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10483B1 - 입체용 프로젝터의 투사각 조정장치 - Google Patents

입체용 프로젝터의 투사각 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10483B1
KR970010483B1 KR1019940018670A KR19940018670A KR970010483B1 KR 970010483 B1 KR970010483 B1 KR 970010483B1 KR 1019940018670 A KR1019940018670 A KR 1019940018670A KR 19940018670 A KR19940018670 A KR 19940018670A KR 970010483 B1 KR970010483 B1 KR 9700104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barrel
guide member
support bracket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8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6570A (ko
Inventor
박준현
이동희
Original Assignee
대우전자 주식회사
배순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전자 주식회사, 배순훈 filed Critical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400186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10483B1/ko
Publication of KR960006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65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10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04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42Adjusting of projection optic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입체용 프로젝터의 투사각 조정장치
제1도는 종래 입체용 프로젝터를 이용하여 투사체 투사시의 화면 겹침현상을 나타내는 정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입체용 프로젝터의 투사각 조정장치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에서 가이드부재의 전후직선이동에 따른 경통의 조정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평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에서 경통의 전후이동거리에 따른 좌우벌림 각도의 조정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분리 사시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입체용 프로젝터를 이용하여 투사체를 투사한 상태의 화면겹침현상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6 : 가이드홈 18 : 결합보스
20 : 경통 24 : 간격조정스크류
30 : 궤적공 32 : 구동수단
34 : 가이드부재 36 : 가이드부재안내공
38 : 지지브라켓 40 : 이송스크류결합공
44 : 가이드롤러 46 : 가이드편
48 : 구동모터 52 : 이송스크류
54 : 구동수단안착부 58 : 가이드랙
60 : 이송피니언.
본 발명은 입체용 프로젝터의 투사각 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크린전면으로 부터 소정거리 떨어진 위치에 나란히 설치된 상태에서 동일한 투사체를 하나의 스크린상에 동시에 겹쳐지게 투사하여 입체영상을 만들어내는 한쌍의 경통이 단일의 구동모터의 작용에 의하여 정해진 궤적범위에서 동시에 조정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스크린상에 투사된 화면의 포커싱과 화면 맞춤조정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입체용 프로젝터의 투사각 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입체용 프로젝터는 복수개의 경통을 스크린 전면으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진 위치에 병렬 설치하고, 그 각각의 경통을 통하여 동일한 투사체를 하나의 스크린상에 투사하여 그 화면이 겹쳐지도록 하므로써 관찰자가 입체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인바, 이와 같은 입체용 프로젝터에서 스크린과의 거리 및 경통 상호간의 거리가 정확히 맞지 않은 경우에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경통을 통하여 투사된 화면(1)(1')이 스크린상에서 겹쳐질 때 서로 어긋나게 겹쳐지는 현상이 발생하거나 스크린(2)상에서 화면(1)(1')이 제대로 결상되지 않게 되어 관찰자가 쉽게 피로감을 느끼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입체용 프로젝터에서의 화면맞춤과 포커싱을 정확히 일치시키기 위해서는 경통의 조정이 불가피한데, 종래의 경우 각 경통으로부터 스크린으로 투사되는 화면이 서로 일치되지 않는 경우와, 포커싱조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 상기 각 경통을 다른 경통에 대하여 불일치를 보저하는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투사방향과 투사각도를 조정해야 되기 때문에 그 조정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고, 그 조정작업 또한 스크린상의 화면을 응시하면서 수동조작을 해야 되기 때문에 정확한 조정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입체용 프로젝터를 구성하는 각 경통이 정해진 궤적범위에 동시에 조정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스크린상에 투사된 화면의 포커싱과 화면맞춤 조정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입체용 프로젝터의 투사각 조정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면에 프로젝션렌즈가 장착되고, 상면에 정해진 이동궤적에 따른 가이드홈이 일정한 각도로 후방을 향하여 벌려진 형태로 형성된 한쌍의 경통이 좌우간격조정이 가능하게 병렬결합된 다음, 별도로 구비되는 지지브라켓의 저면에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경통의 상면과 지지브라켓의 저면 사이에는 별도의 구동수단에 의하여 전후 직선운동하면서 상기 각 경통의 전후거리 및 좌우방향간격을 동시에 조정하는 가이드부재가 결합된 특징으로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입체용 프로젝터의 투사각 조정장치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로서, 후방의 투사체를 전방의 스크린을 향하여 투사하기 위한 프로젝션렌즈(14)가 장착되고, 상면에는 가이드홈(16)이 그 종축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여 후방쪽으로 일정각도만큼 벌어진 형태로 형성되며, 그 상면 전방에는 결합보스(18)가 돌설된 한쌍의 경통(20)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향하는 완만한 나사부(22)를 갖는 간격조정스크류(24)에 의하여 병렬결합되고, 상기한 바와 같이 병렬결합된 경통(20)의 상방에는 좌우양단에 외벽체와의 고정결합을 위한 스크류 체결공(26)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상기 경통(20)의 상면에 형성된 결합보스(18)와의 결합을 위한 체결볼트(28)가 위쪽으로 부터 끼워지며, 외부의 작용힘이 경통(20)에 전해질 때, 그 경통(20)의 전후방 움직임이 정해진 이동궤적에 따라 이루어지도록 가이드하는 궤적공(30)과, 상기 경통(20) 상면의 가이드홈(16)내에 끼워진 상태에서 별도의 구동수단(32)의 정역구동에 따라 전후직선이동되면서 경통(20)의 전후방향이동을 제어하는 가이드부재(34)의 전후이동이 일정한 범위내에서 제한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부재안내공(36)이 형성된 지지브라켓(38)이 구비된 구조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상기한 가이드부재(34)는 얇은 편으로 이루어지되, 뒷쪽에는 내부에 이송스크류결합공(40)이 형성된 체결편(42)과, 그 체결핀(42)의 양쪽으로 소정간격으로 분기되며, 그 저면 선단에 경통(20)상의 가이드홈(16)에 끼워지는 가이드롤러(44)가 돌설된 가이드편(46)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체결편(42)과 가이드편(46)이 분기되는 지점의 상면에는 상기 지지브라켓(38)상의 가이드부재안내공(36)에 끼워진 상태에서 전후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보스(18')가 돌설된다.
한편,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상기한 지지브라켓(38)의 후단에는 가이드부재안내공(36)이 형성된 부분을 뒷쪽으로 길게 연장한 후 절곡시켜 구동모터(48)와 그 모터축(50) 및 모터축(50)에 결합되고, 가이드부재(34) 후단에 형성된 이송스크류결합공(40)에 나사결합되는 이송스크류(52)로 이루어지는 구동수단(32)이 수납되어 고정되는 구동수단안착부(54)가 형성되며, 그 구동수단안착부(54)의 앞쪽벽에 일정크기의 관통공(56)이 형성되어 구동수단(32)을 구성하는 이송스크류(52)가 가이드부재(34)와 체결된다.
이때, 상기 구동모터(48)는 별도의 콘트롤패널상에 설치된 제어스위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스위치를 누르는 시간만큼 정해진 방향으로 구동되도록 한다.
제3도는 본 발명에서 가이드부재의 전후직선이동에 따른 경통의 조정상태를 나타내는 부분평단면도로서, 지지브라켓(38)상의 궤적공(30)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간격조정스크류(24)에 의하여 병렬결합되어 한쌍의 경통(20)이 구동수단(32)의 정역구동에 따른 가이드부재(34)의 전후직선이동에 의하여 전후방향으로 직선이동됨과 동시에 좌우간격조정이 자동으로 조정되는 것을 나타내는 바, 지지브라켓(38)상면에 형성된 궤적공(30)에 경통(20)상면으로 부터 돌설된 결합보스(18)가 끼워진 상태에서 하단에 나사부가 형성되고, 중간에 그 나사부보다 큰 직경의 비나사부가 형성된 체결볼트(28)에 의하여 전후 이송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경통(20)상면에 형성된 가이드홈(16)내에는 상기 지지브라켓(38)과 경통(20)사이에 개재된 가이드부재(34)상의 가이드롤러(44)가 끼워지는 한편, 상기 지지브라켓(38)상의 가이드부재안내공(36)에는 상기 가이드부재(34)로 부터 돌설된 결합보스(18')가 끼워져 윗쪽으로부터 체결볼트(28)에 전후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이같은 구조에서 상기 지지브라켓(38) 후단에 형성된 구동수단안착부(54)에는 구동모터(48)와, 그 모터축(50) 및 이송스크류(52)로 이루어지는 구동수단(32)이 고정결합되며, 상기 이송스크류(52)는 구동수단안착부(54) 앞쪽벽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하여 가이드부재(34)를 구성하는 체결편(42) 내부의 이송스크류결합공(40)에 끼워져 결합된 구조를 나타낸다.
제4도는 본 발명에서 경통의 전후이동거리에 따른 좌우 벌림각도 조정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로서, 지지브라켓(38)상면의 궤적공(30)에 경통(20)상의 결합보스(18)가 끼워져 체결볼트(28)에 의하여 결합되고, 상기 지지브라켓(38)과 경통(20) 사이에는 가이드부재(34)가 끼워져 결합되는 한편, 그 가이드부재(34)는 구동수단(32)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3도에서와 같이 상기 구동수단(32)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구동되면, 가이드부재(34)는 앞쪽 또는 뒷쪽으로 직선이동되며, 이에 따라 상기 경통(20)상의 가이드홈(16)에 끼워진 가이드롤러(44)의 작용에 의하여 경통(20) 자체가 일정한 거리만큼 전후직선이동됨과 동시에 경통(20) 사이에 결합된 간격조정 스크류(24)의 작용에 의하여 각 경통(20)의 평행상태를 유지하면서 좌우간격조정이 이루어지는 것을 나타낸다.
제5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로서, 제2도의 설명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전·후면 중앙부에 프로젝션렌즈(14)가 장착되고, 상면 전방에는 결합보스(18)가 돌설되며, 간격조정스크류(24)에 의하여 병렬 결합된 1쌍의 경통(20)과, 상기 경통(20)의 상면에 끼워져 결합되고, 구동수단(32)의 정역구동에 의하여 전후 직선이동되면서 경통(20)의 전후방향움직임을 제어하는 가이드부재(34)와, 상면에 상기 경통(20)의 전후방향움직임을 가이드하는 궤적공(30)과, 가이드부재(34)의 전후방향 이동을 가이드한 가이드부재안내공(36)이 각각 소정 위치에 형성되며, 선단에 구동수단안착부(54)가 형성된 지지브라켓(38)과, 상기 구동수단안착부(54)에 장착되며, 상기 가이드부재(34)를 전후방향으로 송출이동시키는 구동수단(32)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입체용 프로젝터의 투사각 조정장치에서 상기 경통(20)의 상면에는 가이드랙(58)이 형성되고, 이에 결합되는 가이드부재(34)상의 가이드편(46)의 양선단 저면에는 상기 가이드랙(58)과 맞물려 회동되는 이송피니언(60)이 돌설된 구조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스크린 상에 형성되는 투사체의 화면을 정확히 겹치게 하기 위하여 콘트롤패널상의 제어스위치를 정해진 방향으로 누르면 구동모터(48)가 정해진 방향으로 구동되면서 그 모터축(50) 선단에 결합된 이송스크류(52)가 회동되고 이에 따라 그 이송스크류(52)와 나사결합방식으로 결합된 가이드부재(34)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직선이동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재(34)를 구성하는 가이드편(46)의 후단 저면에는 돌설된 가이드롤러(44)가 경통(20)상면에 형성된 가이드홈(16)내에 끼워진 상태에서 그 가이드홈(16)를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간격조정스크류(24)에 의해 병렬 결합된 경통(20)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되는 동작과 함께 좌우방향으로 이동되는 동작을 수행하면서 스크린 상의 화면의 겹침조정기능 및 포커싱조정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적용하면 나란히 결합된 경통이 전후방향으로 직선이동됨과 동시에 좌우로 평행이동 됨에 따라 스크린상의 투사체 화면이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어긋남이 없이 정확히 일치되어 관찰자의 눈이 피로감을 현저히 저하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으며, 하나의 스위치조작으로 화면의 겹침조정과 포커싱조정이 동시에 수행되므로 사용시 매우 간편하다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4)

  1. 프로젝션렌즈(14)가 장착되고, 상면에 가이드홈(16)이 일정한 각도로 전방을 향하여 벌려진 형태로 형성된 한쌍의 경통(20)이 좌우간격이 가능하게 병렬결합된 상태에서 상면이 정해진 이동궤적과 동일한 형상의 궤적공(30)이 형성된 지지브라켓(38)이 저면에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경통(20)의 상면과 지지브라켓(38)의 저면 사이에는 별도의 구동수단(32)에 의하여 전후직선운동하면서 상기 각 경통(20)의 전후거리 및 좌우방향간격을 동시에 조정하는 가이드부재(34)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용 프로젝터의 투사각 조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34)는 얇은 편으로 이루어지되, 뒷쪽에는 내부에 이송스크류결합공(40)이 형성된 체결편(42)과, 그 체결편(42)의 양쪽으로 소정간격으로 분기되며, 그 저면 선단에 경통(20)상의 가이드홈(16)에 끼워지는 가이드롤러(44)가 돌설된 가이드편(46)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체결편(42)과 가이드편(46)이 분기되는 지점의 상면에는 지지브라켓(38)상의 가이드부재안내공(36)에 끼워진 상태에서 전후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보스(18')가 돌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용 프로젝터의 투사각 조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브라켓(38)의 후단에는 가이드부재안내공(36)이 형성된 부분을 앞쪽으로 길게 연장한후 절곡시켜 구동모터(48)와 그 모터축(50) 및 그 모터축(50)에 결합되고, 가이드부재(34) 선단에 형성된 이송스크류결합공(40)에 나사결합되는 이송스크류(52)로 이루어지는 구동수단(32)이 수납되어 고정되는 구동수단안착부(54)가 형성되며, 그 구동수단안착부(54)의 앞쪽벽에 일정크기의 관통공(5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용 프로젝터의 투사각 조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통(20)의 상면에는 가이드랙(56)이 형성되고, 이에 결합되는 가이드부재(34)상의 가이드편(46)의 양선단 저면 선단에는 상기 가이드랙(58)과 맞물려 회동되는 이송피니언(60)이 돌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용 프로젝터의 투사각 조정장치.
KR1019940018670A 1994-07-29 1994-07-29 입체용 프로젝터의 투사각 조정장치 KR9700104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8670A KR970010483B1 (ko) 1994-07-29 1994-07-29 입체용 프로젝터의 투사각 조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8670A KR970010483B1 (ko) 1994-07-29 1994-07-29 입체용 프로젝터의 투사각 조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6570A KR960006570A (ko) 1996-02-23
KR970010483B1 true KR970010483B1 (ko) 1997-06-26

Family

ID=19389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8670A KR970010483B1 (ko) 1994-07-29 1994-07-29 입체용 프로젝터의 투사각 조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104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0187A (ko) * 2001-10-26 2001-11-14 이종관 떡볶이용 소스 및 그것의 제조방법
KR101038605B1 (ko) * 2008-10-27 2011-06-03 백종화 춘장을 포함하지 않는 짜장소스 제조방법
KR102614300B1 (ko) * 2023-04-03 2023-12-15 주식회사 한신식품 떡볶이 소스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떡볶이 소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6570A (ko) 1996-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18424B2 (ja) 車両用灯具
CN104977718A (zh) 头戴显示器
KR101749713B1 (ko) 곡면 디스플레이의 가변 곡률 구동장치
CN212905720U (zh) 镜眼距可调式头戴显示器
KR970010483B1 (ko) 입체용 프로젝터의 투사각 조정장치
KR100210772B1 (ko) 3빔분리방식의 프로젝트의 투사각 조정장치
KR970011873B1 (ko) 3빔분리방식 프로젝터의 투사각조정장치
KR970010484B1 (ko) 3빔분리방식의 입체용 프로젝터의 투사각 조정장치
KR0132983B1 (ko) 프로젝터의 투사각 조정장치
CN111140745A (zh) 摄像装置、电子设备及电子设备的使用方法
KR100205761B1 (ko) 스테레오 카메라의 렌즈조절장치
KR100612585B1 (ko) 집중각조정장치를가지는헤드마운트디스플레이
KR0123833B1 (ko) 입체용 프로젝터의 투사각 조정장치
CN113903259A (zh) 曲平面显示设备
KR0134550B1 (ko) 3빔분리방식 프로젝터의 투사각조정장치
JPS5994708A (ja) ズ−ムレンズ移動装置
IL29554A (en) Drive arrangement for moving picture projector
CN212905658U (zh) 一种调焦筒
JP7410229B2 (ja) プロジェクタ光学エンジン
KR100257727B1 (ko) 피디피의 시청방향 조절장치
KR0182456B1 (ko) 프로젝터의 투사렌즈 구동장치
JP2585084Y2 (ja) ねじ送り機構の噛み合い調整装置
KR0182458B1 (ko) 프로젝터의 투사렌즈 구동장치
KR200142866Y1 (ko) 투사형 텔레비젼
KR0170982B1 (ko) 3빔분리방식 프로젝터의 프로젝션렌즈 구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5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