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4762A -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음성출력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음성출력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4762A
KR20030004762A KR1020010040420A KR20010040420A KR20030004762A KR 20030004762 A KR20030004762 A KR 20030004762A KR 1020010040420 A KR1020010040420 A KR 1020010040420A KR 20010040420 A KR20010040420 A KR 20010040420A KR 20030004762 A KR20030004762 A KR 200300047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key
key data
button
tou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0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숙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404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04762A/ko
Publication of KR200300047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4762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7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specially adapted for disabled users
    • H04M1/72481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specially adapted for disabled users for visually impaired us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1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in the receiver circu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터치 방식의 키패드 입력부 및 키패드 입력부에서 발생되는 터치 신호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부가하여 감지부를 통해 감지되는 사용자에 의해 발생되는 키패드 입력부의 터치신호에 해당되는 키 버튼의 키 데이터 음성을 출력하여 시각 장애인이 사용하기에 적합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음성출력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장치는 사용자의 버튼 터치에 따라 해당되는 터치 신호를 발생하고 선택되는 버튼에 해당되는 키 데이터를 전송는 다수의 숫자 키와 기능키 버튼으로 구성된 키패드 입력부와, 상기 키패드 입력부에서 발생되는 터치신호를 감지하여 터치된 키 버튼에 해당되는 키 데이터를 전송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에서 전송되는 각 키 데이터에 대응되는 음성 데이터가 저장된 음성 메모리부와, 상기 음성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기 키 데이터에 해당되는 키 데이터 음성을 검출하여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를 통해 검출된 음성 메모리부의 키 데이터 음성을 복조하는 음성 처리부와, 상기 음성 처리부를 통해 음성 처리된 키 데이터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와, 상기 제어부의 키 데이터에 처리 결과에 해당되는 숫자 또는 기능 정보를 표시하는 액정 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방법은 사용자에 의해 터치되는 키 버튼에 해당되는 키 데이터 음성을 출력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선택신호에 따라 키 데이터 음성 출력모드를 설정하는 키 데이터 음성 출력모드 설정단계와; 상기 설정된 키 데이터 음성 출력모드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감지부를 통해 키 버튼의 터치 여부를 판별하는 키 버튼 터치판별단계와; 상기 판별결과 키 버튼이 터치되면 상기 감지부로부터 전송되는 터치된 키 버튼신호에 해당되는 키 데이터 음성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 메모리부에서 검출하여 스피커로 출력하고, 판별결과 키 버튼이 터치되지 않으면 상기 이전의 키 버튼 터치판별단계로 리턴하는 키 데이터 음성 출력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발명은 시각장애인의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에 매우 유용한 기능으로, 시각 장애인이 단말기를 사용할 때 자신이 걸고자 하는 전화번호를 정확히 눌렀는지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사용자에 의해 터치되는 키 버튼의 키 데이터 음성을 스피커를 통해 제공함으로써 해결하여 사용자가 자신이 선택하고자 하는 번호에 대해 확인을 한 후에 정확하게 원하는 번호를 선택할 수 있는 시각장애인의 단말기 사용이 편리해지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음성출력 장치 및 그 방법{Device for output of voice in mobile phone and output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음성출력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에 터치방식의 키패드 입력부 및 키패드 입력부에서 발생되는 터치 신호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부가하여 감지부를 통해 감지되는 사용자에 의해 발생되는 키패드 입력부의 터치신호에 해당되는 키 버튼의 키 데이터 음성을 출력하여 시각 장애인이 사용하기에 적합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음성출력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는 단말기를 사용하여 전화를 걸거나, 메시지를 송신 또는 전화번호를 단말기에 저장할 경우에 단말기의 외부에 구비된 키 패드를 사용한다.
단말기 사용자는 이러한 키패드 상의 푸쉬 버튼을 일일이 눌러서 원하는 전화번호나 해당 문자를 입력하게 되는데, 이는 각 버튼에 대응되도록 감지물이 연결되어 사용자가 외부 기판위의 버튼을 누름에 따라 버튼의 실리콘에 연결된 감지물이 기기내 회로의 감지선에 접속하게 되어 버튼선택 신호를 단말기의 제어부로 전송하여 제어부에서 선택된 버튼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제어부는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인지된 버튼에 해당되는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이동통신 단말기의 액정 표시부에 표시함으로써, 단말기 사용자에게 선택된 버튼 정보를 제공한다.
단말기 사용자는 액정 표시부를 통해 자신이 선택한 버튼의 오류 여부를 확인하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상태 등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시각 장애인의 경우에는 상기 액정 표시장치를 볼 수 없기 때문에 자신이 선택한 버튼에 대한 오류 여부를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시각장애인의 불편을 덜기 위해 앞서 제안된바 있는 특허 출원 제 1997-0071923호(발명의 명칭: 통신용 단말기의 키데이타 음성 출력장치 및 방법)의 경우에는 단말기의 키 패드에서 선택되는 키 버튼에 해당되는 키 데이터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방법으로서, 이러한 방법은 선택된 버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선택한 버튼에 대해 출력되는 음성정보로 버튼의 오류 여부를 파악하게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방법은 시각장애인이 각 버튼의 정확한 키 배열을 인지하지 못한 경우에는 일일이 버튼을 선택하여 출력되는 키 데이터 음성으로 버튼 선택의 오류 여부를 판별한 후에 잘못된 경우에는 정정하여 재 입력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하여 제안 된 것으로서, 터치 방식의 키패드 입력부에서 사용자에 의해 터치되는 키 버튼의 터치신호를 감지부를 통해 감지하여 터치된 키 버튼신호에 해당되는 키 데이터 음성을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키 버튼 선택 이전에 키 데이터 음성으로 키 버튼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각장애인이 보다 편리하게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사용자의 버튼 터치에 따라 해당되는 터치 신호를 발생하고 선택되는 버튼에 해당되는 키 데이터를 전송는 다수의 숫자 키와 기능키 버튼으로 구성된 키패드 입력부와, 상기 키패드 입력부에서 발생되는 터치신호를 감지하여 터치된 키 버튼에 해당되는 키 데이터를 전송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에서 전송되는 각 키 데이터에 대응되는 음성 데이터가 저장된 음성 메모리부와, 상기 음성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기 키 데이터에 해당되는 키 데이터 음성을 검출하여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를 통해 검출된 음성 메모리부의 키 데이터 음성을 복조하는 음성 처리부와, 상기 음성 처리부를 통해 음성 처리된 키 데이터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와, 상기 제어부의 키 데이터에 처리 결과에 해당되는 숫자 또는 기능 정보를 표시하는 액정 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사용자에 의해 터치되는 키 버튼에 해당되는 키 데이터 음성을 출력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선택신호에 따라 키 데이터 음성 출력모드를 설정하는 키 데이터 음성 출력모드 설정단계와; 상기 설정된 키 데이터 음성 출력모드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감지부를 통해 키 버튼의 터치 여부를 판별하는 키 버튼 터치판별단계와; 상기 판별결과 키 버튼이 터치되면 상기 감지부로부터 전송되는 터치된 키 버튼신호에 해당되는 키 데이터 음성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 메모리부에서 검출하여 스피커로 출력하고, 판별결과 키 버튼이 터치되지 않으면 상기 이전의 키 버튼 터치판별단계로 리턴하는 키 데이터 음성 출력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키 데이터 음성 출력방법의 동작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키패드 입력부 20 : 감지부
30 : 음성 메모리부 40 : 제어부
50 : 음성 처리부 60 : 스피커
70 : 액정 표시부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실시예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키 데이터 음성출력 장치는 사용자의 버튼 터치에 따라 해당되는 터치 신호를 발생하고 선택되는 버튼에 해당되는 키 데이터를 전송는 다수의 숫자 키와 기능키 버튼으로 구성된 키패드 입력부(10)와, 상기 키패드 입력부(10)에서 발생되는 터치신호를 감지하여 터치된 키 버튼에 해당되는 키 데이터를 전송하는 감지부(20)와, 상기 감지부(20)에서 전송되는 각 키 데이터에 대응되는 음성 데이터가 저장된 음성 메모리부(30)와,상기 음성 메모리부(30)에 저장된 상기 키 데이터에 해당되는 키 데이터 음성을 검출하여 출력하는 제어부(40)와, 상기 제어부(40)를 통해 검출된 음성 메모리부(30)의 키 데이터 음성을 복조하는 음성 처리부(50)와, 상기 음성 처리부(50)를 통해 음성 처리된 키 데이터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60)와, 상기 제어부(40)의 키 데이터에 처리 결과에 해당되는 숫자 또는 기능 정보를 표시하는 액정 표시부(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키패드 입력부(10)는 각 키 버튼마다 터치신호 발생을 위해 터치센서 또는 미세전류 감지 센서 회로를 구비하여 단말기 사용자의 키 버튼 터치를 제어부(40)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40)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기능 키 가운데 키 데이터 음성 출력모드 선택키를 구비하여, 상기 선택키 신호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드를 키 데이터 음성 출력모드로 전환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키 데이터 음성출력방법은 사용자에 의해 터치되는 키 버튼에 해당되는 키 데이터 음성을 출력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선택신호에 따라 키 데이터 음성 출력모드를 설정하는 키 데이터 음성 출력모드 설정단계와; 상기 설정된 키 데이터 음성 출력모드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감지부(20)를 통해 키 버튼의 터치 여부를 판별하는 키 버튼 터치판별단계와; 상기 판별결과 키 버튼이 터치되면 상기 감지부(20)로부터 전송되는 터치된 키 버튼신호에 해당되는 키 데이터 음성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 처리부(50)에서 검출하여 스피커(60)로 출력하고, 판별결과 키 버튼이 터치되지 않으면 상기 이전의 키 버튼 터치판별단계로 리턴하는 키 데이터 음성 출력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키 버튼 터치판별단계는 상기 감지부(20)에서 상기 사용자의 키 버튼 터치로 발생되는 터치신호를 감지하여 감지된 터치신호의 키 버튼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이다.
상기 키 데이터 음성 출력단계는 상기 키 버튼 터치판별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로 전송되는 키 버튼신호의 키 데이터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키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음성 메모리부(30)에서 해당되는 키 데이터 음성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키 데이터 음성을 상기 음성 처리부(50)를 통해 복조하여 스피커(60)로 출력하는 단계와; 출력된 키 데이터 음성을 확인한 사용자에 의한 터치된 키 버튼의 선택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와; 판별결과 선택되면 키패드 입력부(10)를 통해 전송되는 키 데이터에 해당되는 숫자 또는 기능 정보를 액정 표시부(70)에 표시하고, 판별결과 선택되지 않으면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을 첨부된 도 2를 참조하여 일 실시 예로 설명한다.
키 버튼 키 데이터 음성
통화 통화 버튼
종료 종료 버튼
1
2
3
4
5
.....
예를 들어, 상기한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키 버튼의 키 데이터 음성을 설정하여 음성 메모리부(30)에 저장하였다면,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는 제 3자와의 전화통화를 하고자 할 경우에 손가락을 이용하여 키 패드의 각 숫자 키 버튼을 터치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단말기의 키 버튼이 터치되면 터치된 키 버튼에 해당되는 키 데이터 음성이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므로, 사용자는 자신이 통화하고자 하는 전화번호에 해당되는 각각의 숫자 키 버튼을 확인하여 선택하고 전화번호가 모두 선택되면 통화 버튼을 선택하여 전화통화를 할 수가 있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 검색과정에 표시되는 각각의 메뉴 목록에 대한 음성 데이터를 설정하면, 시각 장애인뿐만 아니라 일반 단말기 사용자도 액정 표시부(80)를 확인하지 않고도 단말기 키 패드의 각 키 버튼을 터치하여 출력되는 메뉴 목록의 음성 데이터로 원하는 메뉴를 선택할 수가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시각장애인의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에 매우 유용한 기능으로, 시각 장애인이 단말기를 사용할 때 자신이 걸고자 하는 전화번호를 정확히 눌렀는지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사용자에 의해 터치되는 키 버튼의 키 데이터 음성을 스피커를 통해 제공함으로써 해결하여 사용자가 자신이 선택하고자 하는 번호에 대해 확인을 한 후에 정확하게 원하는 번호를 선택할 수 있는 시각장애인의 단말기 사용이 편리해지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6)

  1. 사용자의 버튼 터치에 따라 해당되는 터치 신호를 발생하고 선택되는 버튼에 해당되는 키 데이터를 전송는 다수의 숫자 키와 기능키 버튼으로 구성된 키패드 입력부와, 상기 키패드 입력부에서 발생되는 터치신호를 감지하여 터치된 키 버튼에 해당되는 키 데이터를 전송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에서 전송되는 각 키 데이터에 대응되는 음성 데이터가 저장된 음성 메모리부와, 상기 음성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기 키 데이터에 해당되는 키 데이터 음성을 검출하여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를 통해 검출된 음성 메모리부의 키 데이터 음성을 복조하는 음성 처리부와, 상기 음성 처리부를 통해 음성 처리된 키 데이터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와, 상기 제어부의 키 데이터에 처리 결과에 해당되는 숫자 또는 기능 정보를 표시하는 액정 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음성출력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 입력부는 각 키 버튼마다 터치신호 발생을 위해 터치센서 또는 미세전류 감지 센서 회로를 구비하여 단말기 사용자의 키 버튼 터치를 상기 제어부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음성출력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기능 키 가운데 키 데이터 음성 출력모드선택키를 구비하여, 상기 선택키 신호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드를 키 데이터 음성 출력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음성출력 장치.
  4. 사용자에 의해 터치되는 키 버튼에 해당되는 키 데이터 음성을 출력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선택신호에 따라 키 데이터 음성 출력모드를 설정하는 키 데이터 음성 출력모드 설정단계와;
    상기 설정된 키 데이터 음성 출력모드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감지부를 통해 키 버튼의 터치 여부를 판별하는 키 버튼 터치판별단계와;
    상기 판별결과 키 버튼이 터치되면 상기 감지부로부터 전송되는 터치된 키 버튼신호에 해당되는 키 데이터 음성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 처리부에서 검출하여 스피커로 출력하고, 판별결과 키 버튼이 터치되지 않으면 상기 이전의 키 버튼 터치판별단계로 리턴하는 키 데이터 음성 출력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음성출력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키 버튼 터치판별단계는 상기 감지부에서 상기 사용자의 키 버튼 터치로 발생되는 터치신호를 감지하여 감지된 터치신호의 키 버튼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음성출력 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키 버튼 터치판별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로 전송되는 키 버튼신호의 키 데이터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키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음성 메모리부에서 해당되는 키 데이터 음성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키 데이터 음성을 상기 음성 처리부를 통해 복조하여 스피커로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출력된 키 데이터 음성을 확인한 사용자에 의한 터치된 키 버튼의 선택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판별결과 선택되면 상기 단말기의 키패드 입력부를 통해 전송되는 키 데이터에 해당되는 숫자 또는 기능 정보를 상기 단말기의 액정 표시부에 표시하고, 판별결과 선택되지 않으면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음성출력 방법.
KR1020010040420A 2001-07-06 2001-07-06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음성출력 장치 및 그 방법 KR200300047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0420A KR20030004762A (ko) 2001-07-06 2001-07-06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음성출력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0420A KR20030004762A (ko) 2001-07-06 2001-07-06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음성출력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4762A true KR20030004762A (ko) 2003-01-15

Family

ID=27713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0420A KR20030004762A (ko) 2001-07-06 2001-07-06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음성출력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0476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1091A (ko) * 2002-01-10 2003-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단말기의 키음 발생 장치
KR20040001002A (ko) * 2002-06-26 2004-01-07 주식회사 팬택 단말기에서 키 입력시 음성 발생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1091A (ko) * 2002-01-10 2003-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단말기의 키음 발생 장치
KR20040001002A (ko) * 2002-06-26 2004-01-07 주식회사 팬택 단말기에서 키 입력시 음성 발생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20093536A1 (en) Method of providing user interface in a portable terminal
JPH0530343B2 (ko)
KR20030004762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음성출력 장치 및 그 방법
JP2001147764A (ja) 文字入力装置
KR101081648B1 (ko) 시각장애인용 이동통신단말기의 키입력 장치 및 방법
KR100618265B1 (ko) 시력 검사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20030045245A (ko) 휴대용 단말기의 비상시 콜 방법 및 장치
KR20010055043A (ko) 음성합성을 이용한 버튼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1402199B1 (ko) 입력감지모드에 따른 입력 방법 및 휴대단말기
KR10160530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음성을 이용한 다이얼 입력 방법 및 장치
KR100243900B1 (ko) 전화기의 문자 송수신장치 및 휴대용 문자 송수신장치
KR100581827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화 번호 검색 방법
KR100275773B1 (ko) 주파수톤을 이용한 문자통신 전화기
KR100253074B1 (ko) 전화단말기의 지역번호 한글인식장치
KR100712845B1 (ko) 진동감지 이동통신 단말기 및 통화 발신방법
KR960011702B1 (ko) 메모리전화기의 통화모드시 인적사항표시방법
KR100754663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전화 거는 방법
KR100211518B1 (ko) 전화기 이용 대기 안내 장치와 그 제어방법.
KR100832855B1 (ko) 휴대단말기에서 음주정보를 측정하는 방법
KR100419095B1 (ko) 전화기의 전화번호 입력오류 방지방법
KR0141353B1 (ko) 전화기의 숫자수신 장치
KR100590557B1 (ko) 마이컴 제어부를 갖는 주파수톤을 이용한 문자통신 전화기
KR10044759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장치 및 그 방법
KR19980067883A (ko) 전화단말기의 한글문자입력장치
KR20000018394A (ko) 전화기의 한글입력 인식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