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2845B1 - 진동감지 이동통신 단말기 및 통화 발신방법 - Google Patents

진동감지 이동통신 단말기 및 통화 발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2845B1
KR100712845B1 KR1020040099911A KR20040099911A KR100712845B1 KR 100712845 B1 KR100712845 B1 KR 100712845B1 KR 1020040099911 A KR1020040099911 A KR 1020040099911A KR 20040099911 A KR20040099911 A KR 20040099911A KR 100712845 B1 KR100712845 B1 KR 1007128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call
mobile communication
signal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9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1050A (ko
Inventor
신준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99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2845B1/ko
Priority to CNA2005100777660A priority patent/CN1783908A/zh
Publication of KR20060061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10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28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28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9Automatic dialling or redialling systems, e.g. on off-hook or redial on bus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동센서를 사용하여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감지하고 기 설정된 동작에 따라 원하는 전화번호로 발신통화를 시도할 수 있도록 하는 진동감지 이동통신 단말기 및 통화 발신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일정시간 및 일정크기 이상의 외부진동이 감지되면 감지된 외부진동의 순서 또는 횟수에 따라 소정 전화번호를 검색하고, 외부진동이 재감지되면 검색된 전화번호로 통화발신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단말기 및 사용자가 소정 거리 이상 떨어져 위치한 경우에도 특정 번호로의 통화발신 동작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진동, 진동감지 센서, 전화번호, 통화,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

Description

진동감지 이동통신 단말기 및 통화 발신방법{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ensing vibration and its calling method}
도 1 은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발신 동작을 나타내는 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감지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이 도시된 블럭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감지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부의 구성이 상세하게 도시된 블록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감지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 발신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UI부 20: 제어부
30: 진동감지 센서 50: UI제어부
70: 진동감지 제어부 80: 메모리부
본 발명은 진동감지 이동통신 단말기 및 통화 발신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외부 진동을 감지하여 상기 단말기 내에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 중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전화번호로 통화발신 동작이 수행되도록 하여 상기 단말기가 사용자와 이격된 거리에 위치된 경우에도 용이하게 발신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진동감지 이동통신 단말기 및 통화 발신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급이 증가하여 1인 1전화 시대가 되면서, 가정이나 사무실 내의 유선방식 일반전화를 이용한 통화 횟수보다,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통화 횟수가 점차 증가되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카메라 기능, GPS를 이용한 네비게이션 기능 등 갖가지 첨단기술을 내장하여 다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개발되고 있으며, 상기 단말기를 통해 타 단말기로 통화를 거는 발신방법도 여러 가지로 개발되어 상기 단말기에 적용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발신 동작을 나타내는 도이다.
즉,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가장 일반적으로 통화를 발신하는 방법은 제어명령 또는 사용자 데이터가 입력될 수 있도록 하는 다수 키버튼이 구비되는 키패드를 사용하여 상기 키패드의 숫자키를 발신번호에 따라 차례로 누름입력한 후 통화버튼을 누름입력함으로써 입력된 번호로의 발신동작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미 상기 키패드를 통해 입력된 다수 전화번호 중 하나를 검색 또는 선택하여 통화버튼을 입력하거나, 상기 다수 전화번호 중 단축키가 설정된 전화번호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단축키를 누름입력함으로써 상기의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최근에는 사용자가 상기 키패드를 통해 통화를 수행하고자 하는 전화번호를 입력 또는 선택하지 않고, 전화번호를 나타내는 사용자의 음성데이터를 인식 및 판독하여 해당 번호로 발신동작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음성인식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가 개발되어 출시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음성인식 기능은 동일한 번호를 나타내는 음성데이터라도 각 사용자에 따라 주파수, 파장, 크기 등이 모두 상이하며, 한 명의 사용자로부터 전달되는 음성신호라도 경우에 따라서 각각 상이하게 출력되므로, 상기 음성 인식기능을 적절히 사용하기 위해서는 각 사용자로부터 전달되는 음성데이터를 정확히 판독하는 기술이 요구된다.
상기와 같은 음성인식 기능은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게 음성통화동작이 수행되거나 전달된 음성데이터를 잘못 인식하게 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므로, 그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가 사용자와 소정거리 이상 떨어져 있는 경우, 음성인식기능을 사용하더라도 오발신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진동센서를 사용하여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감지하고 기 설정된 동작에 따라 원하는 전화번호로 발신통화를 시도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 및 상기 단말기가 소정 거리 이상 떨어져 위치한 경우에도 용이하게 통화발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진동감지 이동통신 단말기 및 통화 발신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진동감지 이동통신 단말기는 외부의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감지 센서와, 상기 입력부로부터 전달되는 감지신호에 대응하여 통화발신 동작이 수행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UI제어부를 통해 설정된 동작설정 데이터에 따라, 상기 외부진동이 감지된 순서 및 횟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른 동작신호를 발생하는 진동감지 제어부와, 상기 진동감지 제어부에서 감지된 진동에 따라 전화번호를 검색하고, 재감지된 진동에 의해 전달된 동작신호에 따라 검색된 전화번호로 통화발신을 시도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생성 및 전달하는 주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진동감지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 발신방법은 외부 진동을 감지하여 선택된 전화번호가 발신될 수 있도록 하는 진동인식모드를 설정하는 제 1단계와, 전달되는 진동신호를 감지하고 설정에 따라 발신하고자 하는 전화번호를 검색하는 제 2단계와, 전화번호 검색 후 상기 외부 진동이 재감지되면, 재감지된 진동에 따라 검색된 전화번호로 통화접속을 시도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감지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진동감지 이동통신 단말기는 기본적으로 외부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감지 센서(30)와, 상기 진동감지 센서(30)로부터 전달되는 신호 및 기 저장된 발신통화 동작데이터에 따라 전화번호를 검색하여 검색된 번호로 통화를 시도하도록 하는 제어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의 동작을 위한 제어명령 또는 사용자 데이터를 입력하고, 입력된 데이터가 사용자에게 인식되도록 외부로 나타내는 UI부(10)와, 타 이동통신 단말기와 이동통신 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함으로서 음성통화 또는 메시지 송수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모듈(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진동감지 센서(30)는 외부 진동이 감지되면 그에 따른 감지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20)로 전달하며, 이때 상기 감지신호는 외부 진동의 크기에 따라 상이하게 생성되어 전달될 수 있다.
상기 UI부(10)는 다수의 숫자키, 문자키 및 기능키를 구비하여 누름입력을 통해 해당 키신호가 전달되도록 하는 키패드(11)와, 입력된 데이터가 외부로 나타나도록 LCD, TFT 등으로 구비된 디스플레이 패널(12)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별도로 설정된 음원데이터를 통해 상기 단말기의 동작상태 등이 소리로 출력될 수 있도록 하는 스피커(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UI부(10)로부터 전달되는 입력신호를 판독하고, 제어명령 등이 입력되기 위한 메뉴를 구현하는 UI제어부(50)와, 상기 진동감지 센서(3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감지신호에 따라 소정 전화번호가 검색 또는 선택될 수 있도록 하고 그에 따른 발신동작이 차례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진동감지 제어부(70)와, 상기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진동감지 제어부(70)로부터 전달되는 전화번호 데이터에 따라 통화동작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주제어부(60)를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감지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부의 구성이 상세하게 도시된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부(60)는 상술한 바와 같이, UI제어부(50)와, 주제어부(60)와, 진동감지 제어부(7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UI부(10)로부터 전달되는 다수 데이터 및 상기 단말기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 데이터 등이 저장되는 메모리부(8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UI제어부(50)는 상기 키패드(11)로부터 전달되는 입력신호를 판독하여 진동인식 모드가 동작되도록 하는 제어명령 또는 전화번호 데이터를 분류하여 상기 주제어부(60)로 전달하는 데이터 인식부(51)와, 상기 진동인식모드가 동작되기 위한 설정메뉴를 구현하고, 외부 진동에 따라 소정의 전화번호가 검색되면 검색된 전화번호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2)을 통해 나타나도록 하는 출력제어부(5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진동감지 제어부(70)는 상기 진동감지 센서(30)로부터 전달되는 감지신호가 일정 시간동안 일정크기 이상으로 전달되면 상기 진동이 1회 발생한 것으로 인식하여 그에 따른 동작의 진행을 위한 동작신호가 발생되는 센서감지부(73)와, 상기 진동인식 모드의 설정메뉴, 및 입력된 상기 진동이 감지된 순서 또는 횟수에 따라 동작이 차례로 수행되도록 하는 진동감지 동작설정 데이터가 저장되는 설정데이터부(7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진동감지 제어부(70)는 상기 센서감지부(73)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신호 및 상기 설정데이터에 따라 상기 메모리부(80)에 저장된 최근 전화번호 및 전화번호부의 소정 전화번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선택 또는 검색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주제어부(60)로 전달하는 동작 판단부(7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진동감지 제어부(70)는 진동이 감지된 순서 또는 횟수에 따라 상이한 전화번호가 검색되도록 하거나, 상이한 전화번호가 선택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동작 판단부(72)는 상기 주제어부(60)를 통해 검색된 전화번호가 사용자가 발신하기 위한 전화번호인지 여부를 판별하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2)을 통해 상기 검색된 전화번호가 나타나도록 하며, 이후 상기 센서감지부(73)를 통해 진동신호가 재감지되면 상기 주제어부(60)를 통해 해당 전화번호에 대한 발신동작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20)를 통해 수행되는 진동인식모드는 상기 키패드(11)를 통해 설정되는 바에 따라 전화발신동작 외의 동작도 수행될 수 있다.
즉, 자연재해 또는 기타 발생가능한 위급상황시 상기 단말기를 소지한 사용자가 문자 메시지를 통해 타 단말기로 위급상황을 알리고 도움을 요청하는 경우를 그 예로 들 수 있는데, 도움요청에 대한 문자 메시지를 미리 생성 및 저장하고, 일정 크기의 진동이 일정시간이상 감지되면 상기 메시지가 타 단말기 또는 이동통신 서버로 전송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실제 위급상황이 발생한 경우 도움 요청에 대한 별도의 동작 없이도 진동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메시지가 이동통신 망을 통해 전송되어 상기 위급상황에 대해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감지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 발신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우선, 외부진동이 감지되면 차례로 원하는 동작이 수행될 수 있도록 동작순서를 설정하고, 상기 동작이 수행되기 위한 진동인식모드가 가능하도록 설정한다. (S1)
다음, 실제 외부진동이 감지되면, 발신하고자 하는 전화번호를 검색하며, 이때 상기 전화번호는 상기 단말기 내에 각각 저장되는 최근 전화번호 목록, 단축키가 설정된 전화번호 데이터 또는 전체 전화번호 데이터에서 상기 진동신호의 크기 또는 회수에 따라 검색(선택)될 수 있다.
상기 다수 전화번호에서 소정의 번호가 검색되면, 상기 검색된 전화번호를 외부에 표시하여 상기 검색된 전화번호가 사용자가 발신하고자 하는 번호인지 확인하도록 한다.(S2, S3)
다음, 일정시간 내에 진동신호가 추가로 감지되면 상기 검색된 번호가 발신하고자 하는 번호인 것으로 판별하여 상기 번호로 통화접속을 시도하여 발신 동작을 수행하고, 감지되지 않은 경우에는 다시 검색동작을 수행하거나 전화번호 발신동작을 종료한다.(S4, S5)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진동감지 이동통신 단말기 및 통화 발신방법을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으며, 외부 진동을 감지하여 기설정된 동작이 차례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보호되는 범위 이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응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감지 이동통신 단말기 및 통화 발신방법은 외부진동을 감지하여 발신하고자 하는 전화번호를 검색하고, 검색된 번호를 확인하여 상기 번호로 통화발신 동작이 수행되도록 하여, 상기 단말기 및 사용자가 소정 거리 이상 떨어져 위치한 경우에도 특정 번호로의 통화발신 동작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외부의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감지 센서와;
    상기 진동감지 센서로부터 전달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동작수행이 제어되도록 진동감지 동작설정이 입력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로부터 전달되는 감지신호에 대응하여 통화발신 동작이 수행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진동감지 동작설정을 위한 메뉴를 구현하여, 구현된 메뉴에 따라 입력된 동작설정 명령을 판독하는 UI제어부와;
    상기 UI제어부를 통해 설정된 동작설정 데이터에 따라, 상기 외부진동이 감지된 순서 및 횟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른 동작신호를 발생하는 진동감지 제어부와;
    상기 진동감지 제어부에서 감지된 진동에 따라 전화번호를 검색하고, 재감지된 진동에 의해 전달된 동작신호에 따라 검색된 전화번호로 통화발신을 시도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생성 및 전달하는 주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감지 이동통신 단말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감지 제어부는 상기 감지신호에 따라 차례로 동작이 수행되도록 동작설정 데이터가 저장되는 설정데이터부와;
    상기 감지신호가 일정 시간 및 일정크기 이상이면 상기 진동감지 동작에 대한 진동신호가 입력된 것으로 인식하는 센서감지부와;
    상기 진동신호에 따라 소정의 전화번호가 검색되도록 하고, 재감지된 진동신호에 따라 검색된 전화번호의 통화발신을 위한 동작신호를 발생하여 주 제어부로 전달하는 동작판단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감지 이동통신 단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외부 진동의 감지시, 상기 입력부로부터 전달되는 동작 설정데이터에 따라 기 설정된 특정 전화번호로 통화를 시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감지 이동통신 단말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비상상황의 발생시 상기 동작설정 데이터에 따라 외부 진동을 감지하여 도움을 요청하기 위한 구조요청 메시지가 자동으로 송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감지 이동통신 단말기.
  6. 외부 진동을 감지하여 선택된 전화번호가 발신될 수 있도록 하는 진동인식모드를 설정하는 제 1단계와;
    전달되는 진동신호를 감지하고 설정에 따라 발신하고자 하는 전화번호를 검색하는 제 2단계와;
    전화번호 검색 후 상기 외부 진동이 재감지되면, 재감지된 진동에 따라 검색된 전화번호로 통화접속을 시도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감지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발신 방법.
KR1020040099911A 2004-12-01 2004-12-01 진동감지 이동통신 단말기 및 통화 발신방법 KR1007128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9911A KR100712845B1 (ko) 2004-12-01 2004-12-01 진동감지 이동통신 단말기 및 통화 발신방법
CNA2005100777660A CN1783908A (zh) 2004-12-01 2005-06-24 震动感知移动通信终端及通话呼叫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9911A KR100712845B1 (ko) 2004-12-01 2004-12-01 진동감지 이동통신 단말기 및 통화 발신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1050A KR20060061050A (ko) 2006-06-07
KR100712845B1 true KR100712845B1 (ko) 2007-05-02

Family

ID=36773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9911A KR100712845B1 (ko) 2004-12-01 2004-12-01 진동감지 이동통신 단말기 및 통화 발신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712845B1 (ko)
CN (1) CN178390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58977B2 (en) 2010-04-22 2013-01-2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Use of mobile computing device sensors to initiate a telephone call or modify telephone operatio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5326A (ko) * 1997-03-31 1998-11-16 박제혁 위급상황시 p.c.s 및 g.p.s를 이용하여 구난신호 발생 및 그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장치
JP2002152337A (ja) * 2000-11-15 2002-05-24 Nec Access Technica Ltd 携帯通信端末における緊急動作方法および携帯通信端末
KR200280812Y1 (ko) 2002-04-04 2002-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진동을 이용한 키 인식장치
KR20030005765A (ko) * 2001-07-10 2003-01-23 삼성전자 주식회사 자동다이얼링 기능이 있는 휴대단말기 및 그 휴대단말기를이용한 보안서비스 방법
KR20040033536A (ko) * 2002-10-15 2004-04-28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긴급상황 통보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5326A (ko) * 1997-03-31 1998-11-16 박제혁 위급상황시 p.c.s 및 g.p.s를 이용하여 구난신호 발생 및 그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장치
JP2002152337A (ja) * 2000-11-15 2002-05-24 Nec Access Technica Ltd 携帯通信端末における緊急動作方法および携帯通信端末
KR20030005765A (ko) * 2001-07-10 2003-01-23 삼성전자 주식회사 자동다이얼링 기능이 있는 휴대단말기 및 그 휴대단말기를이용한 보안서비스 방법
KR200280812Y1 (ko) 2002-04-04 2002-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진동을 이용한 키 인식장치
KR20040033536A (ko) * 2002-10-15 2004-04-28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긴급상황 통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83908A (zh) 2006-06-07
KR20060061050A (ko) 2006-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0177B1 (ko) 휴대단말기에서 이미지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EP1610533B1 (en) Method for performing functions associated with a phone number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7787871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mmunication control program
KR20060054650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최근 통화 기록을 이용한 발신 장치및 방법
KR100712845B1 (ko) 진동감지 이동통신 단말기 및 통화 발신방법
JP3754001B2 (ja) 移動通信端末機の電話番号アクセス方法
JP2000253186A (ja) ポータブルな送受話器のシステム、ポータブルな送受話器の作動方法、ポータブルな送受話器および電話の操作方法
JP2006033229A (ja) 携帯型通信装置及び携帯型通話装置
KR101493088B1 (ko) 하나의 카테고리에 등록된 복수의 전화번호를 이용한 통신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통신 단말기
JP4924049B2 (ja) 通信網選択機能付情報通信端末、及び通信網選択方法。
KR20030045245A (ko) 휴대용 단말기의 비상시 콜 방법 및 장치
KR100899943B1 (ko) 진동감지 기반의 모드 전환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단말장치
KR100703390B1 (ko) 이동 통신 단말의 전화번호 검색 방법 및 장치
KR10160530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음성을 이용한 다이얼 입력 방법 및 장치
KR100576039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전화번호 검색 방법
KR100866043B1 (ko) 휴대 전화 통화중 전화번호 검색 방법
KR20070034308A (ko) 폰북 기능을 갖는 통신 단말기의 발신 처리 방법
KR100557114B1 (ko) 전화번호 메모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메모방법
KR20060011613A (ko) 발신자 및 수신자 정보 표시기능을 갖는 휴대용 무선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762631B1 (ko) 이동 통신 단말의 키 입력 정보 저장 방법
KR100863040B1 (ko) 재발신 전화번호 선택방법
KR20010074347A (ko) 무선 단말기에서 이어마이크에 의한 발신 방법
KR20060068474A (ko) 통화중 검색 전화번호 전송 방법
KR20050055889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화 번호 검색 방법
KR100539873B1 (ko) 이동단말기의미확인수신단문메시지검색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