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1518B1 - 전화기 이용 대기 안내 장치와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전화기 이용 대기 안내 장치와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1518B1
KR100211518B1 KR1019970014742A KR19970014742A KR100211518B1 KR 100211518 B1 KR100211518 B1 KR 100211518B1 KR 1019970014742 A KR1019970014742 A KR 1019970014742A KR 19970014742 A KR19970014742 A KR 19970014742A KR 100211518 B1 KR100211518 B1 KR 1002115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iting
telephone
voice
data
dia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4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77574A (ko
Inventor
김덕환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147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1518B1/ko
Publication of KR199800775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75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1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15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00Machines for printing and issuing tick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12Counting circui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가.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대기 안내장치와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전화기를 이용하여 대기인에게 대기상태를 안내하는 장치와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호출모드 선택키와 다이얼링을 위한 숫자키들로 이루어진 키입력부와, 다이얼링 신호를 발생하여 출력하는 다이얼러와, 공중망과 연결된 전화라인에 연결되어 상기 다이얼링 신호를 상기 전화라인으로 송출하고 상기 전화라인으로부터 응답신호를 받아 통화로를 형성하는 라인인터페이스부와, 전화번호들과 상기 전화번호들 각각에 해당하는 대기번호들과 상기 대기번호들에 대응하는 대기인수들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음성 안내데이터를 저장하는 음성메모리와, 상기 음성 안내데이터를 독출하여 음성처리하여 출력하는 음성처리부와, 상기 음성처리부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라인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전화라인으로 송출하는 모뎀과, 카운터와, 대기표가 뽑히면 대기표 감지신호를 발생하는 대기표 감지부와, 대기표에 대기 안내 정보를 프린팅하는 대기표 발행부를 구비하고 전화기를 이용하여 대기 안내하는 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대기표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카운터를 증가시키는 1과정과, 상기 제1과정을 수행한 후 호출모드 선택키의 키데이터를 입력한 후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2과정을 수행한 후 상기 전화번호와 상기 카운팅된 수인 현재 대기번호를 저장하는 제3과정과, 상기 제3과정을 수행한 후 상기 전화번호의 현재 대기번호가 일정 대기인수이면 상기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여 송출하는 제4과정과, 상기 제4과정을 수행한 후 통화로가 형성되면 음성 안내메시지를 송출하는 제5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대기 안내장치에 이용.

Description

전화기 이용 대기 안내장치와 그 제어방법.
본 발명은 대기 안내장치와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화기를 이용하여 대기 안내하는 장치와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은행이나 병원등에서는 고객이 줄을 서서 기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대기 안내장치를 이용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대기 안내장치의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어부(10)는 대기 안내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10)는 카운터를 포함하고 있다. 메모리(20)는 제어부(10)의 제어를 받아 대기 안내장치의 동작 수행에 따른 프로그램과 상기 프로그램 수행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저장 및 독출한다. 상기 메모리(20)는 대기 안내 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대기 안내 정보는 호출번호와 현재 대기번호와 대기인수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호출번호는 업무 처리할 순서가 된 대기표의 번호로서, 예를 들면 은행창구에서 대기자를 부르는 순간의 번호를 말한다. 대기표 감지부(30)는 사용자에 의해 대기표가 배지될 때 이를 감지하여 대기표 감지신호를 제어부(10)로 출력한다. 대기표 발행부(50)는 프린터를 구비하고, 제어부(10)의 제어를 받아 대기 안내 정보를 대기표에 프린팅한다. 호출버튼(40)은 다음 대기자를 부르기 위하여 조작하는 버튼으로서, 버튼 신호를 제어부(10)로 출력한다. 제1표시부(60)는 세그멘트(segment)와 같은 표시장치로 이루어지며, 제어부(10)의 제어를 받아 대기인수를 표시한다. 제2표시부(70)는 세그멘트와 같은 표시장치로 이루어지며, 제어부(10)의 제어를 받아 호출번호를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제2표시부(70)는 대기 안내장치와 선으로 연결된 분리장치로서, 일반적으로 대기인들이 잘 볼 수 있도록 크게 만들어 설치된다.
상기한 종래의 대기 안내장치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대기표를 뽑으면 대기 안내장치에서는 카운터를 증가시켜고 이에 따라 대기인수를 증가시킨다. 그런 후에 대기 안내장치는 제1표시부에 대기인수를 표시한 후 다음 대기표를 프린팅한다. 또한 호출버튼이 조작되면 대기 안내장치에서는 카운터를 감소시키고 이에 따라 대기인수를 감소시킨다. 그런 후에 대기 안내장치는 제2표시부에 호출번호를 표시한다.
종래의 대기 안내장치를 이용하면 대기인들에게는 줄을 서서 기다리는 불편은 없지만 다음과 같은 불편이 있었다. 사용자는 대기표를 뽑으면 대기인수는 알 수 있지만 대기시간이 어느정도까지 걸릴지 모르므로 대기인이 많은 경우에도 계속 자리를 지켜야하였다. 또한 대기인들은 대기하면서 제2표시부(70)를 통해 호출번호를 수시로 확인 해야 함으로 차분이 앉아서 다른 볼일을 볼 수는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화기를 이용하여 대기인에게 대기상태를 안내하는 장치와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대기 안내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화기를 이용한 대기 안내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기 안내장치에서 전화 호출를 설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기 안내장치에서 전화 호출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화기를 이용한 대기 안내장치의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어부(100)는 본 발명에 따른 대기 안내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100)는 카운터를 포함하고 있다. 메모리(80)는 제어부(100)의 제어를 받아 본 발명에 따른 대기 안내장치의 수행 프로그램과 상기 프로그램 수행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저장 및 독출한다. 상기 메모리(80)는 대기 안내 정보와 각종 표시데이터를 저장한다. 대기표 감지부(30)는 사용자에 의해 대기표가 배지될 때 이를 감지하여 대기표 감지신호를 제어부(100)로 출력한다. 대기표 발행부(50)는 프린터를 구비하고, 제어부(100)의 제어를 받아 대기 안내 정보를 대기표에 프린팅한다. 호출버튼(40)은 다음 대기자를 부르기 위하여 조작하는 버튼으로서, 버튼 신호를 제어부(100)로 출력한다. 제1표시부(60)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나 세그멘트(segment)와 같은 표시장치로 이루어지며, 제어부(100)의 제어를 받아 대기인수를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제1표시부(60)는 대기 안내장치와 일체형으로 만들어진다. 제2표시부(70)는 액정표시장치나 세그멘트와 같은 표시장치로 이루어지며, 제어부(100)의 제어를 받아 호출번호를 표시한다. 키입력부(90)는 호출모드 선택키를 포함한 기능키들과 다이얼링을 위한 숫자키들로 이루어져 외부조작에 의해 키데이터를 발생하여 제어부(100)로 출력한다. 음성메모리(120)는 음성 안내데이터를 저장한다. 여기서는 상기 음성메모리(120)를 상기 메모리(80)와 분리하였지만 상기 음성메모리(120)은 상기 메모리(80)에 포함될 수도 있다. 음성처리부(110)는 제어부(100)의 제어를 받아 상기 음성메모리(120)에서 음성 안내데이터를 독출하여 음성처리하여 출력한다. 모뎀(130)은 다이얼러를 포함하고, 상기 음성처리부(110)에서 발생하는 음성처리신호를 받아 아날로그 변환하여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다이얼러는 제어부(100)의 제어를 받아 다이얼링 신호를 발생하여 출력한다. 라인인터페이스부(140)는 공중망과 연결된 전화라인과 연결되어 대기 안내장치와 상기 공중망과의 통화로를 형성한다. 상기 라인인터페이스부(140)는 다이얼러에서 출력되는 다이얼링 신호를 받아 상기 전화라인을 통해 공중망으로 보내고, 상기 전화라인으로부터 입력되는 응답신호를 받아 통화로를 형성하여 제어부(100)에 알린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기 안내장치에서 전화 호출를 설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상기한 도 2의 구성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사용자가 대기표를 뽑으면 대기표 감지부(30)에서는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100)로 대기표 감지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면 제200단계에서 제어부(100)는 상기 대기표 감지신호를 입력하여 제210단계에서 카운터를 증가시킨다. 그런 후에 제220단계에서 제어부(100)는 제1표시데이터를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제1표시데이터는 제1표시부(60)에 따라 두가지의 경우로 나타날 수 있다. 상기 제1표시부(60)가 액정표시장치일 때에 상기 제1표시데이터는 대기인수와 무선 호출수신기를 이용하여 대기 안내를 받을 수 있는 호출모드의 선택을 안내하는 데이터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상기 제1표시부(60)가 세그멘트일 때에 상기 제1표시데이터는 대기인수만을 나타낸다. 제1표시데이터가 표시되면 사용자는 대기인수가 많으면 호출모드를 선택하기 위해 호출모드 선택키를 조작할 것이다. 그러면 제230단계에서 제어부(100)는 상기 호출모드 선택키의 데이터를 입력한다. 그런 후에 사용자가 전화번호를 입력하기 위해 키입력부(90)에서 키를 조작하면 제240단계에서 제어부(100)는 전화번호을 입력한다. 그런 후에 제250단계에서 제어부(100)는 입력된 전화번호와 상기 카운팅된 현재 대기번호를 메모리(80)에 저장한 후에 대기표 발행부(50)를 제어하여 대기표를 발행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기 안내장치에서 전화 호출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상기한 도 2의 구성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전화 호출은 저장된 전화번호의 현재 대기번호가 일정한 대기인수가 될 때에 수행된다. 그리고 호출버튼(40)이 조작되면 제어부(100)에서는 저장된 현재 대기번호와 대기인수를 비교하여 제300단계에서 상기 저장된 전화번호의 현재 대기번호에 해당하는 대기인수가 정해진 수가 되었는지를 판정한다. 상기 판정 결과 일정 대기인수가 되면 제310단계에서 제어부(100)는 메모리(80)에서 상기 전화번호를 독출하여 모뎀(130)의 다이얼러로 보내 다이얼링한다. 그러면 다이얼링된 신호는 라인인터페이스부(140)을 거쳐 전화라인을 통해 공중망에 입력되고 공중망에서는 상기 전화번호의 전화기에 연결시켜준다. 그리하여 통화로가 형성되면 라인인터페이스부(140)에서는 이를 인식하여 제어부(100)로 출력한다. 그러면 제320단계에서 제어부(100)는 통화로 형성을 인식하고 제330단계에서 음성 안내메시지를 송출한다. 여기서 음성 안내메시지 송출과정은 음성처리부(110)를 제어하여 음성메모리(120)에서 음성 안내데이터를 독출하여 음성처리한 후 모뎀(130)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라인인터페이스부(140)를 거쳐 전화라인을 통해 공중망으로 송출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대기 안내장치에서 전화기를 이용함으로써 대기인수가 많은 경우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곳에서 각자의 볼일 볼 수 있다. 그리고 이로 인해 대기실의 혼잡도를 줄일 수 있다.

Claims (2)

  1. 대기표에 대기 안내 정보를 프린팅하는 대기표 발행부를 구비하고 전화기를 이용하여 대기 안내하는 장치에 있어서,
    다이얼링을 위한 숫자키들을 구비하고 외부의 조작에 의해 키데이터를 발생하여 출력하는 키입력부와,
    소정의 제어를 받아 다이얼링 신호를 발생하여 출력하는 다이얼러와,
    공중망과 연결된 전화라인에 연결되어 상기 다이얼링 신호를 상기 전화라인으로 송출하고 상기 전화라인으로부터 응답신호를 받아 통화로를 형성하는 라인인터페이스부와,
    전화번호들과, 상기 전화번호들 각각에 해당하는 현재 대기번호들과, 상기 현재 대기번호들에 대응하는 대기인수들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음성 안내데이터를 저장하는 음성메모리와,
    소정의 제어를 받아 상기 음성 안내데이터를 독출하여 음성처리하여 출력하는 음성처리부와,
    상기 음성처리부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라인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전화라인으로 송출하는 모뎀과,
    카운터를 구비하고, 상기 전화번호의 현재 대기번호에 대응하는 대기인수가 일정한 수가 되면 상기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고, 통화로가 형성되면 상기 음성 안 내메시지를 송출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호출모드 선택키와 다이얼링을 위한 숫자키들로 이루어진 키입력부와, 다이얼링 신호를 발생하여 출력하는 다이얼러와, 공중망과 연결된 전화라인에 연결되어 상기 다이얼링 신호를 상기 전화라인으로 송출하고 상기 전화라인으로부터 응답신호를 받아 통화로를 형성하는 라인인터페이스부와, 전화번호들과 상기 전화번호들 각각에 해당하는 대기번호들과 상기 대기번호들에 대응하는 대기인수들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음성 안내데이터를 저장하는 음성메모리와, 상기 음성 안내데이터를 독출하여 음성처리하여 출력하는 음성처리부와, 상기 음성처리부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라인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전화라인으로 송출하는 모뎀과, 카운터와, 대기표가 뽑히면 대기표 감지신호를 발생하는 대기표 감지부와, 대기표에 대기 안내 정보를 프린팅하는 대기표 발행부를 구비하고 전화기를 이용하여 대기 안내하는 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대기표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카운터를 증가시키는 1과정과,
    상기 제1과정을 수행한 후 호출모드 선택키의 키데이터를 입력한 후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2과정을 수행한 후 상기 전화번호와 상기 카운팅된 수인 현재 대기번호를 저장하는 제3과정과,
    상기 제3과정을 수행한 후 상기 전화번호의 현재 대기번호가 일정 대기인수이면 상기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여 송출하는 제4과정과,
    상기 제4과정을 수행한 후 통화로가 형성되면 음성 안내메시지를 송출하는 제5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70014742A 1997-04-21 1997-04-21 전화기 이용 대기 안내 장치와 그 제어방법. KR1002115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4742A KR100211518B1 (ko) 1997-04-21 1997-04-21 전화기 이용 대기 안내 장치와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4742A KR100211518B1 (ko) 1997-04-21 1997-04-21 전화기 이용 대기 안내 장치와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7574A KR19980077574A (ko) 1998-11-16
KR100211518B1 true KR100211518B1 (ko) 1999-08-02

Family

ID=19503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4742A KR100211518B1 (ko) 1997-04-21 1997-04-21 전화기 이용 대기 안내 장치와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151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7574A (ko) 1998-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652398A (ja) 現金自動取引機
KR100211518B1 (ko) 전화기 이용 대기 안내 장치와 그 제어방법.
JP4862225B2 (ja) 現金自動入出金機
KR19980077573A (ko) 무선 호출수신기 이용 대기 안내 장치와 그 제어방법
KR19990001882A (ko) 전화기에서 발신자의 전화번호를 안내하는 방법
US5838778A (en) Reserved speech path forming method in a parallel-connected telephone system
JP4529273B2 (ja) サービスシステム
JPH05176042A (ja) 電話帳作成方式
KR10160530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음성을 이용한 다이얼 입력 방법 및 장치
KR0169426B1 (ko) 전화기에서 통화중 디티엠에프를 이용한 전화번호 수신방법
KR19980074223A (ko) 시각장애자용 통신단말기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910240B2 (ja) ボタン電話装置
KR0184490B1 (ko) 일반전화기에서 호출자 식별 데이타를 이용한 벨음량 조절방법
JP2933544B2 (ja) ページャー用データの共通入力方式
JPH01155752A (ja) 留守番電話装置
KR20030004762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음성출력 장치 및 그 방법
JP3067335B2 (ja) 電子機器
JP3615287B2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H066503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H05114938A (ja) Isdn電話機
JPH01173954A (ja) 電話機
JP2000048080A (ja) 電子式家計簿
JPH09238203A (ja) 通信端末装置
JP2001119468A (ja) ボタン電話端末システムおよびボタン電話端末システムの短縮ダイヤルキー発信方法
JP2000050329A (ja) ボタン電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28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