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8394A - 전화기의 한글입력 인식방법 - Google Patents

전화기의 한글입력 인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8394A
KR20000018394A KR1019980035967A KR19980035967A KR20000018394A KR 20000018394 A KR20000018394 A KR 20000018394A KR 1019980035967 A KR1019980035967 A KR 1019980035967A KR 19980035967 A KR19980035967 A KR 19980035967A KR 20000018394 A KR20000018394 A KR 200000183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hangul
key
character
key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59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우형
Original Assignee
강병호
대우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병호, 대우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강병호
Priority to KR10199800359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8394A/ko
Publication of KR200000183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839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글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된 전화기에서 다이얼버튼을 통해 입력되는 한글문자를 조합하여 하나의 문자로 인식시킬 수 있도록 된 전화기의 한글입력 인식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키패드(11)에 구비된 한글문자 기능키(11a)를 입력하게 되면, 마이크로프로세서(23)는 전화모드를 한글문자 입력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키패드(11)로부터의 키입력이 있는지를 검색하여 키버튼이 입력될 때마다 하나의 키버튼 눌려짐이 소정 시간 이상인가를 판단하게 되며, 키버튼의 눌려짐이 소정시간 미만일 경우 데이터임시저장부(22)에 임시저장하고, 소정시간 이상일 경우 입력된 키입력을 조합하여 하나의 한글문자로 인식하여 LCD표시부(17)를 통해 표시해 주게 됨과 더불어 등록정보저장부(16)에 등록 저장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입력된 한글문자의 인식에 있어 오동작으로 인한 재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전화기의 한글입력 인식방법
본 발명은 한글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된 전화기의 한글입력 인식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화기의 다이얼버튼을 통해 입력되는 한글문자를 조합하여 하나의 문자로 인식시킬 수 있도록 된 전화기의 한글입력 인식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화기는 현대 생활에 있어서 자신의 의사전달이나 정보교환 수단으로서 없어서는 안될 귀중한 통신수단이다. 이러한 전화기는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사람들의 생활양태나 기호가 다양해지면서 기능도 점차 부가되어가고 있다.
이러한 전화기의 기능 중에는 다이얼버튼에 한글을 표시하여 문자를 입력하도록 하는 기능이 있는 바, 이를 통해 발신자의 이름을 입력한다거나 사용자가 원하는 이름을 메모할 수 있는 기능 등을 수행하고 있다.
도 1은 상기한 종래 전화기의 한글문자 입력장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1a는 키패드 구성을 나타낸 도이고, 도 1b는 내부구성을 나타낸 도이다.
도면에서, 참조번호 1은 외부 국선 라인을 접속하기 위한 국선접속포트이고, 2는 상기 국선접속포트(1)를 통해 인가되는 링신호를 감지하는 링신호감지부, 3은 인가된 링신호를 근거로 소정의 전화벨소리를 출력하는 링 발생부, 4는 통화로의 접속여부 및 장치 내·외부로 입출력되는 통신신호 전반의 인터페이스기능을 수행하는 루프(loop)회로로서, 이 루프회로(4)는 대국과의 접속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국선접속감지부(4a)와 장치간 신호의 인터페이스기능을 수행하는 인터페이스회로(4b)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참조번호 5는 송수화기이고, 6은 이후에 설명할 마이크로프로세서(12)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통화로의 연결여부를 단속하는 통화로접속부, 7은 상기루프회로(4)와 통화로접속부(6)를 거쳐 상대 단말기로부터 인가된 신호를 소정의 레벨로 증폭하는 기능과 측음(side tone)에 대한 신호처리 등을 수행하는 네트워크회로, 8은 사용자가 송수화기(5)를 들거나 놓음에 따라 이와 함께 연동되게 되는 훅스위치(hook switch)의 온 또는 오프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훅검출부이다.
또한, 참조번호 9는 단축다이얼 기능 등 전화기의 통상적인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이고, 10은 상기 국선접속포트(1)를 통해 인가되는 DTMF신호를 입력받아 그에 대응되는 약정된 코드신호를 출력하는 DTMF수신회로, 11은 각각의 숫자키에 한글모음 또는 자음이 표기되고, 한글문자의 입력기능을 위한 기능키(11a)와 실행데이터를 설정 등록하기 위한 등록키(11b) 및 입력된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키(11c)가 구비된 키패드이다.
한편, 참조번호 12는 한글문자 입력기능 실행을 제어함과 더불어 장치전반을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이고, 13은 상기 키패드(11)를 통해 입력된 소정키 입력에 대하여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2)의 제어명령에 따라 이에 대응되는 DTMF(Dual Tone Multi-Frequency)신호를 출력하는 DTMF발생회로이다.
또한, 참조번호 14는 상기 키패드(11)를 통해 한글문자가 입력되게 되면 입력된 한글문자와 이에 대응되는 설정된 전화번호를 표시함과 더불어 오프훅 상태일 때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DTMF신호를 송출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메모리이다.
또한, 참조번호 15는 한글문자 입력기능이 선택되면 상태플래그를 셋트하는 플래그 레지스터, 16은 상기 키패드(11)를 통해 설정된 한글문자와 전화번호 데이터를 저장하는 등록정보저장부, 17은 전화기의 현재 동작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LCD표시부, 18은 한글문자 입력기능에 관한 안내메시지가 저장되어 있는 안내메시지저장부, 19는 이 안내메시지저장부(18)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음성신호로 출력하거나 반대로 상기 네트워크회로(7)로부터 인가되는 음성신호를 코드화하는 코덱(CODEC:COder-DECoder), 20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2)의 제어에 따라 코덱(19)으로부터 입출력되는 디지탈신호를 처리하는 디지탈신호처리프로세서(DSP:Digital Signal Processor)이다.
즉, 상기한 구성으로 된 전화기의 한글문자 입력장치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상기 키패드(11)를 통해 이용하고자 하는 상대방의 이름과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등록 설정하게 되는 바, 사용자에 의해 상기 키패드(11)에 구비된 기능키(11a)가 눌려지게 되면, 마이크로프로세서(12)는 상기 프로그램메모리(14)의 프로그램에 따라 플래그 레지스터(15)의 상태플래그를 '1'로 셋트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DSP(20)를 제어하여 안내메시지저장부(18)로부터 예컨대, "이름과 전화번호를 새로 등록하고자 할 경우 이름과 전화번호를 입력한 후 등록키를 누르시고, 그렇지 않을 경우 원하시는 이름을 입력하여 주십시요"라는 음성데이터를 독출하여 코덱(19)을 통해 코드변환하고 네트워크회로(7)와 송수화기(5)를 통해 사용자에게 가청음으로 출력하게 된다.
이후, 사용자에 의해 상대방의 이름과 전화번호가 입력되고 등록키(11b)가 입력되게 되면, 마이크로프로세서(12)는 입력된 한글문자로 된 이름과 이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를 등록정보저장부(16)에 저장하게 됨과 더불어 상기 LCD표시부(17)를 통해 등록되는 이름과 전화번호를 표시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기가 등록하는 이름과 전화번호를 올바르게 등록했는지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한글문자의 등록과정에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한글문자는 숫자버튼에 자음 또는 모음의 문자가 표기되어, 임의의 키버튼을 1회 누르게 되면 키버튼에 표기된 한글문자 중 첫 번째 한글문자가 입력되고, 2회 누르게 되면 두 번째 한글문자가 입력되며, 두 문자 아래에 표기된 한글문자는 '아래'라고 표기된 버튼을 눌러서 입력하게 된다. 예컨대, "대우통신 3779-7835"를 등록 설정하게 되는 경우, '2'번 버튼과 '8' 번 버튼 및 ' 0'번 버튼을 각각 1회씩 차례로 누르고(대), '4'번 버튼 2회 '*'버튼을 2회 입력하며(우), '6'번 버튼을 2회 '*'버튼 1회 '4'번 버튼 2회를 입력하고(통), '4'번 버튼 1회 '0'번 버튼 1회 '1'번 버튼 2회를 입력(신)하며, 기능키(11a)를 누른 후 숫자키(3779-7835)를 입력하여 등록키(11b)를 입력하게 됨으로써 등록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데이터가 입력된 후 등록키(11b)가 입력되게 되면 마이크로프로세서(12)는 플래그 레지스터(15)의 상태플래그를 '0'으로 셋트하여 한글입력 모드를 해제하게 된다.
이후, 마이크로프로세서(12)는 상기 키패드(11)의 키입력 상태를 감시하게 되는 바, 사용자에 의해 기능키(11a)의 입력이 있게 되면, 마이크로프로세서(12)는 상기 DSP(20)를 제어하여 안내메시지저장부(18)로부터 예컨대, "이름과 전화번호를 새로 등록하고자 할 경우 이름과 전화번호를 입력한 후 등록키를 누르시고, 그렇지 않을 경우 원하시는 이름을 입력하여 주십시요"라는 음성데이터를 독출하여 코덱(19)을 통해 코드변환하여 네트워크회로(7)와 송수화기(5)를 통해 사용자에게 가청음으로 출력하게 된다.
이후, 사용자에 의해 예컨대 "대우통신"이라는 한글문자가 입력되게 되면, 마이크로프로세서(12)는 등록정보저장부(16)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검색하여 "대우통신"에 대응하는 전화번호 데이터를 독출하여 LCD표시부(17)를 통해 "대우통신 3779-7835" 표시함과 더불어 훅검출부(8)를 통해 훅스위치의 상태를 검출하게 되는 바, 훅스위치가 온(ON) 상태이면 DTMF발생회로(13)를 통해 표시된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DTMF신호를 국선으로 송출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키패드(11)를 통해 한글문자를 입력할 경우, 입력하려는 한글문자의 첫 글자가 초성자음과 중성모음으로 이루어지고, 다음 두 번째 글자가 초성자음과 중성모음, 종성자음으로 되어 두 번째 글자의 초성자음이 첫 글자의 종성자음으로 인식될 우려가 있게 된다. 즉, 받침이 없는 첫 글자의 인식에 있어 두 번째 글자의 첫 자음이 상기 첫글자의 받침으로 인식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래의 입력하려는 글자의 의미와 다르게 입력됨으로써 이 한글문자를 근거로 제어 동작하는데 있어 에러가 발생하게 될 우려가 있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한글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된 전화기에서 다이얼버튼을 통해 입력되는 한글문자를 각각의 문자로 인식할 수 있도록 된 전화기의 한글입력 인식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전화기의 한글문자 입력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입력 인식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전화기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화기의 한글입력 인식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플로우챠트.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국선접속포트 2 : 링신호감지부
3 : 링발생부 4 : 루프회로
5 : 송수화기 6 : 통화로접속부
7 : 네트워크회로 8 : 훅검출부
9 : 메모리 10 : DTMF수신회로
11 : 키패드 12, 23 : 마이크로프로세서
13 : DTMF발생회로 14 : 프로그램메모리
15 : 플래그레지스터 16 : 등록정보저장부
17 : LCD표시부 18 : 안내메시지저장부
19 : 코덱(CODEC) 20 : DSP(Digital signal processor)
21 : 모드상태저장부 22 : 데이터임시저장부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화기의 한글입력 인식방법은 키패드의 각각의 키버튼에 한글모음 또는 자음이 표기되어 이를 조작하여 한글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된 전화기에 있어서, 한글문자 기능키를 입력하여 한글문자 입력을 실행하도록 하는 명령을 입력하는 한글문자 기능실행단계, 상기 한글문자입력 기능키가 입력됨에 따라 한글문자 입력모드로 전환하는 모드전환단계, 상기 키패드로부터의 키입력이 있는지를 검색하는 키입력검색단계, 키패드로부터 하나의 키버튼 눌려짐이 소정 시간 이상인가를 판단하는 키입력시간판단단계, 키버튼의 눌려짐이 소정시간 미만일 경우 임시저장하고, 소정시간 이상일 경우 입력된 키입력을 조합하여 하나의 한글문자로 인식하는 키입력인식단계 및, 인식된 한글문자를 표시하고 등록저장하여 처리하는 인식문자처리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에 의하면 전화기에서 한글문자 입력기능을 실행하여 키버튼 입력시 자음이나 모음 등을 입력한 후 그 글자를 이루는 마지막 중성이나 종성에 해당하는 키버튼을 소정시간 이상 누르게 되면 입력된 것을 조합하여 하나의 한글문자로 인식하게 된다.
따라서, 확실한 한글문자 입력과 더불어 입력된 한글문자의 인식에 있어 에러를 방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오동작으로 인한 재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입력 인식방법이 적용된 전화기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시된 도 1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에서, 참조번호 21은 상기 키패드(11)의 한글문자 입력기능이 입력되게 되면, 전화기 자체의 전화모드를 한글문자 입력모드로 전환하여 동작하도록 하는 한글문자입력 동작모드를 저장하는 모드상태저장부이고, 22는 상기 키패드(11)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데이터임시저장부, 23은 상기 키패드(11)를 통해 한글문자 입력기능이 선택된 후, 한글문자 키버튼이 눌려질 때마다 눌려지는 시간을 판단하여 소정시간 이상인 경우 입력된 문자데이터를 조합하여 하나의 한글문자로 인식 처리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이다.
이어, 상기한 구성으로 된 장치의 동작을 도 3에 도시된 동작 플로우챠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전화기능이 수행되도록 된 대기상태에서(ST1 단계) 사용자는 한글문자 입력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상기 키패드(11)를 통해 이용하고자 하는 상대방의 이름을 입력하여 등록 설정하게 되는 바, 사용자에 의해 송수화기(5)가 들려 오프훅 된 상태에서 상기 키패드(11)에 구비된 기능키(11a)가 눌려지게 되면(ST2 단계), 마이크로프로세서(23)는 전화기 자체의 동작모드를 전화모드에서 키패드(11)를 통해 한글문자가 입력되도록 하는 한글문자 입력모드로 전환함과 더불어 모드상태저장부(21)에 한글문자입력 동작모드를 저장해 두게 된다(ST3 단계). 그리고, 이 저장되어 있는 한글문자입력 동작모드를 근거로 그 기능의 해제명령이 입력될 때까지 한글문자 입력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이어, 마이크로프로세서(23)는 상기 DSP(20)를 제어하여 안내메시지저장부(18)로부터 예컨대, “이름과 전화번호를 새로 등록하고자 할 경우 이름과 전화번호를 입력한 후 등록키를 누르시고, 그렇지 않을 경우 원하시는 이름을 입력하여 주십시요”라는 음성데이터를 독출하여 코덱(19)을 통해 코드변환하고 네트워크회로(7)와 송수화기(5)를 통해 사용자에게 가청음으로 출력하게 된다(ST4 단계).
이후, 사용자에 의해 상대방의 이름을 입력하기 위한 한글문자 키버튼이 눌려지게 되면(ST5 단계), 마이크로프로세서(23)는 상기 키패드(11)로부터 키버튼이 눌려지는 시간을 계수하게 되는 바(ST6 단계), 소정시간 예를 들면 2초 이상 눌려지지 않으면 그 입력 데이터를 데이터임시저장부(22)에 임시 저장하게 된다.
예컨대, 사용자가 상기 키패드(11)를 통해 입력하고자 하는 이름이 "송학식"일 경우, 도 1a에 도시된 키패드 버튼 중 “송”이라는 글자의 초성‘ㅅ’인 4번 버튼을 먼저 1회 누르게 된다. 이때 마이크로프로세서(23)는 4번 버튼의 눌려지는 시간을 계수하게 되는데, 2초 미만일 경우 데이터임시저장부(22)에 임시 저장하게 되는 것이다(ST7 단계).
이어, 사용자는 “송”이라는 글자의 중성인 ‘ㅗ’자에 해당하는 키버튼 즉, “*”버튼을 2초미만 누르게 되면, 마찬가지로 데이터임시저장부(22)에 저장해 두게 된다.
한편, 상기 ST6 단계에서 키버튼이 눌려짐이 소정시간 이상인 경우 예컨대, 상기 4번 버튼이 2초이상 눌려질 경우 마이크로프로세서(23)는 키패드(11)로부터 입력된 ‘ㅅ’이라는 데이터를 하나의 문자로 인식하여 등록정보저장부(16)에 저장하게 된다.
이어, “송”이라는 글자의 종성‘ㅇ’에 해당하는 글자인 4번 버튼을 2회 연속누르게 되는데 2회째 누를 때 2초이상 누르게 되면, 마이크로프로세서(23)는 입력된 ‘ㅇ’문자데이터와 데이터임시저장부(22)에 저장되어 있는 ‘ㅅ’, ‘ㅗ’ 문자데이터를 입력된 순차에 따라 조합하여 하나의 “송”이라는 한글문자로 인식하고, 이를 등록정보저장부(16)에 저장함과 더불어 LCD표시부(17)를 통해 인식된 한글문자를 표시하게 된다(ST8 단계). 마찬가지로 다음 한글문자 “학”자와“식”자도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입력하게 되고, 그 현황이 LCD표시부(17)를 통해 표시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LCD표시부(17)를 통해 자기가 등록하는 이름이 올바르게 등록됐는지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전화기에서 한글문자 입력기능을 실행하여 키버튼 입력시 자음이나 모음 등을 입력한 후 그 글자를 이루는 마지막 중성이나 종성에 해당하는 키버튼을 소정시간 이상 누르게 되면 입력된 것을 조합하여 하나의 한글문자로 인식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입력된 한글문자의 인식에 있어 오동작으로 인한 재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키패드의 각각의 키버튼에 한글모음 또는 자음이 표기되어 이를 조작하여 한글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된 전화기에 있어서,
    한글문자 기능키를 입력하여 한글문자 입력을 실행하도록 하는 명령을 입력하는 한글문자 기능실행단계,
    상기 한글문자입력 기능키가 입력됨에 따라 한글문자 입력모드로 전환하는 모드전환단계,
    상기 키패드로부터의 키입력이 있는지를 검색하는 키입력검색단계,
    키패드로부터 하나의 키버튼 눌려짐이 소정 시간 이상인가를 판단하는 키입력시간판단단계,
    키버튼의 눌려짐이 소정시간 미만일 경우 임시저장하고, 소정시간 이상일 경우 입력된 키입력을 조합하여 하나의 한글문자로 인식하는 키입력인식단계 및,
    인식된 한글문자를 표시하고 등록저장하여 처리하는 인식문자처리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의 한글입력 인식방법.
KR1019980035967A 1998-09-02 1998-09-02 전화기의 한글입력 인식방법 KR200000183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5967A KR20000018394A (ko) 1998-09-02 1998-09-02 전화기의 한글입력 인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5967A KR20000018394A (ko) 1998-09-02 1998-09-02 전화기의 한글입력 인식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8394A true KR20000018394A (ko) 2000-04-06

Family

ID=19549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5967A KR20000018394A (ko) 1998-09-02 1998-09-02 전화기의 한글입력 인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839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6258B1 (ko) * 2000-09-20 2002-10-18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전화 단말기용 키패드
KR100417034B1 (ko) * 2001-12-19 2004-02-05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휴대폰에서의 문자 및 기호 입력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6258B1 (ko) * 2000-09-20 2002-10-18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전화 단말기용 키패드
KR100417034B1 (ko) * 2001-12-19 2004-02-05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휴대폰에서의 문자 및 기호 입력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47157A (ko) 간단한문자입력기능을갖춘통신용단말기
KR20000018394A (ko) 전화기의 한글입력 인식방법
KR19990001882A (ko) 전화기에서 발신자의 전화번호를 안내하는 방법
KR20060056591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KR100253074B1 (ko) 전화단말기의 지역번호 한글인식장치
JP2000078252A (ja) 携帯電話機
KR100193830B1 (ko) 한글문자를 이용한 다이알링 방법
KR10160530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음성을 이용한 다이얼 입력 방법 및 장치
KR19980067883A (ko) 전화단말기의 한글문자입력장치
KR100842599B1 (ko) 휴대단말기의 발신 방법
KR100754663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전화 거는 방법
KR950009425B1 (ko) 음성인식 전화기의 다이얼링 제어 방법
JPH03108852A (ja) 人声認識音声確認携帯電話機
KR20040058719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KR20010008753A (ko) 음성인식을 통한 휴대폰의 비밀번호 인식방법
JPH10243079A (ja) コードレス電話システムの携帯端末
KR101176661B1 (ko) 이어폰 키를 이용한 호 발신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247239B1 (ko) 전화번호 저장이 가능한 전화기, 그 전화번호의 저장방법 및 그 저장된 전화번호로 피호출자의 호출방법
JPH10200617A (ja) 音声認識機能付き携帯形電話機
JP2006128783A (ja) 携帯端末装置とその着信処理方法
KR10063821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입력방법
KR100889070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발신번호 입력 방법
KR100629206B1 (ko) 이니셜 입력에 의한 자동 다이얼링 서비스 제공 방법 및시스템
KR100712843B1 (ko) 숫자 및 문자조합의 단축키 사용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040735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부재중 전화 검색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