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0772B1 - 3빔분리방식의 프로젝트의 투사각 조정장치 - Google Patents

3빔분리방식의 프로젝트의 투사각 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0772B1
KR100210772B1 KR1019950007421A KR19950007421A KR100210772B1 KR 100210772 B1 KR100210772 B1 KR 100210772B1 KR 1019950007421 A KR1019950007421 A KR 1019950007421A KR 19950007421 A KR19950007421 A KR 19950007421A KR 100210772 B1 KR100210772 B1 KR 1002107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rel
guide
movement
fitted
upper barr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74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6630A (ko
Inventor
박준현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500074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0772B1/ko
Priority to US08/623,574 priority patent/US5648878A/en
Priority to CN96105974A priority patent/CN1043171C/zh
Priority to EP96105181A priority patent/EP0735410B1/en
Priority to DE69609886T priority patent/DE69609886D1/de
Priority to JP8078904A priority patent/JP2983172B2/ja
Publication of KR960036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66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0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07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3/00Colour photography, other than mere exposure or projection of a colour film
    • G03B33/06Colour photography, other than mere exposure or projection of a colour film by additive-colour projection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4Projection arrangements for image reproduction, e.g. using eidoph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빔 분리 방식의 프로젝터의 투사각 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면에 프로젝션 렌즈가 장착되고, 상면에는 정해진 궤적과 동일한 형태의 가이드홈이 장착되며, 다수의 가이드봉에 의해 서로 끼워진 상태에서 외력의 작용에 의하여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여 좌우방향으로 동시에 직선 이동되는 한쌍의 하부경통과, 전면에 프로젝션 렌즈가 장착되고, 저면 소정 위치에 끼움공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경통 사이의 중심선 수직 상방에 설치된 상태에서 그 하부경통의 좌우 직선 이동에 따라 전후 직선 이동과 상하승강 운동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단일의 상부경통과, 상기 하부 경통상면의 가이드홈과 상부경통 저면의 끼움공에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 통상의 구동 수단의 작용에 의하여 전후 직선 이동되면서 상기 하부 경통의 좌우이동 작용과 상부경통의 전후 및 상하 직선 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와, 하우징 상면 내측에 고정되고, 상면 일측에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상부경통의 전후방향 움직임을 안내하는 직선안내공과 상하 방향 움직임을 안내하는 경통궤적에 대응하기 위한 안내공이 형성된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상부경통과 고정 플레이트 사이에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 상부경통의 전후이동에 따라 힌지점을 중심으로 하여 접혀졌다 펼쳐졌다 하면서 상부경통을 승강시키는 교차링크로 구성함으로써, 3빔분리 방식의 경통을 구성하는 각각의 경통이 정해진 궤적 범위 내에서 동시에 연동되면서 조정되도록 하여 각 경통을 통하여 스크린 상에 투사된 화면의 포커싱과 화면맞춤 동작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3빔분리 방식의 프로젝트의 투사각 조정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3빔분리 방식의 프로젝터의 투사각 조정 장치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가이드홈 14,14' : 하부경통
16 : 가이드봉 18 : 상부경통
20 : 고정플레이트 22 : 직선안내공
24 : 안내공 26 : 교차링크
32 : 구동수단 34 : 가이드부재
본 발명은 3빔분리 방식의 프로젝터의 투사각 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크린 전면으로부터 소정거리 떨어진 위치에 정삼각구도로 설치된 상태에서 동일한 투사체를 하나의 스크린상에 동시에 겹쳐지게 투사하여 영상을 만들어내는 R(Red), G(Green), B(Blue) 컬러에 해당되는 3개의 프로젝터가 단일의 구동모터의 작용에 의하여 정해진 궤적범위에서 동시에 조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스크린 상에 투사된 화면의 포커싱과 화면맞춤 동작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3빔분리 방식의 프로젝터의 투사각 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3빔분리 방식의 프로젝터는 R,G,B 컬러에 해당되는 3개의 경통을 스크린 전면으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진 위치에 설치하고, 그 각각의 경통을 통하여 동일한 투사체를 하나의 스크린 상에 투사하여 그 화면이 겹쳐지도록 함으로써 관찰자가 영상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인바, 이와 같은 3빔분리 방식의 프로젝터에서 스크린과 각 경통 사이의 거리 및 경통 상호간의 거리가 정확히 맞지 않는 경우에는 각 경통을 통하여 투사된 화면이 스크린 상에서 겹쳐질 때 서로 어긋나게 겹쳐지는 현상이 발생하거나 스크린 상에서 화면이 제대로 결상되지 않게 되어 관찰자가 쉽게 피로감을 느끼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프로젝터의 화면맞춤과 포커싱을 정확히 일치시키기 위해서는 경통의 조정이 불가피한데, 종래의 경우 각 경통으로부터 스크린으로 투사되는 화면이 서로 일치되지 않는 경우와, 스크린에 대한 각 경통의 거리가 부적절하여 포커싱조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 상기 각 경통을 다른 경통에 대하여 불일치를 보정하는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투사방향과 투사각도를 조정해야 되기 때문에 그 조정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고, 그 조정작업 또한 스크린상의 화면을 응시하면서 수동조작을 해야되기 때문에 전문기술자가 아니면 정확한 조정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3빔분리 방식의 경통을 구성하는 각각의 경통이 정해진 궤적 범위 내에서 동시에 연동되면서 조정되도록 하여 각 경통을 통하여 스크린 상에 투사된 화면의 포커싱과 화면 맞춤 동작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3빔분리 방식의 프로젝터의 투사각 조정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면에 프로젝션 렌즈가 장착되고, 상면에는 정해진 궤적과 동일한 형태의 가이드홈이 장착되며, 다수의 가이드봉에 의해 서로 끼워진 상태에서 외력의 작용에 의하여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여 좌우 방향으로 동시에 직선 이동되는 한쌍의 하부경통과, 전면에 프로젝션 렌즈가 장착되고, 저면 소정위치에 끼움공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경통 사이의 중심선 수직 상방에 설치된 상태에서 그 하부경통의 좌우직선 이동에 따라 전후 직선 이동과 상하승강운동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단일의 상부경통과, 상기 하부경통 상면의 가이드홈과 상부 경통저면의 끼움공에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 통상의 구동수단의 작용에 의하여 전후 직선 이동되면서 상기 하부 경통들의 좌우 및 전후 이동작용과 상부경통의 전후 및 상하 직선 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와, 하우징 상면 내측에 고정되고, 상면 일측에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상부경통의 전후방향 움직임을 안내하는 직선 안내공과 상하 방향 움직임을 안내하는 사선 안내공이 형성된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상부경통과 고정 플레이트 사이에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 상부경통의 전후 이동에 따라 힌지점을 중심으로 하여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접혀졌다 펼쳐졌다 하면서 상부경통을 승강시키는 교차링크로 이루어진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분리사시도로서, 전면에 프로젝션렌즈(10)가 장착되고, 상면에 정해진 궤적과 동일한 형태의 가이드홈(12)이 형성된 한쌍의 하부 경통(14)(14')이 서로 복수 개의 가이드봉(16)에 의해 좌우 이송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한쌍의 하부경통(14)(14') 사이의 기준선 수직상방에 그 하부경통(14)(14')과 동일한 형태를 갖는 단일의 상부경통(18)이 고정 플레이트(20) 상에 형성된 직선안내공(22)과 경통 궤적에 대응하기 위한 안내공(24)을 통하여 결합되는 교차링크(26)에 의해 전후방향 및 상하방향으로의 직선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하부경통(14)(14')과 상부경통(18) 사이에는 모터(28)와 이송 스크류(30)로 이루어지는 통상의 구동수단(32)과 결합된 상태에서 그 구동력을 받아 전후방향으로 직선이동되면서 상기 하부경통(14)(14')의 좌우방향 이동에 동력을 부여하고, 상부경통(18)의 전후방향 직선이동에 동력을 부여하는 가이드부재(34)가 설치되는 구조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상기 가이드부재(34)는 T형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며, 선단에 이송 스크류 삽입홈(36)이 형성되고 후단의 양쪽 저면에 상기 하부경통(14)(14') 상에 형성된 가이드홈(12)에 끼워지는 가이드 돌기(38)가 돌설되며, 후단 상면 중앙에는 상부경통(18)의 저면에 형성된 끼움공(40)에 끼워지는 한쌍의 가이드핀(42)이 돌설된 구조를 나타낸다.
한편,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상기 교차링크(26)는 한쌍의 링크편(44)(44')이 중앙에 형성된 힌지점을 중심으로하여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자유롭게 절첩될 수 있도록 교차결합된 구조를 나타낸다.
한편,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상기 상부경통(18)은 그 상면 일측의 전후 소정 위치에 상기 교차링크(26)를 구성하는 한쪽 링크편(44)의 하단이 결합되는 결합돌기(46)가 돌설되고, 그 결합돌기(46)와 나란히 다른쪽 링크편(44')의 하단이 끼워지는 가이드홈(12')이 형성된 구조를 나타낸다.
제2도는 본 발명의 결합 및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상기 상부경통(18)의 상면 일측 전후 소정위치에 돌설된 결합돌기(46)에 교차링크(26)를 구성하는 링크편(44)의 하단이 끼워져 고정결합되고, 그 결합돌기(46)와 동일 선상에서 나란히 형성된 가이드홈(12')내에 반대쪽 링크편(44')의 하단이 끼워지며, 상기 일측 링크편(44)의 상단은 고정플레이트(20)상의 경통 궤적에 대응하기 위한 안내공(24)에, 다른쪽 링크편(44')의 상단은 직선 안내공(22)에 그 형성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구조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상부경통(18)의 수직하방에는 가이드봉(16)에 의해서 좌우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하부경통(14)(14')이 위치되며, 상기 상부경통(18)의 저면과 하부경통(14)(14') 상면 사이에는 구동수단(32)을 구성하는 모터(28) 및 이송 스크류(30)와 결합된 상태의 가이드부재(34)가 끼워져 설치되는 바, 상기 상부경통(18) 저면의 끼움공(40)에는 그 가이드부재(34) 상면의 가이드핀(42)이 끼워지고, 상기 하부경통(14)(14')상의 가이드홈(12)에는 가이드부재(34)의 양단 저면에 돌설된 가이드 돌기(38)가 끼워진 구조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스크린 상에 형성되는 투사체의 화면을 정확하게 겹쳐지게 조정하기 위하여 콘트롤 패널상의 제어스위치를 정해진 방향으로 누르면, 모터(28)가 정해진 방향으로 구동되면서 가이드부재(34) 전면의 이송스크류 삽입홈(36) 내에 끼워진 이송스크류(30)가 동일방향으로 회동되어 가이드부재(34) 전체가 하부경통(14)(14') 상면에 형성된 가이드홈(12)내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직선 이동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재(34) 하부에서 가이드봉(16)에 의해 결합된 한쌍의 하부경통(14)(14')이 중앙의 기준선에 대하여 중앙으로 모아지거나 좌우로 벌어지며, 상기 상부경통(18) 역시 그 가이드 부재(34)와 일체화된 상태에서 고정 플레이트(20) 상면의 직선안내공(22) 및 경통궤적에 대응하기 위한 안내공(24)을 따라 전후 직선 이동됨과 동시에 상하 승강운동을 하게 된다.
예로서, 가이드부재(34)가 모터(28) 및 이송 스크류(30)의 작용에 의해서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직선이동되면, 하부경통(14)(14')이 그 상면에 형성된 가이드홈(12)에 끼워져 이동되는 가이드돌기(38)의 작용에 의하여 각각 기준선 쪽으로 이동되어 모아짐과 동시에 상부경통(18)이 가이드부재(34)와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플레이트(20) 상의 직선안내공(22)을 따라 후방으로 일정거리 이동됨에 따라 교차링크(26)의 작용에 의하여 아래로 하강되어 하부경통(14)(14')에 조립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부재(34)가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직선 이동되면, 상기 후방으로의 이동시와는 반대로 하부경통(14)(14')은 기준선에 대하여 바깥 쪽으로 동시에 일정 간격으로 벌어지고, 상부경통(18) 역시 전방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상방향으로 상승된다.
이때, 상기 하부경통(14)(14') 및 상부경통(18)의 투사각 조정은 사용자가 모터(28)의 구동을 제어함에 따라 적절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적용하면 R, G, B 컬러에 해당되는 3개 경통이 전후 직선 이동되는 가이드부재를 매개로 하여 좌우, 전후 및 상하방향으로 연동되어 조정되기 때문에 스크린 상에 투사되는 화면을 정확하게 일치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으며, 조작이 간편하여 전문기술자가 아니라도 쉽게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전면에 프로젝션렌즈(10)가 장착되고, 상면에는 정해진 궤적과 동일한 형태의 가이드홈(12)이 장착되며, 다수의 가이드봉(16)에 의해 서로 끼워진 상태에서 외력의 작용에 의하여 기준선에 대하여 좌우방향으로 동시에 직선이동되는 한쌍의 하부경통(14)(14')과; 전면에 프로젝션렌즈(10)가 장착되고, 저면 소정위치에 끼움공(40)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경통(14)(14') 사이의 기준선 수직상방에 설치된 상태에서 그 하부경통(14)(14')의 좌우직선 이동에 따라 전후직선이동과 상하승강운동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단일의 상부경통(18)과; 상기 하부경통(14)(14') 상면의 가이드홈(12)과 상부경통(18) 저면의 끼움공(40)에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 통상의 구동수단(32)의 작용에 의하여 전후 직선이동 되면서 상기 하부경통(14)(14')의 좌우 이동 작용과 상부경통(18)의 전후 및 상하 직선 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34)와; 하우징 상면 내측에 고정되고, 상면 일측에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상부경통(18)의 전후방향 움직임을 안내하는 직선안내공(22)과 상하 방향 움직임을 안내하는 경통궤적에 대응하기 위한 안내공(24)이 형성된 고정 플레이트(20)와; 상기 상부경통(18)과 고정플레이트(20) 사이에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 상부경통(18)의 전후 이동에 따라 힌지점을 중심으로 하여 접혀졌다 펼쳐졌다 하면서 상부경통(18)을 승강시키는 교차링크(26)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3빔 분리 방식의 프로젝터의 투사각 조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34)는 T형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며, 선단에 이송 스크류 삽입홈(36)이 형성되고 후단의 양쪽 저면에 상기 하부경통(14)(14')상에 형성된 가이드홈(12)에 끼워지는 가이드돌기(38)가 돌설되며, 후단 상면 중앙에는 상부경통(18)의 저면에 형성된 끼움공(40)에 끼워지는 한쌍의 가이드핀(42)이 돌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3빔 분리 방식의 프로젝터의 투사각 조정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차링크(26)는 한쌍의 링크편(44)(44')가 중앙에 형성된 힌지점을 중심으로하여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자유롭게 절첩될 수 있도록 교차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3빔 분리 방식의 프로젝터의 투사각 조정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경통(18)은 그 상면 일측의 전후소정위치에 상기 교차링크(26)를 구성하는 한쪽 링크편(44)의 하단이 결합되는 결합돌기(46)가 돌설되고, 그 결합돌기(46)와 나란히 다른쪽 링크편(44')의 하단이 끼워지는 가이드홈(1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3빔 분리 방식의 프로젝터의 투사각 조정장치.
KR1019950007421A 1995-03-31 1995-03-31 3빔분리방식의 프로젝트의 투사각 조정장치 KR1002107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7421A KR100210772B1 (ko) 1995-03-31 1995-03-31 3빔분리방식의 프로젝트의 투사각 조정장치
US08/623,574 US5648878A (en) 1995-03-31 1996-03-28 Integrally driven three beam-type projection apparatus
CN96105974A CN1043171C (zh) 1995-03-31 1996-03-31 三束型投影仪
EP96105181A EP0735410B1 (en) 1995-03-31 1996-04-01 Three beam-type projection apparatus
DE69609886T DE69609886D1 (de) 1995-03-31 1996-04-01 Dreistrahl-Projektionsgerät
JP8078904A JP2983172B2 (ja) 1995-03-31 1996-04-01 3ビーム分離方式のプロジェクション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7421A KR100210772B1 (ko) 1995-03-31 1995-03-31 3빔분리방식의 프로젝트의 투사각 조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6630A KR960036630A (ko) 1996-10-28
KR100210772B1 true KR100210772B1 (ko) 1999-07-15

Family

ID=19411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7421A KR100210772B1 (ko) 1995-03-31 1995-03-31 3빔분리방식의 프로젝트의 투사각 조정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648878A (ko)
EP (1) EP0735410B1 (ko)
JP (1) JP2983172B2 (ko)
KR (1) KR100210772B1 (ko)
CN (1) CN1043171C (ko)
DE (1) DE69609886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06953A (en) * 1997-02-28 1998-09-15 Imax Corporation Projector transporter
JP3872590B2 (ja) * 1998-02-27 2007-01-24 三菱電機株式会社 投射型映像表示装置
US6709114B1 (en) * 2000-01-27 2004-03-23 Thomson Licensing S.A. Spherical mounting system for three axis adjustment of light projector assembly in a projection television
CN1236604C (zh) * 2001-05-02 2006-01-11 汤姆森许可公司 投影电视装置的调节图像中心和转动的机械系统
US6922216B2 (en) 2002-04-12 2005-07-26 Thomson Licensing S. A. Mechanical system for adjusting image centering and rotation in projection television apparatus
US7503536B2 (en) * 2004-01-23 2009-03-17 Milestone Av Technologies Llc Universal projector mount
JP6007556B2 (ja) * 2012-04-10 2016-10-1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支持具、及びプロジェクションシステム
JP6007557B2 (ja) * 2012-04-10 2016-10-1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支持具、及びプロジェクション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91584A (fr) * 1919-12-23 1921-11-01 Ramon Gantes Procédé et dispositif pour produire des vues animées stéréoscopiques.
JPS61167297A (ja) * 1985-01-21 1986-07-28 Casio Comput Co Ltd カラ−液晶プロジエクタ
US4997270A (en) * 1989-06-13 1991-03-05 Imax Systems Corporation Projected image alignment method and apparatus
KR920005039B1 (ko) * 1990-01-31 1992-06-25 주식회사 금성사 입체용 투영기의 투영렌즈 구동방법 및 구동장치
JP3110181B2 (ja) * 1992-01-08 2000-11-20 富士通株式会社 投射型表示装置
JP2903876B2 (ja) * 1992-07-03 1999-06-1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投写型表示装置
US5537169A (en) * 1994-09-08 1996-07-16 Daewoo Electronics Co., Ltd. Projection-lens driving apparatus for a 3-beam projector
KR0153117B1 (ko) * 1995-02-15 1998-12-01 배순훈 입체용 투영기의 투영렌즈 구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4556A (zh) 1996-10-30
KR960036630A (ko) 1996-10-28
EP0735410B1 (en) 2000-08-23
EP0735410A3 (en) 1997-05-21
EP0735410A2 (en) 1996-10-02
DE69609886D1 (de) 2000-09-28
JP2983172B2 (ja) 1999-11-29
US5648878A (en) 1997-07-15
CN1043171C (zh) 1999-04-28
JPH08289310A (ja) 1996-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10772B1 (ko) 3빔분리방식의 프로젝트의 투사각 조정장치
EP0104465B1 (de) Overhead-Projektor
KR0134549B1 (ko) 3빔분리방식 프로젝터의 투사각조정장치
KR0134551B1 (ko) 3빔분리방식 프로젝터의 투사각조정장치
US5537169A (en) Projection-lens driving apparatus for a 3-beam projector
EP0729060A1 (en) Projection system
JP2826501B2 (ja) 立体形プロジェクションシステム
KR0134550B1 (ko) 3빔분리방식 프로젝터의 투사각조정장치
JP2859572B2 (ja) プロジェクタの投射角調整装置
JP2607006Y2 (ja) カメラのズームファインダ装置
KR970011873B1 (ko) 3빔분리방식 프로젝터의 투사각조정장치
DE10217572A1 (de) Verriegelungseinrichtung für eine schwingungsfeste Linse für eine Kamera, schwingungsfester Adapter und Linseneinrichtung
KR970010484B1 (ko) 3빔분리방식의 입체용 프로젝터의 투사각 조정장치
KR970010483B1 (ko) 입체용 프로젝터의 투사각 조정장치
KR0170982B1 (ko) 3빔분리방식 프로젝터의 프로젝션렌즈 구동장치
CN213210602U (zh) 一种ar眼镜及其柔性连接结构
KR0123833B1 (ko) 입체용 프로젝터의 투사각 조정장치
KR19990000033U (ko) 프로젝션 텔레비전의 액정소자 모듈 조정장치
JPH02210314A (ja) ズームレンズの駆動機構
JPH08136853A (ja) 両眼視画像表示装置
CH249391A (de) Photographische Stereokamera mit kontinuierlich verstellbarer stereoskopischer Basis.
JPH1138476A (ja) 視野変更装置
JPH0453935A (ja) 投影レンズ
DE3231742A1 (de) Ueberblendprojektor fuer diapositive
JPH1164930A (ja) 視野変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