데 절연막(F)이 접합될 표면은 단순한 평면이 아니라 전극(E1)이 돌출형성된 굴곡면이 되는 바, 특히 금속전극(M)을 버스전극으로 사용하는 경우 이는 투명전극(T)보다 수배나 큰 높이를 가지므로, 절연막(F)을 압착시킨다고 하더라도 전극(E1)의 모서리에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틈새(V)가 발생될 수 밖에 없다.
열가소성 합성수지를 베어스로 하는 절연막(F)은 열처리과정에서 연신(延伸)되어 전극(E1)상에 밀착되지만, 이 틈새(V)에 포착(entrap)된 공기는 배출될 경로가 없으므로 열처리후에도 틈새(V)가 그대로 잔류할 수밖에 없게 된다. 이에 따라 완성된 절연층(D)의 특성이 국부적으로 달라져 균일한 소자특성의 확보가 어렵게 된다.
또한 절연막(F)의 압착시 이러한 틈새(V)는 기판(S1)과 절연막(F)사이에 국부적으로 공기가 포착되어 주름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는 PDP의 절연막(F)뿐 아니라 차후 평판소자의 기능층을 필름형태의 기능막으로 구성하는데 근본적인 문제점으로 대두될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기능막을 틈새가 없이 기판에 부착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의 달성을 위해 본 발명에 의한 기능막 부착방법은 기판상에 돌출된 전극의 높이와 유사한 기능층을 인쇄한 뒤, 이 기능층상에 기능막을 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기능막은 돌출부가 거의 없는 평면상에 부착되므로 틈새나 주름등이 없이 기판에 밀착되어 균일한 특성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경우 기능막을 별도로 열처리할 필요가 없게 되어 그 공정도 간략화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4(a)도에서, 투명전극(T)상에 금속전극(M)을 형성함으로써 기판(S1)상에 전극(E1)을 형성하고 있다. 종래에는 이러한 전극(E1)상에 그대로 기능막(F)을 부착하고 있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러한 전극(E1)상에 먼저 제4(b)도와 같이 전극(E1)의 최상면, 즉 금속전극(M)과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기능층(D)을 인쇄한다.
기능층(D)의 건조와 필요에 따른 소성이 완료되면 전극(E1) 및 기능층(D´)의 표면은 완전한 평탄면이 되는 바, 이 표면에 제4(c)도와 같이 필름형태의 기능막(F)을 부착하여 제4(d)도와 같이 복합기능층(D)을 구성하게 된다.
여기서 인쇄된 기능층(D´)과 기능막(F)은 함께 복합기능층(D)을 구성하게 되는 바, 기능층(D´)의 인쇄재질은 기능막(F)과 동일한 기능을 가지도록 조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기능막(F)이 AC형 PDP의 절연층을 구성하게 되는 경우 기능층(D´)의 재질은 종래의 인쇄방법에 의한 유전체 페이스트(paste)와 동일한 조성을 가져도 무방하게 된다.
여기서 인쇄된 기능층(D´)은 소성을 필요로 하는 바, 바람직하기로는 인쇄 후 건조한 상태에서 기능막(F)을 접합하여 양자를 함께 소성할 수 있다.
한편 기능막(F)의 열처리는 열가소성인 기능막(F)을 기판(S1) 및 전극(E1)상에 열접합하기 위해서인 바, 그 접합면이 완전한 평활면인 경우에는 열접합이 불필요하므로 접착제만으로 접합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 경우는 인쇄된 기능층(D´)만을 소성시킨 뒤 기능막(F)은 압착만으로 접합시켜도 충분한 지자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기능층(D´)과 기능막(F)은 최종적으로 단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복합기능층(D)을 구성하게 되므로, 그 연속성을 위해 건조된 기능층(D´)상에 기능막(F)을 접합한 뒤 양자를 함께 소성시키는 전자의 방법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제4도의 실시예에서 기능층(D´)은 전극(E1)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로 인쇄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실제적으로는 그 상면이 완전한 평활면을 형성할 필요는 없으며 기능막(F)의 접합시 주름이나 틈새(V)가 발생되지 않을 정도까지 돌출부의 단차(段差)를 감소시키면 족하다.
즉 인쇄되는 기능층(D´)의 높이는 제5(a)도와 같이 전극(E1)의 상면을 완전히 덮을 정도로 이보다 높게 형성되어도 무방하며, 제5(b)도와 같이 전극(E1)의 상면보다 약간 낮아도 본 발명 구성에는 지장이 없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필름형태의 기능막을 틈새없이 기판 및 전극상에 밀착시킬 수 있게 되므로, 기능막이 용이하게 접합되어 균일한 특성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AC형 PDP의 절연층 등의 드라이 필름 공법에 특히 유효하게 적용될 수 있다.

Claims (5)

  1. 전극이 돌출 형성된 평판소자의 기판상에 필름형태의 기능막을 부착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극의 상면과 유사한 높이로 기능층을 인쇄형성한 뒤, 상기 전극 및 기능층의 상면에 상기 기능막을 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소자의 필름형 기능막 부착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된 기능층을 건조시킨 상태에서 상기 기능막을 부착하여 상기 기능층과 기능막을 함께 소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소자의 필름형 기능막 부착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된 기능층을 건조 및 소성시킨 상태로 상기 기능막을 접착시킴으로써 기능막의 부착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소자의 필름형 기능막 부착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된 기능층과 기능막이 함께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복합 기능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소자의 필름형 기능막 부착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소자가 교류형 플라즈마 표시소자이며, 상기 기능층과 기능막이 절연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소자의 필름형 기능막 부착방법.
KR1019950064378A 1995-12-29 1995-12-29 평판소자의 필름형 기능막 부착방법 KR1002127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64378A KR100212732B1 (ko) 1995-12-29 1995-12-29 평판소자의 필름형 기능막 부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64378A KR100212732B1 (ko) 1995-12-29 1995-12-29 평판소자의 필름형 기능막 부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1740A KR970051740A (ko) 1997-07-29
KR100212732B1 true KR100212732B1 (ko) 1999-08-02

Family

ID=19446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64378A KR100212732B1 (ko) 1995-12-29 1995-12-29 평판소자의 필름형 기능막 부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27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0314B1 (ko) * 1998-05-21 2001-10-27 김순택 음극선관용기능성필름부착방법및부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1740A (ko) 1997-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14111B2 (en) Plasma display panel having a dielectric layer of a reduced thickness in a sealing portion
US20070228984A1 (en) Plasma display panel having sealing structure for reducing noise
US5548186A (en) Bus electrode for use in a plasma display panel
US6313579B1 (en) Plasma display panel with seal bonding member
JPH0322390A (ja) 薄膜elパネルの製造方法
KR100212732B1 (ko) 평판소자의 필름형 기능막 부착방법
JPH08212929A (ja) Ac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US7518311B2 (en) Plasma display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3053548B2 (ja) 電界放電型の平面蛍光ランプ
JP3412548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H0935641A (ja) 交流型ガス放電パネル
KR100226164B1 (ko) 평판소자의 필름형 기능막
KR100205948B1 (ko) 평판소자의 필름형 기능막
KR20010017014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이의 제조방법
KR100212734B1 (ko) 평판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H0471183A (ja) パネルヒーターの製造方法
KR19990020136A (ko) 플라즈마 표시소자의 유전층 시이트
JPH11249107A (ja) プラズマアドレス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2004047152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10226042A (ja) 印刷方法及び印刷装置
KR200222478Y1 (ko) 플라즈마 표시소자
JP2000019497A (ja)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502464B1 (ko) 플라즈마표시장치의구조및형성방법
TW470991B (en) Manufacturing method of planar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JPH11339659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蛍光面形成方法及びそれに使用する乾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2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3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